KR20110130375A - 패류 자동 분리 장치 - Google Patents
패류 자동 분리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130375A KR20110130375A KR1020110118145A KR20110118145A KR20110130375A KR 20110130375 A KR20110130375 A KR 20110130375A KR 1020110118145 A KR1020110118145 A KR 1020110118145A KR 20110118145 A KR20110118145 A KR 20110118145A KR 20110130375 A KR20110130375 A KR 2011013037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unching
- punching machine
- separated
- rod
- shellfish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9/00—Processing shellfish or bivalves, e.g. oysters, lobsters; Devices therefor, e.g. claw locks, claw crushers, grading devices; Processing lines
- A22C29/005—Grading or classifying shellfish or bivalves
-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9/00—Processing shellfish or bivalves, e.g. oysters, lobsters; Devices therefor, e.g. claw locks, claw crushers, grading devices; Processing lines
- A22C29/02—Processing shrimps, lobsters or the like ; Methods or machines for the shelling of shellfish
- A22C29/023—Conveying, feeding or aligning shell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식 굴 등과 같이 다발로 채취되는 패류를 낱개로 자동 분리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회전축에서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마다 봉 형상의 타발봉이 방사형으로 다수 개 돌출된 타발기가 다수 개 구성되고, 이 타발기들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는 근접한 간격으로 다수 개의 타발기를 평행하게 지지하며, 일측 하부로 패류가 배출되는 출구를 형성하고, 출구 반대측의 타발기 상부로 패류를 투입하는 입구를 형성하는 하우징을 구성하며, 이 타발기들을 출구방향으로 회전시키되, 인접한 두 타발기마다 출구측의 타발기가 다른 타발기보다 더 빠르게 회전시키는 동력수단을 포함하는 패류 자동 분리 장치를 구성하여, 채취된 패류 다발을 패류 자동 분리 장치의 입구로 투입하고 장치를 가동함으로써,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는 타발기 사이로 투입되는 패류 다발은 인접한 타발기의 교차되는 타발봉에 의해 타발되어 낱개로 분리되며, 낱개로 분리되지 않은 패류 다발은 인접한 두 타발기 중 더 빠르게 회전하는 출구측 타발기에 의해 다음 타발기 사이로 이동되고, 다시 인접한 타발기에 의해 타발되어 낱개로 분리되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양식 굴 등과 같이 다발로 채취되는 패류를 낱개로 자동 분리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회전축에서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마다 봉 형상의 타발봉이 방사형으로 다수 개 돌출된 타발기가 다수 개 구성되고, 이 타발기들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는 근접한 간격으로 다수 개의 타발기를 평행하게 지지하며, 일측 하부로 패류가 배출되는 출구를 형성하고, 출구 반대측의 타발기 상부로 패류를 투입하는 입구를 형성하는 하우징을 구성하며, 이 타발기들을 출구방향으로 회전시키되, 인접한 두 타발기마다 출구측의 타발기가 다른 타발기보다 더 빠르게 회전시키는 동력수단을 포함하는 패류 자동 분리 장치를 구성하여, 채취된 패류 다발을 패류 자동 분리 장치의 입구로 투입하고 장치를 가동함으로써,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는 타발기 사이로 투입되는 패류 다발은 인접한 타발기의 교차되는 타발봉에 의해 타발되어 낱개로 분리되며, 낱개로 분리되지 않은 패류 다발은 인접한 두 타발기 중 더 빠르게 회전하는 출구측 타발기에 의해 다음 타발기 사이로 이동되고, 다시 인접한 타발기에 의해 타발되어 낱개로 분리되는 특징이 있다.
일반적으로 양식된 굴은 여러 개가 붙은 다발 상태로 채취되는데, 이러한 굴 다발은 망치나 절단용 칼 등 여타 도구를 이용한 인력에 의해 두들겨지거나, 칼질되어 낱개로 분리되며, 이렇게 낱개로 분리된 굴은 세척된 이후, 굴 까기 및 포장과 같은 가공을 거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굴 채취 및 가공 방법은 사람의 손이 많이 가고, 채취 및 가공과정에서 많은 파손과 손실이 발생되어 상품화되는 굴의 생산량 감소와 굴의 품질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어 이를 개선하는 방안들이 점차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국내실용공개 제 1999-0034747호에는 상단이 개방된 관체 내에 이송스크류와 커터를 설치하여 원줄에서 탈락되는 내용물을 상향 이송시키면서 절단하는 이송장치와, 내용물을 이송하면서 세척하도록 다공관체 내에 내면스크류와 노즐관을 구비한 세척장치와, 이송된 내용물을 이송스크류로 상향 배출하는 배출장치를 지지용 프레임으로 일체로 되게 고정하고 프레임의 중간부를 바지선 상판의 브래킷에 힌지식으로 설치하며 후단 저면에는 본체를 승강작동시키는 실린더를 연결하는 '양식굴채취장치'가 게시되어 있다.
그리고 국내특허공개 제 2010-0088028호에는 수직체의 상하부에 상단 및 선박의 일측상부에 고정되는 하단이 상호 반대방향으로 각각 수직절곡되어 형성되고, 상단의 일측 하부에 상기 수직체와 마주보는 또 다른 수직체가 형성된 프레임과; 상기 수직체의 내측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호 대향되게 각각 설치되며, 상부에 형성된 공간부로 원줄이 통과되는 한쌍의 회전롤러와; 상기 수직체의 일측에 설치된 원통을 통과하며, 상기 회전롤러와 연결되어 대향되게 각각 설치된 상기 회전롤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길이조절축과; 상기 길이조절축을 전후 이동시키거나 고정시키는 잠금막대와; 상기 회전롤러 사이 간격의 변화에 관계없이 유압모터의 회전력을 회전롤러에 전달하는 넓은기어;를 포함하는 '원줄 분리기'가 게시되어 있다.
그 외, 버려지는 조개, 굴 등의 패류 껍질을 분쇄하는 장치들도 개발되는데, 그 예로 국내특허공개 제 1996-0009558호에는 다수개의 분쇄봉이 축을 가진 두 개의 원판 사이에 서로 평행하게 부착된 분쇄롤러 두 개와; 분쇄봉이 서로 소정의 간격으로 맞물려 회전하도록 상기 두 개의 분쇄롤러를 결합시켜 회전케 하는 동력전달수단과; 상기 동력전달수단과 분쇄롤러를 지지하고 있는 하우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어패류 폐각분쇄기'가 게시되어 있다.
그러나 앞서 예시한 국내실용공개 제 1999-0034747호 '양식굴채취장치'와 국내특허공개 제 2010-0088028호 '원줄 분리기'는 양식 굴 다발 및 패류 다발을 채취를 용이하게 하는 방안으로 패류 다발을 낱개로 분리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종래의 망치나 여타 도구를 이용한 인력에 의한 방법은 인건비와 작업효율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국내특허공개 제 1996-0009558호 '어패류 폐각분쇄기'는 맞물리는 두 개의 분쇄롤러로 버려지는 패각을 분쇄하여 패각 방치로 인한 공해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패류 다발을 낱개로 분리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다발로 채취되는 패류를 낱개로 자동 분리하여 인건비를 줄이고 작업효율은 높여 가격경쟁력과 생산력을 향상하는 장치의 개발 필요성이 대두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회전축에서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마다 봉 형상의 타발봉이 방사형으로 다수 개 돌출된 타발기 다수 개와;이 타발기들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는 근접한 간격으로 다수 개의 타발기를 평행하게 지지하며, 일측 하부로 패류가 배출되는 출구를 형성하고, 출구 반대측의 타발기 상부로 패류를 투입하는 입구를 형성하는 하우징과; 이 타발기들을 출구방향으로 회전시키되, 인접한 두 타발기마다 출구측의 타발기가 다른 타발기보다 1.2 내지 2배 더 빠르게 회전시키는 동력수단을; 포함하는 패류 자동 분리 장치를 구성하여, 채취된 패류 다발을 패류 자동 분리 장치의 입구로 투입하고 장치를 가동함으로써,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는 타발기 사이로 투입되는 패류 다발은 교차되는 타발봉에 의해 낱개로 분리되며, 낱개로 분리되지 않은 패류 다발은 다음 타발기 사이로 이동되어 낱개로 분리되도록 한다.
그리고 하우징 내부면에서 고정형 타발봉이 인접한 타발기와 근접하도록 돌출하되, 타발기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는 위치까지 돌출되어, 타발기 사이에서 낱개로 분리되지 않은 패류 다발은 하우징에서 돌출된 고정형 타발봉과 타발기의 타발봉에 의해 낱개로 분리되도록 한다.
또, 타발봉은 길이가 긴 타발봉과 길이가 짧은 타발봉으로 나누어 구성되는데, 긴 타발봉과 짧은 타발봉은 회전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교대로 구성되며, 긴 타발봉과 타 타발기의 짧은 타발봉이 서로 마주보도록 구성되어, 패류 다발은 교차되는 긴 타발봉과 짧은 타발봉에 의해 낱개로 분리되도록 한다.
또한, 타발기는 회전축에서 방사형으로 돌출된 타발봉 사이마다 회전축과 직각을 이루는 판형의 날개를 구성하여, 패류 다발은 타발봉과 날개에 의해 낱개로 분리되도록 한다.
아울러 입구는 호퍼로 구성되고, 하우징 하단에 출구방향으로 운반하는 컨베이어를 구성함으로써, 패류 다발의 투입과 낱개로 분리된 패류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패류 자동 분리 장치는 타발봉이 방사형으로 돌출된 타발기 다수 개가 출구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두 개의 타발기 사이로 투입되는 패류 다발은 상향으로 힘을 가하는 출구측 타발기와 하향으로 힘을 가하는 반대측의 타발기에 의해 전단력이 가해져 낱개로 분리되며, 낱개로 분리되지 않은 패류 다발은 출구측 타발기에 의해 다음 타발기 사이로 이동되고, 다시 인접한 타발기에 의해 타발되어 낱개로 분리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인접한 두 타발기마다 출구측의 타발기가 다른 타발기보다 1.2 내지 2배 더 빠르게 회전시킴으로써, 타발기 사이에서 낱개로 분리되지 않은 패류 다발은 1.2 내지 2배 더 빠른 출구측 타발기에 의해 다음 타발기 사이로 용이하게 이동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우징 내부면에서 고정형 타발봉이 돌출함으로써, 타발기 사이에서 낱개로 분리되지 않은 패류 다발은 하우징에서 돌출된 고정형 타발봉과 타발기의 타발봉에 의해 전단력이 가해져 낱개로 분리되는 효과가 있다.
또, 타발봉은 길이가 긴 타발봉과 길이가 짧은 타발봉으로 나누어 구성됨으로써, 패류 다발은 교차되는 긴 타발봉과 짧은 타발봉에 의해 지그재그형태의 전단력이 가해져 보다 용이하게 낱개로 분리되는 효과가 있으며, 회전축에서 방사형으로 돌출된 타발봉 사이마다 판형의 날개를 구성함으로써, 패류 다발은 타발봉과 날개에 의해 전단력이 가해져 보다 용이하게 낱개로 분리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입구는 호퍼로 구성되고, 하우징 하단에 출구 방향으로 운반하는 컨베이어를 구성함으로써, 패류 다발의 투입과 낱개로 분리된 패류의 배출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패류 자동 분리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패류 자동 분리 장치의 부분 단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패류 자동 분리 장치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패류 자동 분리 장치의 정면도.
도 5는 도 4 A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패류 자동 분리 장치의 부분 단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패류 자동 분리 장치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패류 자동 분리 장치의 정면도.
도 5는 도 4 A의 단면도.
본 발명은 양식 굴 등과 같이 다발로 채취되는 패류를 낱개로 자동 분리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회전축에서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마다 봉 형상의 타발봉이 방사형으로 다수 개 돌출된 타발기가 다수 개 구성되고, 이 타발기들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는 근접한 간격으로 다수 개의 타발기를 평행하게 지지하며, 일측 하부로 패류가 배출되는 출구를 형성하고, 출구 반대측의 타발기 상부로 패류를 투입하는 입구를 형성하는 하우징을 구성하며, 이 타발기들을 출구방향으로 회전시키되, 인접한 두 타발기마다 출구측의 타발기가 다른 타발기보다 더 빠르게 회전시키는 동력수단을 포함하는 패류 자동 분리 장치를 구성하여, 채취된 패류 다발을 패류 자동 분리 장치의 입구로 투입하고 장치를 가동함으로써,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는 타발기 사이로 투입되는 패류 다발은 인접한 타발기의 교차되는 타발봉에 의해 타발되어 낱개로 분리되며, 낱개로 분리되지 않은 패류 다발은 인접한 두 타발기 중 더 빠르게 회전하는 출구측 타발기에 의해 다음 타발기 사이로 이동되고, 다시 인접한 타발기에 의해 타발되어 낱개로 분리되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패류 자동 분리 장치는 도 1 내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타발기(110)와 동력수단(120)과 컨베이어(130)와 하우징(140)으로 구성되며, 이를 타발기(110), 하우징(140), 동력수단(120), 컨베이어(130) 순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타발기(110)는 회전축(111)에서 길이방향의 일정간격마다 봉 형상의 타발봉(112)이 방사형으로 돌출된 것으로, 회전축(111)의 길이와 수직 되면서 회전축(111)을 중점으로 90°마다 타발봉(112)이 돌출하여 십('十')자와 같은 방사형을 이루되, 회전축(111)에서 길이방향으로 인접한 타발봉(112)과는 45°의 각을 이루도록 엇갈리게 배치하여 측면에서 타발기(110)를 바라볼 때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축(111)을 중점으로 45°마다 돌출된 방사형으로 보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타발봉(112)은 가늘고 길이가 긴 타발봉(112a)과 굵고 길이가 짧은 타발봉(112b)로 나누어 구성되는데, 도 2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긴 타발봉(112a)과 짧은 타발봉(112b)은 회전축(111)의 길이방향을 따라 교대로 구성된다.
또한, 방사형으로 돌출된 타발봉(112) 사이마다 회전축(111)과 직각을 이루는 판형의 날개(113)를 구성될 수 있는데, 도 2 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방사형으로 돌출된 긴 타발봉(112a) 사이마다 날개(113)가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2와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방사형으로 돌출한 긴 타발봉(112a) 중 인접한 긴 타발봉(112a) 길이의 중간을 연결하는 판 형태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타발기(110)는 회전축(111)과 타발봉(112)과 날개(113)가 일체로 구성되며, 스테인리스강과 같이 강도와 내식성이 높은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하우징(140)은 박스 형태이며, 그 내부에 다수 개의 타발기(110)를 일정간격으로 평행하게 지지하고, 일측 하부로 패류가 배출되는 출구(142)를 형성하고, 출구(142) 반대측의 타발기(111) 상부로 패류를 투입하는 입구(141)를 형성한다.
여기서 출구(142)는 낱개로 분리된 패류가 배출되는 곳으로, 패류를 좌측에서 우측으로 투입시 도 1과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40)의 측면에서 우측 하단에 형성되며, 후술하는 컨베이어와의 사이로 낱개로 분리된 패류가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폭 넓게 형성한다.
그리고 입구(141)는 패류 다발 다수 개가 용이하게 투입되도록 하향으로 구배를 형성하는 호퍼(141a)를 형성하며,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출구(142) 반대측의 호퍼(141a)에서 연장되어 출구(142) 반대측의 타발기(110) 회전축(111) 위까지, 즉 호퍼(141a)의 좌측면에서 연장되어 좌측 타발기(110)의 회전축(111) 위까지 돌출하되, 하향으로 기울기를 가지는 가이드(141b)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하우징(140) 내부에서 지지되는 타발기(110)의 개수는 2개 내지 4개가 바람직하며, 도 2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한 타발기(110)의 긴 타발봉(112a)과 인접한 타 타발기(110)의 짧은 타발봉(112b)이 서로 마주보도록 구성되고, 패류가 투입되는 쪽의 타발기(110) 보다 패류가 배출되는 쪽의 타발기(110)에 날개(113)가 포함된 타발기(110)를 구성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도 3과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패류가 배출되는 출구(142)측, 즉 우측의 하우징(140) 내부면에서 타발기(110)의 높이에 해당하는 곳에서 인접한 타발기(110)의 타발봉(112)을 향해 돌출하되, 하향으로 기울기를 가지는 고정형 타발봉(143)을 구성한다.
아울러 하우징(140) 내부에서 지지되는 다수 개의 타발기(110)와 하우징(140) 내부에서 돌출된 고정형 타발봉(143)은 서로 인접한 타발기(110)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는 근접한 간격으로 구성되는데, 이와 같이 타발기(110)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도록 설치하기 위해서는 인접한 두 타발기(110)에서 서로 마주보는 타발봉(112)의 끝 또는 고정형 타발봉(143)의 끝과 이 고정형 타발봉(143)과 인접하여 마주보는 타발기(110)의 타발봉(112) 끝 사이의 간격이 1 내지 3㎝되도록 함으로써 인접한 타발기(110)의 회전을 간섭하지 않게 된다.
이러한 하우징(140)에는 호퍼(141a)와 가이드(141b)와 고정형 타발봉(143)이 일체로 구성되며, 고정형 타발봉(143)에 가해지는 충격을 생각하면 스테인리스강과 같이 강도와 내식성이 높은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각 타발기(110)를 구동하는 동력수단(120)은 통상의 모터(121)와 동력제어기(122)로 구성되는데, 모터(121)와 동력제어기(122)는 하우징(140)의 외측면에 구성되며, 타발기(110)마다 개별로 모터(121)를 구성하여 회전축(111)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모터(121)의 회전방향은 출구방향, 즉 패류를 좌측에서 우측으로 투입 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인접한 두 타발기(110)마다 출구(142)측의 타발기(110)가 다른 타발기(110)보다 더 빠르게 회전시키는데, 즉 다수 개의 타발기(110) 중에서 출구(142)방향으로 구성될수록 더욱 빠르게 타발기(110)를 회전시키며, 인접한 두 타발기(110) 중 출구(142)측의 타발기(110)를 타 타발기(110) 보다 1.2 내지 2배 더 빠르게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외, 기어와 같은 동력전달수단을 사용하여 하나의 모터(121)로 타발기(110) 개별의 회전속도에 차이를 줄 수 있다.
마지막으로 컨베이어(130)는 하우징(140) 하단에 구성되어 출구(142) 방향으로 운반하는 운송수단으로,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출구(142) 측이 하향하는 기울기를 가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컨베이어(130) 외 다른 운송수단을 구성하여 출구(142) 방향으로 운반할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되는 패류 자동 분리 장치(100)는 채취된 패류 다발을 패류 자동 분리 장치(110)의 입구(141)로 투입하고 장치를 가동함으로써, 패류 다발은 낱개로 분리되는데, 이 순서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다수 개의 패류 다발이 호퍼(141a)로 투입되면, 패류 다발은 가이드(141b)를 타고 패류가 투입되는 쪽의 두 타발기(110) 사이로 유입된다.
그리고 동력제어기(122)에 의해 작동되는 타발기(110)는 출구(142)방향, 즉 패류를 좌측에서 우측으로 투입 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데, 두 타발기(110) 사이로 유입된 패류 다발은 상향으로 힘을 가하는 출구(142)측 타발봉(112) 및 날개(113)와 하향으로 힘을 가하는 반대측 타발봉(112)에 의해 전단력이 가해져 낱개로 분리되어 컨베이어(130)로 유입된다.
이때 패류 다발은 회전축(111)의 길이 방향으로 교대로 구성된 가늘고 긴 타발봉(112a)과 굵고 짧은 타발봉(112b)에 의해 지그재그형태의 전단력이 가해져 보다 효율적으로 분리된다.
그러나 낱개로 분리되지 않은 패류 다발은 두 타발기(110) 중 회전속도가 더 빠른 출구(142)측의 타발기(110)에 의해 다음 타발기(110) 사이로 이동되며, 그 타발기(110) 사이에서 다시 낱개로 분리되거나 다음 타발기(110) 사이로 이동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서도 낱개로 분리되지 않은 패류 다발은 하우징(140)에서 돌출된 고정형 타발봉(143)과 마지막 타발기(110) 사이에서 낱개로 분리된다.
이때 고정형 타발봉(143)에 의해 낱개로 분리된 패류는 하향으로 기울기를 가지는 고정형 타발봉(143)을 타고 컨베이어(130)로 유입된다.
이렇게 낱개로 분리된 패류는 컨베이어(130)를 따라 출구(142)로 운반된다.
이와 같이 패류 자동 분리 장치는 타발봉이 방사형으로 돌출된 타발기 다수 개가 출구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두 개의 타발기 사이로 투입되는 패류 다발은 상향으로 힘을 가하는 출구측 타발기와 하향으로 힘을 가하는 반대측의 타발기에 의해 전단력이 가해져 낱개로 분리되며, 낱개로 분리되지 않은 패류 다발은 출구측 타발기에 의해 다음 타발기 사이로 이동되고, 다시 인접한 타발기에 의해 타발되어 낱개로 분리되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인접한 두 타발기마다 출구측의 타발기가 다른 타발기보다 1.2 내지 2배 더 빠르게 회전시킴으로써, 타발기 사이에서 낱개로 분리되지 않은 패류 다발은 1.2 내지 2배 더 빠른 출구측 타발기에 의해 다음 타발기 사이로 용이하게 이동되는 특징이 있다.
또한, 하우징 내부면에서 고정형 타발봉이 돌출하되, 하향으로 기울기를 가짐으로써, 타발기 사이에서 낱개로 분리되지 않은 패류 다발은 하우징에서 돌출된 고정형 타발봉과 타발기의 타발봉에 의해 전단력이 가해져 낱개로 분리되며, 낱개로 분리된 패류는 고정형 타발봉의 기울기에 의해 컨베이어로 용이하게 유입되는 특징이 있다.
또, 타발봉은 길이가 긴 타발봉과 길이가 짧은 타발봉으로 나누어 구성됨으로써, 패류 다발은 교차되는 긴 타발봉과 짧은 타발봉에 의해 지그재그형태의 전단력이 가해져 보다 용이하게 낱개로 분리되는 특징이 있으며, 회전축에서 방사형으로 돌출된 타발봉 사이마다 판형의 날개를 구성함으로써, 패류 다발은 타발봉과 날개에 의해 보다 용이하게 낱개로 분리되는 특징이 있다.
아울러 입구는 호퍼와 가이드로 구성되고, 출구는 하우징의 하단 일측에 구성되며, 하우징 하단에 출구 방향으로 운반하는 컨베이어를 구성하되, 출구 방향으로 하향하는 기울기를 가짐으로써, 패류 다발의 투입과 낱개로 분리된 패류의 배출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100: 패류 자동 분리 장치 110: 타발기 111: 회전축
112: 타발봉 112a: 긴 타발봉 112b: 짧은 타발봉
113: 날개 120: 동력수단 121: 모터
122: 동력제어기 130: 컨베이어 140: 하우징
141: 입구 141a: 호퍼 141b: 가이드
142: 출구 143: 고정형 타발봉
112: 타발봉 112a: 긴 타발봉 112b: 짧은 타발봉
113: 날개 120: 동력수단 121: 모터
122: 동력제어기 130: 컨베이어 140: 하우징
141: 입구 141a: 호퍼 141b: 가이드
142: 출구 143: 고정형 타발봉
Claims (7)
- 회전축(111)에서 길이방향의 일정간격마다 봉 형상의 타발봉(112)이 방사형으로 다수 개 돌출된 타발기(110);
상기 타발기(110)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는 근접한 간격으로 다수 개의 타발기(110)를 평행하게 지지하며, 일측 하부로 출구(142)를 형성하고, 출구(142) 반대측의 타발기(110) 상부로 패류를 투입하는 입구(141)를 형성하는 하우징(140);
상기 타발기(110)를 출구(142)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동력수단(120);을 포함함으로써,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는 타발기 사이로 투입되는 패류 다발은 교차되는 타발봉에 의해 낱개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류 자동 분리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수단(120)은 타발기(110)마다 개별 모터(121)를 구성하되,
인접한 두 타발기(110)마다 출구(142)측의 타발기(110)가 다른 타발기(110)보다 더 빠르게 회전하도록 모터(121)를 구성하며, 모터(121) 전체를 제어하는 동력제어기(122)를 구성함으로써,
낱개로 분리되지 않은 패류 다발은 다음 타발기 사이로 이동되어 낱개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류 자동 분리 장치.
- 제 2항에 있어서,
인접한 두 타발기(110) 중, 출구(142)측의 타발기(110)가 다른 타발기(110)보다 1,2 내지 2배 더 빠르게 회전함으로써,
낱개로 분리되지 않은 패류 다발은 다음 타발기 사이로 이동되어 낱개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류 자동 분리 장치
- 제 1항 내지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40) 내부면에서 고정형 타발봉(143)이 인접한 타발기(110)와 근접하도록 돌출하되, 타발기(110)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는 위치까지 돌출됨으로써,
타발기 사이에서 낱개로 분리되지 않은 패류 다발은 하우징에서 돌출된 고정형 타발봉과 타발기의 타발봉에 의해 낱개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류 자동 분리 장치.
- 제 1항 내지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타발봉(112)은 길이가 긴 타발봉(112a)과 길이가 짧은 타발봉(112b)으로 나누어 구성되는데, 긴 타발봉(112a)과 짧은 타발봉(112b)은 회전축(111)의 길이방향을 따라 교대로 구성되며, 긴 타발봉(112a)과 타 타발기(110)의 짧은 타발봉(112b)이 서로 마주보도록 구성함으로써,
패류 다발은 교차되는 긴 타발봉과 짧은 타발봉에 의해 낱개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류 자동 분리 장치.
- 제 1항 내지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타발기(110)는 회전축(111)에서 방사형으로 돌출된 타발봉(112) 사이마다 회전축(111)과 직각을 이루는 판형의 날개(113)를 구성함으로써,
패류 다발은 타발봉과 날개에 의해 낱개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류 자동 분리 장치.
- 제 1항 내지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141)는 호퍼(141a)로 구성되고, 하우징(140) 하단에 출구(142)방향으로 운반하는 컨베이어(130)를 구성함으로써,
패류 다발의 투입과 낱개로 분리된 패류의 배출이 용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류 자동 분리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18145A KR101277035B1 (ko) | 2011-11-14 | 2011-11-14 | 패류 자동 분리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18145A KR101277035B1 (ko) | 2011-11-14 | 2011-11-14 | 패류 자동 분리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30375A true KR20110130375A (ko) | 2011-12-05 |
KR101277035B1 KR101277035B1 (ko) | 2013-06-24 |
Family
ID=45499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18145A KR101277035B1 (ko) | 2011-11-14 | 2011-11-14 | 패류 자동 분리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77035B1 (ko)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92460B1 (ko) * | 2012-11-30 | 2013-07-31 | 양기식 | 오만둥이 자동 절단기 |
KR101497059B1 (ko) * | 2012-12-17 | 2015-03-03 | 김금규 | 패류 자동 분리기 |
KR102008959B1 (ko) * | 2019-04-26 | 2019-10-21 | 전남대학교 산학협력단 | 자숙 패류 탈각 자동화 시스템 |
CN110432313A (zh) * | 2019-08-06 | 2019-11-12 | 山东省农业机械科学研究院 | 一种贝壳类海鲜摊铺卡位装置及方法 |
KR20220033862A (ko) * | 2020-09-10 | 2022-03-17 | 서영춘 | 밤송이 탈피장치 |
KR102556354B1 (ko) * | 2022-11-30 | 2023-07-14 | 조기준 | 양식굴 채취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11598B1 (ko) | 2020-07-03 | 2022-06-21 | 김정명 | 부착성 수산물 개체 분리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13668Y1 (ko) * | 1994-10-10 | 1998-04-14 | 조철수 | 굴껍질과 양식줄의 분리장치 |
KR20070000167U (ko) * | 2007-01-17 | 2007-02-06 | 정추남 | 홍합 탈곡기 |
KR20070042519A (ko) * | 2007-04-03 | 2007-04-23 | 정추남 | 멍게 탈곡기 |
KR200447683Y1 (ko) * | 2008-03-25 | 2010-02-11 | 김정명 | 멍게 자동 분리기 |
-
2011
- 2011-11-14 KR KR1020110118145A patent/KR101277035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92460B1 (ko) * | 2012-11-30 | 2013-07-31 | 양기식 | 오만둥이 자동 절단기 |
KR101497059B1 (ko) * | 2012-12-17 | 2015-03-03 | 김금규 | 패류 자동 분리기 |
KR102008959B1 (ko) * | 2019-04-26 | 2019-10-21 | 전남대학교 산학협력단 | 자숙 패류 탈각 자동화 시스템 |
CN110432313A (zh) * | 2019-08-06 | 2019-11-12 | 山东省农业机械科学研究院 | 一种贝壳类海鲜摊铺卡位装置及方法 |
KR20220033862A (ko) * | 2020-09-10 | 2022-03-17 | 서영춘 | 밤송이 탈피장치 |
KR102556354B1 (ko) * | 2022-11-30 | 2023-07-14 | 조기준 | 양식굴 채취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77035B1 (ko) | 2013-06-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77035B1 (ko) | 패류 자동 분리 장치 | |
CN105286024A (zh) | 全自动腰果开壳机 | |
CN102688879A (zh) | 餐厨垃圾预处理系统和方法 | |
CN117367908A (zh) | 一种食品检测用取样破碎装置 | |
CN202606486U (zh) | 餐厨垃圾预处理系统 | |
CN207626511U (zh) | 辣椒分离筛选机 | |
CN106140421A (zh) | 新型高效生物质秸秆破碎系统 | |
EP1878351A2 (en) | Method for removing bean sprout both end portions and bean sprouts treating devices therefor | |
CN107614109B (zh) | 破碎机 | |
KR102411598B1 (ko) | 부착성 수산물 개체 분리장치 | |
RU2409929C1 (ru) | Разрезчик кормовых рулонов | |
EP3533525B1 (en) | Waste separation device | |
CN108652030B (zh) | 用于香蕉剥皮加工的机器 | |
RU2202933C2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деления семян из плодов бахчевых культур | |
RU2542770C1 (ru) | Выделитель семян из плодов арбузов | |
EP2552606B1 (en) | Sifting apparatus to select materials having different sizes | |
KR101505729B1 (ko) | 쓰레기 세절장치 | |
RU2510233C1 (ru) | Установка для переработки плодов бахчевых культур | |
CN104942850A (zh) | 切片机以及切笋片的方法 | |
JP2010263885A (ja) | 生茶葉篩分け装置 | |
CN215455232U (zh) | 一种核桃去壳取仁机器 | |
CN213726886U (zh) | 一种花生米切碎装置 | |
CN212345222U (zh) | 冬瓜籽瓜肉分离机 | |
CN213918471U (zh) | 一种棒状中药的切片装置 | |
RU218587U1 (ru) | Комбинирова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мойки и измельчения корнеплодов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412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327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