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4177Y1 - 원줄절단 및 세척기능을 구비한 굴인양기 - Google Patents

원줄절단 및 세척기능을 구비한 굴인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4177Y1
KR200174177Y1 KR2019990017945U KR19990017945U KR200174177Y1 KR 200174177 Y1 KR200174177 Y1 KR 200174177Y1 KR 2019990017945 U KR2019990017945 U KR 2019990017945U KR 19990017945 U KR19990017945 U KR 19990017945U KR 200174177 Y1 KR200174177 Y1 KR 2001741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oyster
cutting
line
r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79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렬
Original Assignee
김정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렬 filed Critical 김정렬
Priority to KR20199900179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417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41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417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0/00Harvesting oysters, mussels, sponges or the like

Abstract

본 고안은 원줄절단 및 세척기능을 구비한 굴인양기에 관한 것으로,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설치가 용이하고, 굴이 매달리는 원줄을 자동으로 절단하고 인양된 굴을 자동으로 세척함으로써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굴인양기는, 물속에 잠기고 외표면 상에 다수의 굴이 매달려서 육성되는 원줄을 감아올리는 감김장치(101); 감김장치(101)의 끝부분에 설치되어 감김장치(101)에 의해 감겨 올라오는 원줄을 절단하는 절단장치(105); 및 절단장치(105)의 끝부분에 설치되어 절단장치(105)에 의해 원줄이 절단됨으로써 채취되는 굴을 수용하여 굴을 세척하는 세척장치를 포함하여, 원줄에 매달린 굴의 인양, 절단 및 세척작업이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원줄절단 및 세척기능을 구비한 굴인양기{apparatus for pulling oyster provided with wire-cutting and washing function}
본 고안은 원줄절단 및 세척기능을 구비한 굴인양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설치가 용이하고, 고, 굴이 매달리는 원줄을 자동으로 절단하고 인양된 굴을 자동으로 세척함으로써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원줄절단 및 세척기능을 구비한 굴인양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다에 굴(oyster)을 양식하기 위해서는, 우선 굴종란을 채취하기 위해 굴껍질에 하나씩 구멍을 뚫어주고 난 다음 원줄 역할을 하는 연결로우프(connecting rope)를 이들 다수의 구멍뚫린 굴껍질에 일열선상으로 꿰어서 바다에 침강시키면 굴껍질에 굴종란이 착생을 하게 된다. 이때, 종란채취를 위한 굴껍질은 막대한 수량이 소요된다.
그래서, 연결로우프에 매달려 있는 굴껍질에 굴종란이 착생을 하여 성장하게 되면, 연결로우프를 지상으로 끌어올려서 연결로우프를 절단하여 굴을 연결로우프로부터 탈거시킨 다음, 성장한 굴을 수거하여 세척하여 보관하게 된다.
그래서, 상기한 공정, 즉 연결로우프를 끌어올리는 공정, 연결로우프를 절단하여 굴을 채취하는 공정 및 채취된 굴을 세척하는 공정은 별개의 공정으로 이루어져 있다.
연결로우프를 끌어올리는 공정에서는 이송용 컨베이어가 설치되어, 바다속에 잠겨 있는 연결로우프를 끌어올림으로써, 굴을 육상으로 끌어올리게 된다.
그리고, 연결로우프를 절단하는 공정에서는, 작업자는 커터(cutter)를 들고서 연결로우프를 수작업으로 절단하게 된다.
세척공정에서는, 별도의 세척기를 마련하여 연결로우프로부터 이탈된 굴을 세 척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에는 상기한 각 공정의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컨베이어, 세척기 등이 별개로 마련되어 설치된다. 여기서, 이들 장치들은 통상적으로 땟목 상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들 장치 들이 땟목 상에 별개로 설치되어 비교적 많은 공간을 차지하게 됨으로써, 땟목 상의 공간이 협소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장치들이 별개로 마련됨으로써, 제작비용이 많이 들게 되고, 작업효율이 높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설치가 용이하고, 고, 굴이 매달리는 원줄을 자동으로 절단하고 인양된 굴을 자동으로 세척함으로써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원줄절단 및 세척기능을 구비한 굴인양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 본 고안에 따른 굴인양기의 개략적 구성도.
도 2 - 도 1의 절단장치의 평면도.
도 3 - 도 2의 측단면도.
도 4 - 도 1의 세척통 부분의 정면도.
도 5 - 도 4의 후면도.
도 6 - 도 4의 일부절취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감김장치 103 : 가이드판
105 : 절단장치 107 : 세척통
109 : 세척파이프 111 : 커터
113 : 가이드롤러 115 : 가이드돌기
117 : 유압실린더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원줄절단 및 세척기능을 구비한 굴인양기는, 물속에 잠기고 외표면 상에 다수의 굴이 매달려서 육성되는 원줄을 감아올리는 감김장치; 감김장치의 끝부분에 설치되어 감김장치에 의해 감겨 올라오는 원줄을 절단하는 절단장치; 및 절단장치의 끝부분에 설치되어 절단장치에 의해 원줄이 절단됨으로써 채취되는 굴을 수용하여 굴을 세척하는 세척장치를 포함하여, 원줄에 매달린 굴의 인양, 절단 및 세척작업이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감김장치는 이송용 컨베이어로 구성되고, 이송용 컨베이어는 그 전체가 유압실린더에 의하여 작업할 때는 물속에 잠겼다가 작업 후에는 수면 위로 들어올려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감김장치의 끝부분에 설치되는 절단장치는, 유압모터; 유압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고 상호 인접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회전체; 및 각 회전체의 외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회전체 사이를 통과하는 원줄의 길이의 가로방향으로 연장되어 회전체와 함께 회전하여 원줄을 절단하여 굴을 원줄로부터 탈거시키는 커터로 구성될 수 있다.
세척장치는, 통형상을 가지고 내벽면 상에 이송용 가이드돌기가 길이방향으로 와선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세척통; 및 세척통 내부의 중앙영역에서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외표면 상에 형성된 다수의 세척수 살수공을 통해 세척수를 세척통의 내벽면을 향해 방사상으로 살수하여 세척통 내부에서 이송하고 있는 굴을 세척하는 세척파이프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설치가 용이하고, 굴이 매달리는 원줄을 자동으로 절단하고 인양된 굴을 자동으로 세척함으로써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굴인양기의 개략적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절단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세척통 부분의 정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후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줄절단 및 세 척기능을 구비한 굴인양기는, 물속에 잠기고 외표면 상에 다수의 굴이 매달려서 육성되는 원줄을 감아올리는 감김장치(101); 감김장치(101)의 끝부분에 설치되어 감김장치(101)에 의해 감겨 올라오는 원줄을 절단하는 절단장치(105); 및 절단장치(105)의 끝부분에 설치되어 절단장치(105)에 의해 원줄이 절단됨으로써 채취되는 굴을 수용하여 상기 굴을 세척하는 세척장치로 구성된다.
그래서, 원줄에 매달린 굴의 인양, 절단 및 세척작업이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게 된다.
감김장치(101)는 이송용 컨베이어로 구성되고, 이송용 컨베이어의 일단은 물속에 잠기고 이송용 컨베이어의 타단은 상향으로 연장됨으로써, 이송용 컨베이어가 소정각도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다.
그래서, 이송용 컨베이어는 그 전체가 유압실린더(117)에 의하여 작업할 때는 물속에 잠겼다가 작업 후에는 수면 위로 들어올려지게 된다.
컨베이어는 벨트컨베이어 타입으로 만들어져 있고, 벨트의 외표면 상에는 원줄이 걸릴 수 있도록 다수의 걸림돌기가 외향돌출되어 있다.
컨베이어의 상측 끝단 부분에는 물속으로부터 걸려 올라오는 원줄을 후술할 세척통(107)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가이드판(103)이 설치된다.
가이드판(103)에는 상기한 절단장치(105)가 설치되어 컨베이어로부터 세척통(107)으로 이송되는 원줄을 절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굴인양기는 그 일단부가 이송용 컨베이어에 부착되어 길이방향으로 신장 및 수축됨으로써, 감김장치(101)를 승강시키는 승강용 유압실린더(117)를 더 포함하고 있다.
절단장치(105)는, 유압모터; 유압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고 상호 인접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회전체; 및 각 회전체의 외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회전체 사이를 통과하는 원줄의 길이의 가로방향으로 연장되어 회전체와 함께 회전하여 원줄을 절단하여 굴을 원줄로부터 탈거시키는 커터(cutter, 111)로 구성된다.
세척장치는 가이드판(103)에 의해 이송되면서 원줄이 절단됨으로써 탈거된 굴을 수령하여 세척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세척장치는, 통형상을 가지고 내벽면 상에 이송용 가이드돌기(115)가 길이방향으로 와선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세척통(107); 및 세척통(107) 내부의 중앙영역에서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외표면 상에 형성된 다수의 세척수 살수공을 통해 세척수를 세척통(107)의 내벽면을 향해 방사상으로 살수하여 세척통(107) 내부에서 이송하고 있는 굴을 세척하는 세척파이프(109)로 구성된다.
세척파이프(109)는 외부의 급수장치(미도시)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아 살수공을 통해 세척수를 살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래서, 굴은 세척통(107)을 통과하면서 자동으로 세척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원줄절단 및 세척기능을 구비한 굴인양기의 작동과 효과를 설명한다.
외표면 상에 다수의 굴이 매달려 있는 원줄은 컨베이어에 의해 땟목 위로 끌려 올라오게 된다. 컨베이어에 의해 끌려 올라온 원줄은 가이드판(103)으로 이송된다. 가이드판(103)을 통해 세척통(107)으로 이송되는 원줄은 커터(111)에 의해 절 단됨으로써, 원줄에 매달려 있는 굴이 원줄로 탈거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탈거된 굴은 세척통(107)으로 유입되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돌기(115)에 의해 가이드되어 세척통(107)의 배출구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세척파이프(109)의 살수공을 통해 세척수가 세척통(107) 내부로 살수됨으로써, 굴이 깨끗하게 세척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작업은 순차적으로 수행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굴인양기를 사용하게 되면, 굴을 채취하기 위한 다수의 공정이 한꺼번에 처리될 수 있게 되어, 작업능률이 획기적으로 향상된다.
특히, 작업자가 원줄을 수동으로 절단하는 종래의 공정이 본 고안에서는 자동으로 수행되기 때문에, 작업성이 더욱 향상된다.
그리고, 상기한 굴인양기는 각 장치부가 일체형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공간이 넓지 못한 땟목 등에 간단하게 장착됨으로써, 공간활용이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설치가 용이하고, 굴이 매달리는 원줄을 자동으로 절단하고 인양된 굴을 자동으로 세척함으로써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굴인양기에 의하면,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설치가 용이하고, 굴이 매달리는 원줄을 자동으로 절단하고 인양된 굴을 자동으로 세척함으로써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원줄절단 및 세척기능을 구비한 굴인양기에 있어서,
    물속에 잠기고 외표면 상에 다수의 굴이 매달려서 육성되는 원줄을 감아올리는 감김장치(101);
    상기 감김장치(101)의 끝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감김장치(101)에 의해 감겨 올라오는 상기 원줄을 절단하는 절단장치(105); 및
    상기 절단장치(105)의 끝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절단장치(105)에 의해 상기 원줄이 절단됨으로써 채취되는 상기 굴을 수용하여 상기 굴을 세척하는 세척장치를 포함하여,
    상기 원줄에 매달린 상기 굴의 인양, 절단 및 세척작업이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줄절단 및 세척기능을 구비한 굴인양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김장치(101)는 이송용 컨베이어로 구성되고, 상기 이송용 컨베이어는 그 전체가 유압실린더(117)에 의하여 작업할 때는 물속에 잠겼다가 작업 후에는 수면 위로 들어올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줄절단 및 세척기능을 구비한 굴인양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감김장치(101)의 끝부분에 설치되는 절단장치(105)는,
    유압모터;
    상기 유압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고 상호 인접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회전체; 및
    상기 각 회전체의 외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회전체 사이를 통과하는 상기 원줄의 길이의 가로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회전체와 함께 회전하여 상기 원줄을 절단하여 상기 굴을 상기 원줄로부터 탈거시키는 커터(11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줄절단 및 세척기능을 구비한 굴인양기.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장치는,
    통형상을 가지고 내벽면 상에 이송용 가이드돌기(115)가 길이방향으로 와선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세척통(107); 및
    상기 세척통(107) 내부의 중앙영역에서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외표면 상에 형성된 다수의 세척수 살수공을 통해 세척수를 상기 세척통(107)의 내벽면을 향해 방사상으로 살수하여 상기 세척통(107) 내부에서 이송하고 있는 상기 굴을 세척하는 세척파이프(109)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줄절단 및 세척기능을 구비한 굴인양기.
KR2019990017945U 1999-08-27 1999-08-27 원줄절단 및 세척기능을 구비한 굴인양기 KR2001741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7945U KR200174177Y1 (ko) 1999-08-27 1999-08-27 원줄절단 및 세척기능을 구비한 굴인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7945U KR200174177Y1 (ko) 1999-08-27 1999-08-27 원줄절단 및 세척기능을 구비한 굴인양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4177Y1 true KR200174177Y1 (ko) 2000-03-15

Family

ID=19586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7945U KR200174177Y1 (ko) 1999-08-27 1999-08-27 원줄절단 및 세척기능을 구비한 굴인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4177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5977A (ko) * 2001-03-26 2002-10-09 김재곤 자숙굴의 제조방법
KR101497059B1 (ko) * 2012-12-17 2015-03-03 김금규 패류 자동 분리기
KR101855703B1 (ko) * 2016-06-03 2018-05-08 김정명 커팅기가 구비된 세척기
KR20200122071A (ko) * 2019-04-17 2020-10-27 유금범 수하연 절단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5977A (ko) * 2001-03-26 2002-10-09 김재곤 자숙굴의 제조방법
KR101497059B1 (ko) * 2012-12-17 2015-03-03 김금규 패류 자동 분리기
KR101855703B1 (ko) * 2016-06-03 2018-05-08 김정명 커팅기가 구비된 세척기
KR20200122071A (ko) * 2019-04-17 2020-10-27 유금범 수하연 절단장치
KR102256585B1 (ko) * 2019-04-17 2021-05-26 유금범 수하연 절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0995600U (zh) 一种超声波饰品除蜡装置
CN110977600B (zh) 一种基于机床切削操作时的碎屑引出机构的工作方法
KR200174177Y1 (ko) 원줄절단 및 세척기능을 구비한 굴인양기
KR20130067677A (ko) 굴 분리기
KR100626404B1 (ko) 해태망 회수장치
KR102110467B1 (ko) 패류 양식용 채롱망 자동 세척장치 및 이를 갖는 채롱망 자동 세척 시스템
KR101432921B1 (ko) 굴 덩이 개체 분리 장치
CN110214530A (zh) 一种花生收获用清洗加工机械设备
CN106035600A (zh) 一种自动化的整鸡清洗装置
KR20180051847A (ko) 개체굴 서실 마모장치
CN208144981U (zh) 一种筷子清洗机
KR200200067Y1 (ko) 콩나물 세척기
KR20210051047A (ko) 꼬막 종패 분리 및 세척 장치
KR20100005761U (ko) 오만둥이 털이장치
CN215913247U (zh) 一种蜜饯原料脱盐清洗装置
JP2002059088A (ja) 帆立て貝洗浄機
CN113351565B (zh) 坛紫菜养殖网帘清理设备
CN109832639B (zh) 一种环形式海带清洗机
KR101855703B1 (ko) 커팅기가 구비된 세척기
CN113040085A (zh) 一种用于鱼类的分类种养装置
CN215236288U (zh) 一种网帘清理装置
KR19990034747U (ko) 양식굴채취장치
CN215587280U (zh) 一种电力安全网维护设备
KR200244807Y1 (ko) 우렁쉥이 분리장치
CN218557276U (zh) 一种自动去把机过滤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22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