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5761U - 오만둥이 털이장치 - Google Patents
오만둥이 털이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05761U KR20100005761U KR2020080015800U KR20080015800U KR20100005761U KR 20100005761 U KR20100005761 U KR 20100005761U KR 2020080015800 U KR2020080015800 U KR 2020080015800U KR 20080015800 U KR20080015800 U KR 20080015800U KR 20100005761 U KR20100005761 U KR 20100005761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ller
- frame
- hair
- upper frame
- lower fram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0/00—Harvesting oysters, mussels, sponges or the like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5/00—Accessories for fishing nets; Details of fishing nets, e.g. structure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9/00—Methods or means of catching fish in bulk not provided for in groups A01K69/00 - A01K77/00, e.g. fish pumps; Detection of fish; Whale fisher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털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구체적으로는 오만둥이의 양식을 위한 양식망으로부터 그물추 및 메인줄을 분리하지 않고도 상기 양식망에 붙어 있는 오만둥이의 탈거가 가능한 새로운 형태의 오만둥이 털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메인 프레임 내의 하부 공간에 위치되는 하부 프레임; 상기 하부 프레임의 상부에 위치되며, 일측편은 상기 하부 프레임의 일측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상부 프레임; 상기 상부 프레임의 타측편을 승강시키는 승강 실린더; 상기 하부 프레임 및 상부 프레임의 후방측 부위에 상하 대응된 상태로 양단이 구름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서로 간의 사이를 통과하는 양식망을 강제 이동시키는 양망용 롤러부; 상기 양망용 롤러부의 전방측 부위에 상하 대응된 상태로 양단이 구름 가능하게 설치되고, 서로 간의 사이를 통과하는 양식망의 표면 세척을 수행하는 브러시 롤러부; 그리고, 상기 하부 프레임 및 상부 프레임의 각 부위 중 상기 브러시 롤러부의 전방측 부위에 상하 대응된 상태로 양단이 구름 가능하게 설치되고, 서로 간의 사이를 통과하는 양식망의 표면으로부터 오만둥이를 분리하는 털이용 롤러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만둥이 털이장치가 제공된다.
오만둥이 털이장치, 메인줄, 목줄, 양식망, 브러시, 스크류 컨베이어
Description
본 고안은 털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구체적으로는 오만둥이의 양식을 위한 양식망으로부터 그물추 및 메인줄을 분리하지 않고도 상기 양식망에 붙어 있는 오만둥이의 탈거가 가능한 새로운 형태의 오만둥이 털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만둥이는 측성해초목 미더덕아과에 속하는 식용 가능한 연체동물을 의미한다.
상기한 오만둥이는 양식망(10)을 이용하여 바닷물에서 양식하고 있으며, 양식이 완료된 오만둥이는 상기 양식망(10)을 수거한 후 상기 양식망(10)으로부터 분리한 다음 종자를 제공하고 다시금 바닷물에 투입하여 양식한다.
이때, 상기 양식망(10)의 상단에는 양식망의 수거를 위한 메인줄(11)이 설치되고, 상기 양식망(10)의 하단에는 상기 양식망(10)이 바다속에서 펼쳐질 수 있도록 복수의 그물추(12)가 설치되며, 상기 메인줄(11)과 상기 양식망(10) 간 및 상기 양식망(10)과 각 그물추(12) 간은 복수의 목줄(13,24)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메인줄(11)은 복수의 부이(부표, 부구)(15)와 연결되어 수면에 위치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는, 첨부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다.
전술한 바와 같이 양식망(10)에 의해 양식되는 오만둥이의 수거는 수거선을 통해 수행되는데 이러한 양식망(10)의 수거는 통상 롤러(도시는 생략됨)에 일단을 고정한 다음 상기 롤러를 구동하여 상기 롤러에 양식망을 감음으로써 수행되며, 상기한 양식망(10)을 롤러에 감는 도중 양식망(10)의 표면에 붙어 있는 오만둥이를 털어 분리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의 오만둥이 수거는 양식망(10)을 롤러에 감는 도중 메인줄(11)과 각 목줄(13,14) 및 그물추(12) 간을 상기 양식망(10)으로부터 잘라냄으로써 상기한 메인줄(11)과 각 목줄(13,14) 및 그물추(12)로 인해 롤러에 감는 과정의 간섭이 방지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상기한 메인줄(11)과 각 목줄(13,14) 및 그물추(12)를 양식망(10)으로부터 분리하는 작업이 수작업으로 진행되어야만 하였을 뿐 아니라 상기와 같이 분리된 메인줄(11)과 각 목줄(13,14) 및 그물추(12)는 다시금 상기 양식망(10)에 연결하여야 하는 작업을 별도로 수행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상기한 문제점으로 인해 배 위에서 양식망(10)을 끌어올림과 더불어 양식망(10)을 다시 바다에 설치하는 작업이 실시간적으로 진행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술한 종래의 오만둥이 수거를 위한 장치는 오만둥이를 양식망(10)으로부터 분리하는 구조가 단순히 상기 양식망(10)이 롤러에 감기는 도중 좁은 틈새를 통과하도록 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상기한 틈새 통과 도중 오만둥이의 손상이 야기된다는 문제점이 있을 뿐 아니라 상기 양식망(10)으로부터 분리된 오만둥이를 작업자가 계속해서 적재 위치로 옮겨야만 하였던 불편함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양식망으로부터 메인줄과 각 목줄 및 그물추를 제거하지 않고도 수거가 가능함과 더불어 상기 양식망의 수거 도중 오만둥이의 안정적인 털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양식망에 대한 세척 역시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오만둥이 털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오만둥이 털이장치에 따르면 외관 몸체를 이루면서 케이스로 덮여진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 내의 하부 공간에 위치된 상태로 고정되는 하부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의 내부 중 상기 하부 프레임의 상부에 위치되며, 일측편은 상기 하부 프레임의 일측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로 타측편이 상기 하부 프레임의 타측편으로부터 선택적으로 이격되는 상부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에 고정됨과 더불어 실린더 로드는 상기 상부 프레임의 타측편에 연결되면서 상기 상부 프레임의 타측편을 승강시키는 승강 실린더; 상기 하부 프레임 및 상부 프레임의 각 부위 중 후방측 부위에 상하 대응된 상태로 양단이 구름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서로 간의 사이를 통과하는 양식망을 강제 이동시키는 양망용 롤러부; 상기 하부 프레임 및 상부 프레임의 각 부위 중 상기 양망용 롤러부의 전방측 부위에 상하 대응된 상태로 양단이 구름 가능하게 설치되고, 서로 간의 사이를 통과하는 양식망의 표면 세척을 수행하는 브러시 롤러부; 그리 고, 상기 하부 프레임 및 상부 프레임의 각 부위 중 상기 브러시 롤러부의 전방측 부위에 상하 대응된 상태로 양단이 구름 가능하게 설치되고, 서로 간의 사이를 통과하는 양식망의 표면으로부터 오만둥이를 분리하는 털이용 롤러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양망용 롤러부는 외표면이 고무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 프레임에 구름 가능하게 설치되는 두 개의 하부 양망용 롤러와, 상기 상부 프레임에 구름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상기 두 하부 양망용 롤러 간의 사이에 위치되는 상부 양망용 롤러와, 상기 각 양망용 롤러를 구동시키는 양망용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브러시 롤러부는 외표면에 브러시가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 프레임에 구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 브러시 롤러와, 상기 상부 프레임에 구름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 브러시 롤러와, 상기 각 브러시 롤러를 구동시키는 브러시용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털이용 롤러부는 외표면을 따라 복수의 털이판이 축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 방향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 프레임에 구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 털이용 롤러와, 상기 상부 프레임에 구름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 털이용 롤러와, 상기 각 털이용 롤러를 구동시키는 털이용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 프레임의 전방측 부위 중 상기 털이용 롤러부의 전방에 구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털이용 롤러부에 의해 양식망으로부터 분리된 오만둥 이를 메인 프레임의 측부 공간으로 반출하는 스크류 컨베이어부가 더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부는 상기 상부 프레임에 구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둘레면을 따라 나선형을 이루도록 형성되면서 오만둥이의 반출을 안내하는 스크류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 프레임의 전방측 부위 중 상기 털이용 롤러부의 전방에 구름 가능하게 설치되어, 반송되는 양식망을 지지하는 지지롤러가 더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오만둥이 털이장치는 양식망으로부터 메인줄 및 그물추를 잘라내지 않고도 오만둥이의 분리가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특히, 브러시 롤러부로 인해 오만둥이의 분리가 이루어진 양식망의 표면 세척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동일 장소에서 양식망을 끌어올려 오만둥이를 분리함과 더불어 상기 양식망을 다시금 바닷속으로 제공하는 작업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이하, 본 고안의 오만둥이 털이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본 고안의 오만둥이 털이장치는 오만둥이만을 양식망으로부터 분리하는 장치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측성해초목 미더덕아과에 속하는 식용 가능한 연체동물(예를 들어 미더덕 등)의 분리를 위한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오만둥이를 그 예로 한다.
먼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오만둥이 털이장치는 크게 메인 프레임(100)과, 하부 프레임(210)과, 상부 프레임(220)과, 승강 실린더와, 양망용 롤러부(400)와, 브러시 롤러부(500)와, 털이용 롤러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메인 프레임(100)은 오만둥이 털이장치에 대한 외관 몸체를 이루는 부위이며,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외표면은 케이스로 덮여진 상태로 구성된다.
상기 메인 프레임(100)은 상하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복수의 세로 프레임(110) 및 수평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복수의 가로 프레임(12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상단 부위 중 어느 한 측편 부위는 개구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후술될 상부 프레임(220)의 회전시 간섭 발생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함께, 상기 외표면을 이루는 케이스(도시는 생략됨)는 오만둥이에 대한 털이 작업시 양식망으로부터 분리된 오만둥이가 원치않는 방향으로 튀게 됨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상기 하부 프레임(210)은 상기 메인 프레임(100) 내의 하부 공간에 위치된 상태로 고정되는 부분이다.
이때, 상기 하부 프레임(210)의 외측면 하단 부위는 상기 메인 프레임(100) 의 하단 부위와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된다.
이와 함께, 상기한 하부 프레임(210)의 양측편(도 2를 기준으로 볼 때 전방 및 후방)은 메인 프레임(100)의 양측편과 이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이격 부위를 따라서는 안내 가이드(211,212)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안내 가이드(211,212)는 양식망(10)에 연결된 메인줄(11) 및 그물추(12)의 안내를 위한 일련의 구성이고, 상기 이격 부위는 상기 메인줄(11)과 양식망(10) 간을 연결하는 목줄(13) 및 상기 그물추(12)와 양식망(10) 간을 연결하는 목줄(14)이 통과되는 틈새이다.
다음으로, 상기 상부 프레임(220)은 상기 메인 프레임(100) 내의 상부 공간에 위치된 상태로 고정되는 부분이다.
특히, 상기한 상부 프레임(220)은 상기 하부 프레임(210)의 상부에 위치되며, 상기 상부 프레임(220)의 일측편은 상기 하부 프레임(210)의 일측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로 타측편이 상기 하부 프레임(210)의 타측편 상면으로부터 들리면서 이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상부 프레임(220)의 일측편과 하부 프레임(210)의 일측편은 경첩(230)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다음으로, 상기 승강 실린더(300)는 상기 상부 프레임(220)의 타측편을 상기 하부 프레임(210)의 타측편으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한 일련의 구성으로써,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타측편 상단에 수직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그의 플런저(310)는 상기 상부 프레임(220)의 타측편에 연결 고정된다.
이때, 상기한 승강 실린더(300)는 상기 메인 프레임(1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승강 실린더(300)의 플런저(310) 역시 상기 상부 프레임(2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특히, 상기한 승강 실린더(300)는 상부 프레임(220)의 무게를 고려할 때 복수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양망용 롤러부(400)는 서로 간의 사이를 통과하는 양식망(10)을 강제 이동시키는 일련의 구성으로써, 상기 하부 프레임(210) 및 상부 프레임(220)의 각 부위 중 후방측 부위에 상하 대응된 상태로 구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한 양망용 롤러부(400)는 상기 하부 프레임(210)에 구름 가능하게 설치되는 두 개의 하부 양망용 롤러(410,420)와, 상기 상부 프레임(220)에 구름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상기 두 하부 양망용 롤러(410,420) 간의 사이에 위치되는 상부 양망용 롤러(430)와, 상기 두 하부 양망용 롤러(410,420)를 구동시키는 제1양망용 구동모터(440)와 상기 상부 양망용 롤러(430)를 구동시키는 제2양망용 구동모터(4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두 하부 양망용 롤러(410,420)의 축(411,421)은 체인(422)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한 두 하부 양망용 롤러(410,420) 중 어느 한 하부 양망용 롤러(410)는 상기 제1양망용 구동모터(440)의 축(441)과 체인(442)으로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1양망용 구동모터(4400의 구동에 의해 상기 두 하부 양망용 롤러(410,420)는 동시에 구름 회전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상부 양망용 롤러(430)의 축(431)은 상기 제2양망용 구동모 터(450)의 축(451)과 체인(452)으로 연결된다.
특히, 상기한 각 양망용 롤러(410,420,430)는 외표면이 고무 재질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양식망(10)이 더욱 원활히 끌어올릴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전술한 하부 양망용 롤러(410,420)는 두 개로 구성하지 않고 하나로만 구성할 수도 있지만, 이의 경우 상기 하부 양망용 롤러(410,420)에 제공되는 상부 양망용 롤러(430)의 수직 하중이 상당히 커지게 되어 원활한 구름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실시예와 같이 두 개로 구성함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함께, 상기 두 하부 양망용 롤러(410,420)에 비해 상기 상부 양망용 롤러(430)는 직경이 더욱 크게 형성된다. 이 역시 상기 각 양망용 롤러(410,420)의 안정적인 구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상기 브러시 롤러부(500)는 서로 간의 사이를 통과하는 양식망(10)의 표면을 세척하는 일련의 구성으로써, 상기 하부 프레임(210) 및 상부 프레임(220)의 각 부위 중 상기 양망용 롤러부(400)의 전방측 부위에 상하 대응된 상태로 구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한 브러시 롤러부(500)는 상기 하부 프레임(210)에 구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 브러시 롤러(510)와, 상기 상부 프레임(220)에 구름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 브러시 롤러(520)와, 상기 하부 브러시 롤러(510)를 구동시키는 하부 브러시용 구동모터(530) 및 상기 상부 브러시 롤러(520)를 구동시키는 상부 브러시용 구동모터(5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하부 브러시용 구동모터(530)는 상기 하부 프레임(210)에 고정 설치됨과 더불어 그 축(531)은 상기 하부 브러시 롤러(510)의 축(511)과 체인(532)으로 연결되며, 상기 상부 브러시용 구동모터(540)는 상기 상부 프레임(220)에 고정 설치됨과 더불어 그 축(541)은 상기 상부 브러시 롤러(520)의 축(521)과 체인(542)으로 연결된다.
특히, 상기한 각 브러시 롤러(510,520)의 외표면에는 브러시(513,523)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한 두 브러시 롤러(510,520) 간은 상기 각 브러시(513,523)의 일부가 서로 겹쳐질 수 있을 정도의 간격을 갖도록 위치된다.
다음으로, 상기 털이용 롤러부(600)는 서로 간의 사이를 통과하는 양식망(10)의 표면으로부터 오만둥이를 분리하는 일련의 구성으로써, 상기 하부 프레임(210) 및 상부 프레임(220)의 각 부위 중 상기 브러시 롤러부(500)의 전방측 부위에 상하 대응된 상태로 구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한 털이용 롤러부(600)는 하부 프레임(210)에 구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 털이용 롤러(610)와, 상부 프레임(220)에 구름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 털이용 롤러(620)와, 상기 하부 털이용 롤러(610)를 구동시키는 하부 털이용 구동모터(630) 및 상기 상부 털이용 롤러(620)를 구동시키는 상부 털이용 구동모터(6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하부 털이용 구동모터(630)는 상기 하부 프레임(210)에 고정 설치됨과 더불어 그 축(631)은 상기 하부 털이용 롤러(610)의 축(611)과 체인(632)으로 연결되며, 상기 상부 털이용 구동모터(640)는 상기 상부 프레임(220)에 고정 설치됨과 더불어 그 축(641)은 상기 상부 털이용 롤러(620)의 축(621)과 체인(642)으 로 연결된다.
특히, 상기한 각 털이용 롤러(610,620)의 외표면에는 복수의 털이판(613,623)이 축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 방향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 털이용 롤러(610)의 털이판(613)과 상부 털이용 롤러(620)의 털이판(623) 간은 양식망(10)이 원활히 통과될 수 있을 정도의 간격을 갖도록 위치된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부 프레임(220)의 전방측 부위에 스크류 컨베이어부(70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됨을 추가로 제시한다.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부(700)는 상기 양식망(10)으로부터 분리된 오만둥이를 메인 프레임(100)의 측부 공간으로 반출하기 위한 일련의 구성으로써, 상기 상부 프레임(220)의 전방측 부위 중 상기 털이용 롤러부(600)의 전방에 구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한 스크류 컨베이어부(700)는 상기 상부 프레임(220)에 구름 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상부 털이용 롤러(620)의 축(621)과는 체인(711)으로 연결되어 구름 회전되는 회전축(710)과, 상기 회전축(710)의 둘레면을 따라 나선형을 이루도록 형성되면서 오만둥이의 반출을 안내하는 스크류 플레이트(7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상기 스크류 플레이트(720)는 첨부된 도 3과 같이 상기 회전축(710)의 중심 부위를 기준으로 양측으로의 오만둥이 반출을 위해 나선 방향이 서로 반대되도록 형성됨을 제시한다.
이와 함께, 상기 하부 프레임(210)에도 전술한 스크류 컨베이어부(700)와 동일하게 형성되면서 별도의 구동모터(도시는 생략됨)에 의해 구동되는 별도의 스크류 컨베이어부(이하, “보조 컨베이어”라 함)(730)가 추가로 구비되고, 상기한 보조 컨베이어(730)는 양식망(10)의 저부로 낙하되는 오만둥이를 측부 공간으로 반송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이때 상기한 보조 컨베이어(730)의 저부에는 상기 낙하되는 오만둥이를 받는 받침 플레이트(740)가 추가로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양식망(10)의 지지를 위한 지지롤러(80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됨을 추가로 제시한다.
이때, 상기 지지롤러(800)는 상기 하부 프레임(210)의 전방측 부위 중 상기 하부 털이용 롤러(610)의 전방에 구름 가능하게 설치되며, 양식망(10)의 이동에 의해 스스로 구름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오만둥이 털이장치를 구성하는 각 구성들 중 상부 프레임(220)에 설치되는 상부 양망용 롤러(430), 상부 브러시 롤러(520), 상부 털이용 롤러(620) 등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이루어짐을 추가로 제시한다.
즉, 상기한 각 롤러(430,520,620)의 축(431,521,621)의 양 끝단이 결합된 부위를 상하 이동시키는 조절 레버(434,524,624)를 추가로 구비함으로써 양식망의 통과를 위한 틈새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한편, 상부 프레임(220)의 각 부위 중 브러시 롤러부(500)와 양망용 롤러부(600) 사이의 위치에는 첨부된 도 1의 개략도와 같이 세척수를 분사하는 세척수 분사 노즐(900)이 추가로 설치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즉, 상기 브러시 롤러부(500)를 통과한 양식망(10)을 세척수로 세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양식망(10)에 잔존하는 각종 이물질이 완전히 제거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세척수는 바닷물을 사용하면 된다.
하기에서는, 전술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오만둥이 털이장치에 대한 동작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양식망(10)을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오만둥이 털이장치에 설치한다.
이를 위해, 상부 프레임(220)과 하부 프레임(210) 간을 충분히 이격시켜야 하며, 이는 승강 실린더(300)의 구동에 의해 수행된다.
즉, 승강 실린더(300)를 구동시켜 상기 상부 프레임(220)의 타측편을 들어올리게 되면 상기 하부 프레임(210)과의 결합이 이루어진 일측편을 기준으로 상기 상부 프레임(220)이 기울어지면서 상기 하부 프레임(210)으로부터 이격되는 것이다. 이는, 첨부된 도 5와 같다.
상기한 상태에서 양식망(10)을 하부 프레임(210)의 상부를 따라 설치한다.
이때, 상기 양식망(10)의 양측에 연결된 목줄(13,14)은 하부 프레임(210)의 양측편과 메인 프레임(100) 간의 틈새를 통과하도록 설치되고, 메인줄(11)과 그물추(12)는 상기 하부 프레임(210)의 양측편에 설치된 안내 가이드(211,212)의 안내를 받도록 위치시킨다.
이후, 상기 승강 실린더(300)를 재구동시켜 상기 상부 프레임(220)의 타측편 이 상기 하부 프레임(210)의 타측편에 인접되도록 위치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한 양식망(10)은 상부 양망용 롤러(430)와 하부 양망용 롤러(410,420) 사이, 상부 브러시 롤러(520)와 하부 브러시 롤러(510) 사이 및 상부 털이용 롤러(620)와 하부 털이용 롤러(610) 사이에 위치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는, 첨부된 도 4의 상태와 같다.
다음으로, 각 구동모터(440,450,530,540,630,640)로의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실질적인 양식망(10)으로부터의 오만둥이 분리 작업이 진행된다.
즉, 각 양망용 구동모터(440,450)의 전원 공급으로 인해 각 양망용 롤러(410,420,430)의 구름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양식망(10)을 강제 이송되고, 각 털이용 구동모터(630,640)의 전원 공급으로 인해 각 털이용 롤러(610,620)의 구름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이송되는 양식망(10)으로부터 오만둥이의 분리가 이루어지며, 각 브러시용 구동모터(630,540)의 전원 공급으로 인해 각 브러시 롤러(510,520)의 구름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오만둥이가 분리된 양식망(10)의 표면에 붙어 있는 잔존 찌꺼기를 제거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부 털이용 롤러(620)의 구름 회전에 의해 이에 체인(711)으로 연결된 스크류 컨베이어부(700)의 회전축(710) 역시 구름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양식망(10)으로부터 분리된 오만둥이를 측부 공간으로 반송하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양식망(10)으로부터 분리된 오만둥이 중 저부로 낙하되는 오만둥이는 받침 플레이트(740)에 받쳐진 다음 보조 컨베이어(730)에 의해 측부 공간으로 반송된다.
또한, 전술한 각 과정 통해 오만둥이의 분리가 이루어진 양식망(10)은 분사노즐(900)을 통해 분사되는 세척수에 의해 세척이 이루어진 다음 양망용 롤러부(400)를 통과한 후 바닷속으로 다시금 제공된다.
결국, 본 고안에 따른 오만둥이 털이장치로 인해 양식망(10)으로부터 메인줄(11) 및 그물추(12)를 잘라내지 않고도 오만둥이의 분리가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되고, 특히 브러시 롤러부(500)로 인해 오만둥이의 분리가 이루어진 양식망(10)의 표면 세척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동일 장소에서 양식망(10)을 끌어올려 오만둥이를 분리함과 더불어 상기 양식망(10)을 다시금 바닷속으로 제공하는 작업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오만둥이 어장의 형태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모형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오만둥이 털이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측면에서 본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모형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오만둥이 털이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평면에서 본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모형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오만둥이 털이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측면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오만둥이 털이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정면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도 5의 “A”부분에 대한 확대도
도 7은 도 5의 “B”부분에 대한 확대도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오만둥이 털이장치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메인 프레임 210. 하부 프레임
211,212. 안내 가이드 220. 상부 프레임
230. 경첩 300. 승강 실린더
310. 플런저 400. 양망용 롤러부
410,420. 하부 양망용 롤러 430. 상부 양망용 롤러
434. 조절레버 440,450. 양망용 구동모터
411,421,431,441,451. 축 422,442,452. 체인
500. 브러시 롤러부 510. 하부 브러시 롤러
520. 상부 브러시 롤러 530,540. 브러시용 구동모터
511,521,531,541. 축 532,542. 체인
513,523. 브러시 524. 조절레버
600. 털이용 롤러부 610. 하부 털이용 롤러
620. 상부 털이용 롤러 630,640. 털이용 구동모터
611,621,631,641. 축 632,642. 체인
613,623. 털이판 624. 조절레버
700. 스크류 컨베이어부 710. 회전축
711. 체인 720. 스크류 플레이트
730. 보조 컨베이어 740. 받침 플레이트
800. 지지롤러 900. 분사노즐
Claims (7)
- 외관 몸체를 이루면서 케이스로 덮여진 메인 프레임;상기 메인 프레임 내의 하부 공간에 위치된 상태로 고정되는 하부 프레임;상기 메인 프레임의 내부 중 상기 하부 프레임의 상부에 위치되며, 일측편은 상기 하부 프레임의 일측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로 타측편이 상기 하부 프레임의 타측편으로부터 선택적으로 이격되는 상부 프레임;상기 메인 프레임에 고정됨과 더불어 실린더 로드는 상기 상부 프레임의 타측편에 연결되면서 상기 상부 프레임의 타측편을 승강시키는 승강 실린더;상기 하부 프레임 및 상부 프레임의 각 부위 중 후방측 부위에 상하 대응된 상태로 양단이 구름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서로 간의 사이를 통과하는 양식망을 강제 이동시키는 양망용 롤러부;상기 하부 프레임 및 상부 프레임의 각 부위 중 상기 양망용 롤러부의 전방측 부위에 상하 대응된 상태로 양단이 구름 가능하게 설치되고, 서로 간의 사이를 통과하는 양식망의 표면 세척을 수행하는 브러시 롤러부; 그리고,상기 하부 프레임 및 상부 프레임의 각 부위 중 상기 브러시 롤러부의 전방측 부위에 상하 대응된 상태로 양단이 구름 가능하게 설치되고, 서로 간의 사이를 통과하는 양식망의 표면으로부터 오만둥이를 분리하는 털이용 롤러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만둥이 털이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양망용 롤러부는 외표면이 고무 재질로 형성되며,상기 하부 프레임에 구름 가능하게 설치되는 두 개의 하부 양망용 롤러와,상기 상부 프레임에 구름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상기 두 하부 양망용 롤러 간의 사이에 위치되는 상부 양망용 롤러와,상기 각 양망용 롤러를 구동시키는 양망용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만둥이 털이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브러시 롤러부는 외표면에 브러시가 형성되어 이루어지고,상기 하부 프레임에 구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 브러시 롤러와,상기 상부 프레임에 구름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 브러시 롤러와,상기 각 브러시 롤러를 구동시키는 브러시용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만둥이 털이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털이용 롤러부는 외표면을 따라 복수의 털이판이 축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 방향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이루어지고,상기 하부 프레임에 구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 털이용 롤러와,상기 상부 프레임에 구름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 털이용 롤러와,상기 각 털이용 롤러를 구동시키는 털이용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만둥이 털이장치.
-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상부 프레임의 전방측 부위 중 상기 털이용 롤러부의 전방에 구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털이용 롤러부에 의해 양식망으로부터 분리된 오만둥이를 메인 프레임의 측부 공간으로 반출하는 스크류 컨베이어부가 더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만둥이 털이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상기 스크류 컨베이어부는상기 상부 프레임에 구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과,상기 회전축의 둘레면을 따라 나선형을 이루도록 형성되면서 오만둥이의 반출을 안내하는 스크류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만둥이 털이장치.
-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하부 프레임의 전방측 부위 중 상기 털이용 롤러부의 전방에 구름 가능하게 설치되어, 반송되는 양식망을 지지하는 지지롤러가 더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만둥이 털이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80015800U KR20100005761U (ko) | 2008-11-27 | 2008-11-27 | 오만둥이 털이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80015800U KR20100005761U (ko) | 2008-11-27 | 2008-11-27 | 오만둥이 털이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05761U true KR20100005761U (ko) | 2010-06-07 |
Family
ID=44451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80015800U KR20100005761U (ko) | 2008-11-27 | 2008-11-27 | 오만둥이 털이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00005761U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273105A (zh) * | 2014-10-17 | 2015-01-14 | 浙江海洋学院 | 贝类藻场集中采收装置 |
KR101964634B1 (ko) * | 2017-10-18 | 2019-04-02 | 서홍석 | 꼬막종패 분리장치 |
KR20200097567A (ko) * | 2019-02-08 | 2020-08-19 | (주) 승진유공압테크 | 종패분리장치 |
KR20200124443A (ko) * | 2019-04-24 | 2020-11-03 | 김양현 | 새꼬막 종패 자동 탈락장치 |
-
2008
- 2008-11-27 KR KR2020080015800U patent/KR20100005761U/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273105A (zh) * | 2014-10-17 | 2015-01-14 | 浙江海洋学院 | 贝类藻场集中采收装置 |
KR101964634B1 (ko) * | 2017-10-18 | 2019-04-02 | 서홍석 | 꼬막종패 분리장치 |
KR20200097567A (ko) * | 2019-02-08 | 2020-08-19 | (주) 승진유공압테크 | 종패분리장치 |
KR20200124443A (ko) * | 2019-04-24 | 2020-11-03 | 김양현 | 새꼬막 종패 자동 탈락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DE60110583T2 (de) | Vorrichtung zum ernten und verarbeiten von mollusken und zum reinigen von einer zugehörigen molluskenmaschine im wasser | |
KR101750748B1 (ko) | 전복양식조 세척장치 | |
CN111771758B (zh) | 一种底网可纵向移动的家禽养殖笼具 | |
KR20100005761U (ko) | 오만둥이 털이장치 | |
JP7514529B2 (ja) | 養殖籠の洗浄装置 | |
KR102110467B1 (ko) | 패류 양식용 채롱망 자동 세척장치 및 이를 갖는 채롱망 자동 세척 시스템 | |
KR101898551B1 (ko) | 개체굴 서실 마모장치 | |
CN114946781A (zh) | 一种笼养贝类采收船 | |
CN105432762B (zh) | 一种贝类清洗装置 | |
JP3849666B2 (ja) | 養殖ホタテ貝の洗浄装置 | |
CN108887703B (zh) | 香菇清洗设备 | |
CN106386592A (zh) | 浮性鱼卵的收集装置及收集方法 | |
KR20210051047A (ko) | 꼬막 종패 분리 및 세척 장치 | |
CN216323746U (zh) | 一种畜牧养殖用牧草清洗装置 | |
CN210248296U (zh) | 一种辣椒清洗装置 | |
CN111183920B (zh) | 利用笼体实现禽类排泄物收集及快速出笼的方法 | |
CN213246358U (zh) | 一种底网可纵向移动的家禽养殖笼具 | |
CN203841070U (zh) | 一种马铃薯的加工装置中的分类机构 | |
CN210054459U (zh) | 一种壳类海鲜加工处理设备 | |
KR101954097B1 (ko) | 개체굴 분리 및 세척장치 | |
KR101007670B1 (ko) | 홍합 분리기 | |
CN206238344U (zh) | 立式青核桃脱皮机 | |
CN208050527U (zh) | 一种用于畜牧业的食槽清洗装置 | |
CN118556736B (zh) | 一种水产品清洗保鲜设备及其清洗方法 | |
CN217576806U (zh) | 一种清洗输送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81127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01118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U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E06011S01D Patent event date: 20110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