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5217A - 합착장치 - Google Patents

합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5217A
KR20130065217A KR1020110131975A KR20110131975A KR20130065217A KR 20130065217 A KR20130065217 A KR 20130065217A KR 1020110131975 A KR1020110131975 A KR 1020110131975A KR 20110131975 A KR20110131975 A KR 20110131975A KR 20130065217 A KR20130065217 A KR 201300652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unit
chamber
paste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1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80978B1 (ko
Inventor
전성록
박민규
이민형
김윤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10131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0978B1/ko
Priority to TW101127412A priority patent/TW201323171A/zh
Priority to CN201210267027.8A priority patent/CN103157579B/zh
Publication of KR20130065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52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09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09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specially adapted for a particular applic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ositioning, orientation or align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Liquid Crystal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합착장치에서는, 표시패널 또는 커버패널에 페이스트를 도포하는 과정과, 표시패널 또는 커버패널에 광학탄성수지를 도포하는 과정과, 표시패널과 커버패널을 서로 합착시키는 과정을 하나의 장치에서 일괄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구성에 대하여 제시한다.

Description

합착장치{BONDING APPARATUS}
본 발명은 평판디스플레이의 제조과정에서 한 쌍의 기판 사이에 페이스트 및 광학탄성수지를 도포한 후 한 쌍의 기판을 합착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평판디스플레이에는 사용자가 손 또는 물체를 이용하여 화면에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장치로서 터치스크린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장치는 평판디스플레이의 전방측면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손이나 물체가 접촉된 접촉위치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터치스크린장치를 구현하는 방식으로는 정전용량방식, 광감지방식 및 저항막방식 등이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터치스크린장치가 구비된 평판디스플레이는, 예를 들어 액정디스플레이모듈 또는 유기발광다이오드모듈과 같은 표시패널에 예를 들어 강화유리나 아크릴판과 같은 커버패널을 합착하는 방식으로 제조되고 있다.
또한, 표시패널과 커버패널의 사이에 공기층을 마련하여 외부의 충격에 의해 커버패널이 파손되는 경우에도 표시패널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공기층은 빛의 산란에 따른 휘도나 콘트라스트의 저하를 유발하므로, 평판디스플레이의 시인성을 떨어뜨리는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표시패널과 커버패널 사이에 공기층을 대체하여 광학탄성수지(SVR, Super View Resin)를 충전하는 방법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광학탄성수지는 굴절률을 조절해 빛의 산란을 줄일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으므로, 표시패널과 커버패널 사이에 공기층이 존재하는 기존의 평판디스플레이에 비하여 빛의 손실을 줄여 휘도나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광학탄성수지는 소정의 탄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외부의 충격을 완화하는 역할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표시패널과 커버패널 사이에 공기층이 존재하는 기존의 평판디스플레이에 비하여 커버패널의 파손을 줄일 수 있으며, 커버패널이 파손되어도 커버패널이 광학탄성수지에 붙어 있기 때문에 파손된 커버패널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다.
표시패널과 커버패널 사이에 광학탄성수지가 충전된 평판디스플레이를 제조하기 위하여, 표시패널 또는 커버패널 중 어느 하나에 페이스트를 도포하는 과정과, 표시패널 또는 커버패널 중 어느 하나에 광학탄성수지를 도포하는 과정과, 표시패널과 커버패널을 서로 합착시키는 과정을 수행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서는, 상기한 과정을 각각 별도의 장치들을 이용하여 수행하였기 때문에, 평판디스플레이를 제조하는 장치가 복잡하고, 공정의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에서는, 표시패널 및 커버패널이 복수의 장치들로 이송하는 과정에서, 표시패널과 커버패널의 위치오차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페이스트 및 광학탄성수지가 표시패널상 또는 커버패널상의 정확한 위치에 도포될 수 없고, 합착과정에서도 표시패널과 커버패널이 정확하게 일렬로 정렬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표시패널 또는 커버패널에 페이스트를 도포하는 과정과, 표시패널 또는 커버패널에 광학탄성수지를 도포하는 과정과, 표시패널과 커버패널을 서로 합착시키는 과정을 하나의 장치에서 일괄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합착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표시패널 또는 커버패널의 정확한 위치에 페이스트 및 광학탄성수지를 도포할 수 있는 합착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표시패널과 커버패널을 서로 정확하게 정렬시켜 합착할 수 있는 합착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표시패널과 커버패널을 미리 설정된 최적의 압력으로 가압하여 합착할 수 있는 합착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합착장치는, 제1패널 및 제2패널의 합착공정이 수행되는 챔버유닛과, 상기 챔버유닛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제1패널 및 상기 제2패널이 각각 외부로부터 반입되어 지지되는 패널지지유닛과, 상기 패널지지유닛에 지지된 상기 제1패널상에 페이스트 및 광학탄성수지를 도포하는 도포유닛과, 상기 챔버유닛 내에 배치되며 상기 제1패널 및 상기 제2패널이 서로 대향되게 탑재되는 패널탑재유닛과, 상기 패널지지유닛에 지지된 상기 제1패널 및 상기 제2패널을 상기 패널탑재유닛으로 이송하는 패널이송유닛과, 상기 패널탑재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제1패널 및 상기 제2패널을 서로 가압하는 패널가압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합착장치는, 표시패널 또는 커버패널에 페이스트를 도포하는 과정과, 표시패널 또는 커버패널에 광학탄성수지를 도포하는 과정과, 표시패널과 커버패널을 서로 합착시키는 과정을 하나의 장치에서 일괄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므로, 공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합착장치는, 표시패널 또는 커버패널을 고정시킨 후 표시패널 또는 커버패널에 페이스트 및 광학탄성수지를 도포할 수 있으므로, 표시패널상 또는 커버패널상의 정확한 위치에 페이스트 및 광학탄성수지를 도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합착장치는, 촬상유닛을 이용하여 표시패널과 커버패널의 정렬여부를 감시하고, 표시패널과 커버패널이 서로 정렬되지 않는 경우에는, 표시패널 또는 커버패널의 회전위치 또는 수평방향으로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을 통하여 표시패널과 커버패널을 서로 정확하게 일렬로 정렬시킬 수 있으므로, 표시패널과 커버패널의 합착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합착장치는, 하중측정센서를 이용하여 표시패널과 커버패널이 서로 밀착되는 압력을 측정하고, 측정된 압력을 근거로 하여 표시패널과 커버패널의 합착압력을 미리 설정된 최적범위 내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합착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합착장치의 패널탑재유닛과 경화유닛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합착장치의 패널지지유닛과 도포유닛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도포유닛의 광학탄성수지토출노즐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합착장치의 패널탑재유닛이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패널탑재유닛의 제1탑재부재와 제2탑재부재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패널탑재유닛의 제1탑재부재에 제1패널이 탑재된 상태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5의 패널탑재유닛의 제2탑재부재에 제2패널이 탑재된 상태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9은 도 1의 합착장치의 패널지지유닛 및 패널이송유닛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1의 합착장치의 패널탑재유닛 및 패널가압유닛이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1의 합착장치의 촬상유닛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합착장치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합착장치는, 예를 들어 액정디스플레이모듈 또는 유기발광다이오드모듈과 같은 표시패널에 예를 들어 강화유리나 아크릴판과 같은 커버패널을 합착하는 장치이다. 표시패널과 커버패널이 서로 합착될 수 있도록 표시패널 또는 커버패널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는 페이스트가 도포될 수 있다. 또한, 표시패널과 커버패널 사이에 광학탄성수지(SVR, Super View Resin)가 충전될 수 있도록 표시패널 또는 커버패널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는 광학탄성수지가 도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페이스트가 표시패널 또는 커버패널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 도포될 수 있고, 광학탄성수지가 표시패널 또는 커버패널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 도포될 수 있으므로, 이하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표시패널 또는 커버패널 중 어느 하나를 제1패널로 정의하고, 다른 하나를 제2패널로 정의한 후, 제1패널상에 페이스트 및 광학탄성수지가 도포되는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합착장치는, 제1패널(P1) 및 제2패널(P2)의 합착공정이 수행되는 챔버유닛(10)과, 챔버유닛(10)의 일측에 마련되며 제1패널(P1) 및 제2패널(P2)이 각각 외부로부터 반입되어 지지되는 패널지지유닛(20)과, 패널지지유닛(20)에 지지된 제1패널(P1)상에 페이스트 및 광학탄성수지를 도포하는 도포유닛(30)과, 챔버유닛(10) 내에 배치되며 제1패널(P1) 및 제2패널(P2)이 서로 대향되게 탑재되는 패널탑재유닛(40)과, 패널지지유닛(20)에 지지된 제1패널(P1) 및 제2패널(P2)을 패널탑재유닛(40)으로 순차적으로 이송하는 패널이송유닛(50)과, 패널탑재유닛(40)과 연결되어 제1패널(P1) 및 제2패널(P2)을 서로 가압하는 패널가압유닛(6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챔버유닛(10)은, 패널탑재유닛(40)이 지지되는 하부챔버(11)와, 하부챔버(11)의 상부에서 하부챔버(11)에 대하여 승강이 가능하게 배치되는 상부챔버(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부챔버(12)에는 상부챔버(12)를 승강시키는 챔버승강장치(13)가 연결될 수 있다.
하부챔버(11)에는 수직방향(Z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가이드바(14)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상부챔버(12)는 복수의 가이드바(14)에 안내되어 수직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복수의 가이드바(14)는 상부챔버(12)의 외측 주변을 관통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부챔버(12)가 상승하여 하부챔버(11)와 상부챔버(12) 사이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될 때, 제1패널(P1) 및 제2패널(P2)이 하부챔버(11)와 상부챔버(12) 사이의 이격된 공간을 통하여 패널탑재유닛(40)으로 이송될 수 있다. 또한, 상부챔버(12)가 하강하여 상부챔버(12)가 하부챔버(11)에 밀착될 때, 하부챔버(11)와 상부챔버(12) 사이의 공간이 외부로부터 밀폐될 수 있다. 하부챔버(11)는 평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챔버(12)는 하부챔버(11)를 향하여 개방되는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부챔버(11) 또는 상부챔버(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진공펌프(15)와 연결관(16)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하부챔버(11)와 상부챔버(12)가 서로 밀착된 후, 진공펌프(15)의 동작에 의해 하부챔버(11)와 상부챔버(12) 사이의 밀폐공간에 진공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패널(P1)과 제2패널(P2)이 서로 합착되는 공정은 진공의 분위기 내에서 수행될 수 있다. 제1패널(P1)에 도포된 페이스트 또는 광학탄성수지 내에는 기포가 혼입될 수 있는데, 이러한 기포는 진공에 의하여 페이스트 또는 광학탄성수지로부터 배출되어 제거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지지유닛(20)은, 제1패널(P1)이 지지되는 제1지지부재(21)와, 제2패널(P2)이 지지되는 제2지지부재(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지지부재(21)와 제2지지부재(22)는 챔버유닛(10) 내의 패널탑재유닛(40)을 향하여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패널지지유닛(20)은, 제1지지부재(21)의 양측에 수평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위치결정부재(23)와, 복수의 위치결정부재(23)와 연결되어 복수의 위치결정부재(23)를 제1지지부재(21)상에 안착된 제1패널(P1)의 양측면에 접촉되는 방향 및 제1패널(P1)의 양측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위치결정부재이동장치(2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위치결정부재(23)는 외주가 유연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롤러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위치결정부재이동장치(24)로는 유압 또는 공압으로 동작하는 액추에이터, 리니어모터 또는 볼스크류장치와 같은 직선이동기구가 이용될 수 있다.
복수의 위치결정부재(23)가 제1패널(P1)의 양측면에 밀착되는 경우, 제1패널(P1)은 제1지지부재(21)상의 정확한 위치에서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제1패널(P1)상에 페이스트 및 광학탄성수지가 도포되는 과정에서 제1패널(P1)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으므로, 페이스트 및 광학탄성수지를 제1패널(P1)상의 정확한 위치에 도포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포유닛(30)은, 제1패널(P1)상으로 페이스트(R1)를 토출하는 페이스트토출노즐(311) 및 제1패널(P1)상으로 광학탄성수지(R2)를 토출하는 광학탄성수지토출노즐(312)이 구비되는 도포헤드(31)와, 도포헤드(31)를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도포헤드이동장치(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포헤드이동장치(32)는, 도포헤드(31)를 X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X축구동부(321)와, 도포헤드를 Y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Y축구동부(322)와, 도포헤드를 Z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Z축구동부(323)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X축구동부(321), Y축구동부(322) 및 Z축구동부(323)로는 유압 또는 공압으로 동작하는 액추에이터, 리니어모터 또는 볼스크류장치와 같은 직선이동기구가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X축구동부(321) 및 Y축구동부(322)의 구동에 의하여 도포헤드(31)가 수평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페이스트토출노즐(311) 및 광학탄성수지토출노즐(312)이 제1지지부재(21)상에 안착된 제1패널(P1)상으로 수평방향으로 이동되고 Z축구동부(323)의 구동에 의하여 도포헤드(31)가 수직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페이스트토출노즐(311) 및 광학탄성수지토출노즐(312)이 제1패널(P1)과 인접되게 위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포헤드(31)가 X축구동부(321) 및 Y축구동부(322)의 구동에 의하여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는 것과 동시에 페이스트토출노즐(311) 및 광학탄성수지토출노즐(312)로부터 페이스트(R1) 및 광학탄성수지(R2)가 토출되면서, 제1패널(P1)의 상면에는 페이스트(R1) 및 광학탄성수지(R2)가 소정의 패턴으로 도포될 수 있다.
제1패널(P1)상에는 페이스트(R1)가 먼저 도포된다. 이러한 페이스트(R1)는 제1패널(P1)상의 외주둘레를 따라 폐곡선의 패턴으로 도포되며, 이에 따라, 제1패널(P1)상에는 페이스트(R1)에 둘러싸인 영역이 존재한다. 그리고, 페이스트(R1)에 둘러싸인 영역 내에는 광학탄성수지(R2)가 도포된다. 폐곡선 패턴의 페이스트(R1)는 제1패널(P1)과 제2패널(P2)의 합착과정에서 광학탄성수지(R2)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댐(dam)과 같은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페이스트(R1)는 제1패널(P1)과 제2패널(P2)을 접착시키는 접착제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제1패널(P1)상에 도포되는 광학탄성수지(R2)의 패턴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학탄성수지토출노즐(312)에는 복수의 토출구(312a)가 마련될 수 있으며, 제1패널(P1)상에는 복수의 토출구(312a) 사이의 간격과 대응되는 간격으로 광학탄성수지(R2)가 복수의 열로 도포될 수 있다.
한편, 페이스트(R1)의 점성이 낮은 경우에는 제1패널(P1)상에 도포된 페이스트(R1)가 제1패널(P1)상에서 불규칙적으로 퍼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페이스트(R1)가 광학탄성수지(R2)의 누출을 방지하는 댐으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수행할 수 없으며, 제1패널(P1)과 제2패널(P2)을 합착시키는 접착제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수행할 수 없다. 따라서, 점성이 비교적 낮은 페이스트(R1)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페이스트(R1)를 경화시킬 수 있는 광을 조사하는 광조사기(313)가 도포헤드(31)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1패널(P1)상에 페이스트(R1)를 도포한 후, 광학탄성수지(R2)를 도포하기 전에, 광조사기(313)로부터 제1패널(P1)상에 도포된 페이스트(R1)를 향하여 광을 조사하여 페이스트(R1)를 1차적으로 경화시킬 수 있다. 제1패널(P1)상에 도포된 페이스트(R1)를 향하여 광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도포헤드(31)의 수평방향 및/또는 수직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광조사기(313)가 수평방향 및/또는 수직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도포헤드(31)에는 제1패널(P1)의 상면과 페이스트토출노즐(311) 사이의 수직방향으로의 간격 및 제1패널(P1)의 상면과 광학탄성수지토출노즐(312) 사이의 수직방향으로의 간격을 측정하는 레이저변위센서(314)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이저변위센서(314)는, 제1패널(P1)을 향하여 레이저광을 발광하는 발광부(미도시)와, 발광부로부터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며 제1패널(P1)의 상면에서 반사된 레이저광이 수광되는 수광부(미도시)로 구성된다. 이러한 레이저변위센서(314)는, 제1패널(P1)의 상면에서 반사된 레이저광의 수광부상에서의 결상위치에 따른 전기신호로부터 제1패널(P1)과 레이저변위센서(314) 사이의 수직방향(Z축방향)으로의 간격을 계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제1패널(P1)과 레이저변위센서(314) 사이의 수직방향으로의 간격을 이용하여 제1패널(P1)의 상면과 페이스트토출노즐(311) 사이의 간격 및 제1패널(P1)의 상면과 광학탄성수지토출노즐(312) 사이의 간격을 측정할 수 있으며, 측정된 간격을 근거로 Z축구동부(323)를 제어하여 제1패널(P1)의 상면과 페이스트토출노즐(311) 사이의 간격 및 제1패널(P1)의 상면과 광학탄성수지토출노즐(312) 사이의 간격을 미리 설정된 최적의 간격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2 및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탑재유닛(40)은, 제1패널(P1)이 탑재되는 제1탑재부재(41)와, 제1탑재부재(41)의 상측에서 제1탑재부재(41)에 대향되도록 배치되며 제2패널(P2)이 탑재되는 제2탑재부재(42)와, 제1탑재부재(41)와 제2탑재부재(42) 사이에서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배치되어 제1패널(P1) 및 제2패널(P2)을 제1탑재부재(41) 및 제2탑재부재(42)에 각각 탑재하는 로딩부재(43)와, 로딩부재(43)를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로딩부재이동장치(4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탑재부재(41)의 상면에는 제1패널(P1)의 하면이 점착되는 점착부재(411)가 배치될 수 있으며, 제2탑재부재(42)의 하면에는 제2패널(P2)의 상면이 점착되는 점착부재(421)가 배치될 수 있다. 점착부재(411, 421)는 실리콘계, 아크릴계 또는 불소계 등의 점착성을 가지는 소재로 이루어지며, 제1탑재부재(41)의 상면 및 제2탑재부재(42)의 하면에 복수로 배치될 수 있다.
로딩부재(43)는, 예를 들면, 수평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1로딩부재(431)와 제2로딩부재(432)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로딩부재이동장치(44)는, 제1로딩부재(431) 및 제2로딩부재(432)를 서로 인접되는 방향 및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평구동부(441)와, 제1로딩부재(431) 및 제2로딩부재(432)를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직구동부(44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수평구동부(441)와 수직구동부(442)는 상부챔버의 외측에 배치되며 제1로딩부재(431) 및 제2로딩부재(432)와 각각 연결바(443)를 통하여 연결된다. 로딩부재이동장치(44)는 챔버유닛(10)의 외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 연결바(443)는 상부챔버(12)를 관통하면서 로딩부재(43)와 로딩부재이동장치(44)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여기에서, 챔버유닛(10)의 내부에 진공이 형성될 때, 외부의 공기가 챔버유닛(10)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연결바(43)의 둘레에는 주름관(445)이 구비될 수 있다. 수평구동부(441)와 수직구동부(442)로는 유압 또는 공압으로 동작하는 액추에이터, 리니어모터 또는 볼스크류장치와 같은 직선이동기구가 이용될 수 있다.
제1패널(P1)이 제1탑재부재(41)에 탑재되는 과정은, 제1로딩부재(431) 및 제2로딩부재(432)가 서로 인접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동작, 제1패널(P1)이 제1로딩부재(431) 및 제2로딩부재(432)의 상면에 안착되는 동작, 제1로딩부재(431) 및 제2로딩부재(432)가 하강하여 제1패널(P1)의 하면이 제1탑재부재(41)의 점착부재(411)에 부착되는 동작, 제1로딩부재(431) 및 제2로딩부재(432)가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로딩부재(431) 및 제2로딩부재(432)가 제1패널(P1)로부터 벗어나는 동작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제2패널(P2)이 제2탑재부재(42)에 탑재되는 과정은, 제1로딩부재(431) 및 제2로딩부재(432)가 서로 인접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동작, 제2패널(P2)이 제1로딩부재(431) 및 제2로딩부재(432)의 상면에 안착되는 동작, 제1로딩부재(431) 및 제2로딩부재(432)가 상승하여 제2패널(P2)의 상면이 제2탑재부재(42)의 점착부재(421)에 부착되는 동작, 제1로딩부재(431) 및 제2로딩부재(432)가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로딩부재(431) 및 제2로딩부재(432)가 제2패널(P2)로부터 벗어나는 동작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제1로딩부재(431) 및 제2로딩부재(432)는 각각 여러 가닥으로 분지된 포크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제1탑재부재(41) 및 제2탑재부재(42)에는 포크형상의 제1로딩부재(431) 및 제2로딩부재(432)가 수용되는 복수의 수용홈(412, 422)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이송유닛(50)은, 제1패널(P1) 및 제2패널(P2)이 패널탑재유닛(40)으로 이송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면 및 하면에 흡입홀(511)이 형성되는 흡착부재(51)와, 흡착부재(51)를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흡착부재이동장치(5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흡착부재(51)의 상면은 제1패널(P1)의 하면이 밀착될 수 있는 형상, 예를 들면, 평면으로 형성될 있다. 또한, 흡착부재(51)의 하면은 제2패널(P2)의 상면이 밀착될 수 있는 형상, 예를 들면,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흡착부재(51)의 상면 및 하면에 형성되는 흡입홀(511)은 도시하지 않는 부압원과 연결된다.
흡착부재이동장치(52)는, 흡착부재(51)를 제1패널(P1) 및 제2패널(P2)이 패널탑재유닛(40)으로 이송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평구동부(521)와, 흡착부재(51)를 수직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수직구동부(5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수평구동부(521)와 수직구동부(522)로는 유압 또는 공압으로 동작하는 액추에이터, 리니어모터 또는 볼스크류장치와 같은 직선이동기구가 이용될 수 있다.
제1패널(P1)상에 페이스트 및 광학탄성수지가 도포되는 동작이 완료된 후, 제1패널(P1)은 그 하면이 흡착부재(51)의 상면에 형성된 흡입홀(511)에 흡착된 상태로 패널탑재유닛(40)의 로딩부재(43)로 이송된다. 이때, 흡착부재(51)가 서로 인접한 제1로딩부재(431) 및 제2로딩부재(432)에 비하여 약간 높은 위치에 위치된 후, 제1로딩부재(431) 및 제2로딩부재(432) 사이의 공간으로 하강하는 것과 동시에 흡입홀(511)에 작용되는 부압이 차단되면서, 제1패널(P1)이 흡착부재(51)의 상면으로부터 제1로딩부재(431) 및 제2로딩부재(432)의 상면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제2패널(P2)은 그 상면이 흡착부재(51)의 하면에 형성된 흡입홀(511)에 흡착된 상태로 패널탑재유닛(40)의 로딩부재(43)로 이송된다. 이때, 흡착부재(51)가 서로 인접한 제1로딩부재(431) 및 제2로딩부재(432)에 비하여 약간 높은 위치에 위치된 후, 제1로딩부재(431) 및 제2로딩부재(432)쪽으로 하강하여 제2패널(P2)이 제1로딩부재(431) 및 제2로딩부재(432)에 접촉될 때, 흡입홀(511)에 작용되는 부압이 차단되면서, 제2패널(P2)이 흡착부재(51)의 하면으로부터 제1로딩부재(431) 및 제2로딩부재(432)의 상면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흡착부재(51)는, 제1패널(P1)의 하면을 흡착하고, 제2패널(P2)의 상면을 흡착하므로, 제1패널(P1)의 상면과 제2패널(P2)의 하면, 즉, 제1패널(P1)과 제2패널(P2)이 서로 합착되는 면들은 흡착부재(51)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가압유닛(60)은, 패널탑재유닛(40)의 제1탑재부재(41)와 연결되는 연결로드(61)와, 연결로드(61)를 승강시키는 승강장치(6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연결로드(61)는 하부챔버(11)를 관통하여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챔버유닛(10)의 내부에 진공이 형성될 때, 외부의 공기가 챔버유닛(10)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연결로드(61)의 둘레에는 주름관(611)이 구비될 수 있다.
승강장치(62)는 연결로드(61)와 연결되어 연결로드(61)를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승강장치(62)로는 유압 또는 공압으로 동작하는 액추에이터, 리니어모터 또는 볼스크류장치와 같은 직선이동기구가 이용될 수 있다.
승강장치(62)의 동작에 의하여 연결로드(61)가 상승하면, 연결로드(61)와 연결된 제1탑재부재(41)가 제2탑재부재(42)와 인접되는 방향으로 상승한다. 따라서, 제1탑재부재(41)와 제2탑재부재(42)에 각각 탑재된 제1패널(P1)과 제2패널(P2)이 서로 가압되면서 합착될 수 있다.
한편, 패널가압유닛(60)은 연결로드(61)와 연결되어 연결로드(61)를 회전시키는 회전장치(6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회전장치(63)는 연결로드(61)와 연결되는 회전모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장치(63)는 연결로드(61)와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나,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장치(62)와 연결되어 승강장치(62)를 회전시키는 것을 통하여 연결로드(61)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회전장치(63)는 승강장치(62)를 통하여 연결로드(61)와 연결될 수 있다. 회전장치(63)는 연결로드(61)를 미세한 각도로 회전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회전장치(63)의 구동에 의하여 연결로드(61)가 회전되면, 연결로드(61)와 연결된 제1탑재부재(41)가 회전될 수 있으며, 제1탑재부재(41)에 탑재된 제1패널(P1)이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제2탑재부재(42)에 탑재된 제2패널(P2)과의 합착위치에 대응되도록 제1패널(P1)의 회전위치가 조절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패널(P1)과 제2패널(P2)이 정확한 위치에서 합착될 수 있도록 제1패널(P1)과 제2패널(P2)이 서로 일렬로 정렬될 수 있다.
또한, 패널가압유닛(60)은 연결로드(61)와 연결되어 연결로드(61)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평이동장치(6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수평이동장치(64)로는 유압 또는 공압으로 작동하는 액추에이터, 리니어모터 또는 볼스크류장치로 구성되어 연결로드(61)를 X축방향 및 Y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X-Y테이블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수평이동장치(64)는 연결로드(61)와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나,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장치(62)와 연결되어 승강장치(62)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통하여 연결로드(61)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수평이동장치(64)는 승강장치(62)를 통하여 연결로드(61)와 연결될 수 있다. 수평이동장치(64)는 연결로드(61)를 미세한 범위 내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수평이동장치(64)의 구동에 의하여 연결로드(61)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면, 연결로드(61)와 연결된 제1탑재부재(41)가 수평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제1탑재부재(41)에 탑재된 제1패널(P1)이 수평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제2탑재부재(42)에 탑재된 제2패널(P2)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제1패널(P1)의 수평방향으로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패널(P1)과 제2패널(P2)이 정확한 위치에서 합착될 수 있도록 제1패널(P1)과 제2패널(P2)이 서로 일렬로 정렬될 수 있다.
또한, 패널가압유닛(60)은 연결로드(61)와 연결되어 연결로드(61)에 가해지는 수직방향으로의 하중을 감지하는 하중측정센서(6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하중측정센서(65)로는 물리적인 하중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로드셀이 이용될 수 있다. 제1패널(P1)과 제2패널(P2)이 서로 합착되는 과정에서 하중측정센서(65)는 연결로드(61)에 가해지는 수직방향으로의 하중을 감지한다. 따라서, 측정된 하중을 근거로 하여 승강장치(62)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연결로드(61)의 상승높이를 제어하고, 이를 통하여, 제1패널(P1)과 제2패널(P2)이 서로 밀착되는 압력을 미리 설정된 최적범위 내로 유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패널(P1)과 제2패널(P2)이 서로 밀착되는 압력에 관한 최적범위는 실험이나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설정될 수 있다. 제1패널(P1)과 제2패널(P2)이 서로 밀착되는 압력은 제1패널(P1) 또는 제2패널(P)의 두께, 경도, 강도, 내충격성 등의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합착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패널(P1)과 제2패널(P2)이 서로 합착된 상태에서, 제1패널(P1)과 제2패널(P2) 사이의 페이스트 및 광학탄성수지를 경화시키는 경화유닛(7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경화유닛(70)은, 챔버유닛(10)에 마련된 투명창(19)을 통하여 합착된 제1패널(P1)과 제2패널(P2)을 향하여 경화용 광을 발광하는 발광장치(7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투명창(19)은 상부챔버(12)에 형성될 수 있고, 발광장치(71)는 투명창(19)에 인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발광장치(71)에서 발광된 광은 투명창(19)을 통하여 제1패널(P1)과 제2패널(P2) 사이의 페이스트 및 광학탄성수지에 조사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패널(P1)과 제2패널(P2) 사이의 페이스트 및 광학탄성수지가 경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발광장치(71)가 챔버유닛(10)의 외부에 배치되는 구성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발광장치(71)가 챔버유닛(10)의 내부에서 제1패널(P1)과 제2패널(P2) 사이의 페이스트 및 광학탄성수지에 광을 조사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는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합착장치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패널(P1) 및 제2패널(P2)의 합착공정을 감시하는 촬상유닛(8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촬상유닛(80)은, 챔버유닛(10)에 마련된 투명창(19)을 통하여 챔버유닛(10)의 내부에서의 제1패널(P1) 및 제2패널(P2)의 합착공정을 감시하는 카메라(81)와, 카메라(81)를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카메라이동장치(8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투명창(19)은 상부챔버(12)에 형성될 수 있고, 카메라(81)는 투명창에 인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카메라이동장치(82)는, 카메라(81)를 X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X축구동부(821)와, 카메라(81)를 Y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Y축구동부(822)와, 카메라(81)를 Z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Z축구동부(823)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X축구동부(821), Y축구동부(822) 및 Z축구동부(823)로는 유압 또는 공압으로 동작하는 액추에이터, 리니어모터 또는 볼스크류장치와 같은 직선이동기구가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카메라이동장치(82)의 동작에 의하여 카메라(81)가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투명창(19)을 통하여 챔버유닛(10) 내에서 수행되는 제1패널(P1)과 제2패널(P2)의 합착공정을 관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81)로부터 획득된 이미지로부터 제1패널(P1)과 제2패널(P2)이 서로 최적으로 정렬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패널(P1) 및 제2패널(P2)이 서로 최적으로 정렬되지 않는 경우에는, 패널가압유닛(60)의 회전장치(63) 또는 수평이동장치(64)가 동작하면서 제1패널(P1)과 제2패널(P2)이 정확한 위치에서 정렬될 수 있도록 제1패널(P1)의 회전위치 또는 수평방향으로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카메라(81)가 챔버유닛(10)의 외부에 배치되는 구성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카메라(81)가 챔버유닛(10)의 내부에서 제1패널(P1)과 제2패널(P2)의 합착공정을 관찰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는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합착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합착의 대상이 되는 제1패널(P1)과 제2패널(P2)이 외부로부터 반입되어 패널지지유닛(20)의 제1지지부재(21) 및 제2지지부재(22)에 각각 안착된다. 제1패널(P1)과 제2패널(P2)을 제1지지부재(21) 및 제2지지부재(22)로 이송시키기 위하여 로봇과 같은 이송수단이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지지부재(21)의 양측에 배치된 복수의 위치결정부재(23)가 위치결정부재이동장치(24)의 동작에 의하여 서로 인접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제1지지부재(21)상에 안착된 제1패널(P1)의 양측면은 복수의 위치결정부재(23)에 의하여 가압되며, 이에 따라, 제1패널(P1)은 제1지지부재(21)상의 정확한 위치에서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도포헤드(31)가 도포헤드이동장치(32)의 동작에 의하여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도포헤드(31)에 구비된 페이스트토출노즐(311)이 제1패널(P1)의 상면에 인접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포헤드(31)가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는 것과 동시에 페이스트가 토출되면서, 제1패널(P1)상에는 폐곡선 형상으로 페이스트가 도포된다.
그리고, 도포헤드(31)가 도포헤드이동장치(32)의 동작에 의하여 수평방향 및/또는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 것과 동시에, 도포헤드(31)에 구비된 광조사기(313)로부터 페이스트를 향하여 광이 조사되며, 이에 따라, 제1패널(P1)상에 도포된 페이스트가 일차적으로 경화될 수 있다.
그리고, 도포헤드(31)가 도포헤드이동장치(32)의 동작에 의하여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도포헤드(31)에 구비된 광학탄성수지토출노즐(312)이 제1패널(P1)의 상면에 인접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포헤드(31)가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는 것과 동시에 광학탄성수지가 토출되면서, 제1패널(P1)상의 페이스트의 패턴의 내부의 영역에 광학탄성수지가 도포된다.
그리고, 패널이송유닛(50)의 흡착부재(51)가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패널(P1)의 하면을 흡착하여 패널탑재유닛(40)의 로딩부재(43)로 이동시키면, 로딩부재(43)는 제1패널(P2)을 제1탑재부재(41)의 상면에 탑재시킨다. 그리고, 다시 흡착부재(51)가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이동하여 제2패널(P2)의 상면을 흡착하여 패널탑재유닛(40)의 로딩부재(43)로 이동시키면, 로딩부재(43)는 제2패널(P2)을 제2탑재부재(42)의 하면에 탑재시킨다.
그리고, 상부챔버(12)가 챔버승강장치(13)의 동작에 의하여 하강하여 하부챔버(11)에 밀착된 후, 진공펌프(15)의 구동에 의하여 챔버유닛(10)의 내부에 진공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패널가압유닛(60)의 승강장치(62)의 동작에 의하여 연결로드(61)가 상승하면, 연결로드(61)와 연결된 제1탑재부재(41)가 제2탑재부재(42)와 인접되는 방향으로 상승한다. 따라서, 제1탑재부재(41)와 제2탑재부재(42)에 각각 탑재된 제1패널(P1)과 제2패널(P2)이 서로 가압되면서 합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합착과정에서, 촬상유닛(80)에 의하여 제1패널(P1)이 제2패널(P2)과 정렬되었는지 여부가 감시될 수 있으며, 제1패널(P1)과 제2패널(P2)이 서로 정렬되지 아니한 경우에는, 패널가압유닛(60)의 회전장치(63) 또는 수평이동장치(64)가 동작하면서 제1패널(P1)과 제2패널(P2)이 정확한 위치에서 정렬될 수 있도록 제1패널(P1)의 회전위치 또는 수평방향으로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제1패널(P1)과 제2패널(P2)이 서로 합착된 상태에서, 경화유닛(70)의 동작에 의하여 제1패널(P1)과 제2패널(P2) 사이의 페이스트 및 광학탄성수지에 광이 조사되며, 이에 따라, 제1패널(P1)과 제2패널(P2) 사이의 페이스트 및 광학탄성수지가 경화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패널(P1)과 제2패널(P2)의 합착공정이 완료되면, 패널가압유닛(60)의 승강장치(62)의 동작에 의하여 연결로드(61)가 하강하면, 연결로드(61)와 연결된 제1탑재부재(41)가 제2탑재부재(42)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하강하며, 이에 따라, 합착된 제1패널(P1) 및 제2패널(P2)은 제1탑재부재(41)상에 위치된다.
그리고, 진공펌프(15)의 동작이 중지되고 챔버유닛(10) 내의 진공이 해제되면, 상부챔버(12)가 챔버승강장치(13)의 동작에 의하여 상승하면서, 상부챔버(12)는 하부챔버(13)로부터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다.
그리고, 패널이송유닛(50)의 흡착부재(51)가 하부챔버(11)와 상부챔버(12) 사이의 이격된 공간을 통하여 패널탑재유닛(40)으로 이동하여, 제1탑재부재(41)상에 위치된 합착된 제1패널(P1) 및 제2패널(P2)을 흡착한 후, 합착된 제1패널(P1) 및 제2패널(P2)을 패널탑재유닛(40)로부터 패널지지유닛(20)의 제1지지부재(21)상으로 이송한다.
그리고, 제1지지부재(21)상에 안착된 합착된 제1패널(P1) 및 제2패널(P2)은 로봇과 같은 이송수단에 의하여 다음의 공정을 위하여 외부로 반출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합착장치는, 제1패널(P1)에 페이스트를 도포하는 과정과, 제1패널(P1)에 광학탄성수지를 도포하는 과정과, 제1패널(P1)과 제2패널(P2)을 서로 합착시키는 과정을 하나의 장치에서 일괄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므로, 공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합착장치는, 제1패널(P1)을 고정시킨 후 페이스트 및 광학탄성수지를 도포할 수 있으므로, 제1패널(P1)상의 정확한 위치에 페이스트 및 광학탄성수지를 도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합착장치는, 촬상유닛을 이용하여 제1패널(P1)과 제2패널(P2)의 정렬여부를 감시하고, 제1패널(P1)과 제2패널(P2)이 서로 정렬되지 않는 경우에는, 제1패널(P1)의 회전위치 또는 수평방향으로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을 통하여 제1패널(P1)과 제2패널(P2)을 서로 일렬로 정렬시킬 수 있으므로, 제1패널(P1)과 제2패널(P2)의 합착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합착장치는, 하중측정센서를 이용하여 제1패널(P1)과 제2패널(P2)이 서로 밀착되는 압력을 측정하고, 측정된 압력을 근거로 하여 제1패널(P1)과 제2패널(P2)의 합착압력을 미리 설정된 최적범위 내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복수의 기술적 사상들은 개별적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서로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다.
10: 챔버유닛 20: 패널지지유닛
30: 도포유닛 40: 패널탑재유닛
50: 패널이송유닛 60: 패널가압유닛
70: 경화유닛 80: 촬상유닛

Claims (14)

  1. 제1패널 및 제2패널의 합착공정이 수행되는 챔버유닛;
    상기 챔버유닛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제1패널 및 상기 제2패널이 각각 외부로부터 반입되어 지지되는 패널지지유닛;
    상기 패널지지유닛에 지지된 상기 제1패널상에 페이스트 및 광학탄성수지를 도포하는 도포유닛;
    상기 챔버유닛 내에 배치되며 상기 제1패널 및 상기 제2패널이 서로 대향되게 탑재되는 패널탑재유닛;
    상기 패널지지유닛에 지지된 상기 제1패널 및 상기 제2패널을 상기 패널탑재유닛으로 이송하는 패널이송유닛; 및
    상기 제1패널 및 상기 제2패널을 서로 가압하여 상기 제1패널 및 상기 제2패널을 합착시키는 패널가압유닛을 포함하는 합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유닛은,
    상기 패널탑재유닛이 지지되는 하부챔버; 및
    상기 하부챔버의 상부에서 상기 하부챔버에 대하여 승강이 가능하게 배치되는 상부챔버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챔버에는 상기 상부챔버를 승강시키는 챔버승강장치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착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지지유닛은,
    상기 제1패널이 지지되는 제1지지부재;
    상기 제2패널이 지지되는 제2지지부재;
    상기 제1지지부재의 양측에 수평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위치결정부재; 및
    상기 복수의 위치결정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위치결정부재를 상기 제1지지부재상에 안착된 상기 제1패널의 양측면에 접촉되는 방향 및 상기 제1패널의 양측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위치결정부재이동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착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유닛은,
    상기 제1패널상으로 페이스트를 토출하는 페이스트토출노즐 및 상기 제1패널상으로 광학탄성수지를 토출하는 광학탄성수지토출노즐이 구비되는 도포헤드; 및
    상기 도포헤드를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도포헤드이동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착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헤드에는 상기 제1패널상에 도포된 페이스트를 경화시키는 광을 조사하는 광조사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착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헤드에는 상기 제1패널의 상면과 상기 페이스트토출노즐 사이의 간격 및 상기 제1패널의 상면과 상기 광학탄성수지토출노즐 사이의 간격을 측정하는 레이저변위센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착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이송유닛은,
    상기 제1패널 및 상기 제2패널이 상기 패널탑재유닛으로 이송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면 및 하면에 흡입홀이 형성되는 흡착부재; 및
    상기 흡착부재를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흡착부재이동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착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탑재유닛은,
    상기 제1패널이 탑재되는 제1탑재부재;
    상기 제1탑재부재의 상측에서 제1탑재부재에 대향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2패널이 탑재되는 제2탑재부재;
    상기 제1탑재부재와 상기 제2탑재부재 사이에서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1패널 및 상기 제2패널을 상기 제1탑재부재 및 상기 제2탑재부재에 각각 탑재하는 로딩부재; 및
    상기 로딩부재를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로딩부재이동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착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가압유닛은,
    상기 패널탑재유닛의 상기 제1탑재부재와 연결되는 연결로드; 및
    상기 연결로드를 승강시키는 승강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착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가압유닛은,
    상기 연결로드와 연결되어 상기 연결로드를 회전시키는 회전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착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가압유닛은,
    상기 연결로드와 연결되어 상기 연결로드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평이동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착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가압유닛은,
    상기 연결로드와 연결되어 상기 연결로드에 가해지는 수직방향으로의 하중을 측정하는 하중측정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착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패널과 상기 제2패널이 서로 합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패널과 상기 제2패널 사이의 페이스트 및 광학탄성수지를 경화시키는 경화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착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패널 및 상기 제2패널의 합착공정을 감시하는 촬상유닛을 더 포함하는 합착장치.
KR1020110131975A 2011-12-09 2011-12-09 합착장치 KR1013809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1975A KR101380978B1 (ko) 2011-12-09 2011-12-09 합착장치
TW101127412A TW201323171A (zh) 2011-12-09 2012-07-30 接合裝置
CN201210267027.8A CN103157579B (zh) 2011-12-09 2012-07-31 粘结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1975A KR101380978B1 (ko) 2011-12-09 2011-12-09 합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5217A true KR20130065217A (ko) 2013-06-19
KR101380978B1 KR101380978B1 (ko) 2014-04-02

Family

ID=48581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1975A KR101380978B1 (ko) 2011-12-09 2011-12-09 합착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380978B1 (ko)
CN (1) CN103157579B (ko)
TW (1) TW20132317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9308A (ko) * 2013-08-13 2015-02-25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슬릿노즐을 이용하는 도포층 형성방법 및 도포장치
CN106423743A (zh) * 2016-12-21 2017-02-22 东莞市天富励德实业有限公司 一种表盖点胶组装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0645B1 (ko) * 2013-04-22 2020-08-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제조 장치
CN104815785B (zh) * 2015-04-29 2017-04-19 深圳市智立方自动化设备有限公司 针头自动校位装置及针头自动校位方法
CN106733429B (zh) * 2017-01-16 2022-02-22 厦门力巨自动化科技有限公司 点胶贴合机
KR102570345B1 (ko) * 2017-07-17 2023-08-28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패널 합착용 인덱스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패널 합착 장치
CN110116077A (zh) * 2018-02-07 2019-08-13 纽豹智能识别技术(无锡)有限公司 一种多自由度可调式涂布机
CN113716383B (zh) * 2021-06-25 2024-04-26 重庆翰博显示科技研发中心有限公司 一种背光包边遮光胶带贴附治具
CN113682034B (zh) * 2021-09-15 2023-02-10 华北理工大学 一种建筑墙体防火板材压合装置
CN114669449B (zh) * 2022-03-30 2023-09-08 武汉德艺技研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plc分光器的半自动化生产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143C (zh) * 1994-12-28 2002-03-06 东丽株式会社 涂层方法与涂层设备
JP2002365647A (ja) 2001-06-04 2002-12-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及び装置
US7416010B2 (en) * 2002-03-08 2008-08-26 Lg Display Co., Ltd. Bonding apparatus and system for fabricating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N1932601A (zh) * 2002-06-11 2007-03-21 富士通株式会社 制造粘合基板的装置
JP3906753B2 (ja) * 2002-07-01 2007-04-18 株式会社日立プラントテクノロジー 基板組立て装置
JP4213610B2 (ja) * 2004-03-15 2009-01-21 富士通株式会社 貼合せ基板製造装置
KR101281123B1 (ko) * 2006-08-21 2013-07-02 엘아이지에이디피 주식회사 평판 표시패널용 기판합착장치
KR101401516B1 (ko) * 2007-05-23 2014-06-09 주성엔지니어링(주) 트레이 정렬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제조장치 및이를 이용한 트레이 정렬방법
KR100910398B1 (ko) * 2007-09-03 2009-08-04 주식회사 에이디피엔지니어링 입체영상용 디스플레이 패널 합착 장치 및 방법
WO2009063906A1 (ja) * 2007-11-16 2009-05-22 Ulvac, Inc. 貼合せ基板製造装置および貼合せ基板製造方法
JP5377899B2 (ja) * 2008-07-15 2013-12-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ペースト塗布機
JP5449876B2 (ja) * 2008-08-28 2014-03-19 東京応化工業株式会社 搬送装置
CN101422765B (zh) * 2008-11-26 2012-08-29 信利半导体有限公司 一种液晶显示屏樽口点胶机及点胶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9308A (ko) * 2013-08-13 2015-02-25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슬릿노즐을 이용하는 도포층 형성방법 및 도포장치
CN106423743A (zh) * 2016-12-21 2017-02-22 东莞市天富励德实业有限公司 一种表盖点胶组装装置
CN106423743B (zh) * 2016-12-21 2022-03-15 东莞市天富励德实业有限公司 一种表盖点胶组装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323171A (zh) 2013-06-16
KR101380978B1 (ko) 2014-04-02
CN103157579B (zh) 2017-03-01
CN103157579A (zh) 2013-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0978B1 (ko) 합착장치
KR101331872B1 (ko) 터치 디스플레이 패널 자동 합착 장치
KR101752020B1 (ko) 접착 장치, 판상 접착체의 제조 방법
KR101698049B1 (ko) 패널의 접착 방법 및 접착 장치
TWI538812B (zh) Panel attachment method and panel attachment
JP5456657B2 (ja) 平面表示装置の製造方法及びこのための貼り合わせ圧締装置
KR101052490B1 (ko) 어레이 테스트 장치
TW20040192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abricating bonded substrate
KR101126686B1 (ko) 패널 자세 조절장치 및 이를 갖는 패널 부착장치
US7063758B2 (en) Laminating apparatus and laminating method
KR102158033B1 (ko) 슬릿노즐을 이용하는 도포층 형성방법 및 도포장치
CN209531288U (zh) 面板粘合装置
JP2015535940A (ja) パネル取り付け装置
JP2002318378A (ja) 液晶表示装置の組み立て方法とその装置
KR20100037535A (ko) 리프트 핀
JP2012128247A (ja) 板状部材の貼り合せ方法及び貼り合せ装置
KR101578859B1 (ko)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조립체의 접합 장치
JP2011133774A (ja) 平面表示装置の製造方法及びこのための貼り付け装置
JP4933368B2 (ja) 液晶部品の製造方法
KR20070074269A (ko) 페이스트 도포장치의 디스펜스 헤드
JP2002216958A (ja) 貼合装置及び貼合方法
KR102571054B1 (ko) 패널 합착 장치 및 방법
KR101129032B1 (ko) 점착척 클리닝장치 및 방법
KR100994837B1 (ko) 대면적 디지털 센서를 구비한 맘모그래피
KR20180077928A (ko) 기판-글래스 합착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