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4102A - 엘리베이터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4102A
KR20130064102A KR1020137004378A KR20137004378A KR20130064102A KR 20130064102 A KR20130064102 A KR 20130064102A KR 1020137004378 A KR1020137004378 A KR 1020137004378A KR 20137004378 A KR20137004378 A KR 20137004378A KR 20130064102 A KR20130064102 A KR 201300641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door
detection mechanism
lock control
door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4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76821B1 (ko
Inventor
마사히코 고케츠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64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41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68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68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2Arrangements for effecting simultaneous opening or closing of cage and landing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66B3/02Position or depth indi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6Means for stopping the cars, cages, or skips at predetermined lev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4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B13/16Door or gate locking devices controlled or primarily controlled by condition of cage, e.g. movement or position
    • B66B13/18Door or gate locking devices controlled or primarily controlled by condition of cage, e.g. movement or position without manually-operable devices for completing locking or unlocking of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착상판정과 도어락 해제판정과의 정합성을 확보함으로써 안전성의 향상을 도모하고, 또한 공간절약화를 촉진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제공한다. 엘리베이터 장치(1)는 승강로(3) 내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칸(5)과, 도어락 제어기구(7)와, 엘리베이터칸 착상검지기구(9)를 구비한다. 엘리베이터 장치는 각각이 승강로에 고정되고 또한 대응하는 층에 마련되어 있는 복수의 피검지체(87)를 가진다. 복수의 피검지체는 도어락 제어기구와 엘리베이터칸 착상검지기구와의 쌍방을 구성하고 있다. 도어락 제어기구에는 엘리베이터칸과 함께 승강하도록 마련되고 또한 피검지체의 존재에 의하여 움직임으로써 도어의 락·언락 상태를 전환하는 가동체(61)가 포함된다. 엘리베이터칸 착상검지기구에는 엘리베이터칸과 함께 승강하도록 마련되고 또한 피검지체의 존재를 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89)가 포함되어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장치{ELEVATOR DEVICE}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고, 특히 도어락 제어 기능과 엘리베이터칸 착상(着床)검지 기능을 구비한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권상기가 승강로 내에 배치되는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보급함에 따라, 승강로 내에서의 엘리베이터 기기의 공간절약화가 요구되고 있다. 그 한편으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안전성의 확보나 확실한 기능의 확보를 제일로 고려할 필요도 있으며, 즉, 안전성·기능성을 확보하면서 공간절약화를 도모하는 것이 요구된다.
여기서 상기의 안전성 등의 확보에 관한 기구로서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우선, 엘리베이터 장치에는 엘리베이터칸이 층 바닥에 착상한 것을 검지하는 착상검지기구가 마련되어 있다. 이것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2002-29668호 공보에 개시된 착상검지기구가 있다. 이 기구에서는, 엘리베이터칸에 장착된 광전(光電) 스위치가 승강로 벽에 장착된 플레이트를 검지함으로써, 대응하는 층 바닥에 도착한 것을 인식하도록 되어 있다. 또, 일본국 특개2007-320717호 공보에는, 엘리베이터칸에 거리검출수단을 마련하고, 승강장 측의 문턱을 돌출시켜 두며, 거리 검출수단의 검출거리로부터 문턱의 위치를 검출하여, 최종적으로 착상판정을 행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 상기 기구와는 별도로, 엘리베이터 장치에는 정전이나 지진 등의 비상 상태에 있어서, 층 사이에서 엘리베이터칸이 정지했을 경우에, 승객이 수동으로 엘리베이터칸의 도어를 개방할 수 없도록 락(lock)되는 기구도 마련되어 있었다. 이것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표2008-528399호 공보에 개시된 도어락 제어기구가 있다. 이 기구에서는, 엘리베이터칸 프레임에 롤러 및 제1 래치(latch)가 마련되고, 도어에 제2 래치가 마련되며, 승강로에 플레이트가 마련된다. 그리고, 도어의 제2 래치가 엘리베이터칸 프레임의 제1 래치에 맞물려 있는 상태에서는 도어의 개폐가 락되고, 롤러가 승강로의 플레이트에 맞물렸을 때에만 엘리베이터칸 프레임의 제1 래치가 도어의 제2 래치로부터 벗어나, 도어를 열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기구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칸이 층 사이에서 비상 정지했을 경우에는, 엘리베이터칸 도어의 개폐가 락되어, 도어를 함부로 열리지 않도록 함으로써 승객을 보호하고 있었다.
그렇지만, 종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상기에 예시한 바와 같이, 착상검지기구, 도어락 제어기구의 각각의 구성부품을 엘리베이터칸 측 및 승강로 측의 쌍방에 배치할 필요가 있고, 게다가, 승강로 측의 구성부품은 거의 모든 층 바닥에 장착하기 때문에, 이들 기구의 설치에는 승강로 내에서 큰 공간을 차지해 버리는 문제가 있었다. 또, 착상검지기구가 엘리베이터칸의 착상을 인식한 것에 근거하여 엘리베이터칸 도어를 열려고 할 때에, 도어락 제어기구가 엘리베이터칸의 도어의 락을 해제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엘리베이터칸의 도어가 정상적으로 열리지 않고 승객이 갇히게 되는 문제도 있다. 이 때문에, 통상은, 도어락 제어기구에서의 락 해제범위를 착상검지기구에서의 착상인정범위보다도 넓게 하도록 설정함으로써, 이러한 문제에 대처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설정은, 다른 관점에서 보면, 착상하고 있지 않음에도 도어가 열릴 수 있는 범위가 존재하는 것을 의미하며, 결국은 착상인정범위와 도어락 해제범위와의 정합성(整合性)이 확보되어 있지 않다고 말할 수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2002-29668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국 특개2007-320717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국 특표2008-528399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착상판정과 도어락 해제판정과의 정합성을 확보함으로써 안전성의 향상을 도모하고, 또한, 공간절약화를 촉진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칸과, 도어락 제어기구와, 엘리베이터칸 착상검지기구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장치는 각각이 승강로에 고정되고 또한 대응하는 층에 마련되어 있는 복수의 피검지체를 가지며, 상기 복수의 피검지체는 상기 도어락 제어기구와 상기 엘리베이터칸 착상검지기구와의 쌍방을 구성하고 있고, 상기 도어락 제어기구에는 상기 엘리베이터칸과 함께 승강하도록 마련되며 또한 상기 피검지체의 존재에 의해 움직임으로써 상기 도어의 락·언락(lock·unlock) 상태를 전환하는 가동체가 포함되고, 상기 엘리베이터칸 착상검지기구에는 상기 엘리베이터칸과 함께 승강하도록 마련되며 또한 상기 피검지체의 존재를 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의하면, 착상판정과 도어락 해제판정과의 정합성을 확보함으로써 안전성의 향상을 도모하고, 또한, 공간절약화를 촉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엘리베이터칸이 층 바닥에 착상한 상태를 측방으로부터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엘리베이터칸을 정면 측으로부터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어락 제어기구에 관한 동작의 일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어락 제어기구에 관한 동작의 일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관한 엘리베이터칸 착상검지기구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관한 엘리베이터칸 착상검지기구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관한 엘리베이터칸 착상검지기구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첨부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면 중 동일부호는 동일 또는 대응 부분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실시형태 1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엘리베이터칸이 층 바닥에 착상한 상태를 측방으로부터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엘리베이터칸을 정면 측으로부터 나타내는 도면이다. 엘리베이터 장치(1)는 승강로(3) 내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칸(5)과, 도어락 제어기구(7)와, 엘리베이터칸 착상검지기구(9)를 구비하고 있다.
엘리베이터칸(5)은 엘리베이터칸 본체(11)와, 좌우 한 쌍의 도어패널(13)과, 그들 도어패널을 개폐하는 도어장치(15)를 포함하고 있다. 엘리베이터칸 본체(11)는 엘리베이터칸실(17)을 구비하고 있다. 엘리베이터칸실(17)은 도시하지 않은 주지의 엘리베이터칸 프레임의 내측에 배치된 천장, 측벽, 후벽, 수벽(袖壁, wing wall), 바닥 등의 엘리베이터칸실 구성부품으로 형성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칸실(17)의 정면 측(승강장 측)에는 엘리베이터칸실(17)에 대해서 이용자가 출입하는 승강구(19)가 마련되어 있다.
도어장치(15)는 도어빔(21), 좌우 한 쌍의 도어행거(23), 복수의 롤러(25), 레일(27), 구동모터(29), 좌우 한 쌍의 풀리(31), 드라이브벨트(33)를 구비하고 있다. 한 쌍의 도어패널(13)은 각각 대응하는 한 쌍의 도어행거(23)의 하단에 장착되어 매달려 지지되어 있다. 각 도어행거(23)에는 좌우 한 쌍의 롤러(25)가 장착되어 있다. 도어빔(21)에는 좌우로 연장하는 레일(27)이 마련되어 있고, 복수의 롤러(25)는 레일(27)의 상면에 전동(轉動) 가능하게 맞물려 당해 레일(27)을 따라서 안내된다.
도어빔(21)에서의 레일(27)의 위쪽에는 좌우방향으로 크게 떨어진 한 쌍의 풀리(31)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고, 그 중의 한쪽의 풀리(31)에는 구동모터(29)가 동력전달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 좌우 한 쌍의 풀리(31)의 주위에는 드라이브벨트(33)가 감겨 있다. 또한, 드라이브벨트(33)에는 앞서 설명한 한 쌍의 도어행거(23)가 지지되어 있다.
도어장치(15)에서는 구동모터(29)의 구동력이 한 쌍의 풀리(31)를 통하여 드라이브벨트(33)에 전달되고, 드라이브벨트(33)가 순환 구동됨으로써, 한 쌍의 도어행거(23)에 지지되는 한 쌍의 도어패널(13)이 개폐방향으로 구동된다.
또, 한 쌍의 도어패널(13)의 저부에는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가이드슈(35)가 마련되어 있고, 한 쌍의 도어패널(13)의 아래쪽에는 안내홈(37)을 구비한 문턱(39)이 마련되어 있다. 가이드슈(35)와 안내홈(37)이 맞물림으로써 한 쌍의 도어패널(13)의 하부는 문턱(39)에 의해 안내된다.
또, 승강장 측에도, 엘리베이터칸 측과 동일한, 한 쌍의 도어패널(41), 도어빔(43), 한 쌍의 도어행거(45), 롤러(47), 레일(49), 가이드슈(51), 안내홈(53) 및 문턱(55)이 마련되어 있으며, 엘리베이터칸 측의 도어패널(13)의 개폐에 맞추어, 승강장 측의 도어패널(41)의 개폐가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도어락 제어기구(7)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어락 제어기구(7)는 주로 엘리베이터칸 본체(11)와 일체적으로 마련된 구성요소와, 각 도어패널(13)과 일체적으로 움직이도록 마련된 구성요소와, 승강로(3)와 일체적으로 마련된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엘리베이터칸 본체(11)와 일체적으로 마련된 구성요소로서는, 후술하는 가동체로서 기능하는 레버 어셈블리(61)가 있다. 레버 어셈블리(61)는 엘리베이터칸 본체(11)와 일체적인 도어장치(15)의 도어빔(21)에 장착되고, 도어빔(21)상에서 정지한 제1 힌지점(63)을 가진다. 레버 어셈블리(61)에는 기본적으로 3개의 레버가 마련되어 있다. 그들 중 2개의 레버인 제1 레버(65) 및 슬라이더 로드(67)가 제1 힌지점(63)에 힌지 연결되어 있다.
제1 레버(65)에서의 제1 힌지점(63)과의 반대 측 끝단에는 제2 힌지점(69)이 있고, 거기에는 제1 롤러(71)가 장착되어 있다. 슬라이더 로드(67)에는 슬라이더(73)가 장착되어 있다. 이 슬라이더(73)는 슬라이더 로드(67)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슬라이더(73)에는 제3 힌지점(75)이 마련되어 있다. 제3 힌지점(75)에는 제2 롤러(77)가 장착되어 있다. 3개의 레버 중 나머지 하나인 제2 레버(79)는 그 일단이 제2 힌지점(69)에 의하여 제1 레버(65)에 접속되고, 타단이 제3 힌지점(75)에 의하여 슬라이더(73)에 접속되어 있다. 또, 슬라이더 로드(67)에는 제1 래치(81)가 일체적으로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레버 어셈블리(61)에서는, 슬라이더(73)가 슬라이더 로드(67)에 대하여 슬라이드함으로써, 제3 힌지점(75)과 제1 힌지점(63)과의 거리가 변화하도록 되어 있다. 또, 그에 수반하여, 제1 힌지점(63)에 대한 제2 힌지점(69)의 위치도 변화하고, 또한, 제1 레버(65)와 제2 레버(79)와의 이루는 각도도 변화하도록 되어 있다.
각 도어패널(13)과 일체적으로 움직이도록 마련된 구성요소로서는, 제2 래치(83)와 캠(85)이 있다. 제2 래치(83) 및 캠(85)은 도어장치(15)의 대응하는 도어행거(23)에 장착되어 있다.
캠(85)은 한 쌍의 경사부(85a, 85c)와, 그들 경사부 사이를 연결하는 평탄부(85b)를 가진다. 캠(85)은 그 경사부(85a)가 도어열림방향 측에 위치하고, 평탄부(85b)가 수평으로 연장되도록 하여 마련되어 있다.
승강로(3)와 일체적으로 마련된 구성요소로서는, 후술하는 피검지체로서 기능하는 복수의 플레이트(87)가 있다. 플레이트(87)는 각각 승강로(3)의 내벽면에서의 대응하는 층의 승강장 위쪽에 고정되어 있고, 엘리베이터칸(5)이 어느 하나의 층 바닥에 착상했을 때에만 레버 어셈블리(61)가 대응하는 플레이트(87)와 서로 마주 보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어락 제어기구(7)의 동작에 대해서 도 2 ~ 도 4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는 도어락 제어기구에 관한 동작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우선, 엘리베이터칸(5)이 어느 하나의 층 바닥에 착상했을 때에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응하는 층의 플레이트(87)가 레버 어셈블리(61)와 서로 마주 보도록 하는 상태가 얻어진다. 이 상태로부터, 도어장치(15)의 작용에 의하여, 도어패널(13)이 화살표(R)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어열림방향으로 구동되면, 캠(85)과 제2 래치(83)도 도어패널(13)과 함께 도어열림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때, 캠(85)과 맞닿는 제1 롤러(71)도 캠(85)에 밀려 도어열림방향으로 이동하며, 또한, 캠(85)의 이동에 수반하는 제2 힌지점(69)의 이동 및 제2 레버(79)의 기울기 변화에 의하여 제2 롤러(77)도 도어열림방향으로 이동한다.
제2 롤러(77)가 소정 거리 도어열림방향으로 이동하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롤러(77)는 플레이트(87)의 표면(87a)과 맞닿는다. 그 상태로부터 도어패널(13)이 도어열림방향(R)으로 더 구동되면, 캠(85)도 도어열림방향(R)으로 이동하지만, 제2 롤러(77)와 플레이트(87)와의 맞닿음 및 캠(85)에서 제1 롤러(71)가 맞닿는 경사부(85a)의 존재에 의하여,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롤러(77)가 화살표(T)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레이트(87)의 표면(87a)을 따라서 위쪽으로 진행하고, 레버 어셈블리(61) 전체는 제1 힌지점(63)을 중심으로 화살표(S)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한다. 또, 이 때, 제1 래치(81)도 레버 어셈블리(61)와 함께 회전한다. 이것에 의하여, 제1 래치(81)가 제2 래치(83)로부터 벗어나게 되기 때문에, 이후, 도어패널(13)은 도어열림방향(R)으로 더 이동할 수 있게 되며, 즉, 도어락 제어기구(7)는 언락 상태가 되어, 도어의 락이 해제된다.
이것에 대하여, 엘리베이터칸(5)이 어느 하나의 층 바닥에 착상하고 있지 않는(층 사이에 있는) 상태에서는, 즉, 어느 플레이트(87)도 레버 어셈블리(61)와 서로 마주 보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어패널(13)을 도어열림방향(R)으로 이동시켰을 경우, 다음과 같은 동작이 발생한다. 우선, 전폐(全閉)해 있었던 상태로부터, 도어장치(15)의 작용에 의하여, 도어패널(13)이 화살표(R)로 나타내는 도어열림방향으로 구동되면, 처음은, 상기와 마찬가지로, 도어패널(13), 캠(85), 제2 래치(83), 제1 롤러(71), 제2 롤러(77)가 도어열림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러나, 제2 롤러(77)는 어느 플레이트(87)와도 맞닿지 않으므로, 레버 어셈블리(61)가 충분히 화살표(S)의 방향으로 회전하지 못하며, 최종적으로 제2 래치(83)가 제1 래치(81)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즉, 도어락 제어기구(7)는 락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어느 플레이트(87)도 레버 어셈블리(61)와 서로 마주 보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어패널(13)은 초기동작으로서 약간 도어열림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에 머물러, 닫힌 상태로 유지된다.
이와 같이, 복수의 플레이트(87)는 각각, 승강로에 고정되고 또한 대응하는 층에 마련되며, 도어락 제어기구(7)를 구성하는 피검지체로서 기능하고, 레버 어셈블리(61)는 엘리베이터칸(5)과 함께 승강하도록 마련되며 또한 플레이트(87)의 존재에 의해서 움직임으로써 도어패널(13)의 락·언락 상태를 전환하는 가동체로서 기능하고 있다.
다음으로, 엘리베이터칸 착상검지기구(9)에 대하여 설명한다. 엘리베이터칸 착상검지기구(9)는 앞서 설명한 복수의 플레이트(87)와, 적어도 하나의 센서(89)를 포함하고 있다. 센서(89)는 엘리베이터칸(5)과 함께 승강하도록 마련되어 있으며,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어장치(15)의 도어빔(21)에 고정되어 있다. 또, 센서(89)는 엘리베이터칸(5)이 어느 하나의 층 바닥에 착상했을 때, 플레이트(87)의 이면(87b)과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있다.
센서(89)는 플레이트(87)의 존재를 검지하는 것이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광검지형 센서를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센서는 광검지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다른 예를 나타내면, 시-쓰루(see-through) 구조의 승강로 등에서 외광(外光)에 의한 오동작이 염려되는 케이스에서는, 자기(磁氣)검지형 센서를 이용하는 것도 유효하다. 플레이트(87)는 센서(89) 및 레버 어셈블리(61) 쌍방으로부터 검지대상으로 되어 있으며, 즉, 도어락 제어기구(7) 및 엘리베이터칸 착상검지기구(9) 쌍방을 구성하고 있다. 또 플레이트(87)는 엘리베이터 제어반(91)에 접속되어 있으며, 검지결과는 엘리베이터 제어판(91)으로 보내진다.
다음으로, 엘리베이터칸 착상검지기구와 도어락 제어기구와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어락 제어기구(7)와, 엘리베이터칸 착상검지기구(9)는, 엘리베이터칸(5)이 어느 하나의 층 바닥에 착상했을 때에, 대응하는 플레이트(87)를 사이에 두고, 플레이트(87)의 표리(表裏)방향에서 서로 반대 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 도어락 제어기구(7)와, 엘리베이터칸 착상검지기구(9)는 엘리베이터칸(5)을 구성하는 장치 중 동일한 장치에 장착되어 있고, 구체적으로는, 도어장치(15)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도어락 제어기구(7)의 레버 어셈블리(61)와, 엘리베이터칸 착상검지기구(9)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89)는 상하방향의 동일한 높이위치에 마련되어 있어, 서로 마주 보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형태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엘리베이터칸(5)이 어느 하나의 층 바닥에 착상하여 플레이트(87)가 센서(89)와 서로 마주보면, 엘리베이터칸 착상검지기구(9)에 의해 엘리베이터칸의 착상이 인정되고, 그에 의해서 도어패널(13)을 여는 제어가 행해진다. 이 때, 플레이트(87)가 센서(89)와 서로 마주보고 있을 때에는 반드시 도어락 제어기구(7)의 레버 어셈블리(61)도 또한 마찬가지로 플레이트(87)와 서로 마주보게 되어 있다. 따라서, 도어패널(13)이 열릴 때에는 도어락 제어기구(7)가 언락 상태가 되며, 최종적인 도어패널(13)의 개방상태가 얻어진다. 또, 비상시에 예를 들면 수동으로 도어패널(13)을 여는 경우에도, 엘리베이터칸(5)이 어느 하나의 층 바닥에 착상만 하고 있으면, 플레이트(87)가 센서(89) 및 레버 어셈블리(61)의 쌍방과 서로 마주보게 되므로, 도어락 제어기구(7)의 언락 상태가 얻어지며, 도어패널(13)의 개방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한편, 엘리베이터칸(5)이 어느 하나의 층 바닥에 착상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레버 어셈블리(61)의 정면에 어느 플레이트(87)도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도어락 제어기구(7)는 락 상태로 유지되어 있으며, 만일 비상시에 수동으로 도어패널(13)을 열려고 해도 도어패널(13)이 최종적인 개방 상태가 되지 않아, 비착상 상태에서의 의도하지 않는 도어패널의 개방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상으로부터, 본 실시형태에 관한 엘리베이터 장치에 의하면, 엘리베이터칸 착상검지기구와 도어락 제어기구가 공통의 복수의 피검지체를 이용함으로써, 층 바닥마다 마련되는 다수 부품이 큰 폭으로 삭감되고, 공간절약화를 촉진할 수 있으며, 또한, 엘리베이터칸 착상검지와 도어락 제어가 하나의 피검지체와의 관계에 의거하기 때문에, 착상판정과 도어락 해제판정과의 정합성이 확보되고, 안전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도어락 제어기구 및 엘리베이터칸 착상검지기구는 플레이트를 사이에 두고 당해 플레이트의 표리방향에서 서로 반대 측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도어락 제어기구와, 피검지체와, 엘리베이터칸 착상검지기구를 일렬로 늘어서 배치할 수 있고, 엘리베이터칸과 승강장 등과의 틈새의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사용하는 배치가 가능하게 되며, 그에 의해서도 공간절약화를 보다 한층 도모할 수 있다.
또, 도어락 제어기구와, 엘리베이터칸 착상검지기구는 엘리베이터칸을 구성하는 장치 중 동일한 장치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도어락 제어기구의 가동체와, 엘리베이터칸 착상검지기구의 센서와의 위치를 출하시에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설치시에는 승강로 내의 피검지체를 조정하는 것만으로 도어락 제어기구, 엘리베이터칸 착상검지기구 및 피검지체의 위치결정을 완료시키는 것도 가능하게 되며, 설치시의 노동력 절약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출하 전의 공장에서 대부분의 위치조정이 확보되므로, 정밀도를 큰 폭으로 향상시키는 것도 가능하게 되었다. 또, 도어장치는 도어패널의 상부에 배치되고, 승객이 타고 내리는 승강구의 상부에 배치되는 것이 많은 바, 본 실시형태와 같이 도어락 제어기구 및 엘리베이터칸 착상검지기구가 함께 도어장치에 장착되어 있으면, 만일, 엘리베이터칸이 승강장 측으로 기울었을 경우에도 착상 정밀도 악화를 최소한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엘리베이터칸 측의 도어장치의 전면과 승강장 측의 도어와의 틈새를 사용함으로써, 공간절약화를 실현할 수도 있다.
또, 도어락 제어기구의 레버 어셈블리와, 엘리베이터칸 착상검지기구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상하방향으로 동일한 높이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플레이트의 길이가 도어락 해제범위에도 있고 착상인정범위에도 있기 때문에, 도어락 해제범위와 착상인정범위를 보다 확실히 일치시킬 수 있으며, 즉, 착상하고 있지 않음에도 도어가 열릴 수 있는 범위가 존재한다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다음으로, 도 5에 근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실시형태 2에 관한 엘리베이터칸 착상검지기구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는 상기 실시형태 1에서 엘리베이터칸 착상검지기구를 다음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구성한 것이고, 다른 부분의 구성은 실시형태 1과 동일한 것으로 한다. 엘리베이터칸 착상검지기구(109)는 피검지체로서 기능하는 복수의 플레이트(187)와, 한 쌍의 센서(189a, 189b)를 포함하고 있다. 플레이트(187)는 각각 승강로(3)와 일체적으로 마련되고, 엘리베이터칸(5)이 대응하는 층 바닥에 착상했을 때에 레버 어셈블리(61) 및 센서(189a, 189b)와 서로 마주 보도록 마련되어 있다. 센서(189a, 189b)는 모두 엘리베이터칸과 함께 승강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레버 어셈블리(61)와 센서(189a, 189b)는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플레이트(187)는 센서마다 대응한 복수의 검지대상부를 가지고 있고, 구체적으로는, 플레이트(187)의 이면(87b)에 제1 센서(189a)에 대응한 제1 대상부(193a)와, 제2 센서(189b)에 대응한 제2 대상부(193b)를 가지고 있다. 제1 대상부(193a)의 상단(195a)은 제2 대상부(193b)의 상단(195b)보다도 위쪽의 위치에 있고, 제1 대상부(193a)의 하단(197a)은 제2 대상부(193b)의 하단(197b)보다도 위쪽의 위치에 있다. 엘리베이터칸 착상검지기구(109)는 제1 대상부(193a) 및 제2 대상부(193b) 중 적어도 한쪽이 검지되어 있는 상태를 엘리베이터칸의 착상범위에 있다고 인정한다.
본 실시형태 2에 의하면, 실시형태 1에 관한 이점에 더하여, 또한, 엘리베이터칸의 승강방향을 따라서 복수의 센서의 검지 타이밍이 다르므로, 이것을 이용하여, 복수의 센서 고장의 유무와 그 고장 개체의 특정을 감시할 수 있다는 이점도 얻어진다.
실시형태 3
다음으로, 도 6에 근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실시형태 3에 관한 엘리베이터칸 착상검지기구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는 상기 실시형태 1에 대해 엘리베이터칸 착상검지기구를 다음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구성한 것이고, 다른 부분의 구성은 실시형태 1과 동일한 것으로 한다. 엘리베이터칸 착상검지기구(209)는 피검지체로서 기능하는 복수의 플레이트(287)와, 한 쌍의 센서(289a, 289b)를 포함하고 있다. 플레이트(287)는 각각 승강로(3)와 일체적으로 마련되며, 엘리베이터칸(5)이 대응하는 층 바닥에 착상했을 때에 레버 어셈블리(61) 및 센서(289a, 289b)와 서로 마주 보도록 마련되어 있다. 센서(289a, 289b)는 모두 엘리베이터칸과 함께 승강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레버 어셈블리(61)와 센서(289a, 289b)와는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플레이트(287)는 센서마다 대응한 복수의 검지 대상부를 가지고 있고, 구체적으로는, 플레이트(287)의 이면(87b)에 제1 센서(289a)에 대응한 제1 대상부(293a)와, 제2 센서(289b)에 대응한 제2 대상부(293b)를 가지고 있다. 제1 대상부(293a)의 상단(295a) 및 하단(297a)은 제2 대상부(293b)의 상단(295b) 및 하단(297b)과 상하위치가 맞춰져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대상부(293a)의 상단(295a) 및 제2 대상부(293b)의 상단(295b)은 모두 플레이트(287)의 상단에 이르고 있으며, 제1 대상부(293a)의 하단(297a) 및 제2 대상부(293b)의 하단(297b)은 모두 플레이트(287)의 하단에 이르고 있다. 엘리베이터칸 착상검지기구(209)는 제1 대상부(293a) 및 제2 대상부(293b)의 쌍방이 검지되어 있는 상태를 엘리베이터칸의 착상범위에 있다고 인정한다.
본 실시형태 3에 의하면 실시형태 1에 관한 이점에 더하여,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 우선,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복수의 센서 검지 타이밍이 맞춰져 있고, 이것을 이용하여 복수의 센서 고장의 유무를 감시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하나의 센서가 고장에 의해 상시 온 상태로 되었다 해도 복수의 센서의 검지상태가 맞춰져 않는 한, 착상범위를 인정하지 않기 때문에, 고장난 센서의 검지상태에 이끌려 착상범위를 본래의 범위보다도 넓게 오인정(誤認定)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실시형태 4
다음으로, 도 7에 근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실시형태 4에 관한 엘리베이터칸 착상검지기구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는 상기 실시형태 1에서 엘리베이터칸 착상검지기구를 다음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구성한 것이고, 다른 부분의 구성은 실시형태 1과 동일한 것으로 한다. 엘리베이터칸 착상검지기구(309)는 피검지체로서 기능하는 복수의 플레이트(387)와, 한 쌍의 센서(389a, 389b)를 포함하고 있다. 플레이트(387)는 각각 승강로(3)와 일체적으로 마련되며, 엘리베이터칸(5)이 대응하는 층 바닥에 착상했을 때에 레버 어셈블리(61) 및 센서(389a, 389b)와 서로 마주 보도록 마련되어 있다. 센서(389a, 389b)는 모두 엘리베이터칸과 함께 승강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레버 어셈블리(61)와 센서(389a, 389b)는 동일한 높이로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플레이트(387)는 센서마다 대응한 복수의 검지 대상부를 가지고 있고, 구체적으로는, 플레이트(387)의 이면(87b)에, 제1 센서(389a)에 대응한 제1 대상부(393a)와, 제2 센서(389b)에 대응한 제2 대상부(393b)를 가지고 있다. 제1 대상부(393a)의 상단 및 제2 대상부(393b)의 상단은 모두 플레이트(387)의 상단에 이르고 있으며, 제1 대상부(393a)의 하단 및 제2 대상부(393b)의 하단은 모두 플레이트(387)의 하단에 이르고 있다.
센서(389a, 389b)에는 서로 종류가 다른 것이 채용되어 있다. 일례를 나타내면, 제1 센서(389a)는 자기 검출형 센서이고, 제2 센서(389b)는 반사광 검출형 센서이다. 또, 이것에 대응하여, 제1 대상부(393a)는 자석판으로 구성되고, 제2 대상부(393b)는 제2 센서(389b)로부터 조사된 일정 주파수의 광을 반사광으로서 당해 제2 센서(389b)에 반사하는 반사판으로 구성된다.
본 실시형태 4에 의하면, 실시형태 1에 관한 이점에 더하여, 서로 종류가 다른 복수의 센서를 더 구비함으로써, 여러 가지 설치환경에 대하여 복수의 센서가 동시에 영향을 받는 것을 적게 하여, 보다 안정된 착상검지를 확보할 수가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 4로서는, 실시형태 2나 실시형태 3에서 복수의 센서를 서로 종류가 다른 것으로 구성하여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본적 기술 사상 및 교시(敎示)에 근거하여, 당업자라면 여러 가지의 개변(改變) 형태를 채용할 수 있는 것은 자명하다.
1: 엘리베이터 장치 3: 승강로
5: 엘리베이터칸 7: 도어락 제어기구
9, 109, 209, 309: 엘리베이터칸 착상검지기구
11: 엘리베이터칸 본체 13: 도어패널
15: 도어장치 61: 레버 어셈블리(가동체)
87, 187, 287, 387: 플레이트(피검지체)
89, 189a, 189b, 289a, 289b, 389a, 389b: 센서

Claims (8)

  1.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칸과, 도어락 제어기구와, 엘리베이터칸 착상(着床)검지기구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장치는 각각이 승강로에 고정되고 또한 대응하는 층에 마련되어 있는 복수의 피검지체를 가지고,
    상기 복수의 피검지체는 상기 도어락 제어기구와 상기 엘리베이터칸 착상검지기구와의 쌍방을 구성하고 있으며,
    상기 도어락 제어기구에는 상기 엘리베이터칸과 함께 승강하도록 마련되고 또한 상기 피검지체의 존재에 의하여 움직임으로써 상기 도어의 락·언락(lock·unlock) 상태를 전환하는 가동체가 포함되며,
    상기 엘리베이터칸 착상검지기구에는 상기 엘리베이터칸과 함께 승강하도록 마련되고 또한 상기 피검지체의 존재를 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포함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검지체는 플레이트 형상의 부재이고,
    상기 도어락 제어기구 및 엘리베이터칸 착상검지기구는 상기 피검지체를 사이에 두고, 이 피검지체의 표리(表裏)방향에서 서로 반대 측에 배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도어락 제어기구와, 상기 엘리베이터칸 착상검지기구는 상기 엘리베이터칸을 구성하는 장치 중 동일한 장치에 장착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칸은 엘리베이터칸 본체와, 도어패널과, 이 도어패널을 개폐하는 도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락 제어기구 및 엘리베이터칸 착상검지기구는 모두 상기 도어장치에 장착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5. 청구항 1 내지 4에 있어서,
    상기 도어락 제어기구의 상기 가동체와, 상기 엘리베이터칸 착상검지기구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상하방향의 동일한 높이 위치에 마련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6.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칸 착상검지기구는 복수의 상기 센서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피검지체에는 상기 센서마다 대응한 복수의 검지 대상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복수의 검지 대상부에는 제1 대상부와, 제2 대상부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제1 대상부의 상단은 상기 제2 대상부의 상단보다도 위쪽의 위치에 있으며, 상기 제1 대상부의 하단은 상기 제2 대상부의 하단보다도 위쪽의 위치에 있고,
    상기 엘리베이터칸 착상검지기구는 상기 제1 대상부 및 상기 제2 대상부 중 적어도 한쪽이 검지되어 있는 상태를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착상범위에 있다고 인정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7.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칸 착상검지기구는 복수의 상기 센서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피검지체에는 상기 센서마다 대응한 복수의 검지 대상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복수의 검지 대상부는 서로의 상단 및 하단의 위치가 맞춰져 있고,
    상기 엘리베이터칸 착상검지기구는 상기 제1 대상부 및 상기 제2 대상부 쌍방이 검지되어 있는 상태를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착상범위에 있다고 인정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8.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칸 착상검지기구는 복수의 상기 센서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피검지체에는 상기 센서마다 대응한 복수의 피검지 대상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복수의 센서는 서로 종류가 다른 센서인 엘리베이터 장치.
KR1020137004378A 2010-08-24 2010-08-24 엘리베이터 장치 KR1013768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0/064252 WO2012025992A1 (ja) 2010-08-24 2010-08-24 エレベータ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4102A true KR20130064102A (ko) 2013-06-17
KR101376821B1 KR101376821B1 (ko) 2014-03-20

Family

ID=45723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4378A KR101376821B1 (ko) 2010-08-24 2010-08-24 엘리베이터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610205A4 (ko)
JP (1) JP5436680B2 (ko)
KR (1) KR101376821B1 (ko)
CN (1) CN103068713B (ko)
WO (1) WO20120259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R201903994T4 (tr) * 2014-03-19 2019-04-22 Wittur Holding Gmbh Asansör kapıları için bloklama sistemi ve grubu.
US11390492B2 (en) 2018-05-01 2022-07-19 Otis Elevator Company Method and assembly for positioning an elevator door interlock
CN110371832B (zh) * 2019-08-01 2020-09-04 绍兴金盾人防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人防工程用防护门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62823C (de) * 1941-09-04 1953-01-12 Westinghouse Electric Corp Aufzugssteuersystem
US4245721A (en) * 1978-12-18 1981-01-20 Otis Elevator Company Floor distance sensor for an elevator car
JPS63208484A (ja) * 1987-02-25 1988-08-29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サービス エレベ−タの位置検出装置
JPH0275578A (ja) * 1988-09-09 1990-03-15 Toshiba Corp エレベータの位置検出装置
JPH05338949A (ja) * 1992-06-04 1993-12-21 Mitsubishi Electric Corp かご位置検出装置
DE59606480D1 (de) * 1995-06-30 2001-04-05 Inventio Ag Einrichtung zur Erzeugung von Schachtinformation
JPH11209040A (ja) * 1998-01-20 1999-08-03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装置
US6220396B1 (en) * 2000-03-10 2001-04-24 Thyssen Dover Elevator Door restrictor apparatus for elevators
JP2002029668A (ja) 2000-07-11 2002-01-29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着床装置
JP2003118957A (ja) * 2001-10-10 2003-04-23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
CN1225395C (zh) * 2002-07-29 2005-11-02 张广兴 防坠落防剪切电梯安全门锁控制系统
WO2006080094A1 (en) * 2005-01-28 2006-08-03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Elevator car door locking apparatus
JP2007031084A (ja) * 2005-07-27 2007-02-08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着床装置
JP4869790B2 (ja) 2006-06-01 2012-02-08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かご位置検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6821B1 (ko) 2014-03-20
JP5436680B2 (ja) 2014-03-05
WO2012025992A1 (ja) 2012-03-01
JPWO2012025992A1 (ja) 2013-10-28
CN103068713A (zh) 2013-04-24
EP2610205A4 (en) 2017-08-23
CN103068713B (zh) 2015-06-24
EP2610205A1 (en) 2013-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4825B1 (ko)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
US8746412B2 (en) Elevator door frame with electronics housing
KR101376821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WO2007066375A1 (ja) エレベータのドア安全装置
KR101217326B1 (ko) 엘리베이터의 도어장치
JP5714655B2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KR20100102158A (ko) 승강기 문을 위한 잠금 시스템
JP2012153450A (ja)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WO2011010377A1 (ja) スライドドア装置及びエレベータ
JPWO2008146360A1 (ja) スライドドア装置及びエレベータ
KR102047506B1 (ko)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
JP6055502B2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JP6556028B2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JP2005145610A (ja) エレベータのエプロン装置
JP2011011896A (ja) 出入口装置及びエレベータ装置
JP2014024629A (ja) エレベータ装置
EP2070859B1 (en) Elevator system
JP2006044889A (ja) 避難用エレベータ装置
JP5319712B2 (ja) エレベータの戸開走行防止装置
CN114787069A (zh) 电梯以及电梯的控制方法
JP2010143670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EP4008665B1 (en) Safety exit assembly for elevator car, and elevator system
JP2010018389A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2010159121A (ja) エレベータ
KR101795899B1 (ko)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