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2158A - 승강기 문을 위한 잠금 시스템 - Google Patents

승강기 문을 위한 잠금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2158A
KR20100102158A KR1020107015681A KR20107015681A KR20100102158A KR 20100102158 A KR20100102158 A KR 20100102158A KR 1020107015681 A KR1020107015681 A KR 1020107015681A KR 20107015681 A KR20107015681 A KR 20107015681A KR 20100102158 A KR20100102158 A KR 201001021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ensor
reference element
elevator
locking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5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베리 케이 엄바우
Original Assignee
인벤티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벤티오 아게 filed Critical 인벤티오 아게
Publication of KR20100102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21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4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B13/16Door or gate locking devices controlled or primarily controlled by condition of cage, e.g. movement or position
    • B66B13/165Door or gate locking devices controlled or primarily controlled by condition of cage, e.g. movement or position electrical

Abstract

본 발명은 승강기 문, 특히 승강기 승강실 (1) 의 승강실 문 (5) 및/또는 통로 문을 위한 잠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이 잠금 시스템은, 잠금해제 상태에서 승강기 문의 열림을 가능하게 하고 잠금 상태에서는 승강기 문의 열림을 제한, 특히 방지하는 잠금 장치; 기준 요소 (18); 승강기 승강실 (1) 이 통로 문에 대한 허용가능 위치에 있을 때 특히 기계식, 전기식, 자기식, 음향식 및/또는 광학식으로 상기 기준 요소 (18) 와 정해진 대로 상호 작용하게 되는 상대 요소 (15.1; 152); 기준 요소와 상대 요소 (15.1; 152) 가 상호 작용하면 바람직하게는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 (20); 및 상기 신호에 따라 잠금 장치를 잠금 상태에서 잠금해제 상태로 전환시키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며, 기준 요소 (18) 는 바람직하게 통로 문에 배치된다.

Description

승강기 문을 위한 잠금 시스템{LOCKING SYSTEM FOR A LIFT DOOR}
본 발명은 승강기 문, 특히 승강기 승강실의 승강실 문 및/또는 통로 문을 위한 잠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잠금 시스템의 경우에, 승강기 승강실의 위치에 의존하는 상대 요소와 기준 요소 간의 상호 작용은 승강기 문의 잠금해제를 위한 조건이 된다.
승강기 승강실이 층 높이에 위치해 있지 않을 때, 다수의 통로 문 사이에서 통로 안에서 이동할 수 있는 승강기 승강실의 승강실 문이 열리게 되면, 승강기의 탑승자가 승강기 승강실과 통로 벽 사이에 끼여 부상을 입을 위험이 있다. 또한 탑승자가 통로 문을 연다면 통로 안으로 떨어질 위험이 있다. 따라서, 기계적인 잠금 시스템이 예컨대 EP 1 541 517 A1 에 알려져 있는데, 이 잠금 시스템에서는 승강실 문과 통로 문을 함께 열기 위해 승강실 문의 구동 스키드가 통로 문에 있는 연결 롤러 쪽으로 움직일 수 있으며, 구동 스키드가 연결 롤러에 부딪히면 그 구동 스키드는 잠금 장치를 기계적으로 잠금 해제시킨다. 이 잠금 장치는 잠금 상태에서 승강실 문의 열림을 방지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안은 기계적으로 복잡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승강기 승강실의 승강기 문을 위한 개선된 잠금 시스템을 제시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1 에 따른 잠금 시스템과 청구항 14 에 따른 잠금 시스템으로 달성된다. 청구항 15 는 본 발명에 따른 잠금 시스템을 구비하는 승강기에 관한 것이다. 유익한 발전 사항들은 종속항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잠금 시스템의 실질적인 이점은, 복잡한 잠금해제 기구 대신에, 잠금해제를 위한 전제 조건이 승강기 승강실의 층 정지시에 만족될 때 잠금 장치를 잠금 상태에서 잠금해제 상태로 전환시키는 액츄에이터를 사용하는 간단한 제어 장치가 존재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설계에 따르면, 승강기 승강실의 승강실 문을 위한 잠금 시스템은, 잠금해제 상태에서 승강실 문의 수동 또는 기계적 열림을 가능하게 하고 또한 잠금 상태에서는 승강실 문의 열림을 제한, 특히 방지하는 잠금 장치를 포함한다. 승강실 문을 위한 잠금 시스템의 실시예를 가지고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동일한 방식으로 또한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승강기의 통로 문을 잠글 수 있다. 이 경우 추가적으로 또한 대안적으로 잠금 장치는 또한 통로 문의 열림을 제한, 특히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잠금 장치는 적어도 승강기 사용자가 위험한 상황에서 승강기 승강실을 떠날 수 없는 정도로 승강실 문의 열림을 유리하게 제한하게 된다. 예컨대 승강실 내부와 주변 사이의 공기 교환이나 소통이 촉진되도록 잠금 장치는 상기 열림을 특정의 제한된 정도로 허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잠금 장치는 승강실 문의 열림을 완전히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잠금 시스템은 잠금 장치를 잠금 상태에서 잠금해제 상태로 또한 그 반대로 전환시키는 제어 장치를 또한 포함한다. 이 경우, 기준 요소와 상대 요소가 소정의 정도로 서로 상호 작용하면 센서가 출력하게 되는 바람직하게는 전기적인 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 장치는 잠금 장치를 잠금 상태에서 잠금해제 상태로 전환시키게 된다. 잠금해제 상태에서 잠금 상태로의 전환도 마찬가지로 제어 장치에 의해 능동적으로, 또는 잠금해제시 예인장되는 탄성 요소 등에 의해 피동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겠지만, 기준 요소와 상대 요소 간의 상호 작용은 예컨대 기계식일 수 있는데, 이 경우 기준 요소는 특정의 힘을 상대 요소에 가하거나 그 상대 요소를 소정의 거리 만큼 이동시키게 된다. 이 경우 "힘" 은 상대 요소에 작용하는 압력도 포함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기준 요소와 상대 요소는 예컨대 전기식, 특히 유도식이나 자기식으로 서로 상호 작용할 수 있는데, 이런 경우에는 기준 요소나 상대 요소는 각각의 다른 요소에 특정 세기의 전압이나 자기장을 발생시키게 된다. 또한 기준 요소와 상대 요소는 음향식이나 광학식으로도 서로 상호 작용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 기준 요소나 상대 요소는 특히 가청 영역이나 초음파 영역의 음파 또는 특히 가시광 영역, 자외선 영역 또는 적외선 영역의 전자기파를 검출하게 되며, 이러한 음파나 전자기파는 각각의 다른 요소에서 방출되거나 반사된다.
이 경우 상기 기준 요소와 상대 요소는, 승강기 승강실이 통로 문에 대한 허용가능 위치에 있을 때 마다 그들의 상호 작용이 소정의 영역에 있도록 서로에 맞춰진다. 특히 그러한 허용가능 위치는, 승강기 승강실의 바닥과 통로 문을 통과해 발로 접근할 수 있는 층의 표면 사이의 수직 간격이 소정의 최대값을 초과하지 않아 위험 없이 통로 문을 통과해 승강기 승강실에 들어가거나 거기서 나갈 수 있게 되는 위치일 수 있다.
상기 상대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승강기 승강실, 특히 잠금되는 승강실 문에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잠금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기준 요소는 통로 문 자체에 배치되며, 승강기 승강실이 통로 문에 대한 허용가능 위치에 있으면 그 통로문은 잠금될 승강실 문의 맞은 편에 있게 된다. 잠금될 승강실 문이 선택적으로 다른 층에 있는 여러 통로 문의 맞은 편에 있을 수 있다면, 하나의 기준 요소가 다수의, 바람직하게는 모든 이들 통로 문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그러한 경우, 알려져 있는 기계식 방안에서 처럼, 승강실 문은 통로 문의 맞은 편에 있을 때만 잠금해제될 수 있다. 기준 요소를 통로 문에 배치함으로써는 얻어지는 이점은, 그 기준 요소가 셋업 과정에서 이미 장착될 수 있고 승강기의 설치 중에 각 층에 설치 및 정렬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또한 상대 요소가 부적절한 기준 요소와 상호 작용하게 되어 승강실 문이 승강기 승강실의 비허용 위치에서 잠금해제되는 위험을 줄일 수 있다. 기준 요소가 통로 벽이나 안내 레일에 배치되는 공지된 방안에서는, 오물 등의 퇴적물이 광 배리어나 광센서의 광선을 잘못 차단하거나 반사시키거나 또는 접촉 스위치를 기계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승강기 작동시 통로 문이 빈번하게 움직이므로, 뜻하지 않게 기준 요소로서 작용하게 되는 그러한 퇴적물의 위험은 기준 요소가 통로 문 자체에 배치되는 경우에 보다 적게 된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상기 기준 요소, 상대 요소 및 센서는 연결 장치의 구성 요소로 형성되며, 승강실 문과 통로 문을 함께 개폐하기 위해 상기 연결 장치는 문 구동기가 제공되어 있는 승강실 문을 현재 맞은 편에 있는 통로 문에 연결시켜 준다. 승강기의 경우, 통로 문을 위한 구동 기구를 절약하기 위해 그러한 바람직하게는 기계식인 연결 장치가 빈번히 존재한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어느 경우에든 존재하는 이들 연결 장치의 구성 요소들은 그러므로 유리하게도 동시에 기준 요소와 상대 요소로 사용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잠금 시스템을 승강기에 설치하거나 재설치할 때의 지출 비용을 줄일 수 있고, 특히 필요한 부품의 수를 줄일 수 있다.
특히, 상기 연결 장치는, 통로 문에 있는 연결 롤러 쪽으로 연결 목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구동 스키드를 포함한다. 이 경우, 연결 롤러는 기준 요소로서 기능하며 구동 스키드는 상대 요소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서, 통로 문에 배치된 상기 기준 요소 쪽으로 구동 스키드가 연결을 위해 움직일 때만 기준 요소와 상대 요소는 연결 장치에 의해 유리하게 서로 상호 작용하게 된다. 이리 하여, 층 정지 없이 닫힌 통로 문을 지나갈 때 생기는 상호 작용, 특히 기계적 마모가 간단한 방식으로 감소되거나 방지된다. 공지된 단순히 기계적인 잠금 시스템의 경우에서 처럼 이 유리한 설계의 경우, 통로 문에 배치된 상기 기준 요소 쪽으로 구동 스키드가 연결을 위해 움직여 미리 정해진 대로 그 기준 요소와 상호 작용할 때만 잠금 장치가 잠금해제된다.
전술한 유리한 설계의 제 1 변형에서, 구동 스키드는 여러 부분으로 되어 있고 지지 스키드를 가지고 있으며, 상대 요소가 이 지지 스키드에 대해 움직일 수 있다. 이 경우 상대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지지 스키드에 탄성적으로 체결되며 연결중에는 기준 요소에 의해 지지 스키드 쪽으로 또는 그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지지 스키드와 상대 요소 사이의 간격 또는 힘이 소정의 범위에 있으면 상기 센서는 잠금 장치를 잠금해제 상태로 전환시키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설계로 센서의 마모와 그에 대한 손상의 위험을 유리하게 줄일 수 있으며 센서 자체는 기준 요소와 접촉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전술한 유리한 설계의 제 2 변형예에서, 센서가 구동 스키드의 기준 요소 대향측 접촉 표면에서의 상호 작용을 검출할 때 도움을 받게 되는 센서 표면을 설계할 수 있다. 그러면, 이 접촉 표면과 기준 요소 사이의 간격 또는 힘이 소정의 범위에 있을 때 상기 센서는 전기 신호를 출력한다. 이렇게 해서 구동 스키드의 설계가 간단해 질 수 있고 또한 상호 작용은 더욱 직접적으로 검출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센서에 의해 검출된 기준요소와 상대 요소 간의 상호 작용은 특히 기계적 상호 작용, 즉 기준 요소와 상대 요소 사이의 힘 또는 압력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기계적 상호 작용을 검출하기 위해, 상기 센서는 기준 요소와 상대 요소 사이에 작용하는 힘이 소정의 범위에 있을 때 바람직하게는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하게 되는 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힘 센서는 예컨대 다이어프램 스위치로서, 피에조센서, 압력 의존형 리지스터 및 압력 의존형 캐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지지 스키드와 이에 대해 움직일 수 있는 상대 요소 사이에서 구동 스키드의 기준 요소 대향측 접촉 표면에 배치될 수 있거나 또는 그러한 지지 스키드와 상대 요소 사이의 피봇 베어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로, 힘 센서에 의해 센서 표면에서 검출된 힘 또는 압력이 소정의 값을 초과할 때, 즉 기준 요소와 상대 요소가 최소의 힘으로 서로에 눌릴 때 상기 센서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기계적 상호 작용은 바람직하게는 비접촉식인 거리 센서, 특히 유도식, 용량식, 광학식 및/또는 음향식 거리 센서, 또는 기준 요소와의 상호 작용으로 발생되는 예컨대 지지 스키드에 대한 상대 요소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자기 리드(magnetic reed) 센서에 의해 간접적으로 검출될 수도 있다.
그러나, 거리 센서는 기준 요소와 상대 요소 간의 다른 상호 작용을 검출하는데도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센서는, 상대 요소와 기준 요소 사이의 간격이 소정의 범위에 있으면 신호를 출력하게 되는 거리 센서, 특히 기계식, 유도식, 용량식, 광학식 및/또는 음향식 거리 센서 또는 자기 리드 센서를 포함한다. 이 경우 유도식이나 용량식 거리 센서는 전기적 상호 작용을 검출하고, 자기 리드 센서는 자기적 상호 작용을 검출하며, 광학식 센서는 광학적 상호 작용을 검출하고, 음향식 센서는 음향적 상호 작용을 검출한다.
상기 센서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평평하게, 특히 얇고 평평하게 되어 있다. 이러면 그 센서를 연결 장치에, 예컨대 상대 요소와 지지 스키드의 사이에, 또는 구동 스키드의 접촉 표면에 배치하는 것이 쉬워진다. 이미 언급한 다이어프램 스위치는 이런 목적에 특히 적합하다.
상기 기준 요소와 상대 요소 간의 상호 작용의 방식은, 기준 요소와 상대 요소 간의 상호 작용이 소정의 한계값에 미달하거나 그를 초과하면 센서가 신호를 출력하도록 될 수 있다. 따라서, 기준 요소에 의해 상대 요소에 가해지는 힘이나 지지 스키드와 그에 눌리는 상대 요소 사이의 힘이 최대값을 초과하거나, 또는 지지 스키드와 그에 눌리는 상대 요소 사이의 간격이 특정의 최소값에 미달하면 상기 센서는 바람직하게는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최대값 및 최소값은 예컨대 상대 요소와 접촉하는 오물 퇴적물이나 관성력으로 인한 변칙적인 상호 작용이 신호 출력을 초래하지 않도록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제어 장치는 센서에 의해 출력된 신호에 의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전환되는 전기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대 요소 자체는 전기 회로를 개폐시킬 수 있고 그리 하여 직접 전환되는 스위치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이리 하여 제어 장치가 간단하게 되고 그의 내결함성과 고장 안전성이 높게 된다. 마찬가지로, 잠금 장치를 잠금 상태에서 잠금해제 상태로 전환시키는 전기 스위치는 예컨대 마이크로프로세서, 승강기 제어기 또는 승강실 제어기 등에 의해 간접적으로 전환될 수도 있다. 그리 하여, 예컨대 신호가 얼마나 오랫 동안 출력되었는지, 신호가 다수의 센서에 의해 출력되었는지 등을 확인하기 위해, 잠금해제 상태로의 전환 전, 중에 또는 후에 다른 단계들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장치는 유리하게도 원격 제어로도 작동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 장치는 대응하는 원격 제어 신호, 예컨대 무선 신호를 받으면 잠금 장치를 잠금 상태에서 잠금해제 상태로 전환시킨다. 이러면 유지 관리, 대피 등이 쉬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잠금 장치는 승강실 문의 잠금을 위해 쌍안정적인, 특히 전자기식으로 작동되는 쌍안정 볼트를 가지며, 따라서 잠금 장치는 잠금해제 상태와 잠금 상태 모두에서 안정적으로, 즉 에너지 공급을 받지 않고 유지될 수 있다. 그러한 쌍안정 볼트는 예컨대 전자기식으로 작동되는 쌍안정 솔레노이드로 구현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잠금 및 잠금해제 상태의 안정화는 다른 방식으로, 특히 기계식으로 예컨대 끝 위치에서 볼트에 작용하는 스프링 랫칭 요소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그러한 쌍안정 볼트 때문에, 에너지, 특히 전기 에너지는 유리하게도 잠금 상태에서 잠금해제 상태로의 전환 및 그 반대로의 전환에만 필요하게 된다. 이렇게 해서 얻어지는 저 에너지 요건은 특히 전력 공급 실패의 경우에 배터리에 의한 공급으로 전환될 때 유리하다. 또한, 쌍안정 볼트 또는 쌍안정 액츄에이터에 의해 작동되는 볼트는, 에너지 공급의 실패가 일어나는 경우에도 전력 공급 실패시에 취해진 잠금 또는 잠금해제 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보장해 준다.
전술한 제 1 설계의 하나 이상의 특징적 사항들과 결합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제 2 설계에 따르면, 전기 신호에 의해 잠금해제 상태에서 잠금 상태로 또는 잠금 상태에서 잠금해제 상태로 전환될 수 있는 쌍안정 잠금 장치를 실현하기 위해, 승강기 승강실의 승강실 문을 위한 잠금 시스템은, 안정된 잠금해제 상태에서 승강실 문의 열림을 가능하게 하고 안정된 잠금 상태에서는 승강실 문의 열림을 제한, 특히 방지하는 쌍안정 잠금 장치를 갖는다. 제어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전기적인 신호에 따라 잠금 장치를 한 상태에서 다른 상태로 전환시키며, 상기 신호는 승강기 문이 통로 문에 대한 허용가능 위치에 있고 따라서 기준 요소와 상대 요소가 미리 정해진 대로 특히 기계식, 전기식, 전자기식, 음향식 및/또는 광학식으로 서로 상호 작용하는지 여부를 특정해 준다.
상기 제어 장치는, 기준 요소와 상대 요소가 미리 정해진 대로 서로 상호 작용하면 존재 상태로 전환되고 또한 기준 요소와 상대 요소가 미리 정해진 대로 서로 상호 작용을 하지 않으면 부재 상태로 전환되는 제 1 스위치 및 상기 잠금 장치가 잠금 상태로 되면 잠금 상태로 전환되고 잠금 장치가 잠금해제 상태로 되면 잠금해제 상태로 전환되는 제 2 스위치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스위치는 존재 상태에 있고 제 2 스위치가 잠금 상태에 있는 한 상기 잠금 장치는 잠금해제 상태로의 전환을 위한 에너지를 공급받으며, 또한 상기 제 1 스위치는 부재 상태에 있고 제 2 스위치가 잠금해제 상태에 있는 한 상기 잠금 장치는 잠금 상태로의 전환을 위한 에너지를 공급받게 된다.
승강실 문이 잠금되어 있는 승강기 승강실이 통로 문에 대한 허용가능 위치에 도달하면, 센서는 기준 요소와 상대 요소가 미리 정해진 대로 서로 상호 작용을 하고 있음을 검출한다. 따라서, 제 1 스위치는 존재 상태로 전환된다. 승강실 문이 여전히 잠금되어 있어 제 2 스위치가 아직도 잠금 상태에 있기 때문에, 이제 잠금 장치에는 잠금해제 상태로의 전환을 위한 에너지가 공급된다.
잠금 장치가 잠금해제 상태로 전환되자 마자 제 2 스위치는 잠금해제 상태로 전환되고 잠금 장치에는 더 이상 에너지가 공급되지 않는다.
기준 요소와 상대 요소가 더 이상 미리 정해진 대로 서로 상호 작용을 하지 않음을 상기 센서가 검출하면, 제 1 스위치는 부재 상태로 전환된다. 승강실 문의 잠금이 해제되어 있어 제 2 스위치가 아직도 잠금해제 상태에 있기 때문에, 이제 잠금 장치에는 잠금해제 상태로의 전환을 위한 에너지가 공급된다.
잠금 장치가 잠금 상태로 전환되자 마자 제 2 스위치는 잠금 상태로 전환되고 잠금 장치에는 더 이상 에너지가 공급되지 않는다.
이렇게 해서 쌍안정 잠금 장치가 간단하고 신뢰적인 방식으로 실현된다.
다른 이점과 특징적 사항들은 종속항과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서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a, 1b 는 승강실 문과 본 발명의 설계에 따른 잠금 시스템을 구비하는 승강기 승강실의 일 부분을 나타낸다. 도 1a 는 잠금 장치에 의해 잠금되어 있는 닫힌 승강실 문을 나타내고, 도 1b 는 잠금이 해제되어 부분적으로 열린 승강실 문을 나타낸다.
도 2a, 2b 는 승강실 문으로부터 문 운동을 통로 문에 전달하기 위한 연결 장치를 나타내는데, 이 연결 장치는 도 1a, 1b 에 도시된 잠금 시스템의 일 부분을 형성한다. 도 2a 는 잠금 장치가 잠금 상태로 되는 분리 상태에 있는 연결 장치를 나타내며, 도 2b 는 잠금 장치가 잠금 상태로 되는 연결 상태에 있는 연결 장치를 나타낸다.
도 3a, 3b 는 도 1a, 1b 에 도시된 잠금 시스템의 변형된 연결 장치를 나타낸다.
도 4a, 4b 는 도 1a, 1b 에 도시된 잠금 시스템의 다른 변형된 연결 장치를 나타낸다.
도 5a∼5d 는 다양한 상태 간에 전환되는 경우에 도 1a, 1b 의 잠금 시스템의 제어 장치를 나타낸다.
도 1a, 1b 는 승강기 문 구동 장치 (2) 와 옆으로 닫히는 싱글 리프 (single-leaf) 문 (5) 으로 밀봉될 수 있는 문 개구 (4) 를 구비하는 승강기 승강실 (1) 을 나타낸다. 승강기 문 구동 장치 (2) 는 승강기 승강실 (1) 에 설치된 문 지지부 (3) 에 구성되어 있다. 상기 승강실 문 (5) 은 상기 문 지지부에 고정된 안내 레일 (6) 을 따라 옆으로 이동가능한 서스펜션 캐리지 (7) 에 설치되어 있고, 구동 유닛 (8) 에 의해 선형 작동 순환 구동 수단 (9) 을 통해 문 열림 위치와 문 닫힘 위치 사이에서 움직이게 된다.
상기 서스펜션 캐리지 (7) 에는 기판 (13) 이 설치되어 있는데, 승강실 문의 운동을 이들 할당된 통로 문(미도시) 중의 하나에 전달하기 위한 연결 장치 (14) 가 상기 기판에 구성되어 있다. 이 연결 장치 (14) 는 승강기 승강실의 운동 방향에 평행하게 정렬되어 있는 두개의 구동 스키드 (15.1, 15.2) 를 포함하며, 이들 스키드는 한 선회축 (16) 을 중심으로 각각 선회할 수 있는 두 조절 요소 (17.1, 17.2) 에 지지되어 있으며, 이들 조절 요소의 선회에 의해 상기 구동 스키드는 그들의 상호 분리에 관하여 변위될 수 있는데, 즉 안벌어진 위치 또는 벌어진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참조 번호 "12" 는 잠금 장치를 나타내는데, 이 잠금 장치는 솔레노이드형태의 액츄에이터에 의해 잠금 상태 (도 1a) 에서 잠금해제 상태 (도 1b) 로 또한 그 반대로 전환될 수 있다.
층에 있는 모든 문의 통로 문짝에는 두개의 연결 롤러 (18) 가 있으며, 이들 연결 롤러는 구동 스키드 (15.1, 15.2) 옆에서 통로 공간안으로 진입해 있는데, 따라서 승강기 승강실 (1) 이 층 높이의 영역에 위치하면, 구동 스키드는 벌어진 상태에서 횡방향 힘과 운동을 연결 요소 (18) 및 대응하는 통로 문에 전달할 수 있다. 도시된 승강실 문 (5) 에 할당된 통로 문은 명확성을 위해 나타내지 않았으며, 통로 문에 설치된 연결 요소 (18) 는 가상선으로만 도시되어 있다. 도 1a∼4b 에서 우측에 있는 연결 롤러 (18) 가 기준 요소로 기능한다.
상기 조절 요소 (17.1, 17.2) 를 선회시키고 또한 그리 하여 구동 스키드 (15.1, 15.2)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것은, 마찬가지로 상기 구동 유닛 (8) 에 의해 선형 작동 구동 수단 (9) 을 통해 실행된다.
도 1a 는 승강기 승강실 (1) 이 운행 중에 있는, 즉 승강실 문 (5) 이 잠금 장치 (12) 에 의해 잠겨있을 때 연결 장치 (14) 의 위치를 나타난다. 이 상태에서 구동 스키드 (15.1, 15.2) 는 분리 위치(안벌어진 위치)에 있는데, 이러한 위치에서 구동 스키드는 서로의 옆에서 통로 문에 설치된 연결 롤러 (18) 사이를 수직 방향으로 통과할 수 있다.
도 1b 에는, 승강기 승강실 (1) 이 통로 문의 맞은 편에서 층 바닥 높이에 있으며, 구동 스키드 (15.1, 15.2) 가 벌어져서(연결 위치) 통로 문에 있는 상기 두 연결 롤러 (18) 와 접촉해 있고, 또한 이들 연결 롤러 (18) 와 상호 작용하여 승강실 문 (5) 과 할당된 통로 문 사이에 백래시가 없는 연결을 이루고 있는 상황이 나타나 있다. 도시된 상황에서, 잠금 장치 (12) 는 잠금해제 상태에 있으며, 구동 유닛 (8) 은 승강실 문 (5) 을 이미 부분적으로 열었고 또한 그리 하여 할당된 통로 문도 부분적으로 연 상태이다.
문 열기 과정의 시작시에, 우측 연결 롤러 (18)(기준 요소로서 기능함) 에 대한 우측 구동 스키드 (15.1) 의 작용으로 승강실 문의 잠금이 해제된다.
도 2a, 2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를 위해 우측 구동 스키드 (15.1) 는 두 부분, 즉 지지 스키드 (151) 와 피에조 힘 센서 (20) 를 통해 그 지지 스키드에 연결되어 있는 상대 요소 (152) 로 설계되어 있다. 승강실 문이 열리지않는 한 상기 지지 스키드 (151) 와 좌측 구동 스키드 (15.2) 는 조절 요소 (17.1, 17.2) 에 의해 끌려 도 2a 에 도시된 분리 위치 또는 안벌어진 위치에 있게 되며, 따라서 이들 지지 스키드와 좌측 구동 스키드는 연결 롤러 (18) 사이를 접촉 없이 지나갈 수 있다.
정상적인 승강기 작동시에 승강기 승강실이 통로 문의 맞은 편에서 허용가능한 위치에 멈추고, 그리고 승강실 문 및 맞은 편의 통로 문을 열려고 한다면, 지지 스키드 (151) 와 좌측 구동 스키드 (15.2) 는 조절 요소 (17.1, 17.2) 에 의해 벌어져 도 2b 에 도시된 연결 위치에 있게 되고 그리 하여 승강실 문과 통로 문이 서로 연결된다. 이 과정에서, 기준 요소로서 기능하는 우측 연결 롤러 (18) 는 상기 상대 요소 (152) 를 지지 스키드 (151) 쪽으로 누르게 된다. 그때 두 피에조 센서 (20) 는 상대 요소 (152) 와 기준 요소 (18) 사이의 힘 형태의 기계적 상호 작용이 특정의 최소값을 초과함을 검출하는데, 이는 상대 요소와 기준 요소가 미리 정해진 대로 상호 작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두 피에조센서 (20) 중 적어도 하나가 그러한 상호 작용을 검출하면, 잠금 시스템의 제어 장치의 제 1 스위치 (100) 를 부재 상태 (도 5a) 로부터 존재 상태 (도 5b) 로 전환시키는 전기 신호가 출력된다.
잠금해제의 시작시에 잠금 장치 (12) 의 솔레노이드 (300)(도 1a, 1b 에 도시)는 안정된 잠금 위치(도 5a∼5d 에서 솔레노이드 (300) 의 자석 아마추어의 하부 위치)에 있으며 따라서 승강실 문의 열림을 방지한다. 제 2 스위치 (200) 는 잠금 상태 (도 5a) 로 전환되어 있다.
도 5b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2 스위치 (200) 가 잠금 상태에 있을 때 제 1 스위치 (100) 을 존재 상태로 전환시키면 전기 회로가 닫히고 승강기 제어기(미도시)의 전원 (500) 이 솔레노이드 (300) 에 연결되어 그 솔레노이드가 안정된 잠금해제 위치(도 5a∼5d 에서 솔레노이드의 자석 아마추어의 상부 위치)에 있게 되고 그리 하여 승강실 문의 열림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제 1 스위치가 존재 상태에 있고 제 2 스위치는 잠금 상태에 있는 한(도 5b) 잠금 장치는 그의 잠금해제 상태로의 전환을 위한 에너지를 공급 받게 된다.
솔레노이드 (300) 가 그의 안정된 잠금해제 위치(도 5c)에 있게 되면 곧 제 2 스위치 (200) 는 잠금해제 상태로 되어 전기 회로가 다시 차단된다. 이 잠금 장치의 잠금해제 상태에서는 솔레노이드의 쌍안정적인 설계 때문에 상기 잠금해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전기 에너지는 필요가 없다.
이어서 승강실 문과 통로 문이 다시 닫히고 지지 스키드 (151) 와 좌측 구동 스키드 (15.2) 가 조절 요소 (17.1, 17.2) 에 의해 도 2a 의 분리 위치에 있게 되면, 기준 요소로서 작용하는 연결 롤러 (18) 가 더 이상 상대 요소 (152) 에 눌리지 않기 때문에 상기 두 피에조센서 (20) 는 더 이상 미리 정해진 대로 상호 작용을 검출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피에조센서의 전기 신호가 변하게 되고, 그래서 제 1 스위치 (100) 는 다시 존재 상태 (도 5c) 로부터 부재 상태 (도 5d) 로 전환된다.
도 5d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2 스위치 (200) 가 잠금해제 상태에 있으면서 제 1 스위치 (100) 를 부재 상태로 전환시키면, 다른 전기 회로가 닫히게 되고 또한 전원 (500) 이 솔레노이드 (300) 에 연결되어 그 솔레노이드는 안정된 잠금 위치로 가게 된다. 따라서 제 1 스위치가 부재 상태에 있고 제 2 스위치는 잠금해제 상태에 있는 한 (도 5d) 잠금 장치는 그의 잠금 상태로의 전환을 위한 에너지를 공급 받게 된다.
쌍안정적인 솔레노이드 (300) 가 그의 안정된 잠금 위치(도 5a) 에 있게 되자 마자 제 2 스위치 (200) 는 잠금 상태로 전환되어, 상기 다른 전기 회로는 다시 차단된다. 이 잠금 상태에서는 도 5a 와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잠금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전기 에너지가 필요가 없고 잠금 시스템은 다시 그 상태에 있게 되며, 잠금된 승강실 문, 상대 요소 (152) 및 기준 요소 (18) 는 상호 작용하지 않는다.
상기 전원 (500) 이 고장나더라도 잠금 및 잠금해제를 가능케 하기 위해, 에너지 저장부, 예컨대 캐패시터 (400), 저장 배터리 등이 전원 (500) 과 병렬로 제공된다.
도 3a, 3b 는 도 1a, 1b 에 도시된 잠금 시스템의 변형된 연결 장치를 나타낸다.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했으며, 따라서 전술한 구성과의 차이점만 이하 설명할 것이다.
변형된 연결 장치에서는 우측 구동 스키드 (15.1) 역시 단일품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대 요소를 형성한다. 다이어프램 스위치 (20) 의 형태로 된 힘 센서가 기준 요소(즉, 우측 연결 롤러 (18))와 대향하는 구동 스키드의 접촉 표면에 설치되어 있어, 연결 장치 (14) 의 구동 스키드 (15.1, 15.2) 가 연결 롤러 (18) 쪽으로 벌어지면 센서 표면 (21) 이 우측 연결 롤러 (18) 와 접촉하게 된다. 우측 연결 롤러 (18) 가 센서 표면 (21) 에 가하는 압력이 소정의 최대 값을 초과하면, 두 표면층 사이에서 센서 표면 (21) 에 배치된 전도체(미도시) 들이 서로 접촉하게 되고 그때 전기 접촉을 이루게 된다. 그리 하여 다이어프램 스위치 (20) 는, 도 5a∼5d 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기준 요소 (18) 와 상대 요소 (15.1) 가 미리 정해진 대로 상호 작용하는 한, 즉 서로에 충분한 압력을 가하는 한 존재 상태(닫힌 전기 접촉)로 전환되는 제 1 스위치 (100) 로서 기능하게 된다.
예컨대, 상기 센서 표면 (21) 으로서 다이어프램형 힘/압력 센서도 사용할 수 있는데, 이런 경우에는 전기 저항이 압축으로 인해 감소되는 전도성 발포체로 만들어진 층이 두 금속 포일 사이에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라 센서 표면 (21) 으로서 사용될 수 있는 다이어프램형 힘센서의 다른 예로는, 얇은 탄성 플라스틱에 의해 서로 평행하게 떨어져서 다이어프램에 배치되는 금속 포일을 포함하는 힘 센서가 있다. 다이어프램에 가해지는 압력은 상기 금속 포일 사이의 간격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변화시키며, 그로 인해 평가 가능한 금속 포일의 전기 용량의 변동이 야기된다.
본 발명의 잠금 시스템에서 센서 표면 (21) 으로서 사용될 수 있는 힘/압력 센서의 또 다른 예로는, 다수의 피에조저항 요소를 포함하는 다이어프램형 힘 센서가 있다.
도 4a, 4b 는 도 1a, 도 1b 에 도시된 잠금 시스템의 다른 변형된 연결 장치를 나타낸다.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했으며, 따라서 전술한 구성과의 차이점만 이하 설명할 것이다.
상기 다른 변형된 잠금 장치에서, 상대 요소 (152) 는 스프링 (22) 에 의해 우측의 2 부분 구동 스키드 (15.1) 의 지지 스키드 (151) 에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기계적으로 작동할 수 있지만(도 4a, 도 4b) 또한 비접촉식으로, 예컨대 광학식, 유도식 또는 용량식으로도(미도시) 작동할 수 있는 거리 센서 (20) 가 상대 요소 (152) 와 지지 스키드 (151) 사이의 간격을 검출한다.
연결 장치 (14) 의 구동 스키드 (15.1, 15.2) 가 연결 롤러 (18) 쪽으로 벌어지면, 우측 연결 롤러 (18) 는 스프링 (22) 의 탄성 변형하에서 상대 요소 (152) 를 지지 스키드 (151) 쪽으로 움직이게 하고, 그래서 상대 요소 (151) 와 지지 스키드 (151) 사이의 간격이 줄어드는데 이는 거리 센서 (20) 에 의해 검출된다. 이 간격이 소정의 최소값에 미달하면 거리 센서 (20) 는 적절한 신호를 발생시키는데, 이 신호는 기준 요소 (18) 와 상대 요소 (152) 가 미리 정해진 대로 상호 작용하는 한, 즉 서로에 충분한 힘을 가하는 한 도 5a∼5d 를 참조하여 전술한 제 1 스위치 (100) 가 존재 상태로 전환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15)

  1. 승강기 문, 특히 승강기 승강실의 승강실 문 및/또는 통로 문을 위한 잠금 시스템으로서,
    잠금해제 상태에서 승강기 문의 열림을 가능하게 하고 잠금 상태에서는 승강기 문의 열림을 제한, 특히 방지하는 잠금 장치;
    기준 요소 (18);
    승강기 승강실 (1) 이 통로 문에 대한 허용가능 위치에 있다는 조건이 적어도 만족되면 특히 기계식, 전기식, 자기식, 음향식 및/또는 광학식으로 상기 기준 요소 (18) 와 상호 작용하게 되는 상대 요소 (15.1; 152);
    상기 기준 요소 (18) 와 상대 요소 (15.1; 152) 가 상호 작용하면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 (20); 및
    상기 신호에 따라 잠금 장치를 잠금 상태에서 잠금해제 상태로 전환시키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는 잠금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요소 (18) 는 통로 문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요소 (18), 상대 요소 (15.1; 152) 및 센서 (20) 는 승강실 문 (5) 을 통로 문에 연결시키는 연결 장치 (14) 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장치 (14) 는, 통로 문에 배치된 상기 기준 요소 (18) 쪽으로 연결 목적으로 움직일 수 있으며 또한 상대 요소 (15.1; 152) 를 포함하는 구동 스키드 (15.1)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스키드 (15.1) 는 지지 스키드 (151) 를 포함하며, 상기 상대 요소 (152) 는 기준 요소 (18) 에 의해 상기 지지 스키드 (151) 에 대해 움직일 수 있고, 지지 스키드 (151) 와 상대 요소 (152) 사이의 간격 또는 지지 스키드 (151) 와 상대 요소 (152) 간에 작용하는 힘이 소정의 범위에 있으면 상기 센서 (20) 가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20) 가 상호 작용을 검출할 때 도움을 받게 되는 그 센서의 센서 표면 (21) 이 구동 스키드 (15.1) 로 설계된 상대 요소의 기준 요소 (18) 대향측 접촉 표면에 배치되며, 기준 요소 (18) 와 상기 접촉 표면 사이의 간격 또는 기준 요소 (18) 와 접촉 표면 간에 작용하는 힘이 소정의 범위에 있으면 상기 센서 (20) 가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시스템.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20) 는, 기준 요소 (18) 에 의해 상대 요소 (15.1; 152) 에 가해지는 힘이 소정의 범위에 있으면 신호를 출력하게 되는 힘 센서, 특히 다이어프램 스위치, 피에조센서, 압력 의존형 리지스터 및/또는 압력 의존형 캐패시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시스템.
  8.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20) 는, 상대 요소 (15.1; 152) 와 기준 요소 (18) 또는 다른 기준 요소, 특히 지지 스키드 사이의 간격이 소정의 범위에 있으면 신호를 출력하게 되는 특히 기계식, 유도식, 용량식, 광학식 및/또는 음향식 거리 센서 또는 자기 리드(magnetic reed)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시스템.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20) 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편평하게, 특히 얇고 편평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시스템.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요소와 상대 요소 (15.1; 152) 간의 상호 작용의 방식은, 기준 요소 (18) 와 상대 요소 (15.1; 152) 간의 상호 작용이 소정의 한계값에 미달하거나 그를 초과하면 센서 (20) 가 신호를 출력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시스템.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장치는 승강기 문의 잠금을 위해 쌍안정적인, 특히 전자기식으로 작동되는 쌍안정 볼트 (300)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시스템.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센서 (20) 에서 출력된 신호에 의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전환되는 전기 스위치 (1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시스템.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원격 제어로도 작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시스템.
  14. 승강기 문, 특히 승강기 승강실 (1) 의 승강실 문 (5) 및/또는 통로 문을 위한 잠금 시스템, 특히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잠금 시스템으로서,
    안정된 잠금해제 상태에서 승강기 문의 열림을 가능하게 하고 안정된 잠금 상태에서는 승강기 문의 열림을 제한, 특히 방지하는 쌍안정 잠금 장치 (300);
    기준 요소 (18);
    승강기 승강실 (1) 이 통로 문에 대한 허용가능 위치에 있다는 조건이 적어도 만족되면 특히 기계식, 전기식, 자기식, 음향식 및/또는 광학식으로 상기 기준 요소 (18) 와 상호 작용하게 되는 상대 요소 (15.1; 152);
    상기 기준 요소 (18) 와 상대 요소 (15.1; 152) 가 상호 작용하면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 (20); 및
    상기 신호에 따라 잠금 장치를 잠금 상태에서 잠금해제 상태로 전환시키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기준 요소 (18) 와 상대 요소 (15.1; 152) 가 상호 작용하면 존재 상태 (도 5b, 5c) 로 전환되고 또한 그 상호 작용이 없는 경우에는 부재 상태 (도 5a, 5d) 로 전환되는 제 1 스위치 (100); 및
    상기 잠금 장치가 잠금 상태로 되면 잠금 상태 (도 5a, 5b) 로 전환되고 잠금 장치가 잠금해제 상태로 되면 잠금해제 상태 (도 5c, 5d) 로 전환되는 제 2 스위치 (200) 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스위치는 존재 상태에 있고 제 2 스위치가 잠금 상태에 있는 한 상기 잠금 장치는 잠금해제 상태로의 전환을 위한 에너지를 공급받으며, 또한 상기 제 1 스위치는 부재 상태에 있고 제 2 스위치가 잠금해제 상태에 있는 한 상기 잠금 장치는 잠금 상태로의 전환을 위한 에너지를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시스템.
  15. 통로 안에서 이동할 수 있는 승강기 승강실 (1), 적어도 하나의 승강실 문 (5), 적어도 하나의 통로 문, 및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잠금 시스템을 구비하는 승강기.
KR1020107015681A 2007-12-18 2007-12-18 승강기 문을 위한 잠금 시스템 KR2010010215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2007/025783 WO2009078837A1 (en) 2007-12-18 2007-12-18 Locking system for a lift do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2158A true KR20100102158A (ko) 2010-09-20

Family

ID=40795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5681A KR20100102158A (ko) 2007-12-18 2007-12-18 승강기 문을 위한 잠금 시스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EP (1) EP2234914B1 (ko)
KR (1) KR20100102158A (ko)
CN (1) CN102083731B (ko)
AU (1) AU2007362584B2 (ko)
BR (1) BRPI0722310B1 (ko)
ES (1) ES2727392T3 (ko)
MX (1) MX2010006730A (ko)
WO (1) WO2009078837A1 (ko)
ZA (1) ZA20100472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Y173811A (en) * 2013-05-28 2020-02-24 Inventio Ag Elevator door with a door contact switch
US10503216B2 (en) * 2014-03-28 2019-12-10 Intel Corporation Adjustment of magnetic force in a computing device
EP3464148B1 (en) * 2016-06-07 2022-02-23 KONE Corporation Method and arrangement for opening the locking of a landing door of an elevator
WO2019096756A1 (de) 2017-11-17 2019-05-23 Inventio Ag Aufzug mit vereinfachtem entriegelungsmechanismus zum entriegeln von schachttüren
ES2884784T3 (es) 2017-11-17 2021-12-13 Inventio Ag Ascensor con mecanismo de accionamiento a controlar de manera activa, para desbloquear puertas de hueco
EP3566995B1 (en) 2018-05-09 2021-06-30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car door coupling 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466716A (en) * 1974-06-11 1977-03-09 Wabco Westinghouse Gmbh Electropneumatic or electrohydraulic control apparatus
JPS61188385A (ja) * 1985-02-15 1986-08-22 株式会社東芝 エレベ−タ戸の開閉装置
ATE75458T1 (de) * 1988-03-18 1992-05-15 Inventio Ag Tuerantriebsvorrichtung mit verriegelungsmechanismus fuer aufzuege.
JPH0455284A (ja) * 1990-06-21 1992-02-21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扉の安全装置
JPH0687588A (ja) * 1992-08-27 1994-03-29 Otis Elevator Co ホームエレベーター用ドアロック装置
US5655627A (en) * 1995-08-08 1997-08-12 Advanced Microcontrols, Inc. Elevator door restrictor
DE19815249C2 (de) * 1997-04-15 2000-11-23 Plaettner Elektronik Gmbh Sensorgesteuerter elektrischer Schalter
US5918705A (en) * 1997-11-10 1999-07-06 Friend; Jeff Building elevator door restrictor
CN2349663Y (zh) * 1998-09-30 1999-11-17 李锐锋 双稳态继电器
JP2000211862A (ja) * 1999-01-19 2000-08-02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エレベ―タ―のドア―装置
CN1303811A (zh) * 1999-12-14 2001-07-18 中国建筑科学研究院建筑机械化研究分院 电梯自动门的门联结器和开闭力传递方法
FR2823495B1 (fr) * 2001-04-13 2004-08-20 Otis Elevator Co Dispositif de couplage entre les portes de cabine et les portes palieres d'un ascenseur, avec securite d'ouverture
MY137162A (en) * 2001-06-14 2009-01-30 Inventio Ag Equipment for connecting a cage door with a shaft door
JP2003020173A (ja) * 2001-07-05 2003-01-21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機械室の遠隔施錠・解錠装置
EP1400480A1 (de) * 2002-09-18 2004-03-24 Inventio Ag Kabinetür-Schachttür-Kopplungseinrichtung mit Türentriegelungssystem
CN2588517Y (zh) * 2002-10-29 2003-11-26 张居平 一种双稳态触发继电器电路
EP1638880B2 (de) * 2003-06-30 2013-07-24 Inventio AG Sicherheitssystem einer aufzugsanlage
EP1514831B1 (de) * 2003-09-15 2015-12-09 Inventio AG Dichtungsvorrichtung für Auzüge mit elekromagnetisch zurückziehbarer Türflügeldichtung
US7097001B2 (en) * 2003-11-12 2006-08-29 Inventio Ag Elevator car door movement restrictor
JP4708005B2 (ja) * 2003-12-08 2011-06-22 インベンテイオ・アクテイエンゲゼルシヤフト ケージドアリーフを昇降路ドアリーフに一時的に連結し、かつケージドアロック解除手段を作動させるための、エレベータケージにおける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7362584B2 (en) 2015-05-14
BRPI0722310B1 (pt) 2019-02-12
EP2234914B1 (en) 2019-03-13
ES2727392T3 (es) 2019-10-15
EP2234914A1 (en) 2010-10-06
EP2234914A4 (en) 2014-02-05
CN102083731A (zh) 2011-06-01
CN102083731B (zh) 2016-06-01
ZA201004725B (en) 2011-11-30
AU2007362584A1 (en) 2009-06-25
BRPI0722310A2 (pt) 2014-04-22
WO2009078837A1 (en) 2009-06-25
MX2010006730A (es) 2010-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02158A (ko) 승강기 문을 위한 잠금 시스템
US8820485B2 (en) Locking system for a lift door
KR101157523B1 (ko) 엘리베이터 장치 및 엘리베이터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US5894911A (en) Car door locking system
JP4358638B2 (ja) 昇降機用シャフト監視システム
US8267016B2 (en) Open/close control system for inspection lid
CN107848764A (zh) 具有地坎锁的轿厢门连锁装置
KR101624825B1 (ko)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
US8960372B2 (en) Elevator car door interlock
WO2008078135A1 (en) Car door locking device
JP2011057414A (ja) エレベータ換気装置
KR20090026402A (ko) 카도어 잠금장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클러치 구조
KR20050045910A (ko) 도어 제한기
AU2004321993A1 (en) Electromagnetically operated elevator door lock
KR101376821B1 (ko) 엘리베이터 장치
AU2004321706A1 (en) Elevator door coupler
JP2001504072A (ja) エレベータドア用作動システム
JP6801683B2 (ja)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
KR100616017B1 (ko) 덤웨이터의 카 고정장치
JP6498806B1 (ja) 油圧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CN117098719A (zh) 电梯设备和电梯门控制方法
WO2008065235A1 (en) Elevator arrangement
KR20230150721A (ko) 엘리베이터 카의 바운싱 저감 장치
KR20060040320A (ko) 엘리베이터의 도어잠금 확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