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0109A - 기기 제어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기기 제어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0109A
KR20130060109A KR1020120077921A KR20120077921A KR20130060109A KR 20130060109 A KR20130060109 A KR 20130060109A KR 1020120077921 A KR1020120077921 A KR 1020120077921A KR 20120077921 A KR20120077921 A KR 20120077921A KR 20130060109 A KR20130060109 A KR 201300601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nterface
control
controlled
user
controlled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7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8894B1 (ko
Inventor
조형래
권지현
오석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BR112014012962-2A priority Critical patent/BR112014012962B1/pt
Priority to PCT/KR2012/008967 priority patent/WO2013081303A1/en
Priority to JP2014544652A priority patent/JP6203741B2/ja
Priority to EP12854028.3A priority patent/EP2786264B1/en
Priority to CN201280068435.9A priority patent/CN104094247B/zh
Priority to CA2857266A priority patent/CA2857266A1/en
Priority to RU2014126405A priority patent/RU2632123C2/ru
Priority to CN201710723412.1A priority patent/CN107505847B/zh
Priority to AU2012327198A priority patent/AU2012327198B2/en
Priority to RU2017132841A priority patent/RU2682021C2/ru
Priority to US13/689,203 priority patent/US9621369B2/en
Publication of KR20130060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01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88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8894B1/ko
Priority to US15/483,665 priority patent/US11314379B2/en
Priority to JP2017165959A priority patent/JP6568168B2/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5/00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 G05B15/02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electric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09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indicating that an appliance service is present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1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indicating a format for calling an appliance service function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07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remote control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31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home appliance, e.g. lighting, air conditioning system, metering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27Monitoring of local network, e.g. connection or bandwidth variations; Detecting new devices in the local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6Pc applications
    • G05B2219/2642Domotique, domestic, home control, automation, smart ho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기기 제어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 기기 제어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는, 피제어 기기로부터 제어 정보를 수집하는 제어 정보 수집부; 상기 수집된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추천되는 제어 기능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는 추천 기능 수집부; 상기 추천된 제어 기능에 기초하여, 상기 피제어 기기의 제어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생성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기기 제어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DEVICE}
본 발명은 기기 제어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기기를 제어한 이력에 기초하여 기기 제어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홈 네트워크란, 가정 내 정보 가전 제품과 같은 전자 기기들을 네트워크로 연결해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네트워크 기술을 말한다. 홈네트워크는 댁내의 정보 가전기기을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로 연결하여 생활의 편리함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술이다.
이와 같은 홈네트워크 환경에서는 댁내의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가 제공되지만, 일반적인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는 특정 장치의 특정 기능이 효율적으로 제어되기 힘든 문제가 있다. 또한,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는 다수의 장치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액티비티 모드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피제어 기기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과 관련된 유저 인터페이스를 생성 및 제공할 수 있는, 기기 제어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가 피제어 기기를 제어한 패턴을 분석하여 유저 인터페이스를 생성 및 제공할 수 있는, 기기 제어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복수의 피제어 기기에서 자주 사용되는 기능을 조합하여 유저 인터페이스를 생성 및 제공할 수 있는, 기기 제어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복수의 피제어 기기 중에서 함께 사용되는 피제어 기기를 함께 제어할 수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생성 및 제공할 수 있는, 기기 제어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액티비티 모드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피제어 기기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기기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과 관련된 제어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수집된 제어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액티비티 모드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피제어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액티비티 모드는 영화 모드, 음악 감상 모드, 청소 모드, 휴가 모드, 및 취침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는, 상기 피제어 기기에 대한 사용자의 제어 이력에 기초하여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상기 제어 이력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의 내부 데이터베이스,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와 연결된 외부 데이타베이스, 및 상기 피제어 기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제어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측면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액티비티 모드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피제어 기기를 식별하는 식별부; 상기 식별된 기기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과 관련된 제어정보를 수집하는 제어 정보 수집부; 및 상기 수집된 제어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액티비티 모드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피제어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UI (User Interface) 생성부;를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는,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UI 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액티비티 모드는 영화 모드, 음악 감상 모드, 청소 모드, 휴가 모드, 및 취침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는, 상기 피제어 기기에 대한 사용자의 제어 이력에 기초하여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상기 제어 이력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정보 수집부는,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의 내부 데이터베이스,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와 연결된 외부 데이타베이스, 및 상기 피제어 기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제어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측면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액티비티 모드와 관련된 피제어 기기에 관한 제어 정보를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유저 인터페이스에 포함될 상기 피제어 기기의 기능을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에게 추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추천된 기능은,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에서 상기 피제어 기기의 제어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데 이용되는 것인, 서버가 기기 제어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생성하기 위한 정보를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에게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4 측면은, 상기 제 1 측면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5 측면은, 상기 제 3 측면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사용자가 피제어 기기를 제어한 패턴을 분석하여 유저 인터페이스를 생성 및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복수의 피제어 기기에서 자주 사용되는 기능을 조합하여 유저 인터페이스를 생성 및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과제 해결 수단 중 하나에 의하면, 복수의 피제어 기기 중에서 함께 사용되는 피제어 기기를 함께 제어할 수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생성 및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기 제어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의 전체 개요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기 제어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의 세부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기기 제어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의 세부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정보 테이블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정보 테이블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기 제어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저 인터페이스를 생성 방법의 세부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이 피제어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기 제어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은 복수의 피제어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며,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는 기기 제어에 관한 제어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소정의 피제어 기기 및 이를 제어하기 위한 소정의 기능을 조합하여 유저 인터페이스를 생성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기 제어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의 전체 개요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기 제어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1000),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피제어 기기(2000),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3000), 서버(4000) 및 네트워크(5000)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1000)은 피제어 기기(20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사용자 단말(1000)은 직접 또는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3000)를 통하여 피제어 기기(2000)를 제어할 수 있으며, 피제어 기기(2000)에 대한 제어 정보를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30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0)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 가능하고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하여 피제어 기기(2000)를 제어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장치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1000)은, 예를 들어, 휴대폰,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폰, 노트북, 퍼스널 컴퓨터와 같은 통신 단말을 포함한다.
피제어 기기(2000)는 사용자 단말(1000)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제어 명령에 따라 동작한다. 또한, 피제어 기기(2000)는 제어 명령에 기초한 동작과 관련된 제어 정보를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30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피제어 기기(2000)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3000)와 통신이 가능한 모든 장치를 포함하며, 예를 들어, TV, 냉장고, 오디오, 에어컨, 조명 기기를 포함한다.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3000)는 피제어 기기(2000)에 대한 제어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유저 인터페이스를 생성한다.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3000)는 사용자 단말(1000) 및 피제어 기기(200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제어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3000)는 수집된 제어 정보를 후술할 서버(4000)로 제공하고, 서버(4000)로부터 제어의 대상이 되는 피제어 기기 및 이에 대한 제어 기능을 추천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3000)는 소정의 시간에 함께 사용되는 피제어 기기들 및 자주 사용되는 기능을 서버(4000)로부터 추천받을 수 있다. 또한,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3000)는 추천된 피제어 기기 및 제어 기능에 기초하여 유저 인터페이스를 생성하고 제공할 수 있다.
서버(4000)는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3000)에게 제어의 대상이 되는 피제어 기기 및 제어 기능을 추천한다. 서버(4000)는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3000)로부터 제어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어 정보를 분석하여 피제어 기기 및 제어 기능을 추천할 수 있다.
네트워크(5000)는 전용선, LAN, VAN, 인트라넷, 사설 전화망, 공중 전화망, PSTN 망 및 이들의 상호 조합을 포함하며, 도 1에 도시된 각 네트워크 구성 주체가 서로 원활하게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포괄적인 의미의 데이터 통신망이며,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및 모바일 무선 통신망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기 제어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은 홈 네트워크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3000)는 홈 네트워크 내의 홈 게이트웨이에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300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3000)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3000)는 식별부(3900), 제어 정보 수집부(3100), 추천 기능 수집부(3200), 제어 명령 수집부(3300), UI(User Interface) 생성부(3400), UI 제공부(3500), DB(3600), 송수신부(3700) 및 제어부(3800)를 포함한다.
식별부(390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액티비티 모드에 관련된 하나 이상의 피제어 기기(2000)를 식별한다. 액티비티 모드는, 예를 들어, 영화 모드, 음악 감상 모드, 청소 모드, 휴가 모드, 및 취침 모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액티비티 모드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UI가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식별부(3900)는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3000)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액티비티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3000)는 액티비티 모드의 목록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식별부(3900)는 사용자 단말(1000)로부터 선택된 액티비티 모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1000)은 액티비티 모드의 목록을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선택된 액티비티 모드에 관한 정보를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30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액티비티 모드에 매칭된 피제어 기기의 목록이 후술할 DB(3600)에 저장될 수 있으며, 식별부(3900)는 피제어 기기의 목록에 기초하여 액티비티 모드에 관련된 피제어 기기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화 모드에 대하여 에어컨, 조명 기기 및 TV가 매칭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액티비티 모드가 영화 모드이면, 식별부(3900)는 에어컨, 조명 기기 및 TV를 피제어 기기(2000)로 식별할 수 있다.
제어 정보 수집부(3100)는 피제어 기기(2000)에 대한 제어 정보를 수집한다. 제어 정보는 피제어 기기(2000)가 제어 명령에 의하여 제어된 동작에 관한 정보로서, 제어 기기의 사용 이력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어된 시간, 제어된 기기, 제어 기능, 제어 명령, 및 제어 횟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정보 수집부(3100)는 사용자 단말(1000) 및 피제어 기기(200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제어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0)이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3000)를 통하여 피제어 기기(2000)를 제어하는 경우, 제어 정보 수집부(3100)는 사용자 단말(1000)로부터 기기 제어를 위하여 제공되는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제어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0)이 직접 피제어 기기(2000)를 제어하는 경우, 제어 정보 수집부(3100)는 피제어 기기(2000)로부터 제어된 동작에 대한 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피제어 기기(2000)에 대한 제어 정보가 별도의 서버에 저장되고 제어 정보 수집부(3100)는 서버로부터 제어 정보를 수집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 정부 수집부(3100)는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3000)의 내부 데이터베이스,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3000)와 연결된 외부 데이타베이스, 및 피제어 기기(200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제어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추천 기능 수집부(3200)는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서버(4000)로부터 추천되는 제어 기능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다. 추천 기능 수집부(3200)는 수집된 제어 정보 및 선택된 액티비티 모드에 관한 정보를 서버(4000)로 제공하고, 제어 정보 및 액티비티 모드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추천된 피제어 기기 및 이에 대한 제어 기능에 관한 정보를 서버(40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천 기능 수집부(3200)는 TV, 라디오, 조명 기기, 에어컨 및 세탁기에 대한 다양한 제어 정보를 서버(4000)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서버(4000)로부터 TV 및 에어컨을 피제어 기기로 추천 받고, TV에 대한 볼륨 조절 기능, 에어컨에 대한 온도 조절 기능을 제어 기능으로 추천 받을 수 있다. 이 경우, 서버(4000)는 제어 기기의 사용 이력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의해 기 설정된 수치 이상으로 함께 이용된 피제어 기기(2000) 및 사용자에 의해 기 설정된 수치 이상으로 이용된 기능을 추천할 수 있다.
또한, 추천 기능 수집부(3200)는 서버(4000)로부터 추천된 피제어 기기 및 제어 기능에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0)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1000)을 통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UI에 포함시킬 피제어 기기 및 제어 기능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00)로부터, 추천된 피제어 기기 및 제어 기능을 UI에 포함시키기 위한 피드백 정보가 수신되면, 추천 기능 수집부(3200)는 추천된 피제어 기기 및 제어 기능을 UI에 포함시킬 것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00)로부터, 추천된 피제어 기기 및 제어 기능을 UI에 포함시키지 않도록 하기 위한 피드백 정보가 수신되면, 추천 기능 수집부(3200)는 피제어 기기 및 제어 기능의 추천을 서버(4000)에게 추가로 요청할 수 있다.
제어 명령 수집부(3300)는 추천된 제어 기능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을 수집한다. 제어 명령 수집부(3300)는 추천된 제어 기능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을 피제어 기기(2000)에게 요청하고, 피제어 기기(2000)로부터 제어 명령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V에 대한 볼륨 조절 기능, 에어컨에 대한 온도 조절 기능이 추천된 경우에, 제어 명령 수집부(3300)는 TV에게 볼륨 조절을 위한 제어 명령을 요청할 수 있으며, 에어컨에게 온도 조절을 위한 제어 명령을 요청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제어 명령 수집부(3300)는 피제어 기기(2000)의 동작에 대한 제어 명령을 미리 수집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어 명령 수집부(3300)는 피제어 기기(2000)로부터 제어 명령에 관한 정보을 수집하거나 별도의 서버로부터 피제어 기기(2000)에 대한 제어 명령에 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UI 생성부(3400)는 추천된 제어 기능 및 수집된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피제어 기기(2000)를 제어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생성한다. UI 생성부(3400)는 서버(4000)로부터 추천된 복수의 피제어 기기(2000)를 함께 제어할 수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4000)로부터 TV 및 에어컨이 피제어 기기로 추천된 경우에 UI 생성부(3400)는 TV의 볼륨 조절 기능 및 에어컨의 온도 조절 기능을 함께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UI 생성부(3400)는 유저 인터페이스의 형태를 미리 정할 수 있으며, 미리 정해진 형태의 유저 인터페이스 내의 각각의 버튼을 피제어 기기(2000)의 제어 기능에 각각 할당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동일한 형태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다수의 피제어 기기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UI 생성부(3400)는 사용자의 기기 제어 이력에 기초하여 UI를 생성하거나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I 생성부(3400)는 사용자가 자주 이용하는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아이콘을 강조하거나 추가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UI 생성부(3400)는 사용자가 자주 이용하지 않는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아이콘을 삭제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UI 생성부(3400)는 피제어 기기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아이콘들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UI 제공부(3500)는 생성된 유저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단말(1000)에게 제공한다. UI 제공부(3500)에 의해 제공된 유저 인터페이스는 사용자 단말(100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100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유저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피제어 기기(2000)가 제어될 수 있다.
DB(3600)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각종의 정보를 저장한다. DB(3600)는 피제어 기기(2000)에 관한 각종의 제어 동작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하여는 도 7 및 도 8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송수신부(3700)는 유저 인터페이스 생성을 위한 각종의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0) 및 서버(4000)와 송수신한다.
제어부(3800)는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3000)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며,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3000)가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유저 인터페이스를 생성하고 제공할 수 있도록, 제어 정보 수집부(3100), 추천 기능 수집부(3200), 제어 명령 수집부(3300), UI 생성부(3400), UI 제공부(3500), DB(3600) 및 송수신부(3700)를 제어한다.
한편, 추천 기능 수집부(3200)는 서버(4000)로부터 추천되는 제어 기능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0)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1000)은 제어 기능에 대한 정보를 활용하여 피제어 기기(2000)를 제어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사용자 단말(1000)은 추천된 제어 기능에 대한 정보를 서버(4000)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 명령 수집부(3300)는 수집된 제어 명령을 사용자 단말(1000)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1000)은 제공된 제어 명령을 이용하여 피제어 기기(2000)를 제어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0)이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3000) 및 서버(4000)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활용하여 유저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하여는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400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4000)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4000)는 제어 정보 수신부(4100), 추천 기능 결정부(4200), 추천 기능 제공부(4300), 송수신부(4400) 및 제어부(4500)를 포함한다.
제어 정보 수신부(4100)는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3000)로부터 제어 정보를 수신한다. 제어 정보는 피제어 기기(2000)가 제어 명령에 의하여 제어된 동작에 관한 정보로서, 예를 들어, 제어된 시간, 제어된 기기, 제어 기능, 제어 명령, 및 제어 횟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정보 수신부(4100)는 사용자 단말(1000) 및 피제어 기기(200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제어 정보를 수집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1000) 및 피제어 기기(2000)는 네트워크(5000)를 통하여 서버(4000)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추천 기능 결정부(4200)는 수신된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의 대상이 되는 피제어 기기(2000) 및 제어 기능을 결정한다. 추천 기능 결정부(4200)는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기기 제어 패턴을 분석하고, 분석된 기기 제어 패턴에 기초하여 추천 기능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추천 기능 결정부(4200)는 제어 정보를 분석하여 요일 또는 시간 별로 추천 기능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천 기능 결정부(4200)는 월요일 9:00 ~ 9:30에 제어된 피제어 기기(2000) 및 제어된 기능 중 기 설정된 수치 이상으로 제어된 기기와 기능을 추천할 수 있다.
또한, 추천 기능 결정부(4200)는 제어 정보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함께 제어되는 피제어 기기(2000) 및 제어된 기능을 분석하여 추천 기능을 결정할 수 있다. 추천 기능 결정부(4200)는, 예를 들어, TV, 에어컨 및 조명 기기가 함께 제어되는 횟수가 기 설정된 수치 이상인 경우에, TV의 볼륨 조절 기능, 에어컨의 온도 조절 기능 및 조명 기기의 밝기 조절 기능을 함께 제어할 수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도록 피제어 기기 및 제어 기능을 추천할 수 있다.
또한, 추천 기능 결정부(4300)는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3000)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액티비티 모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액티비티 모드에 대응되는 피제어 기기를 추천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사용자 단말(1000)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액티비티 모드에 대응되는 피제어 기기를 식별하고, 식별된 피제어 기기에 관한 정보를 서버(4000)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추천 기능 결정부(4200)는 식별된 피제어 기기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의 피제어 기기 및 제어 기능을 추천할 수 있다.
또한, 추천 기능 결정부(4200)는 현재 사용자 단말(1000)에 의해 제어되고 있는 피제어 기기 및 제어 기능에 기초하여, 이와 함께 제어될 기기 및 기능을 추천할 수도 있다.
추천 기능 제공부(4300)는 결정된 추천 기능을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3000)에게 제공한다. 제공된 추천 기능은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3000)에서 기기 제어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송수신부(4400)는 서버(4000)가 유저 인터페이스 생성을 위한 제어 기능을 추천하기 위하여 필요한 각종의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0), 피제어 기기(2000) 및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3000)와 송수신한다.
제어부(4500)는 서버(4000)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며, 서버(4000)가 유저 인터페이스 생성을 위한 제어 기능을 추천할 수 있도록 제어 정보 수신부(4100), 추천 기능 결정부(4200), 추천 기능 제공부(4300), 송수신부(4400)를 제어한다.
한편, 추천 기능 제공부(4300)는 결정된 추천 기능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0)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1000)은 추천 기능에 대한 정보를 활용하여 피제어 기기(2000)를 제어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기 제어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기 제어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의 세부 흐름도이다.
단계 S400에서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3000)는 액티비티 모드에 매칭된 피제어 기기를 식별한다. 단계 S400에서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300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액티비티 모드에 관련된 하나 이상의 피제어 기기(2000)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3000)는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3000)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액티비티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3000)는 액티비티 모드의 목록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3000)는 사용자 단말(1000)로부터 선택된 액티비티 모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1000)은 액티비티 모드의 목록을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선택된 액티비티 모드에 관한 정보를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30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액티비티 모드에 매칭된 피제어 기기의 목록이 DB(3600)에 저장될 수 있으며,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3000)는 피제어 기기의 목록에 기초하여 액티비티 모드에 관련된 피제어 기기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화 모드에 대하여 에어컨, 조명 기기 및 TV가 매칭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액티비티 모드가 영화 모드이면,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3000)는 에어컨, 조명 기기 및 TV를 피제어 기기(2000)로 식별할 수 있다.
단계 S401은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3000)가 식별된 피제어 기기에 관한 제어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이다. 단계 S401에서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3000)는 사용자 단말(1000) 및 피제어 기기(2100, 220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제어 정보를 수집한다. 사용자 단말(1000)이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3000)를 통하여 피제어 기기(2100, 2200)를 제어하는 경우,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3000)는 사용자 단말(1000)로부터 제공되는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제어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0)이 직접 피제어 기기(2100, 2200)를 제어하는 경우,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3000)는 피제어 기기(2100, 2200)로부터 제어된 동작에 대한 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피제어 기기(2100, 2200)에 대한 제어 정보가 별도의 서버에 저장되고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3000)는 별도의 서버로부터 제어 정보를 수집할 수도 있다.
단계 S402는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3000)가 수집된 제어 정보를 서버(4000)에게 제공하는 단계이다. 단계 S402에서는 서버(4000)가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3000)로부터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서버(4000)가 사용자 단말(1000) 또는 피제어 기기(2000)로부터 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1000) 및 피제어 기기(2100, 2200)는 네트워크(5000)를 통하여 서버(4000)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단계 S404는 서버(4000)가 제어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이다. 단계 S404에서 서버(4000)는 수신된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기기 제어 이력 및 기기 제어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4000)는 시간 또는 요일 별로 기 설정된 수치 이상으로 제어된 피제어 기기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서버(4000)는 시간 또는 요일 별로 기 설정된 수치 이상으로 제어된 제어 기능을 각각의 피제어 기기 별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404에서 서버(4000)는 기 설정된 수치 이상으로 함께 제어된 피제어 기기를 확인할 수 있으며, 기 설정된 수치 이상으로 함께 제어된 기능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단계 S406은 서버(4000)가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3000)에게 피제어 기기 및 제어 기능을 추천하는 단계이다. 단계 S406에서 서버(4000)는 요일 또는 시간 별로 피제어 기기 및 제어 기능을 추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4000)는 월요일 9:00 ~ 9:30에 제어된 피제어 기기(2000) 및 제어된 기능 중 기 설정된 수치 이상으로 제어된 기기와 기능을 추천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406에서 서버(4000)는 기기 별로 피제어 기기(2000) 및 제어된 기능을 추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4000)는, TV, 에어컨 및 조명 기기가 함께 제어되는 횟수가 기 설정된 수치 이상인 경우에, TV의 볼륨 조절 기능, 에어컨의 온도 조절 기능 및 조명 기기의 밝기 조절 기능을 함께 제어할 수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도록 피제어 기기 및 제어 기능을 추천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406에서 서버(4000)는 현재 사용자 단말(1000)에 의해 제어되고 있는 피제어 기기 및 제어 기능에 기초하여, 이와 함께 제어될 기기 및 기능을 추천할 수도 있다.
단계 S407에서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3000)는 추천된 피제어 기기 및 제어 기능의 목록을 사용자 단말(1000)에게 제공한다.
단계 S408에서 사용자 단말(1000)은 추천된 피제어 기기 및 제어 기능의 목록에 대한 사용자의 피드백 정보를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3000)에게 제공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00)은 추천된 피제어 기기 및 제어 기능을 UI에 포함시키기 위한 피드백 정보를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3000)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3000)는 추천된 피제어 기기 및 제어 기능을 UI에 포함시킬 것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00)은 추천된 피제어 기기 및 제어 기능을 UI에 포함시키지 않도록 하기 위한 피드백 정보를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3000)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3000)는 피제어 기기 및 제어 기능의 추천을 서버(4000)에게 추가로 요청할 수 있다.
단계 S409 및 단계 S410은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3000)가 추천된 피제어 기기 및 제어 기능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피제어 기기(2100, 2200)에게 제어 명령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이다.
단계 S412 및 단계 S414는 피제어 기기(2100, 2200)가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3000)에게 제어 명령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이다.
단계 S409 내지 S414에서는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3000)가 피제어 기기(2100, 2200)로부터 제어 명령 정보를 수신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단계 S416은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3000)가 유저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단계이다. 단계 S416에서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3000)는 추천된 제어 기능 및 수집된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피제어 기기(2100, 2200)를 제어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3000)는, 예를 들어, 서버(4000)로부터 TV 및 에어컨이 피제어 기기로 추천된 경우에 TV의 볼륨 조절 기능 및 에어컨의 온도 조절 기능을 함께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3000)는 유저 인터페이스의 형태를 미리 정할 수 있으며, 미리 정해진 형태의 유저 인터페이스 내의 각각의 버튼에 피제어 기기(2100, 2200)의 제어 기능을 각각 할당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동일한 형태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다수의 피제어 기기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3000)는 사용자의 기기 제어 이력에 기초하여 UI를 생성하거나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3000)는 사용자가 자주 이용하는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아이콘을 강조하거나 추가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3000)는 사용자가 자주 이용하지 않는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아이콘을 삭제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3000)는 피제어 기기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아이콘들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단계 S418은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3000)가 생성된 유저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단말(1000)에게 제공하는 단계이며, 단계 S420은 사용자 단말(1000)이 수신된 유저 인터페이스에 기초하여 피제어 기기(2100, 2200)를 제어하는 단계이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300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3000)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3000)는 식별부(3005), 제어 정보 수집부(3010), 제어 기능 선택부(3020), 제어 명령 수집부(3030), UI 생성부(3040), UI 제공부(3050), DB(3060), 송수신부(3070) 및 제어부(3080)를 포함한다.
식별부(3005)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액티비티 모드에 관련된 하나 이상의 피제어 기기(2000)를 식별한다. 액티비티 모드는, 예를 들어, 영화 모드, 음악 감상 모드, 청소 모드, 휴가 모드, 및 취침 모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액티비티 모드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UI가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식별부(3005)는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3000)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액티비티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3000)는 액티비티 모드의 목록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식별부(3005)는 사용자 단말(1000)로부터 선택된 액티비티 모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1000)은 액티비티 모드의 목록을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선택된 액티비티 모드에 관한 정보를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30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액티비티 모드에 매칭된 피제어 기기의 목록이 DB(3060)에 저장될 수 있으며, 식별부(3005)는 피제어 기기의 목록에 기초하여 액티비티 모드에 관련된 피제어 기기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화 모드에 대하여 에어컨, 조명 기기 및 TV가 매칭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액티비티 모드가 영화 모드이면, 식별부(3005)는 에어컨, 조명 기기 및 TV를 피제어 기기(2000)로 식별할 수 있다.
제어 정보 수집부(3010)는 피제어 기기(2000)에 대한 제어 정보를 수집한다. 제어 정보 수집부(3010)는 사용자 단말(1000) 및 피제어 기기(200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제어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0)이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3000)를 통하여 피제어 기기(2000)를 제어하는 경우, 제어 정보 수집부(3010)는 사용자 단말(1000)로부터 기기 제어를 위하여 제공되는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제어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0)이 직접 피제어 기기(2000)를 제어하는 경우, 제어 정보 수집부(3010)는 피제어 기기(2000)로부터 제어된 동작에 대한 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피제어 기기(2000)에 대한 제어 정보가 별도의 서버에 저장되고 제어 정보 수집부(3010)는 서버로부터 제어 정보를 수집할 수도 있다.
제어 기능 선택부(3020)는 유저 인터페이스에 포함될 제어 기능을 선택한다. 제어 기능 선택부(3020)는 수집된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기기 제어 패턴을 분석하고, 분석된 기기 제어 패턴에 기초하여 제어의 대상이 되는 피제어 기기 및 제어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제어 기능 선택부(3020)는 제어 정보를 분석하여 요일 또는 시간 별로 제어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기능 선택부(3020)는 월요일 9:00 ~ 9:30에 제어된 피제어 기기 및 제어된 기능 중 기 설정된 수치 이상으로 제어된 기기와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제어 기능 선택부(3020)는 피제어 정보로부터 함께 제어되는 피제어 기기 및 제어된 기능을 분석하여 제어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제어 기능 선택부(3020)는, 예를 들어, TV, 에어컨 및 조명 기기가 함께 제어되는 횟수가 기 설정된 수치 이상인 경우에, TV의 볼륨 조절 기능, 에어컨의 온도 조절 기능 및 조명 기기의 밝기 조절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제어 기능 선택부(302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액티비티 모드에 대응되는 피제어 기기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제어 기능 선택부(3020)는 현재 사용자 단말(1000)에 의해 제어되고 있는 피제어 기기 및 제어 기능에 기초하여, 이와 함께 제어될 기기 및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제어 기능 선택부(3020)는 선택된 피제어 기기 및 제어 기능에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0)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1000)을 통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UI에 포함시킬 피제어 기기 및 제어 기능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00)로부터, 추천된 피제어 기기 및 제어 기능을 UI에 포함시키기 위한 피드백 정보가 수신되면, 제어 기능 선택부(3020)는 선택된 피제어 기기 및 제어 기능을 UI에 포함시킬 것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00)로부터, 추천된 피제어 기기 및 제어 기능을 UI에 포함시키지 않도록 하기 위한 피드백 정보가 수신되면, 제어 기능 선택부(3020)는 피제어 기기 및 제어 기능를 다시 선택할 수 있다.
제어 명령 수집부(3030)는 선택된 제어 기능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을 수집한다. 제어 명령 수집부(3030)는 선택된 제어 기능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을 피제어 기기(2000)에게 요청하고, 피제어 기기(2000)로부터 제어 명령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V에 대한 볼륨 조절 기능, 에어컨에 대한 온도 조절 기능이 선택된 경우에, 제어 명령 수집부(3030)는 TV에게 볼륨 조절을 위한 제어 명령을 요청할 수 있으며, 에어컨에게 온도 조절을 위한 제어 명령을 요청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제어 명령 수집부(3030)는 피제어 기기(2000)의 동작에 대한 제어 명령을 미리 수집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어 명령 수집부(3030)는 피제어 기기(2000)로부터 제어 명령에 관한 정보을 수집하거나 별도의 서버로부터 피제어 기기(2000)에 대한 제어 명령에 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UI 생성부(3040)는 선택된 제어 기능 및 수집된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피제어 기기(2000)를 제어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생성한다. UI 생성부(3040)는 서버(4000)로부터 추천된 복수의 피제어 기기(2000)를 함께 제어할 수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4000)로부터 TV 및 에어컨이 피제어 기기로 선택된 경우에 UI 생성부(3040)는 TV의 볼륨 조절 기능 및 에어컨의 온도 조절 기능을 함께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UI 생성부(3040)는 유저 인터페이스의 형태를 미리 정할 수 있으며, 미리 정해진 형태의 유저 인터페이스 내의 각각의 버튼을 피제어 기기(2000)의 제어 기능에 각각 할당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동일한 형태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다수의 피제어 기기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UI 생성부(3040)는 사용자의 기기 제어 이력에 기초하여 UI를 생성하거나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I 생성부(3040)는 사용자가 자주 이용하는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아이콘을 강조하거나 추가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UI 생성부(3040)는 사용자가 자주 이용하지 않는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아이콘을 삭제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UI 생성부(3040)는 피제어 기기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아이콘들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UI 제공부(3050)는 생성된 유저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단말(1000)에게 제공한다. UI 제공부(3050)에 의해 제공된 유저 인터페이스는 사용자 단말(100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100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유저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피제어 기기(2000)가 제어될 수 있다.
DB(3060)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각종의 정보를 저장한다. DB(3060)는 피제어 기기(2000)에 관한 각종의 제어 동작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하여는 도 7 및 도 8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송수신부(3070)는 유저 인터페이스 생성을 위한 각종의 정보를 송수신한다.
제어부(3080)는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3000)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며,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3000)가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유저 인터페이스를 생성하고 제공할 수 있도록, 제어 정보 수집부(3010), 제어 기능 선택부(3020), 제어 명령 수집부(3030), UI 생성부(3040), UI 제공부(3050), DB(3060) 및 송수신부(3070)를 제어한다.
한편, 제어 기능 선택부(3020)는 선택된 제어 기능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0)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제어 명령 수집부(3030)는 수집된 제어 명령을 사용자 단말(1000)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1000)은 수신된 제어 기능에 대한 정보 및 제어 명령을 활용하여 피제어 기기(2000)를 제어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기기 제어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기기 제어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의 세부 흐름도이다.
단계 S600에서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3000)는 액티비티 모드에 매칭된 피제어 기기를 식별한다. 단계 S600에서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300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액티비티 모드에 관련된 하나 이상의 피제어 기기(2000)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3000)는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3000)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액티비티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3000)는 액티비티 모드의 목록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3000)는 사용자 단말(1000)로부터 선택된 액티비티 모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1000)은 액티비티 모드의 목록을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선택된 액티비티 모드에 관한 정보를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30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액티비티 모드에 매칭된 피제어 기기의 목록이 DB(3060)에 저장될 수 있으며,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3000)는 피제어 기기의 목록에 기초하여 액티비티 모드에 관련된 피제어 기기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화 모드에 대하여 에어컨, 조명 기기 및 TV가 매칭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액티비티 모드가 영화 모드이면,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3000)는 에어컨, 조명 기기 및 TV를 피제어 기기(2000)로 식별할 수 있다.
단계 S601은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3000)가 식별된 피제어 기기에 관한 제어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이다. 단계 S600에서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3000)는 사용자 단말(1000) 및 피제어 기기(2100, 220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제어 정보를 수집한다. 사용자 단말(1000)이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3000)를 통하여 피제어 기기(2100, 2200)를 제어하는 경우,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3000)는 사용자 단말(1000)로부터 제공되는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제어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0)이 직접 피제어 기기(2100, 2200)를 제어하는 경우,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3000)는 피제어 기기(2100, 2200)로부터 제어된 동작에 대한 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피제어 기기(2100, 2200)에 대한 제어 정보가 별도의 서버에 저장되고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3000)는 별도의 서버로부터 제어 정보를 수집할 수도 있다.
단계 S602는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3000)가 유저 인터페이스에 포함될 제어 기능을 선택하는 단계이다. 단계 S602에서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3000)는 수집된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기기 제어 이력 및 기기 제어 패턴을 분석하고, 분석된 기기 제어 이력 및 기기 제어 패턴에 기초하여 제어의 대상이 되는 피제어 기기 및 제어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3000)는 제어 정보를 분석하여 요일 또는 시간 별로 제어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3000)는 월요일 9:00 ~ 9:30에 제어된 피제어 기기 및 제어된 기능 중 기 설정된 수치 이상으로 제어된 기기와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602에서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3000)는 피제어 정보로부터 함께 제어되는 피제어 기기 및 제어된 기능을 분석하여 제어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3000)는, 예를 들어, TV, 에어컨 및 조명 기기가 함께 제어되는 횟수가 기 설정된 수치 이상인 경우에, TV의 볼륨 조절 기능, 에어컨의 온도 조절 기능 및 조명 기기의 밝기 조절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602에서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3000)는 는 현재 사용자 단말(1000)에 의해 제어되고 있는 피제어 기기 및 제어 기능에 기초하여, 이와 함께 제어될 기기 및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단계 S603에서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3000)는 선택된 피제어 기기 및 제어 기능의 목록을 사용자 단말(1000)에게 제공한다.
단계 S604에서 사용자 단말(1000)은 선택된 피제어 기기 및 제어 기능의 목록에 대한 사용자의 피드백 정보를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3000)에게 제공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00)은 선택된 피제어 기기 및 제어 기능을 UI에 포함시키기 위한 피드백 정보를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3000)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3000)는 선택된 피제어 기기 및 제어 기능을 UI에 포함시킬 것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00)은 선택된 피제어 기기 및 제어 기능을 UI에 포함시키지 않도록 하기 위한 피드백 정보를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3000)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3000)는 피제어 기기 및 제어 기능을 다시 선택할 수 있다.
단계 S605 및 단계 S606은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3000)가 선택된 피제어 기기 및 제어 기능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피제어 기기(2100, 2200)에게 제어 명령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이다.
단계 S608 및 단계 S610은 피제어 기기(2100, 2200)가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3000)에게 제어 명령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이다.
단계 S605 내지 S610에서는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3000)가 피제어 기기(2100, 2200)로부터 제어 명령 정보를 수신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단계 S612은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3000)가 유저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단계이다. 단계 S612에서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3000)는 선택된 제어 기능 및 수집된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피제어 기기(2100, 2200)를 제어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3000)는, 예를 들어, 서버(4000)로부터 TV 및 에어컨이 피제어 기기로 선택된 경우에 TV의 볼륨 조절 기능 및 에어컨의 온도 조절 기능을 함께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612에서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3000)는 유저 인터페이스의 형태를 미리 정할 수 있으며, 미리 정해진 형태의 유저 인터페이스 내의 각각의 버튼에 피제어 기기(2100, 2200)의 제어 기능을 각각 할당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동일한 형태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다수의 피제어 기기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단계 S612에서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3000)는 사용자의 기기 제어 이력에 기초하여 UI를 생성하거나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3000)는 사용자가 자주 이용하는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아이콘을 강조하거나 추가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3000)는 사용자가 자주 이용하지 않는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아이콘을 삭제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3000)는 피제어 기기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아이콘들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단계 S614는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3000)가 생성된 유저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단말(1000)에게 제공하는 단계이며, 단계 S616은 사용자 단말(1000)이 수신된 유저 인터페이스에 기초하여 피제어 기기(2100, 2200)를 제어하는 단계이다.
이하,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정보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정보 테이블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정보 테이블은 요일 필드(70), 시간 필드(72), 피제어 기기 필드(74), 제어 기능 필드(76) 및 횟수 필드(78)를 포함할 수 있다.
요일 필드(70)에는 피제어 기기가 제어된 요일이 기록되며, 시간 필드(72)에는 피제어 기기가 제어된 시간이 기록된다. 또한, 피제어 기기 필드(74)에는 피제어 기기의 식별 값이 기록되며, 제어 기능 필드(76)에는 피제어 기기 별로 제어된 기능이 기록된다. 또한, 횟수 필드(78)에는 피제어 기기의 제어 기능 별로 제어된 횟수가 기록된다.
따라서, 서버(4000) 또는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3000)는 이러한 제어 정보 테이블을 통하여 사용자의 기기 제어 패턴을 분석할 수 있으며, 분석된 기기 제어 패턴에 기초하여 유저 인터페이스에 포함될 피제어 기기 및 제어 기능을 결정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3000)가, 월요일 9:00 ~ 9:30에, 사용자 단말(1000)에게 제공할 유저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경우에,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3000)는 동 시간대에 제어 횟수가 많은 TV의 볼륨 조절 기능, 조명 기기의 ON/OFF 기능, 및 에어컨의 COOL 기능을 제어할 수 있도록 유저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정보 테이블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정보 테이블은 요일 필드(80), 시간 필드(82) 및 피제어 기기 필드(84)를 포함할 수 있다.
요일 필드(80)에는 피제어 기기가 제어된 요일이 기록되며, 시간 필드(82)에는 피제어 기기가 제어된 시간이 기록된다. 또한, 피제어 기기 필드(84)에는 동 시간대에 함께 제어되는 피제어 기기들에 대한 식별 값이 기록된다.
따라서,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3000)는 이러한 제어 정보 테이블을 통하여, 유저 인터페이스의 제어 대상에 포함될 피제어 기기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3000)는 라디오가 제어되고 있는 경우에 라디오 및 청소기를 함께 제어할 수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기 제어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기 제어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기 제어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는 에어컨을 제어하기 위한 영역(90), 조명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영역(92) 및 TV를 제어하기 위한 영역(84)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에어컨을 제어하기 위한 영역(90)에는, ‘COOL’ 버튼, ‘AUTO’ 버튼, ‘HEAT’ 버튼, ‘OFF’ 버튼이 표시되고, 조명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영역(92)에는 밝기 조절 버튼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TV를 제어하기 위한 영역(94)에는 채널 조절 버튼 및 볼륨 조절 버튼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유저 인터페이스의 형태는 미리 정해져 있을 수 있으며, 미리 정해진 형태의 유저 인터페이스 내의 각각의 버튼에 대응하여, 유저 인터페이스가 생성될 때마다 피제어 기기의 각 제어 기능이 각각 할당될 수 있다.
이하,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저 인터페이스 생성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저 인터페이스를 생성 방법의 세부 흐름도이다.
단계 S1000에서 서버(4000)는 사용자 단말(1000) 및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3000)에게 추천 기능을 제공한다. 단계 S1000에서 서버(4000)는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3000)로부터 수신된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결정된 추천 기능을 사용자 단말(1000) 및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30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단계 S1002에서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3000)는 제어 명령을 수집한다. 단계 S1002에서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3000)는 추천 기능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을 피제어 기기로부터 수집할 수 있다.
단계 S1004에서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3000)는 사용자 단말(1000)에게 수집된 제어 명령을 제공한다.
단계 S1006에서 사용자 단말(1000)은 추천 기능 및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유저 인터페이스를 생성한다. 단계 S1006에서 사용자 단말(1000)에서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생성하기 위한 화면이 추천 기능 및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제공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하여는 도 11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0)이 피제어 기기(2000)를 제어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일례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0)이 피제어 기기(2000)를 제어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000)은 서버(4000) 및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300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추천 기능 및 추천 기능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0)에서는 피제어 기기의 목록(10) 및 선택된 피제어 기기가 표시되는 영역(12)이 화면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피제어 기기를 영역(12)로 이동시킴으로써 기기 제어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기기를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4000) 및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300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된 추천 기능에 기초하여, 피제어 기기의 목록(10)에는 추천 기능에 대응되는 기기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피제어 기기가 선택된 이후에는 사용자 단말(1000)의 화면에는 선택된 기기(14, 16)에 대한 기능(18, 20)이 각각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표시된 기능(18, 20) 중 일부를 선택하여 기기 제어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에 포함시킬 수 있다.
이후, 사용자 단말(1000)은 UI 생성부(3400) 및 UI 생성부(3040)와 마찬가지로, 기기 제어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22)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5)

  1.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액티비티 모드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피제어 기기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기기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과 관련된 제어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수집된 제어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액티비티 모드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피제어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티비티 모드는 영화 모드, 음악 감상 모드, 청소 모드, 휴가 모드, 및 취침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는, 상기 피제어 기기에 대한 사용자의 제어 이력에 기초하여 변경되는 것인,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상기 제어 이력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의 내부 데이터베이스,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와 연결된 외부 데이타베이스, 및 상기 피제어 기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제어 정보를 수집하는 것인,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7.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액티비티 모드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피제어 기기를 식별하는 식별부;
    상기 식별된 기기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과 관련된 제어정보를 수집하는 제어 정보 수집부; 및
    상기 수집된 제어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액티비티 모드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피제어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UI (User Interface) 생성부;
    를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UI 제공부;
    를 더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액티비티 모드는 영화 모드, 음악 감상 모드, 청소 모드, 휴가 모드, 및 취침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는, 상기 피제어 기기에 대한 사용자의 제어 이력에 기초하여 변경되는 것인,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상기 제어 이력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의 내부 데이터베이스,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와 연결된 외부 데이타베이스, 및 상기 피제어 기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제어 정보를 수집하는 것인,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13. 서버가, 기기 제어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생성하기 위한 정보를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에게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액티비티 모드와 관련된 피제어 기기에 관한 제어 정보를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유저 인터페이스에 포함될 상기 피제어 기기의 기능을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에게 추천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추천된 기능은,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에서 상기 피제어 기기의 제어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데 이용되는 것인, 방법.
  14. 제 1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5. 제 13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20077921A 2011-11-29 2012-07-17 기기 제어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7188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RU2014126405A RU2632123C2 (ru) 2011-11-29 2012-10-30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для обеспечения пользовательского интерфейса для управления устройством
JP2014544652A JP6203741B2 (ja) 2011-11-29 2012-10-30 機器制御のための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提供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EP12854028.3A EP2786264B1 (en) 2011-11-29 2012-10-30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for device control
AU2012327198A AU2012327198B2 (en) 2011-11-29 2012-10-30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for device control
CA2857266A CA2857266A1 (en) 2011-11-29 2012-10-30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for device control
PCT/KR2012/008967 WO2013081303A1 (en) 2011-11-29 2012-10-30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for device control
BR112014012962-2A BR112014012962B1 (pt) 2011-11-29 2012-10-30 Método para fornecer interface de usuário (ui), aparelho de fornecimento de ui, método para prover um aparelho de fornecimento de ui com informação utilizada para gerar uma ui para controle de dispositivo utilizando um servidor, e meio de gravação legível por computador não transitório
CN201280068435.9A CN104094247B (zh) 2011-11-29 2012-10-30 提供用于装置控制的用户界面的方法和系统
RU2017132841A RU2682021C2 (ru) 2011-11-29 2012-10-30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для обеспечения пользовательского интерфейса для управления устройством
CN201710723412.1A CN107505847B (zh) 2011-11-29 2012-10-30 提供用于装置控制的用户界面的方法和系统
US13/689,203 US9621369B2 (en) 2011-11-29 2012-11-29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for device control
US15/483,665 US11314379B2 (en) 2011-11-29 2017-04-10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for device control
JP2017165959A JP6568168B2 (ja) 2011-11-29 2017-08-30 機器制御のための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提供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126277 2011-11-29
KR1020110126277 2011-11-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0109A true KR20130060109A (ko) 2013-06-07
KR101718894B1 KR101718894B1 (ko) 2017-03-23

Family

ID=48858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7921A KR101718894B1 (ko) 2011-11-29 2012-07-17 기기 제어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2) US9621369B2 (ko)
EP (1) EP2786264B1 (ko)
JP (2) JP6203741B2 (ko)
KR (1) KR101718894B1 (ko)
CN (2) CN104094247B (ko)
AU (1) AU2012327198B2 (ko)
BR (1) BR112014012962B1 (ko)
CA (1) CA2857266A1 (ko)
RU (2) RU2632123C2 (ko)
WO (1) WO2013081303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0972A (ko) * 2014-12-30 2016-07-08 황대선 홈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7052168A1 (ko) * 2015-09-25 2017-03-30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ui 제공 방법
KR20190043696A (ko) * 2017-10-19 2019-04-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합 관제점을 설정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장치
KR20210005254A (ko) * 2018-05-07 2021-01-13 구글 엘엘씨 다양한 연결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복합 그래픽 어시스턴트 인터페이스 제공
US10895863B2 (en) 2016-01-06 2021-01-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210048644A (ko) * 2019-10-23 2021-05-04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영상 기반 스마트 ui 제공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8894B1 (ko) * 2011-11-29 2017-03-23 삼성전자주식회사 기기 제어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02945029B (zh) * 2012-10-31 2014-12-10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智能网关、智能家居系统及家电设备的智能控制方法
JP6133186B2 (ja) * 2013-09-26 2017-05-24 京セラ株式会社 機器制御装置、機器制御方法および制御システム
KR20160097671A (ko) * 2015-02-09 2016-08-18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료 기기를 제어하는 모바일 단말기 및 이의 의료 기기 제어 방법
US10110394B2 (en) 2015-05-11 2018-10-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2423129B1 (ko) * 2015-07-31 2022-07-22 삼성전자주식회사 네트워크 장치, 서버 및 그 제어 방법
KR102549407B1 (ko) 2015-10-14 2023-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5281995B (zh) * 2015-10-29 2021-12-24 青岛海尔智能家电科技有限公司 一种推荐智能设备联动信息的方法和装置
CN106210017A (zh) * 2016-07-05 2016-12-07 Tcl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微信平台的智能设备控制方法及其系统
CN108574612B (zh) * 2017-03-07 2021-06-22 松下电器(美国)知识产权公司 设备确定方法以及设备确定装置
JP2018181270A (ja) * 2017-04-21 2018-11-1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表示方法、プログラム、及び、表示システム
JP6909961B2 (ja) 2017-04-21 2021-07-2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表示方法、プログラム、及び、表示システム
US11237796B2 (en) * 2018-05-07 2022-02-01 Google Llc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mposite graphical assistant interfaces for controlling connected devices
US11604661B2 (en) * 2018-06-03 2023-03-14 Apple Inc. Determining relevant information based on third party information and user interactions
US11228810B1 (en) 2019-04-22 2022-01-18 Matan Arazi System, method, and program product for interactively prompting user decisions
WO2021010522A1 (ko) * 2019-07-16 2021-0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시청 상황을 고려하여, 하나 이상의 가전 기기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11792184B2 (en) * 2019-12-05 2023-10-1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utopilot re-enrollment of managed devices
KR20210076775A (ko) 2019-12-16 2021-06-24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맞춤형 매뉴얼을 지원하기 위한 전자 장치
CN111263004B (zh) * 2020-01-21 2021-06-18 维达力实业(深圳)有限公司 终端控制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CN111413876A (zh) * 2020-03-02 2020-07-14 青岛聚好联科技有限公司 一种配置app的控制页面的方法及云平台、终端设备
CN112612214B (zh) * 2020-12-23 2023-02-03 青岛海尔科技有限公司 用于功能界面生成的方法、系统和电子设备
USD980240S1 (en) * 2021-03-22 2023-03-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20230244437A1 (en) * 2022-01-28 2023-08-03 Rovi Guides, Inc. Systems and methods to adjust loudness of connected and media source devices based on context
JP7433564B1 (ja) 2022-08-29 2024-02-19 三菱電機ビ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管理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97374B1 (en) * 1998-11-12 2003-07-22 Microsoft Corporation Activity based remote control unit
US20100286801A1 (en) * 2009-05-11 2010-11-11 Yum Kwanho Mobile terminal
US20110128228A1 (en) * 2009-11-30 2011-06-02 Sony Corporation Programmable Remote Control

Family Cites Families (6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04860A (en) * 1994-10-27 1997-02-18 Xerox Corporation Feature library and stored customized control interfaces
US7248150B2 (en) * 1997-01-29 2007-07-24 Directed Electronics, Inc. Menu-driven remote control transmitter
RU2127019C1 (ru) * 1997-08-01 1999-02-27 Рыжов Владимир Александрович Пульт дистанционного управления устройствами бытовой техники и компьютерными системами
US6344862B1 (en) 1998-05-29 2002-02-05 Hewlett-Packard Company User interface mechanism for manipulating context in computer management applications
US7218243B2 (en) * 1998-07-23 2007-05-15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etting up a universal remote control
US7831930B2 (en) * 2001-11-20 2010-11-09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a user interface for a remote control application
US6470378B1 (en) * 1999-03-31 2002-10-22 Intel Corporation Dynamic content customization in a clientserver environment
US6526581B1 (en) * 1999-08-03 2003-02-25 Ucentric Holdings, Llc Multi-service in-home network with an open interface
JP4434424B2 (ja) * 2000-04-18 2010-03-17 株式会社ルネサステクノロジ ホームエレクトロニクスシステム、ホームサーバ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をホームサーバ装置として機能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記録媒体
US6868292B2 (en) * 2000-09-14 2005-03-15 The Directv Group, Inc. Device control via digitally stored program content
JP3727922B2 (ja) * 2000-09-27 2005-12-21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電子機器の遠隔制御方法及び電子機器の管理設備
US6756998B1 (en) * 2000-10-19 2004-06-29 Destiny Networks, Inc. User interface and method for home automation system
AU2002225810A1 (en) * 2000-11-02 2002-05-15 Sony Electronics Inc. Content and application download based on a home network system configuration profile
US6879351B1 (en) * 2001-06-13 2005-04-12 Innotech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te control
US6885362B2 (en) * 2001-07-12 2005-04-26 Nokia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accessing ubiquitous resources in an intelligent environment
JP2003284161A (ja) 2002-03-20 2003-10-03 Sanyo Electric Co Ltd 動作制御装置
JP2004096234A (ja) 2002-08-29 2004-03-25 Ntt Docomo Inc ローカルサーバ装置、制御方法、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3800626B2 (ja) * 2003-01-30 2006-07-26 ソニー株式会社 制御装置および方法、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US7668990B2 (en) * 2003-03-14 2010-02-23 Openpeak Inc. Method of controlling a device to perform an activity-based or an experience-based operation
US7340460B1 (en) * 2003-04-04 2008-03-04 Yahoo! Inc. Vector analysis of histograms for units of a concept network in search query processing
US7890653B2 (en) * 2003-05-26 2011-02-15 Panasonic Corporation Operation history utilization system
US7127305B1 (en) * 2003-07-21 2006-10-24 Eyecon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unified control of multiple devices
US8996665B2 (en) * 2005-03-16 2015-03-31 Icontrol Networks, Inc. Takeover processes in security network integrated with premise security system
US10156959B2 (en) * 2005-03-16 2018-12-18 Icontrol Networks, Inc. Cross-client sensor user interface in an integrated security network
JP2005310022A (ja) * 2004-04-26 2005-11-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機器制御システム
WO2005109907A2 (en) * 2004-04-30 2005-11-17 Vulcan Inc. Maintain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state that is based on a selected time
US20060020904A1 (en) * 2004-07-09 2006-01-26 Antti Aaltonen Stripe user interface
KR100649494B1 (ko) 2004-08-17 2006-11-24 삼성전기주식회사 레이저를 이용하여 발광 다이오드 기판을 표면 처리하는발광 다이오드 제조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발광다이오드
JP2006106974A (ja) * 2004-10-01 2006-04-20 Toshiba Corp ネットワーク家電制御システム
WO2006094401A1 (en) * 2005-03-10 2006-09-14 D Silva William T Home device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for interacting with a primary user
JP4698281B2 (ja) 2005-05-09 2011-06-08 ソニー・エリクソン・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携帯端末、情報推奨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155120B2 (en) * 2005-06-09 2012-04-10 Whirlpool Corporation Software architecture system and method for discovering components within an appliance using fuctionality identifiers
JP2006350819A (ja) * 2005-06-17 2006-12-28 Toshiba Corp 家電機器制御システム
KR100746023B1 (ko) 2005-07-20 2007-08-0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벤트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방법 및 시스템
JP4593422B2 (ja) * 2005-09-28 2010-12-08 シャープ株式会社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JP2007119109A (ja) 2005-10-25 2007-05-17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7259380A (ja) * 2006-03-27 2007-10-04 Funai Electric Co Ltd リモコン装置および機器制御システム
US20070279389A1 (en) 2006-05-31 2007-12-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task-oriented universal remote control user interface
US20080005679A1 (en) * 2006-06-28 2008-01-03 Microsoft Corporation Context specific user interface
JP2009545920A (ja) 2006-08-02 2009-12-24 トムソン ライセンシング ビデオ符号化処理のためにアダブティブなジオメトリック分割を行う方法および装置
WO2008019334A2 (en) 2006-08-04 2008-02-14 Tegic Communications, Inc. Remote control in a mobile terminal
US7769910B2 (en) * 2007-06-15 2010-08-03 Openpeak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ctivity-based control of consumer electronics
US7899777B2 (en) * 2007-09-27 2011-03-01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Web-based visualization mash-ups for industrial automation
US20090150541A1 (en) * 2007-12-06 2009-06-11 Sony Corporation And Sony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ally generating user interfaces for network client devices
JP5119953B2 (ja) 2008-01-31 2013-01-1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表示装置
JP2009206985A (ja) 2008-02-28 2009-09-10 Canon Inc 機器操作選択装置及び機器操作選択方法
JP5280070B2 (ja) 2008-03-05 2013-09-04 シャープ株式会社 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提供装置、デジタルテレビ、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システム、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提供装置の制御方法、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提供プログラム、および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20090102299A (ko) * 2008-03-26 2009-09-30 최윤정 여행모드, 이지모드, 복수 사용자 등록, 사용자 성향에따른 설정이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지능형 네트웍시스템
WO2009125817A1 (ja) * 2008-04-09 2009-10-15 三菱電機株式会社 グラフィック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装置
US20090288022A1 (en) * 2008-05-15 2009-11-19 Sony Corporation Dynamically changing a user interface based on device location and/or date/time
KR101446090B1 (ko) * 2008-05-27 2014-10-02 삼성전자주식회사 제어 디바이스 및 그 ui 제공 방법
US20110208616A1 (en) * 2008-06-13 2011-08-25 Christopher Simon Gorman Content system
US20100261465A1 (en) * 2009-04-14 2010-10-14 Rhoads Geoffrey B Methods and systems for cell phone interactions
JP4990987B2 (ja) * 2009-02-04 2012-08-01 株式会社オプティム 携帯機器を使った電子機器の設定管理システム、管理方法、サーバ、および携帯機器
WO2010109849A1 (ja) * 2009-03-23 2010-09-3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記録媒体、及び集積回路
US8626141B2 (en) * 2009-07-30 2014-01-0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ustomizing a user interface menu
US8464280B2 (en) 2010-01-08 2013-06-11 Microsoft Corporation Execution context control
US8620476B2 (en) * 2010-02-12 2013-12-31 Enphase Ener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mart climate control
CN101866996B (zh) 2010-05-21 2011-11-23 山东大学 基于激光器的led大面积可控表面粗化及刻蚀方法
US20110296313A1 (en) * 2010-05-25 2011-12-01 Sony Corporation Translating input from devices to appropriate rui commands
US20120110490A1 (en) * 2010-10-29 2012-05-03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Dynamic menu for device specific graphical user interface presentations
US8745024B2 (en) * 2011-04-29 2014-06-03 Logitech Europe S.A. Techniques for enhancing content
WO2013074868A1 (en) * 2011-11-16 2013-05-23 Flextronics Ap, Llc Complete vehicle ecosystem
KR101718894B1 (ko) * 2011-11-29 2017-03-23 삼성전자주식회사 기기 제어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97374B1 (en) * 1998-11-12 2003-07-22 Microsoft Corporation Activity based remote control unit
US20100286801A1 (en) * 2009-05-11 2010-11-11 Yum Kwanho Mobile terminal
KR20100122027A (ko) * 2009-05-11 2010-1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휴대 단말기
US20110128228A1 (en) * 2009-11-30 2011-06-02 Sony Corporation Programmable Remote Control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0972A (ko) * 2014-12-30 2016-07-08 황대선 홈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7052168A1 (ko) * 2015-09-25 2017-03-30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ui 제공 방법
US10678420B2 (en) 2015-09-25 2020-06-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UI providing method therefor
US10895863B2 (en) 2016-01-06 2021-01-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90043696A (ko) * 2017-10-19 2019-04-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합 관제점을 설정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장치
KR20210005254A (ko) * 2018-05-07 2021-01-13 구글 엘엘씨 다양한 연결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복합 그래픽 어시스턴트 인터페이스 제공
US11579749B2 (en) 2018-05-07 2023-02-14 Google Llc Providing composite graphical assistant interfaces for controlling various connected devices
US11693533B2 (en) 2018-05-07 2023-07-04 Google Llc Providing composite graphical assistant interfaces for controlling various connected devices
KR20210048644A (ko) * 2019-10-23 2021-05-04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영상 기반 스마트 ui 제공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505847B (zh) 2022-04-12
EP2786264A4 (en) 2015-08-05
JP2017208863A (ja) 2017-11-24
WO2013081303A1 (en) 2013-06-06
CN104094247B (zh) 2017-09-15
RU2014126405A (ru) 2016-01-27
EP2786264B1 (en) 2021-02-24
RU2017132841A3 (ko) 2019-02-08
JP6203741B2 (ja) 2017-09-27
RU2682021C2 (ru) 2019-03-14
EP2786264A1 (en) 2014-10-08
CN107505847A (zh) 2017-12-22
RU2632123C2 (ru) 2017-10-02
US11314379B2 (en) 2022-04-26
AU2012327198A1 (en) 2013-06-13
US20130139089A1 (en) 2013-05-30
KR101718894B1 (ko) 2017-03-23
JP6568168B2 (ja) 2019-08-28
BR112014012962A2 (pt) 2017-06-13
CN104094247A (zh) 2014-10-08
CA2857266A1 (en) 2013-06-06
BR112014012962A8 (pt) 2017-06-20
BR112014012962B1 (pt) 2021-08-17
JP2015506133A (ja) 2015-02-26
US9621369B2 (en) 2017-04-11
US20170212649A1 (en) 2017-07-27
RU2017132841A (ru) 2019-02-08
AU2012327198B2 (en) 2015-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8894B1 (ko) 기기 제어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006741B1 (ko) 디바이스의 액티비티 공유 방법 및 시스템
CN1848839B (zh) 在网络中对装置可提供的任务区分优先次序的方法和系统
KR101958902B1 (ko) 전자기기들의 그룹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전자기기 관리 시스템
US9916062B2 (en)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esenting application lists
KR101747303B1 (ko) 어플리케이션 추천 방법, 그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그에 따른 통신 시스템
KR101197219B1 (ko) 개인 일정 및 방송 프로그램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5207864A (zh) 家电设备控制方法和装置
KR20130056672A (ko) 컨텍스트 정보에 기초한 애플리케이션 추천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76775A (ko) 사용자 맞춤형 매뉴얼을 지원하기 위한 전자 장치
TW201435582A (zh) 資訊管理方法、控制系統及顯示機器的控制方法
CN104822082A (zh) 显示设备及其控制方法和计算机可读记录介质
CN105898410A (zh) 视频推荐方法以及服务器
US20170332031A1 (en) Computer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coordinate compensation for a remote control key and detecting errors by using user profile information based on force inputs
CN105101354A (zh) 无线网络连接方法及装置
CN105700366A (zh) 设备控制方法、装置及终端
JP2014203045A (ja) コンテンツ再生装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JP2016186783A (ja) 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方法、及び情報提供システム
CN114063459B (zh) 一种终端和智能家居控制方法
KR20170135797A (ko) 지능형 예약 시스템
CN102855083B (zh) 终端和终端协同操作方法
JP4499713B2 (ja) 移動無線端末装置のメニューポイントの利用頻度を検出してメニュー構造を自動的に適合させる方法
KR20160145365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30082988A (ko) 앱 배치 공간을 활용한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124886A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설정 관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