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5365A -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5365A
KR20160145365A KR1020150081850A KR20150081850A KR20160145365A KR 20160145365 A KR20160145365 A KR 20160145365A KR 1020150081850 A KR1020150081850 A KR 1020150081850A KR 20150081850 A KR20150081850 A KR 20150081850A KR 20160145365 A KR20160145365 A KR 201601453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
user
menu item
preference
gu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1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성필
김승원
동지연
신승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818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45365A/ko
Priority to PCT/KR2016/006077 priority patent/WO2016200153A1/en
Priority to CN201680024806.1A priority patent/CN107533429A/zh
Priority to US15/179,214 priority patent/US20160364096A1/en
Publication of KR20160145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53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0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content on demand, e.g. video on deman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5Program loading or initiating
    • G06F9/44505Configuring for program initiating, e.g. using registry, configuration files
    • G06F9/4451User profiles; Roam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1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2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66Management of end-user data
    • H04N21/25891Management of end-user data being end-user p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32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end-user characteristics, e.g. viewer profile, preferences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디스플레이장치는, 디스플레이부; 사용자 명령 입력부; 외부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 복수의 외부장치 중 어느 하나와의 연결을 위한 인터페이스부; 상기 외부장치와 연결 중에, 상기 수신된 외부 신호에 포함된 영상과, 상기 사용자 명령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메뉴항목 표시 요청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뉴항목을 포함하는 GUI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신호처리부; 상기 GUI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뉴항목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서 선택된 메뉴항목에 해당되는 기능이 실행되도록 하는 제어부; 상기 GUI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뉴항목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이전에 선택된 메뉴항목의 정보와, 이전에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연결된 외부장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이력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결된 외부장치와, 상기 이력정보를 기반으로 선택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뉴항목을 포함하는 GUI를 표시한다.
이에 의하여, 사용자는 연결된 외부장치에 따른 사용자가 선호하는 기능을 쉽게 선택할 수 있게 되어 기능의 사용성이 향상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 방법{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사용자가 선호하는 기능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 이력에 기초하여 연결된 외부장치에 따른 사용자의 선호 기능을 결정하고, 대응하는 메뉴항목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 이다.
디스플레이장치는 외부의 다양한 영상공급원으로부터 전송되거나 또는 자체적으로 저장되어 있는 영상신호/영상데이터를 처리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장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디스플레이부에 처리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는, 예컨대 TV 또는 모니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가령, TV의 경우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방송신호를 디코딩, 스케일링 등과 같은 다양한 영상처리 프로세스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방송채널의 영상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한다.
기술이 발달하고 사용자의 요구가 다양화됨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의 기능 역시 함께 다양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디스플레이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은 다양화된 디스플레이장치의 모든 기능을 항상 사용하지는 않으며, 사용 패턴에 따라 익숙한 기능 위주로 사용한다.
그러나, 기존의 디스플레이장치는 미리 정해진 다수의 메뉴항목을 한꺼번에 표시하여, 사용자는 표시된 메뉴항목 중에서 원하는 기능을 사용하기 위한 메뉴항목을 찾기 위해 번번히 번거로운 조작을 거쳐야 했다.
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 기술은 사용자가 더 많이 사용한 기능의 항목을 사용자에게 따로 제공함으로써, 디스플레이장치의 사용성 향상을 시도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은 단순하게 기능이 사용된 횟수만을 판단하여, 많이 사용한 기능의 항목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뿐, 사용자의 기능 사용 패턴이 연결되는 외부장치에 따라 많은 차이를 보임에도 이를 고려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능의 사용성을 향상하기 위해 연결된 외부장치에 따른 사용자의 선호 기능을 분석하여 제공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 사용자 명령 입력부; 외부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 복수의 외부장치 중 어느 하나와의 연결을 위한 인터페이스부; 상기 외부장치와 연결 중에, 상기 수신된 외부 신호에 포함된 영상과, 상기 사용자 명령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메뉴항목 표시 요청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뉴항목을 포함하는 GUI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신호처리부; 상기 GUI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뉴항목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서 선택된 메뉴항목에 해당되는 기능이 실행되도록 하는 제어부; 상기 GUI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뉴항목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이전에 선택된 메뉴항목의 정보와, 이전에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연결된 외부장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이력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결된 외부장치와, 상기 이력정보를 기반으로 선택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뉴항목을 포함하는 GUI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서 기능의 사용성 향상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력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메뉴항목에 대응하는 기능의 선호도를 증감시키고, 상기 선호도가 제 1 임계치 이상인 상기 기능을 사용자의 선호 기능으로 결정하며, 상기 메뉴항목 표시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연결된 외부장치에 따른 상기 사용자의 선호 기능에 대응하는 메뉴항목을 포함하는 GUI를 표시함으로써, 선호 기능 결정의 기준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호도가 제 2 임계치 이하인 상기 기능을 상기 사용자의 선호 기능에서 제외함으로써, 사용자가 선호하는 기능만이 GUI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상기 메뉴항목을 선택한 빈도에 기초하여, 상기 메뉴항목에 대응하는 기능의 선호도를 추가적으로 증감시킴으로써, 실제 사용 패턴을 더 명확하게 고려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능의 선호도 결정 시, 해당 기능이 상기 선호 기능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선호도의 증감 정도를 달리함으로써, 선호 기능 결정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 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기능 사용 형태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선호 기능을 결정하며, 사용자의 특정 기능 사용 형태가 있는 때, 대응하여 선택된 메뉴항목을 포함하는 상기 GUI를 표시함으로써, 다양한 사용자의 기능 사용 패턴을 고려할 수 있다.
상기 기능 사용 형태는 제 1 기능의 사용 후, 제 2 기능을 사용하는 것으로써, 사용자의 연속한 기능 사용 패턴을 더 고려할 수 있다.
상기 기능 사용 형태는 상기 어느 하나의 외부장치와의 연결이 해제 된 후,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사용하는 것으로써, 연결이 해제 된 후의 사용자의 기능 사용 패턴을 더 고려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연결된 외부장치에 관한 정보를 편집할 수 있도록 GUI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고려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선호 기능을 편집할 수 있도록 GUI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고려할 수 있다.
상기 연결된 외부장치에 관한 정보는 통신 수단, 외부장치의 종류, 모델명, 특정 외부장치인지 여부 및 접속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로서, 다양한 외부장치의 연결 태양을 고려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선호 기능에 대응하는 메뉴항목을 포함하는 GUI는 상기 연결된 외부장치로부터 공급받음으로써, 연결된 외부장치가 제공하는 메뉴항목 중에서 사용자가 선호하는 메뉴항목이 쉽게 노출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사용자의 편의를 고려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외부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복수의 외부장치 중 어느 하나와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외부장치와 연결 중에, 상기 수신된 외부 신호에 포함된 영상과,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메뉴항목 표시 요청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뉴항목을 포함하는 GUI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GUI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뉴항목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서 선택된 메뉴항목에 해당되는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와; 상기 GUI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뉴항목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이전에 선택된 메뉴항목의 정보와, 이전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연결된 외부장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이력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GUI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메뉴항목 표시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연결된 외부장치와, 상기 이력정보를 기반으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뉴항목을 포함하는 GUI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 방법에 의해서 기능의 사용성 향상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GUI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이력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메뉴항목에 대응하는 기능의 선호도를 증감시키는 단계와; 상기 선호도가 제 1 임계치 이상인 상기 기능을 사용자의 선호 기능으로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메뉴항목 표시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연결된 외부장치에 따른 상기 사용자의 선호 기능에 대응하는 메뉴항목을 포함하는 GUI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선호 기능 결정의 기준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GUI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선호도가 제 2 임계치 이하인 상기 기능을 사용자의 선호 기능에서 제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으로써, 사용자가 선호하는 기능만이 GUI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GUI를 표시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상기 메뉴항목을 선택한 빈도에 기초하여, 상기 메뉴항목에 대응하는 기능의 선호도를 추가적으로 증감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함으로써, 사용자의 실제 사용 패턴을 더 명확하게 고려할 수 있다.
상기 선호도를 증감시키는 단계는, 상기 기능이 상기 선호 기능인지 여부에 따라 선호도의 증감 정도를 달리함으로써, 선호 기능 결정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 시킬 수 있다.
상기 GUI를 표시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기능 사용 형태에 기초하여 연결된 외부장치에 따른 사용자의 선호 기능을 결정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특정 기능 사용 형태가 있는 때, 대응하여 선택된 메뉴항목을 포함하는 상기 GUI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다양한 사용자의 기능 사용 패턴을 고려할 수 있다.
상기 기능 사용 형태는 제 1 기능을 사용 후, 제 2 기능을 사용하는 것인 사용자의 선호 기능을 결정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의 연속적인 기능 사용 패턴을 더 고려할 수 있다.
상기 기능 사용 형태는 상기 어느 하나의 외부장치와의 연결이 해제 된 후,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사용하는 것으로써, 연결이 해제 된 후의 사용자의 기능 사용 패턴을 더 고려할 수 있다.
상기 GUI를 표시하는 단계는,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연결된 외부장치에 관한 정보를 편집할 수 있도록 GUI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고려할 수 있다.
상기 GUI를 표시하는 단계는,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선호 기능을 편집할 수 있도록 GUI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고려할 수 있다.
상기 외부장치에 관한 정보는 통신 수단, 외부장치의 종류, 모델명, 특정 외부장치인지 여부 및 접속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로서, 다양한 외부장치의 연결 태양을 고려할 수 있다.
상기 GUI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이력정보를 기반으로 선택된 메뉴항목을 포함하는 GUI를 상기 연결된 외부장치로부터 공급받는 단계를 더 포함 함으로써, 연결된 외부장치가 제공하는 메뉴항목 중에서 사용자가 선호하는 메뉴항목이 쉽게 노출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사용자의 편의를 고려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 사용자 명령 입력부; 외부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 정보를 제공하는 복수의 소스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액세스를 위하여 외부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소스와 액세스 중에, 상기 수신된 외부 신호에 포함된 영상과, 상기 사용자 명령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메뉴항목 표시 요청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뉴항목을 포함하는 GUI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신호처리부; 상기 GUI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뉴항목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서 선택된 메뉴항목에 해당되는 기능이 실행되도록 하는 제어부; 상기 GUI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뉴항목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이전에 선택된 메뉴항목의 정보와, 이전에 상기 통신부를 통해 액세스된 소스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이력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액세스된 소스와, 상기 이력정보를 기반으로 선택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뉴항목을 포함하는 GUI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서 기능의 사용성 향상이 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연결된 외부장치에 따른 사용자의 선호 기능을 분석하여 제공함으로써, 디스플레이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사용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에 저장될 수 있는 데이터를 도시한 표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선호 기능이 결정되는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의 선호도가 감소되는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GUI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선호 기능 편집을 위한 GUI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선호 기능 편집을 위한 GUI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외부장치에 관한 정보를 편집하기 위한 GUI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영상 및 기능을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 사용 형태에 기초하여 선호 기능을 결정하고 표시하는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된 외부장치에 따른 사용자의 선호 기능을 결정하고,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디스플레이장치(10)는 신호수신부(100), 디스플레이부(101), 제어부(103), 저장부(105), 인터페이스부(107), 사용자 명령 입력부(109) 및 신호처리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장치(10)의 구성은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이와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즉,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장치(10)의 구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배제되거나, 새로운 구성이 추가될 수 있다.
신호수신부(100)는 영상신호를 외부로부터 수신한다. 신호수신부(100)는 튜너(tuner)를 구비하여 영상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튜너(tuner)는 제어부(103)의 제어에 따라 복수의 채널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채널의 영상신호를 튜닝하여 수신할 수 있다. 채널의 선택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장치(10)는, 사용자의 조작 명령을 수신하는 사용자 명령 입력부(10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명령 입력부(109)는 조작 패널을 통해 조작 명령을 직접 수신하거나, 리모컨으로부터 사용자의 조작 명령이 포함된 리모컨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신호수신부(100)는 다른 실시예로서, 셋탑박스, DVD, PC 등과 같은 영상기기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하거나, 스마트폰과 같은 주변기기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하거나,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버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신호처리부(111)는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부(101)에 영상이 표시되도록 한다. 신호처리부(111)는 수신되는 영상신호에 대하여, 예컨대, 모듈레이션, 디모듈레이션, 멀티플렉싱, 디멀티플렉싱, 아날로그-디지털변환, 디지털-아날로그변환, 디코딩, 인코딩, 이미지인핸스먼트, 스케일링 등의 영상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신호처리부(111)는 제어부(103)의 제어에 따라서 디스플레이장치(10)가 제공할 수 있는 복수의 기능에 대응하는 메뉴항목을 포함하는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디스플레이부(101)에 표시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01)는 신호처리부(111)에 의해 처리되는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01)는 LCD, PDP, OLED 등 다양한 방식으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저장부(105)는 제어부(103)의 제어에 따라서 다양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으며, 또한 디스플레이장치(10)의 기능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05)는 플래시메모리(flash-memory),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ard-disc drive)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다. 저장부(105)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예를 들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장치(10)의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 선택한 메뉴항목의 정보와 메뉴항목을 선택한 시간의 정보를 포함하는 이력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또한 디스플레이장치(10)의 구동을 위한 운영체계를 비롯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의 기능 실행을 위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부(105)에 저장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07)는 복수의 외부장치(11)와 각각 연결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등 다양한 규격에 따른 접속 포트가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부(107)는 외부장치(11)와 연결하기 위해 통신부로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07)는 유선 LAN(local area network)을 통해 복수의 서버들과 유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부(107)가 수행하는 통신은 무선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통신의 경우, 인터페이스부(107)는 RF(radio freqeuncy) 신호를 송수신하는 RF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07)는 무선 LAN, Wi-Fi(Wireless Fidelity) 등과 같은 방식으로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인터페이스부(107)는 블루투스(Bluetooth)와 같은 방식으로 외부장치(11)와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나아가, 인터페이스부(107)는 인터넷 전화, 메시지송수신 등을 위한 통신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03)는 디스플레이장치(10)의 다양한 구성에 대한 제어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103)는 신호수신부(100)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 신호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부(101)를 통해 처리된 영상을 표시한다.또한, 제어부(103)는 사용자의 메뉴항목 선택에 따라 선택된 메뉴항목에 해당되는 기능이 실행되도록 하며, 선택된 메뉴항목의 정보와 상기 메뉴항목을 선택한 시간의 정보를 포함하는 이력정보를 저장부(105)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인터페이스부(107)의 외부장치(11)와의 연결 동작을 수행하게 한다. 제어부(103)는 또한, 저장부(105)에 저장되어 있는 이력정보를 분석하여, 연결된 외부장치에 따른 사용자의 선호 기능을 결정하고, 결정된 선호 기능에 대응하는 메뉴항목을 선택하여 디스플레이부(101)에 표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105)에 저장될 수 있는 사용자가 선택한 메뉴항목 및 연결된 외부장치에 관한 정보 등을 포함하는 이력정보(20)를 표로서 도시한다.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장치(10)의 기능(201)을 사용하기 위해 GUI의 메뉴항목을 선택하면, 제어부(103)는 선택된 메뉴항목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메뉴항목의 정보와 연결된 외부장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이력 정보가 저장부(105)에 저장된다. 또한, 사용자가 사용한 기능(201) 및 기능을 사용한 시간(205)에 관한 정보가 저장부(105)에 저장될 수 있다. 정보는 연결된 외부장치(200), 기능(201), 선호도(203) 및 시간(205)에 관한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정보의 항목은 단지 예시일 뿐으로, 저장되는 정보의 항목은 도면의 예로서 한정되지 않는다.
외부장치(200)는 인터페이스부(107)를 통해 디스플레이장치(10)에 연결되어 있는 외부장치(200)로서, USB, HDMI, LAN 등을 통해 디스플레이장치(10)와 연결 가능한 모든 외부장치(200)가 저장될 수 있다. 연결된 외부장치(200)에 따라서 같은 기능(201)이더라도, 선호도(203)가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외부장치(200)별로 사용자의 선호 기능은 동일하지 않을 수 있다. 외부장치(200)의 명칭은 기 설정되어 있으나, 이를 편집할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편집 GUI가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장치(10)는 통신부를 통해 복수의 소스 중 어느 하나에 액세스 할 수 있다. 소스는 영상 및 이미지뿐 아니라 다양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는 물리적 또는 가상적인 주체이다. 소스는 그 예로서, 인터넷(internet) 상의 도메인(domain)일 수 있다. 도메인은 네트워크를 관리하기 위한 영역으로, 서로 다른 도메인이라 하더라도 정보가 제공되는 주체는 서버(server)로서 동일할 수 있다. 하지만, 다른 도메인에서 제공되는 정보는 항상 동일한 것은 아니므로, 사용자가 선호하는 기능은 액세스된 각각의 소스별로 달리 결정될 필요가 있다. 소스는 또한 외부장치(200)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이거나, 외부장치(200)의 특정 기능에 의해 제공될 수 있는 정보 일 수 있다. 즉, 액세스된 정보의 제공 주체 또는 액세스 후에 제공되는 정보의 종류 등에 따라서 사용자의 선호 기능이 달리 결정될 수 있다.
기능(201)은 사용자가 기능(201)을 사용하기 위해 GUI의 메뉴항목을 선택함으로써 디스플레이장치(10)에 의해 수행된 기능(201)이다. 기능(201)은 디스플레이장치(10)가 실행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사용자가 시청한 채널, 화면의 밝기, 화질, 등을 조절할 수 있는 설정 등 디스플레이장치(10)가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모든 기능일 수 있다.
선호도(203)는 사용자가 기능(201)을 사용함에 따라 증감되어 저장되는 수치이다. 선호도(203)는 사용자가 기능(201)을 더 많이, 또는 더 자주, 반복하여 사용할수록 높아지고, 사용자가 기능(201)을 일정 기간 사용하지 않으면 낮아진다. 선호도(203)의 높낮이를 통해 사용자가 기능(201)을 선호하는지 여부에 대해서 판단할 수 있다.
사용시간(205)은 사용자가 기능(201)의 사용을 시작하고, 끝난 시간에 관한 정보이다. 사용시간(205)은 시/분/초뿐만 아니라 년/월/일에 대한 정보 역시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저장부(105)에 저장되는 정보는 사용자 식별을 위한 사용자 정보, 기능(201)을 사용한 횟수, 기능(201)을 사용하지 않은 기간, 기능(201)을 사용하였다고 볼 수 있는 최소 시간, 기능(201)의 설정 내용 등 기능(201), 연결을 위한 통신 수단, 외부장치의 종류, 모델명, 특정 외부장치인지 여부, 접속시간 및 기능(201)의 사용과 관련된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식별을 위한 사용자 정보의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장치(10)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복수일 경우, 각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코드가 사용될 수 있다. 저장부(105)에 각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나이, 성별에 관한 정보가 추가로 저장될 수 있다. 식별코드를 사용함으로써, 각 사용자별로 기능(201)을 사용하여 선호도(203)가 증감될 수 있다. 따라서, 같은 디스플레이장치(10)라 하더라도 각각의 사용자마다 연결된 외부장치(200)에 따른 선호 기능이 다를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표시되는 GUI가 각 사용자별로 차이가 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05)는 연결을 위한 통신 수단에 대한 정보를 더 저장할 수 있다. 이렇게 저장된 통신 수단의 종류에 따라서 선호 기능이 결정될 수 있다. 통신 수단이 무선인지 유선인지, 혹은 RF 통신을 수행하는지, 블루투스 통신을 하는지 여부에 따라서 사용자가 선호하는 기능이 다를 수 있다.
또한, 저장부(105)는 연결된 외부장치(200)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더 저장할 수 있다. 외부장치(200)의 종류는 외부장치(200)가 영상기기인지, 음성기기인지 등의 외부장치(200)가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의 종류일 수 있으며, 또는 외부장치(200)가 셋탑 박스(set-top box)인지, 모바일 장치인지, 서버인지 등의 외부장치(200) 자체의 종류일 수 있다. 제어부(103)는 연결된 외부장치(200)의 종류에 따라 사용자의 선호 기능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05)는 외부장치(200)의 모델명에 대한 정보를 더 저장할 수 있다. 같은 종류의 외부장치(200)라 하더라도 사용자는 각각 다른 모델명의 외부장치(200)에 따라서 디스플레이장치(10)의 다른 기능(201)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USB중 어느 하나를 연결하여 사용할 때는, USB의 드라마 컨텐츠를 시청하며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10)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으며, 다른 USB를 연결하여 사용할 때는, 주로 이미지 편집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05)는 특정 외부장치(200)인지에 대한 정보를 더 저장할 수 있다. 특정 외부장치(200)인지 여부는 각각의 외부장치(200)에 저장되어 있는 고유의 시리얼 번호 등으로 구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사용자는 각각 같은 모델의 스마트폰을 디스플레이장치와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연결된 특정 스마트폰에 따라서 선호되는 기능(201)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같은 종류 및 같은 모델명의 외부장치(200)라 하더라도, 특정 외부장치(200)인지에 대한 정보를 더 저장하여 활용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저장부(105)는 외부장치(200)가 디스플레이장치(10)에 연결 되어 있는 접속시간에 대한 정보를 더 저장할 수 있다. 외부장치(200)가 접속되어 있는 시간의 길고 짧음에 따라서, 사용자가 해당 외부장치(200)가 연결되어 있는 동안 사용하는 기능(201)이 다를 수 있다. 또한, 외부장치(200)와의 연결이 해제된 후, 사용자가 주로 사용하는 기능(201) 또한 외부장치(200)에 따른 사용자의 선호 기능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먼저, 동작 S300에서 신호수신부(100)는 외부 신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동작 S301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는 인터페이스부(107)를 통해 복수의 외부장치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된다. 그리고, 동작 S303에서 제어부(103)는 수신된 외부 신호에 포함된 영상과, 사용자의 메뉴항목 표시 요청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뉴항목을 포함하는 GUI를 디스플레이부(101)에 표시한다. 그리고, 동작 S305에서 제어부(103)는 사용자에 의해서 선택된 메뉴항목에 해당되는 기능을 실행한다. 그 후, 동작 S307에서 제어부(103)는 이전에 선택된 메뉴항목의 정보와 이전에 연결된 외부장치의 정보를 포함하는 이력정보를 저장한다. 마지막으로, 동작 S309에서 제어부(103)는 연결된 외부장치와, 이력정보를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뉴항목을 선택한다.
신호수신부(100)는 외부 신호를 수신하여(S300) 신호처리부(111)에 제공한다. 신호처리부(111)는 제공된 신호를 처리하며, 제어부(103)의 제어에 따라서 처리된 신호에 기반한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01)에 표시된다.
이어서 인터페이스부(107)는 연결 가능한 복수의 외부장치 중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하나의 외부장치와 연결한다(S301). 이때, 외부장치가 아니라 외부의 소스에 통신부를 통해 액세스 될 수 있음은 상술한 바 있다.
외부장치와 연결 중에, 사용자의 메뉴항목 표시 요청이 있으면, 제어부(103)의 제어에 따라 외부 신호에 포함된 영상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뉴항목을 포함하는 GUI가 디스플레이부(101)에 함께 표시된다(S303).
사용자는 디스플레이장치(101)의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 GUI의 메뉴항목을 선택할 수 있으며, 제어부(103)는 사용자의 메뉴항목 선택에 따라서, 선택된 메뉴항목에 해당되는 기능을 실행한다(S305).
이후, 이전에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메뉴항목의 정보와 이전에 메뉴항목을 선택한 시간의 정보를 포함하는 이력정보가 저장부(105)에 저장된다(S307).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장치(200), 사용한 기능(201), 기능의 선호도(203) 및 기능(201)을 사용한 시간(205)이 저장 될 수 있다.
이어서, 제어부(103)는 연결된 외부장치와, 저장부(105)에 저장된 이력정보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뉴항목을 선택한다(S309). 이때, 선택되는 메뉴항목은 사용자가 선호하는 기능으로 결정된 선호 기능에 대응하는 메뉴항목 일 수 있다. 즉, 제어부(103)는 연결된 외부장치에 따라 사용자가 선호하는 기능(201)을 사용자의 선호 기능으로 결정하며, 결정된 선호 기능에 대응하는 메뉴항목을 선택한다(S307). 사용자의 선호 기능은 연결된 외부장치에 따른 기능의 선호도(203)를 기준으로 결정할 수 있다. 선호도(203)를 기준으로 선호 기능으로 결정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그리고, 제어부(103)는 차후 사용자의 메뉴항목 표시 요청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장치와 상기 이력 정보를 기반으로 선택된 메뉴항목을 포함하는 GUI를 디스플레이부(101)에 표시할 수 있다. 즉, 특정 외부장치가 연결되고, 메뉴항목이 표시 요청되면, 연결된 특정 외부장치에 따른 사용자의 선호 기능에 대응하는 메뉴항목을 사용자가 쉽게 선택하도록 제공하며, 사용자는 표시된 메뉴항목을 선택함으로써, 해당하는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인터페이스부(107)는 통신부를 포함하며, 정보를 제공하는 복수의 소스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액세스를 위하여 외부장치(200)와 통신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03)는 인터페이스부(107)의 통신부를 제어하여, 적어도 하나의 소스에 액세스하며(S301), 사용자가 액세스된 소스로부터 정보를 전달받는 중에, 사용자에 의해서 선택된 메뉴항목에 해당되는 기능이 실행 되면(S305), 사용자가 사용한 상기 기능 및 상기 액세스된 소스에 관한 이력정보를 저장하고(S307), 연결된 외부장치와 저장된 이력정보에 기반하여 액세스된 소스에 따른 사용자의 선호 기능을 결정하며 선호 기능에 대응하는 메뉴항목을 선택한다(S309). 그 후, 사용자의 메뉴항목 표시 요청이 있으면, 선택된 사용자의 선호 기능에 대응하는 메뉴항목을 포함하는 GUI를 표시한다(S303). 연결된 외부장치(200)에 따라 사용자의 선호 기능을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정보의 제공 소스에 따른 사용자의 선호 기능을 결정할 수 있다. 네트워크 상에서 정보를 제공하는 각각의 소스는 서로 다르더라도 연결되는 외부장치(200)는 같거나 같은 종류일 수 있기에, 액세스된 소스에 따라 선호 기능을 달라질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03)는 연결된 외부장치(200)에 따른 사용자의 선호 기능에 대응하는 메뉴항목을 포함하는 GUI를 사용자가 따로 조작하지 않아도, 디스플레이부(101)에 항상 표시하거나, GUI를 따로 표시하지 않고, 자동으로 선호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는 선호 기능이 이미 결정된 상태에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다른 복수의 사용자들의 기능 사용 이력을 전달받아 분석한 후, 디스플레이장치(10)를 사용할 사용자가 선호하는 기능을 예측한 예측 모델(prediction model)을 제작한다. 이용 초기의 디스플레이장치(10)는 예측 모델을 이용하여 결정된 선호 기능에 대응하는 메뉴항목을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이 예측 모델에 의해 결정된 선호 기능은 반드시 사용자가 선호하는 기능과 같을 수는 없지만, 다수의 사용자들의 사용 이력에 기초하여 만들어진 것이므로, 상당 부분 일치할 수 있다. 사용자가 이후 디스플레이장치(10)를 상당기간 사용하면 선호 기능이 사용자가 실제 선호하는 기능으로 갱신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선호도(203)의 증감에 따라 선호 기능이 결정되는 과정의 흐름도이고, 도 5는 기능(201)의 선호도가 감소하는 동작의 흐름도이다. 사용자가 기능(201)을 사용함에 따라서 선호도(203)가 증가하거나, 감소할 수 있다. 선호도(203)는 사용자가 기능(201)을 선호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가상의 수치로서, 저장부(105)에 저장된다. 선호도(203)가 증가하여 기 설정된 제 1 임계치를 넘으면, 사용자가 기능(201)을 자주 또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이를 선호 기능으로 결정할 필요가 있다. 또한, 선호도(203)가 감소하여 기 설정된 제 2 임계치 보다 적어지면, 사용자가 기능(201)을 더 이상 자주 사용하지 않는 것이므로, 선호 기능에서 제외될 수 있다.
먼저, 동작 S401에서, 사용자가 기능(201)을 사용한다. 그 후, 동작 S403에서, 제어부(103)는 사용자의 기능(201)의 사용에 기초하여 연결된 외부장치(200)에 따른 기능(201)의 선호도(203)를 증가 또는 감소시킨다. 다음으로는, 동작 S405에서, 제어부(103)가 기능의 선호도(203)가 제 1 임계치 이상인지 판단한다. 기능(201)의 선호도(203)가 제 1 임계치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동작 S407에서, 제어부(103)는 기능(201)을 선호 기능으로 결정한다. 그리고, 기능(201)의 선호도(203)가 제 1 임계치 이상이 아니라면, 동작 S409에서, 제어부(103)가 기능(201)의 선호도(203)가 제 2 임계치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기능(201)의 선호도(203)가 제 2 임계치 이하라면, 동작 S411에서, 제어부(103)가 기능(201)을 선호 기능에서 제외한다.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장치(10)가 제공할 수 있는 복수의 기능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201)을 사용하면(S401) 사용한 기능(201) 및 연결된 외부장치(200)에 관한 정보(20)가 저장부(105)에 저장된다. 정보(20)에 관해서는 상술한바 있다.
제어부(103)는 사용자가 기능(201)을 사용한 시간(205)에 기초하여, 연결된 외부장치(200)에 따른 기능(201)의 선호도(203)를 증가 또는 감소시킨다(S403). 구체적으로, 제어부(103)는 사용자가 기능(201)을 사용할 때마다 선호도(203)를 증가시킨다. 기능(201)을 사용하였는지에 대한 판단은, 단지 기능(201)에 접근 또는 메뉴항목의 선택에 대응하여 해당하는 기능(201)을 사용하였다고 판단하거나, 다른 예로서, 기능(201)을 소정 시간 이상 사용한 경우 기능(201)을 사용하였다고 판단할 수도 있다. 기능(201)을 사용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을 만한 소정 시간은 각각의 기능(201)마다 다를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능(201) 마다 선호도(203)가 증감하는 정도 역시 다를 수 있다.
도 5는 기능(201)의 선호도(203)가 감소하는 동작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제어부(103)는 사용자가 기능(201)을 사용한 뒤(S501), 기 설정된 기간이 경과하였다고 판단하고(S503), 기 설정된 기간이 경과하였으면, 연결된 외부장치(200)에 따른 기능(201)의 선호도(203)를 감소시킨다(S505). 제어부(103)는 기 설정된 기간 동안 기능(201)이 사용되었는지 여부와는 상관 없이, 기 설정된 기간이 경과하면 선호도(203)를 감소 시킨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기 설정된 기간 동안 기능(201)이 사용되었다면, 제어부(103)는 기 설정된 기간의 산정을 초기화 하여 선호도(203)를 감소시키지 않을 수 있다. 선호도(203) 감소를 위해 기 설정된 기간은 각각의 기능(201) 마다 다르게 설정될 수 있으며, 이와 관련된 정보는 저장부(105)에 저장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03)는 사용자가 기능(201)을 사용한 빈도에 기초하여 연결된 외부장치(200)에 따른 상기 기능(201)의 선호도(203)를 추가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시킨다. 구체적으로, 기능(201)이 기 설정된 기간 동안 일정 횟수 이상 사용한 경우 기능(201)이 사용될 때마다 제어부(103)는 기능(201)의 선호도(203)를 추가로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기능(201)의 선호도(203)가 증가 됨이 없이 계속하여 감소하면, 제어부(103)는 기능(201)의 선호도(203)를 추가로 감소 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03)는 기능(201)의 선호도(203)결정 시, 기능(201)이 선호 기능인지 여부에 따라서 선호도(203)의 증감 정도를 달리할 수 있다. 구현에 따라서, 제어부(103)는 사용된 기능(201)이 선호 기능이라면, 선호도(203)를 기능(201)이 선호 기능이 아닌 경우보다 더 많이 증가시키거나, 더 적게 감소시킬 수 있다. 반대로, 제어부(103)는 사용된 기능(201)이 선호 기능이 아닌 경우에, 기능(201)이 선호 기능인 경우보다 선호도(203)를 더 많이 증가시키거나, 더 적게 감소시킬 수 있다.
제어부(103)는 선호 기능의 결정을 위해, 기능(201)의 선호도(203)가 제 1 임계치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405). 연결된 외부장치(200)에 따른 선호도(203)가 제 1 임계치 이상인 기능(201)은 사용자가 특정 외부장치(200)와 연결 중에, 사용하기를 선호하는 기능(201)이라는 의미다. 따라서, 제어부(103)는 기능(201)의 선호도(203)가 제 1임계치 이상인 경우, 기능(201)을 연결된 외부장치(200)에 따른 사용자의 선호 기능으로 결정한다(S407). 만약 기능(201)이 이미 선호 기능이라면, 기능(201)의 선호도(203)가 제 1 임계치 이상인지 여부는 판단하지 않는다.
기능(201)의 선호도(203)가 제 1 임계치 이상이 아닌 경우 제어부(103)는 해당 기능(201)의 선호도(203)가 제 2 임계치 이하인지를 판단한다(S409). 연결된 외부장치(200)에 따른 선호도(203)가 제 2 임계치 이하인 기능(201)은 사용자가 더 이상 특정 외부장치(200)와 연결 중, 더 이상 사용하기를 선호하지 않는 기능(201)이라는 의미다. 따라서, 선호 기능의 선호도(203)가 제 2 임계치 이하인 경우 제어부(103)는 이를 선호 기능에서 제외한다(S411). 기능(201)이 이미 선호 기능이 아니라면, 기능(201)의 선호도(203)가 제 2 임계치 이하인지 여부는 판단하지 않는다. 해당 기능이 선호 기능인 경우, 기능(201)의 선호도(203)가 제 2 임계치 이하로 감소되면, 선호 기능에서 제외되어 대응하는 메뉴항목이 더 이상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제 2 임계치는 제 1 임계치와 같을 수 있지만, 한번 결정된 선호 기능을 쉽사리 선호 기능에서 제외하지 못하도록 제 2 임계치가 제 1 임계치보다 낮을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GUI(graphical user interface)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101)의 예를 도시한다. 연결된 외부장치(200)에 따른 선호 기능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뉴항목(601)과 연결된 외부장치(603)를 포함하는 GUI가 디스플레이부(101)에 표시된다. 디스플레이부(101)는 USB와 연결 중, 사용자가 선호하는 기능에 대응하는 메뉴항목(601) a, b, c, d와 연결된 외부장치(603)를 포함하는 GUI(60)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01)는 HDMI와 연결 중, 사용자가 선호하는 기능에 대응하는 메뉴항목(601)인 a, d와 연결된 외부장치(603)를 포함하는 GUI(61)를 표시한다. 메뉴항목(601)은 디스플레이장치(10) 자체적으로 생성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연결된 외부장치(603)로부터 공급받아 표시할 수 있다. 연결된 외부장치(603)가 선호 기능에 대응하는 메뉴항목(601)을 표시하는 경우, 제어부(103)는 인터페이스부(107)를 통해 저장부(105)에 저장된 사용 이력을 외부장치(603)에 전송하여, 외부장치(603)가 제공할 메뉴항목(601)을 재배열 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의 외부장치 (200)에 따른 선호 기능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뉴항목(601)과 현재 연결된 외부장치(603)를 포함하는 GUI(60, 61)는 사용자가 제어 명령을 입력 함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01)에 표시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의 특별한 제어 명령이 입력되지 않아도 자동으로 특정 외부장치(200)에 따른 선호 기능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뉴항목(601)과 현재 연결된 외부장치(603)를 포함하는 GUI(60, 61)가 디스플레이부(101)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특정 외부장치(200)는 현재 연결된 외부장치(603) 일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현재 연결된 외부장치(603)가 아닌 다른 특정 외부장치(200)일 수 있다. 이때, 현재 연결된 외부장치(603)에 따른 선호 기능이 아니라,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외부장치(200)에 따른 선호 기능에 대응하는 메뉴항목(601)이 표시된다. 표시된 GUI(60, 61)의 배치와 설명은 단지 예시일 뿐으로, GUI(60, 61)는 구현하는 방식에 따라서 다양하게 표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01)는 GUI(60, 61)가 표시되고, 일정 기간 동안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장치(10)를 더 사용하여 각 연결된 외부장치(603)에 따른 사용자의 선호 기능이 바뀐 GUI(63, 65)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01)가 표시하는 GUI(60, 61)과 GUI(63, 65)는 각각 다른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GUI일 수 있다. 초기에는 두 디스플레이장치(10)에 같은 선호 기능이 저장되어 있더라도, 오랜 기간 사용에 의해 같은 연결된 외부장치(603)에 따른 선호 기능이 서로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디스플레이장치(10)를 사용할수록 화면에 표시되는 선호 기능은 사용자가 진정으로 선호하는 기능만이 남을 것이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선호 기능에 대응하는 메뉴항목(601)이 GUI에 포함되어 디스플레이부(101)에 표시되지 않고, 특정 외부장치에 따른 선호 기능이 특정 외부장치가 연결됨에 대응하여 바로 실행될 수 있다. 이를테면, 사용자가 USB를 TV에 연결한 후, USB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을 주로 시청해 왔다면, USB를 연결하면 바로 USB의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01)에 표시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디스플레이장치(10)의 사용자에 따라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장치(10)를 사용한 기간에 따라서, 외부장치(200)와 연결 후 실행되는 기능(201)이 각기 달라질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액세스된 소스에 따른 선호 기능에 대응하는 메뉴항목과, 액세스된 소스를 포함하는 GUI가 디스플레이부(101)에 표시될 수 있다. 소스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메인, 외부장치(200)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 또는 외부장치(200)의 특정 기능에 의해 제공될 수 있는 정보일 수 있다. 사용자의 제어 명령에 따라서, 디스플레이장치(10)가 특정 소스에 액세스하면, 소스는 정보를 제공하며 정보 및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메뉴항목 역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장치(10)로부터 선호 기능에 대한 정보가 소스에 전달되면, 소스는 사용자가 선호하는 기능에 대응하는 메뉴항목을 포함하는 GUI를 표시할 수 있다. GUI는 사용자의 제어명령에 따라서 표시될 수 있으며, 소스에 액세스 되는 순간 자동으로 표시될 수 있음은 상술한바 있다.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로 하여금 선호 기능을 편집할 수 있도록 표시되는 GUI(70, 80)의 예를 도시한다. 제어부(103)가 선호도(203)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선호 기능을 결정하는 것은, 편리할 수 있으나, 실제로 사용자가 선호하여 쉽게 사용하고 싶은 기능(201) 과는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가 직접 선호하는 기능(201)을 선호 기능으로 결정하고, 선호하지 않는 기능(201)을 선호 기능에서 제외하며, 외부장치(200)의 명칭을 변경하거나 추가하는 등을 할 수 있도록 선호 기능 편집 GUI(70, 80)들이 제공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제 1 외부장치(701)에 따른 선호 기능을 제 2 외부장치(703)에 따른 선호 기능으로 변경할 수 있도록 표시되는 선호 기능 편집 GUI(70)의 예를 도시한다. 편집 GUI(70)는 제 1 외부장치(701) 및 제 2 외부장치(703)에 따른 선호 기능에 대응하는 메뉴항목들을 포함한다. 사용자는 제 2 외부장치(703)에 따른 선호 기능 중 하나인 앱a를 제 1 외부장치(701)에 따른 선호 기능으로 결정하기 위해, 앱a에 해당하는 메뉴항목(705(a))을 제 1 외부장치(701)의 빈 공간(705(b))에 이동시킬 수 있다. 이동은 드래그 앤드 드랍(drag-and-drop), 클릭(click) 등 간단하고 직관적인 조작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이동이 완료되면, 앱a는 제 2 외부장치(703)에 따른 선호 기능에서 제외되며, 제 1 외부장치(701)에 따른 선호 기능으로 결정된다. 선호 기능을 제 2 외부장치(703)에서 제 1 외부장치(701)로 복사하여 붙이는 것도 구현에 따라서 가능할 것이다. 상술 된 설명과 도 7의 GUI는 단지 설명을 위한 예시일 뿐이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호 기능을 이동 또는 복사할 수 있도록 표시되는 GUI의 다양한 구현예가 존재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로 하여금 디스플레이장치(10)가 제공할 수 있는 복수의 기능 중에서 직접 선호 기능을 결정할 수 있도록 표시되는 선호 기능 편집 GUI(80)의 예를 도시한다. GUI(80)는 특정 외부장치(801)에 따른 선호 기능 및 전체 기능(803)에 대응하는 메뉴항목을 포함한다. 사용자는 전체 기능(803) 중 하나인 앱a를 특정 외부장치(801)에 따른 선호 기능으로 결정하기 위해, 앱a에 해당하는 메뉴항목(805(a))을 특정 외부장치(801)의 빈 공간(805(b))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동은 드래그 앤드 드랍(drag-and-drop), 클릭(click) 등 간단하고 직관적인 조작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이동이 완료되면, 이동된 앱a는 특정 외부장치(801)에 따른 선호 기능으로 결정된다. 또한, 특정 외부장치(801)에 따른 선호 기능을 제외하는 것도 구현에 따라서 가능할 것이다. 상술 된 설명과 도 8의 GUI는 단지 설명을 위한 예시일 뿐이며, 적어도 하나의 선호 기능을 결정하거나 선호 기능에서 제외할 수 있도록 표시되는 GUI의 다양한 구현예가 존재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로 하여금 외부장치(200)의 명칭을 편집, 또는 외부장치(200)를 추가할 수 있도록 표시되는 편집 GUI(90)의 예를 도시한다. GUI(90)는 추가 버튼(900), 외부장치(200) 및 명칭 입력을 위한 자판(903)을 포함한다. 사용자는 본인의 기호에 맞게 외부장치(200)의 명칭을 변경하거나 새로운 외부장치(200)를 추가할 수 있는 기능을 필요로 할 수 있다. 기 설정되어 있는 외부장치(200)의 이름을 변경하기 위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장치(10)에 제어 명령을 입력하면, 사용자에게 외부장치(200) 명칭 편집 기능을 제공하는 편집 GUI(90)가 표시된다.
사용자는 표시된 GUI(90)를 조작하여, 연결된 외부장치(200)의 명칭을 변경할 수 있다. 사용자는 GUI(90)를 통해 제공되는 자판(903)을 이용하여 명칭을 직접 입력하거나, 미리 정해진 항목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추가 버튼(900)을 선택함으로써, 새로운 외부장치(200)를 추가할 수 있다. 새로운 외부장치(200)는 통신 수단 또는 모델명이 기존의 외부장치(200)와 다른 외부장치(200)일 수 있다. 사용자가 추가 버튼(900)을 선택하고, 연결된 외부장치(200)의 명칭을 입력할 수 있다. 이 후에 같은 외부장치(200)가 연결되면, 사용자가 결정한 명칭이 표시될 것이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연결된 복수의 외부장치(200) 중 하나 이상의 외부장치(200)의 명칭을 변경할 수 있다.
상술 된 설명과 도 9의 편집 GUI(90)는 단지 설명을 위한 예시일 뿐이다. 사용자가 연결된 외부장치(901)의 명칭을 변경하거나, 새로운 외부장치(901)를 추가할 수 있도록 하는 편집 GUI(90)에는 다양한 구현예가 존재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한 영상 컨텐츠(1002) 및 사용자에게 제공되고 있는 기능들(1001, 1003)을 디스플레이(100)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10)의 예를 도시한다. 디스플레이장치(10)는 수신되는 다양한 복수의 영상 중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하나의 영상 컨텐츠(1002)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10)는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있는 복수의 기능들(1001, 1003), 선호 기능에 대응하는 메뉴항목(1005) 및 연결된 외부장치(1007)를 포함하는 GUI를 영상 컨텐츠(1002)와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외부장치로부터 영상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고, 처리된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영상 컨텐츠(1002)를 표시할 수 있다. 외부장치는 방송 신호를 송출하는 방송국 또는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네트워크 서버 또는 컴퓨터와 같은 외부 전자장치 등 디스플레이장치(10)에 영상 신호를 제공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장치를 의미한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장치(10)가 표시할 수 있는 복수개의 영상 컨텐츠 중에서 하나의 영상 컨텐츠(1002)를 선택하여 시청할 수 있다. 선택은 방송국의 주파수가 할당된 채널 또는 연결된 외부 장치 중 하나의 선택일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10)는 자막, 영상의 내용 설명 등과 같은 영상 관련 정보(1001), PIP(picture in picture)(1003), 화면 보정, 채널 예약, 각종 어플리케이션 등 디스플레이장치(10)가 제공할 수 있는 모든 기능들을 영상 컨텐츠(1002)와 함께 디스플레이부(101)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10)는 외부장치(200)와 연결된 후, 영상 컨텐츠(1002)를 표시하는 중에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서 연결된 외부장치(1007)에 따른 사용자의 선호 기능에 대응하는 메뉴항목(1005)을 표시할 수 있다. 선호 기능에 대응하는 메뉴항목(1005)은 사용자의 다른 조작 없이도 항시 표시될 수 있으며, 메뉴항목(1005)이 표시됨 없이, 사용자의 연결된 외부장치(1007)에 따른 선호 기능이 바로 실행될 수 있음은 상술한 바 있다.
다른 일 실시예예 따르면, 도 10은 디스플레이장치(10)가 소스에 액세스된 상태에서의 화면(100)일 수 있다. 화면(100)은 영상 컨텐츠(1002), 액세스된 소스(1007), 액세스된 소스(1007)에 따른 사용자의 선호 기능에 대응하는 메뉴항목(1005), 각종 기능들(1001, 1003)을 포함할 수 있다.
액세스된 소스(1007)는 상술한 바와 같이 특정 도메인이거나, 제공될 수 있는 정보로서, 어떤 소스가 액세스되었는지 여부가 화면(100)에 표시될 수 있다.
화면(100)은 액세스된 소스(1007)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으며, 또는 소스(1007)는 영상 컨텐츠(1002) 및/또는 기능들(1001, 1003)만 디스플레이장치(10)에 제공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디스플레이장치(10)를 이용 중에 영상 컨텐츠(1002)와 관련된 정보(1001)를 액세스 된 소스(1007)로부터 제공받거나, 영상 컨텐츠(1002)와 관련된 다른 화면을 액세스 된 소스(1007)로부터 제공받아 PIP(1003)로 표시하도록 명령할 수 있다. 특정 소스(1007)와 액세스 중, 이런 기능을 사용 하여, 선호 기능으로 결정되고, 특정 소스(1007)와 다시 액세스하면, 액세스 된 소스(1007)로부터 선호 기능에 대응하는 메뉴항목(1005)을 제공받거나, 액세스 되는 순간 기능들(1001, 1003)이 바로 실행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기능 사용 형태에 기초하여 선호 기능을 결정하고 표시하는 동작에 관한 흐름도이다. 선호 기능은 사용자에 의한 기능(201)의 사용뿐 아니라 사용자가 기능(201)을 사용한 형태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제어부(103)는 사용자가 기능(201)을 어떻게 사용하였는지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기능 사용 형태에 따른 선호 기능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3)는 사용자의 특정 기능 사용 형태에 따른 선호 기능이 결정되면, 같은 특정 기능 사용 형태가 있을 때마다, 결정된 선호 기능을 사용할지 여부를 사용자에게 GUI로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사용자의 사용 형태에 기초하여 선호 기능을 결정하고, 이를 표시하는 각각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 10의 화면과 도 11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 1 기능을 사용 후, 제 2 기능을 사용하는 기능 사용 형태에 기초하여 선호 기능을 결정하고 표시하는 동작에 관한 흐름도이다. 먼저, 동작 S1101에서, 사용자는 제 1 기능을 사용한. 그 후, 동작 S1103에서, 사용자는 제 2 기능을 사용한다. 동작 S1105에서, 제어부(103)는 사용자의 기능 사용 형태에 기초하여 선호 기능을 결정한다. 선호 기능이 결정되고, 동작 S1107에서, 제어부(103)는 사용자가 제 1 기능을 사용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사용자가 제 1 기능을 사용한다고 판단한다면, 동작 S1109에서, 제어부(103)는 사용자의 선호 기능에 대응하는 메뉴항목(1005)을 포함하는 GUI를 디스플레이부(101)에 표시한다. 마지막으로, 동작 S1111에서, 사용자는 기능(201)을 선택하여 사용한다.
제 1 기능 및 제 2 기능은 디스플레이장치(10)가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복수의 기능 중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임의의 기능(201)이다. 제 1 기능이 사용되고 제 2 기능이 사용되면 디스플레이장치(10)는 사용자의 연계적인 기능 사용을 기능 사용 형태로 보아 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선호 기능을 결정한다. 이때, 선호 기능은 사용자가 제 1 기능을 사용하고 연달아 사용한 제 2 기능일 수 있다. 선호 기능은, 상술한 바와 같이 선호도(203)가 증감됨에 따라 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선호 기능이 결정된 후, 사용자가 기능(201)을 사용하면, 제어부(103)는 사용자가 사용한 기능(201)이 제 1 기능인지 판단한다(S1109).
사용자가 제 1 기능을 사용하였다고 판단되면, 제어부(103)는 결정된 선호 기능에 대응하는 메뉴항목(1005)을 포함하는 GUI를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디스플레이부(101)에 표시한다(S1109).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제 1 기능을 사용한다면, 선호 기능에 대응하는 메뉴항목(1005)을 포함하는 GUI가 디스플레이부(101)에 바로 표시되거나, 결정된 선호 기능이 바로 실행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연결 중이던 외부장치(200)의 연결이 해제된 후, 사용자가 기능을 사용하는 기능 사용 형태에 따라 선호 기능을 결정할 수 있다. 외부장치(200)가 연결 중에 사용하는 기능(201)뿐 아니라, 연결을 마치고 사용하는 기능 역시 사용자의 사용이 잦은 경우라면, 선호 기능으로 볼 수 있다. 예를 들면, HDMI를 통한 연결이 해제된 후,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장치(10)의 설정을 변경한다던 지, 컴퓨터로부터 파일을 전달받은 후 연결을 해제하고, 전달받은 파일을 특정 앱을 이용하여 사용하는 등의 실시예가 가능하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선호 기능을 표시하고 갱신하는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먼저, 동작 S1200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는 인터페이스부(107)를 통해 복수의 외부장치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된다. 그리고, S1201에서 복수의 기능에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메뉴항목을 포함하는 GUI 표시의 요청이 있다. 그리고, 동작 S1203에서 제어부(103)는 연결된 외부장치(200)에 따른 사용자의 선호 기능에 대응하는 메뉴항목을 포함하는 GUI를 디스플레이부(101)에 표시한다. 그리고, 동작 S1205에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장치(10)가 제공하는 복수의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사용한다. 그 후, 제어부(103)는 사용자가 기능을 사용한 사용 이력에 기초하여 연결된 외부장치(200)에 따른 선호 기능을 갱신한다.
디스플레이장치(10)는 인터페이스부(107)를 통해 복수의 외부장치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될 수 있다(S1200). 복수의 외부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USB, HDMI LAN 등을 통해 디스플레이장치(10)와 연결 가능한 모든 외부장치를 의미한다.
GUI 표시의 요청(S1201)은 사용자로부터의 제어 명령의 입력일 수 있으며, 알고리즘에 따라서 자동으로 GUI를 표시하도록 하는 제어부(103)의 제어 명령일 수 있다.
GUI 표시의 요청(S1201)에 대응하여, 제어부(103)는 연결된 외부장치(200)에 따른 사용자의 선호 기능에 대응하는 메뉴항목 및 연결된 외부장치(200)에 대응하는 항목을 포함하는 GUI를 디스플레이부(101)에 표시한다(S1203). 표시되는 GUI는 도 6 및 도 10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 있다.
이어서, 사용자에 의해 디스플레이장치(10)의 기능(201)이 사용되면(S1205), 제어부(103)는 사용자의 기능(201)을 사용한 사용 이력에 기초하여 연결된 외부장치(200)에 따른 선호 기능을 갱신한다(S1207). 선호 기능의 갱신은 상술한 바와 같이, 기능(201)의 선호도(203)를 증감시키며, 제어부(103)는 선호도(203)가 임계치를 넘는지 여부에 따라서 선호 기능으로 결정하거나, 선호 기능으로부터 제외할 수 있다.
그리고, 다시 GUI 표시 요청(S1201)에 대응하여, 새로 갱신된 선호 기능에 대응하는 메뉴항목을 포함하는 GUI가 표시(S1203)될 것이다. 기능(201)이 선호 기능으로 결정되면 이에 대응하는 메뉴항목이 GUI에 포함되며, 선호 기능에서 제외된 기능은 이에 대응하는 메뉴항목이 GUI에서 제외된다.
선호 기능이 사용 이력에 기초하여 갱신(S1207)됨에 따라,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장치(10)를 사용하면 할 수록, 디스플레이장치(10)는 사용자가 더 선호하는 기능에 대응하는 메뉴항목이 사용자가 사용하기 용이하도록 제공될 것이다.
10 - 디스플레이장치
100 - 신호수신부
101 - 디스플레이부
103 - 제어부
105 - 저장부
107 - 인터페이스부
109 - 사용자 명령 입력부
111 - 신호처리부

Claims (25)

  1.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
    사용자 명령 입력부;
    외부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
    복수의 외부장치 중 어느 하나와의 연결을 위한 인터페이스부;
    상기 외부장치와 연결 중에, 상기 수신된 외부 신호에 포함된 영상과, 상기 사용자 명령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메뉴항목 표시 요청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뉴항목을 포함하는 GUI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신호처리부;
    상기 GUI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뉴항목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서 선택된 메뉴항목에 해당되는 기능이 실행되도록 하는 제어부;
    상기 GUI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뉴항목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이전에 선택된 메뉴항목의 정보와, 이전에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연결된 외부장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이력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결된 외부장치와, 상기 이력정보를 기반으로 선택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뉴항목을 포함하는 GUI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력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메뉴항목에 대응하는 기능의 선호도를 증감시키고, 상기 선호도가 제 1 임계치 이상인 상기 기능을 사용자의 선호 기능으로 결정하며, 상기 메뉴항목 표시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의 선호 기능에 대응하는 메뉴항목을 포함하는 GUI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호도가 제 2 임계치 이하인 상기 기능을 상기 사용자의 선호 기능에서 제외하는 디스플레이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상기 메뉴항목을 선택한 빈도에 기초하여, 상기 메뉴항목에 대응하는 기능의 선호도를 추가적으로 증감시키는 디스플레이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능의 선호도 결정 시, 해당 기능이 상기 선호 기능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선호도의 증감 정도를 달리하는 디스플레이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기능 사용 형태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선호 기능을 결정하며, 사용자의 특정 기능 사용 형태가 있는 때, 대응하여 선택된 메뉴항목을 포함하는 상기 GUI를 상기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사용 형태는 제 1 기능의 사용 후, 제 2 기능을 사용하는 것인 디스플레이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사용 형태는 상기 어느 하나의 외부장치와의 연결이 해제된 후,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사용하는 것인 디스플레이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연결된 외부장치에 관한 정보를 편집할 수 있도록 GUI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선호 기능을 편집할 수 있도록 GUI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된 외부장치에 관한 정보는 통신 수단, 외부장치의 종류, 모델명, 특정 외부장치인지 여부 및 접속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인 디스플레이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선호 기능에 대응하는 메뉴항목을 포함하는 GUI는 상기 연결된 외부장치로부터 공급받는 디스플레이장치.
  13.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외부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복수의 외부장치 중 어느 하나와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외부장치와 연결 중에, 상기 수신된 외부 신호에 포함된 영상과,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메뉴항목 표시 요청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뉴항목을 포함하는 GUI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GUI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뉴항목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서 선택된 메뉴항목에 해당되는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와;
    상기 GUI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뉴항목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이전에 선택된 메뉴항목의 정보와, 이전에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연결된 외부장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이력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GUI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메뉴항목 표시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연결된 외부장치와, 상기 이력정보를 기반으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뉴항목을 포함하는 GUI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GUI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이력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메뉴항목에 대응하는 기능의 선호도를 증감시키는 단계와;
    상기 선호도가 제 1 임계치 이상인 상기 기능을 사용자의 선호 기능으로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메뉴항목 표시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연결된 외부장치에 따른 상기 사용자의 선호 기능에 대응하는 메뉴항목을 포함하는 GUI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GUI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선호도가 제 2 임계치 이하인 상기 기능을 사용자의 선호 기능에서 제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 방법.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GUI를 표시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상기 메뉴항목을 선택한 빈도에 기초하여, 상기 메뉴항목에 대응하는 기능의 선호도를 추가적으로 증감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 방법.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선호도를 증감시키는 단계는, 상기 기능이 상기 선호 기능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선호도의 증감 정도를 달리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 방법.
  18.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GUI를 표시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기능 사용 형태에 기초하여 연결된 외부장치에 따른 사용자의 선호 기능을 결정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특정 기능 사용 형태가 있는 때, 대응하여 선택된 메뉴항목을 포함하는 상기 GUI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 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사용 형태는 제 1 기능을 사용 후, 제 2 기능을 사용하는 것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 방법.
  20.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사용 형태는 상기 어느 하나의 외부장치와의 연결이 해제된 후,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사용하는 것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 방법.
  21.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GUI를 표시하는 단계는,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연결된 외부장치에 관한 정보를 편집할 수 있도록 GUI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 방법.
  22.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GUI를 표시하는 단계는,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선호 기능을 편집할 수 있도록 GUI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 방법.
  23.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장치에 관한 정보는 통신 수단, 외부장치의 종류, 모델명, 특정 외부장치인지 여부 및 접속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 방법.
  2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GUI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이력정보를 기반으로 선택된 메뉴항목을 포함하는 GUI를 상기 연결된 외부장치로부터 공급받는 단계를 더 포함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 방법.
  25.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
    사용자 명령 입력부;
    외부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
    정보를 제공하는 복수의 소스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액세스를 위하여 외부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소스와 액세스 중에, 상기 수신된 외부 신호에 포함된 영상과, 상기 사용자 명령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메뉴항목 표시 요청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뉴항목을 포함하는 GUI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신호처리부;
    상기 GUI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뉴항목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서 선택된 메뉴항목에 해당되는 기능이 실행되도록 하는 제어부;
    상기 GUI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뉴항목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이전에 선택된 메뉴항목의 정보와, 이전에 상기 통신부를 통해 액세스된 소스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이력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액세스된 소스와, 상기 이력정보를 기반으로 선택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뉴항목을 포함하는 GUI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50081850A 2015-06-10 2015-06-10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145365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1850A KR20160145365A (ko) 2015-06-10 2015-06-10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CT/KR2016/006077 WO2016200153A1 (en) 2015-06-10 2016-06-08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201680024806.1A CN107533429A (zh) 2015-06-10 2016-06-08 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US15/179,214 US20160364096A1 (en) 2015-06-10 2016-06-10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1850A KR20160145365A (ko) 2015-06-10 2015-06-10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5365A true KR20160145365A (ko) 2016-12-20

Family

ID=57504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1850A KR20160145365A (ko) 2015-06-10 2015-06-10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60364096A1 (ko)
KR (1) KR20160145365A (ko)
CN (1) CN107533429A (ko)
WO (1) WO20162001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74787B (zh) * 2016-06-28 2022-04-15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具有切换usb端口的活跃状态的提示的监视器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31930B2 (en) * 2001-11-20 2010-11-09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a user interface for a remote control application
US6748237B1 (en) * 2000-06-05 2004-06-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utomated selection of audio broadcast signal source based on user preference criterion
US20030115589A1 (en) * 2001-12-17 2003-06-19 D'souza Errol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flagging a channel as a favorite channel
KR100738541B1 (ko) * 2005-08-30 2007-07-11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동적 메뉴 구성 장치 및 그 방법
US8171515B2 (en) * 2005-11-18 2012-05-01 Microsoft Corporation Automatically generated TV favorites list
WO2008059710A1 (fr) * 2006-11-15 2008-05-22 Panasonic Corporation Dispositif de support d'opération et procédé de support d'opération
US8892171B2 (en) * 2007-06-20 2014-11-18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user profiling from gathering user data through interaction with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8332400B2 (en) * 2008-09-23 2012-12-11 Sage Inventions, Llc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web search information in navigation hierarchy
KR20110063954A (ko) * 2009-12-07 2011-06-1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KR101664894B1 (ko) * 2010-03-08 2016-10-1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선호기능 자동 등록 및 실행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286358B1 (ko) * 2011-08-11 2013-07-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방법 및 장치
KR101894878B1 (ko) * 2011-08-16 2018-09-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기기 및 디스플레이기기의 컨텐츠 제공 방법
WO2014028074A1 (en) * 2012-08-17 2014-02-20 Flextronics Ap, Llc Intelligent television
US9990666B2 (en) * 2012-09-12 2018-06-05 Canon Kabushiki Kaisha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delivering a recommendation
KR20140083229A (ko) * 2012-12-26 2014-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메뉴 제공 방법
US10085061B2 (en) * 2014-05-30 2018-09-25 Rovi Guide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presenting customized options on a second device
KR20160023394A (ko) * 2014-08-22 2016-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533429A (zh) 2018-01-02
WO2016200153A1 (en) 2016-12-15
US20160364096A1 (en) 2016-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72531B2 (en) Controlling display device settings from a mobile device touch interface
CN104053036B (zh) 管理呈现高清视频的高超高清显示器上的额外空间
US20130069769A1 (en) Remote control user interface for handheld device
EP1585320A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menu
US20160364094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30311948A1 (en) Dynamically assigning shortcuts to menu items and actions
KR10175562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그의 ui 표시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US20200272403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EP3319312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US20150222946A1 (en) Display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KR20160003400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05026740A (ja) 機器制御インタフェース構築方法
CN113825032A (zh) 媒资播放方法及显示设备
US9525905B2 (en) Mapping visual display screen to portable touch screen
CN110602540B (zh) 显示设备音量控制方法及显示设备
KR20160145365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12243148B (zh) 显示设备及视频画面缩放方法
CN111259639A (zh) 一种表格的自适应调节方法及显示设备
CN112243147A (zh) 视频画面缩放方法、视频画面缩放服务装置及显示设备
CN117806503A (zh) 一种显示设备及侧边栏显示方法
KR20160139376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N116248944A (zh) 一种显示设备及菜单的显示方法
CN115480686A (zh) 一种显示设备及图形交互菜单控制方法
CN116527969A (zh) 一种显示设备及媒资详情信息显示的方法
JP2013198323A (ja) オーディオ電力制御システム、オーディオ機器、オーディオ機器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携帯電話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