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7940A - 휴대식 가스 풍로 - Google Patents

휴대식 가스 풍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7940A
KR20130057940A KR1020120119935A KR20120119935A KR20130057940A KR 20130057940 A KR20130057940 A KR 20130057940A KR 1020120119935 A KR1020120119935 A KR 1020120119935A KR 20120119935 A KR20120119935 A KR 20120119935A KR 20130057940 A KR20130057940 A KR 201300579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air
wind
windbreak
air intro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9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1337B1 (ko
Inventor
히로아키 고타니
아키오 와다
Original Assignee
이와타니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아사히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와타니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아사히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이와타니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57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79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1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13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8Draught shie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8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 F24C3/085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on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4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with special adaptation for travelling, e.g. collapsi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풍이 불어도, 화염이 옆으로 쓰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휴대식 가스 풍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면측에 화염구를 갖는 가스 버너(12)가 배치된 본체부(2)를 구비하는 휴대식 가스 풍로이며, 본체부(2)는 외풍이 불어들어오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서, 외부 공간(S)과 가스 버너(12)를 이격하도록 한 방풍 수단(30)을 갖고 있다. 그리고, 방풍 수단(30)은, 가스 버너(12)의 주위에 배치된 내측 방풍 수단(32)과, 이 내측 방풍 수단(32)보다 외측에 배치된 외측 방풍 수단(31)을 갖고 있다. 그리고, 외측 방풍 수단(31)은, 외부 공간(S)과 내측 방풍 수단(32)을 이격하도록 한 복수의 칸막이부(42)와, 2차 공기를 도입하기 위한 복수의 공기 도입부(50)가 교대로 배치되고, 또한, 복수의 공기 도입부(50)의 각각에 대향하여, 외풍의 침입을 막는 차폐부(46)가 배치되어 있고, 차폐부(46)와 칸막이부(42)의 사이에는 공기 도입부(50)와 연통된 공간(51)이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휴대식 가스 풍로{PORTABLE GAS COOKING STOVE}
본 발명은, 방풍 수단을 구비한 휴대식 가스 풍로에 관한 것이다.
캠프시 등, 옥외에서 휴대 가능한 휴대식 가스 풍로를 사용하는 경우, 외풍에 의해 가스 버너의 화염이 꺼져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옥외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방풍 수단을 설치한 휴대식 가스 풍로가 있다(예를 들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3-307312).
상기 종래의 휴대식 가스 풍로는, 국물 받침 접시 위에 가스 버너를 둘러싸도록 대략 원통 형상의 방풍 수단이 설치되어 있어, 이에 의해 외풍이 가스 버너에 강하게 닿는 것을 방지하여, 화염이 꺼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그리고, 이 방풍 수단에는 다수의 작은 구멍이 형성되어 있어, 이 작은 구멍으로 2차 공기를 도입하여, 불완전 연소도 방지하고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3-307312호 공보
그런데, 최근, 바닷가나 빌딩의 옥상, 베란다 등에서도 휴대식 가스 풍로를 사용해서 냄비 요리 등의 요리를 하는 기회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장소에서는 상당히 강한 바람이 불고 있다. 또한, 지진 재해시 등에, 어쩔 수 없이 옥외의 강풍 속에서 요리를 해야만 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발명자가 강풍 속에서 종래의 휴대식 가스 풍로를 사용해서 요리를 시험해 본 결과, 화염이 꺼지는 것은 유효하게 방지되었지만, 물이 끓지 않거나, 또한, 물이 끓어도 매우 시간이 걸렸다.
이 점, 강풍시에 물이 끓지 않는 등의 사태는, 방풍 수단의 구멍이 아무리 작아도, 구멍으로 불어 들어온 강한 바람이 화염을 옆으로 쓰러지게 하는 것이 원인인 것을 알았다.
본 발명은, 이상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강풍 속에서도 화염이 옆으로 쓰러지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하여, 가열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휴대식 가스 풍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는, 본 발명에 따르면, 상면측에 화염구를 갖는 가스 버너가 배치된 본체부와, 상기 가스 버너에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공급부를 구비하는 휴대식 가스 풍로이며, 상기 본체부는, 상기 가스 버너에 대해 외풍이 들어오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서, 외부 공간과 상기 가스 버너를 이격하도록 한 방풍 수단을 갖고, 상기 방풍 수단은, 상기 가스 버너의 주위에 배치된 내측 방풍 수단과, 이 내측 방풍 수단보다 상기 본체부의 주연부측에 배치된 외측 방풍 수단을 갖고, 상기 외측 방풍 수단은, 상기 외부 공간과 상기 내측 방풍 수단을 이격하도록 한 복수의 칸막이부와, 2차 공기를 도입하기 위한 복수의 공기 도입부가 교대로 배치되고, 또한, 상기 복수의 공기 도입부의 각각에 대향하여, 외풍의 진입을 방지하는 차폐부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차폐부와 상기 칸막이부의 사이에는 상기 공기 도입부와 연통된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휴대식 가스 풍로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본체부는, 가스 버너의 주위에 배치되어 내측 방풍 수단뿐만 아니라, 그것보다 주연부측으로 외측 방풍 수단을 갖기 때문에, 강풍이 불어도 그 강풍이 가스 버너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점, 이와 같이 복수의 방풍 수단을 설치함으로써, 2차 공기의 도입이 부족해서 불완전 연소를 일으킬 우려가 있다. 특히, 외측 방풍 수단으로 둘러싸인 영역과 동등 혹은 그 이상 큰 바닥 면적을 갖는 냄비류를 적재하면, 연소용의 2차 공기를 도입하기 위한 스페이스가 상당히 제한되어, 불완전 연소의 우려가 높아지게 된다.
그런데, 외측 방풍 수단은, 외부 공간과 내측 방풍 수단을 이격하도록 한 복수의 칸막이부와, 2차 공기를 도입하기 위한 복수의 공기 도입부가 교대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 공기 도입부로부터 연소용의 2차 공기를 받아들일 수 있다. 또한, 무풍하에서도 2차 공기의 도입이 용이하다.
여기서, 이와 같이 공기 도입부를 설치하면, 강풍일 경우, 외풍이 급격하게 공기 도입부를 빠져나가 외측 방풍 수단의 내측에 침입하여, 결국, 화염을 옆으로 쓰러뜨릴 가능성을 높이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공기 도입부의 각각에 대향하여 외풍의 침입을 막는 차폐부가 배치되어 있고, 이 차폐부와 칸막이부의 사이에는 공기 도입부와 연통된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외풍은 차폐부에 충돌하여, 외측 방풍 수단의 내측으로 급격하게 진입하는 것이 유효하게 방지되는 동시에, 차폐부와 칸막이부의 사이의 공간으로 2차 공기를 받아들일 수 있다.
이리하여, 2차 공기를 도입해서 불완전 연소를 방지하면서, 외풍의 기세를 약화시켜 화염이 옆으로 쓰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폐부는, 상기 공기 도입부보다 외측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연통된 공간은, 외풍이 서로 다른 방향에서 들어오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기 도입부의 위와 상기 차폐부의 상부를 연결하는 상측 판 형상부와, 상기 공기 도입부의 아래와 상기 차폐부의 하부를 연결하는 하측 판 형상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면, 상측 판 형상부와 하측 판 형상부와 차폐부의 존재에 의해, 차폐부와 칸막이부의 사이의 공기 도입부와 연통된 공간은, 차폐부의 좌우만이 되어, 이 좌우 각각에서 통과해 온 바람이 정면 충돌하여 효율적으로 바람의 기세를 약화시키게 된다.
또한, 예를 들어 냄비에서 끈적한 국물 등이 끓어 넘친 경우에도, 상측 판 형상부가 차양의 기능을 해서, 끓어 넘친 것이 공기 도입부를 막아버릴 우려를 방지하여, 2차 공기의 도입을 문제없이 행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측 방풍 수단은, 상기 가스 버너와 상기 외측 방풍 수단을 이격하는 동시에 두께 방향으로 관통 구멍이 없는 벽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면을 따라 배치된 바닥판부를 갖고, 상기 상면과 상기 바닥판부의 사이에는, 공기의 통로가 되는 통로부를 갖고, 그 통로부는 상기 화염구보다 낮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면, 외측 방풍 수단의 공기 도입부 등에서 도입된 2차 공기는, 그 기세가 남아있다 해도, 내측 방풍 수단의 관통 구멍이 없는 벽부로 차단되기 때문에, 화염을 옆으로 쓰러뜨리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외측 방풍 수단의 내측으로 들어온 2차 공기는, 본체부의 상면과 내측 방풍 수단의 바닥판부의 사이의 통로부를 통과하면서 정류되어, 내측 방풍 수단에 둘러싸인 공간으로 진입하게 된다. 여기서, 이 내측 방풍 수단에 둘러싸인 공간에는 가스 버너가 배치되어 있지만, 통로부는 가스 버너의 화염구보다 낮게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통로부를 통과한 2차 공기는, 화염구에 충돌할 우려가 낮고, 또한, 배기 가스의 배기에 의한 공기의 흡입에 의해 상승해서(굴뚝 효과), 이에 의해 2차 공기가 적절하게 공급되기 때문에, 완전 연소한 화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이 통로부는 본체부의 상면을 따르고 있기 때문에, 2차 공기가 통로부를 통과할 때에 본체부의 상면이 냉각되어, 이에 의해 기기의 가열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부는 상기 외측 방풍 수단보다 내측에 삼발이를 갖고, 상기 외측 방풍 수단의 상부 테두리가 상기 삼발이의 상부 테두리보다 낮게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외측 방풍 수단의 상부 테두리에는, 상기 삼발이의 상부 테두리 중의 최상단부보다 높아지도록 한 복수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면, 외측 방풍 수단의 상부 테두리가 삼발이의 상부 테두리보다 낮게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큰 냄비류를 삼발이에 적재한 경우에도, 그 냄비류와 외측 방풍 수단의 상부 테두리의 사이에 스페이스가 생겨, 그 스페이스로부터 뜨거운 배기 가스를 배출시켜서 기기의 가열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외측 방풍 수단의 상부 테두리에는, 삼발이의 최상단부보다 높아지도록, 복수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삼발이 위에 놓인 냄비류가 옆으로 미끄러져도, 돌출부가 스토퍼로 되어 냄비류의 전도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더구나, 이 돌출부 위에 냄비류를 놓을 수도 있으며, 그 경우에도, 외측 방풍 수단의 상부 테두리보다 위의 스페이스로부터 배기 가스를 배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므로, 강풍 속에서도, 화염이 옆으로 쓰러지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하여, 가열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휴대식 가스 풍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휴대식 가스 풍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휴대식 가스 풍로의 개략 평면도이며, 가스 공급부에 대해서는, 덮개를 제거했을 경우의 평면도, 외측 방풍 수단의 부분에 대해서는, 수평 방향으로 절단(도 4의 A-A선의 위치에서 절단)했을 경우의 개략 단면도.
도 3은, 도 1의 휴대식 가스 풍로를 도 2의 B-B선의 위치에서 절단했을 경우의 개략 종단면도.
도 4의 (a)는, 도 1의 휴대식 가스 풍로의 부분 정면도(1점 쇄선부터 3점 쇄선은 크기가 서로 다른 냄비류를 도시), 도 4의 (b)는 외측 방풍 수단의 돌출부의 사시도.
도 5는, 도 1의 휴대식 가스 풍로와 종래의 휴대식 가스 풍로에 대해서, 끓는 시간을 측정한 그래프.
도 6은, 도 1의 휴대식 가스 풍로와 도 1의 외측 방풍 수단을 제거한 휴대식 가스 풍로에 대해서, 끓는 시간을 측정한 그래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관한 휴대식 가스 풍로의 외측 방풍 수단의 부분 사시도.
도 8은, 도 7의 휴대식 가스 풍로에 대해서, 외풍이 정면에서 불었을 경우와 옆에서 불었을 경우의 끓는 시간을 비교한 그래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다른 변형예에 관한 외측 방풍 수단이며, 그 변형예의 특징 부분을 도시하는 도.
이하,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 형태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서술하는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적합한 구체예이기 때문에, 기술적으로 바람직한 다양한 한정이 지어져 있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이하의 설명에서 특히 본 발명을 한정하는 취지의 기재가 없는 한, 이들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각 도면간에 동일한 부호가 붙여진 것은 동일한 구성이다. 또한, 특별히 언급이 없는 한, 이하에 말하는 "내측"이란 수평 방향에 대한 내측, "외측"이란 수평 방향에 대한 외측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휴대식 가스 풍로(이하, "가스 풍로"라고 함)(1)는, 휴대 가능한 크기와 중량을 가지며, 캠프·지진 재해시 등의 옥외에서, 그 위에 냄비나 철판 등의 냄비류를 적재하여 조리에 사용된다.
가스 풍로(1)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부(2)와, 이 본체부(2)의 편측 가로에 인접해서 접속된 가스 공급부(4)를 구비하고 있다.
〔가스 공급부〕
가스 공급부(4)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스 버너(12)에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부분이며, 카트리지식의 가스 봄베(28)를 수용하는 봄베 수용실(23)을 갖고 있다. 봄베 수용실(23)은 스틸에 내열 도장을 실시해서 형성되고, 힌지(25)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덮개(22)에 의해 가스 봄베(28)를 덮고 있다. 또한, 덮개(22)에는, 내측에 열이 쌓이지 않도록 복수의 관통 구멍(21)이 형성되어 있다.
봄베 수용실(23)의 내측에는 봄베 접속부(27)가 있고, 이 봄베 접속부(27)에 가스 봄베(28)가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가스 봄베(28)로부터 토출된 연료 가스는, 봄베 접속부(27) 내에 설치된 가버너에 들어가서 압력 조정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가스 봄베(28)가 가열되어 그 내부 압력이 매우 상승했을 때, 안전 기구가 작동해서 분리되도록, 봄베 접속부(27)와 가스 봄베(28)의 착탈 수단(26)은 마그네트로 되어 있다. 또한, 이 봄베 접속부(27)는 조작 손잡이부(24)와 접속되어, 가스 봄베(28)로부터 공급되는 가스량이 조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가스 봄베(28)로부터 봄베 접속부(27)를 통해 공급되는 연료 가스는, 가스 도관이나 가스·공기 혼합기(도시하지 않음)를 지나 공기와 혼합되면서, 본체부(2)측의 가스 버너(12)에 공급된다. 그리고, 조작 손잡이부(24)의 회전에 의해 이그나이터(38)가 눌려져 펄스 전압이 발생하고, 그 펄스 전압에 의해 전극(39)이 방전함으로써 연료 가스가 점화한다.
〔본체부〕
본체부(2)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가 원기둥 형상의 가스 버너(12)와, 상면측에 화염구(10)를 노출하도록 해서 가스 버너(12)를 수용하는 하우징(6)과, 이 하우징(6)에 접속되어, 냄비류를 적재하기 위한 삼발이(8)와, 가스 버너(12)로 외풍이 들어오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방풍 수단(30)을 갖고 있다.
〔하우징〕
하우징(6)은 전체가 대략 직사각 형상, 평면에서 보아 대략 정사각형이 되며, 바닥면에 복수의 다리부(17)가 설치되어 있다. 이 하우징(6)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면(6A)의 중앙부에 원형의 관통 구멍(14)을 갖고, 화염구(10)가 노출되도록 해서 관통 구멍(14) 내에 가스 버너(12)를 수용하고 있다. 그리고,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통 구멍(14)의 주위는, 상면(6A)이 평면에서 보아 링 형상으로 움푹 들어간 오목부(16)가 되고, 이 오목부(16)가, 끓어 넘치는 것 등을 받아내는 국물 받침 접시가 되는 동시에, 연소용의 2차 공기를 유도하기 위한 통로의 일부로 되어 있다(이 점에 대해서는, 나중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링 형상의 오목부(16)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주부(16a) 및 내주부(16b)가 경사면으로 되고, 외주부(16a)와 내주부(16b)의 사이의 중앙 영역(16c)은 평탄면으로 되어 있다. 이 중앙 영역(16c) 위에는, 소정의 높이를 갖는 복수의 토대(19)가 고정되어 있고, 이 토대(19)에 삼발이의 다리부(8a)가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토대(19)는 송곳대 형상이며, 링 형상의 원주를 따라 등간격으로 4개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6)은, 측면(6B)이 스틸에 내열 도장을 실시해서 형성되어 있고, 상면(6A)은 내열성이 우수한 법랑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법랑은 주지의 것을 이용할 수 있고, 금속의 표면에 유리질을 주성분으로 하는 유약을 칠해 고온에서 구워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측면(6B)의 상면(6A)측 주연은 단차부(11)를 갖고, 이 단차부(11)에, 상면(6A)이 절곡 가공된 주연부가 걸려 있다.
〔삼발이〕
삼발이(8)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면(6A)의 네 구석에서 가스 버너(12)를 향해 연신되어 형성되고, 4개의 삼발이(8)로 가스 버너(12)를 둘러싸고 있다. 각 삼발이(8)는 2개의 다리부(8a, 8b)를 갖고, 외측의 다리부(8b)는 상면(6A)의 네 구석에 고정되고, 내측의 다리부(8a)는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토대(19)에 고정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삼발이(8)는 상면(6A)과 마찬가지로 법랑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면(6A)측의 부재가 법랑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은, 이중의 방풍 수단(30)을 설치함으로써, 통상의 가스 풍로에 비해 가열되기 쉬워져 있기 때문이다.
〔방풍 수단〕
방풍 수단(30)은, 화염으로 강풍이 불어 들어오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것으로, 수평 방향에 대해 외부 공간(S)과 가스 버너(12)를 이중으로 이격하도록, 상대적으로 내측과 외측에 배치된 내측 방풍 수단(32) 및 외측 방풍 수단(31)을 갖고 있다.
우선, 외측 방풍 수단(31)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의 외측 방풍 수단(31)은 법랑으로 형성되어 있고, 평면에서 보아 대략 사각 형상인 프레임으로 되어, 본체부(2)의 주연부에 착탈 가능하게 적재되어 있다.
그리고, 외측 방풍 수단(31)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칸막이부(42)와, 복수의 공기 도입부(50)가 교대로 배치되어 형성되어 있다.
칸막이부(42)는, 외부 공간(S)과 내측 방풍 수단(32)을 이격하도록 기립되어, 주로, 외풍이 강하게 내측으로 불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며, 공기 도입부(50)는, 주로 2차 공기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다.
구체적으로는, 전체가 프레임인 외측 방풍 수단(31)의 평판 형상부의 두께 방향으로 복수의 관통 구멍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관통 구멍을 공기 도입부(50)로 하는 동시에, 관통 구멍이 아닌 부분을 칸막이부(42)로 하고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 형태의 외측 방풍 수단(31)에서는, 공기 도입부(50)의 상하에 평판 형상부(31b, 31c)가 존재하고, 이 상하의 평판 형상부(31b, 31c)도 외부 공간(S)과 내측 방풍 수단(32)을 이격하여, 외풍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는 칸막이부의 기능을 하고 있다.
공기 도입부(50)는, 도면의 경우, 사각형이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공기 도입부(5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 방풍 수단(32)의 상단부(32c)보다 아래에 배치되는 것이 좋다.
또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 도입부(50)는, 가스 공급부(4)에 인접해서 대향하는 외측 방풍 수단(31)의 평판 형상부(FL)에는 설치되어 있지 않으며, 이에 의해, 열풍이 공기 도입부(50)를 통과해서 가스 공급부(4)에 닿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그리고, 복수의 공기 도입부(50)의 각각에 대향해서 차폐부(46)가 배치되고, 이 차폐부(46)와 칸막이부(42)의 사이에는 공기 도입부(50)와 연통된 공간(이하, "연통 공간"이라고 함)(51)이 형성되어 있다. 즉, 연통 공간(51)과 공기 도입부(50)가 연결되도록, 공기 도입부(50)와 차폐부(46)의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D1)이 형성되어 있고, 이에 의해, 외풍(AR1)은 연통 공간(51)을 통해 공기 도입부(50)를 통과하여, 연소용의 2차 공기로서 공급된다. 또한, 도시된 간격(D1)은 4mm 정도로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외측 방풍 수단(31)은, 상술한 사각 형상의 프레임의 높이 방향(도 1의 Y 방향)의 중앙 영역을 교축 가공으로 외측으로 압출함으로써, 칸막이부(42), 공기 도입부(50), 차폐부(46) 및 연통 공간(51)을 동시에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교축 가공에 의해, 도 1의 1점 쇄선으로 둘러싼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 도입부(50) 위의 평판 형상부(31b)와 차폐부(46)의 상부를 연결하는 상측 판 형상부(53)가 형성되는 동시에, 공기 도입부(50) 아래의 평판 형상부(31c)와 차폐부(46)의 하부를 연결하는 하측 판 형상부(55)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공기 도입부(50)를 정면에서 봤을 때, 차폐부(46)와 상측 판 형상부(53)와 하측 판 형상부(55)로, 공기 도입부(50)가 감춰지도록 되어 있다. 즉, 도면의 경우, 상측 판 형상부(53)는 외측을 향할수록 내려가는 경사면이 되고, 하측 판 형상부(55)는 외측을 향할수록 올라가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또한, 공기 도입부(50)와 상측 판 형상부(53)에서부터 하측 판 형상부(55)까지는 동일한 높이(H1)가 되고, 공기 도입부(50)와 차폐부(46)·상측 판 형상부(53)·하측 판 형상부(55)는 동일한 폭(W1)으로 되어 있다.
이렇게 상측 판 형상부(53)를 설치함으로써, 냄비류로부터 끓어 넘친 것이, 공기 도입부(50)와 차폐부(46)의 사이의 공간에 쌓일 우려를 방지할 수 있고, 그런 의미에서 상측 판 형상부(53)는 덮개부라고도 할 수 있다. 또한, 상측 판 형상부(53)와 하측 판 형상부(55) 모두를 설치함으로써, 하나의 차폐부(46)의 좌우 양측에만 연통 공간(51, 51)이 형성되게 된다. 이 좌우의 연통 공간(51, 51)은 서로 대향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외측 방풍 수단(31)은 다양한 구성을 갖기 때문에, 외풍이 외측 방풍 수단(31)에 정면으로 불어오면,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풍(AR1)과 정면 대향하는 면(FF)에 대해서는, 외풍(AR1)은, 차폐부(46), 상측 판 형상부(53) 및 하측 판 형상부(55)에 차단되어, 공기 도입부(50)로 직접 들어오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경사진 상측 판 형상부(53) 및 하측 판 형상부(55)에 닿은 외풍(AR1)은, 그 상하의 평판 형상부(31b, 31c)에 의해 내측으로 들어오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차폐부(46)의 좌우 양측의 연통 공간(51, 51)으로 불어 들어온 외풍(AR1, AR1)은, 외풍끼리 서로 간섭해서, 바람의 기세를 약화시키면서 공기 도입부(50)를 통과하게 된다.
또한, 도 2의 우측에 도시하는 외풍(CR)과 같이, 외풍이 외측 방풍 수단(31)에 대하여 경사지게 불어 들어온 경우에도, 외풍(CR)의 일부는 차폐부(46)에 차단되고, 또한, 일부는 칸막이부(42)에 충돌하면서 내측으로 들어가려고 하고, 또한, 간격(D1)은 그다지 크지 않기 때문에, 적어도 대량의 외풍이 직접 공기 도입부(50)를 통과하는 경우는 없다. 이 때문에, 정면에서 외풍(AR1)이 불어 들어오는 경우만큼은 아니지만, 바람의 기세를 약화시키면서, 공기 도입부(50)를 통과하게 된다.
또한, 외풍(AR1)이 불어 들어오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일부(AR2)가 대략 사각 형상의 프레임의 면(FF)과 대략 수직인 면(SF)에 형성된 연통 공간(51)으로 들어가, 복수의 칸막이부(42)와 칸막이부(42)보다 외측에 배치된 복수의 차폐부(46)의 사이를 연속해서 통과하게 된다. 따라서, 면(SF)의 내측 공간이 음압으로 되어, 내측의 뜨거운 공기(HA)는 면(SF)의 공기 도입부(50)를 향해 끌어당겨져, 외부 공간(S)으로 방출되게 된다. 즉, 외측 방풍 수단(31)이 사각 형상의 프레임으로 되고, 또한, 하나의 차폐부(46)의 좌우 양측에 연통 공간(51, 51)이 형성됨으로써, 이중의 방풍 수단(30)에 의해 발생하기 쉬운 열의 체류 문제도 경감할 수 있다(이하, "통풍에 의한 냉각 효과"라고 함).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경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 방풍 수단(31)의 상부 테두리(31a)[돌출부(59, 60)를 제외한 상부 테두리]는 삼발이(8)의 상부 테두리(8d)보다 낮게 배치되어 있고, 이에 의해, 어떠한 크기의 냄비류를 삼발이(8)에 적재하더라도, 그 냄비류와 외측 방풍 수단(31)의 상부 테두리(31a)의 사이에 스페이스(SP)를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냄비류의 바닥을 따라 흘러들어온 뜨거운 배기 가스(EX)는, 용이하게 스페이스(SP)로부터 배출되어, 가스 풍로(1) 자체의 가열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 방풍 수단(31)의 상부 테두리(31a)에는, 삼발이(8)의 상부 테두리(8d) 내의 최상단부(8c)보다 높아지도록 상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돌출부(59, 60)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59, 60)는, 주로, 삼발이(8)에 적재된 냄비류(PA2·PA3)가 옆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방풍 수단(30)을 이중으로 설치해서 열이 체류하기 쉬워졌기 때문에, 내열성을 고려해서 삼발이(8)를 법랑으로 형성했다. 그러나, 법랑은 미끄러지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미끄러지기 쉬운 법랑을 사용했을 경우에도, 냄비류가 옆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가스 풍로(1)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가스 공급부(4)에 인접한 돌출부(60)는, 적재된 냄비류(PA2, PA3)를 걸리게 하여, 적어도 냄비류(PA2, PA3)의 바닥부가 본체부의 상면(6A)보다 가스 공급부(4)측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돌출부(60)는, 가스 공급부(4)와 대향하는 평판 형상부(FL)(도 1 참조)의 상부 테두리의 양단부에 2군데 형성되어 있고, 그 근원과 중간부는 위를 향해 똑바로 연신되어 있다. 또한, 대부분의 냄비류는, 도 4의 1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중정도의 냄비류(PA3),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큰 냄비류(PA2)와 같이, 개구부를 향해 넓어지는 측면 형상을 갖고 있기 때문에, 그 측면 형상에 대응한 경사각(θ2)을 선단부(삼발이(8)의 최상단부(8c)보다 상측의 부분)(60a)에 갖고 있다.
이에 대해, 돌출부(59)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 방풍 수단(31)의 가스 공급부(4)에 인접하지 않는 2군데의 코너부 영역에 배치되어, 그 코너부에 대응한 폭 방향 중앙(59c)이 굽힘 가공되고 있고,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이며 폭 방향의 중앙부(59a)는, 냄비류(PA2)의 측면 코너부(PA2-1)의 형상에 대응해서 절결되어, 상측의 폭 방향의 양단부(59b, 59b)에 비해 낮은 위치로 되어 있다[도면의 경우, 중앙부(59a)의 높이는 삼발이(8)의 최상단부(8c)와 동등하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치리토리라고도 불리는 냄비류[평면에서 보아 사각 형상이며, 바닥부는 본체부(2)의 상면(6A)과 동등 혹은 그 이하의 면적이며, 또한, 개구부가 상면(6A)보다 커지도록 경사진 측면을 갖는 냄비류](PA2)의 가장 외측으로 돌출된 측면 코너부(PA2-1)를, 중앙부(59a)로부터 외측으로 비어져 나오게 하는 동시에, 양단부(59b, 59b)에서 냄비류(PA2)의 측면(PA2-2)을 걸리게 하고 있다.
또한, 본체부의 상면(6A)보다 큰 바닥을 갖는 냄비류(PA1)는, 이들 복수의 돌출부(59, 60) 위에 놓을 수도 있고, 그 경우에도, 냄비류(PA1)의 바닥과 외측 방풍 수단(31)의 상부 테두리(31a)와의 사이에 스페이스를 형성하여, 거기로부터 내측의 뜨거운 배기 가스를 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실시 형태의 외측 방풍 수단(31)과 삼발이(8)에 의해, 다양한 크기의 냄비류에 대응할 수 있다.
다음으로, 내측 방풍 수단(32)에 대해서 설명한다.
내측 방풍 수단(32)은, 도 2의 망점으로 나타내는 부분이며, 평면에서 보아, 가스 버너(12)의 주위에 배치되고 폭이 넓은 링 형상을 이루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가 후라이팬 또는 얕은 세면기와 같은 형상을 하고 있다. 즉, 내측 방풍 수단(32)은, 가스 버너(12)와 외측 방풍 수단(31)을 이격하도록 기립된 벽부(32b)와, 이 벽부(32b)에 연속해서 형성된 바닥판부(32a)를 갖고, 바닥판부(32a)의 중앙 영역에 형성된 관통 구멍(34)으로부터 가스 버너(12)의 화염구(10)를 포함한 상부가 노출되도록 되어 있다.
벽부(32b)는, 가스 버너(12)를 둘러싼 벽으로, 종래의 방풍 수단과 같이 두께 방향으로 관통 구멍은 존재하지 않으며, 이에 의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 방풍 수단(31)보다 내측이며, 벽부(32b)보다 외측인 공간(이하, "침입 공간"이라고 함)(S1)으로 들어온 바람이 화염을 옆으로 쓰러뜨리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관통 구멍이 없는 내측 방풍 수단(32)은 내측에 열이 체류하기 쉽기 때문에, 열방산성이 우수한 법랑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벽부(32b)는, 침입 공간(S1)으로 들어온 바람이 직접 화염에 닫지 않도록 높이(H2)를 가지며, 도 3의 경우, 적어도 상단부(32c)가 공기 도입부(50)와 동등 이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벽부(32b)의 높이(H2)에 대해서는, 외측 방풍 수단(31)의 상부 테두리(31a)와 내측 방풍 수단(32)의 상단부(32c)를 직선으로 연결한 가상선(Mg)이, 가스 버너(12)의 화염구(10)보다 위를 통과하는 높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예를 들어, 도 4의 냄비류(PA3)와 같이 냄비류의 바닥 면적이 외측 방풍 수단(31)으로 둘러싸인 면적보다 상당히 작을 경우, 도 3의 1점 쇄선의 화살표(OP)와 같이 외측 방풍 수단(31)의 상부 테두리(31a) 위에서 스페이스(SP)로 외풍이 불어 들어오는 경우도 있는데, 그 경우에도, 그 불어 들어온 외풍을 차단하도록 벽부(32b)의 높이(H2)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의 벽부(32b)의 높이(H2)는 30mm 정도로 되어 있다.
또한, 벽부(32b)는, 상측을 향할수록 서서히 외측으로 위치하도록 경사진 경사각(θ)을 가지며, 게다가, 상단부(32c)가 외측을 향해 접혀지도록 구부려져 있다. 이에 의해, 침입 공간(S1)으로 들어온 바람을 후술하는 통로부(40)로 유도하기 쉽게 하고 있다.
바닥판부(32a)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토대(19) 위에 적재되는 동시에, 본체부(2)의 상면(6A)을 따라 배치되며[도면의 경우, 바닥판부(32a)와 상면(6A)은 거의 평행], 이에 의해, 상면(6A)과 바닥판부(32a)의 사이에 소정의 간격(H3)을 만들어, 이것이 연소용의 공기(2차 공기)(AR1)의 통로가 되는 통로부(40)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침입 공간(S1)으로 들어온 공기(AR1)는, 연소에 의한 배기 가스(EX)에 의해 가스 버너(12)측으로 빨려들어가(굴뚝 효과) 통로부(40)를 통과하여, 본체부 내의 하측으로부터 상면(6A)의 관통 구멍(14)을 통과해서 상승하는 공기(AR3)와 합류하여, 가스 버너(12)에 인접하는 외측에서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화염은 옆으로 쓰러지지 않고, 무풍 상태와 마찬가지로 상승된 화염 형상을 얻을 수 있다.
이 통로부(40)의 반경 방향(도 3의 X 방향)의 길이(L1)는, 침입 공간(S1)으로 들어온 공기의 흐름이 흐트러져도, 대략 정류할 수 있는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3의 길이(L1)는 34mm 정도로 되어 있다. 또한, 통로부(40)의 상하 간격[바닥판부(32a)와 상면(6A)의 간격](H3)은, 지나치게 좁으면 가스 버너(12)측에 공급되는 2차 공기의 양이 저감하고, 지나치게 넓으면 상술한 정류 효과가 낮아지기 때문에, 알맞은 간격이 바람직하며, 도 3의 간격(H3)은 5mm 정도로 되어 있다.
또한, 바닥판부(32a)의 내주측 주연부(32d)가 오목부(16)의 경사면(16b)에 대응해서 경사짐으로써, 통로부(40)의 내측 주연부(40a)는 가스 버너(12)를 향할수록 상측이 되게 경사지고, 이에 의해, 통로부(40)를 다 통과한 공기(AR1)를 상승시키기 쉽게 해서, 화염이 옆으로 넘어지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있다. 또한, 통로부(40)의 내측 주연부(40a)는 가스 버너(12)의 화염구(10)보다 아래에 배치되고, 이에 의해, 통로부(40)를 다 통과한 공기(AR1)가 화염구(10)에 닿는 것을 방지하여, 화염이 옆으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내측 방풍 수단(32)을 적재하기 위한 토대(19)는, 삼발이를 고정하는 수단이기도 하며, 이 때문에,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 방풍 수단(32)에는 삼발이(8)의 다리부(8a)를 삽입 관통하기 위한 관통 구멍(37)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삼발이(8)는 벽부(32b)의 상단부(32c)를 걸쳐서 네 구석에 고정되며, 이에 의해, 내측 방풍 수단(32)은 본체부(2)에 고정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방풍 수단(30)은 내측과 외측의 이중으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강풍에 의해 화염이 옆으로 넘어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공기 도입부(50)나 통로부(40)를 형성함으로써 2차 공기를 적정하게 확보하면서, 공기 도입부(50)에 대향하는 차폐부(46)에 의해, 공기 도입부(50)을 통과하는 바람의 기세를 약화시키고 있다. 또한, 통로부(40)를 본체부(2)의 상면(6A)을 따르게 해서, 바람이 통과할 때에 냉각 효과를 발휘시키거나, 연속하는 복수의 공기 도입부(50)와 복수의 차폐부(46)의 사이로 바람(AR2)을 빠져나가게 해서, 통풍에 의한 냉각 효과를 발휘시켜, 본체부(2)의 가열을 방지하고 있다.
도 5 및 도 6은 이상의 본 실시 형태의 효과를 명백하게 하고 있다.
즉, 도 5는 본 실시 형태와 종래의 가스 풍로 모두에 대해서, 끓는 시간을 측정한 그래프이며, A1이 본 실시 형태의 가스 풍로의 측정 결과, A2가 종래의 가스 풍로의 측정 결과다. 또한, 종래의 가스 풍로가 본 실시 형태의 가스 풍로와 상이한 것은, 외측 방풍 수단이 없고, 또한, 내측 방풍 수단은 바닥판부가 없고, 복수의 관통 구멍을 갖는 펀칭 메탈로 되어 있는 점이다. 또한, 풍로에 올려놓는 냄비에는 1.5리터의 물을 넣고, 풍속 매초 3m, 평균 실온 약 28℃의 환경하에서 실험을 행했다.
그 결과, 측정 결과 A1에서는 16분의 속도로 약 100℃에 도달한 것에 반해, 측정 결과 A2에서는 30분을 경과해도 100℃에 달하지 못했다. 그리고, 측정 결과 A1은 측정 결과 A2에 비해 온도 상승율이 약 2.4배이며, 이것으로부터, 본 실시 형태의 가스 풍로는 단순히 방풍 수단을 이중으로 한 것뿐만이 아닌 효과가 있음을 알았다.
도 6은 본 실시 형태의 가스 풍로와, 본 실시 형태의 외측 방풍 수단을 제거한(즉, 본 실시 형태의 방풍 수단만의) 가스 풍로에 대해서, 끓는 시간을 측정한 그래프다. 또한, 풍로에 올려놓는 냄비에는 1.5리터의 물을 넣고, 풍속 매초 3m, 평균 실온 약 27℃의 환경하에서 실험을 행했다. 구체적으로는, C1 및 C2는, 냄비의 밑바닥 면적이 외측 방풍 수단으로 둘러싼 면적과 동일한 정도의 큰 냄비를 사용한 측정 결과이며, C1이 본 실시 형태의 가스 풍로의 측정 결과, C2가 외측 방풍 수단을 제거한 가스 풍로의 측정 결과다.
이것으로부터, 측정 결과 C1과 측정 결과 C2의 비교에서, 본 실시 형태의 가스 풍로의 온도 상승률이 양호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육안으로도, 외측 방풍 수단을 제거한 가스 풍로에서는 화염이 휘날리고 있었지만, 본 실시 형태의 가스 풍로에서는 화염은 안정되어 있었다.
도 7은, 본 발명의 상술한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관한 가스 풍로(100)이며, 전체가 사각 형상의 프레임인 외측 방풍 수단(62)의 부분 사시도다.
본 변형예에 관한 가스 풍로(100)가 도 1의 가스 풍로(1)와 다른 점은, 외측 방풍 수단(62)의 구성만이며, 다른 구성은 동일하다.
즉, 도 7의 외측 방풍 수단(62)은, 도 1의 외측 방풍 수단(31)과 마찬가지로, 외부 공간(S)과 내측 방풍 수단(도시하지 않음)을 이격하도록 한 복수의 칸막이부(64)와, 2차 공기를 도입하기 위한 복수의 공기 도입부(66)가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공기 도입부(66)의 각각에 대향하여, 외풍의 진입을 방지하는 차폐부(68)가 배치되어 있고, 차폐부(68)와 칸막이부(64)의 사이에는 공기 도입부(66)와 연통된 연통 공간(69)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외측 방풍 수단(62)은, 평면에서 보아 사각 형상의 프레임부(47)의 내측 상부에, 복수의 칸막이부(64)를 소정의 간격(W3)을 두고 접합하는 동시에, 프레임부(47)의 외측 상부에, 상기 간격(W3)에 의해 이루어지는 복수의 공기 도입부(66)의 각각에 대향하도록, 복수의 차폐부(68)를 접합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또한, 통풍에 의한 냉각 효과를 발휘시키기 위해서, 프레임부(47)의 네 구석에 차폐부(68)를 접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외측 방풍 수단(62)에 정면에서 분 외풍(AR4)은, 차폐부(68)나 프레임부(47)에 막혀서, 공기 도입부(66)로 직접 불어 들어오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차폐부(68)의 좌우 양측의 연통 공간(69, 69)으로 불어 들어온 외풍(AR4)은, 그 외풍끼리 서로 간섭해서, 바람의 기세를 약화시키면서 공기 도입부(66)를 통과하게 된다. 또한, 외측 방풍 수단(62)은 전체가 사각 형상의 프레임으로 되고, 또한, 하나의 차폐부(68)의 좌우 양측에 연통 공간(69, 69)이 형성됨으로써, 1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외풍(AR5)이 복수의 차폐부(68)와 복수의 칸막이부(64)의 사이를 연속해서 빠져나가, 통풍에 의한 냉각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도 1에 도시하는 상측 판 형상부(53)와 동일한 것은 존재하지 않지만, 프레임부(47)가 상측 판 형상부(53)와 마찬가지의 기능을 발휘하여, 공기 도입부(66)나 연통 공간(69) 등에 끓어 넘친 것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변형예의 가스 풍로(100)에서는, 도 1의 하측 판 형상부(55)나 돌출부(59, 60)가 존재하지 않을 뿐이며, 도 1의 가스 풍로(1)와 마찬가지의 기능을 얻을 수 있다.
도 8은, 도 7의 가스 풍로(100)에 대해서, 외풍(AR4)이 외측 방풍 수단(62)에 정면으로 불었을 경우와, 외풍(AR6)이 경사져서 불었을 경우의 끓는 시간을 비교한 그래프이며, E1은 외풍(AR4)이 불었을 경우의 측정 결과, E2는 외풍(AR6)이 불었을 경우의 측정 결과다. 또한, 풍로에 올려놓는 냄비에는 1.5리터의 물을 넣고, 풍속 매초 3m, 평균 실온 약 21℃의 환경하에서 실험을 행했다.
그 결과로부터, 외풍이 외측 방풍 수단(62)에 경사지게 불었을 경우(E2)는, 정면에서 불었을 경우(E1)에 비해 온도 상승률이 다소 떨어졌지만, 모두 지장없이 온도 상승하였음을 알았다.
그런데,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나 변형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도 3의 실시 형태의 토대(19)는, 삼발이와 내측 방풍 수단(32) 모두를 고정하지만, 내측 방풍 수단(32)만을 고정하기 위한 토대를 별도 설치해도 좋다.
또한, 외측 방풍 수단(31)은, 본체부의 주연부에 반드시 배치될 필요는 없고, 사용되는 냄비류의 크기를 고려해서 배치하면 되며, 이때, 사용되는 냄비 바닥의 주연에 대응한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바람직한 형태로서 차폐부(46)를 공기 도입부(50)보다 외측에 배치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차폐부(46)를 공기 도입부(50)보다 내측에 배치해도 좋다.
또한, 외측 방풍 수단의 다른 변형예로서, 그 특징 부분을 나타낸 도 9에 도시되는 외측 방풍 수단이어도 좋다. 또한, 이 도면에서 도 1 내지 도 4의 가스 풍로(1)와 동일한 번호를 부여한 개소는 마찬가지의 구성이다.
즉, 도 9의 (a)는 제2 변형예에 관한 외측 방풍 수단(80)이며, 도 3의 공기 도입부(50) 주변에 대응한 개소를 도시하고 있다. 이 외측 방풍 수단(80)은, 차폐부(46-1), 상측 판 형상부(53-1), 하측 판 형상부(55-1)의 구성만이 도 3의 외측 방풍 수단(31)과 다르다. 구체적으로는, 차폐부(46-1), 상측 판 형상부(53-1), 하측 판 형상부(55-1)의 각각이 동일한 곡률로 만곡하여, 일체가 된 단면이 반원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만곡된 차폐부(46-1)는 공기 도입부(50)와 대향해서 배치되므로, 도 1의 외측 방풍 수단과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도 9의 (b)는 제3 변형예에 관한 외측 방풍 수단(81)이며, 도 1의 1점 쇄선으로 둘러싼 부분에 대응하고 있다. 이 외측 방풍 수단(81)은, 차폐부(46-2), 상측 판 형상부(53-2), 하측 판 형상부의 구성만이 도 1의 외측 방풍 수단(31)과 다르다. 구체적으로는, 차폐부(46-2)는 공기 도입부(50)와 동일한 면적을 갖고 대향하고 있으며, 상측 판 형상부(53-2)는 이 차폐부(46-2)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차폐부(46-2)의 상부와 공기 도입부(50)의 위의 사이에 걸쳐져 있다.
이 외측 방풍 수단(81)에서는, 도 1에 도시하는 하측 판 형상부(55)는 존재하지 않고, 이 때문에, 차폐부(46-2)와 칸막이부(42)의 사이의 공기 도입부(50)와 연통된 연통 공간(51-1)은, 차폐부(46-2)의 좌우 양측뿐만 아니라 하측에도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외측 방풍 수단(81)이어도, 외풍은 서로 다른 방향에서 불어 들어오기 때문에, 3방향의 연통 공간(51-1)으로 진입한 외풍끼리 서로 간섭하게 하여, 그 기세를 약화시킬 수 있다.
또한, 도 9의 (c)는 제4 변형예에 관한 외측 방풍 수단(82)이며, 그 코너부분만의 사시도다. 이 외측 방풍 수단(82)은 2장의 사각 형상의 프레임(78, 79)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프레임(78)과 프레임(79)은 상대적으로 내측과 외측에, 도 1의 간격(D1)과 동일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내측의 프레임(78)에는 복수의 관통 구멍(65)이, 외측의 프레임(79)에는 복수의 관통 구멍(67)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복수의 관통 구멍(65)과 복수의 관통 구멍(67)은 서로 대향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프레임(78)에 대해서는, 관통 구멍(65)이 도 1의 공기 도입부(50)와 마찬가지의 기능을 하고, 이 관통 구멍(65)끼리의 사이가 도 1의 칸막이부(42)와 마찬가지의 기능을 하는 칸막이부(42-1)가 된다. 또한, 프레임(79)에 대해서는, 관통 구멍(67)끼리의 사이가 도 1의 차폐부(46)와 마찬가지의 기능을 하는 차폐부(46-3)가 되고, 이 차폐부(46-3)의 좌우 양측의 관통 구멍(67)이 도 1의 연통 공간(51)과 마찬가지의 기능을 하게 된다.
또한, 도 9의 (d)는 제5 변형예에 관한 외측 방풍 수단(83)이며, 그 코너부분만의 사시도다. 이 외측 방풍 수단(83)은, 차폐부(46-4), 상측 판 형상부(53-3), 하측 판 형상부(55-3), 연통 공간(51-2)의 구성만이 도 1의 외측 방풍 수단(31)과 다르다. 구체적으로는, 차폐부(46-4), 상측 판 형상부(53-3) 및 하측 판 형상부(55-3)는, 그 중앙 종단면이 도 9의 (a)와 마찬가지이며, 각각이 만곡하여, 일체가 된 단면은 반원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연통 공간(51-2)은, 차폐부(46-4)의 좌우 양측이 아니라 편측에만 설치되며, 이로 인해, 외풍은 하나의 공기 도입부(50)에 대하여 일방향에서만 불어 들어오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외측 방풍 수단(83)이어도, 정면에서 불어 온 외풍은 차폐부(46-4)에 닿아, 공기 도입부(50)로 직접 들어오는 경우가 없어진다. 단, 도 1의 외측 방풍 수단(31)과 같이, 좌우에서 들어온 외풍끼리를 간섭시켜, 바람의 기세를 약화시킨다는 효과는 기대하기 어려워, 도 1의 외풍 방풍 수단(31)을 갖는 가스 풍로(1)가, 더 효과적으로 화염이 옆으로 쓰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 : 휴대식 가스 풍로 2 : 본체부
4 : 가스 공급부 12 : 가스 버너
30 : 방풍 수단 31 : 외측 방풍 수단
32 : 내측 방풍 수단 32a : 바닥판부
32b : 벽부 40 : 통로부
42 : 칸막이부 50 : 공기 도입부
46 : 차폐부 51 : 연통된 공간(연통 공간)
53 : 상측 판 형상부 55 : 하측 판 형상부

Claims (5)

  1. 상면측에 화염구를 갖는 가스 버너가 배치된 본체부와, 상기 가스 버너에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공급부를 구비하는 휴대식 가스 풍로이며,
    상기 본체부는, 상기 가스 버너에 대해 외풍이 들어오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서, 외부 공간과 상기 가스 버너를 이격하도록 한 방풍 수단을 갖고,
    상기 방풍 수단은, 상기 가스 버너의 주위에 배치된 내측 방풍 수단과, 이 내측 방풍 수단보다 상기 본체부의 주연부측에 배치된 외측 방풍 수단을 갖고,
    상기 외측 방풍 수단은, 상기 외부 공간과 상기 내측 방풍 수단을 이격하도록 한 복수의 칸막이부와, 2차 공기를 도입하기 위한 복수의 공기 도입부가 교대로 배치되고,
    또한, 상기 복수의 공기 도입부의 각각에 대향하여, 외풍의 진입을 방지하는 차폐부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차폐부와 상기 칸막이부의 사이에는 상기 공기 도입부와 연통된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식 가스 풍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는, 상기 공기 도입부보다 외측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연통된 공간은, 외풍이 서로 다른 방향에서 들어오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식 가스 풍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도입부의 위와 상기 차폐부의 상부를 연결하는 상측 판 형상부와, 상기 공기 도입부의 아래와 상기 차폐부의 하부를 연결하는 하측 판 형상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식 가스 풍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방풍 수단은, 상기 가스 버너와 상기 외측 방풍 수단을 이격하는 동시에 두께 방향으로 관통 구멍이 없는 벽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면을 따라 배치된 바닥판부를 갖고,
    상기 상면과 상기 바닥판부의 사이에는, 공기의 통로가 되는 통로부를 갖고, 그 통로부는 상기 화염구보다 낮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식 가스 풍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외측 방풍 수단보다 내측에 삼발이를 갖고, 상기 외측 방풍 수단의 상부 테두리가 상기 삼발이의 상부 테두리보다 낮게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외측 방풍 수단의 상부 테두리에는, 상기 삼발이의 상부 테두리 중의 최상단부보다 높아지도록 한 복수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식 가스 풍로.
KR1020120119935A 2011-11-24 2012-10-26 휴대식 가스 풍로 KR1019813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256015A JP5174947B1 (ja) 2011-11-24 2011-11-24 携帯式ガスコンロ
JPJP-P-2011-256015 2011-11-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7940A true KR20130057940A (ko) 2013-06-03
KR101981337B1 KR101981337B1 (ko) 2019-05-23

Family

ID=48189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9935A KR101981337B1 (ko) 2011-11-24 2012-10-26 휴대식 가스 풍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174947B1 (ko)
KR (1) KR101981337B1 (ko)
CN (1) CN202927935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74702A (zh) * 2013-10-29 2014-02-12 昆山富凌灶具有限公司 一种双侧波浪形带孔防风支架灶具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3096Y1 (ko) * 2015-07-24 2017-04-05 (주)억조종합주방 업소용 가스레인지의 버너헤드
KR101749405B1 (ko) * 2015-08-06 2017-06-21 (주)억조종합주방 업소용 가스레인지의 버너헤드
CN105953271A (zh) * 2016-06-29 2016-09-21 脉鲜金属(大连)有限公司 便携式防爆燃气灶具
CN108488852A (zh) * 2018-05-04 2018-09-04 杭州老板电器股份有限公司 锅架及燃气灶
CN109990287B (zh) * 2019-03-29 2020-12-25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燃烧器及包含其的燃气灶
CN112902168A (zh) * 2021-01-27 2021-06-04 广东年代集成厨电有限公司 一种燃烧部件升降的灶具燃烧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230886Y (zh) * 1995-06-28 1996-07-10 陈金华 防风锅支架
KR20010025672A (ko) * 2001-01-16 2001-04-06 고진석 가스절약받침대
JP2003307312A (ja) 2002-04-16 2003-10-31 Asahi Seisakusho Co Ltd 風防付き携帯ガスこんろ
KR200399921Y1 (ko) * 2005-08-11 2005-11-01 권오기 휴대용 가스렌지의 바람막이
KR20100054567A (ko) * 2008-11-14 2010-05-25 공상식 휴대용 가스렌지용 바람막이대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41122Y2 (ko) * 1981-06-17 1987-10-21
JPH0960883A (ja) * 1995-08-21 1997-03-04 San Frontier Technol:Kk ガス器具における耐風装置
JP3036277U (ja) * 1996-09-27 1997-04-15 株式会社旭テクノス ガス器具
JPH10300094A (ja) * 1997-04-22 1998-11-13 Akahira Kaoru 家庭用カセットコンロ
JP3059741U (ja) * 1998-12-09 1999-07-13 有限会社アベク 野外用料理・焚き火道具
JP3497428B2 (ja) * 1999-10-19 2004-02-16 株式会社金正陶器 防風枠体及び防風炉
JP2001241665A (ja) * 2000-02-28 2001-09-07 Kosei Shoji Kk 固形燃料燃焼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230886Y (zh) * 1995-06-28 1996-07-10 陈金华 防风锅支架
KR20010025672A (ko) * 2001-01-16 2001-04-06 고진석 가스절약받침대
JP2003307312A (ja) 2002-04-16 2003-10-31 Asahi Seisakusho Co Ltd 風防付き携帯ガスこんろ
KR200399921Y1 (ko) * 2005-08-11 2005-11-01 권오기 휴대용 가스렌지의 바람막이
KR20100054567A (ko) * 2008-11-14 2010-05-25 공상식 휴대용 가스렌지용 바람막이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74702A (zh) * 2013-10-29 2014-02-12 昆山富凌灶具有限公司 一种双侧波浪形带孔防风支架灶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108714A (ja) 2013-06-06
JP5174947B1 (ja) 2013-04-03
CN202927935U (zh) 2013-05-08
KR101981337B1 (ko) 2019-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57940A (ko) 휴대식 가스 풍로
AU2009262766B2 (en) Cooktop swirl burner
JP7281067B2 (ja) 多炎孔バーナ
JP4758802B2 (ja) ガスコンロ
KR20130077760A (ko) 가스버너구조체
KR200490050Y1 (ko) 화덕화염 보호장치
CN107504484B (zh) 一种灶具燃烧器
JP6671233B2 (ja) コンロバーナー
JP3144236U (ja) ガスコンロのガスバーナー覆い装置
EP3128235A1 (en) Gas burner, in particular for a cooking top for household use
JP2958676B2 (ja) 炎漏出防止型コンロ
JP2004101011A (ja) コンロ
CN214038529U (zh) 一种商用燃气灶内置点火熄保装置
KR200241513Y1 (ko) 바람막이용 가스레인지
JP2002317935A (ja) コンロ用バーナ
JP2002333109A (ja) バーナ及びそれを用いたコンロ
KR102281670B1 (ko) 가스버너
JP5748700B2 (ja) コンロバーナー
CN214370381U (zh) 用于燃气灶的燃烧器以及燃气灶
CN213040601U (zh) 一种节能炉盆
CN210004384U (zh) 一种灶具的防干烧炉头
KR100409352B1 (ko) 가스절약받침대
JP3101220B2 (ja) ガスバーナ
JP6853070B2 (ja) グリル用の調理容器
JP2018146119A (ja) カセットこん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