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0050Y1 - 화덕화염 보호장치 - Google Patents

화덕화염 보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0050Y1
KR200490050Y1 KR2020190000380U KR20190000380U KR200490050Y1 KR 200490050 Y1 KR200490050 Y1 KR 200490050Y1 KR 2020190000380 U KR2020190000380 U KR 2020190000380U KR 20190000380 U KR20190000380 U KR 20190000380U KR 200490050 Y1 KR200490050 Y1 KR 2004900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me
hole
protection device
guide
dischar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03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찬필
Original Assignee
박찬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찬필 filed Critical 박찬필
Priority to KR20201900003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005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00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005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3/12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72Safety devices, e.g. operative in case of failure of gas supply
    • F23D14/76Protecting flame and burner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6Protective guards, e.g. for preventing access to heated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8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 F24C3/085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on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209/00Safety arrangements
    • F23D2209/20Flame lift-off / sta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s Bur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화덕 본체의 상부를 덮도록 화염 보호구를 설치하여 낙하되는 이물질로 부터 화덕 본체를 보호함과 아울러 화염 보호구에 의해 산소 공급량이 증대될 수 있게 하여 연소 효율 및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화덕화염 보호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고안은 화염공들이 상부면에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화덕 본체; 및 상기 화덕 본체의 상부를 덮도록 설치되어 이물질의 낙하시 화덕 본체 및 화염공을 보호하고, 상기 화염공을 통해 토출되는 화염을 내측과 외측으로 유도하여 화력을 높일 수 있게 하는 화염 보호구;를 포함하고, 상기 화염 보호구는: 중앙부에 상하를 관통하도록 관통공이 형성되어 이물질의 낙하시 보호할 수 있는 링 형상의 보호구 몸체; 및 상기 보호구 몸체의 저부에 일정 간격을 이루며 방사상으로 배열되도록 돌출 형성되어, 상기 보호구 몸체의 저부가 상기 화덕 본체의 상부면으로부터 소정 간격을 형성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화염공을 통해 토출되는 화염을 보호구 몸체의 내측과 외측으로 유도할 수 있는 화염 유도돌부들;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화덕화염 보호장치{Furnace flame protection device}
본 고안은 화덕화염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점과 같은 업소의 주방에서 신속한 조리나 대용량의 조리를 위해 사용하는 고화력 화덕 본체의 상부를 덮도록 화염 보호구를 설치하여 낙하되는 이물질로 부터 화덕 본체를 보호함과 아울러 화염 보호구에 의해 산소 공급량이 증대될 수 있게 하여 연소 효율 및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화덕화염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중국 음식점이나 대형 음식점 등의 주방에서는 한 번에 많은 량의 음식을 조리해야 되기 때문에 강한 화력의 가스버너를 요하게 된다.
이러한 업소용 가스버너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형상의 바디(10) 상면에 다수개의 화염공(15)이 형성되어 상기 화염공(15)을 통해 가스가 외부로 토출되면서 연소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이러한 버너 상측의 화구(35)에는 받침대(일명, 삼발이)(37)가 설치되어 상기 받침대(37) 위에 조리용기(30)를 올려놓고 조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가스버너는 토출되는 화염을 유도하기 위한 어떠한 구조적 수단도 구비되지 않아서, 버너의 효율이 현저히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가스버너는 화염으로 공급되는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주로 버너 중앙의 개구부(11)를 통해 유입되도록 구성 되었으나, 토출되는 화염은 개구부(11)쪽으로 유도되지 못하고 상측으로만 토출되기 때문에, 개구부(11) 상측의 공기를 가열하는 열량이 작아서 개구부(11)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도 작을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종래의 가스버너는 가스 연소시 화염에 공급되는 공기의 량이 작아서 가스의 연소효율이 저하되고 불완전 연소가 증가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그 외에도, 종래의 버너는 조리 중에 국물이 넘치게 되면, 이 국물은 버너로 유입되어 고온에 의해 바디(10) 상면을 따라 신속히 확산되어 화염을 꺼지게 하며, 이러한 경우 업소의 조리자는 이를 일일이 확인하지 않으면, 화염이 꺼졌는지 여부를 외부에서 쉽게 인식하기 어려워서 가스가 계속 누출되어 폭발사고의 위험이 상존하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 외에도, 상기 버너는 국물이나 음식물이 버너로 쉽게 유입되기 때문에, 자주 청소를 해주어야 하며, 화염공(15)이 음식물에 의해 막혀 제대로 화염이 토출되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국내 특허 공개번호 10-1994-0024332호, 가스레인지용 화염 유도판.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화덕 본체의 상부를 덮도록 화염 보호구를 설치하여 낙하되는 이물질로 부터 화덕 본체를 보호함과 아울러 화염 보호구에 의해 산소 공급량이 증대될 수 있게 하여 연소 효율 및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화덕화염 보호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화염공들이 상부면에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화덕 본체; 및 상기 화덕 본체의 상부를 덮도록 설치되어 이물질의 낙하시 화덕 본체 및 화염공을 보호하고, 상기 화염공을 통해 토출되는 화염을 내측과 외측으로 유도하여 화력을 높일 수 있게 하는 화염 보호구;를 포함하고, 상기 화염 보호구는: 중앙부에 상하를 관통하도록 관통공이 형성되어 이물질의 낙하시 보호할 수 있는 링 형상의 보호구 몸체; 및 상기 보호구 몸체의 저부에 일정 간격을 이루며 방사상으로 배열되도록 돌출 형성되어, 상기 보호구 몸체의 저부가 상기 화덕 본체의 상부면으로부터 소정 간격을 형성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화염공을 통해 토출되는 화염을 보호구 몸체의 내측과 외측으로 유도할 수 있는 화염 유도돌부들;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호구 몸체의 저면은, 내측 안내경사면과 외측 안내경사면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내측 안내경사면은, 상기 화덕 본체의 화염공을 통해 토출되는 화염이 내측으로 유도되어 관통공으로 집중될 수 있도록 보호구 몸체의 저부에서 내측 상부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외측 안내경사면은, 상기 화덕 본체의 화염공을 통해 토출되는 화염이 외측으로 유도될 수 있도록 보호구 몸체의 저부에서 외측 상부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측 안내경사면의 기울기 각도는, 상기 외측 안내경사면의 기울기 각도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호구 몸체의 상면은, 내측 상부경사면과 외측 상부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염 유도돌부들은: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아지는 상광하협(上廣下狹)의 형상을 이루게 형성되되, 하단면은 화덕 본체의 안착될 수 있도록 수평안착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염 유도돌부들은: 상기 화덕 본체에 형성되는 화염공들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화염 유도돌부들의 사이 공간을 통해 상기 화염공을 통해 토출되는 화염을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화덕화염 보호장치에 의하면, 화덕 본체의 상부를 덮도록 화염 보호구를 설치함에 의해 낙하되는 이물질로 부터 화덕 본체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화덕 본체의 상부를 덮도록 설치되는 화염 보호구에 의해 화덕 본체에서 발생되는 화염이 화염 보호구의 내측과 외측으로 유도되게 하는 것으로 산소 공급량이 증대될 수 있게 하여 연소 효율 및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화덕화염 보호장치의 주요 구성인 화염 보호구의 저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펴시의 I-I선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화덕화염 보호장치의 주요 구성인 화염 보호구의 평면 사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화덕화염 보호장치의 주요 구성인 화염 보호구의 저면 사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화덕화염 보호장치의 주요 구성인 화염 보호구의 정면 사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화덕화염 보호장치에 구비되는 화덕 본체의 평면 사진이고,
도 7은 도 6표시의 화덕 본체에 화염 보호구가 설치된 사용 상태의 평면 사진이고,
도 8은 도 6표시의 화덕 본체에 화염 보호구가 설치된 사용 상태의 정면 사진이고,
도 9는 종래 가스버서의 사용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화덕화염 보호장치의 주요 구성인 화염 보호구의 저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펴시의 I-I선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화덕화염 보호장치의 주요 구성인 화염 보호구의 평면 사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화덕화염 보호장치의 주요 구성인 화염 보호구의 저면 사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화덕화염 보호장치의 주요 구성인 화염 보호구의 정면 사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화덕화염 보호장치에 구비되는 화덕 본체의 평면 사진이고, 도 7은 도 6표시의 화덕 본체에 화염 보호구가 설치된 사용 상태의 평면 사진이고, 도 8은 도 6표시의 화덕 본체에 화염 보호구가 설치된 사용 상태의 정면 사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화덕화염 보호장치에는 화덕 본체(10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덕 본체(100)는 어느 일측에 가스가 유입될 수 있는 가스유입부가 구비되고, 상기 가스유입부를 통해 유입되는 가스가 토출되면서 연소되어 화염을 발생시키는 헤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헤드부의 상부면에서 화염을 발생시킬 수 있는 화염공(102)들이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화염공(102)을 통해 토출되는 가스가 산소와 연소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다른 화덕화염 보호장치에는 화염 보호구(20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염 보호구(200)는 상기 화덕 본체(100)의 상부를 덮도록 설치되어 이물질의 낙하시 화덕 본체(100)를 보호함과 아울러 화염공(102)으로 이물질이 들어가는 방지하여 화덕 본체(100)를 보호하는 기능을 갖게 된다. 즉, 조리시 음식물이 넘치게 되면, 그넘치는 음식물이 화덕 본체(100)에 낙하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염 보호구(200)는 상기 화염공(102)을 통해 토출되는 가스가 연소되어 발생되는 화염을 상기 화염 보호구(200)의 내측과 외측으로 유도하여 화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이러한 상기 화염 보호구(200)는 화염에 견딜 수 있는 소재, 즉 금속재질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상기 화염 보호구(200)는 보호구 몸체(210)와 화염 유도돌부(220)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호구 몸체(210)는 중앙부에 상하를 관통하도록 관통공(211)이 형성되는 구성으로,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보호구 몸체(210)를 상기 화덕 본체(100)의 상부를 덮는 형태로 설치함에 의해 이물질의 낙하시 화덕 본체(100)를 보호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보호구 몸체(210)의 상면은 내측 상부경사면(216)과 외측 상부경사면(218)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하고, 상기 내측 상부경사면(216)과 외측 상부경사면(218)에 의해 이물질의 낙하시 이물질이 외측와 내측으로 이동되게 함으로, 상기 보호구 몸체(210)의 상부면에 이물질이 남아있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화염 유도돌부(220)들은 상기 보호구 몸체(210)의 저부에 일정 간격을 이루며 방사상으로 배열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화염 유도돌부(220)들에 의해 상기 보호구 몸체(210)의 저부가 상기 화덕 본체(100)의 상부면으로부터 소정 간격을 형성되는 형태로 화덕 본체(100)의 상부를 덮도록 설치할 수 있고, 또 상기 화염공(102)을 통해 토출되는 화염을 보호구 몸체(210)의 내측과 외측으로 유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보호구 몸체(210)의 저면은 내측 안내경사면(212)과 외측 안내경사면(214)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내측 안내경사면(212)은 상기 화덕 본체(100)의 화염공(102)을 통해 토출되는 화염이 내측으로 유도되어 관통공(211)으로 집중될 수 있도록 보호구 몸체(210)의 저부에서 내측 상부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외측 안내경사면(214)은 상기 화덕 본체(100)의 화염공(102)을 통해 토출되는 화염이 외측으로 유도될 수 있도록 보호구 몸체(210)의 저부에서 외측 상부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내측 안내경사면(212)의 기울기 각도는 상기 외측 안내경사면(214)의 기울기 각도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기울기 차이로 인해 상기 내측 안내경사면(212)을 타고 내측으로 유도되는 화염이 관통공(211)으로 집중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염 유도돌부(220)들은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아지는 상광하협(上廣下狹)의 형상을 이루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화염 유도돌부(220)의 하단면은 화덕 본체(100)에 안착될 수 있도록 수평안착면(222)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상기 화염 유도돌부(220)들은 상기 화덕 본체(100)에 형성되는 화염공(102)들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안착되어, 상기 화염 유도돌부(220)들의 사이 공간(s)을 통해 상기 화염공(102)을 통해 토출되는 화염이 유도된다. 즉, 상기 화염 유도돌부(220)들의 사이에서 상기 보호구 몸체(210)의 저부에 형성되는 내측 안내경사면(212)과 외측 안내경사면(214)에 내외측으로 유도되어 조리용기를 가열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화덕 본체(100)의 상부를 덮도록 화염 보호구(200)를 설치하게 되면, 낙하되는 이물질로 부터 화덕 본체(100)를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화덕 본체(100)에서 발생되는 화염이 화염 보호구(200)의 내외측으로 유도되어 화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기술적 구성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가 달성되는 것이며,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극히 용이하게 본 고안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100 - 화덕 본체 102 - 화염공
200 - 화염 보호구 210 - 보호구 몸체
211 - 관통공 212 - 내측 안내경사면
214 - 외측 안내경사면 216 - 내측 상부경사면
218 - 외측 상부경사면 220 - 화염 유도돌부

Claims (6)

  1. 화염공(102)들이 상부면에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화덕 본체(100); 및
    상기 화덕 본체(100)의 상부를 덮도록 설치되어 이물질의 낙하시 화덕 본체(100) 및 화염공(102)을 보호하고, 상기 화염공(102)을 통해 토출되는 화염을 내측과 외측으로 유도하여 화력을 높일 수 있게 하는 화염 보호구(200);를 포함하고,
    상기 화염 보호구(200)는:
    중앙부에 상하를 관통하도록 관통공(211)이 형성되어 이물질의 낙하시 보호할 수 있는 링 형상의 보호구 몸체(210); 및
    상기 보호구 몸체(210)의 저부에 일정 간격을 이루며 방사상으로 배열되도록 돌출 형성되어, 상기 보호구 몸체(210)의 저부가 상기 화덕 본체(100)의 상부면으로부터 소정 간격을 형성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화염공(102)을 통해 토출되는 화염을 보호구 몸체(210)의 내측과 외측으로 유도할 수 있는 화염 유도돌부(220)들;을 포함하되,
    상기 보호구 몸체(210)의 저면은, 내측 안내경사면(212)과 외측 안내경사면(214)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내측 안내경사면(212)은,
    상기 화덕 본체(100)의 화염공(102)을 통해 토출되는 화염이 내측으로 유도되어 관통공(211)으로 집중될 수 있도록 보호구 몸체(210)의 저부에서 내측 상부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외측 안내경사면(214)은,
    상기 화덕 본체(100)의 화염공(102)을 통해 토출되는 화염이 외측으로 유도될 수 있도록 보호구 몸체(210)의 저부에서 외측 상부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보호구 몸체(210)의 상면은, 이물질의 낙하시 이물질이 외측와 내측으로 이동되게 하여 보호구 몸체(210)의 상부면에 이물질이 남아있지 않도록 내측 상부경사면(216)과 외측 상부경사면(218)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덕화염 보호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안내경사면(212)의 기울기 각도는, 상기 외측 안내경사면(214)의 기울기 각도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덕화염 보호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염 유도돌부(220)들은: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아지는 상광하협(上廣下狹)의 형상을 이루게 형성되되, 하단면은 화덕 본체(100)의 안착될 수 있도록 수평안착면(222)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덕화염 보호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염 유도돌부(220)들은:
    상기 화덕 본체(100)에 형성되는 화염공(102)들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화염 유도돌부(220)들의 사이 공간을 통해 상기 화염공(102)을 통해 토출되는 화염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덕화염 보호장치.
KR2020190000380U 2019-01-25 2019-01-25 화덕화염 보호장치 KR2004900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380U KR200490050Y1 (ko) 2019-01-25 2019-01-25 화덕화염 보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380U KR200490050Y1 (ko) 2019-01-25 2019-01-25 화덕화염 보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0050Y1 true KR200490050Y1 (ko) 2019-09-16

Family

ID=68066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0380U KR200490050Y1 (ko) 2019-01-25 2019-01-25 화덕화염 보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005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07287A1 (zh) * 2020-07-06 2022-01-13 华帝股份有限公司 一种燃烧器火盖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3621A (ja) * 1994-03-02 1995-09-19 Osaka Gokou:Kk ガス燃焼方法及びこの方法を用いたバーナ
KR200332296Y1 (ko) * 2003-08-21 2003-11-05 주식회사3차버너 가스버너
JP2004108682A (ja) * 2002-09-19 2004-04-08 Jiro Suyama バーナーカバー
KR101425387B1 (ko) * 2013-11-27 2014-08-01 김해곤 버너장치
KR101759438B1 (ko) * 2016-05-10 2017-07-19 주식회사 우리원에너지 세라믹으로 코팅한 가스버너의 점화구 커버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3621A (ja) * 1994-03-02 1995-09-19 Osaka Gokou:Kk ガス燃焼方法及びこの方法を用いたバーナ
JP2004108682A (ja) * 2002-09-19 2004-04-08 Jiro Suyama バーナーカバー
KR200332296Y1 (ko) * 2003-08-21 2003-11-05 주식회사3차버너 가스버너
KR101425387B1 (ko) * 2013-11-27 2014-08-01 김해곤 버너장치
KR101759438B1 (ko) * 2016-05-10 2017-07-19 주식회사 우리원에너지 세라믹으로 코팅한 가스버너의 점화구 커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07287A1 (zh) * 2020-07-06 2022-01-13 华帝股份有限公司 一种燃烧器火盖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41160B1 (en) High efficiency wind resistant kettle grill
US10190777B2 (en) High efficiency side burner and outdoor cooker
US10330326B2 (en) Gas burner assembly for a cooktop appliance
KR20130057940A (ko) 휴대식 가스 풍로
KR200490050Y1 (ko) 화덕화염 보호장치
JP7281067B2 (ja) 多炎孔バーナ
CN205807411U (zh) 一种燃烧加热器具
US3871356A (en) Gas range grate
JP2007271129A (ja) ガスコンロ
KR20110133171A (ko) 인덕션 렌지용 보호시트
CN210399032U (zh) 一种锅支架以及应用该锅支锅的燃气灶
KR102177026B1 (ko) 업소용 가스레인지의 화구 구조체
CN211324493U (zh) 一种烧烤架
JP6247545B2 (ja) ガスコンロ
CN208871674U (zh) 一种燃气灶
EP3128235A1 (en) Gas burner, in particular for a cooking top for household use
KR101464101B1 (ko) 조리 가열기구의 연소 효율을 크게 향상시킨 연소커버
KR101218322B1 (ko) 가스레인지용 삼발이
KR102281670B1 (ko) 가스버너
CN221083459U (zh) 桌面式燃气烧烤炉
KR200420729Y1 (ko) 대형 솥 거치대
KR200327814Y1 (ko) 가스버너
CN216307895U (zh) 一种用于燃气灶的锅支架
CN105864764A (zh) 一种燃烧加热器具
JP2002333109A (ja) バーナ及びそれを用いたコン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