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6340A - 광경화성 투명 점착 시트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광경화성 투명 점착 시트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6340A
KR20130056340A KR1020137009611A KR20137009611A KR20130056340A KR 20130056340 A KR20130056340 A KR 20130056340A KR 1020137009611 A KR1020137009611 A KR 1020137009611A KR 20137009611 A KR20137009611 A KR 20137009611A KR 20130056340 A KR20130056340 A KR 201300563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h
composition
transparent adhesive
hydroxyl group
adhesive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9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94984B1 (ko
Inventor
겐이치 나카니시
아츠시 우미노
가즈히로 사사키
유타 다케우치
Original Assignee
쇼와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쇼와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쇼와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563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63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49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49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8L23/0869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3/02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4/00Adhesive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adhesive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J183/00 - C09J183/16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4/00Adhesive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adhesive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J183/00 - C09J183/16
    • C09J4/06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in combination with a macromolecular compound other than an unsaturated polymer of groups C09J159/00 - C09J187/00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22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4All layers being polyme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synthetic resin layer or on natural or synthetic rubb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0Inorgan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70/00Resin or rubber layer containing a blend of at least two different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2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electrical or magnetic properties, e.g. piezoelectric
    • B32B2307/202Conduct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8Touch scree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투명 도전막의 도전층면에 대해 직접 접합해도 도전층을 부식시키지 않고, 점착제층의 응집력, 투명성, 펀칭 가공성이 우수한 광경화성 투명 점착 시트용 조성물, 나아가서는 점착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A) 중량 평균 분자량이 1만 내지 30만인 (메트)아크릴기 함유 폴리올레핀 화합물, (B) 히드록실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C) 히드록실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이외의 광중합성 단량체, 및 (D) 광중합 개시제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광경화성 투명 점착 시트용 조성물이며, (C)의 광중합성 단량체에 포함되는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가 (C)의 광중합성 단량체의 전체량에 대해, 0.1질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경화성 투명 점착 시트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광경화성 투명 점착 시트용 조성물{LIGHT-CURING COMPOSITION FOR USE IN TRANSPARENT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본 발명은 광경화성 투명 점착 시트용 조성물, 광경화성 투명 점착 시트용 조성물을 경화시켜서 얻어지는 광경화성 투명 점착 시트가 투명 도전막의 접합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도전막 고정용 투명 점착 시트용 조성물, 투명 도전막 고정용 투명 점착 시트용 조성물을 경화하여 얻어지는 투명 도전막 고정용 투명 점착 시트 및, 투명 도전막 고정용 투명 점착 시트가 투명 도전막의 도전층면에 접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휴대 전화, 게임기기 등의 분야에 터치 패널이 탑재되기 시작되고 있다. 터치 패널은 ITO(산화 인듐 주석) 등의 투명 도전막을 표층에 갖는 투명 기재나 유리와 그것을 보호하는 투명 보호 시트, 나아가서는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 장치와 같은 광학 부재를, 광학용 투명 점착 시트를 사용해서 접합한 적층체이다.
터치 패널에는, 주로 입력 시의 압력으로 검지하는 저항막 방식의 터치 패널과, 입력 시의 인체로부터의 정전기로 입력 개소를 검지하는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이 있다.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에 있어서는, 투명 도전막의 도전층면이, 점착 시트의 점착제층 표면과 접하도록 고정된다. 그 때문에, 투명 도전막의 도전층면에 점착제층이 접함으로써, 점착제에 포함되는 산 성분에 의해 금속의 산화 반응이 일어나서, 도전 기능의 저하가 일어나는 문제가 있다. 이 때문에, 투명 도전막 고정용 점착 시트에는 높은 금속 부식 방지성이 요구되고 있다.
금속 부식 방지성을 갖는 점착 시트로서는, 금속 부식 방지제를 함유하는 점착 시트(예를 들어, 특허문헌 1)가 제안되고 있다. 또한, 점착제층의 산 성분에 대해, 특정량의 질소 원자 함유 성분을 함유시킴으로써, 투명 도전막에 대한 부식성을 저하시킨 점착 시트(예를 들어, 특허문헌 2)가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금속 부식 방지제를 함유하는 점착 시트는, 금속 부식 방지제가 내구성 시험에 의해 변색되어, 광학 특성을 저하시키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특정량의 질소 원자 함유 성분을 함유시킨 점착 시트는, 점착제층에 포함되는 산 성분이 원인으로, ITO의 전기 저항값의 상승을 충분히 억제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6-45315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0-144002호 공보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경화시켜서 얻어지는 투명 점착 시트가, 투명 도전막의 도전층면에 대해 직접 접합해도 도전층을 부식시키지 않고, 점착제층의 응집력, 투명성 및 펀칭 가공성이 우수한 광경화성 투명 점착 시트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나아가서는, 상기 투명 점착 시트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자들은, 터치 패널용 광경화성 투명 점착 시트가 갖고 있는 상기 문제점을 배경으로 하여, 예의 검토를 거듭한 결과, 고분자량의 (메트)아크릴기(화학식: -COCH=CH2, -COC(CH3)=CH2) 함유 폴리올레핀 화합물, 히드록실기(화학식: -OH)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광중합성 단량체 및 광중합 개시제를 배합한 광경화성 투명 점착 시트용 조성물이며, 광중합성 단량체에 포함되는 카르복실기 단량체가 소정량 이하인 광경화성 투명 점착 시트용 조성물이, 상기 광경화성 투명 점착 시트용 조성물을 경화시켜서 얻어지는 광경화성 투명 점착 시트의 투명성, 점착성 및 투명 도전막의 금속 부식 방지성이 양호한 것을 발견하고, 이 지식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이하 (1) 내지 (11)에서 나타낸다.
(1) (A) 중량 평균 분자량이 1만 내지 30만인 (메트)아크릴기 함유 폴리올레핀 화합물, (B) 히드록실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C) 히드록실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이외의 광중합성 단량체, 및 (D) 광중합 개시제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광경화성 투명 점착 시트용 조성물이며, (C) 히드록실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이외의 광중합성 단량체에 포함되는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가 (C) 히드록실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이외의 광중합성 단량체의 전체량에 대해, 0.1질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경화성 투명 점착 시트용 조성물.
(2) 광경화성 투명 점착 시트용 조성물의 전체량에 대해, (A) 중량 평균 분자량이 1만 내지 30만인 (메트)아크릴기 함유 폴리올레핀 화합물 10 내지 50질량%, (B) 히드록실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1 내지 30질량%, (C) 히드록실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이외의 광중합성 단량체 20 내지 88질량%, 및 (D) 광중합 개시제 0.2 내지 5질량%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에 기재된 광경화성 투명 점착 시트용 조성물.
(3) (C) 히드록실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이외의 광중합성 단량체가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를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광경화성 투명 점착 시트용 조성물.
(4) (B) 히드록실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및 (C) 히드록실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이외의 광중합성 단량체를 중합하여 얻어지는 중합체의 이론 유리 전이 온도가 0℃ 내지 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광경화성 투명 점착 시트용 조성물.
(5) (C) 히드록실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이외의 광중합성 단량체가 단관능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및/또는 환상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광경화성 투명 점착 시트용 조성물.
(6) (A) 중량 평균 분자량이 1만 내지 30만인 (메트)아크릴기 함유 폴리올레핀 화합물이, 폴리올레핀폴리올 화합물, 히드록실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1분자 중에 이소시아네이트기를 2개 이상 갖는 화합물을 반응시켜서 얻어지는 (메트)아크릴기를 갖는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광경화성 투명 점착 시트용 조성물.
(7) 산가가 0.5㎎KOH/g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광경화성 투명 점착 시트용 조성물.
(8) 상기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광경화성 투명 점착 시트용 조성물을 경화시켜서 얻어지는 광경화성 투명 점착 시트가 투명 도전막의 접합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도전막 고정용 투명 점착 시트용 조성물.
(9) 상기 (8)에 기재된 투명 도전막 고정용 투명 점착 시트용 조성물을 경화시켜서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도전막 고정용 투명 점착 시트.
(10) 겔 분율이 80 내지 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9)에 기재된 투명 도전막 고정용 투명 점착 시트.
(11) 상기 (9) 또는 (10)에 기재된 투명 도전막 고정용 투명 점착 시트가, 투명 도전막의 도전층면에 접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
본 발명의 광경화성 투명 점착 시트용 조성물은, 조성물 중에 고분자량의 (메트)아크릴기 함유 폴리올레핀 화합물이 포함되기 때문에, 경화시켜서 얻어지는 점착 시트의 유연성, 내투습성이 우수하고, 또한 조성물 중에 카르복실기가 미량밖에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얻어지는 투명 점착 시트의 산 성분에 의한 투명 도전막의 도전층면의 부식을 억제할 수 있고, 조성물 중에 히드록실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가 포함되기 때문에, 얻어지는 점착 시트의 응집력과 기재에 대한 밀착성이 우수하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광경화성 투명 점착 시트용 조성물]
본 발명의 광경화성 투명 점착 시트용 조성물은, (A) 중량 평균 분자량이 1만 내지 30만인 (메트)아크릴기 함유 폴리올레핀 화합물, (B) 히드록실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C) 히드록실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이외의 광중합성 단량체, 및 (D) 광중합 개시제를 함유하여 이루어진다.
<(A) (메트)아크릴기 함유 폴리올레핀 화합물>
(메트)아크릴기 함유 폴리올레핀 화합물로서는, 폴리올레핀 골격을 갖고, 또한 (메트)아크릴기가 도입되어 있는 것이면 사용할 수 있다. 폴리올레핀 골격으로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ㆍ프로필렌 공중합체, 부타디엔, 이소프렌, 수소 첨가 폴리부타디엔, 수소 첨가 폴리이소프렌, 시클로올레핀 등의 골격을 들 수 있다. 내광성, 투명성(비결정성), 작업성(액상) 면에서, 수소 첨가 폴리부타디엔, 수소 첨가 폴리이소프렌 골격이 바람직하다. 또한, (메트)아크릴기란 CH2=CH-CO- 또는 CH2 =C(CH3)-CO-를 의미한다.
폴리올레핀에 대한 (메트)아크릴기의 도입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반응성의 수산기를 분자 말단 등에 갖는 폴리올레핀을 (메트)아크릴산을 사용해서 에스테르화하거나 또는 우선 1분자 중에 이소시아네이트기를 2개 이상 갖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폴리올레핀의 수산기에 부가하고, 이소시아네이트기와 히드록실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를 반응시킴으로써 (메트)아크릴화하는 방법을 예시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폴리올레핀폴리올 화합물에 대해, 1분자 중에 이소시아네이트기를 2개 이상 갖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반응시키고, 계속해서 히드록실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를 우레탄화 반응시켜서 얻어지는 (메트)아크릴기 함유 폴리올레핀 화합물은, 얻어지는 점착 시트의 응집력이 높은 점에서 바람직하다.
폴리올레핀폴리올 화합물은, 1분자 중에 수산기를 2개 이상 갖는 것인데, 수산기를 2개 내지 4개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올레핀폴리올 화합물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5,000 내지 30,000이 바람직하고, 10,000 내지 15,000이 보다 바람직하다. 폴리올레핀폴리올 화합물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5,000보다 낮아지면, 얻어지는 (메트)아크릴기 함유 폴리올레핀 화합물의 분자량이 높아지지 않으므로, 충분한 점착 시트의 강도를 얻지 못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폴리올레핀폴리올 화합물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30,000보다 높아지면, 얻어지는 (메트)아크릴기 함유 폴리올레핀 화합물의 분자량이 너무 높아져서, 취급이 곤란해지는 경향이 있다.
1분자 중에 이소시아네이트기를 2개 이상 갖는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및 이들 수소 첨가물 등의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내광성, 반응성 제어가 쉽다는 관점에서,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가 바람직하다. 이들 1분자 중에 이소시아네이트기를 2개 이상 갖는 화합물은, 단독으로 또는 2종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1분자 중에 이소시아네이트기를 2개 이상 갖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사용량으로서는, 폴리올레핀폴리올 100질량부에 대해, 8 내지 35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내지 30질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1 내지 25질량부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1분자 중에 이소시아네이트기를 2개 이상 갖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사용량이 8질량부보다 적어지면, 얻어지는 (메트)아크릴기 함유 폴리올레핀 화합물의 분자량이 너무 높아지기 때문에 취급하기 곤란해지고,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사용량이 35질량부보다 많아지면, 얻어지는 (메트)아크릴기 함유 폴리올레핀 화합물의 분자량이 너무 낮아지기 때문에, 점착 시트의 강도를 충분히 얻을 수 없는 경향이 있다.
이소시아네이트기와 반응시키는, 히드록실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로서는, 예를 들어 알킬기의 탄소수가 2 내지 7인 히드록시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구체예로서는, 2-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1,3-부탄디올(메트)아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메트)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메트)아크릴레이트, 3-메틸펜탄디올(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예시할 수 있으며, 단독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반응성 면에서,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및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다. 히드록실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의 사용량으로서는, 폴리올레핀폴리올 100질량부에 대해, 3 내지 18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4 내지 15질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 내지 13질량부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히드록실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의 사용량이 3질량부보다 적어지면, (메트)아크릴기를 갖지 않는 올레핀 화합물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어 점착 시트의 강도가 낮아지고, 히드록실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의 사용량이 18질량부보다 많아지면, 올레핀에 도입된(메트)아크릴기의 양이 너무 많아지기 때문에 점착 시트가 단단해지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의 (A) (메트)아크릴기 함유 폴리올레핀 화합물의 (메트)아크릴기의 도입수로서는, 1분자 중에 (메트)아크릴기가 1개 이상 있으면 좋고, 바람직하게는 1분자 중 1개 내지 2개이다.
(A) (메트)아크릴기 함유 폴리올레핀 화합물의 분자량은, 중량 평균 분자량이 1만 내지 30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만 내지 20만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3만 내지 10만이다. 중량 평균 분자량이 1만 미만에서는, 얻어지는 점착 시트의 응집력이 낮아지기 때문에 점착 시트의 강도가 충분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분자량이 30만보다 큰 경우에는, 광경화성 투명 점착 시트용 조성물의 점도가 너무 높아지기 때문에 취급이 곤란해져서 작업성이 현저하게 나빠져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쇼와 덴코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쇼덱스(Shodex) GPC-101)를 사용해서, 하기 조건에서 상온에서 측정하여, 표준 폴리스티렌 검량선을 사용해서 구한 값이다.
칼럼 : 쇼와 덴코제 LF-804
칼럼 온도 : 40℃
시료 : 공중합체의 0.2질량% 테트라히드로푸란 용액
유량 : 1㎖/분
용리액 : 테트라히드로푸란
검출기 : RI
(A) (메트)아크릴기 함유 폴리올레핀 화합물의 광경화성 투명 점착 시트용 조성물 중의 함유량으로서는, 조성물 중 10 내지 5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15 내지 45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0 내지 40질량%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10질량%보다 적은 경우에는, 얻어지는 점착 시트가 물러져 바람직하지 않다. 50질량%보다 많은 경우에는, 얻어지는 점착 시트의 점착력이 낮아질 가능성이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B) 히드록실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여기에서 말하는 히드록실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란, 카르복실기를 갖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알킬기의 탄소수가 2 내지 7인 히드록시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구체예로서는, 2-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1,3-부탄디올(메트)아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메트)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메트)아크릴레이트, 3-메틸펜탄디올(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예시할 수 있으며, 단독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얻어지는 점착 시트의 점착력 면에서,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다. (B) 히드록실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의 함유량은, 광경화성 투명 점착 시트용 조성물 중에 1 내지 30질량%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5질량%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질량%이다. 1질량% 미만에서는, 얻어지는 점착 시트의 기재에 대한 밀착성이 불충분해져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30질량%보다 많은 경우에는, 점착 시트의 내수성이 나빠져 바람직하지 않다.
<(C) 히드록실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이외의 광중합성 단량체>
(C) 히드록실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이외의 광중합성 단량체(이하, 「(C)의 광중합성 단량체」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는, 광중합성 단량체로서, 히드록실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이외의 것을 가리키고, 카르복실기(화학식: -COOH)를 함유하지 않는 단량체가 바람직하다. 상기 단량체로서는, 특별히 한정은 없으며, 비닐기, (메트)아크릴기 등을 갖는 단관능성 또는 다관능성 광중합성 단량체를 단독으로 또는 2종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C)의 광중합성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n-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tert-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n-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트)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노르보르닐(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메트)아크릴레이트, 노르보르나닐(메트)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테닐(메트)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테닐옥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메트)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옥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시클로데칸디메틸올(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환상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에톡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메톡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부톡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메톡시에톡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톡시에톡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알콕시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메톡시디에틸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에톡시디에틸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메톡시디프로필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알콕시(폴리)알킬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옥타플루오로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불소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N,N-디메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N,N-디에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디알킬아미노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피발산에스테르네오펜틸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1,3-비스(히드록시에틸)-5,5-디메틸히단토인디(메트)아크릴레이트, α,ω-디(메트)아크릴비스디에틸렌글리콜프탈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아크릴옥시에틸포스페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트리히드록시(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다관능성(메트)아크릴레이트, 아크릴아미드 및 디메틸아크릴아미드, 디에틸아크릴아미드, (메트)아크릴로일모르폴린 등의 아크릴아미드 유도체, 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에폭시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C)의 광중합성 단량체로서는, (메트)아크릴기 함유 폴리올레핀 화합물과의 혼화성, 점착 시트의 점착성, 강도, 내광성, 내열성의 관점에서, 단관능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환상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말하는 단관능 또는 다관능의 관능기란, (메트)아크릴기를 가리킨다. (C)의 광중합성 단량체의 함유량은, 광경화성 투명 점착 시트용 조성물 중 20 내지 88질량%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70질량%이다.더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9질량%이다. 20질량% 미만에서는, 얻어지는 점착 시트의 기재에 대한 밀착성이 불충분해져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88질량%보다 많은 경우에는, 점착 시트의 응집력이 낮아지기 때문에 점착력이 낮아져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서는, (C)의 광중합성 단량체에 포함되는 아크릴산이나 메타크릴산 등의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는, (C)의 광중합성 단량체의 전체량에 대해, 0.1질량% 이하이고, 0.05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C)의 광중합성 단량체는,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를 포함하지 않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가 (C)의 광중합성 단량체의 전체량에 대해, 0.1질량%를 초과하면, 투명 도전막의 도전층면의 부식의 억제가 곤란해진다.
본 발명의 (B) 히드록실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및 (C)의 광중합성 단량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중합체의 이론 유리 전이 온도는, 점착 시트의 강도, 접착력의 관점에서 0 내지 50℃인 것이 바람직하고, 5 내지 4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 내지 40℃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0℃보다 낮은 경우에는, 얻어지는 점착 시트가 (메트)아크릴기 함유 폴리올레핀 화합물의 영향에 의해 너무 물러지기 때문에 점착 시트의 접착력이 낮아져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50℃보다 높은 경우에는, 얻어지는 점착 시트가 너무 단단해져서, 충분한 점착성을 얻지 못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여기서, 이론 유리 전이 온도(Tg)는 단량체 원료를 구성하는 각 단량체의 단독 중합체(호모 폴리머)의 Tg 및 상기 단량체의 질량 분율(공중합 비율)에 기초하여 하기의 폭스(FOX)의 수학식 1로부터 산출할 수 있다.
Figure pct00001
수학식 1 중, W1, W2…Wn은 각 단량체의 질량 분율(=(각 단량체의 배합량/단량체 전체 질량))이며, T1, T2…Tn은 각 단량체의 단독 중합체의 유리 전이 온도(절대 온도)이다. 단독 중합체의 Tg로서는, 공지 자료인 가부시끼가이샤 닛간 고교 심분샤의 「점착 기술 핸드북」 또는 Wiley-Interscience의 「중합체 핸드북(Polymer Handbook)」에 기재된 값을 채용하는 것으로 한다. 상기 공지 자료에 기재가 없는 단량체의 단독 중합체의 Tg에 대해서는, 이하의 방법으로 구해진 값을 채용하는 것으로 한다. 즉, 대상이 되는 단량체를 용액 중합하여 얻어진 단독 중합체 용액을 박리 라이너 위에 유연 건조시켜서 시험 샘플을 제작한다. 이 시험 샘플에 대해, 시차 주사 열량계(DSC)를 사용해서, 10℃/분의 승온 속도로 -80℃에서 280℃까지 온도를 변화시켜서 시차 주사 열량 측정을 행하고, 유리 전이에 의한 흡열 개시 온도를 상기 단독 중합체의 Tg로서 채용하는 것으로 한다.
<(D) 광중합 개시제>
본 발명에 있어서의 (D)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카르보닐계 광중합 개시제, 술피드계 광중합 개시제, 퀴논계 광중합 개시제, 아조계 광중합 개시제, 술포클로라이드계 광중합 개시제, 티오크산톤계 광중합 개시제, 과산화물계 광중합 개시제 등을 들 수 있다.
카르보닐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벤조페논, 벤질, 벤조인, ω-브로모아세토페논, 클로로아세톤, 아세토페논, 2,2-디에톡시아세토페논,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p-디메틸아미노아세토페논, p-디메틸아미노프로피오페논, 2-클로로벤조페논, p,p'-디클로로벤조페논, p,p'-비스디에틸아미노벤조페논, 미힐러케톤, 벤조인메틸에테르, 벤조인이소부틸에테르, 벤조인-n-부틸에테르, 벤질메틸케탈,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1-(4-이소프로필페닐)-2-히드록시-2-메틸프로판-1-온, 메틸벤조일포르메이트, 2,2-디에톡시아세토페논, 4-N,N'-디메틸아세토페논,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르폴리노프로판-1-온 등을 들 수 있다.
술피드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디페닐디술피드, 디벤질디술피드, 테트라에틸티우람디술피드, 테트라메틸암모늄모노술피드 등을 들 수 있다. 퀴논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벤조퀴논, 안트라퀴논 등을 들 수 있다. 아조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2,2'-아조비스프로판, 히드라진 등을 들 수 있다. 티오크산톤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티오크산톤, 2-클로로티오크산톤, 2-메틸티오크산톤 등을 들 수 있다. 과산화물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과산화 벤조일, 디-t-부틸퍼옥시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광중합 개시제 중에서는, 얻어지는 광경화성 투명 점착 시트용 조성물에 있어서의 용해성의 관점에서,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르폴리노프로판-1-온이 바람직하다. 이들 광중합 개시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된다.
(D) 광중합 개시제의 함유량은, 광경화성 및 얻어지는 점착 시트의 강도, 점착성의 밸런스의 관점에서, 광경화성 투명 점착 시트용 조성물 중에 0.2 내지 5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0.5 내지 3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8 내지 2질량%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D) 광중합 개시제의 함유량이 0.2질량% 미만이면, 광경화가 불충분해지는 경향이 있고, 5질량%를 초과하면 얻어지는 점착 시트의 점착성이 저하하는 경향이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광경화성 투명 점착 시트용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광경화성 투명 점착 시트용 조성물의 전체량에 대해, (A) 성분 10 내지 50질량%, (B) 성분 1 내지 30질량%, (C) 성분 20 내지 88질량%, 및 (D) 성분 0.2 내지 5질량%를 함유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광경화성 투명 점착 시트용 조성물의 전체량에 대해, (A) 성분 15 내지 45질량%, (B) 성분 5 내지 25질량%, (C) 성분 20 내지 70질량%, 및 (D) 성분 0.2 내지 5질량%를 함유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더 바람직하게는, 광경화성 투명 점착 시트용 조성물의 전체량에 대해, (A) 성분 20 내지 40질량%, (B) 성분 10 내지 20질량%, (C) 성분 40 내지 69질량%, 및 (D) 성분 0.5 내지 3질량%를 함유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광경화성 투명 점착 시트용 조성물에는, 필요에 따라, 얻어지는 점착 시트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투명성을 저하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점착 부여 수지를 첨가해도 된다. 점착 부여 수지의 예로서는, 로진이나 로진의 에스테르화물 등의 로진계 수지; 디테르펜 중합체나 α-피넨-페놀 공중합체 등의 테르펜계 수지; 지방족계(C5계)나 방향족계(C9계) 등의 석유 수지; 그 외, 스티렌계 수지, 페놀계 수지, 크실렌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내광성의 점으로부터 불포화 이중 결합이 적은 수소 첨가 로진이나 불균화 로진의 에스테르화물이나, 지방족이나 방향족계 석유 수지, 고 Tg 아크릴 수지 등을 점착 시트에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 부여 수지의 첨가량으로서는, 광경화성 투명 점착 시트용 조성물 100질량부에 대해((A) 성분, (B) 성분, (C) 성분, 및 (D) 성분의 합계량 100질량부에 대해), 1 내지 10질량부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광경화성 투명 점착 시트용 조성물에는, 필요에 따라, 투명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공지된 각종 첨가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첨가제로서는, 가소제, 표면 윤활제, 레벨링제, 연화제, 산화 방지제, 노화 방지제, 광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중합 금지제, 벤조트리아졸계 등의 광안정제, 인산에스테르계 및 그 밖의 난연제, 계면 활성제와 같은 대전 방지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광경화성 투명 점착 시트용 조성물은, 도포 시공 시의 점도 조정을 목적으로 하여 유기 용매를 사용해서 용액으로 해도 된다. 사용되는 유기 용매로서는, 예를 들어 메틸에틸케톤, 아세톤, 아세트산에틸, 테트라히드로푸란, 디옥산, 시클로헥사논, n-헥산, 톨루엔, 크실렌, n-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유기 용매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또한 2종 이상을 혼합해도 된다.
본 발명의 광경화성 투명 점착 시트용 조성물의 산가는, 바람직하게는 0 내지 0.5㎎KOH/g, 보다 바람직하게는 0 내지 0.1㎎KOH/g, 더 바람직하게는 0 내지 0.05㎎KOH/g이다. 산가가 0.5㎎KOH/g보다 높으면, 투명 도전막의 도전층면의 부식 억제가 곤란해진다. 또한, 조성물의 산가는 JIS K0070에 준거하여 측정한 값이다.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이 측정한다.
정밀 천칭으로 100㎖ 삼각 플라스크에 시료 약 2g 정도를 정칭하고, 이것에 에탄올/디에틸에테르=1/1(중량비)의 혼합 용매 10㎖를 첨가하여 용해한다. 또한, 이 용기에 지시약으로서 페놀프탈레인에탄올 용액을 1 내지 3방울 첨가하여, 시료가 균일해질 때까지 충분히 교반한다. 이것을, 0.1N 수산화칼륨-에탄올 용액으로 적정하고, 지시약의 옅은 홍색이 30초간 계속되었을 때를, 중화의 종점으로 한다. 그 결과로 하기의 수학식 2를 사용해서 얻은 값을, 조성물의 산가로 한다.
Figure pct00002
(투명 도전막 고정용 투명 점착 시트용 조성물)
본 발명의 투명 도전막 고정용 점착 시트용 조성물은, 상기의 광경화성 투명 점착 시트용 조성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투명 도전막 고정용 점착 시트용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투명 도전막 고정용 점착 시트용 조성물이 사용되는 투명 도전막으로서는, 적어도 편면의 표층에 도전층을 갖는 것이면 되고, 투명 기재의 표층에 도전 물질이 증착이나 코팅에 의해 형성되는 투명 도전막을 들 수 있다. 투명 도전막의 도전층에 있어서 증착이나 코팅되는 도전 물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구체적으로는, 산화 인듐 주석, 산화 인듐, 산화 주석, 산화 아연, 산화 카드뮴, 산화 갈륨, 산화 티타늄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투명성, 도전성이 우수한 산화 인듐 주석이 적절하게 사용된다. 투명 도전막에 있어서, 도전 물질이 증착 또는 코팅되는 기재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유리, 수지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투명 도전막 고정용 투명 점착 시트)
본 발명의 투명 도전막 고정용 투명 점착 시트는, 상기의 투명 도전막 고정용 투명 점착 시트용 조성물을 경화시켜 이루어지는 투명 도전막 고정용 투명 점착 시트로서, 투명 도전막의 도전층면과 적절하게 접착할 수 있으며, 또한 도전층의 부식이 발생하기 어려운 것이다. 따라서, 투명 도전막 고정용 투명 점착 시트를 투명 도전막의 도전층면과 접착시킨 적층체는 터치 패널로서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투명 도전막 고정용 투명 점착 시트는, 기재를 갖는 것이어도 되고, 기재를 갖지 않고 점착제층만으로 이루어지는 양면 점착 시트여도 된다. 또한, 점착제층은 단일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되고 복수층이 적층되어 있어도 된다. 그 중에서도, 투명성의 확보나, 형상 추종성의 관점에서는, 기재를 갖지 않고, 점착제층만으로 이루어지는 양면 점착 시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투명 도전막 고정용 투명 점착 시트는, 이형 PET 필름에 투명 도전막 고정용 투명 점착 시트용 조성물을 도포하고, 도포한 조성물에 자외선 조사 장치 등을 사용해서 자외선을 조사하여 광경화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투명 도전막 고정용 점착 시트의 막 두께는, 5 내지 50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0 내지 300㎛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투명 도전막 고정용 점착 시트의 막 두께가 5㎛보다 얇아지면, 점착 시트의 접합이 곤란해지고, 500㎛보다 두꺼워지면, 막 두께의 제어가 곤란해지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의 투명 도전막 고정용 점착 시트는, 톨루엔 중에 실온 하에서 24시간 침지했을 때의 하기의 수학식 3으로 구해지는 겔 분율이, 80 내지 100%인 것이 바람직하고, 90 내지 1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점착 시트의 겔 분율이 80%보다 낮은 경우에는, 펀칭 가공 시에 가공 단부면으로부터 실처럼 늘어남 등이 발생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Figure pct00003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예에 의해 하등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메트)아크릴기 함유 폴리올레핀 화합물(A-1)>
온도계, 교반기, 적하 깔때기, 건조관이 부착된 냉각관을 구비한 사구 플라스크에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101.2g 및 수산기 말단 수소 첨가 폴리부타디엔(닛뽄 소다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제품명: GI-3000, 중량 평균 분자량 14,000)을 844.3g 투입하고, 60℃에서 반응시켜, 잔존 이소시아네이트기가 1% 이하로 된 시점에서,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53.9g을 투입하고 70℃까지 승온하여 2시간 반응시켜, IR 측정에 의해 이소시아네이트기가 소실된 것을 확인한 후, 반응을 종료하고, (메트)아크릴기 함유 폴리올레핀 화합물(A-1) (중량 평균 분자량 50,000)을 얻었다.
<(메트)아크릴기 함유 폴리올레핀 화합물(A-2)>
온도계, 교반기, 적하 깔때기, 건조관이 부착된 냉각관을 구비한 사구 플라스크에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152.9g 및 수산기 말단 수소 첨가 폴리이소프렌(이데미쯔고산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제품명: 에폴, 중량 평균 분자량 12,000)을 764.5g 투입하고, 60℃에서 반응시킨다. 잔존 이소시아네이트기가 1% 이하가 된 시점에서,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81.7g을 투입하고, 70℃까지 승온하여 2시간 반응시켜, IR 측정에 의해 이소시아네이트기가 소실된 것을 확인한 후, 반응을 종료하고, (메트)아크릴기 함유 폴리올레핀 화합물(A-2) (중량 평균 분자량 55,000)을 얻었다.
<(메트)아크릴기 함유 폴리올레핀 화합물(A-3)>
온도계, 교반기, 적하 깔때기, 건조관이 부착된 냉각관을 구비한 사구 플라스크에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246.1g 및 수산기 말단 수소 첨가 폴리부타디엔(닛뽄 소다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제품명: GI-1000, 중량 평균 분자량 3,000)을 618.5g 투입하고, 60℃에서 반응시켜, 잔존 이소시아네이트기가 1% 이하로 된 시점에서,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135.0g을 투입하고 70℃까지 승온하여 2시간 반응을 시켜, IR 측정에 의해 이소시아네이트기가 소실된 것을 확인한 후, 반응을 종료하여, (메트)아크릴기 함유 폴리올레핀 화합물(A-3) (중량 평균 분자량 5,000)을 얻었다.
<(메트)아크릴기 함유 폴리올레핀 화합물(A-4)>
온도계, 교반기, 적하 깔때기, 건조관이 부착된 냉각관을 구비한 사구 플라스크에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61.2g 및 수산기 말단 수소 첨가 폴리부타디엔(닛뽄 소다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제품명: GI-3000, 중량 평균 분자량 14,000)을 917.1g 투입하여, 60℃에서 반응시켜, 잔존 이소시아네이트기가 1% 이하로 된 시점에서,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21.3g을 투입하고 70℃까지 승온하여 반응을 행하였지만, 고분자량화하여 반응 도중에 겔화되어 버렸다.
(실시예 1 내지 6, 비교예 1 내지 4)
표 1에 나타낸 조성으로 각각 배합하고, 실온 하에서 디스퍼를 사용해서 혼합함으로써 균일한 광경화성 투명 점착 시트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광경화성 투명 점착 시트용 조성물을, 어플리케이터를 사용해서, 막 두께가 200㎛가 되도록 이형 PET 필름 (100㎜×100㎜×100㎛)에 도포하고, 상면을 25㎛ 두께의 이형 PET 필름으로 덮은 후, 자외선 조사 장치(닛뽄 덴찌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UV 조사 장치 4㎾×1, 출력: 160W/㎝, 메탈할라이드 램프)를 사용해서, 조사 거리 12㎝, 램프 이동 속도 20m/min, 조사량 약 500mJ/㎠의 조건으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켜, 이형 PET 필름에 끼워져 있고 막 두께가 약 200㎛인 점착 시트를 얻었다. 또한, (메트)아크릴기 함유 폴리올레핀 화합물(A-4)은 겔화되어 버렸기 때문에, 중량 평균 분자량이 30만을 초과한 (메트)아크릴기 함유 폴리올레핀 화합물을 함유하는 광경화성 투명 점착 시트용 조성물의 비교예는 제조할 수 없었다.
(이론 유리 전이 온도의 산정)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해서, 사용된 (B) 히드록실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및 (C)의 광중합성 단량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중합체의 이론 유리 전이 온도를, 상기 수학식 1에서 산출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산가)
실시예 및 비교예의 광경화성 투명 점착 시트용 조성물의 산가를, 상기의 방법을 사용해서, 수학식 2에 의해 산출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산화 인듐 주석막의 전기 저항값 측정)
위에서 얻어진 점착 시트를 50㎜×50㎜의 크기로 잘라내고, 25㎛ 두께의 이형 PET 필름을 박리하고, 100㎜×100㎜의 산화 인듐 주석 증착 PET 필름의 산화 인듐 주석막면에 접합하였다. 접합된 점착 시트의 양 끝에 전기 저항값 측정기 미쯔비시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로레스터 GP」를 사용해서, 초기의 전기 저항값(R1)을 측정하였다. 점착 시트를 접합한 산화 인듐 주석 증착 PET 필름을 60℃, 90% RH 조건 하에 500시간 방치하고, 23℃, 50% RH 조건 하에 1시간 방치한 후, 초기와 동일한 개소에서의 전기 저항값(R2)을 측정하였다. 산화 인듐 주석막의 전기 저항값 상승률은 하기의 수학식 4에서 산출하였다.
Figure pct00004
전기 저항값 상승률의 평가는, 하기의 기준으로 행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 전기 저항값 상승률 5% 미만
△; 전기 저항값 상승률 5 내지 10% 미만
×; 전기 저항값 상승률 10% 이상
(점착 시트의 점착력 측정)
위에서 얻어진 점착 시트를 25×100㎜의 크기로 잘라내고, 점착 시트의 양면에 존재하는 이형 PET 필름 중 100㎛ 두께의 이형 PET 필름을 박리한 후, 점착면(측정면)을 시험판에 2㎏의 고무 롤러(폭: 약 50㎜)를 1회 왕복시킴으로써 부착하여, 측정용 샘플을 제작하였다. 시험판으로서 유리판을 사용하였다. 얻어진 측정용 샘플에 대해서, 23℃, 습도 50%의 환경 하에서 24시간 방치하여, JIS Z0237에 준하여, 박리 속도 300㎜/분에서 180° 방향의 인장 시험을 행하여, 점착 시트의 유리판에 대한 점착력(N/25㎜)을 측정하였다. 얻어진 측정값을 점착력으로 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전체 광선 투과율 측정)
위에서 얻어진 점착 시트를 30㎜×30㎜의 크기로 잘라내고, 점착 시트의 양면에 존재하는 이형 PET 필름 중 25㎛ 두께의 이형 PET 필름을 박리하고, 유리판에 접합한 것을 측정용 샘플로 하였다. 측정용 샘플에 대해서, 가부시끼가이샤 무라카미 색채 기술 연구소제 「HR-100형」을 사용해서, 전체 광선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겔 분율)
점착 시트를 20㎜×40㎜의 크기로 잘라 내어, 측정용 샘플을 제작하였다. 이 측정용 샘플을 톨루엔 중에 23℃에서 24시간 침지한 후, 측정용 샘플을 톨루엔으로부터 취출하였다. 그 후, 측정용 샘플을 130℃에서 1시간 건조하였다. 이어서, 건조 후의 측정용 샘플의 중량을 측정하고, 전술한 수학식 3에 의해 겔 분율을 산출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pct00005
표 1의 결과로부터 명백해진 바와 같이, 실시예에서 얻어진 본 발명의 광경화성 투명 점착 시트용 조성물은, 비교예와 비교하여 전기 저항값 상승률, 전체 광선 투과율, 점착력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광경화성 투명 점착 시트용 조성물은, 높은 투명성, 금속 부식 방지성을 갖고, 또한 점착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투명 도전막 고정용 점착 시트로서 유용하며, 특히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에 사용되는 투명 도전막의 고정용으로 유용하다.

Claims (11)

  1. (A) 중량 평균 분자량이 1만 내지 30만인 (메트)아크릴기 함유 폴리올레핀 화합물, (B) 히드록실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C) 히드록실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이외의 광중합성 단량체, 및 (D) 광중합 개시제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광경화성 투명 점착 시트용 조성물이며, (C) 히드록실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이외의 광중합성 단량체에 포함되는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가 (C) 히드록실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이외의 광중합성 단량체의 전체량에 대해, 0.1질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경화성 투명 점착 시트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광경화성 투명 점착 시트용 조성물의 전체량에 대해, (A) 중량 평균 분자량이 1만 내지 30만인 (메트)아크릴기 함유 폴리올레핀 화합물 10 내지 50질량%, (B) 히드록실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1 내지 30질량%, (C) 히드록실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이외의 광중합성 단량체 20 내지 88질량%, 및 (D) 광중합 개시제 0.2 내지 5질량%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경화성 투명 점착 시트용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C) 히드록실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이외의 광중합성 단량체가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를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경화성 투명 점착 시트용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B) 히드록실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및 (C) 히드록실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이외의 광중합성 단량체를 중합하여 얻어지는 중합체의 이론 유리 전이 온도가 0℃ 내지 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경화성 투명 점착 시트용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C) 히드록실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이외의 광중합성 단량체가 단관능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및/또는 환상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경화성 투명 점착 시트용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A) 중량 평균 분자량이 1만 내지 30만인 (메트)아크릴기 함유 폴리올레핀 화합물이, 폴리올레핀폴리올 화합물, 히드록실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1분자 중에 이소시아네이트기를 2개 이상 갖는 화합물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메트)아크릴기를 갖는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경화성 투명 점착 시트용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산가가 0.5㎎KOH/g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경화성 투명 점착 시트용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광경화성 투명 점착 시트용 조성물을 경화시켜서 얻어지는 광경화성 투명 점착 시트가 투명 도전막의 접합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도전막 고정용 투명 점착 시트용 조성물.
  9. 제8항에 기재된 투명 도전막 고정용 투명 점착 시트용 조성물을 경화시켜서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도전막 고정용 투명 점착 시트.
  10. 제9항에 있어서,
    겔 분율이 80 내지 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도전막 고정용 투명 점착 시트.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기재된 투명 도전막 고정용 투명 점착 시트가, 투명 도전막의 도전층면에 접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
KR1020137009611A 2010-09-17 2011-08-26 광경화성 투명 점착 시트용 조성물 KR1014949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209966 2010-09-17
JPJP-P-2010-209966 2010-09-17
JP2010256259 2010-11-16
JPJP-P-2010-256259 2010-11-16
PCT/JP2011/069288 WO2012035958A1 (ja) 2010-09-17 2011-08-26 光硬化性透明粘着シート用組成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6340A true KR20130056340A (ko) 2013-05-29
KR101494984B1 KR101494984B1 (ko) 2015-02-23

Family

ID=45831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9611A KR101494984B1 (ko) 2010-09-17 2011-08-26 광경화성 투명 점착 시트용 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854404B2 (ko)
KR (1) KR101494984B1 (ko)
CN (1) CN103108930B (ko)
TW (1) TWI515281B (ko)
WO (1) WO201203595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4911A (ko) * 2016-09-28 2018-04-05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점착제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점착 시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13088889A1 (ja) * 2011-12-13 2015-04-27 昭和電工株式会社 透明両面粘着シートの製造方法、透明両面粘着シート
JP5877099B2 (ja) * 2012-03-23 2016-03-02 昭和電工株式会社 透明粘着シート用組成物
JP2013242724A (ja) * 2012-05-21 2013-12-05 Showa Denko Kk 透明粘着シート用光硬化性組成物及び透明粘着シート
JP6104244B2 (ja) * 2012-06-15 2017-03-29 昭和電工株式会社 重合性組成物、重合物、光学用粘着シート、画像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049055B2 (ja) * 2012-08-08 2016-12-21 日本化薬株式会社 紫外線硬化型樹脂組成物、硬化物及び物品
BR112015007833B1 (pt) * 2012-10-09 2021-10-05 Avery Dennison Corporation Liquido e adesivo sensível a pressão para cura local e uso
JP6508869B2 (ja) * 2013-02-14 2019-05-08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粘着剤層、粘着シート、光学部材、及びタッチパネル
JP6097132B2 (ja) * 2013-04-22 2017-03-15 昭和電工株式会社 透明粘着シート用光硬化性組成物、それを用いた粘着シートおよびその用途
JP6226652B2 (ja) * 2013-09-09 2017-11-08 昭和電工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CN104870590A (zh) * 2013-10-10 2015-08-26 艾利丹尼森公司 胶黏剂和相关方法
CN109439206B (zh) * 2013-10-10 2021-08-27 艾利丹尼森公司 胶黏剂和相关方法
CN105051134B (zh) * 2013-10-10 2019-05-07 艾利丹尼森公司 胶黏剂和相关方法
KR101900529B1 (ko) * 2014-09-16 2018-09-20 주식회사 엘지화학 터치 스크린 패널용 점착제 조성물, 광학용 점착 필름 및 터치 스크린 패널
BR112017016860A2 (pt) 2015-02-05 2018-03-27 Avery Dennison Corp conjuntos de etiquetas para ambientes adversos
KR102378844B1 (ko) * 2016-09-05 2022-03-24 아라까와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자외선경화형 점착제, 경화물, 점착시트
US10526511B2 (en) 2016-12-22 2020-01-07 Avery Dennison Corporation Convertible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comprising urethane (meth)acrylate oligomers
TWI804552B (zh) * 2018-01-09 2023-06-11 日商東亞合成股份有限公司 接著劑組成物、及使用其之電池用材料、鋰離子電池用材料、熱熔著性構件、以及鋰離子電池用包裝材料
WO2020163975A1 (en) * 2019-02-11 2020-08-20 Henkel Ag & Co. Kgaa Light curable (meth)acrylate resin composition for thermoplastic elastomers bonding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38332A (ja) * 1993-11-19 1995-05-30 Nippon Zeon Co Ltd 紫外線硬化性組成物、該組成物を用いた接着剤層を有する成形品、および成形品の接着方法
JP2873910B2 (ja) * 1994-05-16 1999-03-2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ホイル用防錆フィルムの貼着治具及び貼着装置
JP2000038547A (ja) * 1998-07-24 2000-02-08 Mitsubishi Rayon Co Ltd 光硬化型接着剤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光学部材
TW200617125A (en) * 2004-09-27 2006-06-01 Hitachi Chemical Co Ltd Photocurable resin composition
JP5409994B2 (ja) * 2006-10-20 2014-02-05 電気化学工業株式会社 硬化性組成物
TWI485214B (zh) * 2008-09-05 2015-05-21 Kyoritsu Chemical Co Ltd And a photohardenable resin composition for bonding an optical functional material
JP5277937B2 (ja) * 2008-12-17 2013-08-28 Dic株式会社 透明導電膜固定用両面粘着シート、透明導電膜積層体、タッチパネル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4911A (ko) * 2016-09-28 2018-04-05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점착제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점착 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854404B2 (ja) 2016-02-09
TW201213482A (en) 2012-04-01
WO2012035958A1 (ja) 2012-03-22
CN103108930A (zh) 2013-05-15
JPWO2012035958A1 (ja) 2014-02-03
CN103108930B (zh) 2014-08-20
TWI515281B (zh) 2016-01-01
KR101494984B1 (ko) 2015-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56340A (ko) 광경화성 투명 점착 시트용 조성물
JP5701892B2 (ja) 光硬化性透明粘着シート用組成物
JP6031049B2 (ja) 光硬化性透明粘着シート用組成物、光学用粘着シート
JP6634621B2 (ja) 透明粘着シート用光硬化性組成物、透明粘着シート
JP6097132B2 (ja) 透明粘着シート用光硬化性組成物、それを用いた粘着シートおよびその用途
JP2013242724A (ja) 透明粘着シート用光硬化性組成物及び透明粘着シート
JPWO2013088889A1 (ja) 透明両面粘着シートの製造方法、透明両面粘着シート
TWI689567B (zh) 光反應性透明黏著薄片用組成物、光反應性透明黏著薄片、觸控面板、影像顯示裝置
JP2014237734A (ja) 光硬化性樹脂組成物及びタッチパネル付き表示装置
KR102234826B1 (ko) 투명 점착 시트용 조성물
JP5877099B2 (ja) 透明粘着シート用組成物
WO2013161759A1 (ja) 透明粘接着シート用組成物、その製造方法及び透明粘接着シート
KR102567177B1 (ko) 표면 보호 시트용 점착제 조성물 및 표면 보호 시트
JP2017206654A (ja) 粘着剤組成物、粘着シート、タッチパネル、画像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