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4911A - 점착제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점착 시트 - Google Patents

점착제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점착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4911A
KR20180034911A KR1020160124725A KR20160124725A KR20180034911A KR 20180034911 A KR20180034911 A KR 20180034911A KR 1020160124725 A KR1020160124725 A KR 1020160124725A KR 20160124725 A KR20160124725 A KR 20160124725A KR 20180034911 A KR20180034911 A KR 201800349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sensitive adhesive
meth
acrylate
polybutadi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4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7326B1 (ko
Inventor
최한영
성준희
정경문
최선미
권혜림
Original Assignee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247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7326B1/ko
Publication of KR201800349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49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73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73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3/02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J123/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 C09J123/2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having four to nine carbon atoms
    • C09J123/22Copolymers of isobutene; Butyl rubber ; Homo- or copolymers of other iso-olef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30/00Nanotechnology for materials or surface science, e.g. nanocomposi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46Clay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4Non-macromolecular additives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53/00Adhesives based on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53/02Vinyl 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09J7/381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385Acrylic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18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the production of liquid crystal display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Nanotechnolog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Adhesive Tape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부타디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광개시제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점착제 조성물은 배리어 특성과 내구성이 우수하여 OLED 등의 수분 취약성을 나타내는 유기전자소자를 봉지하여 보호하는데 적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점착제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점착 시트{Adhesive Composition and Adhesive Sheet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점착제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점착 시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리어 특성과 내구성이 우수한 점착제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점착 시트에 관한 것이다.
차세대 평판 디스플레이(flat panel display)로서 주목 받고 있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는 양극과 음극 사이에 유기물을 증착 또는 용액 공정을 통해 필름을 형성하고 적층하여 만들어진 다이오드 형태의 소자이다. OLED는 자체발광형이기 때문에 시야각, 대조비 등이 우수하며 공정의 단순화가 가능하여 경량 박형화가 가능하다.
그러나, OLED는 수분 또는 산소 등의 외부적 요인에 취약하다. 특히, OLED는 유기물 층이 전극과의 계면에서 수분의 영향으로 박리되거나, 수분에 의해 전극이 산화하여 저항값이 높아지거나, 유기물 자체가 변질되어서 발광 기능의 상실 또는 휘도의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OLED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기판에 형성된 OLED를 배리어 특성을 갖는 점착 시트로 고정한 봉지 구조 등이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최근 배리어 특성을 증가시킨 점착 시트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5-0079567호에는 폴리이소부틸렌계 수지, 스티렌계 공중합체 및 점착부여제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배리어 특성을 갖는 점착 시트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점착 시트는 OLED에 적용시 배리어 특성과 함께 내구성을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79567호
본 발명의 한 목적은 배리어 특성과 내구성이 우수한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한 점착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으로, 본 발명은 폴리부타디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광개시제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폴리부타디엔은 수소 첨가된 폴리부타디엔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는 3관능 내지 6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판상 무기입자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은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점착 시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점착제 조성물은 폴리부타디엔, 특히 수소 첨가된 폴리부타디엔을 포함하여 배리어 특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3관능 이상의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의 가교로 인해 내구성도 확보할 수 있어 OLED와 같은 수분 취약성 유기전자소자를 봉지하여 보호하는데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폴리부타디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광개시제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폴리부타디엔은 모노머로서 1,3-부타디엔을 중합하여 얻어지는 고분자이며, 바인더 수지로서의 역할을 한다.
상기 폴리부타디엔은 수소 첨가된 폴리부타디엔일 수 있다. 수소 첨가된 폴리부타디엔은 이중결합의 농도가 감소하여 배리어 특성면에서 유리하다.
상기 폴리부타디엔은 하기 화학식 1 및 2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고분자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화학식 2]
Figure pat00002
상기 식에서,
실선과 점선의 이중선은 단일결합 또는 이중결합을 나타내고,
파선은 이중결합의 경우에, 시스체 또는 트랜스체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낸다.
상기 실선과 점선의 이중선이 이중결합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수소 미첨가 폴리부타디엔이고, 단일결합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수소 첨가된 폴리부타디엔이다. 수소 첨가된 폴리부타디엔의 경우, 이중결합은 100% 수소 첨가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이중결합의 잔존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화학식 2의 반복 단위가 이중결합을 갖는 경우에는 시스체, 트랜스체 또는 이들의 조합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의 반복 단위는 1,3-부타디엔의 1,2-결합에 의해 형성되고, 화학식 2의 반복 단위는 1,3-부타디엔의 1,4-결합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화학식 1의 반복 단위와 화학식 2의 반복 단위의 비율은 각각 0 내지 100몰%이다. 즉, 상기 폴리부타디엔은 상기 화학식 1의 반복 단위 또는 화학식 2의 반복 단위만을 가지거나, 또는 상기 화학식 1의 반복 단위와 화학식 2의 반복 단위를 둘 다 가질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의 반복 단위와 화학식 2의 반복 단위는 중합시 사용되는 촉매에 따라 비율이 달라질 수 있으며, 특정 반복 단위가 우세하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특정 반복 단위로 이루어진 폴리부타디엔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3-부타디엔을 지글러 촉매, 리튬 촉매 또는 라디칼 중합 개시제를 사용하여 중합시킬 경우 주로 1,4-결합에 의해 중합된 폴리부타디엔을 얻을 수 있고, 1,3-부타디엔을 나트륨 촉매의 존재 하에 중합시킬 경우 주로 1,2-결합에 의해 중합된 폴리부타디엔을 얻을 수 있다.
수소 첨가된 폴리부타디엔은 상기와 같이 중합된 폴리부타디엔을 수소 첨가 반응시켜 얻을 수 있다. 상기 수소 첨가 반응은 라니 니켈(Raney Nickel), 백금, 티타늄 등의 수소화 촉매의 존재 하에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된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폴리부타디엔은 상업적으로 입수하거나,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된 방법으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시판되는 폴리부타디엔으로는 닛폰 소다 사의 BI-2000, BI-3000, B-1000, B-2000, B-3000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폴리부타디엔은 겔투과크로마토그래피(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에 의해 측정된 수평균분자량(폴리스티렌 환산)이 1,000 내지 5,000일 수 있다. 상기 폴리부타디엔의 수평균분자량이 1,000 미만이면 점착제의 내열성이 저하될 수 있고, 5,000 초과이면 점착제 조성물의 점도가 상승하여 코팅 불균일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는 가교되어 점착제의 내구성을 강화하기 위한 성분으로서, 3관능 이상의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는 3관능 내지 6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로는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피온산 변성 디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옥사이드 변성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스(2-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스(아크릴옥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글리세롤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3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디글리세린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틸올프로판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4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피온산 변성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5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카프로락톤 변성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6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는 상기 폴리부타디엔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10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의 함량이 10 중량부 미만이면 가교될 수 있는 모노머 양이 적으므로 바인더 수지인 폴리부타디엔을 고정화시킬 수 있는 능력이 약해져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고, 100 중량부 초과이면 고경화로 인해 점착력이 저하되어 점착 내구성이 저하되거나 투습도가 증가하여 배리어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광개시제로는 예를 들어 벤조인, 벤조인 메틸 에테르, 벤조인 에틸 에테르, 벤조인 이소프로필 에테르, 벤조인-n-부틸 에테르, 벤조인 이소부틸 에테르, 아세토페논, 디메틸아미노아세토페논,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2,2-디에톡시-2-페닐아세토페논,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1-히드록시시클로헥실 페닐케톤,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르폴리노-프로판-1-온, 4-(2-히드록시에톡시)페닐-2-(히드록시-2-프로필)케톤, 벤조페논, p-페닐벤조페논, 4,4'-비스(디에틸아미노)벤조페논(EAB-F), 디클로로벤조페논, 2-메틸 안트라퀴논, 2-에틸 안트라퀴논, 2-t-부틸 안트라퀴논, 2-아미노 안트라퀴논, 2-메틸 티옥산톤, 2-에틸 티옥산톤, 2-클로로 티옥산톤, 2,4-디메틸 티옥산톤, 2,4-디에틸티옥산톤(DETX), 4-이소프로필티옥산톤(ITX), 벤질 디메틸 케탈, 아세토페논 디메틸 케탈, p-디메틸아미노 벤조산 에스테르, 올리고[2-히드록시-2-메틸-1[4-(1-메틸비닐)페닐]프로판],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 옥사이드, 2-(3,4-메틸렌디옥시페닐)-4,6-비스(트리클로로메틸)-1,3,5-트리아진, 2,2'-비스(2-클로로페닐)-4,4',5,5'-테트라페닐비이미다졸(HABI-101), 2,2'-비스(2-메톡시페닐)-4,4',5,5'-테트라페닐비이미다졸(HABI-107), 2,2',4-트리스(2-클로로페닐)-5-(3,4-디메톡시페닐)-4',5'-디페닐비이미다졸(TCDM)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광개시제는 상기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5.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광개시제의 함량이 0.01 중량부 미만이면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의 가교 반응을 효과적으로 개시시키기 어려울 수 있고, 5.0 중량부 초과이면 잔존 개시제로 인해 변색 등이 일어나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점착제 조성물은 판상 무기입자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판상 무기입자는 수분의 이동을 차단하거나 방해하는 성분으로서, 예를 들어 나노 클레이일 수 있다. 상기 나노 클레이로는 층상의 실리케이트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층상의 실리케이트로는 몬모릴로나이트(montmorillonite), 사포나이트(saponite), 헥토라이트(hectorite), 버미큘라이트(vermiculite), 벤토나이트(bentonite), 아타풀자이트(attapulgite), 세피오라이트(sepiolite), 할로이사이트(halloysite)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나노 클레이는 바인더 수지와의 상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유기 개질제로 개질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기개질제로는 디메틸 벤질 수소화 탈로우 4차 암모늄 이온, 비스(수소화 탈로우) 디메틸 4차 암모늄 이온, 메틸 탈로우 비스-2-히드록시에틸 4차 암모늄 이온, 디메틸 수소화 탈로우 2-에틸헥실 4차 암모늄 이온 또는 디메틸 탈수소화 탈로우 4차 암모늄 이온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판상 무기입자는 상기 폴리부타디엔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판상 무기입자의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이면 배리어 특성 향상 효과가 부족할 수 있고, 20 중량부 초과이면 점착제 조성물의 점도가 상승하여 코팅 불균일이 발생할 수 있고, 젖음성 저하 및 점착력의 저하로 인해 점착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점착제 조성물들은 상기와 같은 성분 이외에, 용도에 따라 요구되는 점착력, 응집력, 점성, 탄성률, 유리전이온도, 대전방지성 등을 조절하기 위하여, 실란 커플링제, 점착성 부여 수지, 산화방지제, 부식방지제, 레벨링제, 표면윤활제, 염료, 안료, 소포제, 충전제, 광안정제, 대전방지제 등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점착 시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점착 시트는 2매의 기재 필름 사이에 본 발명에 따른 점착제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점착제층이 개재된 것일 수 있다.
상기 기재 필름은 폴리올레핀계 필름,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아크릴계 필름, 스티렌계 필름, 아미드계 필름, 폴리염화비닐 필름, 폴리염화비닐리덴 필름,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실리콘계, 불소계, 실리카 분말 등에 의해 적절히 이형 처리된 것일 수도 있다.
점착제층은 1매의 기재 필름 상에 광학용 투명 점착제 조성물을 도공하는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공방법은 당해 분야에서 공지된 방법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바코터, 에어 나이프, 그라비아, 리버스롤, 키스 롤, 스프레이, 블레이드, 다이 코터, 캐스팅, 스핀 코팅 등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1매의 기재 필름 상에 점착제 조성물을 도포하고, 30 내지 150℃에서 1초 내지 2시간, 바람직하게는 5초 내지 1시간 동안 건조한 후 약 100 내지 2000 mJ/㎠,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1500 mJ/㎠의 자외선 조사량으로 조사하여 경화시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점착제층의 두께는 5 내지 200㎛,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0㎛일 수 있다. 상기 점착제층의 두께가 5㎛ 미만이면 배리어 특성이 떨어지거나 외부로부터 발생하는 충격을 완충하기 어려울 수 있고, 200㎛ 초과이면 재료의 사용량 증가에 따른 단가 상승이 발생할 수 있으며, 건조시 용제의 휘발에 의한 표면 불균일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점착 시트는 접합 전에 점착제층을 표면처리하여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표면처리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코로나 방전 처리, 플라즈마 처리, 자외선 조사, 전자빔 조사 또는 정착제(anchoring agent) 도포 등과 같은 방법으로 점착제층의 표면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점착 시트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태양전지, 이차전지, 터치패널 등에 적용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점착제 조성물은 수분 또는 산소 등의 외부적 요인에 민감한 OLED 등을 봉지(encapsulation)하여 보호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에 의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는 오직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3: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 시트의 제조
폴리부타디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광개시제를 하기 표 1의 조성으로 혼합한 후(단위: 중량부), 에틸아세테이트에 28중량%의 농도로 희석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비교예
1 2 3 4 1 2 3
바인더 수지 수첨 폴리부타디엔 100 100 100 100 - 100 100
폴리이소부틸렌 - - - - 100 - -
3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20 5 30 20 20 - -
2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 - - - - 20 -
에폭시 화합물 - - - - - - 20
판상 무기입자 2 2 2 - 2 2 2
광개시제 라디칼 광중합 개시제 0.3 0.3 0.3 0.3 0.3 0.3 -
광산발생제 - - - - - - 0.3
수첨(수소 첨가된) 폴리부타디엔: BI-2000(수평균 분자량: 2,100, 닛폰 소다 사)
폴리이소부틸렌(중량평균 분자량: 20만, 알드리치)
3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TMPTA)
2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헥사메틸렌디올 디아크릴레이트(HDDA)
에폭시 화합물: N,N,N,N'-테트라글리시딜-m-자일렌디아민(N,N,N,N'-tetraglycidyl-m-xylenediamine (Tetrad-X, 미쯔비시가스사)
판상 무기입자: 비스(수소화 탈로우) 디메틸 4차 암모늄 이온으로 개질된 나노 클레이(Cloisite93A, Southern Clay Products)
라디칼 광중합 개시제: 1-히드록시시클로헥실 페닐케톤(Irg184, 스위스 시바스페셜티 케미칼)
광산발생제: 트리페닐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상기에서 제조된 점착제 조성물을 실리콘 이형제가 코팅된 이형필름 상에 두께가 100㎛가 되도록 도포하고 130℃에서 5분 동안 건조시켜 점착제층을 형성하고, 그 위에 이형필름을 접합한 후 하기의 조건과 같이 UV처리하여 점착 시트를 제작하였다.
<자외선 처리 조건>
자외선 조사기: 고압 수은 램프
조사 조건: 광량(UVA) = 1500 mJ/cm2
실험예 1: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점착 시트의 물성을 하기의 방법으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1) 수분 배리어 특성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점착 시트 한 면의 이형필름을 박리하고 점착제면을 다공성 필름과 합지한 후, 나머지 한 면의 이형필름을 박리하여 시편을 준비하였다. 그 다음, 37℃ 및 100%RH의 조건에 상기 시편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시편의 두께 방향에 대한 투습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투습도는 ASTM F1249에 따라서 측정하였다.
(2) 내구성(내열, 내습열 )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점착 시트 한 면의 이형필름을 박리하고 점착제면에 코로나 처리한 다음 40 ㎛의 COP 필름과 접합하여 제조된 점착 시트를 90㎜×170㎜ 크기로 절단하고 나머지 이형필름을 박리한 후 유리 기판(110㎜×190㎜×0.7㎜)에 부착하여 시편을 제작하였다. 이때, 가해진 압력은 5㎏/㎠이며 기포나 이물이 생기지 않도록 크린룸 작업을 하였다. 내열 특성은 100℃의 온도에서 500시간 동안 방치한 후에 기포나 박리의 발생 여부를 관찰하였고, 내습열 특성은 85℃의 온도 및 85%RH의 조건 하에서 500시간 방치한 후에 기포나 박리의 발생 여부를 관찰하였다.
<평가 기준>
ⓞ: 기포나 박리 없음.
○: 기포나 박리 < 5개
△: 5개 ≤ 기포나 박리 < 10개
×: 10개 ≤ 기포나 박리
(3) 접착력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점착 시트 한 면의 이형필름을 박리하고 점착제면에 코로나 처리한 후 38 ㎛의 PET 필름과 접합한 다음, 폭이 25 mm이고, 길이가 100mm가 되도록 재단하여 시편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나머지 한 면의 이형필름을 박리하고, JIS Z 0237의 규정에 따라 2 kg의 롤러를 사용하여 점착 시트를 유리에 부착하였다. 그 다음, TA 장비(Texture Analyzer, 영국 스테이블 마이크로 시스템사제)를 사용하여, 상기 점착 시트를 유리로부터 300mm/min의 박리 속도 및 180도의 박리 각도로 박리하여 접착력을 측정하였다.
구분 수분 배리어 특성
(g/㎡·day)
내구성 접착력(N/25㎜)
내열 내습열
실시예1 6 25
실시예2 5 23
실시예3 7 18
실시예4 9 19
비교예1 13 28
비교예2 11 31
비교예3 25 × 35
상기 표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폴리부타디엔, 3관능 이상의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광개시제를 사용한 실시예 1 내지 4의 점착제 조성물은 비교예 1 내지 3의 점착제 조성물에 비해 수분 배리어 특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내구성과 접착력도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와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7)

  1. 폴리부타디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광개시제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부타디엔은 수소 첨가된 폴리부타디엔인 점착제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부타디엔의 수평균분자량은 1,000 내지 5,000인 점착제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는 3관능 내지 6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인 점착제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판상 무기입자를 추가로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판상 무기입자는 나노 클레이인 점착제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점착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점착 시트.
KR1020160124725A 2016-09-28 2016-09-28 점착제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점착 시트 KR1021973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4725A KR102197326B1 (ko) 2016-09-28 2016-09-28 점착제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점착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4725A KR102197326B1 (ko) 2016-09-28 2016-09-28 점착제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점착 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4911A true KR20180034911A (ko) 2018-04-05
KR102197326B1 KR102197326B1 (ko) 2020-12-31

Family

ID=61977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4725A KR102197326B1 (ko) 2016-09-28 2016-09-28 점착제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점착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732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6340A (ko) * 2010-09-17 2013-05-29 쇼와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광경화성 투명 점착 시트용 조성물
KR20130063939A (ko) * 2011-12-07 2013-06-17 제일모직주식회사 광경화형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40104478A (ko) * 2011-12-13 2014-08-28 쇼와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투명 양면 점착 시트의 제조 방법, 투명 양면 점착 시트
KR20140119231A (ko) * 2013-03-27 2014-10-10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 이를 이용한 편광판 및 화상표시장치
KR20140126725A (ko) * 2012-02-03 2014-10-31 쇼와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광 경화성 투명 점착 시트용 조성물, 광학용 점착 시트
KR20150079567A (ko) 2012-10-29 2015-07-08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 시트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6340A (ko) * 2010-09-17 2013-05-29 쇼와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광경화성 투명 점착 시트용 조성물
KR20130063939A (ko) * 2011-12-07 2013-06-17 제일모직주식회사 광경화형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40104478A (ko) * 2011-12-13 2014-08-28 쇼와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투명 양면 점착 시트의 제조 방법, 투명 양면 점착 시트
KR20140126725A (ko) * 2012-02-03 2014-10-31 쇼와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광 경화성 투명 점착 시트용 조성물, 광학용 점착 시트
KR20150079567A (ko) 2012-10-29 2015-07-08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 시트
KR20140119231A (ko) * 2013-03-27 2014-10-10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 이를 이용한 편광판 및 화상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7326B1 (ko) 2020-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07940B2 (ja) 電子的装置のカプセル化方法
US9627646B2 (en) Method for encapsulating an electronic arrangement
TWI576401B (zh) 壓敏性黏著劑組成物
EP2810999B1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EP3573124A1 (en) Oled panel bottom protection film, an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KR20150016878A (ko) 점착제 조성물, 점착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자장치의 봉지방법
JP6793230B2 (ja) ディスプレイ用粘着シートおよびこれを含むディスプレイ
WO2015129417A1 (ja) 電子デバイス封止用樹脂組成物および電子デバイス
KR20100009550A (ko) 일사차폐필름용 점착제 및 일사차폐필름
WO2015129416A1 (ja) 電子デバイス封止用樹脂組成物および電子デバイス
JP7143918B2 (ja) 導電部材用粘着シート、導電部材積層体及び画像表示装置
TW201500224A (zh) 氣體阻障薄膜積層體、其製造方法及電子裝置
JP6321166B2 (ja) 有機電子装置用封止部材
KR20190111755A (ko) 다이렉트 본딩 필름, 표시체 및 표시체의 제조 방법
JP6077874B2 (ja) 感温性調光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20040869A (ja) 合わせガラスの中間膜用樹脂組成物、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合わせガラスの中間膜用フィルム材、合わせガラス、合わせガラスの製造方法、画像表示装置、耐衝撃部材用樹脂組成物、耐衝撃膜及び耐衝撃膜用フィルム材
KR102197326B1 (ko) 점착제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점착 시트
KR20170037069A (ko) 점착제 조성물
JP6959749B2 (ja) 粘着シートおよび表示体
KR102197328B1 (ko) 점착제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점착 시트
KR20180035415A (ko) 점착제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점착 시트
CN114207066A (zh) 粘着片、结构体及结构体的制造方法
JP2013240883A (ja) ガスバリア性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635555B1 (ko) 디스플레이용 점착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KR20170037086A (ko) 점착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