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4247A - 경구 섭취용의 의약 조성물 용기 - Google Patents

경구 섭취용의 의약 조성물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4247A
KR20130054247A KR1020127026375A KR20127026375A KR20130054247A KR 20130054247 A KR20130054247 A KR 20130054247A KR 1020127026375 A KR1020127026375 A KR 1020127026375A KR 20127026375 A KR20127026375 A KR 20127026375A KR 20130054247 A KR20130054247 A KR 201300542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er
chamber
auxiliary material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6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슈지 모리모토
유타카 사쿠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모리모토이야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모리모토이야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모리모토이야쿠
Publication of KR201300542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42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01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aking medicines
    • A61J7/0046Cups, bottles or ba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B65D25/08Partitions with provisions for removing or destroying, e.g. to facilitate mixing of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03Accessories used in combination with means for transfer or mixing of fluids, e.g. for activating fluid flow, separating fluids, filtering fluid or venting
    • A61J1/202Separating means
    • A61J1/2024Separating means having peelable se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93Containers having several compartments for products to be mix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mat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미리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의약 조성물 이외의 의약 조성물을 간단한 조작으로 삼키게 하여, 각 의약 조성물의 삼킴에 대한 환자의 저항감을 줄이고, 불가항력과 우발적 사건과 경년 변화와 오취급 중의 어느 것을 원인으로서 공간의 사이가 열릴 가능성을 억제한다. 경구 섭취용의 의약 조성물 용기(400)는, 용기 본체(402) 내에, 의약 조성물 수용실(422)과, 수용실용 보조 물질실(420)과, 캡부용 보조 물질실(424)을 갖고 있다. 경구 섭취용의 의약 조성물 용기(400)는, 용기 본체(402)에 부가하여 캡부(404)를 구비하고 있다. 실간부(441)는, 의약 조성물 수용실(422)과 수용실용 보조 물질실(420)의 사이를 폐쇄한다. 경계부(445)는, 캡부용 보조 물질실(424)과 캡부(404) 내부의 사이를 폐쇄한다. 실간부(441), 및, 경계부(445)가 굽혀짐에 의해, 용기 본체(402)의 일단이 캡부(404)에 삽탈 가능하게 삽입된다.

Description

경구 섭취용의 의약 조성물 용기{Container for orally ingested pharmaceutical composition}
본 발명은, 경구 섭취용의 의약 조성물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삼킴에 대한 환자의 저항감을 줄일 수가 있으며, 불가항력과 우발적 사건과 경년 변화와 오취급 중의 어느 것을 원인으로서 공간의 사이가 열릴 가능성을 억제할 수가 있는, 경구 섭취용의 의약 조성물 용기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은, 복실형(複室型) 용기를 개시한다. 이 복실형 용기는, 복수의 공간을 서로 연통 가능하게 구획한 것이다. 이러한 공간은,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힘에 의해 연통 가능한 상태로 폐쇄되어 있다. 이러한 공간의 어느 쪽에, 분말 입상제가 밀봉 상태로 수용되어 있다. 다른 공간에는 농후 유동물질이 밀봉 상태로 수용되어 있다. 각 공간을 서로 연통시켜, 분말 입상제와 농후 유동물질을 집합시켜서 혼합한 후, 어느 공간에 마련한 취출구로부터 혼합물을 꺼낼 수 있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용기에 의하면, 극히 간단한 조작으로 분말 입상제를 복용할 수가 있다. 게다가,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복실형 용기에 의하면, 삼킴에 대한 환자의 저항감을 큰 폭으로 줄일 수가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개평10-234820호 공보
그렇지만,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발명에서는, 편리성에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이하, 이 문제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복실형 용기(이하, 단지 「복실형 용기」라고 칭한다) 중에서 각 공간의 사이는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힘에 의해 연통 가능하다. 그 때문에, 분말 입상제를 수용하고 있지 않은 복실형 용기를 보관하고 있는 동안에, 불가항력과 우발적 사건과 경년 변화와 오취급 중의 어느 것을 원인으로서 각 공간의 사이가 열릴 우려가 있다. 각 공간의 사이가 열리면, 그 복실형 용기는 이용할 수 없게 되어 버린다. 또한 불가항력의 예에는 수송 시에 진동을 받는 일이 있다. 우발적 사건의 예에는 보관 중에 떨어 뜨려지는 등으로 인하여 충격을 받는 일이 있다. 경년 변화의 예에는 보관 중에 복실형 용기 중에 접착된 부분이 열화하는 일이 있다. 오취급의 예에는 용기 자체를 묶어서 가방 등에 넣고 그것을 밟아 버린다고 하는 취급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은, 삼킴에 대한 환자의 저항감을 줄일 수가 있으며, 불가항력과 우발적 사건과 경년 변화와 오취급 중의 어느 것을 원인으로서 공간의 사이가 열릴 가능성을 억제할 수가 있는, 경구 섭취용의 의약 조성물 용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말하는 「의약 조성물」이란, 의약 및 음식의 총칭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련된 경구 섭취용의 의약 조성물 용기를 설명한다. 또한 이 란에서 도면 중의 부호를 사용한 것은, 발명의 내용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며, 내용을 도시한 범위로 한정하는 의도는 아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어느 국면에 따르면, 경구 섭취용의 의약 조성물 용기(400, 600, 700)는, 용기 본체(402, 610) 내에 복수의 공간(420, 422, 424, 620, 622, 624)을 갖고 있다. 공간 중의 어느 것이, 의약 조성물 수용실(422, 620)이다. 의약 조성물 수용실(422, 620)에는 의약 조성물이 수용된다. 공간 중 어느 것이 수용실용 보조 물질실(420, 622)이다. 수용실용 보조 물질실(420, 622)은, 의약 조성물 수용실(422, 620)과 인접해 있다. 수용실용 보조 물질실(420, 622)은, 삼킴 보조 물질(40)이 미리 수용되어 있다. 용기 본체(402, 610)에, 개구 형성 예정부(447, 630)가 마련되어 있다. 개구 형성 예정부(447, 630)에는, 개구(開口)의 형성이 예정된다. 개구는, 용기 본체(402, 610)의 외부와 의약 조성물 수용실(422, 620)을 연통시킨다. 용기 본체(402, 610) 중에, 의약 조성물 수용실(422, 620)과 수용실용 보조 물질실(420, 622)의 사이를 폐쇄하는 실간부(室間部)(441, 640)는, 용기 본체(402, 610)의 외부로부터 힘이 가해지면 열린다. 용기 본체(402, 610) 중에, 실간부(441, 640) 중의 어느 개소와 수용실용 보조 물질실(420, 622)의 어느 개소 중의 적어도 한쪽에, 굴신(屈伸) 가능한 개소(676)가 마련되어 있다. 그 굴신 가능한 개소(676)가 굽혀져 있다.
굴신 가능한 개소(676)가 굽혀져 있음에 의해, 그 굴신 가능한 개소(676)를 삼킴 보조 물질(40)이 통과하는 것이 억제되어 있다. 이에 의해, 실간부(441, 640) 및 수용실용 보조 물질실(420, 622)이 똑바른 경우에 비하여, 삼킴 보조 물질(40)이 실간부(441, 640)를 확대하려고 하는 힘은 작아진다. 그 결과, 불가항력과 우발적 사건과 경년 변화와 오취급 중의 어느 것을 원인으로서 실간부(441, 640)가 열릴 가능성을 억제할 수가 있다.
또한, 상술한 경구 섭취용의 의약 조성물 용기(400)는, 용기 본체(402)에 부가하여 용기 본체(402)와 일체로 마련되는 캡부(404)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용기 본체(402)는, 적어도 3개의 공간(420, 422, 424)을 가진다. 공간 중의 어느 것이 캡부용 보조 물질실(424)이다. 캡부용 보조 물질실(424)은, 캡부(404)와 인접해 있다. 캡부용 보조 물질실(424)에는, 삼킴 보조 물질(40)이 미리 수용되어 있다. 이 경우, 적어도 3개의 공간(420, 422, 424)과 캡부(404)가 1개의 열을 형성하도록 늘어서 있다. 이 경우, 실간부(441)에 부가하여 캡부용 보조 물질실(424)과 캡부(404) 내부와의 사이를 폐쇄하는 경계부(445)는, 용기 본체(402)의 외부로부터 힘이 가해지면 열린다. 이 경우, 실간부(441), 및, 경계부(445)가 굴신 가능하다. 실간부(441), 및 경계부(445)가 굽혀짐에 의해, 용기 본체(402)의 양단 중에 캡부(404)가 마련되어 있는 측과는 반대측의 끝이 캡부(404)에 삽탈 가능하게 삽입된다.
경구 섭취용의 의약 조성물 용기(400)에 있어서, 실간부(441)와 경계부(445)는 굽혀져 있다. 이에 의해, 실간부(441)와 경계부(445)가 똑바른 경우에 비하여, 실간부(441)와 경계부(445)는, 견고히 폐쇄된다. 실간부(441)와 경계부(445)가 견고히 폐쇄되므로, 불가항력과 우발적 사건과 경년 변화와 오취급 중의 어느 것을 원인으로서 실간부(441)나 경계부(445)가 열릴 가능성을 억제할 수가 있다.
환자가 2 종류 이상의 의약 조성물을 삼켜야 하는 일은 자주 있다. 그러한 의약 조성물 가운데,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복실형 용기에 수용되어 있는 것은, 극히 간단한 조작으로 삼킬 수 있어 환자의 저항감을 큰 폭으로 줄일 수가 있다. 그런데, 그러한 의약 조성물 가운데, 복실형 용기에 수용되어 있지 않은 것은, 일단 혀바닥상에 받아 놓고 나서, 물 등을 이용해 삼키지 않으면 안 된다. 이때 복실형 용기를 이용하는 의의는 사실상 거의 잃어 버린다. 복실형 용기에 수용되어 있지만 그 밖에 농후 유동물질을 조제하여, 이 농후 유동물질을 이용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그렇지만, 이 농후 유동물질을 조제하는 작업은 극히 번잡하다. 조제된 농후 유동물질을 봉투에 채워서 보존해 두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그렇지만, 이 경우, 환자는, 의약 조성물을 삼킬 때, 그 의약 조성물을 일단 혀바닥상에 받아 놓지 않으면 안 된다. 그 때문에, 이 경우, 삼킴에 대한 환자의 저항감을 줄일 수가 없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에 관련된 경구 섭취용의 의약 조성물 용기(400)에서는, 캡부용 보조 물질실(424)과 캡부(404)의 사이에 경계부(445)가 마련되어 있다. 경계부(445)는, 용기 본체(402)의 외부로부터 삼킴 보조 물질(40)에 힘이 가해지면 그 힘을 받은 삼킴 보조 물질(40)에 의해 열린다. 이에 의해, 의약 조성물 수용실(422)에 수용되어 있지 않은 의약 조성물이 삼켜질 때, 사람이, 그 의약 조성물을 일단 캡부(404)에 넣어 캡부(404)를 환자에게 깨물게 하고, 용기 본체(402)의 외부로부터 삼킴 보조 물질(40)에 힘이 가해지면, 그 의약 조성물은, 캡부용 보조 물질실(424)내의 삼킴 보조 물질(40)과 함께 환자의 입 속에 들어가게 된다. 그렇게 하면, 그 의약 조성물을 일단 혀에 놓을 필요가 없어진다. 의약 조성물을 일단 혀에 놓을 필요가 없어지므로, 삼킴에 대한 환자의 저항감을 줄일 수가 있다. 게다가, 경구 섭취용의 의약 조성물 용기(400)에 수용되어 있지 않은 의약 조성물을 삼키기 위해서 새로운 삼킴 보조 물질(40)을 조제할 필요가 없어진다. 그 필요가 없어지는 만큼, 미리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의약 조성물 이외의 의약 조성물을 간단한 조작으로 삼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술한 경구 섭취용의 의약 조성물 용기(600, 700)는, 용기 본체(610)에 부가하여 용기 본체(610)와 일체로 마련되는 통로부(612)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용기 본체(610)는, 적어도 3개의 공간(620, 622, 624)을 가진다. 공간 중의 어느 것이 범용 보조 물질실(624)이다. 범용 보조 물질실(624)은, 통로부(612)와 인접해 있다. 범용 보조 물질실(624)에는, 삼킴 보조 물질(40)이 미리 수용되어 있다. 이 경우, 실간부(640)에 부가하여 범용 보조 물질실(624)과 통로부(612) 내부와의 사이를 폐쇄하는 경계부(644)는, 용기 본체(610)의 외부로부터 힘이 가해지면 열린다. 이 경우, 통로부(612)는, 경계부(644)가 열렸을 때 범용 보조 물질(624) 내의 삼킴 보조 물질(40)의 통로가 된다. 경계부(644)는, 굴신 가능하고, 또한 굽혀져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환자가 2 종류 이상의 의약 조성물을 삼켜야 하는 경우, 삼킴에 대한 환자의 저항감을 줄일 수가 없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에 관련된 경구 섭취용의 의약 조성물 용기(600, 700)에서는, 범용 보조 물질실(624)과 통로부(612)의 사이에 경계부(644)가 마련되어 있다. 경계부(644)는, 용기 본체(610)의 외부로부터 삼킴 보조 물질(40)에 힘이 가해지면 그 힘을 받은 삼킴 보조 물질(40)에 의해 열린다. 이에 의해, 의약 조성물 수용실(620)에 수용되어 있지 않은 의약 조성물이 삼켜질 때에, 사람이 그 의약 조성물을 일단 통로부(612)에 넣고, 통로부(612)를 환자에게 깨물게 하여, 용기 본체(610)의 외부로부터 삼킴 보조 물질(40)에 힘이 가해지면, 그 의약 조성물은, 범용 보조 물질실(624)내의 삼킴 보조 물질(40)과 함께 환자의 입 속에 들어가게 된다. 그렇게 하면, 그 의약 조성물을 일단 혀에 놓을 필요가 없어진다. 의약 조성물을 일단 혀에 놓을 필요가 없어지므로, 삼킴에 대한 환자의 저항감을 줄일 수가 있다. 게다가, 경구 섭취용의 의약 조성물 용기(600, 700)에 수용되어 있지 않은 의약 조성물을 삼키기 위해서 새로운 삼킴 보조 물질(40)을 조제할 필요가 없어진다. 그 필요가 없어지는 만큼, 미리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의약 조성물 이외의 의약 조성물을 간단한 조작으로 삼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술한 수용실용 보조 물질실(622) 중의 어느 개소에 굴신 가능한 개소(676)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삼킴에 대한 환자의 저항감을 줄일 수가 있으며, 불가항력과 우발적 사건과 경년 변화와 오취급 중의 어느 것을 원인으로서 공간의 사이가 열릴 가능성을 억제할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의약 조성물 용기의 일부 파단도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의약 조성물 용기의 선단 부분이 캡부에 삽입되어 있는 상황을 나타내는 도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의약 조성물 용기의 일부 파단도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의약 조성물 용기의 접는 중의 형태를 나타내는 개념도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의약 조성물 용기에 있어서 본체측 접음선과 통로측 접음선을 서로 맞물리게 하였을 때의 외관도다.
도 6은 시험용 용기의 싣는 방법을 나타내는 개념도다.
도 7은 내하중 시험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다.
도 8은 내하중 능력의 차이를 나타내는 도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접철된 의약 조성물 용기의 단면도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의약 조성물 용기에 있어서 밴드가 끼워졌을 때의 외관도다.
도 11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관련된 캡부 선단 부분의 외관도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의약 조성물 용기의 다양한 접철 방법을 나타내는 단면도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의약 조성물 용기가 뚜껑 달린 봉투에 수용된 상황을 나타내는 일부 파단도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동일한 부품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였다. 그러한 명칭 및 기능도 동일하다. 따라서, 그것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제1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1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구조의 설명>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의약 조성물 용기(400)의 일부 파단도다. 의약 조성물 용기(400) 중에서, 시트의 끝과 끝이 붙여진 부분이 측부 강력 시일(seal)(410)이다
의약 조성물 용기(400)는, 용기 본체(402)와 캡부(404)를 구비하고 있다. 용기 본체(402)는 그 중에 적어도 3개의 공간(본 실시형태의 경우, 후술하는 중간실(452, 462)를 고려하지 않으면 정확히 3개의 공간)을 가진다. 캡부(404)는, 용기 본체(402)의 일단에 마련되어 용기 본체(402)와 일체가 되어 있다.
상술한 용기 본체(402) 중의 공간의 사이는, 실간부(室間部)(441)와 실간 강력 시일부(443)로 폐쇄되어 있다. 실간부(441)는, 제1구역(450)과 중간실(452)과 제2구역(454)을 가진다.
용기 본체(402)의 내부의 공간 중에서 하나가 수용실용 보조 물질실(420)이다. 수용실용 보조 물질실(420)내에는, 삼킴 보조 물질(40)이 수용되어 있다. 의약 조성물 용기(400)의 외부로부터 삼킴 보조 물질(40)에 힘이 가해지면, 삼킴 보조 물질(40)로부터 받는 압력에 의해, 실간부(441) 중에서 제1구역(450)이 용이하게 열린다. 제1구역(450)이 열리면 중간실(452)에 삼킴 보조 물질(40)이 밀어 내어진다. 마찬가지로 하여, 제2구역(454)이 열린다. 이것은, 제1구역(450)이나 제2구역(454)의 강도가, 측부 강력 시일(410)이나 실간 강력 시일부(443)에 비해 낮음으로 의해 실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용기 본체(402)의 내부의 공간 중에서 하나가 의약 조성물 수용실(422)이다. 여기에는 포장물(212)이 수용되어 있다. 포장물(212)은 도시하지 않는 의약 조성물을 포장한다. 의약 조성물 수용실(422)의 일단은 개구 형성 예정부(447)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개구 형성 예정부(447)의 강도는 측부 강력 시일(410)이나 실간 강력 시일부(443)에 비해 낮다. 이 때문에, 의약 조성물 수용실(422) 속에 삼킴 보조 물질(40)이 들어간 상태로 실간 강력 시일부(443)로부터 개구 형성 예정부(447)로 향하여 용기 본체(402)를 당기면 삼킴 보조 물질(40)로부터 받는 압력에 의해 개구 형성 예정부(447)가 열린다.
용기 본체(402)의 내부의 공간 중에서 하나가 캡부용 보조 물질실(424)이다. 캡부용 보조 물질실(424)에도, 수용실용 보조 물질실(420)과 마찬가지로, 삼킴 보조 물질(40)이 수용되어 있다. 캡부용 보조 물질실(424)과 수용실용 보조 물질실(420)의 사이는 실간 강력 시일부(443)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실간 강력 시일부(443)의 강도는 측부 강력 시일(410)과 동일하므로, 의약 조성물 용기(400)의 외부로부터 삼킴 보조 물질(40)에 힘을 가해도 실간 강력 시일부(443)는 박리되지 않는다.
한편, 캡부용 보조 물질실(424)은 캡부(404)에 인접하고 있다. 캡부용 보조 물질실(424)과 캡부(404) 내부와의 사이는 경계부(445)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경계부(445)는, 제1구역(460)과 중간실(462)과 제2구역(464)을 가진다. 제1구역(460)이나 제2구역(464)의 강도는 측부 강력 시일(410)이나 실간 강력 시일부(443)에 비해 낮다. 이에 의해, 의약 조성물 용기(400)의 외부로부터 캡부용 보조 물질실(424)내의 삼킴 보조 물질(40)에 힘이 가해지면, 삼킴 보조 물질(40)로부터 받는 압력에 의해, 경계부(445) 중에서 제1구역(460)과 제2구역(464)이 차례차례 용이하게 열린다.
<제조 공정의 설명>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의약 조성물 용기(400)의 제조 공정은 다음과 같다. 우선, 1매의 합성 수지(저밀도 폴리에틸렌,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그 복합 수지 등과 같이 절곡 가능한 부드러운 것으로서 히트 시일이 가능한 것)제의 시트를 절반으로 접어, 절반으로 접어진 시트의 끝과 끝을 붙인다. 의약 조성물 용기(400)의 소재가 이러한 부드러운 것이므로, 실간부(441) 및 경계부(445)가 굴신 가능해진다. 시트의 끝과 끝이 붙여지면, 그 시트의 내면끼리의 붙임과 삼킴 보조 물질(40)의 충전이나 포장물(212)의 삽입을 반복한다. 이에 의해, 수용실용 보조 물질실(420)과 실간부(441)와 의약 조성물 수용실(422)과 개구 형성 예정부(447)와 실간 강력 시일부(443)와 캡부용 보조 물질실(424)과 경계부(445)와 캡부(404)가 차례차례 형성된다. 그것들이 형성되면, 절반으로 접어진 시트 중에서 붙여진 부분을 잘라내 외형을 정돈한다. 또한 상술한 방법에 의해, 수용실용 보조 물질실(420)이 형성된 후 그 속에 삼킴 보조 물질(40)이 충전된다. 수용실용 보조 물질실(420)이 밀봉된 후에 의약 조성물 수용실(422)이 형성된다. 의약 조성물 수용실(422)이 형성된 후 그 속에 포장물(212)이 수용된다. 의약 조성물 수용실(422) 안에 포장물(212)가 수용된 후에 개구 형성 예정부(447)가 형성된다. 캡부용 보조 물질실(424)이 형성된 후 그 속에 삼킴 보조 물질(40)이 충전된다. 캡부용 보조 물질실(424)이 밀봉된 후에 경계부(445)가 형성된다. 이에 의해, 공간의 형성과 형성된 공간 내에 물건을 넣는 것을 용이하게 차례차례 실시할 수 있다. 그것들이 용이하게 차례차례 실시할 수 있으므로, 의약 조성물 용기(400)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외형이 정돈되면, 실간부(441) 및 경계부(445)를 굽히고, 선단 부분(430)(용기 본체(402)의 양단 중에 캡부(404)가 마련되어 있는 측과는 반대측의 끝을 포함한 부분)을 캡부(404)에 삽입한다. 도 2는, 선단 부분(430)이 캡부(404)에 삽입되어 있는 상황을 나타낸다. 선단 부분(430)이 캡부(404)에 삽입되면, 의약 조성물 용기(400)를 포장하여 출하한다.
<사용 방법>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의약 조성물 용기(400)를 사용하려면, 환자 또는 간호자는, 우선, 선단 부분(430)을 캡부(404)로부터 뽑아낸다. 선단 부분(430)이 캡부(404)로부터 뽑아 내어지면, 환자 또는 간호자는, 그 선단 부분(430)을 환자의 입에 넣는다. 선단 부분(430)이 환자의 입에 들어가면, 환자 또는 간호자는, 용기 본체(402) 중에서 수용실용 보조 물질실(420)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에 힘을 가하여 실간부(441)를 연다. 실간부(441)가 열리면, 환자 또는 간호자는, 수용실용 보조 물질실(420)로부터 개구 형성 예정부(447)로 향하는 방향으로 의약 조성물 용기(400)를 당긴다. 그렇게 하면, 개구 형성 예정부(447)가 열려, 삼킴 보조 물질(40)이나 포장물(212)(나아가서는 의약 조성물)이 환자의 입에 들어간다.
삼킴 보조 물질(40)이나 포장물(212)이 환자의 입에 들어가면, 환자 또는 간호자는, 선단 부분(430)을 환자의 입으로부터 빼내고, 캡부(404)에 새로운 의약 조성물을 넣는다. 캡부(404)에 새로운 의약 조성물이 들어가면, 환자 또는 간호자는, 캡부(404)를 환자의 입에 깨물게 한다. 환자가 캡부(404)를 깨물면 환자 또는 간호자는, 용기 본체(402) 중에서 캡부용 보조 물질실(424)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에 힘을 가하여 경계부(445)를 연다. 경계부(445)가 열리면, 캡부(404)내의 의약 조성물과 함께, 캡부용 보조 물질실(424)내의 삼킴 보조 물질(40)이 환자의 입에 들어간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의약 조성물 용기에 있어서 특기해야 할 점>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의약 조성물 용기(400)에 있어서 특기해야 할 점은, 다음의 점이다. 제1항목은, 선단 부분(430)을 캡부(404)에 삽입할 때, 실간부(441)와 경계부(445)를 굽히고 있는 것이다. 제2항목은, 캡부용 보조 물질실(424)과 서로 인접하도록 캡부(404)가 마련되어 있으며, 캡부용 보조 물질실(424)과 캡부(404)의 사이에 경계부(445)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다.
<효과의 설명>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의약 조성물 용기(400)에 있어서, 실간부(441)와 경계부(445)는 굽혀져 있다. 이에 의해, 실간부(441)와 경계부(445)가 똑바른 경우에 비하여, 실간부(441)와 경계부(445)는 견고히 폐쇄된다. 실간부(441)와 경계부(445)가 견고히 폐쇄되므로, 보관 중에 실간부(441)나 경계부(445)가 자연히 열릴 가능성을 억제할 수가 있다. 또한, 불가항력, 수송 중 등에 생기는 우발적 사건, 혹은 오취급 중의 어느 것을 원인으로서 실간부(441, 640)가 열려 버릴 가능성도 억제할 수가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의약 조성물 용기(400)에 있어서, 캡부용 보조 물질실(424)과 캡부(404)의 사이는 경계부(445)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경계부(445)는, 용기 본체(402)의 외부로부터 삼킴 보조 물질(40)에 힘이 가해지면 그 힘을 받은 삼킴 보조 물질(40)에 의해 열린다. 이에 의해, 의약 조성물 수용실(422)에 수용되어 있지 않은 의약 조성물을 삼킬 때에, 그 의약 조성물을 일단 캡부(404)에 넣고, 캡부(404)를 환자에게 깨물게 하여, 의약 조성물 용기(400)를 당기면 그 의약 조성물은, 캡부용 보조 물질실(424) 내의 삼킴 보조 물질(40)과 함께 환자의 입 속에 들어가게 된다. 그렇게 하면, 그 의약 조성물을 일단 혀에 놓을 필요가 없어진다. 의약 조성물을 일단 혀에 놓을 필요가 없어지므로, 삼킴에 대한 환자의 저항감을 줄일 수가 있다.
<제2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2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1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물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였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구조의 설명>
도 3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의약 조성물 용기(600)의 일부 파단도다. 의약 조성물 용기(600) 가운데, 시트의 끝과 끝이 붙여진 부분이 측부 강력 시일(690)이다.
의약 조성물 용기(600)는, 용기 본체(610)와 통로부(612)를 구비하고 있다. 용기 본체(610)는 그 중에 적어도 3개의 공간(본 실시형태의 경우, 후술하는 중간실(652, 662, 684)를 고려하지 않으면 정확히 3개의 공간)을 가진다. 통로부(612)는, 용기 본체(610)의 일단에 마련되어 용기 본체(610)와 일체가 되어 있다.
여기서, 우선, 용기 본체(610)에 대하여 설명한다. 용기 본체(610)의 내부의 공간 중에서 하나가 수용실용 보조 물질실(622)이다. 수용실용 보조 물질실(622) 내에는, 삼킴 보조 물질(40)이 수용되어 있다.
용기 본체(610)의 내부의 공간 중에서 하나가 의약 조성물 수용실(620)이다. 여기에는 포장물(212)이 수용되어 있다. 수용실용 보조 물질실(622)은 의약 조성물 수용실(620)과 서로 인접해 있다. 의약 조성물 수용실(620)의 일단은 개구 형성 예정부(630)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개구 형성 예정부(630)의 강도는 측부 강력 시일(690)에 비해 낮다.
용기 본체(610)의 내부의 공간 중에서 하나가 범용 보조 물질실(624)이다. 범용 보조 물질실(624)에도, 수용실용 보조 물질실(622)과 마찬가지로, 삼킴 보조 물질(40)이 수용되어 있다.
상술한 용기 본체(610)에 있어서, 의약 조성물 수용실(620)과 수용실용 보조 물질실(622)의 사이는, 실간부(640)로 폐쇄되어 있다. 실간부(640)는, 제1구역(650)과 중간실(652)과 제2구역(654)을 가진다. 제1구역(650)과 제2구역(654)의 강도는 측부 강력 시일(690)에 비해 낮다. 이에 의해, 의약 조성물 용기(600)의 외부로부터 수용실용 보조 물질실(622) 내의 삼킴 보조 물질(40)에 힘이 가해지면, 삼킴 보조 물질(40)로부터 받는 압력에 의해, 제1구역(650)과 제2구역(654)은 차례차례 용이하게 열린다.
상술한 용기 본체(610)에 있어서, 수용실용 보조 물질실(622)과 범용 보조 물질실(624)의 사이는, 실간 강력 시일부(642)로 폐쇄되어 있다. 실간 강력 시일부(642)는, 제1구역(660)과 중간실(662)과 제2구역(664)을 가진다. 제1구역(660)과 제2구역(664)의 강도는, 측부 강력 시일(690)과 같다. 이에 의해, 의약 조성물 용기(600)의 외부로부터 범용 보조 물질실(624) 내의 삼킴 보조 물질(40)에 힘이 가해져도, 적어도 후술하는 제1구역(682)과 제2구역(686)이 열릴 때까지, 제1구역(660)과 제2구역(664)은 열리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경우, 실간 강력 시일부(642)에는, 본체측 접음선(666)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범용 보조 물질실(624)의 일단에는 경계부(644)가 마련되어 있다. 경계부(644)에 의해 범용 보조 물질실(624)의 일단이 폐쇄되어 있게 된다. 경계부(644)는, 제1구역(682)과 중간실(684)과 제2구역(686)을 가진다. 제1구역(682)과 제2구역(686)의 강도는, 측부 강력 시일(690)에 비해 낮다. 이에 의해, 의약 조성물 용기(600)의 외부로부터 범용 보조 물질실(624) 내의 삼킴 보조 물질(40)에 힘이 가해지면, 삼킴 보조 물질(40)로부터 받는 압력에 의해, 제1구역(682)과 제2구역(686)은 차례차례 용이하게 열린다.
다음에, 통로부(612)에 대하여 설명한다. 통로부(612)는, 경계부(644)에 인접하도록 배치된다. 통로부(612)는, 경계부(644)가 열렸을 때 범용 보조 물질실(624)내의 삼킴 보조 물질(40)의 통로가 된다.
통로부(612)는, 대향구부(對向口部)(670)와, 통과구부(通過口部)(672)와, 넘김대(680)를 가진다. 대향구부(670)는, 통로부(612)의 양단 중에 경계부(644)와 대향하는 일단에 마련되어 있다. 대향구부(670)는, 범용 보조 물질실(624) 내로부터 삼킴 보조 물질(40)이 배출되어 통로부(612)에 들어갈 때, 그 삼킴 보조 물질(40)의 입구가 된다. 통과구부(672)는, 통로부(612)의 양단 중에 대향구부(670)와는 반대측의 끝에 마련되어 있다. 통과구부(672)는, 대향구부(670)을 통과한 삼킴 보조 물질(40)의 출구와 의약 조성물의 입구를 겸한다. 이 의약 조성물은, 의약 조성물 수용실(620) 내의 포장물(212)에 수용되어 있는 의약 조성물과는 다른 것이다. 넘김대(680)는, 통과구부(672)의 테두리의 일부를 넘기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경우, 통로부(612)에는, 통로측 접음선(674)이 마련되어 있다.
제1의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의약 조성물 용기(600)도 1매의 절곡 가능한 시트를 절반으로 접어 시트의 면끼리를 붙이는 것으로 형성된다. 그 때문에, 통과구부(672)도, 절곡 가능한 시트의 면끼리를 대향시켜 그들 면끼리를 붙이는 것으로 형성되게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넘김대(680)는, 그 시트의 테부리 및 통과구부(672)의 테두리에 해당하는, 시트의 면 중에서 붙여지지 않은 부분이다.
<제조 공정의 설명>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의약 조성물 용기(600)의 제조 공정 가운데, 외형을 정돈할 때까지의 공정은, 제 1의 실시형태와 동일하므로, 여기에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반복하지 않는다. 이하, 외형을 정돈한 후의 공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의약 조성물 용기(600)의 외형이 정돈되면, 이것을 「U」형으로 절곡한다. 게다가 「U」의 양쪽의 선단에 해당하는 부분을 서로 대향하도록 절곡한다. 「U」의 양쪽의 선단에 해당하는 부분이 절곡되면, 「U」의 커브 부분에 해당되는 개소를 굽힌다. 도 4는, 의약 조성물 용기(600)의 접철중의 형태를 나타내는 개념도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범용 보조 물질실(624)의 단부에 해당하는 굴곡 개소(屈曲 箇所)(676)와 실간 강력 시일부(642)가 절곡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의약 조성물 용기(600) 전체가 굴신 가능하다. 그 때문에, 이 굴곡 개소(676) 및 실간 강력 시일부(642)도 굴신 가능하다. 이에 의해 의약 조성물 용기(600)가 접철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이 때, 의약 조성물 수용실(620)과 수용실용 보조 물질실(622) 중의 적어도 한쪽이 범용 보조 물질실(624)에 접촉한다. 통로부(612)가 수용실용 보조 물질실(622)과 겹쳐진다. 의약 조성물 용기(600)가 접철되면, 본체측 접음선(666)과 통로측 접음선(674)을 서로 맞물리게 한다. 도 5는, 본체측 접음선(666)과 통로측 접음선(674)을 서로 맞물리게 하였을 때의 의약 조성물 용기(600)의 외관도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의약 조성물 용기(600)는, 이 상태에서 도시하지 않는 상자에 담아져서 유통된다.
<사용 방법>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의약 조성물 용기(600)의 사용 방법은, 우선 본체측 접음선(666)과 통로측 접음선(674)의 맞물림을 해제하는 것을 제외하면 제1의 실시형태와 동일하므로, 여기에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반복하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의약 조성물 용기에 있어서 특기해야 할 점>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의약 조성물 용기(600)에 있어서 특기해야 할 점은, 다음의 점이다. 제1항목은, 통로부(612)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다. 제2항목은, 넘김대(680)가 마련되어 있는 점이다. 제3항목은, 시트의 테두리 및 통과구부(672)의 테두리에 해당하는, 시트의 면 중에 붙여지지 않은 부분을 넘김대(680)로 하고 있는 것이다. 제4항목은, 의약 조성물 용기(600)가 굴곡 개소(676)와 실간 강력 시일부(642)로 절곡되어 있는 것이다. 제5항목은, 의약 조성물 수용실(620) 및 수용실용 보조 물질실(622)이 범용 보조 물질실(624)과 통로부(612)에 의해 덮여 있는 것이다. 제6항목은, 그러한 커버 상태가 본체측 접음선(666)과 통로측 접음선(674)의 맞물림에 의해 용이하게 해제되지 않게 되어 있는 것이다.
<효과의 설명>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의약 조성물 용기(600)에는, 통로부(612)가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 1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의약 조성물 용기(400)의 캡부(404)와 동일한 이유로, 삼킴에 대한 환자의 저항감을 줄일 수가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의약 조성물 용기(600)에는, 넘김대(680)가 마련되어 있다. 넘김대(680)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그 넘김대(680)로부터 통과구부(672)의 테두리의 일부를 넘기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통과구부(672)의 테두리의 일부를 넘기면 통과구부(672)의 입을 펼칠 수가 있다. 통과구부(672)의 입을 펼칠 수가 있으므로, 그 중에 의약 조성물을 넣기 쉬워진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넘김대(680)는, 시트의 테두리 및 통과구부(672)의 테두리에 해당하는, 시트의 면 중에 붙여지지 않은 부분이다. 이 때문에, 그 부분을 붙이지 않음으로써 넘김대(680)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그와 같이 하여 넘김대(680)를 형성하면, 통과구부(672)의 테두리에 해당하는 부분에 돌기와 오목부 중의 적어도 한쪽을 마련하여 그것을 넘김대로 하는 경우에 비하여, 다음에 말하는 것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제1의 효과는, 시트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고 하는 효과다. 제2의 효과는, 통과구부(672)의 테두리에 해당하는 부분에 돌기와 오목부 중의 적어도 한쪽을 마련하는 공정이 불필요하게 된다고 하는 효과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의약 조성물 용기(600)에는, 본체측 접음선(666)과 통로측 접음선(674)이 마련되어 있다. 그들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커버 상태가 용이하게 해제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의약 조성물 용기(600)는, 굴곡 개소(676)와 실간 강력 시일부(642)로 절곡되어 있다. 이에 의해, 범용 보조 물질실(624)로부터 삼킴 보조 물질이 새기 어려워지게 되어 있다. 이하, 이 점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간부(640)의 열기 어려움과 경계부(644)의 열기 어려움이란, 수용실용 보조 물질실(622) 및 범용 보조 물질실(624)에 어느 정도의 하중을 걸었을 때 실간부(640) 또는 경계부(644)가 열리는지를 조사하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다음의 순서에 의해 내하중 시험을 실시했다.
우선, 시험용 용기(1020)를 2개 제작한다. 이 시험용 용기(1020)는, 1매의 합성 수지제 시트를 절반으로 접고, 그 면과 면을 접착한 것이다. 이 용기는, 제 1 수용실(1030)과 모의 실간부(1032)와 제2 수용실(1034)을 구비하고 있다. 모의 실간부(1032)의 강도는, 실간부(640) 및 경계부(644)와 동일한 정도의 강도다. 제작된 시험용 용기(1020) 중의 한 쪽은, 제 1 수용실(1030) 및 제2 수용실(1034) 각각에 삼킴 보조 물질(40)을 수용하고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 시험용 용기를 「타입 A」라고 칭한다. 시험용 용기(1020) 중의 한쪽은, 제 1 수용실(1030)에 삼킴 보조 물질(40)을 수용하고 있다. 제2 수용실(1034)은 빈 방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 시험용 용기를 「타입 B」라고 칭한다.
시험용 용기(1020)가 완성되면, 주지의 질량계(1050) 위에 시험용 용기(1020)를 놓는다. 시험용 용기(1020)가 놓아지면, 그 위에 추(1040)를 싣는다. 추(1040)가 실리면, 제 1 수용실(1030)로부터 삼킴 보조 물질(40)이 새고 있는지 아닌지를 관찰한다. 삼킴 보조 물질(40)이 새지 않으면, 시험용 용기(1020)에 추(1040)를 더 싣는다. 삼킴 보조 물질(40)이 새고 있으면, 그 때 질량계(1050)가 나타내는 질량을 읽어낸다. 질량계(1050)가 나타내는 질량을 읽어내면, 그 질량으로부터 시험용 용기(1020)의 질량을 공제함에 의해, 시험용 용기(1020)에 실린 추(1040)의 질량의 합계를 산출한다. 이 질량을, 실간부(640) 또는 경계부(644)가 열리는 하중의 크기로 간주한다.
도 6은, 질량계(1050)에 대한 시험용 용기(1020)의 싣는 방법 및 시험용 용기(1020)에 대한 추(1040)의 싣는 방법을 나타내는 개념도다. 도 6(A)은, 시험용 용기(1020)를 접철하는 일없이 제1 수용실(1030) 위에 추(1040)를 싣고 있는 상황을 나타낸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러한 추(1040)의 싣는 방법을 「평배치」라고 칭한다. 도 6(B)은, 모의 실간부(1032)를 제대로 꺾은 다음 시험용 용기(1020) 위에 추(1040)를 싣고 있는 상황을 나타낸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러한 추(1040)의 싣는 방법을 「실간부 절반접음」이라고 칭한다. 도 6(C)는, 모의 실간부(1032)를 접은눈(折目)이 생기지 않게 굽힌 다음 시험용 용기(1020) 위에 추(1040)를 싣고 있는 상황을 나타낸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러한 추(1040)의 싣는 방법을 「아치형」이라고 칭한다. 도 6(D)는, 제 1 수용실(1030)의 단부(1031)를 제대로 굽혀 시험용 용기(1020) 위에 추(1040)를 싣고 있는 상황을 나타낸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러한 추(1040)의 싣는 방법을 「수용실 절반접음」이라고 칭한다.
도 7은 상술한 내하중 시험의 결과를 나타낸다. 도 8은 모의 실간부(1032)의 열기 어려움을 나타낸다. 도 7 및 도 8로부터 분명하듯이, 「평배치」 때와 그 외의 싣는 방법 때는 모의 실간부(1032)가 열리는 추(1040)의 질량이 크게 다르다. 또한, 「타입 A」는 「타입 B」에 비해 접철한 것에 의한 영향이 크다. 이로부터, 의약 조성물 용기(700)처럼 수용실용 보조 물질실(622)과 범용 보조 물질실(624)을 구비하며, 그들 사이의 실간부(640)를 굽힘으로써, 삼킴 보조 물질(40)의 누출을 강력하게 억제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타입 B」는 「타입 A」에 비해 「수용실 절반접음」의 경우에 있어서의 삼킴 보조 물질 누락의 억제 효과가 극히 커진다.
<제3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3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1의 실시형태 내지 제2의 실시형태의 어느 쪽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물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였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구조의 설명>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의약 조성물 용기(700)와 제2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의약 조성물 용기(600)의 차이점은, 다음에 말하는 두 가지 점이다. 제1항목은, 제 2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의약 조성물 용기(600)에는 본체측 접음선(666)과 통로측 접음선(674)이 마련되어 있는데 반하여,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의약 조성물 용기(700)에는 그것들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점이다. 제2항목은, 측부 강력 시일(690) 중에 실간 강력 시일부(642)에 인접하는 개소에, 절결(766)이 마련되어 있는 점이다. 그 외의 점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의약 조성물 용기(700)와 제2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의약 조성물 용기(600)는 동일하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제조 공정의 설명>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의약 조성물 용기(700)의 제조 공정 가운데, 이것을 「U」형으로 절곡할 때까지의 공정은, 제 2의 실시형태와 동일하므로, 여기에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반복하지 않는다. 이하, 의약 조성물 용기(700)를 「U」형으로 절곡한 후의 공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의약 조성물 용기(700)를 「U」형으로 절곡하면, 「U」의 양쪽의 선단에 해당하는 부분을 절곡하는 일없이, 「U」의 커브 부분에 해당되는 개소를 더 굽힌다. 이에 의해 의약 조성물 용기(700)가 접철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실간 강력 시일부(642)와 경계부(644)가 절곡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이때, 의약 조성물 수용실(620)이 수용실용 보조 물질실(622)에 접촉한다. 통로부(612)가 범용 보조 물질실(624)에 접촉한다. 의약 조성물 수용실(620)과 통로부(612)가 서로 인접하게 된다. 도 9는, 이와 같이 하여 접철된 의약 조성물 용기(700)의 단면도다.
의약 조성물 용기(700)가 접철되면, 그 의약 조성물 용기(700)에 밴드(774)를 끼운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밴드(774)는, 합성 수지를 소재로 하는 절단부가 없는 고리이다. 도 10은, 밴드(774)가 끼워진 상태의 의약 조성물 용기(700)의 외관도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의약 조성물 용기(700)는 이 상태로 유통된다.
<사용 방법>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의약 조성물 용기(700)의 사용 방법은, 우선 밴드(774)를 떼어서 접철된 양단을 넓히는 것을 제외하면 제1의 실시형태와 같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반복하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의약 조성물 용기에 있어서 특기해야 할 점>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의약 조성물 용기(700)에 대하여 특기해야 할 점 가운데, 제2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의약 조성물 용기(600)와는 다른 점은, 다음의 점이다. 제1항목은, 의약 조성물 용기(700)가 실간 강력 시일부(642)와 경계부(644)로 절곡되어 있는 것이다. 제2항목은, 의약 조성물 수용실(620)과 통로부(612)가 수용실용 보조 물질실(622)과 범용 보조 물질실(624)에 의해 덮여 있는 것이다. 제3항목은, 그러한 커버 상태가 밴드(774)에 의해 유지되어 있는 것이다.
<효과의 설명>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의약 조성물 용기(700)는, 커버 상태가 용이하게 해제되지 않는다고 하는 효과를 제외하고는, 제 2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의약 조성물 용기(600)와 동일한 효과를 나타낸다. 게다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의약 조성물 용기(700)는, 밴드(774)가 끼워져 있다. 이에 의해, 상술한 커버 상태가 유지되어 있다. 상술한 커버 상태가 유지되어 있으므로, 환자의 입에 들어가는 부분이 더럽혀지기 어렵게 되어 있다.
<변형예의 설명>
본 실시예에서 설명한 의약 조성물 용기(400, 600, 700)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체화하기 위해서 예시한 것이다. 이는, 시트의 재질을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는, 시트의 형상, 각 공간의 형상, 개구의 형상, 그들의 치수, 그들의 구조, 및 그러한 배치 등을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도 아니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한 의약 조성물 용기(400, 600, 700)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의 변경을 가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관련된 의약 조성물 용기(400, 600, 700)는, 시트를 절반으로 접어 붙인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의약 조성물 용기(400, 600, 700)는, 2매의 시트를 붙인 것이라도 괜찮고, 1개의 튜브의 곳곳을 붙인 것이어도 괜찮다. 의약 조성물 용기(400, 600, 700)는, 블로우 성형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어도 괜찮다. 또한, 의약 조성물 용기(400, 600, 700)의 소재도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의약 조성물 용기(400, 600, 700)의 소재는, 폴리에틸렌을 비롯한 합성수지와 알루미늄과의 복합재료라도 괜찮다. 그러한 복합재료의 예에는, 표면과 이면에 폴리에틸렌 등의 합성 수지의 층이 형성되어 있는 알루미늄의 필름이라도 괜찮다.
또한, 의약 조성물의 형태는 산제상(散劑狀)의 형태나 과립이라는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의약 조성물의 성분도 한정되지 않는다. 물론, 의약 조성물은 포장물(212)에 수용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또한, 넘김대(680)의 형태는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통과구부(672)의 테두리에 그 테두리로부터 돌출한 넘김대를 마련해도 좋다. 통과구부(672)의 테두리의 일부를 절결하고, 거기를 넘김대로 하여도 좋다. 도 11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관련된 통로부 선단 부분의 외관도다. 이 도는, 여러 가지 넘김대의 형태의 예시이기도 하다.
또한, 삼킴 보조 물질(40)은, 수분을 함유하는 멸균된 점액상의 외관을 나타내고 있는 젤리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만, 수용실용 보조 물질실(420)이나 캡부용 보조 물질실(424)에 수용되는 삼킴 보조 물질(40)은, 사람 또는 사람 이외의 동물의 입안을 이동할 때에 삼킴 대상물을 수반할 정도의 점도를 가지며, 또한 사람 또는 사람 이외의 동물이 삼킬 수 있는 유동체인 것을 필요로 한다. 그러한 삼킴 보조 물질의 예에는, 농후한 시럽, 벌꿀, 카스타드 크림, 피너츠 스프레드, 치즈 스프레드가 있다. 또한, 삼킴 보조 물질(40)은, 멸균되어 있지 않은 경우, 방부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삼킴 보조 물질(40)은, 의약 조성물 용기(400, 600, 700)가 보관되어 있을 때, 유동체가 아니어도 좋다. 예를 들어, 의약 조성물 용기(400, 600, 700)가 보관되어 있을 때, 삼킴 보조 물질(40)은, 분말 그 외의 고체라도 괜찮다. 이 경우, 의약 조성물 용기(400, 600, 700)의 내부 공간에 정제수 그 외의 용매가 수용되어 있으며, 삼킴 보조 물질(40)이 그 용매에 녹여짐으로써 유동체가 되는 것이라도 괜찮다.
또한, 제 3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의약 조성물 용기(700)의 접철 방법은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2는, 의약 조성물 용기(700)의 다양한 접철 방법을 나타내는 단면도다. 또한 도 12(c)에는 캡부(612)의 선단을 절곡하는 예가 도시되어 있지만, 캡부(612)의 선단을 절곡하지 않아도 좋은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한, 제 3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의약 조성물 용기(700)의 유통 형태는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3은, 뚜껑 달린 봉투(1000)에 수용된 의약 조성물 용기(700)를 나타내는 일부 파단도다. 이 뚜껑 달린 봉투(1000)는, 봉투 본체(1010)와 뚜껑(1012)을 구비하고 있다. 이 봉투(1000)는, 1매의 합성 수지성 시트를 3개로 접어서 형성된 것이다. 그 합성 수지제 시트의 일단과 중앙 부분을 붙임에 의해, 봉투 본체(1010)가 형성되어 있다. 타단이 뚜껑(1012)이 되어 있다. 의약 조성물 용기(700)는, 상술한 것 같은 뚜껑 달린 봉투(1000)는 아니고, 2매의 합성 수지성 시트의 테두리를 붙여서 형성된 봉투에 수용되어도 괜찮다. 의약 조성물 용기(700)는, 주지의 지퍼부착 봉투에 수용되어도 괜찮다. 의약 조성물 용기(700)는, 그 일단에 커버를 씌어진 상태로 유통해도 괜찮다. 합성 수지제의 밴드(774)를 대신하여 고무 밴드를 이용해도 괜찮다. 밴드(774) 및 고무 밴드의 폭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제2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의약 조성물 용기(600)가 이러한 봉투에 수용되어도 괜찮다.
또한, 상술한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캡부(404, 612)의 통과구부(472, 672)가, 삼킴 보조 물질(40)의 출구라는 역할을 갖지 않아도 좋다. 이 경우, 통과구부(472, 672)는, 의약 조성물 수용실(422, 620) 내의 의약 조성물과는 다른 의약 조성물의 입구라는 역할을 갖고 있다. 그 경우, 약제사 등이 캡부(404, 612)에 의약 조성물을 넣은 후에 그 약제사가 통과구부(472, 672)를 폐쇄하면 된다. 통과구부(472, 672)가 폐쇄된 의약 조성물 용기는 환자 등에게 건네진다. 환자는, 캡부(404, 612)의 일단을 파괴함으로써 거기에 개구를 마련한다. 이에 의해, 캡부(404, 612) 내의 의약 조성물을 삼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에 의해, 의약 조성물 수용실(422, 620) 내의 의약 조성물과는 다른 의약 조성물을 캡부(404, 612)에 수용한 상태로 의약 조성물 용기(400, 600)를 보관할 수 있다. 삼킬 때마다 복용하는 의약 조성물의 종류와 양을 확인할 필요가 없어진다. 그 결과, 환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한 캡부(404, 612)의 일단을 파괴하기 쉽게 하기 위해, 캡부(404, 612)에, 통로 개구 형성 예정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로 개구 형성 예정부란, 개구의 형성이 예정되는 부분이다. 통로 개구 형성 예정부의 구체적인 예에는, 캡부(404, 612)에 마련되는 V자형의 절결이 있다.
또한, 제 2의 실시형태 및 제3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실간 강력 시일부(642)의 구조는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실간 강력 시일부(642)는, 제1구역(660)과 중간실(662)과 제2구역(664)으로 나누어지지 않아도 좋다. 이 경우, 실간 강력 시일부(642)는, 시트의 면과 면이 붙여져 있는 일정한 부분이라도 괜찮다.
또한, 상술한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의약 조성물 용기의 용기 본체에 마련되어 있는 공간의 수는 3개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 공간의 수는 3개보다 많아도 좋고, 2개라도 괜찮다.
또한, 상술한 의약 조성물 용기(400, 600, 700)가 갖는 각 공간의 크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다만, 그러한 공간의 용적은, 10 cc정도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말할 필요도 없는 것이지만, 상술한 의약 조성물 용기(400, 600, 700)의 굽혀지는 개소를 어느 정도 강하게 굽힐 것인가 하는 점은, 임의로 정해지는 것이다.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실간부(441)와 경계부(445)란, 굽혀진 개소가 예각을 이루도록 굽혀도 괜찮고, 그 개소가 곡면을 형성하도록 굽혀도 괜찮다. 반복이 되지만, 굽혀진 개소가 예각을 이루도록 굽혀도 괜찮고 그 개소가 곡면을 형성하도록 굽혀도 괜찮은 것은,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실간부(441)와 경계부(445)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말할 필요도 없는 것이지만, 상술한 실간부(441, 640)와 경계부(445, 644)의 구조는,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들이, 예를 들어, 측부 강력 시일(410, 690) 및 실간 강력 시일부(443, 642)보다 강도가 낮아지도록 시트의 면과 면이 붙여진 일정한 구조라도 괜찮은 것은 말할 필요도 없는 것이다.
40 : 삼킴 보조 물질 212 : 포장물
400, 600, 700 : 의약 조성물 용기 402, 610 : 용기 본체
404 : 캡부 410, 690 : 측부 강력 시일
420, 622 : 수용실용 보조 물질실 422, 620 : 의약 조성물 수용실
424 : 캡부용 보조 물질실 430 : 선단 부분
441, 640 : 실간부 443, 642 : 실간 강력 시일부
445, 644 : 경계부 447, 630 : 개구 형성 예정부
450, 460, 650, 660, 682 : 제1구역 452, 462, 652, 662, 684 : 중간실
454, 464, 654, 664, 686 : 제2구역 472, 672 : 통과구부
612 : 통로부 624 : 범용 보조 물질실
666 : 본체측 접음선 670 : 대향구부
674 : 통로측 접음선 676 : 굴곡 개소
680 : 넘김대 766 : 절결
774 : 밴드 1000 : 뚜껑 달린 봉투
1010 : 봉투 본체 1012 : 뚜껑
1020 : 시험용 용기 1030 : 제1 수용실
1031 : 단부 1032 : 모의 실간부
1034 : 제2 수용실 1040 : 추
1050 : 질량계

Claims (4)

  1. 용기 본체내에 복수의 공간을 갖고 있으며,
    상기 공간 중의 어느 것이, 의약 조성물이 수용되는 의약 조성물 수용실이며,
    상기 공간 중의 어느 것이, 상기 의약 조성물 수용실과 인접하며, 삼킴 보조 물질이 미리 수용되어 있는 수용실용 보조 물질실이며,
    상기 용기 본체에, 상기 용기 본체의 외부와 상기 의약 조성물 수용실을 연통시키는 개구의 형성이 예정되는 개구 형성 예정부가 마련되어 있는 경구 섭취용의 의약 조성물 용기로서,
    상기 용기 본체 중에, 상기 의약 조성물 수용실과 상기 수용실용 보조 물질실의 사이를 폐쇄하는 실간부는, 상기 용기 본체의 외부로부터 힘이 가해지면 열리고,
    상기 용기 본체 중에, 상기 실간부 중의 어느 개소와 상기 수용실용 보조 물질실 중의 어느 개소중의 적어도 한쪽에 굴신 가능한 개소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굴신 가능한 개소가 굽혀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구 섭취용의 의약 조성물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구 섭취용의 의약 조성물 용기는, 상기 용기 본체에 부가하여 상기 용기 본체와 일체로 마련되는 캡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용기 본체가, 적어도 3개의 상기 공간을 갖고 있으며,
    상기 공간 중의 어느 것이, 상기 캡부와 인접하며, 또한 삼킴 보조 물질이 미리 수용되어 있는 캡부용 보조 물질실이며,
    상기 적어도 3개의 공간과 상기 캡부가 1개의 열을 형성하도록 늘어서 있으며,
    상기 실간부에 부가하여 상기 캡부용 보조 물질실과 상기 캡부 내부의 사이를 폐쇄하는 경계부가 상기 용기 본체의 외부로부터 힘이 가해지면 열리며,
    상기 실간부 및 상기 경계부가 굴신 가능하며,
    상기 실간부 및 상기 경계부가 굽혀짐에 의해, 상기 용기 본체의 양단 중에 상기 캡부가 마련되어 있는 측과는 반대측의 끝이 상기 캡부에 삽탈 가능하게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구 섭취용의 의약 조성물 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구 섭취용의 의약 조성물 용기는, 상기 용기 본체에 부가하여 상기 용기 본체와 일체로 마련되는 통로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용기 본체가, 적어도 3개의 상기 공간을 갖고 있으며,
    상기 공간 중의 어느 것이, 상기 통로부와 인접하며, 또한 삼킴 보조 물질이 미리 수용되어 있는 범용 보조 물질실이며,
    상기 실간부에 부가하여 상기 범용 보조 물질실과 상기 통로부 내부의 사이를 폐쇄하는 경계부가 상기 용기 본체의 외부로부터 힘이 가해지면 열리며,
    상기 통로부가, 상기 경계부가 열렸을 때 상기 범용 보조 물질실 내의 상기 삼킴 보조 물질의 통로가 되며,
    상기 경계부가 굴신 가능하고, 또한 굽혀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구 섭취용의 의약 조성물 용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실용 보조 물질실 중의 어느 개소에 상기 굴신 가능한 개소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구 섭취용의 의약 조성물 용기.
KR1020127026375A 2010-03-29 2011-03-29 경구 섭취용의 의약 조성물 용기 KR2013005424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074941 2010-03-29
JP2010074941 2010-03-29
PCT/JP2011/057881 WO2011122640A1 (ja) 2010-03-29 2011-03-29 経口摂取用の医薬組成物容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4247A true KR20130054247A (ko) 2013-05-24

Family

ID=44712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6375A KR20130054247A (ko) 2010-03-29 2011-03-29 경구 섭취용의 의약 조성물 용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720679B2 (ko)
JP (1) JP5896897B2 (ko)
KR (1) KR20130054247A (ko)
CN (1) CN102802586B (ko)
WO (1) WO201112264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97145B2 (ja) * 2012-10-26 2016-03-30 株式会社モリモト医薬 薬剤経口投与装置
KR101996841B1 (ko) * 2013-10-29 2019-07-05 가부시키가이샤 모리모토이야쿠 분포체, 분포체의 제조방법 및 분포체의 제조장치
WO2015092888A1 (ja) * 2013-12-18 2015-06-25 株式会社モリモト医薬 薬剤類経口投与装置
WO2015114749A1 (ja) * 2014-01-29 2015-08-06 株式会社モリモト医薬 服用物収容セル、ストリップ包装体、及び、服用物収容セルの製造方法
EP3184446A4 (en) * 2014-08-22 2018-03-21 Terumo Kabushiki Kaisha Method for manufacturing packaged medical tool
GB201500355D0 (en) 2015-01-09 2015-02-25 Meta4Sys Ltd A pack
US10577162B2 (en) 2015-01-09 2020-03-03 Meta4Sys Limited Sealed package comprising a squeezable product
WO2016175729A1 (en) * 2015-04-29 2016-11-03 Tst Rakor Ve Tibbi̇ Aletler Sanayi̇ Ve Ti̇caret Ltd. Şti̇. Telescopic nail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11119A (en) * 1926-09-24 1926-12-14 Lipper Mfg Co Inc Textile-mounted camphor ball
US3070094A (en) * 1959-02-25 1962-12-25 Stanley J Sarnoff Medicament and diluent storing, mixing, and dispensing device
US3478871A (en) * 1968-04-29 1969-11-18 Kleer Vu Ind Inc Burst package with fold seal
US3749620A (en) * 1969-11-20 1973-07-31 American Cyanamid Co Package for plural reactable components with rupturable ultrasonic seal
US4298119A (en) * 1980-01-11 1981-11-03 Murray Michael L Multiple compartment containers
US4402402A (en) * 1981-10-14 1983-09-06 Pike Brian R Barrier seal multiple-compartment package
US4534509A (en) * 1982-09-28 1985-08-13 Firmenich Sa Multiple compartment plastic packing
US4458811A (en) * 1983-04-21 1984-07-10 Abbott Laboratories Compartmented flexible solution container
GB8911878D0 (en) * 1989-05-24 1989-07-12 Allen Nicholas J Mixing device
CN1270687C (zh) * 1996-05-13 2006-08-23 B.布朗医学公司 适合与柔性容器配合使用的进料入口管
JPH10234820A (ja) 1996-12-25 1998-09-08 Takeda Chem Ind Ltd 濃厚流動物質を併用する粉粒状剤及びこれらの複室型容器
DE10056212B4 (de) * 2000-11-13 2005-08-18 3M Espe Ag Vorrichtung zum Lagern und Ausbringen von fließfähigen Zusammensetzungen, Verfahren zur Herstellung und Verwendung der Vorrichtung
JP4679838B2 (ja) * 2004-06-02 2011-05-11 株式会社細川洋行 医療用薬液容器
US7357248B2 (en) * 2004-12-14 2008-04-15 Illinois Tool Works Inc. Point of use cleaning solution
EP1905455B1 (en) * 2005-06-06 2013-07-24 Ajinomoto Co., Inc. Capsule coating composition
US20070119862A1 (en) * 2005-11-29 2007-05-31 Backes Larry P Unit dose flexible container
JP2007209705A (ja) * 2006-02-13 2007-08-23 Otsuka Pharmaceut Factory Inc 複室容器
JP2011200261A (ja) * 2008-07-22 2011-10-13 Morimoto Iyaku:Kk 服用物収容容器
WO2010109612A1 (ja) * 2009-03-25 2010-09-30 株式会社モリモト医薬 医薬組成物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122640A1 (ja) 2011-10-06
JP5896897B2 (ja) 2016-03-30
CN102802586A (zh) 2012-11-28
JPWO2011122640A1 (ja) 2013-07-08
US8720679B2 (en) 2014-05-13
US20130015085A1 (en) 2013-01-17
CN102802586B (zh) 2014-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54247A (ko) 경구 섭취용의 의약 조성물 용기
ES2648123T3 (es) Embalaje de blíster dispensador de píldoras a prueba de niños, fácil de usar por personas mayores y ecológico
US11596730B2 (en) Packaging for medical containers
BRPI0613949B1 (pt) Estojo para acomodar uma embalagem de medicamento
JP2007209705A (ja) 複室容器
KR20110131295A (ko) 의약조성물 용기
US7328801B2 (en) Storage and dispensing unit
BR112013022055B1 (pt) método para fabricar um recipiente de câmara dupla
WO2011122639A1 (ja) 経口摂取用の医薬組成物容器
CN108349622A (zh) 容器的制造方法、预容器、容器的坯料和用于保持流体的容器
WO2010110368A1 (ja) 医薬組成物容器
JP5588967B2 (ja) 医薬組成物容器
WO2010110367A1 (ja) 医薬組成物容器
KR102645146B1 (ko) 개봉이 편리하고 액상 음용이 용이한 포장 파우치
US11712401B1 (en) Pill bottle container insert
CN211434157U (zh) 医用吞服袋
JP5363788B2 (ja) 複室容器
JPH048909Y2 (ko)
JP2011147659A (ja) 嚥下用容器
JP2007105181A (ja) 医療用複室容器
JP2004067105A (ja) 袋体およびその開口・充填方法
JP2007297074A (ja) 詰替え用の包装袋
ES1071981U (es) Envase para sandwich.
JP2018079013A (ja) 複数の医療用容器を収納した包装体および医療用容器梱包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