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6353A - 수지제 용기 - Google Patents

수지제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6353A
KR20130046353A KR1020120110383A KR20120110383A KR20130046353A KR 20130046353 A KR20130046353 A KR 20130046353A KR 1020120110383 A KR1020120110383 A KR 1020120110383A KR 20120110383 A KR20120110383 A KR 20120110383A KR 20130046353 A KR20130046353 A KR 201300463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om plate
pipe
container
liquid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0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4853B1 (ko
Inventor
신이치 구니에다
Original Assignee
고다마 플라스틱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다마 플라스틱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고다마 플라스틱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463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63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4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48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10Jars, e.g. for preserving foodstuff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02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of curved cross-section
    • B65D11/06Drums or 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12Cans, casks, barrels, or drums
    • B65D1/14Cans, casks, barrels, or drums characterised by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9/00Closures arranged within necks or pouring openings or in discharge apertures, e.g. stoppers
    • B65D39/0052Closures arranged within necks or pouring openings or in discharge apertures, e.g. stoppers made in more than one pie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rrosive chemic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과제)액체를 수용시키는 수지제 용기로서, 배출되지 않고 잔존하는 액체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수지제 용기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수지제 용기(1)는, 바닥판(20), 바닥판의 외주로부터 기립하는 원통형의 몸통부(30) 및 몸통부의 상단을 폐쇄하는 상판(40)이 일체로 성형된 용기본체(10)와, 상판으로 개구하는 주출구(45)를 통하여 용기본체내에 삽입된 파이프(71)를 구비하고, 용기본체는, 바닥판에 오목모양으로 형성되고 주출구의 중심으로부터 용기 높이방향으로 연장시킨 가상축선(X)상에 중심이 위치하지 않는 오목부(50)와, 바닥판에 형성되고 오목부에 이르는 홈통모양의 홈부(60)를 구비하고, 파이프는 상단으로부터 하단을 향하여 만곡하고 있고, 하단이, 오목부의 내주면(52)에 있어서 주출구측과는 반대측의 내주면과 오목부의 저면(51)과의 경계부인 반대측 경계부(55)로 가압되고 있다.

Description

수지제 용기{RESIN-MADE CONTAINER}
본 발명은 액체(液體)를 수용하는 수지제 용기(樹脂製 容器)에 관한 것이다.
블로우 성형(blow成形)에 의하여 드럼캔 모양으로 일체로 성형된 수지제 용기에, 공업용 약품 등의 액체를 수용하여 보존이나 운반을 하는 경우에, 액체의 배출에 있어서 파이프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종래에는 도5(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수지제 용기(100)의 상판(120)에 형성된 주출구(125)에 일단이 부착된 파이프(150)를, 바닥판(110)을 향하여 곧장 내려서 액체를 배출하고 있었다. 액체의 배출의 방법은, 펌프를 파이프에 접속하여 액체를 흡인하는 방법(이하, 「흡인식」이라고 부른다)과, 용기 내에 기체를 보냄으로써 액체를 가압하여 파이프를 통하여 액체를 밀어내는 방법(이하, 「압송식」이라고 부른다)으로 대별된다.
일체로 성형된 수지제 용기의 바닥판에는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 때문에 종래의 수지제 용기에서는, 요면(凹面) 중에서 볼록부에 의하여 파이프의 하단위치와 떨어진 부분에 존재하는 액체는 배출되지 않고 남아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일반적인 수지제 용기에 있어서 바닥판의 요철의 높이는 그다지 큰 것이지는 않지만, 용기가 대용량이 될 수록 바닥판의 면적이 커지게 되기 때문에 잔액의 부피도 크게 된다. 예를 들면, 용량 200리터의 종래의 수지제 용기에서는, 흡인식으로 액체를 배출하였을 경우의 잔액량은 1.5리터 이상에 도달한다.
또한 압송식으로 액체를 배출하는 경우에는, 도5(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수지제 용기(100)의 내부의 압력의 상승에 의하여 바닥판(120)이 외측으로 부풀어 커지기 때문에, 파이프(150)의 하단이 바닥판(110)으로부터 떨어져버린다. 거기에다, 상판(120)도 외측으로 부풀어 커져서 주출구(125)가 기울고, 이것에 따라 파이프(150)가 경사지기 때문에 파이프(150)의 하단은 바닥판(110)으로부터 더 떨어져버린다. 그 때문에 압송식의 경우에는, 액체의 배출에 따라 액면의 높이가 파이프(150)의 하단보다 낮아진 시점에서 액체를 배출할 수 없게 되어버려, 잔액량이 많다. 예를 들면, 용량 200리터의 종래의 수지제 용기에서는, 압송식으로 액체를 배출하였을 경우의 잔액량은 약5리터에 도달한다.
수지제 용기로부터 배출되지 않고 남은 액체는 폐기의 대상이 되기 때문에 자원으로서 낭비가 된다. 또한 공업용 약품에는 매우 비싼 액체도 많기 때문에, 비용삭감의 점으로부터도 잔액량을 감소하는 기술에 대한 요청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정에 비추어 보아 배출되지 않고 잔존하는 액체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수지제 용기의 제공을 과제로 하는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관한 수지제 용기는,
「바닥판, 상기 바닥판의 외주로부터 기립하는 원통형의 몸통부 및 상기 몸통부의 상단을 폐쇄하는 상판이 일체로 성형된 용기본체와,
상기 상판에 개구하는 주출구를 통하여 상기 용기본체내에 삽입된 파이프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본체는,
상기 바닥판에 오목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주출구의 중심으로부터 용기 높이방향으로 연장시킨 가상축선상에 중심이 위치하지 않는 오목부와,
상기 바닥판에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에 이르는 홈통모양의 홈부를
구비하고,
상기 파이프는,
상단으로부터 하단을 향하여 만곡하고 있고,
하단이, 상기 오목부의 내주면에 있어서 상기 주출구측과는 반대측의 내주면과 상기 오목부의 저면과의 경계에 가압되어 있다」
는 것이다.
오목부의 중심은, 주출구의 중심으로부터 용기 높이방향으로 연장시킨 가상축선상에 위치하지 않으므로, 오목부는 주출구의 바로 아래에는 위치하지 않는다. 그리고 파이프는, 주출구로부터 오목부를 향하여 만곡시키기 때문에, 수지제 용기의 높이(내측 치수)에 비하여 충분히 긴 것이 사용된다.
만곡하고 있는 만큼의 잉여의 길이를 구비하는 파이프에는, 주출구와 오목부 사이에서 버티는 것 같은 힘이 작용한다. 그 때문에 파이프의 하단은, 오목부의 내주면에 있어서 주출구측과는 반대측의 내주면(이하, 「반대측 내주면」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과, 오목부의 저면과의 경계를 향하여 가압된다. 그리고 압송식으로 액체를 배출할 때에 상판이나 바닥판이 볼록하게 돌출하여도 파이프는 잉여의 길이를 구비하기 때문에, 오목부의 반대측 내주면과 저면과의 경계(이하, 「반대측 경계부」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에 파이프의 하단이 가압되는 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상기 구성의 본 발명에서는, 상판이나 바닥판이 볼록하게 돌출한다고 하더라도, 파이프의 하단은 오목부의 반대측 경계부에 항상 머문다. 그리고 액체를 배출하는 처리의 최종적인 단계에 있어서는, 얼마 남지 않은 액체는 바닥판에 있어서 낮은 부분인 오목부에 모인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오목부에 이르는 홈부가 바닥판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령 바닥판이 요철을 구비하는 것이며, 볼록부에 의하여 파이프의 하단위치와 떨어진 요면이 존재하여도, 요면의 액체는 홈부를 통하여 오목부에 유입되기 쉽다.
그리고 오목부내의 액체는, 하단을 반대측 경계부에 위치시키고 있는 파이프를 통하여 거의 전량이 배출된다. 이에 따라 수지제 용기 내의 거의 전량의 액체를 배출할 수 있어, 종래에 비하여 잔액량을 대폭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수지제 용기는,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바닥판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오목부의 중심이 주출구의 중심으로부터 용기 높이방향으로 연장시킨 가상축선상에 위치하지 않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오목부가 바닥판의 중앙에 위치하는 본 구성에서는 주출구는 상판에 있어서 편심한 위치에 형성된다.
오목부는 바닥판에 있어서 낮은 부분으로서, 액체의 배출에 있어서 최종단계까지 액체가 잔류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오목부가 바닥판의 중앙에 위치함으로써 수지제 용기의 균형이 좋고, 자세가 안정된다.
본 발명에 관한 수지제 용기는, 상기 구성에 더하여 「상기 용기본체는 상기 바닥판의 외주로부터 하방을 향하고, 상기 오목부의 저면보다 낮은 높이까지 돌출되게 형성된 환상부를」 더 구비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구성의 수지제 용기는, 적어도 바닥판이 볼록하게 돌출하지 않고 있는 상태에서 환상부에 의하여 접지하는 것이 된다. 이에 따라 오목부의 저면에서 접지하는 경우에 비하여, 수지제 용기의 자세가 안정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효과로서 배출되지 않고 잔존하는 액체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수지제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1실시형태의 수지제 용기의 부분 단면 정면도이다.
도2는, 도1의 수지제 용기에 대하여 내부의 압력이 상승하였을 경우의 부분 단면 정면도이다.
도3은 도1의 수지제 용기의 평면도이다.
도4는 도1의 수지제 용기의 바닥판 근방의 사시도이다.
도5는 종래의 수지제 용기에 있어서 액체의 배출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a)는 부분 단면 정면도 및 (b)는 내부의 압력이 상승하였을 경우의 부분 단면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1실시형태인 수지제 용기(1)에 대하여 도1 내지 도4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수지제 용기(1)는, 바닥판(20), 바닥판(20)의 외주로부터 기립하는 원통형의 몸통부(30) 및 몸통부(30)의 상단을 폐쇄하는 상판(40)이 일체로 성형된 용기본체(10)와, 상판(40)에 개구하는 주출구(45)를 통하여 용기본체(10)내에 삽입된 파이프(71)를 구비하고 있다. 이 구성에 있어서, 용기본체(10)는, 바닥판(20)에 오목모양으로 형성되고 주출구(45)의 중심으로부터 용기 높이방향으로 연장시킨 가상축선(X)상에 중심이 위치하지 않는 오목부(50)와, 바닥판(20)에 형성되고 오목부(50)에 이르는 홈통모양의 홈부(6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파이프(71)는 상단으로부터 하단을 향하여 만곡하고 있고, 하단이, 오목부(50)의 내주면(52)에 있어서 주출구(45)측과는 반대측의 내주면과 오목부(50)의 저면(51)과의 경계(반대측 경계부(55))에 가압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용기본체(10)는 폴리에틸렌 등의 열가소성 수지의 블로우 성형에 의하여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이 용기본체(10)는, 상기 구성에 더하여 바닥판(20)의 외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돌출되게 형성된 하환상부(27)와, 상판(40)의 외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돌출되게 형성된 상환상부(47)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 수지의 블로우 성형에 의하여 일체로 성형된 용기본체(10)에 있어서, 바닥판(20), 몸통부(30) 및 상판(40)의 경계는 반드시 명확하지는 않다. 그 때문에 「바닥판(20)의 외주」는 「몸통부(30)의 하단의 외주 」라고, 「상판(40)의 외주」는 「몸통부(30)의 상단의 외주」라고 파악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하환상부(27)」가 본 발명의 「환상부」에 상당한다.
오목부(50)는 바닥판(20)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고, 원형의 저면(51)과, 저면(51)의 외주로부터 기립하여 상방을 향하여 약간 직경이 커진 원통형의 내주면(52)을 구비하고 있다. 이 오목부(50)의 저면(51)이 바닥판(20)에 있어서 최하면이다. 또한 상기 하환상부(27)는, 오목부(50)의 저면(51)보다 낮은 높이까지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즉 용기본체(10)내의 압력이 상승하지 않고 있는 상태에서는, 오목부(50)의 저면(51)은 접지면보다 높은 위치에 있고, 하환상부(27)의 하단면에서 접지한다.
바닥판(20)은, 외주를 따른 원환상의 제1바닥판면(21)과, 제1바닥판면(21)으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약간 두꺼워져서 오목부(50)의 상단 가장자리에 이르는 제2바닥판면(22)을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바닥판(20)이 외주로부터 조금 두꺼워지고 나서 오목부(50)에 이르는 형태는, 하환상부(27)가 돌출하는 길이를 작게 하여도 하환상부(27)의 하단면을 오목부(50)의 저면(51)보다 낮은 높이로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하환상부(27)의 돌출 길이가 작으면, 수지제 용기(1) 전체의 중량을 지탱하기 위한 기계적 강도를 하환상부(27)가 구비하기 쉽게 되어, 성형금형의 형상도 복잡하게 되지 않기 때문에 블로우 성형이 용이하다.
홈부(60)는 그 저면의 높이가 제1바닥판면(21)과 거의 같고, 제1바닥판면(21)과 오목부(50)를 연결하도록 바닥판(20)의 지름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홈부(60)는 2개 형성되어 있고, 그 2개는 오목부(50)를 사이에 두고 바닥판(20)의 지름인 동일선상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블로우 성형에 있어서는, 한 쌍의 분할형의 접합부를 따라 양측이 조금 두꺼워진 단면이 V자모양인 홈선(groove line) 소위 「파팅라인(parting line)」이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의 홈부(60)는, 파팅라인(29)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주출구(45)는 용기본체(10)내에 액체를 주입하거나 배출하기 위한 개구부로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 형성되어 있다. 2개의 주출구(45)는, 상판(40)의 지름인 동일선상에 상판(40)의 중심으로부터 각각 등거리로 떨어져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주출구(45)의 중심으로부터 용기 높이방향으로 연장시킨 가상축선(X)상에, 오목부(50)의 중심(본 실시형태에서는 바닥판(20)의 중심)이 위치하지 않는다. 각각의 주출구(45)는, 상판(40)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원통형으로 돌출하고 있고, 내주면에 나사홈이 형성되어 있다.
파이프(71)는, 2개의 주출구(45) 중의 일방에 마개 플러그(75)를 사이에 두고 부착되어 있다. 마개 플러그(75)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이 나사산과 주출구(45)의 나사홈 사이의 나사결합에 의하여 주출구(45)에 삽입된다. 파이프(71)의 상단은 마개 플러그(75)에 접속되지만, 마개 플러그(75)는 자신의 회전에 따라 파이프(71)를 회전시키지 않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마개 플러그(75)는, 외부의 파이프(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를 착탈하도록 접속시키고, 외부의 파이프와 용기본체(10) 내부의 파이프(71)를 연통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파이프(71)는 수지제로서, 가요성(可撓性)을 구비하고 있다. 파이프(71)의 길이는, 상단이 마개 플러그(75)를 사이에 두고 주출구(45)에 부착됨과 아울러, 하단이 오목부(50)의 저면(51)에 도달한 상태에서 파이프(71)가 만곡하는 길이다. 그리고 만곡하고 있는 분만큼 잉여의 길이를 구비하는 파이프(71)에는, 주출구(45)와 오목부(50) 사이에서 버티는 것 같은 힘이 작용하기 때문에, 파이프(71)의 하단은 반대측 경계부(55)로 가압된다.
상기 구성의 수지제 용기(1)에서는, 오목부(50)의 저면(51)이 바닥판(20)에 있어서 최하면이기 때문에 파이프(71)를 통한 배출에 의하여 얼마 남지 않은 액체는 오목부(50)내로 유입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바닥판(20)에 있어서 제1바닥판면(21)과 오목부(50) 사이에 제1바닥판면(21)보다 높은 제2바닥판면(22)이 존재하지만, 제1바닥판면(21)과 오목부(50)를 연결하는 홈부(60)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1바닥판면(21)상에 액체가 잔류하지 않고 홈부(60)를 통하여 오목부(50)로 액체가 유입된다.
또한, 바닥판(20)에는 두꺼워진 파팅라인(29)이 존재하기 때문에, 얼마 남지 않은 액체는 파팅라인(29)을 넘을 수 없고, 제1바닥판면(21)에 있어서 파팅라인(29)의 양측에 액체가 잔류하기 쉬워질 우려가 있는 곳, 본 실시형태에서는 파팅라인(29)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홈부(60)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1바닥판면(21)에 있어서 파팅라인(29)에 의하여 격리된 양측으로부터, 홈부(60)를 통하여 액체가 오목부(50)로 유입된다.
그리고 파이프(71)의 하단은, 오목부(50)에 있어서 저면(51)과 내주면(52)의 경계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오목부(50)로 유입된 액체의 거의 전량을 파이프(71)를 통하여 배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용기본체(10)내에 수용된 액체의 거의 전량을 파이프(71)를 통하여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압송식으로 액체를 배출하는 경우에는, 외부로부터 용기본체(10)내에 기체를 보낸다. 기체의 송출은, 파이프(71)가 부착되어 있지 않는 쪽의 주출구(45)를 통하여 할 수 있다. 또는, 마개 플러그(75)가, 용기본체(10)내로부터 파이프(71)를 통하여 외부로 액체를 배출하기 위한 유통로에 더하여, 외부로부터 용기본체(10)내로 기체를 보내기 위한 유통로를 구비하는 구성인 경우에, 파이프(71)가 부착되어 있지 않는 쪽의 주출구(45)를 막아두고, 마개 플러그(75)를 통하여 용기본체(10)내로 기체를 보내도 좋다.
용기본체(10)내에 대한 기체의 송출에 의하여 용기본체(10)내의 압력이 상승하면, 이에 따라, 도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판(40) 및 바닥판(20)이 외측으로 부풀어 커진다. 이에 따라 주출구(45)와 오목부(50)의 저면(51)의 거리가 길어진다. 거기에다, 상판(40)이 볼록하게 돌출함으로써 주출구(45) 및 이것에 삽입된 마개 플러그(75)가 기울고, 마개 플러그(75)에 접속된 파이프(71)의 상단 근방이 경사진다.
그러나 만곡하고 있는 파이프(71)는 잉여의 길이를 구비하기 때문에, 상판(40)이나 바닥판(20)이 볼록하게 돌출하여도 파이프(71)에 대하여 주출구(45)와 오목부(50) 사이에서 버티는 것 같은 힘이 계속하여 작용하여, 파이프(71)의 하단은 오목부(50)의 반대측 경계부(55)에 항상 머문다.
여기에서 용기본체(10) 내부에 있어서 최대높이(오목부(50)의 저면(51)과 주출구(45)의 상단 사이의 축방향의 거리)를 L이라고 하고, 주출구(45)의 중심과 오목부(50)의 반대측 경계부(55) 사이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거리를 N이라고 한다. 상판(40) 및 바닥판(20)이 볼록하게 돌출하지 않고 있는 상태에서는, 파이프(71)의 길이는 (L2 + N2)1/2보다 길 것이 필요하다. 또한 그 상태에서 파이프(71)의 길이는 (L+N)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판(40) 및 바닥판(20)이 각각 볼록하게 돌출한 상태에 있어서 반대측 경계부(55)와 주출구(45)의 거리보다 파이프(71)를 길게 설정함으로써, 압송식의 액체배출이더라도 파이프(71)의 하단을 오목부(50)의 반대측 경계부(55)에 위치시킬 수 있다. 상판(40) 및 바닥판(20)이 볼록하게 돌출하는 전후에서, 반대측 경계부(55)와 주출구(45)의 거리의 변화를, 다양한 용량의 수지제 용기에 있어서 검토한 결과를 고려하여, 파이프(71)의 길이는, (L2 + N2)1/2의 103%에서부터 (L + N)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마개 플러그의 사이즈는 다양하게 될 수 있기 때문에, 주출구의 상단으로부터 파이프의 하단까지의 길이를 「파이프의 길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또한 검토의 결과, 파이프(71)의 하단을 반대측 경계부(55)에 머무르게 하기 위해서는, 파이프(71)의 길이를, 파이프(71)의 오목부(50)에 대한 진입각도(θ)(파이프(71)의 하단 근방과 오목부(50)의 저면(51)이 이루는 각도)를 35도 ± 20도로 설정할 수 있는 길이로 하는 것이 유효하였다. 이것은, 주출구(45)와 오목부(50) 사이에서 버티는 것과 같은 상태에 있는 파이프(71)의 하단에 작용하는 힘에 있어서, 오목부(50)의 저면(51)을 향하는 방향의 분력과, 오목부(50)의 내주면(52)을 향하는 방향의 분력의 균형에 의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의 수지제 용기(1)에 의하면, 종래의 수지제 용기에서는 잔액량의 많았던 압송식이더라도 오목부(50)에 유입된 액체의 거의 전량을 파이프(71)를 통하여 배출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용기본체(10)내에 수용된 액체의 거의 전량을 파이프(71)를 통하여 배출할 수 있다.
실제로, 본 실시형태의 구성을 구비하는 용량 200리터의 수지제 용기에 수용된 액체를 압송식으로 배출한 바, 배출되지 않고 잔존한 액체는 50밀리리터 이하이었다. 이것은, 동일한 용량의 종래의 수지제 용기에 대하여 압송식으로 액체를 배출하였을 경우의 잔액량 5리터와 비교하면, 100분의 1이하로서 매우 미량이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하여 적합한 실시형태를 들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다양한 개량 및 설계의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홈부(60)가 바닥판의 지름방향으로 형성되었을 경우를 예시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더 많은 수의 홈부를 오목부 둘레에(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홈부의 깊이가 오목부를 향하여 서서히 깊어지도록 형성하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주출구(45)를 구비할 경우를 예시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주출구는 1개이더라도 좋다. 주출구가 1개인 경우에도, 상기한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용기본체내로 기체를 보내기 위한 유통로와, 용기본체내에서 파이프를 통하여 외부로 액체를 배출하기 위한 유통로를 겸비하는 마개 플러그를 사용하면 압송식으로 액체를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파이프(71)가 부착되는 주출구(45)가 상판(40)에 있어서 편심하고 있고, 오목부(50)가 바닥판(20)의 중앙에 형성된 경우를 예시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주출구의 중심으로부터 용기 높이방향으로 연장시킨 가상축선상에 오목부의 중심이 위치하지 않으면 좋다. 예를 들면 주출구가 상판에 있어서 편심하고 있고, 오목부가 바닥판에 있어서 반대방향으로 편심하고 있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는, 주출구가 상판의 중심에 위치하고, 오목부가 바닥판에 있어서 편심하고 있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오목부(50)의 내주면(52)이 상방을 향하여 약간 직경이 커진 원통형인 경우를 예시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오목부의 저면의 외주원과 동일한 직경의 직원통 모양이더라도 좋다. 내주면이 상방을 향하여 직경이 커진 원통형인 경우에는, 오목부의 성형성에 우수하다는 이점이 있는 한편, 내주면이 직원통형인 경우에는 가압되는 파이프의 선단을 반대측 경계부에 지지하는 스토퍼적인 작용이 더 높은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오목부(50)가 평면에서 볼 때에 원형인 경우를 예시하였지만, 저면과 내주면의 경계에 파이프의 하단을 접촉시킬 수 있으면 형상은 특별하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타원형이나 다각형의 저면과, 그 저면의 외주로부터 기립하는 내주면을 구비하는 오목부이더라도 좋다. 또, 상기한 바와 같이, 수지의 블로우 성형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으로부터, 오목부의 「저면과 내주면과의 경계」는 반드시 명료한 경계선이 나타나지 않을 경우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1 : 수지제 용기
10 : 용기본체
20 : 바닥판
27 : 하환상부
30 : 몸통부
40 : 상판
45 : 주출구
50 : 오목부
55 : 반대측 경계부(오목부의 내주면에 있어서 주출구측과는 반대측의 내주면과, 오목부의 저면과의 경계)
60 : 홈부
71 : 파이프
X : 주출구의 중심으로부터 용기 높이방향으로 연장시킨 가상축선

Claims (3)

  1. 바닥판, 상기 바닥판의 외주(外周)로부터 기립(起立)하는 원통형(圓筒形)의 몸통부 및 상기 몸통부의 상단(上端)을 폐쇄하는 상판(上板)이 일체로 성형된 용기본체와,
    상기 상판에 개구하는 주출구(注出口)를 통하여 상기 용기본체내에 삽입된 파이프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본체는,
    상기 바닥판에 오목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주출구의 중심으로부터 용기 높이방향으로 연장시킨 가상축선(假想軸線)상에 중심이 위치하지 않는 오목부와,
    상기 바닥판에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에 이르는 홈통모양의 홈부를
    구비하고,
    상기 파이프는,
    상단으로부터 하단(下端)을 향하여 만곡(彎曲)하고 있고,
    하단이, 상기 오목부의 내주면에 있어서 상기 주출구측과는 반대측의 내주면과 상기 오목부의 저면과의 경계에 가압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제 용기(樹脂製 容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바닥판의 중앙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제 용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는, 상기 바닥판의 외주로부터 하방을 향하고, 상기 오목부의 저면보다 낮은 높이까지 돌출되게 형성된 환상부(環狀部)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제 용기.
KR1020120110383A 2011-10-27 2012-10-05 수지제 용기 KR1018648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235555 2011-10-27
JP2011235555A JP5404739B2 (ja) 2011-10-27 2011-10-27 樹脂製容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6353A true KR20130046353A (ko) 2013-05-07
KR101864853B1 KR101864853B1 (ko) 2018-06-05

Family

ID=48171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0383A KR101864853B1 (ko) 2011-10-27 2012-10-05 수지제 용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523003B2 (ko)
JP (1) JP5404739B2 (ko)
KR (1) KR101864853B1 (ko)
TW (1) TWI60275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57835B2 (ja) * 2012-06-21 2017-01-11 株式会社ジャパンペール 内袋複合容器及び分配装置
WO2015135460A1 (zh) * 2014-03-13 2015-09-17 无锡华瑛微电子技术有限公司 化学液存储瓶及其制造方法
JP6486666B2 (ja) * 2014-11-26 2019-03-20 サーパス工業株式会社 液体取出システムおよび液体取出装置
JP6433929B2 (ja) * 2016-02-19 2018-12-05 コダマ樹脂工業株式会社 パイプ付きプラグの製造方法及びパイプ付きプラグ
GB2560024B (en) * 2017-02-27 2020-04-22 Petainer Large Container Ip Ltd Keg chime
CN109094925A (zh) * 2017-06-20 2018-12-28 瀚宇彩晶股份有限公司 液体盛装桶
US10105662B1 (en) * 2017-12-19 2018-10-23 Bayer Cropscience Lp Mixing systems, methods, and devices with extendible impellers
US20200139322A1 (en) * 2018-08-03 2020-05-07 Stephen CAIN Storage Drum Assembly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4563U (ja) * 1991-07-26 1993-03-30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液体注出容器
JPH063857U (ja) * 1992-06-22 1994-01-18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液体注出容器
JPH0639784U (ja) * 1992-03-04 1994-05-27 鐘紡株式会社 液体吐出容器
EP0653982B1 (en) * 1992-07-07 1997-09-10 Continental Pet Technologies, Inc. Method of forming container with high-crystallinity sidewall and low-clystallinity base
JP2001524423A (ja) * 1997-11-25 2001-12-04 マウザー−ヴェルケ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ウント コンパニー コマンディートゲゼルシャフト 積重ね可能な再使用容器
JP2003504277A (ja) * 1997-12-02 2003-02-04 フルオロウェア・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ブロー成形されたドラム
KR20030015313A (ko) * 2003-01-06 2003-02-20 이정민 배출대의 하단부가 용기의 저부에 고정되는 특징의액체용기 구조
JP2005528293A (ja) * 2002-04-23 2005-09-22 マウザー−ヴェルケ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ウント コンパニー コマンディートゲゼルシャフト プラスチックコンテナ
KR20070107669A (ko) * 2004-12-27 2007-11-07 사파스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연결기
KR20110053900A (ko) * 2009-11-16 2011-05-24 세키스이 세이케이 코교 가부시키가이샤 수지제 용기, 복합 용기 및 수지제 용기의 제조 방법
KR20110116294A (ko) * 2010-04-19 2011-10-26 김면남 빨대가 구비된 액체용기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414A (en) * 1867-11-05 Theodore r
US1430000A (en) * 1920-04-21 1922-09-26 Whitaker Glessner Company End closure for range boilers and like containers
US1619492A (en) * 1924-08-06 1927-03-01 Marvel Equipment Company Measuring and dispensing pump
US1725775A (en) * 1926-04-13 1929-08-27 Arthur C Badger Fire extinguisher
US1767680A (en) * 1929-10-01 1930-06-24 Albert E Hutt Pressure device in dispensing fluids and semifluids
US2087349A (en) * 1934-06-16 1937-07-20 Hubert H Lucker Beer keg
US2105487A (en) * 1934-12-07 1938-01-18 Carl F Lozon Carbonating and dispensing receptacle for liquids
US2405998A (en) * 1941-06-07 1946-08-20 Bastian Blessing Co Liquefied petroleum gas equipment
US2657826A (en) * 1950-05-27 1953-11-03 George W Ludowitz Container bottom structure
US2703138A (en) * 1950-12-28 1955-03-01 Parker Appliance Co Single point fueling and defueling system
US2912018A (en) * 1956-08-03 1959-11-10 Syfonex Pty Ltd Aeration of liquids
US3129730A (en) * 1961-07-14 1964-04-21 John F Simon Tapping system for liquid container or the like
GB1090723A (en) * 1964-01-21 1967-11-15 Ian Ainslie & Company Ltd Improvements relating to containers mould ed from plastics materials
DE3405064A1 (de) * 1984-02-13 1985-08-14 F.P.D. Future Patents Development Co. S.A., Luxemburg/Luxembourg Vorrichtung zum herstellen und verspruehen einer aus wenigstens zwei komponenten, z. b. fluessigkeiten, und einem treibgas bestehenden mischung
DE3636888A1 (de) * 1986-10-30 1988-05-11 Merck Patent Gmbh Transportbehaelter fuer hochreine chemikalien
US5002195A (en) * 1990-03-13 1991-03-26 Baker Hughes Incorporated Double containment tank liner system
US5071028A (en) * 1990-09-10 1991-12-10 Murphy Donald M Storage drum with drain channel
US6047846A (en) * 1991-02-25 2000-04-11 Greif Bros. Corp. Of Ohio Plastic drum with drain sump
US5597085A (en) * 1994-07-20 1997-01-28 Fluoroware, Inc. Composite, pressure-resistant drum type container
JPH11349070A (ja) * 1998-06-08 1999-12-21 Yasuko Sasaki ポンプ容器
JP2003237863A (ja) * 2002-02-18 2003-08-27 Lion Corp ディスペンサー付き容器の底部形状
US7814941B2 (en) * 2003-03-19 2010-10-19 Scepter Corporation Fluid transfer apparatus
US8171963B2 (en) * 2008-01-11 2012-05-08 Troy Sonnier Apparatus for extracting, measuring and transferring fluids
JP5252504B2 (ja) * 2009-08-31 2013-07-31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吸上げパイプ付き容器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4563U (ja) * 1991-07-26 1993-03-30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液体注出容器
JPH0639784U (ja) * 1992-03-04 1994-05-27 鐘紡株式会社 液体吐出容器
JPH063857U (ja) * 1992-06-22 1994-01-18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液体注出容器
EP0653982B1 (en) * 1992-07-07 1997-09-10 Continental Pet Technologies, Inc. Method of forming container with high-crystallinity sidewall and low-clystallinity base
JP2001524423A (ja) * 1997-11-25 2001-12-04 マウザー−ヴェルケ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ウント コンパニー コマンディートゲゼルシャフト 積重ね可能な再使用容器
JP2003504277A (ja) * 1997-12-02 2003-02-04 フルオロウェア・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ブロー成形されたドラム
JP2005528293A (ja) * 2002-04-23 2005-09-22 マウザー−ヴェルケ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ウント コンパニー コマンディートゲゼルシャフト プラスチックコンテナ
KR20030015313A (ko) * 2003-01-06 2003-02-20 이정민 배출대의 하단부가 용기의 저부에 고정되는 특징의액체용기 구조
KR20070107669A (ko) * 2004-12-27 2007-11-07 사파스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연결기
KR20110053900A (ko) * 2009-11-16 2011-05-24 세키스이 세이케이 코교 가부시키가이샤 수지제 용기, 복합 용기 및 수지제 용기의 제조 방법
JP2011121645A (ja) * 2009-11-16 2011-06-23 Sekisui Seikei Ltd 樹脂製容器及び複合容器、並びに樹脂製容器の製造方法
KR20110116294A (ko) * 2010-04-19 2011-10-26 김면남 빨대가 구비된 액체용기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332848A (zh) 2013-08-16
US20130105498A1 (en) 2013-05-02
KR101864853B1 (ko) 2018-06-05
JP5404739B2 (ja) 2014-02-05
JP2013091515A (ja) 2013-05-16
US8523003B2 (en) 2013-09-03
TWI602751B (zh) 2017-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46353A (ko) 수지제 용기
US20110049169A1 (en) Vented closure for container
US20090014403A1 (en) Liquid and air flow dividing arrangement for baby bottle
US9669972B2 (en) Anti-glug device for liquid containers and pour spouts
JP2015155333A (ja) 吐出容器
JP2011230840A (ja) 注出容器
US9908669B2 (en) Anti-glug device for liquid containers and pour spouts
RU2049022C1 (ru) Бочка с горловиной
US11691786B2 (en) Closure cap for bottle
EP3992107A1 (en) Discharge cap for double container and double container
US20180009580A1 (en) Spout assembly
JP2020193026A (ja) 二重容器用注出キャップ及び二重容器
JP4869914B2 (ja) 容器
RU2015129508A (ru) Коллектор для доильной машины
JP6396191B2 (ja) 二重容器
JP7169103B2 (ja) 吐出容器
JP2018140830A (ja) 注出キャップ及び注出容器
CN210527074U (zh) 一种低残留储存桶
JP7291556B2 (ja) 二重容器用注出キャップ及び二重容器
US11897659B2 (en) Container with a cap
US11718448B2 (en) Handle-equipped container
JP2019177931A (ja) 注出容器
JP2023060429A (ja) 組立式容器
KR20230119774A (ko) 액체 유출 안내구
CN103863639A (zh) 一种塑料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