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9774A - 액체 유출 안내구 - Google Patents

액체 유출 안내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9774A
KR20230119774A KR1020220015930A KR20220015930A KR20230119774A KR 20230119774 A KR20230119774 A KR 20230119774A KR 1020220015930 A KR1020220015930 A KR 1020220015930A KR 20220015930 A KR20220015930 A KR 20220015930A KR 20230119774 A KR20230119774 A KR 202301197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ontainer
guide
cover
storag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5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인
Original Assignee
제이아이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아이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이아이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15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9774A/ko
Publication of KR202301197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97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65D25/40Nozzles or spouts
    • B65D25/48Separable nozzles or spo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12Cans, casks, barrels, or drums
    • B65D1/20Cans, casks, barrels, or drums characterised by location or arrangement of filling or discharge aper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 B65D7/12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characterised by wall construction or by connections between walls
    • B65D7/4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characterised by wall construction or by connections between walls with walls formed with filling or emptying aper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체 유출 안내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페인트와 같은 액체를 저장하는 액체저장용기에 결합되어 저장된 액체 유출 시 액체저장용기 상단에 뚜껑 결합을 위해 형성된 테두리홈으로 액체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액체 유출 안내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액체 유출 안내구는 액체저장용기에 결합 시 액체저장용기의 측 방향을 돌출되게 결합되므로 액체저장용기의 내부에 저장된 액체 유출 시 액체저장용기의 기울기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액체 유출 안내구는 액체저장용기의 뚜껑결합부가 용기결합부에 측방향으로 삽입되어 테두리홈과 함께 용기본체의 상단과 뚜껑결합부의 상단이 함께 덮이므로 테두리홈으로 액체가 유입되는 것을 원천봉쇄할 수 있으며, 액체저장용기가 기울어져 액체 유출 시 액체저장용기에 결합력이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액체 유출 안내구{Liquid spill guide for liquid storage container}
본 발명은 액체 유출 안내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페인트와 같은 액체를 저장하는 액체저장용기에 결합되어 저장된 액체 유출 시 액체저장용기 상단에 뚜껑 결합을 위해 형성된 테두리홈으로 액체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액체 유출 안내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큰 페인트 통에 담긴 페인트는 작은 용기에 부어서 사용하는 데, 페인트 통을 옆으로 기울여서 페인트를 다른 용기에 붓고 나서 세울 때, 가장자리에 있던 페인트가 페인트 통 외면을 타고 흘러내려 바닥에 떨어져서 페인트 통과 바닥이 지저분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999-0041282호에는 페인트가 페인트 통의 외면을 타고 바닥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페인트 통의 가장자리를 따라 테두리홈을 형성하고, 테두리홈의 바닥에 장공을 형성한 페인트 흘러내림 방지용 페인트 통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페인트 통은 테두리홈에 결합되는 뚜껑 부분에 페인트가 묻어서 뚜껑이 쉽게 지저분해지고, 페인트를 다른 용기에 부을 때 장공을 통해 테두리홈으로 페인트가 많이 유입되어 장공 주변의 테두리홈에 페인트가 많이 묻게 되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98439호에는 페이트 통의 테두리홈에 페인트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일회용 유출구가 게시되어 있다.
상기 일회용 유출구는 페인트 용기에 결합 시 페인트 용기의 길이방향으로 깔때기부가 연장되어 있어, 페인트 용기를 많이 기울어 주어야하며 이에 따라 페인트가 한번에 많이 쏟아질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일회용 유출구는 테두리 홈이 인입형성된 방향으로 페인트 용기에 결합되므로, 페인트 유출 시 페인트 용기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며, 페인트 유출 후 페인트 용기를 세웠을 때 테두리홈에 삽입된 측을 따라 테두리홈으로 페인트가 유입될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30622호 : 페인트 흘러내림 방지용 페인트통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98439호 : 일회용 유출구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액체저장용기의 측 방향을 돌출되게 결합되어 액체저장용기의 내부에 저장된 액체 유출 시 액체저장용기의 기울기를 줄일 수 있으면서 뚜껑과 결합하기 위해 액체저장용기에 형성된 테두리 홈에 액체가 유입되지 않게 액체가 유출되는 측의 테두리홈 상방을 덮는 액체 유출 안내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액체저장용기의 테두리홈이 형성된 뚜껑결합부에 측방향으로 결합되어 액체저장용기에서 액체 유출 시 결합력이 향상될 수 있는 액체 유출 안내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액체 유출 안내구는 뚜껑을 결합하기 위해 액체저장용기의 액체가 저장되는 용기본체의 상부 내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돌출된 뚜껑결합부가 측 방향으로 부분 삽입되게 상기 뚜껑 결합부가 돌출된 방향으로 인입되며 길이방향 양측으로 개방된 제1결합홈이 형성된 제1용기결합부와, 상기 액체저장용기 내의 액체 배출 시 상기 뚜껑결합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하방으로 인입 형성된 테두리홈으로 액체가 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테두리홈의 일측 상방을 덮는 상기 제1용기결합부의 상단에서 상기 액체저장용기의 측 방향으로 상기 액체저장용기에 돌출되게 연장되어 상기 액체저장용기에서 유출되는 액체를 안내하는 액체가이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액체 유출 안내구는 상기 제1용기결합부의 상단 폭 방향 일측 또는 타측 가장자리에서부터 상기 액체가이드부의 폭 방향 일측 또는 타측 가장자리까지 측 방향으로 각각 길이 연장되며 상기 제1용기결합부의 상단과 상기 액체가이드부의 상면에 대해 상방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가이드리브를 포함하는 제1오버플로우 방지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뚜껑결합부는 상기 액체저장용기의 상방으로 개방된 수용공간을 갖는 용기 본체의 내주면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제1수평연장부와, 상기 제1연장부의 돌출된 단부를 따라 하방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제1수직연장부와, 상기 제1수직연장부의 하단을 따라 상기 제1수평연장부에 나란하게 상기 용기 본체에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된 제2수평연장부와, 상기 제2수평연장부의 단부를 따라 상기 제1수직연장부에 나란하게 상방으로 연장되되 상단이 상기 용기 본체의 상단과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되게 연장되는 제2수직연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용기결합부는 상기 테두리홈과 함께 상기 용기본체의 상단과 상기 제2수징연장부의 상단을 덮을 수 있는 폭을 가지며 상기 뚜껑결합부의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제1커버부와, 상기 용기본체의 내측을 향하는 상기 제1커버부의 폭 방향 단부에서 하방으로 돌출되게 상기 제2수징연장부에 나란하게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커버부와, 상기 제2커버부의 단부에서 상기 용기본체의 내주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수평연장부의 하면과 면접하는 제3커버부와, 상기 제3커버부의 단부에서 상기 용기본체의 내주면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도료상승가이드부와, 상기 제3커버부의 단부와 상기 도로상승 가이드부의 상단 사이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수직연장부의 측면 하부와 마주하도록 상방으로 돌출되는 구속턱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액체 가이드부는 상기 용기본체의 외부를 향하는 상기 제1커버부의 단부에서 상기 용기본체의 측 방향으로 멀어지되 상향 경사지게 연장될 수도 있다.
상기 제2커버부는 상기 용기본체의 중심측을 향하는 일측면에서 상기 용기본체의 내주면을 향하는 타측면 방향으로 인입되되 상기 제3커버부에서 상기 제1커버부로 갈수록 인입된 폭이 좁아지며 상하방향으로 개방된 유출가이드홈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액체 유출 안내구는 액체저장용기에 결합 시 액체저장용기의 측 방향을 돌출되게 결합되므로 액체저장용기의 내부에 저장된 액체 유출 시 액체저장용기의 기울기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액체 유출 안내구는 액체저장용기의 뚜껑결합부가 용기결합부에 측방향으로 삽입되어 테두리홈과 함께 용기본체의 상단과 뚜껑결합부의 상단이 함께 덮이므로 테두리홈으로 액체가 유입되는 것을 원천봉쇄할 수 있으며, 액체저장용기가 기울어져 액체 유출 시 액체저장용기에 결합력이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액체 유출 안내구가 페인트 통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액체 유출 안내구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액체 유출 안내구가 용기본체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액체 유출 안내구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액체 유출 안내구가 액체저장용기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액체 유출 안내구가 액체저장용기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액체 유출 안내구에 대한 분리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액체 유출 안내구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액체 유출 안내구(10)를 설명하기에 앞서, 액체 저장 용기(1)에 대해 설명한다.
액체저장용기(1)는 상방으로 개방된 수용공간(3)을 가져 액체가 저장되는 원통 형상의 용기 본체(2)와, 용기 본체(2)의 내주면에 돌출되되 원주방향을 따라 링 형태로 길이연장되어 수용공간(3)을 개폐하는 뚜껑(미도시)이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뚜껑결합부(4)로 이루어진다.
뚜껑 결합부(4)는 하방으로 인입되되 통 본체(2)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뚜껑의 하부가 삽입되는 링 형상의 테두리홈(5)이 형성된다.
뚜껑 결합부(4)는 도 3을 참고하면, 용기 본체(2)의 내주면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수평하게 돌출되어 링 형상으로 연장되되 용기 본체(2)의 상단에서 하방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제1수평연장부(6)와, 제1수평연장부(6)의 돌출된 단부를 따라 하방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링 형상의 제1수직연장부(7)와, 제1수직연장부(7)의 하단을 따라 제1수평연장부(6)에 나란하게 용기 본체(2)에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된 링 형성의 제2수평연장부(8)와, 제2수평연장부(8)의 단부을 따라 제1수직연장부(7)에 나란하게 상방으로 연장되되 상단이 용기 본체(2)의 상단과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되게 연장되게 제2수직연장부(9)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액체 유출 안내구(10)는 제1용기 결합부(12)와, 액체 가이드부(32)와, 제1오버플로우 방지부(36,38)를 구비한다.
제1용기 결합부(12)는 원주방향으로 뚜껑 결합부(4)과 동일한 호형곡률을 갖도록 연장되되 뚜겅결합부(4)가 측 방향으로 부분 삽입되게 뚜껑 결합부(4)가 통 본체(2)에 대해 돌출된 방향으로 인입되며 길이방향 양측으로 개방된 제1결합홈(13)이 형성된다.
제1용기 결합부(12)는 테두리홈(5)과 함께 용기본체(2)의 상단과 제2수징연장부(7)의 상단을 덮을 수 있는 폭을 가지며 뚜껑결합부(4)의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제1커버부(14)와, 용기 본체(2)의 내측을 향하는 제1커버부(14)의 폭 방향 단부에서 하방으로 돌출되게 제2수직연장부(7)에 나란하게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커버부(15)와, 제2커버부(15)의 단부에서 용기본체(2)의 내주면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2수평연장부의 하면과 면접하는 제3커버부(16)와, 제3커버부(16)의 단부에서 용기본체(2)의 내주면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도료상승가이드부(17)와, 제3커버부(16)의 단부와 도료상승 가이드부(17)의 상단 사이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제1수직연장부(7)의 측면 하부와 마주하도록 상방으로 돌출되는 구속턱부(18)를 구비한다.
구속턱부(18)는 상방으로 갈수록 돌출된 폭이 좁아지게 형성되며, 제3커버부(16)의 단부의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길이에 대응되게 연장될 수도 있고, 제3커버부(16)의 단부와 도로상승 가이드부(17)의 상단 사이에 돌기 형태로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마다 형성될 수도 있다.
도료상승가이드부(17)는 용기본체의 내주면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상면(17a)보다 하면(17b)이 길게 연장되어, 상면과 하면을 연결하며 용기본체의 내주면을 향하는 일단면(17c)이 용기본체의 내주면에 접한다.
액체 가이드부(32)는 용기본체(2) 내의 액체 배출 시 테두리홈(5)으로 액체가 유입되지 않도록 테두리홈(5)의 일측 상방을 덮는 제1커버부(14)에서 용기 본체(2)의 측 방향으로 용기본체(2)에 돌출되게 연장되어 용기본체(2)에서 유출되는 액체를 안내한다.
액체 가이드부(32)는 폭 방향 중심측이 폭 방향 양측보다 하방에 위치되게 횡단면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나, 도시된 바와 다르게, 폭 방향 양측과 중심측이 동일 선상에 위치되게 평평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액체 가이드부(32)는 액체가 배출되어 낙하하는 위치가 집중되게 용기본체(2)에 멀어질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는, 액체 가이드부(32)는 액체가 배출되어 낙하하는 범위가 확장되게 용기본체(2)에 멀어질수록 폭이 넓어지고 폭 방향 중심측이 폭 방향 양측보다 상방에 위치되게 횡단면이 볼록한 곡률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제1오버플로우방지부는 용기결합부(12)의 상단 폭 방향 일측 가장자리에서부터 액체가이드부(32)의 폭 방향 일측 가장자리까지 길이 연장되며 용기결합부(12)의 상단과 액체가이드부(32)의 상면에 대해 상방으로 돌출되는 방향으로 폭을 갖는 제1가이드리브(36)와, 용기결합부(12)의 상단 폭 방향 타측 가장자리에서부터 액체가이드부(32)의 폭 방향 타측 가장자리까지 길이 연장되며 용기결합부(12)의 상단과 액체가이드부(32)의 상면에 대해 상방으로 돌출되는 방향으로 폭을 갖는 제2가이드리브(38)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액체 유출 안내구(10)는 뚜껑결합부(4)가 삽입 시, 제1용기 결합부(12)의 구속턱부(18)와 제1커버부(14) 사이가 일시적으로 상호 멀어지게 벌어질 수 있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액체 유출 안내구(10)는 액체저장용기에 결합 시 액체저장용기의 측 방향을 돌출되게 결합되므로 액체저장용기의 내부에 저장된 액체 유출 시 액체저장용기의 기울기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액체 유출 안내구(10)는 액체저장용기(1)의 뚜껑결합부(4)가 제1용기결합부(12)에 측방향으로 삽입되어 테두리홈(5)과 함께 용기본체(2)의 상단과 뚜껑결합부(4)의 상단이 함께 덮이므로 테두리홈(5)으로 액체가 유입되는 것을 원천 봉쇄할 수 있으며, 액체저장용기가 기울어져 액체 유출 시 액체저장용기에 결합력이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도 4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액체 유출 안내구(110)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한 도면에서와 동일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액체 유출 안내구(110)는 제1용기결합부(12)와, 액체가이드부(132)와, 제1오버플로우방지부(136,138)을 구비한다.
액체 가이드부(132)는 용기본체(2)의 외부를 향하는 제1커버부(14)의 단부에서 용기본체(2)의 측 방향으로 멀어지되 상향 경사지게 연장된다. 액체 가이드부(132)은 제1커버부(14)의 상면에 대해 10도 내지 45도 범위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오버플로우방지부의 제1 및 제2가이드리브(136,138)는 도시된 바와 같이, 액체가이드부(132)와 함께 상향 경사지게 연장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액체 유출 안내구(110)는 액체가이드부(132)가 용기본체(2)의 외주면과 둔각을 이루어 용기본체(2)를 기울여 액체가 유출 시 액체가 과하게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도 5에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액체 유출 안내구(210)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한 도면에서와 동일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액체 유출 안내구(210)는 제1용기결합부(212)와, 액체가이드부(32)와, 제1오버플로우방지부(36,38)를 구비한다.
제1용기결합부(212)는 제2커버부(215)를 제외하고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제1용기결합부의 구조와 동일한다.
제2커버부(215)는 제1커버부(14)와 제3커버부(16)을 연결하도록 제2수직연장부(9)에 나란하게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데, 용기본체(215)의 중심측을 향하는 일측면에서 용기본체(2)의 내주면을 향하는 타측면 방향으로 인입되되 제3커버부(16)에서 제1커버부(14)로 갈수록 인입된 폭이 좁아지며 상하방향으로 개방된 유출가이드홈(216)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액체 유출 안내구(210)는 용기본체(2)를 기울였을 때, 제1커버부(14)로 갈수록 폭이 좁아진 유출가이드홈(216)으로 액체가 유입되어 액체가이드부(32)의 폭 중심측으로 집중되므로 액체 유출 효율이 향상되고 테두리홈으로 액체가 넘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도 6 및 도 7에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액체 유출 안내구(310)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액체 유출 안내구(310)는 제1용기결합부(12)와 액체가이드부(32) 및 제1오버플로우방지부(36,38)을 포함하는 가이드본체(11)와; 가이드본체(11)의 양측에 위치되게 뚜껑결합부(4)에 결합되어 가이드본체(11)와 함께 링 형상의 테두리홈(5)의 반원을 덮는 제1 및 제2보조가이드(51,71);를 구비한다.
제1보조가이드(51)와 제2보조가이드(71)는 가이드본체(11)를 사이에 두고 상호 대칭되게 형성된다.
제1보조가이드(51)는 뚜껑결합부(4)가 측 방향으로 삽입되는 제2용기결합부(52)와, 제2용기결합부(52)의 상단에 대해 상방으로 돌출되며 제1용기결합부(12)의 제2커버부(15)의 일측과 제1가이드리브(36)를 덮을 수 있도록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제2용기결합부(52)의 일단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2오버플로우방지부(61)를 구비한다.
제2보조가이드(71)는 뚜껑결합부(4)가 측 방향으로 삽입되는 제3용기결합부(72)와, 제3용기결합부(72)의 상단에 대해 상방으로 돌출되며 제1용기결합부(12)의 제2커버부(15)의 타측과 제2가이드리브(38)를 덮을 수 있도록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제3용기결합부(72)의 일단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3오버플로우방지부(81)를 구비한다.
제2 및 제3용기결합부(52,72)는 상호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제2 및 제3용기결합부(52,72)는 테두리홈(5)과 함께 용기본체(2)의 상단과 제2수징연장부(7)의 상단을 덮을 수 있는 폭을 가지며 뚜껑결합부(4)의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제1커버부(14)와, 용기 본체(2)의 내측을 향하는 제1커버부(14)의 폭 방향 단부에서 하방으로 돌출되게 제2수징연장부(7)에 나란하게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되 제2커버부(15)보다 큰 두께를 갖는 제4커버부(55)와, 제4커버부(55)의 단부에서 용기본체(2)의 내주면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2수평연장부의 하면과 면접하는 제3커버부(16)와, 도료상승가이드부(17)와, 구속턱부(18)를 각각 구비한다.
제2오버플로우방지부(61)는 제2용기결합부(52)의 제4커버부(55)의 상방에 위치되게 용기본체(2)의 중심측을 향하는 제2용기결합부(52)의 제1커버부(14) 폭 방향 단부측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며 제2용기결합부(51)의 연장방향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제3가이드리브(62)와, 가이드본체(11)의 폭 방향 일측과 접하는 제2용기결합부(52)의 제4커버부(55)와 제3가이드리브(62)의 단부에서 제1가이드리브(63)와 제2커버부(15)의 일측을 덮도록 제2용기결합부(52)의 제4커버부(55)와 제3가이드리브(62)보다 적은 두께로 제2용기결합부(52)의 제4커버부(55)와 제3가이드리브(63)의 연장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누출방지리브(63)와, 제1누출방지리브(63)의 상부에서 제1가이드리브(36)의 측면을 덮도록 연장된 제2누출방지리브(64)를 구비한다.
제3오버플로우방지부(81)는 제3용기결합부(72)의 제4커버부(55)의 상방에 위치되게 용기본체(2)의 중심측을 향하는 제3용기결합부(72)의 제1커버부(14) 폭 방향 단부측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며 제3용기결합부(71)의 연장방향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제4가이드리브(82)와, 가이드본체(11)의 폭 방향 타측과 접하는 제3용기결합부(72)의 제4커버부(55)와 제4가이드리브(82)의 단부에서 제1가이드리브(63)와 제2커버부(15)의 타측을 덮도록 제3용기결합부(72)의 제4커버부(55)와 제4가이드리브(82)보다 적은 두께로 제3용기결합부(72)의 제4커버부(55)와 제4가이드리브(82)의 연장방향으로 돌출되는 제3누출방지리브(83)와, 제3누출방지리브(83)의 상부에서 제2가이드리브(38)의 측면을 덮도록 연장된 제4누출방지리브(84)를 구비한다.
제3 및 제4가이드리브(62,82)는 제1 및 제2가이드리브(36,68)보다 용기본체(2)의 길이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액체 유출 안내구(310)는 가이드본체(11)의 양측에 배치되는 제1 및 제2보조가이드(51,71)에 의해 용기본체(2)에 형성된 테두리홈(5)의 절반을 덮으므로 용기본체(2)를 급하게 기울이더라도 테두리홈(5)으로 액체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액체 유출 안내구(310)는 가이드본체(11)와 제1 및 제2보조가이드(51,71)가 뚜껑결합부(4)가 측방향으로 삽입되고 구속턱부(18)에 각각 구속되므로 액체저장용기(2)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어 액체 유출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액체 유출 안내구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등록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액체 저장 용기 2 : 용기본체
4 : 뚜껑결합부 5 : 테두리홈
10 : 액체 유출 안내구 12 : 용기결합부
32 : 액체가이드부

Claims (7)

  1. 뚜껑을 결합하기 위해 액체저장용기의 액체가 저장되는 용기본체 상부 내주면을 따라 돌출되며 하방으로 인입된 테두리홈이 형성된 뚜껑결합부가 측 방향으로 부분 삽입되게 상기 뚜껑결합부가 돌출된 방향으로 인입되며 상기 뚜껑결합부의 길이연장 방향 양측으로 개방된 제1결합홈이 형성된 제1용기결합부와,
    상기 제1용기결합부 상단에서 상기 액체저장용기에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액체저장용기에서 유출되는 액체를 안내하는 액체가이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유출 안내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가이드부는
    상기 제1용기결합부의 상단에서 상기 액체저장용기의 측 방향으로 상기 액체저장용기에 돌출되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유출 안내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용기결합부의 상단 폭 방향 일측 또는 타측 가장자리에서부터 상기 액체가이드부의 폭 방향 일측 또는 타측 가장자리까지 측 방향으로 각각 길이 연장되며 상기 제1용기결합부의 상단과 상기 액체가이드부의 상면에 대해 상방으로 돌출되는 제1 및 제2 가이드리브를 포함하는 제1오버플로우 방지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유출 안내구.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가이드부는
    상기 액체저장용기에 멀어질수록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유출 안내구.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결합부는
    상방으로 개방된 수용공간을 갖는 상기 용기 본체의 내주면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제1수평연장부와, 상기 제1수평연장부의 돌출된 단부를 따라 하방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제1수직연장부와, 상기 제1수직연장부의 하단을 따라 상기 제1수평연장부에 나란하게 상기 용기 본체에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된 제2수평연장부와, 상기 제2수평연장부의 단부를 따라 상기 제1수직연장부에 나란하게 상방으로 연장되되 상단이 상기 용기 본체의 상단과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되게 연장되는 제2수직연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용기결합부는
    상기 테두리홈과 함께 상기 용기본체의 상단과 상기 제2수징연장부의 상단을 덮을 수 있는 폭을 가지며 상기 뚜껑결합부의 길이연장 방향으로 연장된 제1커버부와, 상기 용기본체의 내측을 향하는 상기 제1커버부의 폭 방향 단부에서 하방으로 돌출되게 상기 제2수징연장부에 나란하게 길이연장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커버부와, 상기 제2커버부의 단부에서 상기 용기본체의 내주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수평연장부의 하면과 면접하는 제3커버부와, 상기 제3커버부의 단부에서 상기 용기본체의 내주면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도료상승가이드부와, 상기 제3커버부의 단부와 상기 도료상승 가이드부의 상단 사이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수직연장부의 측면 하부와 마주하도록 상방으로 돌출되는 구속턱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유출 안내구.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커버부는
    상기 용기본체의 중심측을 향하는 일측면에서 상기 용기본체의 내주면을 향하는 타측면 방향으로 인입되되 상기 제3커버부에서 상기 제1커버부로 갈수록 인입된 폭이 좁아지며 상하방향으로 개방된 유출가이드홈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유출 안내구.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용기결합부, 상기 액체가이드부 및 상기 제1오버플로우 방지부를 포함하는 가이드본체와;
    상기 가이드본체의 양측에 위치되게 상기 뚜껑결합부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본체와 함께 링 형상의 상기 테두리홈의 반원을 덮는 제1 및 제2보조가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제1보조가이드는 상기 뚜껑결합부가 측 방향으로 삽입되는 제2용기결합부와, 상기 제2용기결합부의 상단에 대해 상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2커버부의 일측과 상기 제1가이드리브를 덮을 수 있도록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제2용기결합부의 일단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2오버플로우방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보조가이드는 상기 뚜껑결합부가 측 방향으로 삽입되는 제3용기결합부와, 상기 제3용기결합부의 상단에 대해 상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2커버부의 타측과 상기 제2가이드리브를 덮을 수 있도록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제3용기결합부의 일단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3오버플로우방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유출안내구.
KR1020220015930A 2022-02-08 2022-02-08 액체 유출 안내구 KR202301197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5930A KR20230119774A (ko) 2022-02-08 2022-02-08 액체 유출 안내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5930A KR20230119774A (ko) 2022-02-08 2022-02-08 액체 유출 안내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9774A true KR20230119774A (ko) 2023-08-16

Family

ID=87848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5930A KR20230119774A (ko) 2022-02-08 2022-02-08 액체 유출 안내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19774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0622Y1 (ko) 1998-05-07 2001-11-22 김익신 페인트 흘러내림 방지용 페인트통
KR200398439Y1 (ko) 2005-07-14 2005-10-12 김경훈 일회용 유출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0622Y1 (ko) 1998-05-07 2001-11-22 김익신 페인트 흘러내림 방지용 페인트통
KR200398439Y1 (ko) 2005-07-14 2005-10-12 김경훈 일회용 유출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63615C2 (ru) Закрывающий элемент для упаковки для жидкого или пастообразного материала и пленочный пакет
KR20130046353A (ko) 수지제 용기
US20100108701A1 (en) Splash-resistant drinking device
KR20230119774A (ko) 액체 유출 안내구
KR20080040106A (ko) 용기용 마개
CN1741943A (zh) 一种饮料瓶
JP4987676B2 (ja) 飲料用容器
JP4453381B2 (ja) 貯水装置
JP3307588B2 (ja) 合成樹脂シート製流体用袋容器
JP3068090B1 (ja) 容器用栓
KR20080006525U (ko) 복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뚜껑을 구비하는 물통
JPH0330280Y2 (ko)
US5794824A (en) Vessel for containing liquid
JP5413961B2 (ja) ピッチャー
JP3241842U (ja) ピッチャー
CA2425644C (en) Barrel-like container with cover designed for complete drainage
DE4206405A1 (de) Stapelbares spundfass aus kunststoff
TWM648110U (zh) 就口杯蓋
EP0662914B1 (en) Vessel for containing liquid
CN216233457U (zh) 一种防漏容器瓶
JP3023787U (ja) 注出口付キャップ
JP5736165B2 (ja) スクイズ容器用キャップ
CN214397728U (zh) 一种倒油嘴以及具有倒油嘴的油瓶
RU2766328C2 (ru) Кружка
JP3699185B2 (ja) インナーキャ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