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5231A - 모터 - Google Patents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5231A
KR20130045231A KR1020127012738A KR20127012738A KR20130045231A KR 20130045231 A KR20130045231 A KR 20130045231A KR 1020127012738 A KR1020127012738 A KR 1020127012738A KR 20127012738 A KR20127012738 A KR 20127012738A KR 20130045231 A KR20130045231 A KR 201300452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amplifier
connection
connection table
electr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2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46477B1 (ko
Inventor
유키 고하라
가즈유키 에노모토
치앙송 샤오
가즈아키 안도
아키라 다나베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45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52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6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64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02K5/225Terminal boxes or connec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24Casings; Enclosures;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suppression or reduction of noise or vibr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3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ontrol circuits or drive circuits
    • H02K11/33Drive circuits, e.g. power electronic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Abstract

코일이 감겨 장착된 스테이터 및 상기 스테이터 내에 배치되어 회전축을 회전구동하는 로터를 구비하는 모터부와, 상기 모터부와 일체화되어 상기 모터부에 구동전력을 공급하는 앰프부를 구비하는 모터에 있어서, 상기 모터부와 앰프부는 결선대를 통하여 나사에 의해 전기적, 기계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결선대의, 상기 회전축의 축심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상에 배치된 상기 모터부와의 복수의 전기적 접속부의 피치지름이 상기 앰프부와의 복수의 전기적, 기계적 접속부의 피치지름보다 작으며, 상기 앰프부는 상기 회전축과 직각방향으로 복수의 회로기판이 적층 모양으로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회로기판은 도전성의 스페이서를 통하여 전기적, 기계적으로 상기 결선대의 상기 앰프부와의 복수의 전기적, 기계적 접속부에 나사 체결되어 있다.

Description

모터 {MOTOR}
본 발명은 앰프 일체형의 모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모터와 이 모터에 구동전력을 공급하는 앰프는 별도로 이루어지는 것이 주류이지만, 별도형은 앰프를 수용하는 제어반이 필요하고, 또, 모터와 앰프를 접속하는 배선이 필요하므로, 앰프 일체형의 모터가 유리하다.
앰프 일체형의 모터는 모터에 장착되는 앰프부의 용적을 작게 하여 모터 전체를 소형화하는 것과, 간단한 조립구조로 하는 것의 양립이 어려웠다. 또, 앰프부는 다수의 요소부품에 의해 구성되며, 모터부에 비해 고장율이 높으므로, 요소부품이 교환 가능한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 모터 케이스 내에 모터용의 구성요소를 수납한 모터에서, 모터 케이스의 일부를 구성하는 모듈 케이스 내에 적어도 모터 구동용의 회로기판과 스위칭 소자를 수납하고, 구동회로모듈로서 일체화 형성하며, 상기 구동회로모듈을 수지 봉입한 모터가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평11-356006호 공보
그렇지만, 상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종래의 기술에 의하면, 회로기판 등(앰프부)을 구동회로모듈로서 일체화 형성하여, 수지 봉입하고 있으므로, 앰프부의 분해가 불가능하여 요소부품 고장시에 수리나 교환을 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수지 봉입시의 열스트레스에 의해, 요소부품의 고장율이 높아진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모터부와 앰프부의 접속시의 조립 용이성을 확보하고, 신뢰성을 향상하며, 구조를 간소화함과 아울러, 앰프부의 요소부품의 보수성을 확보하고, 제작시의 열스트레스를 회피한 앰프 일체형의 모터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코일이 감겨 장착된 스테이터 및 상기 스테이터 내에 배치되어 회전축을 회전구동하는 로터를 구비하는 모터부와, 상기 모터부와 일체화되어 상기 모터부에 구동전력을 공급하는 앰프부를 구비하는 모터에 있어서, 상기 모터부와 앰프부는 결선대(結線臺)를 통하여 나사에 의해 전기적, 기계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결선대의, 상기 회전축의 축심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圓周)상에 배치된 상기 모터부와의 복수의 전기적 접속부의 피치지름이 상기 앰프부와의 복수의 전기적, 기계적 접속부의 피치지름보다 작고, 상기 앰프부는 상기 회전축과 직각방향으로 복수의 회로기판이 적층 모양으로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회로기판은 도전성의 스페이서를 통하여 전기적, 기계적으로 상기 결선대의 상기 앰프부와의 복수의 전기적, 기계적 접속부에 나사 체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모터는 모터부와 앰프부의 접속시의 조립 용이성을 확보하고, 신뢰성을 향상하며, 구조를 간소화함과 아울러, 앰프부의 요소부품의 보수성을 확보하고, 제작시의 열스트레스를 회피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모터의 실시형태 1을 나타내는 부분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B-B선에 따른 횡단면도이다.
도 4는 실시형태 1의 결선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실시형태 1의 브래킷의 체결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실시형태 1의 결선대의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관한 모터의 실시형태 2를 나타내는 부분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C-C선에 따른 횡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관한 모터의 실시형태 3을 나타내는 부분 종단면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에 관한 모터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근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형태 1.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모터의 실시형태 1을 나타내는 부분 종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횡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B-B선에 따른 횡단면도이고, 도 4는 실시형태 1의 결선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5는 실시형태 1의 브래킷의 체결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6은 실시형태 1의 결선대의 종단면도이다.
도 1 ~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형태 1의 모터(91)는 모터부(10)와, 모터부(10)의 반(反)부하 측(부하 측(14a)과 반대 측)에 장착되어 모터부(10)와 일체화되어 모터부(10)에 구동전력을 공급하는 앰프부(20)를 구비하고 있다. 모터부(10)와 앰프부(20)는 결선대(30)에 의해 전기적, 기계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모터부(10)는 반부하 측의 브래킷(12)을 가지는 모터 케이스(11)와, 모터 케이스(11) 내에 고정된 스테이터(도시생략)와, 스테이터에 감겨 장착된 각 상의 코일(17)과, 케이스(1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회전축(14)과, 회전축(14)에 고정되어 스테이터 내에 배치된 로터(15)를 구비하고, 앰프부(20)로부터 결선대(30)를 통하여 각 상의 코일(17)에 전력이 공급되며, 로터(15)가 회전하여 회전축(14)을 회전구동하며, 회전축(14)의 부하 측(14a)으로부터 회전이동력을 출력한다.
각 상(相)의 코일(17)의 반부하 측에는 링 모양의 코일배선기판(18)이 배치되고, 각 상의 코일(17)은, 각각, 코일배선기판(18)의 각 회로에 접속되어 전력이 공급된다. 코일배선기판(18)의 반부하 측에는 코일배선기판(18)과 결선대(30)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막대 모양의 도전성의 모터 측의 스페이서(19)가 배치되어 있다. 스페이서(19)의 단부에는 나사구멍이 마련되어 있다. 스페이서(19)는 브래킷(12)에 마련된 둥근구멍(12c)(도 5 참조)을 통하여 결선대(30)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결선대(30)는 절연성을 가지는 수지에 의해 형성되고, 원반부(30a)와, 원반부(30a)의 외연부에 마련된 복수(실시형태 1에서는 4개)의 횡단면이 주형(舟形, 배 형상)인 베이스부(30b)를 가지고 있다. 베이스부(30b)의 근원에 인접하는 원반부(30a)에는 직사각형 구멍(30c)이 마련되어 있다.
결선대(30)의 원반부(30a)는 브래킷(12)에 마련된 원형의 오목부(12a)에 끼워맞춰진다. 원반부(30a)의 외주부는 대부분이 오목부(12a)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며, 서로 90° 이격한 4개소의 볼록부(30d)만이 오목부(12a)의 내경과 동일한 외경에 고정밀도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고정밀도 가공하는 부분의 면적을 줄여, 비용 다운을 도모하고 있다.
결선대(30)의 원반부(30a)의 이면 측에는 1개 또는 복수의 돌기(30e)가 마련되어 있다. 돌기(30e)를 대응하는 브래킷(12)의 구멍에 끼워맞춤시켜, 결선대(30)의 둘레방향의 회전멈춤(위치결정)을 행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결선대(30)의 원반부(30a)의 3개소의 볼록부(30d)의 내측에는 90°씩 이격한 3개의 나사통과구멍(30f)이 마련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브래킷(12)의 오목부(12a) 내에는 결선대(30)의 3개의 나사통과구멍(30f)에 대응하는 3개의 나사구멍(12b)이 마련되어 있다. 체결대(30)는 3개의 나사(31)(도 2 참조)를 나사통과구멍(30f)으로 통과시키고, 브래킷(12)의 나사구멍(12b)에 돌려 넣음으로써, 브래킷(12)에 기계적으로 접속된다. 나사통과구멍(30f) 및 나사구멍(12b)이 90°씩 이격하여 3개밖에 마련되지 않기 때문에, 브래킷(12)에 대한 결선대(30)의 둘레방향 장착위치는 일의적으로 정해져, 장착 실수가 발생하지는 않는다. 또한, 나사통과구멍(30f) 및 나사구멍(12b)을 3개 이상 마련하고, 이들을 부등각도 간격으로 배치해도 된다.
도 1 ~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결선대(30)에는 복수(4개)의 결선단자(33)가 끼워넣음에 의해 장착되어 있다. 결선단자(33)는 결선대(30)의 베이스부(30b)의 일측면에 따르는 몸통부(33a)와, 몸통부(33a)의 일단에 접속하고, 몸통부(33a)와 직각을 이루며, 베이스부(30b)의 단면에 따르는 앰프 측 단자(33b)와, 몸통부(33a)의 타단에 접속하고, 몸통부(33a)와 직각을 이루며, 앰프 측 단자(33b)와 반대방향을 향하여, 결선대(33)의 직사각형 구멍(30c) 내에 삽입되는 모터 측 단자(33c)를 가지고 있다. 실시형태 1에서는, 결선단자(33)를 끼워넣음에 의해 결선대(30)에 장착했지만, 결선단자(33)를 결선대(30)에 인서트 성형에 의해 장착하도록 해도 된다.
앰프 측 단자(33b)에는 나사구멍(33e)이 마련되고, 모터 측 단자(33c)에는 나사통과구멍(33f)이 마련되어 있다. 나사구멍(33e)이 마련된 앰프 측 단자(33b)는 앰프부(20)와의 전기적, 기계적 접속부를 구성하고, 나사통과구멍(33f)이 마련된 모터 측 단자(33c)는 모터부(10)와의 전기적 접속부를 구성하고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터 측 단자(33c)의 나사통과구멍(33f)(모터부(10)와의 전기적 접속부)의 피치지름 φd는 앰프 측 단자(33b)의 나사구멍(33e)(앰프부(20)와의 전기적, 기계적 접속부)의 피치지름 φD보다 작게 되고, 모터부(10)와의 전기적 접속부와 앰프부(20)와의 전기적, 기계적 접속부는 정면에서 보아 겹치지 않는다. 그러므로, 나사(32)를 모터 측 단자(33c)의 나사통과구멍(33f)을 통하여 모터 측의 스페이서(19)의 나사구멍에 나사를 넣을 때, 앰프 측으로부터 찔러 넣은 드라이버를 앰프 측 단자(33b)(앰프부(20)와의 전기적, 기계적 접속부)가 방해하지 않아, 나사체결작업이 용이하다.
또, 모터 측의 스페이서(19)가 모터(91)의 중심 가까이에 배치되므로, 모터부(10)에서는 외연부의 스페이스를 이용하여, 수지 몰드 프레임(11a)과 브래킷(12)의 끼워맞춤부(11b), O링(11c), 코일 결선(17a) 등을 배치할 수 있다. 또, 앰프부(20)에서는 중심부의 스페이스를 이용하여, 전자 부품을 배치할 수 있어, 데드 스페이스를 줄일 수 있다.
또,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4개의 나사구멍(33e)(모터부(10)와의 전기적 접속부)의 각도 간격 A1 ~ A4 및 4개의 나사통과구멍(33f)(앰프부(20)와의 전기적, 기계적 접속부)의 각도 간격 M1 ~ M2는 부등간격으로 되어 있다. 이 구조에 의해, 모터 측의 스페이서(19)와 모터 측 단자(33c)와의 접속, 앰프 측 단자(33b)와 제1 회로기판(21)과의 접속시에, 접속위치가 일의적으로 정해져, 오접속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터부(10)와 결선대(30)의 전기적 접속부로서의 모터 측 단자(33c)는 동일 평면(F면 : 제1 평면)상에 배치된다. 앰프부(20)와 결선대(30)의 전기적, 기계적 접속부로서의 앰프 측 단자(33b)도 동일 평면(D면 : 제2 평면)상에 배치된다. 그러므로, 복수(4개)의 결선단자(33)의 축방향 길이(몸통부(33a)의 길이)는 동일하게 되어, 복수의 결선단자(33)는 동일한 부품을 이용할 수 있고, 부품 구성을 적은 품종으로 하여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 도 1, 도 2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결선대(30)를 브래킷(12)에 체결하는 나사(31)의 좌면(座面)은 동일 평면(E면)상에 있다. 또, F면(모터부(10)와 결선대(30)의 전기적 접속부 : 제1 평면)과, D면(앰프부(20)와 결선대(30)의 전기적, 기계적 접속부 : 제2 평면)과, E면과, 결선대(30)의 브래킷(12) 측 단면(모터부(10)로의 고정면 : 제3 평면)은 평행이다. 그러므로, 결선대(30)가 고정되는 브래킷(12)의 오목부(12a)의 저면은 범용적인 선반 가공에 의해 가공할 수 있어,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오목부(12a)의 저면의 평면도를 고정밀도로 가공할 수 있어, 각 접속부의 조립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앰프부(20)에서, 회전축(14)과 직각방향으로 적층 모양으로 배치되는 제1, 제2, 제3 회로기판(21, 22, 23)을 서로 평행하게 조립할 수 있다.
다음으로, 실시형태 1의 모터(91)의 조립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모터부(10)의 브래킷(12)의 오목부(12a)에 결선대(30)의 원반부(30a)를 끼워넣어 마운트한다. 이 때, 돌기(30e)를 대응하는 브래킷(12)의 구멍에 끼워맞춤시켜, 결선대(30)를 둘레방향으로 위치결정한다. 이어서, 결선대(30)의 3개의 나사통과구멍(30f)을 통하여 브래킷(12)의 나사구멍(12b)에 나사(31)를 돌려 넣어, 모터부(10)와 결선대(30)를 기계적으로 접속한다.
다음으로, 결선대(30)의 복수(4개)의 모터 측 단자(33c)의 나사통과구멍(33f)을 통하여 모터부(10)의 도전성을 가지는 모터 측의 스페이서(19)의 나사구멍에 나사(31)를 돌려 넣어 체결하고, 모터부(10)와 결선대(30)를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이어서, 앰프부(20)의 전자 부품을 실장한 제1 회로기판(21)을 결선대(30)의 앰프 측 단자(33b)상에 얹고, 제1 회로기판(21)의 4개의 스루홀을 통하여, 도전성을 가지는 앰프 측의 제1 스페이서(25)의 일단부의 수나사를 앰프 측 단자(33b)의 나사구멍(33e)에 돌려 넣어 체결한다. 즉, 제1 회로기판(21)을, 제1 스페이서(25)를 통하여 전기적, 기계적으로 결선대(30)의 앰프부(20)의 복수의 전기적, 기계적 접속부에 접속(나사 체결)한다.
다음으로, 전자 부품을 실장한 제2 회로기판(22)을 제1 회로기판(21)에 적층하도록 제1 스페이서(25)의 타단 위에 얹고, 제2 회로기판(22)의 4개의 스루홀을 통하여 제2 스페이서(26)의 일단의 수나사를 제1 스페이서(25)의 타단의 나사구멍에 넣어 체결하며, 제1 회로기판(21)과 제2 회로기판(22)을 전기적, 기계적으로 접속한다.
이어서, 전자 부품을 실장한 제3 회로기판(23)을 제2 회로기판(22)에 적층하도록 제2 스페이서(26)의 타단 위에 얹고, 제3 회로기판(23)의 4개의 스루홀을 통하여 나사(도시생략)를 제2 스페이서(26)의 타단의 나사구멍에 돌려 넣어 체결하며, 제2 회로기판(22)과 제3 회로기판(23)을 전기적, 기계적으로 접속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결선대(30)는 모터부(10)와 앰프부(20)를 전기적으로 접속함과 아울러, 앰프부(20)를 모터부(10)상에 유지하고 있다.
다음으로, 접속된 결선대(30) 및 적층된 제1, 제2, 제3 회로기판(21, 22, 23)을 앰프 케이스(28)로 덮고, 앰프 케이스(28)를 반부하 측 브래킷(12)에 체결하면, 모터(91)의 조립이 완료된다.
이상과 같이, 실시형태 1의 모터(91)는 모터부(10)와 앰프부(20)를 나사 고정만으로 일체화하고 있다. 또, 결선대(30)와 모터부(10)의 전기적 접속부의 피치지름 φd는 결선대(30)와 앰프부(20)의 전기적, 기계적 접속부의 피치지름 φD보다 작게 되어 있어, 양자는 정면에서 보아 겹치지 않는다. 그러므로, 결선대(30)와 모터부(10)의 전기적 접속부를 나사 체결할 때, 앰프 측으로부터 찔러 넣은 드라이버를 결선대(30)와 앰프부(20)의 전기적, 기계적 접속부가 방해하지 않고, 나사 체결 작업이 용이하다.
또, 앰프부(10)의 복수의 회로기판(21, 22, 23)을 적층 모양으로 배치하고, 회로기판(21, 22, 23) 사이를 도전성을 가지는 스페이서(25, 26)에 의해 나사 고정만으로 체결하고 있으므로, 앰프부(10)를 비교적 고온에서 수지 봉입하는 종래의 기술과 비교하여, 열스트레스를 회피할 수 있다. 또, 결선대(30)의 높이를 높게 함으로써, 모터부(10)와 앰프부(20)와의 열간섭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앰프부(10)의 고장시에, 분해, 부품의 교환을 할 수 있으므로, 보수성이 뛰어나다.
실시형태 2.
도 7은 본 발명에 관한 모터의 실시형태 2를 나타내는 부분 종단면도이며, 도 8은 도 7의 C-C선에 따른 횡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형태 2의 모터(92)는 결선대(30)의 원반부(30a)의 중앙부에 대경구멍(30g)이 형성되며, 이 대경구멍(30g)에 자성체제의 통 모양 쉴드(52)가 장착되어 있다. 통 모양 쉴드(52) 내에는 회전축(14)의 반부하 측 단부에 마련된 로터리 엔코더 등의 센서(51)가 배치되어 있다. 실시형태 2의 모터(92)는, 상기의 부분 이외는, 실시형태 1의 모터(91)와 다른 곳은 없다. 실시형태 2의 모터(92)에 의하면, 센서(51)에 대한 외부 자기의 영향을 차폐할 수 있다.
실시형태 3.
도 9는 본 발명에 관한 모터의 실시형태 3을 나타내는 부분 종단면도이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형태 3의 모터(93)는 제1, 제2, 제3 회로기판(21, 22, 23)의 측부에 회전축(14)과 평행하게 배치한, 전자 부품을 실장한 제4 회로기판(61)을 구비하고 있다. 제4 회로기판(61)은 결선대(30)의 측부에 마련된 체결부(30j) 및 제3 회로기판(23)의 측부에 마련된 체결부(23j)에 나사(62)에 의해 체결된다. 결선대(30) 및 제1, 제2, 제3, 제4 회로기판(21, 22, 23, 61)은 앰프 케이스(65)로 덮여 있다. 앰프 케이스(65)는 제4 회로기판(61) 측에 떼어내기 가능한 덮개(66)를 구비하고, 덮개(66)를 떼어내어 제4 회로기판(61)을 보수, 점검할 수 있다. 실시형태 3의 모터(93)는, 상기의 부분 이외는, 실시형태 2의 모터(92)와 다른 곳은 없다.
10 모터부 11 모터 케이스
11a 수지 몰드 프레임 11b 끼워맞춤부
11c O링 12 브래킷
12a 오목부 12b 나사구멍
12c 둥근구멍 14 회전축
14a 부하 측 15 로터
17 코일 17a 코일 결선
18 코일배선기판 19 스페이서
20 앰프부 21 제1 회로기판
22 제2 회로기판 23 제3 회로기판
23j 체결부 25 제1 스페이서
26 제2 스페이서 28 앰프 케이스
30 결선대 30a 원반부
30b 베이스부 30c 직사각형 구멍
30d 볼록부 30e 돌기
30f 나사통과구멍 30g 대경구멍
30j 체결부 31, 32 나사
33 결선단자 33a 몸통부
33b 앰프 측 단자 33c 모터 측 단자
33e 나사구멍 33f 나사통과구멍
51 센서 52 통 모양 쉴드
61 제4 회로기판 62 나사
65 앰프 케이스 66 덮개
91, 92, 93 모터

Claims (7)

  1. 코일이 감겨 장착된 스테이터 및 상기 스테이터 내에 배치되어 회전축을 회전구동하는 로터를 구비하는 모터부와,
    상기 모터부와 일체화되어 상기 모터부에 구동전력을 공급하는 앰프부를 구비하는 모터에 있어서,
    상기 모터부와 앰프부는 결선대(結線臺)를 통하여 나사에 의해 전기적, 기계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결선대의, 상기 회전축의 축심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상에 배치된 상기 모터부와의 복수의 전기적 접속부의 피치지름이 상기 앰프부와의 복수의 전기적, 기계적 접속부의 피치지름보다 작으며,
    상기 앰프부는 상기 회전축과 직각방향으로 복수의 회로기판이 적층 모양으로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회로기판은 도전성의 스페이서를 통하여 전기적, 기계적으로, 상기 결선대의 상기 앰프부와의 복수의 전기적, 기계적 접속부에 나사 체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선대의, 상기 회전축의 축심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상에 배치된 상기 모터부와의 복수의 전기적 접속부의 각도 간격 및/또는 상기 앰프부와의 복수의 전기적 접속부의 각도 간격이 부등간격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선대의, 상기 회전축의 축심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상에 배치된 상기 모터부와의 복수의 전기적 접속부가 제1 평면상에 배치되고, 상기 앰프부와의 복수의 전기적 접속부가 제2 평면상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결선대의 상기 모터부로의 고정면은 제3 평면을 구성하고, 상기 결선대의, 상기 회전축의 축심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상에 배치된 상기 모터부와의 복수의 전기적 접속부가 배치되는 제1 평면 및 상기 앰프부와의 복수의 전기적, 기계적 접속부가 배치되는 제2 평면은 상기 제3 평면과 평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선대는 상기 모터부에 체결하는 복수의 체결부를 가지고, 상기 복수의 체결부는 부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선대의 원반부의 중앙부에 대경(大徑)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대경구멍에 자성체제의 통 모양 쉴드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회로기판의 측부에 상기 회전축과 평행하게 다른 회로기판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KR1020127012738A 2011-09-30 2011-09-30 모터 KR1013464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1/072558 WO2013046433A1 (ja) 2011-09-30 2011-09-30 モー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5231A true KR20130045231A (ko) 2013-05-03
KR101346477B1 KR101346477B1 (ko) 2014-01-10

Family

ID=46395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2738A KR101346477B1 (ko) 2011-09-30 2011-09-30 모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866356B2 (ko)
JP (1) JP4937430B1 (ko)
KR (1) KR101346477B1 (ko)
CN (1) CN103141012B (ko)
DE (1) DE112011105689B4 (ko)
TW (1) TWI437794B (ko)
WO (1) WO201304643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09274A1 (en) * 2013-01-25 2014-07-31 Hrs Investments Limited Self-pumping heat exchange uni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21047B1 (ja) * 2015-01-14 2016-11-02 株式会社安川電機 モータ
DE102015005230A1 (de) * 2015-04-02 2016-10-06 Sew-Eurodrive Gmbh & Co Kg Elektromotor mit Sensoranordnung und elektromagnetisch betätigbarer Bremse
WO2016189602A1 (ja) * 2015-05-22 2016-12-01 三菱電機株式会社 回転角検出装置
USD816031S1 (en) * 2016-02-15 2018-04-24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Motor
JP1555497S (ko) * 2016-02-15 2016-08-08
DE112017001982A5 (de) * 2016-04-12 2018-12-27 Magna Powertrain Bad Homburg GmbH Antriebsanordnung
JP2018051708A (ja) * 2016-09-30 2018-04-0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水平多関節型ロボット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495C (zh) * 1996-03-07 2001-06-20 精工爱普生株式会社 电动机及其制造方法
JP3513338B2 (ja) * 1996-10-09 2004-03-31 三菱電機株式会社 可変速電動機
US5895994A (en) * 1997-01-30 1999-04-20 General Electric Company Dynamoelectric machine
DE19705974A1 (de) * 1997-02-17 1998-08-20 Wilo Gmbh Elektromotor für eine Pumpe oder einen Lüfter
JPH10234158A (ja) * 1997-02-19 1998-09-02 Tokyo R & D:Kk 電動モータ
JPH10257720A (ja) * 1997-03-10 1998-09-25 Yaskawa Electric Corp エンコーダの取付け方法
US6020660A (en) * 1997-12-10 2000-02-01 General Electric Company Dynamoelectric machine
JPH11356006A (ja) * 1998-06-03 1999-12-24 Tokyo R & D:Kk 電動モータ
JP2000023408A (ja) 1998-07-03 2000-01-21 Mitsuba Corp 制御回路一体型モータ
JP3593102B2 (ja) * 2002-01-08 2004-11-24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7174746A (ja) * 2005-12-19 2007-07-05 Jtekt Corp 電気回路基板、基板装置、モータ、モータ装置、電動ポンプ及びモータと電気回路基板又は基板装置とを接続する方法
JP2010028925A (ja) * 2008-07-16 2010-02-04 Asmo Co Ltd モータ及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用モータ
JP5332387B2 (ja) 2008-08-06 2013-11-06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モータユニッ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09274A1 (en) * 2013-01-25 2014-07-31 Hrs Investments Limited Self-pumping heat exchange un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141012B (zh) 2016-01-20
DE112011105689T5 (de) 2014-07-17
DE112011105689B4 (de) 2021-02-04
US8866356B2 (en) 2014-10-21
JPWO2013046433A1 (ja) 2015-03-26
WO2013046433A1 (ja) 2013-04-04
JP4937430B1 (ja) 2012-05-23
TW201315099A (zh) 2013-04-01
KR101346477B1 (ko) 2014-01-10
TWI437794B (zh) 2014-05-11
US20130082551A1 (en) 2013-04-04
CN103141012A (zh) 2013-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6477B1 (ko) 모터
US10263499B2 (en) Motor
JP5642262B2 (ja) モータ駆動装置
US10778060B2 (en) Motor
JP5287787B2 (ja) 電動装置
CN104682629B (zh) 驱动器装置
US10749415B2 (en) Motor device
US20130136633A1 (en) Electric motor and electric unit including the same
JP2016013000A (ja) モータ並びにそれを搭載した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及び車両
JP2014093835A (ja) バスバーユニット
JP5927765B2 (ja) アキシャルギャップ型電動機
US10033240B2 (en) Motor and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N111033978A (zh) 马达和电动助力转向装置
US10396643B2 (en) Motor
JP2013138610A (ja) 電動装置
US11063496B2 (en) Vertical motor with resin bracket and cover having circuit board with wireless communication unit
US10326340B2 (en) Driving apparatus
US11611269B2 (en) Rotor and rotor manufacturing method
JP6019733B2 (ja) 電動オイルポンプ装置
JP7283304B2 (ja) 電動アクチュエータ
JP2009100539A (ja) ブラシレスモータ
KR101267945B1 (ko) 홀 센서 조립체를 구비한 세탁기용 모터
JP2013238157A5 (ko)
JP2012186914A (ja) モータ及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用モ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