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4333A - 단자 피팅 - Google Patents

단자 피팅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4333A
KR20130044333A KR1020137004681A KR20137004681A KR20130044333A KR 20130044333 A KR20130044333 A KR 20130044333A KR 1020137004681 A KR1020137004681 A KR 1020137004681A KR 20137004681 A KR20137004681 A KR 20137004681A KR 20130044333 A KR20130044333 A KR 201300443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ce
terminal fitting
engagement
terminal
hole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4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이스케 신카와
쇼고 스즈키
Original Assignee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44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43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2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 H01R13/4223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comprising integral flexible contact retaining fing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01R13/05Resilient pins or blades
    • H01R13/055Resilient pins or blades co-operating with sockets having a rectangular transverse s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5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3Resilient sockets co-operating with pins or blades having a rectangular transverse s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01R13/6272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comprising a single latching arm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Abstract

사이즈 감소로 인한 랜스의 전단 파열 가능성이 최소화되고 단자 피팅이 증가된 유지력에 의해 유지되는 방식으로 구성되는 단자 피팅이 제공된다. 단자 수용 챔버내에 설치되는 단자 피팅(15)은, 커넥터 하우징에 형성되어, 단자 함유 챔버내에 제공되는 탄성 변형 가능 랜스와 맞물린다. 랜스의 침식 저항을 증가시키기 위한 침식 저항 증가 영역(61)이 랜스가 맞물리는 맞물림 홀(27)의 에지에서 맞물림 종단면(11)에 형성된다.

Description

단자 피팅{TERMINAL FITTING}
본 발명은 단자 피팅에 관한 것으로, 커넥터 하우징에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하게 제공되는 랜스와 맞물리는 방식으로 단자 수용 챔버 내에 장착된다.
단자 피팅의 유지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맞물림 홀의 홀 에지의 전방 부분에 대한 랜스(lance)의 걸림 여유는 랜스의 폭 치수를 늘려 증가될 수 있다. 그러나, 일부 단자 피팅은 연결 부분의 바깥 표면의 후방 끝에서 돌출되어 단자 피팅의 자세를 안정화시키는 스태빌라이저(stabilizer)를 구비하므로, 기술된 바와 같이 큰 폭의 랜스가 실질적으로 그 전체 길이에 걸쳐 동일한 폭을 구비하게 되는 경우 랜스와 스태빌라이저가 겹쳐지고 서로 방해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커넥터가 예를 들면 특허문서 1에 개시되어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넥터에서, 스태빌라이저(509)는 연결부(501)의 바깥면에서 돌출되어 있고 캐비티(503)의 내벽상에 제공되는 삽입 그루브(505)를 통해 단자 피팅의 삽입 작업을 가이드하도록 되어 있다. 랜스(511)는 캐비티(503)의 내벽상에 제공된다. 랜스(511)에 맞물림부(517) 및 탈출 리세스부(519)가 제공된다. 맞물림부(517)는, 연결부(501)에 제공되는, 맞물림홀(미도시)의 홀에지의 정면부(515)와 돌출부(미도시)의 맞물림면(513)의 전체 폭에 대해 실질적으로 맞물린다. 탈출 리세스부(519)는 맞물림부(517)의 후방에 위치한 부분에서 제공되고 폭 방향으로 맞물림부(517)와 겹쳐진다. 탈출 리세스 부(519)는 삽입 그루브(505)와 소통하여 스태빌라이저(509)가 삽입 그루브(505)로 진입하도록 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랜스(511)의 맞물림부(517)가 연결부(501)에 제공되는 피맞물림부(맞물림홀(미도시))의 홀 에지의 정면부(515) 및 맞물림면(513))의 실질적인 전체 폭에 걸쳐 맞물리므로, 단자 유지력은 증가되고 따라서 강력한 전단저항을 가지는 구조가 달성된다. 반면, 랜스(511)에 맞물림부(517)의 후방에서 위치하는 부분에 제공되고 맞물림부(517)와 폭방향으로 서로 겹쳐지는 탈출 리세스 부(519)가 제공되고, 탈출 리세스부(519)는 삽입 그루브(505)와 소통하여 스태빌라이저(509)가 삽입 그루브(505)로 진입하도록 하므로, 스태빌라이저(509)와 랜스간의 간섭을 피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간섭을 피하기 위해 연결부(501)의 폭을 증가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커넥터 사이즈 증가를 피하는 것이 가능하다.
JP-A-2005-259363
최근 커넥터에서, 랜스의 단자 유지력이 커넥터가 소형화되는 추세로 인해 감소되는 문제가 있다. 랜스 사이즈의 감소는 그 자체로 유지력의 감소를 의미하며, 소형화 및 유지력 유지간의 균형이 중요한 문제로 자리잡았다. 관련 기술에서, 소형화로 인한 랜스 유지력 감소를 다루기 위해, 랜스(511)의 맞물림부(517)는 연결부(501)상에 제공되는 피맞물림부의 실질적인 전체폭에 걸쳐 맞물린다. 이 방식에서, 강력한 전단 저항을 구비하는 구조가 달성되며 랜스의 유지력은 증가된다.
그러나, 단자 피팅 및 랜스의 맞물림 영역에서, 수지로 만들어진 랜스가 금속으로 만둘어진 단자 피팅의 맞물림 홀과 맞물려진다. 따라서 넓은 맞물림 영역이 확보되더라도,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일어날 수 있다. 즉, 맞물림홀의 홀에지 맞물림 종단면의 에지가 날카로운 경우, 날카로운 에지가 랜스를 침식하여 따라서 랜스의 전단 파단 시작 강도가 매우 낮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상황을 고려하여 만들어졌으며 본 발명의 목적은 소형화로 인한 랜스의 전단 파단 증가를 억제할 수 있는 단자 피팅을 제공하는데 있으며, 따라서, 유지력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하의 구성에 의해 달성가능하다.
(1) 단자 피팅이 단자 수용 챔버내에 제공되는 탄성 변형 가능한 랜스와 맞물리는 방식으로 커넥터 하우징에 형성된 단자 수용 챔버 상에 장착된다. 단자 피팅은 랜스와 맞물리는 맞물림 홀의 홀 에지 맞물림 단면에서 형성되어 랜스에 대해 침식 저항을 증가시키도록 구성되는 침식 저항 증가부를 포함한다.
상기 (1)의 구성을 구비하는 단자 피팅을 따르면, 단자 피팅이 단자 수용 챔버의 기결정된 위치에 삽입되면, 탄성적으로 되돌아가는 랜스가 단자 피팅의 맞물림홀과 맞물린다. 맞물림 홀과 맞물리는 랜스의 단자 맞물림 면은 맞물림 홀의 홀 에지 맞물림 종단면과 접촉하게 된다. 외부력이 당겨 나오는 방향으로 맞물린 상태에서 단자 피팅에 가해지므로, 홀 에지 맞물림 종단면이 랜스의 맞물림부를 압박하도록 적용된다. 이 때, 침식 저항 증가부가 홀에지 맞물림 종단면상에 형성되므로, 홀에지 맞물림 종단면이 랜스를 침식할 때, 저항력이 증가된다. 게다가 홀에지 맞물림 단면이 랜스를 침식한 이후에도, 저항력이 침식 저항 증가부가 전단 표면(shearing surface)을 스크래치하는 방식으로 증가되고, 전단 표면 영역이 또한 증가된다. 이 방식에서, 전단 저항이 증가되고 따라서 유지력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2) 상기 (1)의 구성을 가지는 단자 피팅에서, 침식 저항 증가부는 홀에지 맞물림 종단면을 부분적으로 가압하여 형성되는 물결 형상부이다.
상기 (2)의 구성을 구비하는 단자 피팅을 따르면, 침식 저항 증가부가 홀에지 맞물림 종단면을 부분적으로 가압하여 형성되는 물결 형상부에 의해 구성되므로, 랜스에 대한 침식 저항 또는 전단 저항을 증가시키는 침식 저항 증가부가 쉽게 형성된다.
(3) 상기 (1)의 구성을 구비하는 단자 피팅에서, 침식 저항 증가부는 홀 에지 맞물림 단면의 맞물림 측에서 코너 부분을 제거하여 형성되는 둥근 부분이다.
상기 (3)의 구성을 구비하는 단자 피팅을 따르면, 둥근 부분이 홀 에지 맞물림 종단면상에 형성되므로, 둥근 부분은, 비-처리(non-processed) 상태에서 홀 에지 맞물림 종단면의 맞물림 측상의 코너 부분을 제거할 때 동시에 형성된다. 상기 방식에서, 침식을 촉진하는 코너 부분이 제거되므로, 침식과 전단 파단이 쉽게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소형화로 인한 랜스의 전단 파단 증가를 억제할 수 있는 단자 피팅을 제공하는데 있고, 유지력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에 따른 단자 피팅의 주요 부분을 표시하는단면도이며, 물결 형상 부분은 홀 에지 맞물림 종단면의 상부측에 형성되어 있고, 도 1(b)는 구체적 실시예의 변경에 따르는 단자 피팅의 주요 부분을 보여주는 단면도로서, 물결 형상 부분이 홀 에지 맞물림 종단면의 상부 및 하부 측에 형성되어 있다.
도 2(a)는 커넥터 하우징에서 단자 수용 개구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며, 도 2(b)는 도 2(a)에서 A-A 선을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다.
도 3(a)는 수 단자 피팅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3(b)는 암 단자 피팅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a)는 수단자 피팅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며, 도 4(b)는 도 4(a)에서 B-B 선을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다.
도 5(a)는 암 단자 피팅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며, 도 5(b)는 도 5(a)에서 C-C선을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다.
도 6은 비교 실시예를 따르는 단자 피팅의 주요 부분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a)는 다른 실시예를 따르는 단자 피팅의 주요 부분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둥근 부분이 홀 에지 맞물림 종단면상에 형성되고, 도 7(b)는 도 7(a)에서 D-D 선을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다.
도 8은 관련 기술에서 단자 피팅과 단자 수용 챔버의 주요 부분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따르는 단자 피팅은 도면들을 참고로 기술될 것이다.
도 1(a) 내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따르는 단자 피팅(15)은 수 단자 피팅(21, 도 3(a) 참조) 또는 암 단자 피팅(23, 도 3(b) 참조) 중 하나 일 수 있다. 그러나, 어느 경우이든, 단자 피팅(15)은 랜스(25)와 맞물리는 맞물림 홀(27)을 포함하는 것이 필요하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 피팅(15)이 장착되는 커넥터(29)에서, 짝이 되는 커넥터(미도시)의 수 단자를 수용하는 단자 수용 개구(19)가 종방향에서 직사각 병렬 파이프 형태의 커넥터 하우징(17)의 하나의 종단면에서 개방된다. 단자 수용 개구(19)는 커넥터 하우징(17) 내에 정의되는 단자 수용 챔버(31)와 소통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커넥터(29)의 단자 수용 개구(19)는 정면측으로 참조되고, 대항측은 후방측으로 정의되어 이하 사용된다.
암 단자 피팅(15)은 커넥터 하우징(17)의 후방으로 개방되는 단자 장착 개구(33)를 통해 단자 수용 챔버(31)로 삽입된다. 이 때, 암 단자 피팅(15)은 단지 예시이며, 단자 피팅(15)은 수 형(male type) 일 수 있다. 랜스(25)는 단자 피팅(15)이 장착되는 공간에서 돌출된다. 랜스(25)는 합성 수지 물질로부터 커넥터 하우징(17)과 통합적으로 형성된다. 랜스(25)의 기저단은 바닥벽(35)에 연결되어 그 선도단은 자유단(37)이다. 랜스(25)의 기저단은 캔틸레버(cantilever) 방식으로 바닥벽(35)상에 지지되고 따라서 랜스(25)는 탄성 변형가능하다. 후퇴 공간(31a)은 랜스(25)의 하부 부분과 바닥벽(35) 사이에 형성된다.
볼록부(39)는 자유단(37) 근방의 랜스(25) 상부 면 상에 형성된다. 볼록부(39)의 후방 영역은 경사면(41)이며 그 정면 영역은 맞물림부(43)이다. 단자 피팅(15)이 삽입되면, 단자 피팅(15)의 전기 접촉 선도단(45)은 경사면(41)에 대항하여 인접하고 따라서 후퇴 공간(31a)을 향해 랜스(25)를 밀어내리는 분력이 발생한다. 랜스(25)는 탄성적으로 원래의 위치로 돌아가고, 맞물림부(43)는 단자 피팅(15)의 맞물림 홀(27)과 맞물려서, 단자 피팅(15)이 후방으로부터 탈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3(a)에 도시된 수 단자 피팅(21)이 선도단에서, 전기 접촉부(47)인 수 탭(49)을 구비하여 제공된다. 게다가, 수 단자 피팅(21)은 단자 몸체부(51), 전도체 크림핑부(53) 및 피복 유지부(55)가 제공되어, 수 탭의 후방에서 차례로 제공된다. 수 단자 피팅(21)은 금속판의 시트-금속 프로세싱에 의해 제조된다.
도 3(b)에 도시된 암 단자 피팅(23)은 선도단에서 전기 접촉부(47)인 박스부(57)가 제공되며 짝이 되는 단자의 수 탭을 수용한다. 그리고, 수 탭과 접촉하게 되는 접촉 스프링부(59, 도 5(a) 및 5(b) 참조)가 박스부내에 제공된다. 수 단자 피팅(21)과 유사하게, 암 단자 피팅(23)에 단자 몸체부(51), 전도체 크림핑부(53) 및 피복 유지부(55)가 제공되어, 박스부(57)의 후방에서 순차적으로 제공된다.
수 단자 피팅(21) 및 암 단자 피팅(23)의 단자 몸체부(51)는 맞물림 홀(27)이 랜스(25)와 맞물리도록 형성된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맞물림 홀(27)은 직사각형태를 가진다. 맞물림 홀(27)의 정면측은 홀 에지 맞물림 종단면(11)을 구성한다. 도 1(a) 및 도 1(b)는 대표적인 예시로서 암 단자 피팅의 홀 에지 맞물림 종단면(11)을 도시한다. 도 1(a) 및 도 1(b)는 맞물림 홀(27)의 중앙 부분을 대략 절단하여 형성된 단면도이며, 암 단자 피팅(23)의 정면 측을 보여준다. 즉 도 1(a) 및 도 1(b)는 홀 에지 맞물림 종단면(11)의 정면도이며, 맞물림 홀(27)의 내측으로부터 보여진 바와 같다. 도 6에 도시된 비교 실시예의 평면형보다, 랜스(25)에 대한 침식 저항을 증가시키기 위한 침식 저항 증가부(61)가 홀 에지 맞물림 종단면(11)상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침식 저항 증가부(61)가 홀에지 맞물림 종단면(11)을 부분적으로 가압하여 형성되는 물결 형상부(13)로 구성된다. 물결 형상부(13)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 에지 맞물림 종단면(11)의 상부측에만 형성될 수 있고, 또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 에지 맞물림 종단면(11)의 상부 및 하부 측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홀 에지 맞물림 종단면(11)의 가압방향은 상부 및 하부로부터 홀 에지 맞물림 종단면(11)으로 안내되는 방향(도 1(a) 및 도 1(b)에서 상향-하향 방향)일 수 있고, 또는 맞물림 홀(27)의 내측으로부터 홀 에지 맞물림 종단면(11)으로 향하는 수직방향(도 4(b) 및 도 5(b)에서 좌측방향)일 수 있다.
도 1(a) 및 도 1(b)에서, 홀 에지 맞물림 종단면(11)의 하부에서 형성되는 반원 볼록부는 짝이 되는 단자의 수 탭과 함께 접촉 스프링(59)의 접촉압력을 증가시키도록 작용하는 인덴트(indent)이다.
본 실시예에서, 침식 저항 증가부(61)가 홀 에지 맞물림 종단면(11)을 부분적으로 가압하여 형성되는 물결 형상부(14)에 의해 구성되므로, 랜스(25)에 대한 침식 저항 또는 전단 저항을 증가시키기 위한 침식 저항 증가부(61)가 쉽게 형성된다.
다음, 상기 구성을 구비하는 단자 피팅(15)의 작업이 기술될 것이다.
단자 피팅(15)이 단자 수용 챔버(31)의 기결정된 위치로 삽입되면, 랜스(25)는 탄력적으로 회복되어 단자 피팅(15)의 맞물림 홀(27)과 맞물린다. 맞물림 홀(27)과 맞물린 랜스(25)의 맞물림부(43)가 맞물림 홀(27)의 홀 에지 맞물림 종단면(11)과 접촉하게 된다. 당겨 나오는 방향으로 외부력은 맞물린 상태에서 단자 피팅(15)으로 가해지고, 홀 에지 맞물림 종단면(11)은 랜스(25)의 맞물림 부(43)를 가압하도록 채택된다.
즉, 랜스를 홀 에지 맞물림 종단면(11)으로부터 반동력을 수신한다. 이 때, 도 6에 도시된 비교 예시의 단자 피팅에서와 마찬가지로 편평한 홀 에지 맞물림 종단면(11)의 경우, 전단이 편평한 둘레 에지의 코너부(63)에서 시작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는 단자 피팅(15)에서, 침식 저항 증가부(61)가 홀 에지 맞물림 종단면(11)상에 형성되므로, 홀 에지 맞물림 종단면(11)이 랜스(25)로 침식할 때 저항력이 향상된다. 게다가, 홀 에지 맞물림 종단면이 랜스를 침식한 이후에도, 저항력이 침식 저항 증가부(61)가 전단 표면을 스크래치하는 방식으로 증가되고, 전단 표면 영역 또한 증가될 수 있다. 상기 방식으로, 전단 저항이 증가되고, 따라서 단자 피팅(15)의 유지력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 본 발명에 따르는 단자 피팅(15)의 다른 실시예가 기술될 것이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를 따르는 단자 피팅(15A)은 랜스(25)를 침식할 때 뾰죡한 종단면(즉, 코너 부분(63))을 제거하여 저항을 증가시킨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침식 저항 증가부(61)는 홀 에지 맞물림 종단면(11)의 맞물림 측 상의 코너 부분(63)을 제거하여 형성되는 둥근 부분(65)이다.
상기 단자 피팅(15A)에서, 둥근 부분(65)이 홀 에지 맞물림 종단면(11)상에 형성되므로, 둥근 부분(65)은 비-처리 상태에서 홀 에지 맞물림 종단면(11)의 맞물림측상에서 코너 부분(63)을 제거할 때 동시에 형성된다. 상기 방식에서, 침식을 촉진하는 코너 부분(63)이 제거되므로, 침식과 전단 파단이 손쉽게 발생하는 것을 예방 가능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단자 피팅(15,15A)을 따르면, 소형화로 인한 랜스(25)의 전단 파단 가능성이 증가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며, 유지력을 개선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기재된 예시적 실시예들은 단지 본 발명의 대표적 형태를 설명하며, 본 발명은 기술된 실시예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즉, 예시적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영역과 정신을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가능하다.
본 출원은 2010년 8월 25일에 제출된 일본 특허 출원 (특허 출원 번호 2010-188560)에 기초하고, 그 내용은 참고로 본 명세서에 포함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단자 피팅에 따르면, 소형화로 인한 랜스의 전단 판단 가능성 증가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고, 따라서 유지력을 개선할 수 있다.
11 : 홀 에지 맞물림 종단면
13 : 물결 형상부
15 : 단자 피팅
17 : 커넥터 하우징
25 : 랜스
27 : 맞물림 홀
31 : 단자 수용 챔버
61 : 침식 저항 증가 부
63 : 코너 부분
65 : 둥근 부분

Claims (3)

  1. 단자 수용 챔버내에 제공되는 탄성 변형 가능한 랜스와 맞물려서, 커넥터 하우징에 형성되는 단자 수용 챔버 상에 장착되는 단자 피팅에 있어서,
    상기 랜스와 맞물리는 맞물림 홀의 홀 에지 맞물림 종단면에 형성되어 랜스에 대한 침식 저항을 증가시키는 침식 저항 증가부를 포함하는
    단자 수용 챔버 상에 장착되는 단자 피팅.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침식 저항 증가부는 상기 홀 에지 맞물림 종단면을 부분적으로 가압하여 형성되는 물결 형상부를 구비하는
    단자 수용 챔버 상에 장착되는 단자 피팅.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침식 저항 증가부는 홀 에지 맞물림 종단면의 맞물림 측의 코너 부분을 제거하여 형성되는 둥근 부분인
    단자 수용 챔버 상에 장착되는 단자 피팅.
KR1020137004681A 2010-08-25 2011-08-25 단자 피팅 KR2013004433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88560A JP5769391B2 (ja) 2010-08-25 2010-08-25 端子金具
JPJP-P-2010-188560 2010-08-25
PCT/JP2011/069209 WO2012026540A1 (ja) 2010-08-25 2011-08-25 端子金具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2477A Division KR101613410B1 (ko) 2010-08-25 2011-08-25 단자 피팅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4333A true KR20130044333A (ko) 2013-05-02

Family

ID=4572353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2477A KR101613410B1 (ko) 2010-08-25 2011-08-25 단자 피팅
KR1020137004681A KR20130044333A (ko) 2010-08-25 2011-08-25 단자 피팅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2477A KR101613410B1 (ko) 2010-08-25 2011-08-25 단자 피팅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124017B2 (ko)
JP (1) JP5769391B2 (ko)
KR (2) KR101613410B1 (ko)
CN (1) CN103081241B (ko)
BR (1) BR112013004446A2 (ko)
DE (1) DE112011102798T5 (ko)
WO (1) WO201202654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29530B2 (ja) * 2010-08-23 2014-11-19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15232927A (ja) * 2014-06-09 2015-12-24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154430B2 (ja) 2015-06-02 2017-06-28 矢崎総業株式会社 雌端子金具及びそれを備えた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4387Y2 (ja) * 1978-08-17 1983-05-25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気接続子
JPS6060881U (ja) * 1983-10-01 1985-04-27 東洋ハーネス株式会社 コネクタハウジング用端子
DE9300436U1 (de) 1993-01-15 1993-09-23 Prinz Berthold Vorrichtung mit kuenstlich wehender fahne
CA2422469A1 (en) 2000-09-15 2002-03-21 Alcoa Fujikura Ltd. Electrical terminal socket assembly for vehicular component
JP4238746B2 (ja) 2004-03-09 2009-03-18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4244939B2 (ja) * 2005-02-02 2009-03-25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金具
JP2006216316A (ja) * 2005-02-02 2006-08-17 Sumitomo Wiring Syst Ltd 端子金具
US7223135B2 (en) 2005-02-02 2007-05-29 Sumitomo Wiring Systems, Ltd. Terminal fitting and a connector provided therewith
JP2006216321A (ja) * 2005-02-02 2006-08-17 Sumitomo Wiring Syst Ltd 端子金具
JP2008123720A (ja) * 2006-11-08 2008-05-29 Tyco Electronics Amp Kk 雌型コンタクト
JP2008305601A (ja) * 2007-06-06 2008-12-18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及び端子金具
DE102007040251B3 (de) 2007-08-27 2009-01-08 Johann Wolfgang Goethe-Universität Frankfurt am Main Verwendung von Cyanozimtsäurederivaten als Matrizes in MALDI-Massenspektrometrie
US7867028B2 (en) * 2008-05-07 2011-01-11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Remote detection of partially seated electrical terminal
JP5255477B2 (ja) 2009-02-17 2013-08-07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流体輸送用可撓管の製造方法
JP2015204186A (ja) 2014-04-14 2015-11-16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081241B (zh) 2015-11-25
DE112011102798T5 (de) 2013-05-29
JP2012048903A (ja) 2012-03-08
US9124017B2 (en) 2015-09-01
CN103081241A (zh) 2013-05-01
US20130165000A1 (en) 2013-06-27
JP5769391B2 (ja) 2015-08-26
KR20160018831A (ko) 2016-02-17
WO2012026540A1 (ja) 2012-03-01
BR112013004446A2 (pt) 2016-06-07
KR101613410B1 (ko) 2016-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14645B2 (ja) 雌型端子
JP4368897B2 (ja) コネクタ
US7938695B2 (en) Terminal fitting
US9160089B2 (en) Wire-to-board connector
CN110880657A (zh) 端子配件
JP5999510B2 (ja) 雌端子金具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30044333A (ko) 단자 피팅
JP4379231B2 (ja) 雌端子金具
JP4385923B2 (ja) 端子金具及びこれを用いたコネクタ
JP5626118B2 (ja) コネクタ
JP2009211874A (ja) 端子金具
JP2020004539A (ja) 端子金具
CN110870143A (zh) 端子零件
JP6782735B2 (ja) 端子金具、及び、端子金具とハウジングとの係合構造
JP2018014300A (ja) コネクタ
KR100907541B1 (ko) 리셉터클 터미널
US11894634B2 (en) Connector
JP6331273B2 (ja) コネクタ
JP2010073440A (ja) 端子金具
JP5836623B2 (ja) コネクタ
KR102055392B1 (ko) 피메일 단자
KR200444472Y1 (ko) 리셉터클 터미널
KR20090004915U (ko) 리셉터클 터미널
WO2014007042A1 (ja) ジョイント端子
JP2007095395A (ja) 電気コネクタハウジン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