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2664A - 배터리 충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충전 방법 - Google Patents

배터리 충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충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2664A
KR20130032664A KR1020110096404A KR20110096404A KR20130032664A KR 20130032664 A KR20130032664 A KR 20130032664A KR 1020110096404 A KR1020110096404 A KR 1020110096404A KR 20110096404 A KR20110096404 A KR 20110096404A KR 20130032664 A KR20130032664 A KR 201300326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harging
vehicle
relay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6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42641B1 (ko
Inventor
이순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100964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2641B1/ko
Priority to EP12834518.8A priority patent/EP2660950B1/en
Priority to PCT/KR2012/007597 priority patent/WO2013042988A2/ko
Priority to CN201610972474.1A priority patent/CN107082028B/zh
Priority to CN2012800043896A priority patent/CN103283113A/zh
Priority to JP2013548374A priority patent/JP5692882B2/ja
Publication of KR20130032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2664A/ko
Priority to US13/910,223 priority patent/US9937805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26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26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51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characterised by AC-m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 H02J7/04Regulation of charging current or volt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1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engine-driven generators, e.g. generators driven by combustion engines
    • B60L50/16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engine-driven generators, e.g. generators driven by combustion engines with provision for separate direct mechanical propul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1DC charging controlled by the charging station, e.g. mode 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5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involving identification of vehicles or their battery ty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2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responding to state of charge [So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2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energy storage means
    • B60W10/26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energy storage means for electrical energy, e.g. batteries or capaci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6Accumulator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harg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42The other DC source being a battery actively interacting with the first one, i.e. battery to battery char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10/00Converter types
    • B60L2210/10DC to DC conver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10/00Converter types
    • B60L2210/40DC to AC conver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60L2250/16Driver interactions by displa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40The network being an on-board power network, i.e. within a vehicle
    • H02J2310/48The network being an on-board power network, i.e. within a vehicle for electric vehicles [EV] or hybrid vehicles [HE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2Electric energy management in electromobil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7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i.e. smartgrids as interface for battery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EV] or hybrid vehicles [HE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30/00Systems supporting specific end-user applications in the sector of transportation
    • Y04S30/10Systems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 Y04S30/14Details associated with the interoperability, e.g. vehicle recognition, authentication, identification or bi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충전 시스템은 충전제공차량의 배터리의 양단에 연결되는 제1연결부와, 충전대상차량의 배터리에 양단에 연결되는 제2연결부와, 상기 제1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1연결부를 통해 상기 충전제공차량의 배터리에서 전달되는 전압을 변환하여 상기 제2연결부를 통해 상기 충전대상차량의 배터리로 전달하는 컨버터와, 상기 제1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의 전기적 연결을 제어하고, 충전제공차량의 BMS(battery management system)와 충전대상차량의 BMS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각 BMS에서 전달되는 상기 각 배터리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컨버터의 전압변환비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가 방전되거나 기타 다른 이유로 충전이 필요한 경우, 견인차 등에 의해 충전시설까지 이동하지 않고 주변의 다른 전기 자동차로부터 에너지를 공급받을 수 있어 편리하고 저비용으로 배터리 충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터리 충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충전 방법{BATTERY CHARGING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
본 발명은 배터리 충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충전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 자동차 상호 간에 배터리 충전을 가능하게 하는 배터리 충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충전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석 연료의 고갈과 환경 오염에 대한 관심으로 인해 전기 에너지를 이용해 구동되는 전기 자동차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최근에는 내연기관과 전기모터를 구동원으로 병행하여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가 상용화되었으며, 전기 에너지만을 이용하는 순수 전기 자동차에 대한 연구 및 상용화가 진행되고 있다.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기 자동차의 경우 주행 중 사용자의 부주의 또는 예기치 못한 이유 등으로 배터리가 완전 방전될 수 있다. 특히 전기 모터의 힘을 이용해 출발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 및 순수 전기 자동차의 경우,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는 배터리가 방전되면 자동차를 충전소 또는 전력공급이 가능한 지역으로 견인하여야만 한다.
미국등록특허 8,000,858호(2009.02.12 공개)에는 전기 자동차를 충전하기 위한 장치가 게시되어 있다.
그러나 배터리가 방전된 이후에는 이러한 충전 장치가 구비된 장소까지 이동하기 위해서는 견인차를 이용해 이동하는 방법 밖에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 자동차 상호 간에 전기 에너지를 전송할 수 있는 배터리 충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충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충전 시스템은 충전제공차량의 배터리의 양단에 연결되는 제1연결부와, 충전대상차량의 배터리에 양단에 연결되는 제2연결부와, 상기 제1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1연결부를 통해 상기 충전제공차량의 배터리에서 전달되는 전압을 변환하여 상기 제2연결부를 통해 상기 충전대상차량의 배터리로 전달하는 컨버터와, 상기 제1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의 전기적 연결을 제어하고, 충전제공차량의 BMS(battery management system)와 충전대상차량의 BMS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각 BMS에서 전달되는 상기 각 배터리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컨버터의 전압변환비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연결부는 상기 충전제공차량의 배터리의 양극과 상기 컨버터의 입력단의 양극을 연결하는 제1양극 릴레이와, 상기 충전제공차량의 배터리의 음극과 상기 컨버터의 입력단의 음극을 연결하는 제1음극 릴레이와, 상기 컨버터의 입력단과 병렬 연결되는 제1 용량성 소자와, 상기 제1양극 릴레이와 병렬 연결되는 제1프리차지(precharge)부를 구비하되, 상기 제1프리차지부는, 제1프리차지 릴레이와, 상기 제1프리차지 릴레이와 직렬 연결되는 제1프리차지 저항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연결부가 상기 충전제공차량의 배터리에 연결되면,상기 제1양극 릴레이를 열어 연결을 끊고 상기 제1음극 릴레이와 상기 제1프리차지 릴레이를 닫아 상기 제1용량성 소자에 소정 전압을 충전하는 입력측 프리차지를 수행하고, 상기 입력측 프리차지가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양극 릴레이를 닫고, 상기 제1프리차지 릴레이를 열어, 상기 충전제공차량의 배터리에서 상기 컨버터로 전력전송을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연결부는 상기 충전대상차량의 배터리의 양극과 상기 컨버터의 출력단의 양극을 연결하는 제2양극 릴레이와, 상기 충전대상차량의 배터리의 음극과 상기 컨버터의 출력단의 음극을 연결하는 제2음극 릴레이와, 상기 컨버터의 출력단과 병렬 연결되는 제2 용량성 소자와, 상기 제2양극 릴레이와 상기 제2음극 릴레이 중 어느 하나에 병렬 연결되는 제2프리차지(precharge)부를 구비하되, 상기 제2프리차지부는 제2프리차지 릴레이와 상기 제2프리차지 릴레이와 직렬 연결되는 제2프리차지 저항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연결부가 상기 충전대상차량의 배터리에 연결되면, 상기 제2양극 릴레이를 열어 연결을 끊고 상기 제2음극 릴레이와 기 제2프리차지 릴레이를 닫아 상기 제2용량성 소자에 소정 전압을 충전하는 출력측 프리차지를 수행하고, 상기 출력측 프리차지가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양극 릴레이를 닫고, 상기 제2프리차지 릴레이를 열어, 상기 컨버터에서 상기 충전대상차량의 배터리로 전력전송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전제공차량의 BMS에서 전달되는 상기 충전제공차량의 배터리의 상기 상태 정보는 충전제공차량의 BMS로부터 전송 가능한 에너지, 순간 최대 출력 전력 허용량, 상기 충전제공차량의 배터리의 출력 전압, 상기 충전제공차량의 배터리에서 전송된 전력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전대상차량의 BMS에서 전달되는 상기 충전대상차량의 배터리의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충전대상차량의 BMS로부터 수신 가능한 에너지, 순간 최대 입력 전력 허용량, 상기 충전대상차량의 배터리의 입력 전압, 상기 충전대상차량의 배터리로 전송된 전력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버터와 연결되며, 상기 충전제공차량의 배터리에서 상기 충전대상차량의 배터리에 제공되는 전송 전력량을 측정하는 파워미터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파워미터로부터 상기 전송 전력량을 전달받고, 상기 전송 전력량을 기초로 요금을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와 연결된 디스플레이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는 상기 전송 전력량 및/또는 상기 요금에 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버터는 직류전원을 입력받아 직류전원을 출력하는 DC/DC 컨버터일 수 있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충전 방법은, 충전제공차량의 BMS와 충전대상차량의 BMS로부터 각각 충전제공차량의 배터리와 충전대상차량의 배터리에 대한 배터리 상태 정보를 전달받는 단계와, 상기 충전제공차량의 배터리와 컨버터의 입력단 사이에 구비되는 제1프리차지 릴레이가 제1프리차지 저항과 연결되도록 하여 입력측 프리차지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충전대상차량의 배터리와 상기 컨버터의 출력단 사이에 구비되는 제2프리차지 릴레이가 제2프리차지 저항과 연결되도록 하여 출력측 프리차지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측 프리차지가 종료된 이후, 상기 제1프리차지 릴레이의 연결을 끊고 상기 충전제공차량의 배터리와 상기 컨버터 입력단을 연결하는 제1양극 릴레이를 닫아 상기 충전제공차량의 배터리에서 상기 컨버터 입력단으로 전력을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출력측 프리차지가 종료된 이후, 상기 제2프리차지 릴레이의 연결을 끊고 상기 충전대상차량의 배터리와 상기 컨버터 출력단을 연결하는 제2양극 릴레이를 닫아 상기 컨버터의 출력단에서 상기 충전대상차량의 배터리로 전력을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컨버터의 전압변환비율을 조절하며 충전대상차량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충전제공차량의 BMS로부터 전달받는 상기 배터리 상태 정보는 상기 충전제공차량의 BMS로부터 전송 가능한 에너지, 순간 최대 출력 전력 허용량, 상기 충전제공차량의 배터리의 출력 전압, 상기 충전제공차량의 배터리에서 전송된 전력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충전대상차량의 BMS로부터 전달받는 상기 배터리 상태 정보는 수신 가능한 에너지, 순간 최대 입력 전력 허용량, 상기 충전대상차량의 배터리의 출력 전압, 상기 충전대상차량의 배터리로 전송된 전력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컨버터를 통해 상기 충전대상차량의 배터리로 제공된 전송 전력량을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전송 전력량에 기초하여 전력요금을 계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전송 전력량 및/또는 상기 전력요금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전송 전력량 및/또는 상기 전력요금을 미리 선택할 수 있도록 충전 개시 이전에 상기 전송 전력량 및/또는 상기 전력요금을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충전대상차량의 배터리에 대한 충전이 완료되면, 상기 제1프리차지 릴레이와 상기 제2프리차지 릴레이와 상기 제1메인 릴레이와 상기 제2메인 릴레이의 연결을 끊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충전대상차량의 배터리에 대한 충전이 완료되면, 상기 충전제공차량의 BMS와 상기 충전대상차량의 BMS에 전력 송수신 중단 요청을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충전대상차량의 배터리와 인버터의 전기적 분리를 요청하고, 상기 충전제공차량의 배터리와 인버터의 전기적 분리를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충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충전 방법은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가 방전되거나 기타 다른 이유로 충전이 필요한 경우, 견인차 등에 의해 충전시설까지 이동하지 않고 주변의 다른 전기 자동차로부터 에너지를 공급받을 수 있어 편리하고 저비용으로 배터리 충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DC/DC 컨버터를 사용하므로 종래의 AC 전원을 DC 전원으로 변환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는 방식에 비해 전력 전송 효율이 높은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충전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충전 시스템과 충전제공차량과 충전대상차량을 도시한 블록도;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충전 시스템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배터리 충전 시스템을 이용한 충전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명확한 설명을 위하여 과장되게 표현된 부분이 있을 수 있으며, 도면 상에서 동일 부호로 표시된 요소는 동일 요소를 의미한다.
이하에서 서술하는 전기 자동차는 추진력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전기 모터가 사용되는 차량을 말한다. 전기 자동차를 추진하는 데 사용되는 에너지는 재충전 가능한 배터리 및/또는 연료 전지와 같은 전기적 소스를 포함한다. 전기 자동차는 내연기관을 또 하나의 동력원으로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전지 자동차 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충전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충전 시스템은 컨버터(converter)(110), 제1연결부(120), 제2연결부(130), 파워미터(power meter)(170), 제어부(150), 표시부(160)를 포함한다.
컨버터(110)는 컨버터(110)의 입력단으로 인가되는 전압레벨을 변환하여 출력단으로 출력한다.
일반적으로 방전된 전기 자동차(이하, 충전대상차량이라 한다)의 배터리(미도시)의 SOC(stae of charging)가 충전 에너지를 제공하는 전기 자동차(충전제공차량이라 한다)의 배터리(미도시)의 SOC보다 낮다. 이에 따라 충전대상차량 배터리의 전압레벨이 충전제공차량 배터리의 전압레벨 보다 낮다.
따라서 컨버터(110)로는 출력전압이 입력전압보다 낮은 전압강하용 컨버터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충전제공차량의 배터리가 DC 전원을 제공하고, 충전대상차량의 배터리도 DC 전원이 인가될 수 있으므로, 컨버터(110)는 DC 전원을 인가받아 DC 전원을 출력하는 DC/DC 컨버터 일 수 있다.
컨버터(110)의 입력단에는 제1연결부(120)가 구비된다.
제1연결부(120)는 컨버터(110)의 입력단의 양극라인(124)에 연결되어 ON/OFF 되는 제1양극 릴레이(121)와 컨버터(110)의 입력단의 음극라인(125)에 연결되어 ON/OFF 되는 제1음극 릴레이(122)와 제1양극 릴레이(121)에 병렬 연결되는 제1프리차지부(123)와, 양극라인(124)과 음극라인(125) 사이에 연결되어 컨버터(110)와 병렬 연결되는 제1용량성 소자(127)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제1프리차지부(123)는 ON/OFF 되는 제1프리차지 릴레이(123b) 및 제1프리차지 릴레이(123b)와 직렬 연결되는 제1프리차지 저항(123a)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OFF' 란 해당되는 연결이 끊어지는 것을 의미하고, 'ON'는 그 반대이다.
제1프리차지부(123)는 컨버터(110)의 입력단이 충전제공차량 배터리에 연결되었을 때, 급격한 전압변화로 인한 순간적인 과전류를 방지한다.
즉 제1양극 릴레이(121)는 OFF되고, 제1프리차지 릴레이(123b)는 ON되어 충전제공차량 배터리에서 인가된 전압은 제1프리차지 저항(123a)을 통해 제1용량성 소자(127)로 인가되며, 제1용량성 소자(127) 양단의 전압이 일정값에 도달하도록 충전한다.
이후, 제1프리차이 릴레이(123b)를 OFF하고, 제1양극 릴레이(121)를 ON하여 충전제공차량 배터리와 컨버터(110)가 직접 연결되도록 하여 급격한 전압변화로 인한 순간적인 과전류를 방지한다.
컨버터(110)의 출력단에는 제2연결부(130)가 구비된다.
제2연결부(130)는 제1연결부(120)와 유사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컨버터(110)의 출력단의 양극라인(134)에 연결되어 ON/OFF 되는 제2양극 릴레이(131)와 컨버터(110)의 출력단의 음극라인(135)에 연결되어 ON/OFF 되는 제2음극 릴레이(132)와 제2양극 릴레이(131)에 병렬 연결되는 제2프리차지부(133)와, 양극라인(134)과 음극라인(135) 사이에 연결되어 컨버터(110)와 병렬 연결되는 제2용량성 소자(137)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제2프리차지부(133)는 ON/OFF 되는 제2프리차지 릴레이(133b) 및 제2프리차지 릴레이(133b)와 직렬 연결되는 제2프리차지 저항(133a)을 구비할 수 있다.
제2프리차지부(133) 역시 컨버터(110)의 출력단이 충전대상차량 배터리에 연결되었을 때, 급격한 전압변화로 인한 순간적인 과전류를 방지한다. 그 기능은 상술한 제1프리차지부(123)와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파워미터(170)는 컨버터(110)와 병렬 연결되어 컨버터(110)에서 충전대상차량의 배터리로 제공된 전송전력량을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컨버터(110)와 데이터 버스로 연결되어 컨버터(110)의 입출력 전압변환비율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제1연결부(120)와 제2연결부(130)와 연결되어, 제1연결부(120)의 제1양극 릴레이(121)와 제1음극 릴레이(122)와 제1프리차지 릴레이(123b) 및 제2연결부(130)의 제2양극 릴레이(131)와 제2음극 릴레이(132)와 제2프리차지 릴레이(133b)의 ON/OFF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파워미터(170)와 연결되어, 파워미터(170)에서 측정한 전송전력량을 기초로 전력요금을 계산하고 과금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충전대상차량 배터리의 BMS(미도시) 및 충전제공차량 배터리의 BMS(미도시)와 통신하며, 전력 전달 제어를 수행하고, 각 BMS에서 인식하는 배터리를 통해 전달된 전력량과 파워미터(170)가 측정한 전송 전력량을 비교할 수 있다.
표시부(160)는 사용자에게 충전 시에 제공되는 정보를 화면 상에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충전량의 선택, 충전의 개시, 충전 진행 상황, 충전 종료, 전송된 전력량, 및 전력요금 등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고 이 중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정보 등을 입력받을 수 있다.
표시부(160)는 제어부(150)와 데이터버스로 연결되어, 양방향으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충전 시스템과 충전제공차량과 충전대상차량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충전 시스템(100)은 충전제공차량(200)과 충전대상차량(300)의 사이에서 충전제공차량(200)에서 충전대상차량(300)으로 전기 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다.
충전제공차량(200)은 BMS(battery management system)(210), 배터리(220), 인버터(230), 모터(240) 및 릴레이부(250)를 구비한다.
배터리(220)는 차량의 동력이 되는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는 축전 소스이다.
BMS(210)는 배터리(220)의 상태에 대한 각종 정보, 예를 들면, 순간 최대 입출력 전력 허용량, 배터리의 출력 전압, SOC 등을 체크하고, 배터리(220)의 충전/방전을 제어하고, 배터리(220)와 연결된 릴레이부(250)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릴레이부(250)는 배터리(220)의 양극라인과 연결되어 ON/OFF 되는 제1메인 릴레이(251)와 음극라인에 연결되어 ON/OFF 되는 제2메인 릴레이(252)와 제1메인 릴레이(251)에 병렬 연결되는 보조릴레이(253)를 구비할 수 있다.
보조릴레이(253)는 배터리(220)와 인버터(230) 사이에 과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요소로서, 과전류가 검출되면 제1메인 릴레이(251)를 OFF하고 보조릴레이(253)를 ON하여 보조저항(254)을 이용해 전류를 제한할 수 있다.
인버터(230)는 배터리(220)에서 전달되는 직류전원을 교류전원으로 변환하여 모터(240)에 전달하거나, 모터(240)에서 전달되는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배터리(220)로 전달하는 구성요소이다.
그리고 모터(240)는 차량에 전달되는 구동력을 생성하는 구성요소이다.
충전대상차량(300)의 구성은 충전제공차량(200)의 구성과 유사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충전 시스템의 프리차지 단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제공차량(200)에서 충전대상차량(300)으로 전력을 전송하여 충전대상차량(300)의 배터리(320)를 충전하기 위해, 우선 제어부(150)와 충전제공차량(200)의 BMS(210)와 충전대상차량(300)의 BMS(310)를 연결한다. 제어부(150)와 각 차량(200,300)의 BMS(210,310)는 CAN(controller area network)이나 FlexRay 등의 방법으로 통신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각 차량(200,300)의 BMS(210,310)에 전력 전송 모드 정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데이터를 전송받은 각 차량의 BMS(210,310)는 제1메인 릴레이(251,351), 제2메인 릴레이(252,352) 및 보조릴레이(253,353)를 모두 OFF하여 배터리(220,320)와 인버터(230,330)를 분리한다.
그리고 충전제공차량(200)의 BMS(210)는 전력전송상태로 전환되고, 충전대상차량(300)의 BMS(310)는 전력수신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각 차량(200,300)의 BMS(210,130)와 제어부(150)를 통해 릴레이부(250,350)의 OFF가 확인되면, 표시부(160)에는 배터리 충전 시스템(100)의 제1연결부(120) 및 제2연결부(130)를 연결하라는 정보 메시지가 표시될 수 있다. 또는 제1연결부(120) 및 제2연결부(130)는 릴레이(121,122,123b,131,132,133b)가 모두 OFF된 채 연결된 상태일 수 있다.
제1연결부(120)는 충전제공차량(200)의 배터리(220)의 양단에 연결되고, 제2연결부(130)는 충전대상차량(300)의 배터리(320)의 양단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표시부(160)에는 충전 개시의 선택과 충전량/충전금액을 입력하거나 선택이 가능한 인터페이스가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표시부(160)에 표시되는 충전량/충전금액은 충전제공차량(200)의 배터리(220)에 충전된 전력량을 고려하여 충전제공차량(200)의 주행이 가능한 범위에서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충전량이나 충전금액을 선택하고 충전 개시 신호를 입력하면, 제어부(150)는 충전을 개시한다. 이 때 제어부(150)는 먼저 제1연결부(120)와 제2연결부(130)의 연결을 확인하고 충전을 개시할 수 있다. 제1연결부(120) 및 제2연결부(130)의 연결이 인식되지 않는 경우, 표시부(160)에 제1연결부(120) 및 제2연결부(130)의 연결 확인 메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이 개시되면 제어부(150)는 제1양극 릴레이(121) 및 제2양극 릴레이(131)를 OFF하고(또는 OFF된 상태를 유지), 제1프리차지 릴레이(123b), 제2프리차지 릴레이(133b), 제1음극 릴레이(122) 및 제2음극 릴레이(132)를 ON한다.
이에 의해 본격적인 충전 이전에, 배터리 충전 시스템(100)과 각 차량(200,300)의 배터리(220,320)가 연결되며 발생할 수 있는 급격한 전압변화로 인한 순간적인 과전류를 방지하기 위해, 제1연결부(120)와 제2연결부(130)에서 각각 제1용량성 소자(127) 및 제2용량성 소자(137)를 미리 충전하는 프리차지(precharge)가 진행된다.
프리차지는 제1용량성 소자(127)와 제2용량성 소자(137)가 소정의 전압값으로 충전될 때까지 진행될 수 있다. 또는 각 용량성 소자(127,137)의 커패시턴스값(C)과 각 프리차지 저항(123a,133a)의 저항값(R)에 의한 시간상수(τ;time constant)를 기초로 충전시간이 경과할 때 까지 진행될 수 있다.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충전 시스템에 의해 충전제공차량과 충전대상차량 사이에서 충전이 진행되는 상태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차지가 완료된 후, 제어부(150)는 제1프리차지 릴레이(123b)를 OFF하고, 제1양극 릴레이(121)를 ON하여 충전제공차량(200)의 배터리(220)에서 컨버터(110)의 입력단으로 전력이 전달되도록 한다. 동시에 제2프리차지 릴레이(133b)를 OFF하고, 제2양극 릴레이(131)를 ON하여, 컨버터(110)의 출력단에서 충전대상차량(300)의 배터리(320)로 전력이 전달되도록 한다.
제어부(150)는 충전제공차량(200)의 BMS(210)로부터 전송 가능한 에너지, 순간 최대 출력 허용량, 배터리(220)의 출력 전압 등 충전제공차량(200)의 배터리 상태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또한 충전대상차량(300)의 BMS(310)로부터 수신 가능한 에너지, 순간 최대 입력 허용량, 배터리(320)의 출력 전압 등 충전대상차량(300)의 배터리 상태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제어부(150)는 각 차량의 BMS(210,310)로부터 전달받은 배터리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컨버터(110)의 전압변환비율을 제어하며 전력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전압변환비율이란 입력단으로 인가되는 전압에 대한 출력단으로 출력되는 전압의 비율을 의미한다.
또한 제어부(150)는 각 차량의 BMS(210,310)와 통신하며 각 BMS(210,310)를 통해 각 차량(200,300)의 전력전달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전력전달상태는 각 차량(200,300)의 배터리(220,320)의 출력전압/전류, 전송 전력량 등을 말한다.
또한 제어부(150)는 파워미터(170)로부터 측정된 전송 전력량에 대한 데이터를 전달받을 수 있다. 파워미터(170)에서 전달된 전송 전력량은 각 차량의 BMS(210,310)에서 전달받은 전송 전력량과 비교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전송 전력량을 통해 전력요금을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표시부(160)에 전송 전력량 및 전력요금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표시하여 사용자가 전력의 전달 상태를 인지하게 할 수 있다.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의 충전이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대상차량(300)의 배터리(320)에 충전이 완료되면, 제어부(150)는 제1양극 릴레이(121)와 제1음극 릴레이(122)를 OFF하여 컨버터(110)와 충전제공차량(200)의 배터리(220) 사이의 연결을 끊고, 제2양극 릴레이(131)와 제2음극 릴레이(132)를 OFF하여 컨버터(110)와 충전대상차량(300)의 배터리(320) 사이의 연결을 끊어, 배터리 충전 시스템(100)을 통한 전력 전달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충전제공차량(200)의 BMS(210)와 충전대상차량(300)의 BMS(310)에 각각 전력 전송과 전력 충전의 중단을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충전제공차량(200)의 BMS(210)는 배터리(220)에서 전력이 출력되는 것을 중단하고, 충전대상차량(300)의 BMS(310)는 배터리(320)에서 전력을 인가 받는 것을 중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파워미터(170) 및/또는 충전제공차량(200)과 충전대상차량(300)의 각 BMS(210,310)로부터 전송완료된 누적 전력량과 이를 기초로 계산한 전력요금에 대한 데이터를 표시부(160)에 전달할 수 있다.
표시부(160)는 제어부(150)에서 전달받은 누적 전력량과 전력요금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충전완료시점은 최초 충전개시 시에 사용자가 충전량이나 충전 금액을 선택한 경우, 해당 충전량이나 충전 금액에 도달하는 시점을 충전완료시점으로 간주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의 충전중단신호에 의해 충전이 완료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제1연결부(120)를 충전제공차량(200)의 배터리(220)에서 분리하고, 제2연결부(130)를 충전대상차량(300)의 배터리(320)에서 분리하고, 제어부(150)와 각 차량(200,300)의 BMS(210,310)를 분리하여 충전 작업을 완료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가 방전되거나 기타 다른 이유로 충전이 필요한 경우, 견인차 등에 의해 충전시설까지 이동하지 않고 주변의 다른 전기 자동차로부터 에너지를 공급받을 수 있어 편리하고 저비용으로 배터리 충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DC/DC 컨버터를 사용하므로 종래의 AC 전원을 DC 전원으로 변환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는 방식에 비해 전력 전송 효율이 높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충전시스템을 이용한 배터리 충전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배터리 충전 시스템을 이용한 충전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제공차량(200)에서 충전대상차량(300)으로 전력을 전송하여 충전대상차량(300)의 배터리(320)를 충전하기 위해, 우선 제어부(150)와 충전제공차량(200)의 BMS(210)와 충전대상차량(300)의 BMS(310)를 연결한다.(S11) 연결된 우선 제어부(150)와 각 차량(200,300)의 BMS(210,310)는 서로 CAN 등의 방법으로 통신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50)는 각 차량(200,300)의 BMS(210,310)에 전력 전송 모드 정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해당 데이터를 전송받은 각 차량(200,300)의 BMS(210,310)는 제1메인 릴레이(251,351), 제2메인 릴레이(252,352) 및 보조릴레이(253,353)를 모두 OFF하여 배터리(220,320)와 인버터(230,330)를 전기적으로 분리한다.(S12)
그리고, 배터리 충전 시스템(100)은 충전제공차량(200)의 배터리(220)와 충전대상차량(300)의 배터리(320)에 각각 연결된다.(S13)
구체적으로는, 제1연결부(120)를 충전제공차량(200)의 배터리(220)의 양단에 연결되고, 제2연결부(130)를 충전대상차량(300)의 배터리(320)의 양단에 연결할 수 있다.
제1연결부(120) 및 제2연결부(130)는 릴레이(121,122,123b,131,132,133b)가 모두 OFF된 채 연결될 수 있다. 또는 각 차량(200,300)의 BMS(210.310)와 제어부(150)를 통해 각 차량(200,300)의 릴레이부(250,350)의 OFF가 확인되고, 표시부(160)에 배터리 충전 시스템(100)의 제1연결부(120) 및 제2연결부(130)를 연결하라는 정보 메시지가 표시되면 제1연결부(120) 및 제2연결부(130)를 각 차량(200,300)의 배터리(220,320)에 연결할 수 있다.
동시에 제어부(150)는 충전제공차량(200)의 BMS(210)로부터 충전제공차량(200)의 배터리 상태 정보를 전달받고, 충전대상차량(300)의 BMS(310)로부터 충전대상차량(300)의 배터리 상태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S14)
이 때, 충전제공차량(200)의 BMS(210)로부터 전달되는 배터리 상태 정보는 전송 가능한 에너지, 순간 최대 출력 허용량, 배터리(220)의 출력 전압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충전대상차량(300)의 BMS(310)로부터 전달되는 배터리 상태 정보는 수신 가능한 에너지, 순간 최대 입력 허용량, 배터리(320)의 출력 전압 등이 될 수 있다.
표시부(160)에는 충전 개시의 선택과 충전량/충전금액을 입력하거나 선택이 가능한 인터페이스가 표시되고 해당 인터페이스에 의해 사용자는 충전량/충전금액을 입력하거나 선택할 수 있다.(S15)
이 경우 표시부(160)에 표시되는 충전량/충전금액은 충전제공차량(200)의 배터리(220)에 충전된 전력량을 고려하여 충전제공차량(200)의 주행이 가능한 범위에서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충전량이나 충전금액을 선택하고 충전 개시 신호를 입력하면, 제어부(150)는 충전을 개시한다. 이 때 제어부(150)는 먼저 제1연결부(120)와 제2연결부(130)의 연결을 확인하고 충전을 개시할 수 있다. 제1연결부(120) 및 제2연결부(130)의 연결이 인식되지 않는 경우, 표시부에 제1연결부(120) 및 제2연결부(130)의 연결 메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충전이 개시되면 제어부(150)는 제1양극 릴레이(121) 및 제2양극 릴레이(131)를 OFF하고(또는 OFF된 상태를 유지),(S16) 제1프리차지 릴레이(123b), 제2프리차지 릴레이(133b), 제1음극 릴레이(122) 및 제2음극 릴레이(132)를 ON한다.(S17)
이에 의해 본격적인 충전 이전에, 제1용량성 소자(127) 및 제2용량성 소자(137)를 미리 충전하는 프리차지(precharge)가 진행된다. (S18)
이는 배터리 충전 시스템(100)과 각 차량(200,300)의 배터리(220,320)이 연결되며 발생하는 급격한 전압변화로 인한 순간적인 과전류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프리차지는 제1용량성 소자(127)와 제2용량성 소자(137)가 소정의 전압값으로 충전될 때까지 진행될 수 있다. 또는 각 용량성 소자(127,137)의 커패시턴스값(C)과 각 프리차지 저항(123a,133a)의 저항값(R)에 의한 시간상수(τ;time constant)를 기초로 충전시간이 경과할 때 까지 진행될 수 있다.
프리차지가 완료된 후, 제어부(150)는 제1프리차지 릴레이(123b)와 제2프리차지 릴레이(133b)가 OFF되도록 제어하고(S19), 제1양극 릴레이(121)와 제2양극 릴레이(131)가 ON되도록 제어한다.(S20)
그리고 제어부(150)는 각 차량(200,300)의 BMS(210,310)로부터 전달받은 배터리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컨버터(110)의 전압변환비율을 제어하며, 배터리 충전 시스템(100)을 매개로 충전제공차량(200)의 배터리(220)에서 충전대상차량(300)의 배터리(320)로 전력이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S21)
충전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제어부(150)는 파워미터(170)로부터 측정된 전송 전력량에 대한 데이터를 전달받을 수 있다. 파워미터(170)에서 전달된 전송 전력량은 각 차량(200,300)의 BMS(210,310)에서 전달받은 전송 전력량과 비교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전송 전력량을 통해 전력요금을 계산할 수 있다.
그리고 누적된 전송 전력량과 이에 대한 전력요금에 대한 데이터는 제어부(150)에서 표시부(160)로 전달되고, 표시부(160)는 누적된 전송 전력량 및 전력요금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표시하여 사용자가 전력의 전달 상태를 인지하게 할 수 있다.(S22)
제어부(150)는 누적된 전송 전력량과 이에 대한 전력요금과 충전 개시 시에 사용자가 입력 또는 선택한 충전량/충전금액을 비교하여 충전완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3)
즉 누적된 전송 전력량과 이에 대한 전력요금이 사용자가 입력한 충전량/충전금액 보다 낮으면 전력 전송을 계속하고, 양 값이 동일해지면 충전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충전중단신호에 의해서도 충전이 완료될 수 있다.
제어부(150)가 충전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하는 경우, 제어부(150)는 제1양극 릴레이(121)와 제1음극 릴레이(122)를 OFF하여 컨버터(110)와 충전제공차량(200)의 배터리(220) 사이의 연결을 끊고, 제2양극 릴레이(131)와 제2음극 릴레이(132)를 OFF하여 컨버터(110)와 충전대상차량(300)의 배터리(320) 사이의 연결을 끊어, 배터리 충전 시스템(100)을 통한 전력 전달을 차단할 수 있다.(S24)
또한 제어부(150)는 충전제공차량(200)의 BMS(210)와 충전대상차량(300)의 BMS(310)에 각각 전력 전송과 전력 충전의 중단을 요청할 수 있다.(S25) 이에 따라 충전제공차량(200)의 BMS(210)는 배터리(220)에서 전력이 출력되는 것을 중단하고, 충전대상차량(300)의 BMS(310)는 배터리(320)에서 전력을 인가 받는 것을 중단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제1연결부(120)를 충전제공차량(200)의 배터리(220)에서 분리하고, 제2연결부(130)를 충전대상차량(300)의 배터리(320)에서 분리하고, 제어부(150)와 각 차량(200,300)의 BMS(210,310)를 분리하여 충전 작업을 완료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0: 배터리 충전 시스템 110: 컨버터
120: 제1연결부 130: 제2연결부
150: 제어부 160: 표시부
170: 파워미터 200: 충전대상차량
300: 충전제공차량 210,310: BMS
220,320: 배터리 230.330: 인버터
240,340: 모터 250,350: 릴레이부

Claims (21)

  1. 충전제공차량의 배터리의 양단에 연결되는 제1연결부;
    충전대상차량의 배터리에 양단에 연결되는 제2연결부;
    상기 제1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1연결부를 통해 상기 충전제공차량의 배터리에서 전달되는 전압을 변환하여 상기 제2연결부를 통해 상기 충전대상차량의 배터리로 전달하는 컨버터;
    상기 제1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의 전기적 연결을 제어하고, 충전제공차량의 BMS(battery management system)와 충전대상차량의 BMS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각 BMS에서 전달되는 상기 각 배터리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컨버터의 전압변환비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는
    상기 충전제공차량의 배터리의 양극과 상기 컨버터의 입력단의 양극을 연결하는 제1양극 릴레이;
    상기 충전제공차량의 배터리의 음극과 상기 컨버터의 입력단의 음극을 연결하는 제1음극 릴레이;
    상기 컨버터의 입력단과 병렬 연결되는 제1 용량성 소자;
    상기 제1양극 릴레이와 병렬 연결되는 제1프리차지(precharge)부를 구비하되,
    상기 제1프리차지부는, 제1프리차지 릴레이와, 상기 제1프리차지 릴레이와 직렬 연결되는 제1프리차지 저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연결부가 상기 충전제공차량의 배터리에 연결되면,
    상기 제1양극 릴레이를 열어 연결을 끊고 상기 제1음극 릴레이와 상기 제1프리차지 릴레이를 닫아 상기 제1용량성 소자에 소정 전압을 충전하는 입력측 프리차지를 수행하고,
    상기 입력측 프리차지가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양극 릴레이를 닫고, 상기 제1프리차지 릴레이를 열어, 상기 충전제공차량의 배터리에서 상기 컨버터로 전력전송을 수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부는
    상기 충전대상차량의 배터리의 양극과 상기 컨버터의 출력단의 양극을 연결하는 제2양극 릴레이;
    상기 충전대상차량의 배터리의 음극과 상기 컨버터의 출력단의 음극을 연결하는 제2음극 릴레이;
    상기 컨버터의 출력단과 병렬 연결되는 제2 용량성 소자;
    상기 제2양극 릴레이와 상기 제2음극 릴레이 중 어느 하나에 병렬 연결되는 제2프리차지(precharge)부를 구비하되,
    상기 제2프리차지부는 제2프리차지 릴레이와 상기 제2프리차지 릴레이와 직렬 연결되는 제2프리차지 저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연결부가 상기 충전대상차량의 배터리에 연결되면,
    상기 제2양극 릴레이를 열어 연결을 끊고 상기 제2음극 릴레이와 상기 제2프리차지 릴레이를 닫아 상기 제2용량성 소자에 소정 전압을 충전하는 출력측 프리차지를 수행하고,
    상기 출력측 프리차지가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양극 릴레이를 닫고, 상기 제2프리차지 릴레이를 열어, 상기 컨버터에서 상기 충전대상차량의 배터리로 전력전송이 수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제공차량의 BMS에서 전달되는 상기 충전제공차량의 배터리의 상기 상태 정보는 충전제공차량의 BMS로부터 전송 가능한 에너지, 순간 최대 출력 전력 허용량, 상기 충전제공차량의 배터리의 출력 전압, 상기 충전제공차량의 배터리에서 전송된 전력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대상차량의 BMS에서 전달되는 상기 충전대상차량의 배터리의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충전대상차량의 BMS로부터 수신 가능한 에너지, 순간 최대 입력 전력 허용량, 상기 충전대상차량의 배터리의 입력 전압, 상기 충전대상차량의 배터리로 전송된 전력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버터와 연결되며, 상기 충전제공차량의 배터리에서 상기 충전대상차량의 배터리에 제공되는 전송 전력량을 측정하는 파워미터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파워미터로부터 상기 전송 전력량을 전달받고, 상기 전송 전력량을 기초로 요금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와 연결된 디스플레이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는 상기 전송 전력량 및/또는 상기 요금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버터는 직류전원을 입력받아 직류전원을 출력하는 DC/DC 컨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 시스템.
  12. 충전제공차량의 BMS와 충전대상차량의 BMS로부터 각각 충전제공차량의 배터리와 충전대상차량의 배터리에 대한 배터리 상태 정보를 전달받는 단계;
    상기 충전제공차량의 배터리와 컨버터의 입력단 사이에 구비되는 제1프리차지 릴레이가 제1프리차지 저항과 연결되도록 하여 입력측 프리차지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충전대상차량의 배터리와 상기 컨버터의 출력단 사이에 구비되는 제2프리차지 릴레이가 제2프리차지 저항과 연결되도록 하여 출력측 프리차지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입력측 프리차지가 종료된 이후, 상기 제1프리차지 릴레이의 연결을 끊고 상기 충전제공차량의 배터리와 상기 컨버터 입력단을 연결하는 제1양극 릴레이를 닫아 상기 충전제공차량의 배터리에서 상기 컨버터 입력단으로 전력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출력측 프리차지가 종료된 이후, 상기 제2프리차지 릴레이의 연결을 끊고 상기 충전대상차량의 배터리와 상기 컨버터 출력단을 연결하는 제2양극 릴레이를 닫아 상기 컨버터의 출력단에서 상기 충전대상차량의 배터리로 전력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컨버터의 전압변환비율을 조절하며 충전대상차량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배터리 충전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충전제공차량의 BMS로부터 전달받는 상기 배터리 상태 정보는 상기 충전제공차량의 BMS로부터 전송 가능한 에너지, 순간 최대 출력 전력 허용량, 상기 충전제공차량의 배터리의 출력 전압, 상기 충전제공차량의 배터리에서 전송된 전력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충전대상차량의 BMS로부터 전달받는 상기 배터리 상태 정보는 수신 가능한 에너지, 순간 최대 입력 전력 허용량, 상기 충전대상차량의 배터리의 출력 전압, 상기 충전대상차량의 배터리로 전송된 전력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컨버터를 통해 상기 충전대상차량의 배터리로 제공된 전송 전력량을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전력량에 기초하여 전력요금을 계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전력량 및/또는 상기 전력요금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전력량 및/또는 상기 전력요금을 미리 선택할 수 있도록 충전 개시 이전에 상기 전송 전력량 및/또는 상기 전력요금을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 방법.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대상차량의 배터리에 대한 충전이 완료되면, 상기 제1프리차지 릴레이와 상기 제2프리차지 릴레이와 상기 제1메인 릴레이와 상기 제2메인 릴레이의 연결을 끊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 방법.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대상차량의 배터리에 대한 충전이 완료되면, 상기 충전제공차량의 BMS와 상기 충전대상차량의 BMS에 전력 송수신 중단 요청을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 방법.
  21.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대상차량의 배터리와 인버터의 전기적 분리를 요청하고, 상기 충전제공차량의 배터리와 인버터의 전기적 분리를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 방법.
KR1020110096404A 2011-09-23 2011-09-23 배터리 충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충전 방법 KR1015426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6404A KR101542641B1 (ko) 2011-09-23 2011-09-23 배터리 충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충전 방법
EP12834518.8A EP2660950B1 (en) 2011-09-23 2012-09-21 Battery charging system and charging method using same
PCT/KR2012/007597 WO2013042988A2 (ko) 2011-09-23 2012-09-21 배터리 충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충전 방법
CN201610972474.1A CN107082028B (zh) 2011-09-23 2012-09-21 电池充电系统和使用电池充电系统的充电方法
CN2012800043896A CN103283113A (zh) 2011-09-23 2012-09-21 电池充电系统和使用电池充电系统的充电方法
JP2013548374A JP5692882B2 (ja) 2011-09-23 2012-09-21 バッテリー充電システム
US13/910,223 US9937805B2 (en) 2011-09-23 2013-06-05 Battery charging system and charging method u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6404A KR101542641B1 (ko) 2011-09-23 2011-09-23 배터리 충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충전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2664A true KR20130032664A (ko) 2013-04-02
KR101542641B1 KR101542641B1 (ko) 2015-08-07

Family

ID=47915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6404A KR101542641B1 (ko) 2011-09-23 2011-09-23 배터리 충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충전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937805B2 (ko)
EP (1) EP2660950B1 (ko)
JP (1) JP5692882B2 (ko)
KR (1) KR101542641B1 (ko)
CN (2) CN107082028B (ko)
WO (1) WO2013042988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12167A (zh) * 2020-01-21 2021-08-06 上海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继电器闭合辅助系统和方法
WO2023043051A1 (ko) * 2021-09-14 2023-03-2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력 전달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64507B2 (en) * 2013-03-07 2019-11-05 Samsung Sdi Co., Ltd. Battery management system and switching method thereof
CN104253464B (zh) * 2013-06-28 2017-05-03 比亚迪股份有限公司 电动汽车之间相互充电的系统及充电连接器
JP6539264B2 (ja) * 2013-06-28 2019-07-03 ビーワイディー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Byd Company Limited 電気自動車用の電力系統、電気自動車、及びモータコントローラ
CN104253471B (zh) * 2013-06-28 2017-02-22 比亚迪股份有限公司 电动汽车的充电系统及电动汽车的充电控制方法
CN104249629B (zh) 2013-06-28 2016-09-07 比亚迪股份有限公司 电动汽车、电动汽车的动力系统和动力电池的充电方法
CN104249630B (zh) * 2013-06-28 2017-08-04 比亚迪股份有限公司 电动汽车及电动汽车向外供电的系统
CN104600761B (zh) * 2013-10-30 2017-07-11 北汽福田汽车股份有限公司 逆变器电容预充电的控制方法及具有其的汽车
FR3013165B1 (fr) 2013-11-08 2021-04-23 Intelligent Electronic Systems Dispositif de charge compact pour vehicule electrique
FR3013164B1 (fr) 2013-11-08 2018-02-02 Intelligent Electronic Systems Procede de charge de vehicule electrique a vehicule electrique
US9739819B2 (en) * 2013-12-20 2017-08-2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able joint integrity detection systems and methods
DE102014203931A1 (de) * 2014-03-04 2015-09-10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r Durchführung eines Fremdstartvorgangs oder eines Fremdladevorgangs von Fahrzeugen
US9713965B2 (en) * 2014-05-16 2017-07-2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ariable precharge timing
KR101644023B1 (ko) * 2014-05-23 2016-07-29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양방향 dc-dc 컨버터 제어 장치 및 방법
CN105984353B (zh) * 2015-02-09 2018-12-25 台达电子工业股份有限公司 电池电源整合装置以及具有该装置的油电混合车电源系统
CN105835714A (zh) * 2015-11-04 2016-08-10 郑州宇通客车股份有限公司 一种车对车充电机和系统以及充电方法
US10300791B2 (en) * 2015-12-18 2019-05-28 Ge Global Sourcing Llc Trolley interfacing device having a pre-charging unit
CN105680334B (zh) * 2016-04-05 2019-01-18 深圳市清友能源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电动汽车高压配电与dc/dc的集成箱
DE102016207286A1 (de) * 2016-04-28 2017-11-02 Robert Bosch Gmbh Elektrisches System mit mindestens zwei Modulen
US10148105B2 (en) 2016-06-30 2018-12-04 Shenzhen Carku Technology Co, Ltd. Battery clamp
EP3264515B1 (en) 2016-06-30 2019-04-03 Shenzhen Carku Technology Co., Ltd. Smart battery jumper cable
US10298034B2 (en) * 2016-06-30 2019-05-21 Shenzhen Carku Technology Co., Ltd Emergency power supply system and management method
ES2902748T3 (es) 2016-11-30 2022-03-29 Bombardier Recreational Products Inc Sistema eléctrico y método para energizar el sistema eléctrico
KR101943883B1 (ko) 2016-12-30 2019-01-30 효성중공업 주식회사 절연형 양방향 dc-dc 컨버터의 스위칭 제어방법
KR102371194B1 (ko) * 2017-04-07 2022-03-0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차량 구동용 전력 공급 시스템
CN107069887B (zh) * 2017-05-18 2023-08-29 云杉智慧新能源技术有限公司 一种电动车充放电系统
CN107342606B (zh) * 2017-06-09 2019-10-15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组充电的控制系统和方法
CN109017335A (zh) * 2017-06-09 2018-12-18 湖南中车时代电动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电动汽车直流充电系统
US10153698B1 (en) * 2017-07-31 2018-12-11 Lg Chem, Ltd. Control system for transitioning a DC-DC voltage converter from a buck operational mode to a safe operational mode
CN108081977B (zh) * 2017-11-10 2021-09-03 易充新能源(深圳)有限公司 一种电动车的补电设备
KR102256097B1 (ko) * 2017-11-29 2021-05-2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팩
KR102515549B1 (ko) * 2017-12-01 2023-03-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Power Relay Assembly, PRA) 및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의 제어 방법
CN108275026A (zh) * 2018-02-28 2018-07-13 深圳奥特迅电力设备股份有限公司 用于车对车充电的充电装置及方法
US10363828B1 (en) * 2018-06-12 2019-07-30 Nio Us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gulating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CN109038762B (zh) * 2018-09-14 2020-07-1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充电装置与充电系统
CN111355271B (zh) * 2018-12-21 2021-11-12 比亚迪股份有限公司 车辆、充电装置、充电方法、放电方法及保护系统
CN109649175A (zh) * 2019-02-19 2019-04-19 重庆长安新能源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新能源汽车及其高压架构系统和充电系统
US11104244B2 (en) * 2019-04-12 2021-08-3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for charging a plug-in electric vehicle via another plug-in electric vehicle
KR20220055366A (ko) 2020-10-26 2022-05-0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충전 관리 장치, 충전 관리 방법 및 전기 차량
CN112776624A (zh) * 2021-02-03 2021-05-11 爱驰汽车有限公司 车对车充电系统、方法及电动汽车
CN114851909A (zh) * 2022-04-20 2022-08-05 潍柴动力股份有限公司 电动汽车的控制方法及其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7281587B1 (ja) 2022-07-08 2023-05-25 株式会社オリジン 電気自動車間充放電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27111A (en) * 1984-04-12 1985-07-02 Joseph N. Connell Safety jumper cables
US4769586A (en) * 1986-03-07 1988-09-06 Kazmierowicz Thaddeus V Battery jumper cable apparatus
US4871957A (en) * 1988-04-04 1989-10-03 James Taranto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automatic connection of battery cables
JPH10112902A (ja) * 1996-10-04 1998-04-28 Suzuki Motor Corp 電気自動車の電源装置
US5936381A (en) * 1998-01-13 1999-08-10 Suh; Soo Chan Charging apparatus for car storage batteries
US6262492B1 (en) * 1999-04-09 2001-07-17 Dhc Specialty Corp. Car battery jumper cable
KR100458095B1 (ko) * 2001-12-05 2004-11-26 김남진 휴대폰의 배터리 충전시스템
JP4834985B2 (ja) * 2004-12-10 2011-12-1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組電池の容量調整装置
JP4555136B2 (ja) * 2005-03-31 2010-09-2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燃料電池の電気システム、燃料電池車両及び電力供給方法
WO2006124130A1 (en) * 2005-03-31 2006-11-23 Energycs Method and system for retrofitting a full hybrid to be a plug-in hybrid
JP4222337B2 (ja) * 2005-04-04 2009-02-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複数の電源を備えた電源システム及びそれを備えた車両
JP4353197B2 (ja) 2006-03-13 2009-10-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および電気機器
JP4694399B2 (ja) * 2006-03-30 2011-06-08 浩 清水 電気自動車への緊急充電システム
JP5060884B2 (ja) * 2007-09-21 2012-10-31 富士重工業株式会社 牽引装置
KR101103616B1 (ko) 2008-01-07 2012-01-09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인터락 스위치를 이용한 프리-차지 저항 보호 회로 장치
CN101330225B (zh) 2008-07-08 2010-07-07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动力电池高压输出监控装置
US8736226B2 (en) 2008-10-28 2014-05-27 Panasonic Corporation Charging cable, charging cable unit, and charging system for electric vehicle
JP2010110050A (ja) * 2008-10-28 2010-05-13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充電ケーブルユニット
CN201383185Y (zh) * 2009-03-30 2010-01-13 杭州安凯电子电源厂 一种电动车充电站
JP5493441B2 (ja) * 2009-04-15 2014-05-1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車間充電方法、車車間充電用ケーブルおよび電動車両
JP2010273427A (ja) * 2009-05-20 2010-12-02 Nissan Motor Co Ltd 電動車両用電源装置および組電池
DE102009029091A1 (de) * 2009-09-02 2011-03-03 Robert Bosch Gmbh Starthilfeverfahren und Einrichtung für die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KR101091145B1 (ko) * 2009-10-23 2011-12-09 자동차부품연구원 휴대형 충전제어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US8698451B2 (en) * 2009-12-18 2014-04-15 General Electric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rapid charging using shared power electronics
JP2011188588A (ja) * 2010-03-05 2011-09-22 Honda Motor Co Ltd 充電用ケーブルおよび充電システム
CN201754516U (zh) * 2010-07-22 2011-03-02 北京交通大学 一种电动车充电系统
KR101569547B1 (ko) * 2011-05-02 2015-11-1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자동차 충전 시스템 및 자동차의 충전 방법
KR101245540B1 (ko) * 2011-05-23 2013-03-21 한국전기연구원 주위 전기 자동차를 이용해 방전된 전기 자동차에게 충전서비스를 제공하는 과금 가능 휴대형 장치
US20130035812A1 (en) * 2011-08-04 2013-02-0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p Battery charging system and method
TWI515995B (zh) * 2012-01-06 2016-01-01 鴻海精密工業股份有限公司 電池充電系統及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12167A (zh) * 2020-01-21 2021-08-06 上海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继电器闭合辅助系统和方法
WO2023043051A1 (ko) * 2021-09-14 2023-03-2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력 전달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082028A (zh) 2017-08-22
US20130264995A1 (en) 2013-10-10
US9937805B2 (en) 2018-04-10
WO2013042988A3 (ko) 2013-05-23
EP2660950B1 (en) 2017-12-06
WO2013042988A2 (ko) 2013-03-28
JP2014504139A (ja) 2014-02-13
KR101542641B1 (ko) 2015-08-07
CN107082028B (zh) 2020-11-03
CN103283113A (zh) 2013-09-04
EP2660950A4 (en) 2016-03-16
JP5692882B2 (ja) 2015-04-01
EP2660950A2 (en) 2013-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2641B1 (ko) 배터리 충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충전 방법
US10259336B2 (en) Charging a battery using interpack switch
EP2874270B1 (en) Battery pack and electric vehicle
US9764643B2 (en) Vehicle
CN105206880B (zh) 用于修复和增大锂离子电池容量的方法
US9434257B2 (en) Power supply connector, vehicle and control method for vehicle
US8768533B2 (en) Vehicle,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device
US20130049676A1 (en) Quick charging device and mobile charging apparatus
US9337681B2 (en) Power source system, vehicle including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source system
WO2014196933A1 (en) Battery charging devices, battery charging methods, battery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batteries
CN104736378A (zh) 用于车辆的电源系统
WO2013065380A2 (en) Vehicle with an electric storage section capable of discharging (supplying) an electric power to an external electric load, discharge system including the vehicle and a power cable, method for discharging the electric storage section, and equipment external to the vehicle used in the discharge system
WO2013065374A2 (en) Vehicle with an electric storage section, and charge- discharge system including the vehicle and an energy management equipment
US20130015700A1 (en)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system, and vehicle
CN103119822A (zh) 蓄电系统以及蓄电系统的控制方法
JP2014239621A (ja) 車両の電源装置
CN104112876A (zh) 电池模块及其控制方法
CN111332139B (zh) 车辆充电系统
CN102983611A (zh) 电池监视和充电系统及电动机驱动车辆
CN108702004A (zh) 用于控制馈送到电池组的电流的方法和系统
CN111697278A (zh) 用于确定能量储存器的最大储存容量的方法和充电装置
JP2013038996A (ja) 車両用充電装置、充電線通信システム
JP7087536B2 (ja) 充電装置
JP2013048518A (ja) 車両用充電装置、充電線通信システム
KR20180001924A (ko) 고전압 배터리 정합 장치 및 충전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