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7450A - 스위치 - Google Patents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7450A
KR20130027450A KR1020127013437A KR20127013437A KR20130027450A KR 20130027450 A KR20130027450 A KR 20130027450A KR 1020127013437 A KR1020127013437 A KR 1020127013437A KR 20127013437 A KR20127013437 A KR 20127013437A KR 20130027450 A KR20130027450 A KR 201300274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contact
housing
wire rod
switch kno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3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싱고 치바
테추로 타카사키
Original Assignee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27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74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01H23/04Cases;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01H2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3/14Tumblers
    • H01H23/143Tumblers having a generally flat elongated shape
    • H01H23/145Tumblers having a generally flat elongated shape the actuating surface having two slightly inclined areas extending from the middle outw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01H2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3/16Driving mechanisms
    • H01H23/162Driving mechanisms incorporating links interconnecting tumbler and contact a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28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with three operating positions
    • H01H23/3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with three operating positions with stable centre positions and one or both end positions unstable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 Tumbler Switches (AREA)

Abstract

부품의 개수가 감소하고, 조립이 단순화하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스위치가 제공된다.
스위치(100)는 스위치 노브(11), 푸시 동작에 의해 상기 스위치 노브(11)가 이동 가능한 방식으로 지지되는 하우징(13), 스위치 노브(11)의 푸시 동작에 따라 가압되는 푸시 핀(15), 및 푸시 핀(15)이 가압될 때 탄성 변형하는 러버 컨택(17)을 포함하고, 러버 컨택(17)의 전도부와 접촉함으로써 회로가 전도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회로는 평행하게 제공된 복수의 와이어 로드(19)인 컨덕터로 구성되며, 와이어 로드(19)의 말단은 수 탭으로서 하우징(13)에 제공된 커넥터 오프닝(25a) 내에서 돌출된다. 도전부와 접촉하는 와이어 로드(19)의 부분은 고정 컨택이 되고, 와이어 로드(19)는, 고정 컨택의 양 말단이 상기 양 말단이 상기 하우징(13)에 압입되도록 고정된다.

Description

스위치{SWITCH}
본 발명은 회로 몸체에 설치되는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스위치는, 푸시 동작에 의해 스위치 노브(knob)가 하우징 내부에서 이동 가능한 방식으로 지지되고, 상기 하우징 내부에 제공된 회로가 상기 스위치 노브의 푸시 동작을 통해 러버 컨택(rubber contacts)을 탄성 변형시킴으로써 전도적으로 접속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PTL 1에 개시된, 도 8의 스위치(500)는 베이스 플레이트(501), 연성 인쇄회로기판(503), 연성 시트(505) 및 키 탑(507)을 포함한다. 컨택(511a 및 511b)을 포함하는 고정 컨택(511)은 인쇄되어 상기 연성 인쇄회로기판(503)의 컨택 회로 형성부(509) 상에 패턴을 형성한다. 한 쌍의 버튼(513 및 513)이 상기 연성 시트(505) 상에 형성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가압부(515 및 515)는 상기 키 탑(507)의 하부 표면에 수직으로 제공된다. 상기 키 탑(507)이 스윙 되면, 가압된 측의 가압부(515)가 버튼(513)을 누르고, 상기 버튼(513)의 뒷면에 제공된 이동 가능한(movable) 컨택(517)이 상기 고정 컨택(511)과 접속하고, 상기 컨택들(511a 및 511b)은 전도된다.
[PTL 1] JP-A-9-139154
그러나, 상기 종래의 스위치(500)는 상기 연성 인쇄회로기판(503)을 사용하기 때문에, 일반 커넥터와 연결될 수 없다. 즉, 상기 연성 인쇄회로기판(503)은 먼저 다른 기판, 즉 릴레이 보드(relay board)와 연결되고, 그 다음에 상기 커넥터와 연결된다. 이러한 이유로, 부품의 개수가 증가하고, 조립이 복잡해지며, 비용이 증가한다.
본 발명은 상기에 언급된 상황에 비추어 고안되고, 본 발명의 목적은 스위치를 제공하여 부품 개수를 줄이고, 조립을 단순화하고 비용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과제는 다음의 구조물에 의해 달성된다. (1) 스위치에 있어서, 스위치 노브; 상기 스위치 노브가 푸시 동작에 의해 이동 가능한 방식으로 지지되는 하우징; 상기 스위치 노브의 푸시 동작에 따라 가압되는 푸시 핀; 및 상기 푸시 핀이 가압되는 경우 탄성 변형하는 러버 컨택을 포함하고, 상기 러버 컨택의 도전부는 회로를 도전 연결하도록 접촉되고, 상기 회로는 평행하게 제공된 복수의 와이어 로드인 컨덕터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와이어 로드의 말단은 수 탭으로서 상기 하우징에 제공된 커넥터 개구 내에서 돌출된다.
상기 스위치에 따르면, 상기 와이어 로드는 기판 대신에 사용될 수 있고, 상기 기판(연성 인쇄회로기판 및 릴레이 보드) 및 부가적인 커넥터가 필요치 않다.
(2) 상기 (1)에 따른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도전부와 접촉하는 상기 와이어 로드의 부분은 고정 컨택이 되고, 상기 고정 컨택 각각의 양 말단은, 상기 양 말단이 상기 하우징에 압입되는 상태로 고정된다.
상기 스위치에 따르면, 상기 러버 컨택의 도전부가 접촉하는, 상기 와이어 로드의 고정 컨택은 상기 하우징에 고정된 두 개의 말단 사이에 유지되고, 상기 도전부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가 정확하게 유지될 수 있다.
(3) 상기 (1) 또는 (2)에 따른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도전부 중 두 개는 상기 와이어 로드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세 개의 와이어 로드를 평행하게 제공함으로써 두 개의 회로가 형성된다.
상기 스위치에 따르면, 상기 두 개의 도전부가 상기 와이어 로드의 길이 방향으로 엇갈림 배열되기 때문에, 상기 두 개의 회로는 개폐될 수 있다.
(4)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차량용 실내 조명 장치에 사용된다.
상기 스위치에 따르면, 저렴하고 소형인 차량용 실내 조명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위치에 따르면, 상기 스위치 노브의 푸시 동작으로 인해 탄성 변형하는 러버 컨택과 접촉하는 회로가 평행하게 제공되는 복수의 와이어 로드로 구성되고, 상기 와이어 로드의 말단이 하우징의 커넥터 오프닝 내에서 수 탭 (male tabs)으로서 돌출되므로, 부품의 개수가 감소되고, 조립이 단순화되고, 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위치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를 설명하는 도면으로, 도 3a는 상기 스위치의 평면도, 도 3b는 도 3a의 상면도, 도 3c는 도 3a의 우측도, 도 3d는 도 3a의 배면도이다.
도 4는 도 3a의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러버 컨택의 사시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와이어 로드 배열 패턴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 6a 내지 도 6c는 각각 서로 다른 와이어 로드 배열을 도시한 패턴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e는 도 1에 도시된 스위치를 조립하는 절차를 도시한 공정 설명도로, 도 7a 내지 도 7e는 각각 하나의 공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종래의 스위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스위치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위치의 조립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위치로서 시소(seesaw) 스위치가 사용되는 것을 설명한다. 시소 스위치(100)는 스위치 노브(11), 하우징(13), 푸시 핀(15), 러버 컨택(17) 및 와이어 로드(19)를 포함한다. 상기 스위치 노브(11)는 수지 물질로 만들어지고, 실질적으로 사각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스위치 노브(11)의 상면의 중앙부는 움푹 들어가고, 맞물림(engaging) 홀(21a)을 갖는 한 쌍의 맞물림 플레이트(21)가 상기 스위치 노브(11)의 하면에 수직으로 제공된다.
상기 하우징(13)은 수지 물질에 의해 일체형으로 몰딩되고, 실질적으로 사각 형상을 갖는다. 커넥터 개구(25a)를 갖는 커넥터 개구부(25)는 길이 방향으로 하우징(13)의 하우징 몸체(23)의 측면에 일체형으로 결합된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상대편 커넥터(암 커넥터)는 상기 커넥터 오프닝(25)에 삽입되고, 맞물린다.
한 쌍의 평행한 지지 플레이트(27 및 27)가 상기 하우징(13)의 상면 위에 직립하도록 제공되고, 전술한 맞물림 홀(21a)에 맞물리는 샤프트(27a)는 각각 지지 플레이트(27 및 27)의 상부 외측면으로부터 돌출한다. 맞물림 홀(27a)은 샤프트(27a)와 회전 가능하게 맞물리기 때문에, 스위치 노브(11)의 중앙부는 하우징(13)의 지지 플레이트(27 및 27)에 의해 스윙 가능하게 지지된다. 한 쌍의 가압부(29 및 29)(도 7e 참조)가 상기 맞물림 플레이트(21)의 양측에서 상기 스위치 노브(11)의 하면에 길이 방향으로 제공된다.
한 쌍의 산-형상 돌출부(31 및 31)가 지지 플레이트(27)의 양측에서 하우징(13)의 상면에 길이 방향으로 제공된다. 상기 돌출부(31)는 그 정상부에 관통홀(31a)을 포함한다. 관통홀(31a)은 관통됨으로써 상기 하우징의 하면에서 개방된다. 이들 관통홀(31a)은 스위치 노브(11)의 가압부(29)가 하우징(13)에 부착 시, 스위치 노브(11)의 가압부(29)를 향하도록 배열된다.
도 3a는 도 2의 평면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상면도이고, 도 3c는 도 3a의 우측도이고, 도 3d는 도 3a의 배면도이고, 도 4는 도 3a의 A-A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5는 상기 러버 컨택의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부(accomodating part)(31b)가 관통홀(31a)과 동일한 중심을 따라, 돌출부(31)의 배면에 형성되고, 공간부(31b)는 상기 관통홀(31a) 보다 큰 직경을 갖는다. 계단상 좌부(seat)(31c)가 공간부(31b)의 개구 가장자리에 형성된다. 이들 관통홀(31a), 공간부(31b), 및 좌부(31c)는 상기 하우징(13)의 하면(도 4에서는 상측) 상에서 노출된다.
상기 푸시 핀(15)은 상기 돌출부(31)의 관통홀(31a)을 통해 삽입되는 축 부(shank)(15a)를 포함한다. 상기 푸시 핀(15)은, 상기 축 부(15a)의 삽입 측 반대편에 플랜지(flange)-형상의 가압 플레이트(15b)가 제공된다. 상기 가압 플레이트(15b)의 외부 직경은 상기 관통홀(31a) 보다 크다. 즉, 푸시 핀(15)을 관통홀(31a)로부터 상방으로 (도 4에서는 하측) 당기는 동작은 상기 가압 플레이트(15b)에 의해 규제된다.
상기 러버 컨택(17)은 상기 푸시 핀(15)이 각각 삽입되도록 배열되는 공간부(31b 및 31b)에 각각 배열된다. 상기 러버 컨택(17)은 고무와 같은 탄성 물질로 형성되고, 플랜지(17b)는 사발-형상(bowl-like) 몸체(17a)의 개구 측에 결합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을 갖도록 돌출된 도전부(conductive parts)(17c)가 사발-형상 몸체(17a)의 배면의 최심부(deepest parts)에 제공된다. 도전부(17c)는 금과 탄소와 같은, 양호한 전도성을 갖는 물질로 형성된다. 러버 컨택(17)은, 정상부(17d)를 공간부(31b)로 삽입하고 플랜지(17b)를 좌부(31c)와 피팅(fitting)함으로써 부착된다. 상기와 같이 돌출부(31)의 배면에 부착된 러버 컨택(17)은, 정상부(17d)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시 핀(15)의 가압 플레이트(15b)에 접촉하도록 배열된다.
스위치 노브(11)가 스윙하는 경우, 푸시 핀(15)은 스위치 노브(11)와 서로 맞물리는 가압부(29)에 의해 하방으로 푸시된다 (도 7e 참조). 러버 컨택(17)은 푸시 핀(15)을 하방으로 푸시하는 힘에 의해 탄성 변형되어, 도전부(17c)가 탄성 변형된 방향과 같은 방향(도 4에서 상방)으로 이동한다. 즉, 사발-형상 몸체(17a)(도 1 참조)는 구부러진다(crushed).
좌부(31c)에 피팅된 러버 컨택(17)의 플랜지(17b) 상부에서, 도 4의 상측을 향해 돌출된 세 개의 압입고정부(33, 35 및 37)가 하우징(13)의 하면에 형성된다. 하나의 공간부(31b)에 부착된 러버 컨택(17)은 압입고정부(33 및 35) 사이에 배열되고, 나머지 하나의 공간부(31b)에 부착된 러버 컨택(17)은 압입고정부(35 및 37) 사이에 배열된다.
상기 하우징(13)의 길이 방향으로 관통된 복수의(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세 개) 평행 압입홀(39)은 상기 압입고정부(33, 35 및 37)를 각각 동일한 피치(pitch)로 드릴링(drilling)함으로써 형성된다. 이들 압입홀(39)의 연장선(K)은 상기 커넥터 개구부(25)의 커넥터 오프닝(25a)으로 연결된다. 상기 압입홀(39)은 상기 좌부(31c)에 피팅된 상기 러버 컨택(17)의 플랜지(17b)에 인접하여 배열된다.
도전성의 상기 와이어 로드(19)는 상기 압입고정부(33, 35 및 37)의 압입홀(39)로 각각 압입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와이어 로드(19)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 길이를 갖는 직선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금, 은, 구리, 구리 합금 등이 상기 와이어 로드(19)로 사용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도전성 필름이 도금을 통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 로드(19)는 예를 들어, 사각 형상의 단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 로드(19)와 상기 도전부(17c)의 접촉성이 양호해질 수 있다.
상기 와이어 로드(19)는 상기 커넥터 개구(25a)로부터 상기 압입고정부(33, 35 및 37)의 압입홀(39)로 순차적으로 압입 고정된다. 상기 압입홀(39)로 압입 고정되는 상기 세 개의 평행 와이어 로드(19)는,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러버 컨택(17)의 플랜지(17b)와 겹치도록 배열된다. 그러나, 상기 와이어 로드(19)는 플랜지(17b)의 약간 상부에 위치하도록 배열된다. 상기 플랜지(17b)로부터의 거리는 클리어런스(C)로 가정한다(도 4 참조). 클리어런스(C)가 확보되기 때문에, 압입된 와이어 로드(19)가 러버 컨택(17)과 접촉 시 생성될 수 있는 크랙을 방지할 수 있다. 조립이 완성된 후에는, 스위치 노브(11)가 부착되기 때문에 상기 클리어런스(C)는 사라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공간부(31b)로부터 러버 컨택(17)의 분리가 와이어 로드(19)에 의해 규제될 것이다.
평행하게 제공된 세 개의 와이어 로드(19)는 하우징(13)의 하면에서, 도 3d에 도시된 회로(41)의 컨덕터(43)를 형성한다. 동시에, 와이어 로드(19)의 단부(압입에 사용된 베이스 말단)(19a)는 하우징(13)에 제공된 커넥터 개구(25a)에서 수 탭(male tabs)으로서 돌출된다. 스위치 노브(11)의 푸시 동작에 의해 상기 러버 컨택(17)이 변형될 때, 도전부(17c)가 상기 와이어 로드(19)와 접촉한다.
와이어 로드(19)와 도전부(17c)의 접촉부를 도 3d에 도시된 고정 컨택(P1 및 P2)으로 가정한다. 고정 컨택(P1 및 P2)의 양쪽 말단은 하우징(13)의 압입고정부(33, 35 및 37)에 압입됨으로써 고정된다. 따라서, 도전부(17c)와 접촉하는 고정 컨택(P1 및 P2)의 양쪽 말단은 압입고정부(33, 35 및 37)에 고정되어 도전부(17c)에 대한 상대 위치가 정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와이어 로드(19)가, 고정 컨택(P1 및 P2)을 끼우는 양측에서 고정되기 때문에, 러버 컨택(17)이 변형되는 경우에 와이어 로드(19) 각각에 가해지는 하중이 동일해진다. 그러므로 스위치 노브(11)가 임의의 스윙 방향으로 푸시되더라도 스위치 감이 동일해진다.
도 6a, 도 6b, 및 도 6c는 서로 다른 와이어 로드 배열을 도시한 패턴 도면이다. 고정 컨택(P1 및 P2)과 러버 컨택(17)의 도전부(17c)는 스위치(SW1 및 SW2)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와이어 로드(19)는 전술한 바와 같이, 직선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두 개의 도전부(17c 및 17c)는 와이어 로드(19)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된다. 이 경우에,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전부(17c 및 17c)는 와이어 로드(19, 19 및 19)의 이격된 피치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도전부(17c 및 17c)가 두 개의 와이어 로드 (19 및 19)와 각각 접촉하도록 배열된다(엇갈림(staggered) 배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행하게 제공된 세 개의 와이어 로드(19)는 공통 회로(B)와 공통 회로(B)와 도전 연결된 양측 회로(G1 및 G2)가 된다. 즉, 공통 회로(B)와 회로(G1)를 개폐시키는 스위치(SW1)와 공통 회로(B)와 회로(G2)를 개폐시키는 스위치(SW2)를 포함하는 회로(41)가 형성된다. 따라서, 스위치(SW1 및 SW2)는 사선으로 배열되므로, 회로(41) 내의 두 개의 스위치(SW1 및 SW2)는, 구부러지지 않은 세 개의 와이어 로드(19)를 이용하여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 로드(19)가 압입 시 어떠한 지장도 초래하지 않을 수 있는 위치에 적당히 구부러져 형성되는 경우에는, 스위치(SW1 및 SW2)가 제공된 회로(41A 및 41B)는 도 6b 및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와이어 로드 배열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언급된 시소 스위치(100)의 조립 방법이 설명된다. 도 7a 내지 도 7e는 도 1에 도시된 시소 스위치를 조립하는 절차를 도시한 공정 설명도이다. 시소 스위치(100)를 조립하기 위해서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11)를 상부로 하는 자세를 상하 반전시킨 방향으로 하우징을 지지한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부(15a)는 관통홀(31a)에 삽입되어, 푸시 핀(15 및 15)이 돌출부(31 및 31)에 각각 삽입되도록 배열된다.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상부(17d)는 상하 반전되고, 러버 컨택(17)은 돌출부(31 및 31)의 공간부(31b)로 각각 삽입된다. 삽입된 러버 컨택(17)의 플랜지(17b)는 좌부(31c)에 피팅된다.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로드(19)가 커넥터 개구부(25)의 커넥터 오프닝(25a)로부터, 압입고정부(33, 35 및 37)의 압입홀(39)로 순차적으로 압입된다. 이 경우에, 클리어런스(C)가 플랜지(17b)와 와이어 로드(19) 사이에 형성되고, 러버 컨택(17)의 크랙 생성이 방지된다.
최종적으로, 상기 스위치 노브(11) 상에 제공된 상기 맞물림 플레이트(21)의 맞물림 홀(21a)(도 1 참조)을 상기 하우징(13)에 제공된 상기 지지 플레이트(27)의 축부(27a)(도 1 참조)에 맞물리게 함으로써,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위치 노브(11)는 스윙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 경우에, 가압부(29 및 29)는 상기 푸시 핀(15)을 약간 경미하게 가압하도록 상기 스위치 노브(11)가 부착된다. 따라서, 플랜지(17b)가 상기 와이어 로드(19)에 접하기 때문에, 가압된 러버 컨택(17)은 기결정된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즉, 도전부(17c)와 상기 와이어 로드(19)의 고정 컨택(P1 및 P2) 사이에 기결정된 거리(도 3d 참조)가 정확하게 설정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시소 스위치(100)가 조립된다.
전술한 구조를 갖는 시소 스위치(100)에서, 스위치 노브(11)가 상기 축부(27a)를 중심으로 어느 방향으로든 스윙하는 경우, 스윙된 측의 가압부(29)는 상기 푸시 핀(15)을 가압하게 될 것이다. 가압된 푸시 핀(15)은 러버 컨택(17)을 가압하고; 상기 사발-형상 몸체(17a)는 탄성 변형으로 인해 변형되고, 상기 러버 컨택(17)의 도전부(17c)는 고정 컨택(P1 또는 P2)와 접촉한다. 따라서, 러버 컨택(17)의 도전부(17c)와 접촉하는 회로(41)에서, 스위치(SW1 및 SW2) 중 하나가 닫힌다. 따라서, 시소 스위치(100)에서는, 와이어 로드(19)가 종래의 기판(연성 인쇄회로기판 및 릴레이 보드) 대신 사용될 수 있고, 상기 기판 및 부가적인 커넥터가 필요치 않다. 이들 불필요한 부품을 조립하는 단계는 실질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시소 스위치(100)는, 예를 들어, 차량의 실내 조명 장치에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저렴하고 소형인 차량용 실내 조명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의 시소 스위치(100)에 따르면, 스위치 노브(11)의 푸시 동작으로 인해 탄성 변형하는 러버 컨택(17)이 접촉하는 회로(41)가, 평행하게 제공된 복수의 와이어 로드(19)로 구성되고, 상기 와이어 로드(19)의 말단(19a)이 상기 하우징(13)의 커넥터 오프닝(25a) 내에서 수 탭으로서 돌출되기 때문에, 부품의 수가 감소되고, 조립이 단순화되며 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특정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도시 및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재된 내용을 바탕으로 다양한 변형과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이러한 변형과 수정은 첨부된 청구항에 기재된 발명의 목적, 범위 및 의도 내에서 이루어짐이 자명하다.
본 발명은 2009년 11월 25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09-267837에 기초하며, 그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포함된다.
11: 스위치 노브 13: 하우징
15: 푸시 핀 17: 러버 컨택
17c: 도전부 19: 와이어 로드
19a: 컨덕터 말단 25a: 커넥터 오프닝
41: 회로 43: 컨덕터
100: 시소 스위치 P1 및 P2: 고정 컨택

Claims (4)

  1. 스위치 노브;
    상기 스위치 노브가 푸시 동작에 의해 이동 가능한 방식으로 지지되는 하우징;
    상기 스위치 노브의 푸시 동작에 따라 가압되는 푸시 핀; 및
    상기 푸시 핀이 가압되는 경우 탄성 변형하는 러버 컨택을 포함하고,
    상기 러버 컨택의 도전부는 회로를 도전 연결하도록 접촉되고,
    상기 회로는 평행하게 제공된 복수의 와이어 로드인 컨덕터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와이어 로드의 말단은 수 탭(male tabs)으로서 상기 하우징에 제공된 커넥터 개구에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부와 접촉하는 와이어 로드의 부분은 고정 컨택이 되고,
    상기 고정 컨택 각각의 양 말단은, 상기 양 말단이 상기 하우징에 압입되는 상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부 중 두 개는 상기 와이어 로드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세 개의 와이어 로드를 평행하게 제공함으로써 두 개의 회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차량용 실내 조명 장치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KR1020127013437A 2009-11-25 2010-11-25 스위치 KR2013002745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267837A JP2011113741A (ja) 2009-11-25 2009-11-25 スイッチ
JPJP-P-2009-267837 2009-11-25
PCT/JP2010/071027 WO2011065427A1 (ja) 2009-11-25 2010-11-25 スイッ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7450A true KR20130027450A (ko) 2013-03-15

Family

ID=44066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3437A KR20130027450A (ko) 2009-11-25 2010-11-25 스위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20241301A1 (ko)
JP (1) JP2011113741A (ko)
KR (1) KR20130027450A (ko)
CN (1) CN102630328A (ko)
BR (1) BR112012012601A2 (ko)
DE (1) DE112010004549T5 (ko)
WO (1) WO201106542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7484B1 (ko) * 2014-07-17 2014-09-03 정병호 차량용 도어 록 스위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740237S1 (en) * 2014-01-10 2015-10-06 Roland Corporation Pedal switch
USD761349S1 (en) * 2015-03-08 2016-07-12 Michael Alan Fisher Guitar pedal
US10602839B2 (en) 2016-09-29 2020-03-31 Linak A/S Height adjustable table/desk control mechanism
KR20200004411A (ko) * 2017-05-15 2020-01-13 리낙 에이/에스 전기 작동 패널
CA3056300A1 (en) 2017-05-15 2018-11-22 Linak A/S Height-adjustable table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59883B2 (ja) * 1994-12-20 2002-02-25 ナイルス部品株式会社 スイッチの組付け構造
JPH08222065A (ja) * 1995-02-13 1996-08-30 Niles Parts Co Ltd ハザードスイッチのユニット構造
JPH09139154A (ja) 1995-11-15 1997-05-27 Smk Corp シーソースイッチ
JP3734110B2 (ja) * 1996-06-21 2006-01-11 矢崎総業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モジュール
JP3691241B2 (ja) * 1998-02-27 2005-09-07 ナイルス株式会社 車両用レバースイッチ
JP3803486B2 (ja) * 1998-04-16 2006-08-02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押しボタンスイッチ
JP2000057887A (ja) * 1998-08-11 2000-02-25 Mitsumi Electric Co Ltd 押釦スイッチ
JP2004179037A (ja) * 2002-11-28 2004-06-24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スイッチ構造およびスイッチ装置
JP2005339880A (ja) * 2004-05-25 2005-12-08 Daiwa Kasei Ind Co Ltd スイッチケースのコネクタ端子構造
JP4796931B2 (ja) * 2006-10-02 2011-10-19 矢崎総業株式会社 室内照明装置
JP4934821B2 (ja) * 2007-07-26 2012-05-23 ミック電子工業株式会社 シートスイッチ
JP2009267837A (ja) 2008-04-25 2009-11-12 Panasonic Corp 復号化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7484B1 (ko) * 2014-07-17 2014-09-03 정병호 차량용 도어 록 스위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241301A1 (en) 2012-09-27
DE112010004549T5 (de) 2012-09-13
CN102630328A (zh) 2012-08-08
JP2011113741A (ja) 2011-06-09
BR112012012601A2 (pt) 2016-07-12
WO2011065427A1 (ja) 2011-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22168U (ja) 電気コネクタ
KR20130027450A (ko) 스위치
US7344387B2 (en) Board-to-board connector
JP4384210B2 (ja) コネクタ
US7670150B2 (en) Low profile board-mounted connector
KR101486179B1 (ko) 콘택트 및 콘택트를 갖는 커넥터
US7306494B2 (en) Connector
JPH11283710A (ja) プラグコネクタ及びソケットコネクタ
KR20070021991A (ko) 커넥터
US20130033826A1 (en) Electrical component
US8344275B2 (en) Switching device
JP4763576B2 (ja) カードエッジ型コネクタ
US9614334B2 (en) Hermaphroditic electrical connector
JP3970547B2 (ja)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回路とワイヤハーネスの接続用コネクタ
US20050020117A1 (en) Socket for electronic part
WO2014141990A1 (ja) 基板補強構造
JP2011198627A (ja) スイッチ付き同軸コネクタ
KR101961110B1 (ko) 센서용 신호전달 조립체
JP4795461B2 (ja) コネクタ
JP2009070757A (ja) コネクタ
JPH1012342A (ja) コンタクト及びこのコンタクトを備えたicソケット
JP4776371B2 (ja) Fpc接続端子及びfpcと基板との接続構造
CN219979993U (zh) 连接线组及其连接器结构
JP3108400U (ja) 電気コネクタ
KR20080015996A (ko) 시트 스위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