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5861A - 제진 장치, 풍력 발전 장치 및 제진 방법 - Google Patents

제진 장치, 풍력 발전 장치 및 제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5861A
KR20130025861A KR1020127016732A KR20127016732A KR20130025861A KR 20130025861 A KR20130025861 A KR 20130025861A KR 1020127016732 A KR1020127016732 A KR 1020127016732A KR 20127016732 A KR20127016732 A KR 20127016732A KR 20130025861 A KR20130025861 A KR 201300258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enter
vibration
damping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6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노루 가와바타
게이스케 사사지마
아츠시 구보
히데아키 하라다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258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58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7/0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 F16F7/1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using inertia effect
    • F16F7/104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using inertia effect the inertia member being resiliently moun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7/00Controlling wind motors 
    • F03D7/02Controlling wind motors  the wind motors having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7/0296Controlling wind motors  the wind motors having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to prevent, counteract or reduce noise emiss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80/00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3D1/00 - F03D17/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80/00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3D1/00 - F03D17/00
    • F03D80/80Arrangement of components within nacelles or towers
    • F03D80/88Arrangement of components within nacelles or towers of mechanical compon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80/00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3D1/00 - F03D17/00
    • F03D80/80Arrangement of components within nacelles or towers
    • F03D80/82Arrangement of components within nacelles or towers of electrical components
    • F03D80/85Cab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9/00Adaptations of wind motor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driven thereby;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20Wind motors characterised by the driven apparatus
    • F03D9/25Wind motors characterised by the driven apparatus the apparatus being an electrical generator
    • F03D9/255Wind motors characterised by the driven apparatus the apparatus being an electrical generator connected to electrical distribution networks; Arrangement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50Kinematic linkage, i.e. transmission of pos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96Preventing, counteracting or reducing vibration or noise
    • F05B2260/964Preventing, counteracting or reducing vibration or noise by damp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30Wind pow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Wind Motors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과제) 협소한 스페이스 내에 설치 가능하고, 또한, 염가로 제작 가능한 제진 장치 및 이 제진 장치를 구비한 풍력 발전 장치 그리고 제진 방법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제진 장치 (7) 는, 역진자 형상의 제 1 진동계 (10) 와, 제 1 진동계 (10) 의 양측에 형성되고, 역진자 형상의 제 2 진동계 (20) 와, 제 1 진동계 (10) 를 구성하는 제 1 중추 (11) 와 제 2 진동계 (20) 를 구성하는 제 2 중추 (21) 를 구속하는 구속 수단 (30) 과, 제 1 중추 (11) 및 제 2 중추 (21) 의 진동을 감쇠시키기 위한 댐퍼 (40) 를 구비하고, 복수의 플로어 (8) 중, 상단의 플로어 (8a) 위에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제진 장치, 풍력 발전 장치 및 제진 방법{STA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TATOR}
본 발명은 구조물의 진동을 감쇠시키기 위한 제진 장치 및 제진 방법 그리고 풍력 발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구조물의 진동을 감쇠시키기 위해 제진 장치가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는, 역진자 형상의 감쇠 수단을 구비한 제진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제진 장치는, 중추 (重錘) 와, 중추를 역진자 형상으로 지지하기 위해 세워 설치된 로드와, 로드의 중간부를 역진자의 지점 (支點) 이 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와, 로드의 하단 (下端) 을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와, 일단 (一端) 이 로드에 타단이 제진 대상물에 접속된 스프링을 구비하고 있다.
또, 예를 들어, 특허문헌 2 에는, 진자 형상의 감쇠 수단 및 역진자 형상의 감쇠 수단을 구비한 제진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제진 장치는, 제진 대상물의 상부로부터 제 1 중추가 매달린 진자 형상의 감쇠 수단과, 제진 대상물의 하면에 세워 설치된 로드로 제 2 중추를 지지하는 역진자 형상의 감쇠 수단과, 제 1 중추와 제 2 중추가 수직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고, 또한 수평 방향으로 연동하도록 제 1 중추와 제 2 중추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고 있다.
또, 예를 들어, 특허문헌 3 에는, 역진자 형상의 감쇠 수단 및 회전 관성을 이용한 감쇠 수단을 구비한 제진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제진 장치는, 제진 대상물의 하면에 세워 설치된 다단의 적층 고무로 중추를 지지하는 역진자 형상의 감쇠 수단과, 복수의 중추가 연결된 중추부의 이동과 연동하여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회전하는 샤프트와 샤프트에 감긴 케이블과 케이블의 양단이 각각 리니어 가이드를 개재하여 접속된 케이블 가대로 구성된 회전 감쇠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4-894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1-3721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310276호
그런데, 풍력 발전 장치는, 발전 효율 향상의 관점에서 풍력 발전 장치의 대형화가 진행되어, 허브 높이 (지면으로부터 허브 중심까지의 높이) 가 100 m 를 초과하는 것이 출현하고 있다. 그리고, 풍력 발전 장치의 대형화에 수반하여, 지주 (타워) 의 1 차 고유 진동수가 장주기화되고, 로터의 회전에 수반하는 공진역과 합치하여, 지주의 피로 하중이 대폭 증가할 수 있기 때문에 풍력 발전 장치에도 제진 장치를 적용할 필요성이 생기고 있다.
그런데, 풍력 발전 장치의 지주 내에는, 지주 위에 형성되는 나셀의 메인터넌스를 실시할 때 작업자가 승강하는 승강로가 설치되어 있거나, 각종 배관 및 배선용 케이블이 형성되어 있어, 제진 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스페이스는 한정되어 있다.
이 점, 상기 서술한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 에 기재된 제진 장치는, 큰 설치 스페이스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풍력 발전 장치의 지주 내에 설치하는 것은 어렵다.
또, 특허문헌 3 에 기재된 제진 장치에서는, 협소한 스페이스 내에 설치할 수 있을 정도로 종래의 제진 장치보다 높이를 저감시킬 수 있는데, 중추부나 샤프트가 원활하게 회전하도록 고정밀도의 기계 가공이 필요하기 때문에, 제진 장치의 제작에 필요한 비용이 높아진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협소한 스페이스 내에 설치 가능하고, 또한, 염가로 제작 가능한 제진 장치 및 이 제진 장치를 구비한 풍력 발전 장치 그리고 제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서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본 발명에 관련된 구조물의 제진 장치는, 제 1 중추 (重錘) 와, 상기 제 1 중추를 상기 구조물 위에 지지하기 위해 상기 구조물에 세워 설치된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의 하단을 상기 구조물에 접속하는 하측 자재 (自在) 이음매와, 상기 지지봉의 상단 (上端) 을 상기 제 1 중추에 접속하는 상측 자재 이음매를 갖는 제 1 진동계와, 상기 구조물에 세워 설치된 탄성 부재와, 상기 탄성 부재 위에 형성된 제 2 중추를 갖는 제 2 진동계와, 상기 제 1 중추와 상기 제 2 중추가 동일 수평면 내에 있어서의 동일 방향으로 흔들리고, 또한, 제 1 중추가 제 2 중추에 대해 연직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흔들리도록, 상기 제 1 중추를 상기 제 2 중추에 구속하는 구속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조물의 제진 장치에 의하면, 제 1 중추 및 제 2 중추를 각각 지지봉, 탄성 부재로 밑에서부터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구조물로부터 행잉(hanging)재를 개재하여 중추가 매달려 있는 진자 형상의 감쇠 수단 및 다른 중추를 지지봉으로 지지하는 역진자 형상의 감쇠 수단을 구비한 종래의 제진 장치와 비교하여, 조합 구조로 함으로써 높이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 1 진동계, 제 2 진동계 및 구속 수단에는 특수한 재료를 사용하지 않고, 또, 일반적인 부품을 사용함으로써 각각을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제진 장치를 염가로 제작할 수 있다. 그리고, 일반적인 부품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메인터넌스시 등에 있어서의 대체품의 입수성이 우수하다.
또, 상기 구조물의 제진 장치에서는, 제 1 진동계 및 제 2 진동계가 동일 수평면 내에 있어서의 동일 방향으로 흔들리고, 또한, 제 1 진동계가 제 2 진동계에 대해 연직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즉, 연직 방향의 자유도는 구속하지 않고 수평 방향의 자유도만을 구속하도록 제 1 진동계와 제 2 진동계가 일체화되어 있다. 이와 같이, 연직 방향은 자유로우므로 제 1 중추와 제 2 중추의 중량비를 변화시킴으로써 제진 장치의 주기 조정이 용이해진다.
또, 상기 구속 수단에 있어서, 상기 제 1 중추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프레임 부재와, 상기 제 1 중추의 외주와 상기 프레임 부재의 내주 사이에 형성된 복수의 슬라이딩 부재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구속 수단에 의하면, 제 2 중추의 프레임 부재와 제 1 중추 사이에는 슬라이딩 부재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 2 중추는 제 1 중추에 대해 상대적으로 연직 방향으로 원활하게 슬라이딩할 수 있다. 또, 제 2 중추의 프레임 부재는 제 1 중추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 2 중추와 제 1 중추가 동일 수평면 내에 있어서의 동일 방향으로 연동하여 흔들릴 수 있다. 이로 인해, 제 1 중추와 제 2 중추가 동일 수평면 내에 있어서의 동일 방향으로 연동하여 흔들리고, 또한, 제 1 중추가 제 2 중추에 대해 연직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흔들릴 수 있다.
또, 상기 제 1 중추 및 상기 제 2 중추 중 적어도 일방은 각각이 탈착 가능한 복수의 중추편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제 1 중추 및 제 2 중추 중 적어도 일방은 탈착 가능한 복수의 중추편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중추 및 제 2 중추 중 적어도 일방을 구성하는 중추편의 개수를 변경하여, 제 1 중추와 제 2 중추의 중량비를 변화시킴으로써, 제진 장치의 고유 진동수를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진 장치에서는, 연직 방향의 자유도는 구속하지 않고 수평 방향의 자유도만을 구속하도록 제 1 진동계와 제 2 진동계를 일체화하고 있다. 이와 같이, 연직 방향으로는 자유도를 갖고 있기 때문에, 제 1 중추와 제 2 중추의 중량비를 변화시킴으로써 주기 조정이 용이해진다.
예를 들어, 구조물의 저층 부분의 구축 단계, 중층 부분의 구축 단계, 고층 부분의 구축 단계 등에서 발생하는 1 차 고유 진동수가 각각 상이한 경우에도, 제진 장치의 고유 진동수를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구조물의 건축 중에 제진 장치를 설치해둠으로써, 각각의 단계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효율적으로 감쇠시킬 수 있다. 특히, 풍력 발전 장치의 경우에는, 지주의 구축 중에 제진 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예를 들어, 지주를 구축한 단계, 지주에 나셀을 설치한 단계 등에 유효하다.
또한, 제 1 중추 및 제 2 중추 중 적어도 일방은 각각이 탈착 가능한 복수의 중추편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중추 및 제 2 중추 중 적어도 일방을 구성하는 중추편의 개수를 변경하여 주기를 조정하는 작업은 용이하여, 일반 작업원이 특수한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주기 조정을 위해 기술을 가진 기술자를 배치하거나, 특수한 공구를 준비할 필요가 없다.
또, 상기 구조물은, 풍력 발전 장치여도 된다.
구조물을 풍력 발전 장치로 함으로써, 풍력 발전 장치의 회전 날개의 회전에 수반하는 지주의 1 차 고유 진동을 감쇠시킬 수 있다. 따라서, 지주의 중량 증가나 지주 두께의 증가를 회피하면서, 지금까지와 동일한 지주의 외관이나 내부 구조인 상태에서, 허브 높이가 100 m 를 초과하는 풍력 발전 장치를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 상기 구조물이 풍력 발전 장치인 경우에, 이 풍력 발전 장치의 지주 내에 설치되는 제진 장치에는, 상기 제 1 진동계에 대해 상기 지주의 둘레 방향 양 옆에 한 쌍의 상기 제 2 진동계가 형성되고, 한 쌍의 상기 제 2 진동계사이에, 상기 제 2 중추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1 중추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프레임 부재와, 상기 제 1 중추와 상기 프레임 부재 사이에 형성된 복수의 슬라이딩 부재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제진 장치에 의하면, 제 1 진동계에 대해 지주의 둘레 방향 양 옆에 한 쌍의 제 2 진동계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지주 내벽면을 따른 대략 원호 형상이며, 일반적으로 지주의 중앙에 형성되는 승강로의 외주와 지주의 내벽면 사이의 협소한 스페이스에 설치할 수 있다.
또, 상기 제 1 중추와 상기 제 2 중추의 합계 중량이 일정한 상태에서, 상기 제 1 중추와 상기 제 2 중추의 중량비를 변화시킴으로써 장치 본체의 주기를 조정 가능한 것으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 중추와 상기 제 2 중추의 합계 중량이 일정한 상태에서, 장치 본체의 주기를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주기를 변경할 때 새로운 추를 추가하지 않아도 된다.
또, 상기 제진 장치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구조물에 접속되고, 타단이 상기 제 1 중추 또는 상기 제 2 중추에 접속된 댐퍼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댐퍼에 의하면, 일단이 구조물에 접속되고, 타단이 제 1 중추 또는 제 2 중추에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중추 및 제 2 중추의 진동의 감쇠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 상기 댐퍼는, 수평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댐퍼에 의하면, 수평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수평 방향의 진동의 감쇠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된 풍력 발전 장치는, 상기 서술한 제진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풍력 발전 장치에 의하면, 상기 서술한 제진 장치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풍력 발전 장치의 회전 날개의 회전에 수반하는 지주의 1 차 고유 진동을 감쇠시킬 수 있다. 따라서, 지주의 중량 증가를 회피하면서, 허브 높이가 100 m 를 초과하는 풍력 발전 장치를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 상기 제진 장치는, 풍력 발전 장치의 지주의 상단 플로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진 장치에 의하면, 풍력 발전 장치의 지주의 상단 플로어에 설치되기 때문에, 지주의 중단이나 하단에 설치하는 경우에 비해, 지주의 1 차 고유 진동의 감쇠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된 구조물의 제진 방법은, 양단에 자재 이음매가 접속된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의 일단에 상기 자재 이음매를 개재하여 접속된 제 1 중추를 갖는 제 1 진동계를, 상기 지지봉의 타단을 상기 구조물에 접속하여 상기 구조물 위에 세워 설치하고, 탄성 부재와, 상기 탄성 부재의 일단에 접속된 제 2 중추를 갖는 제 2 진동계를, 상기 탄성 부재의 타단을 상기 구조물에 접속하여 상기 구조물에 세워 설치하고, 상기 제 1 중추를 상기 제 2 중추에 구속 수단으로 구속하고, 상기 구조물의 진동시에, 상기 제 1 중추와 상기 제 2 중추를 동일 수평면 내에 있어서의 동일 방향으로 흔들리게 하고, 또한, 제 1 중추가 제 2 중추에 대해 연직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흔들리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진 방법에 의하면, 구조물 위에 제 1 진동계 및 제 2 진동계가 세워 설치되고, 이들 진동계를 구성하는 제 1 중추와 제 2 중추가 동일 수평면 내에 있어서의 동일 방향으로 흔들리고, 또한, 제 1 중추가 제 2 중추에 대해 연직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흔들리므로, 구조물의 1 차 고유 진동의 감쇠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제 1 중추 및 상기 제 2 중추에 있어서, 적어도 일방은 각각이 탈착 가능한 복수의 중추편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중추 및 상기 제 2 중추 중 적어도 일방을 구성하는 상기 중추편의 개수를 변경하여, 상기 제 1 중추와 상기 제 2 중추의 중량비를 변화시켜도 된다.
이와 같이, 제 1 중추 및/또는 제 2 중추를 구성하는 중추편의 개수를 변경하여, 제 1 중추와 제 2 중추의 중량비를 변화시킴으로써, 제 1 진동계 및 제 2 진동계로 이루어지는 제진 장치 전체로서의 고유 진동수를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구조물의 저층 부분의 구축 단계, 중층 부분의 구축 단계, 고층 부분의 구축 단계 등에 따라 각각 상이한 1 차 고유 진동수에 대응하여 구조물의 진동을 감쇠시킬 수 있다. 특히, 풍력 발전 장치의 경우에는, 지주의 구축 중에 제진 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예를 들어, 지주를 구축한 단계, 지주에 나셀을 설치한 단계, 나셀에 로터를 장착한 단계 등에서 1 차 고유 진동수가 변화하는 경우에 유효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 1 중추 및 제 2 중추를 각각 지지봉, 탄성 부재로 밑에서부터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제진 장치의 높이를 짧게 하고, 또한, 염가로 제작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풍력 발전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A-A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3a 는 도 2 의 제진 장치 부근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3b 는 도 3a 의 D 로 나타낸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4 는 도 3a 의 B-B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으로, 도면 중 좌측은 측면도이고, 도면 중 우측은 단면도이다.
도 5 는 도 3a 의 C-C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6 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제진 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은 제 1 중추의 중량 및 제 2 중추의 중량과, 제진 장치의 고유 진동수의 관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제진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8b 는 도 8a 의 E 로 나타낸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제진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제진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관련된 제진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2 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관련된 제진 장치의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제진 장치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제진 장치를 풍력 발전 장치에 적용한 사례에 대하여 설명하는데, 풍력 발전 장치에 한정되지 않고, 빌딩, 플랜트, 교량, 탑, 크레인 등의 제진 기능을 필요로 하는 구조물이면, 본 발명에 관련된 제진 장치를 적용 가능하다. 또, 이하의 실시예에 기재되어 있는 구성 부품의 치수, 재질, 형상, 그 상대 배치 등은 특별히 특정적인 기재가 없는 한, 본 발명의 범위를 그것에만 한정하는 취지가 아니라, 단순한 설명예에 지나지 않는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풍력 발전 장치 (1) 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풍력 발전 장치 (1) 는, 기초 (2) 위에 형성된 지주 (3) 와, 지주 (3) 의 상단에 형성된 나셀 (4) 과, 허브 (5A) 에 방사상으로 장착된 복수 장의 블레이드 (5B) 로 이루어지는 로터 (5) 와, 지주 (3) 내의 복수의 플로어 (8) 중, 상단의 플로어 (8a) 에 설치된 제진 장치 (7) 를 구비하고 있다.
상단의 플로어 (8a) 의 중앙부에는 개구 (9) 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 (9) 내에는 나셀 (4) 내의 발전기 및 관련 장치에 대해 전원 및 제어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케이블 (53A), 발전기로부터 전력망으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케이블 (53B) 및 사다리 (52) 가 삽입 통과되어 있다. 그리고, 상단의 플로어 (8a) 로부터 기초 (2) 까지의 구간에 있어서, 이들 케이블 (53A, 53B) 및 사다리 (52) 는, 지주 (3) 의 내벽면을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다.
풍력 발전 장치 (1) 는, 블레이드 (5B) 에 닿은 바람의 힘이, 로터 (5) 를 회전축 둘레로 회전시키는 동력으로 변환된다. 이러한 경우에, 지주 (3) 의 1 차 고유 진동수와 로터 (5) 의 회전에 수반하는 진동수가 합치하여, 공진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만일 로터 (5) 와 지주 (3) 의 공진이 일어나더라도, 지주 (3) 의 흔들림이 허용 진폭 범위 내에 들어가도록, 지주 (3) 의 진동을 본 발명에 관련된 제진 장치 (7) 로 감쇠시킨다.
도 2 는, 도 1 의 A-A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또, 도 3a 는, 도 2 의 제진 장치 부근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3b 는, 도 3a 의 D 로 나타낸 영역의 확대도이다. 또한, 도 4 는, 도 3a 의 B-B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이며, 도면 중 좌측은 측면도이고, 도면 중 우측은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5 는, 도 3a 의 C-C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2 ~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진 장치 (7) 는, 제 1 진동계 (10) 와, 한 쌍의 제 2 진동계 (20) 와, 구속 수단 (30) 과, 한 쌍의 댐퍼 (40) 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진동계 (10) 는, 상단의 플로어 (8a) 의 상면에 자재 이음매 (12) 를 개재하여 세워 설치된 지지봉 (13) 과, 지지봉 (13) 의 상단에 자재 이음매 (12) 를 개재하여 접속된 제 1 중추 (11) 를 구비하고 있다.
지지봉 (13) 의 양단이 자재 이음매를 개재하여 각각 상단의 플로어 (8a), 제 1 중추 (11) 에 접속되기 때문에, 제 1 진동계 (10) 는 역진자 형상이 되어, 자립할 수 없어 불안정하다.
지지봉 (13) 은, 정지 (靜止) 한 상태에서 연직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봉 형상의 부재 (예를 들어, 중공 원통형의 강관이나 H 형 관 등) 이다.
지지봉 (13) 의 상단에 접속된 제 1 중추 (11) 는, 제 1 용기 (15) 와, 제 1 용기 (15) 내에 적층되어 수용되는 복수의 중추편 (14) 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제 1 용기 (15) 는, 단면 (斷面) 이 사각 형상인 통체와, 당해 통체의 하단측의 구멍을 막도록 장착된 저판 (底板) 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중추편 (14) 은, 판상의 형상을 갖고, 제 1 용기 (15) 의 내주의 수평 단면과 동일한 형상을 갖고 있다. 또한, 중추편 (14) 끼리를 연결구 (도시하지 않음) 로 연결함으로써 중추편 (14) 끼리가 상대적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시켜도 된다.
한 쌍의 제 2 진동계 (20) 는, 지주 (3) 의 둘레 방향을 따라 제 1 진동계 (10) 의 양측 (예를 들어, 도 3a 의 좌우측) 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제 2 진동계 (20) 는, 제 2 중추 (21) 와, 상단의 플로어 (8a) 의 상면에 형성되어 제 2 중추 (21) 를 지지하는 한 쌍의 탄성 부재 (22) 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한 쌍의 탄성 부재 (22) 는, 연결 부재 (100) 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제 2 중추 (21) 는 연결 부재 (100) 로 연결된 한 쌍의 탄성 부재 (22) 로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제 2 진동계 (20) 는 역진자 형상이 되지만, 자립 가능하여 안정적이다.
안정적인 제 2 진동계 (20) 와, 불안정한 제 1 진동계 (10) 를 합한 구조로 함으로써, 제진 장치 (7) 를 안정적인 진동계의 구조로 하고 있다.
각각의 탄성 부재 (22) 는, 복수의 원주상의 고무 (24) 를 겹쳐 쌓아 형성된 적층 고무이며, 원하는 주기로 제 1 중추 (11) 및 제 2 중추 (21) 를 진동시킬 수 있도록, 지지 면적 및 고무 두께 등이 설정되어 있다. 여기에서, 지지 면적이란, 상하로 적층된 고무 (24) 끼리가 겹친 부분의 면적을 말한다.
제 2 중추 (21) 는, 단면 형상이 대략 직사각형인 주상체 (柱狀體) 로, 하단에 바닥이 있는 제 2 용기 (16) 와, 제 2 용기 (16) 내에 적층되어 수용되는 복수의 중추편 (25) 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제 2 용기 (16) 의 제 1 중추 (11) 에 가까운 모서리부에는, 둘레 방향 을 따라 연장 형성된 연장부 (17) 가 형성되어 있다.
이 중추편 (25) 은, 제 1 중추 (11) 를 구성하는 상기 중추편 (14) 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동일 평면 내에 4 장 나열된, 중추편 (14) 및 이 중추편 (14) 과는 수평 단면 형상이 상이한 중추편 (25A, 25B) 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결된 상태의 중추편 (25) 은, 제 2 용기 (16) 의 내주의 수평 단면과 동일한 형상을 갖고 있다. 중추편 (25A, 25B) 은, 그 상면 및 하면에 각각 다른 중추편 (25A, 25B) 과 연결하기 위한 상기 연결구 (도시하지 않음) 를 갖고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판상의 중추편 (14), 중추편 (25A, 25B) 을 사용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는데, 이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각주형 등이어도 된다.
여기에서, 중추편 (14) 은, 제 1 중추 (11) 및 제 2 중추 (21) 에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제 2 중추 (21) 의 중추편 (14) 과 제 1 중추 (11) 의 중추편 (14) 을 서로 바꿀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제 1 중추 (11) 및 제 2 중추 (21) 중, 일방의 중추 (11, 21) 를 구성하는 중추편 (14) 을 타방의 중추 (11, 21) 로 이동시켜, 제 1 중추 (11) 와 제 2 중추 (21) 의 중량비를 변경할 수 있다. 이로써, 제진 장치 (7) 의 고유 진동수를 변경할 수 있다 (상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구속 수단 (30) 은, 제 1 중추 (11) 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통상의 프레임 부재 (35) 와, 제 1 중추 (11) 와 프레임 부재 (35) 사이에 형성된 복수의 슬라이딩 부재 (38) 를 구비하고 있다.
프레임 부재 (35) 는, 제 2 용기 (16) 의 제 1 중추 (11) 에 가까운 측판 (18) 과, 제 2 용기 (16) 의 연장부 (17) 와, 한 쌍의 제 2 진동계 (20) 의 연장부 (17) 끼리를 연결하는 판상의 접속재 (23) 로 구성되어 있고, 제 2 중추 (21) 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연장부 (17) 와 접속재 (23) 는 볼트 (36) 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용기 (16) 의 측판 (18) 과 연장부 (17) 와 접속재 (23) 를 이용하여 프레임 부재 (35) 를 형성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사각형의 통체를 사용하여 프레임 부재 (35) 를 형성해도 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사각형의 통체의 측면 중,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 한 쌍의 측면을 각각 제 2 용기 (16) 의 측판 (18) 에 볼트 등으로 고정시켜 제 2 중추 (21) 와 일체화한다.
구속 수단 (30) 을 구성하는 판상의 슬라이딩 부재 (38) 는, 그 측면이 제 1 용기 (15) 의 외주 및 프레임 부재 (35) 의 내주에 각각 맞닿도록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딩 부재 (38) 로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직동 베어링인 리니어 가이드를 사용한다.
리니어 가이드는, 가이드 (31) 와 슬라이딩체 (32) 로 구성되어 있고, 가이드 (31) 는 연직 방향을 따라 제 1 중추 (11) 의 외주면에 장착되고, 슬라이딩체 (32) 는 프레임 부재 (35) 의 내주면에 장착되어 있다. 가이드 (31) 는, 각형 봉상으로, 대향하는 위치의 한 쌍의 측면에 각각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한 쌍의 홈 (46) 을 갖는다. 슬라이딩체 (32) 는, 그 한 쌍의 홈 (46) 에 각각 걸어맞춤 가능한 한 쌍의 볼록부 (47) 를 갖고, 한 쌍의 홈 (46) 에 볼록부 (47) 가 각각 걸어맞춰진 상태에서 가이드 (31) 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다.
따라서, 가이드 (31) 가 장착되어 있는 제 1 중추 (11) 는, 슬라이딩체 (32) 가 장착되어 있는 프레임 부재 (35) 에 대해 상대적으로 연직 방향으로 원활하게 슬라이딩한다.
또한, 가이드 (31) 로서, 가이드 본체의 슬라이딩체 (32) 측의 단부 내에, 길이 방향을 따라 구상의 전동체가 회전 가능하게 복수 매립된 리니어 볼 가이드나 오일레스 플레이트 등의 마찰 저감판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이드 (31) 를 제 1 중추 (11) 에, 슬라이딩체 (32) 를 제 2 중추 (21) 에 장착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가이드 (31) 를 제 2 중추 (21) 에, 슬라이딩체 (32) 를 제 1 중추 (11) 에 장착해도 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제 1 중추 (11) 의 주위에 슬라이딩 부재 (38) 를 형성함과 함께, 이것들을 다시 제 2 중추 (21) 에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프레임 부재 (35) 로 둘러싸고 있으므로, 제 2 중추 (21) 와 제 1 중추 (11) 가 동일 수평면 내에 있어서의 동일 방향으로 연동하여 흔들린다.
또, 제 1 중추 (11) 와 프레임 부재 (35) 사이에는 슬라이딩 부재 (38) 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중추 (11) 는, 프레임 부재 (35) 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 2 중추 (21) 에 대해 상대적으로 연직 방향으로 슬라이딩한다.
즉, 연직 방향의 자유도는 구속하지 않고 수평 방향의 자유도만을 구속하도록 제 1 진동계 (10) 와 제 2 진동계 (20) 가 일체화되어 있다.
따라서,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중추 (11) 와 제 2 중추 (21) 가 동일 수평면 내에 있어서의 동일 방향으로 연동하여 흔들리고, 또한, 제 1 중추 (11) 가 제 2 중추 (21) 에 대해 연직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흔들린다.
또, 제진 장치 (7) 의 구성 부재인 한 쌍의 댐퍼 (40) 는, 그 일단이 지주 (3) 의 내벽면에 브래킷 (41) 을 개재하여 접속되고, 타단이 제 2 중추 (21) 의 상단에 브래킷 (41) 을 개재하여 접속되어 있다.
또, 댐퍼 (40) 는, 서로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수평 방향의 전방위에 대해 감쇠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댐퍼 (40) 로서는, 오일 댐퍼, 점탄성 댐퍼 등을 사용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댐퍼 (40) 를 사용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슬라이딩 부재 (38) 인 리니어 가이드의 마찰 저항을 크게 하여, 그 마찰에 의해 진동 에너지를 흡수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그런데,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제진 장치 (7) 에 의하면, 제 1 중추 (11) 와 제 2 중추 (21) 의 중량비를 변경하는 방법으로서, 예를 들어, 제 1 중추 (11) 를 구성하는 중추편 (14) 를 떼어내거나, 제 2 중추 (21) 를 구성하는 중추편 (14, 25A, 25B) 을 떼어내거나, 제 1 중추 (11) 를 구성하는 중추편 (14) 을 떼어내어 제 2 중추 (21) 에 장착하거나, 제 2 중추 (21) 를 구성하는 중추편 (14) 을 떼어내어 제 1 중추 (11) 에 장착하거나 할 수 있다. 제 1 중추 (11) 와 제 2 중추 (21) 의 중량비를 변경함으로써, 제진 장치 (7) 의 고유 진동수를 조정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데, 그 고유 진동수의 조정에 대하여 검토한 결과를 이하에 나타낸다.
본 발명에 관련된 제진 장치 (7) 의 고유 진동수는, 다음 식 (1) 로부터 산출된다.
Figure pct00001
여기에서, f : 고유 진동수 (㎐), k : 탄성 부재 (22) 의 스프링 상수 (N/m), ℓ (리터) : 상측의 자재 이음매 (12) 의 회전 중심과 하측의 자재 이음매 (12) 의 회전 중심의 거리 (m), m1 : 제 1 중추 (11) 의 중량 (㎏), m2 : 제 2 중추 (21) 의 중량 (㎏) 이다.
제 1 중추 (11) 의 중량과 제 2 중추 (21) 의 중량을 합계한 전체 중량 (10000 ㎏) 을 일정하게 하여, 제 1 중추 (11) 의 중량을 1000 ㎏ 씩 줄이면서, 제 2 중추 (21) 의 중량을 1000 ㎏ 씩 늘린 경우의 고유 진동수를 상기 (1) 식으로 산출하였다. 산출한 결과를 이하의 도 7 에 나타낸다.
도 7 은, 제 1 중추 (11) 의 중량 및 제 2 중추 (21) 의 중량과, 제진 장치 (7) 의 고유 진동수의 관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중추 (11) 의 중량을 10000 ㎏, 제 2 중추 (21) 의 중량을 0 (제로) ㎏ 으로 한 경우에는, 제진 장치 (7) 의 고유 진동수는 1.000 ㎐ 가 되었다.
그리고, 제 1 중추 (11) 의 중량을 조금씩 감소시켜, 그 감소시킨 분만큼 제 2 중추 (21) 의 중량을 증가시키면 (예를 들어, 제 1 중추 (11) 의 중추편 (14) 을 서서히 떼어내어, 그 떼어낸 만큼의 중추편 (14) 을 제 2 중추 (21) 에 장착하면), 제진 장치 (7) 의 고유 진동수는 점차 작아졌다.
마지막으로, 제 1 중추 (11) 의 중량을 1000 ㎏, 제 2 중추 (21) 의 중량을 9000 ㎏ 으로 한 경우에는, 제진 장치 (7) 의 고유 진동수는 0.743 ㎐ 가 되었다.
이들 결과로부터, 제 1 중추 (11) 의 중량을 조금씩 감소시키면서, 제 2 중추 (21) 의 중량을 조금씩 증가시켜, 제 1 중추 (11) 와 제 2 중추 (21) 의 중량비를 변경하면, 제진 장치 (7) 의 주기는 장주기화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상기 서술한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진 장치 (7) 에 의하면, 제 1 중추 (11) 및 제 2 중추 (21) 를 각각 지지봉 (13), 탄성 부재 (22) 로 밑에서부터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배경 기술란에서 설명한 구조물로부터 행잉재를 개재하여 중추가 매달려 있는 진자 형상의 감쇠 수단 및 다른 중추를 지지봉으로 지지하는 역진자 형상의 감쇠 수단을 구비한 종래의 제진 장치와 비교하여, 조합 구조로 함으로써 높이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제 1 진동계 (10), 제 2 진동계 (20) 및 구속 수단 (30) 에는 특수한 재료를 사용하지 않고, 또, 일반적인 부품을 사용하여 각각을 제작할 수 있으므로, 제진 장치 (7) 를 염가로 제작할 수 있다.
그리고, 제진 장치 (7) 를 풍력 발전 장치 (1) 에 설치함으로써, 풍력 발전 장치 (1) 의 로터 (5) 의 회전에 수반하는 지주 (3) 의 1 차 고유 진동을 감쇠시킬 수 있다. 따라서, 지주 (3) 의 중량 증가나 지주 두께의 증가를 회피하면서, 허브 (5A) 의 높이가 100 m 를 초과하는 풍력 발전 장치 (1) 를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 제 2 중추 (21) 의 프레임 부재 (35) 와 제 1 중추 (11) 사이에는 슬라이딩 부재 (38) 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 2 중추 (21) 는 제 1 중추 (11) 에 대해 상대적으로 연직 방향으로 원활하게 슬라이딩할 수 있다. 또, 제 2 중추 (21) 의 프레임 부재 (35) 는 제 1 중추 (11) 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 2 중추 (21) 와 제 1 중추 (11) 가 동일 수평면 내에 있어서의 동일 방향으로 연동하여 흔들릴 수 있다. 이로써, 제 1 중추 (11) 와 제 2 중추 (21) 가 동일 수평면 내에 있어서의 동일 방향으로 연동하여 흔들리고, 또한, 제 1 중추 (11) 가 제 2 중추 (21) 에 대해 연직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흔들릴 수 있다.
또, 제 1 중추 (11) 및 제 2 중추 (21) 중 적어도 일방은 탈착 가능한 복수의 중추편 (14, 25A, 25B) 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어, 일방의 중추의 중추편 (14) 을 타방의 중추에 이동시켜 제 1 중추 (11) 와 제 2 중추 (21) 의 중량비를 변경함으로써, 제진 장치 (7) 의 고유 진동수를 조정할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지주 (3) 를 구축한 단계나 지주 (3) 에 나셀 (4) 을 설치한 단계 등에서 발생하는 1 차 고유 진동수가 각각 상이한 상태에서도, 제진 장치 (7) 는 고유 진동수를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지주 (3) 를 구축하는 단계부터 제진 장치 (7) 를 설치해 둠으로써, 각각의 단계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효율적으로 감쇠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진동계 (10) 에 대해 지주 (3) 의 둘레 방향 양 옆에 한 쌍의 제 2 진동계 (20) 가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제진 장치 (7) 가 원호의 형상을 가지고 있어, 지주 (3) 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 (9) 의 외주와 지주 (3) 의 내벽면 사이에 설치할 수 있다.
또, 일단이 지주 (3) 에 접속되고, 타단이 제 2 중추 (21) 에 접속되어 있는 댐퍼 (40) 를 구비함으로써, 제 1 중추 (11) 및 제 2 중추 (21) 의 진동의 감쇠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댐퍼 (40) 는 수평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수평 방향의 진동의 감쇠 효과를 촉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진 장치 (7) 는, 지주 (3) 의 상단의 플로어 (8a) 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진 장치 (7) 를 지주 (3) 의 중단이나 하단의 플로어 (8) 에 설치하는 경우보다, 지주 (3) 의 1 차 고유 진동을 효율적으로 감쇠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기의 실시형태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하고, 주로 상위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a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제진 장치 (27) 의 평면도이고, 도 8b 는, 도 8a 의 E 로 나타낸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제진 장치 (27) 는, 제 1 실시형태의 제진 장치 (7) 와는 상이한 구속 수단 (33) 을 구비하고 있다.
구속 수단 (33) 은, 프레임 부재 (35) 와, 복수의 슬라이딩 부재 (39) 를 구비하고 있다. 이 슬라이딩 부재 (39) 는, 제 1 중추 (11) 의 외주 및 프레임 부재 (35) 의 내주에 맞닿도록 형성되어 있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불소 수지로 이루어지는 오일레스 플레이트를 사용한다. 오일레스 플레이트는, 볼트 (34) 로 제 1 중추 (11) 의 외주 측면에 고정되어 있다. 이 오일레스 플레이트는, 슬라이딩 성능이 우수한 특수 소결체와 강제 (鋼製) 이금 (裏金) 을 결합한 오일 함유 소결 합금이며, 함유되어 있는 윤활유가 슬라이딩에 수반하여 슬라이딩면 전체에 공급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불소 수지로 이루어지는 오일레스 플레이트를 사용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이 재질에 한정되지 않고, 폴리이미드 수지로 이루어지는 플레이트 등을 사용해도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오일레스 플레이트를 제 1 중추 (11) 에 장착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는데,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오일레스 플레이트를 제 2 중추 (21) 에 장착해도 된다.
상기 서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제진 장치 (27) 에 의하면, 제 1 중추 (11) 의 주위에 슬라이딩 부재 (39) 를 형성함과 함께, 이것들을 다시 제 2 중추 (21) 에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프레임 부재 (35) 로 둘러싸고 있으므로, 제 2 중추 (21) 와 제 1 중추 (11) 가 동일 수평면 내에 있어서의 동일 방향으로 연동하여 흔들린다. 또, 슬라이딩 부재 (39) 가 장착되어 있는 제 1 중추 (11) 는, 제 2 중추 (21) 에 대해 상대적으로 연직 방향으로 원활하게 슬라이딩한다. 따라서, 제 1 중추 (11) 와 제 2 중추 (21) 가 동일 수평면 내에 있어서의 동일 방향으로 연동하여 흔들리고, 또한, 제 1 중추 (11) 가 제 2 중추 (21) 에 대해 연직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흔들린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 및 도 10 은, 각각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제진 장치 (37) 의 평면도, 측면도이다.
도 9 및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제진 장치 (37) 는,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의 제진 장치 (7, 27) 와는 상이한 제 2 진동계 (26) 및 구속 수단 (43) 을 구비하고 있다.
제 2 진동계 (26) 는, 제 1 중추 (11) 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제 2 중추 (29) 와, 제 2 중추 (29) 를 지지하는 복수의 탄성 부재 (22) 를 구비하고 있다.
제 2 중추 (29) 는, 제 3 용기 (48) 와, 제 3 용기 (48) 내에 적층되어 수용되는 복수의 중추편 (28) 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제 3 용기 (48) 는, 사각형의 외통 (49) 과, 당해 외통 (49) 내에 형성된 사각형의 내통 (50) 과, 외통 (49) 과 내통 (50)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의 하단을 막도록 형성된 저판으로 이루어지고, 그 간극 내에 중추편 (28) 을 수용한다.
중추편 (28) 은, 제 3 용기 (48) 의 내주의 수평 단면과 동일한 형상을 갖고 있다. 이 중추편 (28) 은, 제 1 중추 (11) 를 구성하는 상기 중추편 (14) 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동일 평면 내에 나열된, 4 장의 중추편 (14) 및 이 중추편 (14) 과는 수평 단면 형상이 상이한 중추편 (51) 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 2 중추 (29) 의 중추편 (14) 과 제 1 중추 (11) 의 중추편 (14) 을 서로 바꿀 수 있다.
구속 수단 (43) 은, 제 1 중추 (11) 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프레임 부재 (44) 와, 복수의 슬라이딩 부재 (38) 를 구비하고 있다.
프레임 부재 (44) 로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중추 (29) 의 내통 (50) 을 이용한다. 또한, 새로 사각형의 통체를 사용하여 프레임 부재 (44) 를 형성해도 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프레임 부재 (44) 를 구성하는 외주면을 각각 제 2 중추 (29) 의 내통 (50) 의 내주면에 볼트 등으로 고정시켜 제 2 중추 (29) 와 일체화한다.
상기 서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제진 장치 (37) 에 의하면, 제 1 중추 (11) 의 주위에 슬라이딩 부재 (38) 를 형성함과 함께, 이것들을 다시 제 2 중추 (29) 로 둘러싸고 있으므로, 제 2 중추 (29) 와 제 1 중추 (11) 가 동일 수평면 내에 있어서의 동일 방향으로 연동하여 흔들린다. 또, 슬라이딩 부재 (38) 가 장착되어 있는 제 1 중추 (11) 는, 제 2 중추 (29) 에 대해 상대적으로 연직 방향으로 원활하게 슬라이딩한다. 따라서, 제 1 중추 (11) 와 제 2 중추 (29) 가 동일 수평면 내에 있어서의 동일 방향으로 연동하여 흔들리고, 또한, 제 1 중추 (11) 가 제 2 중추 (29) 에 대해 연직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흔들린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 및 도 12 는, 각각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관련된 제진 장치 (47) 의 평면도, 측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관련된 제진 장치 (47) 는, 제 3 실시형태의 제진 장치 (37) 와 상이한 구속 수단 (45) 을 구비하고 있다.
구속 수단 (45) 은, 프레임 부재 (44) 와, 제 1 중추 (11) 와 프레임 부재 (44) 사이에 형성된 복수의 슬라이딩 부재 (39) 를 구비하고 있다.
슬라이딩 부재 (39) 는, 제 2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오일레스 플레이트를 사용하였다. 오일레스 플레이트는, 볼트 (34) 로 제 1 중추 (11) 의 외주 측면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서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제진 장치 (47) 에 의하면, 제 1 중추 (11) 의 주위에 슬라이딩 부재 (39) 를 형성함과 함께, 이것들을 다시 제 2 중추 (29) 로 둘러싸고 있으므로, 제 2 중추 (29) 와 제 1 중추 (11) 가 동일 수평면 내에 있어서의 동일 방향으로 연동하여 흔들린다. 또, 슬라이딩 부재 (39) 가 장착되어 있는 제 1 중추 (11) 는, 제 2 중추 (29) 에 대해 상대적으로 연직 방향으로 원활하게 슬라이딩한다. 따라서, 제 1 중추 (11) 와 제 2 중추 (29) 가 동일 수평면 내에 있어서의 동일 방향으로 연동하여 흔들리고, 또한, 제 1 중추 (11) 가 제 2 중추 (29) 에 대해 연직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흔들린다.
또한, 상기 서술한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1 중추 (11) 의 형상이 사각기둥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이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삼각 기둥 형상, 오각 기둥 형상 등의 다각 기둥이어도 되고, 또, 원기둥 형상, 타원 기둥 형상이어도 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프레임 부재 (35, 44) 를, 제 1 중추 (11) 의 외주를 따른 다각형이나 원형의 통상체로 하면 된다.
1 : 풍력 발전 장치 2 : 기초
3 : 지주 4 : 나셀
5 : 로터 5A : 허브
5B : 블레이드 7, 27, 37, 47 : 제진 장치
8 : 플로어 8a : 상단의 플로어
9 : 개구 10 : 제 1 진동계
11 : 제 1 중추 12 : 자재 이음매
13 : 지지봉 14 : 중추편
15 : 제 1 용기 16 : 제 2 용기
17 : 연장부 18 : 측판
20, 26 : 제 2 진동계 21, 29 : 제 2 중추
22 : 탄성 부재 23 : 접속재
24 : 고무 25, 28 : 중추편
25A, 25B : 중추편 30, 33, 43, 45 : 구속 수단
31 : 가이드 32 : 슬라이딩체
34, 36 : 볼트 35, 44 : 프레임 부재
38, 39 : 슬라이딩 부재 40 : 댐퍼
41 : 브래킷 46 : 홈
47 : 볼록부 48 : 제 3 용기
49 : 외통 50 : 내통
51 : 중추편 52 : 사다리
53A, 53B : 케이블 100 : 연결 부재

Claims (12)

  1. 구조물의 제진 장치로서,
    제 1 중추 (重錘) 와, 상기 제 1 중추를 상기 구조물 위에 지지하기 위해 상기 구조물에 세워 설치된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의 하단을 상기 구조물에 접속하는 하측 자재 이음매와, 상기 지지봉의 상단을 상기 제 1 중추에 접속하는 상측 자재 이음매를 갖는 제 1 진동계와,
    상기 구조물에 세워 설치된 탄성 부재와, 상기 탄성 부재 위에 형성된 제 2 중추를 갖는 제 2 진동계와,
    상기 제 1 중추와 상기 제 2 중추가 동일 수평면 내에 있어서의 동일 방향으로 흔들리고, 또한, 제 1 중추가 제 2 중추에 대해 연직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흔들리도록, 상기 제 1 중추를 상기 제 2 중추에 구속하는 구속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 수단은,
    상기 제 1 중추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프레임 부재와,
    상기 제 1 중추의 외주와 상기 프레임 부재의 내주 사이에 형성된 복수의 슬라이딩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중추 및 상기 제 2 중추 중 적어도 일방은 각각이 탈착 가능한 복수의 중추편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은, 풍력 발전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 장치.
  5. 상기 풍력 발전 장치의 지주 내에 설치되는 제 4 항에 기재된 제진 장치로서,
    상기 제 1 진동계에 대해 상기 지주의 둘레 방향 양 옆에 한 쌍의 상기 제 2 진동계가 형성되고,
    한 쌍의 상기 제 2 진동계 사이에, 상기 제 2 중추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1 중추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프레임 부재와, 상기 제 1 중추와 상기 프레임 부재 사이에 형성된 복수의 슬라이딩 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중추와 상기 제 2 중추의 합계 중량을 일정하게 한 상태에서, 상기 제 1 중추와 상기 제 2 중추의 중량비를 변화시킴으로써 장치 본체의 주기를 조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구조물에 접속되고, 타단이 상기 제 1 중추 또는 상기 제 2 중추에 접속된 댐퍼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수평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제진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진 장치는, 상기 풍력 발전 장치의 지주의 상단 플로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 장치.
  11. 구조물의 제진 방법으로서,
    양단에 자재 이음매가 접속된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의 일단에 상기 자재 이음매를 개재하여 접속된 제 1 중추를 갖는 제 1 진동계를, 상기 지지봉의 타단을 상기 구조물에 접속하여 상기 구조물 위에 세워 설치하고,
    탄성 부재와, 상기 탄성 부재의 일단에 접속된 제 2 중추를 갖는 제 2 진동계를, 상기 탄성 부재의 타단을 상기 구조물에 접속하여 상기 구조물에 세워 설치하고,
    상기 제 1 중추를 상기 제 2 중추에 구속 수단으로 구속하고,
    상기 구조물의 진동시에, 상기 제 1 중추와 상기 제 2 중추를 동일 수평면 내에 있어서의 동일 방향으로 흔들리게 하고, 또한, 제 1 중추가 제 2 중추에 대해 연직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흔들리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중추 및 상기 제 2 중추 중 적어도 일방은 각각이 탈착 가능한 복수의 중추편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중추 및 상기 제 2 중추 중 적어도 일방을 구성하는 상기 중추편의 개수를 변경하여, 상기 제 1 중추와 상기 제 2 중추의 중량비를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 방법.
KR1020127016732A 2011-04-22 2011-04-22 제진 장치, 풍력 발전 장치 및 제진 방법 KR2013002586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1/059932 WO2012144066A1 (ja) 2011-04-22 2011-04-22 制振装置、風力発電装置及び制振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5861A true KR20130025861A (ko) 2013-03-12

Family

ID=45418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6732A KR20130025861A (ko) 2011-04-22 2011-04-22 제진 장치, 풍력 발전 장치 및 제진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336687B2 (ko)
EP (1) EP2696098A1 (ko)
JP (1) JP4831847B1 (ko)
KR (1) KR20130025861A (ko)
CN (1) CN102893052A (ko)
AU (1) AU2011331934A1 (ko)
WO (1) WO201214406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6323B1 (ko) 2016-06-13 2017-04-12 (주)티이솔루션 일방향 제진장치용 제진축 자동조정장치를 구비한 풍력발전 시스템
KR20170045235A (ko) * 2014-08-13 2017-04-26 이에스엠 에네르기-운트 쉬빙웅스테크니크 미츠시 게엠베하 진동 흡수기들을 위한 마그네틱 댐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681463B1 (en) * 2011-03-04 2015-05-06 Moog Inc. Structural damping system and method
US9033301B1 (en) * 2011-04-26 2015-05-19 The Boeing Company Vibration reduction system using an extended washer
JP5973732B2 (ja) * 2012-01-24 2016-08-23 特許機器株式会社 制振装置を備えた風力発電装置及びタワー状建造物の制振装置
WO2014040598A1 (en) * 2012-09-17 2014-03-20 Vestas Wind Systems A/S Method of damping wind turbine tower oscillations
US9556851B2 (en) 2013-04-03 2017-01-31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for reducing vibration in a wind turbine
WO2014198277A1 (en) * 2013-06-11 2014-12-18 Vestas Wind Systems A/S Wind turbine tower having a damper
DK201370627A1 (en) 2013-10-28 2015-05-11 Vestas Wind Sys As Method of damping wind turbine tower oscillations
CN105084282A (zh) * 2014-05-19 2015-11-25 庄孟文 一种排油重锤支承装置
DE102015000788A1 (de) * 2015-01-26 2016-07-28 Senvion Gmbh Verfahren zum Errichten einer Windenergieanlage und Windenergieanlage
AU2016365335B2 (en) 2015-12-04 2021-10-21 Icu Medical, Inc. Systems methods and components for transferring medical fluids
KR101722669B1 (ko) * 2016-06-16 2017-04-12 주식회사 천일 동조질량댐퍼를 이용한 내진 조명타워
US11078890B2 (en) 2018-05-22 2021-08-03 Engiso Aps Oscillating damper for damping tower harmonics
DE102018122638A1 (de) * 2018-09-17 2020-03-19 Wobben Properties Gmbh Windenergieanlagen-Turmsegment für einen Windenergieanlagen-Turm und Verfahren
DK180710B1 (en) * 2019-05-24 2021-12-16 Soh Wind Tunnels Aps Pendulum mass damper
TW202130079A (zh) * 2019-11-26 2021-08-01 丹麥商維斯塔斯海上風力有限公司 風力機塔的纜線安裝技術
WO2024008255A1 (en) * 2022-07-08 2024-01-11 Vestas Wind Systems A/S Wind turbines having dampers with tilt mechanisms and methods of damping vibrations in wind turbines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8944A (ja) * 1990-04-25 1992-01-13 Mitsubishi Heavy Ind Ltd 制振装置
JPH04366043A (ja) * 1991-06-14 1992-12-17 Hitachi Ltd 構造物の能動制振装置
JPH05187482A (ja) * 1992-01-13 1993-07-27 Mitsubishi Heavy Ind Ltd 動吸振器
JP3993278B2 (ja) * 1997-07-17 2007-10-17 辰治 石丸 制振装置
JP3707298B2 (ja) * 1999-02-25 2005-10-19 株式会社大林組 制振装置
JP2001124136A (ja) * 1999-10-22 2001-05-08 Bando Chem Ind Ltd 建築物用制振装置
JP4074575B2 (ja) 2003-10-08 2008-04-09 株式会社竹中工務店 チューンド・マス・ダンパー
JP2006249982A (ja) * 2005-03-09 2006-09-21 Mitsubishi Heavy Ind Ltd 風力発電装置
KR100752510B1 (ko) * 2006-04-14 2007-08-29 유니슨 주식회사 단일 메인베어링을 갖는 풍력 발전기
CN100436261C (zh) * 2006-08-25 2008-11-26 郑钢铁 卫星整体减振隔振装置
ATE517216T1 (de) * 2007-05-31 2011-08-15 Vestas Wind Sys As System zur dämpfung von schwingungen in einer struktur
JP5067128B2 (ja) * 2007-11-07 2012-11-07 シンフォニア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風力発電装置
JP5057153B2 (ja) * 2007-12-20 2012-10-24 シンフォニア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風車用制振装置、風車装置
CN101382178B (zh) * 2008-10-16 2010-06-09 上海微电子装备有限公司 主动减振隔振装置及主动减振隔振系统
US8021101B2 (en) * 2008-12-15 2011-09-20 General Electric Company Wind turbine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JP4865862B2 (ja) 2008-12-19 2012-02-0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風力発電装置のピッチ駆動装置および風力発電装置
AU2010291891A1 (en) * 2010-12-27 2012-07-19 Mitsubishi Heavy Industries Bridge & Steel Structures Engineering Co., Ltd. Vibration control apparatus of wind turbine generator and wind turbine generato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5235A (ko) * 2014-08-13 2017-04-26 이에스엠 에네르기-운트 쉬빙웅스테크니크 미츠시 게엠베하 진동 흡수기들을 위한 마그네틱 댐퍼
KR101726323B1 (ko) 2016-06-13 2017-04-12 (주)티이솔루션 일방향 제진장치용 제진축 자동조정장치를 구비한 풍력발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831847B1 (ja) 2011-12-07
CN102893052A (zh) 2013-01-23
AU2011331934A1 (en) 2012-11-08
US8336687B2 (en) 2012-12-25
EP2696098A1 (en) 2014-02-12
JPWO2012144066A1 (ja) 2014-07-28
WO2012144066A1 (ja) 2012-10-26
US20120267207A1 (en) 2012-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25861A (ko) 제진 장치, 풍력 발전 장치 및 제진 방법
JP5594696B2 (ja) 風力発電用風車の制振装置および風力発電用風車
CN109424695B (zh) 用于阻尼结构中的振荡的布置及方法
JP5642789B2 (ja) 風力タービンにおける振動を減衰させ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WO2017007802A1 (en) Support structure for rotating machinery
WO2014198277A1 (en) Wind turbine tower having a damper
JP2008151119A (ja) アクティブタワーダンパ
JP6368522B2 (ja) 建物
CN113924400B (zh) 摆式质量阻尼器和包括摆式质量阻尼器的结构
JP6201871B2 (ja) エレベータ用動吸振器
CN207406437U (zh) 塔筒及风力发电机组
CN106894536A (zh) 一种新型减震油阻尼器
KR20190089972A (ko) 동조 다이내믹 댐퍼 및 진동의 진폭을 감소시키는 방법
JP2014114621A (ja) 制振構造物
KR20190091294A (ko) 소형 공간 타원체 질량 진자
KR20220089642A (ko) 진동 감쇠
CN107021406A (zh) 电梯装置
JP6595780B2 (ja) 免振縦軸風車
JP6233647B2 (ja) エレベータ用動吸振器
WO2016147939A1 (ja) 縦軸風車の免震装置
JP6518091B2 (ja) 免震横枠体を備えた風車装置
KR101358213B1 (ko) 타워 지지 구조물 및 타워 지지 구조물 건조방법
WO2024008254A1 (en) Vibration damper for a wind turbine, tower structure with a vibration damper, and method of damping vibrations
KR101665401B1 (ko) 풍력 발전장치
DK202270371A1 (en) Vibration dampers with end stops and locking mechanisms for wind turbines and methods of us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