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2510B1 - 단일 메인베어링을 갖는 풍력 발전기 - Google Patents

단일 메인베어링을 갖는 풍력 발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2510B1
KR100752510B1 KR1020060034157A KR20060034157A KR100752510B1 KR 100752510 B1 KR100752510 B1 KR 100752510B1 KR 1020060034157 A KR1020060034157 A KR 1020060034157A KR 20060034157 A KR20060034157 A KR 20060034157A KR 100752510 B1 KR100752510 B1 KR 1007525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nerator
shaft
main bearing
gear
speed increas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4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두훈
류지윤
방조혁
김대현
전중환
정진화
한경섭
김영찬
Original Assignee
유니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니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341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2510B1/ko
Priority to US11/993,150 priority patent/US20100219642A1/en
Priority to JP2008518052A priority patent/JP2008546948A/ja
Priority to EP07745880.0A priority patent/EP2007983A4/en
Priority to PCT/KR2007/001717 priority patent/WO2007119953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2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251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80/00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3D1/00 - F03D17/00
    • F03D80/70Bearing or lubrica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5/00Transmission of mechanical pow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5/00Transmission of mechanical power
    • F03D15/10Transmission of mechanical power using gearing not limited to rotary motion, e.g. with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80/00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3D1/00 - F03D17/00
    • F03D80/80Arrangement of components within nacelles or to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9/00Adaptations of wind motor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driven thereby;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20Wind motors characterised by the driven apparatus
    • F03D9/25Wind motors characterised by the driven apparatus the apparatus being an electrical gene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5/00Rigid support of bearing units; Housings, e.g. caps, covers
    • F16C35/04Rigid support of bearing units; Housings, e.g. caps, covers in the case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5/06Mounting or dismounting of ball or roller bearings; Fixing them onto shaft or in hou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30/00Manufacture
    • F05B2230/80Repairing, retrofitting or upgrading metho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10Stators
    • F05B2240/14Casings, housings, nacelles, gondels or the like, protecting or supporting assemblies there with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40Transmission of power
    • F05B2260/403Transmission of power through the shape of the drive components
    • F05B2260/4031Transmission of power through the shape of the drive components as in toothed gearing
    • F05B2260/40311Transmission of power through the shape of the drive components as in toothed gearing of the epicyclic, planetary or differential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96Preventing, counteracting or reducing vibration or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9/00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9/22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roller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e.g. needle bearings
    • F16C19/34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roller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e.g. needle bearings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 F16C19/38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roller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e.g. needle bearings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with two or more rows of rollers
    • F16C19/383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roller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e.g. needle bearings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with two or more rows of rollers with tapered rollers, i.e. rollers having essentially the shape of a truncated cone
    • F16C19/385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roller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e.g. needle bearings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with two or more rows of rollers with tapered rollers, i.e. rollers having essentially the shape of a truncated cone with two rows, i.e. double-row tapered roller bearings
    • F16C19/386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roller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e.g. needle bearings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with two or more rows of rollers with tapered rollers, i.e. rollers having essentially the shape of a truncated cone with two rows, i.e. double-row tapered roller bearings in O-arrang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00/00Application independent of particular apparatuses
    • F16C2300/10Application independent of particular apparatuses related to size
    • F16C2300/14Large applications, e.g. bearings having an inner diameter exceeding 500 m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60/00Engines or pumps
    • F16C2360/31Wind mo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하나의 메인베어링을 사용하여 증속기어박스가 나셀프레임에서 분리되어 조립되며, 회전자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은 회전토크만 상기 증속기어박스로 전달되고 회전토크를 제외한 하중은 상기 메인베어링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증속기어박스의 내구성 및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 단일 메인베어링을 갖는 풍력 발전기가 개시된다. 상기 풍력 발전기는 전면에 하나의 메인베어링이 장착되는 나셀프레임과; 상기 메인베어링의 내륜에 장착되는 중공드럼축이 후방에 구비되는 로터허브를 갖는 회전자와; 상기 중공드럼축의 끝단에 장착되는 입력축을 전방에 갖고, 후방에 출력축을 가지며, 상기 나셀프레임의 내측에 부상되어 분리된 상태로 상기 입력축의 회전을 증대시켜서 상기 출력축에 전달하는 증속기어박스와; 상기 증속기어박스의 자체 회전을 방지하도록 상기 증속기어박스와 상기 나셀프레임의 사이에 설치되는 토크지지체와; 상기 출력축에 연결되는 회전축을 갖는 발전기를; 포함한다.
풍력, 발전기, 증속기어박스, 동력전달, 방진

Description

단일 메인베어링을 갖는 풍력 발전기{Wind energy converter with single main bearing}
도 1은 본 발명의 요부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 평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메인베어링의 요부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따른 증속기어박스의 요부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요부 측단면도,
도 6은 도 5의 개략적인 평단면도,
도 7은 도 5에 따른 증속기어박스의 요부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요부 측단면도,
도 9는 종래의 일예를 보인 요부 측단면도.
도 10은 종래의 다른 예를 보인 요부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나셀프레임
11 : 메인베어링
20 : 회전자
21 : 로터허브 22 : 중공드럼축
30 : 증속기어박스
31 : 입력축 32 : 출력축
40 : 토크지지체
41 : 토크레버 42 : 방진댐퍼
50 : 발전기
51 : 회전축 52 : 발전기댐퍼
60 : 축이음부
본 발명은 풍력 발전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메인베어링을 사용하여 증속기어박스가 나셀프레임에서 분리되어 조립되며, 회전자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은 회전토크만 상기 증속기어박스로 전달되고, 회전토크를 제외한 하중은 상기 메인베어링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나셀프레임으로 전달되도록 하여 상기 증속기어박스의 내구성 및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 단일 메인베어링을 갖는 풍력 발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풍력 발전기는 자연의 바람으로 풍차를 돌리고 이 풍차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발전기의 축을 돌려 발전을 하는 것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풍력 발전기는 지면에 적정 높이로 고정되게 설치된 타워(1)와, 상기 타워(1)의 상단에 바람 방향에 따라 회전하는 나셀프레 임(2)과, 상기 나셀프레임(2)의 선단에 다수의 블레이드(3a)가 로터허브(3b)에 설치되는 회전자(3)와, 상기 회전자(3)와 연결되며 2개의 메인베어링(4a)으로 저널링되는 회전축(4)과, 상기 나셀프레임(2)의 후단에 설치되는 발전기(5)와, 상기 발전기(5)의 입력축의 회전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회전축(4)과 상기 발전기(5) 사이에 설치되는 증속기어박스(6)로 구성된다.
상기 풍력 발전기는 증속기어박스(6)가 3단으로 증속되는 구조로서 고속으로 회전되는 출력축을 갖고, 상기 발전기(5)는 이중권선형 유도발전기로 구성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풍력 발전기는 3단으로 증속되는 고속 증속기어박스를 사용하여 높은 증속비를 통해 발전기를 고속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증속기어박스의 내부에 구비되는 베어링 등의 부품의 피로수명이 쉽게 감소되고, 동시에 상기 증속기어박스의 내부에 구비되는 기어의 치열이 마쉽게 마모되면서 상기 치열의 피로파손이 발생하게 되며, 상기 증속기어박스에 높은 소음 및 진동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풍력 발전기는 블레이드가 조립되는 로터허브(100a)를 갖는 회전자(100)와, 상기 로터허브(100a)의 후방에 장착되고 끝단에 케리어플레이트(201)를 갖는 유성홀더(200)와, 롤러베어링(301)의 내륜에 조립되고 기어박스(600)와 조립되어 회전 불가능하게 설치되는 링기어(300)와, 상기 링기어(300)의 내측에 맞물리고 보기축(401)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유성기 어(400)와, 상기 유성기어(400)에 맞물리는 태양기어(500)와, 상기 링기어(300)가 선단에 장착되고 상기 유성기어(400)가 내측에 구비되며 끝단으로 출력축(601)을 갖는 기어박스(600)와, 상기 기어박스(600)가 내측에 장착되는 나셀프레임(700)을 포함한다.
상기 풍력 발전기는 바람에 의해 회전자(100)가 회전되면서 로터허브(100a)가 회전되면 이에 장착된 유성홀더(200)가 롤러베어링(301)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회전되고, 상기 유성홀더(200)의 회전에 따라 케리어플레이트(201)가 링기어(300)의 내측에서 회전되면서 보기축(401)을 밀어 상기 링기어(300)의 내측에서 원운동을 시키게 되며, 상기 보기축(401)의 원운동에 의해 상기 링기어(300)의 내측에 맞물리는 유성기어(400)가 상기 링기어(300)의 내측을 따라 회전되면서 원운동을 하게 된다.
상기 유성기어(400)가 회전되면서 원운동을 함에 따라 이에 맞물린 태양기어(500)가 회전되면서 일단계로 증속되고, 상기 태양기어(500)는 기어박스(600)의 내부로 구비된 평기어(미도시)를 회전시키면서 다단계로 증속된 후에 출력축(601)을 통해 발전기(미도시)의 축을 고속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풍력 발전기는 로터허브와 태양기어 사이의 구조가 매우 복잡하고, 유성홀더와 링기어 및 유성기어가 나셀프레임의 외부에 설치됨으로써 그 조립 및 분해가 까다로워 부품의 교체 및 유지관리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기어박스가 나셀프레임의 내부에 직접적으로 견고히 장착됨으 로써, 상기 나셀프레임을 통해 전달되는 외력이 그대로 상기 기어박스에 전달되어 상기 기어박스의 내구성이 저하되면서 소음 및 진동이 심하게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풍력 발전기는 나셀프레임의 내측에 기어박스가 설치된 후 고장에 의한 교체 시에 회전자를 비롯하여 상기 기어박스 전면에 배치되는 모든 부분품을 완전히 분해해야 함으로, 상기 기어박스의 유지보수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일 메인베어링을 사용하여 증속기어박스를 나셀프레임에서 분리시켜 조립함으로써 회전자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은 회전토크만 상기 증속기어박스로 전달되고, 회전토크를 제외한 하중은 상기 메인베어링을 통해 나셀프레임으로 직접 전달하여 상기 증속기어박스의 내구성이 향상되도록 하면서 발전기와 나셀프레임 사이에 방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일 메인베어링을 갖는 풍력 발전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 증속기어박스의 자체 회전 즉 자전이 원활히 방지되면서 진동이 저감되도록 하는 단일 메인베어링을 갖는 풍력 발전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발전기와 나셀프레임 사이에 회전력의 전달이 안정적이면서 정밀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일 메인베어링을 갖는 풍력 발전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성기어를 통해 증속 즉 회전수의 증대가 안정적이면서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일 메인베어링을 갖는 풍력 발전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증속기어박스와 발전기의 하우징을 일체로 구성하여 별도의 축이음부 없이 회전력의 전달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증속기어박스와 발전기의 설치 및 조립이 간편해지도록 하는 단일 메인베어링을 갖는 풍력 발전기를 제공함에 있다.
삭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일 메인베어링을 갖는 풍력 발전기는 전면에 하나의 메인베어링이 장착되는 나셀프레임과, 상기 메인베어링의 내륜에 장착되는 중공드럼축이 후방에 구비되는 로터허브를 갖는 회전자와, 상기 중공드럼축의 끝단에 장착되는 입력축을 전방에 갖고 후방에 출력축을 가지며 상기 나셀프레임의 내측에 부상되어 분리된 상태로 상기 입력축의 회전을 증대시켜서 상기 출력축에 전달하는 증속기어박스와, 상기 증속기어박스의 자체 회전을 방지하도록 상기 증속기어박스와 상기 나셀프레임의 사이에 설치되는 토크지지체와, 상기 출력축에 연결되는 회전축을 갖는 발전기를 포함하는 풍력 발전기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는, 상기 나셀프레임과 발전기의 사이에 방진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발전기의 하면과 상기 나셀프레임의 상면 사이에 설치되는 발전기댐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증속기어박스는, 상기 입력축의 타단에 결합되는 기어하우징과, 상기 기어하우징의 내측에 편심되면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유성기어와, 상기 기어하우징의 회전에 따라 상기 유성기어가 회전되도록 상기 유성기어의 외측에 내측이 맞물리는 내접기어와, 상기 유성기어의 내측에 일단이 맞물리고 타단이 상기 출력축에 결합되는 기어축을, 더 포함하여 상기 유성기어에 의해 1단으로 증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증속기어박스는, 상기 기어축의 끝단에 결합되는 결합기어와, 상기 결합기어에 맞물려 증속되도록 상기 출력축의 선단에 형성되는 증속기어를, 더 포함하여 상기 증속기어에 의해 2단으로 증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토크지지체는, 상기 증속기어박스의 양측면에 돌출되어 상기 나셀프레임에 고정되는 토크레버와, 상기 증속기어박스의 진동이 상기 나셀프레임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토크레버에 조립되는 방진댐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진댐퍼는, 상기 증속기어박스로부터 생성되는 진동이 상기 나셀프레임으로 전달되는 것을 저감시키도록 합성고무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출력축과 회전축의 사이에 편각이 허용된 상태로 회전력의 전달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출력축과 회전축의 사이에 설치되는 축이음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증속기어박스와 상기 발전기는, 상기 나셀프레임의 내측에 일체로 조립 및 설치되도록 상기 증속기어박스 및 발전기의 하우징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메인베어링은, 복열 테이퍼롤러베어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전기는, 영구자석 동기발전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공드럼축은, 상기 메인베어링의 내륜을 지지하도록 상기 중공드럼축의 외주면 선단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지지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요부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 평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 메인베어링을 갖는 풍력 발전기는 하나의 메인베어링(11)을 전면에 갖는 나셀프레임(10)과, 상기 메인베어링(11)의 내륜에 장착되는 중공드럼축(22)이 후방에 구비되는 로터허브(21)를 갖는 회전자(20)와, 상기 중공드럼축(22)에 결합되어 상기 나셀프레임(10)의 내측에 분리된 상태로 구비되는 증속기어박스(30)와, 상기 증속기어박스(30)의 자전을 방지하는 토크지지체(40)와, 상기 증속기어박스(30)의 후방에 연결되는 발전기(50)와, 상기 증속기어박스(30)와 상기 발전기(50)를 축상으로 연결하는 축이음부(60)를 포함한다.
상기 나셀프레임(10)은 타워(T)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전방에 메인베어링(11)이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메인베어링(11)은 상기 나셀프레임(10)에 단일 즉 하나로 설치되어 로터허브(21)의 후방에 구비되는 중공드럼축(22)이 내륜에 장착되어 상기 로터허브(21)를 포함하는 회전자(2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나셀프레임(10)은 그 전면에 하나의 메인베어링(11)의 외륜이 장착됨으로써, 상기 메인베어링(11)의 내륜에 장착되는 중공드럼축(22)을 회전 가능한 상태로 직접 지지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중공드럼축(22)이 구비되는 로터허브(21)를 포함하는 회전자(20)가 상기 나셀프레임(10)의 전방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상태로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중공드럼축(22)은 메인베어링(11)에 의해 나셀프레임(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상태로 설치됨으로써, 상기 중공드럼축(22)에 결합되는 증속기어박스(30)가 상기 나셀프레임(10)과 분리된 상태로 그 내측에 설치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회전자(20)는 메인베어링(11)의 내륜에 장착되는 중공드럼축(22)을 후방으로 갖는 로터허브(21)에 블레이드가 조립되는 것으로, 상기 로터허브(21)에 조립되는 블레이드가 바람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로터허브(21)가 회전됨과 동시에 상기 메인베어링(11)에 의해 나셀프레임(10)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상기 중공드럼축(22)이 회전되면서 상기 중공드럼축(22)과 결합된 증속기어박스(3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중공드럼축(22)은 메인베어링(11)에 의해 나셀프레임(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로터허브(21)를 상기 나셀프레임(1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하면서 동시에 증속기어박스(3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중공드럼축(22)은 로터허브(21)의 후방에 일체형으로 구비되거나 분리형으로 구비되어 볼트 등으로 조립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증속기어박스(30)는 중공드럼축(22)의 끝단에 장착되는 입력축(31)을 전방에 갖고, 후방에 출력축(32)을 가지는 것으로, 상기 증속기어박스(30)는 상기 중공드럼축(22)의 회전과 함께 이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상기 입력축(31)의 회전속도를 증대시킨 후에 상기 출력축(32)을 통해 외부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증속기어박스(30)는 중공드럼축(22)의 내측 중앙에 입력축(31)이 결합되고 후방의 출력축(32)이 축이음부(60)에 의해 발전기(50)의 회전축(51)과 연결됨으로써, 나셀프레임(10)의 내측에 부상되어 분리된 상태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증속기어박스(30)가 나셀프레임(10)의 내측에서 부상된 상태로 분리되게 배치됨으로써, 상기 나셀프레임(10)을 통한 상기 증속기어박스(30)로 외력의 전달을 방지하면서 동시에 상기 증속기어박스(30)를 통해 상기 나셀프레임(10)으로 외력의 전달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중공드럼축(22)으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은 나셀프레임(10)에 단일로 설치된 메인베어링(11)에서 지지하고 상기 중공드럼축(22)의 회전토크만이 입력축(31)을 통해 증속기어박스(30)로 전달됨으로써, 상기 증속기어박스(30)로의 상기 나셀프레임(10)을 통한 외력의 전달이 원활히 방지된다.
따라서, 상기 증속기어박스(30)와 이에 연결된 부품이 나셀프레임(10)을 통해 전달되는 외력에 영향을 받지 않게 되면서 동시에 상기 나셀프레임(10)에 설치된 부품 또한 상기 증속기어박스(30)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게 되기 때문에 상기 증속기어박스(3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나셀프레임(10)의 내측에서 전체 부품의 분해 없이 상기 증속기어박스(30)만을 손쉽게 조립 및 분해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증속기어박스(30)의 자체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증속기어박스(30)를 포함한 여러 부품의 교체 및 수리가 손쉽게 이루어져 풍력 발전기의 유지관리가 간편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토크지지체(40)는 증속기어박스(30)의 외부면과 나셀프레임(10)의 내부면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나셀프레임(10)의 내측에 부상되어 분리된 상태로 배치되는 증속기어박스(30)가 회전자(20)로부터 전달되는 회전토크에 의해 자체 회전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토크지지체(40)는 증속기어박스(30)의 양측면에 돌출되는 토크레버(41)와, 상기 토크레버(41)와 나셀프레임(10)의 사이에 조립되는 방진댐퍼(42)를 포함한다.
상기 토크레버(41)는 일단이 증속기어박스(30)의 외부면에 장착되고 타단이 나셀프레임(10)에 삽입 고정됨으로써, 상기 증속기어박스(30)의 자체 회전을 방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방진댐퍼(42)는 증속기어박스(30)를 통해 나셀프레임(10)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면서 동시에 나셀프레임(10)에서 상기 증속기어박스(30)로 전달되는 진동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방진댐퍼(42)는 증속기어박스(30)로부터 생성되는 진동이 나셀프레임(10)으로 전달되는 것을 저감시키도록 합성고무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합성고무 이외에 상기 방진댐퍼(42)는 스프링, 유압실린더, 공압실린더 등과 같이 방진능력을 갖는 다양한 구성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전기(50)는 축이음부(60)에 의해 출력축(32)과 연결되는 회전축(51)을 갖고, 상기 출력축(32)의 회전과 함께 상기 회전축(51)이 회전되면서 전기를 생산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축이음부(60)는 출력축(32)과 회전축(51)의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증속기어박스(30)의 출력축(32)과 발전기(50)의 회전축(51)을 편각이 허용된 상태로 연결하여 상기 회전축(51)에 상기 출력축(32)의 회전력을 안정적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축이음부(60)는 출력축(32)과 회전축(51)의 사이를 편각의 형성이 가능한 상태로 연결하는 플렉시블 커플링으로써, 상기 출력축(32)과 회전축(51)의 사이가 어긋나 편각을 갖더라도 상기 출력축(32)에 의해 상기 회전축(51)이 안정적 으로 회전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메인베어링의 요부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셀프레임(10)에 하나로 설치되는 메인베어링(11)은 복렬 테이퍼롤러베어링으로 구성되며, 외륜이 상기 나셀프레임(10)에 볼트로 조립되고 내륜은 중공드럼축(22)과 조립되어 장착된다.
상기 메인베어링(11)은 중공드럼축(22)을 통해 전달되는 회전자(20)의 기계적 하중을 나셀프레임(10)으로 전달하면서 동시에 상기 회전자(20)에서 발생하여 상기 중공드럼축(22)을 통해 전달되는 회전토크를 내부에 복렬로 설치되는 테이퍼롤러(111)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여 증속기어박스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메인베어링(11)은 나셀프레임(10)에 단일 즉 하나로 설치되어 회전자(20)로부터 전달되는 기계적 하중을 상기 나셀프레임(10)으로 전달함으로써, 상기 회전자(20)에서 발생되는 기계적 하중이 증속기어박스로 전달되는 것이 차단되면서 상기 증속기어박스는 상기 회전자(20)에서 발생되는 회전토크만을 전달받게 된다.
상기 중공드럼축(22)은 그 외주면 선단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지지턱(221)을 더 포함한다. 상기 지지턱(221)은 메인베어링(11)의 내륜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중공드럼축(22)은 상기 지지턱(221)에 의해 상기 메인베어링(11)의 내륜에 안정적이면서 손쉽게 조립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증속기어박스의 요부 측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속기어박스(30)는 선단에 노출되게 구비되는 입력 축(31)과, 후단에 노출되게 구비되는 출력축(32)과, 상기 입력축(31)의 타단에 결합되는 기어하우징(33)과, 상기 기어하우징(33)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유성기어(34)와, 상기 유성기어(34)에 맞물리는 내접기어(35)와, 상기 유성기어(34)에 일단이 맞물리고 타단이 상기 출력축(32)에 결합되는 기어축(36)을 포함한다.
상기 증속기어박스(30)는 입력축(31)이 회전되면서 기어하우징(33)이 회전되고, 상기 기어하우징(33)의 회전에 따라 상기 기어하우징(33)의 내측에 구비된 유성기어(34)가 내접기어(35)를 따라 회전되고, 상기 유성기어(34)의 회전에 따라 회전속도가 증대되면서 상기 유성기어(34)에 맞물린 기어축(36)과 상기 기어축(36)에 결합된 출력축(32)이 증속된 상태로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증속기어박스(30)는 유성기어(34)와 내접기어(35)에 의해 입력축(31)의 회전속도를 1단계로 안정적이며 정밀하게 증대시켜 출력축(32)으로 전달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요부 측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개략적인 평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풍력 발전기는 전면에 하나의 메인베어링(11)을 갖는 나셀프레임(10)과, 상기 메인베어링(11)에 장착되는 중공드럼축(22)을 후방으로 갖는 로터허브(21)를 포함하는 회전자(20)와, 상기 중공드럼축(22)에 결합되어 상기 나셀프레임(10)의 내측에 분리된 상태로 구비되는 증속기어박스(30)와, 상기 증속기어박스(30)의 자전을 방지하는 토크지지체(40)와, 상기 증속기어박스(30)의 후방에 연결되는 발전기(50)와, 상기 증속기어박스(30)와 상기 발전기(50)를 방진되 게 축상으로 연결하는 축이음부(60)를 포함한다.
상기 나셀프레임(10)은 타워(T)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단일 즉 하나의 메인베어링(11)을 통해 중공드럼축(22)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하면서 후방에 발전기(50)를 안정적으로 받쳐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메인베어링(11)은 나셀프레임(10)에 단일 즉 하나로 설치된 상태로 그 내륜에 장착되는 중공드럼축(22)을 통해 로터허브(21)를 포함하는 회전자(20)를 회전 가능한 상태로 직접 지지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중공드럼축(22)에 조립되는 증속기어박스(30)가 상기 나셀프레임(10)의 내측에서 분리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회전자(20)는 바람에 의해 블레이드가 회전되면서 로터허브(21)가 회전됨과 동시에 이에 장착된 중공드럼축(22)을 메인베어링(1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나셀프레임(10)의 전방에 지지된 상태로 회전시켜 상기 중공드럼축(22)에 조립되는 증속기어박스(30)에 풍력에 의해 발생된 회전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증속기어박스(30)는 중공드럼축(22)의 회전과 함께 이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입력축(31)의 회전속도를 증대시킨 후에 출력축(32)을 통해 외부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증속기어박스(30)는 중공드럼축(22)의 내측 중앙에 입력축(31)이 결합되고 후방의 출력축(32)이 축이음부(60)에 의해 발전기(50)의 회전축(51)과 연결됨으로써, 나셀프레임(10)의 내측에 부상되어 분리된 상태로 구비되고, 그에 따라 상기 증속기어박스(30)와 이에 연결된 부품이 나셀프레임(10) 을 통해 전달되는 외력에 영향을 받지 않게 되면서 동시에 상기 나셀프레임(10)에 설치된 부품 또한 상기 증속기어박스(30)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아울러, 상기 나셀프레임(10)의 내측에서 전체 부품의 분해 없이 증속기어박스(30)만을 손쉽게 조립 및 분해할 수 있게 됨으로써, 상기 증속기어박스(30) 자체의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부품의 교체 및 상기 증속기어박스(30) 자체의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토크지지체(40)는 나셀프레임(10)의 내측에 부상되어 분리된 상태로 배치되는 증속기어박스(30)의 자전을 방지하면서 상기 증속기어박스(30)에서 상기 나셀프레임(10)으로 또는 상기 나셀프레임(10)에서 상기 증속기어박스(30)로 전달되는 진동을 방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발전기(50)는 축이음부(60)에 의해 출력축(32)과 연결되는 회전축(51)을 갖고, 나셀프레임(11)의 상면에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출력축(32)의 회전과 함께 상기 회전축(51)이 회전되면서 전기를 생산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발전기(50)는 그 하면과 나셀프레임(10)의 상면 사이에 설치되는 발전기댐퍼(52)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발전기댐퍼(52)는 발전기(50)에서 나셀프레임(10)으로 또는 상기 나셀프레임(10)에서 상기 발전기(50)로 전달되는 진동을 방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발전기(50)는 영구자석 동기발전기인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코일이 권선된 비동기발전기처럼 여자(勵磁)를 시킬 필요가 없어 작동상의 편리성이 증진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축이음부(60)는 출력축(32)과 회전축(51)의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증속기어박스(30)의 출력축(32)과 발전기(50)의 회전축(51)을 편각이 허용된 상태로 연결하여 상기 출력축(32)의 회전력을 편각을 가진 상태에서도 상기 회전축(51)에 안정적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본 풍력 발전기는 단일로 설치된 메인베어링(11)을 사용하여 증속기어박스(30)가 나셀프레임(10)의 내측에 부상되어 분리된 상태로 배치됨으로써, 상기 증속기어박스(30)의 내구성 및 효율을 향상시키고, 고장의 발생 시에 그 해체 및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도 7은 도 5에 따른 증속기어박스의 요부 측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증속기어박스(30)는 선단에 노출되게 구비되는 입력축(31)과, 후단에 노출되게 구비되는 출력축(32)과, 상기 입력축(31)의 타단에 결합되는 기어하우징(33)과, 상기 기어하우징(33)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유성기어(34)와, 상기 유성기어(34)에 맞물리는 내접기어(35)와, 상기 유성기어(34)에 일단이 맞물리고 타단이 상기 출력축(32)에 결합되는 기어축(36)과, 상기 기어축(36)의 끝단에 결합되는 결합기어(37)와, 상기 결합기어(37)에 맞물려 증속되도록 상기 출력축(32)의 선단에 형성되는 증속기어(38)를 포함한다.
상기 증속기어박스(30)는 입력축(31)이 회전되면서 기어하우징(33)을 회전시키게 되고, 상기 기어하우징(33)의 회전에 따라 유성기어(34)가 내접기어(35)를 따라 회전되면서 1차적으로 증속된 상태로 기어축(36)을 회전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기어축(36)이 증속된 상태로 회전됨에 따라 이에 맞물린 결 합기어(37)가 회전되고, 상기 결합기어(37)의 회전에 따라 이에 맞물린 증속기어(38)가 2차적으로 증속된 상태로 회전되면서 출력축(32)을 회전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증속기어박스(30)는 유성기어(34)와 내접기어(35)에 의해 입력축(31)의 회전속도를 1단계로 증대시킨 후에 결합기어(37)와 증속기어(38)에 의해 회전속도를 2단계로 증대시킨 다음 출력축(32)으로 전달함으로써, 상기 입력축(31)의 회전력이 2단계로 증대된 후에 상기 출력축(32)으로 전달된다.
도 8은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요부 측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풍력 발전기는 전면에 하나의 메인베어링(11)을 갖는 나셀프레임(10)과, 상기 메인베어링(11)의 내륜에 장착되는 중공드럼축(22)을 후방으로 갖고 블레이드(B)가 조립되는 로터허브(21)를 포함하는 회전자(20)와, 상기 중공드럼축(22)에 조립되어 상기 나셀프레임(10)의 내측에 분리된 상태로 구비되는 증속기어박스(30)와, 상기 증속기어박스(30)의 자전을 방지하는 토크지지체(40)와, 상기 증속기어박스(30)와 함께 하나의 하우징 내에 조립되는 발전기(50)를 포함한다.
상기 증속기어박스(30)와 발전기(50)는 상기 증속기어박스(30)를 둘러싸는 하우징과 상기 발전기(50)를 둘러싸는 하우징이 하나의 하우징으로 형성됨으로써, 즉 하나의 하우징 내부에 상기 증속기어박스(30)와 발전기(50)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증속기어박스(30)와 발전기(50)의 사이의 편각의 해소를 위한 축이음부가 제거되면서 상기 증속기어박스(30)의 출력축(32)과 발전기(50)의 회전축(51)이 직접 연결된다. 이와 같이 하우징을 일체로 형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출력축(32)와 회전축(51)을 연결한 상태에서 상기 증속기어박스(30) 및 발전기(50)의 내부 부품을 상기 출력축(32) 및 회전축(51)에 모두 조립한 다음에 상기 증속기어박스(30)와 발전기(50)를 한꺼번에 둘러싸는 하나의 하우징을 외부에 조립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증속기어박스(30)의 출력축(32)과 발전기(50)의 회전축(51)이 볼트에 의해 직접 연결됨으로써, 상기 출력축(32)과 회전축(51) 사이에 편각의 발생이 미연에 방지되고, 그에 따라 상기 출력축(32)과 회전축(51) 사이의 편각의 발생으로 인한 상기 출력축(32)과 회전축(51)의 피로하중의 증가가 원활히 해소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콤팩트한 구조로 설치가 간편하면서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고 하나의 메인베어링을 사용하여 증속기어박스를 나셀프레임에서 분리시켜 회전자로부터 전달되는 기계적 하중을 상기 메인베어링을 통해 상기 나셀프레임으로 직접 전달시키고 회전토크만 상기 증속기어박스로 전달함으로써 상기 증속기어박스의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동력의 전달이 안정적이고 정밀하게 이루어져 증속기어박스의 내구성 및 효율이 증가되고, 발전기와 나셀프레임 사이에 방진이 이루어지며, 그에 따라 진동에 의한 부품의 손상이 방지되면서 소음이 저감되고 발전기의 수명이 연장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로 증속기어박스의 자체 회전 즉 자전이 원활히 방지되면서 진동이 저감되도록 함으로써, 증속기어박스의 자전 방지가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진동의 저감으로 작동상의 안정성이 향상되면서 소음의 발생이 현저히 감소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증속기어박스와 발전기 사이에서 회전력의 전달이 안정적이면서 정밀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회전력의 불안정한 전달로 인한 축부의 손상 및 파손이 미연에 방지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유성기어를 통해 증속 즉 회전수의 증대가 안정적이면서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과도한 증속으로 인한 치열의 마모 및 파손이 저감된 상태로 증속운전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증속기어박스와 발전기의 하우징을 일체로 구성하여 별도의 축이음부 없이 회전력의 전달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증속기어박스와 발전기의 설치 및 조립이 간편해지도록 함으로써, 편각으로 인한 피로하중의 증가가 미연에 방지되면서 원활히 해소되고 설치 및 조립 작업이 단시간에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는다.
삭제

Claims (11)

  1. 전면에 하나의 메인베어링(11)이 장착되는 나셀프레임(10)과, 상기 메인베어링(11)의 내륜에 장착되는 중공드럼축(22)이 후방에 구비되는 로터허브(21)를 갖는 회전자(20)와, 상기 중공드럼축(22)의 끝단에 장착되는 입력축(31)을 전방에 갖고 후방에 출력축(32)을 가지며 상기 나셀프레임(10)의 내측에 부상되어 분리된 상태로 상기 입력축(31)의 회전을 증대시켜서 상기 출력축(32)에 전달하는 증속기어박스(30)와, 상기 증속기어박스(30)의 자체 회전을 방지하도록 상기 증속기어박스(30)와 상기 나셀프레임(10)의 사이에 설치되는 토크지지체(40)와, 상기 출력축(32)에 연결되는 회전축(51)을 갖는 발전기(50)를 포함하는 풍력 발전기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50)는, 상기 나셀프레임(10)과 발전기(50)의 사이에 방진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발전기(50)의 하면과 상기 나셀프레임(10)의 상면 사이에 설치되는 발전기댐퍼(5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메인베어링을 갖는 풍력 발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속기어박스(30)는,
    상기 입력축(31)의 타단에 결합되는 기어하우징(33)과,
    상기 기어하우징(33)의 내측에 편심되면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유성기어(34)와,
    상기 기어하우징(33)의 회전에 따라 상기 유성기어(34)가 회전되도록 상기 유성기어(34)의 외측에 내측이 맞물리는 내접기어(35)와,
    상기 유성기어(34)의 내측에 일단이 맞물리고 타단이 상기 출력축(32)에 결 합되는 기어축(36)을,
    더 포함하여 상기 유성기어(34)에 의해 1단으로 증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메인베어링을 갖는 풍력 발전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증속기어박스(30)는,
    상기 기어축(36)의 끝단에 결합되는 결합기어(37)와,
    상기 결합기어(37)에 맞물려 증속되도록 상기 출력축(32)의 선단에 형성되는 증속기어(38)를,
    더 포함하여 상기 증속기어(38)에 의해 2단으로 증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메인베어링을 갖는 풍력 발전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크지지체(40)는,
    상기 증속기어박스(30)의 양측면에 돌출되어 상기 나셀프레임(10)에 고정되는 토크레버(41)와,
    상기 증속기어박스(30)의 진동이 상기 나셀프레임(10)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토크레버(41)에 조립되는 방진댐퍼(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메인베어링을 갖는 풍력 발전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방진댐퍼(42)는,
    상기 증속기어박스(30)로부터 생성되는 진동이 상기 나셀프레임(10)으로 전 달되는 것을 저감시키도록 합성고무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메인베어링을 갖는 풍력 발전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축(32)과 회전축(51)의 사이에 편각이 허용된 상태로 회전력의 전달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출력축(32)과 회전축(51)의 사이에 설치되는 축이음부(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메인베어링을 갖는 풍력 발전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속기어박스(30)와 상기 발전기(50)는,
    상기 나셀프레임(10)의 내측에 일체로 조립 및 설치되도록 상기 증속기어박스(30) 및 발전기(50)의 하우징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메인베어링을 갖는 풍력 발전기.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베어링(11)은,
    복열 테이퍼롤러베어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메인베어링을 갖는 풍력 발전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50)는,
    영구자석 동기발전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메인베어링을 갖는 풍력 발전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드럼축(22)은,
    상기 메인베어링(11)의 내륜을 지지하도록 상기 중공드럼축(22)의 외주면 선단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지지턱(221)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메인베어링을 갖는 풍력 발전기.
KR1020060034157A 2006-04-14 2006-04-14 단일 메인베어링을 갖는 풍력 발전기 Active KR1007525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4157A KR100752510B1 (ko) 2006-04-14 2006-04-14 단일 메인베어링을 갖는 풍력 발전기
US11/993,150 US20100219642A1 (en) 2006-04-14 2007-04-09 Wind turbine with single main bearing
JP2008518052A JP2008546948A (ja) 2006-04-14 2007-04-09 単一メインベアリングを有する風力発電機
EP07745880.0A EP2007983A4 (en) 2006-04-14 2007-04-09 WIND TURBINE WITH SIMPLE MAIN BEARING
PCT/KR2007/001717 WO2007119953A1 (en) 2006-04-14 2007-04-09 Wind turbine with single main bear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4157A KR100752510B1 (ko) 2006-04-14 2006-04-14 단일 메인베어링을 갖는 풍력 발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2510B1 true KR100752510B1 (ko) 2007-08-29

Family

ID=38609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4157A Active KR100752510B1 (ko) 2006-04-14 2006-04-14 단일 메인베어링을 갖는 풍력 발전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00219642A1 (ko)
EP (1) EP2007983A4 (ko)
JP (1) JP2008546948A (ko)
KR (1) KR100752510B1 (ko)
WO (1) WO2007119953A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9765B1 (ko) * 2008-06-30 2010-12-08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풍력 발전 장치
KR101084539B1 (ko) * 2008-09-29 2011-11-17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축 지지구조 및 감속장치
KR101138363B1 (ko) 2009-12-18 2012-04-2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풍력 발전기용 샤프트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풍력 발전기
KR20140097635A (ko) * 2013-01-28 2014-08-0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풍력 발전기용 동력 전달 장치
CN107208609A (zh) * 2015-01-22 2017-09-26 维斯塔斯风力系统有限公司 风轮机机舱
CN109253179A (zh) * 2018-09-21 2019-01-22 北京金风科创风电设备有限公司 刚性联轴器以及风力发电机组
CN111520295A (zh) * 2020-05-20 2020-08-11 许东滇 一种风力发电风车不易断裂的转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40787A1 (en) 2006-06-09 2007-12-13 Vestas Wind Systems A/S A wind turbine comprising a detuner
ES2432397T3 (es) * 2006-12-20 2013-12-03 Vestas Wind Systems A/S Turbina eólica que comprende un absorbedor de vibraciones torsionales
EP2063114A1 (en) * 2007-11-26 2009-05-27 Siemens Aktiengesellschaft Wind turbine
BE1017866A3 (nl) * 2007-12-06 2009-09-01 Hansen Transmissions Int Windturbineaandrijving.
DE102009014923C5 (de) * 2009-03-25 2015-07-23 Ab Skf Zweireihiges Kegelrollenlager, insbesondere zur Lagerung einer Rotorwelle einer Windkraftanlage
WO2011015216A1 (de) * 2009-08-05 2011-02-10 Powerwind Gmbh Windenergieanlage
EP2381097A1 (en) 2010-02-10 2011-10-26 Mitsubishi Heavy Industries, Ltd. Method for repairing bearing of wind power generating device
JP6049985B2 (ja) * 2010-06-11 2016-12-21 Thk株式会社 流体発電装置
DK201070321A (en) * 2010-07-08 2011-06-29 Vestas Wind Sys As A wind turbine comprising a detuner
KR20130041110A (ko) 2010-07-12 2013-04-24 알스톰 윈드, 에스.엘.유. 윈드 터빈
EP2593674B8 (en) * 2010-07-12 2016-10-19 ALSTOM Renewable Technologies Wind turbine
US20110140441A1 (en) * 2010-08-11 2011-06-16 General Electric Company Gearbox support system
JP5678391B2 (ja) 2010-11-05 2015-03-04 独立行政法人海上技術安全研究所 浮体式洋上風力発電施設
TWI489040B (zh) * 2011-03-11 2015-06-21 Ind Tech Res Inst 動力傳動裝置及具有此動力傳動裝置之風力機
AU2011331934A1 (en) * 2011-04-22 2012-11-08 Mitsubishi Heavy Industries Bridge & Steel Structures Engineering Co., Ltd. Vibration control apparatus, wind turbine generator and vibration control method
US20120025538A1 (en) * 2011-06-20 2012-02-02 Michael James Luneau Unitary support frame for use in wind turbines and methods for fabricating same
CN102269135B (zh) * 2011-06-30 2013-01-09 国电联合动力技术有限公司 一种兆瓦级风电增速箱自适应支撑装置
PL2745028T3 (pl) * 2011-08-18 2016-03-31 Esm Energie Und Schwingungstechnik Mitsch Gmbh Tłumik wibracji działający niezależnie od temperatury
EP2657519B1 (en) * 2012-04-26 2015-06-17 Siemens Aktiengesellschaft Wind turbine
EP2685098B1 (en) * 2012-07-10 2015-04-01 Siemens Aktiengesellschaft Base frame structure for a wind turbine
JP6345093B2 (ja) * 2014-11-28 2018-06-2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風力発電設備
JP2017082945A (ja) 2015-10-29 2017-05-18 Ntn株式会社 複列円すいころ軸受、軌道輪および複列円すいころ軸受の製造方法
CN108350944A (zh) 2015-10-29 2018-07-31 Ntn株式会社 生产轴承环的方法、双列圆锥滚子轴承以及生产双列圆锥滚子轴承的方法
JP2017082944A (ja) 2015-10-29 2017-05-18 Ntn株式会社 軌道輪の製造方法および複列円すいころ軸受の製造方法
WO2018141523A1 (en) * 2017-02-03 2018-08-09 Siemens Wind Power A/S Wind turbine with a tubular support structure and a bearing assembly
DE102017107553A1 (de) 2017-04-07 2018-10-11 Thyssenkrupp Ag Kegelrollenlager sowie Windkraftanlage
US10619721B2 (en) * 2017-07-21 2020-04-14 General Electric Company Drivetrain assembly for a wind turbine
EP3450743B1 (en) 2017-09-04 2020-02-19 Siemens Gamesa Renewable Energy A/S Wind turbine
DE102018002553A1 (de) * 2018-03-28 2019-10-02 Senvion Gmbh Maschinenträger für Windenergieanlagen
US11078806B2 (en) * 2018-12-12 2021-08-03 Raytheon Technologies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s for cleaning internal cavities of blad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51837A (ja) * 1995-11-30 1997-06-10 Mitsubishi Heavy Ind Ltd 風力発電装置の防振支持装置
JP2005105917A (ja) * 2003-09-30 2005-04-21 Mitsubishi Heavy Ind Ltd 風力発電用風車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39977A (en) * 1978-09-27 1980-12-16 Lisa Strutman Surge-accepting accumulator transmission for windmills and the like
JPS632691Y2 (ko) * 1979-12-29 1988-01-22
US4329117A (en) * 1980-04-22 1982-05-11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Wind turbine with drive train disturbance isolation
US4427897A (en) * 1982-01-18 1984-01-24 John Midyette, III Fixed pitch wind turbine system utilizing aerodynamic stall
GB9024500D0 (en) * 1990-11-10 1991-01-02 Peace Steven J A vertical axis wind turbine unit capable of being mounted on or to an existing chimney,tower or similar structure
JPH07279815A (ja) * 1994-04-06 1995-10-27 Koyo Seiko Co Ltd 風力発電装置
JP3679896B2 (ja) * 1997-05-30 2005-08-03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増速機の防振支持装置
JP2001275302A (ja) * 2000-03-24 2001-10-05 Mitsubishi Heavy Ind Ltd 回転機の防振装置
NO320790B1 (no) * 2000-10-19 2006-01-30 Scan Wind Group As Vindkraftverk
JP2002303254A (ja) * 2001-04-05 2002-10-18 Mitsubishi Heavy Ind Ltd 風力発電装置
DE10119428A1 (de) * 2001-04-20 2002-10-24 Enron Wind Gmbh Grundrahmen zur Anordnung der Welle des Rotors einer Windkraftanlage an deren Turm
JP4082054B2 (ja) * 2002-03-25 2008-04-30 株式会社明電舎 風力発電設備の最大電力点追従制御方法及びその装置
DE10242707B3 (de) * 2002-09-13 2004-04-15 Aerodyn Engineering Gmbh Windenergieanlge mit konzentrischer Getriebe/Generator-Anordnung
DE10351524A1 (de) * 2002-11-05 2004-08-12 Roland Weitkamp Rotorlagerung für eine Windenergieanlage
DE102004060770B3 (de) * 2004-12-17 2006-07-13 Nordex Energy Gmbh Windenergieanlage mit Halteeinrichtung für eine Rotorwelle
US7538446B2 (en) * 2007-06-21 2009-05-26 General Electric Company Gear integrated generator for wind turbine
US7816833B2 (en) * 2009-11-20 2010-10-19 Oscilla Power Inc. Method and device for energy genera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51837A (ja) * 1995-11-30 1997-06-10 Mitsubishi Heavy Ind Ltd 風力発電装置の防振支持装置
JP2005105917A (ja) * 2003-09-30 2005-04-21 Mitsubishi Heavy Ind Ltd 風力発電用風車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9765B1 (ko) * 2008-06-30 2010-12-08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풍력 발전 장치
KR101084539B1 (ko) * 2008-09-29 2011-11-17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축 지지구조 및 감속장치
TWI383100B (zh) * 2008-09-29 2013-01-21 Sumitomo Heavy Industries Shaft support structure and deceleration device
US8371186B2 (en) 2008-09-29 2013-02-12 Sumitomo Heavy Industries, Ltd. Supporting structure of shaft, and reduction gear
KR101138363B1 (ko) 2009-12-18 2012-04-2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풍력 발전기용 샤프트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풍력 발전기
KR20140097635A (ko) * 2013-01-28 2014-08-0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풍력 발전기용 동력 전달 장치
KR102034163B1 (ko) * 2013-01-28 2019-10-21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풍력 발전기용 동력 전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풍력 발전기
CN107208609A (zh) * 2015-01-22 2017-09-26 维斯塔斯风力系统有限公司 风轮机机舱
US10352306B2 (en) 2015-01-22 2019-07-16 Vestas Wind Systems A/S Wind turbine nacelle
CN109253179A (zh) * 2018-09-21 2019-01-22 北京金风科创风电设备有限公司 刚性联轴器以及风力发电机组
CN111520295A (zh) * 2020-05-20 2020-08-11 许东滇 一种风力发电风车不易断裂的转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8546948A (ja) 2008-12-25
EP2007983A1 (en) 2008-12-31
EP2007983A4 (en) 2016-12-14
US20100219642A1 (en) 2010-09-02
WO2007119953A1 (en) 2007-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2510B1 (ko) 단일 메인베어링을 갖는 풍력 발전기
US8198749B2 (en) Wind turbine generator
EP2565475B1 (en) Gear system for wind turbine
CA2531278C (en) Wind turbine generator
US10215260B2 (en) Integrative transmission chain of hybrid-drive wind turbine and a gearbox used by the transmission chain
US8147183B2 (en) Drivetrain for generator in wind turbine
US20110143880A1 (en) Drivetrain for generator in wind turbine
US8096917B2 (en) Planetary gearbox having multiple sun pinions
US8033951B2 (en) Gearbox for a wind turbine
US20170175717A1 (en) Wind turbine with a modular drive train
US20120091725A1 (en) Wind turbine generator
WO2010073743A1 (ja) 同軸反転式コアレス発電機
EP2604857B1 (en) A modular gear unit for a wind turbine
JP2009250213A (ja) 風力発電装置
CN112240266A (zh) 传动系装置
CN115750218A (zh) 一种用于兆瓦级的风力发电机组
WO2014003867A1 (en) Friction wheel drive train for a wind turbine
KR200392171Y1 (ko) 풍력발전기의 날개 직결형 이중 발전시스템
KR101505435B1 (ko) 풍력발전기
CN114738473B (zh) 用于风力发电机的驱动链和风力发电机
JP2006249982A (ja) 風力発電装置
KR20100080007A (ko) 회전 하우징을 갖는 풍력발전기용 기어박스
KR20120131332A (ko) 허브내에 회전증속부를 구비한 풍력발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4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2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80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8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8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8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8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81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2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82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8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81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5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91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2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82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92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0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82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3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813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820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810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728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