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8213B1 - 타워 지지 구조물 및 타워 지지 구조물 건조방법 - Google Patents

타워 지지 구조물 및 타워 지지 구조물 건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8213B1
KR101358213B1 KR1020120073407A KR20120073407A KR101358213B1 KR 101358213 B1 KR101358213 B1 KR 101358213B1 KR 1020120073407 A KR1020120073407 A KR 1020120073407A KR 20120073407 A KR20120073407 A KR 20120073407A KR 101358213 B1 KR101358213 B1 KR 1013582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tower
concrete structure
drum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3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5616A (ko
Inventor
이성환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73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8213B1/ko
Publication of KR20140005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56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82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82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34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07Production methods using a mol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 E02D2300/0034Steel; Iron in wire for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8Onshore wind turbines

Abstract

타워 지지 구조물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워 지지 구조물은 탑상 구조물의 타워를 지지하는 구조물로서, 상기 타워의 하단부에 형성된 플랜지가 놓이는 제1콘크리트 구조물; 상기 제1콘크리트 구조물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부를 구비한 제2콘크리트 구조물; 상기 제1콘크리트 구조물을 관통하여 상하방향으로 연장 배치된 제1와이어 튜브; 상기 제1와이어 튜브에 대응하여 상기 수용 공간부의 바닥면에 수평방향으로 연장 배치된 제2와이어 튜브; 상기 제2콘크리트 구조물에 고정 설치된 앵커 볼트에 연결되고 상기 제1콘크리트 구조물에 마련된 드럼 수용홈에 위치하는 와이어 드럼; 및 상기 제1와이어 튜브, 상기 와이어 드럼 및 상기 제2와이어 튜브를 경유하여 연장되되, 일단이 상기 플랜지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2콘크리트 구조물에 고정되는 와이어를 포함하고, 외부 하중에 의해 상기 타워와 상기 제2콘크리트 구조물 사이에 상대 변위가 발생할 때, 상기 와이어는 신축하며 상기 상대 변위를 감쇠한다.

Description

타워 지지 구조물 및 타워 지지 구조물 건조방법 {TOWER SUPPORT STRUCTUR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TRUCTURE}
본 발명은 타워 지지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탑상 구조물의 타워를 지지하는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탑상 구조물은 지상에 건설되는 타워 형태의 구조물로써, 풍력 발전기, 송전탑, 그리고 각종 타워 등을 포함한다. 일 예로 풍력 발전기는 타워 상단에 나셀이 설치되고, 나셀에 설치된 허브가 전방에서 불어오는 바람에 의해 블레이드와 함께 회전하면서 전기에너지를 생성한다. 타워는 지면에 설치된 타워 기초부에 세워지고, 타워의 플랜지가 타워 기초부에 체결된다.
타워 기초부는 통상적으로 철근으로 보강된 콘크리트 구조물로서, 타워에 작용하는 모든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지면에 단단히 고정된다. 때문에 지진 등 예측하지 못한 하중에 견딜 수 있는 내진 설계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지진 등 외부 하중에도 안정적으로 타워를 지지할 수 있는 타워 지지 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탑상 구조물의 타워를 지지하는 구조물로서, 상기 타워의 하단부에 형성된 플랜지가 놓이는 제1콘크리트 구조물; 상기 제1콘크리트 구조물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부를 구비한 제2콘크리트 구조물; 상기 제1콘크리트 구조물을 관통하여 상하방향으로 연장 배치된 제1와이어 튜브; 상기 제1와이어 튜브에 대응하여 상기 수용 공간부의 바닥면에 수평방향으로 연장 배치된 제2와이어 튜브; 상기 제2콘크리트 구조물에 고정 설치된 앵커 볼트에 연결되고 상기 제1콘크리트 구조에 마련된 드럼 수용홈에 위치하는 와이어 드럼; 및 상기 제1와이어 튜브, 상기 와이어 드럼 및 상기 제2와이어 튜브를 경유하여 연장되되, 일단이 상기 플랜지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2콘크리트 구조물에 고정되는 와이어를 포함하고, 외부 하중에 의해 상기 타워와 상기 제2콘크리트 구조물 사이에 상대 변위가 발생할 때, 상기 와이어는 신축하며 상기 상대 변위를 감쇠하는, 타워 지지 구조물이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와이어는 복수이고, 상기 복수의 와이어는 상기 타워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와이어 튜브, 상기 제2와이어 튜브 및 상기 와이어 드럼은 각각상기 복수의 와이어에 대응하여 복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와이어 튜브는, 상측에서 볼 때 상기 타워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타워를 중심으로 링 형상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내측 튜브; 및 상측에서 볼 때 상기 타워의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타워를 중심으로 링 형상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외측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각 내측 튜브에 삽입되는 제1와이어; 및 상기 각 외측 튜브에 삽입되는 제2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 드럼은, 상기 제1와이어의 연장 방향을 변경하는 제1와이어 드럼; 및 상기 제2와이어의 연장 방향을 변경하는 제2와이어 드럼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와이어의 길이는 상기 제2와이어의 길이와 동일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콘크리트 구조물에는 상기 제1콘크리트 구조물의 상면과 상기 드럼 수용홈을 연결하는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콘크리트 구조물의 외측면은 상기 수용 공간부의 내측면과 소정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콘크리트 구조물의 외측면과 상기 수용 공간의 내측면의 사이 공간에는 완충재가 채워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기초 프레임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타워 지지구조물에 포함된 상기 제1와이어 튜브, 상기 제2와이어 튜브, 상기 와이어 드럼 및 상기 와이어를 상기 기초 프레임에 고정 설치하는 단계; 상기 타워 지지 구조물에 포함된 상기 제2콘크리트 구조물에 대응하는 거푸집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2콘크리트 구조물에 대응하는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제2콘크리트 구조물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항에 따른 타워 지지 구조물에 포함된 상기 제1콘크리트 구조물에 대응하는 거푸집을 상기 수용 공간부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콘크리트 구조물에 대응하는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제1콘크리트 구조물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타워 지지 구조물 건조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하중에 의해 상기 타워와 상기 제2콘크리트 구조물 사이에 상대 변위가 발생할 때, 와이어의 신축으로 타워와 제2콘크리트 구조물 사이의 상대변위가 감쇠됨으로써, 지진 등 외부 하중에도 타워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워 지지 구조물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타워 지지 구조물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타워 지지 구조물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워 지지 구조물 건조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타워 지지 구조물은 탑상 구조물의 타워를 지지한다. 탑상 구조물은 지상에 건설되는 타워 형태의 구조물로써, 풍력 발전기, 송전탑, 그리고 각종 타워 등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풍력발전기를 예를 들어 설명하나, 탑상 구조물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워 지지 구조물을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타워 지지 구조물(100)은 풍력발전기(1)에 적용된다.
풍력발전기(1)는 산의 능선, 해상 또는 건물의 옥상과 같이 기류의 간섭이 최소화될 수 있는 장소에 설치될 수 있다. 풍력 발전기(1)는 블레이드(10), 허브(20), 나셀(30), 그리고 타워(40)를 포함한다.
블레이드(10)는 익형(翼型) 단면을 가지며, 전방으로부터 불어오는 바람에 대해 일정한 받음각(angle of attack)을 갖도록 허브(20)에 결합된다. 허브(20)는 회전 가능하게 나셀(30)과 연결된다. 풍력 발전기(1)의 전방에서 불어오는 바람은 블레이드(10)의 표면을 스쳐 지나면서 양력을 발생시킨다. 발생된 양력은 블레이드(10)와 허브(20)를 회전시키고, 회전력은 나셀(30)에 전달되어 전기 에너지로 변환된다. 타워(40)는 나셀(30)을 지지한다.
도 2는 도 1의 타워 지지 구조물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는 도 2의 타워 지지 구조물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참고로, 도 2에서 내측 튜브(131) 및 외측 튜브(132) 그리고 제1와이어(171)와 제2와이어(172) 등은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호 동일한 단면에 위치하지 않으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동일한 단면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타워 지지 구조물(100)은 지면(g)(도 1 참조)에 고정 설치되며, 타워(40)를 지지한다. 타워(40)의 하단에는 플랜지(41)가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41)는 타워(40)를 타워 지지 구조물(100)에 고정시키는 연결 수단으로 제공된다.
타워 지지 구조물(100)은 제1콘크리트 구조물(110), 제2콘크리트 구조물(120), 제1와이어 튜브(130), 제2와이어 튜브(140), 와이어 드럼(150) 및 와이어(170)를 포함한다.
제1콘크리트 구조물(110)은 타워(40)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타워(40)의 하단부에 형성된 플랜지(41)가 놓인다.
제1콘크리트 구조물(110)은 단면이 원형인 콘크리트 블록으로 제공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1콘크리트 구조물(110)은 다각형의 블록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1콘크리트 구조물(110)에는 드럼 수용홈(111)과 통로(112)가 형성될 수 있다. 드럼 수용홈(111)과 통로(112)는 제1콘크리트 구조물(110)의 중심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드럼 수용홈(111)은 제1콘크리트 구조물(110)의 하단부에 형성되고, 통로(112)는 제1콘크리트 구조물(110)의 상면으로부터 드럼 수용홈(111)으로 연장될 수 있다.
통로(112)는 타워(40)보다 작은 반경을 가지고, 드럼 수용홈(111)은 통로(112)보다 큰 반경을 가질 수 있다. 통로(112)와 드럼 수용홈(111)은 서로 조합되어 'ㅗ'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드럼 수용홈(111)은 후술하는 와이어 드럼(150)이 위치하는 공간을 제공하고, 통로(112)는 유지보수를 위하여 작업자가 드럼 수용홈(111)으로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제2콘크리트 구조물(120)은 지면(g)에 설치된다. 제2콘크리트 구조물(120)에는 제1콘크리트 구조물(110)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부(121)가 형성된다.
수용 공간부(121)는 제2콘크리트 구조물(120)의 상면으로부터 소정 깊이로 형성된다. 수용 공간부(121)의 내측면은 제1콘크리트 구조물(110)의 외측면보다 큰 반경을 가질 수 있다.
수용 공간부(121)의 내측면과 제1콘크리트 구조물(110)의 외측면은 소정 간격을 유지한다. 수용 공간부(121)의 내측면과 제1콘크리트 구조물(110)의 외측면 사이 공간에는 완충재(180)가 채워질 수 있다. 완충재(180)는, 지진 및 태풍 등과 같은 외부 하중에 의해 제1콘크리트 구조물(110)과 제2콘크리트 구조물(120) 사이에 상대 변위가 발생할 경우, 제1콘크리트 구조물(110)과 제2콘크리트 구조물(120)이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며, 충격력을 감소시킨다.
완충재(180)는 제1콘크리트 구조물(110)과 제2콘크리트 구조물(120)의 수평 방향 변위차이를 완충한다. 완충재(180)는 모래나 흙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와이어 튜브(130)는 제1콘크리트 구조물(110)을 관통하여 상하방향으로 연장 배치될 수 있다. 제1와이어 튜브(130)는 후술하는 와이어(170)가 제1콘크리트 구조물(110)에 방해 받지 않고 제1콘크리트 구조물(110)을 통과하여 연장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한다.
제1와이어 튜브(130)는 제1콘크리트 구조물(110)의 상면에서 드럼 수용홈(111)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1와이어 튜브(130)의 내부 공간은 드럼 수용홈(111)과 연결된다.
제1와이어 튜브(130)는 복수일 수 있다. 이때, 제1와이어 튜브(130)는 복수의 내측 튜브(131)와 복수의 외측 튜브(132)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내측 튜브(131) 및 복수의 외측 튜브(132)들은 각각 타워(40)를 중심으로 링 형상으로 배열된다.
복수의 외측 튜브(132)가 형성하는 링 형상의 반경은 복수의 내측 튜브(131)가 형성하는 링 형상의 반경보다 크다.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측에서 바라볼 때, 내측 튜브(131)는 타워(40)의 내측에 위치하고, 외측 튜브(132)는 타워(40)의 외측에 위치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측에서 바라볼 때, 내측 튜브(131) 및 외측 튜브(132)는 상호 타워(40)의 중심에 대해 엇갈려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후술하는 와이어(170)가 타워(40)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분포할 때 공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제2와이어 튜브(140)는 수용 공간부(121)의 바닥면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 배치될 수 있다. 제2와이어 튜브(140)는 후술하는 와이어(170)가 제1콘크리트 구조물(110)에 방해 받지 않고 제1콘크리트 구조물(120)을 통과하여 연장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한다.
제2와이어 튜브(140)는 수용 공간부(121)의 내측면에서 드럼 수용홈(111)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2와이어 튜브(140)의 내부 공간은 드럼 수용홈(111)과 연결된다.
와이어 드럼(150)은 드럼 수용홈(111)에 위치한다. 와이어 드럼(150)은 제2콘크리트 구조물(120)에 고정 설치된 앵커 볼트(160)에 연결되어 지지될 수 있다.
이때, 와이어 드럼(150)은 앵커 볼트(16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는 와이어 드럼(150)은 앵커 볼트(160)에 고정 연결될 수 있다.
와이어 드럼(150)은 제1와이어 튜브(130)를 통과한 와이어(170)가 제2와이어 튜브(140)를 통과하도록 와이어(170)의 연장 방향을 변경한다.
보다 상세히, 와이어 드럼(150)은 제1와이어 튜브(130)에 상하방향으로 제공된 와이어(170)가 제2와이어 튜브(140)에 수평방향으로 제공되도록 와이어(170)의 제공 방향을 변경한다.
와이어 드럼(150)은 제1와이어 드럼(151)과 제2와이어 드럼(152)을 포함한다. 제1와이어 드럼(151)은 내측 튜브(131)의 하부에 위치하며, 와이어(170) 중 내측 튜브(131)를 통과한 제1와이어(171)의 제공 방향을 변경한다. 제2와이어 드럼(152)은 외측 튜브(132)의 하부에 위치하며, 와이어(170) 중 외측 튜브(132)를 통과한 제2와이어(172)의 제공 방향을 변경한다.
와이어(170)는 타워(40)를 제 2 콘크리트구조물(120)에 대해 지지한다. 와이어(170)는 제1와이어 튜브(130), 와이어 드럼(150) 및 제2와이어 튜브(140)를 경유하여 연장된다.
와이어(170)는 일단이 제1스토퍼(175)에 의해 타워(40)의 플랜지(41)에 고정되고, 타단이 제2콘크리트 구조물(120) 내부에 제공된 제2스토퍼(176)에 고정될 수 있다.
와이어(170)는 탄성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와이어(170)는 스틸(steel)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와이어(170)는 지진과 같은 외부 하중에 의해 발생되는 타워(40)와 제2콘크리트 구조물(120) 사이의 상대 변위를 감쇠한다. 타워(40)와 제2콘크리트 구조물(120) 사이에 상대 변위가 발생하면 와이어(170)는 신축하게 되고, 와이어(170)의 신축 과정이 반복되면서 타워(40)와 제2콘크리트 구조물(120) 사이의 상대 변위가 감쇠한다. 이때, 와이어(170)는 타워(40)의 진동을 감쇠시키는 댐퍼의 역할을 수행한다.
와이어(170)의 영역 중 제1와이어 튜브(130) 내에서 상하방향으로 제공되는 제1영역은, 외부 하중의 성분 중 상하방향으로 제공되는 하중을 감쇠한다. 그리고, 와이어(170)의 영역 중 제2와이어 튜브(140) 내에서 수평방향으로 제공되는 제2영역은, 외부 하중의 성분 중 수평방향으로 제공되는 하중을 감쇠한다.
이로 인하여, 제2콘크리트 구조물(120)에 대한 타워(40)의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 상대 변위량이 감소될 수 있다.
와이어(170)는 복수일 수 있다. 복수의 와이어(170)는 타워(40)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외부 하중이 전달되는 방향에 관계없이 하중을 감쇠할 수 있다. 이때, 와이어(170)의 개수에 대응하여 제1와이어 튜브(130), 제2와이어 튜브(140) 및 와이어 드럼(150)의 개수가 결정될 수 있다.
와이어(170)는 제1와이어(171)와 제2와이어(172)를 포함한다. 제1와이어(171)는 내측 튜브(131)와 제1와이어 드럼(151)을 거쳐 제2와이어 튜브(140)로 제공되며, 제2와이어(172)는 외측 튜브(132)와 제2와이어 드럼(152)을 거쳐 제2와이어 튜브(140)로 제공된다.
제1와이어(171) 길이는 제2와이어(172) 길이와 동일할 수 있다. 이 경우, 외부 하중에 의해 신축되는 제1와이어(171)들과 제2와이어(172)들의 변형량이 균일하며, 제1와이어(171)들과 제2와이어(172)들을 통해 타워(40)로 전달되는 외부 하중의 감쇠 정도가 균일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1와이어(171) 길이와 제2와이어(172) 길이는 서로 상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상술한 타워 지지 구조물(100)을 건조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워 지지 구조물의 건조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타워 지지 구조물 건조 방법은 먼저, 풍력발전기가 설치될 장소의 지면(g)에 기초 프레임(B)을 설치한다. 이 경우, 기초 프레임(B)은 지면(g)에 마련된 오목한 베이스부에 배치될 수 있다.
기초 프레임(B)은 철근으로 이루어진 격자 구조물일 수 있다. 기초 프레임(B)에는 제1와이어 튜브(130), 제2와이어 튜브(140), 와이어 드럼(150), 앵커 볼트(160), 그리고 와이어(170) 등이 고정 설치된다.
제1와이어 튜브(130) 등이 기초 프레임(B)에 고정 설치되면, 도 5와 같이 제2콘크리트 구조물(120, 도 2 참조)에 대응하는 거푸집(220)을 제공한다. 거푸집(220)을 제공하는 과정에서 기초 프레임(B)(도 4 참조)은 도 5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거되지 않는다.
거푸집(220)에는 콘크리트가 타설되고, 도 6과 같은 제2콘크리트 구조물(120)이 형성된다.
제2콘크리트 구조물(120)이 형성되면, 도 7과 같이 제1콘크리트 구조물(110, 도 2 참조)에 대응하는 거푸집(210)을 제공한다. 거푸집(210)은 제2콘크리트 구조물(120)의 수용 공간부(121)에 제공될 수 있다.
거푸집(210)에는 콘크리트가 타설되고, 도 8과 같은 제1콘크리트 구조물(110)이 형성된다.
제1콘크리트 구조물(110)과 제2콘크리트 구조물(120) 사이는 소정 간격을 유지하며, 완충재(180)가 채워질 수 있다.
상술한 과정에 의하여 타워 지지 구조물(100)이 건조되면, 타워(40)가 제1콘크리트 구조물(110)에 설치된다. 타워(40)는 도 9와 같이 제1콘크리트 구조물(110)에 놓인다.
타워(40)의 플랜지(41)를 관통한 와이어(170)의 일단에는 제1스토퍼(175)가 연결된다. 이때, 와이어(170)는 제1스토퍼(175)에 의해 플랜지(41)에 고정될 수 있고, 타워(40)는 제2콘크리트 구조물(12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위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타워 지지 구조물의 건조 방법은 타워(40)가 실제 설치될 장소에서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 따른 타워 지지 구조물의 건조 방법은 타워(40)가 설치될 위치가 아닌 다른 장소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다른 장소에서 건조된 타워 지지 구조물(100)은 타워(40)가 실제 설치될 장소로 이동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풍력 발전기 40: 타워
41: 플랜지 100: 타워 지지 구조물
110: 제1콘크리트 구조물 120: 제2콘크리트 구조물
130: 제1와이어 튜브 140: 제2와이어 튜브
150: 와이어 드럼 160: 앵커 볼트
170: 와이어 175: 제1스토퍼
176: 제2스토퍼 180: 완충재
210, 220: 거푸집

Claims (8)

  1. 탑상 구조물의 타워를 지지하는 구조물로서,
    상기 타워의 하단부에 형성된 플랜지가 놓이는 제1콘크리트 구조물;
    상기 제1콘크리트 구조물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부를 구비한 제2콘크리트 구조물;
    상기 제1콘크리트 구조물을 관통하여 상하방향으로 연장 배치된 제1와이어 튜브;
    상기 제1와이어 튜브에 대응하여 상기 수용 공간부의 바닥면에 수평방향으로 연장 배치된 제2와이어 튜브;
    상기 제2콘크리트 구조물에 고정 설치된 앵커 볼트에 연결되고 상기 제1콘크리트 구조물에 마련된 드럼 수용홈에 위치하는 와이어 드럼; 및
    상기 제1와이어 튜브, 상기 와이어 드럼 및 상기 제2와이어 튜브를 경유하여 연장되되, 일단이 상기 플랜지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2콘크리트 구조물에 고정되는 와이어를 포함하고,
    외부 하중에 의해 상기 타워와 상기 제2콘크리트 구조물 사이에 상대 변위가 발생할 때, 상기 와이어는 신축하며 상기 상대 변위를 감쇠하는, 타워 지지 구조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복수이고,
    상기 복수의 와이어는 상기 타워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와이어 튜브, 상기 제2와이어 튜브 및 상기 와이어 드럼은 각각 상기 복수의 와이어에 대응하여 복수로 이루어지는, 타워 지지 구조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와이어 튜브는,
    상측에서 볼 때 상기 타워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타워를 중심으로 링 형상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내측 튜브; 및
    상측에서 볼 때 상기 타워의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타워를 중심으로 링 형상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외측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각 내측 튜브에 삽입되는 제1와이어; 및
    상기 각 외측 튜브에 삽입되는 제2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 드럼은,
    상기 제1와이어의 연장 방향을 변경하는 제1와이어 드럼; 및
    상기 제2와이어의 연장 방향을 변경하는 제2와이어 드럼을 포함하는, 타워 지지 구조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와이어의 길이는 상기 제2와이어의 길이와 동일한, 타워 지지 구조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콘크리트 구조물에는 상기 제1콘크리트 구조물의 상면과 상기 드럼 수용홈을 연결하는 통로가 형성되는, 타워 지지 구조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콘크리트 구조물의 외측면은 상기 수용 공간부의 내측면과 소정 간격을 유지하는, 타워 지지 구조물.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콘크리트 구조물의 외측면과 상기 수용 공간의 내측면의 사이 공간에는 완충재가 채워지는, 타워 지지 구조물.
  8. 기초 프레임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항에 따른 타워 지지 구조물에 포함된 상기 제1와이어 튜브, 상기 제2와이어 튜브, 상기 와이어 드럼 및 상기 와이어를 상기 기초 프레임에 고정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제1항에 따른 타워 지지 구조물에 포함된 상기 제2콘크리트 구조물에 대응하는 거푸집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2콘크리트 구조물에 대응하는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제2콘크리트 구조물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항에 따른 타워 지지 구조물에 포함된 상기 제1콘크리트 구조물에 대응하는 거푸집을 상기 수용 공간부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콘크리트 구조물에 대응하는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제1콘크리트 구조물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타워 지지 구조물 건조방법.
KR1020120073407A 2012-07-05 2012-07-05 타워 지지 구조물 및 타워 지지 구조물 건조방법 KR1013582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3407A KR101358213B1 (ko) 2012-07-05 2012-07-05 타워 지지 구조물 및 타워 지지 구조물 건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3407A KR101358213B1 (ko) 2012-07-05 2012-07-05 타워 지지 구조물 및 타워 지지 구조물 건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616A KR20140005616A (ko) 2014-01-15
KR101358213B1 true KR101358213B1 (ko) 2014-02-05

Family

ID=50140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3407A KR101358213B1 (ko) 2012-07-05 2012-07-05 타워 지지 구조물 및 타워 지지 구조물 건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82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3968A (ko) * 2015-12-21 2017-06-29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직도 오차 보정이 가능한 콘크리트 기초-타워 연결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84096A (ja) * 1996-12-26 1998-07-14 Obayashi Road Corp 建造物の耐震構造
KR20060130755A (ko) * 2004-04-02 2006-12-19 알로이즈 우벤 타워를 건설하는 방법
JP2008111406A (ja) 2006-10-31 2008-05-15 Shimizu Corp 洋上風力発電施設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20090118711A (ko) * 2008-05-14 2009-11-18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프리캐스트 교각과 기초의 연결구조 및 연결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84096A (ja) * 1996-12-26 1998-07-14 Obayashi Road Corp 建造物の耐震構造
KR20060130755A (ko) * 2004-04-02 2006-12-19 알로이즈 우벤 타워를 건설하는 방법
JP2008111406A (ja) 2006-10-31 2008-05-15 Shimizu Corp 洋上風力発電施設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20090118711A (ko) * 2008-05-14 2009-11-18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프리캐스트 교각과 기초의 연결구조 및 연결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3968A (ko) * 2015-12-21 2017-06-29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직도 오차 보정이 가능한 콘크리트 기초-타워 연결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616A (ko) 2014-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63405B1 (en) Method of damping wind turbine tower oscillations
KR101248737B1 (ko) 해상 풍력 발전 장치
CN107429670B (zh) 用于陆基和近海应用的减小轮廓的风力塔架系统
KR20170116091A (ko) 풍력 발전 설비 기초부 및 풍력 발전 설비
EP3394427A1 (en) Methods for mounting or dismounting a wind turbine component of a multirotor wind turbine
KR20120034723A (ko) 가변적인 수심을 위한 윈드 터빈 기초
CN102644337A (zh) 一种减轻高耸塔设备风诱导振动的装置及其方法
WO2021106560A1 (ja) 風力発電装置の支持構造及び風力発電装置
PT104495A (pt) Torre treliçada
AU2014334164A1 (en) Support device and methods for improving and constructing a support device
US11293406B2 (en) Arrangement of tower structures braced by tendons
CN107849864B (zh) 风力发电设备的塔
KR101358213B1 (ko) 타워 지지 구조물 및 타워 지지 구조물 건조방법
US9151437B2 (en) Stand structure
JP2003074213A (ja) 新設鉄塔の構築方法及び既存鉄塔の改修方法
KR20100109458A (ko) 탑상 구조물의 기초 구조
CN210440158U (zh) 风电机组锚固基础柔性塔架
JP7326016B2 (ja) 塔状構造体の基礎構造
KR101516166B1 (ko) 타워 구조물 지지구조
WO2021121500A1 (en) Mitigation of nacelle drop by tension wire
JP3840651B2 (ja) 超高塔状タワーの制振構造
US11549230B2 (en) Semi-finished part for a foundation of a tower construction, semi-finished part foundation segment, foundation, method for producing a semi-finished part and method for producing a foundation
JP3893554B2 (ja) 超高塔状タワーの制振構造
JP2007270683A (ja) 風力発電装置
JP5090131B2 (ja) 鋼管を用いた2つのhpシェルからなる超高層タワ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