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5376A - 일회용 착용 물품 - Google Patents

일회용 착용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5376A
KR20130025376A KR1020127025239A KR20127025239A KR20130025376A KR 20130025376 A KR20130025376 A KR 20130025376A KR 1020127025239 A KR1020127025239 A KR 1020127025239A KR 20127025239 A KR20127025239 A KR 20127025239A KR 20130025376 A KR20130025376 A KR 201300253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sorber
central
absorbent
unit weight
absorbent 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5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3621B1 (ko
Inventor
다카야 아라야마
히로토모 무카이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25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53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3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36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1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having preferential bending zones, e.g. fold lines or groo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1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being located at the crotch reg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4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4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13/4940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t the crotch region
    • A61F13/49413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t the crotch region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n upstanding barrier
    • A61F13/4942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t the crotch region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n upstanding barrier the barrier having an absorbent medi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e.g. core absorbent layers being of different siz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2013/53048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superabsorbent materials, i.e. highly absorbent polymer gel materials
    • A61F2013/530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superabsorbent materials, i.e. highly absorbent polymer gel materials being only in particular parts or specially arrang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2013/53048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superabsorbent materials, i.e. highly absorbent polymer gel materials
    • A61F2013/530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superabsorbent materials, i.e. highly absorbent polymer gel materials characterized by the quantity or ratio of superabsorbent materi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일회용 기저귀(1)는 흡수체(40)가 내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굴곡될 수 있도록 길이 방향(L)을 따라 형성된 중앙 슬릿(45), 및 흡수체(40)가 외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굴곡될 수 있도록 길이 방향(L)을 따라 형성된 한 쌍의 사이드 슬릿(46L, 46R)을 갖는다. 중앙 부분(CT) 및 측단 부분(SL, SR)에서의 흡수성 폴리머의 평균 단위 중량은 중간 부분(ML, MR)에서의 흡수성 폴리머의 평균 단위 중량보다 작다.

Description

일회용 착용 물품{DISPOSABLE WEARING ARTICLE}
본 개시는 흡수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흡수체가 구비되고 흡수체를 굴곡시키는 굴곡부가 흡수체에 형성된 일회용 착용 물품에 관한 것이다.
팬티형 기저귀와 같은 일회용 착용 물품에는, 착용자의 장착감 향상 또는 배설물의 누출 방지를 위해 다양한 고안이 이루어져 있다. 예컨대, 착용자의 배설물을 흡수하기 위해 흡수체에 흡수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3개의 굴곡부가 형성된 팬티형 기저귀가 공지되어 있다(예컨대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6-346439호).
구체적으로는, 이 팬티형 기저귀에서는, 흡수체에 3개의 슬릿이 형성되고, 슬릿의 주변 부분이 각각 굴곡된다. 중앙 슬릿 주변 부분은 착용자의 배설구를 향해 볼록하게 형성된다. 또한, 측방 슬릿 주변 부분은 중앙 슬릿 주변 부분의 반대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된다. 즉, 흡수체의 폭 방향을 따른 흡수체의 단면 형상이 W자형으로 변형된다.
따라서, 중앙 슬릿 주변 부분에 의해 형성된 흡수체의 볼록형 부분은 착용자의 배설구과 밀착하기 쉽다. 또한, 외측의 2개의 슬릿 주변 부분에 의해 형성된 오목부에 배설물이 들어가기 쉬워서, 착용자의 피부와 배설물이 직접 접촉하는 것을 억제한다.
발명의 개요
그러나, 상기 기재한 종래의 팬티형 기저귀의 흡수력을 향상시키려는 시도에서 흡수체에 포함되는 흡수성(water absorbent) 폴리머의 양을 증가시키면, 하기 문제가 발생한다. 즉, 흡수성 폴리머의 단위 중량이 큰 흡수체가 배설물을 흡수하면, 흡수체가 크게 팽창하여 두꺼워져서, 예컨대 서 있는 자세를 취할 때 다리를 오므린 경우에 착용자가 위화감을 느끼기 쉽다.
또한, 흡수체는 착용자의 고간부에 굴곡된 상태로 위치하므로, 흡수체가 팽창하면, 흡수체가 충분히 굴곡될 수 없어서, 흡수체가 착용자의 배설구에 거의 밀착되지 않는다. 따라서, 소변 또는 물변 등이 착용자의 피부를 따라 외부로 새기 쉽다는 문제를 여전히 해결하지 못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흡수력을 더욱 향상시키면서 배설물의 흡수 후에도 착용자의 위화감 또는 배설물의 누출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는 팬티형 기저귀와 같은 일회용 착용 물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착용 물품은 제1 측면에서 길이 방향;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폭 방향; 착용자를 향하는 내측 방향; 및 내측 방향과 반대측을 향하는 외측 방향을 가지며, 흡수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흡수체를 포함한다. 상기 흡수체는 착용자의 고간부에 닿는 고간부 영역에, 폭 방향에서 흡수체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중앙 부분, 폭 방향에서 흡수체의 측단을 포함하는 한 쌍의 측단 부분, 및 중앙 부분과 측단 부분 사이에 위치하는 한 쌍의 중간 부분을 가지며; 중앙 부분에는, 흡수체가 내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굴곡될 수 있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중앙 굴곡부가 형성되며; 중간 부분에는, 흡수체가 외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굴곡될 수 있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한 쌍의 사이드 굴곡부가 형성되고; 중앙 부분 및 측단 부분에서의 흡수성 폴리머의 평균 단위 중량은 중간 부분에서의 흡수성 폴리머의 평균 단위 중량보다 작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흡수력을 더욱 향상시키면서 배설물의 흡수 후에도 착용자의 위화감 또는 배설물의 누출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는 흡수체를 특징으로 하는 팬티형 기저귀와 같은 일회용 착용 물품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기저귀(1)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2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기저귀(1)의 전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A-A 선을 따라 취한 기저귀(1)의 폭 방향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B-B 선을 따라 취한 기저귀(1)의 길이 방향 단면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흡수체(40)의 평면도이다.
도 6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흡수체(40)의 부분 확대 평면도이다.
도 7(a)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흡수체(40)가 배설물을 흡수하지 않은 상태의 일회용 기저귀(1)의 착용 상태를 개략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도 7(b)는 흡수체(40)가 배설물을 흡수한 상태의 일회용 기저귀(1)의 착용 상태를 개략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흡수체(40)가 배설물을 흡수한 일회용 기저귀(1)의 착용 상태를 개략 도시하는 단면도(다리를 오므렸을 때)이다.
도 9는 제1 실시 형태의 변경예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1)의 부분 확대 평면도이다.
도 10은 제1 실시 형태의 변경예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1)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제1 실시 형태의 변경예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1)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흡수체(40Z)의 간단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1)의 단면도이다.
실시 형태의 설명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흡수체를 포함하는 일회용 착용 물품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하기 도면의 기재에 있어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부재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를 붙인다. 그러나, 도면은 개략적인 것이며, 각각의 치수의 비율 등은 실제의 것과는 상이할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구체적인 치수 등은 하기 설명을 고려하여 결정해야 한다. 또한, 상이한 치수 상호 관계 또는 비율을 갖는 부분도 도면에 포함될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일회용 착용 물품은 중앙 굴곡부 및 한 쌍의 사이드 굴곡부를 구비하며, 중앙 굴곡부의 위치를 포함하는 영역인 중앙 부분, 및 흡수체의 측단을 포함하는 영역인 측단 부분에서의 흡수성 폴리머의 평균 단위 중량은, 사이드 굴곡부를 포함하는 중간 부분에서의 흡수성 폴리머의 평균 단위 중량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1) 일회용 착용 물품의 전체 개략 구성
도 1은 일회용 착용 물품을 구성하는 일회용 기저귀(1)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회용 기저귀(1)는 팬티형 일회용 기저귀이다. 일회용 기저귀(1)에는 일회용 기저귀(1)의 외장 부분을 구성하는 외장 탑시트(70), 앞측 외장 백시트(80F) 및 뒤측 외장 백시트(80R)가 제공된다. 외장 탑시트(70)의 내측(피부 접촉면 측)에는 면 유사 펄프 및 고분자 흡수성 폴리머(이하, 흡수성 폴리머로 지칭함)로 구성된 흡수체(40)가 제공된다.
흡수체(40)에는 복수의 굴곡부가 형성된다. 도시된 구성에서는, 이들 굴곡부는 슬릿을 포함하지만,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굴곡부는 다른 형태를 취할 수 있다. 흡수체(40)의 폭 방향에서 중앙에 중앙 슬릿(45)이 형성된다. 또한, 중앙 슬릿(45)의 양쪽 측에는 사이드 슬릿(46L) 및 사이드 슬릿(46R)이 형성된다. 흡수체(40)에 형성된 이들 슬릿에 의해, 일회용 기저귀(1)가 착용되었을 때 흡수체(40)가 굴곡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1)의 전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A-A 선을 따라 취한 일회용 기저귀(1)의 폭 방향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B-B 선을 따라 취한 일회용 기저귀(1)의 길이 방향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회용 기저귀(1)는 착용자의 앞 허리선에 대응하는 앞 허리선 영역(S2); 및 착용자의 뒤 허리선에 대응하는 뒤 허리선 영역(S3)을 갖는다. 일회용 기저귀(1)는 또한 고간부 영역(S1), 앞측 중간 가랑이 영역(S4) 및 뒤측 중간 가랑이 영역(S5)을 갖는다.
고간부 영역(S1)은 착용자가 다리를 오므릴 때 두 다리 사이의 폭이 가장 좁아지는 착용자의 고간부에 닿는 영역이다. 앞측 중간 가랑이 영역(S4)은 흡수체(40)의 길이 방향(L)에서 고간부 영역(S1)과 앞 허리선 영역(S2) 사이에 위치한다. 뒤측 중간 가랑이 영역(S5)은 길이 방향(L)에서 고간부 영역(S1)과 뒤 허리선 영역(S3) 사이에 위치한다.
앞 허리선 측가장자리부(4)는 뒤 허리선 가장자리부(6)와 접합되어 있고, 앞 허리선 가장자리부(4')는 뒤 허리선 가장자리부(6')와 접합되어 있어, 일회용 기저귀(1)가 팬티형 기저귀로서 형성된다.
앞 허리선 영역(S2) 및 뒤 허리선 영역(S3)에는 허리 개더(3)가 제공된다. 허리 개더(3)는 흡수체(40)의 폭 방향(W)을 따라 신축하도록 배치되는 합성 고무와 같은 가늘고 긴 허리 탄성 부재(3A)를 갖는다. 허리 탄성 부재(3A)는 일회용 기저귀(1)의 폭 방향(W)을 따라 부재가 신장된 상태에서 접착제(예컨대 핫멜트 접착제)에 의해 외장 탑시트(70), 앞측 외장 백시트(80F) 및 뒤측 외장 백시트(80R)와 접합되어 있다.
뒤측 외장 백시트(80R)의 중간 가랑이 가장자리부(8)에는 다리 개더(5) 및 흡수체 횡단 개더(7)가 형성된다. 다리 개더(5)는 착용자의 다리 부분을 따라 취해지도록 형성된다. 흡수체 횡단 개더(7)는 폭 방향(W)을 따라 흡수체(40)를 횡단하도록 형성된다. 다리 개더(5) 및 흡수체 횡단 개더(7)는 일체로 서로 연속되어 있다. 다리 개더(5)는 복수의 다리 탄성 부재(5A)를 가지며, 흡수체 횡단 개더(7)는 다리 탄성 부재(5A)와 연속되어 있는 복수의 황단 탄성 부재(7A)를 갖는다.
일회용 기저귀(1)에는 탑시트(10), 흡수체(40), 사이드 시트(60), 외장 탑시트(70), 앞측 외장 백시트(80F) 및 뒤측 외장 백시트(80R)가 제공된다. 탑시트(10), 흡수체(40), 사이드 시트(60), 외장 탑시트(70) 및 앞측 외장 백시트(80F) 및 뒤측 외장 백시트(80R)는 접착제 또는 열융착 등에 의해 서로 접합되어 있다.
탑시트(10)는 착용자의 피부와 직접 접할 수 있는 피부 접촉면을 형성하는 시트이다. 탑시트(10)는 친수성 부직포 또는 직물, 개구 플라스틱 필름 또는 개구 소수성 부직포와 같은 투액성 시트로 형성되어 있다.
흡수체 표면 피복 시트(20)는 탑시트(10)와 흡수체(40) 사이에 제공된다. 흡수체 표면 피복 시트(20)는 친수성 부직포 또는 직물, 개구 플라스틱 필름, 개구 소수성 부직포 또는 티슈와 같은 투액성 시트로 형성되어 있다.
흡수체 이면 피복 시트(30)는 탑시트(10) 또는 흡수체 표면 피복 시트(20)의 반대면이 되는 피부 비접촉면 측에 제공된다. 흡수체 이면 피복 시트(30)는 불투액성 필름(예컨대 폴리에틸렌)과 같은 방누성 시트로 형성되어 있다. 도 3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흡수체 표면 피복 시트(20)는 슬릿[중앙 슬릿(45) 및 사이드 슬릿(46L, 46R)]이 형성된 부분에서 흡수체 이면 피복 시트(30)와 접합되어 있다.
흡수체(40)는 흡수체 표면 피복 시트(20) 및 흡수체 이면 피복 시트(30)로 피복되어 있다. 흡수체(40)는 앞 허리선 영역(S2)으로부터 뒤 허리선 영역(S3)으로 향하는 길이 방향(L); 및 길이 방향(L)에 직교하는 폭 방향을 갖는다. 또한, 흡수체(40)는 일회용 기저귀(1)를 착용하는 착용자를 향하는 내측 방향(IN), 및 내측 방향과 반대로 향하는 외측 방향(OUT)을 갖는다.
흡수체(40)의 폭 방향(W)의 외측에서 흡수체 표면 피복 시트(20) 및 흡수체 이면 피복 시트(30)가 서로 중첩되는 측 가장자리부(50A)에는, 길이 방향(L)을 따라 신장한 상태로 사이드 탄성 부재(90)가 제공된다. 사이드 탄성 부재(90)는 앞측 중간 가랑이 영역(S4)으로부터 고간부 영역(S1)을 지나 뒤측 중간 가랑이 영역(S5)까지 연속되어 있다. 사이드 탄성 부재는 흡수체 이면 피복 시트(30)와 사이트 시트(60) 사이에 제공된다. 사이드 탄성 부재(90)는 신축성을 갖는 합성 고무로 형성되어 있다.
사이드 시트(60)는 흡수체(40)의 폭 방향(W)의 양측단에서 탑시트(10), 흡수체 표면 피복 시트(20) 및 흡수체 이면 피복 시트(30)를 일체로 피복하도록 제공된다. 사이드 시트(60)는 불투액성 부직포와 같은 시트로 형성되어 있고, 사이드 시트(60)와 사이드 탄성 부재(90)로 형성되는, 배설물의 측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방누벽이 구성된다.
외장 탑시트(70)는 앞 허리선 영역(S2)으로부터 앞측 중간 가랑이 영역(S4), 고간부 영역(S1) 및 뒤측 중간 가랑이 영역(S5)을 지나 뒤 허리선 영역(S3)까지 형성되어 있다. 외장 탑시트(70)는 앞 허리선 영역(S2) 및 뒤 허리선 영역(S3)에 있어서 폭 방향(W)의 폭이 다른 영역에서보다도 크게 형성되어 있다. 외장 탑시트(70)는 에어스루 부직포, 스펀 본드 부직포, SMS 부직포 또는 방수 필름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앞측 외장 백시트(80F)는 앞 허리선 영역(S2)에 있어서 외장 탑시트(70)보다 더 피부 비접촉면 측에 제공된다. 뒤측 외장 백시트(80R)는 뒤 허리선 영역(S3)에 있어서 외장 탑시트(70)보다도 더 피부 비접촉면 측에 제공된다. 길이 방향(L)에서의 앞측 외장 백시트(80F)의 일단 및 길이 방향(L)에서의 뒤측 외장 백시트(80R)의 일단은 피부 접촉면 측으로 되접혀 외장 탑시트(70)의 길이 방향(L)에서의 단부를 둘러싼다. 앞측 외장 백시트(80F)는 에어스루 부직포, 스펀 본드 부직포, SMS 부직포 또는 방수 필름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6-346439호에 기재된 재료를 상기 설명한 일회용 기저귀(1)를 구성하는 구성 부재에 이용할 수 있다.
(2) 흡수체의 구조
도 5는 흡수체(40)의 평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수체(40)는 중앙 가랑이 부분(401), 앞 허리선 부분(402), 뒤 허리선 부분(403), 앞 중간 가랑이 부분(404), 및 뒤 중간 가랑이 부분(405)을 갖는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앞측 중간 가랑이 영역(S4)에 대응하는 앞 중간 가랑이 부분(404)의 잘록부(narrowed portion)의 폭이 가장 좁다. 두번째로 폭이 좁은 부분은 고간부 영역(S1)(도 1 참조)에 위치하는 중앙 가랑이 부분(401)이다.
흡수체는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는 바와 같이, 흡수체는 다른 형태를 취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흡수체(40)는 200 g/m2의 면 유사 펄프에 흡수성 폴리머가 배합된 것으로서 이용된다. 또한, 흡수체(40)에는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중앙 슬릿(45) 및 사이드 슬릿(46L), 사이드 슬릿(46R)이 형성된다.
중앙 슬릿(45)은 내측 방향(IN)으로 볼록하게, 즉 흡수체(40)가 착용자를 향해 볼록하게 굴곡될 수 있도록, 길이 방향(L)을 따라 흡수체(40)에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중앙 슬릿(45)은 중앙 굴곡부를 구성한다. 사이드 슬릿(46L), 사이드 슬릿(46R)은 흡수체(40)가 중앙 슬릿(45)의 양쪽 측에 외측 방향(OUT)으로 볼록하게 굴곡될 수 있도록, 길이 방향(L)을 따라 흡수체(40)에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사이드 슬릿(46L), 사이드 슬릿(46R)은 사이드 굴곡부를 구성한다.
중앙 슬릿(45)의 폭은 바람직하게는 약 10 mm이고, 이의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약 200 mm이다. 사이드 슬릿(46L), 사이드 슬릿(46R)의 폭은 바람직하게는 약 10 mm이고, 이의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약 120 mm이다. 또한, 흡수체(40)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약 2.0 mm이다.
도 6은 흡수체(40)의 부분 확대 평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수체(40)는 폭 방향(W)에서 흡수체(40)의 중앙부에 형성된 중앙 부분(CT)을 갖는다. 또한, 흡수체(40)는 폭 방향(W)에서 흡수체(40)의 측단(40e)에 형성된 한 쌍의 측단 부분(SL, SR)을 갖는다. 또한, 이 흡수체는 중앙 부분과 측단 부분 사이에 위치하는 한 쌍의 중간 부분(ML, MR)을 갖는다. 중앙 부분(CT), 중간 부분(ML), 중간 부분(MR), 측단 부분(SL) 및 측단 부분(SR)은 적어도 고간부 영역(S1)[중앙 가랑이 부분(401)]에 형성된다.
중앙 부분(CT)은 폭 방향(W)에서 각각 중간 부분(ML) 및 중간 부분(MR)과의 경계로부터 중앙 슬릿(45)까지의 영역인 부중앙 부분(sub-central portion; 47L) 및 부중앙부분(47R)을 포함한다.
중간 부분(ML, MR)은 각각 폭 방향에서 각각의 사이드 슬릿(46L, 46R)으로부터 중앙 부분(CT)과의 경계까지의 영역인 내측 중간 부분(48L, 48R)을 포함한다. 또한, 각각의 중간 부분(ML, MR)은 폭 방향(W)에서 사이드 슬릿(46L, 46R) 중 각각의 하나로부터 측단 부분(SL, SR) 중 각각의 하나와의 경계까지의 영역인 외측 중간 부분(49L, 49R)을 포함한다.
중앙 부분(CT)은 흡수체(40)가 중앙 슬릿(45)의 부분에서 굴곡되어 착용자를 향해 볼록하게 되도록 변형된다. 사이드 슬릿(46L, 46R)을 포함하는 중간 부분(ML, MR)은 중앙 부분(CT)의 반대측에서, 즉 피부 비접촉면 측에서 볼록하게 되도록 변형된다. 구체적으로는, 중앙 부분(CT)은 착용자의 다리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착용자를 향해 볼록하게 되는 반면, 측단 부분(SL, SR)은 사이드 탄성 부재(90)의 수축에 의해 착용자 측으로 기립한다. 중간 부분(ML, MR)은 각각의 사이드 슬릿(46L, 46R)의 부분에서 절곡되어, 중앙 부분(CT)의 반대측에서 볼록하게 된다.
중간 부분(ML , MR)은 중앙 슬릿(45)의 중심(CT1)과 각각의 사이드 슬릿(46L, 46R)의 중심(CT2) 사이의 거리(D1)의 1/2에 해당하는 위치로부터, 각각의 사이드 슬릿(46L, 46R)과 흡수체(40)의 각각의 측단(46e) 사이의 거리(D2)의 1/2에 해당하는 위치까지 형성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거리(D1)는 바람직하게는 약 40 mm로 설정되고, 거리(D2)는 바람직하게는 약 35 mm로 설정된다. 또한, 폭 방향(W)에서, 부중앙 부분(47L, 47R)의 폭은 측단 부분(SL, SR)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중앙 부분(CT) 및 측단 부분(SL), 측단 부분(SR)에서의 흡수성 폴리머의 평균 단위 중량은 바람직하게는 90 g/m2이다. 한편, 중간 부분(ML), 중간 부분(MR)에서의 흡수성 폴리머의 평균 단위 중량은 바람직하게는 240 g/m2이다. 즉, 중앙 부분(CT) 및 측단 부분(SL), 측단 부분(SR)에서의 흡수성 폴리머의 평균 단위 중량은 중간 부분(ML), 중간 부분(MR)에서의 흡수성 폴리머의 평균 단위 중량보다 작다.
흡수성 폴리머의 평균 단위 중량은 해당 부분의 단위 면적당 배합된 흡수성 폴리머의 질량이며, 해당 부분[예컨대 중간 부분(ML)]에서 단위 중량이 상이하더라도, 이러한 단위 중량은 해당 부분의 면적에 배합된 흡수성 폴리머의 질량을 단위 면적으로 평균한 값으로서 정의된다. 중앙 슬릿(45) 및 사이드 슬릿(46L, 46R)에는 펄프 또는 흡수성 폴리머 모두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이들은 평균 단위 중량의 계산에 포함시키지 않는다.
중간 부분(ML, MR)에서의 흡수성 폴리머의 평균 단위 중량이 240 g/m2인 높은 단위 중량 부분(SP)은 사이드 슬릿(46L, 46R) 주위에 형성된다. 예컨대, 흡수 배율 64 g/g, 보수(water retention) 배율 40 g/g 및 흡수 속도(absorption velocity)(Vortex 접근법) 29 초의 특성을 갖는 흡수성 폴리머를 이용할 수 있다.
Vortex 접근법을 이용하는 시험 방법은 일반적으로 하기와 같다. 우선, 염화나트륨 수용액(시약 1급)에 27.0 g의 염화나트륨(시약 1급) 및 이온 교환수를 첨가하여 3,000.0 g의 용액을 만든 후, 생성된 용액이 용해될 때까지 교반한다. 또한, 상기 용액 중 시험액 1 l를 비이커에 넣고; 시험액의 온도를 25℃±1℃로 조정하고; 50 g의 시험액을 100 ml의 비이커에 옮긴다. 비이커를 자기 교반기(MITAMURA RIKEN KOGYO INC. MAGMIX STIRRER) 위에 놓고, 분당 600 회전으로 교반시킨다. 회전수는 분당 600±30 회전으로 조정한다.
다음으로, 2.00 g의 흡수성 폴리머(SAP)를 비이커에 투입하고, 액 표면이 평활하게 될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한다. 액 표면이 평화하게 됐는지의 판단은, 격렬하게 회전하고 있는 액체의 소용돌이의 경사가 평면에 인접하는 사실을 기준으로 하여, 소용돌이의 액 표면에 반사하는 조명의 소실을 관찰하여 판단한다.
중앙 부분(CT) 및 측단 부분(SL, SR)에서의 흡수성 폴리머의 평균 단위 중량은 0 g/m2 이상 300 g/m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 g/m2 이상, 90 g/m2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중간 부분(ML)[중간 부분(MR)]에서의 흡수성 폴리머의 평균 단위 중량은 100 g/m2 이상 600 g/m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 g/m2 이상 400 g/m2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러나, 중앙 부분(CT) 및 측단 부분(SL, SR)에서의 흡수성 폴리머의 평균 단위 중량은 중간 부분(ML, MR)에서의 흡수성 폴리머의 평균 단위 중량보다 작다.
또한, 부중앙 부분(47L, 47R)에서의 흡수성 폴리머의 평균 단위 중량은 내측 중간 부분(48L, 48R)에서의 흡수성 폴리머의 평균 단위 중량 미만이다. 또한, 측단 부분(SL, SR)에서의 흡수성 폴리머의 평균 단위 중량은 외측 중간 부분(49L, 49R)에서의 흡수성 폴리머의 평균 단위 중량 미만이다.
(3) 흡수체의 형상 변화
도 7(a)는 흡수체(40)가 배설물을 흡수하지 않은 상태를 개략 도시하는 단면도(도 2의 A-A 선을 따라 취함)이며; 도 7(b)는 흡수체(40)가 배설물을 흡수한 상태의 일회용 기저귀(1)의 착용 상태를 개략 도시하는 단면도(도 2의 A-A 선을 따라 취함)이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회용 기저귀(1)가 착용될 때, 중앙 슬릿(45) 및 사이드 슬릿(46L, 46R)에 대해 흡수체(40)가 굴곡되어, 일회용 기저귀(1)의 폭 방향(W)에 따라 취한 단면 형상은 W자형으로 변형된다. 그 결과, 변형된 흡수체(40)의 높이(40L)를 이등분하여 얻어진 가상선(M)보다 착용자의 신체에 인접한 상측 영역(40U)에는 부중앙 부분(47L), 부중앙 부분(47R), 측단 부분(SL) 및 측단 부분(SR)이 위치한다. 한편, 높이 방향(T)에서, 가상선(M)보다 착용자의 신체로부터 격리된 하측 영역(40D)에는 내측 중간 부분(48L, 48R) 및 외측 중간 부분(40L, 40R)이 위치한다.
도 7(b)는 흡수체(40)가 배설물을 흡수한 상태의 일회용 기저귀(1)의 착용 상태를 도시한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수체(40)가 뇨와 같은 소정량의 액체를 흡수시, 흡수성 폴리머의 평균 단위 중량이 큰 내측 중간 부분(48L, 48R) 및 외측 중간 부분(49L, 49R)은, 흡수성 폴리머의 평균 단위 중량이 작은 부중앙 부분(47L), 부중앙 부분(47R) 및 측단 부분(SL, SR)보다 더 팽창된다. 따라서, 흡수체(40)가 소정량의 액체를 흡수한 경우, 중앙 부분(CT) 및 측단 부분(SL, SR)에서의 흡수체(40)의 합계 두께는, 내측 중간 부분(48L, 48R) 및 외측 중간 부분(49L, 49R)에서의 흡수체(40)의 두께보다 얇아진다.
도 8은 흡수체가 배설물을 흡수한 상태의 일회용 기저귀(1)의 착용 상태를 개략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가상선은 착용자의 고간부 및 양쪽 다리 부분을 나타낸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수체(40)가 배설물을 흡수한 상태에서 착용자가 다리를 오므리면, 일회용 기저귀(1)의 단면 형상은 도 7(b)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도 8에 도시된 상태로 변화된다. 이 때, 액체(약 500 cc)를 흡수한 후의 팽창율이 낮은 상측 영역(40U)에서의 흡수체(40)의 두께(도면 중의 W21 내지 W24의 합계 두께)는 약 18 mm이다. 구체적으로는, 흡수성 폴리머의 평균 단위 중량이 90 g/m2인 영역에서 액체 흡수 전의 두께는 약 2.0 mm인 반면, 액체 흡수 후의 두께는 약 4.5 mm이다. 즉, 부중앙 부분(47L), 부중앙 부분(47R) 및 측단 부분(SR, SL)의 두께 W21 내지 W24는 각각 약 4.5 mm이다. 두께 W21 내지 W24는 높이 방향(T)에서 상측 영역(40U)의 상단으로부터 상측 영역(40U)의 1/3 거리를 내려간 위치에서의 흡수체(40)의 두께이다.
한편, 하측 영역(40D)에서의 흡수체(40)의 두께(도면 중의 W11 내지 W14의 합계 두께)는 상측 영역(40U)에서의 흡수체(40)의 두께보다 두껍다. 따라서, 흡수체(40)[일회용 기저귀(1)]의 폭 방향을 따라 취한 단면 형상은 착용자의 고간부를 향해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된다. 두께 W11 내지 W14는 높이 방향(T)에서 하측 영역(40D)의 하단으로부터 하측 영역(40D)의 1/3 거리를 올라간 위치에서의 흡수체(40)의 두께이다.
흡수체(40)가 소정량의 액체(약 500 cc)를 흡수한 경우, 흡수체(40)가 굴곡된 상태에서의 높은 단위 중량 부분(SP)의 두께[도 8의 W11 내지 W14의 위치에서의 일회용 기저귀(1)의 두께]는 20 mm 이상 120 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두께가 20 mm 이상 80 mm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두께가 20 mm 이상 40 m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흡수체(40)가 굴곡된 상태에서 높은 단위 중량 부분(SP) 이외의 부분의 두께[도 8의 W21 내지 W24의 위치에서의 일회용 기저귀(1)의 두께]는 낮은 것이 바람직하며, 바람직하게는 4 mm 이상 20 mm 이하이다. 하측 영역(40D)의 두께 W11 내지 W14를 증가시키는 경우, 높이 방향(T)에 따라 취한 중앙 부분(CT)이 높을수록, 즉, 흡수체(40)의 변형 전의 중앙 부분(CT)이 넓을수록, 중앙 부분(CT)이 착용자의 고간부에 더 쉽게 들어간다.
상기 설명한 일회용 기저귀(1)에는, 흡수체(40)가 착용자를 향해 볼록하게 굴곡될 수 있도록 흡수체(40)에 형성된 중앙 슬릿(45); 및 흡수체(40)가 중앙 슬릿(45)의 반대측을 향하도록 볼록하게 굴곡될 수 있도록 흡수체(40)에 형성된 한 쌍의 사이드 슬릿(46L, 46R)이 제공된다. 따라서, 일회용 기저귀(1)의 착용시, 착용자의 배설구를 향해 볼록하게 형성된 중앙 부분(CT)은 배설구와 밀착되기 쉽다. 또한, 중간 부분(ML) 및 중간 부분(MR)은 각각 오목부를 형성하여, 배설물이 오목부에 들어가기 쉬워, 착용자의 피부와 배설물 사이의 직접적인 접촉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중앙 부분(CT) 및 측단 부분(SL, SR)에서의 흡수성 폴리머의 평균 단위 중량(90 g/m2)은 중간 부분(ML, MR)에서의 흡수성 폴리머의 평균 단위 중량(240 g/m2) 미만이다. 구체적으로는, 부중앙 부분(47L, 47R)에서의 흡수성 폴리머의 평균 단위 중량은 내측 중간 부분(48L, 48R)에서의 흡수성 폴리머의 평균 단위 중량 미만이고; 측단 부분(SL, SR)에서의 흡수성 폴리머의 평균 단위 중량은 외측 중간 부분(49L, 49R)에서의 흡수성 폴리머의 평균 단위 중량 미만이다.
따라서, 흡수체(40)가 소정량의 액체를 흡수한 후, 흡수성 폴리머의 평균 단위 중량이 작은 중앙 부분(CT) 및 측단 부분(SL, SR)의 두께는 평균 단위 중량이 큰 중간 부분(ML) 및 중간 부분(MR)의 두께보다 얇다.
따라서, 착용자의 고간부에 인접한 중앙 부분(CT) 및 측단 부분(SL, SR)은 액체 흡수 후 두께가 억제되어, 착용자가 위화감을 거의 느끼지 않으며, 흡수체가 배설구와 밀착되는 것이 확보된다. 또한, 각각 착용자의 고간부로부터 먼 중간 부분(ML) 및 중간 부분(MR)에서는, 흡수성 폴리머의 평균 단위 중량이 크므로, 착용자가 위화감을 느끼지 않고 흡수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뇨와 같은 배설물을 복수 회 흡수한 후, 이러한 형상을 유지하여 착용자가 위화감을 느끼는 것 또는 배설물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 중간 부분(ML, MR)은 폭 방향(W)에서 중앙 슬릿(45)의 중심(CT1)과 사이드 슬릿(46L)[또는 사이드 슬릿(46R)]의 중심(CT2) 사이의 거리(D1)의 1/2에 해당하는 위치로부터, 사이드 슬릿(46L)[또는 사이드 슬릿(46R)]과 흡수체(40)의 측단(46e) 사이의 거리(D2)의 1/2에 해당하는 위치까지 형성된다. 또한, 부중앙 부분(47L, 47R)의 폭은 측단 부분(SL, SR)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곡된 흡수체(40)를 이등분하여 얻어진 상측 영역(40U) 및 하측 영역(40D) 중, 착용자의 고간부에 인접한 상측 영역(40U)에는 높이 방향(T)에서 중앙 부분(CT) 및 측단 부분(SL, SR)을 배치할 수 있고; 착용자의 가랑이 부분으로부터 먼 하측 영역(40D)에는 중간 부분(ML, MR)을 배치할 수 있다. 즉, 상측 영역(40U)에서의 흡수체(40)의 두께가 억제되어, 착용자의 위화감 또는 배설물의 누설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 흡수체 표면 피복 시트(20)는 슬릿[중앙 슬릿(45) 및 사이드 슬릿(46L, 46R)]이 형성된 부분에서 흡수체 이면 피복 시트(30)와 접합되어 있다. 따라서, 흡수체(40)가 변형하여 슬릿 부분을 폐쇄하거나 슬릿 부분으로부터 흡수체(40)가 비틀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흡수체(40)가 액체를 흡수하여 팽창하는 경우에도, 슬릿 부분의 폐쇄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슬릿 부분이 굴곡부로서 확실하게 쉽게 기능할 수 있다.
(4) 제1 변경예
도 9는 본 실시 형태의 변경예에 따른 흡수체(40X)의 부분 확대 평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수체(40X)에서는, 길이 방향(L)에서, 중앙 부분(CT)의 외측에 위치하는 영역에서의 흡수성 폴리머의 평균 단위 중량은 중앙 부분(CT)에서의 흡수성 폴리머의 평균 단위 중량보다 크다.
구체적으로는, 중앙 가랑이 부분(401)[고간부 영역(S1)]에 인접하고 앞 허리선 영역(S2)에 가까운 부분인 앞측 중간 가랑이 영역(S4)에서의, 그리고 고간부 영역(S1)에 인접하고 뒤 허리선 영역(S3)에 가까운 부분인 뒤측 중간 가랑이 영역(S5)에서의 흡수성 폴리머의 평균 단위 중량은, 고간부 영역(S1)에 위치하는 중앙 부분(CT)에서의 흡수성 폴리머의 평균 단위 중량보다 크다. 예컨대, 해당 부분의 단위 중량은 중간 부분(ML, MR)과 같이 240 g/m2로 설정할 수 있다.
즉, 흡수체(40X)에서는, 고간부 영역(S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앙 부분(CT)의 부분의 부중앙 부분(47L) 및 부중앙 부분(47R)의 주위로 연장되는 가로 및 세로는 흡수성 폴리머의 평균 단위 중량이 큰 영역에 의해 둘러싸인다. 고간부 영역(S1) 외측에 놓인 영역인 중앙 부분(CT)의 길이 방향(L)에서의 외측 영역은, 흡수체가 액체를 흡수하여 크게 팽창되면 변형되기 어려워서, 흡수체(40X)의 중앙 가랑이 부분(401)에서의 W자형 변형이 해당 영역에 영향을 미치지 않아, 해당 영역을 평탄하게 유지하기 쉽다. 또한, 고간부 영역(S1)보다 길이 방향(L)으로 외측 영역은 착용자의 고간부에 끼워지지 않아서, 이 부분의 흡수성 폴리머의 평균 단위 중량을 증가시켜, 고간부에서 위화감을 증가시키지 않고 흡수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5) 제2 변경예
도 10 및 도 11은 본 실시 형태의 변경예에 따른 흡수체(40Y) 및 흡수체(40Y')를 포함하는 일회용 기저귀(1)의 단면도(도 2의 A-A 선을 따라 취함)이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중앙 부분(CT) 및 측단 부분(SL) 및 측단 부분(SR) 중 어느 것에서의 흡수체의 두께는 중간 부분(ML) 및 중간 부분(MR)에서의 흡수체의 두께보다 얇다. 두께가 감소된 부분은 고간부 영역(S1)의 길이만큼만 연장할 수 있다.
흡수체(40Y) 및 흡수체(40Y')에 따르면, 흡수체(40Y)[흡수체(40Y')]는 흡수체가 액체를 흡수하기 전 도 8에 도시된 상태를 채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일회용 기저귀(1)의 흡수력을 향상시키면서, 액체 흡수 전의 착용감도 향상시킬 수 있다.
측단 부분이 중간 부분과 동일한 두께를 갖도록, 측단 부분(SL) 및 측단 부분(SR)의 두께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수체(40Y)에서와 같이 중간 부분(ML) 및 중간 부분(MR)과 동일하게 증가시킬 수 있거나, 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수체(40Y')에서와 같이 중앙 부분(CT)과 동일하게 감소시킬 수 있는데, 여기서 측단 부분의 두께는 중앙 부분의 두께와 동일하고, 양쪽 경우에서 중앙 부분의 두께는 중간 부분의 두께 미만이다.
제2 실시 형태
도 12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흡수체(40Z)의 간단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흡수체(40Z)를 포함하는 일회용 기저귀(1)의 단면도(도 2의 A-A 선을 따라 취함)이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흡수체(40Z)는 2층 구조이다.
구체적으로는, 흡수체(40Z)는 서로 중첩되는 제1 층(41) 및 제2 층(42)을 갖는다. 제1 층(41)은 착용자와의 피부 접촉면 측에 위치하고, 제2 층(42)은 착용자의 피부 비접촉면 측에 위치한다. 제1 층(41)에는 길이 방향(L)을 따라 연장되는 사이드 슬릿(41L, 41R)이 형성된다. 사이드 슬릿(41L, 41R)은 사이드 슬릿(46L, 46R)과 같이 고간부 영역(S1)[중앙 가랑이 부분(401)]에 형성된다.
제2 층에는, 길이 방향(L)을 따라 연장되는 중앙 개구(42C)가 형성되며, 사이드 슬릿(42L, 42R)도 형성된다. 중앙 개구(42C) 및 사이드 슬릿(42L, 42R)은 중앙 슬릿(45) 등과 같이 고간부 영역(S1)[중앙 가랑이 부분(401)]에 형성된다. 중앙 개구(42C)의 폭은 바람직하게는 약 40 mm이고, 사이드 슬릿(41L, 41R) 및 사이드 슬릿(42L, 42R)의 폭은 바람직하게는 약 10 mm이다.
흡수체(40Z)의 경우,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부분(CT)은 제1 층(41)으로만 형성되며, 측단 부분(SL, SR)은 제1 층(41)으로만 형성되고, 중간 부분(ML) 및 중간 부분(MR)은 제1 층(41) 및 제2 층(42)으로 형성된다. 또한, 제1 층(41)의 흡수성 폴리머의 평균 단위 중량은 바람직하게는 90 g/m2이다. 제2 층(42)의 흡수성 폴리머의 평균 단위 중량은 바람직하게는 150 g/m2이다. 따라서, 제1 실시 형태에서와 같이, 중앙 부분(CT) 및 측단 부분(SL), 측단 부분(SR)에서의 흡수성 폴리머의 평균 단위 중량은 바람직하게는 90 g/m2이고, 중간 부분(ML), 중간 부분(MR)에서의 흡수성 폴리머의 평균 단위 중량은 바람직하게는 240 g/m2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흡수체를 포함하는 일회용 기저귀(1)에서는, 흡수체 이면 피복 시트(30)와 탄성 부재 피복 시트(96) 사이에 중앙 탄성 부재(95)(중앙 굴곡부)가 제공된다. 중앙 탄성 부재(95)는 길이 방향(L)을 따라 복수 탄성사로서 제공되어, 중앙 부분(CT)이 착용자를 향해 볼록하게 되도록 흡수체(40Z)를 변형시킨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1)에서는, 중앙 슬릿(45)(도 3 참조)과는 달리, 높이 방향(T)에서 관통하는 슬릿은 형성되어 있지 않다.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는 바와 같이, 중앙 탄성 부재는 복수의 탄성사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를 취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제2 층(42)이 착용자와의 피부 접촉면 측에 위치하고, 제1 층(41)이 착용자의 피부 비접촉면 측에 위치할 수도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1)에 따르면, 제1 층(41)과 제2 층(42)이 서로 중첩된 흡수체(40Z)가 이용되기 때문에, 1층 구조의 흡수체를 이용하는 경우에 비해 부분에 따라 두께가 상이한 흡수체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통해 본 발명의 내용을 개시했지만, 이 개시의 일부를 형성하는 논술 및 도면이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 된다. 이 개시로부터, 다양한 대안적인 실시 형태, 실시예 및 운용 기술이 당업자에게는 자명해진다.
예컨대, 제1 및 제2 실시 형태의 흡수체는 팬티형 일회용 기저귀(1)로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흡수체는 오픈형 일회용 기저귀 또는 생리대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다수의 다른 흡수형(abosorbent) 착용 물품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설명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중간 부분(ML, MR)이 중앙 슬릿(45)의 중심(CT1)과 각각의 사이드 슬릿(46L, 46R)의 중심(CT2) 사이의 거리(D1)의 1/2에 해당하는 위치로부터, 사이드 슬릿(46L, 46R)과 흡수체(40)의 각각의 측단(40e) 사이의 거리(D2)의 1/2에 해당하는 위치까지 형성되어 있지만, 중간 부분(ML, MR)은 반드시 이러한 범위에서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예컨대, 중간 부분(ML, MR)의 합계 폭은 중앙 부분(CT)의 폭보다 좁을 수 있다.
상기 설명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중앙 부분(CT) 및 측단 부분(SL, SR)에서의 흡수성 폴리머의 평균 단위 중량(90 g/m2)은 중간 부분(ML, MR)에서의 흡수성 폴리머의 평균 단위 중량(240 g/m2)보다 적지만, 예컨대, 측단 부분(SL, SR)에서의 흡수성 폴리머의 단위 중량은 중간 부분(ML, MR)에서의 흡수성 폴리머의 단위 중량과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측단 부분(SL, SR), 중간 부분(ML, MR), 부중앙 부분(47L, 47R)의 단위 중량은 반드시 서로 동일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예컨대, 측단 부분(SL)의 평균 단위 중량이 90 g/m2이고 측단 부분(SR)의 평균 단위 중량이 100 g/m2이면, 측단 부분(SL), 측단 부분(SR) 전체의 평균 단위 중량은 95 g/m2이다.
상기 설명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중앙 부분(CT) 및 측단 부분(SL, SR)에서의 흡수성 폴리머의 평균 단위 중량(90 g/m2)은 중간 부분(ML)에서의 흡수성 폴리머의 평균 단위 중량(240 g/m2)보다 작지만, 각 부분의 평균 단위 중량은 동일하고, 중앙 부분(CT) 및 측단 부분(SL, SR)에서의 흡수성 폴리머의 흡수(water absorption) 배율은 중간 부분(ML, MR)에서의 흡수성 폴리머의 흡수 배율보다 작을 수 있다. 예컨대, 중앙 부분(CT) 및 측단 부분(SL, SR)에서의 흡수성 폴리머의 흡수 배율은 40 g/g 정도이고, 중간 부분(ML, MR)에서의 흡수성 폴리머의 흡수 배율은 60 g/g 정도일 수 있다. 이러한 흡수성 폴리머의 배치에 의해서도, 상기 설명한 흡수체와 유사한 유리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상기 설명한 제1 및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슬릿 또는 탄성 부재를 이용하여 중앙 굴곡부를 형성했지만, 중앙 굴곡부는 흡수체의 두께를 감소시키거나 또는 흡수체에 엠보스 가공을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다른 수단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기재되지 않은 다양한 실시 형태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기 설명으로부터 타당한 특허청구범위에 따른 발명 특정 사항에 의해서만 정해진다.
상기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측면은 적어도 하기 항목으로 정리될 수 있다:
길이 방향;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폭 방향; 착용자를 향하는 내측 방향; 및 내측 방향과 반대측을 향하는 외측 방향을 가지며, 흡수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흡수체로서, 상기 흡수체는 착용자의 고간부에 닿는 고간부 영역에, 폭 방향에서 흡수체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중앙 부분, 폭 방향에서 흡수체의 측단을 포함하는 한 쌍의 측단 부분, 및 중앙 부분과 측단 부분 사이에 위치하는 한 쌍의 중간 부분을 가지며; 중앙 부분에는, 흡수체가 내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굴곡될 수 있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중앙 굴곡부가 형성되며; 중간 부분 각각에는, 흡수체가 외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굴곡될 수 있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사이드 굴곡부가 형성되고; 중앙 부분에서의 흡수성 폴리머의 평균 단위 중량은 중간 부분에서의 흡수성 폴리머의 평균 단위 중량보다 작은 흡수체.
일회용 착용 물품은 상기 항목 또는 상기 항목들 중 어느 것에 따른 흡수체를 포함한다.
또한, 하기 실시 형태 중 1 이상이 추가의 측면에 따라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측단 부분에서의 흡수성 폴리머의 평균 단위 중량은 중간 부분에서의 흡수성 폴리머의 평균 단위 중량보다 작다.
측단 부분에서의 흡수성 폴리머의 평균 단위 중량은 중간 부분에서의 흡수성 폴리머의 평균 단위 중량과 동일할 수 있다.
측단 부분에서의 흡수성 폴리머의 평균 단위 중량은 중앙 부분에서의 흡수성 폴리머의 평균 단위 중량과 동일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중간 부분은 각각 폭 방향에서 사이드 굴곡부로부터 중앙 부분과의 경계까지의 영역인 내측 중간 부분을 포함하며; 중앙 부분은 폭 방향에서 중간 부분의 각각의 하나와의 경계로부터 중앙 굴곡부까지의 영역인 부중앙 부분을 포함하고; 부중앙 부분에서의 흡수성 폴리머의 평균 단위 중량은 내측 중간 부분에서의 흡수성 폴리머의 평균 단위 중량 미만이다.
바람직하게는, 중간 부분은 각각 폭 방향에서 사이드 굴곡부로부터 측단 부분의 각각의 하나와의 경계까지의 영역인 외측 중간 부분을 포함하고; 측단 부분에서의 흡수성 폴리머의 평균 단위 중량은 외측 중간 부분에서의 흡수성 폴리머의 평균 단위 중량보다 작다.
바람직하게는, 중간 부분 중 하나 또는 둘다는 폭 방향에서 중앙 굴곡부의 중심과 사이드 굴곡부의 중심 사이의 거리의 1/2에 해당하는 위치로부터, 사이드 굴곡부의 중심과 흡수체의 측단 사이의 거리의 1/2에 해당하는 위치까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폭 방향에서, 부중앙 부분의 폭은 측단 부분 중 하나 또는 둘다의 폭과 동일하다.
바람직하게는, 길이 방향에서, 중앙 부분의 외측에 위치하는 영역에서의 흡수성 폴리머의 평균 단위 중량은 중앙 부분에서의 흡수성 폴리머의 평균 단위 중량보다 크다.
중앙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고간부 영역의 길이 방향으로만 연장된다. 즉, 이는 뒤측 중간 가랑이 영역 및 앞측 중간 가랑이 영역의 내부 경계에 의해서 길이 방향으로 경계가 지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중앙 부분에서만의, 측단 부분에서만의, 또는 중앙 부분 및 측단 부분 둘다에서의 흡수체의 두께는 중간 부분에서의 흡수체의 두께보다 얇다.
흡수체는 서로 중첩되는 제1 층 및 제2 층을 가질 수 있으며, 중앙 부분 및 측단 부분은 제2 층으로만 형성되며; 중간 부분은 제1 층 및 제2 층으로 형성된다. 대안적으로, 중앙 부분만이 제1 층으로만 형성되고; 중간 부분 및 측단 부분은 제1 층 및 제2 층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층에서의 흡수성 폴리머의 평균 단위 중량은 제2 층에서의 흡수성 폴리머의 평균 단위 중량보다 작다.
바람직하게는, 제2 층은 착용자와의 피부 접촉면 측에 위치하고; 제1 층은 착용자의 피부 비접촉면 측에 위치한다.
바람직하게는, 중앙 굴곡부는 길이 방향을 따라 흡수체에 형성된 중앙 슬릿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된 중앙 탄성 부재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사이드 굴곡부는 길이 방향을 따라 흡수체에 형성된 사이드 슬릿으로 형성된다.
흡수체에는 표면 피복 시트, 및 흡수체의 피부 비접촉면 측에 제공되는 이면 피복 시트가 제공될 수 있으며, 여기서 표면 피복 시트는 중앙 굴곡부 및/또는 사이드 굴곡부를 포함하는 1 이상의 슬릿이 형성된 위치에서 이면 피복 시트에 접합되어 있다.
중앙 부분 및 측단 부분 각각에서의 흡수체의 두께는 중간 부분에서의 흡수체의 두께보다 얇을 수 있다. 대안적으로, 흡수체는 중앙 부분에서만 더 얇을 수 있다. 이 경우, 측단 부분 및 중간 부분의 두께는 동일할 수 있다.
중앙 부분 및 측단 부분에서의 흡수성 폴리머의 흡수 배율은 중간 부분에서의 흡수성 폴리머의 흡수 배율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단락들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특징을 단독으로 또는 서로 조합하여 취할 경우, 본 발명의 유리한 효과(들)가 더 잘 확보된다. 각각의 실시 형태의 추가의 유리한 효과는 각각의 관련 설명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하여 얻을 수 있다.
본 출원은 그 전체 개시 내용을 본 명세서에서 참고로 인용하는 일본 출원 제2010-043596호의 우선권 주장을 청구한다.

Claims (13)

  1. 길이 방향;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폭 방향; 착용자를 향하는 내측 방향; 및 내측 방향과 반대측을 향하는 외측 방향을 가지며, 흡수성(water absorbent) 폴리머를 포함하는 흡수체를 포함하는 일회용 착용 물품으로서,
    흡수체는 착용자의 고간부에 닿는 고간부 영역에, 폭 방향에서 흡수체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중앙 부분, 폭 방향에서 흡수체의 측단을 포함하는 한 쌍의 측단 부분, 및 중앙 부분과 측단 부분 사이에 위치하는 한 쌍의 중간 부분을 가지며;
    중앙 부분에는, 흡수체가 내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굴곡될 수 있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중앙 굴곡부가 형성되며;
    중간 부분 각각에는, 흡수체가 외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굴곡될 수 있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사이드 굴곡부가 형성되고;
    중앙 부분 및 측단 부분에서의 흡수성 폴리머의 평균 단위 중량은 중간 부분에서의 흡수성 폴리머의 평균 단위 중량보다 작은 일회용 착용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중간 부분은 각각 폭 방향에서 사이드 굴곡부로부터 중앙 부분과의 경계까지의 영역인 내측 중간 부분을 포함하며;
    중앙 부분은 폭 방향에서 중간 부분의 각각의 하나와의 경계로부터 중앙 굴곡부까지의 영역인 부중앙 부분(sub-central portion)을 포함하고;
    부중앙 부분에서의 흡수성 폴리머의 평균 단위 중량은 내측 중간 부분에서의 흡수성 폴리머의 평균 단위 중량보다 작은 일회용 착용 물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중간 부분은 각각 폭 방향에서 사이드 굴곡부로부터 측단 부분의 각각의 하나와의 경계까지의 영역인 외측 중간 부분을 포함하고;
    측단 부분에서의 흡수성 폴리머의 평균 단위 중량은 외측 중간 부분에서의 흡수성 폴리머의 평균 단위 중량보다 작은 일회용 착용 물품.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중간 부분 중 하나 또는 둘다는 폭 방향에서 중앙 굴곡부의 중심과 사이드 굴곡부의 중심 사이의 거리의 1/2에 해당하는 위치로부터, 사이드 굴곡부의 중심과 흡수체의 측단 사이의 거리의 1/2에 해당하는 위치까지 형성되는 일회용 착용 물품.
  5. 제2항에 있어서, 폭 방향에서, 부중앙 부분의 폭은 측단 부분 중 하나 또는 둘다의 폭과 동일한 일회용 착용 물품.
  6. 제1항, 제2항 또는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길이 방향에서, 중앙 부분의 외측에 위치하는 영역에서의 흡수성 폴리머의 평균 단위 중량은 중앙 부분에서의 흡수성 폴리머의 평균 단위 중량보다 큰 일회용 착용 물품.
  7. 제1항, 제2항 또는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앙 부분에서만의, 또는 측단 부분에서만의, 또는 중앙 부분 및 측단 부분 둘다에서의 흡수체의 두께는 중간 부분에서의 흡수체의 두께보다 얇은 일회용 착용 물품.
  8. 제1항, 제2항 또는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흡수체는 서로 중첩되는 제1 층 및 제2 층을 가지며;
    중앙 부분 및 측단 부분은 제2 층으로만 형성되며;
    중간 부분은 제1 층 및 제2 층으로 형성되는 일회용 착용 물품.
  9. 제8항에 있어서, 제1 층에서의 흡수성 폴리머의 평균 단위 중량은 제2 층에서의 흡수성 폴리머의 평균 단위 중량보다 작은 일회용 착용 물품.
  10. 제9항에 있어서, 제2 층은 착용자와의 피부 접촉면 측에 위치하고;
    제1 층은 착용자의 피부 비접촉면 측에 위치하는 일회용 착용 물품.
  11. 제1항, 제2항 또는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앙 굴곡부는 길이 방향을 따라 흡수체에 형성된 중앙 슬릿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된 중앙 탄성 부재로 형성되는 일회용 착용 물품.
  12. 제1항, 제2항 또는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이드 굴곡부는 길이 방향을 따라 흡수체에 형성된 사이드 슬릿으로 형성되는 일회용 착용 물품.
  13. 길이 방향,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폭 방향, 착용자를 향하는 내측 방향, 및 내측 방향과 반대측을 향하는 외측 방향을 가지며, 흡수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흡수체를 포함하는 일회용 착용 물품으로서,
    흡수체는 착용자의 고간부에 닿는 고간부 영역에, 폭 방향에서 흡수체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중앙 부분; 폭 방향에서 흡수체의 측단에 형성되는 한 쌍의 측단 부분; 및 중앙 부분과 측단 부분 사이에 위치하는 한 쌍의 중간 부분을 포함하며;
    중앙 부분에는, 흡수체가 내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굴곡될 수 있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중앙 굴곡부가 형성되며;
    중간 부분에는, 흡수체가 외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굴곡될 수 있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한 쌍의 사이드 굴곡부가 형성되며;
    중간 부분은 폭 방향에서 사이드 굴곡부로부터 중앙 부분과의 경계까지의 영역인 내측 중간 부분; 및 사이드 굴곡부로부터 측단 부분의 경계까지의 영역인 외측 중간 부분을 포함하고;
    중앙 부분은 폭 방향에서 중간 부분과의 경계로부터 중앙 굴곡부까지의 영역인 부중앙 영역을 포함하고;
    흡수체가 액체를 흡수한 경우, 부중앙 부분 및 측단 부분에서의 흡수체의 합계 두께는 내측 중간 부분 및 외측 중간 부분에서의 흡수체의 합계 두께보다 얇도록 구성되어 있는 일회용 착용 물품.
KR1020127025239A 2010-02-27 2011-02-25 일회용 착용 물품 KR1016236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043596 2010-02-27
JP2010043596A JP5486348B2 (ja) 2010-02-27 2010-02-27 使い捨て着用物品
PCT/JP2011/001122 WO2011105109A1 (en) 2010-02-27 2011-02-25 Disposable wearing art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5376A true KR20130025376A (ko) 2013-03-11
KR101623621B1 KR101623621B1 (ko) 2016-05-23

Family

ID=44506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5239A KR101623621B1 (ko) 2010-02-27 2011-02-25 일회용 착용 물품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9144521B2 (ko)
EP (1) EP2538908B1 (ko)
JP (1) JP5486348B2 (ko)
KR (1) KR101623621B1 (ko)
CN (1) CN102781388A (ko)
AU (1) AU2011219337B2 (ko)
BR (1) BR112012021064A2 (ko)
DE (1) DE212011100000U1 (ko)
MY (1) MY181858A (ko)
WO (1) WO2011105109A1 (ko)
ZA (1) ZA20120641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86347B2 (ja) 2010-02-27 2014-05-0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着用物品
JP5486346B2 (ja) 2010-02-27 2014-05-0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着用物品
JP5705575B2 (ja) * 2011-02-10 2015-04-2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着用物品
JP6005916B2 (ja) * 2011-08-29 2016-10-1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JP5947610B2 (ja) * 2012-04-23 2016-07-0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072555B2 (ja) * 2013-01-31 2017-02-0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のおむつ
JP5898150B2 (ja) * 2013-09-02 2016-04-06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342765B2 (ja) * 2014-09-25 2018-06-13 大王製紙株式会社 使い捨て紙おむつ
JP6386883B2 (ja) * 2014-11-10 2018-09-05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438277B2 (ja) * 2014-11-12 2018-12-12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10376428B2 (en) * 2015-01-16 2019-08-1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pant with advantageously channeled absorbent core structure and bulge-reducing features
JP6156805B2 (ja) * 2015-09-15 2017-07-05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KR101927040B1 (ko) 2015-10-30 2018-12-07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채널 및 성형 탄성 부재를 구비한 흡수 용품
JP6250719B2 (ja) * 2016-02-29 2017-12-20 大王製紙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6520809B2 (ja) * 2016-04-27 2019-05-29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930093B2 (ja) * 2016-11-17 2021-09-01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416961B2 (ja) * 2017-03-21 2018-10-31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体
ES2975559T3 (es) 2017-12-21 2024-07-09 Essity Hygiene & Health Ab Artículo absorbente con pandeo reducido y método para fabricar el artículo absorbente
EP3727259B1 (en) 2017-12-21 2023-11-15 Essity Hygiene and Health Aktiebolag Absorbent article with a sealing arrangement having constant width
RU2748513C1 (ru) 2017-12-21 2021-05-26 Эссити Хайджин Энд Хелт Актиеболаг Впитывающее изделие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впитывающего изделия
MY197309A (en) 2017-12-21 2023-06-12 Essity Hygiene & Health Ab An absorbent article for newborns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absorbent article
EP3797745A1 (en) 2017-12-21 2021-03-31 Gdm S.P.A. Method for manufacturing absorbent article
RU2020123382A (ru) 2017-12-21 2022-01-21 Эссити Хайджин Энд Хелт Актиеболаг Впитывающее изделие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впитывающего изделия
RU2743030C1 (ru) 2017-12-21 2021-02-12 Эссити Хайджин Энд Хелт Актиеболаг Впитывающее изделие с уменьшенным провисанием
WO2019125230A1 (en) 2017-12-21 2019-06-27 Essity Hygiene And Health Aktiebolag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a wetness indica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absorbent article
JP6600677B2 (ja) * 2017-12-28 2019-10-3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パンツ型吸収性物品
JP6374624B1 (ja) * 2018-01-29 2018-08-1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7064975B2 (ja) * 2018-06-19 2022-05-1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986494B2 (ja) * 2018-06-19 2021-12-2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7318373B2 (ja) * 2019-07-02 2023-08-01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7426252B2 (ja) * 2020-02-12 2024-02-0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推定装置、推定方法および推定プログラム
JP6986185B1 (ja) * 2020-05-20 2021-12-22 花王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WO2021234881A1 (ja) * 2020-05-20 2021-11-25 花王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WO2021234880A1 (ja) * 2020-05-20 2021-11-25 花王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9691Y2 (ko) * 1989-08-10 1993-10-08
KR100270184B1 (ko) 1992-07-27 2000-11-01 데이비드 엠 모이어 중앙 습득 부위를 갖는 생리대
WO1995023570A1 (en) * 1994-03-01 1995-09-0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Trisection sanitary napkin
CA2134268C (en) 1994-06-13 2005-10-04 Frederich Oma Lassen Absorbent article having a body-accommodating absorbent core
EP0692232A1 (en) * 1994-07-12 1996-01-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structure comprising a back half section with a relatively high weight of absorbent gelling material
JP3208289B2 (ja) * 1995-08-15 2001-09-1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吸収性アンダーガーメント
JPH10234775A (ja) 1997-02-28 1998-09-08 Uni Charm Corp 使い捨ての体液吸収性物品
AU757120B2 (en) * 1997-11-13 2003-02-06 Procter & Gamble Company, The Absorbent articles with means for achieving or maintaining convexo-concave bunching
JP3616723B2 (ja) * 1998-09-11 2005-02-0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生理用ナプキン
JP3557141B2 (ja) 2000-01-06 2004-08-2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3811000B2 (ja) 2000-11-30 2006-08-1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4315601B2 (ja) 2001-01-19 2009-08-19 花王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4229309B2 (ja) * 2001-09-07 2009-02-25 株式会社日本吸収体技術研究所 吸水により中央部で立体化する吸収体及びそれを用いた吸収体製品
JP3616077B2 (ja) * 2002-07-09 2005-02-02 大王製紙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4683892B2 (ja) * 2004-09-30 2011-05-1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パッド
JP4459013B2 (ja) * 2004-10-20 2010-04-28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EP1833445B1 (en) * 2004-11-30 2014-11-05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outwardly convex longitudinal central channels for improved protection
JP4727494B2 (ja) 2005-05-19 2011-07-2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パンツ型使い捨て着用物品
JP4530937B2 (ja) * 2005-07-28 2010-08-25 花王株式会社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US8373016B2 (en) 2006-03-23 2013-02-12 Kao Corporation Absorbent member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JP5144539B2 (ja) 2006-12-07 2013-02-1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2008284190A (ja) 2007-05-18 2008-11-27 Oji Nepia Kk 吸収性物品
JP4924567B2 (ja) 2008-08-12 2012-04-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排気浄化装置
JP5566666B2 (ja) * 2009-11-13 2014-08-0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486346B2 (ja) * 2010-02-27 2014-05-0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着用物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38908A4 (en) 2014-01-22
ZA201206413B (en) 2013-04-24
MY181858A (en) 2021-01-11
CN102781388A (zh) 2012-11-14
EP2538908B1 (en) 2015-02-11
DE212011100000U1 (de) 2012-03-14
AU2011219337A1 (en) 2012-09-13
US20130030398A1 (en) 2013-01-31
EP2538908A1 (en) 2013-01-02
AU2011219337B2 (en) 2015-07-02
JP2011177310A (ja) 2011-09-15
JP5486348B2 (ja) 2014-05-07
KR101623621B1 (ko) 2016-05-23
WO2011105109A1 (en) 2011-09-01
US9144521B2 (en) 2015-09-29
BR112012021064A2 (pt) 2016-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3621B1 (ko) 일회용 착용 물품
KR101623620B1 (ko) 일회용 착용 물품
AU2012216032B2 (en) Disposable wearing article
EP1132067B1 (en) Absorbent article
JP5750148B2 (ja) 使い捨て着用物品
RU2719908C1 (ru) Впитывающее изделие
JP6761238B2 (ja) 吸収性物品
JP5944693B2 (ja) 吸収性物品
JP5074854B2 (ja) 体液吸収性物品
JP2009285166A (ja) 吸収パッド
JP2018000332A (ja) 吸収性物品
KR102570212B1 (ko) 흡수성 물품
JP2018167019A (ja) 吸収性物品
JP6474521B1 (ja) 大人用おむつ
JP2018029868A (ja) 吸収性物品
JP2022086257A (ja) 吸収性物品
JP4140807B2 (ja) 生理用ナプキン
JP2018068739A (ja) 吸収性物品
JP6834081B2 (ja) 吸収性補助パッド
JP2021045382A (ja) 吸収性物品
JP2017029218A (ja) 吸収性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