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3628A - 지능형 차량 운전자 기분전환 지원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지능형 차량 운전자 기분전환 지원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3628A
KR20130023628A KR1020110086542A KR20110086542A KR20130023628A KR 20130023628 A KR20130023628 A KR 20130023628A KR 1020110086542 A KR1020110086542 A KR 1020110086542A KR 20110086542 A KR20110086542 A KR 20110086542A KR 20130023628 A KR20130023628 A KR 201300236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r
diversion
emotional state
unit
mus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6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05129B1 (ko
Inventor
이웅기
이태형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86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5129B1/ko
Publication of KR201300236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36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51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51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3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auxiliary equipment, e.g. air-conditioning compressors or oil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2040/089Driver vo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운전자의 감정상태나 생체리듬, 차량의 실내 조건, 직접적인 구두 명령 등에 따른 맞춤형 향기 및 음으로 운전자의 감성을 자극함으로써, 즐겁게 운전할 수 있고 격한 감정의 발생시 운전을 잠시 멈추고 안전한 장소로 유도하여 안전 운전을 도모할 수 있는 지능형 차량 운전자 기분전환 지원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차량 운전자 기분전환 지원장치는 운전자의 감정상태를 감지하는 운전자 감정상태 감지부; 기입력된 향기 및 음악을 운전자의 감정상태에 따라 운전자의 취향에 맞게 선택하기 위한 기분전환 제어부; 및 상기 기분전환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운전자의 취향에 맞게 선택된 향기 및 음악을 발산 및 실행시키는 기분전환 실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지능형 차량 운전자 기분전환 지원장치 및 방법{Intelligent assistance apparatus and methed for entertainment of driver}
본 발명은 지능형 차량 운전자 기분전환 지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운전자의 감성을 자극하여 즐거운 운전을 가능하게 하는 지능형 차량 운전자 기분전환 지원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흔히 직장에서 과도한 업무로 인한 압박감, 가족간의 불화, 교통 지옥 등을 스트레스라 말한다. 그러나 이들은 단지 스트레스를 일으킬 수 있는 요인이라 할 수 있으며 진짜 스트레스란 이 같은 요인에 의한 실제적인 신체 반응을 말한다.
한스 셀리예(Hans Selye) 박사의 정의에 의하면 스트레스란 생성된 어떤 요구에 따른 신체의 비특이성 반응을 말한다. 여기서 요구란 신체의 적응이 필요로 하는 위험, 도전이나 어떤 종류의 변화를 의미한다.
이러한 것에 대한 반응은 자동적이고 즉각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하지만 이런 스트레스가 우리에게 모두 나쁜 것만은 아니다. 스트레스에는 우리 몸에 도움을 주어 더 나은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좋은 스트레스(eustress)와, 우리 몸에 혼란을 야기하고 병들게 하는 나쁜 스트레스(distress)가 있다. 우리가 조심해야 하는 것은 바로 나쁜 스트레스인 것이다.
현대인은 이러한 스트레스를 받지 않을 수는 없고, 이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해 자기에게 맞는 스트레스 해소방법을 찾고 있다.
스트레스 해소방법으로 음악을 듣거나, 운동, 여행 등의 레저 스포츠를 즐기는 등 다양한 방법이 있으나, 금전, 장소 및 시간적인 제약으로 인해 스트레스 해소의 만족 정도가 미미한 실정이다.
한편, 현대인의 자동차 이용 인구수가 증가하는 반면에 도로는 한정됨에 따라 교통 체증이 늘고 있는 추세이며, 교통체증 또는 운전자 간의 시비 등으로 인해 운전 중 받는 스트레스도 늘고 있다.
그런데, 차량의 기능적인 면에 있어서 운전자의 편의성 등을 강조하는 기술이나 서비스가 많이 개발되어 왔으나, 차량 운전자의 감성적인 측면을 고려한 기술이나 서비스 개발은 아직 미흡한 수준에 머물고 있다.
예를 들면 운전 중 다른 운전자와 시비가 붙어서 격한 감정을 유발할 수 있고, 이러한 격한 감정으로 인해 안전사고로 이어질 확률이 높다.
따라서,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현대인들에게 단순한 교통수단이 아닌 감성적 케어(CARE)까지 가능한 스마트한 차량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운전자의 감정상태나 생체리듬, 차량의 실내 조건, 직접적인 구두 명령 등에 따른 맞춤형 향기 및 음으로 운전자의 감성을 자극함으로써, 즐겁게 운전할 수 있고 격한 감정의 발생시 운전을 잠시 멈추고 안전한 장소로 유도하여 안전 운전을 도모할 수 있는 지능형 차량 운전자 기분전환 지원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차량 운전자 기분전환 지원장치는 운전자의 감정상태를 감지하는 운전자 감정상태 감지부; 기입력된 향기 및 음악을 운전자의 감정상태에 따라 운전자의 취향에 맞게 선택하기 위한 기분전환 제어부; 및 상기 기분전환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운전자의 취향에 맞게 선택된 향기 및 음악을 발산 및 실행시키는 기분전환 실행부를 포함하고, 운전자의 감정상태나 생체리듬, 차량의 실내 조건, 직접적인 구두 명령 등에 따른 맞춤형 향기 및 음으로 운전자의 감성을 자극함으로써, 즐겁게 운전할 수 있고 격한 감정의 발생시 운전을 잠시 멈추고 안전한 장소로 유도하여 안전 운전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운전자 감정상태 감지부는 스티어링 휠에 설치되어 운전자의 맥박을 감지하는 맥박측정센서와, 운적석 시트백에 설치되어 운전자의 뇌파를 측정하는 뇌파측정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운전자가 구두로 말하는 경우 기분전환 제어부는 차량 내에 설치된 음성인식부를 통해 운전자의 감정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분전환 실행부는 운전자의 감정상태에 따라 운전자의 취향에 맞는 음악을 실행하는 음악재생수단과, 향기를 발산하기 위한 향기발산부를 포함하고, 운전자의 취향에 맞게 감정상태별로 선택적으로 음악을 실행 및 향기를 발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차량 운전자 기분전환 지원방법은 운전자가 가진 휴대폰에 로그인하여 구두로 운전자의 감정상태를 말하거나 운전자의 바이오리듬을 기분전환제어부에 송신하는 단계; 전자코를 통해 실내공기를 확인하여 환기필요여부에 따라 환기하는 단계; 운전자의 감정상태를 감지하는 단계; 운전자의 감정상태에 따라 운전자의 취향에 맞는 음악을 선곡하여 실행하거나 향기를 발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운전자의 감정상태를 감지하는 단계는 맥박측정센서, 뇌파측정센서, 표정인식부 및 홍채인식부에 의해 운전자의 맥박(심장박동)수, 뇌파 상태, 휴대폰으로부터 수신받은 바이오리듬, 표정 및 홍채 움직임을 감지하여 운전자의 감정상태를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차량 운전자 기분전환 지원장치 및 방법의 장점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운전자의 감정상태나 생체리듬, 차량의 실내 조건, 직접적인 구두 명령 등에 따라 맞춤형 향기 및 음악으로 운전자의 감성을 자극하여 운전자의 감정을 즐겁게 또는 기쁘게 유지함으로써, 즐거운 운전을 가능하게 하고, 격한 감정에선 운전을 멈추고 안전한 장소로 이동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안전 운전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차량 운전자 기분전환 지원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
도 2는 도 1에서 운전자 감정상태 감지부의 설치위치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 3은 도 1에서 뇌파측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4는 도 3에서 운전자의 감정상태별 뇌파의 파형을 보여주는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차량 운전자 기분전환 지원방법의 흐름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하, 당업자라고 칭함)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차량 운전자 기분전환 지원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운전자 감정상태 감지부의 설치위치를 보여주는 개략도이고, 도 3은 도 1에서 뇌파측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운전자의 감정상태별 뇌파의 파형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운전자의 감성을 자극하여 운전을 보다 즐거운 마음으로 할 수 있으며, 격한 감정의 발생 시 운전방지를 통해 안전 운전을 유도할 수 있는 지능형 차량 운전자 기분전환 지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차량 운전자 기분전환 지원장치는 운전자 감정상태 감지부(10)와, 운전자의 기분전환을 위한 기분전환 제어부(20)(ECU)와, 기분전환 실행부(30)로 구성된다.
운전자 감정상태 감지부(10)는 운전자의 감정을 감지하여 차량이 운전자의 감정을 인식할 수 있도록 신호를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운전자 감정상태 감지부(10)는 바이오리듬 검출부, 뇌파측정센서(13), 맥박측정센서(12), 운전자 음성인식부(11), 표정인식부(14), 및 홍채인식부(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바이오리듬 검출부는 운전자가 가지고 있는 휴대폰에 기입력된 생일 등의 데이터 및 정보를 블루투스를 통해 수신하여 운전자의 바이오리듬을 확인할 수 있다.
뇌파측정센서(13)는 운전석 시트, 예를 들면 헤드레스트의 내부에 내장될 수 있고, 블루투스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뇌파 측정을 통해 운전자의 감정상태를 비교적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뇌파 측정은 뇌에 있는 신경세포들이 주변의 다른 신경세포와 상호 작용을 하며 발생하는 전기를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피와 귀를 통해 미세한 신호를 증폭하여 뇌 활동 모드를 분석 및 판단할 수 있다.
뇌파검사 방법은 환자가 편안하게 누워있는 상태에서 두피에 대뇌전기활성을 증폭시킬 수 있는 전극을 붙이고, 과호흡. 광자극 등의 다양한 외부자극으로 뇌 활성을 극대화시켜 여기에서 얻는 파형을 그래프로 기록하는 방식으로 뇌파를 측정 및 검사할 수 있다.
뇌파 측정에 따른 운전자의 감정상태를 그래프로 나타내면 도 4와 같다.
이때, 도 4에서 수면상태, 숙면상태, 혼수상태는 자동차의 운전 시 운전자의 감정상태에 해당 되지 않는다.
맥박측정센서(12)는 운전자의 손바닥 및 손가락 등이 접촉하기 쉬운 스티어링 휠(steering wheel) 및 변속레버(transmission lever)에 설치될 수 있고, 이 맥박측정센서(12)를 통해 손바닥 및 손가락 등에서 발생되는 미세 신호를 증폭하여 운전자의 맥박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운전자 음성인식부(11), 표정인식부(14), 홍채인식부(15)는 각각 당업자에게 주지된 기술중에서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선택적으로 채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운전자 음성인식부(11), 표정인식부(14) 및 홍채인식부(15)는 운전자의 음성을 쉽게 인식하고, 운전자의 표정인식 및 홍채인식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운전석 햇빛가리개 주변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운전자 음성인식부(11)는 마이크를 내장하고, 운전자의 음성을 증폭하여 차량의 기분전환 제어부(20)가 운전자의 소리를 명확히 인식할 수 있다.
표정인식부(14) 및 홍채인식부(15)는 운전자의 얼굴과 마주보는 위치에 설치된 카메라를 이용할 수 있고, 이 카메라를 통해 운전자의 얼굴 및 홍채를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운전자의 기분 및 감정상태를 차량에 전달하기 위한 방법 및 작동모드는 운전자의 음성을 통해 운전자가 직접 명령하는 수동모드와, 운전자의 명령 없이 차량 내부에 장착된 운전자 감정상태 감지부(10)를 통해 자동으로 운전자의 감정상태를 감지하는 자동모드로 구분할 수 있다.
기분전환 제어부(20)(ECU;Entertainment Control Unit)는 운전자 감정상태 감지부(10)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운전자의 기분전환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기분전환 제어부(20)는 C-CAN 통신을 통해 운전자 감정상태 감지부(10)로부터 데이터나 정보를 수신받거나 감지부(10)에 송신할 수 있다.
기분전환 실행부(30)는 운전자의 기분전환을 위해 음악 및 향기 등을 차량에서 실행할 수 있는 작동수단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이모티콘을 이용하여 운전자의 기분 상태를 표현하는 풀(Full) LCD 클러스터 디스플레이(31)가 이에 해당 될 수 있다.
또한, 기분전환 실행부(30)는 운전자의 취향에 맞게 음악을 자동 실행하는 음악재생수단(32)(예를 들어, AVN;Audio/Video/Navigation 일체형)과, 공조장치(37) 등을 제어하는 바디제어부(33)(BCM)와, 운전자의 취향에 맞게 향기를 발산하는 향기발산부(34)와, 운전자의 격한 감정 발생시 운전을 방지할 수 있는 엔진 ECU(36)(Electronic Control Unit)를 포함할 수 있다.
기분전환 실행부(30)는 차량 실내에서 발생되는 불쾌한 냄새 또는 담배 냄새 등의 악취를 감지할 수 있는 전자코(35)(electric nose)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전자코(35)는 향기발산부(34)와 데이터나 정보를 서로 송수신함으로써, 향기발산부(34)를 통해 운전자의 취향에 맞는 향기를 발산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기분전환 실행부(30)는 LIN(Local Interconnect Network) 통신 또는 C-CAN 통신 등을 통해 기분전환 제어부(20)로부터 정보 등을 송수신할 수 있고, 운전자의 감정상태에 따라 운전자의 취향에 맞는 음악을 자동 실행 및 향기를 발산시켜 운전자의 기분을 전환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지능형 차량 운전자 기분전환 지원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차량 운전자 기분전환 지원방법의 흐름도이다.
지능형 차량 운전자 기분전환 지원장치의 작동방법은 운전자의 휴대폰(블루투스 기능이 내장됨)을 통해 버튼을 조작하거나 운전자가 직접 음성으로 말함으로써 운전자의 감정상태를 차량의 기분전환 제어부(20)에 전달하는 수동모드와, 운전자의 뇌파, 맥박 측정 등을 통해 운전자의 감정을 자동으로 감지하는 자동모드로 구분할 수 있다.
1)수동모드
운전자가 휴대폰에 프로그램된 로직을 로그인하여 운전자 명령을 할 것인가에 대하여 YES 또는 NO로 답변하고, YES 인 경우 운전자의 감정상태를 구두로 말할 수 있다.
운전자 명령에 대하여 NO로 답변한 경우에 운전자의 바이오리듬을 휴대폰에서 차량의 기분전환제어부(20)로 송신한다.
음성을 통해 운전자의 감정상태를 차량에 전달하는 경우, 운전자 음성인식부(11)는 운전자의 음성에 의해 운전자의 명령에 따라 즐겁다(Joyment), 기쁘다/행복하다(Pleasure/Happy), 슬프다(Sadness), 분노하다(Anger) 등을 검출하여 기분전환제어부(20)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운전자 음성인부에서 운전자의 감정상태를 감지한 후, 차량의 실내에 장착된 전자코(35)를 작동시켜 전자코(35)를 통해 실내 공기를 확인한다.
이어서, 전자코(35)에 의해 실내 공기를 측정한 후, 기분전환 제어부(20)를 통해 기입력된 악취지수(사람의 후각을 통해 느끼는 악취 정도를 나타내는 지수)와 비교 판단하여 악취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그 다음, 기분전환 제어부(20)는 악취정도에 따라 환기시킬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실내공기를 환기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 BCM을 통해 공조장치(37)를 이용하여 실내공기를 환기시키거나 윈도우 액추에이터를 이용하여 윈도우를 개방시켜 환기시킬 수 있다.
환기시킬 필요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운전자 감정상태 감지부(10)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운전자의 감정상태를 감지한 후 운전자의 감정상태별로 음악을 실행하고 향기를 발산시킬 수 있으며, 음악 실행과 향기 발산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음악 실행 및 향기를 발산한 후 시간이 경과하면 차량의 기분전환 제어부(20)가 운전자 감정상태 감지부(10)를 통해 운전자의 감정상태를 확인하여 조건에 따라 상기한 환기, 음악 실행, 향기 발산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
2)자동모드
운전자가 휴대폰의 버튼 조작을 통해 운전자의 명령 없이도 차량에 장착된 운전자 감정상태 감지부(10)를 통해 차량의 기분전환 제어부(20)가 운전자의 감정상태를 인식할 수 있다.
운전자의 감정상태를 나타내는 주요 인자인 맥박(심장박동)수가 기준값 이상인지 여부 또는 뇌파 상태가 흥분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기분전환 제어부(20)는 맥박측정센서(12)로부터 입력받은 맥박수를 백분율로 표시할 수 있고, 뇌파측정센서(13)를 통해 뇌파의 파형을 통해 운전자의 감정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만약 운전자의 감정이 격한 상태여서 운전시 안전사고 발생확률이 높다고 판단된 경우, 기분전환 제어부(20)가 엔진 ECU(36)에 신호를 보내어 엔진 ECU(36)의 제어에 의해 운전자가 운전을 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운전자가 격한 감정 상태인 경우에 엔진 ECU(36)가 가속페달의 작동을 불가능하게 만들어 운전자가 가속페달을 밟아도 설정값 이상으로 차속이 증가되지 않도록 하여, 다른 안전한 장소로 차량을 이동시킨 후 운전을 잠시 멈출 수 있도록 유도한다.
예를 들면, 상기 맥박수가 90~100% 이거나 뇌파 상태가 흥분상태여서 운전자의 감정상태가 격한 감정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차속이 10km/h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차속이 10km/h 이하인 경우 안전한 장소로 이동하여 운전을 잠시 멈추고 실내 환기, 음악이나 향기 등을 통해 기분을 전환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차속이 10km/h를 초과 시 가속페달의 작동을 불가능하게 하는 경우 운전자가 급작스런 가속페달의 작동불능으로 오히려 당황하거나 안전사고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실내 환기, 음악이나 향기 등을 통해 기분전환을 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운전자의 맥박이 90% 미만 이거나 뇌파 상태가 흥분상태가 아닌 경우에 가속페달을 엔진 ECU(36)에 의해 가능하게 만들고 운전자 감정상태 감지부(10)를 통해 운전자의 감정상태를 체크한다.
예를 들면, 운전자의 감정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운전자의 휴대폰으로부터 블루투스를 통해 운전자의 바이오리듬을 파악할 수 있고, 맥박측정센서(12)를 통해 운전자의 맥박수를 입력받을 수 있고, 뇌파측정센서(13)를 통해 운전자의 뇌파상태를 기록할 수 있고, 카메라 등을 통해 운전자의 표정 및 홍체의 상태를 인식할 수 있다.
이때, 바이오리듬(신체,감성,지성리듬)의 경우 점수를 통해 높고 낮음을 알 수 있고, 바이오리듬의 점수가 높을수록 운전자의 상태가 좋다.
운전자의 맥박을 백분율로 표시할 수 있고, 맥박이 높을수록 운전자의 감정상태가 격해지고 있음을 알 수 있고, 맥박수가 90% 이상인 경우 운전자가 운전을 잠시 멈춘 후 정상상태로 되돌아 오면 다시 운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뇌파의 경우 뇌파의 파형을 통해 졸음, 이완, 흥분 상태로 구분할 수 있고, 흥분 상태인 경우 운전자가 운전을 잠시 멈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얼굴 표정의 경우 영상기록을 통해 즐거운 표정, 보통, 화난 표정을 알 수 있고, 홍채 인식의 경우 홍채의 흔들림을 통해 안정 상태, 보통, 불안정 상태를 구분할 수 있다.
이때, 운전자의 감정상태에 영향을 주는 인자(맥박, 뇌파, 표정, 홍채, 바이오리듬)에 따라 가중치를 다르게 하여, 예를 들면 맥박 3, 나머지 뇌파, 표정, 홍채 상태는 2, 바이오리듬은 1의 가중치를 두고 운전자의 감정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운전자 감정상태 감지부(10)로부터 맥박, 뇌파측정, 표정, 홍채인식, 바이오리듬 등의 신호를 받아 운전자의 감정상태를 판단 및 결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운전자의 감정상태를 이모티콘을 사용하여 클러스터 디스플레이(31)에 표시할 수 있다.
이어서, 기분전환 제어부(20)에 의해 운전자 감정상태가 결정되면, 차량에 설치된 전자코(35)를 통해 실내공기를 확인하고, 환기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한 후 환기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실내를 환기시키고, 그렇지 않은 경우 운전자의 감정 상태별로 음악을 실행하거나 향기를 발산시킬 수 있다.
향수와 음악은 감정 및 연령별로 구분될 수 있고, 예를 들면 다음 표 1과 같다.
Figure pat00001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운전자의 감정상태를 기쁘다(Pleasure)/행복하다(Happy), 화나다(Anger), 슬프다(Sadness), 즐겁다(Joyment)로 구분하고, 음악 및 향수를 감정별로 기쁨 상태인 경우 음악(music)Ⅰ/향수(Perfume)Ⅰ, 분노 상태인 경우 음악Ⅱ/향수Ⅱ, 슬픔 상태인 경우 음악Ⅲ/향수Ⅲ, 즐거움 상태인 경우 음악Ⅳ/향수Ⅳ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음악 및 향수는 운전자의 취향에 맞게 감정별로 각 1개씩 총 4개를 선택할 수 있다.
기분전환 제어부(20)는 상기와 같이 운전자의 취향에 맞게 선택된 음악 및 향수를 AVN을 통해 실행 및 발산시킬 수 있다.
그리고, 운전자의 감정상태를 시간 10ms 마다 수시로 체크하여, 운전자의 감정상태에 따라 음악이나 향수 등을 이용하여 운전 중 운전자의 감정을 즐겁게 또는 기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운전자의 감정상태나 생체리듬, 차량의 실내 조건, 직접적인 구두 명령 등에 따라 맞춤형 향기 및 음악으로 운전자의 감성을 자극하여 운전자의 감정을 즐겁게 또는 기쁘게 유지함으로써, 즐거운 운전을 가능하게 하고, 격한 감정에선 운전을 멈추고 안전한 장소로 이동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안전 운전을 도모할 수 있다.
10 : 운전자 감정상태 감지부
11 : 운전자 음성인식부
12 : 맥박측정센서 13 : 뇌파측정센서
14 : 표정인식부 15 : 홍채인식부
20 : 기분전환 제어부 30 : 기분전환 실행부
31 : 클러스터 디스플레이
32 : 음악재생수단 33 : 바디제어부
34 : 향기발산부 35 : 전자코
36 : 엔진 ECU 37 : 공조장치

Claims (7)

  1. 운전자의 감정상태를 감지하는 운전자 감정상태 감지부(10);
    기입력된 향기 및 음악을 운전자의 감정상태에 따라 운전자의 취향에 맞게 선택하기 위한 기분전환 제어부(20); 및
    상기 기분전환 제어부(20)의 제어신호에 따라 운전자의 취향에 맞게 선택된 향기 및 음악을 발산 및 실행시키는 기분전환 실행부(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차량 운전자 기분전환 지원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 감정상태 감지부(10)는 스티어링 휠에 설치되어 운전자의 맥박을 감지하는 맥박측정센서(12)와, 운적석 시트백에 설치되어 운전자의 뇌파를 측정하는 뇌파측정센서(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차량 운전자 기분전환 지원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운전자가 구두로 말하는 경우 기분전환 제어부(20)는 차량 내에 설치된 음성인식부(11)를 통해 운전자의 감정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차량 운전자 기분전환 지원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분전환 실행부(30)는 운전자의 감정상태에 따라 운전자의 취향에 맞는 음악을 실행하는 음악재생수단(32)과, 향기를 발산하기 위한 향기발산부(34)를 포함하고, 운전자의 취향에 맞게 감정상태별로 선택적으로 음악을 실행 및 향기를 발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차량 운전자 기분전환 지원장치.
  5. 운전자가 가진 휴대폰에 로그인하여 구두로 운전자의 감정상태를 말하거나 운전자의 바이오리듬을 기분전환제어부(20)에 송신하는 단계;
    전자코(35)를 통해 실내공기를 확인하여 환기필요여부에 따라 환기하는 단계;
    운전자의 감정상태를 감지하는 단계;
    운전자의 감정상태에 따라 운전자의 취향에 맞는 음악을 선곡하여 실행하거나 향기를 발산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차량 운전자 기분전환 지원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의 감정상태를 감지하는 단계는 맥박측정센서(12), 뇌파측정센서(13), 표정인식부(14) 및 홍채인식부(15)에 의해 운전자의 맥박(심장박동)수, 뇌파 상태, 휴대폰으로부터 수신받은 바이오리듬, 표정 및 홍채 움직임을 감지하여 운전자의 감정상태를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차량 운전자 기분전환 지원방법.
  7. 청구항 5에 있어서,
    운전자의 맥박수가 기준값 이상이거나 뇌파상태가 흥분상태인 경우에 운전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차량 운전자 기분전환 지원방법.

KR1020110086542A 2011-08-29 2011-08-29 지능형 차량 운전자 기분전환 지원장치 및 방법 KR1013051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6542A KR101305129B1 (ko) 2011-08-29 2011-08-29 지능형 차량 운전자 기분전환 지원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6542A KR101305129B1 (ko) 2011-08-29 2011-08-29 지능형 차량 운전자 기분전환 지원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3628A true KR20130023628A (ko) 2013-03-08
KR101305129B1 KR101305129B1 (ko) 2013-09-12

Family

ID=48175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6542A KR101305129B1 (ko) 2011-08-29 2011-08-29 지능형 차량 운전자 기분전환 지원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5129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7060B1 (ko) * 2013-09-06 2014-10-07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운전자의 뇌파를 통해 차량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690464B1 (ko) * 2016-07-18 2016-12-27 남재현 바이오리듬 기반 산업현장용 안전관리 시스템
CN110304035A (zh) * 2018-03-20 2019-10-08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控制装置
KR20190122350A (ko) * 2018-04-20 2019-10-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헬멧 및 헬멧의 제어 방법
KR20190131886A (ko) * 2018-05-18 2019-11-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CN110920628A (zh) * 2018-09-03 2020-03-27 现代自动车株式会社 车辆和车辆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7933A (ko) 2014-05-07 2015-11-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실감효과 재현 장치 및 그 방법
US10150351B2 (en) 2017-02-08 2018-12-11 Lp-Research Inc. Machine learning for olfactory mood alteration
WO2018147838A1 (en) * 2017-02-08 2018-08-16 Lin Zhuohua Machine learning for olfactory mood alteration
KR20240009191A (ko) * 2022-07-13 2024-01-22 박소현 개인 맞춤형 향기 추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65377A (ja) * 2006-03-01 2007-10-11 Toyota Central Res & Dev Lab Inc 運転者状態判定装置及び運転支援装置
KR20070111138A (ko) * 2006-05-17 2007-11-21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자동차 내부 공기 정화 장치 및 방법
JP2008036354A (ja) * 2006-08-10 2008-02-21 Tokai Rika Co Ltd 車両の生体情報通信システム
KR101173944B1 (ko) * 2008-12-01 2012-08-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차량 운전자의 감성 조절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7060B1 (ko) * 2013-09-06 2014-10-07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운전자의 뇌파를 통해 차량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690464B1 (ko) * 2016-07-18 2016-12-27 남재현 바이오리듬 기반 산업현장용 안전관리 시스템
CN110304035A (zh) * 2018-03-20 2019-10-08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控制装置
KR20190122350A (ko) * 2018-04-20 2019-10-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헬멧 및 헬멧의 제어 방법
KR20190131886A (ko) * 2018-05-18 2019-11-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CN110920628A (zh) * 2018-09-03 2020-03-27 现代自动车株式会社 车辆和车辆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5129B1 (ko) 2013-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5129B1 (ko) 지능형 차량 운전자 기분전환 지원장치 및 방법
JP4572889B2 (ja) 自動車用ユーザーもてなしシステム
US7394392B1 (en) Expert system safety screening of equipment operators
CN111762176B (zh) 用于调整至少部分自动化驾驶的车辆的驾驶策略的方法和设备
CN107554528B (zh) 驾乘人员的疲劳等级检测方法及装置、存储介质、终端
JP2009208727A (ja) 自動車用ユーザーもてなしシステム
JP2017073107A (ja) 情報提示装置の制御方法、及び、情報提示装置
JP2003072488A (ja) 車載装置、車両及び車両情報の処理方法
JP2019525861A (ja) 自動車を操作するための方法及び自動車
JP2009134496A (ja) 運転支援装置及び運転支援方法
EP3279897B1 (en) Safety device for a vehicle
US10814886B2 (en) System of optimizing activation degree of occupant of vehicle
JP6115577B2 (ja) 車両用乗員感情対応制御装置
JP2006282116A (ja) 自動車用ユーザーもてなしシステム
CN111452747A (zh) 一种车载健康监测方法及监测系统
JP2007130454A (ja) 移動体搭乗者の心身状態調整装置及び心身状態調整装置の制御方法
WO2019220428A1 (en) Emotional state monitoring and modification system
JP6472169B2 (ja) 移動体機器制御装置、携帯端末、移動体機器制御システムおよび移動体機器制御方法
CN113397548A (zh) 驾驶员监测系统中将驾驶情绪与媒体诱发情绪分离的技术
JP2020103462A (ja) 感情推定装置、環境提供システム、車両、感情推定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4968532B2 (ja) 自動車用ユーザーもてなしシステム
CN114194122A (zh) 一种安全提示系统及汽车
JP2006232229A (ja) 車載用酸素供給システム
JP2019053694A (ja) 情報出力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14954318A (zh) 一种车辆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以及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