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0533A - 플렉시블 기판 및 터치패널 - Google Patents
플렉시블 기판 및 터치패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20533A KR20130020533A KR1020120042973A KR20120042973A KR20130020533A KR 20130020533 A KR20130020533 A KR 20130020533A KR 1020120042973 A KR1020120042973 A KR 1020120042973A KR 20120042973 A KR20120042973 A KR 20120042973A KR 20130020533 A KR20130020533 A KR 2013002053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lm
- wiring
- flexible substrate
- touch panel
- wiring lay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1—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1/118—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specially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e.g. using folded por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Input devices, e.g. touch panel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4—Connections between sensors and controllers, e.g. routing lines between electrodes and connection pad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resistive elements, e.g. a single continuous surface or two parallel surfaces put in contac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3—Peripheral electrode pattern in resistive digitisers, i.e. electrodes at the periphery of the resistive sheet are shaped in patterns enhancing linearity of induced field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20—Details of printed circuits not provided for in H05K2201/01 - H05K2201/10
- H05K2201/2009—Reinforced areas, e.g. for a specific part of a flexible printed circ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Structure Of Printed Board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도가 높은 플렉시블 기판 및 터치패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플렉시블 기판은, 제1 플렉시블 필름과, 상기 제1 플렉시블 필름에 적층되고 일단이 터치패널의 제1 전극 또는 제2 전극 중 어느 하나에 접속되는 제1 배선층과, 제2 플렉시블 필름과, 상기 제2 플렉시블 필름에 적층되고 일단이 상기 제1 전극 또는 상기 제2 전극 중 다른 하나에 접속되는 제2 배선층과, 상기 제1 플렉시블 필름과 상기 제2 플렉시블 필름의 사이를 접착하는 접착층과, 상기 제1 배선층에 적층되고 상기 제1 배선층의 양단을 노출시키는 제1 커버 필름과, 상기 제2 배선층에 적층되고 상기 제2 배선층의 양단을 노출시키는 제2 커버 필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플렉시블 기판은, 제1 플렉시블 필름과, 상기 제1 플렉시블 필름에 적층되고 일단이 터치패널의 제1 전극 또는 제2 전극 중 어느 하나에 접속되는 제1 배선층과, 제2 플렉시블 필름과, 상기 제2 플렉시블 필름에 적층되고 일단이 상기 제1 전극 또는 상기 제2 전극 중 다른 하나에 접속되는 제2 배선층과, 상기 제1 플렉시블 필름과 상기 제2 플렉시블 필름의 사이를 접착하는 접착층과, 상기 제1 배선층에 적층되고 상기 제1 배선층의 양단을 노출시키는 제1 커버 필름과, 상기 제2 배선층에 적층되고 상기 제2 배선층의 양단을 노출시키는 제2 커버 필름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플렉시블 기판 및 터치패널에 관한 것이다.
터치패널은 디스플레이에 직접 입력할 수 있는 입력 디바이스로서 디스플레이의 앞면에 설치하여 사용된다. 이 터치패널은 디스플레이에 의해 시각적으로 파악한 정보에 근거하여 직접 입력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여러 가지 용도로 보급되어 있다.
이와 같은 터치패널로서는 저항막 방식이 널리 알려져 있다. 저항막 방식의 터치패널은 투명도전막이 형성된 상부전극기판 및 하부전극기판에 있어서 각각의 투명도전막끼리가 대향하도록 설치하고, 상부전극기판의 한 점에 힘을 가함으로써 각각의 투명도전막끼리가 접촉하여 힘이 가해진 위치의 위치 검출을 행할 수 있다.
터치패널의 상부전극기판의 투명도전막과 하부전극기판의 투명도전막은, 예를 들어, 플렉시블 기판제의 배선을 통하여 접촉된 위치의 좌표를 검출하는 좌표 검출부에 접속되어 있다.
플렉시블 기판으로서는 여러 가지의 것들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그런데, 터치패널은 설치 스페이스가 한정된 장소에 설치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이나 소형의 게임기 등의 전자장치에 사용되는 경우가 그 전형적인 예이다.
스페이스가 한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플렉시블 기판제의 배선이 크게 접혀 구부러지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 종래의 플렉시블 기판은 충분한 강도를 가지지 못한다는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강도가 높은 플렉시블 기판 및 터치패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플렉시블 기판은, 제1 플렉시블 필름과, 상기 제1 플렉시블 필름에 적층되고 일단이 터치패널의 제1 전극 또는 제2 전극 중 어느 하나에 접속되는 제1 배선층과, 제2 플렉시블 필름과, 상기 제2 플렉시블 필름에 적층되고 일단이 상기 제1 전극 또는 상기 제2 전극 중 다른 하나에 접속되는 제2 배선층과, 상기 제1 플렉시블 필름과 상기 제2 플렉시블 필름의 사이를 접착하는 접착층과, 상기 제1 배선층에 적층되고 상기 제1 배선층의 양단을 노출시키는 제1 커버 필름과, 상기 제2 배선층에 적층되고 상기 제2 배선층의 양단을 노출시키는 제2 커버 필름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배선층 및 상기 제2 배선층의 상기 일단측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렉시블 필름과 상기 제2 플렉시블 필름의 사이에 배치되는 보강부를 더 포함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 제1 플렉시블 필름, 상기 제2 플렉시블 필름 또는 상기 접착층의 두께는, 상기 플렉시블 기판의 두께가 상기 터치패널의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의 간격에 맞도록 조정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보강부는, 상기 보강부의 상기 제1 배선층 및 상기 제2 배선층의 상기 일단과는 반대측 단부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선층 및 상기 제2 배선층의 폭방향으로 형성되는 모따기부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보강부의 상기 제1 배선층 및 상기 제2 배선층의 상기 일단과는 반대측 단부는, 평면도에서 볼 때 상기 제1 커버 필름 및 상기 제2 커버 필름과 중복되는 중복부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보강부의 상기 제1 배선층 및 상기 제2 배선층의 상기 일단과는 반대측 단부는, 상기 제1 배선층 및 상기 제2 배선층의 폭방향에 대하여 평면도에서 볼 때 곡선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터치패널은, 상기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플렉시블 기판과, 상기 제1 전극이 제1 기판상에 형성된 제1 전극기판과, 상기 제2 전극이 제2 기판상에 형성된 제2 전극기판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전극은 복수의 도전 영역으로 분할된 제1 도전막이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강도가 높은 플렉시블 기판 및 터치패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비교예의 터치패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비교예의 터치패널의 단면 개요도이다.
도 3은 비교예의 4선식 터치패널에 있어서의 접촉 위치를 검출하는 원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비교예의 5선식 터치패널에 있어서의 접촉 위치를 검출하는 원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비교예의 터치패널의 상부전극기판의 구조도이다.
도 6은 비교예의 터치패널의 하부전극기판의 구조도이다.
도 7은 비교예의 터치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비교예의 터치패널의 설명도이다.
도 9는 비교예의 플렉시블 기판(26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비교예의 5선식 터치패널용 플렉시블 기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실시형태 1의 플렉시블 기판(10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실시형태 1의 제1 변형예에 따른 플렉시블 기판(100A)의 단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실시형태 1의 제2 변형예에 따른 보강부(120C)의 평면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실시형태 2의 5선식 터치패널용 플렉시블 기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비교예의 터치패널의 단면 개요도이다.
도 3은 비교예의 4선식 터치패널에 있어서의 접촉 위치를 검출하는 원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비교예의 5선식 터치패널에 있어서의 접촉 위치를 검출하는 원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비교예의 터치패널의 상부전극기판의 구조도이다.
도 6은 비교예의 터치패널의 하부전극기판의 구조도이다.
도 7은 비교예의 터치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비교예의 터치패널의 설명도이다.
도 9는 비교예의 플렉시블 기판(26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비교예의 5선식 터치패널용 플렉시블 기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실시형태 1의 플렉시블 기판(10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실시형태 1의 제1 변형예에 따른 플렉시블 기판(100A)의 단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실시형태 1의 제2 변형예에 따른 보강부(120C)의 평면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실시형태 2의 5선식 터치패널용 플렉시블 기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플렉시블 기판 및 터치패널을 적용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플렉시블 기판 및 터치패널에 대하여 설명하기 전에, 먼저 도 1 내지 도 4를 이용하여 비교예의 터치패널에 대하여 설명한다.
저항막 방식의 터치패널은 4선식과 5선식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4선식은 상부전극기판 또는 하부전극기판 중 어느 하나에 X축 전극이 형성되어 있고, 다른 하나에 Y축 전극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5선식은 하부전극기판에 X축 전극 및 Y축 전극이 함께 형성되어 있고, 상부전극기판은 전압을 검출하기 위한 프로브로서 기능한다.
도 1 및 도 2에 근거하여 터치패널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터치패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터치패널의 단면 개요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터치패널(200)은 4선식 또는 5선식 터치패널이다. 터치패널(200)이 4선식이어도 5선식이어도 외관은 대략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4선식 터치패널에 대하여도 5선식 터치패널에 대하여도 동일한 부호 200을 사용한다.
터치패널(200)은, 상부전극기판이 되는 어느 한면에 투명도전막(230)이 형성된 필름(210)과, 하부전극기판이 되는 어느 한면에 투명도전막(240)이 형성된 유리기판(220)을 포함하고, 투명도전막(230) 및 투명도전막(240)이 대향하도록 스페이서(250)를 통하여 설치되어 있다. 터치패널(200)과 도시 생략된 호스트 컴퓨터는 플렉시블 기판(FPC : Flexible Printed Circuit)(260)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터치패널(200)이 4선식인 경우에는, 도 3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투명전극(230)의 단부가 서로 마주보는 2변에 형성된 전극(231, 232)과 투명도전막(240)의 단부가 서로 마주보는 2변에 형성된 전극(241, 242)에 의해 X축 방향, Y축 방향으로 교대로 전압을 인가하고, 투명도전막(230)과 투명도전막(240)이 접촉 위치 A점에서 접촉함으로써, 도 3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투명도전막(230)을 통하여 전위(Va)를 검출하고 X축 방향 및 Y축 방향의 각각의 좌표 위치를 검출한다.
또한, 터치패널(200)이 5선식인 경우는, 도 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투명도전막(240)의 단부의 4변에 형성된 전극(241, 242, 243, 244)에 의해 X축 방향, Y축 방향으로 교대로 전압을 인가하고, 투명도전막(230)과 투명도전막(240)이 접촉 위치 A점에서 접촉함으로써, 도 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투명도전막(230)을 통하여 전위(Va)를 검출하고 X축 방향 및 Y축 방향의 각각의 좌표 위치를 검출한다.
다음으로, 도 5 내지 도 8을 이용하여 비교예의 멀티터치 방식의 터치패널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비교예의 터치패널의 상부전극기판의 구조도이고, 도 6은 비교예의 터치패널의 하부전극기판의 구조도이며, 도 7은 비교예의 터치패널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비교예의 터치패널의 설명도이다. 도 5 내지 도 8에 나타낸 터치패널은 5선식이다.
비교예의 터치패널은, 필름(210)의 어느 한면에 투명도전막(230)이 형성된 대략 직사각형상의 상부전극기판(10)과, 상부전극기판(10)과 대략 같은 형상의 유리기판(220)의 어느 한면에 투명도전막(240)이 형성된 하부전극기판(20)을 포함한다.
또한, 터치패널은 좌표 검출 회로(50)를 갖는 구동회로(51)를 더 포함한다. 또한, 도 7에 나타낸 좌표 검출 회로(50) 및 구동회로(51)는 일례에 불과하며, 좌표 검출 회로(50) 및 구동회로(51)의 구성은 도 7에 나타낸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부전극기판(10)과 하부전극기판(20)은, 상부전극기판(10)에 있어서의 투명도전막(230)과 하부전극기판(20)에 있어서의 투명도전막(240)이 대향하도록 스페이서(250) 등을 통하여 접착제 또는 양면테이프로 접합되어 있다.
투명도전막(230)의 각각의 도전 영역의 분할은 도전 영역이 되는 영역간의 투명도전막(230)을 제거함으로써 행해진다. 이로써, 분할된 도전 영역간을 전기적으로 절연할 수 있다. 각각의 분할된 투명도전막(230)은 상부전극기판(10)의 단변 방향의 양단에 형성된 인출 전극부(13)에 있어서의 각각의 인출 전극과 접속되어 있고, 상부전극기판(10)의 주위에 배선되어 상부전극기판(10)의 장변 방향의 어느 한 단부에서 플렉시블 기판(260)과 접속되어 있다. 플렉시블 기판(260)의 단부에는 단자(260A)가 접속되어 있다. 단자(260A)는 좌표 검출 회로(50)를 포함하는 구동회로(51)(도 7 참조)에 접속된다.
플렉시블 기판(260)은 도 5에 나타낸 측의 면과 도 6에 나타낸 측의 면의 양측에 배선이 형성되어 있고, 단자(260A)는 양면에 단자가 있는 양접점형 단자로 되어 있다.
또한, 하부전극기판(20)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전극기판(20)을 구성하는 4변의 단부에 있어서, 투명도전막(240) 상에 직사각형상 고리형 전극(23)이 형성되어 있다. 전극(23)은, 예를 들어 Ag 또는 Ag-C제의 저항막으로 구성되어 있고, 4개의 정점부(LL, LR, UL, UR)에는 각 정점부의 전위를 제어하기 위하여 인출선이 접속되어 있다. 이 인출선은 하부전극기판(20)의 주위로부터 인출되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전극기판(20)의 장변 방향의 어느 한 단부에서 플렉시블 기판(260)에 접속되어 있다.
플렉시블 기판(260)의 단자(260A)는 구동회로(51)에 접속되어 있고, 나아가 도시 생략된 호스트 컴퓨터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투명도전막(230) 및 투명도전막(240)을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ITO(Indium Tin Oxide), ZnO(산화아연)에 Al 또는 Ga 등이 첨가된 재료, SnO2(산화주석)에 Sb 등이 첨가된 재료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필름(210)은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C(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및 가시 영역에 있어서 투명인 수지 재료를 들 수 있다. 나아가, 유리기판(220) 대신에 수지 기판을 사용하여도 된다.
비교예의 터치패널은, 상부전극기판(10)을 손가락 등에 의해 누름으로써 상부전극기판(10)에 있어서의 투명도전막(230)과 하부전극기판(20)에 있어서의 투명도전막(240)이 접촉하고, 접촉한 위치에서의 전압을 검지함으로써, 상부전극기판(10)과 하부전극기판(20)의 접촉 위치, 즉 상부전극기판(10)이 손가락 등에 의해 압압된 위치가 특정된다. 구체적으로는, 상부전극기판(10)에 있어서, 분할된 투명도전막(230)의 각각에 대하여 시분할에 의한 주사가 되어 있고, 접촉한 타이밍에 의해 접촉 위치가 포함되는 도전 영역을 특정할 수 있다.
또한, 하부전극기판(20)에 있어서의 투명도전막(240) 상에 형성된 직사각형상 고리형 전극(23)의 정점부(LL, LR, UL, UR)에 구동회로(51)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함으로써 X축 방향, Y축 방향으로 교대로 전압이 인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부전극기판(10)에 있어서 투명도전막(230)을 분할하여 도전 영역을 형성함으로써, 상부전극기판(10)과 하부전극기판(20)이 접촉한 접촉 위치가 복수이어도 분할된 투명도전막(230)의 도전 영역마다 접촉 위치를 좌표 검출 회로(50)에 의해 특정할 수 있으므로 각각의 접촉 위치를 독립적으로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전극기판(10)에 있어서의 투명도전막(230)과 하부전극기판(20)에 있어서의 투명도전막(240)의 접촉 위치가 화살표 A, B, C, D, E로 나타낸 바와 같이 5개인 경우에도, 각각의 접촉 위치는 분할된 투명도전막(230)의 영역이 상이하므로 각각 독립적으로 접촉 위치가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상부전극기판(10)과 하부전극기판(20)의 접촉 위치가 화살표 A로 나타낸 위치인 경우 투명도전막(230)의 도전 영역(230a)에서 접촉하고 있고, 접촉 위치가 화살표 B로 나타낸 위치인 경우 투명도전막(230)의 도전 영역(230b)에서 접촉하고 있으며, 접촉 위치가 화살표 C로 나타낸 위치인 경우 투명도전막(230)의 도전 영역(230c)에서 접촉하고 있고, 접촉 위치가 화살표 D로 나타낸 위치인 경우 투명도전막(230)의 도전 영역(230d)에서 접촉하고 있으며, 접촉 위치가 화살표 E로 나타낸 위치인 경우 투명도전막(230)의 도전 영역(230e)에서 접촉하고 있지만, 투명도전막(230)의 도전 영역(230a , 230b, 230c, 230d, 230e)은 서로 절연된 상이한 영역이므로 각각을 독립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상부전극기판(10)과 하부전극기판(20)의 접촉 위치가 5개인 경우에도 각각의 접촉 위치를 특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으로부터, 투명도전막(230)과 투명도전막(240)의 접촉 위치가 복수이어도 접촉한 도전 영역을 특정할 수 있으며, 투명도전막(240)에 있어서의 전위 분포를 검출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좌표 위치를 검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투명도전막(230)과 투명도전막(240)의 접촉 위치를 이동시킨 경우에도 접촉 위치가 이동한 것을 인식할 수 있으며, 투명도전막(240)에 있어서의 전위 분포를 검출함으로써 이동한 접촉 위치의 위치 좌표를 검출할 수도 있다.
도 9는 비교예의 플렉시블 기판(26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의 (A1)~(A6)은 플렉시블 기판(260)을 각층으로 분해한 평면도이고, 도 9의 (B)는 도 9의 (A1)~(A6)에 있어서의 A-A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플렉시블 기판(260)은 4선식 터치패널용 플렉시블 기판이다.
도 9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렉시블 기판(260)은 커버 필름(261), 접착층(262), 배선부(263), 접착층(264), 베이스 필름(265), 접착층(266), 배선부(267), 접착층(268), 커버 필름(269) 및 보강부(270)를 포함한다.
커버 필름(261), 접착층(262), 배선부(263), 접착층(264), 베이스 필름(265), 접착층(266), 배선부(267) 및 커버 필름(269)은 이 순서로 적층되어 있고, 보강부(270)는 커버 필름(261)의 표면에 접착되어 있다.
커버 필름(261)은 플렉시블 기판(260)의 어느 한면(도면에 있어서 하면)을 피복하는 플렉시블 필름이고, 예를 들어 폴리이미드제 필름으로 구성된다. 커버 필름(261)은 접착층(262)에 의해 배선부(263)에 접착되어 있다. 커버 필름(261)은 도 9의 (A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면도에서 볼 때 T자형이다.
접착층(262)은, 예를 들어 아크릴계 또는 에폭시계 접착제로 구성되고, 커버 필름(261)과 배선부(263)를 접착한다. 또한, 접착층(262)은 보강부(270)의 상측에 있어서 접착층(264)과 접착되어 있다.
배선부(263)는, 예를 들어 동박(copper foil)으로 구성되고, 터치패널(200)의 도전막과 좌표 검출 회로(50)를 갖는 구동회로(51)를 접속하는 배선이다. 배선부(263)는 도 9의 (A4)에 나타낸 바와 같이, 4개의 배선부(263A, 263B, 263C, 263D)로 구성되어 있다.
배선부(263A~263D) 중에서 배선부(263A, 263C)는 더미이다. 배선부(263B, 263D)는 도면 중 우단에서 스루홀(271)에 의해 각각 도 9의 (A2)에 나타낸 배선부(267E, 267F)에 접속되어 있다.
접착층(264)은, 예를 들어 아크릴계 또는 에폭시계 접착제로 구성되고, 배선부(263)와 베이스 필름(265)을 접착한다.
베이스 필름(265)은 플렉시블 기판(260)의 기재가 되는 필름이고, 예를 들어, 폴리이미드제 필름으로 구성된다. 베이스 필름(265)의 양면에는 각각 접착층(264, 266)을 통하여 배선부(263, 267)가 접착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 필름(265)은 보강부(270)의 상측에 있어서 접착층(262, 264)에 의해 커버 필름(261)과 접착되어 있고, 또한 도 9의 (B)에 나타낸 단면의 중앙부에 있어서 접착층(266, 268)에 의해 커버 필름(269)과 접착되어 있다. 베이스 필름(265)은 도 9의 (A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면도에서 볼 때 T자형이다.
접착층(266)은, 예를 들어 아크릴계 또는 에폭시계 접착제로 구성되고, 베이스 필름(265)과 배선부(267)를 접착하고 있다. 접착층(266)은 도 9의 (B)에 나타낸 중앙부에 있어서 베이스 필름(265)과 커버 필름(269)을 접속하고 있다.
배선부(267)는, 예를 들어 동박으로 구성되고, 터치패널(200)의 도전막과 좌표 검출 회로(50)를 갖는 구동회로(51)를 접속하는 배선이다. 배선부(267)는 도 9의 (A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선부(267A, 267B, 267C, 267D, 267E, 267F)로 구성되어 있다.
배선부(267E, 267F)는 도면 중 우단에서 스루홀(271)에 의해 각각 도 9의 (A4)에 나타낸 배선부(263B, 263D)에 접속되어 있다.
도 9의 (A2)에 파선으로 나타낸 부분은 플렉시블 기판(260)의 커넥터부(C)이고 구동회로(51)에 접속된다.
접착층(268)은 배선부(267)와 커버 필름(269)을 접착하고 있다.
커버 필름(269)은 플렉시블 기판(260)의 어느 한면(도면에 있어서 상면)을 피복하는 플렉시블 필름이고, 예를 들어 폴리이미드제 필름으로 구성된다. 커버 필름(269)은 접착층(266)에 의해 배선부(267)와 베이스 필름(265)에 접착되어 있다. 커버 필름(269)은 도 9의 (A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면도에서 볼 때 T자형이다.
플렉시블 기판(260)에는 스루홀(271)이 형성되어 있다. 스루홀(271)은 도 9의 (A2)에 나타낸 배선부(267)와 도 9의 (A4)에 나타낸 배선부(263)를 접속하고 있고, 도 9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선부(263), 접착층(264), 베이스 필름(265), 접착층(266), 배선부(267)를 관통하고 있다. 스루홀(271)의 내벽에는 원통형 동박이 형성되어 배선부(263)와 배선부(267)의 층간 접속을 실현하고 있다.
보강부(270)는 커버 필름(261)의 일단[도 9의 (B)에 있어서 우단]의 아래에 접착되어 있다[도 9의 (A6) 참조]. 보강부(270)는, 예를 들어 우레탄 고무로 구성되어 있다.
도 9의 (B)에 나타낸 플렉시블 기판(260)은 도면 중의 좌단측이 터치패널(200)(도 1, 2 참조)의 필름(210)과 유리기판(220)의 사이에 압착된다.
배선부(267A, 267C)는 각각 좌단측이, 터치패널(200)의 투명전극(230)의 단부가 서로 마주보는 2변에 형성된 전극(231, 232)(도 3 참조)에 접속된다. 또한, 배선부(263B, 263C)는 각각 좌단측이, 투명도전막(240)의 단부가 서로 마주보는 2변에 형성된 전극(241, 242)(도 3 참조)에 접속된다.
또한, 플렉시블 기판(260)의 우단측은 구동회로(51)에 접속되는 커넥터부(C)로 되어 있다. 커넥터부(C)는 배선부(267A, 267C, 267E, 267F)의 단부를 단자로서 이용한 것으로서, 상측만이 단자를 갖는 편면 단자이다. 커넥터부(C)는 구동회로(51)에 접속된다.
배선부(263, 267)는 4선식 터치패널(200)의 좌표 검출용 배선을 구성하고 있다.
커넥터부(C)는 플렉시블 기판(260)의 보강부(270)에 의해 보강되어 있다.
도 10은 비교예의 5선식 터치패널용 플렉시블 기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의 (A)는 터치패널(200)의 투명도전막(230)에 접속되는 배선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의 (B)는 터치패널(200)의 단면 구조이며, 도 10의 (C)는 터치패널(200)의 투명도전막(240)에 접속되는 배선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의 (B)는 도 10의 (A), (C)에 있어서의 B-B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의 (A)~(C)에는 각각 도 9의 (A2), 도 9의 (B), 도 9의 (A4)에 대응하는 배선부와 단면 구조를 나타낸다. 또한, 도 9에 나타낸 플렉시블 기판(260)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렉시블 기판(280)은 커버 필름(261), 접착층(281), 배선부(282), 베이스 필름(265A), 접착층(283), 배선부(284), 접착층(285), 베이스 필름(265B), 배선부(286), 접착층(287), 커버 필름(269) 및 보강부(270)를 포함한다.
커버 필름(261)은 플렉시블 기판(280)의 어느 한면(도면에 있어서 하면)을 피복하는 플렉시블 필름이고, 예를 들어 폴리이미드제 필름으로 구성된다. 커버 필름(261)은 접착층(281)에 의해 배선부(282)에 접착되어 있다.
접착층(281)은, 예를 들어 아크릴계 또는 에폭시계 접착제로 구성되고, 커버 필름(261)과 배선부(282)를 접착한다. 또한, 접착층(281)은 보강부(270)의 상측에 있어서 접착층(283)으로 접착되어 있다.
배선부(282)는, 예를 들어 동박으로 구성되고, 5선식 터치패널(200)의 투명도전막(230)과 좌표 검출 회로(50)를 갖는 구동회로(51)를 접속하는 배선이다. 배선부(282)는, 도 10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선부(282A, 282B, 282C)로 구성되어 있다.
배선부(282A~282C) 중에 배선부(282A, 282C)는 더미이다. 배선부(282B)는 도면 중 우단에서 스루홀(271)에 의해 도 10의 (A)에 나타낸 배선부(286E)에 접속되어 있다.
베이스 필름(265A)은 플렉시블 기판(280)의 기재로 되는 필름이고, 예를 들어 폴리이미드제 필름으로 구성된다. 베이스 필름(265A)의 하측면에는 배선부(282)가 형성되어 있고, 상측면은 접착층(283)을 통하여 배선부(284)가 접착되어 있다.
접착층(283)은, 예를 들어 아크릴계 또는 에폭시계 접착제로 구성되고, 베이스 필름(265A)과 배선부(284)를 접착하고 있다.
배선부(284)는 상면측과 하면측이 각각 접착층(283, 285)에 의해 베이스 필름(265A, 265B)에 접착되어 있다. 한편, 배선부(284)는 스루홀(271)에는 접속되어 있지 않다.
접착층(285)은, 예를 들어 아크릴계 또는 에폭시계 접착제로 구성되고, 배선부(284)와 베이스 필름(265B)을 접착하고 있다.
베이스 필름(265B)은 플렉시블 기판(280)의 기재로 되는 필름이고, 베이스 필름(265A)과 마찬가지로, 예를 들어 폴리이미드제 필름으로 구성된다. 베이스 필름(265B)의 상측면에는 배선부(286)가 형성되어 있고, 하측면은 접착층(285)을 통하여 배선부(284)가 접착되어 있다.
배선부(286)는, 예를 들어 동박으로 구성되고, 5선식 터치패널(200)의 투명도전막(240)과 좌표 검출 회로(50)를 갖는 구동회로(51)를 접속하는 배선이다. 배선부(286)는, 도 10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선부(286A, 286B, 286C, 286D, 286E)로 구성되어 있다.
배선부(282E)는 도면 중 우단에서 스루홀(271)에 의해 도 10의 (C)에 나타낸 배선부(282B)에 접속되어 있다.
배선부(286A, 286B, 286C, 286D)는 각각 투명도전막(240)의 단부의 4변에 형성된 전극(241, 242, 243, 244)에 접속되어 있다.
접착층(287)은, 예를 들어 아크릴계 또는 에폭시계 접착제로 구성되고, 배선부(286)와 커버 필름(269)을 접착하고 있다.
커버 필름(269)은, 플렉시블 기판(280)의 어느 한면(도면에 있어서 상면)을 피복하는 플렉시블 필름이고, 예를 들어 폴리이미드제 필름으로 구성된다. 커버 필름(269)은 접착층(287)에 의해 배선부(286)에 접착되어 있다.
보강부(270)는 커버 필름(261)의 일단[도 10의 (B)에 있어서 우단]의 아래에 접착되어 있다. 보강부(270)는, 예를 들어 우레탄 고무로 구성되어 있다.
도 10의 (B)에 나타낸 플렉시블 기판(280)은 도면 중 좌단측이 터치패널(200)(도 1, 2 참조)의 필름(210)과 유리기판(220)의 사이에 압착된다.
배선부(282, 286)는 5선식 터치패널(200)의 좌표 검출용의 배선을 구성하고 있다.
커넥터부(C)는 플렉시블 기판(280)의 보강부(270)에 의해 보강되어 있다.
플렉시블 기판(280)은 도 10의 (A)에 나타낸 배선부(286A, 286B, 286C, 286D, 286E)의 단부를 커넥터부(C)로서 이용한 것으로서, 상측만이 단자를 갖는 편면 단자이다
그런데,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비교예의 플렉시블 기판(260, 280)은 커넥터부(C)의 근방에 스루홀(271)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커넥터부(C)에 플렉시블 기판(260, 280)을 접어 구부리는 방향의 응력이 가해지면, 스루홀(271) 또는 스루홀(271)과 배선부의 접속부 등에 있어서 단선 등이 발생하여 전기적 접속을 확보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있었다.
전기적 접속을 확보할 수 없게 되면, 플렉시블 기판(260 또는 280)에 의해 구동회로(51)에 접속되어 있는 터치패널(200)이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게 되는 경우가 있었다.
이상과 같이, 비교예의 플렉시블 기판(260, 280)은 스루홀(271)이 형성됨으로써, 접어 구부림에 약하고, 배선부의 전기적 접속을 확보할 수 없게 되며, 터치패널(200)의 동작 불량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있었다.
이 때문에,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형태에서는 전술한 과제를 해결한 플렉시블 기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시형태 1>
도 11은 실시형태 1의 플렉시블 기판(10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의 (A1)~(A7)은 플렉시블 기판(100)을 각층으로 분해한 평면도이고, 도 11의 (B)는 도 11의 (A1)~(A7)에 있어서의 C-C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플렉시블 기판(100)은 4선식 터치패널용 플렉시블 기판이다.
도 11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렉시블 기판(100)은 커버 필름(101), 접착층(102), 배선부(103), 접착층(104), 베이스 필름(105), 접착층(106), 보강부(120), 접착층(107), 베이스 필름(108), 접착층(109), 배선부(110), 접착층(111) 및 커버 필름(112)을 포함한다.
커버 필름(101), 접착층(102), 배선부(103), 접착층(104), 베이스 필름(105), 접착층(106), 보강부(120), 접착층(107), 베이스 필름(108), 접착층(109), 배선부(110), 접착층(111) 및 커버 필름(112)은 이 순서로 적층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비교예의 터치패널(200)(도 1 내지 도 4 참조)을 원용하여 설명한다.
도 11의 (B)에 나타낸 플렉시블 기판(100)은 도면 중 좌단측이 터치패널(200)(도 1, 2 참조)의 필름(210)과 유리기판(220)의 사이에 압착된다.
커버 필름(101)은 플렉시블 기판(100)의 어느 한면(도면에 있어서 하면)을 피복하는 플렉시블 필름이고, 예를 들어 폴리이미드제 필름으로 구성된다. 커버 필름(101)은 접착층(102)에 의해 배선부(103)에 접착되어 있다. 커버 필름(101)은 도 11의 (A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면도에서 볼 때 T자형이다.
커버 필름(101)의 전체 길이는 플렉시블 기판(100)의 전체 길이 A1보다 짧은 길이 A2로 설정되어 있고, 도 11 중의 좌측에 있어서 플렉시블 기판(100)보다 길이 A3만큼 짧게 되어 있으며, 도 11 중의 우측에 있어서 플렉시블 기판(100)보다 길이 A4만큼 짧게 되어 있다. 이는 배선부(103)를 노출시키기 위해서이다.
접착층(102)은, 예를 들어 아크릴계 또는 에폭시계 접착제로 구성되고, 커버 필름(101)과 배선부(103)를 접착한다.
배선부(103)는, 예를 들어 동박으로 구성되고, 터치패널(200)의 투명도전막(240)과 좌표 검출 회로(50)를 갖는 구동회로(51)를 접속하는 배선이다. 배선부(103)는, 도 11의 (A6)에 나타낸 바와 같이, 4개의 배선부(103A, 103B, 103C, 103D)로 구성되어 있다.
배선부(103A~103D) 중에서 배선부(103A, 103C)는 더미이다. 배선부(103B, 103D)는, 도 11의 (A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측에서 우측까지 연장하고 있고, 플렉시블 기판(100)의 전체 길이 A1과 대략 동일한 길이를 갖는다. 배선부(103A~103D)의 우측의 파선으로 나타낸 부분은 커넥터부(130A)가 된다.
접착층(104)은, 예를 들어 아크릴계 또는 에폭시계 접착제로 구성되고, 배선부(103)와 베이스 필름(105)을 접착한다.
베이스 필름(105)은 플렉시블 기판(100)의 기재로 되는 필름이고, 예를 들어, 폴리이미드제 필름으로 구성된다. 베이스 필름(105)의 하측면에는 접착층(104)을 통하여 배선부(103)가 접착되어 있다. 베이스 필름(105)의 상측면의 우측 부분에는 접착층(106)을 통하여 보강부(120)가 접착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 필름(105)의 상측 보강부(120)와 접착되지 않는 부분은 접착층(107)을 통하여 베이스 필름(108)과 접착되어 있다. 베이스 필름(105)은, 도 11의 (A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면도에서 볼 때 T자형이다.
접착층(106)은, 예를 들어 아크릴계 또는 에폭시계 접착제로 구성되고, 우측 부분에서 베이스 필름(105)과 보강부(120)를 접착하고 있다. 접착층(106)은 베이스 필름(105)과 보강부(120)를 접착하는 우측 부분을 제외한 부분에 있어서는 접착층(107)과 접착되어 있다.
보강부(120)는 플렉시블 기판(100)의 커넥터부(130A)가 되는 우단측에 있어서, 접착층(106) 및 접착층(107)에 의해 각각 베이스 필름(105) 및 베이스 필름(108)에 접착되어 있다.
보강부(120)는 커넥터부(130A)를 보강하기 위해서 형성되어 있고, 예를 들어 우레탄 고무로 구성된다.
보강부(120)의 우단은, 도 11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선부(103), 접착층(104), 베이스 필름(105), 접착층(106), 접착층(107), 베이스 필름(108), 접착층(109) 및 배선부(110)와 하나의 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보강부(120)는, 도 11의 (A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길이 A5로 설정되어 있다. 보강부(120)의 길이 A5는 배선부(103)가 노출되는 커넥터부(130A)의 길이 A4보다 길다. 즉, 보강부(120)와 커버 필름(101, 112)은 장변 방향에 있어서 중복부를 구비한다.
접착층(107)은, 예를 들어 아크릴계 또는 에폭시계 접착제로 구성되고, 우측 부분에서 베이스 필름(108)과 보강부(120)를 접착하고 있다. 접착층(107)은 베이스 필름(108)과 보강부(120)를 접착하는 우측 부분을 제외한 부분에 있어서는 접착층(106)과 접착되어 있다.
베이스 필름(108)은 플렉시블 기판(100)의 기재로 되는 필름이고, 예를 들어 폴리이미드제 필름으로 구성된다. 베이스 필름(108)의 하측면 중 우측 부분에는 접착층(107)을 통하여 보강부(120)가 접착되어 있다. 또한, 보강부(120)와 접착되어 있지 않는 부분에서는 접착층(107) 및 접착층(106)을 통하여 베이스 필름(105)과 접착되어 있다.
베이스 필름(108)의 상측면은 접착층(109)을 통하여 배선부(110)에 접착되어 있다. 베이스 필름(108)은, 도 11의 (A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면도에서 볼 때 T자형이다.
접착층(109)은, 예를 들어 아크릴계 또는 에폭시계 접착제로 구성되고, 베이스 필름(108)과 배선부(110)를 접착하고 있다.
배선부(110)는, 예를 들어 동박으로 구성되고, 터치패널(200)의 투명도전막(230)과 좌표 검출 회로(50)를 갖는 구동회로(51)를 접속하는 배선이다. 배선부(110)는, 도 11의 (A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선부(110A, 110B, 110C, 110D)로 구성되어 있다.
배선부(110A~110D) 중에서 배선부(110B, 110D)는 더미 단자이다. 배선부(110A, 110C)는, 도 11의 (A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측에서 우측까지 연장하고 있고, 플렉시블 기판(100)의 전체 길이 A1과 대략 동일한 길이를 갖는다. 배선부(110A~110D)의 우측의 파선으로 나타낸 부분은 커넥터부(130B)가 된다.
접착층(111)은, 예를 들어 아크릴계 또는 에폭시계 접착제로 구성되고, 배선부(110)와 커버 필름(112)을 접착하고 있다.
커버 필름(112)은 플렉시블 기판(100)의 어느 한면(도면에 있어서 상면)을 피복하는 플렉시블 필름이고, 예를 들어 폴리이미드제 필름으로 구성된다. 커버 필름(112)은 접착층(111)에 의해 배선부(110)에 접착되어 있다. 커버 필름(112)은, 도 11의 (A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면도에서 볼 때 T자형이다.
배선부(110A, 110C)는 각각 커넥터부(130B)가, 터치패널(200)의 투명전극(230)의 단부가 서로 마주보는 2변에 형성된 전극(231, 232)(도 3 참조)에 접속된다. 또한, 배선부(103B, 103C)는 각각 커넥터부(130A)가, 투명도전막(240)의 단부가 서로 마주보는 2변에 형성된 전극(241, 242)(도 3 참조)에 접속된다.
이와 같이 하여, 배선부(103, 110)는 4선식 터치패널(200)의 좌표 검출용 배선을 구성하고 있다.
실시형태 1의 플렉시블 기판(100)은 구동회로(51)에 접속되는 우단측에 있어서 상면측에 커넥터부(130B)를 갖고, 하면측에 커넥터부(130A)를 갖는 양접점형의 플렉시블 기판이다.
또한, 플렉시블 기판(100)은 비교예의 플렉시블 기판(260, 280)과 같이 스루홀을 포함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커넥터부(130A, 130B)에 있어서 플렉시블 기판(100)에 접어 구부려지는 방향의 응력이 가해져도 스루홀이 없으므로 단선 등이 생기기 어렵다.
또한, 커넥터부(130A, 130B)는 각각 배선부(110, 103)의 단부를 노출시킴으로써 형성되어 있고, 커넥터부(130A, 130B)의 부분에 있어서의 배선부(110, 103)의 사이에는 보강부(120)가 배치되어 있다. 보강부(120)의 길이 A5는 커넥터부(130A, 130B)의 길이 A4보다 길다.
이 때문에, 실시형태 1에 의하면, 접어 구부려지는 방향의 응력이 가해져도 단선의 생기기 어려운 플렉시블 기판(100)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보강부(120)의 길이 A5는 배선부(103, 110)가 노출되는 커넥터부(130A, 130B)의 길이 A4보다 길고, 보강부(120)와 커버 필름(101, 112)은 장변 방향에 있어서 중복부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보강부(120)와 커버 필름(101, 112)이 중복부를 가짐으로써 플렉시블 기판(100)의 굽힘 응력에 대한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 1의 플렉시블 기판(100)을 이용하면 신뢰성이 높은 터치패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플렉시블 기판(100)이 커버 필름(101), 접착층(102), 배선부(103), 접착층(104), 베이스 필름(105), 접착층(106), 보강부(120), 접착층(107), 베이스 필름(108), 접착층(109), 배선부(110), 접착층(111) 및 커버 필름(112)을 포함하는 형태에 대하여 설명했다.
그러나, 플렉시블 기판(100)은 스루홀이 형성되지 않고 베이스 필름(105)의 양면측에 배치되는 배선부(103, 110)의 구동장치(51)에 접속되는 단부를 양접점형으로 노출시킨 구조이면 도 10에 나타낸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2는 실시형태 1의 제1 변형예에 따른 플렉시블 기판(100A)의 단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실시형태 1의 제1 변형예의 플렉시블 기판(100A)은 보강부(120)의 플렉시블 기판(100A)의 내측에 위치하는 단부(120A)에 모따기부(모서리를 제거한 부분)(120B1, 120B2)를 형성한 점에서, 도 11에 나타낸 실시형태 1의 플렉시블 기판(100)과 상이하다. 그 밖의 구성은 도 11에 나타낸 플렉시블 기판(100)과 같다.
모따기부(120B1)는 보강부(120)의 단부(120A)의 상면측의 모서리를 폭방향[도 11의 (A4)에서 보강부(120)를 나타낸 평면 내에 있어서 길이 A5와 직교하는 방향]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모따기부(120B2)는 보강부(120)의 단부(120A)의 하면측의 모서리를 폭방향[도 11의 (A4)에서 보강부(120)를 나타낸 평면 내에 있어서 길이 A5와 직교하는 방향]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보강부(120)의 플렉시블 기판(100A)의 내측에 위치하는 단부(120A)에 모따기부(120B1, 120B2)를 형성함으로써, 접어 구부려지는 방향의 응력이 가해져도 단선이 한층 더 생기기 어려운 플렉시블 기판(100A)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3은 실시형태 1의 제2 변형예에 따른 보강부(120C)의 평면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도 11의 (A4)에 대응하는 평면도이다.
실시형태 1의 제2 변형예의 보강부(120C)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11에 나타낸 실시형태 1의 플렉시블 기판(100)을 원용한다.
제2 변형예에 따른 보강부(120C)는 플렉시블 기판(100)의 내측에 위치하는 단부(120D)가 평면도에서 볼 때 파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13에는 파형으로 형성된 단부(120D)를 나타내었지만, 단부(120D)는 양단(120D1, 120D2)이 둥글게 곡선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면, 도 13에 나타낸 파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보강부(120C)의 플렉시블 기판(100)의 내측에 위치하는 단부(120D)를 곡선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접어 구부려지는 방향의 응력이 가해져도 단선이 한층 더 생기기 어려운 플렉시블 기판(100)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도 14는 실시형태 2의 5선식 터치패널용 플렉시블 기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의 (A)는 터치패널(200)의 투명도전막(230)에 접속되는 배선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의 (B)는 터치패널(200)의 단면 구조이며, 도 14의 (C)는 터치패널(200)의 투명도전막(240)에 접속되는 배선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의 (B)는 도 14의 (A), (C)에 있어서의 D-D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의 (A)~(C)에는 각각 도 10의 (A), 도 10의 (B), 도 10의 (C)에 대응하는 배선부와 단면구조를 나타낸다.
도 1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렉시블 기판(150)은, 커버 필름(151), 접착층(152), 배선부(153), 베이스 필름(154), 접착층(155), 보강부(170), 접착층(156), 베이스 필름(157), 배선부(158), 접착층(159) 및 커버 필름(160)을 포함한다.
커버 필름(151)은 플렉시블 기판(150)의 어느 한면(도면에 있어서 하면)을 피복하는 플렉시블 필름이고, 예를 들어 폴리이미드제 필름으로 구성된다. 커버 필름(151)은 접착층(152)에 의해 배선부(153)에 접착되어 있다.
접착층(152)은, 예를 들어 아크릴계 또는 에폭시계 접착제로 구성되고, 커버 필름(151)과 배선부(153)를 접착한다.
배선부(153)는, 예를 들어 동박으로 구성되고, 5선식 터치패널(200)의 투명도전막(230)과 좌표 검출 회로(50)를 갖는 구동회로(51)를 접속하는 배선이다. 배선부(153)는, 도 14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선부(153A, 153B, 153C)로 구성되어 있다.
배선부(153A~153C) 중에서 배선부(153A, 153C)는 더미이다. 배선부(153B)는, 도 14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측에서 우측까지 연장하고 있고, 플렉시블 기판(150)의 전체 길이 A1과 대략 동일한 길이를 갖는다. 배선부(153B)의 우측의 파선으로 나타낸 부분은 커넥터부(180A)가 된다.
베이스 필름(154)은 플렉시블 기판(150)의 기재로 되는 필름이고, 예를 들어 폴리이미드제 필름으로 구성된다. 베이스 필름(154)의 하측면에는 배선부(153)가 형성되어 있고, 상측면에는 접착층(155)이 접착되어 있다.
접착층(155)은, 예를 들어 아크릴계 또는 에폭시계 접착제로 구성되고, 하측면이 베이스 필름(154)에 접착되어 있다. 접착층(155)의 상측면의 우측 부분은 보강부(170)에 접착되어 있고, 보강부(170)가 접착되어 있지 않은 부분은 접착층(156)과 접착되어 있다.
보강부(170)는 플렉시블 기판(150)의 커넥터부(180A)가 되는 우단측에 있어서 접착층(155) 및 접착층(156)에 의해 각각 베이스 필름(154) 및 베이스 필름(157)에 접착되어 있다.
보강부(170)는 커넥터부(180A)를 보강하기 위해서 형성되어 있고, 예를 들어 우레탄 고무로 구성된다.
보강부(170)의 우단은, 도 1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선부(153), 베이스 필름(154), 접착층(155), 접착층(156), 베이스 필름(157), 배선부(158)가 하나의 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보강부(170)는, 도 1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길이 A5로 설정되어 있다. 보강부(120)의 길이 A5는 배선부(103)가 노출되는 커넥터부(180A)의 길이 A4보다 길다.
접착층(156)은, 예를 들어 아크릴계 또는 에폭시계 접착제로 구성된다. 접착층(156)의 상면은 베이스 필름(157)과 접착되고, 하면의 우측 부분은 보강부(170)와 접착된다. 접착층(156)의 하면은 보강부(170)를 접착하는 우측 부분을 제외한 부분에 있어서는 접착층(155)과 접착되어 있다.
베이스 필름(157)은 플렉시블 기판(150)의 기재로 되는 필름이고, 베이스 필름(154)과 마찬가지로, 예를 들어 폴리이미드제 필름으로 구성된다. 베이스 필름(157)의 상측면에는 배선부(158)가 형성되어 있고, 하측면은 접착층(156)에 접착되어 있다.
배선부(158)는, 예를 들어 동박으로 구성되고, 5선식 터치패널(200)의 투명도전막(240)과 좌표 검출 회로(50)를 갖는 구동회로(51)를 접속하는 배선이다. 배선부(158)는, 도 1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선부(158A, 158B, 158C, 158D)로 구성되어 있다.
배선부(158A, 158B, 158C, 158D)는 각각 투명도전막(240)의 단부의 4변에 형성된 전극(241, 242, 243, 244)에 접속되어 있다.
배선부(158A, 158B, 158C, 158D)는, 도 1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측에서 우측까지 연장하고 있고, 플렉시블 기판(150)의 전체 길이 A1과 대략 동일한 길이를 갖는다. 배선부(158A, 158B, 158C, 158D)의 우측의 파선으로 나타낸 부분은 커넥터부(180B)가 된다.
접착층(159)은, 예를 들어 아크릴계 또는 에폭시계 접착제로 구성되고, 배선부(158)와 커버 필름(160)을 접착하고 있다.
커버 필름(160)은 플렉시블 기판(150)의 어느 한면(도면에 있어서 상면)을 피복하는 플렉시블 필름이고, 예를 들어 폴리이미드제 필름으로 구성된다. 커버 필름(160)은 접착층(159)에 의해 배선부(158)에 접착되어 있다.
도 14의 (B)에 나타낸 플렉시블 기판(150)은 도면 중 좌단측이 터치패널(200)(도 1, 2 참조)의 필름(210)과 유리기판(220)의 사이에 압착된다.
배선부(153B), 배선부(158A, 158B, 158C, 158D)는 5선식 터치패널(200)의 좌표 검출용 배선을 구성하고 있다.
실시형태 2의 플렉시블 기판(150)은 구동회로(51)에 접속되는 우단측에 있어서 상면측에 커넥터부(180B)를 구비하고, 하면측에 커넥터부(180A)를 갖는 양접점형의 플렉시블 기판이다.
또한, 플렉시블 기판(150)은 비교예의 플렉시블 기판(260, 280)과 같이 스루홀을 포함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커넥터부(180A, 180B)에 있어서 플렉시블 기판(150)에 접어 구부려지는 방향의 응력이 가해져도, 스루홀이 없으므로 단선 등이 생기기 어렵다.
또한, 커넥터부(180A, 180B)는 각각 배선부(153B), 배선부(158A, 158B, 158C, 158D)의 단부를 노출시킴으로써 형성되어 있고, 커넥터부(180A, 180B)의 부분에 있어서의 배선부(153B), 배선부(158A, 158B, 158C, 158D)의 사이에는 보강부(170)가 배치되어 있다. 보강부(170)의 길이 A5는 커넥터부(180A, 180B)의 길이 A4보다 길다.
이 때문에, 실시형태 2에 의하면, 접어 구부려지는 방향의 응력이 가해져도 단선이 생기기 어려운 플렉시블 기판(150)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보강부(170)의 길이 A5는, 배선부(153, 158)가 노출되는 커넥터부(180A, 180B)의 길이 A4보다 길고, 보강부(170)와 커버 필름(151, 160)은 장변 방향에 있어서 중복부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보강부(170)와 커버 필름(151, 160)이 중복부를 가짐으로써 플렉시블 기판(150)의 굽힘 응력에 대한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 2의 플렉시블 기판(150)을 이용하면 신뢰성이 높은 터치패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 2의 플렉시블 기판(150)은 실시형태 1의 플렉시블 기판(100)과 마찬가지로, 보강부(170)의 플렉시블 기판(150)의 내측에 위치하는 단부에 모따기부를 형성하여도 되고, 곡선상으로 형성하여도 된다.
또한, 이상에서는 5선식의 플렉시블 기판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투명도전막이 복수의 도전 영역으로 분할되어 있는 터치패널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배선부(153B)의 개수를 도전 영역의 수에 맞추어 복수로 하여도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플렉시블 기판 및 터치패널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지금까지 구체적으로 개시된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청구범위로부터 일탈하지 않는 여러 가지 변형이나 변경이 가능하다.
본원은 2011년 8월 17일에 출원한 일본 특허 출원 제2011-178626호에 근거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상기 일본 특허 출원의 모든 내용을 본원에 참조로서 원용한다.
100 : 플렉시블 기판 101 : 커버 필름
102 : 접착층 103 : 배선부
103A, 103B, 103C, 103D : 배선부 104 : 접착층
105 : 베이스 필름 106 : 접착층
107 : 접착층 108 : 베이스 필름
109 : 접착층 110 : 배선부
111 : 접착층 112 : 커버 필름
130A : 커넥터부
110A, 110B, 110C, 110D : 배선부 120 : 보강부
130B : 커넥터부 120B1 : 모따기부
120B2 : 모따기부 120D : 단부
150 : 플렉시블 기판 151 : 커버 필름
152 : 접착층 153 : 배선부
154 : 베이스 필름 155 : 접착층
170 : 보강부 156 : 접착층
157 : 베이스 필름 158 : 배선부
159 : 접착층 160 : 커버 필름
153A, 153B, 153C : 배선부
158A, 158B, 158C, 158D : 배선부 180B : 커넥터부
180A : 커넥터부 200 : 터치패널
102 : 접착층 103 : 배선부
103A, 103B, 103C, 103D : 배선부 104 : 접착층
105 : 베이스 필름 106 : 접착층
107 : 접착층 108 : 베이스 필름
109 : 접착층 110 : 배선부
111 : 접착층 112 : 커버 필름
130A : 커넥터부
110A, 110B, 110C, 110D : 배선부 120 : 보강부
130B : 커넥터부 120B1 : 모따기부
120B2 : 모따기부 120D : 단부
150 : 플렉시블 기판 151 : 커버 필름
152 : 접착층 153 : 배선부
154 : 베이스 필름 155 : 접착층
170 : 보강부 156 : 접착층
157 : 베이스 필름 158 : 배선부
159 : 접착층 160 : 커버 필름
153A, 153B, 153C : 배선부
158A, 158B, 158C, 158D : 배선부 180B : 커넥터부
180A : 커넥터부 200 : 터치패널
Claims (8)
- 제1 플렉시블 필름과,
상기 제1 플렉시블 필름에 적층되고, 일단이 터치패널의 제1 전극 또는 제2 전극 중 어느 하나에 접속되는 제1 배선층과,
제2 플렉시블 필름과,
상기 제2 플렉시블 필름에 적층되고, 일단이 상기 제1 전극 또는 상기 제2 전극 중 다른 하나에 접속되는 제2 배선층과,
상기 제1 플렉시블 필름과 상기 제2 플렉시블 필름의 사이를 접착하는 접착층과,
상기 제1 배선층에 적층되고, 상기 제1 배선층의 양단을 노출시키는 제1 커버 필름과,
상기 제2 배선층에 적층되고, 상기 제2 배선층의 양단을 노출시키는 제2 커버 필름
을 포함하는 플렉시블 기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선층 및 상기 제2 배선층의 상기 일단측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렉시블 필름과 상기 제2 플렉시블 필름의 사이에 배치되는 보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플렉시블 기판.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렉시블 필름, 상기 제2 플렉시블 필름, 또는 상기 접착층의 두께는, 상기 플렉시블 기판의 두께가 상기 터치패널의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의 간격에 맞도록 조정되어 있는 것인 플렉시블 기판.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상기 보강부의 상기 제1 배선층 및 상기 제2 배선층의 상기 일단과는 반대측 단부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선층 및 상기 제2 배선층의 폭방향으로 형성되는 모따기부를 구비하는 것인 플렉시블 기판.
-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의 상기 제1 배선층 및 상기 제2 배선층의 상기 일단과는 반대측 단부는, 평면도에서 볼 때 상기 제1 커버 필름 및 상기 제2 커버 필름과 중복되는 중복부를 구비하는 것인 플렉시블 기판.
-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의 상기 제1 배선층 및 상기 제2 배선층의 상기 일단과는 반대측 단부는, 상기 제1 배선층 및 상기 제2 배선층의 폭방향에 대하여 평면도에서 볼 때 곡선상으로 형성되는 것인 플렉시블 기판.
- 제1항, 제2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플렉시블 기판과,
상기 제1 전극이 제1 기판상에 형성된 제1 전극기판과,
상기 제2 전극이 제2 기판상에 형성된 제2 전극기판
을 포함하는 터치패널.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은 복수의 도전 영역으로 분할된 제1 도전막인 것인 터치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1178626A JP2013041476A (ja) | 2011-08-17 | 2011-08-17 | フレキシブル基板、及び、タッチパネル |
JPJP-P-2011-178626 | 2011-08-17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20533A true KR20130020533A (ko) | 2013-02-27 |
Family
ID=47712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42973A KR20130020533A (ko) | 2011-08-17 | 2012-04-25 | 플렉시블 기판 및 터치패널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8693202B2 (ko) |
JP (1) | JP2013041476A (ko) |
KR (1) | KR20130020533A (ko) |
CN (1) | CN102958271A (ko) |
TW (1) | TW201316854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40139423A (ko) * | 2013-05-27 | 2014-12-05 | 데쿠세리아루즈 가부시키가이샤 | 터치 패널 및 터치 패널의 제조 방법 |
WO2022005007A1 (ko) * | 2020-07-02 | 2022-01-0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블렌더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711570B2 (en) | 2011-06-21 | 2014-04-29 | Apple Inc. | Flexible circuit routing |
KR101482404B1 (ko) * | 2013-05-27 | 2015-01-13 | 삼성전기주식회사 | 리지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및 그 제조방법 |
CN103472964A (zh) * | 2013-09-07 | 2013-12-25 | 向火平 | 柔性电容屏制作工艺及柔性电容屏 |
CN103744215A (zh) * | 2013-12-31 | 2014-04-23 |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 触控显示装置 |
CN106133663B (zh) * | 2014-03-28 | 2020-07-14 | 积水保力马科技株式会社 | 触摸传感器 |
CN105094484B (zh) * | 2015-07-31 | 2018-06-19 |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 一种触屏平板显示装置 |
CN107920417A (zh) * | 2017-12-18 | 2018-04-17 | 广州兴森快捷电路科技有限公司 | 线路板及其制造方法 |
US11119616B2 (en) | 2018-11-01 | 2021-09-14 | Apple Inc. | Trace transfer techniques for touch sensor panels with flex circuits |
US11853515B2 (en) | 2018-12-19 | 2023-12-26 | Apple Inc. | Ultra-thin touch sensors |
CN110096176B (zh) * | 2019-04-25 | 2021-12-28 |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 一种触控显示装置及其制作方法、终端设备 |
TWI808413B (zh) * | 2021-04-29 | 2023-07-11 | 位元奈米科技股份有限公司 | 可用於熱壓成型之透明導電基板結構 |
CN114096055B (zh) * | 2021-11-25 | 2024-03-26 | 珠海景旺柔性电路有限公司 | 一种厚双面插拔手指双面fpc板的制造方法以及双面fpc板 |
Family Cites Families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143565B2 (ja) | 1994-02-28 | 2001-03-07 | キヤノン株式会社 |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その接続装置、及び電気回路装置 |
JP2001210919A (ja) * | 1999-11-17 | 2001-08-03 | Sharp Corp | フレキシブル配線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
JP2004079731A (ja) * | 2002-08-15 | 2004-03-11 | Nippon Mektron Ltd | 可撓性回路基板 |
JP4543772B2 (ja) * | 2003-09-19 | 2010-09-15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
JP2006041044A (ja) | 2004-07-23 | 2006-02-09 | Nitto Denko Corp | 多層フレキシブル配線回路基板 |
US7358444B2 (en) * | 2004-10-13 | 2008-04-15 | Intel Corporation | Folded substrate with interposer package f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
CN200953683Y (zh) * | 2006-09-20 | 2007-09-26 | 比亚迪股份有限公司 | 一种软性印刷线路板fpc |
KR100837276B1 (ko) * | 2006-12-20 | 2008-06-11 | 삼성전자주식회사 | 인쇄 회로 기판 및 이를 사용하는 반도체 메모리 모듈 |
JP4900206B2 (ja) * | 2007-11-26 | 2012-03-21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タッチパネル |
US8345431B2 (en) * | 2008-01-02 | 2013-01-01 | Microelectronics Assembly Technologies, Inc. | Thin multi-chip flex module |
JP4711149B2 (ja) * | 2008-06-18 | 2011-06-29 | ソニー株式会社 |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タッチパネル、表示パネルおよび表示装置 |
US8237677B2 (en) * | 2008-07-04 | 2012-08-07 | Tsinghua University | Liquid crystal display screen |
KR101144531B1 (ko) | 2008-10-31 | 2012-05-11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터치입력장치 |
JP5342341B2 (ja) * | 2009-06-23 | 2013-11-13 | 株式会社フジクラ | プリント配線基板 |
-
2011
- 2011-08-17 JP JP2011178626A patent/JP2013041476A/ja not_active Withdrawn
-
2012
- 2012-04-25 KR KR1020120042973A patent/KR20130020533A/ko active IP Right Grant
- 2012-07-12 US US13/547,187 patent/US8693202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2-08-08 TW TW101128656A patent/TW201316854A/zh unknown
- 2012-08-10 CN CN2012102834865A patent/CN102958271A/zh active Pending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40139423A (ko) * | 2013-05-27 | 2014-12-05 | 데쿠세리아루즈 가부시키가이샤 | 터치 패널 및 터치 패널의 제조 방법 |
WO2022005007A1 (ko) * | 2020-07-02 | 2022-01-0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블렌더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13041476A (ja) | 2013-02-28 |
US20130044443A1 (en) | 2013-02-21 |
US8693202B2 (en) | 2014-04-08 |
TW201316854A (zh) | 2013-04-16 |
CN102958271A (zh) | 2013-03-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30020533A (ko) | 플렉시블 기판 및 터치패널 | |
CN101533325B (zh) | 双面的触感面板与挠性电路粘接 | |
CN102760010B (zh) | 触控显示面板与触控液晶显示面板 | |
EP2746907B1 (en) | Touch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US6552718B2 (en) | Contact structure of substrates of touch panel and method of bonding the same | |
US9083344B2 (en) | Touch sensor with integrated signal bus extensions | |
US11119616B2 (en) | Trace transfer techniques for touch sensor panels with flex circuits | |
JP4711150B2 (ja) | タッチパネルおよび表示装置 | |
CN208172458U (zh) | 显示装置及柔性电路板 | |
CN101763186B (zh) | 触控面板 | |
US7746662B2 (en) | Touch panel | |
JP2010002989A (ja) |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タッチパネル、表示パネルおよび表示装置 | |
KR20090131661A (ko) |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 터치 패널, 표시 패널 및 표시 장치 | |
JP5382357B2 (ja) | タッチパネル部材およびタッチパネル | |
US20120255850A1 (en) | Touch panel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touch panel | |
JP2022519960A (ja) | フレキシブル回路基板及び製造方法、電子装置モジュール及び電子装置 | |
JP2007200177A (ja) | 電子装置 | |
JP6093897B2 (ja) | フレキシブル回路基板及びそれを用いた自己容量型タッチパネル | |
JP2011159271A (ja) | タッチパネル構造 | |
CN111610879B (zh) | 触控面板、触控面板的制备方法、触控组件及电子设备 | |
CN101615095A (zh) | 整合式触控面板与应用其的电子装置 | |
JP2011248810A (ja) | 入力装置 | |
CN204695284U (zh) | 软性电路板及其应用之自电容式触控面板 | |
JP5237330B2 (ja) | センサシートおよび入力装置 | |
JP2015011492A (ja) | 入力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