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8807A - 방수 커넥터 - Google Patents

방수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8807A
KR20130018807A KR1020127028200A KR20127028200A KR20130018807A KR 20130018807 A KR20130018807 A KR 20130018807A KR 1020127028200 A KR1020127028200 A KR 1020127028200A KR 20127028200 A KR20127028200 A KR 20127028200A KR 20130018807 A KR20130018807 A KR 201300188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er
sealing
waterproof connector
retainers
seal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8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02793B1 (ko
Inventor
마사히로 콘도
야스오 타케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후지쿠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후지쿠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후지쿠라
Publication of KR201300188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88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27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27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65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
    • H01R12/67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 insulation penetrating terminals
    • H01R12/68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 insulation penetrating terminals comprising deformable por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2Sealing means between parts of housing or between housing part and a wall, e.g. sealing 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6Means for holding or embracing insulating body, e.g. casing, hood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종래의 방수 커넥터는 플렉시블 기판과 리테이너 사이에 충전한 핫멜트의 수측 등에 의해 핫멜트와 리테이너의 밀착이 약해져서 방수 성능을 충분히 향상시키지 못하는 경우가 있었다.
본 발명의 방수 커넥터(1)는 리테이너의 외측면(55, 65)에서 내측 수용부(91)로 관통한 결손부(58, 68)가 형성되어 있다. 또 제1 실링부재(70)는 내측 수용부(91)에 수용된 내측 실링부(70a)와, 내측 실링부(70a)와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결손 실링부(70d) 및 측부 실링부(70c)를 가진다. 그리고 결손 실링부(70d) 및 측부 실링부(70c)는 리테이너의 외측면(55, 65)에 돌아들어가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방수 성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방수 커넥터{WATERPROOF CONNECTOR}
본 발명은 배선기판의 전기적 접속에 이용되는 방수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문헌을 참조함으로써 포함시키는 것이 인정되는 지정국에 대해서는 2010년 3월 31일에 일본국에 출원된 특허출원 2010-083185호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시키고, 본 명세서 기재의 일부로 한다.
단자가 장착된 플렉시블 기판을 한 쌍의 리테이너로 유지하고, 상기 플렉시블 기판과 리테이너 사이에 핫멜트를 충전하는 플렉시블 기판 방수 커넥터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국제공개 제2009/090998호
상기의 플렉시블 기판 방수 커넥터에서는 플렉시블 기판과 리테이너 사이에 충전한 핫멜트의 고화(固化)에 따른 핫멜트의 수축이나, 상기 방수 커넥터 사용시의 핫멜트 수축량의 변화에 따른 피로에 의해 핫멜트와 리테이너의 밀착이 약해져서 방수 성능을 충분히 향상시키지 못하는 경우가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방수 성능이 뛰어난 방수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수 커넥터는 배선기판에 장착되는 방수 커넥터로서, 상기 배선기판을 끼워넣고, 상기 배선기판과의 대향면에 내측 수용부가 형성되는 한 쌍의 리테이너와, 핫멜트 실링(sealing)재로 이루어지며 적어도 상기 내측 수용부에 충전되는 제1 실링부재를 구비하고, 한 쌍의 상기 리테이너에 있어서, 상기 방수 커넥터의 삽발(揷拔;insertion-extraction)방향을 따른 면 중, 상기 대향면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외측면과, 상기 대향면과 상기 외측면에 교차하는 측면에는, 상기 제1 실링부재를 받아들이는 외측 수용부가 형성되고, 적어도 한쪽의 상기 리테이너에는, 상기 외측면에서 상기 내측 수용부로 관통하며, 상기 제1 실링부재가 충전되는 결손(缺損)부가 형성되고, 상기 내측 수용부는 상기 측면에서 상기 외측 수용부와 연통(連通)되고, 상기 결손부는 개구 또는 노치(notch) 중 적어도 한쪽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제1 실링부재는 상기 내측 수용부에 수용된 내측 실링부;와, 상기 결손부 및 상기 리테이너의 상기 측면에 위치하는 상기 외측 수용부에 수용되며, 상기 내측 실링부와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접속 실링부;를 가지며, 상기 접속 실링부는 상기 리테이너의 상기 외측면에 돌아들어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결손부는 상기 외측 수용부와 상기 내측 수용부의 중복 부분에 있어서, 상기 방수 커넥터의 삽발방향 전역에 걸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결손부는 상기 방수 커넥터의 삽발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내측 수용부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해서 선대칭으로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는 제1 리테이너 및 제2 리테이너를 포함하고, 상기 결손부는 상기 제1 리테이너에 형성된 제1 결손부와, 상기 제2 리테이너에 형성된 제2 결손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제1 결손부와 상기 제2 결손부는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리테이너에는 상기 내측 수용부 내부를 향해 돌출하는 제1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리테이너에는 상기 내측 수용부 내부를 향해 돌출하는 제2 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돌기와 상기 제2 돌기는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수 커넥터는 배선기판에 장착되는 방수 커넥터로서, 상기 배선기판을 끼워넣고, 상기 배선기판과의 대향면에 내측 수용부가 형성되는 한 쌍의 리테이너;와, 핫멜트 실링재로 이루어지며 적어도 상기 내측 수용부에 충전되는 제1 실링부재;를 구비하고, 한 쌍의 상기 리테이너에 있어서, 상기 방수 커넥터의 삽발방향을 따른 면 중, 상기 대향면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외측면과, 상기 대향면과 상기 외측면에 교차하는 측면에는, 상기 제1 실링부재를 받아들이는 외측 수용부가 형성되고, 적어도 한쪽의 상기 리테이너에는 상기 외측면과 상기 내측 수용부의 바닥면 사이의 두께를 부분적으로 얇게 한 박육부(薄肉部;thin-walled portion)가 형성되고, 상기 내측 수용부는 상기 측면에서 상기 외측 수용부와 연통되고, 상기 제1 실링부재는 상기 내측 수용부에 수용된 내측 실링부;와, 상기 리테이너의 상기 측면에 위치하는 상기 외측 수용부에 수용되며, 상기 내측 실링부와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접속 실링부;를 가지며, 상기 접속 실링부는 상기 리테이너의 상기 외측면에 돌아들어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수 커넥터는 배선기판에 장착되는 방수 커넥터로서, 상기 배선기판을 끼워넣고, 상기 배선기판과의 대향면에 내측 수용부가 형성되는 한 쌍의 리테이너;와, 핫멜트 실링재로 이루어지며 적어도 상기 내측 수용부에 충전되는 제1 실링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방수 커넥터의 삽발방향에 있어서 상기 내측 수용부보다 선단측에 위치하는 선단부;와, 상기 방수 커넥터의 삽발방향에 있어서 상기 내측 수용부보다 후단측에 위치하는 후단부;와, 상기 선단부와 상기 후단부를 부분적으로 연결하는 동시에, 상기 내측 수용부를 가지는 연결부;를 가지며, 상기 제1 실링부재는 상기 내측 수용부에 수용되는 동시에, 상기 연결부에 있어서 상기 대향면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외측면에 돌아들어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실링부재 및 한 쌍의 상기 리테이너로 이루어지는 커넥터 본체와, 상기 커넥터 본체를 수용하는 하우징과, 상기 커넥터 본체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개재하여 상기 커넥터 본체와 상기 하우징 사이를 실링하는 제2 실링부재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적어도 한쪽의 리테이너에, 외측면에서 내측 수용부로 관통하는 결손부가 형성되고, 제1 실링부재가, 내측 수용부에 수용되는 내측 실링부;와, 결손부 및 리테이너의 측면에 위치하는 외측 수용부에 수용되며, 내측 실링부와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접속 실링부;를 가지며, 접속 실링부가 리테이너의 외측면에 돌아들어가 있으므로 방수 성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적어도 한쪽의 리테이너에, 외측면과 내측 수용부의 바닥면 사이의 두께를 부분적으로 얇게 한 박육부가 형성되고, 제1 실링부재가, 내측 수용부에 수용된 내측 실링부;와, 리테이너의 측면에 위치하는 외측 수용부에 수용되며, 내측 실링부와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접속 실링부;를 가지며, 접속 실링부가 리테이너의 외측면에 돌아들어가 있으므로 방수 성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리테이너가, 선단부와 후단부를 부분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가지고 있는 동시에, 제1 실링부재가 내측 수용부에 수용되어 있는 동시에, 연결부의 외측면에 돌아들어가 있으므로 방수 성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의 방수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의 방수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의 커넥터 본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의 제1 압착단자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의 제1 리테이너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VI-VI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의 제2 리테이너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의 VIII-VIII선을 따라 자른 단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IX-IX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의 방수 커넥터의 제1 실링부재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의 제1 및 제2 리테이너의 제1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의 제1 및 제2 리테이너의 제2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의 제1 및 제2 리테이너의 제3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의 제1 및 제2 리테이너의 제4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의 제1 및 제2 리테이너의 제5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의 제1 및 제2 리테이너의 제6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의 방수 커넥터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에 나타내는 방수 커넥터의 리테이너의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의 방수 커넥터의 변형예의 제1 실링부재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서의 방수 커넥터의 사시도, 도 2는 본 실시형태에서의 방수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실시형태에서의 커넥터 본체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실시형태에서의 제1 압착단자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실시형태에서의 제1 리테이너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VI-VI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 도 7은 본 실시형태에서의 제2 리테이너의 사시도, 도 8은 도 1의 VIII-VIII선을 따라 자른 단면 사시도, 도 9는 도 8의 IX-IX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 도 10은 본 실시형태에서의 방수 커넥터의 제1 실링부재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방수 커넥터(1)(도 1 참조)는 예를 들면 자동차에서 전자부품(예를 들면 착석 센서나 정전용량 센서 등)과 ECU(Electronic Control Unit) 등과의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배선기판(30)(배선재)에 장착되는 커넥터로서, 예를 들면 그 일단(一端)이 전자부품 등에 접속된 배선기판의 타단(他端)에 장착되고, 시트의 하부에 내장되어 다른 커넥터에 접속된다. 한편 도면 중에 나타내는 화살표 A가, 상기 다른 커넥터에 대한 방수 커넥터(1)의 삽발방향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방수 커넥터(1)에서는 이 삽발방향(A)에 있어서 다른 커넥터와 접속하는 측(도면 왼쪽)을 선단측(1a)이라고 하고, 이것과는 반대측(도면 오른쪽)을 후단측(1b)이라고 한다.
방수 커넥터(1)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10), 커넥터 본체(20), 제2 실링부재(80)를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10)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 본체(20)를 수용하는 부재이다. 이 하우징(10)의 상부 및 하부에는 커넥터 본체(20)의 제1 및 제2 리테이너(50, 60)에 형성된 제1 및 제2 클로우부(claw portion; 57, 67)(후술)와 걸어맞추는 걸어맞춤 구멍(11)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하우징(10)의 하부에 위치하는 걸어맞춤 구멍(11)에 대해서는 도시를 생략한다.
커넥터 본체(20)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리테이너(50), 제2 리테이너(60), 제1 실링부재(70)를 가지고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의 제1 및 제2 리테이너(50, 60)가 본 발명의 한 쌍의 리테이너의 일례에 상당한다. 이 커넥터 본체(20)에는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선기판(30)이 장착되어 있다.
배선기판(30)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배선기판(31)과 제2 배선기판(32)을 포함하고 있다. 이 제1 및 제2 배선기판(31, 32)은 각각의 단부들 사이에 틈을 둔 상태로 이웃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1 배선기판(31)은 절연성 기판에 전기회로 패턴(배선)이 형성된 기판이다. 제1 배선기판(31)으로는 예를 들면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FPC:Flexible Printed Circuit), 리지드 프린트 배선판(Rigid Printed Wiring Board), 혹은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Polyethylene Naphthalate)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등으로 구성되는 멤브레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 제1 배선기판(31)을, 평각 도체나 둥근 선으로 이루어지는 배선을 절연성 기판으로 라미네이트한 것으로 구성해도 되고, 혹은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FFC:Flexible Flat Cable)로 구성해도 된다.
이 제1 배선기판(31)의 단부에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3개의 제1 압착단자(41)가 장착되어 있다. 제1 압착단자(41)는 리셉터클(receptacle)형 단자이며, ECU 등에 마련된 핀형 단자(도시하지 않음)와 끼워맞추도록 되어 있다. 한편 제1 압착단자(41)를 핀형 단자로 구성하여, 리셉터클형 단자와 끼워맞춰도 된다.
이 제1 압착단자(41)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부 판(41a), 상부 판(41b), 배럴(41c)을 가지고 있다.
하부 판(41a) 및 상부 판(41b)은 제1 배선기판(31)을 끼워넣는 부재이다. 배럴(41c)은 하부 판(41a)의 측부에 세워서 마련된 판형상의 부재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 배럴(41c)을 제1 배선기판(31)에 형성된 관통 구멍(도 4에 점선으로 나타냄)에 삽입한 후에, 상부 판(41b)을 향해 구부림으로써, 하부 판(41a)과 상부 판(41b) 사이에 제1 배선기판(31)을 고정(압착)하고 있다.
제2 배선기판(32)도 제1 배선기판(31)과 마찬가지로, 절연성 기판에 전기회로 패턴(배선)을 형성한 기판이다. 이 제2 배선기판(32)으로는 예를 들면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 리지드 프린트 배선판, 멤브레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 제2 배선기판(32)을, 평각 도체나 둥근 선으로 이루어지는 배선을 절연성 기판으로 라미네이트한 것으로 구성해도 되고, 혹은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로 구성해도 된다.
이 제2 배선기판(32)의 단부에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의 제2 압착단자(42)가 장착되어 있다. 한편 이 제2 압착단자(42)는 제1 압착단자(41)와 동일 구조로 되어 있으며, 하부 판, 상부 판, 배럴을 가지고 있다. 이 제2 압착단자(42)도 하부 판과 상부 판 사이에 제2 배선기판(32)을 끼워넣은 상태에서 배럴이 구부러져서 제2 배선기판(32)에 압착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배선기판(30)은 2장의 배선기판(31, 32)을 포함하고 있지만,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배선기판(30)을 1장의 배선기판으로 구성해도 된다. 예를 들어 5개의 제1 압착단자(41)를 단부에 장착한 제1 배선기판(31)으로만 배선기판(30)을 구성해도 된다. 또, 제1 및 제2 압착단자(41, 42)의 개수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방수 커넥터(1)와 접속되는 다른 커넥터의 단자수에 따라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제1 리테이너(50)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리테이너(60)와의 사이에 배선기판(30)을 끼워넣고, 제2 리테이너(60)와 함께, 방수 커넥터(1) 삽발시에 인가되는 힘을 받아낸다.
이 제1 리테이너(50)에 있어서 배선기판(30)과 대향하는 제1 대향면(51)에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단자 수용부(52), 제1 내측 홈(53), 제1 돌기(54)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1 리테이너(50)에 있어서, 방수 커넥터(1)의 삽발방향(A)을 따른 면 중, 제1 대향면(51)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1 외측면(55)에는 제1 클로우부(57)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리테이너(50)의 제1 외측면(55) 및 제1 측면(50d, 50e)에는 제1 외측 홈(56)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이 제1 측면(50d, 50e)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리테이너(50)에 있어서 방수 커넥터(1)의 삽발방향(A)을 따른 면 중, 제1 대향면(51)과 제1 외측면(55)에 교차한 면이다.
제1 단자 수용부(52)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방수 커넥터(1)의 삽발방향(A)을 따라 형성된 오목부이며, 제1 및 제2 압착단자(41, 42) 각각의 상부 판(41a)과 하부 판(41b)과 배럴(41c)을 수용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리테이너(50)의 도면 왼쪽 부분에 3개의 제1 단자 수용부(52)가 배치되어 있어, 3개의 제1 압착단자(41)를 수용한다. 한편 제1 리테이너(50)에 있어서 도면 오른쪽 부분에는 2개의 제1 단자 수용부(52)가 배치되어 있어, 2개의 제2 압착단자(42)를 수용한다.
제1 내측 홈(53)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대향면(51)에 있어서, 삽발방향(A)에 대하여 대략 수직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제1 내측 홈(53)은 제1 측면(50d, 50e)에서 개구하고 있으며, 그 개구(53b)를 통해 용융한 제1 실링부재(70)가 흘러들도록 되어 있다. 덧붙여, 이 제1 내측 홈(53)은 개구(53b)를 통해 제1 외측 홈(56)과 연통되어 있다. 또 제1 내측 홈(53)은 제2 리테이너(60)의 제2 내측 홈(63)과 합쳐짐으로써, 용융한 제1 실링부재(70)가 충전되는 내측 수용부(91)를 형성한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의 제1 리테이너(50)에서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방수 커넥터(1)의 삽발방향(A)에 있어서, 제1 내측 홈(53)보다 선단측(1a)(도 1 참조)을 제1 선단부(50a)로 하고, 제1 내측 홈(53)보다 후단측(1b)(도 1 참조)을 제1 후단부(50b)로 한다.
또한 제1 리테이너(50)에 있어서, 제1 선단부(50a)와 제1 후단부(50b)는 제1 내측 홈(53)(내측 수용부(91))이 형성된 제1 연결부(50c)에 의해 부분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연결부(50c)들 사이에 제1 결손부(58)(후술)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방수 커넥터(1)가 조립된 상태에서는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부 실링부(70c) 및 결손 실링부(70d)가 제1 연결부(50c)의 제1 외측면(55)에 돌아들어가, 제1 연결부(50c)가 내측 실링부(70a), 외측 실링부(70b), 측부 실링부(70c) 및 결손 실링부(70d)에 의해 둘러싸인 상태가 된다. 한편 내측 실링부(70a), 외측 실링부(70b), 측부 실링부(70c) 및 결손 실링부(70d)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제1 돌기(54)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내측 홈(53)의 바닥면(53a)으로부터 내측 수용부(91)를 향해 돌출되어, 상단에서 배선기판(30)과 맞닿는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내측 홈(53) 내에 복수의 제1 돌기(54)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1 내측 홈(53)에 있어서 제1 결손부(58)가 형성된 부위를 제외하고, 제1 돌기(54)들 사이에는 리브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외측 홈(56)은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리테이너(50)의 제1 외측면(55) 및 제1 측면(50d, 50e)에, 삽발방향(A)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외측 홈(56)은 개구(53b)를 통해 제1 내측 홈(53)과 연통되어 있다.
이 제1 외측 홈(56)은 제2 리테이너(60)의 제2 외측 홈(66)과 합쳐져, 제1 및 제2 리테이너(50, 60)의 외측면(55, 65) 및 측면(50d, 50e, 60d, 60e)으로 제1 실링부재(70)를 받아들이는 외측 수용부(92)를 형성한다.
제1 클로우부(57)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후단부(50b)의 제1 외측면(55)에 형성된 볼록형상 부분이며, 상술한 하우징(10)의 걸어맞춤 구멍(11)에 들어가도록 되어 있다. 이로 인해 커넥터 본체(20)가 하우징(10)에 고정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제1 리테이너(50)에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외측면(55)에서 내측 수용부(91) 내부로 관통하는 제1 결손부(58)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제1 결손부(58)에도 제1 실링부재(70)가 충전되도록 되어 있다.
이 제1 결손부(58)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이 제1 결손부(58)는 제1 내측 홈(53)의 바닥면(53a)과 제1 외측 홈(56)의 바닥면(56a) 사이를 관통하고 있다. 또 이 제1 결손부(58)는 평면에서 봤을 때 외측 수용부(92)와 내측 수용부(91)의 중복 부분(B)에 있어서, 방수 커넥터(1)의 삽발방향(A) 전역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제1 결손부(58)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방수 커넥터(1)의 삽발방향(A)을 따른 내측 수용부(91)(제1 내측 홈(53))의 중심선(CL)을 기준으로 해서 선대칭의 개구로 되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제1 리테이너(50)는 후술하는 제1 실링부재(70)의 용융 온도보다 높은 내열성을 가지면서, 제1 실링부재(70)보다 작은 선팽창계수를 가지는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1 실링부재(70)를 폴리아미드(Polyamide)로 구성할 경우, 제1 리테이너(50)의 재료로는 예를 들면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Polybutylene Terephtalate)를 들 수 있다.
제2 리테이너(60)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리테이너(50)와의 사이에서 배선기판(30)을 끼워넣는 부재이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리테이너(60)가 제1 리테이너(50)와 분리되어 있지만,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2 리테이너(60)를 힌지 등을 통해 제1 리테이너(50)와 연결시켜도 된다.
이 제2 리테이너(60)에 있어서, 배선기판(30)과 대향하는 제2 대향면(61)에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단자 수용부(62), 제2 내측 홈(63), 제2 돌기(64)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2 리테이너(60)에 있어서, 방수 커넥터(1)의 삽발방향(A)을 따른 면 중, 제2 대향면(61)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2 외측면(65)에는 제2 클로우부(67)(도 3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리테이너(60)의 제2 외측면(65) 및 제2 측면(60d, 60e)에는 제2 외측 홈(66)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이 제2 측면(60d, 60e)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리테이너(60)에 있어서 방수 커넥터(1)의 삽발방향(A)을 따른 면 중, 제2 대향면(61)과 제2 외측면(65)에 교차한 면이다.
제2 단자 수용부(62)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리테이너(50)의 제1 단자 수용부(52)와 대향하도록 삽발방향(A)을 따라 형성된 오목부이며, 제1 단자 수용부(52)와 함께 제1 및 제2 압착단자(41, 42)를 수용한다.
제2 내측 홈(63)은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대향면(61)에 있어서, 제1 리테이너(50)의 제1 내측 홈(53)과 대향하도록, 삽발방향(A)에 대하여 대략 수직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제2 내측 홈(63)은 제1 리테이너(50)의 제1 내측 홈(53)과 합쳐짐으로써, 용융한 제1 실링부재(70)가 충전되는 내측 수용부(91)를 형성한다.
이 제2 내측 홈(63)도 제1 내측 홈(53)과 마찬가지로, 제2 측면(60d, 60e)에서 개구하고 있으며, 그 개구(63b)를 통해, 용융한 제1 실링부재(70)가 흘러들도록 되어 있다. 덧붙여, 이 제2 내측 홈(63)은 개구(63b)를 통해 제2 외측 홈(66)과 연통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의 내측 수용부(91)는 제1 및 제2 리테이너(50, 60)의 측면(50d, 50e, 60d, 60e)에서 외측 수용부(92)와 연통한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의 제2 리테이너(60)에서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내측 홈(63)보다 선단측(1a)(도 1 참조)을 제2 선단부(60a)로 하고, 제2 내측 홈(63)(후술)보다 후단측(1b)(도 1 참조)을 제2 후단부(60b)로 한다.
또한 제2 리테이너(60)에 있어서, 제2 선단부(60a)와 제2 후단부(60b)는 제2 내측 홈(63)(내측 수용부(91))이 형성된 제2 연결부(60c)에 의해 부분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연결부(60c)들 사이에 제2 결손부(68)(후술)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방수 커넥터(1)가 조립된 상태에서는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부 실링부(70c) 및 결손 실링부(70d)가 제2 연결부(60c)의 제2 외측면(65)에 돌아들어가, 제2 연결부(60c)가, 내측 실링부(70a), 외측 실링부(70b), 측부 실링부(70c) 및 결손 실링부(70d)에 의해 둘러싸인 상태가 된다. 한편 내측 실링부(70a), 외측 실링부(70b), 측부 실링부(70c) 및 결손 실링부(70d)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제2 돌기(64)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내측 홈(63)의 바닥면(63a)으로부터 내측 수용부(91)를 향해 돌출되어, 상단에서 배선기판(30)과 맞닿는다. 또한 이 제2 돌기(64)는 제1 및 제2 리테이너(50, 60)가 배선기판(30)을 끼워넣은 상태에서 제1 돌기(54)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제1 돌기(54)와의 사이에서 배선기판(30)을 끼워넣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내측 홈(63) 내에 복수의 제2 돌기(64)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2 내측 홈(63)에 있어서 제2 결손부(68)(후술)가 형성된 부위를 제외하고, 제2 돌기(64)들 사이에는 리브가 형성되어 있다.
제2 외측 홈(66)은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리테이너(60)의 제2 측면(60d, 60e) 및 제2 외측면(65)에 삽발방향(A)에 대하여 대략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외측 홈(66)은 개구(63b)를 통해 제2 내측 홈(63)과 연통되어 있다.
이 제2 외측 홈(66)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리테이너(50)의 제1 외측 홈(56)과 합쳐져, 제1 및 제2 리테이너(50, 60)의 외측면(55, 65) 및 측면(50d, 50e, 60d, 60e)으로 제1 실링부재(70)를 받아들이는 외측 수용부(92)를 형성한다.
제2 클로우부(67)는 제1 클로우부(57)와 마찬가지로, 상술한 하우징(10)의 걸어맞춤 구멍(11)에 들어가는 볼록형상 부분이며, 제2 후단(60b)의 제2 외측면(65)에 형성되어 있다(도 3 참조).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의 제2 리테이너(60)에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외측면(65)에서 내측 수용부(91)로 관통하는 제2 결손부(68)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제2 결손부(68)에도 용융한 제1 실링부재(70)가 충전되도록 되어 있다.
이 제2 결손부(68)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이 제2 결손부(68)는 제2 내측 홈(63)의 바닥면(63a)과 제2 외측 홈(66)의 바닥면(66a) 사이를 관통하고 있다. 또 이 제2 결손부(68)는 평면에서 봤을 때 내측 수용부(91)와 외측 수용부(92)의 중복 부분(C)에 있어서, 방수 커넥터(1)의 삽발방향(A)의 전역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제2 결손부(68)는 방수 커넥터(1)의 삽발방향(A)을 따른 내측 수용부(91)(제2 내측 홈(63))의 중심선(CL)을 기준으로 해서 선대칭의 개구로 되어 있다. 또한 제1 및 제2 리테이너(50, 60)가 배선기판(30)을 끼워넣은 상태에서, 이 제2 결손부(68)는 제1 결손부(58)와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의 제2 결손부(68)의 크기는 제1 결손부(58)의 크기와 실질적으로 같게 되어 있지만,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2 결손부(68)를 제1 결손부(58)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해도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제2 리테이너(60)는 제1 리테이너(50)와 마찬가지로, 제1 실링부재(70)의 용융 온도보다 높은 내열성을 가지면서, 제1 실링부재(70)보다 작은 선팽창계수를 가지는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1 실링부재(70)를 폴리아미드로 구성할 경우, 제2 리테이너(60)의 재료로는 예를 들면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들 수 있다.
제1 실링부재(70)는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측 수용부(91)에 충전되어, 제1 리테이너(50)와 배선기판(30) 사이, 및 제2 리테이너(60)와 배선기판(30) 사이를 실링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실링부재(70)가 외측 수용부(92)에도 수용되어 있다. 이 제1 실링부재(70)는 핫멜트 실링재(핫멜트 접착제)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이 제1 실링부재(70)를 구성하는 재료로는 예를 들면 폴리아미드 등의 열가소성 수지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제1 실링부재(70)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측 실링부(70a), 외측 실링부(70b), 측부 실링부(70c), 결손 실링부(70d)를 가지고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의 측부 실링부(70c)와 결손 실링부(70d)가 본 발명의 접속 실링부의 일례에 상당한다.
내측 실링부(70a)는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측 수용부(91) 내에 수용되며, 배선기판(30)과 제1 및 제2 리테이너(50, 60) 사이를 실링하고 있다. 외측 실링부(70b)는 제1 및 제2 리테이너(50, 60)의 외측면(55, 65)에 위치하는 외측 수용부(92)에 수용되며, 측부 실링부(70c)를 통해, 밀착된 상태인 제1 및 제2 리테이너(50, 60)를 고정하고 있다.
측부 실링부(70c)는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리테이너(50, 60)의 측면(50d, 50e, 60d, 60e)에 위치하는 외측 수용부(92)에 수용되어 있으며, 제1 및 제2 리테이너(50, 60)의 내측 홈(53, 63)의 개구(53b, 63b)를 통해, 내측 실링부(70a)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측부 실링부(70c)는 제1 및 제2 리테이너(50, 60)의 외측면(55, 65)에 돌아들어가 외측 실링부(70b)와 접속되어 있다.
결손 실링부(70d)는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리테이너(50, 60)의 제1 및 제2 결손부(58, 68) 내에 수용되어 있으며, 내측 실링부(70a)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결손 실링부(70d)는 제1 및 제2 리테이너(50, 60)의 외측면(55, 65)에 돌아들어가 외측 실링부(70b)와 접속되어 있다.
제2 실링부재(80)는 도 2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 본체(20)(제1 및 제2 리테이너(50, 60))를 포위하여, 하우징(10)과 커넥터 본체(20) 사이를 실링하고 있다. 이 제2 실링부재(80)로는 예를 들면 O링이나 고무 패킹, 봉지(封止)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 제2 실링부재(80)에서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10)과 접촉하는 외주면(外周面)에 홈(81)이 형성되어 있어, 하우징(10)과의 밀착성 향상이 도모되어 있다. 또한 제2 실링부재(80)에서는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 본체(20)(제1 실링부재(70))와 접촉하는 내주면(內周面)에 링형상으로 이어진 볼록부(82)가 형성되어 있어, 커넥터 본체(20)와의 위치 어긋남이 억제되는 동시에, 커넥터 본체(20)와의 밀착성 향상이 도모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서의 방수 커넥터(1)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방수 커넥터(1)에서는 제1 및 제2 리테이너(50, 60)로 배선기판(30)을 끼워넣음으로써 기계적으로 보강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및 제2 리테이너(50, 60)가 합쳐짐으로써 하나의 보강 부재로서 기능한다.
또한 핫멜트 실링재로 이루어지는 제1 실링부재(70)가, 배선기판(30)과 제1 및 제2 리테이너(50, 60) 사이를 실링하여, 방수 커넥터(1)(특히 압착단자(41, 42) 부분)의 방수를 도모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제1 실링부재(70)로 방수 커넥터(1) 내부를 실링할 때에는 배선기판(30)을 끼워넣은 상태의 제1 및 제2 리테이너(50, 60)를 금형(도시하지 않음)에 셋팅하고, 적어도 내측 수용부(91) 내에, 가열되어 용융한 제1 실링부재(70)(핫멜트 실링재)를 충전시키고 식혀서 고화시킨다. 한편 제1 실링부재(70)가 폴리아미드로 구성되어 있을 경우에는, 제1 실링부재(70)를 용융시킬 때의 가열 온도로서 185℃ 정도를 예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 리테이너(50, 60)와 배선기판(30) 사이에 충전한 제1 실링부재(70)의 고화에 수반되어 제1 실링부재와 리테이너(특히 대향면) 사이에 생기는 열응력이나, 방수 커넥터 사용시의 온도 변화에 따른 열응력의 변화에 의한 피로에 의해, 제1 실링부재와 리테이너의 밀착이 약해지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방수 커넥터의 방수 성능을 충분히 향상시키지 못하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방수 커넥터의 단자수를 증가시키거나, 방수 커넥터에 폭이 넓은 배선기판을 내장할 경우에는, 방수 커넥터에 대형 리테이너를 이용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에는 리테이너가 제1 실링부재의 수축에 추종하도록 변형되기 어려워, 리테이너와 제1 실링부재의 밀착이 보다 약해지기 쉬운 경향이 있다.
이에 반해, 본 실시형태의 방수 커넥터(1)에서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측 수용부(92)에 수용된 측부 실링부(70c)가 제1 및 제2 리테이너(50, 60)의 외측면(55, 65)에 돌아들어가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방수 커넥터(1)에서는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리테이너(50, 60)에 제1 및 제2 결손부(58, 68)가 형성되고, 이 제1 및 제2 결손부(58, 68) 내에 수용된 결손 실링부(70d)도 외측면(55, 65)에 돌아들어가 있다.
그리고 측부 실링부(70c)와 내측 실링부(70a)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결손 실링부(70d)와 내측 실링부(70a)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내측 실링부(70a), 측부 실링부(70c) 및 결손 실링부(70d)가 수축할 때에는, 외측면(55, 65)에 돌아들어간 측부 실링부(70c) 및 결손 실링부(70d)가 제1 및 제2 리테이너(50, 60)를 내측 실링부(70a)를 향해 끌어당긴다.
한편, 제1 및 제2 리테이너(50, 60)는 제1 및 제2 결손부(58, 68)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강성이 약해져 있어, 내측 실링부(70a)나 측부 실링부(70c) 및 결손 실링부(70d)의 수축에 추종하여 변형되기 쉽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의 방수 커넥터(1)에서는 제1 및 제2 리테이너(50, 60)와 제1 실링부재(70) 사이의 열응력(도 9에 화살표로 나타냄)이 저하되어, 제1 및 제2 리테이너(50, 60)(제1 및 제2 내측 홈(53, 63)의 바닥면(53a, 63a))과 제1 실링부재(70)(내측 실링부(70a))가 강한 밀착 상태로 유지된다. 이로 인해 방수 성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방수 커넥터의 단자수의 증가 등으로 인해 리테이너가 대형화될 경우에는 상술한 효과가 특히 현저하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방수 커넥터(1)는 방수 성능의 향상이 도모되어 있어, 특히 냉열 사이클(-40℃~85℃를 반복해서 인가함)하에서의 내구성이 향상되어 있으므로, 방수 커넥터(1) 자체의 수명이 길어져 있다.
이와 같이, 제1 실링부재(70)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측 실링부(70a), 측부 실링부(70c), 결손 실링부(70d)를 가지고 있다면 상술한 작용 효과를 발휘한다. 따라서 제1 실링부재(70)는 외측 실링부(70b)를 갖지 않아도 되지만, 제1 실링부재(70)가 외측 실링부(70b)를 가짐으로써, 나아가 다음과 같은 효과를 발휘한다.
즉, 이 외측 실링부(70b)가, 측부 실링부(70c) 및 결손 실링부(70d)를 통해 내측 실링부(70a)와 접속됨으로써, 제1 실링부재(70)가 수축할 때에는 측부 실링부(70c) 및 결손 실링부(70d)에 더하여 이 외측 실링부(70b)가 제1 및 제2 리테이너(50, 60)의 외측면(55, 65)을 누른다.
이 때문에, 제1 및 제2 리테이너(50, 60)가 내측 실링부(70a)의 수축에 추종하도록, 더욱 변형되기 쉽게 되어 있어, 제1 및 제2 리테이너(50, 60)와 제1 실링부재(70) 사이의 열응력이 더욱 저하된다. 이로 인해, 본 실시형태의 방수 커넥터(1)에서는 제1 및 제2 리테이너(50, 60)와 제1 실링부재(70)가 강한 밀착 상태로 유지되어 효과적으로 방수 성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1 결손부(58)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리테이너(50)에 있어서, 평면에서 봤을 때 내측 수용부(91)와 외측 수용부(92)의 중복 부분(B)을 관통하고 있다. 나아가 제1 결손부(58)는 이 중복 부분(B)에 있어서 방수 커넥터(1)의 삽발방향(A) 전역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2 결손부(68)도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리테이너(60)에 있어서, 평면에서 봤을 때 내측 수용부(91)와 외측 수용부(92)의 중복 부분(C)을 관통하고 있다. 나아가 제2 결손부(68)는 이 중복 부분(C)에 있어서 방수 커넥터(1)의 삽발방향(A) 전역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결손부(58, 68)를 방수 커넥터(1)의 삽발방향(A)을 따라 광범위하게 형성함으로써, 제1 및 제2 리테이너(50, 60)와 제1 실링부재(70)의 강한 밀착성을 넓은 범위에 걸쳐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결손부(58)와 제2 결손부(68)가 서로 대향하고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의 방수 커넥터(1)에서는 제1 및 제2 리테이너(50, 60)가, 내측 수용부(91)에 있어서도 제1 실링부재(70)를 통해 배선기판(30)을 끼워넣고 있다. 이로 인해, 제1 리테이너(50)와 제1 실링부재(70) 사이의 열응력과, 제2 리테이너(60)와 제1 실링부재(70) 사이의 열응력이 배선기판(30)을 중심으로 해서 선대칭으로 생기므로, 배선기판(30)의 뒤틀림이나 휨을 억제할 수 있다.
아울러, 제1 결손부(58)와 제2 결손부(68)가 실질적으로 같은 크기로 되어 있음으로 인해, 제1 리테이너(50)와 제1 실링부재(70) 사이의 열응력과, 제2 리테이너(60)와 제1 실링부재(70) 사이의 열응력이 실질적으로 같게 된다. 이로 인해, 배선기판(30)의 뒤틀림이나 휨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및 제2 돌기(54, 64)가 내측 수용부(91) 내에서 배선기판(30)을 끼워넣고 있으므로, 용융한 제1 실링부재(70)를 내측 수용부(91) 내에 충전할 때에 배선기판(30)의 자세가 안정적이다.
또한 방수 커넥터(1)에 급격한 온도 변화(냉열 사이클)가 인가되었을 경우에, 제1 실링부재(70)와 배선기판(30)의 접촉면이 서로 어긋나서 양자의 밀착이 약해질 우려가 있다. 이것에 대해서도, 본 실시형태와 같이 제1 및 제2 돌기(54, 64)가 배선기판(30)을 끼워넣음으로써, 제1 실링부재(70)와 배선기판(30)의 접촉면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고, 그 결과, 양자의 밀착 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및 제2 결손부(58, 68)가, 방수 커넥터(1)의 삽발방향(A)에 있어서의 내측 수용부(91)의 중심선(CL)을 기준으로 해서 선대칭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의 방수 커넥터(1)는 삽발시에 인가되는 힘을 밸런스 좋게 받아낼 수 있어, 방수 커넥터(1) 삽발시의 제1 및 제2 리테이너(50, 60)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1~도 16은 본 실시형태에서의 제1 및 제2 리테이너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7은 본 실시형태에서의 방수 커넥터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8은 도 17에 나타내는 방수 커넥터의 리테이너의 단면도, 도 19는 본 실시형태에서의 방수 커넥터의 변형예의 제1 실링부재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리테이너(50)에 제1 결손부(58)가 형성되고, 제2 리테이너(60)에도 제2 결손부(68)가 형성되어 있지만,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적어도 한쪽 리테이너에 결손부가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예를 들어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리테이너(501)에만 제1 결손부(58)를 형성하고, 제2 리테이너(601)에는 결손부를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에도 제1 리테이너(501)와 배선기판의 밀착 상태가 유지되어, 방수 커넥터(1)에 있어서의 방수 성능의 향상이 도모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및 제2 결손부(58, 68)가 "개구"로 되어 있지만,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리테이너(502, 602)의 제1 및 제2 결손부(581, 681)를 "노치"로 해도 된다.
이 경우의 제1 결손부(581)는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내측 홈(53)의 양 끝에 실질적으로 같은 크기로 형성된 제1 및 제2 노치(581a, 581b)를 포함하고 있다. 제2 결손부(681)도 제2 내측 홈(63)의 양 끝에 실질적으로 같은 크기로 형성된 제3 및 제4 노치(681a, 681b)를 포함하고 있다. 한편 제1 노치(581a)와 제3 노치(681a)는 실질적으로 같은 크기이며 서로 대향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제2 노치(581b)와 제4 노치(681b)는 실질적으로 같은 크기이며 서로 대향하고 있다. 한편 여기서 말하는 "양 끝"이란 방수 커넥터(1)의 삽발방향(A)과 거의 수직방향에서의 끝들을 의미한다.
이러한 제1 및 제2 리테이너(502, 602)를 포함한 방수 커넥터에 있어서의 제1 실링부재에서는 측부 실링부;와, 노치(581a, 581b, 681a, 681b) 내에 수용되는 결손 실링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이렇게 일체가 된 측부 실링부 및 결손 실링부가 외측면으로 돌아들어가, 제1 및 제2 리테이너(502, 602)를 내측 실링부를 향해 끌어당긴다.
한편, 제1 및 제2 리테이너(502, 602)는 노치(581a, 581b, 681a, 681b)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강성이 약해져 있어, 내측 실링부나 결손 실링부의 수축에 추종하여 변형되기 쉽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1 및 제2 리테이너(502, 602)와 제1 실링부재 사이의 열응력이 저하되어, 제1 및 제2 리테이너(502, 602)와 제1 실링부재의 실링 상태가 강고한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결손 실링부에 더하여 외측 실링부가 제1 및 제2 리테이너(502, 602)의 외측면을 누르므로, 제1 및 제2 리테이너(502, 602)와 제1 실링부재 사이에 생기는 열응력이 더욱 저하된다.
또한 제1 및 제2 리테이너(502, 602)에서는 제1 및 제2 결손부(581, 681)가 서로 대향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제1 및 제2 리테이너(502, 602)가, 내측 수용부(91) 내에서도 제1 실링부재를 통해 배선기판을 끼워넣으므로, 배선기판에 뒤틀림이나 휨이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리테이너(502, 602)에서는 제1 및 제2 결손부(581, 681)가, 방수 커넥터(1)의 삽발방향(A)에 있어서의 내측 수용부(91)의 중심선(CL)을 기준으로 해서 선대칭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방수 커넥터(1)는 삽발시에 인가되는 힘을 밸런스 좋게 받아낼 수 있어, 방수 커넥터(1) 삽발시의 제1 및 제2 리테이너(502, 602)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리테이너(503)의 제1 결손부(582)를 크기가 다른 제1 및 제2 노치(582a, 682b)로 구성해도 된다. 예를 들면 도면 왼쪽에 위치하는 제1 노치(582a)를 비교적 크게 형성하고, 도면 오른쪽에 위치하는 제2 노치(582b)를 제1 노치(582a)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해도 된다.
또한 제2 리테이너(603)에 대해서도,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결손부(682)를 크기가 다른 제3 및 제4 노치(682a, 682b)로 구성해도 된다. 예를 들어 도면 왼쪽에 위치하는 제3 노치(682a)를 제1 노치(582a)와 대향하도록 비교적 크게 형성하고, 도면 오른쪽에 위치하는 제4 노치(682b)를 제2 노치(582b)와 대향하도록 비교적 작게 형성해도 된다.
이러한 제1 및 제2 리테이너(503, 603)에서는 제1 및 제2 결손부(582, 682)가 서로 대향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제1 및 제2 리테이너(503, 603)가, 내측 수용부(91) 내에서도 제1 실링부재를 통해 배선기판을 끼워넣으므로, 배선기판에 뒤틀림이나 휨이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결손부(583)와 제2 결손부(683)를 노치로 구성하고, 제1 및 제2 리테이너(504, 604)가 합쳐진 상태에서, 방수 커넥터(1)의 삽발방향(A)에 있어서의 내측 수용부(91)의 중심선(CL)을 기준으로 해서 선대칭이 되도록 배치해도 된다. 이러한 제1 및 제2 리테이너(504, 604)를 방수 커넥터(1)에 구비해도, 방수 커넥터(1) 삽발시의 제1 및 제2 리테이너(504, 604)의 변형을 억제하면서 방수 성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한편, 동 도면에 있어서, 제1 결손부(583)가 2개의 노치로 구성되고, 제2 결손부(683)도 2개의 노치로 구성되어 있지만,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결손부(583)를 1개의 노치로 구성하고, 제2 노치(683)도 하나의 노치로 구성해도 된다.
또한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결손부(584)를 제1 개구(584a)와 제1 및 제2 노치(584b, 584c)로 구성해도 된다. 마찬가지로 제2 결손부(684)를 제2 개구(684a)와 제3 및 제4 노치(684b, 684c)로 구성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리테이너(505)에 있어서 제1 개구(584a)를 제1 내측 홈(53)의 중앙 부분에 배치하고, 제1 및 제2 노치(584b, 584c)를 제1 내측 홈(53)의 양 끝에 배치한다. 마찬가지로 제2 리테이너(605)에서도, 제2 개구(684a)를 제2 내측 홈(63)의 중앙 부분에 배치하고, 제3 및 제4 노치(684b, 684c)를 제2 내측 홈(63)의 양 끝에 배치한다. 한편 여기서 말하는 "양 끝"이란 방수 커넥터(1)의 삽발방향(A)과 대략 수직방향에서의 끝들을 의미한다.
이 제1 및 제2 리테이너(505, 605)에서는 제1 결손부(584)와 제2 결손부(684)가 서로 대향한다. 이 때문에 제1 및 제2 리테이너(505, 605)가, 내측 수용부 내에서도 제1 실링부재를 통해 배선기판을 끼워넣으므로, 배선기판에 뒤틀림이나 휨이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결손부(584, 684)가 방수 커넥터(1)의 삽발방향(A)에 있어서의 내측 수용부(91)의 중심선(CL)을 기준으로 해서 선대칭이 된다. 이 때문에, 이러한 제1 및 제2 리테이너(505, 605)를 방수 커넥터(1)에 구비함으로써도, 방수 커넥터(1) 삽발시의 제1 및 제2 리테이너(505, 605)의 변형을 억제하면서 방수 성능의 효과적인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 결손부(585, 685)를 복수개의 원형상 개구로 구성해도 된다. 이 경우에도 제1 결손부(585)를 구성하는 복수개(본 예에서는 5개)의 개구와, 제2 결손부(685)를 구성하는 복수개(본 예에서는 5개)의 개구를 방수 커넥터(1)의 삽발방향(A)에 있어서의 내측 수용부(91)의 중심선(CL)을 기준으로 해서 선대칭이 되도록 형성한다. 또한 제1 결손부(584)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개구와, 제2 결손부(684)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개구를 서로 대향시키도록 배치한다.
이러한 제1 및 제2 결손부(585, 685)가 형성된 제1 및 제2 리테이너(506, 606)를 방수 커넥터(1)에 구비함으로써도, 방수 커넥터(1) 삽발시의 제1 및 제2 리테이너(506, 606)의 변형을 억제하면서 방수 성능의 효과적인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한편, 동 도면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제1 및 제2 결손부(585, 685)에 비교적 큰 개구와 비교적 작은 개구를 혼재시켰지만,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복수개의 개구를 모두 같은 크기로 해도 된다. 또한 개구의 형상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및 제2 리테이너(50, 60)에 제1 및 제2 결손부(58, 68)를 각각 형성함으로써, 방수 커넥터(1)의 방수 성능의 향상을 도모하고 있지만 이것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17 및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결손부 대신에 제1 리테이너(507)에, 제1 외측면(55)과 내측 수용부(91)의 바닥면(91a) 사이의 두께를 부분적으로 얇게 한 제1 박육부(59)를 형성하고, 제2 리테이너(607)에도 제2 외측면(65)과 내측 수용부(91)의 바닥면(91a) 사이의 두께를 부분적으로 얇게 한 제2 박육부(69)를 형성해도 된다. 한편 여기서 말하는 내측 수용부(91)의 바닥면(91a)이란 제1 및 제2 돌기나 리브를 제외한 제1 및 제2 내측 홈(53, 63)의 바닥면(53a, 63a)이다. 또한 이 방수 커넥터(1A)에 있어서의 제1 실링부재(70)는 내측 실링부(70a), 외측 실링부(70b), 측부 실링부(70c)로 구성된다.
이러한 제1 및 제2 리테이너(507, 607)를 구비한 방수 커넥터(1A)에서는 측부 실링부(70c)가 제1 및 제2 리테이너(507, 607)를 내측 실링부(70a)를 향해 끌어당긴다. 한편 본 예에서는 이 측부 실링부(70c)가 본 발명의 접속 실링부의 일례에 상당한다.
이 경우에는 제1 및 제2 리테이너(507, 607)에 있어서 제1 및 제2 박육부(59, 69)가 비교적 약한 강성이 되기 때문에, 이 제1 및 제2 박육부(59, 69)가 제1 실링부재(70)의 수축에 추종하여 변형되기 쉬워진다. 이 때문에, 제1 및 제2 리테이너(507, 607)와 제1 실링부재(70)의 밀착을 유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방수 성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한편, 본 예의 방수 커넥터(1A)에 있어서의 제1 실링부재(70)는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측 실링부(70a)와 외측 실링부(70c)를 포함하고 있다면 상술한 효과를 발휘한다. 따라서 제1 실링부재(70)는 외측 실링부(70b)를 포함하지 않아도 되지만, 제1 실링부재(70)가 외측 실링부(70b)를 포함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효과를 발휘한다.
즉, 측부 실링부(70c)에 더하여 외측 실링부(70b)가 제1 및 제2 리테이너(507, 607)의 외측면(55, 65)을 누르므로, 제1 및 제2 리테이너(507, 607)가 제1 실링부재(70)의 수축에 추종하여 더욱 변형되기 쉬워진다. 이 때문에 제1 및 제2 리테이너(507, 607)와 제1 실링부재(70)의 강한 밀착을 유지할 수 있어, 효과적으로 방수 성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한편, 동 도면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제1 및 제2 리테이너(507, 607)에 제1 및 제2 박육부(59, 69)를 형성했지만, 한쪽 리테이너에만 박육부를 형성해도 된다. 예를 들어 제1 리테이너(507)에만 제1 박육부(59)를 형성하고, 제2 리테이너(607)에는 박육부를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기재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해 기재된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의 실시형태에 개시된 각 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모든 설계 변경이나 균등물도 포함한다.
1 방수 커넥터
10 하우징
20 커넥터 본체
30 배선기판
50, 60 리테이너
50d, 50e, 60d, 60e 측면
51, 61 대향면
54, 64 돌기
55, 65 외측면
56, 66 외측 홈
58, 68 결손부
59, 69 박육부
70 제1 실링부재
70a 내측 실링부
70b 외측 실링부
70c 측부 실링부
70d 결손 실링부
80 제2 실링부재
91 내측 수용부
92 외측 수용부

Claims (8)

  1. 배선기판에 장착되는 방수 커넥터로서,
    상기 배선기판을 끼워넣고, 상기 배선기판과의 대향면에 내측 수용부가 형성되는 한 쌍의 리테이너와,
    핫멜트 실링(sealing)재로 이루어지며, 적어도 상기 내측 수용부에 충전되는 제1 실링부재를 구비하고,
    한 쌍의 상기 리테이너에 있어서, 상기 방수 커넥터의 삽발(揷拔;insertion-extraction)방향을 따른 면 중, 상기 대향면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외측면과, 상기 대향면과 상기 외측면에 교차하는 측면에는, 상기 제1 실링부재를 받아들이는 외측 수용부가 형성되고,
    적어도 한쪽의 상기 리테이너에는, 상기 외측면에서 상기 내측 수용부로 관통하며, 상기 제1 실링부재가 충전되는 결손부가 형성되고,
    상기 내측 수용부는 상기 측면에서 상기 외측 수용부와 연통(連通)되고,
    상기 결손부는 개구 또는 노치(notch) 중 적어도 한쪽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제1 실링부재는,
    상기 내측 수용부에 수용된 내측 실링부와,
    상기 결손부 및 상기 리테이너의 상기 측면에 위치하는 상기 외측 수용부에 수용되며, 상기 내측 실링부와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접속 실링부를 가지며,
    상기 접속 실링부는 상기 리테이너의 상기 외측면에 돌아들어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손부는 상기 외측 수용부와 상기 내측 수용부의 중복 부분에 있어서, 상기 방수 커넥터의 삽발방향 전역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커넥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손부는 상기 방수 커넥터의 삽발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내측 수용부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해서 선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커넥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는 제1 리테이너 및 제2 리테이너를 포함하고,
    상기 결손부는,
    상기 제1 리테이너에 형성된 제1 결손부와,
    상기 제2 리테이너에 형성된 제2 결손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제1 결손부와 상기 제2 결손부는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테이너에는 상기 내측 수용부 내부를 향해 돌출하는 제1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리테이너에는 상기 내측 수용부 내부를 향해 돌출하는 제2 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돌기와 상기 제2 돌기는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커넥터.
  6. 배선기판에 장착되는 방수 커넥터로서,
    상기 배선기판을 끼워넣고, 상기 배선기판과의 대향면에 내측 수용부가 형성되는 한 쌍의 리테이너와,
    핫멜트 실링재로 이루어지며, 적어도 상기 내측 수용부에 충전되는 제1 실링부재를 구비하고,
    한 쌍의 상기 리테이너에 있어서, 상기 방수 커넥터의 삽발방향을 따른 면 중, 상기 대향면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외측면과, 상기 대향면과 상기 외측면에 교차하는 측면에는, 상기 제1 실링부재를 받아들이는 외측 수용부가 형성되고,
    적어도 한쪽의 상기 리테이너에는 상기 외측면과 상기 내측 수용부의 바닥면 사이의 두께를 부분적으로 얇게 한 박육부(薄肉部; thin-walled portion)가 형성되며,
    상기 내측 수용부는 상기 측면에서 상기 외측 수용부와 연통되고,
    상기 제1 실링부재는,
    상기 내측 수용부에 수용된 내측 실링부와,
    상기 리테이너의 상기 측면에 위치하는 상기 외측 수용부에 수용되며, 상기 내측 실링부와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접속 실링부를 가지며,
    상기 접속 실링부는 상기 리테이너의 상기 외측면에 돌아들어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커넥터.
  7. 배선기판에 장착되는 방수 커넥터로서,
    상기 배선기판을 끼워넣고, 상기 배선기판과의 대향면에 내측 수용부가 형성되는 한 쌍의 리테이너와,
    핫멜트 실링재로 이루어지며, 적어도 상기 내측 수용부에 충전되는 제1 실링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방수 커넥터의 삽발방향에 있어서 상기 내측 수용부보다 선단측에 위치하는 선단부와,
    상기 방수 커넥터의 삽발방향에 있어서 상기 내측 수용부보다 후단측에 위치하는 후단부와,
    상기 선단부와 상기 후단부를 부분적으로 연결하는 동시에, 상기 내측 수용부를 가지는 연결부를 가지며,
    상기 제1 실링부재는 상기 내측 수용부에 수용되는 동시에, 상기 연결부에 있어서 상기 대향면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외측면에 돌아들어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커넥터.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실링부재 및 한 쌍의 상기 리테이너로 이루어지는 커넥터 본체와,
    상기 커넥터 본체를 수용하는 하우징과,
    상기 커넥터 본체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개재하여, 상기 커넥터 본체와 상기 하우징 사이를 실링하는 제2 실링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커넥터.
KR1020127028200A 2010-03-31 2011-03-30 방수 커넥터 KR1014027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083185A JP4898936B2 (ja) 2010-03-31 2010-03-31 防水コネクタ
JPJP-P-2010-083185 2010-03-31
PCT/JP2011/058028 WO2011125749A1 (ja) 2010-03-31 2011-03-30 防水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8807A true KR20130018807A (ko) 2013-02-25
KR101402793B1 KR101402793B1 (ko) 2014-06-02

Family

ID=44762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8200A KR101402793B1 (ko) 2010-03-31 2011-03-30 방수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099817B2 (ko)
EP (1) EP2555337B1 (ko)
JP (1) JP4898936B2 (ko)
KR (1) KR101402793B1 (ko)
CN (1) CN102823075B (ko)
WO (1) WO2011125749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5681A (ko) * 2015-01-08 2016-07-18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리셉터클 커넥터
WO2017146540A1 (ko) * 2016-02-25 2017-08-31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리셉터클 커넥터
KR20170100393A (ko) * 2016-02-25 2017-09-04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리셉터클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2810B1 (ko) 2014-05-29 2015-11-09 케이유엠 주식회사 평판 케이블 커넥터
BE1023645B1 (nl) * 2015-11-24 2017-06-01 Waak-Bw Vzw Connector voor het maken van een elektrische verbinding en gebruik daarvan.
CN205429282U (zh) * 2015-12-18 2016-08-03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JP6524961B2 (ja) * 2016-05-13 2019-06-05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フラットケーブル及び止水ケーブル
DE102016125350A1 (de) * 2016-12-22 2018-06-28 Endress+Hauser SE+Co. KG Verbindungselement und Transmittergehäuse mit darin eingesetzten Verbindungselement
US11011869B2 (en) * 2017-03-30 2021-05-18 Honda Motor Co., Ltd. Connector seal structure
TWI658655B (zh) * 2018-06-07 2019-05-01 映興電子股份有限公司 Knife type waterproof connector
CN109238566B (zh) * 2018-10-30 2023-09-15 歌尔科技有限公司 充电针防水安装结构、充电针防水检测方法及腕戴设备
CN111106477B (zh) * 2019-12-09 2021-09-10 中航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连接铝基导线的电源连接器
CN112636056B (zh) * 2020-12-16 2022-11-11 深圳万德溙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高密度sff高速电缆组件制造方法
JP2022105807A (ja) * 2021-01-05 2022-07-15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シート状導電路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96432A (en) * 1981-11-20 1986-06-24 Amp Incorporated Shielded ribbon coax cable assembly
JPH1116628A (ja) * 1997-06-24 1999-01-22 Furukawa Electric Co Ltd:The 防水コネクタとその組立方法
JP2001210410A (ja) * 2000-01-28 2001-08-03 Yazaki Corp フラット回路体の端末構造
JP2001267000A (ja) * 2000-03-21 2001-09-28 Sumitomo Wiring Syst Ltd 防水コネクタ
US6434316B1 (en) * 2000-06-23 2002-08-13 Molex Incorporated Fiber optic connector
US6409541B1 (en) 2000-11-02 2002-06-25 Autonetworks Technologies, Ltd. Waterproof structure in cable insertion section,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die for waterproof molding
JP3687548B2 (ja) * 2001-02-16 2005-08-24 住友電装株式会社 可撓性平型ケーブル用防水コネクタ
US7310458B2 (en) * 2001-10-26 2007-12-18 Staktek Group L.P. Stacked module systems and methods
JP2004220864A (ja) * 2003-01-10 2004-08-05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フラットケーブルの端末構造
JP4463665B2 (ja) * 2004-11-17 2010-05-19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防水コネクタ
JP2006147248A (ja) * 2004-11-17 2006-06-08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防水コネクタ
US7354308B2 (en) * 2005-08-03 2008-04-08 Yazaki Corporation Waterproof connector for flat cable
DE202005018318U1 (de) * 2005-10-28 2007-03-15 Weidmüller Interface GmbH & Co. KG Steckverbindung für Flachkabel und Kontaktelement für eine derartige Steckverbindung
EP2027632B1 (en) * 2006-05-12 2019-04-10 Aptiv Technologies Limited Electrical connector
JP2008171596A (ja) * 2007-01-09 2008-07-24 Fujikura Ltd フレキシブルフラットハーネ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134261B1 (ja) * 2007-10-24 2008-08-20 田中電子工業株式会社 ボールボンディング用金合金線
JP4950017B2 (ja) * 2007-12-18 2012-06-13 日本特殊陶業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付きの回路基板搭載ケース
CN101919124B (zh) * 2008-01-15 2013-03-27 株式会社藤仓 柔性基板用防水连接器
JP2010083185A (ja) 2008-09-29 2010-04-15 Mazda Motor Corp 車両用駆動装置の制御方法
CN101958476B (zh) * 2009-07-13 2012-10-03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线缆连接器组件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5681A (ko) * 2015-01-08 2016-07-18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리셉터클 커넥터
WO2017146540A1 (ko) * 2016-02-25 2017-08-31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리셉터클 커넥터
KR20170100393A (ko) * 2016-02-25 2017-09-04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리셉터클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55337A4 (en) 2014-06-25
WO2011125749A1 (ja) 2011-10-13
CN102823075B (zh) 2015-04-01
EP2555337B1 (en) 2018-06-13
CN102823075A (zh) 2012-12-12
KR101402793B1 (ko) 2014-06-02
US9099817B2 (en) 2015-08-04
US20130023140A1 (en) 2013-01-24
EP2555337A1 (en) 2013-02-06
JP4898936B2 (ja) 2012-03-21
JP2011253619A (ja) 2011-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2793B1 (ko) 방수 커넥터
JP4796187B2 (ja) フレキシブル基板用防水コネクタ
US7628654B2 (en) Card edge connec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4603587B2 (ja) カードエッジコネクタ及びその組付方法
KR100392340B1 (ko) 전지팩
JP2013251294A (ja) 温度センサ及び配線モジュール
WO2019244549A1 (ja) 電気コネクタ
US20150077959A1 (en) Connector device for a printed circuit board of a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transmission, control system for a vehicle transmission and method for assembling a control system for a vehicle transmission
CN110739565A (zh) 衣服用连接器
US20030022533A1 (en) Signal transmission connector in a computer hard disk drive
JP5469646B2 (ja) 防水コネクタ
CN112787153B (zh) 连接器组件和连接器对
JP3311641B2 (ja) 端子及び端子と電線との接続構造
KR101051190B1 (ko) 접착제를 이용한 fpc용 릴레이 커넥터
TWI801766B (zh) 連接器組件和連接器對
JP5564678B2 (ja) コネクタ、スタック状電極への接続構造
WO2022158295A1 (ja) 配線モジュール
JP2002298956A (ja) 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4596429B2 (ja) 端子取出構造
CN114762177A (zh) 线束、蓄电模块及线束的制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