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7064A - 건조한 흑마늘 다데기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건조한 흑마늘 다데기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7064A
KR20130017064A KR1020110079589A KR20110079589A KR20130017064A KR 20130017064 A KR20130017064 A KR 20130017064A KR 1020110079589 A KR1020110079589 A KR 1020110079589A KR 20110079589 A KR20110079589 A KR 20110079589A KR 20130017064 A KR20130017064 A KR 201300170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rlic
black garlic
black
degrees
d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9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남호
Original Assignee
김남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남호 filed Critical 김남호
Priority to KR1020110079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17064A/ko
Publication of KR20130017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70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3/00Soups; Sauc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A23L27/105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obtained from liliaceae, e.g. onions, garlic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L3/44Freeze-dry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한 흑마늘 다데기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마늘 다데기에 흑마늘 분말을 혼합하여 건조한 다음에 분쇄하여 포장단계를 거친 후 소비자에게 공급하는 방식으로 마늘 다데기에 흑마늘 의 유효성분을 함유할 수 있도록 하고 유통과 보관의 편리성 및 유효기간을 길게함을 목적으로 한 건조한 흑마늘 다데기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음식조리나 김치 가공시 양념으로 많이 사용되는 마늘 다데기에 흑마늘에 함유되어 있는 유효성분을 혼합하여 음식조리와 김치 가공시 사용하면 건강에 유익하고 냉동동결 건조에 의하여 영양성분 파괴를 최소화하고 유통 및 보관시 편의성과 유통기한을 길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건조한 흑마늘 다데기를 제공할 수 있다.
흑마늘.마늘다데기.깐마늘.동결건조

Description

건조한 흑마늘 다데기 및 이의 제조방법{omitted}
본 발명은 건조한 흑마늘 다데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깐 마늘을 세척한후 건조하는 과정을 거처 대형 믹서기에 넣고 믹서한 후 흑마늘 분말을을 혼합하여 냉동동결 건조후 분쇄하여 포장단계를 거처 소비자에게 유통하는 건조한 흑마늘 다데기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마늘 다데기에 흑마늘에 함유된 각종 유효성분을 함유되도록 흑마늘 분말을 혼합하고 건조하여 음식 조리 및 김치 가공시 양념으로 사용이 가능하고 유통 및 보관시 편의성과 유통기한을 늘리며 건강에 유익한 건조한 흑마늘 다데기를 제공할 수 있다.
흑마늘 이란 생마늘을 굽거나 삶지 않고 일정한 온도와 습도에서 숙성 시킴으로서 마늘 특유의 향기 성분인 유황 화합물을 증발시켜 매운맛과 불쾌한 냄새 제거는 물론 체내 흡수율을 높인 것이 특징이다.
흑마늘의 성분 및 효능은 주성분은 diallyl disulfide로 황함유 화합물질에는 항세균, 항곰팡이, 항산화, 혈소판응집억제, 항암, 면역기능, 항진작용 등의 기능이 알려져 있으며 생마늘에 거의 없는 수용성 황화합물인 s아릴시스테인, s_메틸 시스테인, s_아릴메르캅탄시스테인 등이 다량 함유되어있다.
최근에 일반인의 건강에 대한 관심이 고조 되면서 흑마늘 및 흑마늘을 이용하여 가공된 가공식품의 기능성 및 유효성분에 대한 일반인의 관심이 높으나 가격적인 면에서 부담이 되는 단점이 있고 마늘 다데기는 음식 조리나 김치 가공시 많이 사용되는 양념이나 유통 및 보관시 냉장 또는 냉동하며 유통기한이 짧은 단점이 있다 .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매일 섭취하는 김치나 찌개의 양념인 마늘다데기에 흑마늘 분말을 혼합하고 냉동동결 건조하여 건강에 유익하고 유통 및 보관이 편리한 건조한 흑마늘 다데기를 가공 포장후 유통하여 일반인이 보다 저렴한 가격에 흑마늘의 유효성분을 쉽게 섭취할 수 있고 보관이 용이한 건조한 흑마늘 다데기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건조한 흑마늘 다데기 제조방법은 깐 마늘을 세척 후 건조하는 단계; 깐 마늘을 대형 믹서기에 넣고 믹서하는 단계;
이와는 별도로 흑마늘 분말을 만들기 위해 깐 흑마늘을 파쇄하여 중탕기에 넣고 흑마늘중량의 50%이상 200%이하의 식수를 넣은후 90도이상 120도이하의 온도에서 30분이상 120분 이하의 시간 동안 중탕하는 단계; 중탕된 흑마늘을 유압프레스기를 이용해 흑마늘 액을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흑마늘 액을 90도 이상 120도 이하의 온도에서 30분간 살균하는 살균단계; 살균된 흑마늘액을 영하 30도에서 영하 40도의 온도에서 냉동동결 건조하여 수율 3%~8%가 되도록 하여 분쇄하는 흑마늘 분말 가공단계; 믹서된 마늘 다데기와 분말화된 흑마늘 분말의 혼합비가 마늘 다데기 중량의1%이상 30%이하의 흑마늘 분말을 혼합하는 혼합단계; 흑마늘 분말이 혼합된 다데기를 냉동동결 건조하여 진공 포장하는 단계; 이러한 공정을 거쳐서 건조된 흑마늘 다데기를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제조 방법에 의해 건조한 흑마늘 다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만들어진 건조한 흑마늘 다데기는 매일 섭취가 가능한 김치와 찌개 조리시 양념으로 많이 사용되는 마늘 다데기에 흑마늘 분말을 혼합 후 냉동동결 건조하여 파쇄과정을 거친후 진공 포장하여 소비자에게 공급하여 김치나 찌개 조리시 사용하여 흑마늘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유효성분을 섭취할 수 있음은 물론 대량 생산이 가능하고 유통과 보관의 편리성 및 유통기한이 길어지는 장점이 있다.
이하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의한 건조한 흑마늘 다데기 제조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건조한 흑마늘 다데기 및 이의 제조 방법에 대한 공정도이다.
깐 마늘을 세척 후 건조하는 s100단계를 거쳐서 건조된 마늘을 대형 믹서에 넣고 분쇄하여 마늘 다데기 가공단계 s150과정을 거친다.
이와는 별도로 흑마늘 분말을 추출하기 위하여 깐 흑마늘을 분쇄 후 중탕기에 넣고 흑마늘 중량 대비 50%이상 200%이하의 식수를 넣어 90도이상 120도이하의 온도에서 30분 이상 120분 이하의 시간 동안 중탕하는 중탕단계 s200과정; 중탕이 끝난 흑마늘을 유압프레스기를 이용하여 흑마늘 액을 추출하는 흑마늘 액 추출단계 s250과정; 추출된 흑마늘 액을 90도이상 120도 이하의 온도에서 30분 동안 살균하는 살균단계 s300과정; 살균된 흑마늘 액을 영하 30도~영하 40도의 온도에서 냉동동결 건조하여 수율이 3%~8%이 되게하여 분쇄하는 흑마늘 분말 가공단계 s400과정;
다음은 s500의 혼합과정으로 믹서한 마늘 다데기와 s400과정으로 가공된 흑마늘 분말의 혼합 중량비가 100:1이상 100:30이하로 하는데 이유는 흑마늘 분말의 혼합 중량비가 100:1이하 이면 흑마늘에 함유되어 있는 유효성분 및 기능의 섭취가 작은 단점이 있고 100:30이상 이면 제조원가의 상승 및 농도가 너무 진해져서 가공의 어려운 단점이 있기 때문이다.
s500과정의로 혼합이 끝난 흑마늘 분말을 혼합한 다데기는 s600의 단계에서 냉동동결 건조하여 s700과정에서 건조된 흑마늘 분말이 혼합된 다데기를 파쇄하여 진공 포장 후 최종 제품인 건조된 흑마늘 다데기 및 이의 제조방법.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건조한 흑마늘 다데기 제조방법에 대한 공정도이다.

Claims (2)

  1. 깐 마늘을 세척 건조 후 대형 믹서기에 믹서하여 마늘 다데기를 만드는 단계; 이와는 별도로 깐 흑마늘을 분쇄후 중탕기에 넣고 깐 흑마늘 중량의 50%이상 200%이하의 식수를 넣고 90도 이상 120도 이하의 온도에서 30분 이상 120분 이하의 시간동안 중탕하는 단계; 중탕된 흑마늘을 유압 프레스기를 이용하여 흑마늘 액을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흑마늘 액을 90도 이상 120도 이하의 온도에서 30분 동안 살균하는 단계;살균된 흑마늘 액을 영하30도~영하40도의 온도에서 냉동동결 건조하여 수율이 3%~8%%가 되도록 건조하고 분쇄하는 흑마늘 분말 가공단계; 믹서된 마늘 다데기와 흑마늘 분말을 혼합하는 단계; 흑마늘 분말이 혼합된 다데기를 냉동동결 건조후파쇄하여 진공포장하는 단계를 거쳐서 만들어지는 건조한 흑마늘 다데기 및 이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믹서된 마늘 다데기와 흑마늘 분말 혼합 단계에서 흑마늘 분말의 중량비가 마늘 다데기 중량의 1%~30% 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한 흑마늘 다데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110079589A 2011-08-09 2011-08-09 건조한 흑마늘 다데기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300170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9589A KR20130017064A (ko) 2011-08-09 2011-08-09 건조한 흑마늘 다데기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9589A KR20130017064A (ko) 2011-08-09 2011-08-09 건조한 흑마늘 다데기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7064A true KR20130017064A (ko) 2013-02-19

Family

ID=47896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9589A KR20130017064A (ko) 2011-08-09 2011-08-09 건조한 흑마늘 다데기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1706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0641A (ko) * 2019-08-16 2021-02-24 채부기 유기 게르마늄 마늘 재배방법과 그 유기 게르마늄 마늘을 이용한 흑마늘 가공식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0641A (ko) * 2019-08-16 2021-02-24 채부기 유기 게르마늄 마늘 재배방법과 그 유기 게르마늄 마늘을 이용한 흑마늘 가공식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315323B (zh) 一种泡椒风味鸭肉午餐肉的制备方法
CN104886621A (zh) 一种即食瓦钵焖蒸猪蹄的制备方法及腌制液、卤汤、酱色
CN104719932A (zh) 一种健康午餐肉罐头及其制备方法
CN102334662A (zh) 一种莴笋的腌制方法
CN103478747B (zh) 一种真空冻干牛杂什锦的制备工艺及其砂锅产品
CN104938563A (zh) 一种水芹味香饼及其加工工艺
KR20130017064A (ko) 건조한 흑마늘 다데기 및 이의 제조방법
RU2483615C1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консервов "голубцы любительские в сметанном соусе с томатом"
CN103461543B (zh) 食用菌风味调味油及其生产方法
CN107279683A (zh) 一种牛肉干的制备方法
KR101054639B1 (ko) 흑마늘 다데기 및 그 제조방법
RU2514848C1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консервов "голубцы любительские в сметанном соусе с томатом"
KR20090017239A (ko) 고함량의 토마토 라이코펜 소재물의 제조방법 및 용도
CN104522628A (zh) 干制食用菌及其加工工艺
RU2492717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консервов "тефтели с капустой в соусе сметанном с томатом"
RU2486838C1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консервов "голубцы с крилем"
RU2468653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консервированного продукта "рыбные котлеты в томатном соусе"
KR20120034896A (ko) 발효 비지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비지
KR101818555B1 (ko) 들깨를 이용한 메주와 된장 및 간장과 그 제조 방법
WO2016079582A1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food ingredients from vegetable by products and waste thereof
RU2499505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консервов "фрикадельки рыбные в славянском соусе"
RU2556350C1 (ru) Способ приготовления консервов "гусь с капустой"
RU2511884C1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консервов "голубцы по-молдавски"
RU2558937C1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консервов "сосиски латвийские с капустой"
RU2500292C1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консервов "фрикадельки рыбные в славянском соус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