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1412A - 주차 브레이크의 로킹 장치 - Google Patents

주차 브레이크의 로킹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1412A
KR20130011412A KR1020110072555A KR20110072555A KR20130011412A KR 20130011412 A KR20130011412 A KR 20130011412A KR 1020110072555 A KR1020110072555 A KR 1020110072555A KR 20110072555 A KR20110072555 A KR 20110072555A KR 20130011412 A KR20130011412 A KR 201300114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rod
piston member
piston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2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16845B1 (ko
Inventor
장성욱
김다희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725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6845B1/ko
Priority to US13/316,053 priority patent/US8844703B2/en
Priority to JP2011271111A priority patent/JP5965630B2/ja
Priority to DE102011057057.8A priority patent/DE102011057057B4/de
Priority to CN201110446880.1A priority patent/CN102887140B/zh
Publication of KR20130011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14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68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68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00Arrangements of braking elements, i.e. of those parts where braking effect occurs specially for vehicles
    • B60T1/005Arrangements of braking elements, i.e. of those parts where braking effect occurs specially for vehicles by locking of wheel or transmission ro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4Locking or disabl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1/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 B60T11/0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transmitting mechanically
    • B60T11/046Using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18Safety devices; Monitoring
    • B60T17/22Devices for monitoring or checking brake systems; Signal devices
    • B60T17/221Procedure or apparatus for checking or keeping in a correct functioning condition of brake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8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hand actuated
    • B60T7/10Disposition of hand control
    • B60T7/102Disposition of hand control by means of a tilting lever
    • B60T7/104Disposition of hand control by means of a tilting lever with a locking mechanis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576Elements
    • Y10T74/20636De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alves And Accessory Devices For Braking Systems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차 브레이크의 로킹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시 주차 모드를 위한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에 결합되는 파킹 레버; 상기 파킹 레버와 연결되고 그 이동에 따라 변속모드를 결정하는 피스톤부재; 상기 피스톤부재의 외주에 형성되는 실린더부재; 상기 피스톤부재의 내부에서 이동하며 그 이동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피스톤부재를 로킹시키는 로킹 기구; 상기 로킹 기구의 일측에 위치하고 전류의 공급 중단시에 상기 피스톤부재를 로킹하도록 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상기 로킹 기구의 끝단과 연결되어 상기 로킹 기구를 강제로 움직이도록 하는 비상 파킹 기구; 를 포함하는 주차 브레이크의 로킹 장치를 제공하여,
P단 진입을 위한 상시 스프링에 의하여 걸리는 로킹력을 분산함으로써 솔레노이드 밸브에 최소한의 힘만 작용하게 되어 작동전류를 감소시킬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로킹 해제시 솔레노이드 밸브가 담당해야 하는 전자기력이 줄어들어 로킹 장치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주차 브레이크의 로킹 장치{LOCKING APPARATUS FOR PARKING BRAKE}
본 발명은 주차 브레이크의 로킹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류의 공급 중단시에 로킹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이용하여 비상시에 파킹 진입 또는 파킹 해제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SBW(Shift By Wire)는 사용자의 의지를 TCU(Transmission Control Unit)에 전달하여 유압 또는 공압으로 기계적 파킹 해제를 구현하는 방법으로 기존 TGS(Transmission Gear Shift) 레버(P/R/N/D)를 움직이는 작동력 대비 훨씬 작은 힘이 사용되므로 운전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파킹이 해제된 상태에서 주행중 파킹 피스톤의 작동 유압이 갑자기 저하되면 변속기의 기계적 파킹진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솔레노이드 밸브 및 로킹 기구를 구비하였다. 이때, 솔레노이드 밸브는 NL(normal low)타입으로 전류의 공급이 있는 동안에만 작동하는 것이어서, 시동 오프시에는 전류의 공급이 중단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시동 오프시에도 한시적으로 전류를 공급하도록 하는 방안이 제시되었으나, 이는 배터리가 방전되는 새로운 문제를 낳았다.
또한, 로킹의 구조를 현실화하는 방안으로 종래에는 P단으로 진입하려는 힘의 90도 방향으로 로킹 해제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큰 전자기력이 필요하므로 솔레노이드가 과도하게 커져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전류 공급 중단시에 로킹을 유지하도록 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이용한 주차 브레이크의 로킹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비상시에 파킹으로 진입하도록 하는 비상 파킹 기구를 포함한 로킹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비상시에 파킹을 해제하는 비상 파킹 해제 기구를 포함한 로킹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예에서는 상시 주차 모드를 위한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에 결합되는 파킹 레버; 상기 파킹 레버와 연결되고 그 이동에 따라 변속모드를 결정하는 피스톤부재; 상기 피스톤부재의 외주에 형성되는 실린더부재; 상기 피스톤부재의 내부에서 이동하며 그 이동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피스톤부재를 로킹시키는 로킹 기구; 상기 로킹 기구의 일측에 위치하고 전류의 공급 중단시에 상기 피스톤부재를 로킹하도록 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상기 로킹 기구의 끝단과 연결되어 상기 로킹 기구를 강제로 움직이도록 하는 비상 파킹 기구; 를 포함하는 주차 브레이크의 로킹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로킹 기구는 중간에 경사부가 형성되고, 끝단에는 플레이트가 형성되는 로드; 상기 로드 선단의 외주에 일부가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로드상에서 이동이 가능한 시트; 일단이 경방향으로 비스듬히 돌출 형성된 돌기와, 상기 돌기로부터 피스톤부재의 이동 방향을 따라 상기 경사부와 시트의 사이에 길게 형성되어 양단이 상기 시트와 접촉각을 달리하며, 힌지로 고정되어 회동이 가능한 한 쌍의 조절부;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피스톤부재는 상기 스프링과 연결되고, 상기 실린더를 관통하는 피스톤 로드와, 상기 피스톤 로드와 연결되며, 내주면에 경사지게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돌기와의 접촉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는 중공의 피스톤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로드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로드의 끝단에 베이스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실린더부재의 일측에는 오일 공급홀이 형성되어 선택적으로 오일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경사부와 베이스의 사이에는 상기 로드를 감싸면서 상기 로드가 관통하며 상기 베이스의 이동을 제한하는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피스톤 로드에는 상기 피스톤부재의 과도한 이동을 제한하는 걸림쇠가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비상 파킹 기구는 상기 로킹 기구의 끝단에 연결되는 작동 링크와, 상기 작동 링크에 고정되어 회동 운동하는 회동 링크와, 상기 회동 링크와 연결되는 작동 케이블 및 상기 작동 케이블에 연결되는 작동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작동 레버에는 작동 버튼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파킹 레버에는 해제 링크가 연결되고, 상기 해제 링크와 상기 작동 레버와 연결되어 상기 피스톤부재를 강제로 이동시키는 해제 케이블을 포함하는 비상 파킹 해제 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전류가 해제된 상태에서 로킹을 유지하도록 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사용함으로써 N단에서 시동을 오프(OFF)시 배터리 방전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P단 진입을 위한 상시 스프링에 의하여 걸리는 로킹력을 분산함으로써 솔레노이드 밸브에 최소한의 힘만 작용하게 되어 작동전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로킹 해제시 솔레노이드 밸브가 담당해야 하는 전자기력이 줄어들어 로킹 장치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차 모드 이외의 모드에서의 로킹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차 모드에서의 로킹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킹 기구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 파킹 기구가 결합된 로킹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 파킹 기구 및 비상 파킹 해제 기구가 결합된 로킹 장치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위주로 설명하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킹 장치의 단면도인데, 이하에서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킹 장치는 스프래그(미도시)와 연결되는 항시 주차 모드를 위한 스프링(100) 및 상기 스프링(100)에 결합되는 파킹 레버(110)가 피스톤부재(200)에 연결된다.
상기 피스톤부재(200)는 그 이동에 따라 변속모드(P/R/N/D)를 결정하는데, 상기 피스톤부재(200)는 상기 스프링(100)과 직접 연결되는 피스톤 로드(210)와, 상기 피스톤 로드(210)와 연결되며 내주면에 경사지게 걸림턱(250)이 형성되는 중공의 피스톤 본체(240)를 포함한다. 이때, 걸림턱(250)은 피스톤 본체(240)의 돌기(440)와 접촉되어 피스톤 본체(240)의 이동을 제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피스톤 본체(240)의 외주에는 실린더(300)부재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실린더(300)부재는 중공의 원통형이고, 일측에는 오일 공급홀(310)이 형성되어 있어 선택적으로 오일(151) 공급이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피스톤부재(200)를 로킹시킴으로써 변속 모드를 결정하는 로킹 기구(400)를 포함하는데, 상기 로킹 기구(400)는 중간에 경사부(415)가 형성되는 막대 형상의 로드(410)와, 상기 로드(410) 선단의 외주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시트(450)를 포함한다. 상기 로드(410)의 선단에는 플레이트(4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시트(450)는 상기 로드(410)의 외주면 상에서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시트(450)와 상기 플레이트(412) 사이에는 상기 시트(45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41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시트의 외주에는 접촉부(455)가 형성되어 있어 피스톤 본체(240)의 내주면과 직접 접촉하도록 한다. 상기 접촉부(455)가 직접 피스톤 본체(240)와 접촉하도록 함으로써 시트(450)보다 단단한 재질로 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때, 상기 가이드(500)와 접촉부(455) 및 조절부(420)는 정위치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로킹 기구(400)는 일측이 경방향으로 비스듬히 돌출 형성되는 돌기(440)와 상기 돌기(440)로부터 피스톤부재(200)의 이동 방향을 따라 상기 경사부(415)와 시트(450)의 사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그 양단이 상기 시트(450)와 접촉각을 달리하면서 접촉하며 힌지(430)로 고정되어 회동이 가능한 한 쌍의 조절부(42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경사부(415)와 시트(450)는 대략 "U"형상을 이루고, 그 사이에 상기 조절부(420)가 위치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로킹 기구(400)의 일측에는 전류 공급이 중단되었을 경우에 상기 피스톤부재(200)를 로킹하고, 전류가 공급되는 경우에 로킹이 해제되도록 하는 NH(normal high)타입의 솔레노이드 밸브(600)가 결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로킹 기구(400)의 끝단과 연결되어 상기 로킹 기구(400)를 강제로 움직이도록 하는 비상 파킹 기구(700)를 포함하는데, 상기 비상 파킹 기구(7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킹 기구(400)의 로드(410)의 끝단에 연결되는 "L"형상의 작동 링크(730)와, 상기 작동 링크(730)에 고정되어 회동 운동하는 회동 링크(710)와, 상기 회동 링크(710)와 연결되는 작동 케이블(760) 및 상기 작동 케이블(760)에 연결되는 작동 레버(74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작동 링크(730)는 상기 회동 링크(710)가 상기 작동 케이블(760)에 의해 회동하게 됨으로써 상기 로드(410)를 이동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작동 레버(740)는 버튼(750)식으로 되어 있어 버튼(750)을 누르면 상기 작동 케이블(760)이 당겨지도록 한다. 즉, 도 4에서와 같이 버튼(750)을 누르면 작동 케이블(760)이 당겨지고, 이에 의해 회동 링크(710)가 회전하게 되며, 상기 회동 링크(710)의 회전에 의해 작동 링크(730)가 로드(410)를 밀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비상시에 파킹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비상 파킹 해제 기구(800)를 포함하는데, 이는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비상 파킹 해제 기구(800)는 파킹 레버(110)에 해제 링크(810)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해제 링크(810)와 상기 작동 레버(740)를 해제 케이블(820)에 의해 연결되어 있어, 작동 레버(740)를 움직임으로써 상기 해제 케이블(820)이 당겨지고 이에 의해 해제 링크(810)가 피스톤 로드 (210)를 도 5의 오른쪽 방향으로 밀어넣게 된다. 이에 의해 비상시에 파킹을 해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로드(410)의 이동을 제한하는 베이스(550)가 상기 로드(410)의 끝단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경사부(415)와 베이스(550)의 사이에는 상기 로드(410)를 감싸면서 상기 로드(410)가 관통하며 상기 베이스(550)의 이동을 제한하는 가이드(50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550)와 상기 가이드(500)의 사이에는 상기 베이스(55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555)이 형성되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피스톤 로드(210)에는 상기 피스톤부재(200)의 과도한 이동을 제한하는 걸림쇠(220)가 형성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절부(420)의 돌기(440)와 시트(450)의 접촉에 의해 로킹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인데, 도 3을 참조하면, 솔레노이드 밸브(600)에 전류가 차단되면 유압이 해제되고, 스프링(100)의 탄성력에 의해 피스톤부재(200)가 도 3에서의 좌측으로 이동한다. 상기 피스톤부재(200)의 이동에 의해 걸림턱(250)과 돌기(440)가 걸리게 되는 것이다.
이때, 솔레노이드 밸브(600)에 전류가 인가되면 로킹이 해제되는데, 이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작동한다.
솔레노이드 밸브(600)에 전류가 인가되면 피스톤부재(200)에 형성되어 있는 유압이 해제되어 경사부(415)와 조절부(420)의 일측(돌기(440)의 반대쪽)이 접촉하게 되고, 조절부(420)는 힌지(430)를 기준으로 하여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조절부(420)의 돌기(440)가 시트(450)를 누르게 되고, 가압되는 시트(450)가 스프링(414)의 탄성력을 극복하여 이동하게 되어 상기 시트(450)와 조절부(420)가 접촉하는 각이 달라지게 된다.
상기 돌기(440)와 시트(450)의 접촉각에 따라 X방향의 힘과 Y방향의 힘으로 나누어지는데, Y방향으로의 힘은 조절부(420)가 한 쌍으로 구성되어 있어 서로 상쇄되나, X방향으로의 힘은 남아있어 조절부(420)가 회전하면서 돌기(440)가 경방향 내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해 피스톤 본체(240)의 걸림턱(250)과 돌기(440)와의 접촉이 해제되어 피스톤 본체(240)는 이동가능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시의 파킹 해제 및 파킹 진입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 및 도 4를 참조하여 파킹 진입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킹 장치에서는 주차모드 이외의 모드(예를 들면 N단)에서는 도 1에서와 같이 오일 공급홀(310)을 통해 오일(151)이 공급되어 유압이 형성되고, 상기 형성된 유압에 의해 피스톤부재(200)는 스프링(100)에 의한 탄성력을 극복하고 도 1에서 오른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때는 솔레노이드 밸브(600)에 전류가 공급되는 상태이므로 로킹 기구(400)의 로킹이 해제된 상태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로킹 상태의 해제란 피스톤부재(200)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하고, 로킹 상태란 피스톤부재(200)가 걸림턱(250)에 걸려 그 이동이 제한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상기 피스톤부재(200)의 계속적인 이동에 의하여 상기 피스톤 본체(240)의 걸림턱(250)이 조절부(420)의 돌기(440)를 지나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시동을 오프하여 솔레노이드 밸브(600)로의 전류 공급을 중단시키면 유압이 해제되더라도 상기 걸림턱(250)이 돌기(440)에 걸려 피스톤 본체(240)가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게 되어 주차모드 이외의 모드가 유지된다. 즉, 로킹 기구(400)에 의해 로킹 상태가 유지된다.
만약, 이 상태에서 파킹 상태로 진입하기 위해서는 비상 파킹 기구(700)를 이용하는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770)의 버튼(750)을 누르면 작동 케이블(760)이 당겨진다. 이에 의해 회동 링크(710)가 힌지(720)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고, 회동 링크(710)가 작동 링크(730)를 도 4의 왼쪽 방향으로 밀어넣게 된다.
상기 작동 링크(730)와 연결된 로드(410)가 왼쪽으로 이동하게 되어 강제로 로드(410)를 이동시킨다. 상기 로드(410)의 강제 이동에 의해 상기 조절부(420)의 일단과 경사부(415)가 접촉하면서 힌지(430)를 중심으로 조절부(420)가 회전하게 되며, 상기 조절부(420)의 회전에 의해 조절부(420)의 돌기(440)와 시트(450)의 접촉각이 달라지게 된다. 즉, 상기 피스톤 본체(240)의 걸림턱(250)이 돌기(440)로부터 해제되어 스프링(100)의 복원력에 의해 피스톤부재(200)가 왼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됨으로써 비상시에 주차모드로 진입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5를 참조하여 비상시 파킹 해제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차모드에서의 로킹 장치의 단면도인데, 주차모드에서는 솔레노이드 밸브(600)로의 전류를 공급하여 로킹 상태(도 4의 "B")를 해제시킨다. 이는 전류 공급에 의해 베이스(550)가 스프링(555)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이동함에 따라 로드(410)가 이동하여 걸림턱(250)이 돌기(440)에 걸리지 않기 때문이다. 로킹 기구(400)는 가이드(500)에 의해 미소의 이동이 있을 뿐이지만, 피스톤부재(200)는 유압의 해제에 의해 도 2에서 왼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됨으로써 주차모드가 수행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비상시에 파킹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상 파킹 해제 기구(800)가 필요하다. 상기 비상 파킹 해제 기구(800)는 파킹 레버(110)에 연결된 해제 링크(810)에 해제 케이블(820)을 비상 파킹 기구(700)의 작동 레버(740)에 연결시켜 상기 작동 레버(740)를 당김으로써 해제 케이블(820)이 당겨지고, 이에 의해 피스톤 로드(210)가 도 5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강제 이동하게 된다. 피스톤부재(200)의 계속적인 이동에 따라 걸림턱(250)이 돌기(440)에 의해 걸리게 되어 파킹 상태가 해제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동 레버(740)는 버튼(750)을 눌러야만 레버가 움직이도록 하여 비상 파킹 해제 기구(800)를 작동하기 위해서는 먼저 작동 레버(740)의 버튼(750)을 누르도록 되어 있다. 즉, 로킹 기구(400)의 구조상 로킹 해제 상태에서만 피스톤부재(200)가 움직이므로 먼저 버튼(750)을 눌러서 로킹 상태를 해제해야 하는 것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100: 스프링 110: 파킹 레버
151: 오일 200: 피스톤부재
210: 피스톤 로드 220: 걸림쇠
240: 피스톤 본체 250: 걸림턱
300: 실린더 310: 오일 공급홀
400: 로킹 기구 410: 로드
412: 플레이트 414: 스프링
415: 경사부 420: 조절부
430: 힌지 440: 돌기
450: 시트 455: 접촉부
500: 가이드 550: 베이스
555: 스프링 600: 솔레노이드 밸브
700: 비상 피킹 기구 710: 회동 링크
720: 힌지 730: 작동 링크
740: 작동 레버 750: 버튼
760: 작동 케이블 770: 손잡이
800: 비상 파킹 해제 기구 810: 해제 링크
820: 해제 케이블

Claims (10)

  1. 상시 주차 모드를 위한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에 결합되는 파킹 레버;
    상기 파킹 레버와 연결되고 그 이동에 따라 변속모드를 결정하는 피스톤부재;
    상기 피스톤부재의 외주에 형성되는 실린더부재;
    상기 피스톤부재의 내부에서 이동하며 그 이동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피스톤부재를 로킹시키는 로킹 기구;
    상기 로킹 기구의 일측에 위치하고 전류의 공급 중단시에 상기 피스톤부재를 로킹하도록 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상기 로킹 기구의 끝단과 연결되어 상기 로킹 기구를 강제로 움직이도록 하는 비상 파킹 기구;
    를 포함하는 주차 브레이크의 로킹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기구는,
    중간에 경사부가 형성되고, 끝단에는 플레이트가 형성되는 로드;
    상기 로드 선단의 외주에 일부가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로드상에서 이동이 가능한 시트;
    일단이 경방향으로 비스듬히 돌출 형성된 돌기와, 상기 돌기로부터 피스톤부재의 이동 방향을 따라 상기 경사부와 시트의 사이에 길게 형성되어 양단이 상기 시트와 접촉각을 달리하며, 힌지로 고정되어 회동이 가능한 한 쌍의 조절부;
    를 포함하는 주차 브레이크의 로킹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부재는,
    상기 스프링과 연결되고, 상기 실린더를 관통하는 피스톤 로드와, 상기 피스톤 로드와 연결되며, 내주면에 경사지게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돌기와의 접촉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는 중공의 피스톤 본체를 포함하는 주차 브레이크의 로킹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로드의 끝단에 베이스가 형성되는 주차 브레이크의 로킹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부재의 일측에는 오일 공급홀이 형성되어 선택적으로 오일이 공급되는 주차 브레이크의 로킹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와 베이스의 사이에는 상기 로드를 감싸면서 상기 로드가 관통하며 상기 베이스의 이동을 제한하는 가이드를 포함하는 주차 브레이크의 로킹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로드에는 상기 피스톤부재의 과도한 이동을 제한하는 걸림쇠가 고정되어 있는 주차 브레이크의 로킹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 파킹 기구는 상기 로킹 기구의 끝단에 연결되는 작동 링크와, 상기 작동 링크에 고정되어 회동 운동하는 회동 링크와, 상기 회동 링크와 연결되는 작동 케이블 및 상기 작동 케이블에 연결되는 작동 레버를 포함하는 주차 브레이크의 로킹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레버에는 작동 버튼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브레이크의 로킹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파킹 레버에는 해제 링크가 연결되고, 상기 해제 링크와 상기 작동 레버와 연결되어 상기 피스톤부재를 강제로 이동시키는 해제 케이블을 포함하는 비상 파킹 해제 기구를 더 포함하는 주차 브레이크의 로킹 장치.
KR1020110072555A 2011-07-21 2011-07-21 주차 브레이크의 로킹 장치 KR1013168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2555A KR101316845B1 (ko) 2011-07-21 2011-07-21 주차 브레이크의 로킹 장치
US13/316,053 US8844703B2 (en) 2011-07-21 2011-12-09 Locking apparatus for parking brake
JP2011271111A JP5965630B2 (ja) 2011-07-21 2011-12-12 駐車ブレーキのロック装置
DE102011057057.8A DE102011057057B4 (de) 2011-07-21 2011-12-27 Verriegelungsvorrichtung einer Parkbremse
CN201110446880.1A CN102887140B (zh) 2011-07-21 2011-12-28 用于驻车制动器的锁定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2555A KR101316845B1 (ko) 2011-07-21 2011-07-21 주차 브레이크의 로킹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1412A true KR20130011412A (ko) 2013-01-30
KR101316845B1 KR101316845B1 (ko) 2013-10-10

Family

ID=47501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2555A KR101316845B1 (ko) 2011-07-21 2011-07-21 주차 브레이크의 로킹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844703B2 (ko)
JP (1) JP5965630B2 (ko)
KR (1) KR101316845B1 (ko)
DE (1) DE102011057057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6845B1 (ko) 2011-07-21 2013-10-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차 브레이크의 로킹 장치
DE102013217048A1 (de) * 2013-08-27 2015-03-05 Zf Friedrichshafen Ag Magnetvorrichtung zur Arretierung eines Gangwahlhebels eines Fahrzeugs in einer vorbestimmten Position,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Magnet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Magnetvorrichtung
US9677668B2 (en) * 2015-07-16 2017-06-1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Hydraulic park gear assembly
EP3260375B1 (en) * 2016-06-24 2022-06-22 Hamilton Sundstrand Corporation Actuator release mechanism
US10377353B2 (en) * 2016-08-16 2019-08-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ark lock system for a hybrid electric vehicle
DE102017210068A1 (de) 2017-06-14 2018-12-20 Zf Friedrichshafen Ag Parksperre für ein Automatgetriebe in einem Kraftfahrzeug
DE102017218748A1 (de) * 2017-10-19 2019-04-25 Zf Friedrichshafen Ag Parksperre für ein Automatgetriebe in einem Kraftfahrzeug
CN107882901B (zh) * 2017-12-27 2023-08-08 嘉兴盛鼎机械有限公司 具有自锁式驻车机构的制动气室
JP2019132388A (ja) * 2018-02-01 2019-08-08 株式会社 神崎高級工機製作所 車両の駐車ブレーキ装置
DE102019102728B4 (de) 2019-02-04 2023-02-23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Sicherungsvorrichtung zum Sichern eines Stillstands eines Elektrofahrzeugs
DE102019205596B3 (de) 2019-04-17 2020-10-01 Zf Friedrichshafen Ag Vorrichtung zum Betätigen einer Parksperreneinrichtung eines Automatgetriebes und Verfahren zum Betreiben der Vorrichtung
DE102019215948A1 (de) * 2019-10-16 2021-04-22 Zf Friedrichshafen Ag Parksperre für ein Automatgetriebe in einem Kraftfahrzeug
DE102019130396A1 (de) * 2019-11-11 2021-05-12 Küster Holding GmbH Vorrichtung zum Betätigen einer Parksperre in einem Automatik-Getriebe eines Kraftfahrzeuges
DE102019218981A1 (de) * 2019-12-05 2021-06-10 Zf Friedrichshafen Ag Vorrichtung zum Verriegeln einer Kolbenstange eines zum Auslegen einer Parksperre mit Druck beaufschlagbaren und zum Einlegen der Parksperre angefederten Kolbens eines Aktors
DE102021114493B4 (de) 2021-06-07 2023-01-19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Betätigungsaktuator für eine Parksperre
CN114683542B (zh) * 2022-01-17 2023-05-30 深圳市纵维立方科技有限公司 连接结构、三维打印机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0317B2 (ja) 1992-12-02 2000-07-3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自動変速機の油圧式パーキング装置
JP3190004B2 (ja) 1995-06-05 2001-07-1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変速機のシフトレバー装置
JPH0966820A (ja) * 1995-09-04 1997-03-11 Mitsubishi Automob Eng Co Ltd 自動車のブレーキ装置
DE19834156A1 (de) 1998-07-29 2000-02-03 Zahnradfabrik Friedrichshafen Parksperre, insbesondere für automatische Getriebe von Kraftfahrzeugen
DE10037565A1 (de) 2000-08-02 2002-04-04 Zahnradfabrik Friedrichshafen Parksperre, insbesondere für ein Kraftfahrzeuggetriebe
US6386338B1 (en) * 2000-12-01 2002-05-14 Dura Global Technologies, Inc. Electric parking brake manual override
KR20020052406A (ko) * 2000-12-26 2002-07-04 이계안 자동차용 자동 변속기의 파킹장치
JP2002326523A (ja) 2001-05-01 2002-11-12 Suzuki Motor Corp 自動変速機のシフトロック装置
US7410038B2 (en) 2002-10-11 2008-08-12 Svm Schultz Verwaltungs-Gmbh & Co. Kg Locking unit
JP4332008B2 (ja) 2003-10-02 2009-09-1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パーキングブレーキ装置
DE102004030007A1 (de) * 2004-06-22 2006-03-02 Zf Friedrichshafen Ag Aktuatorvorrichtung zum Betätigen eines Verriegelungsmechanismus
DE102004030006A1 (de) * 2004-06-22 2006-01-19 Zf Friedrichshafen Ag Parksperrenvorrichtung
JP2006322489A (ja) 2005-05-18 2006-11-30 Honda Motor Co Ltd 電動パーキングロック装置
JP2008128444A (ja) 2006-11-24 2008-06-05 Aisin Aw Co Ltd 自動変速機のパーキング装置
US8053691B2 (en) * 2007-12-21 2011-11-0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Park inhibition solenoid assembly
JP2010143326A (ja) * 2008-12-17 2010-07-01 Toyota Motor Corp パーキングロック装置
KR101089753B1 (ko) 2009-12-23 2011-12-07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중공 모터
DE102010015514A1 (de) * 2010-04-16 2011-10-20 Svm Schultz Verwaltungs-Gmbh & Co. Kg Verriegelungseinheit
KR101106498B1 (ko) 2011-04-22 2012-01-20 주식회사 유니크 솔레노이드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변속기용 파킹 로크 장치
DE102011100804A1 (de) 2011-05-06 2012-11-08 Audi Ag Vorrichtung zum Betreiben einer Parksperre eines Kraftfahrzeugs sowie entsprechendes Verfahren
KR101316845B1 (ko) 2011-07-21 2013-10-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차 브레이크의 로킹 장치
DE102012004157A1 (de) 2012-03-05 2013-09-05 Svm Schultz Verwaltungs-Gmbh & Co. Kg Verriegelungseinhe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844703B2 (en) 2014-09-30
CN102887140A (zh) 2013-01-23
JP2013023211A (ja) 2013-02-04
US20130019709A1 (en) 2013-01-24
KR101316845B1 (ko) 2013-10-10
DE102011057057B4 (de) 2022-05-19
JP5965630B2 (ja) 2016-08-10
DE102011057057A1 (de) 2013-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11412A (ko) 주차 브레이크의 로킹 장치
JP5976304B2 (ja) 駐車ブレーキのロック装置
KR101317375B1 (ko)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
JP5300070B2 (ja) ユニットブレーキ
EP0118773B1 (en) Stick type vehicle hand brake
KR101574449B1 (ko) 유닛 브레이크
US9423019B2 (en) Manual park release actuator assembly
EP3702226B1 (en) Railcar braking device and railcar unit brake
JPH0899605A (ja) 自動変速機のセレクトレバーを有する原動機付き車両のイグニッションキー をロックする装置
CN113217626A (zh) 用于车辆的驻车设备
JP3925922B2 (ja) 自動変速機のシフトロッキング装置
JP2010223330A (ja) ロック機構付きの油圧ピストン装置
US11614168B2 (en) Park lock roller assembly
JPH0526048B2 (ko)
JPS62227848A (ja) ばねブレ−キシリンダ
KR100391678B1 (ko) 주차브레이크 케이블의 장력조절장치
KR100326385B1 (ko) 자동차의 주차 브레이크 장치용 레버 어셈블리
KR200300494Y1 (ko) 차량용 파킹레버의 버튼록킹장치
JP3930109B2 (ja) シフトレバー装置
JP2004521806A (ja) パーキングブレーキのケーブル引張り調節装置
JP4022596B2 (ja) シフトレバー装置
JP2002161555A (ja) 建設機械等の操作レバー装置
JPH0215141Y2 (ko)
KR19980053507U (ko) 자동 변속기용 파킹장치
JPH01293232A (ja) 自動変速機のシフトレバー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