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4108A - 축전 소자 및 스페이서 - Google Patents

축전 소자 및 스페이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4108A
KR20130004108A KR1020120068506A KR20120068506A KR20130004108A KR 20130004108 A KR20130004108 A KR 20130004108A KR 1020120068506 A KR1020120068506 A KR 1020120068506A KR 20120068506 A KR20120068506 A KR 20120068506A KR 20130004108 A KR20130004108 A KR 201300041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r
positive electrode
pair
current collector
negative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8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7242B1 (ko
Inventor
노부유끼 나가나와
마사미쯔 도노니시
도모노리 기시모또
신스께 요시따께
야스노리 오꾸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지에스 유아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지에스 유아사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지에스 유아사
Publication of KR20130004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41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7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72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63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38Connection of several leads or tabs of wound or folded electrode st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01M50/579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in response to shoc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1Cells with wound or folded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6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fastening means, e.g. lo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8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spacing elements or positioning means within frames, racks or packs
    • H01M50/291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spacing elements or positioning means within frames, racks or pack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33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leads or tab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Abstract

본 발명은, 진동의 영향에 의한 집전체나 상기 집전체에 접속된 전극체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축전 소자 및 상기 축전 소자에서 사용되는 스페이서를 제공한다.
서로 절연된 정극판과 부극판을 포함하는 전극체와, 각각이 접속부를 갖고, 각각이 상기 접속부에서 정극판 및 부극판 중 대응하는 극판에 접속되는 한 쌍의 집전체와, 전극체 및 한 쌍의 집전체를 수용하는 케이스이며, 상기 케이스 내에서 전극체가 한 쌍의 집전체에 의해 지지되는 케이스와, 한 쌍의 집전체 각각에 있어서의, 접속부보다도 선단측의 부위에 결합함으로써, 한 쌍의 집전체의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 유지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축전 소자 및 스페이서{ELECTRIC STORAGE DEVICE AND SPACER}
본 발명은, 충방전 가능한 축전 소자 및 상기 축전 소자에서 사용되는 스페이서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케이스에 고정된 집전체에 의해 전극체가 케이스 내에서 지지된 구조를 갖는 축전 소자 및 상기 축전 소자에서 사용되는 스페이서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각종 기기의 전력원으로서, 충방전 가능한 축전 소자가 채용되고 있다. 축전 소자는, 전극체와, 상기 전극체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한 쌍의 집전체와, 전극체 및 한 쌍의 집전체를 수용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외부에 배치된 한 쌍의 외부 단자를 구비한다.
전극체는, 전기 절연성을 갖는 세퍼레이터와, 상기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끼워서 중첩된 정극판 및 부극판을 포함하고 있다. 정극판 및 부극판은, 제1 방향에서 상대적으로 위치 어긋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1 방향에 있어서의 전극체의 한쪽 단부에는 정극판만이 적층된 정극 리드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대해, 제1 방향에 있어서의 전극체의 다른 쪽 단부에는, 부극판만이 적층된 부극 리드부가 형성되어 있다.
집전체는, 전극체의 정극 리드부 또는 부극 리드부에 접속되는 제1 접속부와, 상기 제1 접속부로부터 연장되어, 케이스에 고정된 상태로 외부 단자에 접속되는 제2 접속부를 구비한다. 이에 의해, 전극체의 정극판과 외부 단자가 집전체를 통해 도통 가능해지고, 전극체의 부극판과 외부 단자가 집전체를 통해 도통 가능해진다(특허문헌 1).
그런데, 축전 소자는, 구동시에 진동이 발생하는 기기(예를 들어,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HEV), 전기 자동차(EV), 전동 바이크, 항공기, 선박 등의 각종 기기)의 전원으로서 탑재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종류의 기기에 상기 구성의 축전 소자가 탑재된 경우, 기기의 진동으로 집전체나 전극체가 파손될 우려가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전극체는, 케이스에 고정된 한 쌍의 집전체에 매달린 상태가 되어 있다. 그로 인해, 전극체는, 기기의 진동으로 집전체와 함께 케이스 내에서 흔들린다. 이에 따라, 집전체의 제2 접속부나, 상기 제2 접속부와 제1 접속부와의 경계 근방에 굽힘 응력(굽힘 작용)이 반복 발생한다. 그로 인해, 집전체가 피로 파괴(파단)될 우려가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전극체가 집전체와 함께 흔들리면, 전극체와 집전체의 제1 접속부와의 배치가 상대적으로 변화된다. 그로 인해, 전극체와 집전체의 제1 접속부와의 접속 부분이 비틀려, 상기 접속 부분에서 정극판 또는 부극판이 찢어질 우려도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1-14276호 공보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실정을 감안하여, 진동의 영향에 의한 집전체나 상기 집전체에 접속된 전극체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축전 소자 및 상기 축전 소자에서 사용되는 스페이서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축전 소자는,
서로 절연된 정극판과 부극판을 포함하는 전극체와,
각각이 접속부를 갖고, 각각이 상기 접속부에서 정극판 및 부극판 중 대응하는 극판에 접속되는 한 쌍의 집전체와,
전극체 및 한 쌍의 집전체를 수용하는 케이스이며, 상기 케이스 내에서 전극체가 한 쌍의 집전체에 의해 지지되는 케이스와,
한 쌍의 집전체 각각에 있어서의, 접속부보다도 선단측의 부위에 결합함으로써, 한 쌍의 집전체의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 유지부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한 쌍의 집전체의 선단측의 부위간의 간격은 간격 유지부에 의해 일정 또는 대략 일정하게 유지된다. 즉, 각각 집전체의 선단측의 부위가 내측(상대방의 집전체를 향하는 방향, 즉 전극체를 압축하는 방향)으로 변위되는 것이 간격 유지부에 의해 규제된다. 그로 인해, 집전체와 전극체와의 상대적인 배치가 간격 유지부에 의해 유지된다. 이에 의해, 축전 소자가 진동 환경하에 설치되고, 집전체 및 전극체가 진동(요동)해도 진동의 영향에 의한 집전체나 상기 집전체에 접속된 전극체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관한 축전 소자의 한 형태로서,
간격 유지부는, 케이스 내에서 한 쌍의 집전체를 연결하는 스페이서인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한 쌍의 집전체의 선단측의 부위간의 간격은 스페이서에 의해 일정 또는 대략 일정하게 유지된다. 즉, 각각 집전체의 선단측의 부위가 내측(상대방의 집전체를 향하는 방향, 즉 전극체를 압축하는 방향)으로 변위되는 것이 스페이서에 의해 규제된다. 그로 인해, 집전체와 전극체와의 상대적인 배치가 스페이서에 의해 유지된다. 이에 의해, 축전 소자가 진동 환경하에 설치되고, 집전체 및 전극체가 진동(요동)해도 진동의 영향에 의한 집전체나 상기 집전체에 접속된 전극체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스페이서는, 케이스의 내면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하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한 쌍의 집전체를 연결하는 스페이서가 케이스의 내면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된다. 이에 의해, 진동의 영향에 의한 집전체나 상기 집전체에 접속된 전극체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스페이서는, 케이스 내에서 지지되어 케이스 내에서 고정되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한 쌍의 집전체를 연결하는 스페이서가 효과적으로 케이스 내에서 고정된다. 이에 의해, 진동의 영향에 의한 집전체나 상기 집전체에 접속되는 전극체의 파손을 더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축전 소자의 다른 형태로서,
스페이서는 가요성을 갖고, 휨에 의해 케이스 내에서 지지될 수 있을 정도로 전체 길이가 신장되어, 케이스 내에서 고정되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한 쌍의 집전체를 연결하는 스페이서의 휨에 의해 전체 길이가 신장된다. 이에 의해, 스페이서를 휘게 한 경우에 스페이서가 케이스의 내면에 대하여 지지하는 힘을 통상의 경우에 비해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축전 소자의 다른 형태로서,
스페이서는,
양단부보다도 중앙부가 볼록해지는 형상을 갖고,
중앙부가 케이스의 내면에 지지되면서, 양단부가 한 쌍의 집전체로부터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힘을 받음으로써 휘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스페이서는, 상기 스페이서가 연결하는 집전체로부터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힘을 받음으로써 휜다. 이에 의해, 스페이서를 휘게 하기 위한 부재로서 집전체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중앙부란, 양단부의 사이에 있어서의 어떠한 개소라는 넓은 의의이다. 따라서, 가장 볼록해지는 개소가 스페이서의 중간점보다도 양단부의 어떠한 측으로 어긋난 위치여도 좋다.
이 경우,
케이스는, 전극체, 한 쌍의 집전체 및 스페이서가 삽입되는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와 대향하는 저부를 갖고,
스페이서는,
양단부보다도 중앙부가 볼록해지는 형상을 갖고,
중앙부가 저부에 지지되면서, 양단부가 개구부로부터 삽입된 한 쌍의 집전체로부터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힘을 받음으로써 휘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스페이서는, 케이스의 개구부로부터 삽입된 집전체로부터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힘을 받음으로써 휜다. 이에 의해, 집전체가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스페이서의 전체 길이가 신장되어 있지 않다. 그로 인해, 스페이서의 케이스로의 삽입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축전 소자의 또 다른 형태로서,
스페이서는,
양단부보다도 중앙부가 오목해지는 형상을 갖고,
양단부가 케이스의 내면에 지지되면서, 중앙부가 한 쌍의 집전체로부터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힘을 받음으로써 휘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스페이서는, 상기 스페이서가 연결하는 집전체로부터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힘을 받음으로써 휜다. 예를 들어, 스페이서가 전극체를 통해 집전체로부터 힘을 받을 경우, 즉 전극체가 스페이서에 힘을 가함으로써 스페이서가 휘도록 하는 경우, 스페이서를 휘게 하기 위한 부재로서 원래 케이스 내에 수용되는 전극체를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케이스는, 전극체, 한 쌍의 집전체 및 스페이서가 삽입되는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와 대향하는 저부를 갖고,
스페이서는,
양단부보다도 중앙부가 오목해지는 형상을 갖고,
양단부가 저부에 지지되면서, 중앙부가 개구부로부터 삽입된 한 쌍의 집전체로부터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힘을 받음으로써 휘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스페이서는, 케이스의 개구부로부터 삽입된 집전체로부터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힘을 받음으로써 휜다. 예를 들어, 스페이서가 전극체를 통해 집전체로부터 힘을 받는 경우, 즉 전극체가 스페이서에 힘을 가함으로써 스페이서가 휘도록 하는 경우, 스페이서는 케이스의 개구부로부터 삽입된 전극체로부터 힘을 받음으로써 휜다. 이에 의해, 전극체가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스페이서의 전체 길이가 신장되어 있지 않다. 그로 인해, 스페이서의 케이스로의 삽입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축전 소자의 다른 형태로서,
스페이서는, 각각이 집전체의 선단부에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부와, 상기 한 쌍의 결합부를 연결하는 가교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교부가 가요성을 갖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집전체의 선단부는 진동에 의한 요동 폭이 가장 크고, 집전체의 선단부측에 접속되는 극판일수록 파손이 발생하기 쉽다. 그러나, 스페이서는, 한 쌍의 집전체의 선단부에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부간을 연결하는 가교부가 휨으로써 그의 전체 길이가 신장된다. 이에 의해, 한 쌍의 집전체의 선단부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함과 함께, 진동의 영향에 의한 집전체나 상기 집전체에 접속되는 전극체의 파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축전 소자의 다른 형태로서,
스페이서는, 각각이 한 쌍의 집전체 중 대응하는 집전체에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부를 갖고,
한 쌍의 결합부 중 적어도 한쪽의 결합부는, 집전체와의 협동에 의해 팽출되는 변형부를 갖고,
스페이서는, 변형부의 팽출에 의해 케이스 내에서 지지되어 케이스 내에서 고정되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한 쌍의 집전체를 연결하는 스페이서가 상기 스페이서가 갖는 변형부의 팽출에 의해 케이스 내에서 고정된다. 이에 의해, 진동의 영향에 의한 집전체나 상기 집전체에 접속되는 전극체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스페이서는, 변형부의 팽출에 의해 케이스 내에서 지지될 수 있을 정도로 전체 길이가 신장되어, 케이스 내에서 고정되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한 쌍의 집전체를 연결하는 스페이서의 변형부의 팽출에 의해 전체 길이가 신장된다. 이에 의해, 변형부를 팽출시킨 경우에 스페이서가 케이스의 내면에 대하여 지지하는 힘을 통상의 경우에 비해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축전 소자의 또 다른 형태로서,
변형부는, 집전체와 간섭함으로써 팽출되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스페이서는, 상기 스페이서가 연결하는 집전체와 간섭함으로써 변형부가 팽출된다. 이에 의해, 변형부를 팽출시키기 위한 부재로서 집전체를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결합부는,
주벽부와,
상기 주벽부와 간격을 두고 대향하는 변형부와,
주벽부와 변형부를 연결하는 측부이며, 간격에 집전체의 선단부를 삽입 가능하게 하는 측부를 구비하고,
변형부는, 간격에 삽입된 집전체의 선단부와 간섭함으로써 팽출되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스페이서의 변형부는 집전체를 삽입하기 위한 간격에서 집전체와 간섭함으로써 팽출한다. 이에 의해, 변형부를 팽출시키기 위한 부재로서 더 효과적으로 집전체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결합부는,
주벽부와,
변형부와,
측부와,
주벽부 및 변형부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주벽부 및 변형부 중 다른 쪽을 향해 돌출되도록 하여 설치되는 볼록부를 구비하고,
변형부는, 간격에 삽입된 집전체의 선단부와 볼록부가 간섭함으로써 팽출되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주벽부 및 변형부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볼록부를 설치한다는 간단한 구성으로 변형부를 팽출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축전 소자의 다른 형태로서,
케이스는, 전극체, 한 쌍의 집전체 및 스페이서가 삽입되는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와 대향하는 저부를 갖고,
스페이서는 저부에 배치되고,
변형부는, 개구부로부터 삽입된 집전체의 선단부가 간격에 삽입됨으로써 팽출되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스페이서의 변형부는, 케이스의 개구부로부터 삽입된 집전체의 선단부가 간격에 삽입됨으로써 팽출한다. 이에 의해, 집전체의 선단부가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스페이서의 전체 길이가 신장되어 있지 않다. 그로 인해, 스페이서의 케이스로의 삽입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축전 소자의 또 다른 형태로서,
한 쌍의 결합부 각각이 변형부를 갖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한 쌍의 집전체가 결합하는 한 쌍의 결합부 각각이 팽출되는 변형부를 갖고 있다. 이에 의해, 한 쌍의 집전체를 연결하는 스페이서의 전체 길이가 더 효과적으로 신장된다. 그로 인해, 진동의 영향에 의한 집전체나 상기 집전체에 접속되는 전극체의 파손을 더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축전 소자의 다른 형태로서,
스페이서는, 한 쌍의 결합부와, 상기 한 쌍의 결합부를 연결하는 가교부를 구비하고,
한 쌍의 결합부는, 각각이 집전체의 선단부에 결합되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집전체의 선단부는 진동에 의한 요동 폭이 가장 크고, 집전체의 선단부측에 접속되는 극판일수록 파손이 발생하기 쉽다. 그러나, 스페이서는, 한 쌍의 집전체의 선단부에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부간을 연결하는 가교부가 휨에 의해 그 전체 길이가 신장된다. 이에 의해, 한 쌍의 집전체의 선단부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함과 함께, 진동의 영향에 의한 집전체나 상기 집전체에 접속되는 전극체의 파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축전 소자의 다른 형태로서,
스페이서는, 한 쌍의 집전체 중 한쪽 집전체의 소정 부위에 결합되는 제1 결합부 및 한 쌍의 집전체 중 다른 쪽 집전체의 소정 부위에 결합되는 제2 결합부를 갖고,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 중 적어도 한쪽의 결합부는, 한 쌍의 집전체 중 대응하는 집전체의 소정 부위에만 결합 가능한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 경우,
한쪽 집전체의 소정 부위와 다른 쪽 집전체의 소정 부위는, 형상, 크기 또는 배치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한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축전 소자의 또 다른 형태로서,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는, 형상, 크기 또는 배치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한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축전 소자의 다른 형태로서,
스페이서는,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를 연결하는 가교부를 더 구비하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축전 소자의 다른 형태로서,
스페이서는, 각각이 한 쌍의 집전체 중 대응하는 집전체에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부 및 상기 한 쌍의 결합부를 연결하는 가교부를 갖고,
가교부는,
각각이 한 쌍의 결합부를 연결하는 한 쌍의 빔(梁)부이며,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한 쌍의 빔부와,
상기 한 쌍의 빔부를 서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빔 연결부를 구비하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빔부끼리가 빔 연결부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가교부의 강성이 높아지고, 가교부의 변형이 방지된다. 이에 의해, 한 쌍의 집전체가 스페이서에 확실하게 구속되어, 집전체나 전극체의 파손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스페이서는, 빔 연결부를 복수 구비하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가교부의 강성을 확실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한 쌍의 집전체가 스페이서에 확실하게 구속되어, 집전체나 전극체의 파손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축전 소자의 다른 형태로서,
간격 유지부는, 한 쌍의 집전체 각각의 선단측의 부위 중, 상대방의 집전체를 향하는 면을 걸리게 하는 케이스 내에 형성된 걸림(係止) 구조인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한 쌍의 집전체의 선단측의 부위간의 간격은, 케이스 내에 형성된 걸림 구조에 의해 일정 또는 대략 일정하게 유지된다. 즉, 각각 집전체의 선단측의 부위가 내측(상대방의 집전체를 향하는 방향, 즉 전극체를 압축하는 방향)으로 변위되는 것이 케이스 내의 걸림 구조에 의해 규제된다. 그로 인해, 집전체와 전극체와의 상대적인 배치가 케이스 내의 걸림 구조에 의해 유지된다. 이에 의해, 축전 소자가 진동 환경하에 설치되어, 집전체 및 전극체가 진동(요동)해도 진동의 영향에 의한 집전체나 상기 집전체에 접속된 전극체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걸림 구조는, 한 쌍의 집전체 각각의 선단측의 부위 중, 상대방의 집전체를 향하는 면과 반대측의 면도 걸리게 하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극체는 인장 방향보다도 압축 방향에 약하다. 그로 인해, 전극체가 파손될 리스크는, 전극체에 인장 방향의 힘이 가해지는 경우보다 전극체에 압축 방향의 힘이 가해지는 경우가 높다. 그로 인해, 케이스 내의 걸림 구조의 제1 목적은, 각각 집전체의 선단측의 부위가 내측(상대방의 집전체를 향하는 방향, 즉 전극체를 압축하는 방향)으로 변위되는 것을 규제하는 것이다. 그러나, 전극체에 인장 방향의 힘이 가해지는 것에 대해서도 대책을 강구해두는 편이 바람직하다. 걸림 구조가 한 쌍의 집전체 각각의 상기 선단측의 부위 중, 상대방의 집전체를 향하는 면과 반대측의 면도 걸리게 하면 각각 집전체의 선단측의 부위가 외측(상대방의 집전체로부터 이격되는 방향, 즉 전극체를 인장하는 방향)으로 변위되는 것도 규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축전 소자의 또 다른 형태로서,
케이스는, 전극체 및 한 쌍의 집전체가 삽입되는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와 대향하는 저부를 갖고,
걸림 구조는 저부에 형성된 단차부인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한 쌍의 집전체 각각의 선단측의 부위 중, 상대방의 집전체를 향하는 면은 케이스의 저부에 형성된 단차부에 걸린다. 이에 의해, 집전체의 선단측 부위의 변위를 규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스페이서는,
정극판 및 부극판 중 대응하는 극판에 접속되는 한 쌍의 집전체를 연결하기 위한 스페이서이며,
각각이 집전체에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부와, 상기 한 쌍의 결합부를 연결하는 가교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교부는 가요성을 갖고, 휨에 의해 전체 길이가 신장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한 쌍의 집전체를 연결하기 위한 스페이서는, 집전체에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부를 연결하는 가교부가 휨으로써 전체 길이가 신장된다. 이에 의해, 진동의 영향에 의한 집전체나 상기 집전체에 접속되는 극판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관한 스페이서의 한 형태로서,
가교부는, 양단부보다도 중앙부가 볼록해지는 형상을 갖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스페이서는 가교부의 중앙부가 볼록해지는 형상을 갖고 있다. 이에 의해, 중앙부에 힘을 가함으로써 가교부가 휘고, 전체 길이를 신장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스페이서의 다른 형태로서,
가교부는, 양단부보다도 중앙부가 오목해지는 형상을 갖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스페이서는 가교부의 중앙부가 오목해지는 형상을 갖고 있다. 이에 의해, 양단부에 힘을 가함으로써 가교부가 휘고, 전체 길이를 신장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다른 스페이서는,
정극판 및 부극판 중 대응하는 극판에 접속되는 한 쌍의 집전체를 연결하기 위한 스페이서이며,
각각이 집전체에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부와, 상기 한 쌍의 결합부를 연결하는 가교부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결합부 중 적어도 한쪽의 결합부는, 집전체와의 협동에 의해 팽출되는 변형부를 갖고,
상기 변형부의 팽출에 의해 전체 길이가 신장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한 쌍의 집전체를 연결하기 위한 스페이서는, 집전체에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부가 집전체와의 협동에 의해 팽출되는 변형부를 갖는다. 이에 의해, 진동의 영향에 의한 집전체나 상기 집전체에 접속되는 극판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관한 스페이서의 한 형태로서,
결합부는,
주벽부와,
상기 주벽부와 간격을 두고 대향하는 변형부와,
주벽부와 변형부를 연결하는 측부이며, 간격에 집전체의 선단부를 삽입 가능하게 하는 측부를 구비하고,
변형부는, 간격에 삽입된 집전체의 선단부와 간섭함으로써 팽출되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스페이서의 변형부는 집전체를 삽입하기 위한 간격에서 집전체와 간섭함으로써 팽출한다. 이에 의해, 변형부를 팽출시키기 위한 부재로서 더 효과적으로 집전체를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결합부는,
주벽부와,
변형부와,
측부와,
주벽부 및 변형부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주벽부 및 변형부 중 다른 쪽을 향해 돌출되도록 하여 설치되는 볼록부를 구비하고,
변형부는, 간격에 삽입된 집전체의 선단부와 볼록부가 간섭함으로써 팽출되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주벽부 및 변형부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볼록부를 설치한다는 간단한 구성으로 변형부를 팽출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진동의 영향에 의한 집전체나 상기 집전체에 접속된 전극체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전지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동 전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동 전지이며, 케이스 본체로부터 전극체, 집전체 및 스페이서를 취출한 상태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동 전지의 하단부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5a는 도 4의 4I-4I 단면도이고, 도 5b는 도 4의 4II-4II 단면도이다.
도 6a는 동 스페이서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6b는 동 스페이서의 평면도이고, 도 6c는 동 스페이서의 정면도이고, 도 6d는 동 스페이서의 저면도이다.
도 7은 제2 내지 제5 실시 형태에 관한 전지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8은 동 전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동 전지이며, 케이스 본체로부터 전극체, 집전체 및 스페이서를 취출한 상태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전지의 스페이서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10I-10I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A부 확대도이다.
도 13은 동 전지이며, 스페이서가 케이스 본체에 삽입된 상태(덮개로 케이스 본체의 개구부를 폐쇄하기 전의 상태)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B부 확대도이다.
도 15는 동 전지이며, 스페이서가 케이스 본체 내의 적정 위치에 배치된 상태(덮개로 케이스 본체의 개구부를 폐쇄한 상태)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C부 확대도이다.
도 17은 별도예에 관한 스페이서의 평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17I-17I 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D부 확대도이다.
도 20은 동 전지이며, 스페이서가 케이스 본체에 삽입된 상태(덮개로 케이스 본체의 개구부를 폐쇄하기 전의 상태)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E부 확대도이다.
도 22는 동 전지이며, 스페이서가 케이스 본체 내의 적정 위치에 배치된 상태(덮개로 케이스 본체의 개구부를 폐쇄한 상태)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23은 도 22의 F부 확대도이다.
도 24는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전지의 스페이서의 평면도이다.
도 25는 도 24의 24I-24I 단면도이다.
도 26은 동 스페이서의 측면도이다.
도 27은 도 24의 G부 확대도이다.
도 28은 도 25의 H부 확대도이다.
도 29는 동 전지이며, 케이스 본체 내에 스페이서만이 배치된 상태(전극체가 케이스 본체 내에 배치되기 전의 상태)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30은 도 29의 I부 확대도이다.
도 31은 동 전지이며, 전극체, 집전체 및 스페이서가 케이스 본체 내의 적정 위치에 배치된 상태(덮개로 케이스 본체의 개구부를 폐쇄한 상태)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32는 도 31의 J부 확대도이다.
도 33은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전지의 스페이서의 평면도이다.
도 34는 도 33의 33I-33I 단면도이다.
도 35는, 도 33의 K부 확대도이다.
도 36은 도 34의 M부 확대도이다.
도 37은 도 33의 L부 확대도이다.
도 38은 도 34의 N부 확대도이다.
도 39는 동 전지의 집전체를 포함하는 스페이서의 정극 결합부를 제1 방향으로부터 본 상태이며, 상기 정극 결합부에 정극 제1 접속부를 결합한 상태를 실선으로 나타내고, 정극 결합부에 결합하고자 한 부극 제1 접속부의 상태를 이점 쇄선으로 나타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0은 동 전지의 집전체를 포함하는 스페이서의 정극 결합부를 제2 방향으로부터 본 상태이며, 상기 정극 결합부에 정극 제1 접속부를 결합한 상태를 실선으로 나타내고, 정극 결합부에 결합하고자 한 부극 제1 접속부의 상태를 이점 쇄선으로 나타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1은 동 전지의 집전체를 포함하는 스페이서의 부극 결합부를 제1 방향으로부터 본 상태이며, 상기 부극 결합부에 부극 제1 접속부를 결합한 상태를 실선으로 나타내고, 부극 결합부에 결합하고자 한 정극 제1 접속부의 상태를 이점 쇄선으로 나타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2는 동 전지의 집전체를 포함하는 스페이서의 부극 결합부를 제2 방향으로부터 본 상태의 단면도이며, 상기 부극 결합부에 부극 제1 접속부를 결합한 상태를 실선으로 나타내고, 부극 결합부에 결합하고자 한 부극 제1 접속부의 상태를 이점 쇄선으로 나타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3은 제5 실시 형태에 관한 전지의 스페이서의 평면도이다.
도 44는 동 스페이서의 정면도이다.
도 45는 도 43의 43I-43I 단면도이다.
도 46은 도 43의 43II-43II 단면도이다.
도 47은 별도예에 관한 스페이서의 평면도이다.
도 48은 다른 별도예에 관한 스페이서의 평면도이다.
도 49는 제6 실시 형태에 관한 전지의 단면도이다.
도 50은 제7 실시 형태에 관한 전지의 단면도이다.
도 51은 별도예에 관한 전지의 단면도이다.
도 52는 제8 실시 형태에 관한 전지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전지의 제1 내지 제9 실시 형태에 대해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전지의 일례로서 리튬 이온 전지(이하, 간단히 전지라고 함)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전지(Ps)는, 전기 절연성을 갖는 세퍼레이터(10)와, 상기 세퍼레이터(10)를 사이에 끼운 정극판(11) 및 부극판(12)을 포함하는 전극체(1)와, 각각이 전극체(1)의 정극판(11) 및 부극판(12) 중 대응하는 극성의 극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한 쌍의 집전체(2, 2)와, 전극체(1) 및 한 쌍의 집전체(2, 2)를 수용하는 케이스(3)와, 각각이 케이스(3)의 외부에 배치된 한 쌍의 외부 단자(4, 4)와, 케이스(3) 내에서 한 쌍의 집전체(2, 2)를 연결하는 스페이서(5)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전지(Ps)는, 각각이 한 쌍의 집전체(2, 2) 중 대응하는 극성의 집전체(2)에 접속된 접속 도체로서의 한 쌍의 리벳(6, 6)과, 각각이 한 쌍의 외부 단자(4, 4) 중 대응하는 극성의 외부 단자(4)와 한 쌍의 리벳(6, 6) 중 대응하는 극성의 리벳(6)을 접속한 접속 도체로서의 한 쌍의 접속 막대(7, 7)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전지(Ps)는, 각각이 한 쌍의 리벳(6, 6) 중 대응하는 리벳(6)의 배치에 대응하도록 케이스(3)의 내면에 따라 배치되는 한 쌍의 내부 가스킷(8, 8)과, 각각이 한 쌍의 리벳(6, 6) 중 대응하는 리벳(6)의 배치에 대응하도록 케이스(3)의 외면에 따라 배치되는 한 쌍의 외부 가스킷(9, 9)을 구비하고 있다.
전극체(1)의 정극판(11) 및 부극판(12)은, 제1 방향(도면 중의 X축 방향)에서 상대적으로 위치 어긋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1 방향에 있어서의 전극체(1)의 일단부에는 정극판(11)만이 존재하는 정극 리드부(13)가 형성되고, 제1 방향에 있어서의 전극체(1)의 타단부에는 부극판(12)만이 존재하는 부극 리드부(14)가 형성되어 있다.
정극판(11), 부극판(12) 및 세퍼레이터(10)는, 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정극판(11), 부극판(12) 및 세퍼레이터(10)는 길이 방향을 일치시킨 상태로 중첩되어, 상기 길이 방향으로 권회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정극판(11) 및 부극판(12)은,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제1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에서 상대적으로 위치 어긋난 상태로 중첩되어, 길이 방향으로 권회되어 있다. 정극판(11), 부극판(12) 및 세퍼레이터(10)는, 편평 형상으로 권회되어 있다. 그로 인해, 제1 방향으로부터 본 전극체(1)의 형상은,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도면 중의 Y축 방향)에 단축을 가짐과 함께, 제1 방향 및 제2 방향과 직교하는 제3 방향(도면 중의 Z축 방향)에 장축을 갖는다. 그리고, 정극판(11), 부극판(12) 및 세퍼레이터(10)의 권회(만곡)에 대응하여 전극체(1)의 제3 방향의 양단부에 한 쌍의 원호부(17, 17)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권회 중심 방향(제1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전극체(1)의 일단부에 정극판(11)만이 적층된 정극 리드부(13)가 제3 방향을 따르도록 형성되고, 권회 중심 방향에 있어서의 전극체(1)의 타단부에 부극판(12)만이 적층된 부극 리드부(14)가 제3 방향을 따르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전지(Ps)는, 정극 리드부(13)를 묶는 정극 클립 부재(15)와, 부극 리드부(14)를 묶는 부극 클립 부재(16)를 구비하고 있다.
전극체(1)는, 편평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전극체(1)는, 권회 중심 방향으로부터 보아 상기 권회 중심의 양측으로 곧바로 연장되는 한 쌍의 직선부(18, 18)와, 상기 한 쌍의 직선부(18, 18)끼리를 접속한 상기 한 쌍의 원호부(17, 17)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권회 중심 방향에 있어서의 전극체(1)의 일단부에 있어서의 직선부(18, 18)가 정극 리드부(13)가 되고, 권회 중심 방향에 있어서의 전극체(1)의 타단부에 있어서의 직선부(18, 18)가 부극 리드부(14)가 되어 있다.
세퍼레이터(10)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는, 정극판(11) 및 부극판(12)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보다도 길어져 있다. 또한, 세퍼레이터(10)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제1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의 폭)는, 중첩된 정극판(11)과 부극판(12)과의 중복 영역에서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폭)보다도 약간 길어져 있다.
이에 의해, 세퍼레이터(10)는, 중첩된 정극판(11)과 부극판(12)과의 중복 영역의 전체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세퍼레이터(10)는, 정극판(11) 및 부극판(12)보다도 과잉으로 권회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전극체(1)는 세퍼레이터(10)가 최외주에 위치하고 있다.
한쪽의 집전체(이하, 정극 집전체라 함)(2)는, 금속 플레이트를 굽힘 가공하여 형성되어 있다. 정극 집전체(2)는, 제3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전극체 설치부로서의 제1 접속부(이하, 정극 제1 접속부라 함)(20)와, 상기 정극 제1 접속부(20)로부터 연장된 고정용 편부로서의 제2 접속부(이하, 정극 제2 접속부라 함)(21)를 구비한다.
정극 제1 접속부(20)는, 제1 방향에 있어서의 전극체(1)의 일단부에 접속된다. 즉, 정극 제1 접속부(20)는 정극 리드부(13)에 접속된다. 정극 제1 접속부(20)는, 정극 제2 접속부(21)에 접속되는 제1 단부(P1)와, 제1 단부(P1)의 반대측의 제2 단부(P2)를 갖는다. 정극 제1 접속부(20)의 제3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는, 제2 단부(P2)가 케이스(3)의 후술하는 저부(34) 근방에 배치될 수 있는 길이로 설정된다.
정극 제1 접속부(20)는, 제1 단부(P1)와 제2 단부(P2)와의 사이에 접속편(이하, 정극 접속편이라 함)(22)을 구비한다. 정극 접속편(22)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정극 접속편(22)은, 제1 방향에 있어서의 전극체(1)의 단부의 권회 중심에 삽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정극 제1 접속부(20)는, 정극 접속편(22)에서 정극 클립 부재(15)에 용접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전지(Ps)는, 정극 집전체(2)와 전극체(1)(정극판(11))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면서 기계적으로도 접속된 상태가 되어 있다.
전극체(1)는, 편평 소용돌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로 인해, 권회 중심의 양측에 있는 리드부(13, 14)는 클립 부재(15, 16)에서 모으도록 하여 끼워 넣어진다. 그리고, 정극 집전체(2)의 정극 접속편(22, 22)은, 정극 리드부(13)(직선부(18, 18)를 따르도록 하여 전극체(1)의 권회 중심에 삽입되어, 당해 정극 접속편(22, 22) 각각의 외측에 있는 정극 클립 부재(15, 15)에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클립 부재(15, 16), 접속편(22) 및 리드부(13, 14)의 접속은, 초음파 용접이나 레이저 용접 등의 다양한 용접에 의해 행해진다. 즉, 도전성을 갖는 부재끼리를 연결하는 수단은, 기계적 및 전기적인 접속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면 되고, 다양한 용접이 채용될 수 있다.
정극 제2 접속부(21)는 케이스(3)에 고정됨과 함께, 외부 단자(후술하는 정극 외부 단자)(4)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정극 제2 접속부(21)는, 정극 제1 접속부(20)의 제1 단부(P1) 및 제2 단부(P2)를 포함하는 면을 따라 정극 제1 접속부(20)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정극 제2 접속부(21)는 플레이트 형상을 이루고, 제1 방향으로 길이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정극 제2 접속부(21)에는, 리벳(6)을 삽입 관통하기 위한 관통 구멍(25)이 설치되어 있다.
즉, 제2 접속부(21)가 케이스(3)의 격벽(덮개(31))에 고정된 상태에서, 제1 접속부(20)의 제2 단부(P2)가 제2 접속부(21)가 고정된 덮개(31)와 대향하는 다른 격벽(저부(34)) 근방에 위치하도록 집전체(2)는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1 접속부(20)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는, 케이스(3)의 내부 공간을 획정하기 위해 서로 대향하는 격벽간(덮개(31)와 저부(34)와의 사이)보다도 약간 짧아져 있다.
제1 접속부(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단부(P1)와 제2 단부(P2)와의 사이에 전극체(1)의 권회 중심부에 삽입 가능한 접속편(22, 22)을 구비하고 있다. 접속편(22, 22)은, 집전체(2)를 구성하는 금속 플레이트 중 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슬릿의 양측을 비틀어서 형성되어 있다.
그로 인해, 제1 접속부(20)에는,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접속편(22, 22)이 형성되어 있다. 접속편(22, 22)은, 제2 접속부(21)와 동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다른 쪽 집전체(이하, 부극 집전체라 함)(2)는, 정극 집전체(2)와 기본 형태가 공통되어 있다. 그로 인해, 상기 정극 집전체(2)에 관한 상기 설명문은, 본문 중의 「정극」을 「부극」으로 다르게 읽음으로써, 부극 집전체(2)의 설명문이 된다. 따라서, 정극 집전체(2)에 관한 설명문은, 부극 집전체(2)의 설명에 대용된다.
덧붙여서 말하면, 부극 집전체(2)가 정극 집전체(2)와 서로 상이한 점에 대해서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전기 화학적인 관점에 의해 부극 집전체(2)는 구리 또는 구리 합금으로 구성되고, 정극 집전체(2)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기계 강도의 관점에서 정극 집전체(2)의 두께는 부극 집전체(2)의 두께보다도 두껍게 설정된다. 즉, 부극 집전체(2)는, 정극 집전체(2)보다도 얇은 금속 플레이트로 형성된다.
케이스(3)는, 케이스 본체(30)와 덮개(31)를 구비하고 있다. 케이스 본체(30)는, 각각이 제1 단부(P3) 및 상기 제1 단부(P3)의 반대측의 제2 단부(P4)를 갖는 한 쌍의 제1 벽부(32, 32)이며, 제1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제1 벽부(32, 32)와, 각각이 제1 단부(P5) 및 상기 제1 단부(P5)의 반대측의 제2 단부(P6)를 갖는 한 쌍의 제2 벽부(33, 33)이며, 한 쌍의 제1 벽부(32, 32) 사이에서 제2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제2 벽부(33, 33)와, 한 쌍의 제1 벽부(32, 32)의 제1 단부(P3, P3) 및 한 쌍의 제2 벽부(33, 33)의 제1 단부(P5, P5)가 포위하는 영역을 폐쇄하는 저부(34)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한 쌍의 제1 벽부(32, 32)의 제2 단부(P4, P4) 및 한 쌍의 제2 벽부(33, 33)의 제2 단부(P6, P6)가 포위하는 영역에는, 저부(34)와 대응하는 개구부(35)가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 본체(30)는, 저부(34)의 길이 방향과 전극체(1)의 권회 중심 방향이 동일한 방향이 되도록 집전체(2, 2)가 접속된 전극체(1)를 수용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스 본체(30)가 전극체(1)을 수용한 상태로 한 쌍의 제1 벽부(32, 32)와 집전체(2, 2)와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됨과 함께, 한 쌍의 제2 벽부(33, 33)와 전극체(1)의 외주와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도록 케이스 본체(30)의 크기가 설정되어 있다.
덮개(31)는 개구부(35)를 폐쇄한다. 케이스 본체(30) 및 덮개(31) 모두 금속제이다. 그리고, 케이스 본체(30)에 덮개(31)가 용접됨으로써, 케이스(3)의 내부 공간이 기밀하게 형성된다. 덮개(31)에는, 제1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 쌍의 관통 구멍(36, 36)(이하, 한 쪽 관통 구멍을 정극 관통 구멍(36)이라 하고, 다른 쪽 관통 구멍을 부극 관통 구멍(36)이라 함)이 설치되어 있다. 덮개(31)는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정극 관통 구멍(36)과 부극 관통 구멍(36)은 길이 방향(제1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외부 단자(4)는, 전기적인 부하나 별도의 전지에 접속된다. 한쪽 외부 단자(이하, 정극 외부 단자라 함)(4)는 축 형상의 단자부(40)와, 상기 단자부(40)의 일단부에 연결된 헤드부(41)를 구비하고 있다. 정극 외부 단자(4)는, 단자부(40)의 외주에 도시하지 않은 암나사 부재(예를 들어, 너트)가 나사 결합 가능한 나사 홈을 구비하고 있다. 즉, 정극 외부 단자(4)에는 볼트 단자가 채용되고 있다. 또한, 전지(Ps)는, 정극 외부 단자(4)에 볼트 단자가 채용됨에 따라, 케이스(3)(덮개(31)) 위에 고정되는 회전 정지 부재(42)를 구비한다. 정극 외부 단자(4)의 헤드부(41)와 회전 정지 부재(42)와의 결합으로, 암나사 부재의 나사 결합에 동반되는 정극 외부 단자(4)의 동시 회전이 저지되어 있다.
다른 쪽 외부 단자(이하, 부극 외부 단자라 함)(4)는, 정극 외부 단자(4)와 동일 형태로 형성된다. 그로 인해, 상기 정극 외부 단자(4)에 관한 상기 설명문은, 본문 중의 「정극」을 「부극」으로 다르게 읽음으로써, 부극 외부 단자(4)의 설명문이 된다. 따라서, 정극 외부 단자(4)에 관한 설명문은, 부극 외부 단자(4)의 설명에 대용된다.
한쪽 리벳(이하, 정극 리벳이라 함)(6)은 축 형상의 제1 리벳부(60)와, 축 형상의 제2 리벳부(61)와, 제1 리벳부(60)와 제2 리벳부(61)를 연결하는 동부(62)를 구비한다. 제1 리벳부(60) 및 제2 리벳부(61)는, 적어도 선단측이 소성 변형(코킹 처리) 가능하게 구성된다. 제1 리벳부(60) 및 제2 리벳부(61)는, 동심으로 배치되어 있다. 동부(62)는, 제1 리벳부(60) 및 제2 리벳부(61)보다도 대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다른 쪽 리벳(이하, 부극 리벳이라 함)(6)은, 정극 리벳(6)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된다. 그로 인해, 상기 정극 리벳(6)에 관한 상기 설명문은, 본문 중의 「정극」을 「부극」으로 다르게 읽음으로써, 부극 리벳(6)의 설명문이 된다. 따라서, 여기서는, 정극 리벳(6)에 관한 설명문은 부극 리벳(6)의 설명에 대용된다.
한쪽 접속 막대(이하, 정극 접속 막대라 함)(7)는, 직사각형의 금속 플레이트이다. 정극 접속 막대(7)에는,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한 쌍의 관통 구멍(70, 71)(이하, 한쪽 관통 구멍을 제1 구멍(70)이라 하고, 다른 쪽 관통 구멍을 제2 구멍(71)이라 함)이 설치되어 있다. 제1 구멍(70)에는, 정극 외부 단자(4)의 단자부(40)가 삽입 관통된다. 제2 구멍(71)에는, 정극 리벳(6)의 제1 리벳부(60)가 삽입 관통된다.
다른 쪽 접속 막대(이하, 부극 접속 막대라 함)(7)는, 정극 접속 막대(7)와 동일 형태로 형성된다. 그로 인해, 상기 정극 접속 막대(7)에 관한 상기 설명문은, 본문 중의 「정극」을 「부극」으로 다르게 읽음으로써, 부극 접속 막대(7)의 설명문이 된다. 따라서, 정극 접속 막대(7)에 관한 설명문은, 부극 접속 막대(7)의 설명에 대용된다.
한쪽 내부 가스킷(이하, 정극 내부 가스킷이라 함)(8)은, 전기 절연성 및 밀봉성을 구비한 합성 수지 성형품이다. 정극 내부 가스킷(8)은, 정극 집전체(2)의 정극 제2 접속부(21) 전체와 대향 가능한 크기로 설정된다. 정극 내부 가스킷(8)에는, 정극 제2 접속부(21)의 관통 구멍(25)과 일치하는 관통 구멍(81)이 설치되어 있다.
다른 쪽 내부 가스킷(이하, 부극 내부 가스킷이라 함)(8)은, 정극 내부 가스킷(8)과 동일 형태로 형성된다. 그로 인해, 상기 정극 내부 가스킷(8)에 관한 상기 설명문은, 본문 중의 「정극」을 「부극」으로 다르게 읽음으로써, 부극 내부 가스킷(8)의 설명문이 된다. 따라서, 정극 내부 가스킷(8)에 관한 설명문은, 부극 내부 가스킷(8)의 설명에 대용된다.
한쪽 외부 가스킷(이하, 정극 외부 가스킷이라 함)(9)은, 정극 내부 가스킷(8)과 마찬가지로 전기 절연성과 밀봉성을 구비한 합성 수지 성형품이다. 정극 외부 가스킷(9)에는, 정극 리벳(6)의 동부(62)를 수용 가능한 오목부(9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정극 외부 가스킷(9)에는, 정극 리벳(6)의 동부(62)가 오목부(90)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정극 리벳(6)의 제1 리벳부(60)를 삽입 관통 가능한 관통 구멍(91)이 설치되어 있다.
다른 쪽 외부 가스킷(이하, 부극 외부 가스킷이라 함)(9)은, 정극 외부 가스킷(9)과 동일 형태로 형성된다. 그로 인해, 상기 정극 외부 가스킷(9)에 관한 상기 설명문은, 본문 중의 「정극」을 「부극」으로 다르게 읽음으로써, 부극 외부 가스킷(9)의 설명문이 된다. 따라서, 정극 외부 가스킷(9)에 관한 설명문은, 부극 외부 가스킷(9)의 설명에 대용된다.
상기 구성을 전제로, 정극 리벳(6)의 제1 리벳부(60)는 정극 외부 가스킷(9)의 관통 구멍(91), 덮개(31)의 정극 관통 구멍(36), 정극 내부 가스킷(8)의 관통 구멍(81) 및 정극 집전체(2)의 정극 제2 접속부(21)의 관통 구멍(25)에 연속해서 삽입 관통된다. 그리고, 제1 리벳부(60) 중, 정극 집전체(2)의 정극 제2 접속부(21)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된 선단부가 코킹 처리된다. 정극 리벳(6)의 제2 리벳부(61)는, 정극 접속 막대(7)의 제2 구멍(71)에 삽입 관통된다. 그리고, 제2 리벳부(61) 중, 정극 접속 막대(7)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선단부가 코킹 처리된다. 이에 의해, 정극 리벳(6)은, 정극 집전체(2)를 케이스(3)의 덮개(31)에 고정하면서 정극 집전체(2)를 정극 접속 막대(7)를 개재해서 정극 외부 단자(4)에 접속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정극측의 구성과 부극측의 구성이 공통되어 있다. 그로 인해, 정극 리벳(6)에 의한 정극 집전체(2)와 정극 접속 막대(7)와의 접속이나, 정극 접속 막대(7)와 정극 외부 단자(4)와의 접속에 관한 상기 설명문은, 본문 중의 「정극」을 「부극」으로 다르게 읽음으로써, 부극 리벳(6)에 의한 부극 집전체(2)와 부극 접속 막대(7)와의 접속이나, 부극 접속 막대(7)와 부극 외부 단자(4)와의 접속에 관한 설명문이 된다. 따라서, 정극 리벳(6)에 의한 정극 집전체(2)와 정극 접속 막대(7)와의 접속이나, 정극 접속 막대(7)와 정극 외부 단자(4)와의 접속에 관한 상기 설명문은, 부극 리벳(6)에 의한 부극 집전체(2)와 부극 접속 막대(7)와의 접속이나, 부극 접속 막대(7)와 부극 외부 단자(4)와의 접속에 관한 설명문에 대용된다.
스페이서(5)는, 전기 절연성을 구비한 합성 수지 성형품이다. 스페이서(5)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집전체(2, 2)의 제1 접속부(20, 20)에 걸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스페이서(5)의 양단부가 제1 접속부(20, 20)에 연결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스페이서(5)는, 제1 접속부(20, 20)의 제2 단부(P2, P2)에 연결된 한 쌍의 결합부(50, 50)와, 상기 한 쌍의 결합부(50, 50)끼리의 간격을 일정 또는 대략 일정하게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결합부(50, 50)끼리가 연결된 가교부(51)를 구비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스페이서(5)는, 제1 접속부(20, 20)의 제2 단부(P2, P2)(선단부) 각각이 한 쌍의 결합부(50, 50)의 각각에 삽입됨으로써, 한 쌍의 집전체(2, 2)를 연결한다. 그로 인해, 각 결합부(50)에는, 제1 접속부(20)의 제2 단부(P2)를 삽입 가능한 삽입부(56)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케이스(3)의 덮개(31)로부터 수직 하강한 상태가 되는 제1 접속부(20, 20)의 제2 단부(P2, P2)는, 스페이서(5)의 피삽입부(56, 56)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피삽입부(56, 56) 내에서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규제되는 상태가 되어 있다.
스페이서(5)는, 케이스(3) 내의 저부(34)에 적재되어 있다. 이에 따라, 가교부(51)는 도 4 및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극체(1)와 대향하고 있다. 스페이서(5)의 가교부(51)는, 전극체(1)와 대치하는 대향면(51a)을 갖고 있다.
스페이서(5)의 대향면(51a)은, 도 5b 및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극체(1)의 원호부(17)의 외면에 대응하는 오목 형상의 원호면이다. 스페이서(5)의 대향면(51a)은 전극체(1)와 비접촉이다.
스페이서(5)는, 경량화를 도모하기 위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교부(51) 중 적어도 1 개소에 관통 구멍 또는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두께 일부 생략부(51b)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복수의 두께 일부 생략부(51b), …가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두께 일부 생략부(51b), …는, 한 쌍의 결합부(50, 50)가 배열된 방향(제1 방향과 대응하는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각 두께 일부 생략부(51b)는, 평면에서 보아 대략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스페이서(5)는, 제1 방향에서 대향면(51a)과 두께 일부 생략부(51b)가 교대로 배치됨으로써 사다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스페이서(5)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3) 내에 끼워 넣은 상태로 상기 케이스(3)의 내면과 간섭(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스페이서(5)에 있어서의 전극체(1)와 대향하는 면(대향면(51a))과는 반대측에 있는 면은,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스페이서(5)의 평면 형상 및 평면 크기는, 케이스(3)의 저부(34)의 내면의 평면 형상 및 평면 크기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스페이서(5)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한 쌍의 결합부(50, 50)의 외면)는 한 쌍의 제1 벽부(32, 32)의 내면에 간섭함과 함께, 스페이서(5)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양단부(한 쌍의 결합부(50, 50) 및 가교부(51)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외면)는 한 쌍의 제2 벽부(33, 33)의 내면에 간섭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스페이서(5)는 케이스(3)의 내면과의 간섭으로 제1 방향의 이동과 제2 방향의 이동이 규제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전지(Ps)는 이상과 같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전지(Ps)에 의하면, 스페이서(5)의 한 쌍의 결합부(50, 50)에 연결된 집전체(2, 2)의 제1 접속부(20, 20)는, 스페이서(5)에 의해 일정 또는 대략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된다. 즉, 스페이서(5)를 개재해서 연결된 각 집전체(2)는 상대방의 집전체(2)를 구속하여, 상대방의 집전체(2)의 요동(이동)을 규제한다.
이에 의해, 전지(Ps)가 진동 환경하에 설치되었을 때 집전체(2, 2) 및 전극체(1)가 진동(요동)해도, 스페이서(5)에 의해 집전체(2, 2)의 이동(요동)이 규제됨과 함께, 집전체(2, 2)에 접속된 전극체(1)의 이동(요동)도 규제된다. 이에 의해, 집전체(2, 2)와 전극체(1)와의 상대적인 배치가 일정 또는 대략 일정한 상태로 유지되게 된다.
그 결과, 전지(Ps)를 진동 환경하에 사용해도 전극체(1)를 지지하는 집전체(2, 2)의 제2 접속부(21, 21)나, 상기 제2 접속부(21, 21)와 제1 접속부(20, 20)와의 경계 근방에 굽힘 작용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전지(Ps)를 진동 환경하에 사용해도 전극체(1)와 제1 접속부(20, 20)와의 접속 부분이 비틀리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전지(Ps)에 의하면, 집전체(2, 2)나 전극체(1)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스페이서(5)에 의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가교부(51)에 의해 일정 또는 대략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되는 한 쌍의 결합부(50, 50)에 집전체(2, 2)의 제1 접속부(20, 20)가 연결된다. 그로 인해, 제1 접속부(20, 20)의 선단부인 제2 단부(P2)는 자유 단부가 되지 않고, 집전체(2, 2)의 전체적인 요동(이동)이 확실하게 규제된다. 이에 의해, 전지(Ps)는 케이스(3) 내에 있는 집전체(2, 2) 및 전극체(1)의 전체의 요동(이동)을 규제할 수 있으며, 집전체(2, 2) 및 전극체(1)의 파손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전지(Ps)는 진동 환경하에 설치되어도 집전체(2, 2)나 전극체(1)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기기로의 전력 공급을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변경을 가할 수 있다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스페이서(5)의 대향면(51a), …은 전극체(1)의 원호부(17, 17)에 대응하는 원호면으로 형성되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대향면(51a)은 전극체(1)의 외주 형상과 상이한 형태(예를 들어, 평면 형상)로 형성되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스페이서(5)의 하면(전극체(1)와 대향하는 면과는 반대측의 면)은 전체적으로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스페이서(5)의 하면에 제1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의 다리부가 설치된 것이어도 좋다. 이와 같이 해도, 스페이서(5)는 케이스(3)의 저부(34) 위에 안정적으로 배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스페이서(5)의 가교부(51)는 두께 일부 생략부(51b)를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스페이서(5)의 가교부(51)는, 두께 일부 생략부(51b) 없이 형성되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스페이서(5)가 케이스(3) 내에 끼워 넣은 상태로 케이스(3)의 내면과 간섭함으로써, 스페이서(5)의 제1 방향의 이동 및 제2 방향의 이동이 규제되도록 되어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스페이서(5)는, 케이스(3) 내에 배치했을 때에 상기 케이스(3)의 내면과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형태인 것이어도 좋다. 이와 같이 해도, 한 쌍의 결합부(50, 50)에 연결된 집전체(2, 2)의 제1 접속부(20, 20)는 가교부(51)에 의해 일정 또는 대략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외부 단자(4, 4) 및 리벳(6, 6)은 각각 독립된 구성이 되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외부 단자(4, 4) 및 리벳(6, 6)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도 좋다. 이 경우, 회전 정지 부재(42, 42)나 접속 막대(7, 7)가 불필요해지기 때문에, 외부 가스킷(9, 9) 및 외부 단자(4, 4)(또는 리벳(6, 6))는 회전 정지 기능이 부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집전체(2, 2)를 구성하는 직사각 형상의 금속 플레이트의 도중 위치에 슬릿을 넣고, 상기 슬릿의 양측을 비틂 가공함으로써 한 쌍의 접속편(22, 22)이 형성되도록 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금속 플레이트의 도중 위치로부터 하단부(타단부)까지 슬릿을 넣고, 상기 슬릿의 양측을 비틂 가공함으로써 분지 형상의 접속편(22, 22)이 형성되도록 해도 좋다. 또한, 금속 플레이트를 비틂 가공하여 접속편(22, 22)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접속편(22, 22)이 되는 금속편이 용접에 의해 형성되도록 해도 좋다.
<제2 내지 제5 실시 형태의 기본 구성>
제2 내지 제5 실시 형태의 각 실시 형태에 관한 전지(Ps)의 전체 구성은, 모두 공통적으로 도 7 내지 도 9에 도시한다. 즉, 제2 내지 제5 실시 형태의 각 실시 형태에 관한 전지(Ps)는, 모두 동일한 기본 구성을 갖고 있다. 제2 내지 제5 실시 형태의 각 실시 형태에 관한 전지(Ps)의 상이한 점은 스페이서(5)의 구조이다. 따라서, 이하의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스페이서(5)에 대해서 중점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제2 내지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 스페이서(5)의 구조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전지(Ps)의 스페이서(5)의 구조와 상이함에 따라, 집전체(2)의 일부의 구조도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전지(Ps)의 집전체(2)의 구조와 상이하다. 이 점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정극 제1 접속부(20)의 제2 단부(P2)에는, 제2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제3 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절입(23, 23)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하에 있어서, 절입(23)을 끼워 맞춤부(23)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2개의 절입(23, 23)은 슬릿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3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2 단부(P2)의 선단에서 개방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정극 제1 접속부(20)의 제2 단부(P2) 중, 2개의 절입(23, 23) 사이에 플레이크 형상의 분할 중앙부(2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부극 집전체(2)의 부극 제1 접속부(20)의 제2 단부(P2)에도 2개의 절입(23, 23)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하에 있어서, 절입(23)을 끼워 맞춤부(23)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부극 집전체(2)의 2개의 절입(23, 23)의 제2 방향에 있어서의 간격은, 정극 집전체(2)의 2개의 절입(23, 23)의 제2 방향에 있어서의 간격과 상이하다. 즉, 부극 집전체(2)의 2개의 절입(23, 23)의 제2 방향에 있어서의 간격은, 정극 집전체(2)의 2개의 절입(23, 23)의 제2 방향에 있어서의 간격보다도 넓게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부극 집전체(2)에 있어서도 절입(23)은 슬릿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3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2 단부(P2)의 선단에서 개방되어 있다. 이에 의해, 부극 제1 접속부(20)의 제2 단부(P2)에도 2개의 절입(23, 23) 사이에 플레이크 형상의 분할 중앙부(24)가 형성되어 있다.
<제2 실시 형태>
스페이서(5)는, 전기 절연성을 구비한 합성 수지 성형품이다. 스페이서(5)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이 한 쌍의 집전체(2, 2) 중 대응하는 집전체(2)의 제1 접속부(20)의 제2 단부(P2)에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부(50, 50)와,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한 쌍의 결합부(50, 50)를 연결하는 가교부(51)이며, 적어도 제3 방향에 가요성을 갖는(변형 가능한) 가교부(51)를 구비한다.
스페이서(5)의 전체 길이(제1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L1)는, 케이스 본체(30)의 제1 벽부(32, 32) 사이의 간격보다도 짧은 길이로 설정되어 있다. 스페이서(5)의 전체 폭(제2 방향에 있어서의 폭)(L2)은, 케이스 본체(30)의 제2 벽부(33, 33) 사이의 간격보다도 짧은 길이로 설정되어 있다.
한쪽의 결합부(이하, 정극 결합부라 함)(50)에는, 정극 집전체(2)의 제1 접속부(20)의 제2 단부(P2)의 분할 중앙부(24)가 삽입되는 피삽입부(56)가 설치되어 있다.
피삽입부(56)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3)에 수용된 상태로 덮개(31)와 대향하는 면으로부터 케이스(3)에 수용된 상태로 저부(34)와 대향하는 면을 향해 파인 비관통 상태의 구멍이다. 피삽입부(56)의 제3 방향에 있어서의 깊이는, 정극 집전체(2)의 제1 접속부(20)의 제2 단부(P2)의 분할 중앙부(24)의 제3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보다도 얕아져 있다. 즉, 피삽입부(56)에 분할 중앙부(24)가 삽입된 상태로 분할 중앙부(24)의 선단이 피삽입부(56)의 저부와 접촉하도록 피삽입부(56)의 제3 방향에 있어서의 깊이가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정극 결합부(50)는, 정극 집전체(2)에 작용하는 제3 방향의 힘(케이스(3)의 저부(34)를 향하는 힘)을 받을 수 있게 되어 있다.
다른 쪽 결합부(이하, 부극 결합부라 함)(50)는, 정극 결합부(50)와 동일 형태로 형성된다. 그로 인해, 상기 정극 결합부(50)에 관한 상기 설명문은, 본문 중의 「정극」을 「부극」으로 다르게 읽음으로써, 부극 결합(50)의 설명문이 된다. 따라서, 정극 결합부(50)에 관한 설명문은, 부극 결합부(50)의 설명에 대용된다.
도 10 및 도 11로 되돌아가서, 가교부(51)는 제1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P7)가 한 쌍의 결합부(50, 50)에 대하여 제3 방향의 한쪽측으로 변위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가교부(51)의 중앙부(P7)는, 한 쌍의 결합부(50, 50)보다도 케이스 본체(30)에 대한 삽입시의 선두가 되는 측으로 변위되어 있다.
가교부(51)는, 제1 방향에 있어서의 제1 단부(P8)와 제2 단부(P9)를 갖는다. 그리고, 가교부(51)는, 중앙부(P7)가 제1 단부(P8) 및 제2 단부(P9)에 대하여 제3 방향의 한쪽측(저부(34)와 대향하는 측)으로 변위되도록 만곡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가교부(51)는, 케이스 본체(30)의 저부(34)를 향하는 면이 볼록해지고, 또한 덮개(31)를 향하는 면이 오목해지도록 만곡되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가교부(51)의 제1 단부(P8)에 정극 결합부(50)가 접속되고, 가교부(51)의 제2 단부(P9)에 부극 결합부(50)가 접속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가교부(51)의 중앙부(P7)는 정극 결합부(50) 및 부극 결합부(50)에 대하여 제3 방향의 한쪽측으로 변위되어 있다. 즉, 스페이서(5)는, 제3 방향의 한쪽측에 볼록부를 이루는 만곡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가교부(51)는, 제2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 한 쌍의 빔부(57, 57)와, 한 쌍의 빔부(57, 57)끼리를 연결하는 복수의 빔 연결부(58), …를 포함한다. 빔부(57)는, 제1 방향으로 길이를 이루어 형성되어 있다. 빔부(57)는, 제2 방향으로부터 보아 제3 방향의 한쪽측에 볼록부를 이루는 만곡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빔 연결부(58)는, 저부(34)를 향하는 면이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에 비해, 덮개(31)를 향하는 면이 전극체(1)의 외주에 있어서의 원호 부분과 대응하는 원호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빔 연결부(58)는, 빔부(57, 57)의 볼록부를 이루는 만곡 형상의 단부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어 있다.
스페이서(5)의 전체 길이(L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벽부(32, 32) 사이의 간격보다도 짧게 설정된다. 그러나, 스페이서(5)의 만곡 방향을 따른 전체 길이는 제1 벽부(32, 32) 사이의 간격 이상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스페이서(5)의 전체 길이(L1)는, 가교부(51)가 휜 상태(가교부(51)가 곧게 신장된 상태, 또는 가교부(51)의 곡률 반경이 커지도록 신장된 상태)에 있어서, 제1 벽부(32, 32) 사이의 간격보다도 길어진다.
상기 구성의 스페이서(5)에 의하면, 케이스 본체(30) 내에 수용되기 전에 덮개(31)에 고정된 정극 집전체(2)의 정극 제1 접속부(20)의 제2 단부(P2)가 정극 결합부(50)의 피삽입부(56)에 접속됨과 함께, 덮개(31)에 고정된 부극 집전체(2)의 부극 제1 접속부(20)의 제2 단부(P2)가 부극 결합부(50)의 피삽입부(56)에 접속된다.
이때, 스페이서(5)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체 길이(L1)가 케이스 본체(30)의 제1 벽부(32, 32) 사이의 간격보다도 짧고, 또한 전체 폭(L2)이 케이스 본체(30)의 제2 벽부(33, 33) 사이의 간격보다도 짧기 때문에, 정극 집전체(2) 및 부극 집전체(2)가 접속된 상태로 케이스 본체(30) 내에 원활하게 삽입된다.
그리고,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페이서(5)가 케이스 본체(30)의 가장 안쪽까지 도달하면 중앙부(P7)가 저부(34)에 지지된다. 또한, 전극체(1), 정극 집전체(2), 부극 집전체(2) 및 스페이서(5)는, 전기 절연성이 있는 시트 또는 주머니 (도시 생략)로 둘러싸인 후, 케이스 본체(30)에 삽입된다. 따라서, 중앙부(P7)는, 전기 절연성이 있는 시트 또는 주머니를 끼워서 저부(34)에 지지된다.
이에 대해, 정극 결합부(50) 및 부극 결합부(50)는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벽부(32) 및 저부(34)로부터 이격된 상태(간극을 둔 상태)에 있다. 또한, 이 상태로 케이스 본체(30)의 제1 벽부(32, 32)의 제2 단부(P4, P4) 및 제2 벽부(33, 33)의 제2 단부(P6, P6)에 대하여 덮개(31)가 간극을 둔 배치가 되어 있다.
그리고, 덮개(31)는 케이스 본체(30)를 향해 눌려, 케이스 본체(30)의 제1 벽부(32, 32)의 제2 단부(P4, P4) 및 제2 벽부(33, 33)의 제2 단부(P6, P6)에 밀접한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도 15 및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31)에 고정된 정극 집전체(2)의 정극 제1 접속부(20) 및 부극 집전체(2)의 부극 제1 접속부(20)가 스페이서(5)의 정극 결합부(50) 및 부극 결합부(50)를 케이스 본체(30)의 저부(34)를 향해 누른 상태가 된다. 그에 의해, 스페이서(5)의 가교부(51)가 휘어져(신장되어), 스페이서(5)의 전체 길이가 통상시의 전체 길이(L1)보다도 길어진다.
이에 따라, 정극 결합부(50)가 케이스 본체(30) 한쪽의 제1 벽부(32)를 외측으로 누른다. 또한, 부극 결합부(50)가 케이스 본체(30)의 다른 쪽 제1 벽부(32)를 외측으로 누른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극체(1), 정극 집전체(2), 부극 집전체(2) 및 스페이서(5)는, 전기 절연성이 있는 시트 또는 주머니로 둘러싸인 후, 케이스 본체(30)에 삽입된다. 따라서, 정극 결합부(50)가 전기 절연성이 있는 시트 또는 주머니를 사이에 끼운 상태로 한쪽 제1 벽부(32)를 외측으로 누르고, 부극 결합부(50)가 전기 절연성이 있는 시트 또는 주머니를 사이에 끼운 상태로 다른 쪽 제1 벽부(32)를 외측으로 누른다. 이에 의해, 스페이서(5)는, 케이스 본체(30)의 제1 벽부(32, 32) 사이에서 지지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덮개(31)의 외주가 케이스 본체(30)에 용접되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30)의 개구부(35)가 덮개(31)에 의해 밀봉된다. 이에 의해, 덮개(31)에 고정된 정극 집전체(2)(정극 제1 접속부(20)) 및 부극 집전체(2)(부극 제1 접속부(20))가 스페이서(5)의 양단부(정극 결합부(50) 및 부극 결합부(50))를 케이스 본체(30)의 저부(34)를 향해 누르고, 스페이서(5)를 신장시킨 상태로 한다. 즉, 케이스 본체(30)의 개구부(35)가 덮개(31)에 의해 밀봉됨으로써, 스페이서(5)가 케이스 본체(30)의 제1 벽부(32, 32) 사이에서 지지된 상태가 되어, 케이스(3) 내에서 고정된다.
스페이서(5)가 케이스(3) 내에서 고정되면, 상기 구성의 전지(Ps)에 있어서, 정극 집전체(2)의 정극 제1 접속부(20)의 제2 단부(P2) 및 부극 집전체(2)의 부극 제1 접속부(20)의 제2 단부(P2)는 스페이서(5)를 개재해서 케이스(3)에 고정된 상태가 된다. 이에 의해, 정극 집전체(2) 및 부극 집전체(2)의 흔들림이 규제된다. 또한, 흔들림이 규제된 정극 집전체(2) 및 부극 집전체(2)에 접속된 전극체(1)의 흔들림도 규제된다.
따라서, 전지(Ps)에 대하여 외부로부터 진동이 작용해도, 정극 집전체(2)와 전극체(1)와의 상대적인 배치 및 부극 집전체(2)와 전극체(1)와의 상대적인 배치가 일정 또는 대략 일정한 상태로 유지되게 된다. 그 결과, 정극 집전체(2) 및 부극 집전체(2)에 있어서, 덮개(31)에 고정된 제2 접속부(21), 상기 제2 접속부(21)와 제1 접속부(20)와의 경계 근방에 굽힘 작용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전극체(1)와 집전체(2)의 제1 접속부(20)와의 접속 부분에 비틀림 등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이에 의해, 전지(Ps)를 진동 환경하에 사용해도 정극 집전체(2)나 부극 집전체(2)나 전극체(1)가 파손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전지(Ps)는, 진동의 영향에 의한 집전체(2)나 전극체(1)의 파손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스페이서(5)는, 덮개(31)로 케이스 본체(30)의 개구부(35)를 폐쇄한 상태로 정극 결합부(50) 및 부극 결합부(50)가 저부(34)와 비접촉이 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케이스(3)와 스페이서(5)와의 접촉 개소를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2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변경을 가할 수 있다는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가교부(51)의 중앙부(P7)가 정극 결합부(50) 및 부극 결합부(50)보다도 제3 방향의 한쪽측으로 변위되도록 스페이서(5)가 형성되었지만, 스페이서(5)의 형태는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스페이서(5)는, 정극 결합부(50) 및 부극 결합부(50)가 중앙부(P7)보다도 제3 방향의 한쪽측으로 변위되도록 형성되어도 좋다. 이 경우, 중앙부(P7)가 전극체(1)에 의해 케이스(3)의 저부(34)를 향해 눌리게 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17 및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페이서(5)의 전체 길이(L1)가 케이스 본체(30)의 제1 벽부(32, 32) 사이의 간격보다도 짧은 길이로 설정된다. 또한, 스페이서(5)의 전체 폭(L2)이 케이스 본체(30)의 제2 벽부(33, 33) 사이의 간격보다도 짧은 길이로 설정된다. 이것을 전제로, 스페이서(5)는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방향의 한쪽측에 오목부를 이루는 만곡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가교부(51)가 제3 방향의 다른 쪽측에 볼록부를 이루는 만곡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에 의해, 정극 결합부(50) 및 부극 결합부(50)가 가교부(51)의 중앙부(P7)보다도 제3 방향의 한쪽측에 배치된다. 이 경우, 정극 결합부(50) 및 부극 결합부(50)의 피삽입부(56)는 도 18 및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방향의 다른 쪽측으로부터 한쪽측(케이스(3)에 수용된 상태로 덮개(31)와 대향하는 면으로부터 케이스(3)에 수용된 상태에서 저부(34)와 대향하는 면)을 향해 파인 비관통 상태 또는 관통 상태의 구멍(도면에 있어서는 관통 상태의 구멍)이다.
즉, 피삽입부(56)에 정극 집전체(2)의 정극 제1 접속부(20)의 제2 단부(P2)의 분할 중앙부(24)가 삽입된 상태에서, 정극 결합부(50)가 정극 집전체(2)에 작용하는 제3 방향의 힘(케이스(3)의 저부(34)를 향하는 힘)을 받지 않도록 정극 집전체(2)와 정극 결합부(50)가 제3 방향에서 상대 이동 가능해진다. 또한, 피삽입부(56)에 부극 집전체(2)의 부극 제1 접속부(20)의 제2 단부(P2)의 분할 중앙부(24)가 삽입된 상태에서, 부극 결합부(50)가 부극 집전체(2)에 작용하는 제3 방향의 힘(케이스(3)의 저부(34)를 향하는 힘)을 받지 않도록 부극 집전체(2)와 부극 결합부(50)가 제3 방향에서 상대 이동 가능해진다.
그리고, 덮개(31)에 고정된 정극 집전체(2) 및 부극 집전체(2)에 전극체(1)가 접속된 상태로 정극 집전체(2)의 정극 제1 접속부(20)의 제2 단부(P2)가 정극 결합부(50)의 피삽입부(56)에 접속됨과 함께, 부극 집전체(2)의 부극 제1 접속부(20)의 제2 단부(P2)가 부극 결합부(50)의 피삽입부(56)에 접속된다. 이 상태로 스페이서(5)는 케이스 본체(30) 내에 수용된다.
이때, 스페이서(5)는, 전체 길이(L1)가 케이스 본체(30)의 제1 벽부(32, 32) 사이의 간격보다도 작고, 또한 전체 폭(L2)이 케이스 본체(30)의 제2 벽부(33, 33) 사이의 간격보다도 작기 때문에, 정극 집전체(2) 및 부극 집전체(2)가 접속된 상태로 케이스 본체(30) 내에 원활하게 삽입된다.
그리고,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페이서(5)가 케이스 본체(30)의 가장 안쪽까지 도달하면 중앙부(P7)가 저부(34)에 지지되어 있지 않은 상태가 된다. 이에 대해, 정극 결합부(50) 및 부극 결합부(50)는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벽부(32)와 이격된 상태(간극을 둔 상태)로 저부(34)에 지지된다.
그리고, 덮개(31)는 케이스 본체(30)를 향해 눌려, 케이스 본체(30)의 제1 벽부(32, 32)의 제2 단부(P4, P4) 및 제2 벽부(33, 33)의 제2 단부(P6, P6)에 밀접한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도 22 및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극 집전체(2)의 정극 제1 접속부(20) 및 부극 집전체(2)의 부극 제1 접속부(20)에 접속된 전극체(1)가 스페이서(5)의 가교부(51)의 중앙부(P7)를 케이스 본체(30)의 저부(34)를 향해 누른 상태가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정극 집전체(2)와 정극 결합부(50)가 제3 방향에서 상대 이동 가능해짐과 함께, 부극 집전체(2)와 부극 결합부(50)가 제3 방향에서 상대 이동 가능해진다. 그로 인해, 정극 집전체(2) 및 부극 집전체(2)가 직접 스페이서(5)를 저부(34)를 향해 누르지 않고, 전극체(1)만이 스페이서(5)를 저부(34)를 향해 누른 상태가 된다. 그에 의해, 스페이서(5)의 가교부(51)가 휘어져(신장되어), 스페이서(5)의 전체 길이가 통상시의 전체 길이(L1)보다도 길어진다.
이에 따라, 정극 결합부(50)가 케이스 본체(30)의 한쪽의 제1 벽부(32)를 외측으로 누른다. 또한, 부극 결합부(50)가 케이스 본체(30)의 다른 쪽 제1 벽부(32)를 외측으로 누른다. 이에 의해, 스페이서(5)는 케이스 본체(30)의 제1 벽부(32, 32) 사이에서 지지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케이스 본체(30)의 개구부(35)가 덮개(31)에 의해 밀봉됨으로써, 덮개(31)에 고정된 정극 집전체(2)(정극 제1 접속부(20)) 및 부극 집전체(2)(부극 제1 접속부(20))에 고정된 전극체(1)가 스페이서(5)의 중앙부(가교부(51)의 중앙부(P7))를 케이스 본체(30)의 저부(34)를 향해 누르고, 스페이서(5)를 신장시킨 상태로 한다. 즉, 케이스 본체(30)의 개구부(35)가 덮개(31)에 의해 밀봉됨으로써, 스페이서(5)가 케이스 본체(30)의 제1 벽부(32, 32) 사이에서 지지된 상태가 되어, 케이스(3) 내에서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구성의 전지(Ps)에 있어서도, 정극 집전체(2) 및 부극 집전체(2)의 흔들림이 규제된다. 또한, 흔들림이 규제된 정극 집전체(2) 및 부극 집전체(2)에 접속된 전극체(1)의 흔들림도 규제된다.
상기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스페이서(5)의 피삽입부(56)에 정극 집전체(2) 및 부극 집전체(2)의 각각 제1 접속부(20)의 선단부(분할 중앙부(24))가 삽입됨으로써, 정극 집전체(2) 및 부극 집전체(2)에 스페이서(5)가 결합되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정극 집전체(2) 및 부극 집전체(2)의 각각 제1 접속부(20)의 제2 단부(P2) 전체가 스페이서(5)의 피삽입부(56)에 삽입됨으로써, 정극 집전체(2) 및 부극 집전체(2)에 스페이서(5)가 결합되어도 좋다.
상기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스페이서(5)가 만곡 형상으로 형성되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스페이서(5)의 가교부(51)는, 제1 방향으로 곧게 신장되는 직선부와, 직선부의 양단부로부터 외측을 향해 연장된 한 쌍의 경사부이며, 직선부의 중앙을 기준으로 해서 대칭으로 배치된 한 쌍의 경사부를 구비한 것이어도 좋다. 또한, 스페이서(5)의 가교부(51)는, 각각이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갖는 한 쌍의 경사부이며, 서로의 제2 단부끼리가 제1 방향에서 이격된 상태로 서로의 제1 단부끼리 접속된 한 쌍의 경사부를 구비한 것이어도 좋다. 이와 같이 해도, 한 쌍의 결합부(50, 50) 또는 가교부(51)의 중앙부(P7) 중 어느 한쪽이 한 쌍의 결합부(50, 50) 또는 가교부(51)의 중앙부(P7) 중 어느 다른 쪽보다도 케이스(3)의 저부(34)측에 위치한 상태가 된다.
이에 의해, 스페이서(5)의 전체 길이(L1)를 케이스 본체(30)의 제1 벽부(32, 32) 사이의 간격보다도 짧게 한 후, 스페이서(5)의 실질적인 전체 길이를 케이스 본체(30)의 제1 벽부(32, 32) 사이의 간격 이상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한 쌍의 결합부(50, 50) 또는 가교부(51)의 중앙부(P7) 중 어느 다른 쪽이 한 쌍의 집전체(2, 2) 또는 전극체(1)에 의해 케이스(3)의 저부(34)를 향해 눌림으로써, 결합부(50)가 제1 벽부(32)를 외측으로 누르게 되고, 스페이서(5)가 케이스(3) 내에서 강고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의 전지에 있어서도, 상기 제2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작용 및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전극체(1), 정극 집전체(2), 부극 집전체(2) 및 스페이서(5)가 전기 절연성이 있는 시트 또는 주머니로 둘러싸인 후 케이스 본체(30)에 삽입되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스페이서(5)가 전기 절연성을 갖는 것을 전제로, 전극체(1), 정극 집전체(2) 및 부극 집전체(2)가 전기 절연성이 있는 시트 또는 주머니로 둘러싸인 후 케이스 본체(30)에 삽입되어도 좋다. 이 경우, 가교부(51)의 중앙부(P7)는 직접 저부(34)에 지지되어, 결합부(50)가 제1 벽부(32)를 직접 외측으로 누르게 되고, 스페이서(5)가 케이스(3) 내에서 강고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의 전지에 있어서도, 상기 제2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작용 및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스페이서(5)는, 전기 절연성을 구비한 합성 수지 성형품이다. 스페이서(5)는, 도 24 및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이 한 쌍의 집전체(2, 2) 중 대응하는 집전체(2)의 제1 접속부(20)의 제2 단부(P2)에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부(50, 50)와,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한 쌍의 결합부(50, 50)를 연결하는 가교부(51)를 구비한다.
스페이서(5)의 전체 길이(제1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L1)는, 케이스 본체(30)의 제1 벽부(32, 32) 사이의 간격보다도 짧은 길이로 설정되어 있다. 스페이서(5)의 전체 폭(제2 방향에 있어서의 폭)(L2)은, 케이스 본체(30)의 제2 벽부(33, 33) 사이의 간격보다도 짧은 길이로 설정되어 있다.
한쪽의 결합부(이하, 정극 결합부라 함)(50)는, 도 26 내지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교부(51)에 연결된 주벽부(52)와, 상기 주벽부(52)와 제1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제1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에서 대향하는 외측벽부(53)이며, 적어도 제1 방향으로 변형 가능한 변형부로서의 외측벽부(53)와, 주벽부(52)와 외측벽부(53)를 연결하는 측부(54)와, 주벽부(52) 및 외측벽부(53)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대하여, 주벽부(52) 및 외측벽부(53) 중 다른 쪽을 향해 돌출되도록 설치된 볼록부(55)를 구비한다.
주벽부(52)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주벽부(52)는, 제1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을 향하는 제1면(S1)과, 상기 제1면(S1)의 반대측의 제2면(S2)을 갖고 있다. 제2 방향에 있어서의 주벽부(52)의 길이는, 제2 방향에 있어서의 정극 제1 접속부(20)의 길이보다도 길고, 또한 케이스 본체(30)의 제2 벽부(33, 33) 사이의 간격보다도 짧게 설정되어 있다.
외측벽부(53)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외측벽부(53)는, 제1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을 향하는 제1면(S3)과, 제1면(S3)의 반대측의 제2면(S4)을 갖고 있다. 외측벽부(53)는, 주벽부(52)보다도 얇게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외측벽부(53)는 제1 방향으로 변형 가능하다. 외측벽부(53)의 제2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는, 정극 제1 접속부(20)의 분할 중앙부(24)의 제2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보다도 길게(실제로는 약간 길게) 형성된다. 이에 대해, 외측벽부(53)의 제3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는, 주벽부(52)의 제3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의 절반 이하로 설정되어 있다. 외측벽부(53)는, 제3 방향에 있어서의 주벽부(52)의 하측 절반의 영역에 대향해서 배치되어 있다. 외측벽부(53)는, 주벽부(52)에 대하여 정극 집전체(2)의 정극 제1 접속부(20)의 제1 방향에 있어서의 두께 이상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외측벽부(53)는, 주벽부(52)에 대하여 정극 제1 접속부(20)의 두께보다도 약간 넓은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측부(54)는, 제1 단부(번호 붙이지 않음)와 상기 제1 단부의 반대측의 제2 단부(번호 붙이지 않음)를 갖는다. 측부(54)는, 외측벽부(53)로부터 주벽부(52)를 향해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측부(54)의 제1 단부가 외측벽부(53)의 제2면(S4)에 연결되고, 상기 측부(54)의 제2 단부가 주벽부(52)의 제1면(S1)에 연결되어 있다.
측부(54)는, 제2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2개 설치되어 있다. 측부(54)는, 정극 제1 접속부(20)의 제2 단부(P2)에 설치된 절입(23)의 배치에 대응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측부(54)의 제2 방향에 있어서의 두께는, 정극 제1 접속부(20)의 절입(23)의 폭(슬릿 폭)보다도 얇게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측부(54)는 정극 제1 접속부(20)의 제2 단부(P2)에 설치된 절입(23)에 삽입 가능하다. 즉, 2개의 측부(54, 54)는, 정극 제1 접속부(20)의 제2 단부(P2)에 형성된 분할 중앙부(24) 사이에 삽입 가능하다.
이에 의해, 정극 결합부(50)의 주벽부(52), 외측벽부(53) 및 측부(54)는, 정극 집전체(2)의 제1 접속부(20)의 제2 단부(P2)가 삽입되는 피삽입부(56)를 제3 방향으로 관통한 상태로 형성하고 있다.
볼록부(55)는, 주벽부(52) 및 외측벽부(53)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대하여 부분적으로 설치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볼록부(55)는 외측벽부(53)의 제2면(S4) 위에 설치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볼록부(55)는, 제2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벽부(53)의 중앙부에서 제3 방향의 한쪽측(저부(34)와 대향하는 측)으로 변위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볼록부(55)의 돌출량은, 주벽부(52)와 외측벽부(53)와의 간격보다 작게 설정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볼록부(55)의 돌출량은 주벽부(52)와 외측벽부(53)와의 간격의 1/2 내지 1/3 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볼록부(55)는, 주벽부(52)와 외측벽부(53)와의 사이에 대한 정극 제1 접속부(20)에 있어서의 제2 단부(P2)의 삽입 방향의 반대 방향(덮개(31)와 대향하는 측)을 향해 돌출량이 점점 줄어들도록 형성되어 있다.
다른 쪽 결합부(이하, 부극 결합부라 함)(50)는, 정극 결합부(50)와 동일 형태로 형성된다. 그로 인해, 상기 정극 결합부(50)에 관한 상기 설명문은, 본문 중의 「정극」을 「부극」으로 다르게 읽음으로써, 부극 결합부(50)의 설명문이 된다. 따라서, 정극 결합부(50)에 관한 설명문은, 부극 결합부(50)의 설명에 대용된다.
도 24 및 도 25로 되돌아가서, 가교부(51)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가교부(51)는, 제1 방향에 있어서의 제1 단부(P8)와 제1 방향에 있어서의 제2 단부(P9)를 갖는다. 가교부(51)는, 제2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 한 쌍의 빔부(57, 57)와, 한 쌍의 빔부(57, 57)끼리를 연결하는 복수의 빔 연결부(58), …를 포함한다. 빔부(57)는, 제1 방향으로 길이를 이루어 형성되어 있다. 빔 연결부(58)는, 저부(34)를 향하는 면이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에 비해, 덮개(31)를 향하는 면이 전극체(1)의 외주에 있어서의 원호 부분과 대응하는 원호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빔 연결부(58)는, 빔부(57, 57)의 단부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어 있다.
가교부(51)는, 제1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P7)가 제1 단부(P8) 및 제2 단부(P9)에 대하여 제3 방향의 한쪽측으로 변위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즉, 가교부(51)는, 케이스 본체(30)에 수용된 상태로 제1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P7)를 포함하는 부위가 저부(34)에 지지되고, 가교부(51)의 제1 단부(P8) 및 제2 단부(P9), 정극 결합부(50) 및 부극 결합부(50)가 저부(34)에 대하여 간격을 둔 상태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가교부(51)의 제1 단부(P8)는, 정극 결합부(50)의 주벽부(52)의 제2면(S2)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가교부(51)의 제2 단부(P9)는, 부극 결합부(50)의 주벽부(52)의 제2면(S2)에 접속되어 있다.
스페이서(5)의 전체 길이(L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30)의 제1 벽부(32, 32) 사이의 간격보다도 짧게 설정된다. 이에 대해, 스페이서(5)의 전체 폭(L2)은, 상술한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30)의 제2 벽부(33, 33) 사이의 간격보다도 짧게 설정된다.
상기 구성의 스페이서(5)에 의하면, 정극 결합부(50)의 주벽부(52)와 외측벽부(53)와의 사이에 정극 제1 접속부(20)의 제2 단부(P2)가 삽입됨으로써, 정극 제1 접속부(20)의 제2 단부(P2)가 정극 결합부(50)의 볼록부(55)와 간섭하고, 정극 결합부(50)의 외측벽부(53)가 제1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을 향해 변형(팽출)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부극 결합부(50)의 주벽부(52)와 외측벽부(53)와의 사이에 부극 제1 접속부(20)의 제2 단부(P2)가 삽입됨으로써, 부극 제1 접속부(20)의 제2 단부(P2)가 부극 결합부(50)의 볼록부(55)와 간섭하고, 부극 결합부(50)의 외측벽부(53)가 제1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을 향해 변형(팽출)되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구성의 스페이서(5)의 전체 길이(L1)는, 정극 결합부(50)에 정극 제1 접속부(20)의 제2 단부(P2)가 결합됨과 함께, 부극 결합부(50)에 부극 제1 접속부(20)의 제2 단부(P2)가 결합됨으로써 통상시의 전체 길이(L1)보다도 길어진다. 즉, 스페이서(5)의 전체 길이(L1)는, 케이스 본체(30)의 제1 벽부(32, 32) 사이의 간격 이상으로 변화된다. 이에 의해, 케이스 본체(30) 내에서 정극 결합부(50)의 외측벽부(53)가 케이스 본체(30)의 한쪽 제1 벽부(32)를 외측으로 누르고, 부극 결합부(50)의 외측벽부(53)가 케이스 본체(30)의 다른 쪽 제1 벽부(32)를 외측으로 누른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스페이서(5)는,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극 집전체(2) 및 부극 집전체(2)와 결합되기 전에 케이스 본체(30) 내에 수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스페이서(5)는 전체 길이(L1)가 제1 벽부(32, 32) 사이의 간격보다도 짧고, 또한 전체 폭(L2)이 제2 벽부(33, 33) 사이의 간격보다도 짧다. 이에 의해, 스페이서(5)는 케이스 본체(30)와 간섭하지 않고, 상기 케이스 본체(30) 내에 원활하게 삽입된다. 따라서, 케이스 본체(30) 내의 스페이서(5)는,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벽부(32)와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함과 함께, 제2 벽부(33)와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여 배치된다.
그리고,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31)에 고정된 정극 집전체(2)의 정극 제1 접속부(20)의 제2 단부(P2)가 스페이서(5)의 정극 결합부(50)의 피삽입부(56)에 결합됨과 함께, 덮개(31)에 고정된 부극 집전체(2)의 부극 제1 접속부(20)의 제2 단부(P2)가 스페이서(5)의 부극 결합부(50)의 피삽입부(56)에 결합된다.
이때, 도 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극 제1 접속부(20)의 제2 단부(P2)는 정극 결합부(50)의 볼록부(55)와 간섭하면서 피삽입부(56)에 삽입된다. 즉, 정극 제1 접속부(20)의 제2 단부(P2)는, 볼록부(55)를 제1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으로 누르면서 피삽입부(56) 내에서 진행된다. 그에 의해, 외측벽부(53)는 볼록부(55)로부터 받는 힘에 의해 제1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으로 눌리고, 볼록부(55)와 대응하는 부분이 가장 외측에 위치하도록 변형된다.
또한, 부극 제1 접속부(20)의 제2 단부(P2)는, 부극 결합부(50)의 볼록부(55)와 간섭하면서 피삽입부(56)에 삽입된다. 즉, 부극 제1 접속부(20)의 제2 단부(P2)는, 볼록부(55)를 제1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으로 누르면서 피삽입부(56) 내에서 진행된다. 그에 의해, 외측벽부(53)는 볼록부(55)로부터 받는 힘에 의해 제1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으로 눌리고, 볼록부(55)와 대응하는 부분이 가장 외측에 위치하도록 변형된다.
따라서, 스페이서(5)는, 정극 결합부(50)의 외측벽부(53)와 부극 결합부(50)의 외측벽부(53)가 상반된 방향으로 돌출된 상태가 된다. 이에 의해, 스페이서(5)의 전체 길이(L1)는 상태의 전체 길이(L1)보다도 길어진다. 그러나, 케이스 본체(30)가 강성을 갖기 때문에, 스페이서(5)의 전체 길이(L1)는 케이스 본체(30)의 제1 벽부(32, 32) 사이의 간격과 동일한 길이에 그친다. 즉, 정극 결합부(50)의 외측벽부(53)와 부극 결합부(50)의 외측벽부(53)가 상반된 방향으로 돌출됨으로써, 정극 결합부(50)의 외측벽부(53)가 케이스 본체(30)의 한쪽 제1 벽부(32)를 외측으로 누르고, 부극 결합부(50)의 외측벽부(53)가 케이스 본체(30)의 다른 쪽 제1 벽부(32)를 외측으로 누른다. 이에 의해, 스페이서(5)는,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30)의 제1 벽부(32, 32) 사이에서 지지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덮개(31)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30)의 제1 벽부(32, 32)의 제2 단부(P4, P4) 및 제2 벽부(33, 33)의 제2 단부(P6, P6)에 밀접한 상태로 용접된다. 이에 의해, 정극 집전체(2) 및 부극 집전체(2)는 케이스(3) 내의 소정 위치에 배치되고, 스페이서(5)에 대한 탈락도 방지된다. 따라서, 정극 집전체(2) 및 부극 집전체(2)를 연결한 스페이서(5)는, 케이스 본체(30) 내에 고정된 상태가 된다.
또한, 전극체(1), 정극 집전체(2) 및 부극 집전체(2)는, 전기 절연성이 있는 시트 또는 주머니로 둘러싸인 후 케이스 본체(30)에 삽입된다. 그로 인해, 정극 제1 접속부(20)의 제2 단부(P2) 및 부극 제1 접속부(20)의 제2 단부(P2)는, 전기 절연성이 있는 시트 또는 주머니를 관통해서 스페이서(5)에 결합된다. 스페이서(5)는, 시트 또는 주머니로 둘러싸여 있지 않기 때문에, 정극 결합부(50)의 외측벽부(53) 및 부극 결합부(50)의 외측벽부(53)는 제1 벽부(32)에 직접 접촉된 상태가 된다. 그러나, 스페이서(5)를 케이스 본체(30) 내에 삽입함에 앞서서, 케이스 본체(30) 내에 전기 절연성이 있는 시트 또는 주머니를 삽입해 두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정극 결합부(50)의 외측벽부(53)가 전기 절연성이 있는 시트 또는 주머니를 사이에 끼운 상태로 한쪽의 제1 벽부(32)를 외측으로 누르고, 부극용 결합부(50)의 외측벽부(53)가 전기 절연성이 있는 시트 또는 주머니를 사이에 끼운 상태에서 다른 쪽 제1 벽부(32)를 외측으로 누르게 된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스페이서(5)가 케이스(3) 내에서 고정됨으로써, 정극 집전체(2)의 정극 제1 접속부(20)의 제2 단부(P2) 및 부극 집전체(2)의 부극 제1 접속부(20)의 제2 단부(P2)는, 스페이서(5)를 개재해서 케이스(3)에 고정된 상태가 된다. 이에 의해, 정극 집전체(2) 및 부극 집전체(2)의 흔들림이 규제된다. 또한, 흔들림이 규제된 정극 집전체(2) 및 부극 집전체(2)에 접속된 전극체(1)의 흔들림도 규제된다.
따라서, 전지(Ps)에 대하여 외부로부터 진동이 작용해도, 정극 집전체(2)와 전극체(1)와의 상대적인 배치 및 부극 집전체(2)와 전극체(1)와의 상대적인 배치가 일정 또는 대략 일정한 상태로 유지되게 된다. 그 결과, 정극 집전체(2) 및 부극 집전체(2)에 있어서 덮개(31)에 고정된 제2 접속부(21)나, 상기 제2 접속부(21)와 제1 접속부(20)와의 경계 근방에 굽힘 작용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전극체(1)와 집전체(2)의 제1 접속부(20)와의 접속 부분에 비틀림 등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이에 의해, 전지(Ps)를 진동 환경하에 사용해도 정극 집전체(2)나 부극 집전체(2)나 전극체(1)가 파손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전지(Ps)는, 진동의 영향에 의한 집전체(2)나 전극체(1)의 파손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전지(Ps)에 있어서, 상태에 있어서의 스페이서(5)의 제1 방향 및 제2 방향에 있어서의 크기(성형 크기)가 케이스 본체(30)의 안쪽 치수보다도 작게 설정된다. 이에 의해, 스페이서(5)를 원활하게 케이스 본체(30) 내에 삽입할 수 있다. 따라서, 조립시의 작업 효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전지(Ps)에 의하면, 정극 결합부(50)의 볼록부(55) 및 부극 결합부(50)의 볼록부(55)가 모두 피삽입부(56)에 대한 집전체(2)의 제1 접속부(20)의 삽입 방향의 반대 방향을 향해 돌출량이 점점 줄어들도록 형성된다. 이에 의해, 피삽입부(56)에 대한 집전체(2)의 제1 접속부(20)의 삽입이 용이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3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변경을 가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 스페이서(5)의 피삽입부(56)에 정극 집전체(2) 및 부극 집전체(2)의 각각 제1 접속부(20)의 선단부(분할 중앙부(24))가 삽입됨으로써 정극 집전체(2) 및 부극 집전체(2)에 스페이서(5)가 결합되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정극 집전체(2) 및 부극 집전체(2)의 각각 제1 접속부(20)의 제2 단부(P2) 전체가 스페이서(5)의 피삽입부(56)에 삽입됨으로써, 정극 집전체(2) 및 부극 집전체(2)에 스페이서(5)가 결합되어도 좋다. 이 경우, 제1 접속부(20)의 제2 단부(P2) 전체를 삽입할 수 있도록, 외측벽부(53)의 제1 방향에 있어서의 크기 및 2개의 측부(54, 54)의 간격이 설정된다.
상기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 볼록부(55)는 주벽부(52)를 향해 돌출되도록 하여 외측벽부(53)에 설치되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볼록부(55)는 외측벽부(53)를 향해 돌출되도록 하여 주벽부(52)에 설치되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집전체(2)의 제1 접속부(20)의 제2 단부(P2)가 주벽부(52)와 외측벽부(53)와의 사이에 삽입됨으로써, 제1 접속부(20)의 제2 단부(P2)가 볼록부(55)와 간섭하여 외측벽부(53)측으로 눌린다. 이에 따라, 제1 접속부(20)의 제2 단부(P2)가 외측벽부(53)를 외측으로 눌러서 변형(팽출)시킨다. 따라서, 이 경우에도 상기 제3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외측벽부(53)가 제1 벽부(32)에 눌려서, 스페이서(5)는 케이스 본체(30)의 제1 벽부(32, 32) 사이에서 지지된 상태가 되고, 케이스(3) 내의 소정 위치에서 고정된다.
상기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 볼록부(55)는 정극 결합부(50), 부극 결합부(50) 중 어느 것에서도 외측벽부(53)에 설치되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쪽 볼록부(55)가 외측벽부(53)에 설치되고, 다른 쪽 볼록부(55)가 주벽부(52)에 설치되어도 좋다.
또한, 외측벽부(53)를 외측으로 변형(팽출)시키는 구성은, 볼록부(55)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구성은 다양한 것이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집전체(2)의 제1 접속부(20)의 제2 단부(P2)에 제1 방향에 있어서의 두께가 증대된 두께 증대부를 설치함으로써, 외측벽부(53)를 외측으로 변형(팽출)시키도록 해도 좋다.
상기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정극 결합부(50)와 부극 결합부(50)가 동일 형태로 형성되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정극 결합부(50) 또는 부극 결합부(50) 중 한쪽만이 변형부로서의 외측벽부(53)가 집전체(2)의 제1 접속부(20)와의 협동에 의해 팽출되는 구성이 되어 있으며, 다른 쪽은 변형부를 갖고 있지 않아도 좋다.
상기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정극 결합부(50) 및 부극 결합부(50)는 스페이서(5)의 양단부에 설치되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적어도 한쪽의 결합부(50)가 스페이서(5)의 단부보다도 중앙부측에 편위된 개소에 설치되어도 좋다.
상기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 스페이서(5)의 결합부(50)가 주벽부(52), 외측벽부(53) 및 한 쌍의 측부(54, 54)에 의해 구성되고, 이것들이 제3 방향으로 관통한 피삽입부(56)를 형성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스페이서(5)의 결합부(50)는, 주벽부(52), 외측벽부(53) 및 한 쌍의 측부(54, 54) 뿐만 아니라, 피삽입부(56)의 한쪽 개구부를 폐쇄하는 폐색부를 구비해도 좋다. 즉, 피삽입부(56)는 비관통 상태의 구멍이어도 좋다.
상기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 변형부가 집전체와의 협동에 의해 팽출되는 방법으로서, 변형부와 집전체가 간섭하는 구성을 나타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집전체와 케이스와의 사이의 절연을 유지하기 위해 집전체의 일부에 절연 부재를 접속하는 경우, 그 절연 부재와 변형부가 간섭함으로써 변형부가 팽출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제4 실시 형태>
스페이서(5)는, 전기 절연성을 구비한 합성 수지 성형품이다. 스페이서(5)는, 도 33 및 도 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이 한 쌍의 집전체(2, 2) 중 대응하는 집전체(2)의 제1 접속부(20)의 제2 단부(P2)에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부(50, 50)와,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한 쌍의 결합부(50, 50)를 연결하는 가교부(51)를 구비한다.
어느 하나의 결합부(50)는, 한 쌍의 집전체(2, 2) 중 대응하는 집전체(2)의 제1 접속부(20)의 제2 단부(P2)에만 결합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한쪽 결합부(이하, 정극 결합부라 함)(50)는, 정극 집전체(2)의 제1 접속부(20)의 제2 단부(P2)에만 결합 가능하고, 다른 쪽 결합부(이하, 부극 결합부라 함)(50)는 부극 집전체(2)의 제1 접속부(20)의 제2 단부(P2)에만 결합 가능하다.
정극 결합부(50)는, 도 35 및 도 3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교부(51)에 연결된 주벽부(52)와, 상기 주벽부(52)로부터 제1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측부(54)를 구비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정극 결합부(50)는 가교부(51)에 연결된 주벽부(52)와, 상기 주벽부(52)로부터 제1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측부(54)와, 주벽부(52)에 대하여 간격(W3)을 두고 제1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에서 대향하는 외측벽부(53)를 구비한다.
주벽부(52)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주벽부(52)는, 제1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을 향하는 제1면(S1)과, 제1면(S1)의 반대측의 제2면(S2)을 갖고 있다.
측부(54)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측부(54)는, 제1 단부(번호 붙이지 않음)와 상기 제1 단부의 반대측의 제2 단부(번호 붙이지 않음)를 갖는다.측부(54)는, 제3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측부(54)는, 주벽부(52)와 외측벽부(53)를 연결하고 있다. 즉, 측부(54)의 제1 단부가 주벽부(52)의 제1면(S1)에 연결되고, 상기 측부(54)의 제2 단부가 외측벽부(53)의 후술하는 제2면(S4)에 연결되어 있다.
측부(54)는, 정극 제1 접속부(20)의 제2 단부(P2)에 설치된 끼워 맞춤부(23)의 배치에 대응하도록 설치된다. 측부(54)는, 제2 방향으로 간격(W1)을 두고 2개 설치되어 있다. 측부(54)는, 정극 제1 접속부(20)의 제2 단부(P2)에 설치된 끼워 맞춤부(23)의 배치에 대응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2개의 측부(54, 54)는, 가교부(51)의 긴 방향으로 연장된 중심선을 기준으로 해서 제2 방향의 배분 위치(중심선의 양측의 위치이며, 상기 중심선으로부터 동일한 거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측부(54)의 제2 방향에 있어서의 두께는, 정극 제1 접속부(20)의 끼워 맞춤부(23)의 폭보다도 얇게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측부(54)는, 정극 제1 접속부(20)의 제2 단부(P2)에 설치된 끼워 맞춤부(23)와 끼워 맞춤 가능하다. 즉, 2개의 측부(54, 54)는, 정극 제1 접속부(20)의 제2 단부(P2)에 형성된 분할 중앙부(24) 사이에 삽입 가능하다.
외측벽부(53)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외측벽부(53)는, 제1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을 향하는 제1면(S3)과, 제1면(S3)의 반대측의 제2면(S4)을 갖고 있다. 외측벽부(53)는, 주벽부(52)에 대하여 정극 집전체(2)의 정극 제1 접속부(20)의 두께 이상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제2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벽부(53)의 양단부에는, 각각 측부(54)가 연결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정극 결합부(50)의 주벽부(52), 외측벽부(53) 및 2개의 측부(54, 54)는, 정극 집전체(2)의 제1 접속부(20)의 제2 단부(P2)의 분할 중앙부(24)가 삽입되는 피삽입부(56)를 제3 방향으로 관통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부극 결합부(50)(도 37 및 도 38 참조)는, 정극 결합부(50)(도 35 및 도 36 참조)와 기본 형태가 공통되어 있다. 그로 인해, 상기 정극 결합부(50)에 관한 상기 설명문은, 본문 중의 「정극」을 「부극」으로 다르게 읽음으로써, 부극 결합부(50)의 설명문이 된다. 따라서, 정극 결합부(50)에 관한 설명문은, 부극 결합부(50)의 설명에 대용된다. 이에 따라, 여기서는 부극 집전체(2)의 정극 집전체(2)와 상이한 점에 대해서 설명한다.
부극 결합부(50)의 측부(54)는, 정극 결합부(50)의 측부(54)에 대하여 제3 방향을 향해 연장된 가상 축선을 기준(회전 중심)으로 해서 비대칭인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즉, 정극 결합부(50)의 측부(54)와 부극 결합부(50)의 측부(54)는, 제3 방향을 향해 연장된 가상 축선을 기준(회전 중심)으로 해서 비대칭인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부극 결합부(50)의 측부(54)는, 제2 방향으로 간격(W2)을 두고 2개 설치되어 있다. 부극 결합부(50)의 2개의 측부(54, 54)끼리의 간격(W2)은, 정극 결합부(50)의 2개의 측부(54, 54)끼리의 간격(W1)과 상이하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부극 결합부(50)의 2개의 측부(54, 54)끼리의 간격(W2)은, 정극 결합부(50)의 2개의 측부(54, 54)끼리의 간격(W1)보다도 넓다.
그리고, 부극 결합부(50)에 있어서도, 외측벽부(53)는 결합되는 집전체(2)의 두께에 대응하는 간격을 두고 주벽부(52)와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부극 집전체(2)의 두께가 정극 집전체(2)보다도 얇게 설정되기 때문에, 부극 결합부(50)의 주벽부(52)와 외측벽부(53)와의 간격(W4)은, 정극 결합부(50)의 주 벽부(52)와 외측벽부(53)와의 간격(W3)보다도 좁다. 이에 의해, 부극 결합부(50)의 주벽부(52), 외측벽부(53) 및 2개의 측부(54, 54)는, 부극 집전체(2)의 제1 접속부(20)의 제2 단부(P2)의 분할 중앙부(24)가 삽입되는 피삽입부(56)를 제3 방향으로 관통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도 33 및 도 34로 되돌아가서, 가교부(51)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가교부(51)는, 제1 방향에 있어서의 제1 단부(P8)와 제1 방향에 있어서의 제2 단부(P9)를 갖는다. 가교부(51)는, 제2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 한 쌍의 빔부(57, 57)와, 한 쌍의 빔부(57, 57)끼리를 연결하는 복수의 빔 연결부(58), …를 포함한다. 빔부(57)는, 제1 방향으로 길이를 이루어 형성되어 있다. 빔 연결부(58)는, 저부(34)를 향하는 면이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에 비해, 덮개(31)를 향하는 면이 전극체(1)의 외주에 있어서의 원호 부분과 대응하는 원호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빔 연결부(58)는, 빔부(57, 57)의 단부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어 있다.
가교부(51)는, 제1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P7)가 제1 단부(P8) 및 제2 단부(P9)에 대하여 제3 방향의 한쪽측(저부(34)와 대향하는 측)으로 변위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가교부(51)는, 케이스 본체(30)에 수용된 상태로 제1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P7)를 포함하는 부위가 저부(34)에 지지되고, 가교부(51)의 제1 단부(P8) 및 제2 단부(P9), 정극 결합부(50) 및 부극 결합부(50)가 저부(34)에 대하여 간격을 둔 상태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가교부(51)의 제1 단부(P8)는, 정극 결합부(50)의 주벽부(52)의 제2면(S2)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가교부(51)의 제2 단부(P9)는, 부극 결합부(50)의 주벽부(52)의 제2면(S2)에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전지(Ps)는 이상과 같다. 계속해서, 이러한 전지(Ps)의 조립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각 구성의 배치를 명확히 하기 위해, 편의상, 도 39 내지 도 40에 있어서 정극 제1 접속부(20) 및 정극 결합부(50)의 부호 20, 50 앞에 +(플러스) 기호를 붙이고, 부극 제1 접속부(20) 및 부극 결합부(50)의 부호 20, 50 앞에 -(마이너스) 기호를 붙였다.
우선, 도 39 내지 도 4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31)에 고정된 정극 집전체(2)의 정극 제1 접속부(20)의 제2 단부(P2)가 정극 결합부(50)의 피삽입부(56)에 결합됨과 함께, 덮개(31)에 고정된 부극 집전체(2)의 부극 제1 접속부(20)의 제2 단부(P2)가 부극 결합부(50)의 피삽입부(56)에 결합된다. 즉, 정극 제1 접속부(20)의 제2 단부(P2)의 분할 중앙부(24)가 정극 결합부(50)의 주벽부(52)와 외측벽부(53)와의 사이에 삽입됨과 함께, 부극 제1 접속부(20)의 제2 단부(P2)의 분할 중앙부(24)가 부극 결합부(50)의 주벽부(52)와 외측벽부(53)와의 사이에 삽입된다.
이때, 부극 제1 접속부(20)의 제2 단부(P2)의 배치가 정극 결합부(50)와 대응하고, 또한 정극 제1 접속부(20)의 제2 단부(P2)의 배치가 부극 결합부(50)와 대응하는 상태로 스페이서(5)가 배치되어 있으면, 부극 집전체(2)의 끼워 맞춤부(23, 23)와 정극 결합부(50)의 측부(54, 54)와의 배치가 일치하지 않는 상태(서로 끼워 맞출 수 없는 상태)가 된다(도 39의 이점 쇄선 참조). 또한, 정극 집전체(2)의 끼워 맞춤부(23, 23)와 부극 결합부(50)의 측부(54, 54)와의 배치에 대해서도, 일치하지 않는 상태(서로 끼워 맞출 수 없는 배치)가 된다(도 41의 이점 쇄선 참조). 따라서, 전지의 조립시에 스페이서(5)가 잘못된 배치가 되어도, 스페이서(5)가 정극 집전체(2) 및 부극 집전체(2)에 결합되는(조립되는) 경우가 없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정극 결합부(50) 및 부극 결합부(50)에 있어서, 주벽부(52)와 외측벽부(53)와의 간격이 집전체(2)의 두께(금속 플레이트의 두께)에 대응하고 있다. 그로 인해, 두께가 얇은 집전체(2)를 대상으로 하는 결합부(본 실시 형태에서는 부극 결합부(50))에 있어서, 측부(54)와 끼워 맞춤부(23)와의 배치가 불일치할 뿐만 아니라, 주벽부(52)와 외측벽부(53)와의 간격과, 집전체(2)의 두께와의 불일치에 의해서도 결합부(50)와 집전체(2)와의 결합이 방지된다(도 42의 이점 쇄선 참조).
그리고, 스페이서(5)의 배치가 잘못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3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 축선 주위에서 스페이서(5)가 180도 회전됨으로써, 정극 결합부(50)와 정극 제1 접속부(20)의 제2 단부(P2)와의 배치가 대응함과 함께, 부극 결합부(50)와 부극 제1 접속부(20)의 제2 단부(P2)와의 배치가 대응하는 상태가 된다. 즉, 정극 결합부(50)의 측부(54)와 정극 제1 접속부(20)의 끼워 맞춤부(23)가 끼워 맞춤 가능해짐과 함께, 부극 결합부(50)의 측부(54)와 부극 제1 접속부(20)의 끼워 맞춤부(23)가 끼워 맞춤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스페이서(5)가 정극 집전체(2) 및 부극 집전체(2)에 결합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정극 결합부(50)의 측부(54)와 정극 제1 접속부(20)의 끼워 맞춤부(23)가 끼워 맞추어지면, 정극 제1 접속부(20)의 제2 단부(P2)의 분할 중앙부(24)가 정극 결합부(50)의 주벽부(52)를 따른 상태가 된다. 즉, 정극 제1 접속부(20)의 제2 단부(P2)의 분할 중앙부(24)가 정극 결합부(50)의 주벽부(52)와 외측벽부(53)와의 사이에 삽입된 상태가 된다. 또한, 주벽부(52)와 외측벽부(53)와의 간격이 정극 제1 접속부(20)의 두께에 대응하고 있기 때문에, 정극 제1 접속부(20)의 제2 단부(P2)의 분할 중앙부(24)는, 주벽부(52)와 외측벽부(53)에 대략 밀접한 상태가 된다. 이에 의해, 정극 결합부(50)와 정극 집전체(2)와의 결합이 확실해진다.
또한, 부극 결합부(50)의 측부(54)와 부극 제1 접속부(20)의 끼워 맞춤부(23)가 끼워 맞추어지면, 부극 제1 접속부(20)의 제2 단부(P2)의 분할 중앙부(24)가 부극 결합부(50)의 주벽부(52)를 따른 상태가 된다. 즉, 부극 제1 접속부(20)의 제2 단부(P2)의 분할 중앙부(24)가 부극 결합부(50)의 주벽부(52)와 외측벽부(53)와의 사이에 삽입된 상태가 된다. 또한, 주벽부(52)와 외측벽부(53)와의 간격이 부극 제1 접속부(20)의 두께에 대응하고 있기 때문에, 부극 제1 접속부(20)의 제2 단부(P2)의 분할 중앙부(24)는, 주벽부(52)와 외측벽부(53)에 대략 밀접한 상태가 된다. 이에 의해, 부극 결합부(50)와 부극 집전체(2)와의 결합이 확실해진다.
그리고,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페이서(5)가 정극 집전체(2) 및 부극 집전체(2)에 결합된 후, 스페이서(5), 정극 집전체(2), 부극 집전체(2) 및 전극체(1)가 케이스 본체(30) 내에 수용된다. 그리고, 덮개(31)가 케이스 본체(30)의 제1 벽부(32, 32)의 제2 단부(P4, P4) 및 제2 벽부(33, 33)의 제2 단부(P6, P6)에 밀접한 상태로 용접된다. 또한, 특별히 언급하지 않았지만, 스페이서(5)는, 케이스 본체(30) 내에서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제1 벽부(32, 32) 및 제2 벽부(33, 3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전지(Ps)는, 정극 집전체(2)의 정극 제1 접속부(20)의 제2 단부(P2) 및 부극 집전체(2)의 부극 제1 접속부(20)의 제2 단부(P2)가 케이스(3) 내에서 스페이서(5)에 개재해서 연결된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정극 제1 접속부(20)가 스페이서(5)를 개재해서 부극 제1 접속부(20)를 구속함과 함께, 부극 제1 접속부(20)가 스페이서(5)를 개재해서 정극 제1 접속부(20)를 구속한다. 이에 의해, 정극 집전체(2) 및 부극 집전체(2)의 흔들림이 규제된다. 또한, 흔들림이 규제된 정극 집전체(2) 및 부극 집전체(2)에 접속된 전극체(1)의 흔들림도 규제된다.
따라서, 전지(Ps)에 대하여 외부로부터 진동이 작용해도, 정극 집전체(2)와 전극체(1)와의 상대적인 배치 및 부극 집전체(2)와 전극체(1)와의 상대적인 배치가 일정 또는 대략 일정한 상태로 유지되게 된다. 그 결과, 정극 집전체(2) 및 부극 집전체(2)에 있어서 덮개(31)에 고정된 제2 접속부(21)나, 상기 제2 접속부(21)와 제1 접속부(20)와의 경계 근방에 굽힘 작용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전극체(1)와 집전체(2)의 제1 접속부(20)와의 접속 부분에 비틀림 등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이에 의해, 전지(Ps)를 진동 환경하에 사용해도 정극 집전체(2)나 부극 집전체(2)나 전극체(1)가 파손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전지(Ps)는, 진동의 영향에 의한 집전체(2)나 전극체(1)의 파손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전지(Ps)에 있어서, 스페이서(5)가 잘못된 배치나 형태로 정극 집전체(2) 및 부극 집전체(2)에 결합되는 경우가 없다. 따라서, 스페이서(5)가 적정하게 배치된 전지(Ps)를 조립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전지(Ps)는, 집전체(2)와 결합부(50)를 결합할 수 없는 경우, 스페이서(5)를 제3 방향을 향해 연장된 가상 축선을 기준으로 해서 180도 회전시키는 것만으로도 집전체(2)의 제1 접속부(20)의 제2 단부(P2)의 끼워 맞춤부(23)와, 결합부(50)의 측부(54)가 끼워 맞춤 가능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구성의 전지(Ps)가 조립될 때 스페이서(5)의 배치의 적절함이 확인되어, 스페이서(5)가 잘못된 배치일 때에 신속하면서도 간단하게 배치가 수정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전지(Ps)는, 집전체(2)의 제1 접속부(20)의 제2 단부(P2)를 결합부(50)에 결합했을 때 측부(54)와 끼워 맞춤부(23)와 끼워 맞춘 상태로 주벽부(52)와 외측벽부(53)와의 사이에 제1 접속부(20)의 제2 단부(P2)의 분할 중앙부(24)가 개재한다. 이에 의해, 정극 집전체(2)의 정극 제1 접속부(20) 및 부극 집전체(2)의 부극 제1 접속부(20)가 외측을 향해 이동하는 것이 규제된다. 따라서, 상기 전지(Ps)는, 정극 집전체(2) 및 부극 집전체(2)에 대하여 스페이서(5)를 적정한 상태로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정극 결합부(50) 및 부극 결합부(50) 각각은, 제2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2개의 측부(54, 54)를 구비한다. 따라서, 정극 집전체(2) 및 부극 집전체(2)의 제1 접속부(20)의 제2 단부(P2)에도 2개의 측부(54, 54)의 배치에 대응해서 2개의 끼워 맞춤부(23, 23)가 형성된다. 따라서, 정극 제1 접속부(20)의 제2 단부(P2)를 정극 결합부(50)에 결합한 상태에서, 정극 제1 접속부(20)의 제2 단부(P2)에 있어서의 2개의 끼워 맞춤부(23, 23) 사이에 있는 영역(분할 중앙부(24))이 정극 결합부(50)의 2개의 측부(54, 54), 주벽부(52) 및 외측벽부(53)에 의해 포위된 상태가 된다. 또한, 부극 제1 접속부(20)의 제2 단부(P2)를 부극 결합부(50)에 결합한 상태에서, 부극 제1 접속부(20)의 제2 단부(P2)에 있어서의 2개의 끼워 맞춤부(23, 23) 사이에 있는 영역(분할 중앙부(24))이 부극 결합부(50)의 2개의 측부(54, 54), 주벽부(52) 및 외측벽부(53)에 의해 포위된 상태가 된다. 이에 의해, 정극 집전체(2)와 정극 결합부(50)와의 결합 및 부극 집전체(2)와 부극 결합부(50)와의 결합이 확실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4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변경을 가할 수 있다는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정극 결합부(50)의 측부(54)와 부극 결합부(50)의 측부(54)와의 배치가 회전 비대칭의 위치로 설정됨으로써, 정극 제1 접속부(20)의 끼워 맞춤부(23)를 정극 결합부(50)의 측부(54)에만 끼워 맞출 수 있음과 함께, 부극 제1 접속부(20)의 끼워 맞춤부(23)를 부극 결합부(50)의 측부(54)에만 끼워 맞출 수 있도록 구성되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제4 실시 형태와 같이 정극 집전체(2)의 두께와 부극 집전체(2)의 두께가 상이한 경우, 정극 결합부(50) 및 부극 결합부(50)에 있어서 주벽부(52)와 외측벽부(53)와의 간격이 결합되는 집전체(2)의 제1 접속부(20)의 제2 단부(P2)의 두께에 대응하도록 설정되어, 상기 제1 접속부(20)의 제2 단부(P2) 전체가 주벽부(52)와 외측벽부(53)와의 사이에 삽입되어도 좋다. 이 경우, 두께가 두꺼운 집전체(2)를 대상으로 하는 결합부(50)의 주벽부(52)와 외측벽부(53)와의 사이에 두께가 얇은 집전체(2)의 제1 접속부(20)의 제2 단부(P2)가 삽입될 수 있는 상태가 되지만, 두께가 얇은 집전체(2)를 대상으로 하는 결합부(50)의 주벽부(52)와 외측벽부(53)와의 사이에는, 두께가 두꺼운 집전체(2)의 제1 접속부(20)의 제2 단부(P2)가 삽입되지 않는다. 따라서, 스페이서(5)가 잘못된 배치가 된 경우, 정극 집전체(2) 및 부극 집전체(2)에 스페이서(5)가 결합되지 않는다.
상기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정극 결합부(50) 및 부극 결합부(50) 각각에 2개의 측부(54, 54)가 설치되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정극 결합부(50) 및 부극 결합부(50) 각각에 측부(54)가 설치되는 경우, 측부(54)는 적어도 하나 설치되면 좋다. 또한, 정극 결합부(50)의 측부(54)의 수와 부극 결합부(50)의 측부(54)의 수가 동일한 수일 필요는 없다.
이와 같이 정극 결합부(50) 및 부극 결합부(50)에 측부(54)가 설치되는 경우, 정극 집전체(2)의 끼워 맞춤부(23)의 수 및 배치는 정극 결합부(50)의 측부(54)의 수와 배치에 대응하고, 부극 집전체(2)의 끼워 맞춤부(23)의 수 및 배치는 부극 결합부(50)의 측부(54)의 수와 배치에 대응하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정극 결합부(50)의 측부(54)와 부극 결합부(50)의 측부(54)가 회전 비대칭으로 배치되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회전 비대칭」이란, 정극 결합부(50) 및 부극 결합부(50) 각각의 측부(54)(배치 및 수) 전체를 의도한 개념이며, 예를 들어 정극 결합부(50)의 측부(54)의 수와 부극 결합부(50)의 측부(54)의 수가 상이한 경우, 정극 결합부(50) 또는 부극 결합부(50) 중 어느 한쪽 측부(54)의 일부가 다른 쪽 측부(54)의 일부 또는 전체와 회전 비대칭이며, 다른 쪽 측부(54, 54)끼리가 회전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한다.
상기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정극 결합부(50) 및 부극 결합부(50)가 주벽부(52), 측부(54) 및 외측벽부(53)로 구성되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정극 결합부(50) 및 부극 결합부(50)는, 주벽부(52) 및 측부(54)로 구성되어도 좋다. 이 경우, 결합부(50)의 측부(54)와 집전체(2)의 끼워 맞춤부(23)와의 끼워 맞춤으로 결합부(50)와 집전체(2)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정극 결합부(50) 및 부극 결합부(50)의 측부(54)가 제3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이것을 전제로, 정극 제1 접속부(20) 및 부극 제1 접속부(20)의 제2 단부(P2)에 제3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 형상의 끼워 맞춤부(23)가 설치되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정극 결합부(50) 및 부극 결합부(50)의 측부(54)가 돌기 형상으로 형성되고, 정극 제1 접속부(20) 및 부극 제1 접속부(20)의 제2 단부(P2)에 측부(54)와 끼워 맞춤 가능한 슬릿 형상 혹은 구멍 형상의 끼워 맞춤부(23)가 설치되어도 좋다. 또한, 정극 결합부(50) 및 부극 결합부(50)의 주벽부(52)의 제2면(S2) 위에 구멍 또는 슬릿이 설치되고, 정극 제1 접속부(20) 및 부극 제1 접속부(20)의 제2 단부(P2)에 정극 결합부(50) 및 부극 결합부(50)의 구멍 또는 슬릿의 끼워 맞춤 가능한 볼록부가 설치되어도 좋다. 이와 같이 해도, 구멍 또는 슬릿에 대하여 볼록부의 배치가 일치하지 않으면 결합부(50)와 집전체(2)의 결합을 행할 수 없기 때문에, 스페이서가 잘못되어 조립되는 경우가 없다. 또한, 구멍에 대하여 볼록부를 끼워 맞추는 경우, 결합부(50)에 외측벽부(53)를 설치하지 않거나, 혹은 주벽부(52)와 외측벽부(53)와의 간격을 집전체(2)(제1 접속부(20))의 두께보다도 넓게 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정극 결합부(50) 및 부극 결합부(50)가 주벽부(52), 외측벽부(53) 및 한 쌍의 측부(54, 54)에 의해 구성되고, 이것들이 제3 방향으로 관통한 피삽입부(56)를 형성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스페이서(5)의 결합부(50)는 주벽부(52), 외측벽부(53) 및 한 쌍의 측부(54, 54) 뿐만 아니라, 피삽입부(56)의 케이스 본체(30)의 저부(34)를 폐쇄하는 폐색부를 구비해도 좋다. 즉, 피삽입부(56)는, 비관통 상태로 형성되어도 좋다.
<제5 실시 형태>
스페이서(5)는, 전기 절연성을 구비한 합성 수지 성형품이다. 스페이서(5)는, 도 43 내지 도 4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이 한 쌍의 집전체(2, 2) 중 대응하는 집전체(2)의 제1 접속부(20)의 제2 단부(P2)에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부(50, 50)와,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한 쌍의 결합부(50, 50)를 연결하는 가교부(51)를 구비한다.
스페이서(5)의 전체 길이(제1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L1)는, 케이스 본체(30)의 제1 벽부(32, 32) 사이의 간격보다도 짧은 길이로 설정되어 있다. 스페이서(5)의 전체 폭(제2 방향에 있어서의 폭)(L2)은, 케이스 본체(30)의 제2 벽부(33, 33) 사이의 간격보다도 짧은 길이로 설정되어 있다.
한쪽의 결합부(이하, 정극 결합부라 함)(50)는, 도 43 내지 도 4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교부(51)에 연결된 주벽부(52)와, 상기 주벽부(52)와 제1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제1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에서 대향하는 외측벽부(53)와, 제2 방향으로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 쌍의 측부(54, 54)이며, 주벽부(52)와 외측벽부(53)를 연결하는 한 쌍의 측부(54, 54)를 구비한다. 2개의 측부(54, 54)는, 정극 제1 접속부(20)의 제2 단부(P2)에 설치된 2개의 절입(23, 23)의 배치에 대응하고 있다. 측부(54, 54)는, 절입(23, 23)을 제3 방향으로부터 끼워 맞춤 가능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정극 결합부(50)에 있어서, 주벽부(52), 외측벽부(53) 및 2개의 측부(54, 54)가 정극 집전체(2)의 제1 접속부(20)의 제2 단부(P2)(분할 중앙부(24))를 삽입 가능한 피삽입부(56)를 형성하고 있다.
다른 쪽 결합부(이하, 부극 결합부라 함)(50)는, 정극 결합부(50)와 동일 형태로 형성된다. 그로 인해, 상기 정극 결합부(50)에 관한 상기 설명문은, 본문 중의 「정극」을 「부극」으로 다르게 읽음으로써, 부극 결합부(50)의 설명문이 된다. 따라서, 정극 결합부(50)에 관한 설명문은, 부극 결합부(50)의 설명에 대용된다.
가교부(51)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에 따라, 가교부(51)는, 제1 단부(P8)와, 제1 단부(P8)의 반대측의 제2 단부(P9)와, 제1 단부(P8)와 제2 단부(P9)와의 사이의 중앙부(P7)를 제1 방향에 갖는다. 가교부(51)는, 제1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P7)가 제1 단부(P8) 및 제2 단부(P9)에 대하여 제3 방향의 한쪽측으로 변위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가교부(51)는,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 쌍의 빔부(57, 57)와, 한 쌍의 빔부(57, 57)를 서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빔 연결부(58)를 구비한다.
한 쌍의 빔부(57, 57)는, 제2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빔부(57)는 제1 방향에 제1 단부와, 상기 제1 단부의 반대측의 제2 단부와, 제1 단부와 제2 단부와의 사이의 중간부를 갖는다. 빔부(57)의 제1 단부는 가교부(51)의 제1 단부(P8)이고, 빔부(57)의 제2 단부는 가교부(51)의 제2 단부(P9)이고, 빔부(57)의 중앙부는 가교부(51)의 중앙부(P7)이다. 빔부(57)의 제1 단부(P8)는 정극 결합부(50)에 접속되고, 빔부(57)의 제2 단부(P9)는 부극 결합부(50)가 접속되어 있다.
빔부(57)의 제3 방향의 길이는, 상기 빔부(57)의 제1 방향의 길이보다도 짧게 설정되어 있는 빔부(57)는 제2 방향에서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있다. 빔부(57)는, 제1 방향으로 길이를 이루어 제3 방향으로 기립된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에 의해, 빔부(57)는 단면 계수가 높아져 제3 방향에 있어서의 굽힘 강도가 높아지고 있다.
빔부(57)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단부 테두리(E1)이며, 케이스(3)의 저부(34)측에 배치되는 제1 단부 테두리(E1)와,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단부 테두리(E2)이고, 제1 단부 테두리(E1)의 반대측의 제2 단부 테두리(E2)를 제3 방향에 갖는다. 제1 단부 테두리(E1)는, 중앙부(P7)를 포함하는 직선부(E1a)와, 직선부(E1a)로부터 제1 단부(P8)에 걸쳐서 연장되는 제1 경사부(E1b)와, 직선부(E1a)로부터 제2 단부(P9)에 걸쳐서 연장되는 제2 경사부(E1c)를 포함한다. 제1 경사부(E1b)는, 제1 단부(P8)를 향함에 따라 제2 단부 테두리(E2)측으로 경사져 있다. 제2 경사부(E1c)는, 제2 단부(P9)를 향함에 따라 제2 단부 테두리(E2)측에 경사져 있다. 이에 의해, 스페이서(5)가 케이스(3) 내에 수용된 상태로 빔부(57)의 직선부(E1a)가 저부(34)에 접하는 한편, 제1 경사부(E1b) 및 제2 경사부(E1c)가 저부(34)로부터 이격된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결합부(50, 50)도 저부(34)로부터 이격된 상태가 된다.
빔 연결부(58)는 복수 설치되고, 제1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이에 의해, 제3 방향으로 관통한 개방부(H)가 형성되어 있다. 빔 연결부(58)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에 따라, 빔 연결부(58)는 제2 방향에 제1 단부(P10)와, 제1 단부(P10)의 반대측의 제2 단부(P11)와, 제1 단부(P10)와 제2 단부(P11)와의 사이의 중앙부(P12)를 갖는다. 빔 연결부(58)는, 도 4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3)의 저부(34)와 대향하는 제1면(S1)과, 제1면(S1)의 반대측의 제2면(S2)을 제3 방향에 갖는다. 그리고, 빔 연결부(58)의 제2면(S2)은, 전극체(1)의 원호부(17)의 외주 형상에 대응하여 오목 형상의 원호면으로 결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스페이서(5)는, 한 쌍의 집전체(2, 2)의 제1 접속부(20, 20)끼리를 연결한 상태로 한 쌍의 집전체(2, 2)의 한쪽의 원호부(17)와의 간섭을 피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전지(Ps)는, 정극 집전체(2)의 정극 제1 접속부(20)의 제2 단부(P2) 및 부극 집전체(2)의 부극 제1 접속부(20)의 제2 단부(P2)가 케이스(3) 내에서 스페이서(5)에 개재해서 연결된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정극 제1 접속부(20)가 스페이서(5)를 개재해서 부극 제1 접속부(20)를 구속함과 함께, 부극 제1 접속부(20)가 스페이서(5)를 개재해서 정극 제1 접속부(20)를 구속한다. 이에 의해, 정극 집전체(2) 및 부극 집전체(2)의 흔들림이 규제된다. 또한, 흔들림이 규제된 정극 집전체(2) 및 부극 집전체(2)에 접속된 전극체(1)의 흔들림도 규제된다.
따라서, 전지(Ps)에 대하여 외부로부터 진동이 작용해도, 정극 집전체(2)와 전극체(1)와의 상대적인 배치 및 부극 집전체(2)와 전극체(1)와의 상대적인 배치가 일정 또는 대략 일정한 상태로 유지되게 된다. 그 결과, 정극 집전체(2) 및 부극 집전체(2)에 있어서 덮개(31)에 고정된 제2 접속부(21)나, 상기 제2 접속부(21)와 제1 접속부(20)와의 경계 근방에 굽힘 작용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전극체(1)와 집전체(2)의 제1 접속부(20)와의 접속 부분에 비틀림 등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이에 의해, 전지(Ps)를 진동 환경하에 사용해도, 정극 집전체(2)나 부극 집전체(2)나, 전극체(1)가 파손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전지(Ps)는, 진동의 영향에 의한 집전체(2)나 전극체(1)의 파손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그리고, 가교부(51)의 한 쌍의 빔부(57, 57) 사이에 제3 방향으로 관통한 개방부(H)가 형성되고, 스페이서(5) 전체가 경량화된다. 이에 의해, 전지(Ps) 전체가 중량화되지 않고, 집전체(2)나 전극체(1)의 파손이 방지된다.
또한, 빔부(57, 57)끼리 빔 연결부(58)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가교부(51)의 강성이 높아지고, 가교부(51)의 변형이 방지된다. 특히, 빔부(57, 57)끼리 복수의 빔 연결부(58), …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가교부(51)의 강성이 보다 높아지고, 가교부(51)의 변형이 보다 확실하게 방지된다. 이에 의해, 집전체(2)의 제1 접속부(20)가 확실하게 구속되어, 집전체(2)나 전극체(1)의 파손이 보다 확실하게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5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변경을 가할 수 있다는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 빔 연결부(58)가 복수 설치되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빔 연결부(58)는 하나뿐이어도 좋다.
상기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 빔 연결부(58)는 제2 방향으로 곧게 연장되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빔 연결부(58)는, 도 4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빔부(57)에 대하여 경사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빔 연결부(58)는, 빔부(57)에 대하여 예각 또는 둔각을 이루는 방향 중 어느 쪽이어도 좋다. 그리고, 빔 연결부(58)가 복수 설치되는 경우, 각각의 빔 연결부(58)가 동일 방향으로 연장될 필요는 없으며, 상이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인접하는 빔 연결부(58, 58)끼리 교차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해도, 빔 연결부(58)를 끼우도록 해서 제3 방향으로 관통한 개방부(H)가 형성되고, 스페이서(5)가 경량화되어, 결과적으로 전지(축전 소자) 전체가 경량화된다.
상기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 각각의 빔 연결부(58)가 빔부(57)에만 연결되어 서로 평행 또는 대략 평행해지도록 배치되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빔 연결부(58), …가 설치되는 경우, 도 4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빔부(57, 57) 사이에서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보조 빔부(59)가 설치되고, 복수의 빔 연결부(58), …가 보조 빔부(59)를 개재해서 서로 연결되어도 좋다. 빔 연결부(58)는 한 쌍의 빔부(57, 57)를 연결하면서, 그 양측에 제3 방향으로 관통한 개방부(H)가 형성되는 형태이면 다양한 변경 가능하다.
<제6 실시 형태>
제6 실시 형태에 관한 전지(Ps)는, 상기 각 실시 형태와 동일한 기본 구성을 갖고 있다. 제6 실시 형태에 관한 전지(Ps)가 상이한 점은, 스페이서(5)의 구조이다. 도 4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페이서(5)는 상기 각 실시 형태와 달리 한 쌍의 결합부(50, 50)를 갖고 있지 않다. 그로 인해, 스페이서(5)는, 한 쌍의 집전체(2, 2)를 연결하는 것이 아니다. 스페이서(5)는, 한 쌍의 집전체(2, 2)의 제1 접속부(20, 20)의 제2 단부(P2, P2) 사이에 배치되는, 예를 들어 수지제의 판재이다. 그로 인해, 스페이서(5)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제1 단부(P8)는, 정극 집전체(2)의 제2 단부(P2)의 내면에 접촉 내지 근접하고 있다. 또한, 스페이서(5)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제2 단부(P9)는, 부극 집전체(2)의 제2 단부(P2)의 내면에 접촉 내지 근접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한 쌍의 집전체(2, 2)의 각각 제2 단부(P2)는, 케이스 본체(30)의 격벽에 근접하고 있다. 집전체(2)와 케이스 본체(30)를 절연하기 위해, 제2 단부(P2)의 표면에는 절연성을 갖는 피복층(26)이 형성되어 있다. 피복층(26)은, 예를 들어 수지제의 캡이다. 그로 인해, 스페이서(5)의 각 단부는, 제2 단부(P2)에 있어서의 피복층(26)에 접촉 내지 근접하고 있다. 또한, 집전체(2)와 케이스 본체(30)와의 사이의 절연을 도모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피복층(26)은 불필요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전지(Ps)에 있어서는, 한 쌍의 집전체(2, 2)의 제1 접속부(20, 20) 사이의 간격을 일정 또는 대략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간격 유지부, 보다 상세하게는 제1 접속부(20)가 내측으로 변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간격 유지부는, 제1 접속부(20, 20)의 제2 단부(P2, P2) 중, 상대방의 집전체(2)를 향하는 면을 제1 단부(P8) 및 제2 단부(P9)로 거는 스페이서(5)이다. 이에 의해, 집전체(2)와 전극체(1)와의 상대적인 배치가 유지된다. 그리고, 전지(Ps)가 진동 환경하에 설치되고, 집전체(2) 및 전극체(1)가 진동(요동)해도, 진동의 영향에 의한 집전체(2)나 상기 집전체(2)에 접속된 전극체(1)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접속부(20)의 제2 단부(P2)의 외면은, 케이스 본체(30)의 격벽(제1 벽부(32))에 접촉 내지 근접하고 있다. 그로 인해, 제1 접속부(20)가 외측(상대방의 집전체(2)로부터 이격되는 방향, 즉, 전극체(1)를 인장하는 방향)으로 변위되는 것도 규제되어 있다.
<제7 실시 형태>
제7 실시 형태에 관한 전지(Ps)는, 상기 각 실시 형태와 동일한 기본 구성을 갖고 있다. 제7 실시 형태에 관한 전지(Ps)가 상이한 점은, 간격 유지부가 스페이서(5)가 아닌 점이다. 도 5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30)의 저부(34) 중, 제1 방향(도면 중의 X축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를 제외한 부분(면)이 케이스 본체(30) 내를 향해 오프셋됨으로써, 케이스 본체(30)의 저부(34)는 내측으로 볼록 형상이 되어 있다. 그로 인해, 케이스 본체(30)의 저부(34)의 양단부에는, 단차부(37, 37)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한쪽의 단차부(37)의 세로면은, 정극 집전체(2)의 제2 단부(P2)의 내면에 접촉 내지 근접하고 있다. 또한, 다른 쪽 단차부(37)의 세로면은, 부극 집전체(2)의 제2 단부(P2)의 내면에 접촉 내지 근접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전지(Ps)에 있어서는, 제1 접속부(20)가 내측으로 변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간격 유지부는 케이스 본체(30)의 저부(34)에 형성된 단차부(37, 37)이다. 이에 의해, 집전체(2)와 전극체(1)와의 상대적인 배치가 유지된다. 그리고, 전지(Ps)가 진동 환경하에 설치되고, 집전체(2) 및 전극체(1)가 진동(요동)해도, 진동의 영향에 의한 집전체(2)나 상기 집전체(2)에 접속된 전극체(1)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접속부(20)의 제2 단부(P2)의 외면은, 케이스 본체(30)의 격벽(제1 벽부(32))에 접촉 내지 근접하고 있다. 그로 인해, 제1 접속부(20)가 외측(상대방의 집전체(2)로부터 이격되는 방향, 즉 전극체(1)를 인장하는 방향)으로 변위되는 것도 규제되어 있다.
혹은, 도 5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30)의 저부(34) 중, 제1 방향(도면 중의 X축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가 케이스 본체(30) 외부를 향해 오프셋됨으로써, 케이스 본체(30)의 저부(34)는 양단부에 단차부로서의 오목부(38, 38)를 갖고 있다. 그리고, 집전체(2)의 제2 단부(P2)는 오목부(38) 내에 삽입되어 있다. 그로 인해, 한쪽의 오목부(38)의 내측의 세로면은, 정극 집전체(2)의 제2 단부(P2)의 내면에 접촉 내지 근접하고 있다. 또한, 다른 쪽 오목부(38)의 내측의 세로면은, 부극 집전체(2)의 제2 단부(P2)의 내면에 접촉 내지 근접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전지(Ps)에 있어서는, 제1 접속부(20)가 내측으로 변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간격 유지부는 케이스 본체(30)의 저부(34)에 형성된 오목부(38, 38)이다. 이에 의해, 집전체(2)와 전극체(1)와의 상대적인 배치가 유지된다. 그리고, 전지(Ps)가 진동 환경하에 설치되고, 집전체(2) 및 전극체(1)가 진동(요동)해도, 진동의 영향에 의한 집전체(2)나 상기 집전체(2)에 접속된 전극체(1)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접속부(20)의 제2 단부(P2)의 외면은, 오목부(38)의 외측의 세로면에 접촉 내지 근접하고 있다. 그로 인해, 제1 접속부(20)가 외측(상대방의 집전체(2)로부터 이격되는 방향, 즉 전극체(1)를 인장하는 방향)으로 변위되는 것도 규제되어 있다.
<제8 실시 형태>
도 5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30)의 저부(34) 중, 제1 방향(도면 중의 X축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에 리브(39)가 형성됨으로써, 케이스 본체(30)의 저부(34)는 양단부에 단차부로서의 오목부(38, 38)를 갖고 있다. 리브(9)는, 저부(34)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저부(34)에 후속되는 별체여도 좋다. 그리고, 집전체(2)의 제2 단부(P2)는, 케이스 본체(30)의 제1 벽부(32)와 리브(39)와의 사이에 삽입되어 있다. 그로 인해, 한쪽 리브(39)는, 정극 집전체(2)의 제2 단부(P2)의 내면에 접촉 내지 근접하고 있다. 또한, 다른 쪽 리브(39)는, 부극 집전체(2)의 제2 단부(P2)의 내면에 접촉 내지 근접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전지(Ps)에 있어서는, 제1 접속부(20)가 내측으로 변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간격 유지부는, 케이스 본체(30)의 저부(34)에 형성된 오목부(38, 38)이다. 이에 의해, 집전체(2)와 전극체(1)와의 상대적인 배치가 유지된다. 그리고, 전지(Ps)가 진동 환경하에 설치되고, 집전체(2) 및 전극체(1)가 진동(요동)해도, 진동의 영향에 의한 집전체(2)나 상기 집전체(2)에 접속된 전극체(1)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접속부(20)의 제2 단부(P2)의 외면은, 케이스 본체(30)의 격벽(제1 벽부(32))에 접촉 내지 근접하고 있다. 그로 인해, 제1 접속부(20)가 외측(상대방의 집전체(2)로부터 이격되는 방향, 즉, 전극체(1)을 인장하는 방향)으로 변위되는 것도 규제되어 있다. 혹은, 케이스 본체(30)의 저부(34)의 각각 단부에 한 쌍의 리브(39, 39)가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리브(39, 39) 사이에 오목부(38)가 형성되고, 외측에 배치된 리브(39)에 의해 제1 접속부(20)가 외측으로 변위되는 것을 규제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각 실시 형태의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작용 효과로 한정되는 것도 아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변경을 가할 수 있다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다른 실시 형태의 구성을 채용할 수 있는 것은 채용하는 것을 의도하고 있다. 즉,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구성은, 실시 형태간에서 상호 적용할 수 있다.
상기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축전 소자의 일례로서 리튬 이온 전지를 들었지만, 축전 소자는 리튬 이온 전지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축전 소자는, 니켈 수소 전지 등의 다른 전지나, 캐패시터(전기 이중층 캐패시터 등)여도 좋다.
1…전극체, 2…집전체(정극 집전체, 부극 집전체), 3…케이스, 4…외부 단자(정극 외부 단자, 부극 외부 단자), 5…스페이서, 6…리벳(정극 리벳, 부극 리벳), 7…접속 막대(정극 접속 막대, 부극 접속 막대), 8…내부 가스킷(정극 내부 가스킷, 부극 내부 가스킷), 9…외부 가스킷(정극 외부 가스킷, 부극 외부 가스킷), 10…세퍼레이터, 11…정극판(극판), 12…부극판(극판), 13…정극 리드부, 14…부극 리드부, 15…정극 클립 부재, 16…부극 클립 부재, 17…원호부, 18…직선부, 20…제1 접속부(전극체 설치부)(정극 제1 접속부, 부극 제1 접속부), 21…제2 접속부(고정용 편부)(정극 제2 접속부, 부극 제2 접속부), 22…접속편(정극 접속편, 부극 접속편), 23…절입, 끼워 맞춤부, 24…분할 중앙부, 25…관통 구멍, 26…피복층(캡), 30…케이스 본체, 31…덮개, 32…제1 벽부, 33…제2 벽부, 34…저부, 35…개구부, 36…관통 구멍(정극 관통 구멍, 부극 관통 구멍), 37…단차부, 38…오목부, 39…리브, 40…단자부, 41…헤드부, 42…회전 정지 부재(정극 회전 정지 부재, 부극 회전 정지 부재), 50…결합부(정극 결합부, 부극 결합부), 51…가교부, 51a…대향면, 51b…두께 일부 생략부, 52…주벽부, 53…외측벽부(변형부), 54…측부, 55…볼록부, 56…피삽입부, 57…빔부, 58…빔 연결부, 59…보조 빔부, 60…제1 리벳부, 61…제2 리벳부, 62…동부, 70…제1 구멍(관통 구멍), 71…제2 구멍(관통 구멍), 81…관통 구멍, 90…오목부, 91…관통 구멍, L1…전체 길이, L2…전체 폭, Ps…전지, E1…제1 단부 테두리, E1a…직선부, E1b…제1 경사부, E1c…제2 경사부, E2…제2 단부 테두리, P1, P3, P5, P8, P10…제1 단부, P2, P4, P6, P9, P11…제2 단부, P7, P12…중앙부, S1, S3…제1면, S2, S4…제2면, H…개방부

Claims (20)

  1. 서로 절연된 정극판과 부극판을 포함하는 전극체와,
    각각이 접속부를 갖고, 각각이 상기 접속부에서 상기 정극판 및 상기 부극판 중 대응하는 극판에 접속되는 한 쌍의 집전체와,
    상기 전극체 및 상기 한 쌍의 집전체를 수용하는 케이스이며, 상기 케이스 내에서 상기 전극체가 상기 한 쌍의 집전체에 의해 지지되는 케이스와,
    상기 한 쌍의 집전체 각각에 있어서의, 상기 접속부보다도 선단측의 부위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한 쌍의 집전체의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 유지부를 구비하는
    축전 소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유지부는, 상기 케이스 내에서 상기 한 쌍의 집전체를 연결하는 스페이서인
    축전 소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케이스의 내면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하는
    축전 소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케이스 내에서 지지되어 상기 케이스 내에서 고정되는
    축전 소자.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가요성을 갖고, 휨에 의해 상기 케이스 내에서 지지될 수 있을 정도로 전체 길이가 신장되어, 상기 케이스 내에서 고정되는
    축전 소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양단부보다도 중앙부가 볼록해지는 형상을 갖고,
    상기 중앙부가 상기 케이스의 내면에 지지되고, 또한 상기 양단부가 상기 한 쌍의 집전체로부터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힘을 받음으로써 휘는
    축전 소자.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각각이 상기 한 쌍의 집전체 중 대응하는 집전체에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부를 갖고,
    상기 한 쌍의 결합부 중 적어도 한쪽의 결합부는, 상기 집전체와의 협동에 의해 팽출되는 변형부를 갖고,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변형부의 팽출에 의해 상기 케이스 내에서 지지되어 상기 케이스 내에서 고정되는
    축전 소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변형부의 팽출에 의해 상기 케이스 내에서 지지될 수 있을 정도로 전체 길이가 신장되어, 상기 케이스 내에서 고정되는
    축전 소자.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주벽부와,
    상기 주벽부와 간격을 두고 대향하는 상기 변형부와,
    상기 주벽부와 상기 변형부를 연결하는 측부로서, 상기 간격에 상기 집전체의 선단부를 삽입 가능하게 하는 측부를 구비하고,
    상기 변형부는, 상기 간격에 삽입된 상기 집전체의 상기 선단부와 간섭함으로써 팽출되는
    축전 소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주벽부와,
    상기 변형부와,
    상기 측부와,
    상기 주벽부 및 상기 변형부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상기 주벽부 및 상기 변형부 중 다른 쪽을 향해 돌출되도록 하여 설치되는 볼록부를 구비하고,
    상기 변형부는, 상기 간격에 삽입된 상기 집전체의 상기 선단부와 상기 볼록부가 간섭함으로써 팽출되는
    축전 소자.
  11. 제2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한 쌍의 집전체 중 한쪽 집전체의 소정 부위에 결합되는 제1 결합부 및 상기 한 쌍의 집전체 중 다른 쪽 집전체의 소정 부위에 결합되는 제2 결합부를 갖고,
    상기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2 결합부 중 적어도 한쪽의 결합부는, 상기 한 쌍의 집전체 중 대응하는 집전체의 상기 소정 부위에만 결합 가능한
    축전 소자.
  12. 제2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각각이 상기 한 쌍의 집전체 중 대응하는 집전체에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부 및 상기 한 쌍의 결합부를 연결하는 가교부를 갖고,
    상기 가교부는,
    각각이 상기 한 쌍의 결합부를 연결하는 한 쌍의 빔부이며,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한 쌍의 빔부와,
    상기 한 쌍의 빔부를 서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빔 연결부를 구비하는
    축전 소자.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유지부는, 상기 한 쌍의 집전체 각각의 상기 선단측의 부위 중, 상대방의 집전체를 향하는 면을 걸리게 하는 상기 케이스 내에 형성된 걸림 구조인
    축전 소자.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구조는, 상기 한 쌍의 집전체 각각의 상기 선단측의 부위 중, 상대방의 집전체를 향하는 상기 면과 반대측의 면도 걸리게 하는
    축전 소자.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전극체 및 상기 한 쌍의 집전체가 삽입되는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와 대향하는 저부를 갖고,
    상기 걸림 구조는 상기 저부에 형성된 단차부인
    축전 소자.
  16. 정극판 및 부극판 중 대응하는 극판에 접속되는 한 쌍의 집전체를 연결하기 위한 스페이서이며,
    각각이 집전체에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부와, 상기 한 쌍의 결합부를 연결하는 가교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교부는 가요성을 갖고, 휨에 의해 전체 길이가 신장되는
    스페이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부는, 양단부보다도 중앙부가 볼록해지는 형상을 갖는
    스페이서.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부는, 양단부보다도 중앙부가 오목해지는 형상을 갖는
    스페이서.
  19. 정극판 및 부극판 중 대응하는 극판에 접속되는 한 쌍의 집전체를 연결하기 위한 스페이서이며,
    각각이 집전체에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부와, 상기 한 쌍의 결합부를 연결하는 가교부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결합부 중 적어도 한쪽의 결합부는, 상기 집전체와의 협동에 의해 팽출되는 변형부를 갖고,
    상기 변형부의 팽출에 의해 전체 길이가 신장되는
    스페이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주벽부와,
    상기 주벽부와 간격을 두고 대향하는 상기 변형부와,
    상기 주벽부와 상기 변형부를 연결하는 측부이며, 상기 간격에 상기 집전체의 선단부를 삽입 가능하게 하는 측부를 구비하고,
    상기 변형부는, 상기 간격에 삽입된 상기 집전체의 상기 선단부와 간섭함으로써 팽출되는
    스페이서.
KR1020120068506A 2011-07-01 2012-06-26 축전 소자 및 스페이서 KR1018872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47456 2011-07-01
JP2011147456 2011-07-01
JPJP-P-2011-283811 2011-12-26
JPJP-P-2011-283815 2011-12-26
JP2011283815 2011-12-26
JP2011283807 2011-12-26
JPJP-P-2011-283807 2011-12-26
JP2011283811 2011-12-26
JP2011283812 2011-12-26
JPJP-P-2011-283812 2011-12-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4108A true KR20130004108A (ko) 2013-01-09
KR101887242B1 KR101887242B1 (ko) 2018-08-09

Family

ID=46639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8506A KR101887242B1 (ko) 2011-07-01 2012-06-26 축전 소자 및 스페이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971713B2 (ko)
EP (1) EP2541647B1 (ko)
JP (1) JP5852926B2 (ko)
KR (1) KR101887242B1 (ko)
CN (1) CN10285651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03662B2 (ja) 2012-02-15 2016-10-05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素子及び蓄電素子の製造方法
JP6094803B2 (ja) * 2012-03-12 2017-03-15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素子
JP2013222630A (ja) * 2012-04-17 2013-10-28 Sharp Corp 二次電池および二次電池の製造方法
KR20140098480A (ko) * 2013-01-31 2014-08-0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US9647271B2 (en) * 2013-04-26 2017-05-09 Fractal Antenna Systems, Inc. Batteries and related structures having fractal or self-complementary structures
JP6187148B2 (ja) * 2013-10-24 2017-08-30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素子及び電源モジュール
JP6330295B2 (ja) * 2013-11-20 2018-05-30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素子および蓄電素子の製造方法
JP6519161B2 (ja) 2014-01-17 2019-05-29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素子
JP2015170414A (ja) * 2014-03-05 2015-09-28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素子
CN108028332B (zh) * 2015-09-18 2021-11-02 株式会社杰士汤浅国际 蓄电装置
JP6825567B2 (ja) * 2015-09-18 2021-02-03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素子
JP2018029041A (ja) * 2016-08-19 2018-02-22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素子
JP2018147618A (ja) * 2017-03-02 2018-09-20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素子
CN116941105A (zh) * 2022-01-05 2023-10-24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单体及其制造方法和制造系统、电池以及用电装置
CN115000641B (zh) * 2022-08-04 2022-11-29 江苏时代新能源科技有限公司 端盖组件、电池单体、电池以及用电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14276A (ja) 2009-06-30 2011-01-20 Gs Yuasa Corp 電池
KR20110047612A (ko) * 2009-10-30 2011-05-09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이차전지
KR20110065354A (ko) * 2009-12-07 2011-06-15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이차 전지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37569A (ja) * 1987-11-24 1989-05-30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密閉形鉛蓄電池の製造方法
DE4240339C1 (de) 1992-12-01 1993-12-09 Deutsche Automobilgesellsch Elektrochemischer Speicher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JP2001068166A (ja) * 1999-08-30 2001-03-16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電 池
JP3701168B2 (ja) 1999-09-21 2005-09-28 矢崎総業株式会社 バッテリのケーブル端子接続構造
US6534212B1 (en) * 2000-05-05 2003-03-18 Hawker Energy Products, Inc. High performance battery and current collector therefor
JP4826686B2 (ja) * 2001-01-29 2011-11-30 株式会社Gsユアサ 組電池
CN1235307C (zh) * 2001-08-24 2006-01-04 日本电池株式会社 非水电解质二次电池
JP4293501B2 (ja) * 2001-08-24 2009-07-08 Tdk株式会社 電気化学デバイス
JP2005032477A (ja) 2003-07-08 2005-02-03 Toyota Motor Corp 電池、およびそれを搭載した自動車
JP5032737B2 (ja) * 2004-06-14 2012-09-2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気化学素子
KR100599709B1 (ko) 2004-07-28 2006-07-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100570625B1 (ko) 2004-07-28 2006-04-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JP2009037818A (ja) 2007-08-01 2009-02-19 Toyota Motor Corp 電池
CN201178103Y (zh) 2007-11-24 2009-01-07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锂离子电池隔圈和含有该隔圈的锂离子电池
KR101000708B1 (ko) * 2008-04-14 2010-12-10 김석윤 내부식 파이프 연결장치
JP5242364B2 (ja) 2008-12-19 2013-07-24 日立ビークルエナジー株式会社 扁平形二次電池
JP5235715B2 (ja) * 2009-02-25 2013-07-10 富士重工業株式会社 蓄電デバイ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633031B2 (ja) 2009-03-26 2014-12-03 エリーパワー株式会社 二次電池および二次電池の製造方法
US8434543B2 (en) * 2009-07-09 2013-05-07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ethod of making turbine stator airfoils with individual orientations
US8268478B2 (en) 2009-08-17 2012-09-18 Sb Limotive Co., Ltd. Rechargeable battery having anti-vibration member
US8492022B2 (en) 2009-10-07 2013-07-23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with buffer sheet between electrode assembly and battery case
US8709632B2 (en) 2009-11-13 2014-04-29 Samsung Sdi Co., Ltd. Battery module
KR20110053836A (ko) 2009-11-16 2011-05-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폴리머 이차 전지
US20110136003A1 (en) 2009-12-07 2011-06-09 Yong-Sam Kim Rechargeable Battery
KR101222311B1 (ko) 2010-06-14 2013-01-15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이차 전지
KR101116501B1 (ko) 2010-05-07 2012-02-24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관통 및 압괴 안전성이 향상된 이차 전지
JP5297441B2 (ja) * 2009-12-07 2013-09-25 三星エスディアイ株式会社 二次電池
KR20110123462A (ko) 2010-05-07 2011-11-15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이차 전지
JP5211086B2 (ja) 2010-02-08 2013-06-12 日立ビークルエナジー株式会社 二次電池
US8628878B2 (en) * 2010-04-12 2014-01-14 Samsung Sdi Co., Ltd. Hooked retainer for electrode body in rechargeable batter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14276A (ja) 2009-06-30 2011-01-20 Gs Yuasa Corp 電池
KR20110047612A (ko) * 2009-10-30 2011-05-09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이차전지
KR20110065354A (ko) * 2009-12-07 2011-06-15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이차 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971713B2 (en) 2021-04-06
EP2541647A2 (en) 2013-01-02
EP2541647A3 (en) 2015-07-29
CN102856519B (zh) 2016-01-20
EP2541647B1 (en) 2017-09-06
CN102856519A (zh) 2013-01-02
US20130004824A1 (en) 2013-01-03
JP5852926B2 (ja) 2016-02-03
KR101887242B1 (ko) 2018-08-09
JP2013152916A (ja) 2013-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04108A (ko) 축전 소자 및 스페이서
US8673470B2 (en) Secondary cell
US10629882B2 (en) Battery module
JP6665789B2 (ja) 蓄電素子
JP6119887B2 (ja) 蓄電素子
JP4926393B2 (ja) 蓄電体セルのパッケージ構造
WO2011158676A1 (ja) 電池
EP2597705B1 (en) Rechargeable battery
KR20150086189A (ko) 축전 소자
US8748020B2 (en) Energy storage device
US9514895B2 (en) Electric storage device having current collector and vehicle having the electric storage device
KR102062564B1 (ko) 축전 소자 및 축전 소자의 제조 방법
EP2709126A1 (en) Electric storage device
US9537134B2 (en) Rechargeable battery
JP6701210B2 (ja) 蓄電素子及び蓄電素子の製造方法
JP2018081790A (ja) 蓄電装置
KR20160030852A (ko) 축전 소자
JP6815716B2 (ja) 蓄電素子
JP5822127B2 (ja) 蓄電素子
WO2019131481A1 (ja) 蓄電素子
CN219513296U (zh) 圆筒形二次电池
JP2018120830A (ja) 蓄電素子
EP4254642A1 (en) Power storage device
CN114747069A (zh) 蓄电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