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3556A - 스크롤 압축기 - Google Patents

스크롤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3556A
KR20120123556A KR1020127023996A KR20127023996A KR20120123556A KR 20120123556 A KR20120123556 A KR 20120123556A KR 1020127023996 A KR1020127023996 A KR 1020127023996A KR 20127023996 A KR20127023996 A KR 20127023996A KR 20120123556 A KR20120123556 A KR 201201235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wrap
scroll
discharge
compression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3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03231B1 (ko
Inventor
소오이찌 나까무라
슈우이찌 조오무라
겐지 나가하라
히로시 기따우라
Original Assignee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23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35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32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32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12Arrangements for admission or discharge of the working fluid, e.g.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inlet or outl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 F04C18/0207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 F04C18/0215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where only one member is mov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 F04C18/0207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 F04C18/0246Details concerning the involute wraps or their base, e.g. geometry
    • F04C18/0253Details concerning the ba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 F04C18/0207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 F04C18/0246Details concerning the involute wraps or their base, e.g. geometry
    • F04C18/0269Details concerning the involute wraps
    • F04C18/0276Different wall heigh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3/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each being of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type,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Multi-stage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3/008Hermetic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7/00Sealing arrangements in 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7/005Axial sealings for working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4Heating; Cooling; Heat insulation
    • F04C29/042Heating; Cooling; Heat insulation by injecting a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70/00Control; Monitoring or safety arrangements
    • F04C2270/17Tolerance; Play; Ga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2Lubrication; Lubricant separation
    • F04C29/026Lubricant sepa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tary Pumps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Abstract

고정 스크롤(30)에는, 압축 도중의 압축실(25)에 연통(連通)하는 주입통로(27)가 형성된다. 주입포트(27)로부터 압축실(25)로는, 스크롤 압축기(10)의 토출(吐出)냉매로부터 분리된 냉동기 오일이, 중간압의 가스냉매과 함께 유입한다. 고정 스크롤(30)과 선회 스크롤(40)의 치저면(齒底面)(31a, 41a)에서는, 주입포트(27)에 연통하는 압축실(25)에 임하는 부분이 중간 치저영역(36, 46)이 되고, 중간 치저영역(36, 46)보다 랩(32, 42)의 외주(外周)측 단부(端部)쪽 부분이 흡입측 치저영역(35, 45)이 된다. 그리고, 치저면(31a, 41a)과 랩(lap)(42, 32)의 선단면(先端面)(42a, 32a)과의 틈새는, 흡입측 치저영역(35, 45)에서의 값이 중간 치저영역(36, 46)에서의 값보다 크게 된다.

Description

스크롤 압축기{SCROLL COMPRESSOR}
본 발명은, 냉매회로에 접속되어 냉매를 압축하는 스크롤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냉동사이클을 행하는 냉매회로에 접속되어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로써, 스크롤(scroll) 압축기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 스크롤 압축기에서는, 고정 스크롤과 선회 스크롤 각각에, 경판부(鏡板部)와, 경판부의 전면(前面)으로부터 돌출하는 소용돌이형 랩(lap)이 형성된다. 고정 스크롤과 선회 스크롤은, 양자의 랩이 서로 맞물림으로써 압축실을 형성한다. 그리고, 선회 스크롤이 공전(公轉)운동을 행하면, 랩의 외주(外周)측 단부(端部)쪽으로부터 압축실로 저온저압의 냉매가 흡입되고, 압출실 내에서 압축된 고온고압의 냉매가 랩의 내주(內周)측 단부(端部) 부근으로부터 토출(吐出)된다.
특허문헌 1에는, 압축 도중의 압축실로 중간압의 가스냉매가 도입되는 스크롤 압축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스크롤 압축기에서는, 스크롤 압축기의 토출냉매로부터 분리된 냉동기 오일이, 중간압의 가스냉매와 함께 압축 도중의 압축실로 공급된다.
또, 특허문헌 2에 개시된 스크롤 압축기에서는, 서로 대면하는 랩의 선단면(先端面)과 경판부의 전면과의 틈새(clearance)가, 랩의 외주측 단부로부터 내주측 단부를 향함에 따라 점차 확대된다. 이 스크롤 압축기에서는, 온도가 높고 열 팽창량이 큰 랩의 내주측 단부에 가까워질수록 랩과 경판부의 틈새를 확대하여, 운전 중에 랩과 경판부의 틈새가 너무 좁아지지 않도록 하고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공개 2007-178052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 특허공개 2005-009332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압축 도중의 압축실로 중간압의 가스냉매가 도입되는 스크롤 압축기에서는, 스크롤 압축기로부터 냉매와 함께 토출된 냉동기 오일이, 중간압 가스냉매와 함께 압축 도중의 압축실로 되돌려 보내지는 경우가 있다. 압축실로 유입한 냉동기 오일은, 압축실 내의 냉매와 함께 랩의 내주(內周)측 단부를 향해 이동해 간다. 이 때문에, 압축 도중의 압축실로 중간압 가스냉매와 냉동기 오일이 도입되는 스크롤 압축기에서는, 중간압 가스냉매의 유입위치로부터 랩의 내주측 단부쪽 부분에는 냉동기 오일이 공급되나, 중간압 가스냉매의 유입위치로부터 랩의 외주(外周)측 단부쪽 부분에는 냉동기 오일이 공급되기 어렵고, 랩과 경판부의 윤활이 불충분하게 될 우려가 있다.
특히, 특허문헌 2에 개시되는 스크롤 압축기에서는, 서로 대면하는 랩의 선단면(先端面)과 경판부의 전면(前面)과의 틈새가, 랩의 외주측 단부쪽 부분만큼 좁아진다. 이 때문에, 이 특허문헌 2의 스크롤 압축기를, 압축 도중의 압축실로 중간압의 가스냉매가 도입되도록 구성하면, 랩의 외주측 단부쪽 부분에서는, 냉동기 오일이 공급되기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랩과 경판부의 틈새가 좁아지고, 시징(seizing) 등의 문제를 초래할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압축 도중의 압축실로 중간압의 가스냉매가 도입되는 스크롤 압축기에 있어서, 윤활 부족에 기인하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하고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데 있다.
제 1 발명은, 경판부(鏡板部)(31, 41)와 이 경판부(31, 41)의 전면(前面)에서부터 돌출되는 소용돌이형 랩(32, 42)이 각각에 형성된 고정 스크롤(30) 및 선회 스크롤(40)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 스크롤(30)과 상기 선회 스크롤(40)은, 한쪽 랩(42, 32)의 선단면(42a, 32a)이 다른 쪽 경판부(31, 41)의 전면과 대향하도록 맞물려져 압축실(25)을 형성하며, 냉동 사이클을 행하는 냉매회로에 접속되어 냉매를 상기 압축실(25)로 흡입하고 압축하는 스크롤 압축기를 대상으로 한다. 그리고, 압축 도중의 상기 압축실(25)로 중간압 냉매를 공급하기 위한 주입통로(27)를 구비하고, 상기 주입통로(27)에는, 스크롤 압축기의 토출냉매로부터 분리된 냉동기 오일이 중간압 냉매와 함께 공급되는 한편, 상기 경판부(31, 41)의 전면 중 상기 랩(42, 32)과 대향하는 부분인 치저면(齒底面)(31a, 41a)은, 상기 주입통로(27)에 연통(連通)하는 압축실(25)에 임하는 부분을 포함한 영역이 중간 치저영역(36, 46)이 되고, 이 중간 치저영역(36, 46)보다 상기 랩(42, 32)의 외주(外周)측 단부쪽 영역이 흡입측 치저영역(35, 45)이 되며, 상기 흡입측 치저영역(35, 45)과 이 흡입측 치저영역(34, 45)에 대향하는 상기 랩(42, 32)의 선단면(42a, 32a)과의 틈새가, 상기 중간 치저영역(36, 46)과 이 중간 치저영역(36, 46)에 대향하는 상기 랩(42, 32)의 선단면(42a, 32a)과의 틈새보다 크게 되어 있는 것이다.
제 1 발명에서는, 고정 스크롤(30)과 선회 스크롤(40)에 의해 압축실(25)이 형성된다. 이 압축실(25)에는, 랩(32, 42)의 외주측 단부 부근에서부터 저압의 냉매가 흡입된다. 또, 압축 도중의 압축실(25)에는, 주입통로(27)로부터 중간압의 냉매가 도입된다. 그리고, 선회 스크롤(40)이 이동하면 압축실(25)의 용적이 점차로 축소되어, 압축실(25) 내의 냉매가 압축된다. 압축된 냉매는, 랩(32, 42)의 내주측 단부(端部) 부근에서부터 토출된다. 주입통로(27)로부터 압축실(25)로는, 냉동기 오일이 중간압의 냉매과 함께 공급되고, 공급된 냉동기 오일이 윤활에 이용된다.
제 1 발명에서, 경판부(31, 41)의 치저면(31a, 41a)에는, 중간 치저영역(36, 46)과 흡입측 치저영역(35, 45)이 형성된다. 주입통로(27)로부터 압축실(25)로 유입한 냉동기 오일은, 압축실(25) 내의 냉매와 함께 랩(32, 42)의 내주측 단부를 향해 이동되어 간다. 이 때문에, 치저면(31a, 41a)의 중간 치저영역(36, 46)에 비해, 치저면(31a, 41a)의 흡입측 치저영역(35, 45)으로는 냉동기 오일이 공급되기 어려워진다. 한편, 이 발명에서, 흡입측 치저영역(35, 45)과 랩(42, 32)의 선단면(42a, 32a)과의 틈새가, 중간 치저영역(36, 46)과 랩(42, 32)의 선단면(42a, 32a)과의 틈새보다 크게 된다. 즉, 주입통로(27)로부터 압축실(25)로 유입한 냉동기 오일이 공급되기 어려운 흡입측 치저영역(35, 45)에서는, 흡입측 치저영역(35, 45)과 랩(42, 32)의 선단면(42a, 32a)과의 틈새가 크게 된다.
제 2 발명은, 상기 제 1 발명에서, 상기 치저면(31a, 41a)은, 상기 중간 치저영역(36, 46)보다 상기 랩(32, 42)의 내주측 단부쪽 부분이 토출측 치저영역(37∼39, 47∼49)이 되며, 상기 토출측 치저영역(37∼39, 47∼49)과 이 토출측 치저영역(37∼39, 47∼49)에 대향하는 상기 랩(42, 32)의 선단면(42a, 32a)과의 틈새가, 상기 중간 치저영역(36, 46)과 이 중간 치저영역(36, 46)에 대향하는 상기 랩(42, 32)의 선단면(42a, 32a)과의 틈새보다 크게 되어 있는 것이다.
제 2 발명에서는, 경판부(31, 41)의 치저면(31a, 41a)에, 중간 치저영역(36, 46), 흡입측 치저영역(35, 45) 및 토출측 치저영역(37∼39, 47∼49)이 형성된다. 압축실(25) 내의 냉매는, 압축되어 그 압력이 상승하면, 이에 따라 그 온도도 상승된다. 이 때문에, 스크롤 압축기(10)의 운전 중에, 고정 스크롤(30)과 선회 스크롤(40)에서는, 랩(32, 42)의 내주측 단부쪽 부분일수록 고온이 된다. 한편, 이 발명에서는, 토출측 치저영역(37∼39, 47∼49)과 랩(42, 32)의 선단면(42a, 32a)과의 틈새가, 중간 치저영역(36, 46)과 랩(42, 32)의 선단면(42a, 32a)과의 틈새보다 크게 되어 있다. 즉, 스크롤 압축기(10)의 운전 중에 고온이 되는 토출측 치저영역(37∼39, 47∼49)에서는, 토출측 치저영역(37∼39, 47∼49)과 랩(42, 32)의 선단면(42a, 32a)과의 틈새가 크게 되어 있다.
제 3 발명은, 상기 제 2 발명에서, 상기 랩(32, 42)의 외주측 단부의 선단면(32a, 42a)과 이 선단면(32a, 42a)에 대향하는 상기 치저면(41a, 31a)과의 틈새가, 상기 랩(32, 42)의 내주측 단부의 선단면(32a, 42a)과 이 선단면(32a, 42a)에 대향하는 상기 치저면(41a, 31a)과의 틈새보다 작게 되어 있는 것이다.
전술과 같이, 스크롤 압축기(10)에서는, 랩(32, 42)의 외주측 단부 부근에서부터 압축실(25)로 저압의 냉매가 흡입되고, 랩(32, 42)의 내주측 단부 부근에서부터 압축된 압축실(25) 내의 냉매가 토출된다. 이 때문에, 스크롤 압축기(10)의 운전 중에, 랩(32, 42)에서는, 이 외주측 단부 부근의 온도가 내주측 단부 부근의 온도보다 낮아진다. 그래서, 제 3 발명에서는, 비교적 저온이 되는 랩(32, 42)의 외주측 단부와 치저면(41a, 31a)의 틈새를, 비교적 고온이 되는 랩(32, 42)의 내주측 단부와 치저면(41a, 31a)의 틈새보다 작게 한다.
본 발명의 스크롤 압축기(10)에서는, 냉동기 오일이 주입통로(27)로부터 압축 도중의 압축실(25)로 도입되며, 냉동기 오일이 공급되기 어려운 흡입측 치저영역(35, 45)과 랩(42, 32)의 틈새가, 냉동기 오일이 충분히 공급되는 중간 치저영역(36, 46)과 랩(42, 32)의 틈새보다 크게 된다. 이 때문에, 치저면(31a, 41a)의 흡입측 치저영역(35, 45)과, 랩(42, 32)의 선단면(42a, 32a) 중 흡입측 치저영역(35, 45)과 대면하는 부분에 작용하는 면압(contact pressure)은, 치저면(31a, 41a)의 중간 치저영역(36, 46)과, 랩(42, 32)의 선단면(42a, 32a) 중 중간 치저영역(36, 46)과 대면하는 부분에 작용하는 면압에 비해 작아진다. 그 결과, 냉동기 오일이 공급되기 어려운 흡입측 치저영역(35, 45)에서도, 윤활부족에 기인하는 경판부(31, 41)와 랩(42, 32)의 시징 등의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스크롤 압축기(10)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 2 발명에서는, 스크롤 압축기(10)의 운전 중에 비교적 고온이 되는 토출측 치저영역 영역(37∼39, 47∼49)과 랩(42, 32)의 틈새가, 토출측 치저영역(37∼39, 47∼49)만큼은 고온이 되지 않는 중간 치저영역(36, 46)과 랩(42, 32)의 틈새보다 크게 된다. 이 때문에, 스크롤 압축기(10)의 운전 중에 랩(32, 42)이 열 팽창된 상태라도, 토출측 치저영역(37∼39, 47∼49)과 랩(42, 32)의 틈새가 과소(過小)하게 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발명에 의하면, 치저면(31a, 41a)의 토출측 치저영역 영역(37∼39, 47∼49)과 랩(42, 32)과의 시징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스크롤 압축기(10)의 신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 3 발명에서는, 스크롤 압축기(10)의 운전 중에 비교적 저온이 되는 랩(32, 42)의 외주측 단부와 치저면(41a, 31a)의 틈새를, 스크롤 압축기(10)의 운전 중에 비교적 고온이 되는 랩(32, 42)의 내주측 단부와 치저면(41a, 31a)의 틈새보다 작게 한다. 따라서, 이 발명에 의하면, 흡입측 치저영역(35, 45)과 랩(42, 32)의 선단면(42a, 32a)과의 틈새를 최소한으로 억제하면서, 경판부(31, 41)와 랩(42, 32)의 시징 등의 문제를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실시형태의 스크롤 압축기의 전체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의 스크롤 압축기의 압축기구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의 압축기구의 요부(要部)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4는, 실시형태의 고정 스크롤의 하면도이다.
도 5는, 실시형태의 선회 스크롤의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스크롤 압축기의 전체구성>
스크롤 압축기(10)의 전체구성에 대해, 도 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듯이, 본 실시형태의 스크롤 압축기(10)는, 전(全)밀폐 압축기이다. 이 스크롤 압축기(10)는, 냉동 사이클을 행하는 냉매회로에 접속되며, 냉매회로의 냉매를 흡입하고 압축한다.
스크롤 압축기(10)에서는, 케이싱(15)의 내부공간에, 압축기구(20), 전동기(50), 하부 축받이(bearing) 부재(55), 및 구동축(60)이 수용된다. 케이싱(15)은, 세로로 긴 원통형으로 형성된 밀폐용기이다. 케이싱(15)의 내부공간에서는, 위쪽에서 아래쪽을 향해 차례로, 압축기구(20), 전동기(50) 및 하부 축받이 부재(55)가 배치된다. 또, 구동축(60)은, 이 축방향이 케이싱(15)의 높이방향을 따르는 자세로 배치된다.
케이싱(15)에는, 흡입관(16), 주입관(17), 및 토출관(18)이 장착된다. 흡입관(16), 주입관(17), 및 토출관(18)은, 모두 케이싱(15)을 관통한다. 흡입관(16)과 주입관(17)은, 압축기구(20)에 접속된다. 토출관(18)은, 케이싱(15) 내부공간의 전동기(50)와 압축기구(20) 사이의 부분에 개구한다.
하부 축받이 부재(55)는, 케이싱(15)에 고정된다. 이 하부 축받이 부재(55)는, 구동축(60)의 하단부를 회전 자유롭게 지지한다. 한편, 전동기(50)는, 고정자(51)와 회전자(52)를 구비한다. 고정자(51)는 케이싱(15)에 고정된다. 회전자(52)는, 고정자(51)와 동일 축에 배치된다. 이 회전자(52)에는, 구동축(60)이 삽입 관통된다.
구동축(60)에는, 주축부(主軸部)(61), 밸런스 웨이트부(balance weight)(62), 및 편심부(63)가 형성된다. 밸런스 웨이트부(62)는, 주축부(61)의 축방향 도중에 배치된다. 주축부(61)는, 밸런스 웨이트부(62)보다 하측의 부분이 전동기(50) 회전자(52)를 관통하고, 그 하단부가 하부 축받이 부재(55)에 의해 지지된다. 또, 주축부(61)는, 밸런스 웨이트부(62)보다 상측 부분이, 후술하는 압축기구(20)의 하우징(21)에 의해 회전 자유롭게 지지된다. 편심부(63)는, 주축부(61)의 상단면에 돌출 배치된다. 편심부(63)는, 그 축심이 주축부(61)의 축심에 대해 편심하고, 후술하는 압축기구(20)의 선회 스크롤(40)에 결합된다.
도시하지 않으나, 구동축(60)에는, 급유통로가 형성된다. 이 급유통로는, 그 일단(一端)이 구동축(60) 하단에 개구하고, 그 타단(他端)이 구동축(60) 상단에 개구한다. 구동축(60)이 회전하면, 케이싱(15)의 저부(底部)에 저류된 냉동기 오일이, 급유통로로 빨아 올려진다. 또, 급유통로에는, 구동축(60)의 반지름 방향으로 연장되는 분기통로가 형성된다. 급유통로를 흐르는 냉동기 오일의 일부는, 이 분기통로로 유입하고, 하부 축받이 부재(55)나 압축기구(20)와의 습동부(摺動部)에 공급된다.
<압축기구>
압축기구(20)의 구성에 대해, 도 1∼도 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듯이, 압축기구(20)는, 하우징(21), 고정 스크롤(30), 및 선회 스크롤(40)을 구비한다. 또, 압축기구(20)에는, 선회 스크롤(40)의 자전(自轉)운동을 규제하기 위한 올댐링(Oldham ring)(22)이 설치된다.
하우징(21)은 두꺼운 원판형상에 형성되며, 그 중앙부가 도 1의 하방으로 팽출된다. 하우징(21)은, 그 외주면이 케이싱(15)의 내주면과 접하고 있으며, 케이싱(15)에 고정된다. 하우징(21)에서는, 그 중앙부를 구동축(60)의 주축부(61)가 관통한다. 그리고, 하우징(21)은, 주축부(61) 중 밸런스 웨이트부(62)보다 상측의 부분을 회전 자유롭게 지지하는 저널 축받이(journal bearing)를 구성한다.
하우징(21) 상에는, 고정 스크롤(30)과 선회 스크롤(40)이 탑재된다. 고정 스크롤(30)은, 볼트 등에 의해 하우징(21)에 고정된다. 한편, 선회 스크롤(40)은, 하우징(21)에는 고정되지 않고, 구동축(60)에 결합되어 공전(公轉)운동을 행한다.
선회 스크롤(40)은, 선회측 경판부(41), 선회측 랩(42), 및 원통부(43)를 일체로 형성한 부재이다. 선회측 경판부(41)는, 원판형으로 형성된다. 선회측 랩(42)은, 소용돌이형으로 형성되며, 선회측 경판부(41)의 전면(前面)(도 1에서 상면)에 돌출 형성된다. 원통부(43)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선회측 경판부(41)의 배면(동 도면에서 하면)에 돌출 형성된다. 이 원통부(43)에는, 후술하는 구동축(60)의 편심부(63)가 삽입된다.
고정 스크롤(30)은, 고정측 경판부(31)와 고정측 랩(32)을 일체로 형성한 부재이다. 고정측 경판부(31)는, 원판형으로 형성된다. 고정측 랩(32)은, 소용돌이형으로 형성되며, 고정측 경판부(31)의 전면(도 1에서 하면)에 돌출 형성된다. 고정측 경판부(31)는, 고정측 랩(32)의 주위를 둘러싸는 부분(33)을 구비한다. 이 부분(33)의 내주측면은, 고정측 랩(32)과 함께 선회측 랩(42)과 슬라이딩 접촉하고 압축실(25)을 형성한다.
고정측 경판부(31)에는, 토출포트(26)와 주입포트(27)가 형성된다. 토출포트(26)는, 고정측 경판부(31) 중앙부근에 형성된 관통공이며, 고정측 경판부(31)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한다. 고정측 경판부(31)의 전면에서, 토출포트(26)는, 고정측 랩(32)의 내주측 단부 근방에 개구한다. 주입포트(27)는, 고정측 경판부(31)의 토출포트(26)보다 약간 외주(外周)쪽 부분에 형성된 관통공이고, 고정측 경판부(31)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한다. 주입포트(27)에는, 주입관(17)이 접속된다. 이 주입포트(27)는, 주입관(17)과 함께 주입통로를 형성한다. 또, 고정측 경판부(31)의 외주부근에는, 흡입관(16)이 삽입된다.
압축기구(20)에는, 토출가스 통로(28)가 형성된다. 이 토출가스 통로(28)는, 고정 스크롤(30)에서 하우징(21)에 걸쳐 형성된 통로이다. 토출가스 통로(28)는, 그 일단(一端)이 토출포트(26)에 연통하고, 그 타단(他端)이 하우징(21) 하면에 개구한다.
압축기구(20)에서, 고정 스크롤(30)과 선회 스크롤(40)은, 고정측 경판부(31)의 전면과 선회측 경판부(41)의 전면이 서로 마주 보고, 고정측 랩(32)과 선회측 랩(42)이 서로 맞물리도록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고정측 랩(32)의 선단면(先端面)(32a)은, 선회측 경판부(41) 전면과 대향한다. 선회측 경판부(41)에서는, 고정측 랩(32)의 선단면(32a)과 대향하는 부분이 치저면(41a)이 된다. 한편, 선회측 랩(42)의 선단면(42a)은, 고정측 경판부(31)의 전면과 대향한다. 고정측 경판부(31)에서는, 선회측 랩(42)의 선단면(42a)과 대향하는 부분이 치저면(31a)이 된다. 그리고, 압축기구(20)에서는, 도 3에 나타내듯이, 고정 스크롤(30)의 고정측 랩(32)과 선회 스크롤(40)의 선회측 랩(42)이 서로 맞물림으로써, 초승달형 압축실(25)이 복수 형성된다.
<고정 스크롤과 선회 스크롤의 상세한 형상>
고정 스크롤(30)과 선회 스크롤(40)의 상세한 형상에 대해,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그리고, 여기서 설명하는 고정 스크롤(30) 및 선회 스크롤(40)의 상세한 형상은, 고정 스크롤(30) 및 선회 스크롤(40)의 온도가 상온(약 20℃)에서의 형상이다.
도 4에 나타내듯이, 고정측 경판부(31)의 치저면(31a)에는, 고정측 랩(32)의 선단면(32a)으로부터의 거리(깊이)가 다른 복수의 영역이, 고정측 랩(32)을 따라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이 치저면(31a)에서는, 고정측 랩(32)의 외주측 단부로부터 약 1/2 감김 부분이 흡입측 치저영역(35)이 된다. 그리고, 치저면(31a)에서는, 고정측 랩(32)의 내주측 단부를 향해, 흡입측 치저영역(35)에 인접하는 약 1/2 감김 부분이 중간 치저영역(36)이 되며, 중간 치저영역(36)에 인접하는 약 1/2 감김 부분이 제 1 토출측 치저영역(37)이 되고, 제 1 토출측 치저영역(37)에 인접하는 약 1/2 감김 부분이 제 2 토출측 치저영역(38)이 되며, 제 2 토출측 치저영역(38)에 인접하는 약 1/2 감김 부분이 제 3 토출측 치저영역(39)이 된다. 중간 치저영역(36)은, 치저면(31a) 중 주입포트(27)가 개구하는 부분을 포함한다. 즉, 고정측 경판부(31)의 치저면(31a)에서는, 주입포트(27)에 연통하는 압축실(25)에 임하는 부분이, 중간 치저영역(36)이 된다.
고정 스크롤(30)에서는, 고정측 랩(32)의 선단면(32a)에서 중간 치저영역(36)까지의 거리가 가장 짧고, 고정측 랩(32)의 선단면(32a)에서 제 3 토출측 치저영역(39)까지의 거리가 가장 길게 된다. 또, 고정측랩 (32)의 선단면(32a)에서 흡입측 치저영역(35)까지의 거리는, 고정측 랩(32)의 선단면(32a)에서 중간 치저영역(36)까지의 거리보다 길고, 또한 고정측 랩(32)의 선단면(32a)에서 제 1 토출측 치저영역(37)까지의 거리와 동등하게 된다. 또한, 고정측 랩(32)의 선단면(32a)에서 제 2 토출측 치저영역(38)까지의 거리는, 고정측 랩(32)의 선단면(32a)에서 제 1 토출측 치저영역(37)까지의 거리보다 길고, 또한 고정측 랩(32)의 선단면(32a)에서 제 3 토출측 치저영역(39)까지의 거리보다 짧게 된다.
도 5에 나타내듯이, 선회측 경판부(41)의 치저면(41a)에는, 선회측 랩(42)의 선단면(42a)으로부터의 거리(깊이)가 다른 복수의 영역이, 선회측 랩(42)을 따라 형성된다. 이 치저면(41a)에서는, 고정측 경판부(31)의 흡입측 치저영역(35)에 대응하는 부분이 흡입측 치저영역(45)이 되고, 고정측 경판부(31)의 중간 치저영역(36)에 대응하는 부분이 중간 치저영역(46)이 되며, 고정측 경판부(31)의 제 1 토출측 치저영역(37)에 대응하는 부분이 제 1 토출측 치저영역(47)이 되고, 고정측 경판부(31)의 제 2 토출측 치저영역(38)에 대응하는 부분이 제 2 토출측 치저영역(48)이 되며, 고정측 경판부(31)의 제 3 토출측 치저영역(39)에 대응하는 부분이 제 3 토출측 치저영역(49)이 된다. 선회측 경판부(41)의 치저면(41a)에서는, 주입포트(27)에 연통하는 압축실(25)에 임하는 부분이, 중간 치저영역(46)이 된다.
선회 스크롤(40)에서는, 선회측 랩(42)의 선단면(42a)에서 중간 치저영역(46)까지의 거리가 가장 짧고, 선회측 랩(42)의 선단면(42a)에서 제 3 토출측 치저영역(49)까지의 거리가 가장 길게 된다. 또, 선회측 랩(42)의 선단면(42a)에서 흡입측 치저영역(45)까지의 거리는, 선회측 랩(42)의 선단면(42a)에서 중간 치저영역(46)까지의 거리보다 길고, 또한 선회측 랩(42)의 선단면(42a)에서 제 1 토출측 치저영역(47)까지의 거리와 동등해진다. 또한, 선회측 랩(42)의 선단면(42a)에서 제 2 토출측 치저영역(48)까지의 거리는, 선회측 랩(42)의 선단면(42a)에서 제 1 토출측 치저영역(47)까지의 거리보다 길고, 또한 선회측 랩(42)의 선단면(42a)에서 제 3 토출측 치저영역(49)까지의 거리보다 짧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측 경판부(31)의 치저면(31a)에는, 선회측 랩(42)의 선단면(42a)이 대향한다. 한편, 고정측 경판부(31)의 치저면(31a)에는, 고정측 랩(32)의 선단면(32a)으로부터의 거리(깊이)가 다른 복수의 영역이 형성된다. 때문에, 고정측 경판부(31)의 치저면(31a)과 선회측 랩(42)의 선단면(42a)과의 틈새는, 중간 치저영역(36)과 선회측 랩(42)의 틈새, 제 1 토출측 치저영역(37)과 선회측 랩(42)의 틈새, 제 2 토출측 치저영역(38)과 선회측 랩(42)의 틈새, 제 3 토출측 치저영역(39)과 선회측 랩(42)의 틈새 순으로, 점차 크게 된다. 또, 흡입측 치저영역(35)과 선회측 랩(42)의 틈새는, 제 1 토출측 치저영역(37)과 선회측 랩(42)의 틈새와 동등해진다.
또, 선회측 경판부(41)의 치저면(41a)에는, 고정측 랩(32)의 선단면(32a)이 대향한다. 한편, 선회측 경판부(41)의 치저면(41a)에는, 선회측 랩(42)의 선단면(42a)으로부터의 거리(깊이)가 다른 복수의 영역이 형성된다. 때문에, 선회측 경판부(41)의 치저면(41a)과 고정측 랩(32)의 선단면(32a)과의 틈새는, 중간 치저영역(46)과 고정측 랩(32)의 틈새, 제 1 토출측 치저영역(47)과 고정측 랩(32)의 틈새, 제 2 토출측 치저영역(48)과 고정용 랩(32)의 틈새, 제 3 토출측 치저영역(49)과 고정측 랩(32)의 틈새 순으로, 점차 크게 된다. 또, 흡입측 치저영역(45)과 고정측 랩(32)의 틈새는, 제 1 토출측 치저영역(47)과 고정측 랩(32)의 틈새와 동등해진다.
따라서, 도 2에 나타내듯이, 압축기구(20)에서는, 고정측 경판부(31)의 흡입측 치저영역(35)과 선회측 랩(42)의 외주측 단부의 선단면(42a)과의 틈새(Ds)가, 고정측 경판부(31)의 중간 치저영역(36)과 선회측 랩(42)의 선단면(42a)과의 틈새(Dm)보다 넓어지고, 고정측 경판부(31)의 제 3 토출측 치저영역(39)과 선회측 랩(42)의 내주측 단부의 선단면(42a)과의 틈새(Dd)가, 고정측 경판부(31)의 흡입측 치저영역(35)과 선회측 랩(42)의 외주측 단부의 선단면(42a)과의 틈새(Ds)보다 넓어진다. 또, 압축기구(20)에서는, 선회측 경판부(41)의 흡입측 치저영역(45)과 고정측 랩(32)의 외주측 단부의 선단면(32a)과의 틈새(Ds)가, 선회측 경판부(41)의 치저면(41a) 중간 치저영역(46)과 고정측 랩(32)의 선단면(32a)과의 틈새(Dm)보다 넓어지고, 선회측 경판부(41)의 제 3 토출측 치저영역(49)과 고정용 랩(32)의 내주측 단부의 선단면(32a)과의 틈새(Dd)가, 선회측 경판부(41)의 흡입측 치저영역(45)과 고정측 랩(32)의 외주측 단부의 선단면(32a)과의 틈새(Ds)보다 넓어진다.
-운전동작-
스크롤 압축기(10)의 운전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스크롤 압축기(10)에서, 전동기(50)로 통전(通電)하면, 구동축(60)에 의해 선회 스크롤(40)이 구동된다. 선회 스크롤(40)은, 그 자전(自轉)운동이 올댐링(22)에 의해 규제되며, 자전운동은 행하지 않고 공전운동만을 행한다.
선회 스크롤(40)이 공전운동을 행하면, 흡입관(16)을 통해 압축기구(20)로 유입한 저압의 가스냉매가, 고정측 랩(32) 및 선회측 랩(42)의 외주측 단부 부근에서부터 압축실(25)로 흡입된다. 선회 스크롤(40)이 더 이동하면, 압축실(25)이 흡입관(16)으로부터 차단된 완전히 닫힌 상태가 되고, 그 후, 압축실(25)은, 고정측 랩(32) 및 선회측 랩(42)을 따라 이들의 내주측 단부를 향해 이동되어 간다. 그 과정에서 압축실(25)의 용적이 점차 감소되고, 압축실(25) 내의 가스냉매가 압축되어 간다. 또, 압축기구(20)에서는, 완전히 닫힌 상태가 된 압축 도중의 압축실(25)에, 주입포트(27)로부터 중간압의 가스냉매가 도입된다. 따라서, 압축기구(20)에서는, 흡입관(16)으로부터 유입한 저압의 가스냉매과, 주입포트(27)로부터 유입한 중간압의 가스냉매가 압축실(25)로 흡입되고 압축된다.
선회 스크롤(40)의 이동에 수반하여 압축실(25)의 용적이 점차로 축소되어 가면, 곧 압축실(25)은 토출포트(26)에 연통한다. 그리고, 압축실(25) 내에서 압축된 냉매(즉, 고압의 가스냉매)는, 토출포트(26)를 통해 토출가스 통로(28)로 유입하고, 그 후에 케이싱(15) 내부공간의 압축기구(20)와 전동기(50) 사이의 부분으로 토출된다. 케이싱(15)의 내부공간으로 토출된 고압 가스냉매는, 토출관(18)을 통해 케이싱(15) 외부로 유출되어 간다.
스크롤 압축기(10)의 운전 중에는, 구동축(60)이 회전하고, 케이싱(15)의 저부(底部)에 저류된 냉동기 오일이 구동축(60) 내의 급유통로로 빨아 올려진다. 급유통로를 흐르는 냉동기 오일은, 하부 축받이부재(55) 및 압축기구(20)와 구동축(60)의 습동부분으로 공급된다. 급유통로로부터 압축기구(20)로 공급된 냉동기 오일은, 주축부(61)와 하우징(21)과의 습동부분 및 편심부(63)와 선회 스크롤(40)의 원통부(43)와의 습동부분으로 공급된다. 또, 압축기구(20)에서는, 선회 스크롤(40)과 올댐링(22)의 습동부분 및 선회 스크롤(40)과 고정 스크롤(30)의 습동부분에도 냉동기 오일이 공급된다.
압축기구(20)에서는, 압축실(25)로도 냉동기 오일이 유입한다. 압축실(25)로 유입한 냉동기 오일은, 고정측 랩(32)과 선회측 랩(42)의 습동부분, 고정측 랩(32)과 선회측 경판부(41)의 습동부분, 선회측 랩(42)과 고정측 경판부(31)의 습동부분 윤활에 이용된다. 압축실(25)로 유입한 냉동기 오일의 일부는, 미세한 오일 방울이 되어 고압의 가스냉매와 함께 토출포트(26)를 통과하고, 그 후에 압축기구(20)로부터 케이싱(15)의 내부공간으로 토출된다. 또, 압축기구(20)로부터 고압의 가스냉매과 함께 토출된 냉동기 오일의 일부는, 토출관(18)을 통해 케이싱(15) 외부로 유출되어 간다.
고압의 가스냉매와 함께 케이싱(15) 외부로 유출된 냉동기 오일은, 도면 외의 오일 분리기에서 가스냉매와 분리되고, 그 후에 중간압의 가스냉매와 함께 주입관(17)을 통해 압축기구(20)로 되돌려진다. 주입관(17)으로부터 압축기구(20)로 공급된 냉동기 오일은, 주입포트(27)를 통해, 중간압의 가스냉매와 함께 압축 도중의 압축실(15)로 유입된다.
전술과 같이, 고정 스크롤(30) 고정측 경판부(31)의 치저면(31a)에서는, 주입포트(27)에 연통하는 압축실(25)에 임하는 부분이 중간 치저영역(36)이 된다. 그리고, 고정측 경판부(31)의 치저면(31a)과 선회측 랩(42)의 선단면(42a)과의 틈새 중에서는, 고정측 경판부(31)의 중간 치저영역(36)과 선회측 랩(42)의 선단면(42a)과의 틈새가 가장 작아진다. 또, 선회 스크롤(40)의 선회측 경판부(41)의 치저면(41a)에서는, 주입포트(27)에 연통하는 압축실(25)에 임하는 부분이 중간 치저영역(46)이 된다. 그리고, 선회측 경판부(41)의 치저면(41a)과 고정측 랩(32)의 선단면(32a)과의 틈새 중에서는, 선회측 경판부(41)의 중간 치저영역(46)과 고정측 랩(32)의 선단면(32a)과의 틈새가 가장 작아진다.
한편, 주입포트(27)에 연통하는 압축실(25)에는, 냉동기 오일이 중간압의 가스냉매와 함께 유입한다. 때문에, 고정측 경판부(31)의 중간 치저영역(36)과 선회측 랩(42)의 습동부분 및 선회측 경판부(41)의 중간 치저영역(46)과 고정측 랩(32)의 습동부분에는, 충분한 양의 냉동기 오일이 확실하게 공급된다. 따라서, 고정측 경판부(31)의 중간 치저영역(36)과 선회측 랩(42)의 선단면(42a)과의 틈새 및 선회측 경판부(41)의 중간 치저영역(46)과 고정측 랩(32)의 선단면(32a)과의 틈새가 작더라도, 시징 등의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은 거의 없다.
그러나, 주입포트(27)로부터 압축실(25)로 유입한 냉동기 오일은, 고정측 경판부(31)의 흡입측 치저영역(35)과 선회측 랩(42)의 선단면(42a)과의 습동부분 및 선회측 경판부(41)의 흡입측 치저영역(45)과 고정측 랩(32)의 선단면(32a)과의 습동부분에는, 거의 공급되지 않는다. 또, 스크롤 압축기(10)로부터 냉매와 함께 토출된 냉동기 오일의 일부는, 오일 분리기를 통과한 후에 냉매회로를 흘러 저압 가스냉매와 함께 압축기구(20)로 되돌아오나, 압축기구(20)로 흡입되는 가스냉매의 압력이 낮은 운전상태에서는 가스냉매의 밀도가 낮아지므로, 저압 가스냉매의 흐름을 타고 압축기구(20)로 유입하는 냉동기 오일의 양이 극히 적어져 버린다. 때문에, 고정측 경판부(31)의 흡입측 치저영역(35)과 선회층 랩(42)이 선단면(42a)과의 습동부분 및 선회측 경판부(41)의 흡입측 치저영역(45)과 고정측 랩(32)의 선단면(32a)과의 습동부분에서는, 냉동기 오일의 공급량이 적은 상태로 되기 쉽다.
이에 반해, 본 실시형태의 압축기구(20)에서는, 고정측 경판부(31)의 흡입측 치저영역(35)과 선회측 랩(42)의 선단면(42a)과의 틈새가, 고정측 경판부(31)의 중간 치저영역(36)과 선회측 랩(42)의 선단면(42a)과의 틈새보다 크게 되며, 선회측 경판부(41)의 흡입측 치저영역(45)과 고정측 랩(32)의 선단면(32a)과의 틈새가, 선회측 경판부(41)의 중간 치저영역(46)과 고정측 랩(32)의 선단면(32a)과의 틈새보다 크게 된다. 때문에, 고정측 경판부(31)의 흡입측 치저영역(35)과 선회측 랩(42)의 선단면(42a)과의 습동부분 및 선회측 경판부(41)의 흡입측 치저영역(45)과 고정측 랩(32)의 선단면(32a)과의 습동부분에서는, 냉동기 오일의 공급량이 적더라도, 시징 등의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은 거의 없다.
또, 압축실(25) 내의 냉매가 압축되는 과정(압축행정)에서는, 냉매의 압력과 온도가 점차 상승되어 간다. 때문에, 고정측 랩(32)이나 선회측 랩(42)에서는, 그 내주측 단부에 가까운 부분일수록 고온이 되고, 그 결과, 그 내주측 단부에 가까운 부분일수록 열 팽창량이 커진다.
본 실시형태의 압축기구(20)에서는, 고정측 경판부(31)의 치저면(31a)에 토출측 치저영역(37, 38, 39)이 형성되며, 상온상태에서 고정측 경판부(31)의 치저면(31a)과 선회측 랩(42)의 선단면(42a)과의 틈새가, 선회측 랩(42)의 내주측 단부에 가까워짐에 따라 확대된다. 또, 이 압축기구(20)에서는, 선회측 경판부(41)의 치저면(41a)에 토출측 치저영역(47, 48, 49)이 형성되며, 상온상태에서 선회측 경판부(41)의 치저면(41a)과 고정측 랩(32)의 선단면(32a)과의 틈새가, 고정측 랩(32)의 내주측 단부에 가까워짐에 따라 확대된다. 때문에, 스크롤 압축기(10)의 운전 중에 고정측 랩(32)이나 선회측 랩(42)의 내주측 단부쪽 부분이 열 팽창하여도, 고정측 경판부(31)의 치저면(31a)과 선회측 랩(42)의 선단면(42a)과의 틈새나, 선회측 경판부(41)의 치저면(41a)과 고정측 랩(32)의 선단면(32a)과의 틈새는 적정한 값으로 유지되게 되고, 시징(seizing) 등의 문제를 미연에 회피할 수 있다.
-실시형태의 효과-
본 실시형태의 스크롤 압축기(10)의 압축기구(20)에서는, 냉동기 오일이 주입포트(27)로부터 압축 도중의 압축실(25)로 도입되며, 냉동기 오일이 공급되기 어려운 흡입측 치저영역(35, 45)과 랩(42, 32)의 틈새가, 냉동기 오일이 충분히 공급되는 중간 치저영역(36, 46)과 랩(42, 32)의 틈새보다 크게 된다. 때문에, 치저면(31a, 41a)의 흡입측 치저영역(35, 45)과, 랩(42, 32)의 선단면(42a, 32a) 중 흡입측 치저영역(35, 45)과 대면하는 부분에 작용하는 면압은, 치저면(31a, 41a)의 중간 치저영역(36, 46)과, 랩(42, 32)의 선단면(42a, 32a) 중 중간 치저영역(36, 46)과 대면하는 부분에 작용하는 면압에 비해 작아진다. 그 결과, 냉동기 오일이 공급되기 어려운 흡입측 치저영역(35, 45)에서도, 윤활부족에 기인하는 경판부(31, 41)와 랩(42, 32)의 시징 등의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스크롤 압축기(10)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크롤 압축기(10)의 운전 중에 비교적 고온이 되는 토출측 치저영역(37∼39, 47∼49)과 랩(42, 32)의 틈새가, 토출측 치저영역(37∼39, 47∼49)만큼은 고온이 되지 않는 중간 치저영역(36, 46)과 랩(42, 32)의 틈새보다 크게 되어 있다. 때문에, 스크롤 압축기(10)의 운전 중에 랩(32, 42)이 열 팽창한 상태라도, 토출측 치저영역(37∼39, 47∼49)과 랩(42, 32)의 틈새가 과소(過小)하게 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치저면(31a, 41a)의 토출측 치저영역(37∼39, 47∼49)과 랩(42, 32)과의 시징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스크롤 압축기(10)의 신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크롤 압축기(10)의 운전 중에 비교적 저온이 되는 랩(32, 42)의 외주측 단부와 치저면(41a, 31a)의 틈새를, 스크롤 압축기(10)의 운전 중에 비교적 고온이 되는 랩(32, 42)의 내주측 단부와 치저면(41a, 31a)의 틈새보다 작게 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흡입측 치저영역(35, 45)과 랩(42, 32)의 선단면(42a, 32a)과의 틈새를 최소한으로 억제하면서, 경판부(31, 41)와 랩(42, 32)의 시징 등의 문제를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형태의 변형예-
상기 실시형태의 압축기구(20)에서는, 고정측 경판부(31)의 치저면(31a)에 흡입측 치저영역(35), 중간 치저영역(36) 및 토출측 치저영역(37, 38, 39)을 형성하고, 이 치저면(31a)과 선회측 랩(42)의 선단면(42a)과의 틈새를 장소에 따라 서로 다르게 함과 동시에, 선회측 경판부(41)의 치저면(41a)에 흡입측 치저영역(45), 중간 치저영역(46), 및 토출측 치저영역(47, 48, 49)을 형성하고, 이 치저면(41a)과 고정측 랩(32)의 선단면(32a)과의 틈새를 장소에 따라 서로 다르게 한다.
그러나, 상기 실시형태의 압축기구(20)에서는, 고정측 경판부(31)와 선회측 경판부(41)의 양쪽에 흡입측 치저영역(35, 45) 등이 형성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고정측 경판부(31)와 선회측 경판부(41) 한쪽에만 흡입측 치저영역(35, 45) 등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형태의 압축기구(20)에서는, 고정측 경판부(31)의 치저면(31a)에만, 흡입측 치저영역(35), 중간 치저영역(36) 및 토출측 치저영역(37, 38, 39)이 형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 선회 스크롤(40)에서는, 선회측 경판부(41)의 치저면(41a)에서 선회측 랩(42)의 선단면(42a)까지의 거리가, 선회측 랩(42)의 전체 길이에 걸쳐 일정하게 된다. 그 결과, 고정측 경판부(31)의 치저면(31a)과 선회측 랩(42)의 선단면(42a)과의 틈새는 장소에 따라 서로 다른 한편, 선회측 경판부(41)의 치저면(41a)과 고정측 랩(32)의 선단면(32a)과의 틈새는 고정측 랩(32)의 전체 길이에 걸쳐 일정하게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의 압축기구(20)에서는, 선회측 경판부(41)의 치저면(41a)에만, 흡입측 치저영역(45), 중간 치저영역(46) 및 토출측 치저영역(47, 48, 49)이 형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 고정 스크롤(30)에서는, 고정측 경판부(31)의 치저면(31a)에서 고정측 랩(32)의 선단면(32a)까지의 거리가, 고정측 랩(32)의 전체 길이에 걸쳐 일정해진다. 그 결과, 선회측 경판부(41)의 치저면(41a)과 고정측 랩(32)의 선단면(32a)과의 틈새는 장소에 따라 서로 다른 한편, 고정측 경판부(31)의 치저면(31a)과 선회측 랩(42)의 선단면(42a)과의 틈새는 선회측 랩(42)의 전체 길이에 걸쳐 일정하게 된다.
그리고, 이상의 실시형태는, 본질적으로 바람직한 예시이며, 본 발명, 그 적용물, 또는 그 용도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냉매회로에 접속되어 냉매를 압축하는 스크롤 압축기이며, 압축 도중의 압축실로 중간압 가스냉매가 도입되는 것에 대해 유용하다.
10 : 스크롤 압축기 25 : 압축실
27 : 주입포트(주입통로) 30 : 고정 스크롤
31 : 고정측 경판부 31a : 치저면
32 : 고정측 랩 32a : 선단면
35 : 흡입측 치저영역 36 : 중간 치저영역
37 : 제 1 토출측 치저영역 38 : 제 2 토출측 치저영역
39 : 제 3 토출측 치저영역 40 : 선회 스크롤
41 : 선회측 경판부 41a : 치저면
42 : 선회측 랩 42a : 선단면
45 : 흡입측 치저영역 46 : 중간 치저영역
47 : 제 1 토출측 치저영역 48 : 제 2 토출측 치저영역
49 : 제 3 토출측 치저영역

Claims (3)

  1. 경판부(鏡板部)(31, 41)와 이 경판부(31, 41)의 전면(前面)에서 돌출되는 소용돌이형 랩(32, 42)이 각각에 형성된 고정 스크롤(30) 및 선회 스크롤(40)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 스크롤(30)과 상기 선회 스크롤(40)은, 한쪽 랩(42, 32)의 선단면(42a, 32a)이 다른 쪽 경판부(31, 41)의 전면과 대향하도록 맞물려져 압축실(25)을 형성하며,
    냉동 사이클을 행하는 냉매회로에 접속되어 냉매를 상기 압축실(25)로 흡입하고 압축하는 스크롤 압축기에 있어서,
    압축 도중의 상기 압축실(25)로 중간압 냉매를 공급하기 위한 주입통로(27)를 구비하고,
    상기 주입통로(27)에는, 스크롤 압축기의 토출냉매로부터 분리된 냉동기 오일이 중간압 냉매와 함께 공급되는 한편,
    상기 경판부(31, 41)의 전면 중 상기 랩(42, 32)과 대향하는 부분인 치저면(齒底面)(31a, 41a)은, 상기 주입통로(27)에 연통(連通)하는 압축실(25)에 임하는 부분을 포함한 영역이 중간 치저영역(36, 46)이 되고, 이 중간 치저영역(36, 46)보다 상기 랩(42, 32)의 외주(外周)측 단부(端部)쪽의 영역이 흡입측 치저영역(35, 45)이 되며,
    상기 흡입측 치저영역(35, 45)과 이 흡입측 치저영역(34, 45)에 대향하는 상기 랩(42, 32)의 선단면(42a, 32a)과의 틈새(clearance)가, 상기 중간 치저영역(36, 46)과 이 중간 치저영역(36, 46)에 대향하는 상기 랩(42, 32)의 선단면(42a, 32a)과의 틈새보다 크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압축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치저면(31a, 41a)은, 상기 중간 치저영역(36, 46)보다 상기 랩(32, 42)의 내주(內周)측 단부쪽 부분이 토출측 치저영역(37∼39, 47∼49)이 되며,
    상기 토출측 치저영역(37∼39, 47∼49)과 이 토출측 치저영역(37∼39, 47∼49)에 대향하는 상기 랩(42, 32)의 선단면(42a, 32a)과의 틈새가, 상기 중간 치저영역(36, 46)과 이 중간 치저영역(36, 46)에 대향하는 상기 랩(42, 32)의 선단면(42a, 32a)과의 틈새보다 크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압축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랩(32, 42)의 외주측 단부의 선단면(32a, 42a)과 이 선단면(32a, 42a)에 대향하는 상기 치저면(41a, 31a)과의 틈새가, 상기 랩(32, 42)의 내주측 단부의 선단면(32a, 42a)과 이 선단면(32a, 42a)에 대향하는 상기 치저면(41a, 31a)과의 틈새보다 작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압축기.
KR1020127023996A 2010-02-15 2011-02-14 스크롤 압축기 KR1014032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030624A JP4775494B2 (ja) 2010-02-15 2010-02-15 スクロール圧縮機
JPJP-P-2010-030624 2010-02-15
PCT/JP2011/000814 WO2011099308A1 (ja) 2010-02-15 2011-02-14 スクロール圧縮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3556A true KR20120123556A (ko) 2012-11-08
KR101403231B1 KR101403231B1 (ko) 2014-06-02

Family

ID=44367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3996A KR101403231B1 (ko) 2010-02-15 2011-02-14 스크롤 압축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956131B2 (ko)
EP (1) EP2538083B1 (ko)
JP (1) JP4775494B2 (ko)
KR (1) KR101403231B1 (ko)
CN (1) CN102753829B (ko)
ES (1) ES2751155T3 (ko)
IN (1) IN2012KN02404A (ko)
WO (1) WO20110993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51456B2 (ja) * 2012-11-26 2016-07-13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スクロール型圧縮機
JP6081577B2 (ja) * 2013-03-29 2017-02-15 ジョンソンコントロールズ ヒタチ エア コンディショニング テクノロジー(ホンコン)リミテッド スクロール圧縮機
JP5768863B2 (ja) * 2013-11-18 2015-08-26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動圧縮機
JP6399637B2 (ja) * 2014-02-28 2018-10-03 株式会社Soken 圧縮機
JP6635672B2 (ja) * 2015-04-15 2020-01-29 日立ジョンソンコントロールズ空調株式会社 容積型圧縮機
JP6689300B2 (ja) * 2016-02-16 2020-04-28 三菱電機株式会社 スクロール圧縮機
JP6747109B2 (ja) * 2016-07-06 2020-08-26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スクロール圧縮機
JP6328706B2 (ja) 2016-08-19 2018-05-23 三菱重工サーマ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スクロール流体機械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336531B2 (ja) * 2016-08-19 2018-06-06 三菱重工サーマ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スクロール流体機械
JP6325035B2 (ja) 2016-08-19 2018-05-16 三菱重工サーマ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スクロール流体機械
JP6745992B2 (ja) * 2017-06-06 2020-08-26 三菱電機株式会社 スクロール圧縮機および冷凍サイクル装置
JP6489166B2 (ja) * 2017-07-05 2019-03-2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スクロール圧縮機
DE102021119803A1 (de) 2020-08-31 2022-03-03 Danfoss (Tianjin) Ltd. Feste Scrollscheibe und Scrollverdichter damit
JP7216311B1 (ja) * 2021-08-04 2023-02-01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スクロール圧縮機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7676B2 (ja) * 1985-02-15 1994-03-0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ヘリウム用スクロ−ル圧縮機
JPH0697036B2 (ja) * 1986-05-30 1994-11-3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動圧縮機
KR920010733B1 (ko) 1988-06-28 1992-12-14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스크로울압축기
JPH0739833B2 (ja) * 1988-06-28 1995-05-0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スクロール流体装置
JPH04117195U (ja) * 1991-04-02 1992-10-20 サンデン株式会社 スクロール型圧縮機
JP2002054584A (ja) * 2000-08-11 2002-02-20 Fujitsu General Ltd スクロール型圧縮機
CN1249348C (zh) * 2000-11-22 2006-04-05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涡旋压缩机
JP4709439B2 (ja) * 2001-07-24 2011-06-22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スクロール型圧縮機
JP4505196B2 (ja) 2003-06-17 2010-07-2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スクロール圧縮機
US7905715B2 (en) 2003-06-17 2011-03-15 Panasonic Corporation Scroll compressor having a fixed scroll part and an orbiting scroll part
JP4807071B2 (ja) 2005-12-27 2011-11-0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冷凍装置
KR100677528B1 (ko) 2006-03-07 2007-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크롤 압축기
JP2008309124A (ja) * 2007-06-18 2008-12-25 Panasonic Corp スクロール圧縮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753829B (zh) 2015-04-01
JP2011163326A (ja) 2011-08-25
ES2751155T3 (es) 2020-03-30
KR101403231B1 (ko) 2014-06-02
EP2538083B1 (en) 2019-07-31
JP4775494B2 (ja) 2011-09-21
IN2012KN02404A (ko) 2015-04-24
US20120315173A1 (en) 2012-12-13
US8956131B2 (en) 2015-02-17
EP2538083A1 (en) 2012-12-26
EP2538083A4 (en) 2017-06-07
CN102753829A (zh) 2012-10-24
WO2011099308A1 (ja) 2011-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23556A (ko) 스크롤 압축기
US9617996B2 (en) Compressor
US9850904B2 (en) Scroll compressor
US9316225B2 (en) Scroll compressor with thrust sliding surface oiling groove
RU2600206C1 (ru) Спиральный компрессор
KR100751152B1 (ko) 스크롤 압축기의 오일 공급 구조
US6287099B1 (en) Scroll compressor
US20100215535A1 (en) Scroll type compressor
JPH0472998B2 (ko)
US20080304994A1 (en) Scroll Fluid Machine
CN107131128B (zh) 双气缸型密闭压缩机
JP2012215174A (ja) スクロール圧縮機
JP2007085297A (ja) スクロール圧縮機
JP4189713B2 (ja) 冷媒圧縮装置
JP2005002886A (ja) スクロール圧縮機
KR20010014606A (ko) 용적형 유체 기계
JP6611648B2 (ja) スクロール圧縮機
JP6120982B2 (ja) スクロール流体機械
JP2005048666A (ja) スクロール圧縮機
JP2009127440A (ja) スクロール圧縮機
JP4188142B2 (ja) スクロール圧縮機
JP4032694B2 (ja) スクロール圧縮機
JP7130133B2 (ja) スクロール圧縮機および冷凍サイクル装置
JP7308986B2 (ja) スクロール圧縮機および冷凍サイクル装置
JP4593448B2 (ja) 冷媒圧縮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