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3469A - 회전 러그 개머리 및 무기 - Google Patents

회전 러그 개머리 및 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3469A
KR20120123469A KR1020127022070A KR20127022070A KR20120123469A KR 20120123469 A KR20120123469 A KR 20120123469A KR 1020127022070 A KR1020127022070 A KR 1020127022070A KR 20127022070 A KR20127022070 A KR 20127022070A KR 20120123469 A KR20120123469 A KR 201201234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
bolt
control
locking
l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2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73960B1 (ko
Inventor
에른스트 뵈스너
스테판 돌
마르틴 스투삭
Original Assignee
헤클러 운트 코흐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헤클러 운트 코흐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헤클러 운트 코흐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201234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34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39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39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3/00Breech mechanisms, e.g. locks
    • F41A3/12Bolt action, i.e. the main breech opening movement being parallel to the barrel axis
    • F41A3/14Rigid bolt locks, i.e. having locking elements rigidly mounted on the bolt or bolt handle and on the barrel or breech-housing respectively
    • F41A3/16Rigid bolt locks, i.e. having locking elements rigidly mounted on the bolt or bolt handle and on the barrel or breech-housing respectively the locking elements effecting a rotary movement about the barrel axis, e.g. rotating cylinder bolt locks
    • F41A3/30Interlocking means, e.g. locking lugs, screw threa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3/00Breech mechanisms, e.g. locks
    • F41A3/12Bolt action, i.e. the main breech opening movement being parallel to the barrel axis
    • F41A3/14Rigid bolt locks, i.e. having locking elements rigidly mounted on the bolt or bolt handle and on the barrel or breech-housing respectively
    • F41A3/16Rigid bolt locks, i.e. having locking elements rigidly mounted on the bolt or bolt handle and on the barrel or breech-housing respectively the locking elements effecting a rotary movement about the barrel axis, e.g. rotating cylinder bolt locks
    • F41A3/26Rigid bolt locks, i.e. having locking elements rigidly mounted on the bolt or bolt handle and on the barrel or breech-housing respectively the locking elements effecting a rotary movement about the barrel axis, e.g. rotating cylinder bolt locks semi-automatically or automatically operated, e.g. having a slidable bolt-carrier and a rotatable bolt
    • F41A3/28Rigid bolt locks, i.e. having locking elements rigidly mounted on the bolt or bolt handle and on the barrel or breech-housing respectively the locking elements effecting a rotary movement about the barrel axis, e.g. rotating cylinder bolt locks semi-automatically or automatically operated, e.g. having a slidable bolt-carrier and a rotatable bolt having fixed locking elements on the non-rotating bolt and rotating locking elements mounted on the barrel or breech housing, e.g. rotatable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3/00Breech mechanisms, e.g. locks
    • F41A3/12Bolt action, i.e. the main breech opening movement being parallel to the barrel axis
    • F41A3/14Rigid bolt locks, i.e. having locking elements rigidly mounted on the bolt or bolt handle and on the barrel or breech-housing respectively
    • F41A3/16Rigid bolt locks, i.e. having locking elements rigidly mounted on the bolt or bolt handle and on the barrel or breech-housing respectively the locking elements effecting a rotary movement about the barrel axis, e.g. rotating cylinder bolt locks
    • F41A3/26Rigid bolt locks, i.e. having locking elements rigidly mounted on the bolt or bolt handle and on the barrel or breech-housing respectively the locking elements effecting a rotary movement about the barrel axis, e.g. rotating cylinder bolt locks semi-automatically or automatically operated, e.g. having a slidable bolt-carrier and a rotatable bol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rtable Nailing Machines And Staplers (AREA)
  • Toys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Turbine Rotor Nozzle Sealing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머리 캐리어(1), 그 안에 장착되고 다수의 개머리 러그(104)를 포함하는 개머리 헤드(100), 및 다수의 로킹 러그(204)를 포함하는 로킹 피스(200)를 포함하는 회전 러그 개머리에 관한 것이다. 로킹 러그(204) 상의 로킹 피스(200)에는 후향 캠 섹션(208)이 형성된다. 개머리 헤드(100)가 해제될 때, 상기 캠 섹션은, 그 도중에 개머리 러그(104)의 후방 단부면(106)이 로킹 러그(204)의 전방 단부면(206)으로부터 분리되는 해제 운동을, 제어 개머리 러그(104h') 상에 대응 형성된 전향 제어 섹션(132)에 의해, 개머리 헤드(100)에 유지된 카트리지 케이스를 약실로부터 해제시키기 위한 개머리 헤드(100)의 나사 운동으로 전환시키며, 상기 나사 운동 중에 제어 섹션(132)은 캠 섹션(208) 상에 지지된다. 로킹 중에, 상기 캠 섹션은 사전-제어 기능을 수행하며, 이 사전-제어 기능은 개머리 캐리어(1)의 제어 게이트(60) 내의 제어 핀(102)을 축방향 정지부(70)로부터 제어 게이트(60)가 로킹 에지(62)에서 제어 핀(102)과 결합하는 제어 위치로 회전시키고, 개머리 캐리어(1)가 개머리 헤드(100)에 대해 전진 이동할 때는, 개머리 헤드(100)에 대해 회전 운동량을 가하며, 따라서 개머리 헤드의 직선 공급 운동을 나사 운동에 의해 로킹 운동으로 전환시킨다.

Description

회전 러그 개머리 및 무기{ROTARY LUG BREECH AND WEAPON}
본 발명은, 노리쇠 캐리어와 그 안에 설치되는 노리쇠를 갖는 회전 러그 개머리로서, 다수의 로킹 러그를 갖는 수용체와 다수의 개머리 러그를 갖는 회전 러그 개머리에 관한 것이다.
상, 하, 전, 후, 좌, 우와 같은 이하에서의 방향성 정보는 슈터의 시각에서 조준 위치에 유지되는 무기를 지칭한다.
회전 러그 개머리의 기본 목적 및 기본 기능은 발사될 탄약을 발사 전에 총구 또는 총열의 약실 내에 안전하게 고정시키는 것으로 구성된다. 이를 위해, 발사될 탄약이 그 충돌 베이스에 유지되는 노리쇠가 노리쇠 헤드에 도입되며, 노리쇠 헤드에서는 회전 운동에 의해 장착 소켓 형태로 고정된다. 이는 소위 수용체 내에 반경방향으로 배치되는 소위 로킹 러그에 의해 달성된다.
그렇게 하는데 있어서, 개머리 러그는 노리쇠 헤드 내의 로킹 러그 사이의 갭을 통과하고, 노리쇠 헤드 내의 로킹 러그 열을 통해서 약실 쪽으로 이동한다. 노리쇠 헤드 내의 로킹 러그에 대응하는 노리쇠 갭도 형성되며, 이 노리쇠 갭을 따라서 노리쇠는 로킹 러그 열을 통과할 수 있으며, 이후 노리쇠 헤드에 삽입되었다. 이후 노리쇠가 수용체 내에서 회전 운동함에 의해, 개머리 러그는 로킹 러그의 후방에 위치된다(보다 정확히 개머리 러그의 후방을 향하는 단부면이 로킹 러그의 전향 단부면의 전방에 위치한다). 이 위치에서, 개머리는 로크된다. 탄약이 발사되고, 그 결과적인 반동력은 충돌 베이스, 노리쇠, 개머리 러그, 및 로킹 러그를 통해서 총열에 단단히 연결된 수용체 내로 향한다. 이런 식으로, 발사 도중 또는 발사 직후의 개머리가 바람직하지 않게 후방으로 움직이는 것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새 탄약이 수동 재장전 없이 개머리 구조에 의해 도입되는 자동화 무기에서, 노리쇠는 통상, 개머리 스프링에 의해 전방으로 푸시되는 노리쇠 캐리어 내에 설치되고, 반동 효과의 결과로서 추진 가스 및 로드에 의해 개머리 효과에 대항하여 후방으로 푸시된다. 그리하여 로킹 및 해제를 위한 노리쇠의 회전 운동이 게이트 제어에 의해 달성되며, 이는 노리쇠 캐리어와 노리쇠 사이에 작용하고, 노리쇠 캐리어의 운동과, 그로 인해 유도되는 노리쇠 캐리어와 노리쇠 사이의 상대 운동에 의해 제어된다. 이 주요 개머리 원리는 예를 들어 Heckler & Koch로부터의 Mauser MG 34, MG4, SLB 2000으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다른 회전 러그 개머리는 DE 196 00 459 또는 EP 0 188 681에 공지되어 있다.
CH 51131 A1은 로킹 러그를 갖는 스트레이트 견인 개머리를 개시하며, 이는 피치형 개머리 표면을 제공하고 측벽 상의 대응 로킹 니치를 따라서 슬라이딩하며 따라서 개머리 유닛의 해제 시에 빈 카트리지 쉘이 해제된다.
DE 419803 A는 로킹 러그가 그 회전 운동에서 직선 운동으로 곡선을 따라서 변환되는 반동-제어식 회전 러그 개머리를 개시한다.
DE 196 00 459 A1은 노리쇠가 종축 상에 줄지어 놓이는 두 줄의 개머리 러그를 가지며, 한 줄당 12개의 러그를 갖고, 그 측방 측면에는 개머리의 종축을 따라서 고피치 나사가 형성되는 회전 헤드 개머리를 개시한다. 그 결과, 대각선으로 구성된 로킹 러그도 제공되어 있는 수용체 내에서 노리쇠가 해제 및 로킹될 때, 개머리 러그 및 로킹 러그에 의해 노리쇠의 추가 회전 운동이 초래되며, 이는 제어 핀을 적소에 로크시키거나 안내 슬리브(노리쇠 캐리어) 내에서 반경방향으로 또는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안전 홈으로부터 해제시킨다.
EP 0 188 681은 종축에서 상호 앞뒤로 놓이는 두 줄의 개머리 러그를 갖는 회전 노리쇠를 사용하는 개머리 러그에 대한 총열의 후방 에지에 있는 반경방향 환형 표면으로 전진 회전 러그 개머리가 반동되는 문제를 다룬다. 이를 위해, 개머리 표면의 에지는 라운딩되며, 슈터의 시각에서 볼 때 노리쇠 표면의 우측 에지는 경사진다. 노리쇠 표면의 이 경사짐은 반동 개머리 표면에 대한 안전 간극을 생성하는 작용을 한다.
회전 러그 개머리는 또한 머신 건에 사용되며, 여기에서 개머리 구조는 모든 상당한 추진 기능을 수행하는 바, 구체적으로 카트리지 벨트로부터의 탄약의 장전, 빈 발사된 카트리지 쉘의 제거와 확실한 폐기, 및 내부에 탄약이 구비된 탄약 벨트의 수송을 수행한다. 또한, 각각의 슈팅 사이클에서는, 상당한 매스가 무기 내에서 전후로 이동되는 바, 발사 방향으로, 즉 보어 축의 방향으로, 하지만 예를 들어 카트리지 벨트 공급 동작 시에 발사 방향에 횡방향으로 이동된다. 또한, 노리쇠는 신속한 전후 회전 운동을 수행한다. 이들 운동이 더 높은 박자(발사 주기)로 이루어지면, 실질적인 종방향 또는 횡방향, 또는 회전 가속도가 발생하며, 이는 발사될 때 무기가 탈선하므로 수동 장전식 머신 건에서의 조준 정확도를 제한한다.
그러나, 개머리 속도가 감소되고 따라서 가속도가 감소되도록 발사 박자가 감소되면, 탄약의 재장전 및 공급에 필요한 조작력이 더 이상 확실히 인가될 수 없고 무기가 고장나는 것이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머신 건의 경우에도 매끄러운 발사 특징이 달성될 수 있도록 모든 작동, 안내 및 제어 힘이 가능한 한 감소되고, 개선된 히트율(hit ratio) 및 증가된 조준 정밀도를 가능하게 하는 개머리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회전 러그 개머리에 작용하는 조작력과 가속도를 감소시키고, 그에 따라 개선된 회전 러그 개머리를 제공하는 하나의 목적을 알 수 있다.
이 목적은 청구항 1에 따른 회전 러그 개머리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회전 러그 개머리는, 카트리지 쉘이 총열의 약실로부터 해제되는 해제 기능이 노리쇠와 노리쇠 캐리어 사이의 상대 운동을 통해서만 제어되지 않도록 설계된다. 대신에, 수용체 내에 캠 섹션이 생성되며, 이는 노리쇠 상의 대응 구조의 제어 섹션과 함께 작용한다.
그 결과, 해제 과정에서, 노리쇠의 회전 운동은 노리쇠 캐리어와 노리쇠 사이 또는 제어 게이트와 제어 핀 사이의 상대 운동의 결과로서 수용체에 대한 나사 운동으로 전환되며, 노리쇠의 제어 섹션은 수용체 상의 캠 섹션과 함께 작용하여 상기 나사 운동을 제어한다.
이 나사 운동은 노리쇠를 수용체로부터 나사식으로 안내한다. 그렇게 하는데 있어서, 캠 섹션은 노리쇠가 그 제어 섹션에 의해 얹히는 쐐기로서 작용하고, 제어 게이트를 거쳐서 제어 핀에 전달되는 토크는 부분적으로 견인력으로 전환되며, 이는 노리쇠가 그 완전히 해제된 위치로 회전되고 노리쇠 캐리어로부터 직선적으로 수용체 밖으로 후방 견인되기 전에 변형된 카트리지 쉘이 약실 내에 타이트하게 체류되어도 발사후 약실로부터 매끄럽게 해제되게 할 수 있다. 이 이완 기능은 여러가지 장점을 갖는다:
1. 빈 발사된 탄약이 약실로부터 "부드럽게" 감속 직선 운동으로 해방된다.
2. 제어 게이트 내의 해방 측면 및 캠 섹션의 피치 또는 낙하 구배의 적절한 선택에 의해, 힘을 증가시키는 레버리지가 발생될 수 있으며, 이는 심지어 타이트하게 체류되거나 심하게 변형된 카트리지 쉘이 약실로부터 제거되게 할 수 있다.
3. 추출기는 그 주요 추출 기능에서 보호되며, 그 결과 그 수명이 현저히 증가된다.
추출력이 매끄럽게 카트리지 베이스로 전달되고 추출기 홈을 거쳐서 카트리지 쉘에 전달되기 때문에, 심하게 변형된 카트리지 쉘의 카트리지 베이스가 복귀 개머리에 의해 찢겨나가고 카트리지 쉘의 일부가 약실에 체류될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 조치는 구비된 무기의 발사 특징을 현저히 부드럽도록 설정하여 신뢰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데 기여한다. 제작에 보다 바람직한 구조에 관하여, 캠 섹션은 로킹 러그 상에 생성되고 대응 제어 섹션은 개머리 러그 상에 생성된다. 이런 식으로, 이 기능은 수용체 또는 노리쇠에 대한 조절에 관한 추가 구조물이 없이 얻어질 수 있다.
또한, 수용체 내의 캠 섹션은, 노리쇠 캐리어의 제어 게이트 내의 충돌면에 존재하는 제어 핀을 비트는 연장 노리쇠의 로킹 단계 중에 노리쇠 캐리어의 제어 게이트가 제어 핀을 거쳐서 노리쇠에 각운동량을 발휘하여 이를 수용체에 대해 더 회전시키고 이를 그 로킹 단부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배치 및 구성된다. 이 사전-제어 기능은 또한 기능적 신뢰성을 증가시키고 무기의 취급 특징을 개선시킨다.
청구항 2에 따르면, 노리쇠 헤드는 그 전방 영역에 있는 원통형 샤프트 표면을 거쳐서 수용체 내에서 축방향 안내를 경험하며, 이는 노리쇠 헤드가 수용체 내로 및 노리쇠 캐리어 내로 비틀리지 않고 안내되어 매우 적은 레벨의 내부 마찰과 더불어 모든 제어, 사전-제어, 로킹 및 해제 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적용 가능하다면 해제 및 로킹 과정에서 노리쇠 헤드에 작용하는 횡방향 힘과 교차하고 상기 노리쇠 헤드를 지지하는 로킹 러그의 내향 헤드면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보다 낮은 박자에서도, 로드에 의해 개머리 시스템 내에 도입되는 에너지의 충분한 부분이 벨트 수송, 벨트 제거 및 탄약 공급, 뿐만 아니라 쉘의 제거 및 폐기에 이용될 수 있다.
청구항 3의 조치에 의해, 노리쇠는 로킹 과정이 적용되기 전에 전진 개머리에 의한 각운동량을 받지 않으며, 실질적으로 힘이 없이 대응 안내 트랙 내에서 무기의 보디 내에서 전진될 수 있음이 보장된다. 따라서 이들 안내 트랙은 예를 들어 노리쇠의 측방 측면 내의 개머리 러그 사이의 갭에 결합된다. 추가로, 이 조치는 노리쇠가 수용체에 진입할 때 우발적으로 비틀리지 않고 재밍되도록 보장한다. 이것은 특히 여러 줄을 갖는 회전 러그 개머리에서 유리한 바, 이런 식으로 노리쇠가 수용체 내의 그 로킹 위치로 회전되기 전에 수용체 내에 완전히 삽입될 수 있도록 보장하기 때문이다.
청구항 4 내지 청구항 8에 따른 추가 발전은 개머리 기능, 특히 노리쇠와 수용체 사이, 또는 노리쇠와 노리쇠 캐리어 사이(및 제어 게이트와 제어 핀 사이)의 일괄 작용을 개선 및 최적화하기 위한 다른 특징에 관한 것이다.
청구항 4는 노리쇠 러그 또는 개머리 러그 각각의 일괄 작용 단부면의 경사 또는 피치에 관한 것이다. 그렇게 함으로써, 최종 로킹 또는 주요 해제는 각각, 평면 내에서 발생하지 않고, 오히려 제한된 피치를 갖는 나선형 트랙 상에서 발생한다. 이는 카트리지가 약실 내에 특히 신뢰성있는 방식으로 도입될 수 있고 노리쇠가 약실에 대해 정확히 배치될 수 있다는 해제 도중의 장점을 갖는다. 이 수단에 의해 로킹 운동의 종료 시의 반동 효과도 감소된다.
해제 과정에서, 일괄 작용하는 단부면의 이 형태의 경사는, 해제 운동 중에 먼저 양 단부면이 상호 분리될 수 있고 충돌 베이스가 카트리지 베이스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충돌 베이스와 카트리지 베이스 사이에 어떠한 제한적 마찰 효과도 발생하지 않는다는 장점을 갖는다. 따라서, 노리쇠는 추출 클램프가 카트리지 쉘 주위의 카트리지의 에지와 결합하는 상태에서 이동할 수 있으며, 해제 운동은 충돌 베이스와 카트리지 베이스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서도 방해받지 않고 로크 단부면 사이의 이러한 마찰에 의해서도 방해받지 않는다. 즉, 노리쇠는 상기 캠 섹션이 카트리지 쉘의 제어 섹션과 함께 약실로부터 지렛대 운동되기 전에 그 부분 해제된 위치에 도달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따른 개머리 러그의 복수열 구조는, 개머리 및 노리쇠 러그의 단부면에 큰 로킹 면을 갖는, 회전 러그 개머리의 특히 콤팩트하고 가느다란 설계를 가능하게 한다.
로킹 및 해제 도중의 노리쇠의 안내를 더 개선하기 위해서, 두 개의 인접한 로킹 러그 사이에서 연장되고 상기 로킹 러그 상의 대응 활성 표면에 의해 형성되며 해제 및 로킹 중에 제어 개머리 러그에 결합되는 안내 채널이 제공된다. 이런 식으로, 제어 개머리 러그는 소정의 매스 공차를 갖고, 적용가능하다면 베이스 유격을 갖고 안내 채널로 안내되며, 로킹 도중의 축방향 운동과 회전 운동 사이의 운동 천이 또는 해제 도중의 회전 운동과 축방향 운동 사이의 운동 천이는 제어 개머리 러그에 정확히 전달되고, 따라서 운동 천이 도중의 반동 효과는 무력화되고 운동의 흐름이 영향받지 않는다(청구항 6).
이 경우의 안내 채널은, 하나의 로킹 러그 상에 캠 섹션을 형성하고 다른 로킹 러그 상에는 캠 섹션과 대면하고 대각선으로 전방을 향하는 안내면을 형성하는, 두 개의 인접하는 로킹 러그의 두 개의 대면하는 측방 표면에 의해 생성된다. 이 구조는 제어 개머리 러그가 두 개의 안내면 사이에서 항상 제어식으로 안내되도록 보장한다. 이는 두 개의 인접한 로킹 러그의 측방 표면 사이에서 또는 하나의 로킹 러그 상의 캠 섹션과 다른 로킹 러그 상의 안내면 사이에서 이루어진다.
이런 식으로, 로킹 및 추출 나사 운동(리프트 기능) 중의 상기 사전-제어 운동 역시 특히 확실하게 제어된다(청구항 7).
청구항 8에 따른 제어 개머리 러그의 설계는 이 안내 효과를 개선한다.
청구항 9에 따른 조치는 먼저 무기 내에서의 노리쇠 안내를 개선시키며, 둘째로 추출된 개머리 구조에 있는 노리쇠가 우발적으로 과격하게 노리쇠 내의 그 시트로부터 전진 위치로 지렛대 이동하여 노리쇠 캐리어 내의 노리쇠용 시트를 손상시킬 수 없도록 보장한다.
노리쇠의 상면에 있는 방출 슬롯에 의해 분리되는 공급 돌기는, 첫 번째로, 카트리지를 카트리지 벨트로부터 방출하는 동안 및 약실 내에서의 수송 중에 대칭적 카트리지 공급을 허용하고, 두 번째로, 동시에, 무기 본체 내에 중심 배치되고 이후 카트리지 쉘을 대응 배출 샤프트를 통해서 수직 하방으로 정확히 전진시킬 수 있는 추출기를 허용한다(청구항 10).
로킹 러그 사이의 청구항 11에 따른 리세스는 보디 내의 개머리 구조의 안내 특징을 개선시키며, 상기 노리쇠가 수용체 외부에 위치할 때 노리쇠의 우발적인 회전 운동을 방지한다. 청구항 12에 따른 추가 제공되는 롤러 가이드는, 특히 개머리 구조에 의해서도 급전되고 노리쇠 캐리어와 보디 사이의 마찰력이 상당히 감소되는 카트리지 전진 장치와 관련하여 전체 개머리 구조의 운동 특징을 개선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 러그 개머리를 갖는 개머리 구조를 전방으로부터 대각선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개머리 구조를 후방으로부터 대각선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개머리 안내 구조의 영역에서의 무기 보디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개머리 구조를 통한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개머리 구조의 (A-A를 따라서 취한) 단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k는 개머리 로킹/해제의 실질적인 기능 시퀀스를 설명하기 위한, 개머리 러그 위치와 관련 제어 핀 위치의 개략도이다.
도 7은 노리쇠의 측면도이다.
도 7a는 도 7로부터의 노리쇠의 개머리 러그의 상세도(상세 Y)이다.
도 8은 수용체의 후면도 및 종단면도(A-A)이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는 가스 압력 장전기로서 구성되는 도시되지 않은 머신 건의 개머리 구조를 도시한다.
도 1 내지 도 5에서, 중요한 부품들은 식별 가능하다.
개머리 구조는, 그 전방 단부에서 로드(2)를 거쳐서 무기의 (도시되지 않은) 가스 흡입부에 결합되는 노리쇠 캐리어(1)를 포함한다. 이를 위해서, 가스 흡입부는 피스톤(4)의 단부면에서 가스 흡입 실린더(도시되지 않음)를 거쳐서 가스 압력을 생성하며, 이는 위치 힘을 로드(2)를 거쳐서 노리쇠 캐리어에 전달하고, 상기 피스톤을 보디(6)(도 3 참조) 내에서 후방을 향해 밀어낸다.
보디(6)(도 3 참조)는 여기에서, 보디(6) 내에서의 노리쇠 캐리어(1)의 전후 이동을 안내하는 개머리 안내 트랙으로서 작용하는 안내 트랙(12, 14, 16, 18)을 그 내부에 갖는 두 개의 보디 케이싱(8, 10)에 의해 형성된다.
하부 안내 트랙(12, 14)은 따라서 노리쇠 캐리어(1)의 좌우 측부에 있는 안내 홈(20, 22)에 결합되고, 상기 노리쇠 캐리어를 횡축 및 수직축에 고정되는 종축 상에서 수평으로, 즉 보디(6) 내의 보어 축(24)(도 1 및 도 2 참조)을 따라서 안내한다.
전후 좌측 안내 홈(20)과 우측 안내 홈(22) 사이에는 가이드없는 중간 공간(21)이 형성되기 때문에, 안내는 특히 낮은 정도의 마찰을 가지며 오염물질에 대해 민감하지 않다. 오염물질은 안내 트랙(12, 14)을 발톱 모양으로 둘러싸는 안내 홈(20, 22)에 의해 벗겨지고 안내 트랙(12, 14)으로부터 제거되며, 따라서 오염물질이 실제 안내 영역에 봉입될 수 없다. 이런 식으로, 실제 안내면과 그로인한 결과적 마찰력 또한 최소로 유지된다. 노리쇠 캐리어(1)의 전방 및 후방 단부에 안내 홈(20, 22)이 각각 쌍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노리쇠 캐리어는 그 전체 길이에 걸쳐서 지지되며 경사 없이 보디 내에 삽입된다.
또한, 노리쇠 캐리어(1)는 상부 후방 단부에 개머리 안내 장치(30)를 가지며, 이 개머리 안내 장치는 캐리어 부품 형태의 안내 샤프트(32)를 포함하고, 상기 안내 샤프트는 제어 부품으로서 기능하는 제어 롤러(34)를 그 상단부에 회전식으로 수용하며, 안내 샤프트(32) 상에 회전식으로 안착되고 노리쇠 캐리어(1)의 측면에 걸쳐서 측방으로 연장되는 노리쇠 캐리어(1)의 측방 리세스(26) 내에 축방향으로 삽입되는 안내 부품으로서 기능하는 안내 롤러(36)를 통과한다. 안내 샤프트(32), 제어 롤러(34), 및 안내 롤러(36)는 보어 축(24)에 수직하게 연장되는 대칭축(33)에 대해 동축적으로 배치된다. 안내 샤프트(32) 자체는 노리쇠 캐리어(1)의 리셉터 개구(38) 내에 축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방식으로 안착되고 스프링(40)에 의해 상향 푸시되며, 리셉터로서 기능하는 노리쇠 캐리어(1) 내에서 스프링의 압력에 대항하여 하향 푸시될 수 있다. 축방향 위치설정 경로는 안내 샤프트(32)의 외표면 상의 리세스(42)에 의해 형성되며, 여기에서 노리쇠 캐리어(1)를 측방향으로 통과하는 유지 핀(44)이 정지부를 형성한다. 따라서, 안내 샤프트(32)는 유지 핀(44)에 대항하여 리세스(42)의 상부 충돌면과 하부 충돌면 사이에서 변위될 수 있으며, 이는 또한 안내 샤프트(32)가 스프링(40)에 의해 리셉터 개구(38)로부터 상향 푸시되지 못하게 한다. 제어 롤러(34)는 안내 샤프트(32)의 상단부에서 스터드(46) 및 스페이서(48)에 의해 회전식으로 고정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어 롤러(34)(제어 부품)는 곡선 레버(50)의 U형 제어 게이트에 결합되며, 따라서 제어 롤러(34)는 그 구형 원주면과 함께 측방 아암(52, 54)의 내부 측면에 교호적으로 결합된다. 따라서, 제어 롤러(34)는 전후로 주행하는 노리쇠 캐리어(1)용 작동 캠으로서 작용하며, 이 캠은 곡선 레버를 보어 축(24)에 대해 직각으로 전후로 이동시키고, 이는 다시 카트리지 전진 기구를 구동한다. 곡선 레버(50)는 운동 방향에 따라서 그 아암(52, 54)을 거쳐서 제어 롤러(34)에 횡방향 힘을 전달하고 따라서 안내 샤프트(32)를 거쳐서 노리쇠 캐리어(1)에 전달하며, 이후 노리쇠 캐리어는 그 결과로 보디(6)를 향해서 좌우로 횡방향으로 경사진다. 이들 횡방향 힘이 보어 축(24)을 따르는 노리쇠 캐리어(1)의 안내 특징 및 운동성을 제한하지 않도록, 안내 트랙(16 또는 18) 각각 상에서의 마찬가지의 구형 안내 롤러(36)는 이들 횡방향 하중을 언롤링(unrolling) 방식으로 보디(6)에 전달한다. 안내 홈(20, 22)은 따라서 안내 트랙(12, 14)의 기울기에 의해 재밍되지 않는다. 제어 롤러(34)의 제어 및 공급 기능은 보디(6) 내의 노리쇠 캐리어(1)의 운동에 대해 아마도 제한적인 감속 마찰 효과를 초래할 뿐이다.
구형 롤러(34, 36)로서의 이들 안내 부품 또는 제어 부품의 실행은 각각 특히 매끄러운 안내를 보장한다. 예를 들어, 우측 아암(52)이 좌측을 향해 작용하는 힘을 제어 측면을 거쳐서 제어 롤러(34)의 우측에 가하면, 안내 롤러(36)는 좌측 안내 트랙(16)의 안내 측면 상의 좌측에 머무른다. 즉, 롤러(34, 36)는 양 측면에서 반대 방향으로 구른다. 안내 트랙(16, 18)의 대면 측면과 아암(52, 54) 사이 간격의 적절한 유격 또는 치수화에 의해서, 특히 매끄러운 안내 기능이 얻어질 수 있다. 롤러(34, 36)의 구형 언롤링 면은 노리쇠 캐리어(1)의 약간 경사진 위치에서도 깨끗한 언롤링 작용을 보장하며, 또한 그 언롤링면이 안내 트랙(16, 18)의 안내 측면 및 곡선 레버(50)의 레그(52, 54)의 내부 측면 상에 있는 약간 경사진 위치에서 구른다.
곡선 레버(50)는, 회전될 수 있고 힌지식으로 개방될 수 있는 커버(56) 내에 배치되며, 이는 기본 전진 기구(도시되지 않음)를 수용한다. 안내 샤프트(32)는 스프링(40)을 거쳐서 제어 롤러(34)와 함께 노리쇠 캐리어(1) 내로 후퇴될 수 있도록 설계되기 때문에, 커버는 곡선 레버(50) 또는 제어 롤러(34)가 손상될 수 있는 위험 없이 임의의 후미 위치에 폐쇄될 수 있다. 아암(53, 54) 중 하나가 끝나서 그 단부가 제어 롤러(34) 상에 위치하는 상태가 되면, 그 아암은 안내 샤프트(32)와 함께 노리쇠 캐리어(1) 내의 수용체 개구(38) 내로 푸시될 것이다. 보어 축(24)을 따르는 노리쇠 캐리어(1)의 로딩 운동에 있어서, 제어 롤러(34)의 상단면은 이후 제어 롤러(34)가 다시 완전히 곡선 레버(50)의 트랙 내에 있고 스프링(40)의 작용하에 그 안에 떨어질 때까지 아암(52, 54) 중 하나의 하단면을 따라서 슬라이딩한다.
제어 롤러(34) 및 안내 롤러(36)의 구름 특징을 개선하기 위해, 안내 샤프트의 외표면 및/또는 제어 롤러(34) 및 안내 롤러(36)의 내표면은 (코팅 처리를 통해서) 특히 매끄러운 표면을 나타낼 수 있다. 그 부분을 위한 제어 롤러(34) 및 안내 롤러(36)를 적절한 롤러 베어링에 의해 안내 샤프트(32)에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시되지 않은) 다른 실시예에서는, 보디(6) 내에서의 노리쇠 캐리어(1)의 운동 중에 안내 트랙(12, 14, 16, 18)에 대한 마찰 저항을 더 줄이기 위해 롤러 베어링이 안내 홈(20, 22)의 영역에 제공될 수도 있다. 롤러[제어 롤러(34), 안내 롤러(36)] 대신에 제어/안내 부품이 제공되고 이 부품이 마찬가지로 안내 샤프트(32)에 대해 이동/변위될 수 있는 곡선 레버의 내부 측면 또는 안내 측면과 각각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되는 실시예도 있다. 이러한 부품은 보어 축(24) 및 대칭축(33)에 걸쳐있는 대칭 평면에 대해 절첩식으로 적어도 대칭적이다.
도시된 개머리 구조에는 소위 회전 러그 개머리가 제공되며, 여기에는 노리쇠(100)가 축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도록 그리고 로킹 위치와 해제 위치 사이에서 노리쇠 캐리어(1)의 상면 상의 안내 슬리브(58) 내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수용된다. 그 전방 단부에서 노리쇠(10)는 앞뒤로 놓이는 두 개의 원 내에서 네 개의 전방(104v) 및 네 개의 후방(104h) 개머리 러그를 지지하며, 이들 러그는 각각 1시와 2시 로크 위치, 4시와 5시 로크 위치, 7시와 8시 로크 위치, 및 10시와 11시 로크 위치 사이에서 앞뒤 쌍으로(시계 문자판 방위로 주어짐) 배치된다. 로킹 러그(104v, 104h) 사이에는,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방 갭이 제공되며, 이 측방 갭은 수용체(200) 내에서 로킹 기능을 수행하고 보디(6) 내에서 노리쇠(100)를 안내하는 작용을 한다.
도시된 개머리 구조는 소위 오픈 노리쇠 무기에 제공되며, 여기에서 전체 개머리 구조는 발사 전에 장전되어야 하고 발사시에 전진하는 탄약 뒤에 배치되고, 이는 탄약을 탄약고/약실(도시되지 않음) 내에 공급하며 개머리 로킹 이후에 작동된다.
도 1, 도 2, 도 4 및 도 5에서 노리쇠(100)는 그 해제 위치에 있으며, 도 6d 내지 도 6f에서 이는 로크 위치에 도시되어 있다. 개머리 구조가 보디(6) 내에서 움직일 때, 노리쇠(100)는 로킹 러그(104v, 104h) 사이의 두 측방 갭(9시와 3시 로크 위치)에서 연장되는 안내 트랙(16, 18)에 의해 해제 위치로부터의 우발적인 비틀림에 대항하여 안내된다.
추가로, 노리쇠(100)의 전방 단부에는 두 개의 공급 돌기(108)가 제공되며, 그 사이에서 방출 슬롯(110)이 연장된다. 이들 공급 돌기(108)는 카트리지 공급 작용을 하며, 보디 상에 단단히 배치된 방출기(도시되지 않음)는 후방으로 이동될 때(이하 참조) 빈 격발된 카트리지 쉘을 무기로부터 방출시킨다. 공급 돌기(108) 쌍은 무기 내에서의 탄약 수송 중에 카트리지의 안정적인 안내를 가능하게 한다.
노리쇠(100)의 회전 운동은 하향 연장되는 제어 핀(102)(도 4, 도 5 및 도 7 참조)을 거쳐서 전달되며, 제어 핀은 노리쇠 캐리어의 제어 게이트(60) 내로 연장되고 그곳에서는 노리쇠 캐리어(1)에 대한 노리쇠(100)의 상대 운동에 의해, 그 운동 방향 및 무기의 작동 상태에 따라서 다양한 회전 위치로 편향된다. 이를 위해, 제어 게이트(60)는 로킹용 제어 측면(62) 및 해제용 제어 측면(64)을 거쳐서 상호 병합되는 전방 선형 안내 영역(66) 및 후방 선형 안내 영역(68)을 갖는다. 전방 선형 안내 영역(66)의 후방 단부에서는, 평면적 충돌면(70)이 보어 축(24)에 직각으로 생성되며, 이는 선형 안내 영역(66)에 배치된 제어 핀(102)과 전방 이동 노리쇠 캐리어(1)에 의해서 노리쇠(100)에 각운동량이 전혀 전달되지 않도록 제어 핀(102)의 후방 단부면(128)과 함께 작용한다.
제어 핀(102)은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쐐기형 단면 프로파일을 가지며, 제어 게이트(60)의 대응적으로 구성된 수용체 프로파일, 특히 선형 안내 영역(66, 68)에 결합된다. 이를 위해, 노리쇠(100)는 그 측방 측면(139)에 의해 제어 게이트(60)에 제비꼬리 가이드 방식으로 유지되고, 안내 슬리브(58) 내에 경사지지 않도록 고정된다. 노리쇠(예를 들어 추출된 개머리 구조를 갖는)는 특히 노리쇠의 후방 단부가 안내 슬리브 내에 약간의 중첩만을 갖고 위치할 때(도 4에서의 위치 참조) 안내 슬리브(58)로부터 우발적으로 떨어져 나올 수 없다.
노리쇠의 체계적인 제거를 위해서, 선형 안내 영역(68)의 후방 단부에는 제거 창(71)이 제공되며, 이 제거 창으로부터 제어 핀(102)은 노리쇠(100)의 회전 운동에 의해 안내 슬리브(58) 내로 회전될 수 있고, 따라서 노리쇠(100)는 안내 슬리브(58)로부터 전방을 향해서 제거될 수 있다.
격침(firing pin) 채널(116)은 노리쇠(100) 내에서 보어 축(24)에 동축적으로 연장되며, 이 채널 내에서 격침(118)은 변위될 수 있도록 안내된다. 격침(118)은 그 후방 단부에 있는 구형 헤드(120)와 함께 수용 챔버(59)에 수용되며, 크로스-핀(122)에 의해 노리쇠(1) 내에 축방향으로 부착된다. 노리쇠 캐리어(1)와 노리쇠(100) 사이의 상대 운동에 의해, 격침은 노리쇠(1)와 함께 전후로 이동하는 바, 이는 노리쇠(100)에 대해 상대적인 것이다. 총탄 발사 중에, 격침(118)은 격침 개구(124)를 통해서 푸시되고, 발사될 탄약의 베이스가 위치되는 곳인 노리쇠(100)의 전방 단부에서 충돌 베이스(16)로부터 연장되며, 뇌관을 때린다. 추출 클로(112)는 카트리지의 추출 홈 내에 결합되며, 이는 스프링 로딩된 압력 핀에 의해 그 유지 위치로 푸시된다. 이를 위해서, 인장은, 카트리지 베이스의 후방 에지에 걸쳐서 압력 핀이 카트리지의 로딩 중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회전된 후 약실 내의 적소에 유지된 카트리지의 추출 홈 안으로 떨어질 수 있도록 세팅된다.
노리쇠(100) 상의 개머리 러그(104)는 로킹 과정 중에 수용체 상의 로킹 러그(204)와 함께 작용한다. 이를 위해서, 개머리 러그(104)는 먼저 수용체(200) 내의 리세스(202)(도 8) 사이에 넣어지고, 제어 게이트(60) 내에 로크하기 위한 제어 측면(62)이 제어 핀(102)에 결합되어 상기 제어 핀을 회전시키고 또한 개머리 러그(104)를 수용체(200) 내의 로킹 러그(204) 전방으로 이동시키는[노리쇠(100)가 회전됨] 위치로 이동되며, 따라서 개머리 러그의 후향 단부면(206)은 로킹 러그(204)의 전향 단부면(206)에 대해 얹혀서 노리쇠를 직선 방향으로[보어 축(24)의 방향으로] 체포, 즉 로크시킨다. 그 결과, 노리쇠(100)는 또한, 단단히 정해진 위치에서 수용체에 연결되는 총열(도시되지 않음)의 후방 단부에 설치되는 약실(도시되지 않음)에 대해 정확히 배치된다.
해제 중에, 제어 측면(64)은 제어 핀(102) 내에서 노리쇠(100)에 대한 노리쇠 캐리어(1)의 상대 운동 시에 제어 게이트(60)와 결합되며, 상기 제어 핀을 회전시켜 그 로킹 위치로부터 벗어나게 하고, 따라서 노리쇠(100)는 다시 수용체(200) 상의 리세스(202)를 통해서 개머리 러그(104h, 104v)와 함께 후방을 향해 직선 방향으로 제거될 수 있다.
로킹 및 해제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수용체(200) 내에는 안내 채널(209)(도 6c 참조)이 제공되며, 이는 부분적으로 캠 섹션(208)(도 6 및 도 8 참조)을 따라서 연장되고, 제어 개머리 러그(104h')와 일괄적으로 노리쇠(100)에 작용한다.
안내 채널(209)은 도 6c에 파선으로 도시된 경계 사이에서 연장된다. 이는 캠 섹션(208) 및 로킹 러그(204a)에 의해 원주 방향으로 상호 인접하는 로킹 러그(204a, 204b)의 상호 대면하는 측방 표면(207a, 207b)에 의해 형성된다. 이런 식으로 형성된 안내 채널(209)은 제어 개머리 러그(104h')를 그 측방 측면(109a, 109b)을 따라서 제어 섹션(132) 및 안내 섹션(111)(도 6, 도 7 및 도 7a 참조)을 거쳐서 안내한다.
이 구조의 효과는 주로 카트리지 추출 과정을 개선하고 해제 및 로킹 중의 전체 운동 시퀀스를 그것이 유동적이고 지나치지 않도록 구성하는 작용을 한다.
개머리 구조가 발사 중에 경험하는 정확한 기능은 완전한 운동 사이클에 의해 명백하다. 이는 도 6a 내지 도 6k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 도면에서 개머리 러그(104 또는 104h', 104v) 각각과 로킹 러그(204 또는 204a, 204b) 각각은 느슨하게 꼬이고 서로를 향해 회전된다. 제어 게이트(60) 내의 제어 핀(102)의 대응 위치는 크로스해칭으로 도시되어 있다.
I. 발사
무장 병기에 있어서, 개머리 구조[노리쇠 캐리어(1) 및 노리쇠(100)]는 보디(6)의 후방 위치에 배치된다. 개머리 스프링(도시되지 않음)은 노리쇠 캐리어(1) 내에서 두 개의 스프링 아이(72) 영역에 로딩 결합되고, 개머리 스프링 아이(72)를 인장 하에 통과하는 개머리 스프링 안내봉(도시되지 않음) 상에 위치한다. 노리쇠 캐리어(1)는 걸쇠 캐치(74) 상에 유지된다. 노리쇠(100)는 그 해제 위치에 있으며, 안내 트랙(16, 18)에 의해 이 회전 위치에 유지된다. 제어 핀(102)은 전방 선형 안내 영역(66)에 있다. 개머리 구조가 해제되면, 걸쇠 캐치(74)는 해제되고 개머리 구조는 개머리 스프링의 효과 하에 전방으로(화살표 방향으로, 도 6a 내지 도 6e 참조) 달린다.
Ⅱ. 카트리지 공급(도 6a)
이를 위해서, 공급 돌기(108)는 벨트 상의 카트리지의 하부 에지와 결합되며, 상기 카트리지를 벨트로부터 제거하고, 수용체(200)에 고정되는 총열(도시되지 않음)의 약실 내로의 수용체(200)를 통한 개머리 구조의 추가 운동 중에 카트리지를 전방으로 안내한다. 마지막으로, 공급 돌기(108)가 카트리지 베이스를 만날 때, 노리쇠(100)는 노리쇠 캐리어(1) 내로 후방 푸시된다. 그렇게 하는데 있어서, 제어 핀(102)은 후방을 향한 전방 선형 안내 영역(66)에서 후방을 향해 있는 제어 게이트(60) 내로 노리쇠(1)에 대해 이동하며, 그곳에서 평면적 충돌면(70)에 대해 충돌한다. 개머리 러그(104)는 수용체(200) 내로 통과하는 로킹 러그(204) 사이의 리세스(202) 내로 강하하고, 그 상면에는 카트리지용 공급 램프(210)가 제공되며, 이로 인해 상기 카트리지가 총열의 약실 내로 더 푸시된다. 따라서 제어 개머리 로깅 러그(104h')는 안내 채널(209) 내에 삽입되며, 측방 측면(207a)을 거쳐서 그 측방 측면(109a)을 따라서 안내 채널(209) 내로 축방향으로 안내된다.
Ⅲ. 개머리의 로킹(도 6b 내지 도 6d)
보디(6) 내의 안내 트랙(16, 18)으로부터 형태-로크 방식으로 안내되는 전진 노리쇠(100)는 그 전진 열의 개머리 러그(104v)와 함께 안내 트랙(16, 18)을 빠져나가며, 먼저 수용체(200)의 후방 열의 로킹 러그(204) 위로 달린다. 노리쇠(100)의 추가 전진과 더불어, 노리쇠(100)의 후방 열의 개머리 러그(104h)도 안내 트랙(16, 18)을 빠져나간다.
노리쇠(100)는 따라서 제어 개머리 러그(104h')가 그 제어 섹션(132)에 의해 수용체(200) 내의 캠 섹션(208)과 충돌할 때까지 그 해제 위치에 유지되며, 이는 노리쇠(100)에 각운동량을 전달하여 상기 노리쇠를 그 개머리 러그(104)와 함께 이 경우 시계방향으로 그 전체 회전의 대략 1/3을 회전시킨다. 그렇게 하는데 있어서, 제어 개머리 러그(104h')는 로킹 러그(204a, 204b) 사이에서 안내 채널(209) 내의 캠 섹션(208)과 안내면(205)을 거쳐서 그 제어 섹션(132) 및 그 안내 섹션(111)에서 안내된다.
제어 로킹 러그(204b)의 캠 섹션(208)에서 제어 개머리 러그(104h')의 제어 섹션(132)의 일방적인 도달을 통해서, 노리쇠(100)는 한쪽에서 로딩되고, 보어 축(24)에 대해 횡방향으로 편향되고 재밍되는 경향을 갖는다.
개머리 러그(104) 사이에서 연장되는 원통형 샤프트 표면(105)(도 1, 도 2 및 도 5)의 외경은 로킹 러그(204)(도 8 참조)의 반경방향 내향 헤드면(203) 사이에서 보어(w)(내경)와 정렬된다. 구체적으로, 로킹 과정 중에 노리쇠(100)가 편향될 수 없고 경사질 수 없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대신에, 이는 그 원통형 샤프트 표면(105)이 로킹 러그(204)의 대응 헤드면(203)에 얹힌다. 그 결과, 노리쇠(100)는 수용체(200) 내에 축방향으로 도입되고, 경사지지 않으며, 마찰로 인한 커다란 손실 없이 그 전진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전환시키고, 수용체(200) 내의 적소에 로크된다.
이를 위해서, 제어 핀(102)의 후방 충돌면(128)은 제어 게이트(60) 내의 충돌면(70)의 영역으로부터 돌출한다. 이 제어 게이트(60) 내에 로크하기 위한 제어 측면(62)은 제어 핀(102)의 대응 제어 표면과 결합하고, 캠 섹션(208)과 제어 섹션(132) 사이의 상대 운동에 의해 도입되는 로킹 과정을 시작한다. 그렇게 하는데 있어서, 제어 측면(62)은 제어 핀(102)의 대응 제어 표면에 로크되기 위해 적용되며 따라서 노리쇠(100)를 그 로킹 위치로 더 회전시킨다.
그렇게 하는데 있어서, 카트리지 베이스는 완전히 노리쇠(100)의 충돌 베이스(126) 상에 놓이며, 추출 클로(112)는 카트리지 베이스를 대응 추출 홈 안에 삽입한다.
노리쇠(100)를 더 회전시키는데 있어서, 개머리 러그(104)는 로킹 러그(204)의 전방에 도달하며 개머리 러그(104)의 후방 단부면(106)은 로킹 러그(204)의 전방 단부면(206)의 완전히 뒤에 있다. 그렇게 하는데 있어서, 노리쇠(100)는 그 전체 회전의 대략 2/3을 더 회전한다. 로킹 표면(106, 206)은 보어 축(24)에 대해 셀프-로킹 각도로 경사지며, 잔여 로킹은 개머리 러그(104)와 로킹 러그(204) 사이에서의 낮은 피치를 갖는 일종의 나사 운동에 기인한다. 표면 결합은 따라서 셀프-로킹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즉, 노리쇠에 대한 축방향 효과는 개머리 러그(104)가 스스로 그 로킹 위치로부터 이동하는 결과를 낳지 못한다.
전술한 로킹 과정은 사전-제어부[캠 섹션(208) 및 제어 섹션(132), 전체 회전 운동의 대략 1/3] 및 최종 한정 로킹을 통해서 매우 매끄러운 방식으로, 강한 반동 운동 없이 수행된다. 단부면(106, 206)의 경사는 이 과정을 더 쉽게 만들며 따라서 내부 마찰 저항을 감소시킨다. 캠 섹션(208)의 경사는 제어 섹션(132)의 경사뿐 아니라 안내면(205) 및 안내 섹션(111)의 경사에 일치하며, 양 과정이 매끄럽게 합병되는 방식으로 상기 측면 또는 표면을 제어 핀(102)에 로크시키기 위해 제어 측면(62)의 경사 또는 제어 표면의 경사에 각각 정렬된다. 노리쇠를 로크시키기 위한 제어 측면(62)의 경사각은, 캠 섹션(208)의 노리쇠 제어가 로킹 제어 측면(62)으로 이행됨에 따라 로크 노리쇠의 회전 가속도가 증가되도록 캠 섹션(208)의 경사각에 대해 선택된다.
따라서, 제어 측면(62)의 경사각은, 제어 핀(102)이 가능한 한 유격이 거의 없이 제어 게이트(60)의 전체 길이를 통해서 특히 제어 측면 영역(62)을 통해서 이동할 수 있도록 보장하기 위해, 해제를 위한 제어 측면(64)의 경사각에 일치한다.
Ⅳ. 발사/카트리지 방출(도 6d)
제어 핀(102)은 이제 후방 선형 안내 영역(68)의 전방 단부에 위치하며, 노리쇠(100) 자체는 수용체(200) 내에 선형 방위로 배치되고, 그 둘레에서 로크된다. 이제 노리쇠 캐리어(1)는 노리쇠에 대해 전방으로 이동하며, 따라서 격침(118)의 선단이 격침 개구(124)를 통해서 전방으로 푸시하여 카트리지를 방출하는 지점까지 격침 채널(116) 내에서 격침(118)을 전방으로 푸시한다. 그렇게 하는데 있어서, 제어 핀(102)은 노리쇠 캐리어(1)가 그 전방 단부면(61)에 의해 수용체의 후향 단부면(201)과 만나서 그 전진 이동이 정지될 때까지 선형 안내 영역(68)에서 더 전진된 개머리 캐리어(1)에 대해 후방을 향해서 이동한다. 그 결과, 노리쇠 캐리어(101)와 수용체(200) 사이의 상대 운동이 중단된다.
발사 이후, 노리쇠는 피스톤(4)에 작용하는 노리쇠 캐리어(1)의 가스 압력을 거쳐서 개머리 스프링의 효과에 대항하여 후방으로 향해 푸시되며, 먼저 노리쇠(100)에 대해 후방을 향해 이동한다(화살표의 방향으로, 도 6f 내지 도 6k 참조). 격침(118)은 구형 헤드(120)를 거쳐서 격침 채널(116) 내로 후퇴된다. 그렇게 하는데 있어서, 제어 핀(102)은 전방을 향해서 선형 안내 영역(68)에 도달하며, 해제용 제어 측면(64)과 결합된다(도 6f).
V. 카트리지의 해제 및 추출(도 6f 내지 도 6h)
이제 적용되는 해제 운동에 의해, 개머리 러그(104)는 로킹 러그(204)의 영역으로부터 회전된다(도 6g). 그렇게 하는데 있어서, 충돌 베이스(126)와 카트리지 쉘 베이스 사이의 압력이 완화되고, 추출 클로(112)는 카트리지 쉘을 추출 홈 내에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한 회전 운동은 이후 제어 측면(64)과 제어 핀(102) 사이에 인가된다. 카트리지 쉘은 발사의 결과로서 팽창(변형)될 수 있으며, 총열의 약실에 확실히 재밍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제어 섹션(132)은 해제 회전 과정 중에 캠 섹션에 대해 얹혀지며, 증가된 힘과 감소된 축방향 하중에 의해 카트리지 쉘을 약실로부터(도 6g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도 6h에 도시된 위치로) 인출한다. 그렇게 하는데 있어서, 제어 개머리 러그(104h)는 그 제어 섹션(132) 및 그 안내 섹션(111)에서 로킹 러그(204b) 상의 캠 섹션(208) 및 로킹 러그(204a)의 안내면(205)을 거쳐서 로킹 중의 방식과 유사한 방식으로 안내 채널(209) 내로 안내된다.
회전 운동의 완료 이후, 개머리 러그(104)는 다시 수용체 내의 리세스(202)와 정렬된다. 제어 핀(102)은 선형 안내 영역(66)의 전방 단부에 대해 푸시되고, 이후 노리쇠(100) 및 느슨해진 카트리지 쉘을 취한 상태로 추출 클로(112)에 의해 유지되며, 그와 함께 노리쇠 캐리어(1)로부터 후방을 향해 직선적으로 안내되고, 더 후방으로 이동을 지속한다(도 6i). 이 시점에, 노리쇠(100)와 카트리지 쉘은 약실 및 수용체(200)로부터 나온다(도 6k).
추가 후방 운동에 의해, 노리쇠(100)는 다시 안내 트랙(16, 18)의 영역에 도달하며, 방출 슬롯(110)으로부터 연장되는 방출기는 카트리지 쉘을 로드(2) 내의 창(3)을 통해서 무기 밖으로 하방 푸시한다. 더 후퇴되면, 노리쇠 캐리어(1)는 로드(2)의 연장부에서 노리쇠 캐리어(1)의 하부 영역에 배치되는, 무기의 기저판(도시되지 않음) 상의 정지 핀(76)을 가격한다.
노리쇠 캐리어(1)의 내부에서, 상기 정지 핀(76)은, 환형 스프링 구조(80)에 의해 고도의 기계 에너지를 얻고 따라서 개머리 구조의 운동 에너지의 상당 부분을 제한된 반동과 더불어 매끄럽게 흡수하는 기계적 버퍼(78)에 의해 쿠셔닝된다. 방아쇠를 해방시키면, 개머리 구조는 다시 걸쇠 캐치(74)를 거쳐서 적소에 로크되며, 마지막 탄약이 벨트로부터 발사된 후 개머리는 여전히 다시 그 로크 위치에 남아있다.
하기 청구범위로부터 본 발명의 추가 특징 및 변형이 당업자에 의해 유도될 수 있다.

Claims (13)

  1. 노리쇠 캐리어(10)와 그 안에 설치되는 노리쇠(100)를 갖는 회전 러그 개머리로서, 다수의 로킹 러그(204)를 갖는 수용체(200)와 다수의 개머리 러그(104)를 갖는 회전 러그 개머리에 있어서,
    수용체(200) 내의 로킹 러그(204) 상에는 후방으로 향하는 캠 섹션(208)이 형성되고, 상기 캠 섹션은 노리쇠(100)를 해제할 때, 개머리 러그(104)의 후방 단부면(106)이 로킹 러그(204)의 전방 단부면(206)으로부터 해제되는 해제 운동을, 제어 개머리 러그(104h') 상에 대응 형성된 전향 제어 섹션(132)을 거쳐서, 노리쇠(100)에 유지되는 카트리지 쉘을 약실로부터 해제시키기 위한 노리쇠(100)의 나사 운동으로 전환시키며, 상기 나사 운동 시에 제어 섹션(132)은 캠 섹션(208) 상에 지지되고, 상기 캠 섹션은 로킹 중에 제어 섹션(132)에 결합되어 사전-제어 기능을 수행하며, 이 사전-제어 기능은 노리쇠 캐리어(1)의 제어 게이트(60) 내의 제어 핀(102)을, 전진하는 노리쇠 캐리어(1)가 노리쇠에 각운동량을 전혀 발휘하지 않는 해제 위치로부터 제어 게이트(60)가 제어 핀(102) 상의 로킹 측면(62)과 결합하는 제어 위치로 회전시키고, 노리쇠 캐리어(1)가 노리쇠(100)와 함께 전진 이동할 때는, 먼저 노리쇠(100)에 대해 각운동량을 가하며, 따라서 노리쇠의 직선 공급 운동을 나사 운동에 의해, 노리쇠(100) 및 노리쇠 캐리어가 서로에 대해 이동하는 로킹 운동으로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러그 개머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머리 러그(104)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향하는 로킹 러그(204)의 헤드면(203) 사이에서 그 외경이 보어(w)와 정렬되는 노리쇠(100)의 원통형 샤프트 표면(105)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며, 따라서 상기 헤드면(203)은 원통형 샤프트 표면(105) 상에서 축방향 안내를 제공하고 따라서 상기 노리쇠가 수용체(200) 내에서 로킹 운동 및 해제 운동을 수행하는 동안 노리쇠(100)의 측방 변위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러그 개머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핀(102)은 개머리 전진 도중에 해제 위치를 차지하고, 보어 축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어 게이트 내의 정지면(70) 상에 후방 단부면(128)에 의해 얹히며, 따라서 전진하는 노리쇠(1)는 노리쇠(100)에 대해 각운동량을 전혀 발휘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러그 개머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로킹 러그 또는 개머리 러그(204; 104)의 일괄 작용하는 단부면(106, 206)은, 단부면(106, 206) 사이에서 자기-제한적 나사 효과가 얻어지도록 선택되는, 보어 축(24)에 대한 나선형 경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러그 개머리.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및 개머리 러그(204; 104)는 적어도 두 줄로 앞뒤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러그 개머리.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두 개의 인접한 로킹 러그(204a, 204b)는, 로킹 및 해제 중에 제어 개머리 러그(104h')를 안내하는, 제어 개머리 러그(104h')의 대응 기능면(111, 109a, 132, 109b)과 결합하는 안내 채널(209)을 형성하는 기능면(205, 207a, 208, 207b)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러그 개머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채널(209)은 인접하는 로킹 러그(204a, 204b)의 상호 대면하는 측방 표면(207a, 207b), 로킹 러그(204b) 상의 캠 섹션(208), 및 전방을 향해 대각선으로 대면하고 제어 섹션(208)과 대면하는 다른 로킹 러그(204b)의 안내면(205)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러그 개머리.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개머리 러그(104h')는, 후방을 향해 대각선으로 대면하고 안내면(205)에 대응하는 안내 섹션(111)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러그 개머리.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핀(102)은 노리쇠(100)가 해제 위치에서 노리쇠 캐리어(1)에 단단히 고정되도록 그 해제 위치에서 제어 게이트(60)의 대응 쐐기-형상 안내 홈에 반경방향으로 고정되는 쐐기-형상의 반경방향 외측 연장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러그 개머리.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노리쇠(100)는 방출 슬롯(100)에 의해 분리되는 두 개의 공급 돌기(108)를 가지며, 이는 개머리 구조(1; 100)의 전진 중에 카트리지 베이스에서 이용가능한 카트리지 뒤에 위치하고 상기 카트리지를 약실 내로 공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러그 개머리.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노리쇠(100)는 보어 축을 따라서 개머리 러그의 영역에서 연장되는 리세스를 가지며, 이로 인해 둘레 주위에서 축방향으로 유지되는 노리쇠(100)는 무기 본체 내에서의 그 운동 중에 안내 트랙(16, 18)에 의해 안내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러그 개머리.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개머리 안내 장치(30)를 구비하고, 이는
    - 노리쇠 캐리어(1) 내에 배치되는 캐리어 부품(32),
    - 상기 캐리어 부품(32) 상에 배치되는 제어 부품(34),
    - 상기 캐리어 부품(32) 상에 배치되고 노리쇠 캐리어(1)를 개머리 안내 트랙(16, 18)을 따라서 안내하는 안내 부품(36)을 포함하며,
    상기 캐리어 부품(32)은 제어 부품(34)과 안내 부품(36)이 동축적으로 배치되는 보어 축에 수직하게 연장되는 대칭 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러그 개머리.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회전 러그 개머리를 갖는 무기.
KR1020127022070A 2010-02-26 2011-02-15 회전 러그 개머리 및 무기 KR1013739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0009427.7 2010-02-26
DE102010009427A DE102010009427B4 (de) 2010-02-26 2010-02-26 Drehwarzenverschluss und Waffe
PCT/EP2011/000718 WO2011103978A1 (de) 2010-02-26 2011-02-15 Drehwarzenverschluss und waff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3469A true KR20120123469A (ko) 2012-11-08
KR101373960B1 KR101373960B1 (ko) 2014-03-12

Family

ID=43971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2070A KR101373960B1 (ko) 2010-02-26 2011-02-15 회전 러그 개머리 및 무기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8677883B2 (ko)
EP (1) EP2539664B1 (ko)
JP (1) JP5650763B2 (ko)
KR (1) KR101373960B1 (ko)
AU (1) AU2011220106B2 (ko)
BR (1) BR112012018872A2 (ko)
CA (1) CA2785947C (ko)
DE (1) DE102010009427B4 (ko)
ES (1) ES2538263T3 (ko)
WO (1) WO20111039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56318B (zh) * 2013-02-01 2018-05-18 日立数据系统工程英国有限公司 用于在数据存储系统中实现存储的细粒度、可伸缩分配的方法和装置
DE102013003435B4 (de) 2013-02-27 2014-10-16 Heckler & Koch Gmbh Ausstoßvorrichtung für eine Feuerwaffe sowie Waffengehäuse und Feuerwaffe mit einer Ausstoßvorrichtung
US9151552B2 (en) * 2013-03-15 2015-10-06 Christos Stratis Gryparis Lock interface insert for machine gun bolt assembly
US9599417B2 (en) 2014-05-15 2017-03-21 Savage Arms, Inc. Extractor mechanism for firearm
US10941993B2 (en) 2016-10-25 2021-03-09 22 Evolution Llc Radial delayed blowback operating system for a firearm incorporating a rotational inducing profile established between bolt lugs and a mating receiving pattern within the upper receiver or a trunnion installed within the receiver
US10436530B2 (en) * 2016-10-25 2019-10-08 22 Evolution Llc Radial delayed blowback operating system, such as for AR 15 platform
US10948249B2 (en) 2016-10-25 2021-03-16 22 Evolution Llc Radial delayed blowback operating system for a firearm including a recoil discharge force attenuation interface between a cam pin and a clearance pocket configured within an upper receiver of the firearm
DE102017002190B4 (de) * 2017-03-07 2022-01-27 Heckler & Koch Gmbh Verriegelbare Selbstlade-Handfeuerwaffe
WO2019210084A1 (en) 2018-04-25 2019-10-31 Sig Sauer, Inc. Recoil assembly for a machine gun
DE102019120179A1 (de) 2019-07-25 2021-01-28 Rheinmetall Waffe Munition Gmbh Waffensystem
DE102019120183A1 (de) 2019-07-25 2021-01-28 Rheinmetall Waffe Munition Gmbh Verschluss und Waffensystem mit dem Verschluss
DE102019120184B4 (de) 2019-07-25 2021-10-21 Rheinmetall Waffe Munition Gmbh Verschluss und Waffensystem mit dem Verschluss
US10746493B1 (en) 2019-08-19 2020-08-18 Sig Sauer, Inc. Recoil assembly for a machine gun
DE102020004940B4 (de) * 2020-08-13 2023-11-30 Carl Walther Gmbh Verschlussvorrichtung für eine Handfeuerwaffe, Handfeuerwaffe mit einer Verschlussvorrichtung

Family Cites Families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90913946A (en) * 1909-06-14 1910-03-31 Karl Krnka Improvements in Automatic Firearms.
CH51131A (de) * 1910-03-09 1911-08-01 Hans Stamm Verriegelungseinrichtung an Geradezugverschlüssen von Handfeuerwaffen
GB191013946A (en) 1910-06-08 1911-06-08 British Thomson Houston Co Ltd Improvements in Electric Insulating Material.
DE419803C (de) * 1924-03-25 1925-10-09 Hans Lutz Dipl Ing Selbsttaetige Schusswaffe mit Arbeitsgewicht und mit verzoegertem Auszug
DE519803C (de) * 1929-12-21 1931-03-04 F W Buendgens Maschine zum Entfernen von krummen Nadeln aus einzeln nacheinander Abstreichblechen zugefuehrten Nadeln
BE376325A (ko) 1930-01-08
US2364548A (en) * 1939-07-29 1944-12-05 John D Pedersen Bolt mechanism for rifles
US2330737A (en) * 1939-07-29 1943-09-28 John D Pedersen Rifle mechanism
US2308627A (en) 1940-08-26 1943-01-19 Kilgore Mfg Co Grip
GB572924A (en) 1942-05-21 1945-10-30 Birmingham Small Arms Co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utomatic firearms
US2775920A (en) * 1950-05-01 1957-01-01 Paul H Dixon Bolt spline
US2941449A (en) * 1959-03-04 1960-06-21 Frederick P Reed Decelerating device for firearms with telescopic bolts
US3030723A (en) 1959-08-03 1962-04-24 Jessie T Ivy Firing mechanism for a gas operated revolver
NL129581C (ko) * 1963-03-22
US3342171A (en) 1965-02-15 1967-09-19 Mattel Inc Toy pop gun having an air pump with a resiliently flexible movable chamber closure member
US3563132A (en) * 1968-09-19 1971-02-16 Us Navy Grenade launcher
CH517283A (de) * 1969-12-19 1971-12-31 Oerlikon Buehrle Ag Selbsttätige Feuerwaffe
US3830003A (en) 1970-04-16 1974-08-20 J Clerke Floated barrel rifle with metal stock for improved barrel action bedding
JPS4948199A (ko) * 1971-10-06 1974-05-10
US3996684A (en) * 1975-12-18 1976-12-14 Remington Arms Company, Inc. Bolt latch
US4389919A (en) * 1980-02-14 1983-06-28 Remington Arms Company, Inc. Firing pin block for firearm with a rotary breech bolt
US4315379A (en) 1980-02-19 1982-02-16 Lang Alan J Hand gun grip with concealed fasteners
US4553469A (en) 1981-12-31 1985-11-19 Atchisson Maxwell G Low-recoil firearm with noncircular guide rod for angularly locating bolt carrier assembly
US4463654A (en) 1982-04-29 1984-08-07 Armament Research Corporation Of America Conversion kit for assault rifle and converted rifle of compact configuration
IT1170297B (it) 1983-01-24 1987-06-03 Herstal Sa Carcassa per fucile da caccia
ES296988Y (es) 1984-12-20 1989-04-16 Werkzeugmaschinenfabrik Oerlikon-Buhrle Ag Dispositivo para acerrojar una cabeza de cierre que se mueve hacia delante y hacia atras en el extremo posterior de un canon de un arma.
US4663876A (en) 1985-01-28 1987-05-12 Reaume Robert N Stock assembly kit and rifle embodying the same
US4872391A (en) 1987-06-02 1989-10-10 Ares, Inc. Gun for firing telescoped ammunition, plus searing means
GB8717722D0 (en) * 1987-07-27 1987-11-18 Sterling Armament Co Ltd Bolt assembly for self-loading gun
US4930399A (en) 1989-01-09 1990-06-05 Trevor Jr John High volume automatic and semi-automatic firearm
US5440099A (en) 1993-12-22 1995-08-08 Fn Mfg Llc Welding complicated, difficult-to-weld metal components
DE19600459A1 (de) 1996-01-09 1997-07-10 Mauser Werke Oberndorf Waffensysteme Gmbh Verschluß für eine Schußwaffe
DE19616397C2 (de) * 1996-04-24 2000-04-20 Heckler & Koch Gmbh Selbstlade-Handfeuerwaffe
ITMI20020855A1 (it) 2002-04-22 2003-10-22 Beretta Armi Spa Calcio per arma da fuoco
DE10229846B3 (de) * 2002-07-03 2004-03-18 Heckler & Koch Gmbh Verriegeltes Maschinengewehr
US7971379B2 (en) 2004-02-13 2011-07-05 Rmdi, Llc Firearm
AT10072U1 (de) 2007-03-02 2008-08-15 Cura Investholding Gmbh Gewehrgehäuse
US7937877B2 (en) 2007-03-07 2011-05-10 Christopher Gene Barrett Light weight firear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E102007011504B4 (de) 2007-03-09 2014-10-16 German Sport Guns Gmbh Handfeuerwaffe
US8281698B2 (en) 2009-01-15 2012-10-09 Leroy Edward Haywood Rapid fire weapon with bidirectional interchangable barrel
US8688563B2 (en) 2009-07-14 2014-04-01 The Western Union Company Alternative value exchange systems and methods
DE102010009426A1 (de) * 2010-02-26 2011-09-01 Heckler & Koch Gmbh Verschlussführungseinrichtung für eine Verschlussanordnung und Schnellfeuerwaffe mit einer Verschlussführungseinrichtung
DE102010009488B3 (de) 2010-02-26 2011-04-07 Heckler & Koch Gmbh Waffengehäuse, Waffe mit einem Waffengehäuse sowie Verfahren zum Zusammensetzen eines Waffengehäus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650763B2 (ja) 2015-01-07
DE102010009427B4 (de) 2012-03-08
DE102010009427A1 (de) 2011-09-01
EP2539664B1 (de) 2015-04-08
BR112012018872A2 (pt) 2016-04-12
KR101373960B1 (ko) 2014-03-12
EP2539664A1 (de) 2013-01-02
CA2785947A1 (en) 2011-09-01
ES2538263T3 (es) 2015-06-18
US8677883B2 (en) 2014-03-25
US20130074390A1 (en) 2013-03-28
JP2013519062A (ja) 2013-05-23
CA2785947C (en) 2014-10-28
WO2011103978A1 (de) 2011-09-01
AU2011220106B2 (en) 2013-09-05
AU2011220106A1 (en) 2012-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3960B1 (ko) 회전 러그 개머리 및 무기
JP5538521B2 (ja) ブリーチ構成用のブリーチガイド装置及びブリーチガイド装置を備えた速射型武器
KR840002208B1 (ko) 총의 기계적인 지발방지장치
US6345460B2 (en) Short bolt rifle
US4550641A (en) Safety apparatus in externally powered firing weapon
US11815325B2 (en) Breechblock of a weapon system and weapon system with the breechblock
KR20110097794A (ko) 바람직하게는 선형 노리쇠 또는 탄약 급송 장치를 갖는 무기를 위한 신속 멈춤 기구를 갖는 구동 장치
US10107577B2 (en) Lockable self-loading firearm apparatus
US4841835A (en) Safety apparatus for an externally powered firing weapon
KR20180036979A (ko) 무기 구동부 및 무기 비상 정지부를 갖춘 무기 구동부
DE102007034675A1 (de) Verriegelungselement und Patronenzufuhrmechanismus für eine Waffe
US11656043B2 (en) Weapon system
KR100296809B1 (ko) 자동 장전식 유탄 발사기
DE102007034672A1 (de) Verschlussbauteil, Verschlussanordnung und Verriegelungseinrichtung für eine Waffe
CN113310349B (zh) 一种猎枪双向开锁式枪机结构
US20050241471A1 (en) Firearms and methods for operating the same
KR100657081B1 (ko) 대구경 무기
US844017A (en) Magazine-gun.
PL205805B1 (pl) Zamek powtarzalnego średniokalibrowego karabinu
CA2496992A1 (en) Device for locking a closure in a repeating weapon
DE102007034667A1 (de) Sicherungsanordnung für eine Waff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