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2208B1 - 총의 기계적인 지발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총의 기계적인 지발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2208B1
KR840002208B1 KR1019800002103A KR800002103A KR840002208B1 KR 840002208 B1 KR840002208 B1 KR 840002208B1 KR 1019800002103 A KR1019800002103 A KR 1019800002103A KR 800002103 A KR800002103 A KR 800002103A KR 840002208 B1 KR840002208 B1 KR 8400022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n
firing
bolt
bullet
mov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00002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3077A (ko
Inventor
아투로 보호게즈 루이스
모렌시 크레어리 미차엘
클락 애쉬 찰스
에베렛트 반 오스텐 돈
부르스 파운스 로버트
하베이 살라치 존
Original Assignee
허그히스 헬리콥터스, 인코포레이티드
엠. 에프. 게랄디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그히스 헬리콥터스, 인코포레이티드, 엠. 에프. 게랄디스 filed Critical 허그히스 헬리콥터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830003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30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22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22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17/00Safety arrangements, e.g. safeties
    • F41A17/18Hang-fire preven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7/00Auxiliary mechanisms for bringing the breech-block or bolt or the barrel to the starting position before automatic firing; Drives for externally-powered guns; Remote-controlled gun chargers
    • F41A7/08Drives for externally-powered guns, i.e. drives for moving the breech-block or bolt by an external force during automatic fi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rtable Nailing Machines And Staplers (AREA)
  • Toys (AREA)
  • Gas Burn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총의 기계적인 지발방지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과 결합된 총의 사시도,
제 2 도는 본 발명과 결합된 총의 부분사시도.
제 3 도는 본 발명과 결합된 총의 탄환공급장치의 개략도,
제 4 도는 제 2도와 유사하나 본 발명과 결합된 총을 보다 상세히 도시한 사시도,
제 5 도-제 7 도는 본 발명의 기계적인 연결장치의 작동을 보인 개략도,
제 8 도는 본 발명의 기계적인 연결장치의 부품을 보여 주는 부분 평면도,
제 9 도는 본 발명의 기계적인 연결장치의 부분단면도,
제 10 도는 본 발명의 기계적인 연결장치의 부분단면도,
제 11 도는 본 발명과 결합된 총에 사용되는 클러치 조립체의 분해도.
본 발명은 지발방지장치(hangfire protection system)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교적 발사속도가 높은 총을위한 개량되고 완벽한 지발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총에 있어서 사격작동순서는 탄환장전, 노리쇠고정, 발사, 노리쇠후퇴및 탄피추출, 그리고 송탄의 연속으로 이루어진다.
외부동력원을 이용한 총에 있어서는 비록 탄환이 발사되지 않더라도 이러한 주기가 연속된다. 따라서 불발에 의한 사격중지가 일어나지 않으므로 위험한 국면에 처하게될 가능성이 있는 것이다.
종종 탄환은 그 탄약에 내포되는 어떠한 미지의 결점 때문에 그 설계 시간 한도내에 발사되지 않는 것이있다.
통상적으로 탄환은 뇌관이 격타당한 후 규정된 시간내에, 통상 수 밀리 초(milliiseconds) 내에 발사된다. 탄환의 뇌관이 격타되고, 탄환이 귀정된 시간내에 발사되지 않는 경우, 탄환은 지발되거나 불발되고 만다. 위험을 안고 있지않은 불발탄은 비교적 용이하게 추출되어 안전하게 처리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지발은 특히 지발의 시간한도가 경험상으로 또는 데이타에 의하여 알려져있는 통상의 최대발사시간 간격보다 긴 경우에는 총 소지자에게 극히 위험한 상황을 야기 시킨다.
반복연속에 의하여 동력이 공급되는 비교적 발사속도가 높은 무기에 있어서, 노리쇠고정-발사-노리쇠후퇴의 연속작동이 매우 짧으며, 지발의 최대 간격보다도 짧은 시간에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지발은 매우 위험한 것이다. 따라서 인명 또는 총기에 위험을 주는 탄환은 추출되어야 한다. 지발은 "자연발사 (cook-off)"와는 구별이 된다. 자연발사는 총신 또는 총미의 열 때문에 뇌관의 격타없이 탄환이 폭발하는 것으로 지발의 시간보다는 상당히 길다. 통상적으로 자연발사는 노리쇠를 개방상태에서 총의 사용을 중지하므로서 피할수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약실내의 탄환이 발사되거나 또는 지발이 일어날 수 있는 시간 한도 이상으로, 즉 탄환을 불발탄이라고 보는 시간 한도 이상으로 탄환의 추출(extraction)을 지연시킴으로서 지발을 배제할 수있는 지발방지장치가 제공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은 외부 동력원을 가진 총에 있어서, 체인구동장치가 장전, 노리쇠고정, 발사, 노리쇠후퇴, 추출 및 송탄의 연속과정을 통하여 노리쇠를 왕복운동시키는테 이용된다. 노리쇠고정, 발사및 노리쇠후퇴의 조작을 위한 주기간의 시간은 최대지발시간간격 보다 짧으므로 본 발명없이는 위험한 지발의 가능성을 안게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여, 총의 후좌운동이 일어나지 않은 경우, 즉 탄환이 발사되지 않은 경우, 그에 응답하여 노리쇠를 최대지발시간을 초과하여 안전한 시간동안 고정위치에 유지하는 완벽한 기계적인 장치가 제공된다. 안전시간이 지난후 탄환은 불발탄으로 간주되고, 이 불발탄을 탄피로서 추출시키면서 총의 연속작동이 계속된다. 만약 "지발탄환"이 최대 시간 간격내에서 발사된다면 총의 기능은 마치 지발이 일어나지 않은 것처럼 연속된다.
간단히 말해서, 본 발명의 지발방지장치는 총의 후좌운동(이것은 탄환이 발사된 것을 표시한다)에 응답하여 연결장치를 풀어주므로서 총의 작동이 연속되도록 하는 것이다. 만약 후좌운동이 없다면, 고정된 연결장치는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고, 노리쇠는 연결장치가 총의 정지-시동조작 즉 통상의 발사정지-재시동조작-을 수동 또는 전기적으로 행하지 않는 한 풀려질 때까지 고정상태로 유지된다. 발사정지-시동조작을 행하기 위한 시간의 지연은 수동이든 전기적이든 간이 최대지발 시간간격 보다 길며, 탄환은 불발탄으로 추출된다.
그리고 연결장치는 다음 탄환을 위하여 노리쇠의 후퇴 및 고성의 연속과정 사이에서 다시 고정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여, 비교적 간단하고 신뢰할 수 있는 지발방지연결 장치가 제공되며 그 기능은 충분한 시간이 지나 탄환이 불발탄으로 처리될 수 있을 때까지 탄환의 추출을 방지토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 지발방지장치의 근본적인 잇점은 기계적이라는 점과 총의 일부분으로서 완벽하게 구성된다는 점이다. 만약 지발이 일어나지 않는경우, 총의 기능은 통상적으로계속되며, 지발이 일어나는 경우, 총의 기능은 탄환이 발사되는 시간보다 충분히 긴 시간동안 중지된 다음 총의 기능이 다시 자동적으로 계속된다.
또한 기계적인 연결장치는 그 작동성을 실탄을 사용치않고 총의 연속사격을 행함으로서 점검할 수 있는 잇점을 제공하여 준다. 만약 충분히 작동을 발휘하는 경우 실탄없는 사격에서 총의 작동이 중지하여 연결장치에는 이상이 없는 것이며, 실탄없는 사격에서 총의 작동이 계속되면 연결장치에 어떤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총(10)은 크게 나누어 총신(12), 32kg 중량의 송탄기기어 박스조립체(13) 및 42kg중량의 리서버(receiver)조립체(15)로 구성된다. 도시된 형태의 총은 구경 25mm, 총중량 104kg 및 전장 2743mm의 규격이다.
발사속도는 형태와 구동모우터의 크기에 따라 다르나 매분당 1발, 100발, 200발 또는 475발이다. 길이 2032mm 및 중량 40kg의 총신(12)은 리서버조립체(15)의 선단 부분인 총미(제 4도)에 고정된다. 리시버조립체(15)의 선단부에는 후좌운동시 총신(12)과 함께 약 0.7인치(최대)가량 후진하는 반동스프링 및 완충조립체(16)가 착설되어 있다.
도시된 형태에서, 총(10)은 분리된 상측 스프로켓(sprocket)(17)및 하축 스프로켓(18)으로 구성된 이중송탄 장치를 포함하며, 그중 하나는 리시버조립체(15)내에 위치하는 노리쇠의 전방에 탄환이 놓일 수 있도록 간헐적으로 구동되는 이송로우터(도시하지 않았음)에 탄환을 이송토록 작동한다. 상측 또는 하측 송탄스프로켓의 선택은 클러치장치(20)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총은 외부 동력원으로 리시버(15)의 하측부에 7700rpm의 공칭속도를 갖는 1.5마력의 24볼트 직류모우터(21)가 착설되어 있다. 이후 설명되겠지만, 일련의 기어를 통하여 모우터는 총에 전력및 기본적인 발사속도를 제공하여 준다.
총의 심장부는 제 2도에서 보인 바와 같은 체인구동장치(25)이며, 이는 피치가 5/8인치인 이열(二列)의 로울러체인(26)을 포함하는 바, 체인(26)은 4개의 스프로켓 상에서 레이스트랙 형태로 순환하며, 하나의 스프로켓(27)은 트랙(29)에서 구동되고 세개의 공전 스프로켓(28)은 트랙(29)에 지지되어 있다. 체인(26)의 주연결장치(31)에 고정되어 노리쇠뭉치(35)의 하측에 형성한 횡방향 슬로트(33) 내에서 작동하는 노리쇠구동 슬라이더(30)는 트랙상에서 체인의 회전운동을 노리쇠(37)의 왕복운동으로 변환케 하며 트랙은 노리쇠뭉치의 하측에서 슬라이더(39)와 협동하는 표면 트랙(38)을 포함한다. 슬라이더(30)를 위한 슬로트(33)는 노리쇠뭉치(35)를 가로질러 연장되어 있으며, 노리쇠뭉치(35)에는 탄피제거기(40)가 설치되어 있다.
모우터(21)의 회전 구동축(41)에는 클러치기어 조립체(45)를 구동시키는 피니언기어(43)가 연결되어 있다. 이후 보다 상세히 기술되는 클러치기어조립체는 피니언 기어(43)에 의하여 구동되는 상측 베벨기어(47)를 포함하며, 베벨기어는 클러치(50)를 통하여 하측기어를 구동시킨다. 클러치기어조립체(48)와 협동하는 것은 체인구동 및 워엄기어조립체(45)이며, 조립체(52)는 기어(52)에 의하여 구동되는 하측기어(48)및 이것(53)과 함께 구동되도록된 중간 기어(54)를 포함한다.
중간기어(54)는 체인(26)을 구동시키도록 스프로켓(27)에 스플라인에 의하여 결합된 체인구동조립체기어(55)를 구동시킨다.
모든 기어와 축은 공지된 바와 같이 베어링에 의하여 지지된다.
체인구동 및 워엄기어조립체(52)를 구동케하는 것은 일측단에 워엄(58)을 가지고 송탄 스프로켓 조립체(17)(18)및 송탄로우터조립체(60)(일부분만 도시하였음)를 구동토록 기어열(59)을 통하여 작동하는 구동축(57)이다. 워엄(58)은 전동기어(62)를 통하여 전동축(61)을 구동시키며, 전동축(61)은 축(66)에 의하여 구동되는 지시구동조립체(65)를 위한 구동기어(64)를 가진다. 또한 도시한 바와 같이, 축(61)에는 일측 또는 타측의 스프로켓(17)만을 기어 및 클러치조립체를 통하여 구동케하는 소형의 구동기어(18)가 착설되어 있으며, 축(68)은 상측 스프로켓(71)을, 축(17)은 하측 스프로켓(72)을 구동시킬다.
클러치및 기어조립체(70)는 기어(68)에 의하여 구동되는 한 쌍의 상시몰림 기어(73)(74)를 포함하며, 상기 상시물림기어는 스프로켓의 구동시간을 조절하기 위한 단일 톱니 래칫 클러치(singletooth retchet clutch)의 형태인 복동식 클러치를 통하여 상하측 스프로켓의 일측 또는 타측을 구동시킨다. 이와 같이 총의 정상 작동시에 축(71)(72)의 일측 또는 타측은 연속 구동토록 회전되며, 모터와 전동장치에 의하여 조절된 속도에서 상측 또는 하측 송탄스프로켓의 일측 또는 타측, 즉 상측 또는 하측 방식이 선택되면 총은 절환이 될 때까지 그 방식으로 작동을 계속하게 될 것이다.
지시구동조립체(indexing drive assembly) (65)는 종종 간헐구동장치라 일컬어지는 파라드로믹 (paradro-mic) 지시구동장치이며, 그 축(66)이 연속구동된다. 축(66)은 송탄로우터(60)를 총의 매 사격시 마다 1/3회전되도록 간헐구동수탄을 통하여 송탄로우터(60)에 연결된 축(75)과 협동한다.
축(66)의 일단에는 일정한 속도로 구동되는 퍼거슨 캠(Fergerson cam) (76)이 착설되어 있으며, 캠(76)은 로우터(60)의 간헐회전을 위하여 축(75)의 캠(77)과 협동한다. 캠(76)(77)은 캠(77)이 276°는 공전된 상태에 있고 84°는 송탄을 위하여 지시구동되도록 조절된다.
제 2도-제4도를 참조하여 총의 전체적인 작동을 설명한다.
통상의 정지방식에 있어서, 노리쇠뭉치와 노리쇠는 구동스프로켓(27)의 중앙선 약간 앞에 위치한 주열결장치와 함께 후방 위치에 놓여 있으며, 탄피는 노리쇠의 전면에 파지되어 있다.
모우터(21)가 작동되면, 여러 작동이 개시된다. 즉 선택된 송탄 스프로켓 조립체가 구동되고 체인이 구동된다. 주결장치가 구동 스프로켓을 따라 이동하므로서 노리쇠뭉치가 약간 후방 이동하여 노리쇠뭉치와 노리쇠를 최후방 위치에 놓이게 한다. 주연결장치(31)가 측방향으로 이동하므로서 노리쇠뭉치와 노리쇠는 고정되고 슬라이더(30)가 횡방향 슬로트(33)를 통하여 측방향으로 이동한다.
노리쇠가 후방 위치에 있는 동안송탄로우터(60)가 송탄을 위하여 회전을 서서히 시작하여 최대 속도에 이른 다음, 1/3가량 회전하여 있을 때에 멈추기 위하여 점진적으로 서서히 속도를 줄이게 되는 사인곡선적 가속방식으로 회전한다. 송탄로우터가 작동중, 송탄로우터의 돌출부는 탄피를 탄피제거기(40)(제 4도 참조)의 전방에 놓이도록 하고 노리쇠 전면에 새로운 탄환을 보낸다.
동시에 일정한 속도로 이동하는 송탄 스프로켓은 새로운 탄환을 탄환이 비어 있는 송탄로우터의 송탄실에공급한다.
대략 이 시점에서, 주연결장치(31)는 제1공전스프로겟(28) 둘레를 이동하기 시작하고 노리쇠뭉치와 노리쇠는 탄환장전 시작과 함께 총미를 향하여 서서히 가속되기 시작한다. 주연결장치의 측방향 이동으로부터 축방향 이동으로의 이동은 주연결장치가 축방향 이동에 가까와짐에 따라 이동속도가 증가하는 노리쇠를 전방으로 점진적으로 서서히 이동시키며, 축방향 이동은 노리쇠뭉치와 노리쇠가 최대 속도로 전진되게 하며, 노리쇠구동슬라이더(30)는 노리쇠뭉치에 형성된 슬로트(33)의 최우측 위치에 놓인다.
노리쇠뭉치와 노리쇠가 전방으로 왕복하므로서 노리쇠 전면의 탄환이 장전되고 탄피가 정방 방출구(82)를 통하여 방출 제거된다.
연속 이동하는 체인(26)과 주연결장치에 의한 노리쇠뭉치와 노리쇠의 이러한 이동중에 송탄 스프로켓은 연속 이동하나 송탄로우터(60)는 정지상태애 놓여 있다. 탄피의 방출은 측방향 방출 또는 그 밖의 방법으로 방출됨을 이해할 것이다.
주연결장치가 그의 축방향의 전진이동이 끝나가고 우전방 공전스프로켓(28) 둘레를 돌기 시작할 때에(제4도 참조), 노리쇠뭉치와 노리쇠의 이동은 점진적으로 감속되고 슬라이더(30)는 노리쇠뭉치의 슬로트(33)에서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측방향 이동한다.
이 때에 노리쇠뭉치와 노리쇠는 그 이동이 중지되고 노리쇠는 총미에서 고정되고 탄환이 발사된다. 송탄스프로켓은 체인과 같이 여전히 구동되나 로우터(60)는 정지되어 있다. 주연 결장치가 좌전방 스프로켓을 돌아 측방향으로부터 축방향 후방으로 이동할 때에 노리쇠가 후퇴하고 노리쇠뭉치와 노리쇠는 점진적으로 후방으로 가속되며, 주연결장치가 축방향 후방이동을 시작할 때는 최대 후퇴속도에 이른다. 탄피는 노리쇠전면에서 우측 방향으로 이송되며, 주연결장치가 구동스프로켓(27)에 접근함으로서 연속작동이 반복된다.
이와 같이 체인의 구동으로 슬라이더의 축방향 이동과 측방향 이동이 교호로 이루어지고 노리쇠뭉치와 노리쇠의 왕복운동이 일어나는 것이다. 슬라이더의 축방향 이동은 노리쇠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케 하는 반면에 슬라이더의 측방향 이동은 노리쇠뭉치의 슬로트를 통하여 자유롭게 이동되도록 한다. 자유이동은 사격주기의 전후단에서 발사와 송탄을 위한 적당한 체류시간을 제공한다. 더우기, 발사를 위한 비교적 긴 체류시간 중에 노리쇠는 고정된 상태로 남아 있으므로 총신 내의 압력은 대기압으로 회복되고 노리쇠가 후퇴될 때 리시버로의 가스유동이 거의 없도록 한다. 또한 스프로켓과 체인은 노리쇠를 원활히 가속되게 하여 이를 일정한 속도로 이동하게 한 다음 원활히 감속 이동되게 한다.
제 3도 및 제 4도에서, 본 발명의 총은 100%의 탄환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송탄스프로켓은 간헐적으로 구동되는 송탄 로우터(60)를 통하여 왕복동노리쇠 주립체와 협동한다.
제 3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하측의 송탄스프로켓(18)이 결합되는 경우 총의 구동모우터에 의하여 작동되는 송탄스프로켓은 탄약(85)을 한 쌍의 링크스트리퍼(link Stripper) (86)(하나만 도시하였음)를 통하여 일정한 속도로 총에 이송한다.
송탄스프로켓은 탄약대에 확실하게 결합하는 네개의 톱니를 가진 완벽한 장치이다. 탄약의 연결구(87)는 스트리퍼(86)에 의하여 탄약으로부터 띨어져나가면 탄약은 송탄스프로켓으로부터 안내되고 송탄로우터(60)의 송탄실에 연속적으로 채워지며, 송탄로우터(60)에는 120°의 각도를 두고 세개의 송탄실이 형성되어 있다.
노리쇠가 탄환을 장전하고 발사하여 앞의 탄환을 추출하는 동안 송탄로우터는 정지되어 있으며, 송탄로우터의 운동은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간헐 지시장치를 통하여 행하여진다. 로우터의 운동은 제어된 가속, 일정속도의 운동, 그리고 제어된 감속의 순으로 작동된다. 송탄로우터는 노리쇠로부터 탄피를 제거하는 동시에 송탄스프로켓으로부터 공급된 새로운 탄약을 노리쇠 전면에 공급한다.
송탄로우터는 탄약을 송탄스프로켓으로부터 노리쇠 전면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작용한다. 로우터(60)에는 제 4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독특한 형태의 송탄실이 세개 형성되어 있다. 각 송탄실의 직경은 탄피 직경과 일치하며 노리쇠에서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절결되어 있다. 탄환에 작용하는 총의 모든운동은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충격이 생기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독특하고 안전한 연결장치에 의하여 지발에 의한 위험이 제거된다. 이후 설명되는바와 같이, 통상의 총의 정지조작은 멈치나사(sear)와 주연결장치(master link)의 작용으로 노리쇠 개방중에 행하여진다. 지발안전장치는 사격을 연속하기 위하여는 반드시 후좌운동을 받지 않으면 안된다고 하는기본원리에 따라 작동한다. 후좌운동을 받지 않는 한 체인의 안전연결장치는 노리쇠가 고정되어 있는 동안 멈치나사에 의하여 정지된다. 사격을 다시 시작하기 위하여는 사수는 방아쇠를 풀고 총의 작동을 다시 시작한다. 상술한 총에 있어서, "정지-시동"조작의 경과 시간은 약 500밀리초어다.
최신 데이타에 의하면, 공지된 25mm탄약에서 촤대 지발시간은 약 150밀리초 정도이다. 상출한 총의 발사간격(격침작동으로부터 노리쇠후퇴까지의 사격을 위한 휴지시간)은 매분당 200발인 경우 51밀리초이므로 총의 지발 안전을 보증하기 위하여 500밀리초의 지연을 가산하면, 550 내지 600 밀리초의 안전한 노리쇠고정시간이 부여된다.
매분당 500발의 발사 속도와 같은 발사속도의 경우 발사간격은 19밀리초까지 감소된다. 그러나 지발은 통상 15밀리초 이하이며, 상술한 최대 지발시간이 150밀리초인 것은 "최악의 경우인 것이다. 따라서 탄환이 통상의 발사간격인 3-6밀리초 사이에 총으로부터 제거되지 않으므로 인한 지발이 일어나는 일이 있다 하더라도 상기발사간격은 지발탄환을 기술적으로 제거하는데 충분하여 지발방지장치가 양호하게 작동될 수 있다.
지발방지장치가 제5-제7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 5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총은 통상의 노리쇠가 개방된 사격정지상태이다. 멈치나사 솔레노이드(sear solenoid) (100)는 작동치 않은 상태(즉, 신장된 상태)이고, 멈치나사(105)는 구동스프로켓의 중심선 전방의 이동로에 위치된 주연결장치(31)에 대하여 스프링(107)에 의하여 편중되어 있다. 또한 제5도는 노리쇠고정, 발사, 후좌운동 및 노리쇠후퇴의 연속 과정이 주연결장치의 위치에 따라 일어나는 주연결장치의 위치점을 대략적으로 보이고 있다. 체인운동 방향에 대하여 주연결장치(31)의 전방에는 안전연결장치(110)가 위치한다. 후좌괘지구(recoil latch) (115)는 괘지 되지않은 위치에 있으며 후좌압봉(116)은 정지된 비후좌위치에 있다.
제 6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총의 작동이 개시되면, 솔레노이드(100)가 작동(즉 수축상태)되고 멈치나사(105)는 체인이 구동토록 작동되지 않는다. 후좌괘지구(115)는 후좌괘지각부(脚部)(118)가 우측으로 이동하므로서 고정된다. 괘지각부가 충분히 이동한 후 괘지구(120)는 스프링하 중에 의하여 괘지된다.
괘지구가 괘지되므로서(제 7도 참조), 솔레노이드(100)는 압도되고 멈치나사는 안전 연결장치를 결합하도록 위치된다.
만약 약실내의 탄환이 적절히 발사되면 총신과 총미(121)는 후좌운동을 하여 압봉(116)을 통하여 후좌괘지구(120)를 이동시켜 괘지각부(118)를 풀어주므로서 멈치나사가 제 6도에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작동되는 솔레노이드에 의하여 후퇴된다.
그러나 발사후 주연결장치는 부호(124)의 위치에 오게되고 안전연결장치는 부호(125)의 위치에 오게된다. 그러나 지발이 있는 경우 후좌운동이 없으므로 괘지각부를 풀도록 압봉이 이동치 않아 제 7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안전연결장치(110)의 비교정위치가 노리쇠의 해방전에 체인이동을 정지시킬 수 있게 도달하기에 앞서 멈치나사가 안전연결장치(110)와 결합한다.
괘지장치는 솔레노이드의 작용에 대항하여 작용하므로 솔레노이드가 작동치 않게 되면, 멈치나사 스프링이 안전 연결장치를 괘지된 상태로 유지하도록 하고 제 5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멈치나사가 주연결장치 대신에 안전연결장치(110)를 결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괘지구가 해제상태로 되게한다. 솔레노이드가 지발 후약 500밀리 초후에 작동되면 부품들은 안전연결장치(110)가 멈치나사를 지나고 주연결장치가 노리쇠를 후방이동토록 축방향 후방운동을 개시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 6도에서 보인 바와 같은 위치에 놓이게 된다. 만약 총의 작동이 정지되는 경우, 멈치나사는 솔레노이드가 작동치 않으므로 주연결장치와 결합한다.
지발이 없는 경우 괘지구는 노리쇠뭉치에 취부되고 괘지장치에 구성된 연장봉상에서 이동하는 리셋트 캠(reset Cam)에 의하여 리셋트 된다.
제 8도-제10도에서는 기계적인 연결장치(mechanical interlock system)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 연결장치는 리시버하우징(130)의 하측부분내의 후벽에 인접하여 위치한다. 리시버. 총신단부에는 리시버에 형성된 요구(133)에서 이동토록 자리잡은 작동봉(132)을 가진 작동봉조립체(131)가 설치되어 있다. 작동봉(132)과 협동하는 것은 로커(rocker)(135)(제10도)이며, 상기 로커는 로커연장부(137)가 총미와 접촉유지되도록스프링(136)에 의하여 상측으로 기울어져 있다.
로커아암지지봉(138)은 로커(135)를 통하여 관통되고 일단은 리시버의 벽에 지지되어 있다. 지지봉을 로커를 관통하는 부분의 두께가 가늘게 되어 로커가 회전하는 회전축(140)을 형성한다.
로커의 아암(142)은 작동봉(132)의 단부상에서 평탄부(144)와 결합토록 갈가져 있다. 후좌운동중에 총미는 총신과 함께 후방으로 이동하여 로커가 회전축(140)에 대하여 회전토록 하므로서 작도봉(132)이 제10도에서 보인 위치로부터 총신을 향하여 이동토록 한다.
작동봉의 일측단(145)은 후측의 흔가어드(horn guide) (147) 아래를 지나며 또한 총신을 향하여 이동하는 경사각부(148)를 포함한다.
리시버의 후벽에 면한 후측 혼가이드(147)의 후면을 향하여 형성된 슬로트(149)(제 9도)에는 압봉(154)의 부호(15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압봉연장부(150)가 설치되어 있다. 압봉연장부(150)는 제 2도 및 제 4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노리쇠뭉치에 취부된 리셋트캠(156)에 의하여 접촉토록 리시버벽 위로 연장편(155)을포함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리셋트 캠(156)은 전방, 즉 총신을 향하여 하향경사지고 후측이 개방된 캠표면을 갖고 있다.
또한 압봉연장부(150)는 작동봉의 각부(148)와 합치 하도록 경사진 압봉연장각부(160)(제 10도)를 포함한다. 각부를 제 9도에서 보아 우측으로 편중시키는 작용을 하는 스프링(162)을 후측 혼가이드의 후벽에 설치하고 각부에 형성된 삽입공(163)에 설치한다.
또한 리서버의 후벽에서 부호(164)에는 그 일단이 솔레노이드 플런저(solenoid plunger)에 장타원형의 슬로트를 통하여 연결되고 또한 압봉연장부회전축(168)에서 압봉(154)에 대하여 회전토록 되어 있는 해제연결구(165)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단부(169)는 회전축(173)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멈치나사 로커(172) 내에 설치된 멈치나사(171)을 포함하는 회전가능한 멈치나사조립체(170)(제 8도)에 연결되고, 멈치나사(171)는 다수의 접시스프링(174)에 의하여 충격이 흡수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멈치나사 로커(172)는 핀(176)에 의하여 압봉(164)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압봉연장부(150)와 협동하도록 크랭크(180)(제 9도)가 설치되어 있으며, 크랭크(180)는 그 일측 단부(181)가 후측 혼가이드측으로 회전되고 타측탄부(182)가 압봉연장부에 대하여 회전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로켓상에서 체인을 안내하는 후측 혼가이드는 연장편(183)(184)을 포함하며, 이를 통하여 멈치나사(171)가 안전연결장치 또는 주연결장치와 결합토륵 회전될 수 있다. 멈치나사(171)가 주연결장치에 접촉하도록 멈치나사조립체를 경사지게 하는 스프링[스프링(07)에 대응하는 것]이 리시버의 좌측벽에 배치되어 있으나,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괘지장치는 기본적으로 작동봉(132), 총미로커(l35), 크랭크(180), 압봉연장부(150) 및 리셋트캠(156)으로 구성되어 있다. ·
연결장치에 있어서, 압봉연장부의 연장편(155)이 상향된 위치에 있을 때에는 언제나, 괘지장치는 해제위치에 있다. 따라서, 지발방지연결장치의 작동을 이해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총의 작동방식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통상의 총의 정지상태, 추 탄환이 막 발사되어 총의 발사상태가 중지되었다고 가정하면, 제 5도 및 제 8도-제10도에서, 솔레노이드(100)는 작동치 않은 신장된 상태에 있다. 압봉(154)은 우측(제 9도에서 보아)으로 편중되고, 멈치나사조립체는 시계방향(제 8도)으로 회전축(173)을 중심으로 회전되기 때문에, 스프링(107)은 멈치나사(171)를 편중시켜 주연결장치(31)와 접촉시킨다.
노리쇠와 노리쇠뭉치는 아직은 충분히 후퇴된 위치에 있지 않으며 리셋트캠(156)은 압봉연장부의 연장편(155)을 압박하고 있지 않다. 작동봉(132)은 각부(148)가 압봉연장각부(160)의 후측에 위치하도륵 후측에 놓여 있다(제10도 참조).
총을 작동시키는 경우, 전력은 모우터(21)와 솔레노이드(100)에 공급되고 해제연결구(165)는 스프링(107) 대하여 영향을 받지 않는 위치로 회전된다. 일단 멈치나사가 주연결장치로부터 이탈되면 체인은 이동을시작하고 노리쇠와 노리쇠뭉치 조립체를 후퇴시키며 리셋트캠(156)이 압봉연장부의 연장편(155)을 하측으로 이동되게 한다(제 9도 참조). 크랭크(180)는 솔레노이드가 작동되고 있는 한 압봉연장부를 후측 혼가이드에서 견부(shoulder) (190)에 대하여 하측으로 지지하는 중간 괘지구로서 작용한다.
연장편(155)의 하향운동은 솔레노이드를 압도하여 멈치나사가 주연결장치가 지나는 괘지위치로 이동하게하고 크랭크(180)는 연결장치를 괘지된 상태에서 지지하도록 작동한다. 작동봉(132)이 후측에 위치하므로 압봉연장각부(160)는 경사각부(148)로부터 벗어나기 때문에 연장펀(155)의 압하(押下)가 가능하게 된다.
안전연결장치나 주연결장치가 멈치나사에 도달하지 않았기 때문에, 멈치나사가 결합위치로 회전하여 아직 안전연결장치나 주연결장치를 결합하지 않은 상태에서 통상의 총의 작동은 계속된다.
주연결장치가 노리쇠고정위치에 도달할 때(제 5도), 탄환은 약실에 장전되고 노리쇠가 고정된다. 약설내의 탄환이 적절히 발사되면 총신과 총미는 후좌운동하고 로커(137)가 이동하여 작동봉을 총신을 향하여 밀므로서 경사각부(148)가 압봉연장각부(160)를 타고 이동하여 압봉연장부가 회전축(152)에서 상측으로 회전하고 크랭크(180)가 풀린다. 솔레노이드가 작동하므로서 솔레느이드는 멈치나사를 후퇴위치로 이동시키고안전연결장치는 멈치나사를 지나간다. 이와 같이하여, 정상적인 총의 작동이 계속된다. 추 노리쇠가 후퇴되고, 노리쇠캠이 다음 작동을 위하여 연장편(155)을 조작한다.
지발의 경우, 노리쇠는 총미에 고정되어 있고, 탄환이 발사 시점보다 늦게, 단 안전연 결장치가 멈치나사에 도달하기 전이나 도달한 시점에서 발사되는 경우, 통상의 총의 작동이 상술한 후좌감지장치를 통하여 계속된다. 그러나 탄환이 발사되지 않는 경우, 멈치나사는 안전연결장치를 결합하게 되고 총의 작동은 정지된다. 총의 작동을 재시동하기 위하여는 사수는 제어장치를 해제하고, 총에 모든 전력을 차단한다. 이와 같이하였을 때에, 스프링(107)은 멈치나사를 결합된 상대로 유지시키지만, 솔레노이드의 순간적인 작동중지는 압봉연장부를 해제위치에 대하여 상측으로 회전시키는 스프링162)의 작용에 의하여 크랭크(180)가 해제되도록 한다. 발사제어장치가 다시 결합되면, 솔레노이드는 멈치나사스프링을 압도하여 멈치나사를 풀어주며, 불발탄이 방출되어 정상적인 총의 작동이 계속된다. 노리쇠가 후퇴위치에 도달하면, 캠은 상술한 바와 같이 연장편(155)을 고정시킨다.
통상적인 사격정지조작에 있어서, 솔레노이드는 작동치 않으며, 멈치나사는 스프링(107)에 의하여 주연결장치에 결합토록 편중된다. 실탄없는 사격주기에서 총은 마치 지발이 일어난 것과 같이 작동한다. 추 멈치나사가 안전연결장치에 결합하기 때문에 정지-시동 조작을 행하지 않으면 안 된다. 지발방지연결장치는 실탄없는 사격에 의하여 점검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실탄없는 사격을 한 경우, 만약 총이 작동을 계속하면, 지발방지연결장치가 고장이난 증거이기 때문에, 만약 지발방지연결장치를 필요로 한다면 수리하지 않으면 안 된다.
통상의 사격정지시 또는 지발에 의한 정지시, 체인은 총의 모든 기능을 중지시키도록 급격히 정지한다. 총은 모우터(21)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동력을 받기 때문에, 모우터에 개선되고 정밀한 클러치기어조립체(45)가 제공되며, 상기 클러치 기어조립체는 내부모우터 브레이크가 모우터 회전을 중지시킬 때까지 모우터가 회전되게 하면서 결합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제11도에는 정밀하고 독특한 클러치기어조립체가 도시되어 있는 바, 이는 구동축(202)에 연결된 베벨기어의 형태인 기어(200)를 포함하고 있다. 축(202)은 축의 주연에 120°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 세개의 슬로트(204)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슬로트에는 세개의 로울러배어링(205)이 설치된다. 구동축(202)은 기어(211)를 가진 피구동축(210)과 협동하며, 축(210)은 축(202)이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가 비어 있다. 또한 축(210)에는 그 주연에 120°의 간격을 두고 슬로트(212)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베어링(205)은 축(202)(210)을 구동 연결토록 슬로트(204)(212) 내에 설치된다.
축(210)의 둘레에는 나선(261)이 형성된 원통형의 스프링(215)이 설치된다. 스프링(215)의 내경은 스프링이 축(210)에 설치되어 로울러배어링을 슬로트(212)(204)에서 방사상 내측으로 압박하여 축(202)(210)을 함께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킬 수 있는 크기로 되어 있다. 기어(211)에 의하여 구동되는 어떤 부품의 정지로 인하여 축(210)이 회전을 정지하는 경우, 모우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내측의 축(202)은 회전을 계속하여 로울러 베어링을 스프링(215)의 힘에 대항하여 슬로트(212)를 통하여 외측으로 밀어 스프링(215)을 팽창시키므로서, 축(202)과 축(210)을 결합으로부터 분리시켜 내측의 축(202)이 외측의 축(210)에 대하여 회전되게 한다.
이와 같이하여 베어링(205)은 슬로트(212)에 의하여 담지되고 축(202)이 축(210)에 대하여 회전하는 한스프링(215)의 작용하에 슬로트(204)에서 출입한다. 축(210)이 다시 자유롭게 회전하면 스프링은 베어링을 방사상 내측으로 밀어 슬로트(204)(212) 내에 위치시키므로서 축(202)(210)을 함께 회전시킨다.
도시한 형태에서 기어(211)는 체인구동기구의 구동스프로켓(27)을 구동하고 있기 때문에, 주연결장치 또는 안전연결장치가 멈치나사에 의하여 결합되면 기어클러치조립체는 결합으로부터 분리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배어링(220)(221)은 축(202)(210)을 지지한다.
제11도에 도시하고 본문에서 상술한 클러치조립체는 단지 예시의 목적만을 위하여 도시된 것으로, 다른클러치장치가 이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1)

  1. 최소한 하나의 송탄장치, 총신, 노리쇠, 및 상기노리쇠를 총신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장치를 포함하고 있으며, 사격주기는 장전, 노리쇠고정, 발사, 노리쇠후되, 탄피추출, 탄피방출 및 송탄으로 구성되며, 탄환의 발사시 후좌운동이 일어나도록되어 있는 총에 있어서, 노리쇠(37)를 총신(1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정상 사격 중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체인(26)을 포함하며, 탄환이 발사되었다는 표시로서 후좌운동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재(116,132,137)를 가지며, 연속이동하는 체인(26)를 정지시키므로서 노리쇠(37)의 이동을 정지시키기 위하여 체인(26)과 결합가능한 정지부제(105,115,171)를 구비하며, 결합위치와 이탈위치 사이로 정지부재(105,115,171)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감지부재(116,132,137)에 응답하는 솔레노이드를 갖는 총의 기계적인 지발방지창치.
KR1019800002103A 1979-06-08 1980-05-28 총의 기계적인 지발방지장치 KR8400022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46664 1979-06-08
US046,664 1979-06-08
US06/046,664 US4301709A (en) 1979-06-08 1979-06-08 Mechanical anti-hangfire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3077A KR830003077A (ko) 1983-05-31
KR840002208B1 true KR840002208B1 (ko) 1984-11-28

Family

ID=21944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2103A KR840002208B1 (ko) 1979-06-08 1980-05-28 총의 기계적인 지발방지장치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4301709A (ko)
JP (1) JPS55165498A (ko)
KR (1) KR840002208B1 (ko)
BE (1) BE883675A (ko)
CH (1) CH643052A5 (ko)
DE (1) DE3021200A1 (ko)
ES (1) ES8101265A1 (ko)
FR (1) FR2458785A1 (ko)
GB (1) GB2052023B (ko)
IL (1) IL60093A (ko)
IT (1) IT1144047B (ko)
NL (1) NL190791C (ko)
SE (1) SE45140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5625A (ko) * 2014-06-20 2015-12-30 에스앤티중공업 주식회사 박격포 시스템 및 그것의 불발탄 발생시 운용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116541A1 (de) * 1981-04-25 1982-11-11 Rheinmetall GmbH, 4000 Düsseldorf Einrichtung zum raschen stillsetzen einer fremdangetriebenen maschinenkanone
US4563936A (en) * 1982-05-28 1986-01-14 Hughes Helicopters, Inc. Weapon with next round select feed system
US4550641A (en) * 1982-12-08 1985-11-05 Werkzeugmaschinenfabrik Oerlikon-Buhrle Ag Safety apparatus in externally powered firing weapon
DE3307882A1 (de) * 1983-03-05 1984-09-06 Rheinmetall GmbH, 4000 Düsseldorf Schnellstoppeinrichtung fuer eine maschinenwaffe mit fremdantrieb
US4481859A (en) * 1983-03-09 1984-11-13 General Electric Company Gatling gun control system
US4686886A (en) * 1985-03-06 1987-08-18 Fmc Corporation Device for test firing of guns without ammunition
DE3627362C1 (de) * 1986-08-16 1992-04-09 Rheinmetall Gmbh Schnell-Stopp-Einrichtung fuer eine Maschinenwaffe mit Fremdantrieb
FR2664687B1 (fr) * 1990-07-12 1992-09-25 Giat Ind Sa Dispositif de securite pour arme automatique.
FR2721389B1 (fr) * 1994-06-17 1996-08-14 Giat Ind Sa Dispositif de mise de feu pour artillerie par percussion d'une étoupille, et pièce d'artillerie comportant un tel dispositif.
US7066072B2 (en) * 2004-07-16 2006-06-27 Boyer Jr Charles T Determining cook-off time of weapon
US7743543B2 (en) 2005-10-06 2010-06-29 Theodore Karagias Trigger mechanism and a firearm containing the same
DE102006022622A1 (de) 2006-05-12 2007-11-15 Rheinmetall Waffe Munition Gmbh Funktionssteuerung insbesondere für das lineare Zuführen einer Munition in ein Waffenrohr
DE102007048468A1 (de) * 2007-10-09 2009-04-16 Rheinmetall Waffe Munition Gmbh Antrieb für eine Waffe mit vorzugsweise linearer Munitionsführung
DE102007048470A1 (de) * 2007-10-09 2009-04-23 Rheinmetall Waffe Munition Gmbh Schnellstopp für einen Antrieb einer Waffe mit vorzugsweise linearer Munitionszuführung
DE102008060216A1 (de) * 2008-12-04 2010-06-10 Rheinmetall Waffe Munition Gmbh Antrieb und Schnellstopp für eine Waffe mit vorzugsweise linearer Verschluss- bzw. Munitionszuführung
DE102008060217A1 (de) 2008-12-04 2010-06-10 Rheinmetall Waffe Munition Gmbh Verschlussantrieb für eine Waffe
DE102008060214A1 (de) 2008-12-04 2010-06-10 Rheinmetall Waffe Munition Gmbh Verschlussantrieb für eine Waffe mit linearer Verschluss- bzw. Munitionszuführung
DE102008060215A1 (de) 2008-12-04 2010-06-10 Rheinmetall Waffe Munition Gmbh Antrieb und Schnellstop für eine Waffe mit vorzugsweise linearer Verschluss- bzw. Munitionszuführung
DE102009007115B3 (de) * 2009-02-02 2010-02-11 Rheinmetall Waffe Munition Gmbh Schnellstop für eine Maschinenkanone
DE102009056735A1 (de) 2009-12-04 2011-06-09 Rheinmetall Waffe Munition Gmbh Verschlussantrieb für eine Waffe
EP2507577B1 (de) 2009-12-04 2013-09-25 Rheinmetall Waffe Munition GmbH Selektiver verschluss- und/oder munitionsantrieb
DE102010027636A1 (de) 2010-07-19 2012-01-19 Rheinmetall Waffe Munition Gmbh Selektiv zuschaltbarer Verschluss- und/oder Munitionsantrieb
US9377255B2 (en) 2014-02-03 2016-06-28 Theodore Karagias Multi-caliber firearms, bolt mechanisms, bolt lug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DE102016004678B4 (de) * 2016-04-19 2019-05-09 KTS Patentmanagement und Vorentwicklung GmbH Halbautomatische oder vollautomatische Feuerwaffe
US10852085B2 (en) * 2017-02-02 2020-12-01 Michael Morency Cleary Delinker mechanism for chain-driven machine gun
CN109539872A (zh) * 2018-10-24 2019-03-29 重庆长安工业(集团)有限责任公司 可调节式余弹报警器
US10845141B2 (en) * 2018-11-21 2020-11-24 Brendon Zinsner Multi-barrel split-breach rapid fire gun
US11067347B2 (en) 2018-11-30 2021-07-20 Theodore Karagias Firearm bolt assembly with a pivoting handl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16928A (en) * 1910-10-24 1917-02-20 Horatio S Bennett Furnace.
US1216938A (en) * 1916-01-31 1917-02-20 Holmes A Frank Machine-gun.
US3949642A (en) * 1971-01-07 1976-04-13 Pulsepower Systems, Inc. Modular liquid propellant gun
FR2372409A1 (fr) * 1976-11-26 1978-06-23 France Etat Perfectionnements aux armes automatiques a moteur exter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5625A (ko) * 2014-06-20 2015-12-30 에스앤티중공업 주식회사 박격포 시스템 및 그것의 불발탄 발생시 운용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55165498A (en) 1980-12-23
BE883675A (nl) 1980-10-01
GB2052023A (en) 1981-01-21
SE451405B (sv) 1987-10-05
ES492139A0 (es) 1980-12-16
JPS6333638B2 (ko) 1988-07-06
IT1144047B (it) 1986-10-29
ES8101265A1 (es) 1980-12-16
NL8003244A (nl) 1980-12-10
IT8048885A0 (it) 1980-06-04
DE3021200C2 (ko) 1989-03-09
SE8004018L (sv) 1980-12-09
GB2052023B (en) 1982-12-15
CH643052A5 (fr) 1984-05-15
KR830003077A (ko) 1983-05-31
NL190791C (nl) 1994-08-16
IL60093A (en) 1982-07-30
FR2458785B1 (ko) 1985-04-12
FR2458785A1 (fr) 1981-01-02
US4301709A (en) 1981-11-24
DE3021200A1 (de) 1980-12-11
NL190791B (nl) 1994-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40002208B1 (ko) 총의 기계적인 지발방지장치
JP2557813B2 (ja) 二連ボルトアクション連発銃
US9587895B1 (en) Rotatable firearm bolt
US4550641A (en) Safety apparatus in externally powered firing weapon
US4481858A (en) Single barrel externally powered gun
KR101558405B1 (ko) 케이스 없는 탄약을 가진 무기 시스템
US9103623B2 (en) Cartridge gas energized gun for arrows, darts and the like
US4418607A (en) Single barrel externally powdered gun
US5111732A (en) Automatic weapon with small barrel for rapid firing
KR830002212B1 (ko) 클러치 장치
KR20140017463A (ko) 화기용 브리치 볼트
US4454673A (en) Automatic safety device for handguns
US6272783B1 (en) Firing mechanism for fire arms
TW418315B (en) Semiautomatic pistol and ammunition
EP0077841B1 (en) Small-arm having a rotary magazine
US3688637A (en) Multibarrel automatic weapon
DE3050016C2 (de) Zweistufen-Granatenzufuhrgerät mit Granatenzufuhrpfadsteuerung
US3227045A (en) Closed breech rocket gun
US5317951A (en) Cartridge non-ramping feed mechanism for firearms
RU2295101C2 (ru) Способ работы автоматики стрелково-пушечного оружия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EP1252474B1 (en) Firearm
JPS6237320B2 (ko)
US2792761A (en) Gun feeding mechanism
US3431817A (en) Anti-double feed device
KR20070020249A (ko) 폐쇄기와 추진 탄약 및 뇌관 탄약을 둘러싸는 탄환으로이루어진 장치 및 다연발 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0924

Year of fee payment: 11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