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3024A - 물품 보관 설비 - Google Patents

물품 보관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3024A
KR20120123024A KR1020127014227A KR20127014227A KR20120123024A KR 20120123024 A KR20120123024 A KR 20120123024A KR 1020127014227 A KR1020127014227 A KR 1020127014227A KR 20127014227 A KR20127014227 A KR 20127014227A KR 20120123024 A KR20120123024 A KR 201201230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ture
mount
along
passage
mov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42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5171B1 (ko
Inventor
야스시 모리카와
히데오 요시오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ublication of KR20120123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30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5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51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07Storage devices mechanical using stacker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Floor-to-roof stacking devices, e.g. "stacker cranes", "retrie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1/00Ladders in general
    • E06C1/02Ladders in general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 or members
    • E06C1/38Special constructions of ladders, e.g. ladders with more or less than two longitudinal members, ladders with movable rungs or other treads, longitudinally-foldable ladders
    • E06C1/39Ladders having platforms; Ladders changeable into platforms
    • E06C1/393Ladders having platforms foldable with the ladd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1/00Ladders in general
    • E06C1/02Ladders in general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 or members
    • E06C1/38Special constructions of ladders, e.g. ladders with more or less than two longitudinal members, ladders with movable rungs or other treads, longitudinally-foldable ladders
    • E06C1/397Special constructions of ladders, e.g. ladders with more or less than two longitudinal members, ladders with movable rungs or other treads, longitudinally-foldable ladders characterised by having wheels, rollers, or runn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9/0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 E06C9/06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 E06C9/08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s
    • E06C9/12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s laterally displace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Abstract

작업자가 탑승 가능한 작업 가대(3)를, 이동용 통로(S)의 상부에 설치된 이동용 레일(13)에 의해 이동용 통로(S)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바닥면보다 위쪽에서 현수 지지된 현수 부분(14)과, 기단부가 현수 부분(14)의 하단부에 이동용 통로(S)의 가로 폭 방향을 따르는 요동 축심(P1) 주위에 요동 가능하게 연결 지지되어 작업자가 탑승 가능하게 판형으로 형성된 가대 부분(15)을 구비하여 구성하고, 가대 부분(15)을, 요동 축심(P1) 주위의 요동에 의해, 이동용 통로(S)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자세가 되어 가대 부분(15)에 탑승한 작업자가 이동용 통로(S)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탑승용 자세와, 현수 부분(14) 측으로 접혀 상하 방향을 따르는 자세가 되는 접이용 자세로 자세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Description

물품 보관 설비 {ARTICLE STORAGE FACILITY}
본 발명은, 물품을 수납하는 수납부를 상하 방향 및 선반 가로 폭 방향으로 병설(竝設)한 수납선반과, 그 수납선반의 앞쪽에 형성된 이동용 통로의 바닥면 위를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주행하여 물품을 반송하는 스태커 크레인(stacker crane)과 작업자가 탑승 가능한 작업 가대(架臺)가 설치되어 있는 물품 보관 설비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물품 보관 설비는 수납선반에 물품을 수납하는 동시에, 스태커 크레인에 의해 수납부에 대한 물품의 입고나 출고를 행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리고, 예를 들면, 수납선반에 수납되어 있는 물품이나 스태커 크레인에 의해 반송되어 있는 물품이 바닥면에서 높은 위치에서 적하물이 무너진 경우 등, 작업을 행하는 장소가 바닥면에서 높고 바닥면에 있는 작업자의 손이 닿지 않는 높이에 위치할 때, 작업 가대를 이동용 통로의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고, 그 작업 가대에 작업자가 탑승하여 작업을 행하도록 하고 있었다.
그리고, 종래에는, 작업 가대는 이동용 통로의 상부에 설치된 이동용 레일에 의해 이동용 통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현수(懸垂) 지지된 사다리로 구성되어 있고, 바닥면과의 사이에 작업자가 오르내릴 수 있게 되어 있었다. 그리고, 작업 가대의 이동용 통로의 길이 방향에서의 폭을 작게 하여, 작업 가대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작업 가대를 이동용 통로의 단부에 격납함으로써, 작업 가대를 격납한 때에 작업 가대가 스태커 크레인의 주행에 방해가 되지 않게 하고 있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선행 기술 문헌
특허 문헌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공개공보 평 1-158191호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작업 가대는, 현수 지지된 사다리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이동용 통로의 길이 방향에서 사다리에 탑승하고 있는 작업자가 이동할 수 있는 범위가 사다리의 가로 폭의 범위로 제한되어 있었다. 또한, 격납 시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사다리의 가로 폭은 작게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작업자는 이동용 통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좁은 범위에서만 작업을 행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이동용 통로의 길이 방향을 따라 넓은 범위에서 작업을 행하는 경우에는, 작업중에 작업 가대를 이동용 통로에 따라 자주 이동시킬 필요가 있고, 작업을 행하기 어려웠다. 또, 상기한 종래의 작업 가대는, 현수 지지된 사다리로 구성되어 있고, 사다리에 탑승한 작업자는 사다리를 쥐고 작업을 행하므로, 이 점에서도 작업을 행하기 어려운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상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작업 가대를 격납했을 때 작업 가대가 스태커 크레인의 주행에 방해되기 어려우면서 작업 가대를 사용한 작업이 행하기 쉬운 물품 보관 설비를 제공하는 점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물품 보관 설비는, 물품을 수납하는 수납부를 상하 방향 및 선반 가로 폭 방향으로 병설한 수납선반, 그 수납선반의 앞쪽에 형성된 이동용 통로의 바닥면 위를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주행하여 물품을 반송하는 스태커 크레인, 및 작업자가 탑승 가능한 작업 가대가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서, 그 제1 특징적 구성은,
상기 작업 가대가, 상기 이동용 통로의 상부에 설치된 이동용 레일에 의해 상기 이동용 통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상기 바닥면보다 위쪽에서 현수 지지된 현수 부분과, 기단부가 상기 현수 부분의 하단부에 상기 이동용 통로의 가로 폭 방향을 따르는 요동 축심 주위에 요동 가능하게 연결 지지되어 작업자가 탑승 가능하게 판형으로 형성된 가대 부분을 구비하여 구성되며, 상기 가대 부분이, 상기 요동 축심 주위의 요동에 의해, 상기 이동용 통로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자세가 되어 상기 가대 부분에 탑승한 작업자가 상기 이동용 통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탑승용 자세와, 상기 현수 부분 측으로 접혀 상하 방향을 따르는 자세가 되는 접이용 자세로 자세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즉, 가대 부분과 함께 현수 부분을 이동용 통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작업 가대를 이동용 통로의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 가대 부분은, 그 가대 부분을 요동 축심 주위에 요동시킴으로써, 탑승용 자세와 접이용 자세로 자세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가대 부분을 접이용 자세로 자세 변경한 상태에서는, 판형으로 형성된 가대 부분이 현수 부분 측으로 접혀 상하 방향을 따르는 자세가 되고, 작업 가대의 이동용 통로의 길이 방향에서의 폭이 작아지므로, 작업 가대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 작업 가대를 이동용 통로의 단부에 격납했을 때 작업 가대가 스태커 크레인의 주행에 방해되기 어려워진다. 또, 가대 부분을 탑승용 자세로 자세 변경한 상태에서는, 판형으로 형성된 가대 부분이 이동용 통로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자세가 되어 가대 부분에 탑승한 작업자가 이동용 통로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가대 부분 위를 이동 가능하므로, 작업자는 작업 가대에 탑승한 상태로 이동용 통로의 길이 방향을 따라 넓은 범위에서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용 통로의 길이 방향을 따라 넓은 범위에서 작업을 행하는 경우라도, 작업중에 작업 가대를 이동용 통로를 따라 자주 이동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작업자는 작업을 행하기 쉬워진다. 또, 가대 부분을 탑승용 자세로 자세 변경한 상태에서는, 판형으로 형성된 가대 부분이 이동용 통로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자세가 되어 있고, 가대 부분에 탑승한 작업자는 가대 부분이나 현수 부분을 쥐지 않아도 자세가 안정되므로, 이 점에서도 작업자는 작업을 행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작업 가대를 격납했을 때에 작업 가대가 스태커 크레인의 주행에 방해가 되기 어려운 것이면서 작업 가대를 사용한 작업이 행하기 쉬운 물품 보관 설비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물품 보관 설비의 제2 특징적 구성은, 제1 특징적 구성에서, 상기 작업 가대가, 상기 바닥면과의 사이에 작업자가 오르내릴 수 있는 계단 부분을 상기 가대 부분에 연결된 상태로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계단 부분이, 그 기단부가 상기 가대 부분에 상기 이동용 통로의 가로 폭 방향을 따르는 제2 요동 축심 주위에 요동 가능하게 연결 지지되고, 상기 제2 요동 축심 주위의 요동에 의해, 상기 가대 부분을 상기 탑승용 자세로 자세 변경시킨 상태에서 상하 방향을 따르는 자세가 되는 승강 자세와, 상기 가대 부분을 상기 접이용 자세로 자세 변경시킨 상태에서 상기 가대 부분 측으로 접혀 상하 방향을 따르는 자세가 되는 비승강 자세로 자세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즉, 계단 부분을 제2 요동 축심 주위에 요동시킴으로써 승강 자세와 비승강 자세로 자세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계단 부분을 비승강 자세로 자세 변경한 상태에서는, 가대 부분을 접이용 자세로 자세 변경시킨 상태에서 계단 부분이 상하 방향을 따르는 자세가 되고, 작업 가대의 이동용 통로의 길이 방향에서의 두께가 얇아지기 때문에, 작업 가대를 격납했을 때에 작업 가대가 스태커 크레인의 주행에 방해되기 어려워진다. 또, 계단 부분을 승강 자세로 자세 변경한 상태에서는, 가대 부분을 탑승용 자세로 자세 변경시킨 상태에서 계단 부분이 상하 방향을 따르는 자세가 되고, 작업자는 계단 부분을 오르내려 작업 가대에 대하여 승강할 수 있고, 계단 부분을 제2 축심 주위에 요동시키는 것만으로 계단 부분을 설치할 수 있으므로, 접사다리 등을 별도 준비하여 설치하는 경우에 비하여, 작업 가대의 설치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물품 보관 설비의 제3 특징적 구성은, 제1 또는 제2 특징적 구성에 있어서, 상기 탑승용 자세의 상기 가대 부분을 지탱 지지하는 지지 부재가, 상기 수납선반에 설치되어 있는 점에 있다.
즉, 가대 부분을 탑승용 자세로 자세 변경시킨 상태에서는, 그 가대 부분을 물품 수납선반에 설치된 지지 부재에 의해 지지하여 탑승용 자세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가대 부분에 탑승한 작업자가 작업을 행하기 쉬워진다. 또, 지지 부재는 물품 수납선반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탑승용 자세의 가대 부분을 지지하는 지지대 등을 별도 설치할 필요가 없고, 가대 부분을 탑승용 자세로 자세 변경시키는 것만으로 가대 부분을 지지 부재에 의해 지탱 지지되는 상태로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 가대의 설치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물품 보관 설비의 제4 특징적 구성은, 제3 특징적 구성에 있어서, 상기 수납선반이, 상기 이동용 통로의 그 가로 폭 방향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한 쌍 설치되고, 상기 지지 부재로서, 상기 한 쌍의 수납선반 각각에 상기 이동용 통로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상태로 장척(長尺)형으로 형성된 장척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점에 있다.
즉, 탑승용 자세로 자세 변경시킨 가대 부분을, 장척형으로 형성된 장척 부재로 가대 부분의 길이 방향의 전체에 걸쳐 폭 방향의 양쪽 단부를 지탱 지지함으로써, 가대 부분의 그 길이 방향 및 가로 폭 방향에서의 경사를 규제할 수 있다. 따라서, 가대 부분을 탑승용 자세로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물품 보관 설비의 제5 특징적 구성은, 제3 또는 제4 특징적 구성에 있어서, 상기 가대 부분에 구비되어 상기 가대 부분의 위쪽으로의 요동을 규제하는 요동 규제 부재가, 상기 가대 부분을 상기 탑승용 자세로 자세 변경시킨 상태에서 상기 지지 부재의 아래쪽에 위치하여, 상기 가대 부분의 상기 탑승용 자세로부터 상기 접이용 자세 측으로의 요동을 규제하는 요동 규제 위치와, 상기 가대 부분을 상기 탑승용 자세로 자세 변경시킨 상태에서 상기 지지 부재의 아래쪽으로부터 상기 이동용 통로의 가로 폭 방향으로 퇴피하여, 상기 가대 부분의 상기 탑승용 자세로부터 상기 접이용 자세 측으로의 요동을 허용하는 요동 허용 위치로 위치 변경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는 점에 있다.
즉, 요동 규제 부재를 요동 허용 위치로 위치 변경시킴으로써, 요동 규제 부재가 지지 부재에 간섭하지 않고, 가대 부분을 탑승용 자세와 접이용 자세로 자세 변경할 수 있다. 또, 가대 부분을 탑승용 자세로 전환하여 지지 부재에 의해 지탱 지지한 상태로 요동 규제 부재를 요동 허용 위치로 위치 변경시킴으로써, 탑승용 자세의 가대 부분은, 지지 부재에 의해 아래쪽으로의 요동이 규제되고, 또한 요동 규제 부재에 의해 위쪽으로의 요동이 규제된다. 따라서, 탑승용 자세의 가대 부분의 상하 방향에서의 요동을 규제할 수 있어, 가대 부분을 탑승용 자세로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물품 수납선반 측에 요동 규제 부재를 설치한 경우에는, 작업 가대를 이동용 통로를 따라 이동시킨 각각의 장소에서 가대 부분의 위 아래쪽으로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도록, 요동 규제 부재를 이동용 통로를 따라 다수 설치할 필요가 있지만, 요동 규제 부재는 가대 부분에 구비되어 있으므로, 요동 규제 부재는 1개 또는 소수 설치하기만 하면 되어, 물품 보관 설비의 구성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물품 보관 설비의 제6 특징적 구성은, 제1 ∼ 제5 특징적 구성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이동용 통로의 바닥면 측에 설치되어 상기 스태커 크레인의 하부를 상기 이동용 통로를 따라 안내하는 하부 안내 레일과, 상기 이동용 통로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스태커 크레인의 상부를 안내하는 상부 안내 레일이 설치되고, 상기 상부 안내 레일이, 상기 이동용 레일에 겸용되고 있는 점에 있다.
즉, 스태커 크레인의 상부를 이동용 통로를 따라 안내하는 상부 안내 레일을 이동용 레일에 겸용하고 있으므로, 현수 부분을 이동용 통로를 따라 안내하기 위해 별도의 전용 레일을 설치할 필요가 없고, 물품 보관 설비의 구성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물품 보관 설비의 제7 특징적 구성은, 제1 ∼ 제6 특징적 구성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작업 가대가, 상기 가대 부분을 상기 탑승용 자세 측에서 상기 접이용 자세 측으로 가압하는 가압 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즉, 가대 부분이 가압 수단에 의해 탑승용 자세 측에서 접이용 자세 측으로 가압되고, 가대 부분의 하중의 일부를 가압 수단의 가압에 의해 상쇄할 수 있으므로, 가대 부분을 접이용 자세에서 탑승용 자세로 자세 변경할 때에 가대 부분을 지지하는 힘이 적어도 되고, 또, 가대 부분을 탑승용 자세에서 접이용 자세로 자세 변경할 때에 가대 부분을 들어올리는 힘이 적어도 된다. 따라서, 가대 부분을 탑승용 자세나 접이용 자세로 자세 변경하기 쉬워진다.
도 1은 물품 보관 설비의 횡 측면도이다.
도 2는 작업 가대의 이동 상태를 나타낸 물품 보관 설비의 정면도이다.
도 3은 작업 가대의 작업 상태를 나타낸 물품 보관 설비의 정면도이다.
도 4는 이동 상태와 전개 도중을 나타내는 작업 가대의 측면도이다.
도 5는 작업 상태를 나타낸 작업 가대의 측면도이다.
도 6은 현수 부분의 상단부를 나타낸 정면도다.
도 7은 현수 부분의 상단부를 나타낸 측면도다.
도 8은 계단 부분의 선단부를 나타낸 측면도다.
도 9는 작업 상태에서의 이동 저지 수단과 이동 상태 유지 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이동 상태에서의 이동 저지 수단과 이동 상태 유지 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이동 상태에서의 가압 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작업 상태에서의 가압 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작업 상태 유지 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물품 보관 설비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품 보관 설비에는, 물품을 수납하는 수납부를 상하 방향 및 선반 가로 폭 방향으로 병설한 수납선반(1), 그 수납선반(1)의 앞쪽에 형성된 이동용 통로(S)의 바닥면 위를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주행하여 물품을 반송하는 스태커 크레인(2), 및 작업자가 탑승 가능한 작업 가대(3)가 설치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납선반(1)은, 이동용 통로(S)의 그 가로 폭 방향의 양측에 위치하는 상태로 한 쌍 설치되어 있고, 한 쌍의 수납선반(1) 사이에 이동용 통로(S)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물품 보관 설비는, 반도체 제품이나 액정 표시 소자 등의 제품의 가공중인 제품을 용기에 수납하고, 그 용기를 물품으로서 보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물품 보관 설비는, 먼지가 적은 청정화된 클린룸(clean roon) 내에 설치되어 있고, 클린룸은 청정화된 청정 공기를 천정 측에서 바닥 측을 향해 아래로 흐르게 하는 다운 플로(down flow) 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닥부를 구성하는 격자 바닥(5)의 아래쪽의 공간과 천정부를 구성하는 에어 필터(6)의 위쪽의 공간이, 통풍 팬(7) 및 프리필터(pre-filter)(8)를 구비한 접속 유로(9)에 의해 연통(連通)되어 있고, 클린룸 내의 공기를, 프리필터(8)와 에어 필터(6)로 청정화시키면서 순환시켜, 청정 공기를 클린룸의 천정부에서 바닥부로 통풍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물품 보관 설비에는, 이동용 통로(S)의 바닥면 측에 설치되어 스태커 크레인(2)의 하부를 이동용 통로(S)를 따라 안내하는 하부 안내 레일(11)과 이동용 통로(S)의 상부에 설치되어 스태커 크레인(2)의 상부를 안내하는 상부 안내 레일(12)이 설치되어 있고, 스태커 크레인(2)은, 하부 안내 레일(11)과 상부 안내 레일(12)에 안내되어 이동용 통로(S)를 따라 주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작업 가대(3)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업 가대(3)는 상부 안내 레일(12)에 의해 이동용 통로(S)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바닥면보다 위쪽에서 현수 지지된 현수 부분(14)과 기단부가 현수 부분(14)의 하단부에 이동용 통로(S)의 가로 폭 방향을 따르는 제1 요동 축심(P1) 주위에 요동 가능하게 연결 지지되어 작업자가 탑승 가능하게 판형으로 형성된 가대 부분(15)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 작업 가대(3)는, 바닥면과의 사이에 작업자가 오르내릴 수 있는 계단 부분(16)을 가대 부분(15)에 연결된 상태로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고, 계단 부분(16)은, 그 기단부가 가대 부분(15)의 선단부에 이동용 통로(S)의 가로 폭 방향을 따르는 제2 요동 축심(P2) 주위에 요동 가능하게 연결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가대 부분(15)의 길이 방향에서의 현수 부분(14)에 연결 지지되는 측의 단부를 기단부라고 하고, 그 반대측의 단부를 선단부라고 한다. 또, 계단 부분(16)의 길이 방향에서의 가대 부분(15)에 연결 지지되는 측의 단부를 기단부라고한다..
그리고, 작업 가대(3)는, 전술한 바와 같이, 현수 부분(14)이 상부 안내 레일(12)에 현수 지지되고, 이 현수 부분(14)에 가대 부분(15)이 연결되고, 가대 부분(15)에 계단 부분(16)이 연결됨으로써, 현수 부분(14)과 가대 부분(15)과 계단 부분(16)을 일체적으로 이동용 통로(S)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현수 부분(14)을 스태커 크레인(2)의 상부를 안내하는 상부 안내 레일(12)에 현수 지지함으로써, 이 상부 안내 레일(12)이, 현수 부분(14)을 이동용 통로(S)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바닥면보다 위쪽에서 현수 지지하는 이동용 레일(13)을 겸용하고 있다. 덧붙여 설명하면, 작업 가대(3)는 이동용 통로(S)의 가로 폭(한 쌍의 수납선반(1)의 간격)보다 협폭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가대 부분(15)은, 제1 요동 축심(P1) 주위의 요동에 의해, 이동용 통로(S)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자세가 되어 상기 가대 부분(15)에 탑승한 작업자가 이동용 통로(S)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탑승용 자세(도 5 참조)와, 현수 부분(14) 측으로 접혀 상하 방향을 따르는 자세가 되는 접이용 자세(도 4(a) 참조)로 자세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계단 부분(16)은, 제2 요동 축심(P2) 주위의 요동에 의해, 가대 부분(15)을 탑승용 자세로 자세 변경시킨 상태에서 상하 방향을 따르는 자세가 되는 승강 자세(도 5 참조)와, 가대 부분(15)을 접이용 자세로 자세 변경시킨 상태에서 가대 부분(15) 측으로 접혀 상하 방향을 따르는 자세가 되는 비승강 자세(도 4(a) 참조)로 자세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요동 축심(P1)이 본원 발명의 요동 축심에 상당한다.
즉, 작업 가대(3)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대 부분(15)을 탑승용 자세로 하고 또한 계단 부분(16)을 승강 자세로 함으로써, 작업자가 계단 부분(16)을 사용하여 가대 부분(15)에 탑승 가능한 작업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또, 작업 가대(3)는, 도 4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대 부분(15)을 접이용 자세로 하고 또한 계단 부분(16)을 비승강 자세로 함으로써, 작업 가대(3)를 작업자의 압인(押印, 눌러 당김) 조작에 의해, 이동용 통로(S)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조작 가능한 이동 상태로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업 가대(3)는 한 쌍 설치되어 있고, 이들 한 쌍의 작업 가대(3)는, 스태커 크레인(2)을 주행시켜 물품의 반송 작업을 행하는 통상의 운전 상태에서는, 이동용 통로(S)의 길이 방향의 양단 부분 각각에 설정된 격납 장소(K)에 이동 상태로 격납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스태커 크레인(2)에 대하여 이동용 통로(S)의 길이 방향의 양측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수납선반(1)에 수납되어 있는 물품 또는 스태커 크레인(2)에 의해 반송되어 있는 물품의 적하물이 무너지는 등, 작업자에 의한 작업이 필요한 경우에는, 격납 장소(K)에 격납되어 있는 작업 가대(3)를 작업 장소 가까이에 이동시킨 후, 그 작업 가대(3)를 작업 상태로 전환하고, 작업자가 작업 가대(3)에 탑승하여 작업을 행하게 된다.
또, 탑승용 자세의 가대 부분(15)을 지탱 지지하는 지지 부재(21)가 수납선반(1)의 상하 중앙부에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 부재(21)로서 장척형으로 형성된 장척 부재(22)가, 한 쌍의 수납선반(1) 각각에 이동용 통로(S)의 길이 방향을 따른 상태로 또한 이동용 통로(S)에 돌출되는 상태로 수평 자세로 설치되어 있다. 즉, 작업 가대(3)를 작업 상태로 전환한 상태에서는, 가대 부분(15)에서의 가로 폭 방향의 양단부가 장척 부재(22)에 의해 지탱 지지되는 형태로 가대 부분(15)이 지지 부재(21)에 의해 지탱 지지된다.
다음에, 작업 가대(3)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지만, 한 쌍의 작업 가대(3)는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한쪽의 작업 가대(3)에 대하여 설명하고, 다른 쪽의 작업 가대(3)에 대하여는 설명을 생략한다.
〔현수 부분〕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업 가대(3)의 현수 부분(14)은, 좌우 한 쌍의 세로 기둥과 한 쌍의 세로 기둥에 걸쳐 가설된 복수의 가로 기둥으로 사다리형으로 구성되어 있고, 작업자가 현수 부분(14)에 승강함으로써 가대 부분(15)보다 높은 위치에 오를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현수 부분(14)은, 그 길이 방향의 길이가 지지 부재(21)와 같은 높이에 하단부가 위치하는 길이로 형성되어 있고, 하단부의 가로 폭이 한 쌍의 장척 부재(22)의 가로 폭 방향의 간격보다 협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현수 부분(14)의 상단부에, 상부 안내 레일(12) 위를 굴러 움직이는(轉動) 가로 축심 주위에 회전 가능한 전동륜(18)과, 상부 안내 레일(12)의 하면에 맞닿아 현수 부분(14)이 상부 안내 레일(12)로부터 부상하는 것을 규제하는 가로 축심 주위에 회전 가능한 아래 규제륜(19)과, 상부 안내 레일(12)의 가로측 면에 맞닿아 현수 부분(14)이 상부 안내 레일(12)에 대하여 가로 폭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세로 축심 주위에 회전 가능한 가로 규제륜(20)이 구비되어 있다. 현수 부분(14)은, 이들 전동륜(18), 아래 규제륜(19) 및 가로 규제륜(20)의 작용에 의해 상부 안내 레일(12)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현수 지지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가대 부분〕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대 부분(15)은, 접이용 자세에서는 현수 부분(14)에 대하여 스태커 크레인(2)이 존재하는 측에 위치하도록 현수 부분(14)과 겹쳐져 있고, 이 접이용 자세에서 스태커 크레인(2)가 존재하는 측으로 전개함으로써 탑승용 자세로 자세 변경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가대 부분(15)은, 그 길이 방향의 길이가 수납선반(1)의 높이의 1/3 정도의 길이이고 또한 이동용 통로(S)의 길이 방향으로 정렬된 수납부 4개분 정도의 길이로 형성되어 있고, 탑승용 자세의 가대 부분(15) 위에서 작업자가 이동용 통로(S)를 따라 걸어 이동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또, 가대 부분(15)는, 그 가로 폭이 한 쌍의 장척 부재(22)의 가로 폭 방향의 간격보다 광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12 및 도 13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대 부분(15)은, 탑승용 자세에서 한 쌍의 장척 부재(22)에 의해 탑재 지지되어 작업자가 탑승하는 탑승부(24)와, 탑승용 자세에서 한 쌍의 장척 부재(22)의 사이에 위치하는 베이스부(25)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가대 부분(15)을 탑승용 자세로 자세 변경시킴으로써 탑승용 자세의 가대 부분(15)의 탑승부(24)를 한 쌍의 장척 부재(22)에 의해 탑재 지지할 수 있고, 이와 같이 가대 부분(15)을 탑재 지지한 상태로 베이스부(25)에 의해 가대 부분(15)의 가로 폭 방향으로의 위치 어긋남이 규제되어 있다. 덧붙여 설명하면, 탑승용 자세에서의 가대 부분(15)의 자세는 수평 자세가 되어 있다.
〔계단 부분〕
계단 부분(16)은, 도 4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승강 자세에서는 가대 부분(15)에 대하여 스태커 크레인(2)이 존재하는 측에 위치하도록 가대 부분(15)과 겹쳐져 있고, 이 비승강 자세에서 스태커 크레인(2)이 존재하는 측으로 비스듬히 아래쪽으로 전개함으로써 승강 자세로 자세 변경하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5). 또, 이 승강 자세에서의 계단 부분(16)은, 선단부가 바닥면에 접촉하는 동시에, 선단측 만큼 스태커 크레인(2)이 존재하는 측에 위치하는 경사 자세가 되어 있다. 계단 부분(16)의 기단부는, 승강 자세에서 가대 부분(15)로부터 위쪽으로 돌출하는 상태가 되도록, 기단으로부터 선단부 측(바닥면 측)으로 이격된 곳에서 가대 부분(15)에 연결 지지되어 있다. 계단 부분(16)은, 그 가로 폭이 한 쌍의 장척 부재(22)의 가로 폭 방향의 간격보다 협폭에 형성되어 있다.
또, 비승강 자세에서의 계단 부분(16)의 높이가, 바닥면 위의 작업자가 손이 닿는 높이로 되어 있고, 작업 가대(3)가 이동 상태로 전환되어 있는 상태에서 작업자가 계단 부분(16)의 선단부를 파지하여 계단 부분(16)을 압인 조작함으로써, 작업 가대(3)를 이동용 통로(S)를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또, 계단 부분(16)은, 현수 부분(14)과 마찬가지로, 좌우 한 쌍의 세로 기둥과 한 쌍의 세로 기둥에 걸쳐 가설된 복수의 가로 기둥으로 사다리형으로 구성되어 있고, 계단 부분(16)을 사용함으로써 작업자가 가대 부분(15)에 대하여 오르내릴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가압 수단〕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업 가대(3)에는, 가대 부분(15)을 탑승용 자세 측에서 접이용 자세 측으로 가압하여, 작업 상태나 이동 상태로의 전환을 보조하는 가스 밀봉식의 댐퍼(damper)에 의해 구성된 가압 수단(26)이 설치되어 있다. 즉, 가대 부분(15)을 접이용 자세로 자세 변경시킨 상태에서는, 가압 수단(26)의 가압력에 의해 작업 가대(3)는 이동 상태로 유지된다. 그리고, 작업 가대(3)를 이동 상태에서 작업 상태로 전환하는 경우에는, 가압 수단(26)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작업자가 가대 부분(15)을 접이용 자세와 탑승용 자세의 중간의 중간 자세(도 4 (b) 참조)에서 탑승용 자세 측으로 자세 변경함으로써, 그 후에는 가대 부분(15) 및 계단 부분(16)의 자체 중량에 의해 가압 수단(26)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탑승용 자세로 자세 변경된다. 또, 작업 가대(3)를 작업 상태에서 이동 상태로 전환하는 경우에는, 작업자는 가압 수단(26)의 가압력에 의해 가벼운 조작력으로 가대 부분(15)을 접이용 자세 측으로 자세 변경시킬 수 있고, 작업자가 가대 부분(15)을 중간 자세로부터 접이용 자세 측으로 자세 변경시킨 후에는 가압 수단(26)의 가압력에 의해 접이용 자세로 자세 변경된다.
작업 가대(3)에는, 작업 가대(3)의 이동을 저지하는 이동 저지 수단(28), 작업 가대(3)를 이동 상태로 유지하는 이동 상태 유지 수단(36), 및 작업 가대(3)를 작업 상태로 유지하는 작업 상태 유지 수단(42)이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이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동 저지 수단〕
도 6,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 저지 수단(28)은, 상부 안내 레일(12)의 하면에 접촉하는 위치와 상부 안내 레일(12)로부터 아래쪽에 이격된 위치에 승강 이동 가능하게 또한 압축 스프링(29)에 의해 이격 위치 측으로 가압된 상태로 설치된 제동용 접촉체(30), 요동에 의해 제동용 접촉체(30)를 승강 이동시키는 요동식의 연동 조작 기구(31), 작업자에 의해 요동 조작되는 요동식의 수동 레버(32a)를 구비한 수동 조작부(32), 및 연동 조작 기구(31)와 수동 조작부(32)를 연동 연결하는 제1 와이어(33)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제동용 접촉체(30) 및 연동 조작 기구(31)는 현수 부분(14)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있고, 수동 조작부(32)는 계단 부분(16)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또, 제1 와이어(33)는, 현수 부분(14), 가대 부분(15) 및 계단 부분(16)을 따라 배치 설치되어 있고, 제1 와이어(33)와 수동 조작부(32) 사이에는 인장 스프링(34)이 개재되어 있다.
그리고,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동 레버(32a)를 작용 위치로 요동 조작하면, 제1 와이어(33)가 당김 조작되어 연동 조작 기구(31)가 요동하고, 압축 스프링(29)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제동용 접촉체(30)가 위쪽으로 이동하여 상부 안내 레일(12)에 접촉한다. 이 상태에서는, 제동용 접촉체(30)가 상부 안내 레일(12)에 접촉함으로써 작업 가대(3)의 이동이 저지되는 상태가 되어 있다. 또,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동 레버(32a)를 비작용 위치로 요동 조작하면, 제1 와이어(33)에 대한 당김 조작이 해제되어, 제동용 접촉체(30)는 압축 스프링(29)의 가압력에 의해 아래쪽으로 이동하여 상부 안내 레일(12)로부터 이격된다. 이 상태에서는, 제동용 접촉체(30)가 상부 안내 레일(12)에 접촉하고 있지 않으므로 작업 가대(3)의 이동을 허용하는 상태가 되어 있다. 덧붙여 설명하면, 수동 조작부(32)는, 주지 구조의 사점(dead point) 극복식의 클램프 장치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고, 작용 위치 및 비작용 위치의 각각의 위치에 위치 유지된다.
〔이동 상태 유지 수단〕
이동 상태 유지 수단(36)은, 계단 부분(16)의 기단부에 설치된 걸어맞춤 대상체(37)에 걸어 맞춰지는 걸어맞춤 자세와 걸어맞춤 대상체(37)에 대한 걸어맞춤이 해제되는 비걸어맞춤 자세로 요동 가능하고 또한 헬리컬 스프링(helical spring)(38)에 의해 걸어맞춤 자세 측으로 가압된 걸어맞춤 체(39), 상기한 수동 조작부(32), 및 걸어맞춤 체(39)와 수동 조작부(32)를 연동 연결하는 제2 와이어(40)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걸어맞춤 체(39)는 현수 부분(14)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있고, 제2 와이어(40)는 제1 와이어(33)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업 가대(3)가 이동 상태로 전환되어 있는 상태에서 수동 레버(32a)를 작용 위치로 요동 조작하면, 제2 와이어(40)가 당김 조작됨으로써, 헬리컬 스프링(38)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걸어맞춤 체(39)가 비걸어맞춤 자세 측으로 요동하고, 걸어맞춤 체(39)의 걸어맞춤 대상체(37)에 대한 걸어맞춤이 해제된다. 이 상태에서는, 가대 부분(15)이나 계단 부분(16)을 전개시켜 작업 가대(3)를 작업 상태로 전환 가능한 상태가 되어 있다. 또,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업 가대(3)가 이동 상태로 전환되어 있는 상태에서 수동 레버(32a)를 비작용 위치로 요동 조작하면, 제2 와이어(40)에 대한 당김 조작이 해제되어, 걸어맞춤 체(39)는 헬리컬 스프링(38)의 가압력에 의해 걸어맞춤 자세 측으로 요동하고, 걸어맞춤 체(39)가 걸어맞춤 대상체(37)에 걸어 맞춰진다. 이 상태에서는, 가대 부분(15)이나 계단 부분(16)은 전개시킬 수 없어 작업 가대(3)를 작업 상태로 전환 불가능한 상태가 되어 있다. 덧붙여 설명하면, 작업 가대(3)가 작업 상태로 전환되고 또한 수동 레버(32a)가 비작용 위치로 요동 조작되어 걸어맞춤 체(39)가 걸어맞춤 자세인 상태에서, 작업 가대(3)를 이동 상태로 전환함으로써, 그 도중에 걸어맞춤 대상체(37)가 걸어맞춤 체(39)에 맞닿아 걸어맞춤 체(39)가 걸어맞춤 대상체(37)의 이동 경로로부터 퇴피하도록 요동하고, 작업 가대(3)가 이동 상태로 전환됨에 따라 걸어맞춤 체(39)가 걸어맞춤 대상체(37)에 걸어 맞춰지도록 되어 있다.
〔작업 상태 유지 수단〕
작업 상태 유지 수단(42)으로서, 가대 부분(15)의 가로 폭 방향의 양단부 각각에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요동 규제 부재(43)가 구비되어 있다. 이들 복수의 요동 규제 부재(43) 각각은, 가대 부분(15)의 하면에 세로 축심 주위에 회전 조작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가대 부분(15)을 탑승용 자세로 자세 변경시킨 상태에서 회전 조작함으로써, 지지 부재(21)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요동 규제 위치(도 13 (b)에 서 실선으로 나타낸 위치)와, 지지 부재(21)의 아래쪽에서 가로 폭 방향으로 퇴피한 요동 허용 위치(도 13 (b)에서 가상선으로 나타낸 위치)로 위치 변경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작업 가대(3)이 작업 상태로 전환되어 있는 상태에서 요동 규제 부재(43) 각각을 요동 규제 위치로 위치 변경시키면, 가대 부분(15)의 가로 폭 방향의 일단부에 설치된 복수의 요동 규제 부재(43)가 지지 부재(21)에서의 한쪽의 장척 부재(22)의 하면에 맞닿고, 가대 부분(15)의 가로 폭 방향의 타단부에 설치된 복수의 요동 규제 부재(43)가 다른 쪽의 장척 부재(22)의 하면에 맞닿음으로써, 가대 부분(15)의 탑승용 자세에서 접이용 자세 측으로의 요동을 규제할 수 있다. 또, 작업 가대(3)가 작업 상태로 전환되어 있는 상태에서 요동 규제 부재(43)를 요동 허용 위치로 위치 변경시키면, 복수의 요동 규제 부재(43)가 지지 부재(21)에서의 한 쌍의 장척 부재(22)에 맞닿지 않고, 가대 부분(15)을 탑승용 자세에서 접이용 자세로 자세 변경시킬 수 있다.
또, 요동 규제 부재(43)는, 작업 가대(3)가 작업 상태로 전환되어 있는 상태에서 한 쌍의 장척 부재(22) 사이에 위치하고 있고, 요동 허용 위치에서 요동 규제 위치로 위치 변경시킴으로써 대응하는 장척 부재(22)에 근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요동 규제 부재(43)를 요동 규제 위치로 위치 변경시킨 상태에서는, 이 요동 규제 부재(43)가 장척 부재(22)에서의 이동용 통로(S) 측의 가로측 면에 맞닿음으로써, 가대 부분(15)의 가로 폭 방향에서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또, 가대 부분(15)에는, 작업 가대(3)가 작업 상태로 전환되어 있는 상태에서 한 쌍의 장척 부재(22)의 가로 폭 방향 바깥쪽 측에 위치하도록 규제체(44)가 설치되어 있고, 이 규제체(44)가 한 쌍의 장척 부재(22)에서의 이동용 통로(S) 측과는 반대 측의 가로측 면에 맞닿음으로써도, 가대 부분(15)의 가로 폭 방향에서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덧붙여 설명하면,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지만, 작업 가대(3)를 격납 장소(K)에 격납시킨 상태로, 작업 가대(3)를 수납선반(1) 등의 주위의 부재에 고정하는 등에 의해 작업 가대(3)를 격납 장소(K)에 유지하는 격납용 유지 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작업 가대(3)를 사용한 작업자에 의한 작업이 필요한 경우에는, 격납 장소(K)에 격납되어 있는 작업 가대(3)에 대한 격납용 유지 수단에 의한 유지를 해제한 후, 작업자가 작업 가대(3)를 압인 조작하여 작업 장소 가까이에 이동시킨다. 그 후, 작업자는 수동 레버(32a)를 작용 위치로 요동 조작하여, 작업 가대(3)의 이동이 저지되는 상태로 하는 동시에 작업 가대(3)를 작업 상태로 전환 가능한 상태로 한다. 다음에, 작업자는 계단 부분(16)을 비스듬히 아래쪽으로 당겨 내려, 작업 가대(3)를 작업 상태로 전환한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계단 부분(16)에 올라가 가대 부분(15) 위로 이동하고, 요동 규제 부재(43)를 요동 규제 위치로 위치 변경시킨 후, 가대 부분(15) 위에서 이동용 통로(S)를 따라 이동하면서 작업을 행하고, 또한 현수 부분(14)에 올라가 더 높은 곳의 작업을 행한다. 덧붙여 설명하면, 한 쌍의 작업 가대(3) 중 스태커 크레인(2)이 정지되어 있는 곳에 대하여 작업 장소가 존재하는 측에 위치하는 작업 가대(3)를 사용하여 작업을 행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작업이 종료되면 요동 규제 부재(43)를 요동 허용 위치로 위치 변경시킨 후에 바닥면 위에 내려서, 계단 부분(16)을 비스듬히 위쪽으로 밀어 올려 작업 가대(3)를 이동 상태로 전환한다. 다음에, 작업자는 수동 레버(32a)를 비작용 위치로 요동 조작하여, 작업 가대(3)의 이동이 허용되는 상태로 하는 동시에 작업 가대(3)를 작업 상태로 전환 불가능한 상태로 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작업 가대(3)를 압인 조작하여 격납 위치로 이동시키고 후, 격납용 유지 수단에 의해 작업 가대(3)를 격납 위치에 유지시킨다.
〔다른 실시예〕
(1) 상기 실시예에서는, 작업 가대(3)를, 그 계단 부분(16)을 가대 부분(15)에 연결된 상태로 구비하여 구성하였지만, 작업 가대(3)를, 그 계단 부분(16)을 가대 부분(15)과 별개의 개체로 구비하여 구성해도 된다. 즉, 작업 가대(3)를, 현수 부분(14)과 가대 부분(15)을 일체적으로 작업 장소 가까이에 이동시키는 동시에, 이와는 별도로 계단 부분(16)을 작업 장소 가까이에 이동시키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계단 부분(16)으로서는, 탑승용 자세의 가대 부분(15)에 탈착 가능하게 구성해도 되고, 또, 자립(自立) 상태로 바닥면 위에 세워 설치 가능하게 구성해도 된다. 덧붙여 설명하면, 계단 부분(16)을 가대 부분(15)에 연결한 상태로 구비한 경우, 승강 자세의 계단 부분(16)을, 선단부가 바닥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멀어지도록 해도 되고, 또, 연직(鉛直) 자세로 해도 된다.
(2) 상기 실시예에서는, 작업 가대(3)를, 현수 부분(14)과 가대 부분(15)과 계단 부분(16)으로 3번 접는 구성으로 하였으나, 가대 부분(15)의 기단측 부분과 선단측 부분을 접을 수 있게 구성하는 등에 의해, 작업 가대(3)를, 4번 이상 접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3) 상기 실시예에서는, 지지 부재(21)로서 이동용 통로(S)의 길이 방향을 따른 상태로 장척형으로 형성된 장척 부재(22)를 설치하였으나, 지지 부재(21)로서 이동용 통로(S)의 길이 방향으로 정렬된 복수의 지지체를 설치해도 된다. 이 경우, 탑승용 자세의 가대 부분(15)은 길이 방향으로 정렬된 복수의 지지체에 의해 지탱 지지된다. 또, 탑승용 자세의 가대 부분(15)을 지지 부재(21)에 의해 지탱 지지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지지 부재(21)를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4) 상기 실시예에서는, 요동 규제 부재(43)를 세로축 심 주위에 회전 조작함으로써 요동 규제 위치와 요동 허용 위치로 위치 변경 가능하게 구성하였지만, 요동 규제 부재(43)를 가로 폭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킴으로써 요동 규제 위치와 요동 허용 위치로 위치 변경 가능하게 구성해도 되고, 또, 요동 규제 부재(43)를, 볼트 등으로 가대 부분(15)을 지지 부재(21)에 연결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덧붙이면, 가대 부분(15)의 위쪽으로의 요동을 규제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요동 규제 부재(43)를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5) 상기 실시예에서는, 스태커 크레인(2)의 상부를 안내하는 상부 안내 레일(12)를, 현수 부분(14)를 이동 가능하게 현수 지지하는 이동용 레일(13)을 겸용했지만, 상부 안내 레일(12)과는 별도로 이동용 레일(13)을 설치하여, 상부 안내 레일(12)이 이동용 레일(13)을 겸용하지 않도록 해도 된다.
(6) 상기 실시예에서는, 가압 수단(26)으로서 댐퍼를 설치하였으나, 가압 수단(26)으로서 헬리컬 스프링 등의 다른 수단을 설치해도 된다. 또, 가대 부분(15)을 탑승용 자세 측에서 접이용 자세 측으로 가압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가압 수단(26)을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7) 상기 실시예에서는, 작업 가대(3)를, 이동 상태에서 현수 부분(14)과 가대 부분(15)과 계단 부분(16)을 차례로 스태커 크레인(2)가 존재하는 측으로 겹쳐 쌓고, 스태커 크레인(2)가 존재하는 측으로 전개함으로써 작업 상태로 전환하도록 구성하였지만, 작업 가대(3)를, 이동 상태에서 현수 부분(14)과 가대 부분(15)과 계단 부분(16)을 차례로 스태커 크레인(2)가 존재하지 않는 측으로 겹쳐 쌓고, 스태커 크레인(2)이 존재하지 않는 측으로 전개함으로써 작업 상태로 전환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와 같이 작업 가대(3)를 구성함으로써, 현수 부분(14)을 계단 부분(16)보다 스태커 크레인(2)에 근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8) 상기 실시예에서는, 작업 가대(3)를 한 쌍 설치하고, 그 한 쌍의 작업 가대(3)를 스태커 크레인(2)에 대하여 이동용 통로(S)의 길이 방향의 양측에 설치하였으나, 작업 가대(3)를 1개 설치하고, 그 1개의 작업 가대(3)를 스태커 크레인(2)에 대하여 이동용 통로(S)의 길이 방향의 한쪽에 설치해도 된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물품을 수납하는 수납부를 상하 방향 및 선반 가로 폭 방향으로 병설한 수납선반, 그 수납선반의 앞쪽에 형성된 이동용 통로의 바닥면 위를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주행하여 물품을 반송하는 스태커 크레인, 및 작업자가 탑승 가능한 작업 가대가 설치되어 있는 물품 보관 설비에 바람직하게 이용될 수 있다.
1: 수납선반 2: 스태커 크레인
3: 작업 가대 11: 하부 안내 레일
12: 상부 안내 레일 13: 이동용 레일
14: 현수 부분 15: 가대 부분
16: 계단 부분 21: 지지 부재
22: 장척 부재 26: 가압 수단
43: 요동 규제 부재 P1: 요동 축심
P2: 제2 요동 축심 S: 이동용 통로

Claims (7)

  1. 물품을 수납하는 수납부를 상하 방향 및 선반 가로 폭 방향으로 병설한 수납선반,
    그 수납선반의 앞쪽에 형성된 이동용 통로의 바닥면 위를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주행하여 물품을 반송하는 스태커 크레인, 및
    작업자가 탑승 가능한 작업 가대가 설치되어 있는 물품 보관 설비로서,
    상기 작업 가대가, 상기 이동용 통로의 상부에 설치된 이동용 레일에 의해 상기 이동용 통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상기 바닥면보다 위쪽에서 현수 지지된 현수 부분과, 기단부가 상기 현수 부분의 하단부에 상기 이동용 통로의 가로 폭 방향을 따르는 요동 축심 주위에 요동 가능하게 연결 지지되어 작업자가 탑승 가능하게 판형으로 형성된 가대 부분을 구비하여 구성되며,
    상기 가대 부분이, 상기 요동 축심 주위의 요동에 의해, 상기 이동용 통로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자세가 되어 상기 가대 부분에 탑승한 작업자가 상기 이동용 통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탑승용 자세와, 상기 현수 부분 측으로 접혀 상하 방향을 따르는 자세가 되는 접이용 자세로 자세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물품 보관 설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가대가, 상기 바닥면과의 사이에 작업자가 오르내릴 수 있는 계단 부분을 상기 가대 부분에 연결된 상태로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계단 부분이, 그 기단부가 상기 가대 부분에 상기 이동용 통로의 가로 폭 방향을 따르는 제2 요동 축심 주위에 요동 가능하게 연결 지지되고, 상기 제2 요동 축심 주위의 요동에 의해, 상기 가대 부분을 상기 탑승용 자세로 자세 변경시킨 상태에서 상하 방향을 따르는 자세가 되는 승강 자세와, 상기 가대 부분을 상기 접이용 자세로 자세 변경시킨 상태에서 상기 가대 부분 측으로 접혀 상하 방향을 따르는 자세가 되는 비승강 자세로 자세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물품 보관 설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용 자세의 상기 가대 부분을 지탱 지지하는 지지 부재가, 상기 수납선반에 설치되어 있는, 물품 보관 설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선반이, 상기 이동용 통로의 그 가로 폭 방향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한 쌍 설치되고,
    상기 지지 부재로서, 상기 한 쌍의 수납선반 각각에 상기 이동용 통로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상태로 장척형으로 형성된 장척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물품 보관 설비.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대 부분에 구비되어 상기 가대 부분의 위쪽으로의 요동을 규제하는 요동 규제 부재가, 상기 가대 부분을 상기 탑승용 자세로 자세 변경시킨 상태에서 상기 지지 부재의 아래쪽에 위치하여, 상기 가대 부분의 상기 탑승용 자세에서 상기 접이용 자세 측으로의 요동을 규제하는 요동 규제 위치와, 상기 가대 부분을 상기 탑승용 자세로 자세 변경시킨 상태에서 상기 지지 부재의 아래쪽으로부터 상기 이동용 통로의 가로 폭 방향으로 퇴피하여, 상기 가대 부분의 상기 탑승용 자세에서 상기 접이용 자세 측으로의 요동을 허용하는 요동 허용 위치로 위치 변경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는, 물품 보관 설비.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용 통로의 바닥면 측에 설치되어 상기 스태커 크레인의 하부를 상기 이동용 통로를 따라 안내하는 하부 안내 레일과, 상기 이동용 통로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스태커 크레인의 상부를 안내하는 상부 안내 레일이 설치되고,
    상기 상부 안내 레일이, 상기 이동용 레일로 겸용되고 있는, 물품 보관 설비.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가대가, 상기 가대 부분을 상기 탑승용 자세 측에서 상기 접이용 자세 측으로 가압하는 가압 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는, 물품 보관 설비.
KR1020127014227A 2009-12-10 2010-10-22 물품 보관 설비 KR1017251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280658A JP5403358B2 (ja) 2009-12-10 2009-12-10 物品保管設備
JPJP-P-2009-280658 2009-12-10
PCT/JP2010/068728 WO2011070862A1 (ja) 2009-12-10 2010-10-22 物品保管設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3024A true KR20120123024A (ko) 2012-11-07
KR101725171B1 KR101725171B1 (ko) 2017-04-10

Family

ID=44145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4227A KR101725171B1 (ko) 2009-12-10 2010-10-22 물품 보관 설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169066B2 (ko)
EP (1) EP2511198B1 (ko)
JP (1) JP5403358B2 (ko)
KR (1) KR101725171B1 (ko)
CN (1) CN102652099B (ko)
TW (1) TWI508907B (ko)
WO (1) WO20110708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10928B2 (ja) * 2012-01-11 2015-11-11 村田機械株式会社 有軌道走行車システム
JP6160520B2 (ja) * 2014-03-11 2017-07-12 株式会社ダイフク 梯子及びそれを備えた収納棚用のメンテナンス設備
JP6217611B2 (ja) * 2014-12-02 2017-10-25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保管設備
JP6443264B2 (ja) * 2015-08-12 2018-12-26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収納設備
US10513317B2 (en) * 2016-10-28 2019-12-24 Corey L. Schaub Extendable ladder for watercraft
JP6601385B2 (ja) * 2016-12-27 2019-11-06 株式会社ダイフク 学習用支持装置
WO2018155076A1 (ja) * 2017-02-23 2018-08-30 村田機械株式会社 ストッカ、及び作業用足場の形成方法
US10378279B2 (en) * 2017-07-12 2019-08-13 Lam Research Corporation Step ladder with component rack system for fabrication facility
SG11202005506QA (en) * 2018-06-26 2020-07-29 Jgc Corp Plant module
US10557306B1 (en) * 2019-02-20 2020-02-11 Roddrick Barley Safety pool ladder
US11203872B2 (en) * 2020-02-26 2021-12-21 Dennis J. Hilgendorf Rolling access step
KR20230033188A (ko) * 2021-08-30 2023-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웨이퍼 보관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92290A (en) * 1974-09-16 1975-07-01 Irving M Lang Boat ladder
JPS59102800U (ja) * 1982-12-25 1984-07-11 ナショナル住宅産業株式会社 前面収納梯子
JP2001151307A (ja) * 1999-11-26 2001-06-05 Itoki Crebio Corp 自動倉庫
JP2007326686A (ja) * 2006-06-08 2007-12-20 Daifuku Co Ltd 物品保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6375A (en) * 1887-01-18 Railroad ladder
US560752A (en) * 1896-05-26 Folding step for vehicles
US652948A (en) * 1899-12-26 1900-07-03 Moritz Barth Folding ladder.
US701532A (en) * 1901-05-31 1902-06-03 Emile Bardin Double or step ladder.
US826582A (en) * 1906-01-02 1906-07-24 Henry Ruffner Laird Scaffold.
US988593A (en) * 1910-12-01 1911-04-04 Ike Poss Folding fire-escape ladder.
US1439388A (en) * 1921-06-06 1922-12-19 Benedict E Willett Stepladder
US1702249A (en) * 1927-10-21 1929-02-19 Chesebro Whitman Co Inc Stepladder
US2172860A (en) * 1938-12-19 1939-09-12 Goshen Mfg Company Platform ladder
US2369743A (en) * 1943-11-26 1945-02-20 Clarence E Langdon Portable scaffold
US4290502A (en) * 1979-09-10 1981-09-22 Anderson John B Folding step stool
US4428708A (en) * 1980-12-31 1984-01-31 Midwest Conveyor Co.,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fine positioning a vehicle at a storage bin in an automatic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EP0055940B1 (en) * 1981-01-07 1986-10-29 Hilton (Products) Limited Personnel elevating apparatus
US4733752A (en) * 1987-07-14 1988-03-29 Sklar Robert Z Extensible ladder for boats
JPH066858B2 (ja) 1987-12-15 1994-01-26 株式会社ダイフク 自動倉庫の保守作業用梯子装置
US4907673A (en) * 1989-07-12 1990-03-13 Cruisers, Incorporated Stern platform ladder
EP0487908A3 (en) * 1990-10-31 1992-09-02 Stanescu Georgel Valentin Gangplank or ladder for watercraft made up of several articulated sections
US5148889A (en) * 1991-09-30 1992-09-22 Joyce/Streater Inc. High level package retrieval system
US5413191A (en) * 1993-05-18 1995-05-09 Material Control, Inc. Dual track ladder
US5582268A (en) * 1996-01-25 1996-12-10 Heberlein; Richard M. Safety platform
US5743356A (en) * 1996-07-10 1998-04-28 Mitchell; Frank A. Gutter buddy ladder extender
US5924521A (en) * 1996-10-09 1999-07-20 Crockett; Peter A. Marine vessel overboard emergency system
JP3870384B2 (ja) 1997-08-19 2007-01-17 東洋刃物株式会社 刃物のシノギ面研削装置
US5911287A (en) * 1997-12-24 1999-06-15 Campbell; Ronald L. Lifting device for use with a ladder
US5941343A (en) * 1998-06-03 1999-08-24 Kelsey; Dale Ladder safety accessory
JP3788296B2 (ja) * 2001-09-10 2006-06-21 株式会社ダイフク クリーンルーム用の物品保管設備
AU2002952064A0 (en) * 2002-10-14 2002-10-31 Branach Technology Pty Ltd A ladder
US6951265B2 (en) * 2003-08-04 2005-10-04 Ballymore Company, Inc. Foldable stairway ladder
NZ550862A (en) * 2004-03-26 2010-09-30 Arvo Poldmaa Removable bracket for attachment to a ladder that rests on the roof of a building
US20090095567A1 (en) * 2004-05-07 2009-04-16 Eddy Rinna Platform ladder system
JP4126619B2 (ja) * 2006-06-27 2008-07-30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保管設備
JP5061517B2 (ja) * 2006-07-12 2012-10-31 村田機械株式会社 作業用足場構造及び物品収納棚
US7422263B2 (en) * 2006-11-06 2008-09-09 Pritchard Wayne H Ladder assembly for a tailgate of a truck
TWI408090B (zh) * 2007-06-28 2013-09-11 Daifuku Kk 物品保管庫
TWM334115U (en) * 2008-01-18 2008-06-11 yu-quan Huang Improved elevating stage-cart structure of automatic material-storage rack
US8136632B2 (en) * 2008-07-10 2012-03-20 Edward J. Gabriel Collapsible platform assembly for a ladder
US20110247895A1 (en) * 2010-04-09 2011-10-13 Smith Leon B Walk through ladder platform
US20130068557A1 (en) * 2011-03-16 2013-03-21 Custom Service Hardwar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facing to a guide rai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92290A (en) * 1974-09-16 1975-07-01 Irving M Lang Boat ladder
JPS59102800U (ja) * 1982-12-25 1984-07-11 ナショナル住宅産業株式会社 前面収納梯子
JP2001151307A (ja) * 1999-11-26 2001-06-05 Itoki Crebio Corp 自動倉庫
JP2007326686A (ja) * 2006-06-08 2007-12-20 Daifuku Co Ltd 物品保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652099B (zh) 2014-09-24
JP5403358B2 (ja) 2014-01-29
EP2511198A1 (en) 2012-10-17
US9169066B2 (en) 2015-10-27
EP2511198A4 (en) 2015-04-08
US20120312634A1 (en) 2012-12-13
TWI508907B (zh) 2015-11-21
KR101725171B1 (ko) 2017-04-10
CN102652099A (zh) 2012-08-29
EP2511198B1 (en) 2016-04-27
WO2011070862A1 (ja) 2011-06-16
TW201127720A (en) 2011-08-16
JP2011121716A (ja) 2011-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23024A (ko) 물품 보관 설비
JP6443264B2 (ja) 物品収納設備
JP6102759B2 (ja) 物品搬送台車
JP4688004B2 (ja) 物品搬送装置
US20150314988A1 (en) Lockable Lift Device and Method
CN103402901A (zh) 方法和电梯配置
JP6477436B2 (ja) 物品搬送設備
US20160176633A1 (en) Automated warehouse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CN110461757B (zh) 搬运装置
KR20180067292A (ko) 승강작업대
JP4626821B2 (ja) 物品保管装置
JP5315718B2 (ja) 搬送システム及び搬送方法
CN110015548B (zh) 物品收纳设备
JP5713173B2 (ja) 物品搬送設備
JP6841250B2 (ja) 自動倉庫
JP4505754B2 (ja) 天井走行式搬送装置における走行レール昇降装置
JP5263527B2 (ja) ラック設備
JP6657039B2 (ja) 荷揚装置
JP7467618B2 (ja) パレット供給装置
JP4444600B2 (ja) 移動槽のエアー浮上式台車
JP2010247600A (ja) 軌道メンテナンス用作業台車
JP2008247577A (ja) 階段揚重装置
JP5126568B2 (ja) 昇降装置
JP5857478B2 (ja) 物品収納設備
KR200367791Y1 (ko) 적재물 중량에 대응하여 승강하는 적재부를 구비한운반대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