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1345A - 동축형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동축형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1345A
KR20120121345A KR1020120036681A KR20120036681A KR20120121345A KR 20120121345 A KR20120121345 A KR 20120121345A KR 1020120036681 A KR1020120036681 A KR 1020120036681A KR 20120036681 A KR20120036681 A KR 20120036681A KR 20120121345 A KR20120121345 A KR 201201213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connector
circumferential surface
fitting
receptacle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6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19091B1 (ko
Inventor
토모히토 타카노
히데노리 미네기시
Original Assignee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213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13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90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90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5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mounted on a PCB [Printed Circuit Bo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7Snap or like fastening comprising annular latching means, e.g. ring snapping in an annular groov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Abstract

<과제> 간단하고 쉬운 구성으로 커넥터끼리의 감합 작업을 용이하고 정확하게 행하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해결 수단> 직경 방향의 내외에서 서로 겹쳐지는 양쪽 원통형 콘택트(13, 23a) 중의 내방측 콘택트(13)의 외주 표면에 소정의 외경 치수 D1을 가지는 삽입 기준면(13c)을 축방향으로 소정의 길이 L에 걸쳐서 뻗어 있도록 설치함과 아울러, 그 내방측 콘택트(13)의 삽입 기준면(13c)의 외경 치수 D1에 대해서 외방측 콘택트(23a)의 내주 표면을 대략 동일한 내경 치수 D2(D2≒D1)를 가지는 감합 관계로 하고, 내방측 콘택트(13)의 삽입 기준면(13c)에 의해 외방측 콘택트(23a)를 위치 결정하면서 원활하게 삽입이 가능하게 하고, 그 삽입 작업을 안정되게 또한 정확하게 행하게 함과 아울러 삽입력을 작게 억제하고, 양쪽 커넥터(10, 20)끼리의 감합시에 있어서의 자세 안정성을 향상시켜, 이른바 기울어진 감합을 방지하여 양호한 감합 상태를 얻음과 아울러 전기적인 접촉 상태를 향상시키도록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동축형 전기 커넥터{COAXIAL ELECTRIC CONNECTOR}
본 발명은 원통형 콘택트(contact)끼리가 감합(嵌合) 및 발거(拔去)되도록 구성된 동축형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러 가지의 전기 기기 등에 있어서, 동축 케이블 등의 각종 신호 전송 매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전기 커넥터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나 있는 동축형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는, 인쇄 배선 기판 상에 실장되어 사용되는 리셉터클(receptacle) 커넥터(1)에 대해서, 신호 전송 매체로서의 동축 케이블(본 발명을 나타낸 도 2 중의 부호 SC 참조)의 단말 부분이 연결된 플러그 커넥터(2)가 도시의 상하 방향으로 감합 및 발거가 가능하게 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 중의 리셉터클 커넥터(1)는 판상을 이루는 절연 하우징(1a)에 신호 전송용의 중심 콘택트(1b)와 접지 그라운드(ground)용의 외부 콘택트(1c)가 대략 동심상을 이루도록 장착되어 있다. 또, 플러그 커넥터(2)의 절연 하우징(2a)은 상술한 동축 리셉터클 커넥터(1)를 향해 대략 원추형상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그 절연 하우징(2a)의 내외에 신호 전송용의 중심 콘택트(2b)와 접지 그라운드용의 외부 콘택트(2c)가 대략 동심상으로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리셉터클 커넥터(1)에 대해서, 상대방 커넥터인 플러그 커넥터(2)가 상방측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삽입되면, 리셉터클 커넥터(1)의 외부 콘택트(1c)의 선단 개구 부분에 플러그 커넥터(2)의 외부 콘택트(2c)의 선단 개구 부분이 직경 방향의 내외에서 서로 겹쳐지도록 감합되어 잠금이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상술한 것처럼 하여 감합된 양쪽 외부 콘택트(1c, 2c) 중에서 직경 방향의 내측에 위치하는 내방측 콘택트(1c)의 외주 표면에는, 직경 방향의 내방측을 향해 움푹 패인 환상의 오목한 형상을 이루는 잠금부(1d)가 설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직경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는 외방측 도전 콘택트(2c)의 내주 표면에 직경 방향의 내방측을 향해 돌출하는 환상의 볼록한 형상의 잠금부(2d)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술한 양쪽 커넥터(1, 2)끼리의 감합시에는, 동축 플러그 커넥터(2)측의 잠금부(2d)가 동축 리셉터클 커넥터(1)측의 잠금부(1d) 내에 떨어져 들어가게 하여 계합 상태로 되고, 양쪽 커넥터(1, 2)끼리의 감합 상태가 보유되게 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동축형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도, 다른 전자 부품과 마찬가지로, 경박 단소화의 요청에 수반하는 소형화 및 저배화(低背化)가 근년 급속히 진행되고 있지만, 소형화 및 저배화를 행하면, 양쪽 커넥터끼리를 감합시키는데 있어서 위치 맞춤이 어려워져, 예를 들면 도 10에 나타나 있듯이, 리셉터클 커넥터(1)에 대해서, 상대방 커넥터로서의 플러그 커넥터(2)가 경사진 상태로 감합되어 버려, 파손의 원인이 되거나 양쪽 커넥터(1, 2)끼리의 전기적인 접촉성에 문제를 일으킬 우려가 있다.
또한, 종래의 동축형 전기 커넥터에서는, 양쪽 커넥터끼리를 감합시키는데 있어서, 외방측 콘택트의 내주 표면이 내방측 콘택트에 대해서 가벼운 압입의 상태로 된다. 그 때문에 외방측 콘택트가 직경 방향의 외방측으로 눌려 퍼지도록 하여 삽입되어 가지만, 그 때에 양쪽 커넥터의 중심 콘택트끼리의 접촉도 대략 동시에 개시하므로, 감합 작업에 있어서의 부하가 커지게 되어, 감합 작업시에 있어서의 전기 커넥터의 자세나 균형이 무너지기 쉽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일본국 특허공개 2001-43939호 공보
그래서, 본 발명은 간단하고 쉬운 구성으로 양쪽 커넥터끼리의 감합 작업을 용이하고 정확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한 동축형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인쇄 배선 기판 상에 실장되는 리셉터클 커넥터와 신호 전송 매체의 단말부가 연결되는 플러그 커넥터가 감합 및 발거가 가능하게 되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를 구성하는 원통형 콘택트의 선단 개구 부분에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구성하는 원통형 콘택트의 선단 개구 부분이 직경 방향의 내외에서 서로 겹쳐지도록 삽입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동축형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양쪽 원통형 콘택트 중의 직경 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내방측 콘택트의 외주 표면에 소정의 외경 치수 D1을 가지는 삽입 기준면이 축방향의 소정의 길이 L에 걸쳐서 뻗어 있도록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양쪽 원통형 콘택트 중의 직경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외방측 콘택트의 내주 표면이 상기 내방측 콘택트의 삽입 기준면의 외경 치수 D1에 대해서 대략 동일한 내경 치수 D2(D2≒D1)를 가지는 감합 관계로 설정된 구성이 채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양쪽 커넥터끼리를 감합시키는데 있어서, 우선 외방측 콘택트의 내주 표면이 그 외방측 콘택트와 대략 동일한 치수를 가지도록 내방측 콘택트의 외주 표면에 설치된 삽입 기준면에 의해 위치 결정되면서 원활하게 삽입되어 가게 되어, 종래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의 축방향에 대해서 플러그 커넥터가 경사지는 일 없이, 또한 외방측 콘택트가 직경 방향의 외방측으로 눌려 퍼지는 일도 없기 때문에, 당해 외방측 콘택트의 삽입 작업은 안정되게 또한 정확하게 행해짐과 아울러 삽입력이 작게 억제된다. 그 결과, 양쪽 커넥터끼리의 감합시에 있어서의 자세 안정성이 향상되고, 종래에 있어서의 이른바 기울어진 감합이 방지되어 양호한 감합 상태가 얻어짐과 아울러 전기적인 접촉 상태가 향상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외방측 콘택트가 장착된 절연 하우징에 상기 내방측 콘택트의 내주 표면을 따라 축방향으로 뻗어 있는 대략 원통 형상의 삽입 안내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양쪽 커넥터끼리를 감합시킬 때에, 외방측 콘택트와 당해 외방측 콘택트를 보유하는 절연 하우징에 설치된 삽입 안내부와의 사이에, 내방측 콘택트가 끼워 넣어진 상태로 되고, 감합된 후에 있어서의 양쪽 커넥터의 움직임이 규제된 상태로 된다. 그 결과, 예를 들면 신호 전송 매체를 개재하여 이른바 부추김 등에 의한 외력이 부가되어도, 양쪽 커넥터끼리의 감합 상태가 양호하게 유지되고, 일방의 커넥터가 이탈 및 발거되는 것 같은 사태가 방지된다. 또, 외방측 콘택트를 보유하는 절연 하우징에는, 종래와 같은 양쪽 커넥터의 기울어진 감합을 허용하기 위한 테이퍼면이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그만큼 절연 하우징의 두께가 충분히 확보되게 되어 절연 하우징의 강도가 향상되고, 감합 조작에 대한 내구성 및 신뢰성이 향상되게 되어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외방측 콘택트의 내주 표면 및 상기 내방측 콘택트의 외주 표면에 서로 계합 관계를 가지는 잠금부가 설치되고, 상기 내방측 콘택트에 설치된 잠금부가 당해 내방측 콘택트의 외주 표면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방측으로 돌출하는 환상의 볼록한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외방측 콘택트에 설치된 잠금부가 당해 외방측 콘택트의 내주 표면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방측으로 움푹 패인 환상의 오목한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외방측 콘택트가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음과 아울러, 상기 내방측 콘택트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에 관계되는 동축형 전기 커넥터는, 직경 방향의 내외에서 서로 겹쳐지는 위치 관계로 되는 양쪽 원통형 콘택트 중의 내방측 콘택트의 외주 표면에 소정의 외경 치수 D1을 가지는 삽입 기준면을 축방향으로 소정의 길이 L에 걸쳐서 뻗어 있도록 설치함과 아울러, 그 내방측 콘택트의 삽입 기준면의 외경 치수 D1에 대해서 외방측 콘택트의 내주 표면을 대략 동일한 내경 치수 D2(D2≒D1)를 가지는 감합 관계로 하여 양쪽 커넥터끼리를 감합시키는데 있어서, 내방측 콘택트의 삽입 기준면에 의해 외방측 콘택트를 위치 결정하면서 원활하게 삽입이 가능하게 하고, 외방측 콘택트의 삽입 작업을 안정되게 또한 정확하게 행하게 함과 아울러 삽입력을 작게 억제하고, 양쪽 커넥터끼리의 감합시에 있어서의 자세 안정성을 향상시켜, 이른바 기울어진 감합을 방지하여 양호한 감합 상태를 얻음과 아울러 전기적인 접촉 상태를 향상시키도록 구성한 것이기 때문에, 간단하고 쉬운 구성으로 커넥터끼리의 감합 작업을 용이하고 정확하게 행하게 할 수가 있고, 동축형 전기 커넥터의 신뢰성을 큰 폭으로 높일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동축형 전기 커넥터의 일방을 구성하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구조를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동축형 전기 커넥터의 타방을 구성하는 플러그 커넥터의 구조를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3은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의 감합 직전의 상태를 동축 케이블의 축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절단한 횡단면 설명도이다.
도 4는 플러그 커넥터를 리셉터클 커넥터의 가()삽입 위치까지 삽입한 상태를 동축 케이블의 축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절단한 횡단면 설명도이다.
도 5는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가 감합된 상태를 동축 케이블의 축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절단한 횡단면 설명도이다.
도 6은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가 감합된 상태를 동축 케이블의 축선 방향으로 절단한 종단면 설명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동축형 전기 커넥터를 구성하는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와 감합전의 상태를 동축 케이블의 축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절단한 횡단면 설명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동축형 전기 커넥터를 구성하는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와 감합된 상태를 동축 케이블의 축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절단한 횡단면 설명도이다.
도 9는 종래에 있어서의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와의 감합 직전의 상태를 동축 케이블의 축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절단한 횡단면 설명도이다.
도 10은 종래에 있어서의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와의 감합 작업에 있어서 기울기 삽입으로 된 상태를 동축 케이블의 축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절단한 횡단면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 1~도 6에 나타난 본 발명의 제1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동축형 전기 커넥터의 조립체는 인쇄 배선 기판(도시 생략) 상에 실장되는 수직 감합형의 리셉터클 커넥터(10)(도 1 참조)와 그 상대방 커넥터로서의 플러그 커넥터(20)(도 2 참조)로 구성된 것으로서, 리셉터클 커넥터(10)에 대해서 플러그 커넥터(20)가 상방측으로부터 감합되거나 발거되게 되어 있다. 이하, 이 리셉터클 커넥터(10)에 플러그 커넥터(20)를 삽입하는 감합 방향을 「하방향」으로 하고, 이것과 반대의 발출(拔出)하는 발거 방향을 「상방향」으로 한다.
[리셉터클 커넥터에 대해서]
이러한 동축형 전기 커넥터 감합체의 일방을 구성하는 리셉터클 커넥터(10)는, 평면 대략 직사각형 모양의 절연성 판상 부재로 이루어지는 절연 하우징(유전체)(11)을 구비하고 있고. 그 절연 하우징(11)에 중공의 원통형 콘택트 부재로 이루어지는 중심 콘택트(시그널(signal) 콘택트)(12) 및 외부 콘택트(그라운드 콘택트)(13)가 대략 동심상을 이루도록 하여 인서트(insert) 성형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그러한 중심 콘택트(12) 및 외부 콘택트(13)는 각각 신호 전송용 및 접지 그라운드용으로서 사용되는 것으로서, 상술한 절연 하우징(11)의 내부에 매설된 땜납 접속 단자부(12a, 13a)와, 그 땜납 접속 단자부(12a, 13a)로부터 연속하도록 설치된 감합 접촉부(12b, 13b)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
그 중심 콘택트(12) 및 외부 콘택트(13)에 설치된 땜납 접속 단자부(12a, 13a)는 절연 하우징(11)의 하면으로부터 노출된 상태로 대략 수평으로 뻗어 있는 판상 부재로 형성되어 있고, 일체(一體)의 땜납 접속 단자부(12a)가 뻗어 있는 방향과 다른 세 방향을 향해 삼체(三體)의 땜납 접속 단자부(13a)가 뻗어 있다. 그러한 각 땜납 접속 단자부(12a, 13a)의 하면은 절연 하우징(11)의 하면과 대략 동일면을 이루어 하방측으로 노출되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술한 인쇄 배선 기판(도시 생략)의 표면 상에 접촉하는 배치 관계로 되어 있다. 이들 땜납 접속 단자부(12a, 13a)의 연장측의 선단 부분은 절연 하우징(11)의 측벽면으로부터 외방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그 외방측 돌출 부분의 선단면이 인쇄 배선 기판 상의 도전로에 대해서 납땜되게 되어 있다.
한편, 감합 접촉부(12b, 13b)는 상술한 것처럼 대략 수평으로 뻗어 있는 땜납 접속 단자부(12a, 13a)의 구석측 단부로부터 대략 직각 상방으로 일어서도록 형성되어 있고, 그러한 감합 접촉부(12b, 13b)가 절연 하우징(11)의 위쪽 표면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연직 상방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중의 중심 콘택트(12)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는 감합 접촉부(12b)는 수평 방향의 횡단면이 대략 원형 모양을 이루는 중공 핀상 부재로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그 중심 콘택트(12)의 감합 접촉부(12b)를 동심상으로 둘러싸도록 하여, 외부 콘택트(13)의 일부를 구성하는 중공 원통형 부재로 이루어지는 감합 접촉부(13b)가 배치되어 있다. 이들 중심 콘택트(12)의 감합 접촉부(12b) 및 외부 콘택트(13)의 감합 접촉부(13b)의 각각은 후술하는 상대방 커넥터로서의 플러그 커넥터(20)의 대응하는 부위가 감합되거나 발거되게 되어 있다.
이 때에 상술한 외부 콘택트(13)의 감합 접촉부(13b)를 구성하고 있는 중공 원통형 부재에는 당해 중공 원통형 부재를 원주 방향으로 불연속으로 하는 절단 갭부(gap portin)(13b1)가 축방향으로 뻗어 있도록 설치되어 있고, 이 절단 갭부(13b1)의 간극분만큼 감합 접촉부(13b)가 원주 방향으로 탄성 변위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플러그 커넥터에 대해서]
또한,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동축형 전기 커넥터 감합체의 타방측의 커넥터를 구성하고 있는 플러그 커넥터(20)는 전술한 것처럼 리셉터클 커넥터(10)에 대해서 상방측으로부터 감합되는 수직 감합형 커넥터로서 구성된 것이지만, 그 플러그 커넥터(20)의 절연 하우징(21)에는 신호 전송 매체로서의 세선 동축 케이블 SC의 단말 부분이 연결되어 있다. 이하, 이 플러그 커넥터(20)에 세선 동축 케이블 SC가 연결되는 측의 단연부(端緣部)를 「후단연부(後端緣部)」라고 부르고, 이것과는 반대측의 단연부를 「전단연부(前端緣部)」라고 부르는 것으로 하고, 또한 이러한 후단연부 및 전단연부를 향하는 각각의 방향을 「후방」 및 「전방」이라고 부르는 것으로 한다.
이 플러그 커넥터(20)의 절연 하우징(유전체)(21)에는 대략 원통 형상을 이루어 하방으로 돌출하는 본체 삽입 안내부(21a)가 설치되어 있다. 그 본체 삽입 안내부(21a)의 외주 표면은 전술한 리셉터클 커넥터(10)의 외부 콘택트(13)의 내주 표면에 대해서 약간 작은 외경 치수를 가지고 있고, 당해 플러그 커넥터(20)의 본체 삽입 안내부(21a)가 양쪽 커넥터(10, 20)끼리의 감합시에, 리셉터클 커넥터(10)의 외부 콘택트(13)의 내주 표면을 따라 하방으로 미끄러져 움직이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플러그 커넥터(20)에 설치된 절연 하우징(21)의 상단측 중심 부분에는 신호 전송용의 중심 콘택트(시그널 콘택트)(22)가 배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절연 하우징(21)의 외측 표면에는 박판의 금속 부재로 이루어지는 도전성 쉘(shell)(23)이 장착되어 있다. 그 중의 도전성 쉘(23)은 상술한 절연 하우징(21)의 본체 삽입 안내부(21a)를 외방측으로부터 환상으로 덮는 중공 원통형 콘택트 부재로 이루어지는 외부 콘택트(23a)를 쉘 본체부로서 구비하고 있음과 아울러, 이 외부 콘택트(23a)의 상부에는 당해 외부 콘택트(23a)의 상단 개구부 및 절연 하우징(21)을 상방측으로부터 덮는 쉘 뚜껑부(23b)가 일체적으로 연설되어 있다.
이 도전성 쉘(23)의 쉘 본체부를 구성하는 외부 콘택트(23a)는 비교적 큰 직경의 원통형 부재로 형성되어 있고, 전술한 리셉터클 커넥터(10)와의 감합시에 외부 콘택트(13)의 외방측에 감착(嵌着)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이 플러그 커넥터(20)에 있어서의 원통형 콘택트로서의 외부 콘택트(23a)의 선단 개구 부분은, 전술한 리셉터클 커넥터(10)에 있어서의 원통형 콘택트로서의 외부 콘택트(13)의 선단 개구 부분에 대해서, 직경 방향에 외내의 위치 관계로 대략 동심상으로 서로 겹쳐지도록 삽입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양쪽 커넥터(10, 20)끼리가 대략 동심상을 이루는 감합 상태로 되고, 플러그 커넥터(20)의 외부 콘택트(23a)가 직경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고, 리셉터클 커넥터(10)의 외부 콘택트(13)가 직경 방향의 내측에 위치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말하는 「외방측 콘택트」는, 플러그 커넥터(20)의 외부 콘택트(23a)이고, 리셉터클 커넥터(10)의 외부 콘택트(13)는 본 발명에서 말하는 「내방측 콘택트」에 상당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하에 있어서 플러그 커넥터(20)의 외부 콘택트(23a)를 「외방측 콘택트」라고 부르고, 리셉터클 커넥터(10)의 외부 콘택트(13)를 「내방측 콘택트」라고 부른다. 또한, 이들 외방측 콘택트(23a) 및 내방측 콘택트(13)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한편, 도전성 쉘(23)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는 쉘 뚜껑부(23b)는 상술한 외방측 콘택트(외부 콘택트)(23a)의 상단측 개구 부분을 덮도록 상방측으로부터 덮이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쉘 뚜껑부(23b)의 후단측 부분에는 종단면이 대략 반원 형상을 이루는 케이블 지지부(23c)가 후방측을 향해 대략 수평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그 케이블 지지부(23c)에 의해 상술한 세선 동축 케이블 SC의 단말 부분이 보유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전술한 신호 전송 매체로서의 세선 동축 케이블 SC의 단말 부분은 외주 피복재가 벗겨짐으로써 케이블 중심 도체(신호선) SCa, 및 케이블 외부 도체(쉴드선) SCb가 동축상을 이루도록 노출되어 있고, 당해 세선 동축 케이블 SC의 중심축선을 따르도록 하여 배치된 케이블 중심 도체 SCa가 절연 하우징(21)에 장착된 중심 콘택트(시그널 콘택트)(22)에 접속됨으로써 신호 회로가 구성되게 되어 있다. 또, 그 케이블 중심 도체 SCa의 외주측을 둘러싸도록 배치된 케이블 외부 도체 SCb는 도전성 쉘(23)의 쉘 뚜껑부(23b)에 접촉하도록 보유되고, 그 쉘 뚜껑부(23b)가 외방측 콘택트(23a)에 연속하고 있음으로써 그라운드 회로가 구성되게 되어 있다.
이 때에 세선 동축 케이블 SC의 단말 부분을 연결하여 고정하기 전의 초기 상태에 있어서는, 상술한 도전성 쉘(23)의 쉘 뚜껑부(23b)가 상방으로 개방된 상태로 되어 있다. 즉, 그 초기 상태에 있어서의 쉘 뚜껑부(23b)는, 상술한 케이블 지지부(23c)의 반대측, 즉 쉘 본체부로서의 외방측 콘택트(23a)의 전단측 부분에 가는 폭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이음 부재(23e)를 통해 대략 연직 상방으로 일어서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그 쉘 뚜껑부(23b)의 내방측에는 전술한 절연 하우징(21)의 본체 삽입 안내부(21a)로부터 상방으로 일어서는 절연 압압판(21b)이 쉘 뚜껑부(23b)의 내표면을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전성 쉘(23)의 초기 개방 상태에 있어서, 세선 동축 케이블 SC의 단말 부분이 케이블 지지부(23c)에 받아지도록 재치되어 세트된 후에, 이음 부재(23e)가 절연 압압판(21b)과 함께 대략 직각으로 절곡되도록 하여 쉘 뚜껑부(23b)가 회동하여 대략 수평 상태까지 눌러 넘어뜨려진다. 이에 의해 절연 하우징(21)의 본체 삽입 안내부(21a), 및 도전성 쉘(23)의 외방측 콘택트(23a)의 상단 개구 부분이 쉘 뚜껑부(23b)에 의해 상방측으로부터 덮여 절연 하우징(21) 및 도전성 쉘(23)이 폐색 상태로 된다. 이 쉘 뚜껑부(23b)의 케이블 지지부(23c)는 상술한 세선 동축 케이블 SC에 대해서 상방측 부분으로부터 외측 부분을 덮도록 씌워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어, 그 쉘 뚜껑부(23b)의 양측 판상 부재가 내방측으로 절곡되어 코킹(caulking)에 의한 고정이 행해지고, 케이블 외부 도체 SCb가 케이블 지지부(23c)에 접촉함으로써 도전성 쉘(23)에 의한 그라운드 회로가 구성되게 된다.
여기서, 플러그 커넥터(20)에 설치된 중심 콘택트(시그널 콘택트)(22)는 절연 하우징(21)의 본체 삽입 안내부(21a)에 압입(壓入) 또는 인서트(insert) 성형 등에 의해 장착되어 있고, 특히 도 6에 나타나 있듯이, 상술한 세선 동축 케이블 SC의 케이블 중심 도체(신호선) SCa에 접속되는 케이블 협지부(挾持部)(22a)와, 그 케이블 협지부(22a)로부터 하방측을 향해 뻗어 나와, 전술한 것처럼 리셉터클 커넥터(10)의 중심 콘택트(12)에 접촉하는 콘택트 접촉부(22b)를 가지고 있다.
그 중의 케이블 협지부(22a)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의 형상이 대략 U자 형상을 가로로 길게 넘어뜨린 형상을 이루도록 절곡 형성된 클립 빔(clip beam) 구조를 가지고 있고, 세선 동축 케이블 SC의 케이블 중심 도체(신호선) SCa를 상하로부터 클립 모양으로 끼우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케이블 협지부(22a)를 구성하고 있는 상측 빔부(beam portion)의 도중 부분에는 상기 케이블 중심 도체(신호선) SCa를 상방측으로부터 압압하는 하방 돌기부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세선 동축 케이블 SC의 단말 부분을 연결하기 전의 초기 상태에 있어서는, 케이블 협지부(22a)의 상측 빔 부분도 상방측으로 개방된 상태로 되어 있다. 즉, 그 초기 개방 상태에 있어서의 케이블 협지부(22a)의 상측 빔 부분은 기울어진 상방을 향해 일어서는 형상을 가지고 있고, 세선 동축 케이블 SC의 단말 부분이 케이블 지지부(23c) 상에 재치되어 세트된 상태로부터, 전술한 것처럼 도전성 쉘(23)의 쉘 뚜껑부(23b)가 절연 압압판(21b)과 함께 대략 수평 상태까지 눌러 넘어뜨려지면, 당해 케이블 협지부(22a)의 상측 빔 부분이 절연 압압판(21b)에 의해 대략 수평 상태까지 눌러 넘어뜨려져 케이블 중심 도체(신호선) SCa를 상방측으로부터 압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중심 콘택트(시그널 콘택트)(22)의 콘택트 접촉부(22b)는, 상술한 리셉터클 커넥터(10)의 중심 콘택트(시그널 콘택트)(12)에 대해서, 외방측으로부터 압입되는 중공 형상의 부재로 형성되어 있고, 절연 하우징(21)의 본체 삽입 안내부(21a)의 내부에 있어서, 상술한 케이블 협지부(22a)로부터 하방을 향해 편지(片持) 모양을 이루어 횡단면이 대략 역U자 모양을 이루도록 뻗어 나와 있고, 리셉터클 커넥터(10)의 중심 콘택트(12)에 대해서, 당해 콘택트 접촉부(22b)의 탄성 변위 작용에 의해 압접(壓接)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원통형 콘택트의 구성에 대해서]
여기서, 전술한 것처럼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플러그 커넥터(20)의 원통형 콘택트를 구성하는 외방측 콘택트(외부 콘택트)(23a)가 리셉터클 커넥터(10)의 원통형 콘택트를 구성하는 내방측 콘택트(외부 콘택트)(13)의 외방측에 대략 동심상으로 서로 겹쳐지는 위치 관계로 감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이러한 감합 관계에 있어서, 리셉터클 커넥터(10)의 내방측 콘택트(13)에는 그 외주 표면의 상방측 선단 개구 부분에 소정의 외경 치수 D1을 가지는 삽입 기준면(13c)이 형성되어 있다. 이 삽입 기준면(13c)은 내방측 콘택트(13)의 상방측 선단 개구 돌기로부터 축방향 하부로 소정의 길이 L에 걸쳐서 뻗어 있도록 설치되어 있고, 이 리셉터클 커넥터(10)의 삽입 기준면(13c)의 하단 위치에 잠금부(13d)가 설치되어 있다. 잠금부(13d)는 내방측 콘택트(13)의 외주 표면으로부터 직경 방향의 외방측으로 돌출하는 환상의 볼록한 형상을 이루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리셉터클 커넥터(10)의 삽입 기준면(13c)의 외방측에는 플러그 커넥터(20)의 외방측 콘택트(23a)가 외감(外嵌)되고, 그 외방측 콘택트(23a)에 있어서의 하단측 선단 개구 부분의 내주 표면이 삽입 기준면(13c)의 외주 표면에 접촉하도록 하여 삽입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이 플러그 커넥터(20)의 외방측 콘택트(23a)에서는 리셉터클 커넥터(10)측에 삽입되는 하단측 선단 개구 부분에 있어서의 내주 표면의 내경 치수 D2가 리셉터클 커넥터(10)측에 설치된 삽입 기준면(13c)의 외경 치수 D1과 대략 동일한 치수(D2≒D1)로 형성되어 있고, 이에 의해 양쪽 커넥터(10, 20)끼리의 감합시에 대략 동일한 직경끼리의 감합 관계가 행해지는 설정으로 되어 있다.
또, 플러그 커넥터(20)의 외방측 콘택트(23a)가 리셉터클 커넥터(10)측에 삽입되는 하단측 선단 개구 부분의 내주 표면에는 상술한 리셉터클 커넥터(10)측에 설치된 잠금부(13d)에 감합되는 잠금부(23d)가 설치되어 있다. 이 잠금부(23d)는 외방측 콘택트(23a)의 내주 표면으로부터 직경 방향의 외방측으로 움푹 패인 환상의 오목한 형상을 이루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양쪽 커넥터(10, 20)끼리를 감합시키는데 있어서, 우선 플러그 커넥터(20)의 외방측 콘택트(23a)의 내주 표면이 리셉터클 커넥터(10)의 내방측 콘택트(13)의 외주 표면에 대략 동일한 치수로 설치된 삽입 기준면(13c)에 의해 위치 결정되면서 원활하게 삽입되어 가게 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10)의 축방향에 대해서 플러그 커넥터(20)가 경사지는 일이 없이, 또한 외방측 콘택트(23a)가 직경 방향의 외방측으로 눌려 퍼지는 일도 없기 때문에, 당해 외방측 콘택트(23a)의 삽입 작업은 안정되게 또한 정확하게 행해짐과 아울러 삽입력이 작게 억제된다. 그 결과, 양쪽 커넥터(10, 20)끼리의 감합시에 있어서의 자세 안정성이 향상되고, 종래에 있어서의 이른바 기울어진 감합이 방지되어 양호한 감합 상태가 얻어짐과 아울러 전기적인 접촉 상태가 향상된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리셉터클 커넥터(20)의 외방측 콘택트(23a)가 장착된 절연 하우징(21)의 삽입 안내부(21a)가 당해 외방측 콘택트(23a)의 직경 방향 내방측에 설치되고, 그 삽입 안내부(21a)의 외주 표면이 리셉터클 커넥터(10)의 내방측 그라운드 콘택트(13)의 내주 표면을 따라 대략 축방향으로 뻗어 있는 대략 원통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양쪽 커넥터(10, 20)끼리를 감합시킬 때에, 외방측 콘택트(23a)와 당해 외방측 콘택트(23a)를 보유하는 절연 하우징(21)에 설치된 삽입 안내부(21a)와의 사이에 내방측 콘택트(13)가 끼워 넣어진 상태로 되고, 감합된 후에 있어서의 양쪽 커넥터(10, 20)의 움직임이 규제된 상태로 된다. 그 결과, 예를 들면 신호 전송 매체를 개재하여 이른바 부추김 등에 의한 외력이 부가되어도, 양쪽 커넥터(10, 20)끼리의 감합 상태가 양호하게 유지되게 되고, 일방의 커넥터가 이탈 및 발거되는 것 같은 사태가 방지된다. 또, 플러그 커넥터(20)의 외방측 콘택트(23a)를 보유하는 절연 하우징(21)에는 종래와 같은 양쪽 커넥터(10, 20)의 기울어진 감합을 허용하기 위한 테이퍼면(taper surface)이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그만큼 절연 하우징(21)의 두께가 충분히 확보되게 되어 절연 하우징(21)의 강도가 향상되고, 감합 조작에 대한 내구성 및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술한 제1의 실시 형태에 대응하는 구성 부재를 나타내는 각 부호에 대해서, 「100」을 가산한 부호를 붙인 도 7 및 도 8에 관계되는 제2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리셉터클 커넥터(110)에 설치된 삽입 기준면(113c)이 비교적 작은 외경을 가지는 가는 직경 모양의 구조로 되어 있음으로써, 양쪽 커넥터(110, 120)끼리의 감합시에, 대략 동일한 직경끼리의 감합 관계가 행해지는 설정으로 되어 있다.
또, 플러그 커넥터(120)의 외방측 콘택트(123a)의 내주 표면에는 환상의 볼록한 형상을 이루는 잠금부(123d)가 설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리셉터클 커넥터(110)의 내방측 콘택트(113)의 외주 표면에 축방향으로 인접하는 볼록한 형상과 오목한 형상과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잠금부(113d)가 설치되어 있다. 그 리셉터클 커넥터(110)측의 잠금부(113d)는 축방향의 상방측에 배치된 환상의 볼록한 형상 부분의 축방향 직하 위치에 환상의 오목한 형상 부분이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 형태에 의하면, 양쪽 커넥터(110, 120)끼리의 감합시에, 플러그 커넥터(120)측의 볼록한 형상을 이루는 잠금부(123d)가 리셉터클 커넥터(110)측의 요철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잠금부(113d)에 대해서 타고 넘도록 이동되기 때문에 이른바 감합시의 클릭(click)감이 강하게 얻어진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 된 발명을 실시 형태에 기초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실시 형태는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고 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수직 감합형의 전기 커넥터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것이지만, 수평 감합형의 전기 커넥터에 대해서도 이와 같이 적용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와 같은 단체의 세선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에 한정되는 일은 없고, 다극 형상으로 배치된 세선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나, 세선 동축 케이블과 절연 케이블이 복수 혼합된 형태의 전기 커넥터나, 플렉서블 배선 기판 등이 연결되는 전기 커넥터 등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는 각종 전기 기기에 사용되는 다종의 다양한 동축형 전기 커넥터에 대해서 널리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10 리셉터클 커넥터 11 절연 하우징
12 중심 콘택트
12a 땜납 접속 단자부 12b 감합 접촉부
13 외부 콘택트(내방측 콘택트)
13a 땜납 접속 단자부 13b 감합 접촉부
13b1 절단 갭부(gap portion)
13c 삽입 기준면 13d 잠금부
20 플러그 커넥터
21 절연 하우징 21a 본체 삽입 안내부
22 중심 콘택트
22a 케이블 협지부 22b 콘택트 접촉부
23 도전성 쉘
23a 외부 콘택트(외방측 콘택트) 23b 쉘 뚜껑부
23c 케이블 지지부 23d 잠금부
23e 이음 부재
SC 세선 동축 케이블
SCa 케이블 중심 도체 SCb 케이블 외부 도체
110 리셉터클 커넥터
113 내방측 콘택트
113c 삽입 기준면 113d 잠금부
120 플러그 커넥터
123a 외방측 콘택트 123d 잠금부

Claims (4)

  1. 인쇄 배선 기판 상에 실장되는 리셉터클 커넥터와 신호 전송 매체의 단말부가 연결되는 플러그 커넥터가 감합 및 발거가 가능하게 되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를 구성하는 원통형 콘택트의 선단 개구 부분에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구성하는 원통형 콘택트의 선단 개구 부분이 직경 방향의 내외에서 서로 겹쳐지도록 삽입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동축형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양쪽 원통형 콘택트 중의 직경 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내방측 콘택트의 외주 표면에 소정의 외경 치수 D1을 가지는 삽입 기준면이 축방향의 소정의 길이 L에 걸쳐서 뻗어 있도록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양쪽 원통형 콘택트 중의 직경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외방측 콘택트의 내주 표면이 상기 내방측 콘택트의 삽입 기준면의 외경 치수 D1에 대해서 대략 동일한 내경 치수 D2(D2≒D1)를 가지는 감합 관계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형 전기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방측 콘택트가 장착된 절연 하우징에는, 상기 내방측 콘택트의 내주 표면을 따라 축방향으로 뻗어 있는 대략 원통 형상의 삽입 안내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형 전기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방측 콘택트의 내주 표면 및 상기 내방측 콘택트의 외주 표면에 서로 계합 관계를 가지는 잠금부가 설치되고,
    상기 내방측 콘택트에 설치된 잠금부가 당해 내방측 콘택트의 외주 표면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방측으로 돌출하는 환상의 볼록한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외방측 콘택트에 설치된 잠금부가 당해 외방측 콘택트의 내주 표면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방측으로 움푹 패인 환상의 오목한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형 전기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방측 콘택트가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음과 아울러,
    상기 내방측 콘택트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형 전기 커넥터.
KR1020120036681A 2011-04-26 2012-04-09 동축형 전기 커넥터 KR1013190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098280A JP2012230820A (ja) 2011-04-26 2011-04-26 同軸型電気コネクタ
JPJP-P-2011-098280 2011-04-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1345A true KR20120121345A (ko) 2012-11-05
KR101319091B1 KR101319091B1 (ko) 2013-10-17

Family

ID=45952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6681A KR101319091B1 (ko) 2011-04-26 2012-04-09 동축형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512073B2 (ko)
EP (1) EP2518836A1 (ko)
JP (1) JP2012230820A (ko)
KR (1) KR101319091B1 (ko)
CN (1) CN102760988B (ko)
TW (1) TWI459653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2131A (ko) * 2013-10-10 2015-04-20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동축 커넥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22410B2 (ja) * 2011-10-12 2014-06-18 第一精工株式会社 同軸コネクタ装置
JP5763007B2 (ja) * 2012-04-19 2015-08-1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CN102810787A (zh) * 2012-07-05 2012-12-05 樊荣 一种安全插座
KR101488266B1 (ko) * 2013-08-06 2015-01-30 주식회사 유니드 착탈형 전기 접속 구조와 이를 구비한 전기 접속용 커넥터, 반도체 패키지 조립체 및 전자기기
JP1528470S (ko) * 2014-11-20 2015-07-13
JP6466266B2 (ja) * 2015-06-18 2019-02-0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CN105356149B (zh) * 2015-12-04 2019-01-18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四十研究所 推入自锁式射频连接器
CN109155492B (zh) * 2016-06-10 2020-11-03 株式会社村田制作所 连接器、连接器组件以及连接器的制造方法
JP6688696B2 (ja) * 2016-06-28 2020-04-28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同軸ケーブル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システム
JP6588403B2 (ja) * 2016-08-09 2019-10-09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同軸コネクタ
JP6839969B2 (ja) * 2016-11-28 2021-03-1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同軸電気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9021573A (ja) * 2017-07-20 2019-02-07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19050078A (ja) * 2017-09-07 2019-03-2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同軸コネクタ
JP2021015665A (ja) * 2017-10-10 2021-02-12 株式会社ヨコオ 2極コネクタ組立体、及び2極コネクタ組立体におけるケーブル側コネクタ部
JP6617816B2 (ja) * 2017-12-19 2019-12-11 第一精工株式会社 同軸コネクタ装置
JP6741040B2 (ja) * 2018-05-10 2020-08-19 第一精工株式会社 ケーブルコネクタ装置
CN109066230A (zh) * 2018-08-22 2018-12-21 东莞市联晨鑫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导向式射频同轴连接器
TWI673918B (zh) * 2018-12-03 2019-10-01 宣德科技股份有限公司 電連接器
JP7212536B2 (ja) * 2019-02-01 2023-01-25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6993377B2 (ja) * 2019-03-28 2022-01-13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および基板実装方法
CN110011143B (zh) * 2019-04-09 2024-04-26 胜蓝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快换连接器
JP6927248B2 (ja) * 2019-04-25 2021-08-25 I−Pex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ロック部材
CN109962367B (zh) * 2019-04-25 2024-04-09 苏州祥龙嘉业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自回位功能浮动式母座以及包括它的同轴连接器
KR102168404B1 (ko) 2019-07-04 2020-10-22 한국프레틀(주) 동축 케이블 커넥터
CN112453571A (zh) * 2020-12-05 2021-03-09 无锡卓荣精密机械有限公司 一种可调节锯床电控箱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5421Y2 (ko) * 1987-05-30 1991-09-25
JP2547086Y2 (ja) * 1990-11-08 1997-09-03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基板実装用の高周波同軸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
US5662480A (en) * 1994-06-28 1997-09-02 Smk Co., Ltd. Surface mount type coaxial connector connecting coaxial cable to substrate
US5772470A (en) * 1996-06-03 1998-06-30 Smk Corporation Coaxial connector
JP3679651B2 (ja) * 1999-07-30 2005-08-03 ヒロセ電機株式会社 L型同軸コネクタ
US6712645B1 (en) 2003-04-22 2004-03-30 Input Output Precise Corporation Cable fixture of coaxial connector
JP4053950B2 (ja) * 2003-08-08 2008-02-27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同軸コネクタ、及び、これに用いるコネクタ及びノート型パソコン
JP4136925B2 (ja) * 2003-12-19 2008-08-2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同軸電気コネクタ
JP3875246B2 (ja) 2004-08-06 2007-01-3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L型同軸コネクタのための端子及びこれを有するコネクタ
JP4576226B2 (ja) * 2004-12-28 2010-11-04 ホシデン株式会社 同軸コネクタ一体型基板接続用コネク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2131A (ko) * 2013-10-10 2015-04-20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동축 커넥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760988B (zh) 2014-12-31
JP2012230820A (ja) 2012-11-22
TWI459653B (zh) 2014-11-01
TW201301679A (zh) 2013-01-01
CN102760988A (zh) 2012-10-31
US20120276788A1 (en) 2012-11-01
KR101319091B1 (ko) 2013-10-17
US8512073B2 (en) 2013-08-20
EP2518836A1 (en) 2012-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9091B1 (ko) 동축형 전기 커넥터
KR101353660B1 (ko) 동축형 전기 커넥터 및 동축형 전기 커넥터 조립체
KR101703419B1 (ko) 동축형 전기 커넥터
JP2006066384A (ja) 基板対基板接続用同軸コネクタ
TWI248242B (en) Coaxial cable connector
CN107546502B (zh) 同轴电缆连接器及连接器系统
TW201902037A (zh) 電連接器與電連接器裝置
KR101212716B1 (ko) 동축 커넥터
JP2009048941A (ja) コネクタ装置
JP5140837B2 (ja) 電気コネクタ
JP5615318B2 (ja) 電気コネクタ
US7575466B2 (en) Electrical connector
JP2012064536A (ja) コネクタ組立体
CN109698441B (zh) 同轴线缆用连接器
US20160190754A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rotatabl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JP5567868B2 (ja) レセプタクル同軸コネクタ
US11509104B2 (en) Short-circuit probe, plug-in connection with such a short-circuit probe and a method for producing such a short-circuit probe
CN212304016U (zh) 缆线连接器
JPH0113335Y2 (ko)
JP5577125B2 (ja) 電気コネクタ
JP2017199466A (ja) 電気コネクタ
JP2013109831A (ja) 同軸低背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