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0196A - 개선된 밀봉 특성을 갖는 밀봉장치 - Google Patents

개선된 밀봉 특성을 갖는 밀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0196A
KR20120120196A KR1020127017553A KR20127017553A KR20120120196A KR 20120120196 A KR20120120196 A KR 20120120196A KR 1020127017553 A KR1020127017553 A KR 1020127017553A KR 20127017553 A KR20127017553 A KR 20127017553A KR 20120120196 A KR20120120196 A KR 201201201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hydrophobic material
sealing
hydrophobic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7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테판 크로스
니콜 알베롤라
장-폴 가랑데
아르노 모를리에
Original Assignee
꼼미사리아 아 레네르지 아또미끄 에 오 에네르지 알떼르나띠브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꼼미사리아 아 레네르지 아또미끄 에 오 에네르지 알떼르나띠브스 filed Critical 꼼미사리아 아 레네르지 아또미끄 에 오 에네르지 알떼르나띠브스
Publication of KR201201201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01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30/00Organic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 H10K3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30/88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01L31/048Encapsulation of modul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6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Hybrid Cells (AREA)
  • Sealing Material Composition (AREA)
  • Package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Encapsulation Of And Coatings For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렉서블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진 두 개의 케이스 (12) 및 상기 케이스의 각각을 충전하는 적어도 1종의 소수성 물질 (14)을 포함하는 밀봉장치 (2)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각 케이스는 밀봉공간을 구획하며, 상기 케이스 (12)는 적층되어 있고 그 주연부에서 밀봉식으로 상호연결되며, 밀봉 공간 (6)은 봉입하고자 하는 디바이스를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두 개의 케이스 사이에서 한정된다.

Description

개선된 밀봉 특성을 갖는 밀봉장치{Encapsulation device having improved sealing}
본 발명은 개선된 밀봉 특성을 갖는 밀봉장치, 예를 들어 유기 광전지에 사용되는 밀봉장치, 및 상기 밀봉장치와 상기 밀봉장치에 봉지된 광전지와 같은 디바이스로 이루어진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유기 태양전지는 결정 또는 다결정 실리콘 광전지와 비교하여 특정의 기계적 유연성을 구비하며 특히 제조 단가 측면에서 저렴한 이점을 갖고 있다.
그러나 유기 태양전지는 습기 및 산소에 민감한 결점을 갖고 있다. 만약 유기 태양전지가 적절하게 보호되지 못하면 유기 태양전지의 수명이 감소된다. 그러므로 유기 태양전지를 습기 및 산소로부터 보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러 가지 밀봉기술이 알려져 있다.
문헌 (Krebs F. et al , Solar Energy Materials and Solar cells 90(2006), 3633-3643)에 기술된 기술중의 하나에 의하면, 두 개의 커버 사이에 광전지를 위치시키고 두 개의 커버를 조인트를 사용하여 밀봉한다. 보다 특히, 상기 인용된 문헌에서는 커버중의 하나는 유리판이고, 다른 하나는 알루미늄판이며, 조인트는 유리섬유강화 에폭시 재료로 이루어져 있다. 습기 및 산소에 대하여 효율적이면서 충분하게 밀봉하기 위해서는, 두꺼운 유리판을 사용해서 밀봉할 필요가 있다.
한편으로는, 상기 어셈블리는 무시할 수 없는 중량을 갖는다.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어셈블리는 봉지된 셀에 더 이상 유연성을 제공하지 않는다. 따라서, 결과적으로, 이 기술은 작은 표면적을 갖는 경우에만 제한적으로 사용된다.
밀도가 높은 금속 산화물층으로 덮힌 두 개의 유기 고분자층 사이에 유기발광다이오드를 동봉하는 기술도 알려져 있는데, 상기 유기 고분자는 가스가 투과하는 성질을 갖고 있다. 상기 금속 산화물층은 진공증착에 의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이 기술은 고가의 장비가 필요하여, 광전지 제조 비용 절감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 기술은 문헌 (Burrows P. et al ., Ultra barrier flexible substrates for flat panel displays , in Displays 22 (2001) 65-69)에 기재되어 있다.
또한, 광전지를 밀봉된 케이스 (sealed case)에 위치시키고 상기 케이스내에 오일을 채워 상기 광전지를 상기 오일에 침지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광전지가 침지된 오일은 소수성으로 말미암아 오일에 젖은 광전지의 습기 및 산소에 대한 배리어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광전지를 형성하는데 사용된 유기 고분자가 오일에 가용화되어 상기 광전지가 열화될 위험성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보호될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 예를 들어, 광전지를 습기 또는 산소 그리고 보다 일반적으로 가스로부터 효율적으로 보호하는 밀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자인이 단순하고, 저 중량이면서 유연성이 보존되는 밀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은 내부 밀봉공간을 구획하는 적어도 하나의 벽(wall)을 포함하는 밀봉장치에 의하여 달성되며, 상기 내부 밀봉공간에는 보호할 디바이스 또는 대상체 (object)가 위치되며 상기 구획 (partition)은 소수성 액체로 채워진 플렉서블 (flexible) 고분자 케이스로 이루어진다.
환언하면, 플렉서블 용기가 형성되며, 상기 용기의 벽은 밀봉오일 (confined oil)로 이루어지며 상기 오일은 내용물로부터 격리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보호될 디바이스는 오일 배리어와 접촉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오일 배리어에 의하여 습기 및 대기로부터 보호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오일은 광선에 대하여 매우 투명하여 디바이스의 정상 동작을 방해하지 않는다. 상기 디바이스는 광전지일 수 있다.
또한 밀봉장치는 오일 및 비교적 얇은 플렉서블 고분자로 이루어진 케이스만을 포함하기 때문에 중량이 감소된다.
본 발명의 주요 주제는 밀봉공간 (sealed space)을 구획하는 플렉서블 고분자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를 충전하는 적어도 1종의 소수성 물질을 포함하는 밀봉장치에 대한 것이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케이스는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진 제1시트와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진 제2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시트와 제2시트는 그 외연부 (exterior edge)에서 상호연결되어 상기 두 시트 사이에 존재하는 소수성 물질에 대한 밀봉부피 (sealed volume)를 한정한다.
상기 밀봉장치는 플렉서블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진 두 개의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각각을 충전 (filling)하는 적어도 1종의 소수성 물질을 포함하며, 각 케이스는 소수성 물질에 대한 밀봉공간을 구획하며, 상기 케이스는 적층되어 있고 그 주연부 (peripheral edge)에 밀봉식으로 상호연결되며, 밀봉공간은 두 개의 케이스 사이에서 한정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케이스의 내표면에 대한 소수성 물질의 액적의 접촉각은 60°미만, 바람직하게는 30°미만, 그리고 보다 더 유리하게는 10° 미만이다.
상기 케이스의 내표면에 대한 액상의 소수성 물질의 부착에너지는 0.03 J/m2 초과, 유리하게는 0.45 J/m2 초과이다.
상기 소수성 물질의 물에 대한 용해도는 10-3 (fr.mol) 이하, 유리하게는 10 -4(fr.mol) 이하이다.
유리하게는 상기 액상의 소수성 물질은 점도가 10-3 Pa.s 이상이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케이스내에 갇힌 액상의 소수성 물질은 예를 들어 5 ㎛ 내지 5 mm의 두께를 갖고 있다. 적어도 하나의 케이스의 벽 두께는 10 ㎛ 내지 500 ㎛ 이다.
상기 케이스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 (P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ET),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PEN), 에틸 비닐 아세테이트 (EVA) 코폴리머 또는 폴리비닐알콜 (PVA)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소수성 물질은 미네랄 오일, 실리콘 오일, 파라핀 오일, 천연 오일, 지방산 또는 장쇄 알킬 에스테르 (long alkyl chain ester) 또는 C12H26 내지 C16H34 시리즈의 알칸과 같은 알칸이다.                
본 발명의 다른 주제는 상기 밀봉장치에 봉입된 디바이스이며, 상기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광전지 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주제는 본 발명의 밀봉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며, 상기 제조방법은
a) 소수성 물질이 안에 위치하며 플렉서블 고분자로 이루어진 케이스를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케이스를 밀봉방식으로 밀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a) 단계는 개구부를 구비하며 플렉서블 고분자로 이루어진 케이스를 제조하는 공정과, 상기 케이스에 소수성 물질을 충전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a) 단계는 유사 또는 동일한 사이즈의 플렉서블 고분자로 된 두 개의 시트를 적층하여 그들의 주연부를 실질적으로 정렬시키는 공정과, 일 부분을 제외한 상기 주연부를 밀봉방식으로 결합하여 주입구 (filling opening)을 제공한다.
b) 단계 이전에, 유리하게는 주입구의 적어도 에지부는 소유성 물질로 피복된다.
다른 일구현예에 의하면, a) 단계중에, 케이스의 하나 이상의 시트의 단부는 소유성 물질로 피복되며, 시트중의 하나는 소수성 물질로 코팅된다.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a) 단계 이전에, 소수성 물질은 온도를 낮추고 블록으로 형상화하여 고화되며, a) 단계중에 상기 케이스는 상기 고체 블록 주위에 형성된다. 소수성 물질의 예로는 테트라데칸이 있다.
유리하게는 고체 블록은 볼록 표면 (convex surface)을 갖는다.
시트의 연결 및/또는 주입구의 폐쇄 (closing)는 예를 들어 히트실링 (heat sealing) 또는 본딩 (bonding)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주제는 봉입될 디바이스(들)을 본 발명의 밀봉 장치에 위치하는 단계, 및 상기 밀봉장치를 히트실링 (heat sealing) 또는 본딩 (bonding) 에 의하여 폐쇄 (closing)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하기 상세한 설명 및 첨부된 도면들에 의하여 더 잘 이해될 것이다.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밀봉 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 도 2는 도 1의 밀봉장치의 구성요소 (element)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a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의 일구현예에서 사용된 소수성 물질로 이루어진 블록의 형상에 대한 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밀봉 장치의 대표적인 변형예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밀봉 장치 (2)의 일구현예가 나타나 있는데, 상기 밀봉장치의 내부에는 봉입될 디바이스 (4), 예를 들어, 광전지가 위치해 있다.
상기 밀봉장치(2)는 상기 봉입될 디바이스 (4)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 밀봉공간 (6)을 구비한다.
구현예에서, 봉입될 광전지와 같은 디바이스 (4)는 그 표면에 비하여 작은 두께를 갖고 있고, 도 1에 나타난 밀봉장치 (2)는 광전지의 형상에 적합한 형상을 갖고 있다.
상기 밀봉장치 (2)는 두 개의 벽 (8.1),(8.2)을 구비하며, 상기 두 개의 벽중 하나의 벽이 다른 벽 위에 위치되며, 상기 두 개의 벽은 외측 윤곽(exterior contour) (10.1),(10.2)에 걸쳐 밀봉되도록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된 두 개의 벽은 봉입될 디바이스 (4)가 위치되는 밀봉 공간 (6)을 정한다. 도 1에서 벽 (8.1)은 봉입될 디바이스 (4)의 상부 면을 피복하고 벽 (8.2)는 봉입될 디바이스 (4)의 하면을 피복한다.
각 벽 (8.1),(8.2)는 플렉서블 고분자 (12)로 이루어진 밀봉 케이스 (12) 및 상기 케이스 (12)를 충전하는 소수성 물질 (14)을 포함한다. 도 2에서는 벽 (8.1)만 도시되어 있다.
소수성 물질은 물에 대한 친화력이 나쁜 물질을 의미한다.
소수성 물질은 투과성 요소의 확산 즉 고분자 케이스를 통과하는 것을 막기 위하여 동작 온도에서 액상인 것을 선택하며, 보다 일반적으로 상온에서 액체인 것을 선택한다. 또한, 이로써 유기 광전지와 같은 봉입될 디바이스가 유연성을 보존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봉입된 디바이스가 사용될 환경의 온도에 따라 소수성 물질이 선택될 수 있다.
상세한 설명의 나머지 부분에서, 용어 "소수성 액체 (hydrophobic liquid)"는 소수성 물질을 지칭할 때 사용되며, 그 물질이 고체 형태일 때 명백해진다.
소수성 액체는 케이스 (12)에 충전되어 케이스가 공기 또는 가스를 더 이 상 함유하지 않도록 상기 케이스 (12)에 충전된다. 그렇지 않으면 공기 또는 가스가 봉입될 디바이스와 접촉하고 있는 고분자 시트를 통과하여 상기 디바이스의 성능을 저하할 위험성이 있다.
상기 케이스 (12)는 예를 들어 고분자로 된 두 장의 시트 (16.1) 및 (16.2)로 이루어지며, 이 두 장의 시트는 예를 들어 히트실링 (heat sealing)에 의하여 결합되어 이들 사이에 소수성 액체 (14)를 가두는 밀봉용량을 정한다.
상기 케이스 (12)는 오직 한 개의 절첩가능한 고분자 시트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도 있으며, 소수성 액체는 도 4에 개략적으로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시트의 두 개의 절첩부 (folded parts)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소수성 액체가 채워진 단일 케이스로 이루어진 큰 사이즈의 벽을 이용하여 밀봉장치를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다고 보며, 도 5에 개략적으로 나타난 바와 같이 큰 사이즈의 벽이 봉입될 디바이스 (4)를 감싸도록 절첩된다.
사등분으로 접히는 고분자 시트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폴딩(folding)은 소수성 액체로 채워질 공간을 한정하고, 제2 폴딩(folding)은 봉입될 디바이스의 위치를 정한다.
유리하게는, 소수성 액체 (14) 및 상기 소수성 액체 (14)가 접촉하고 있는 케이스 (12)의 내표면은, 소수성 액체가 내표면에 대하여 우수한 젖음성을 가지도록 선택된다. 이와 같은 우수한 젖음성으로 인하여 케이스의 충전 (filling)중 소수성 액체의 공간과 케이스의 벽 사이에 가스 버블이 형성되는 것이 억제된다. 최종적으로 케이스의 내표면에 대한 소수성 액체의 액적의 접촉각은 60° 미만, 유리하게는 30° 미만, 보다 유리하게는 10° 미만이다.
접촉각은 고분자의 고유의 성질에 기인하거나 또는 케이스의 내표면의 처리에 의하여 얻어진다.
또한 보다 유리하게는, 소수성 액체 및 고분자 및/또는 케이스의 내표면 처리는 부착 에너지가 0.03 J/m2 초과, 더 유리하게는 0.045 J/m2가 되도록 선택된다.
부착 에너지는 하기식으로 표시된다.
Eadhesion = σ×(1+ cosθ)
σ는 소수성 액체의 액체-기체 계면에너지이고,
θ는 케이스 (12)의 내표면에 대한 소수성 액체의 접촉각이다.
밀봉장치 (2)가 변형되었을 때, 특히 밀봉장치가 플렉서블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있을 때, 이와 같은 부착 에너지값을 선택함에 따라 소수성 액체의 디웨팅(dewetting) 위험성이 상당히 줄어들게 된다. 이후, 소수성 액체는 케이스의 전체적인 내표면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며, 이로써 고분자 케이스 (12)를 통과할 수 있는 습기 및 가스의 상기 케이스 (12)로의 침입의 위험성을 줄여준다. 결과적으로, 오일에 의하여 형성된 배리어를 손상시킬 위험성 없이 디바이스의 유연성을 폭넓게 이용할 수 있다.
소수성 액체 막의 두께는 유리하게는 5㎛ 내지 5mm이다.
또한, 밀봉장치 (2)의 벽의 습기에 대한 밀봉특성을 더 높이기 위하여 유리하게는 물에 대한 최소 용해도를 갖는 소수성 액체가 선택된다. 유리하게는 소수성 물질은 물에 대한 용해도가 10-3 (fr.mol) 이하, 더 유리하게는 10-4 (fr.mol) 이하 일 수 있다. fr. mol은 몰 분율을 나타내며: 소수성 액체의 1몰에서  가용화될 수 있는 물의 몰수이다.
우선적으로, 소수성 액체는 가능한 높은 점도를 갖도록 선택하여, 소수성 액체의 공간을 통한 대류에 의하여 기포 및 유용성 가스의 이동을 피하는 것이 가능하다.  점도는 유리하게는 10-3 Pa.s 이상이다.
예를 들어, 실시되는 소수성 액체는 미네랄 오일, 실리콘 오일, 파라핀 오일, 천연 오일, 지방산 또는 장쇄 알킬산 (long alkyl chain acid)이다. 또한 소수성 액체는 알칸일 수 있다. 소수성 액체는 예를 들어 특히 C12H26 내지 C16H34인 것이 적절하다.
에스테르와 지방산과 같은 장쇄 알킬 유기 분자는 극성이 낮아 물에 대한 용해도가 낮다. 더욱이 장쇄 알킬 유기 분자는 상당히 큰 점도를 갖고 있다.
소수성 액체는 단일 타입의 액체 또는 상기 실시예로서 인용한 것과 같은 소수성 액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다.
봉입될 디바이스 (4)가 광전지인 경우, 입사광선을 수용하는 벽을 형성하는 케이스의 어셈블리 (고분자 및 소수성 액체 (14) 또는 소수성 액체의 혼합물)는 전체 가시광 영역에 대하여 적어도 80% 투과되도록 선택되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고분자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 (P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ET),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PEN), 에틸 비닐 아세테이트 (EVA) 코폴리머 또는 폴리비닐알콜 (PVA)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의 두께는 유리하게는 10 ㎛ 내지 500㎛이며, 이 때, 상기 케이스는 우수한 강성 (rigidity) 및 인성 (tenacity)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밀봉장치의 제조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제조방법의 첫번째 실시예에 의하면, 각 케이스 (12)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치수를 갖는 고분자로 된 두 매의 시트 (16.1) (16.2)를 적층한 후, 그 주연부를 예를 들어 히트실링 (heat sealing)으로 결합하여 형성된다. 히트실링(heat sealing)에 의하여 형성된 케이스는 누설이 없다. 두 매의 시트 사이에 소수성 액체를 도입할 수 있도록 주연부의 영역만이 밀봉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밀봉이 안 된 주연부의 영역이 주입구 (filling opening)를 형성한다.
그리고 나서 소수성 액체 또는 소수성 액체들의 혼합물은 주입구, 예를 들어 캐뉼라 (cannula)를 통하여 두 매의 시트 (16.1) (16.2) 사이에 주입된다.
유리하게는, 남아있는 공기 기포는 주입구를 통하여 배출된다. 이러한 배출은 가압성형 (pressing)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이후, 주입구는 예를 들어 실링, 유리하게는 히트실링 또는 본딩에 의하여 폐쇄 (closing)된다. 히트실링은 접착제를 미리 도포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공정이 단순하다는 이점이 있다.
유리하게는, 주입구를 특정하는 밀봉될 부분을 특수처리할 수 있는데, 이 특수 처리로 인하여 실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소수성 액체의 침착을 피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처리는 밀봉될 부분에 소유성 물질 (oleophobic material)을 미리 도포하는 것에 있다. 용어 "소유성 (oleophobic)"은 오일에 대하여 친화력이 낮은 물질을 나타낸다.
상기 처리는 케이스의 고분자 시트상에 직접적으로 소유성 물질을 도포하거나 또는 소수성 액체와 배합할 수 없는 다른 유기 고분자의 작은 표면에 본딩하는 것을 말한다.
소유성 물질은 예를 들어 가열 수단에 의하여 경화가능한 퍼플루오로알킬화된 측쇄를 포함하는 유기실란 프리폴리머일 수 있다.
따라서 케이스에 소수성 액체를 충전하는 동안 상기 소수성 액체는 소유성 물질의 존재로 인하여 주입구에 도포되지 않는다. 밀봉되지 않은 나머지 에지부는 소수성 액체가 필요 없어, 실링의 실시를 용이하게 한다.
이어서, 제1벽 (8.1)이 얻어진다.
제2벽 (8.2)은 제1벽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형성된다.
그리고 나서 봉입될 디바이스는 두 개의 벽 사이에 위치되며, 이들의 에지부는 서로 같은 공간에서 만나, 예를 들어 히트실링에 의해 밀봉결합된다.
예를 들어, 어셈블리는 건조 및 중성 분위기하에서 실시되며, 밀봉 과정시 습기 및 공기가 제거된다.
최종적인 히트실링이 제1히트실링 과정 이후에 실시되며, 이에 따라 표면의 손실을 방지하거나, 제1히트 실링을 보충하게 된다.
예를 들어 실링은 두 개의 표면 사이에서 실시된다.
제조방법에 대한 두번째 실시예에 의하면, 밀봉될 시트의 영역, 즉 시트의 에지부에 사전 소유성 처리 (prior oleophobic treatment)가 실시된다. 이 처리는 예를 들어 고분자 시트상에 물질의 직접 증착에 의해 행해진다.
소수성 액체의 스프레드 코팅 (spread coating)에 의한 증착이 상기 시트중의 하나에 실시되며, 소수성 액체는 소유성 처리가 없는 영역에서 자연적으로 위치되며 봉지될 영역은 소수성 물질로 오염되지 않는다. 그 다음에 히트실링이 실시된다.
그 다음에 제2벽은 동일한 방법으로 형성되며 두 개의 벽은 봉입될 디바이스 주위에서 결합된다.
세번째 실시예에 의하면, 소수성 액체로부터 얻어진 블록은 사전에 가스를 제거하고 융점 (melting temperature) 이하의 온도에서 사용된다.
이렇게 얻어진 블록은 제1고분자 시트상에 증착된다. 제2시트는 가스를 포함하지 않도록 블록의 비피복부에 평평하게 놓이게 된다. 시트는 예를 들어 히트실링에 의해 밀봉 결합된다. 이후, 제1벽이 마련된다.
유리하게는, 상기 블록은 공기를 포획할 위험성을 갖는 캐비티를 형성하지 않고 공기를 손쉽게 포위할 수 있는 형상을 갖고 있다. 예를 들어 블록은 볼록 표면 (convex face)을 갖고 있다.
도 3a 및 도 3b는 상기 블록의 구현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3a에서 블록은 단면이 타원인 실린더 형상을 가지고 있고, 도 3b에서는 블록은 프리즘 형상을 가지고 있다.
제2벽은 유사한 방법으로 형성된다. 봉입될 디바이스는 이렇게 형성된 두 개의 벽 사이에 위치하며, 밀봉영역은 서로 만나게 된다. 에지부는 예를 들어 히트실링에 의해 밀봉식으로 결합된다.
예로서, 데트라데칸이 소수성 물질로서 사용되며, 데트라데칸의 융점은 5.5℃이다. 테트라데칸은 0℃에서는 블록 형태를 갖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ET)로 된 두 매의 시트 사이에 매립된다. 상온에서 사용되면, 테트라데칸은 녹아서 액체가 된다. 그 다음에 밀봉장치는 플렉서블해진다.
봉입된 디바이스 전기적 접속이 필요한 경우, 밀봉장치의 외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밀봉된 단자 (outlet)은 당업자에게 알려진 방법에 따라 제작된다.
상술한 제조방법의 단계를 조합하여 제공될 수 있음이 명백한 것으로 이해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예를 들어 소수성 액체와의 직접적인 접촉으로 인한 광전지의 가용화와 같은 봉입된 디바이스의 열화의 위험성 없이 가스에 대한 확산 배리어로서의 액상의 이점 및 습기에 대한 특정 배리어로서의 소수성의 이점 얻어진다.
또한 밀봉장치는 다루기 쉽고 소수성 액체는 고분자 포켓 (pocket)안에 가두어 진다.
또한 밀봉 장치의 크기는 봉입될 디바이스의 크기에 따라 맞출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목표로 하는 응용에 응하여 밀봉장치의 외부 또는 내부 표면상에 여러가지 처리 (예를 들어 칼라의 도포, 반사방지 보호, 스크래치 방지 보호 등)를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밀봉 장치에 의해 봉입된 여러가지 디바이스를 예를 들어 히트실링 또는 본딩에 의하여 매우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고, 그렇게 함으로써 봉입된 디바이스의 "플렉시블 시트"를 형성할 수 있는데, 상기 플렉서블 시트는 광전지 경우에 특히 흥미있게 다루어지고 있다.
도 6에 개략적으로 나타난 바와 같이, 그리드 패턴으로 밀봉 또는 본딩된 두 장의 고분자 시트를 이용하여 오일이 채워진 복수개의 케이스를 형성함으로써 여러 가지 밀봉장치를 동시에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타입의 두 개의 케이스를 적층하여 직접적으로 봉입된 전지를 시트 형태로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밀봉 장치는 대기, 특히 습기에 대한 보호가 필요한 봉입될 모든 타입의 디바이스에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밀봉장치는 유기 광전지, 유기 발광 다이오드 (OLED), 전자 디바이스, 마이크로밧데리, 센서, MEMS, NEMS을 밀봉하는데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밀봉 장치는 또한 반대 방향 (opposite sense)에서 사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밀봉장치 안에 들어있는 가스가 빠져나가는 것을 막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산가스 음료의 팩키징은 본 발명에 따른 밀봉장치를 구비하여 제조될 수 있다.

Claims (23)

  1. 밀봉장치에 수용된 대상체 (object)로 이루어진 어셈블리로서, 상기 밀봉장치는 적어도 1종의 액체 소수성 물질로 충전되고 플렉서블 고분자 물질로 만들어진 적어도 하나의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는 상기 대상체를 수용하는 밀봉 공간 (sealed space)을 구획하며, 상기 장치가 상기 소수성 물질과 격리된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케이스 (12)는 그 외연부 (exterior edge)에서 상호 연결된 제1고분자 시트 (16.1)와 제2고분자 시트 (16.2)를 포함하여, 상기 두 장의 시트 (16.1, 16.2) 사이의 상기 소수성 물질에 대한 밀봉 부피 (sealed volume)를 한정하는 어셈블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플렉서블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진 두 개의 케이스 (12) 및 상기 케이스 (12)의 각각을 충전하는 적어도 1종의 소수성 물질을 포함하며, 상기 각 케이스는 상기 소수성 물질에 대한 밀봉 공간을 구획하며, 상기 케이스 (12)는 적층되어 있고 그 주연부 (peripheral edge)에 밀봉식으로 상호연결되며, 밀봉 공간 (6)이 상기 두 개의 케이스 (12) 사이에서 한정되는 어셈블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케이스 (12)의 내표면에 대한 상기 소수성 물질의 액적의 접촉각이 60 °미만인 어셈블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12)의 내표면에 대한 상기 소수성 물질 (14)의 액적의 접촉각은 30° 미만, 유리하게는 10° 미만인 어셈블리.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12)의 내표면에 대한 액상의 상기 소수성 물질의 부착에너지는 0.03 J/m2 초과, 유리하게는 0.45 J/m2 초과인 어셈블리.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 물질의 물에 대한 용해도는 10-3 (fr.mol) 이하, 유리하게는 10 -4(fr.mol) 이하인 어셈블리.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의 소수성 물질은 점도가 10-3 Pa.s 이상인 어셈블리.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케이스내에 갇혀 있는 상기 액상의 소수성 물질 (14)의 두께가 5 ㎛ 내지 5㎜인 어셈블리.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케이스 (12)의 벽 두께는 10 ㎛ 내지 500 ㎛인 어셈블리.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12)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 (P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ET),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PEN), 에틸 비닐 아세테이트 (EVA) 코폴리머 또는 폴리비닐알콜 (PVA)로 이루어지는 어셈블리.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 물질 (14)은 미네랄 오일, 실리콘 오일, 파라핀 오일, 천연오일, 지방산 또는 장쇄 알킬 에스테르 또는 C12H26 내지 C16H34 시리즈의 알칸과 같은 알칸인 어셈블리.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 (4)는 광전지 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인 어셈블리.
  14. 제1항 내지 제13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어셈블리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대상체(들)를 상기 밀봉장치의 케이스내에 배치하는 단계 및 예를 들면 히트실링 또는 본딩을 이용하여 상기 밀봉장치를 밀봉 방식으로 폐쇄 (closing)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어셈블리의 제조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방법은,
    a) 상기 소수성 물질 (14)이 안에 위치하며 플렉서블 고분자로 이루어진 케이스 (12)를 형성하는 단계; 및
    b) 상기 케이스 (12)를 밀봉방식으로 밀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어셈블리의 제조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a) 단계는 개구부를 구비하며 플렉서블 고분자로 이루어진 케이스를 제조하는 공정과, 상기 케이스에 소수성 물질을 충전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어셈블리의 제조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a) 단계는 유사 또는 동일한 사이즈의 플렉서블 고분자로 된 두 개의 시트 (16.1, 16.2)를 적층하여 그들의 주연부를 실질적으로 정렬시키는 공정 및 일부분을 제외한 상기 주연부를 밀봉방식으로 결합하여 주입구 (filling opening)을 제공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어셈블리의 제조방법.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b) 단계 이전에, 상기 주입구의 적어도 에지부가 소유성 물질 (oleophobic material)로 피복되는 어셈블리의 제조방법.
  19. 제15항에 있어서, a) 단계중, 상기 케이스 (12)의 하나 이상의 시트 (16.1, 16.2)의 에지부가 소유성 물질로 피복되며, 상기 시트의 하나가 상기 소수성 물질로 코팅되는 어셈블리의 제조방법.
  20. 제15항에 있어서, a) 단계 이전에, 상기 소수성 물질 (14)은 온도를 낮추고 블록으로 형상화하여 고화되며, a) 단계 동안에 상기 케이스 (12)는 상기 고체 블록 주변에 형성되는 어셈블리의 제조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 물질 (14)은 테트라데칸인 어셈블리의 제조방법.
  22.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 물질의 블록은 볼록 표면을 갖는 어셈블리의 제조방법.
  23. 제15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16.1, 16.2)의 결합 및/또는 상기 주입구의 폐쇄 (closing)는 히트실링 또는 본딩에 의하여 수행되는 어셈블리의 제조방법.
KR1020127017553A 2009-12-14 2010-12-09 개선된 밀봉 특성을 갖는 밀봉장치 KR2012012019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958948A FR2953990B1 (fr) 2009-12-14 2009-12-14 Dispositif d'encapsulation a etancheite amelioree
FR0958948 2009-12-14
PCT/EP2010/069235 WO2011073073A1 (fr) 2009-12-14 2010-12-09 Dispositif d'encapsulation a etanchéité amelioré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0196A true KR20120120196A (ko) 2012-11-01

Family

ID=42357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7553A KR20120120196A (ko) 2009-12-14 2010-12-09 개선된 밀봉 특성을 갖는 밀봉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963345B2 (ko)
EP (1) EP2513997B1 (ko)
JP (1) JP5745535B2 (ko)
KR (1) KR20120120196A (ko)
CN (1) CN102823017A (ko)
BR (1) BR112012014344A2 (ko)
FR (1) FR2953990B1 (ko)
WO (1) WO201107307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3713A (ko) * 2016-12-02 2018-06-12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보호층을 포함하는 cigs 태양전지모듈 및 이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59599B1 (fr) 2010-04-28 2013-12-20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Dispositif et procede de texturation mecanique d'une plaquette de silicium destinee a constituer une cellule photovoltaique, plaquette de silicium obtenue
FR2980394B1 (fr) 2011-09-26 2013-10-18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Structure multicouche offrant une etancheite aux gaz amelioree
CN105185922B (zh) 2015-06-12 2018-09-21 合肥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封装结构及封装方法、oled装置
CN106185046A (zh) * 2016-07-25 2016-12-07 高秀民 器官冷藏运输箱及其控制方法
CN106196814A (zh) * 2016-07-25 2016-12-07 高秀民 便携式自动控温医用冷藏运输设备及其控制方法
CN106123440A (zh) * 2016-07-25 2016-11-16 李如怡 家用便携式冷藏箱及其控制方法
CN106185045A (zh) * 2016-07-25 2016-12-07 高秀民 自发电式器官冷藏运输箱及其控制方法
CN106196813A (zh) * 2016-07-25 2016-12-07 高秀民 具有减震功能的医用制冷运输箱设备及其控制方法
CN106225369A (zh) * 2016-07-25 2016-12-14 高秀民 具有减震功能的器官冷藏运输箱及其控制方法
CN106185044A (zh) * 2016-07-25 2016-12-07 高秀民 自发电式器官冷藏运输箱及其控制方法
CN106524627A (zh) * 2016-11-05 2017-03-22 高秀民 医用便携式双层保温箱及其控制方法
CN106440612A (zh) * 2016-11-05 2017-02-22 高秀民 热管传热式医用便携保温箱及其控制方法
CN106352643A (zh) * 2016-11-05 2017-01-25 高秀民 自发电式双层医用冷藏便携设备及其控制方法
CN106440611A (zh) * 2016-11-05 2017-02-22 高秀民 双层便携式医用保温箱及其控制方法
CN106369908A (zh) * 2016-11-05 2017-02-01 高秀民 医用便携式保温箱及其控制方法
US20180248061A1 (en) * 2017-02-24 2018-08-30 Epic Battery Inc. Stable perovskite solar cell
CN108376720A (zh) * 2018-04-23 2018-08-07 黑龙江华夏易能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光伏电池组件及其制作方法
CN112289950B (zh) * 2020-10-28 2022-09-27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装置及显示装置卷曲测试方法
CN115790700B (zh) * 2022-12-09 2024-01-12 哈尔滨理工大学 电场诱导复合绝缘材料成型过程中填料运动的观察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40556A (en) 1978-02-23 1980-12-23 Field Andrew Stewart Inflatable package and method of manufacture
US5272856A (en) * 1992-07-30 1993-12-28 Air Packaging Technologies, Inc. Packaging device that is flexible, inflatable and reusable and shipping method using the device
JP2926537B2 (ja) * 1994-12-15 1999-07-2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マルチチップモジュ−ルの冷却装置
US6207892B1 (en) * 1995-03-30 2001-03-27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System and method for sealing high density electronic circuits
KR100249784B1 (ko) * 1997-11-20 2000-04-01 정선종 고분자복합막을이용한유기물혹은고분자전기발광소자의패키징방법
JP2000068046A (ja) * 1998-08-17 2000-03-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場発光デバイス
JP2000261022A (ja) 1999-03-05 2000-09-22 Misawa Homes Co Ltd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屋根パネル
JP2001217446A (ja) 2000-02-01 2001-08-10 Sanyo Electric Co Ltd 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2002217441A (ja) 2001-01-19 2002-08-02 Nissan Motor Co Ltd 太陽電池パネルの製造方法
JP3939117B2 (ja) * 2001-09-26 2007-07-04 三洋電機株式会社 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4426239B2 (ja) 2003-09-22 2010-03-03 積水樹脂株式会社 太陽電池モジュール
KR100556086B1 (ko) 2003-11-15 2006-03-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엔캡슐레이션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판넬 및 그의 제작방법
JP4703231B2 (ja) 2005-03-29 2011-06-15 京セラ株式会社 太陽電池モジュ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GB2427868A (en) 2005-07-04 2007-01-10 Samuel Michael Baker Cellulosic products having oleophobic and hydrophobic properties
JP2009527896A (ja) 2006-02-17 2009-07-30 ザ リージェンツ オブ ザ ユニバーシティー オブ カリフォルニア 効率向上および劣化防止のための高分子太陽電池の光子変換材料
US8183458B2 (en) 2007-03-13 2012-05-22 Solyndra Llc Photovoltaic apparatus having a filler layer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8106292B2 (en) * 2007-04-30 2012-01-31 Solyndra Llc Volume compensation within a photovoltaic device
FR2959599B1 (fr) 2010-04-28 2013-12-20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Dispositif et procede de texturation mecanique d'une plaquette de silicium destinee a constituer une cellule photovoltaique, plaquette de silicium obtenu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3713A (ko) * 2016-12-02 2018-06-12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보호층을 포함하는 cigs 태양전지모듈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868957B1 (ko) * 2016-12-02 2018-06-19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보호층을 포함하는 cigs 태양전지모듈 및 이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953990B1 (fr) 2013-01-11
BR112012014344A2 (pt) 2016-09-06
US20130001808A1 (en) 2013-01-03
EP2513997B1 (fr) 2014-04-02
FR2953990A1 (fr) 2011-06-17
EP2513997A1 (fr) 2012-10-24
US8963345B2 (en) 2015-02-24
JP5745535B2 (ja) 2015-07-08
WO2011073073A1 (fr) 2011-06-23
JP2013513958A (ja) 2013-04-22
CN102823017A (zh) 2012-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20196A (ko) 개선된 밀봉 특성을 갖는 밀봉장치
JP5946140B2 (ja) 多層気密バリアおよび関連構造および気密封止方法
TWI408755B (zh) 封入環境敏感裝置的方法
KR101801823B1 (ko) 폴리머 기반 진동형 히트 파이프 및 제작방법
US9356258B2 (en) OLEDs and other electronic devices using desiccants
TWI515937B (zh) 有機光電元件之封裝結構以及封裝方法
US20180130973A1 (en) Oled package structure and packaging method
CN103594488A (zh) 一种oled显示器件的封装方法及封装结构
KR20010041993A (ko) 용접 밀봉된 전지들을 위한 패키징 물질
CN102856403A (zh) 一种柔性太阳能电池组件阵列及其封装方法
CN107230686A (zh) 一种显示装置及其封装方法
JP2003086822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CN1149378A (zh) 用于有源电路外围保护的密闭电子封装
WO2011158147A1 (en) System and method for laminating pv device
CN101516513A (zh) 双面流体构件
CN205920980U (zh) 太阳能板模块
EP2095445B1 (en) Package for protecting a device from ambient substances
KR101880922B1 (ko)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봉지재 보수방법
KR102640171B1 (ko) 액침된 전자기기의 실링 방법
KR20050006558A (ko) 엔캡슐레이티드 유기 전자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CN104812502A (zh) 制造带有密封剂的太阳能组件及其系统的方法
CN112820836A (zh) 一种显示装置
TW200414813A (en) Sealing structur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