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8418A - 이차 전지의 충방전 평가 장치 - Google Patents

이차 전지의 충방전 평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8418A
KR20120118418A KR1020120038388A KR20120038388A KR20120118418A KR 20120118418 A KR20120118418 A KR 20120118418A KR 1020120038388 A KR1020120038388 A KR 1020120038388A KR 20120038388 A KR20120038388 A KR 20120038388A KR 20120118418 A KR20120118418 A KR 201201184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e
test
discharge
secondary battery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8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0997B1 (ko
Inventor
도시유키 니시구치
아키히코 사이토
Original Assignee
에스펙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펙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스펙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184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84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09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09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92Determining battery ageing or deterioration, e.g. state of health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96Acquisition or processing of data for testing or for monitoring individual cells or groups of cells within a batter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의 충방전 평가 장치는, 단일 케이스의 전방부에는, 시험 전지를 장착한 전지 트레이를 슬라이드하여 출납시키는 항온조를, 상하 방향을 따라 복수 설치하며, 각 항온조의 안쪽에는, 단열벽에 의해 구분된 전원 수납 공간에 충방전 전원을 각각 설치하고, 전지 트레이의 선단의 엣지를, 단열벽의 관통 구멍으로부터 항온조 안으로 기밀하게 돌출된 커넥터에 삽입함으로써, 전지 트레이의 시험 전지와 충방전 전원의 전기적 접속을 행하도록 한다.

Description

이차 전지의 충방전 평가 장치{SECONDARY BATTERY CHARGE/DISCHARGE EVALU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이차 전지의 충방전 시험을 행하기 위한 이차 전지의 충방전 평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 기술의 진보에 따라, 고성능화, 소형화, 포터블화한 각종 전자 기기나 환경 배려형 제품으로서의 전기 자동차 등에 사용되는 이차 전지의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이차 전지의 연구 개발이나 제품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이차 전지의 충방전 시험을 행하는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이에 관해서는, 예컨대 일본 공개 특허 공보(특허 공개 제2003-282150호)를 참조할 수 있다.
종래에는, 원하는 온도 환경에서 이차 전지의 충방전 시험을 행하는 경우에, 기존의 항온 시험기가 사용되고 있다. 도 5는 항온 시험기를 이용한 이차 전지의 충방전 시험을 행하기 위한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시스템은, 항온조를 갖는 항온 시험기(26)와, 각 전지 트레이(25)에 대응하는 복수의 충방전 전원(27)을 수납한 충방전 전원 랙(28)과, 이들을 제어하여 충방전 시험을 행하는, 예컨대 컴퓨터로 이루어지는 제어 장치(29)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항온조에는 피시험물인 시험 전지(도시하지 않음)가 장착된 복수의 전지 트레이(25)가 수납된다.
항온 시험기(26)의 항온조 내에 수납되는 복수의 전지 트레이(25)와, 충방전 전원 랙(28)의 복수의 충방전 전원(27)은, 항온조의 단열재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케이블 구멍(30)을 통해 기밀하게 인출된 복수의 전원 접속 케이블(31)에 의해 접속된다. 이에 의해, 전지 트레이(25)에 장착된 이차 전지인 시험 전지와 충방전 전원(27)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어 장치(29)는, 항온 시험기(26) 및 충방전 전원 랙(28)에 각 통신 케이블(32, 33)을 통해 개별적으로 접속된다.
이러한 종래 시스템에서는, 항온 시험기(26)와 충방전 전원 랙(28)을 개별적으로 설치하고, 항온 시험기(26)의 항온조에 수납되는 전지 트레이(25)와 충방전 전원 랙(28)의 충방전 전원(27)을, 전원 접속 케이블(31)로 접속한다. 이 때문에, 스페이스 효율이 나쁘며, 전원 접속 케이블(31)의 접속 작업이 번거롭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 또한, 전원 접속 케이블(31)이 길어지면, 그 배선의 저항이나 인덕턴스가 커지기 때문에 전기 특성 측정(전압, 전류, 주파수, 임피던스 등의 측정)의 정밀도 향상이 곤란하거나, 저항분에 의한 주울 발열이 증가하여 전력 손실이 증가한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
또한, 피시험물인 이차 전지의 사이즈나 형상은 여러 가지이다. 이 때문에, 사이즈나 형상이 다른 이차 전지의 충방전 시험을 행하는 경우에는, 그 이차 전지에 대응하는 전지 트레이로 변경하며, 변경한 전지 트레이와 충방전 전원을 전원 접속 케이블로 다시 고쳐 접속하여야 하다고 하는 과제도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피시험물과 충방전 전원의 접속을 위한 케이블을 불필요하게 하여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이 구성하고 있다.
(1) 본 발명의 이차 전지의 충방전 평가 장치는,
피시험물인 이차 전지를 출납하는 개구를 갖고 피시험물을 격납하는 시험조와,
상기 시험조의 밖에 마련된 충방전 전원과,
상기 피시험물이 배치되며, 피시험물과 충방전 전원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시료측 접속부를 갖는 시료 트레이, 그리고
상기 시료 트레이의 상기 시료측 접속부와 상기 충방전 전원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접속구(接續具)
를 구비하고,
상기 접속구는 상기 개구와 대향하는 위치에 상기 시험조의 시험조 벽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시료 트레이를 상기 개구측으로부터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상기 시료측 접속부와 상기 접속구의 접속?비접속을 전환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차 전지의 충방전 평가 장치에 따르면, 피시험물인 이차 전지가 배치된 시료 트레이를 시험조 내에 슬라이드시켜 삽입하고, 상기 시료 트레이의 시료측 접속부와 시험조 벽을 관통하여 설치된 접속구를 접속함으로써, 시료 트레이의 이차 전지와 시험조 밖의 충방전 전원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이차 전지와 충방전 전원을 접속하기 위한 전원 접속 케이블이 불필요하게 되어, 스페이스 효율이 향상되며, 번거로운 전원 접속 케이블의 접속 작업을 행할 필요가 없어진다. 또한, 다른 사이즈나 형상의 이차 전지의 충방전 시험을 행하는 경우에는, 그 이차 전지에 대응하는 시료 트레이로 변경하기만 하여도 좋고, 종래예와 같이, 시료 트레이를 변경하며, 시료 트레이와 충방전 전원을 전원 접속 케이블로 다시 고쳐 접속할 필요가 없다.
(2) 본 발명의 이차 전지의 충방전 평가 장치가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는, 상기 시험조는 상기 시험조 내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송풍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시료 트레이를 따라 송풍되도록, 상기 송풍기는 상기 시료 트레이의 측방에 설치된다.
이 실시양태에 따르면, 시험조 내에 슬라이드하여 삽입된 시료 트레이에 대하여, 그 측방에 설치된 송풍기에 의해 공기가 송풍되어 시료 트레이를 따라 흘러, 시료 트레이에 배치된 이차 전지에 대하여 균일한 온도 스트레스를 부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험 결과의 변동을 억제할 수 있다.
(3) 본 발명의 이차 전지의 충방전 평가 장치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상기 시험조, 상기 충방전 전원 및 상기 접속구가 수납되는 단일 케이스를 더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시험조, 상기 충방전 전원 및 상기 접속구가, 상하 방향을 따라 복수단으로 설치된다.
이 실시양태에 따르면, 케이스의 상하 방향을 따라, 시험조, 충방전 전원, 및 접속구가 복수단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시험조마다 다른 시험 조건으로 이차 전지의 충방전 시험을 스페이스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4) 본 발명의 이차 전지의 충방전 평가 장치의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상기 시험조 벽이 단열벽이다.
이 실시양태에 따르면, 소요의 환경 온도로 이차 전지의 충방전 시험을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피시험물인 이차 전지가 배치된 시료 트레이를 시험조 내에 슬라이드시켜 삽입하고 시료측 접속부와 접속구를 접속함으로써, 시료 트레이의 이차 전지와 시험조 밖의 충방전 전원을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이차 전지의 충방전 시험을 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차 전지와 충방전 전원을 접속하기 위한 전원 접속 케이블이 불필요하게 되어, 스페이스 효율이 향상되며, 번거로운 전원 접속 케이블의 접속 작업을 행할 필요가 없어진다. 또한, 사이즈나 형상이 다른 이차 전지의 충방전 시험을 행하는 경우에는, 그 이차 전지에 대응하는 시료 트레이로 변경하기만 하여도 좋고, 종래예와 같이, 시료 트레이를 변경하며, 시료 트레이와 충방전 전원을 전원 접속 케이블로 다시 고쳐 접속할 필요가 없다.
또한, 배선이 짧아짐으로써, 전기 특성 측정(전압, 전류의 측정이나 보다 높은 주파수에서의 임피던스 측정 등)의 정밀도 향상을 기대할 수 있고, 종래 불가능하던 영역에서의 전지 특성의 평가가 가능해진다. 또한, 시료에 인가하는 파형의 교란(오버 슈트나 언더 슈트)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시료에 대한 악영향이 경감된다고 하는 효과나, 배선 저항에 의한 전력 손실을 저감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이차 전지의 충방전 평가 장치를 구비하는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이차 전지의 충방전 평가 장치의 내부를 절결하여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항온조 내의 공기의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전지 트레이와 충방전 전원의 커넥터의 접속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종래예의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이차 전지의 충방전 특성을 평가하는 충방전 평가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충방전 평가 시스템에서는, 각종 이차 전지, 예컨대 니켈?카드뮴 전지, 리튬 이온 전지, 니켈 수소 전지 등의 충방전 시험을 행할 수 있다.
이 충방전 평가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이차 전지의 충방전 평가 장치(2)와 제어 장치(3)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 장치(3)는, 이 충방전 평가 장치(2)를 제어하여 이차 전지의 충방전 시험을 행하는 것으로, 예컨대 컴퓨터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형태의 충방전 평가 장치(2)는, 단일 케이스(4)를 구비하고 있다. 이 케이스(4)는, 개략적으로는, 그 전방부가 항온조 부분(6)으로 되어 있고, 그 후방부가 충방전 전원 부분(9)으로 되어 있다. 항온조 부분(6)에는, 시험 전지(도시하지 않음)를 장착한 복수의 전지 트레이(5)가 수납되어 있다. 충방전 전원 부분(9)에는, 각 전지 트레이(5)에 대응하는 복수의 충방전 전원(8)이 수납되어 있다.
항온조 부분(6)과 충방전 전원 부분(9)은, 모식적으로는, 단열재(7)에 의해 가상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분되어 있다. 항온조 부분(6) 및 충방전 전원 부분(9)은, 기본적으로, 도 5의 종래예의 항온 시험기 및 충방전 전원 랙으로서의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제어 장치(3)는, 항온조용 통신 케이블(10) 및 충방전 전원용 통신 케이블(11)을 통해 충방전 평가 장치(2)에 접속되어 있고, 제어 장치(3)는, 충방전 평가 장치(2)를 제어하여 이차 전지의 충방전 시험을 행한다.
도 2는 도 1의 이차 전지의 충방전 평가 장치(2)의 내부를 절결하여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이차 전지의 충방전 평가 장치(2)는, 케이스(4)의 전면(前面)에, 단열성의 도어(12)가 상하 방향으로 3개 부착되어 있고, 케이스(4)의 내부에는 전지 트레이(5)를 수용 가능한 3개의 항온조(13)가 마련되어 있다. 전지 트레이(5)는 피시험물인 시험 전지(16)가 배치되는 시료 트레이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항온조(13) 내에 있어서, 상하 2단으로 전지 트레이(5)를 수납할 수 있다.
케이스(4)의 전면의 도어(12)보다도 우측에는, 온도 데이터 등을 표시하는 표시부(14) 및 온도 등의 설정을 위해 조작되는 조작부(15)가 마련되어 있다. 표시부(14)와 조작부(15)는 각 항온조(13) 각각에 대응하여 마련되어 있다.
각 항온조(13)는, 도어(12)로 개방, 폐쇄되는 전면의 개구를 제외하고는 단열벽으로 둘러싸여 있다. 각 항온조(13)는, 배면측(안쪽)의 단열벽(13a)에 의해, 충방전 전원(8)이 수납된 전원 수납 공간으로부터 구획되어 있다. 즉, 충방전 전원(8)은, 각 항온조(13) 밖의 전원 수납 공간에 수납되어 있다. 이 전원 수납 공간에는, 각 항온조(13)마다 2개의 충방전 전원(8)이 상하로 배치되어 있다. 도 2에 있어서 각 항온조(13)와 전원 수납 공간을 구분하는 단열벽(13a)은, 전술한 도 1의 항온조 부분(6)과 충방전 전원 부분(9)을 구분하는 단열재(7)에 상당한다.
각 항온조(13)의 우방은, 연통 구멍을 갖는 제1 칸막이판(18)에 의해 공조 공간과 구분되어 있고, 온도 제어된 공기가 각 항온조(13)의 우방과 공조 공간의 사이에서 연통 구멍을 통해 순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3은 각 항온조(13) 내의 공기의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항온조(13)의 우방은, 제1 칸막이판(18)에 의해 공조 공간(20)과 구분되는 한편, 항온조(13)의 좌방은, 연통 구멍을 갖는 제2 칸막이판(21)에 의해 공간(22)과 구분되어 있다. 또한, 항온조(13)의 상부는, 상기한 두 공간(20, 22)에 걸친 구획판(23)에 의해 구획되어 덕트(24)가 형성되어 있다. 공조 공간(20)에는, 송풍기(19) 및 가열기(35) 등이 배치되어 있다.
공조 공간(20)에 배치된 송풍기(19)를 구동시킴으로써, 도 3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온도 제어된 공기가, 우방의 공조 공간(20)으로부터 전지 트레이(5)를 따라 좌방으로 흐르고, 좌방의 공간(22)에 의해 상하 2방향으로 나뉘어 되돌아온다. 상방으로 분리된 공기는, 상부의 덕트(24)를 통해 공조 공간(20)으로 되돌아가고, 하방으로 분리된 공기는, 하측의 전지 트레이(5)의 이면과 항온조(13)의 바닥면의 사이에 형성되는 유로(36)를 통해 공조 공간(20)으로 되돌아간다고 하는 순환이 행해진다. 이에 따라, 항온조(13) 내의 온도가 설정 온도로 유지된다.
이 경우, 하측의 전지 트레이(5)의 이면과 항온조(13)의 바닥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유로(36)가, 하부의 덕트로서 기능한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로서, 상부의 덕트(24)와 마찬가지로, 하부에도 덕트를 마련하여도 좋다.
각 전지 트레이(5)는, 항온조(13) 내에 수평으로 수납되기 때문에, 수평인 각 전지 트레이(5)에 대하여, 도 2의 화살표 B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측방의 송풍기(19)로부터 온도 제어된 공기가 송풍된다. 이때, 수평으로 수납된 전지 트레이(5)가 정류판(整流板)으로서 기능하고, 전지 트레이(5)에 대한 공기의 흐름이, 층류가 되어 전지 트레이(5)에 배치된 시험 전지(16)에 대하여 균일한 온도 스트레스를 부여하여 정밀도가 높은 충방전 시험을 행할 수 있다.
이차 전지는, 전해액을 갖기 때문에, 급격한 온도 상승 등에 의해 폭발이나 화재가 일어날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항온조(13)의 밖의 좌방의 공간은, 예컨대 화재 시에 항온조(13) 내에 소화제를 분사하는 소화기, 항온조(13) 내의 압력을 내리는 배기 벤트나 가스 센서 등의 도시하지 않는 안전 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안전 공간으로 하고 있다.
각 항온조(13)에는, 시험 전지(16)가 장착된 각 전지 트레이(5)를, 화살표 A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항온조(13)에 삽입할 때, 혹은 항온조(13)로부터 인출할 때에, 각 전지 트레이(5)를 수평 방향을 따라 각각 안내 지지하는 도시하지 않는 각 한쌍의 가이드 레일이 배치되어 있다.
각 항온조(13)의 배면측(안쪽)의 전술한 단열벽(13a)에는, 관통 구멍을 통해 커넥터(8a)가 항온조(13) 내에 기밀하게 돌출되어 있다. 커넥터(8a)는, 전원 수납 공간에 상하로 수납되어 있는 2개의 각 충방전 전원(8)의 접속구로서 기능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커넥터(8a)는, 엣지 커넥터로 하고 있다.
복수의 각 시험 전지(16)는, 전지 트레이(5)에 장비된 복수의 각 소켓(도시하지 않음)에 장착된다. 전지 트레이(5)의 항온조(13)에의 삽입 방향의 선단부에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엣지(5a)가 형성되어 있다. 엣지(5a)는, 충방전 전원(8)의 상기 커넥터(8a)에 대응하는 시료측 접속부로서 기능한다.
전지 트레이(5)를, 가이드 레일을 따라 항온조(13) 내에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 삽입하고, 전지 트레이(5)의 엣지(5a)를, 단열벽(13a)으로부터 항온조(13) 안으로 돌출된 커넥터(8a)에 삽입한다. 이에 따라, 시험 전지(16)를, 소켓 및 전지 트레이(5)의 배선을 통해 충방전 전원(8)에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전지 트레이(5)를, 가이드 레일을 따라 항온조(13)로부터 슬라이드시켜 인출하고, 전지 트레이(5)의 엣지(5a)를 커넥터(8a)로부터 빼낸다. 이에 따라, 시험 전지(16)와 충방전 전원(8)을 전기적으로 비접속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시험 전지(16)를 장착한 전지 트레이(5)를, 가이드 레일을 따라 항온조(13) 내에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 삽입하고, 혹은 항온조(13) 내로부터 슬라이드시켜 인출함으로써, 시험 전지(16)와 충방전 전원(8)의 전기적 접속?비접속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전지 트레이(5)와 충방전 전원(8)의 전기적 접속은, 엣지 커넥터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지 트레이(5)의 항온조(13) 내에의 삽입, 인출에 따라, 감합, 이탈할 수 있는 다른 커넥터나 스프링 작용이 있는 포고핀 등의 접속구를 이용하여도 좋다.
충방전 시험에 있어서의 온도 제어는, 목적으로 하는 시험에 따라 다양하다. 예컨대, 시험 전지(16)를 장착한 전지 트레이(5)를, 각 항온조(13) 내에 셋트하고, 각 항온조(13)를, 각각 다른 설정 온도, 예컨대 80℃, 25℃, 마이너스 10℃로 제어하며, 각 온도에 있어서 충방전 시험을 각각 행한다. 이 충방전 시험에서는, 예컨대 시험 전지(16)의 충전 및 방전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행하여, 충전 특성, 방전 특성, 충방전의 반복 특성 등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특성 데이터를 취득한다. 취득한 특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이차 전지의 충방전 특성을 평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이차 전지의 충방전 평가 장치(2)에서는, 단일 케이스(4) 내에, 충방전 전원(8)이 수납되며, 시험 전지(16)를 장착한 전지 트레이(5)를, 각 항온조(13) 내에 슬라이드하여 그 선단부의 엣지(5a)를, 충방전 전원(8)의 커넥터(8a)에 삽입함으로써, 시험 전지(16)와 충방전 전원(8)을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이 때문에 충방전 평가 장치(2)에서는, 종래예와 같이, 개별 케이스로 이루어지는 항온 시험기의 전지 트레이와 충방전 전원 랙의 충방전 전원을 전원 접속 케이블로 접속할 필요가 없어, 스페이스 효율이 향상되며, 번거로운 전원 접속 케이블의 접속 작업을 행할 필요가 없다.
또한, 케이스(4)의 상하 방향을 따라 항온조(13) 및 충방전 전원(8)이 복수단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스페이스 효율이 좋고, 또한 각 항온조(13)마다, 각각 다른 온도 조건으로 이차 전지의 충방전 시험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시험 전지(16)의 사이즈나 형상 등에 따라, 소켓이나 배선을 다르게 한 전지 트레이(5)를 준비하고, 시험 전지(16)에 대응하는 전지 트레이(5)를 사용함으로써, 사이즈나 형상이 다른 시험 전지(16)의 충방전 시험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종래예와 같이, 전지 트레이뿐만 아니라, 전원 접속 케이블의 접속을 다시 한다고 하는 필요가 없다.
또한, 전지 트레이(5)는, 전원 접속 케이블에 접속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항온조(13)로부터 인출할 때에, 케이블의 길이에 따라 인출 거리가 제약되는 경우도 없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이차 전지의 충방전 평가 장치(2)는, 3개의 항온조(13)를 구비하고 있지만, 항온조(13)의 수는 3개에 한정되지 않고, 또한 각 항온조(13) 내에 수납하는 전지 트레이(5)의 수도 2개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피시험물을 격납하는 시험조는, 항온조에 한정되지 않고, 항온 항습조나 압력조, 또는 그 이외의 것이어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단일 케이스로 이루어지는 이차 전지의 충방전 평가 장치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케이스가 복수의 케이스를 일체적으로 조립하여 구성된 것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피시험물로서 이차 전지를 이용하는 예를 나타내었지만, 피시험물은 커패시터여도 좋다.
2 : 이차 전지의 충방전 평가 장치
3 : 제어 장치
4 : 케이스
5 : 전지 트레이(시료 트레이)
5a : 엣지
13 : 항온조(시험조)
13a : 단열벽
8 : 충방전 전원
8a : 커넥터(접속구)
16 : 시험 전지(피시험물)
19 : 송풍기

Claims (4)

  1. 피시험물인 이차 전지를 출납하는 개구를 갖고 피시험물을 격납하는 시험조와,
    상기 시험조의 밖에 마련된 충방전 전원과,
    상기 피시험물이 배치되며, 상기 피시험물과 상기 충방전 전원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시료측 접속부를 갖는 시료 트레이, 그리고
    상기 시료 트레이의 상기 시료측 접속부와 상기 충방전 전원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접속구(接續具)
    를 구비하고,
    상기 접속구는 상기 개구와 대향하는 위치에 상기 시험조의 시험조 벽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시료 트레이를 상기 개구측으로부터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상기 시료측 접속부와 상기 접속구의 접속?비접속을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의 충방전 평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조는 상기 시험조 내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송풍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시료 트레이를 따라 송풍되도록, 상기 송풍기는 상기 시료 트레이의 측방에 설치되는 것인 이차 전지의 충방전 평가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조, 상기 충방전 전원 및 상기 접속구가 수납되는 단일 케이스를 더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시험조, 상기 충방전 전원 및 상기 접속구가, 상하 방향을 따라 복수단으로 설치되는 것인 이차 전지의 충방전 평가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조 벽이 단열벽인 것인 이차 전지의 충방전 평가 장치.
KR1020120038388A 2011-04-18 2012-04-13 이차 전지의 충방전 평가 장치 KR1018709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092249 2011-04-18
JP2011092249A JP5738660B2 (ja) 2011-04-18 2011-04-18 二次電池の充放電評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8418A true KR20120118418A (ko) 2012-10-26
KR101870997B1 KR101870997B1 (ko) 2018-06-25

Family

ID=47029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8388A KR101870997B1 (ko) 2011-04-18 2012-04-13 이차 전지의 충방전 평가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738660B2 (ko)
KR (1) KR101870997B1 (ko)
CN (1) CN10274958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5066A (ko) * 2018-08-02 2020-02-12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이차 전지 충방전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04975B2 (ja) * 2012-02-28 2015-11-04 富士通テレコムネットワークス株式会社 二次電池の充放電装置
CN103809128A (zh) * 2012-11-08 2014-05-2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电源自动测试及老化生产线
KR200475247Y1 (ko) * 2013-03-11 2014-11-27 (주)블루이엔지 슬라이딩 트레이를 가진 이차전지 에이징 랙 장치
JP2014232697A (ja) * 2013-05-30 2014-12-11 エスペック株式会社 充放電試験装置、充放電試験システム、充放電試験装置用の給電アダプタおよび充放電試験方法
JP5978169B2 (ja) * 2013-06-12 2016-08-24 エスペック株式会社 環境試験装置
JP6332938B2 (ja) * 2013-10-24 2018-05-30 住友重機械搬送システム株式会社 充放電検査装置
JP6124770B2 (ja) * 2013-10-30 2017-05-10 エスペック株式会社 試験装置及び二次電池の評価方法
JP6284387B2 (ja) * 2014-02-24 2018-02-28 大和製罐株式会社 電池キャビネットの消火設備
JP6063884B2 (ja) * 2014-02-24 2017-01-18 エスペック株式会社 電池試験装置
JP6276712B2 (ja) * 2015-01-07 2018-02-07 エスペック株式会社 環境試験装置及び環境試験装置用電気系統接続装置
JP6571359B2 (ja) * 2015-03-24 2019-09-04 住友重機械搬送システム株式会社 充放電検査装置
EP3449526B1 (en) * 2016-04-20 2022-01-12 Corvus Energy Inc. Backplane assembly with power and cooling substructures
CN105958154A (zh) * 2016-06-06 2016-09-21 珠海泰坦新动力电子有限公司 动力电池托盘均匀散热系统
KR102314575B1 (ko) 2018-01-12 2021-10-2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이차전지의 충방전기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의 활성화 공정 장치
JP7106946B2 (ja) * 2018-04-02 2022-07-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複数電池の評価装置
KR101960923B1 (ko) 2018-10-29 2019-03-21 주식회사 거림 배터리 충방전 성능 측정장치
CN109814040A (zh) * 2019-03-28 2019-05-28 上海先惠自动化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多层式电池充放电测试装置
CN109917304A (zh) * 2019-04-16 2019-06-21 北京中科行运科技有限公司 一种电池环境适应性检测装置
CN112259899B (zh) * 2020-12-21 2021-03-09 河南工学院 一种方便接电的电池箱
KR20220100309A (ko) * 2021-01-08 2022-07-1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펠티어 소자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충방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 충방전 시스템의 온도 제어방법
JP7114118B1 (ja) 2021-05-19 2022-08-08 東洋システム株式会社 二次電池充放電試験装置
JP7171090B1 (ja) 2021-09-28 2022-11-15 東洋システム株式会社 二次電池充放電試験装置
JP7204266B1 (ja) 2022-02-28 2023-01-16 東洋システム株式会社 電池試験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90938A (ja) * 1995-01-09 1996-07-23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二次電池充放電自動試験装置用試験電池ホルダー
JPH1123676A (ja) * 1997-06-30 1999-01-29 Sony Corp 二次電池の充電特性測定方法及び装置
JPH11176484A (ja) * 1997-12-11 1999-07-02 Toshiba Battery Co Ltd マルチ型充放電装置
JPH11275764A (ja) * 1998-03-23 1999-10-08 Toshiba Battery Co Ltd 定電流型の充放電装置
JP3666785B2 (ja) * 1998-03-25 2005-06-29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複数電池の自動試験方法および装置
JP2000299135A (ja) * 1999-04-14 2000-10-24 Mikuni Kogyo:Kk 電池充放電検査装置
JP2002101570A (ja) * 2000-09-20 2002-04-05 Toshiba Battery Co Ltd 電子機器装置
US6784641B2 (en) * 2000-09-20 2004-08-31 Toshiba Battery Co., Ltd.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JP2003282150A (ja) * 2002-03-25 2003-10-03 Hitachi Ltd 二次電池試験装置
JP2004327223A (ja) * 2003-04-24 2004-11-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池収納装置、電源装置、および電動車両
JP4417654B2 (ja) * 2003-06-12 2010-02-17 東芝電池株式会社 二次電池の充電装置
JP2005176461A (ja) * 2003-12-09 2005-06-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直流無停電電源装置
JP2010140881A (ja) * 2008-12-15 2010-06-24 Furukawa Battery Co Ltd:The 組電池充放電装置
CN101545922B (zh) * 2009-04-29 2011-12-28 毛广甫 具有电池仓的检测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5066A (ko) * 2018-08-02 2020-02-12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이차 전지 충방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0997B1 (ko) 2018-06-25
JP2012226915A (ja) 2012-11-15
JP5738660B2 (ja) 2015-06-24
CN102749587A (zh) 2012-10-24
CN102749587B (zh) 2015-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0997B1 (ko) 이차 전지의 충방전 평가 장치
US9484757B2 (en) Charging and discharging system
CN109314286B (zh) 用于至少一个电化学测试电池的测试电池站
KR101519708B1 (ko) 충방전 시험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EP2919569A1 (en) Rack structure, power storage system, and method of assembling rack structure
EP2919293A1 (en) Battery shelf assembly, power storage system, and assembly method of battery shelf assembly
JP5769640B2 (ja) 充放電試験装置、試験用トレイ及び充放電試験システム
JP6124770B2 (ja) 試験装置及び二次電池の評価方法
JP6332938B2 (ja) 充放電検査装置
CN110323513A (zh) 电池包
JP5655040B2 (ja) 環境試験装置
WO2018048033A1 (ko) 차량용 배터리 모듈의 충전 및 방전 장치
CN104009507A (zh) 蓄电池的试验装置
CN112039165B (zh) 一种低温环境电池充电系统
CN208888351U (zh) 一种电池测试装置
US11639968B1 (en) Battery testing apparatus with integral temperature control
CN203399458U (zh) 收纳用具及具备该收纳用具的电池系统
CN109270433A (zh) 一种计算机主板高温检测装置
CN215262151U (zh) 电芯液冷测试系统
CN207022367U (zh) 散热装置和电池检测设备
CN207557375U (zh) 一种电源板充电测试架
CN207717595U (zh) 一种多功能加速老化测试系统
CN210604834U (zh) 一种带有热循环装置的高温老化测试箱
JP2016182000A (ja) 充放電検査装置
CN210604832U (zh) 一种可方便产品快速换型的高温老化试验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