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8056A - 분산형 발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분산형 발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8056A
KR20120118056A KR1020127022712A KR20127022712A KR20120118056A KR 20120118056 A KR20120118056 A KR 20120118056A KR 1020127022712 A KR1020127022712 A KR 1020127022712A KR 20127022712 A KR20127022712 A KR 20127022712A KR 20120118056 A KR20120118056 A KR 201201180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sensor
wire
amount
change
power l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27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키히토 오오타니
히로아키 가쿠
히로시 나가사토
닌 가케
게이이치 사토
도루 구시사카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201180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80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38Arrangements for parallely feeding a single network by two or more generators, converters or transformers
    • H02J3/40Synchronising a generator for connection to a network or to another generator
    • H02J3/44Synchronising a generator for connection to a network or to another generator with means for ensuring correct phase seque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1/00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 G01R21/133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by using digital techniqu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38Arrangements for parallely feeding a single network by two or more generators, converters or transform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or indicating electric quantities not covered by groups G01R19/00 - G01R27/00
    • G01R29/18Indicating phase sequence; Indicating synchronis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Abstract

제 1~제 3 전선 중 제 3 전선이 중성선인 3선식의 전력 계통에 연계되는 분산형 발전 시스템으로서, 발전 장치(105)와, 제 1~3 전선(101a~101c) 중 임의의 2개의 전선을 내부 전력 부하(111)와 접속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접속 기구(110)와, 제 1 전선의 전류값을 검출하는 제 1 전류 센서(109a)와, 제 2 전선의 전류값을 검출하는 제 2 전류 센서(109b)와, 접속 기구가 임의의 2개의 전선을 내부 전력 부하와 접속하는 전후에서의 제 1 전류 센서 및 제 2 전류 센서가 검지하는 전류값의 변화량이, 내부 전력 부하의 소비 전력량에 대응한 변화량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것에 의해, 제 1 전류 센서 및 제 2 전류 센서가 배치되어 있는 전선 및 그 설치 방향을 판단하는 운전 제어기(112)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분산형 발전 시스템{DISPERSED-TYPE POWER GENERATION SYSTEM}
본 발명은 전력 계통과 연계하여 전력 계통 및 가정내 교류 부하에 교류 전력을 공급하는 분산형 발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런 종류의 분산형 발전 시스템으로서는, 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내는 구성의 것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이하, 상기 종래의 분산형 발전 시스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9는 특허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분산형 발전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래의 분산형 발전 시스템은, 자가 발전 장치(1)와, 분전반(2)과, U상, O상, W상으로 이루어지는 단상 3선식의 상용(商用) 전력 계통(3)과, 연산 기억부(7)와, 표시기(10)로 구성된다. 여기서, 자가 발전 장치(1)는, 상용 전력 계통(3)과 연계 접속되고, 발전 전력을 역조류(逆潮流) 가능한 교류 전력으로서 출력하는 것이다. 분전반(2)은 분기 단로기(斷路器)(4)와, 상용 전력 계통(3)과 분기 단로기(4) 사이에 U상의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 센서 CTa와, W상의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 센서 CTb를 구비한다.
연산 기억부(7)는 매전(賣電)·매전(買電) 전력의 연산·기억을 행하는 것이며, 전력 연산부(8a), 전력 연산부(8b), 가산 연산부(14), 비휘발성 메모리(15), 및 부호 판정부(16)를 갖고 있다. 전력 연산부(8a)는 전류 센서 CTb로부터의 전류 검출 신호(6b)를 수신하고 있다. 또한, 전력 연산부(8a)는, 상용 전력 계통(3)의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 검출 신호(5)가 입력되고, 전류 센서 CTb로부터의 전류 정보와 전압 정보를 기초로 전력 연산을 행한다. 전력 연산부(8b)는 전류 센서 CTa로부터의 전류 검출 신호(6a)를 수신하고 있다. 또한, 전력 연산부(8b)는, 상용 전력 계통(3)의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 검출 신호(5)가 입력되고, 전류 센서 CTb로부터의 전류 정보와 전압 정보를 기초로 전력 연산을 행한다. 가산 연산부(14)는 전력 연산부(8a, 8b)로부터의 연산 결과를 수신한다. 비휘발성 메모리(15)는 가산 연산부(14)와, 전력 연산부(8a, 8b)의 정부(正負)의 부호를 기억한다(본 종래예에서는, 역조류의 경우를 부(負)로 한다). 부호 판정부(16)는 자가 발전 장치(1)의 운전 상태 및 정지상태를 수신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종래의 분산형 발전 시스템은, 분산형 발전 시스템의 시공 후에, 자가 발전 장치(1)가 발전하고 있지 않을 때는 역조류(매전(賣電))가 행해지는 것은 있을 수 없다는 것을 이용하여, 자가 발전 장치(1)로부터 부호 판정부(16)에 보내어지는 발전 정보가, 통신 데이터 없음 상태(무발전 상태)나, 발전 정지 상태를 알리는 신호일 때, 전류 센서 CTa, CTb에서 검출한 전류 검출 신호(6(6a, 6b))를 각 전력 연산 수단(8(8a, 8b))에서 연산시킨다.
그 각 결과의 절대값이 소정값 이상(예로서, 0.1㎾ 이상)인 경우에서, 예컨대 전력 연산부(8a)의 결과에 부(負)의 부호가 붙어 있는 경우는, 전류 센서 CTb의 역방향 배치에서의 전력 연산부(8a)의 부호 역전이 생기고 있다고 판단되기 때문에, 부호 판정부(16)의 비휘발성 메모리(15)에 부호를 반전시키는 것이 필요한 것을 기억시킨다. 그리고, 이 경우 이후는, 전력 연산부(8a)로부터 부의 부호의 데이터가 출력되면 정(正)의 부호로, 정의 부호의 데이터가 출력되면 부의 부호로 변환하도록, 가산 연산부(14)에 보정 요청의 신호를 출력하고, 전류 센서 CTb의 역방향 배치에 의한 전류 방향의 부호 역전이 올바르게 보정되게 된다. 마찬가지로 해서, 전류 센서 CTa의 역방향 배치에서의 전력 연산부(8b)의 부호 역전이 생긴 경우도 대응 가능하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 2004-297959호 공보
그러나, 상기 종래의 구성에서는, 시공·메인터넌스(maintenance) 작업에서, 2개의 전류 센서 CTa, CTb가, 상용 전력 계통(3)과 분산형 발전 시스템의 연계점에서 잘못된 상(相)으로 부착된 경우나 고장 등이 발생한 경우에, 정확하게 전류를 계측할 수 없어, 표시기(10)에 잘못된 전력 정보가 표시된다고 하는 과제를 갖고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경우에, 자가 발전 장치(1)가 발전하고 있을 때에 수전(受電) 전력을 기초로 행하는 발전량의 결정이나, 역조류를 방지하는 제어를 정상적으로 할 수 없다고 하는 과제를 갖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간단한 구성으로, 전류 센서가 설치되어 있는 전선 및 그 설치 방향을 판단할 수 있는 분산형 발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분산형 발전 시스템은, 제 1~제 3 전선 중 제 3 전선이 중성선(中性線)인 3선식의 전력 계통에 연계되는 분산형 발전 시스템으로서, 상기 분산형 발전 시스템은, 발전 장치와, 상기 제 1~3 전선 중, 임의의 2개의 전선을 내부 전력 부하와 접속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접속 기구와, 상기 제 1 전선의 전류값을 검출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제 1 전류 센서와, 상기 제 2 전선의 전류값을 검출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제 2 전류 센서와, 상기 접속 기구가 상기 임의의 2개의 전선을 내부 전력 부하와 접속하는 전후에서의 상기 제 1 전류 센서 및 상기 제 2 전류 센서가 검지하는 전류값의 변화량이, 상기 내부 전력 부하의 소비 전력량에 대응한 변화량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 1 전류 센서 및 상기 제 2 전류 센서가 배치되어 있는 전선 및 그 설치 방향을 판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어기를 구비한다.
이것에 의해, 간단한 구성으로, 전류 센서가 설치되어 있는 전선 및 그 설치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 도면 참조 후,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진다.
본 발명의 분산형 발전 시스템에 의하면, 간단한 구성으로, 전류 센서가 설치되어 있는 전선 및 그 설치 방향을 판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분산형 발전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a는 본 실시 형태 1에 따른 분산형 발전 시스템에서의 제 1 전류 센서 및 제 2 전류 센서의 설치 상태의 확인 동작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b는 본 실시 형태 1에 따른 분산형 발전 시스템에서의 제 1 전류 센서 및 제 2 전류 센서의 설치 상태의 확인 동작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a는 본 실시 형태 1에 따른 분산형 발전 시스템에서의 제 1 전류 센서 및 제 2 전류 센서의 설치 상태의 확인 동작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b는 본 실시 형태 1에 따른 분산형 발전 시스템에서의 제 1 전류 센서 및 제 2 전류 센서의 설치 상태의 확인 동작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c는 본 실시 형태 1에 따른 분산형 발전 시스템에서의 제 1 전류 센서 및 제 2 전류 센서의 설치 상태의 확인 동작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a는 본 변형예 1의 분산형 발전 시스템에서의 제 1 전류 센서의 설치 상태의 확인 동작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b는 본 변형예 1의 분산형 발전 시스템에서의 제 1 전류 센서의 설치 상태의 확인 동작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c는 본 변형예 1의 분산형 발전 시스템에서의 제 1 전류 센서의 설치 상태의 확인 동작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a는 본 변형예 1의 분산형 발전 시스템에서의 제 2 전류 센서의 설치 상태의 확인 동작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b는 본 변형예 1의 분산형 발전 시스템에서의 제 2 전류 센서의 설치 상태의 확인 동작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c는 본 변형예 1의 분산형 발전 시스템에서의 제 2 전류 센서의 설치 상태의 확인 동작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따른 분산형 발전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따른 분산형 발전 시스템에서의 제 1 전류 센서의 설치 상태의 확인 동작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실시 형태 2의 변형예의 분산형 발전 시스템에서의 제 2 전류 센서의 설치 상태의 확인 동작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는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분산형 발전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 모든 도면에서, 동일 또는 상당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모든 도면에서,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서 필요한 구성요소만을 발췌하여 도시하고 있으며, 그 외의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또,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 형태 1)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분산형 발전 시스템은, 제 1 내지 제 3 전선 중 제 3 전선이 중성선(中性線)인 3선식의 전력 계통에 연계되는 분산형 발전 시스템으로서, 분산형 발전 시스템은, 발전 장치와, 제 1~3 전선 중, 임의의 2개의 전선을 내부 전력 부하와 접속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접속 기구와, 제 1 전선의 전류값을 검출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제 1 전류 센서와, 제 2 전선의 전류값을 검출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제 2 전류 센서와, 접속 기구가 임의의 2개의 전선을 내부 전력 부하와 접속하는 전후에서의 제 1 전류 센서 및 제 2 전류 센서가 검지하는 전류값의 변화량이, 내부 전력 부하의 소비 전력량에 대응한 변화량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것에 의해, 제 1 전류 센서 및 제 2 전류 센서가 배치되어 있는 전선 및 그 설치 방향을 판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어기를 구비하는 형태를 예시하는 것이다.
여기서, 「전류 센서가 검지하는 전류값」은, 전선을 흐르는 전류의 크기(양)뿐만 아니라, 그 흐르는 방향도 포함한다. 이 때문에, 「전류값의 변화량」은, 전류값의 변화의 크기(양)뿐만 아니라, 그 변화의 방향도 포함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 1에 따른 분산형 발전 시스템에서는, 접속 기구가, 제 1 전선과 제 3 전선을 내부 전력 부하에 접속하는 제 1 접속기와 제 2 전선과 제 3 전선을 내부 전력 부하에 접속하는 제 2 접속기를 갖고 있더라도 좋다.
또한, 본 실시 형태 1에 따른 분산형 발전 시스템에서는, 제어기는, 제 1 접속기가 제 1 전선과 제 3 전선을 내부 전력 부하에 접속하는 전후에서의 제 1 전류 센서가 검출하는 전류값의 변화량이, 전력 부하의 소비 전력량에 대응한 변화량이고, 또한, 제 2 접속기가 제 2 전선과 제 3 전선을 내부 전력 부하에 접속하는 전후에서의 제 1 전류 센서가 검출하는 전류값의 변화량이, 전력 부하의 소비 전력량에 대응한 변화량이 아닌 경우에는, 제 1 전류 센서가 제 1 전선에 배치되어 있다고 판단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본 실시 형태 1에 따른 분산형 발전 시스템에서는, 제어기는, 제 1 접속기가 제 1 전선과 제 3 전선을 내부 전력 부하에 접속하는 전후에서의 제 1 전류 센서가 검출하는 전류값의 변화량이, 전력 부하의 소비 전력량에 대응한 변화량인 경우로서, 그 변화량이 정(正)의 방향인 경우에는, 제 1 전류 센서가 제 1 전선에 정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고 판단하고, 그 변화량이 부(負)의 방향인 경우에는, 제 1 전류 센서가 제 1 전선에 역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고 판단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여기서, 「제 1 전류 센서가 제 1 전선에 정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는 것은, 제 1 전류 센서가, 제 1 전선에 본래 설치되어야 할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또한, 「제 1 전류 센서가 제 1 전선에 역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는 것은, 제 1 전류 센서가, 제 1 전선에 본래 설치되어야 할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 1에 따른 분산형 발전 시스템에서는, 제어기는, 제 1 접속기가 제 1 전선과 제 3 전선을 내부 전력 부하에 접속하는 전후에서의 제 1 전류 센서가 검출하는 전류값의 변화량이, 전력 부하의 소비 전력량에 대응한 변화량이 아니고, 또한, 제 2 접속기가 제 2 전선과 제 3 전선을 내부 전력 부하에 접속하는 전후에서의 제 1 전류 센서가 검출하는 전류값의 변화량이, 전력 부하의 소비 전력량에 대응한 변화량인 경우에는, 제 1 전류 센서가 제 2 전선에 배치되어 있다고 판단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본 실시 형태 1에 따른 분산형 발전 시스템에서는, 제어기는, 제 2 접속기가 제 2 전선과 제 3 전선을 내부 전력 부하에 접속하는 전후에서의 제 1 전류 센서가 검출하는 전류값의 변화량이, 전력 부하의 소비 전력량에 대응한 변화량인 경우로서, 그 변화량이 정의 방향인 경우에는, 제 1 전류 센서가 제 2 전선에 정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고 판단하고, 그 변화량이 부의 방향인 경우에는, 제 1 전류 센서가 제 2 전선에 역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고 판단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여기서, 「제 1 전류 센서가 제 2 전선에 정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는 것은, 제 1 전류 센서가, 제 2 전선에 본래 설치되어야 할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또한, 「제 1 전류 센서가 제 2 전선에 역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는 것은, 제 1 전류 센서가, 제 2 전선에 본래 설치되어야 할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 1에 따른 분산형 발전 시스템에서는, 제어기는, 제 1 접속기가 제 1 전선과 제 3 전선을 내부 전력 부하에 접속하는 전후에서의 제 1 전류 센서가 검출하는 전류값의 변화량과, 제 2 접속기가 제 2 전선과 제 3 전선을 내부 전력 부하에 접속하는 전후에서의 제 1 전류 센서가 검출하는 전류값의 변화량의 양쪽 모두의 변화량이, 전력 부하의 소비 전력량에 대응한 변화량인 경우에는, 제 1 전류 센서가 제 3 전선에 배치되어 있다고 판단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본 실시 형태 1에 따른 분산형 발전 시스템에서는, 제어기는, 제 1 접속기가 제 1 전선과 제 3 전선을 내부 전력 부하에 접속하는 전후에서의 제 1 전류 센서가 검출하는 전류값의 변화량과, 제 2 접속기가 제 2 전선과 제 3 전선을 내부 전력 부하에 접속하는 전후에서의 제 1 전류 센서가 검출하는 전류값의 변화량의 양쪽 모두의 변화량이, 전력 부하의 소비 전력량에 대응한 변화량이 아닌 경우에는, 제 1 전류 센서가 이상(異常)이라고 판단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여기서, 「제 1 전류 센서가 이상인」이란, 제 1 전류 센서가 고장나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제 1 전류 센서가 전선으로부터 벗어나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 1에 따른 분산형 발전 시스템에서는, 제어기는, 제 1 접속기가 제 1 전선과 제 3 전선을 내부 전력 부하에 접속하는 전후에서의 제 2 전류 센서가 검출하는 전류값의 변화량이, 전력 부하의 소비 전력량에 대응한 변화량이 아니고, 또한, 제 2 접속기가 제 2 전선과 제 3 전선을 내부 전력 부하에 접속하는 전후에서의 제 2 전류 센서가 검출하는 전류값의 변화량이, 전력 부하의 소비 전력량에 대응한 변화량인 경우에는, 제 2 전류 센서가 제 2 전선에 배치되어 있다고 판단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본 실시 형태 1에 따른 분산형 발전 시스템에서는, 제어기는, 제 2 접속기가 제 2 전선과 제 3 전선을 내부 전력 부하에 접속하는 전후에서의 제 2 전류 센서가 검출하는 전류값의 변화량이, 전력 부하의 소비 전력량에 대응한 변화량인 경우로서, 그 변화량이 정의 방향인 경우에는, 제 2 전류 센서가 제 2 전선에 정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고 판단하고, 그 변화량이 부의 방향인 경우에는, 제 2 전류 센서가 제 2 전선에 역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고 판단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여기서, 「제 2 전류 센서가 제 2 전선에 정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는 것은, 제 2 전류 센서가, 제 2 전선에 본래 설치되어야 할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또한, 「제 2 전류 센서가 제 2 전선에 역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는 것은, 제 2 전류 센서가, 제 2 전선에 본래 설치되어야 할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또, 본 실시 형태 1에 따른 분산형 발전 시스템에서는, 제어기는, 제 1 접속기가 제 1 전선과 제 3 전선을 내부 전력 부하에 접속하는 전후에서의 제 2 전류 센서가 검출하는 전류값의 변화량이, 전력 부하의 소비 전력량에 대응한 변화량이고, 또한, 제 2 접속기가 제 2 전선과 제 3 전선을 내부 전력 부하에 접속하는 전후에서의 제 2 전류 센서가 검출하는 전류값의 변화량이, 전력 부하의 소비 전력량에 대응한 변화량이 아닌 경우에는, 제 2 전류 센서가 제 1 전선에 배치되어 있다고 판단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본 실시 형태 1에 따른 분산형 발전 시스템에서는, 제어기는, 제 1 접속기가 제 1 전선과 제 3 전선을 내부 전력 부하에 접속하는 전후에서의 제 2 전류 센서가 검출하는 전류값의 변화량이, 전력 부하의 소비 전력량에 대응한 변화량인 경우로서, 그 변화량이 정의 방향인 경우에는, 제 2 전류 센서가 제 1 전선에 정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고 판단하고, 그 변화량이 부의 방향인 경우에는, 제 2 전류 센서가 제 1 전선에 역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고 판단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여기서, 「제 2 전류 센서가 제 1 전선에 정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는 것은, 제 2 전류 센서가, 제 1 전선에 본래 설치되어야 할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또한, 「제 2 전류 센서가 제 1 전선에 역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는 것은, 제 2 전류 센서가, 제 1 전선에 본래 설치되어야 할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 1에 따른 분산형 발전 시스템에서는, 제어기는, 제 1 접속기가 제 1 전선과 제 3 전선을 내부 전력 부하에 접속하는 전후에서의 제 2 전류 센서가 검출하는 전류값의 변화량과, 제 2 접속기가 제 2 전선과 제 3 전선을 내부 전력 부하에 접속하는 전후에서의 제 2 전류 센서가 검출하는 전류값의 변화량의 양쪽 모두의 변화량이, 전력 부하의 소비 전력량에 대응한 변화량인 경우에는, 제 2 전류 센서가 제 3 전선에 배치되어 있다고 판단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 본 실시 형태 1에 따른 분산형 발전 시스템에서는, 제어기는, 제 1 접속기가 제 1 전선과 제 3 전선을 내부 전력 부하에 접속하는 전후에서의 제 2 전류 센서가 검출하는 전류값의 변화량과, 제 2 접속기가 제 2 전선과 제 3 전선을 내부 전력 부하에 접속하는 전후에서의 제 2 전류 센서가 검출하는 전류값의 변화량의 양쪽 모두의 변화량이, 전력 부하의 소비 전력량에 대응한 변화량이 아닌 경우에는, 제 2 전류 센서가 이상이라고 판단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여기서, 「제 2 전류 센서가 이상이다」는 것은, 제 2 전류 센서가 고장나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제 2 전류 센서가 전선으로부터 벗어나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 1에 따른 분산형 발전 시스템에서는, 제어기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기를 더 구비하고, 제어기가, 조작기의 조작 지령에 의해, 제 1 전류 센서 및 제 2 전류 센서가 배치되어 있는 전선 및 그 설치 방향의 판단을 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 본 실시 형태 1에 따른 분산형 발전 시스템에서는, 제어기에 의한 제 1 전류 센서 및 제 2 전류 센서의 판정의 결과를 표시하는 표시기를 더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분산형 발전 시스템의 구성]
우선,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분산형 발전 시스템의 구성에 대해, 도 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분산형 발전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에는, 전력 계통(101)과, 분산형 발전 시스템(102)과, 가정내 부하(104)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전력 계통(101)은 제 1 전선(101a), 제 2 전선(101b), 제 3 전선(101c)으로 이루어지는 단상 3선식의 교류 전원이다. 전력 계통(101)과 분산형 발전 시스템(102)은 연계점(103)에서 연계하고 있다.
가정내 부하(104)는, 일반 가정에서 사용되는 텔레비전, 에어콘 등등에서, 전력 계통(101) 또는 분산형 발전 시스템(102)으로부터 공급되는 교류 전력을 소비하는 기기이다. 또, 이하에서는, 제 1 전선(101a)을 U상(101a), 제 2 전선(101b)을 W상(101b), 제 3 전선(101c)을 중성선인 O상(101c)이라고 기재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분산형 발전 시스템(102)은, 발전 장치(105)와, 직류 교류 전력 변환기(106)와, 연계 릴레이(107)와, 전압 검출기(108)와, 제 1 전류 센서(109a)와, 제 2 전류 센서(109b)와, 접속 기구(110)와, 내부 전력 부하(111)와, 운전 제어기(제어기)(112)와, 조작기(113)와, 표시기(114)로 적어도 구성된다.
여기서, 발전 장치(105)는 연료 전지 등으로 구성되어 직류 전력을 생성한다. 직류 교류 전력 변환기(106)는, 절연 트랜스를 포함한 구성을 갖고, 발전 장치(105)가 생성하는 직류 전압을 변압한 후, 가정내 부하(104)에서 소비 가능한 교류 전력으로 변환한다. 연계 릴레이(107)는 개폐함으로써 분산형 발전 시스템(102)을 전력 계통(101)과 연계/해제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압 검출기(108)는 전력 계통(101)의 U상(101a)-O상(101c) 사이, W상(101b)-O상(101c) 사이의 전압을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어떠한 형태이더라도 좋다. 또한, 제 1 전류 센서(109a) 및 제 2 전류 센서(109b)는, 전력 계통(101)의 전선에 부착되고, 부착된 위치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 및 정부(正負)의 방향을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 1 전류 센서(109a) 및 제 2 전류 센서(109b)로서는 전류 트랜스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 1에서는, 제 1 전류 센서(109a)를 U상(101a)의 연계점(103), 제 2 전류 센서(109b)는 W상(101b)의 연계점(103)에 부착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내부 전력 부하(111)는 히터 등의 비교적 전력 소비량의 큰 기기로 구성되어 있다. 내부 전력 부하(111)는 접속 기구(110)를 거쳐서 전력 계통(101)의 U상(101a)-O상(101c) 사이 또는 W상(101b)-O상(101c) 사이와 접속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내부 전력 부하(111)는 접속 기구(110)에 의해 전력 계통(101)과 접속되어 전력을 소비한다.
접속 기구(110)는, 본 실시 형태 1에 있어서는, 제 1 접속기(110a)와 제 2 접속기(110b)를 갖고 있다. 제 1 접속기(110a)는, ON 상태일 때에, 전력 계통(101)의 U상(101a)-O상(101c) 사이에 내부 전력 부하(111)를 접속하고, 제 2 접속기(110b)는, ON 상태일 때에, 전력 계통(101)의 W상(101b)-O상(101c) 사이에 내부 전력 부하(111)를 접속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접속 기구(110)는 운전 제어기(112)로부터의 지령을 기초로 제 1 접속기(110a) 및 제 2 접속기(110b) 중 어느 하나를 ON으로 함으로써 내부 전력 부하(111)로의 전력을 공급 가능하게 한다.
운전 제어기(112)는, 분산형 발전 시스템(102)을 구성하는 각 기기를 제어하는 기기이면, 어떠한 형태이더라도 좋고, 예를 들면, 마이크로프로세서, CPU 등으로 예시되는 연산 처리부와, 각 제어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비휘발성 메모리 등으로 구성되는 기억부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운전 제어기(112)는, 연산 처리부가, 기억부에 저장된 소정의 제어 프로그램을 읽어내고, 이것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이들 정보를 처리하고, 또한, 이들 제어를 포함한 분산형 발전 시스템(102)에 관한 각종의 제어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운전 제어기(112)는, 전압 검출기(108)에서 검출되는 전압값과 제 1 전류 센서(109a) 및/또는 제 2 전류 센서(109b)에서 검출되는 전류값의 곱으로부터 산출되는 전력값을 기초로, 발전 장치(105)나 직류 교류 전력 변환기(106)의 출력, 및 연계 릴레이(107)나 접속 기구(110)의 ON/OFF를 제어한다. 또한, 운전 제어기(112)는, 접속 기구(110)를 이용하여 내부 전력 부하(111)의 전력 계통(101)으로의 접속을 U상(101a)-O상(101c) 사이 또는 W상(101b)-O상(101c) 사이로 전환함으로써, 제 1 전류 센서(109a) 및 제 2 전류 센서(109b)의 고장, 단선, 벗어남 상태 등의 이상이나 부착 방향, 부착 위치의 판단을 행한다.
또, 운전 제어기(112)는, 단독의 제어기로 구성되는 형태뿐만 아니라, 복수의 제어기가 협동하여, 분산형 발전 시스템(102)의 제어를 실행하는 제어기 그룹으로 구성되는 형태이더라도 상관없다. 또한, 운전 제어기(112)는, 마이크로컨트롤러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고, MPU,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논리 회로 등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조작기(113)는, 시공·메인터넌스 작업자가 분산형 발전 시스템(102)에 관해서, 소정의 조작을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조작기(113)로서는, 택트 스위치나 멤브레인 스위치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표시기(114)는, 분산형 발전 시스템(102)의 에러 표시나 동작 정보 등의 표시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표시기(114)로서는, LCD나 7세그먼트(segment) LED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분산형 발전 시스템의 동작]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 1에 따른 분산형 발전 시스템(102)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접속 기구(110)가 내부 전력 부하(111)와 전력 계통(101)을 접속하는 전후에서의 제 1 전류 센서(109a) 또는 제 2 전류 센서(109b)가 검지하는 전류값의 변화량과, 제 1 전류 센서(109a) 또는 제 2 전류 센서(109b)가 배치되어 있는 전선 및 그 설치 방향의 관계에 대해서 설명한다.
(1) 제 1 전류 센서(109a)가 U상(101a)에 정확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경우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전류 센서(109a)가 U상(101a)에 정확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경우, 내부 전력 부하(111)를 전력 계통(101)의 제 1 전선(U상)(101a)-제 3 전선(O상)(101c) 사이에 접속하는 전후에서는, 제 1 전류 센서(109a)가 검지하는 전류값의 변화량은 내부 전력 부하(111)의 소비 전력량에 대응한 변화량으로 된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전류 센서(109a)가 검지하는 전류값의 변화량은 플러스측으로 크게 변화한다.
한편, 내부 전력 부하(111)를 전력 계통(101)의 제 2 전선(W상)(101b)-제 3 전선(O상)(101c) 사이에 접속하는 전후에서는, 제 1 전류 센서(109a)가 검지하는 전류값의 변화량은 소정의 범위 내로 된다. 즉, 제 1 전류 센서(109a)가 검지하는 전류값의 변화량은 거의 변화하지 않는다.
따라서, 운전 제어기(112)는, 내부 전력 부하(111)를 전력 계통(101)의 제 1 전선(U상)(101a)-제 3 전선(O상)(101c) 사이에 접속하는 전후에서, 제 1 전류 센서(109a)가 검지하는 전류값의 변화량이, 소정의 범위로부터 플러스측으로 벗어난 값으로 되고, 또한, 내부 전력 부하(111)를 전력 계통(101)의 제 2 전선(W상)(101b)-제 3 전선(O상)(101c) 사이에 접속하는 전후에서, 제 1 전류 센서(109a)가 검지하는 전류값의 변화량이 소정의 범위 내로 된 경우에는, 제 1 전류 센서(109a)가, U상(101a)에 정확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2) 제 1 전류 센서(109a)가 U상(101a)에 역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경우
도 1에 있어서, 제 1 전류 센서(109a)가 U상(101a)에 역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경우, 내부 전력 부하(111)를 전력 계통(101)의 제 1 전선(U상)(101a)-제 3 전선(O상)(101c) 사이에 접속하는 전후에서는, 제 1 전류 센서(109a)가 검지하는 전류값의 변화량은 내부 전력 부하(111)의 소비 전력량에 대응한 변화량으로 되지만, 그 변화의 방향이 마이너스로 된다. 즉, 제 1 전류 센서(109a)가 검지하는 전류값의 변화량은 마이너스측으로 크게 변화한다.
한편, 내부 전력 부하(111)를 전력 계통(101)의 제 2 전선(W상)(101b)-제 3 전선(O상)(101c) 사이에 접속하는 전후에서는, 제 1 전류 센서(109a)가 검지하는 전류값의 변화량은 소정의 범위 내로 된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전류 센서(109a)가 검지하는 전류값의 변화량은 거의 변화하지 않는다.
따라서, 운전 제어기(112)는, 내부 전력 부하(111)를 전력 계통(101)의 제 1 전선(U상)(101a)-제 3 전선(O상)(101c) 사이에 접속하는 전후에서, 제 1 전류 센서(109a)가 검지하는 전류값의 변화량이 소정의 범위로부터 마이너스측에 벗어난 값으로 되고, 또한, 내부 전력 부하(111)를 전력 계통(101)의 제 2 전선(W상)(101b)-제 3 전선(O상)(101c) 사이에 접속하는 전후에서, 제 1 전류 센서(109a)가 검지하는 전류값의 변화량이 소정의 범위 내로 된 경우에는, 제 1 전류 센서(109a)가 U상(101a)에 역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3) 제 1 전류 센서(109a)가 W상(101b)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
도 1에 있어서, 제 1 전류 센서(109a)가 W상(101b)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 내부 전력 부하(111)를 전력 계통(101)의 제 1 전선(U상)(101a)-제 3 전선(O상)(101c) 사이에 접속하는 전후에서는, 제 1 전류 센서(109a)가 검지하는 전류값의 변화량은 소정의 범위 내로 된다.
한편, 내부 전력 부하(111)를 전력 계통(101)의 제 2 전선(W상)(101b)-제 3 전선(O상)(101c) 사이에 접속하는 전후에서는, 제 1 전류 센서(109a)가 검지하는 전류값의 변화량은 소정의 범위로부터 벗어난 값으로 된다.
따라서, 운전 제어기(112)는, 내부 전력 부하(111)를 전력 계통(101)의 제 1 전선(U상)(101a)-제 3 전선(O상)(101c) 사이에 접속하는 전후에서, 제 1 전류 센서(109a)가 검지하는 전류값의 변화량이 소정의 범위로 되고, 또한, 내부 전력 부하(111)를 전력 계통(101)의 제 2 전선(W상)(101b)-제 3 전선(O상)(101c) 사이에 접속하는 전후에서, 제 1 전류 센서(109a)가 검지하는 전류값의 변화량이 소정의 범위로부터 벗어난 경우에는, 제 1 전류 센서(109a)가 W상(101b)에 배치되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운전 제어기(112)는, 제 1 전류 센서(109a)가 검지하는 전류값의 변화량이 소정의 범위로부터 플러스측으로 벗어난 경우에는, 제 1 전류 센서(109a)는 W상(101b)에 정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운전 제어기(112)는, 제 1 전류 센서(109a)가 검지하는 전류값의 변화량이 소정의 범위로부터 마이너스측으로 벗어난 경우에는, 제 1 전류 센서(109a)는 W상(101b)에 역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4) 제 1 전류 센서(109a)가 O상(101c)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
도 1에 있어서, 제 1 전류 센서(109a)가 O상(101c)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 내부 전력 부하(111)를 전력 계통(101)의 제 1 전선(U상)(101a)-제 3 전선(O상)(101c) 사이에 접속하는 전후에서는, 제 1 전류 센서(109a)가 검지하는 전류값의 변화량은 소정의 범위로부터 벗어난 값으로 된다.
또한, 내부 전력 부하(111)를 전력 계통(101)의 제 2 전선(W상)(101b)-제 3 전선(O상)(101c) 사이에 접속하는 전후에서도, 제 1 전류 센서(109a)가 검지하는 전류값의 변화량은 소정의 범위로부터 벗어난 값으로 된다.
따라서, 운전 제어기(112)는, 내부 전력 부하(111)를 전력 계통(101)의 제 1 전선(U상)(101a)-제 3 전선(O상)(101c) 사이에 접속하는 전후에서, 제 1 전류 센서(109a)가 검지하는 전류값의 변화량이 소정의 범위로부터 벗어나고, 또한, 내부 전력 부하(111)를 전력 계통(101)의 제 2 전선(W상)(101b)-제 3 전선(O상)(101c) 사이에 접속하는 전후에서, 제 1 전류 센서(109a)가 검지하는 전류값의 변화량이 소정의 범위로부터 벗어난 경우에는, 제 1 전류 센서(109a)가 O상(101c)에 배치되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5) 제 2 전류 센서(109b)가 W상(101b)에 정확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경우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전류 센서(109b)가 W상(101b)에 정확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경우, 내부 전력 부하(111)를 전력 계통(101)의 제 2 전선(W상)(101b)-제 3 전선(O상)(101c) 사이에 접속하는 전후에서는, 제 2 전류 센서(109b)가 검지하는 전류값의 변화량은 내부 전력 부하(111)의 소비 전력량에 대응한 변화량으로 된다. 구체적으로는, 제 2 전류 센서(109b)가 검지하는 전류값의 변화량은 플러스측으로 크게 변화한다.
한편, 내부 전력 부하(111)를 전력 계통(101)의 제 1 전선(U상)(101a)-제 3 전선(O상)(101c) 사이에 접속하는 전후에서는, 제 2 전류 센서(109b)가 검지하는 전류값의 변화량은 소정의 범위 내로 된다. 즉, 제 2 전류 센서(109b)가 검지하는 전류값의 변화량은 거의 변화하지 않는다.
따라서, 운전 제어기(112)는, 내부 전력 부하(111)를 전력 계통(101)의 제 2 전선(W상)(101b)-제 3 전선(O상)(101c) 사이에 접속하는 전후에서, 제 2 전류 센서(109b)가 검지하는 전류값의 변화량이 소정의 범위로부터 플러스측에 벗어난 값으로 되고, 또한, 내부 전력 부하(111)를 전력 계통(101)의 제 1 전선(U상)(101a)-제 3 전선(O상)(101c) 사이에 접속하는 전후에서, 제 2 전류 센서(109b)가 검지하는 전류값의 변화량이 소정의 범위 내로 된 경우에는, 제 2 전류 센서(109b)가 W상(101b)에 정확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6) 제 2 전류 센서(109b)가 W상(101b)에 역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경우
도 1에 있어서, 제 2 전류 센서(109b)가 W상(101b)에 역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경우, 내부 전력 부하(111)를 전력 계통(101)의 제 2 전선(W상)(101b)-제 3 전선(O상)(101c) 사이에 접속하는 전후에서는, 제 2 전류 센서(109b)가 검지하는 전류값의 변화량은, 내부 전력 부하(111)의 소비 전력량에 대응한 변화량으로 되지만, 그 변화의 방향이 마이너스로 된다. 구체적으로는, 제 2 전류 센서(109b)가 검지하는 전류값의 변화량은 마이너스측에 크게 변화한다.
한편, 내부 전력 부하(111)를 전력 계통(101)의 제 1 전선(U상)(101a)-제 3 전선(O상)(101c) 사이에 접속하는 전후에서는, 제 2 전류 센서(109b)가 검지하는 전류값의 변화량은 소정의 범위 내로 된다. 즉, 제 2 전류 센서(109b)가 검지하는 전류값의 변화량은 거의 변화하지 않는다.
따라서, 운전 제어기(112)는, 내부 전력 부하(111)를 전력 계통(101)의 제 2 전선(W상)(101b)-제 3 전선(O상)(101c) 사이에 접속하는 전후에서, 제 2 전류 센서(109b)가 검지하는 전류값의 변화량이 소정의 범위로부터 마이너스측으로 벗어난 값으로 되고, 또한, 내부 전력 부하(111)를 전력 계통(101)의 제 1 전선(U상)(101a)-제 3 전선(O상)(101c) 사이에 접속하는 전후에서, 제 2 전류 센서(109b)가 검지하는 전류값의 변화량이 소정의 범위 내로 된 경우에는, 제 2 전류 센서(109b)가 W상(101b)에 역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7) 제 2 전류 센서(109b)가 U상(101a)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
도 1에 있어서, 제 2 전류 센서(109b)가 U상(101a)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 내부 전력 부하(111)를 전력 계통(101)의 제 2 전선(W상)(101b)-제 3 전선(O상)(101c) 사이에 접속하는 전후에서는, 제 2 전류 센서(109b)가 검지하는 전류값의 변화량은 소정의 범위 내로 된다.
한편, 내부 전력 부하(111)를 전력 계통(101)의 제 1 전선(U상)(101a)-제 3 전선(O상)(101c) 사이에 접속하는 전후에서는, 제 2 전류 센서(109b)가 검지하는 전류값의 변화량은 소정의 범위로부터 벗어난 값으로 된다.
따라서, 운전 제어기(112)는, 내부 전력 부하(111)를 전력 계통(101)의 제 2 전선(W상)(101b)-제 3 전선(O상)(101c) 사이에 접속하는 전후에서, 제 2 전류 센서(109b)가 검지하는 전류값의 변화량이 소정의 범위로 되고, 또한, 내부 전력 부하(111)를 전력 계통(101)의 제 1 전선(U상)(101a)-제 3 전선(O상)(101c) 사이에 접속하는 전후에서, 제 2 전류 센서(109b)가 검지하는 전류값의 변화량이 소정의 범위로부터 벗어난 경우에는, 제 2 전류 센서(109b)가 U상(101a)에 배치되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운전 제어기(112)는, 제 2 전류 센서(109b)가 검지하는 전류값의 변화량이 소정의 범위로부터 플러스측으로 벗어난 경우에는, 제 2 전류 센서(109b)는 U상(101a)에 정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운전 제어기(112)는, 제 2 전류 센서(109b)가 검지하는 전류값의 변화량이 소정의 범위로부터 마이너스측으로 벗어난 경우에는, 제 2 전류 센서(109b)는 U상(101a)에 역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8) 제 2 전류 센서(109b)가 O상(101c)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
도 1에 있어서, 제 2 전류 센서(109b)가 O상(101c)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 내부 전력 부하(111)를 전력 계통(101)의 제 1 전선(U상)(101a)-제 3 전선(O상)(101c) 사이에 접속하는 전후에서는, 제 2 전류 센서(109b)가 검지하는 전류값의 변화량은 소정의 범위로부터 벗어난 값으로 된다.
또한, 내부 전력 부하(111)를 전력 계통(101)의 제 2 전선(W상)(101b)-제 3 전선(O상)(101c) 사이에 접속하는 전후에서도, 제 2 전류 센서(109b)가 검지하는 전류값의 변화량은 소정의 범위로부터 벗어난 값으로 된다.
따라서, 운전 제어기(112)는, 내부 전력 부하(111)를 전력 계통(101)의 제 1 전선(U상)(101a)-제 3 전선(O상)(101c) 사이에 접속하는 전후에서, 제 2 전류 센서(109b)가 검지하는 전류값의 변화량이 소정의 범위로부터 벗어나고, 또한, 내부 전력 부하(111)를 전력 계통(101)의 제 2 전선(W상)(101b)-제 3 전선(O상)(101c) 사이에 접속하는 전후에서, 제 2 전류 센서(109b)가 검지하는 전류값의 변화량이 소정의 범위로부터 벗어난 경우에는, 제 2 전류 센서(109b)가 O상(101c)에 배치되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9) 그 외
그런데, 내부 전력 부하(111)를 전력 계통(101)의 제 1 전선(U상)(101a)-제 3 전선(O상)(101c) 사이에 접속하는 전후에서도, 제 2 전선(W상)(101b)-제 3 전선(O상)(101c) 사이에 접속하는 전후에서도, 제 1 전류 센서(109a) 또는 제 2 전류 센서(109b)가 검지하는 전류값의 변화량이 소정의 범위로 된 경우에는, 제 1 전류 센서(109a) 또는 제 2 전류 센서(109b)가 전선으로부터 벗어나 있거나 또는 고장나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운전 제어기(112)는, 내부 전력 부하(111)를 전력 계통(101)의 제 1 전선(U상)(101a)-제 3 전선(O상)(101c) 사이에 접속하는 전후에서도, 제 2 전선(W상)(101b)-제 3 전선(O상)(101c) 사이에 접속하는 전후에서도, 제 1 전류 센서(109a) 또는 제 2 전류 센서(109b)가 검지하는 전류값의 변화량이 소정의 범위로 된 경우에는, 제 1 전류 센서(109a) 또는 제 2 전류 센서(109b)가 이상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전류 센서의 설치 상태 확인 동작]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 1에 따른 분산형 발전 시스템(102)의 제 1 전류 센서(109a) 및 제 2 전류 센서(109b)의 설치 상태의 확인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시공·메인터넌스 작업자는 분산형 발전 시스템(102)의 시공·메인터넌스시에 제 1 전류 센서(109a)를 U상(101a)의 연계점(103), 제 2 전류 센서(109b)를 W상(101b)의 연계점(103)에 부착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시공·메인터넌스 작업자는 운전 제어기(112)에 출력 신호선을 접속한다. 이후에, 이러한 시공·메인터넌스에 의한 제 1 전류 센서(109a), 제 2 전류 센서(109b)의 부착 방향, 부착 위치, 배선이 정확하게 행해졌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시공·메인터넌스 작업자는 조작기(113)에 의해 소정의 조작을 행함으로써 부착 상태의 확인 테스트를 행한다.
<O상에 부착되지 않은가의 확인 동작>
우선, 제 1 전류 센서(109a) 및 제 2 전류 센서(109b)가, 제 3 전선 즉 O상(101c)에 잘못 부착되어 있지 않은지를 판정하는 경우에 대해서, 도 1 및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실시 형태 1에 따른 분산형 발전 시스템에서의 제 1 전류 센서 및 제 2 전류 센서의 설치 상태의 확인 동작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전류 센서 및 제 2 전류 센서가 O상에 배치되어 있는지 여부의 확인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a 및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운전 제어기(112)는, 조작기(113)로부터 조작 신호를 받으면, 확인 테스트를 개시한다(스텝 S101에서 예). 구체적으로는, 운전 제어기(112)는 제 1 전류 센서(109a) 및 제 2 전류 센서(109b)가 검지하는 전류값을 취득한다(스텝 S102).
다음으로, 운전 제어기(112)는 접속 기구(110)에 제 1 접속기(110a)를 ON하는 지령을 출력한다(스텝 S103). 이것에 의해, 제 1 접속기(110a)가 U상(101a)-O상(101c) 사이에 내부 전력 부하(111)를 접속함으로써, U상(101a)의 연계점(103)에 전류가 흐른다.
이 때, 운전 제어기(112)는, 제 1 전류 센서(109a) 및 제 2 전류 센서(109b)가 검지하는 전류값을 재차 취득하고(스텝 S104), 스텝 S102에서 취득한 전류값으로부터의 변화량(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 1 전류 센서(109a)에서의 스텝 S102로부터의 전류값의 변화량을 ΔI1로 하고, 제 2 전류 센서(109b)에서의 스텝 S102로부터의 전류값의 변화량을 ΔI2로 한다)을 산출한다(스텝 S105).
다음으로, 운전 제어기(112)는 접속 기구(110)에 제 1 접속기(110a)를 OFF하는 지령을 출력한다(스텝 S106). 이것에 의해, 제 1 접속기(110a)가 U상(101a)-O상(101c) 사이와 내부 전력 부하(111)의 접속을 해제함으로써, U상(101a)의 연계점(103)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된다.
여기서, 운전 제어기(112)는, 제 1 접속기(110a)를 ON/OFF했을 때에, 내부 전력 부하(111)가 소비한 전력분만큼, 제 1 전류 센서(109a)가 검지하는 전류값이 변화한 경우, 즉, ΔI1가 소정 범위(본 실시 형태에서는, -1A~1A의 범위) 외인 경우(스텝 S107에서 예)에는, 스텝 S108로 진행된다. 한편, 운전 제어기(112)는, ΔI1가 소정 범위 내인 경우(스텝 S107에서 아니오)에는, 스텝 S115로 진행된다. 또, 소정 범위는, 내부 전력 부하(111)가 소비하는 전력량에 대응하는 변화량보다 충분히 작은 범위 내에서,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내부 전력 부하(111)가 소비하는 전력값으로부터 전선을 통류(通流)하는 전류값을 산출하여, 예를 들면, 당해 전류값의 10%~30%의 값을 소정 범위로 하더라도 좋다.
스텝 S108에서는, 운전 제어기(112)는 제 1 전류 센서(109a)가 검지하는 전류값을 취득한다. 그 다음에, 운전 제어기(112)는 접속 기구(110)에 제 2 접속기(110b)를 ON하는 지령을 출력한다(스텝 S109). 이것에 의해, 제 2 접속기(110b)가 W상(101b)-O상(101c) 사이에 내부 전력 부하(111)를 접속함으로써, W상(101b)의 연계점(103)에 전류가 흐른다.
이 때, 운전 제어기(112)는, 제 1 전류 센서(109a)가 검지하는 전류값을 재차 취득하고(스텝 S110), 스텝 S108에서 취득한 전류값으로부터의 변화량(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 1 전류 센서(109a)에서의 스텝 S108로부터의 전류값의 변화량을 ΔI3으로 한다)을 산출한다(스텝 S111).
다음으로, 운전 제어기(112)는 접속 기구(110)에 제 2 접속기(110b)를 OFF하는 지령을 출력한다(스텝 S112). 이것에 의해, 제 2 접속기(110b)가 W상(101b)-O상(101c) 사이와 내부 전력 부하(111)의 접속을 해제함으로써, W상(101b)의 연계점(103)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된다.
여기서, 제 2 접속기(110b)를 ON/OFF했을 때에, 내부 전력 부하(111)가 소비한 전력분만큼, 제 1 전류 센서(109a)가 검지하는 전류값이 변화한 경우, 즉, ΔI3이 소정 범위(본 실시 형태에서는, -1A~1A의 범위) 외인 경우(스텝 S113에서 예)에는, 제 1 전류 센서(109a)가 O상(101c)의 연계점(103)에 잘못 부착되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즉, 제 1 접속기(110a)를 ON/OFF하는 전후에서, 제 1 전류 센서(109a)가 검지하는 전류값의 변화량이 소정의 범위로부터 벗어나고(스텝 S107에서 예), 또한, 제 2 접속기(110b)를 ON/OFF하는 전후에서, 제 1 전류 센서(109a)가 검지하는 전류값의 변화량이 소정의 범위로부터 벗어난 경우(스텝 S113에서 예)이기 때문에, 제 1 전류 센서(109a)가 O상(101c)의 연계점(103)에 부착되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운전 제어기(112)는, ΔI3이 소정의 범위로부터 벗어난 경우(스텝 S113에서 예)에는, 내장된 비휘발성 메모리(기억부)에 이상 정보로서 기억하고(스텝 S114), 스텝 S123으로 진행된다. 한편, 운전 제어기(112)는, ΔI3이 소정 범위 내인 경우(스텝 S113에서 아니오)에는, 스텝 S123으로 진행된다.
스텝 S123에서는, 운전 제어기(112)는, 내장된 비휘발성 메모리에 이상 정보가 기억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이상 정보가 기억되어 있는 경우(스텝 S123에서 예)에는, 표시기(114)에 그 이상 정보를 표시시키고(스텝 S124), 이상 정보가 기억되어 있지 않은 경우(스텝 S123에서 아니오)에는, 표시기(114)에 정상 정보를 표시시킨다(스텝 S125).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운전 제어기(112)는, ΔI1이 소정 범위 내에 있는 경우(스텝 S107에서 아니오)에는, 스텝 S115로 진행된다. 스텝 S115에서는, 운전 제어기(112)는, 제 1 접속기(110a)를 ON/OFF했을 때에, 내부 전력 부하(111)가 소비한 전력분만큼, 제 2 전류 센서(109b)가 검지하는 전류값이 변화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운전 제어기(112)는, ΔI2가 소정 범위(본 실시 형태에서는, -1A~1A의 범위) 외인 경우(스텝 S115에서 예)에는, 스텝 S116으로 진행된다. 한편, 운전 제어기(112)는, ΔI2가 소정 범위 내인 경우(스텝 S115에서 아니오)에는, 스텝 S123으로 진행된다.
스텝 S116에서는, 운전 제어기(112)는 제 2 전류 센서(109b)가 검지하는 전류값을 취득한다. 그 다음에, 운전 제어기(112)는 접속 기구(110)에 제 2 접속기(110b)를 ON하는 지령을 출력한다(스텝 S117). 이것에 의해, 제 2 접속기(110b)가 W상(101b)-O상(101c) 사이에 내부 전력 부하(111)를 접속함으로써, W상(101b)의 연계점(103)에 전류가 흐른다.
이 때, 운전 제어기(112)는, 제 2 전류 센서(109b)가 검지하는 전류값을 재차 취득하고(스텝 S118), 스텝 S116에서 취득한 전류값으로부터의 변화량(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 2 전류 센서(109b)에서의 스텝 S116으로부터의 전류값의 변화량을 ΔI4로 한다)을 산출한다(스텝 S119).
다음으로, 운전 제어기(112)는 접속 기구(110)에 제 2 접속기(110b)를 OFF하는 지령을 출력한다(스텝 S120). 이것에 의해, 제 2 접속기(110b)가 W상(101b)-O상(101c) 사이와 내부 전력 부하(111)의 접속을 해제함으로써, W상(101b)의 연계점(103)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된다.
여기서, 제 2 접속기(110b)를 ON/OFF했을 때에, 내부 전력 부하(111)가 소비한 전력분만큼, 제 2 전류 센서(109b)가 검지하는 전류값이 변화한 경우, 즉, ΔI4가 소정 범위(본 실시 형태에서는, -1A~1A의 범위) 외인 경우(스텝 S121에서 예)에는, 제 2 전류 센서(109b)가 O상(101c)의 연계점(103)에 잘못 부착되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즉, 제 1 접속기(110a)를 ON/OFF하는 전후에서, 제 2 전류 센서(109b)가 검지하는 전류값의 변화량이 소정의 범위로부터 벗어나고(스텝 S115에서 예), 또한, 제 2 접속기(110b)를 ON/OFF하는 전후에서, 제 2 전류 센서(109b)가 검지하는 전류값의 변화량이 소정의 범위로부터 벗어난 경우(스텝 S121에서 예)이기 때문에, 제 2 전류 센서(109b)가 O상(101c)의 연계점(103)에 부착되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운전 제어기(112)는, ΔI4가 소정의 범위로부터 벗어난 경우(스텝 S121에서 예)에는, 내장된 비휘발성 메모리(기억부)에 이상 정보로서 기억하고(스텝 S122), 스텝 S123으로 진행된다. 한편, 운전 제어기(112)는, ΔI4가 소정 범위 내인 경우(스텝 S121에서 아니오)에는, 스텝 S123으로 진행된다.
스텝 S123에서는, 운전 제어기(112)는 내장된 비휘발성 메모리에 이상 정보가 기억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운전 제어기(112)는, 이상 정보가 기억되어 있는 경우(스텝 S123에서 예)에는, 표시기(114)에 그 이상 정보를 표시시킨다(스텝 S124). 한편, 운전 제어기(112)는, 이상 정보가 기억되어 있지 않은 경우(스텝 S123에서 아니오)에는, 표시기(114)에 정상 정보를 표시시킨다(스텝 S125). 그리고, 운전 제어기(112)는 본 프로그램을 종료한다.
이렇게 해서, 운전 제어기(112)는 제 1 전류 센서(109a) 및/또는 제 2 전류 센서(109b)가 O상에 잘못 배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전류 센서의 설치 방향 등의 확인 동작>
다음으로, 제 1 전류 센서(109a) 및 제 2 전류 센서(109b)의 부착 방향의 자동 보정이나 역상으로 부착된 상태나 고장, 단선, 벗어남 등 상태를 판정하는 경우에 대해서, 도 1 및 도 3a~도 3c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3a, 도 3b, 및 도 3c은 본 실시 형태 1에 따른 분산형 발전 시스템에서의 제 1 전류 센서 및 제 2 전류 센서의 설치 상태의 확인 동작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전류 센서 및 제 2 전류 센서의 설치 방향 등의 확인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a~도 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운전 제어기(112)는, 조작기(113)로부터 조작 신호를 받으면, 확인 테스트를 개시한다(스텝 S201에서 예). 운전 제어기(112)는, 우선, 제 1 전류 센서(109a)의 고장(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 1 전류 센서(109a)의 신호선의 단선이나 벗어남도 포함한다), 부착 방향, U상(101a)의 연계점(103)에 제 1 전류 센서(109a)가 정확하게 부착되어 있는, 및 제 2 전류 센서(109b)가 잘못 부착되어 있지 않는 것을 확인한다.
구체적으로는, 운전 제어기(112)는, 제 1 전류 센서(109a) 및 제 2 전류 센서(109b)가 검지하는 전류값을 취득한다(스텝 S202). 그 다음에, 운전 제어기(112)는 접속 기구(110)에 제 1 접속기(110a)를 ON하는 지령을 출력한다(스텝 S203). 이것에 의해, 제 1 접속기(110a)가 U상(101a)-O상(101c) 사이에 내부 전력 부하(111)를 접속함으로써, U상(101a)의 연계점(103)에 전류가 흐른다.
이 때, 운전 제어기(112)는, 제 1 전류 센서(109a) 및 제 2 전류 센서(109b)가 검지하는 전류값을 재차 취득하고(스텝 S204), 스텝 S202에서 취득한 전류값으로부터의 변화량(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 1 전류 센서(109a)에서의 스텝 S202로부터의 전류값의 변화량을 ΔI1로 하고, 제 2 전류 센서(109b)에서의 스텝 S202로부터의 전류값의 변화량을 ΔI2로 한다)을 산출한다(스텝 S205).
다음으로, 운전 제어기(112)는 접속 기구(110)에 제 1 접속기(110a)를 OFF하는 지령을 출력한다(스텝 S206). 이것에 의해, 제 1 접속기(110a)가 U상(101a)-O상(101c) 사이와 내부 전력 부하(111)의 접속을 해제함으로써, U상(101a)의 연계점(103)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된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전류 센서(109a)가, 고장없고, 정확한 위치, 즉 U상(101a)의 연계점(103)에 부착되어 있으면, 내부 전력 부하(111)가 소비한 전력분만큼, 제 1 전류 센서(109a)가 검지하는 전류값이 변화한다. 즉, ΔI1은 소정 범위(본 실시 형태 1에서는, -1A~1A의 범위) 외로 된다. 한편, 제 1 전류 센서(109a)가 고장, 단선, 벗어남 또는 잘못된 위치에 부착되어 있으면 전류값이 변화하지 않는다. 즉, ΔI1은 소정 범위 내로 된다.
따라서, 제 1 접속기(110a)를 ON/OFF했을 때에, ΔI1이 소정 범위 내인 경우(스텝 S207에서 예)에는, 제 1 전류 센서(109a)가 고장, 단선, 벗어남 또는 U상(101a)의 연계점(103)과는 다른 역상의 전선 상(예를 들면, W상(101b)의 연계점(103))에 부착되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운전 제어기(112)는, 내장된 비휘발성 메모리(기억부)에, 제 1 전류 센서(109a)가 이상이라고 하는 이상 정보를 기억시키고(스텝 S208), 스텝 S211로 진행된다.
한편, ΔI1이 소정 범위 외인 경우(스텝 S207에서 아니오)이며, 제 1 전류 센서(109a)의 전류값의 변화량이 소정값 미만(본 실시 형태에서는, -1A 미만)인 경우(스텝 S209에서 예)에는, 부착 위치는 정확하지만(U상(101a)의 연계점(103)에 부착되어 있음), 부착 방향이 반대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운전 제어기(112)는, 제 1 전류 센서(109a)의 부착 방향의 정부를 반전시키고, 내장된 비휘발성 메모리에 기억시킴과 아울러, 이 이후, 제 1 전류 센서(109a)가 검지하는 전류값의 부호를 반전 보정한다(스텝 S210). 그리고, 운전 제어기(112)는 스텝 S211로 진행된다.
스텝 S211에서는, 운전 제어기(112)는, 제 2 전류 센서(109b)가 검지한 전류값의 변화량(ΔI2)이 소정 범위(본 실시 형태 1에서는, -1A~1A의 범위) 외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 전류 센서(109b)가 잘못하여 U상(101a)의 연계점(103)에 부착되어 있으면, 제 1 접속기(110a)를 ON/OFF했을 때, 내부 전력 부하(111)가 소비한 전력분만큼, 제 2 전류 센서(109b)의 전류값이 변화한다.
따라서, 제 2 전류 센서(109b)의 전류값의 변화량(ΔI2)이 소정 범위 외인 경우(스텝 S211에서 예)에는, 제 2 전류 센서(109b)가 잘못되어 U상(101a)의 연계점(103)에 부착되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운전 제어기(112)는, 내장된 메모리에, 제 2 전류 센서(109b)가 이상이라고 하는 이상 정보를 기억시키고(스텝 S212), 스텝 S213으로 진행된다.
한편, 운전 제어기(112)는, ΔI2가 소정 범위 내인 경우(스텝 211에서 아니오)에는, 스텝 S213으로 진행된다.
다음으로, 스텝 S213 이후에서는, 운전 제어기(112)는, 제 2 전류 센서(109b)의 부착 방향, 및 W상(101b)의 연계점(103)에 제 2 전류 센서(109b)가 정확하게 부착되어 있고, 및 제 1 전류 센서(109a)가 잘못 부착되어 있지 않은 것을 확인한다.
스텝 S213에서는, 운전 제어기(112)는 제 1 전류 센서(109a) 및 제 2 전류 센서(109b)가 검지하는 전류값을 취득한다. 그 다음에, 운전 제어기(112)는 접속 기구(110)에 제 2 접속기(110b)를 ON하는 지령을 출력한다(스텝 S214). 이것에 의해, 제 2 접속기(110b)가 W상(101b)-O상(101c) 사이에 내부 전력 부하(111)를 접속함으로써, W상(101b)의 연계점(103)에 전류가 흐른다.
이 때, 운전 제어기(112)는, 제 1 전류 센서(109a) 및 제 2 전류 센서(109b)가 검지하는 전류값을 다시 취득하고(스텝 S215), 스텝 S213에서 취득한 전류값으로부터의 변화량(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 1 전류 센서(109a)에서의 스텝 S213으로부터의 전류값의 변화량을 ΔI3로 하고, 제 2 전류 센서(109b)에서의 스텝 S213으로부터의 전류값의 변화량을 ΔI4로 한다)을 산출한다(스텝 S216).
다음으로, 운전 제어기(112)는 접속 기구(110)에 제 2 접속기(110b)를 OFF하는 지령을 출력한다(스텝 S217). 이것에 의해, 제 2 접속기(110b)가 W상(101b)-O상(101c) 사이와 내부 전력 부하(111)의 접속을 해제함으로써, W상(101b)의 연계점(103)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된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 전류 센서(109b)가, 고장없고, 정확한 위치, 즉 W상(101b)의 연계점(103)에 부착되어 있으면, 내부 전력 부하(111)가 소비한 전력분만큼, 제 2 전류 센서(109b)가 검지하는 전류값이 변화한다. 즉, ΔI4는 소정 범위(본 실시 형태 1에서는, -1A~1A의 범위) 외로 된다. 한편, 제 2 전류 센서(109b)가 고장, 단선, 벗어남 또는 잘못된 위치에 부착되어 있으면 전류값이 변화하지 않는다. 즉, ΔI4는 소정 범위 내로 된다.
따라서, 제 2 접속기(110b)를 ON/OFF했을 때에, ΔI4가 소정 범위 내인 경우(스텝 S218에서 예)에는, 제 2 전류 센서(109b)가 고장, 단선, 벗어남 또는 W상(101b)의 연계점(103)과는 다른 역상의 전선 상(예를 들면, U상(101a)의 연계점(103))에 부착되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운전 제어기(112)는, 내장된 비휘발성 메모리(기억부)에, 제 2 전류 센서(109b)가 이상이라고 하는 이상 정보를 기억시키고(스텝 S219), 스텝 S222로 진행된다.
한편, ΔI4가 소정 범위 외인 경우(스텝 S218에서 아니오)로서, 제 2 전류 센서(109b)의 전류값의 변화량이 소정값 미만(본 실시 형태에서는, -1A 미만)인 경우(스텝 S220에서 예)에는, 부착 위치는 정확하지만(W상(101b)의 연계점(103)에 부착되어 있지만), 부착 방향이 반대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운전 제어기(112)는, 제 2 전류 센서(109b)의 부착 방향의 정부를 반전시키고, 내장된 비휘발성 메모리에 기억시킴과 아울러, 이 이후, 제 2 전류 센서(109b)가 검지하는 전류값의 부호를 반전 보정한다(스텝 S221). 그리고, 운전 제어기(112)는 스텝 S222로 진행된다.
스텝 S222에서는, 운전 제어기(112)는, 제 1 전류 센서(109a)가 검지한 전류값의 변화량(ΔI3)이, 소정 범위(본 실시 형태 1에서는, -1A~1A의 범위) 외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전류 센서(109a)가 잘못되어 W상(101b)의 연계점(103)에 부착되어 있으면, 제 2 접속기(110b)를 ON/OFF했을 때, 내부 전력 부하(111)가 소비한 전력분만큼, 제 1 전류 센서(109a)의 전류값이 변화한다.
따라서, 제 1 전류 센서(109a)의 전류값의 변화량(ΔI3)이 소정 범위 외인 경우(스텝 S222에서 예)에는, 제 1 전류 센서(109a)가 잘못되어 W상(101b)의 연계점(103)에 부착되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운전 제어기(112)는, 내장된 메모리에, 제 1 전류 센서(109a)가 이상이라고 하는 이상 정보를 기억시키고(스텝 S223), 스텝 S224로 진행된다.
한편, 운전 제어기(112)는, ΔI3가 소정 범위 내인 경우(스텝 222에서 아니오)에는, 스텝 S224로 진행된다.
스텝 S224에서는, 운전 제어기(112)는 내장된 비휘발성 메모리에 이상 정보가 기억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운전 제어기(112)는, 이상 정보가 기억되어 있는 경우(스텝 S224에서 예)에는, 표시기(114)에 그 이상 정보를 표시시킨다(스텝 S225). 한편, 운전 제어기(112)는, 이상 정보가 기억되어 있지 않은 경우(스텝 S224에서 아니오)에는, 표시기(114)에 정상 정보를 표시시킨다(스텝 S226). 그리고, 운전 제어기(112)는 본 프로그램을 종료한다.
시공·메인터넌스 작업자는, 부착 상태의 확인 테스트 조작 후, 표시기(114)에의 결과 표시에 의해 부착 상태의 확인 테스트가 종료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표시기(114)에 표시된 결과가 이상 정보인 경우, 그 내용에 따라 부착 상태의 수정 작업을 행한다. 그리고, 수정 작업 완료시에는, 재차 제 1 전류 센서(109a), 제 2 전류 센서(109b)의 부착 상태의 확인 테스트를 행하여, 정상적인 부착 상태를 확인할 때까지 상기 작업을 반복한다.
이렇게 해서, 본 실시 형태 1에 따른 분산형 발전 시스템(102)에서는, 간단한 구성으로, 제 1 전류 센서(109a) 및 제 2 전류 센서(109b)가 설치되어 있는 전선 및 그 설치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시공·메인터넌스 작업자는 제 1 전류 센서(109a) 및 제 2 전류 센서(109b)를 적절한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 1에서는, 시공·메인터넌스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설치 상태의 확인을 행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시공·메인터넌스 후, 정기적으로, 예를 들면, 분산형 발전 시스템(102)의 전원 투입시나 발전 장치(105)의 발전 전후 등, 제 1 전류 센서(109a) 및 제 2 전류 센서(109b)의 전류값의 변동이 작을 때에, 부착 상태의 확인을 행하더라도 좋다. 이 때, 판단 부착 상태에 이상이 있던 경우에는, 표시기(114)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경고를 행하더라도 상관없다. 이것에 의해, 시공·메인터넌스 후에, 제 1 전류 센서(109a) 및/또는 제 2 전류 센서(109b)의 부착 위치의 오류, 설치 방향의 수정, 또는 단선이나 부착 위치로부터 벗어남 등의 고장을 검출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 1에서는, 운전 제어기(112)는, 접속 기구(110)의 제 1 접속기(110a) 또는 제 2 접속기(110b)를 ON/OFF했을 때에 있어서의 제 1 전류 센서(109a), 제 2 전류 센서(109b)가 검지하는 전류값의 변화량을 기초로 하여, 부착 상태의 판단을 행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 1 접속기(110a) 및 제 2 접속기(110b)가 OFF일 때에, 제 1 전류 센서(109a), 제 2 전류 센서(109b)가 검지하는 전류값이 한없이 0에 가까운 경우, 운전 제어기(112)는, 전류값의 변화량이 아니라, 제 1 접속기(110a) 또는 제 2 접속기(110b)를 ON했을 때에 검출되는 전류값을 기초로 판단을 행하더라도 상관없다.
[변형예]
다음에, 본 실시 형태 1에 따른 분산형 발전 시스템(102)의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또, 본 변형예의 분산형 발전 시스템(102)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분산형 발전 시스템(102)의 구성과 동일하기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류 센서의 설치 상태 확인 동작]
도 4a, 도 4b, 및 도 4c는 본 변형예 1의 분산형 발전 시스템에서의 제 1 전류 센서의 설치 상태의 확인 동작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a, 도 5b, 및 도 5c는 본 변형예 1의 분산형 발전 시스템에서의 제 2 전류 센서의 설치 상태의 확인 동작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제 1 전류 센서의 설치 상태 확인 동작>
우선, 제 1 전류 센서(109a)의 설치 상태 확인 동작에 대해, 도 1 및 도 4a, 도 4b, 및 도 4c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4a, 도 4b, 및 도 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운전 제어기(112)는, 조작기(113)로부터 조작 신호를 받으면, 확인 테스트를 개시한다(스텝 S301에서 예). 구체적으로는, 운전 제어기(112)는 제 1 전류 센서(109a)가 검지하는 전류값을 취득한다(스텝 S302).
다음으로, 운전 제어기(112)는 접속 기구(110)에 제 1 접속기(110a)를 ON하는 지령을 출력한다(스텝 S303). 이것에 의해, 제 1 접속기(110a)가 U상(101a)-O상(101c) 사이에 내부 전력 부하(111)를 접속함으로써, U상(101a)의 연계점(103)에 전류가 흐른다.
이 때, 운전 제어기(112)는, 제 1 전류 센서(109a)가 검지하는 전류값을 다시 취득하고(스텝 S304), 스텝 S302에서 취득한 전류값으로부터의 변화량(본 변형예에서는, 제 1 전류 센서(109a)에서의 스텝 S302로부터의 전류값의 변화량을 ΔI7로 한다)을 산출한다(스텝 S305).
다음으로, 운전 제어기(112)는 접속 기구(110)에 제 1 접속기(110a)를 OFF하는 지령을 출력한다(스텝 S306). 이것에 의해, 제 1 접속기(110a)가 U상(101a)-O상(101c) 사이와 내부 전력 부하(111)의 접속을 해제함으로써, U상(101a)의 연계점(103)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된다.
여기서, 운전 제어기(112)는, 제 1 접속기(110a)를 ON/OFF했을 때에, 내부 전력 부하(111)가 소비한 전력분만큼, 제 1 전류 센서(109a)가 검지하는 전류값이 변화하지 않은 경우, 즉, ΔI7이 소정 범위(본 변형예에서는, -1A~1A의 범위) 내인 경우(스텝 S307에서 예)에는, 스텝 S308로 진행된다. 한편, 운전 제어기(112)는, ΔI7이 소정 범위 외인 경우(스텝 S307에서 아니오)에는, 스텝 S316으로 진행된다.
스텝 S308에서는, 운전 제어기(112)는 제 1 전류 센서(109a)가 검지하는 전류값을 취득한다. 그 다음에, 운전 제어기(112)는 접속 기구(110)에 제 2 접속기(110b)를 ON하는 지령을 출력한다(스텝 S309). 이것에 의해, 제 2 접속기(110b)가 W상(101b)-O상(101c) 사이에 내부 전력 부하(111)를 접속함으로써, W상(101b)의 연계점(103)에 전류가 흐른다.
이 때, 운전 제어기(112)는, 제 1 전류 센서(109a)가 검지하는 전류값을 다시 취득하고(스텝 S310), 스텝 S308에서 취득한 전류값으로부터의 변화량(본 변형예에서는, 제 1 전류 센서(109a)에서의 스텝 S308로부터의 전류값의 변화량을 ΔI8로 한다)을 산출한다(스텝 S311).
다음으로, 운전 제어기(112)는 접속 기구(110)에 제 2 접속기(110b)를 OFF하는 지령을 출력한다(스텝 S312). 이것에 의해, 제 2 접속기(110b)가 W상(101b)-O상(101c) 사이와 내부 전력 부하(111)의 접속을 해제함으로써, W상(101b)의 연계점(103)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된다.
여기서, 제 2 접속기(110b)를 ON/OFF했을 때에, 내부 전력 부하(111)가 소비한 전력분만큼, 제 1 전류 센서(109a)가 검지하는 전류값이 변화한 경우, 즉, ΔI8이 소정 범위(본 변형예에서는, -1A~1A의 범위) 외인 경우(스텝 S313에서 예)에는, 제 1 전류 센서(109a)가 W상(101b)에 잘못 배치되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즉, 제 1 접속기(110a)를 ON/OFF하는 전후에서, 제 1 전류 센서(109a)가 검지하는 전류값의 변화량이 소정의 범위 내이고(스텝 S307에서 예), 또한, 제 2 접속기(110b)를 ON/OFF하는 전후에서, 제 1 전류 센서(109a)가 검지하는 전류값의 변화량이 소정의 범위 외인 경우(스텝 S313에서 예)이기 때문에, 제 1 전류 센서(109a)가 W상(101b)의 연계점(103)에 부착되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제 2 접속기(110b)를 ON/OFF했을 때에, 내부 전력 부하(111)가 소비한 전력분만큼, 제 1 전류 센서(109a)가 검지하는 전류값이 변화하지 않는 경우, 즉, ΔI8이 소정 범위(본 변형예에서는, -1A~1A의 범위) 내인 경우(스텝 S313에서 아니오)에는, 제 1 전류 센서(109a)가 고장나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즉, 제 1 접속기(110a)를 ON/OFF하는 전후에서, 제 1 전류 센서(109a)가 검지하는 전류값의 변화량이 소정의 범위 내이고(스텝 S307에서 예), 또한, 제 2 접속기(110b)를 ON/OFF하는 전후에서, 제 1 전류 센서(109a)가 검지하는 전류값의 변화량이 소정의 범위 내인 경우(스텝 S313에서 아니오)이기 때문에, 제 1 전류 센서(109a)는 전류값을 검지하고 있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제 1 전류 센서(109a)가 고장나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운전 제어기(112)는, ΔI8이 소정의 범위로부터 벗어난 경우(스텝 S313에서 예)에는, 내장된 비휘발성 메모리(기억부)에 제 1 전류 센서(109a)가 W상(101b)에 배치되어 있다고 하는 이상 정보를 기억시키고(스텝 S314), 스텝 S324로 진행된다. 한편, 운전 제어기(112)는, ΔI8이 소정 범위 내인 경우(스텝 S313에서 아니오)에는, 제 1 전류 센서(109a)가 고장이라고 하는 이상 정보를 기억부에 기억시키고(스텝 S315), 스텝 S324로 진행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운전 제어기(112)는, ΔI7가 소정 범위 외인 경우(스텝 S307에서 아니오)에는, 스텝 S316으로 진행된다. 스텝 S316에서는, 운전 제어기(112)는 제 2 전류 센서(109b)가 검지하는 전류값을 취득한다. 그 다음에, 운전 제어기(112)는 접속 기구(110)에 제 2 접속기(110b)를 ON하는 지령을 출력한다(스텝 S317). 이것에 의해, 제 2 접속기(110b)가 W상(101b)-O상(101c) 사이에 내부 전력 부하(111)를 접속함으로써, W상(101b)의 연계점(103)에 전류가 흐른다.
이 때, 운전 제어기(112)는, 제 2 전류 센서(109b)가 검지하는 전류값을 다시 취득하고(스텝 S318), 스텝 S316에서 취득한 전류값으로부터의 변화량(본 변형예에서는, 제 2 전류 센서(109b)에서의 스텝 S316으로부터의 전류값의 변화량을 ΔI9로 한다)을 산출한다(스텝 S319).
다음으로, 운전 제어기(112)는 접속 기구(110)에 제 2 접속기(110b)를 OFF하는 지령을 출력한다(스텝 S320). 이것에 의해, 제 2 접속기(110b)가 W상(101b)-O상(101c) 사이와 내부 전력 부하(111)의 접속을 해제함으로써, W상(101b)의 연계점(103)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된다.
여기서, 제 2 접속기(110b)를 ON/OFF했을 때에, 내부 전력 부하(111)가 소비한 전력분만큼, 제 2 전류 센서(109b)가 검지하는 전류값이 변화하지 않은 경우, 즉, ΔI9가 소정 범위(본 변형예에서는, -1A~1A의 범위) 내인 경우(스텝 S321에서 예)에는, 제 1 전류 센서(109a)가 U상(101a)의 연계점(103)에 정확하게 부착되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즉, 제 1 접속기(110a)를 ON/OFF하는 전후에서, 제 1 전류 센서(109a)가 검지하는 전류값의 변화량이 소정의 범위로부터 벗어나고(스텝 S307에서 아니오), 또한, 제 2 접속기(110b)를 ON/OFF하는 전후에서, 제 1 전류 센서(109a)가 검지하는 전류값의 변화량이 소정의 범위 내인 경우(스텝 S321에서 예)이기 때문에, 제 1 전류 센서(109a)가 U상(101a)의 연계점(103)에 부착되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제 2 접속기(110b)를 ON/OFF했을 때에, 내부 전력 부하(111)가 소비한 전력분만큼, 제 2 전류 센서(109b)가 검지하는 전류값이 변화한 경우, 즉, ΔI9가 소정 범위(본 변형예에서는, -1A~1A의 범위) 외인 경우(스텝 S321에서 아니오)에는, 제 1 전류 센서(109a)가 O상(101c)의 연계점(103)에 잘못 부착되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즉, 제 1 접속기(110a)를 ON/OFF하는 전후에서, 제 1 전류 센서(109a)가 검지하는 전류값의 변화량이 소정의 범위로부터 벗어나고(스텝 S307에서 아니오), 또한, 제 2 접속기(110b)를 ON/OFF하는 전후에서, 제 1 전류 센서(109a)가 검지하는 전류값의 변화량이 소정의 범위로부터 벗어난 경우(스텝 S321에서 아니오)이기 때문에, 제 1 전류 센서(109a)가 O상(101c)의 연계점(103)에 부착되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운전 제어기(112)는, ΔI9가 소정의 범위 내인 경우(스텝 S321에서 예)에는, 내장된 비휘발성 메모리(기억부)에, 제 1 전류 센서(109a)가 U상(101a)에 배치되어 있다고 하는 정상 정보를 기억시키고(스텝 S322), 스텝 S324로 진행된다. 한편, 운전 제어기(112)는, ΔI9가 소정 범위 외인 경우(스텝 S321에서 아니오)에는, 제 1 전류 센서(109a)가 O상(101c)에 잘못 배치되어 있다고 하는 이상 정보를 기억부에 기억시키고(스텝 S323), 스텝 S324로 진행된다.
스텝 S324에서는, 운전 제어기(112)는 내장된 비휘발성 메모리에 이상 정보가 기억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운전 제어기(112)는, 이상 정보가 기억되어 있는 경우(스텝 S324에서 예)에는, 표시기(114)에 그 이상 정보를 표시시킨다(스텝 S325). 한편, 운전 제어기(112)는, 이상 정보가 기억되어 있지 않은 경우(스텝 S324에서 아니오)에는, 표시기(114)에 정상 정보를 표시시킨다(스텝 S326). 그리고, 운전 제어기(112)는 본 프로그램을 종료한다.
이렇게 해서, 본 변형예 1의 분산형 발전 시스템(102)에서는, 제 1 전류 센서(109a)의 설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제 2 전류 센서의 설치 상태 확인 동작>
다음으로, 제 2 전류 센서(109b)의 설치 상태 확인 동작에 대해, 도 1 및 도 5a, 도 5b, 및 도 5c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5a, 도 5b, 및 도 5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운전 제어기(112)는, 조작기(113)로부터 조작 신호를 받으면, 확인 테스트를 개시한다(스텝 S401에서 예). 구체적으로는, 운전 제어기(112)는 제 2 전류 센서(109b)가 검지하는 전류값을 취득한다(스텝 S402).
다음으로, 운전 제어기(112)는 접속 기구(110)에 제 1 접속기(110a)를 ON하는 지령을 출력한다(스텝 S403). 이것에 의해, 제 1 접속기(110a)가 U상(101a)-O상(101c) 사이에 내부 전력 부하(111)를 접속함으로써, U상(101a)의 연계점(103)에 전류가 흐른다.
이 때, 운전 제어기(112)는, 제 2 전류 센서(109b)가 검지하는 전류값을 다시 취득하고(스텝 S404), 스텝 S402에서 취득한 전류값으로부터의 변화량(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 2 전류 센서(109b)에서의 스텝 S402로부터의 전류값의 변화량을 ΔI10으로 한다)을 산출한다(스텝 S405).
다음으로, 운전 제어기(112)는 접속 기구(110)에 제 1 접속기(110a)를 OFF하는 지령을 출력한다(스텝 S406). 이것에 의해, 제 1 접속기(110a)가 U상(101a)-O상(101c) 사이와 내부 전력 부하(111)의 접속을 해제함으로써, U상(101a)의 연계점(103)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된다.
여기서, 운전 제어기(112)는, 제 1 접속기(110a)를 ON/OFF했을 때에, 내부 전력 부하(111)가 소비한 전력분만큼, 제 2 전류 센서(109b)가 검지하는 전류값이 변화하지 않은 경우, 즉, ΔI10이 소정 범위(본 변형예에서는, -1A~1A의 범위) 내인 경우(스텝 S407에서 예)에는, 스텝 S408로 진행된다. 한편, 운전 제어기(112)는, ΔI10이 소정 범위 외인 경우(스텝 S407에서 아니오)에는, 스텝 S416으로 진행된다.
스텝 S408에서는, 운전 제어기(112)는 제 2 전류 센서(109b)가 검지하는 전류값을 취득한다. 그 다음에, 운전 제어기(112)는 접속 기구(110)에 제 2 접속기(110b)를 ON하는 지령을 출력한다(스텝 S409). 이것에 의해, 제 2 접속기(110b)가 W상(101b)-O상(101c) 사이에 내부 전력 부하(111)를 접속함으로써, W상(101b)의 연계점(103)에 전류가 흐른다.
이 때, 운전 제어기(112)는, 제 2 전류 센서(109b)가 검지하는 전류값을 다시 취득하고(스텝 S410), 스텝 S408에서 취득한 전류값으로부터의 변화량(본 변형예에서는, 제 2 전류 센서(109b)에서의 스텝 S408로부터의 전류값의 변화량을 ΔI11로 한다)을 산출한다(스텝 S411).
다음으로, 운전 제어기(112)는 접속 기구(110)에 제 2 접속기(110b)를 OFF하는 지령을 출력한다(스텝 S412). 이것에 의해, 제 2 접속기(110b)가 W상(101b)-O상(101c) 사이와 내부 전력 부하(111)의 접속을 해제함으로써, W상(101b)의 연계점(103)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된다.
여기서, 제 2 접속기(110b)를 ON/OFF했을 때에, 내부 전력 부하(111)가 소비한 전력분만큼, 제 2 전류 센서(109b)가 검지하는 전류값이 변화한 경우, 즉, ΔI11이 소정 범위(본 변형예에서는, -1A~1A의 범위) 외인 경우(스텝 S413에서 예)에는, 제 2 전류 센서(109b)가 W상(101b)에 정확하게 배치되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즉, 제 1 접속기(110a)를 ON/OFF하는 전후에서, 제 2 전류 센서(109b)가 검지하는 전류값의 변화량이, 소정의 범위 내이고(스텝 S407에서 예), 또한, 제 2 접속기(110b)를 ON/OFF하는 전후에서, 제 2 전류 센서(109b)가 검지하는 전류값의 변화량이 소정의 범위 외인 경우(스텝 S413에서 예)이기 때문에, 제 2 전류 센서(109b)가 W상(101b)의 연계점(103)에 부착되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제 2 접속기(110b)를 ON/OFF했을 때에, 내부 전력 부하(111)가 소비한 전력분만큼, 제 2 전류 센서(109b)가 검지하는 전류값이 변화하지 않는 경우, 즉, ΔI11이 소정 범위(본 변형예에서는, -1A~1A의 범위) 내인 경우(스텝 S413에서 아니오)에는, 제 2 전류 센서(109b)가 고장나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즉, 제 1 접속기(110a)를 ON/OFF하는 전후에서, 제 2 전류 센서(109b)가 검지하는 전류값의 변화량이 소정의 범위 내이고(스텝 S407에서 예), 또한, 제 2 접속기(110b)를 ON/OFF하는 전후에서, 제 2 전류 센서(109b)가 검지하는 전류값의 변화량이 소정의 범위 내인 경우(스텝 S413에서 아니오)이기 때문에, 제 2 전류 센서(109b)가 전류값을 검지하고 있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제 2 전류 센서(109b)가 고장나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운전 제어기(112)는, ΔI11이 소정의 범위로부터 벗어난 경우(스텝 S413에서 예)에는, 내장된 비휘발성 메모리(기억부)에 제 2 전류 센서(109b)가 W상(101b)에 배치되어 있다고 하는 정상 정보를 기억시키고(스텝 S414), 스텝 S424로 진행된다. 한편, 운전 제어기(112)는, ΔI11이 소정 범위 내인 경우(스텝 S413에서 아니오)에는, 제 2 전류 센서(109b)가 고장이라고 하는 이상 정보를 기억부에 기억시키고(스텝 S415), 스텝 S424로 진행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운전 제어기(112)는, ΔI10이 소정 범위 외인 경우(스텝 S407에서 아니오)에는, 스텝 S416로 진행된다. 스텝 S416에서는, 운전 제어기(112)는 제 2 전류 센서(109b)가 검지하는 전류값을 취득한다. 그 다음에, 운전 제어기(112)는 접속 기구(110)에 제 2 접속기(110b)를 ON하는 지령을 출력한다(스텝 S417). 이것에 의해, 제 2 접속기(110b)가 W상(101b)-O상(101c) 사이에 내부 전력 부하(111)를 접속함으로써, W상(101b)의 연계점(103)에 전류가 흐른다.
이 때, 운전 제어기(112)는, 제 2 전류 센서(109b)가 검지하는 전류값을 다시 취득하고(스텝 S418), 스텝 S416에서 취득한 전류값으로부터의 변화량(본 변형예에서는, 제 2 전류 센서(109b)에서의 스텝 S416으로부터의 전류값의 변화량을 ΔI12로 한다)을 산출한다(스텝 S419).
다음으로, 운전 제어기(112)는 접속 기구(110)에 제 2 접속기(110b)를 OFF하는 지령을 출력한다(스텝 S420). 이것에 의해, 제 2 접속기(110b)가 W상(101b)-O상(101c) 사이와 내부 전력 부하(111)의 접속을 해제함으로써, W상(101b)의 연계점(103)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된다.
여기서, 제 2 접속기(110b)를 ON/OFF했을 때에, 내부 전력 부하(111)가 소비한 전력분만큼, 제 2 전류 센서(109b)가 검지하는 전류값이 변화하지 않은 경우, 즉, ΔI12가 소정 범위(본 변형예에서는, -1A~1A의 범위) 내인 경우(스텝 S421에서 예)에는, 제 2 전류 센서(109b)가 잘못되어 U상(101a)의 연계점(103)에 부착되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즉, 제 1 접속기(110a)를 ON/OFF하는 전후에서, 제 2 전류 센서(109b)가 검지하는 전류값의 변화량이 소정의 범위로부터 벗어나고(스텝 S407에서 아니오), 또한, 제 2 접속기(110b)를 ON/OFF하는 전후에서, 제 2 전류 센서(109b)가 검지하는 전류값의 변화량이 소정의 범위 내인 경우(스텝 S421에서 예)이기 때문에, 제 2 전류 센서(109b)가 U상(101a)의 연계점(103)에 부착되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제 2 접속기(110b)를 ON/OFF했을 때에, 내부 전력 부하(111)가 소비한 전력분만큼, 제 2 전류 센서(109b)가 검지하는 전류값이 변화한 경우, 즉, ΔI12가 소정 범위(본 변형예에서는, -1A~1A의 범위) 외인 경우(스텝 S421에서 아니오)에는, 제 2 전류 센서(109b)가 O상(101c)의 연계점(103)에 잘못 부착되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즉, 제 1 접속기(110a)를 ON/OFF하는 전후에서, 제 2 전류 센서(109b)가 검지하는 전류값의 변화량이 소정의 범위로부터 벗어나고(스텝 S407에서 아니오), 또한, 제 2 접속기(110b)를 ON/OFF하는 전후에서, 제 2 전류 센서(109b)가 검지하는 전류값의 변화량이 소정의 범위로부터 벗어난 경우(스텝 S421에서 아니오)이기 때문에, 제 2 전류 센서(109b)가 O상(101c)의 연계점(103)에 부착되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운전 제어기(112)는, ΔI12가 소정의 범위 내인 경우(스텝 S421에서 예)에는, 내장된 비휘발성 메모리(기억부)에, 제 2 전류 센서(109b)가 U상(101a)에 잘못 배치되어 있다고 하는 이상 정보를 기억시키고(스텝 S422), 스텝 S424로 진행된다. 한편, 운전 제어기(112)는, ΔI12가 소정 범위 외인 경우(스텝 S421에서 아니오)에는, 제 2 전류 센서(109b)가 O상(101c)에 잘못 배치되어 있다고 하는 이상 정보를 기억부에 기억시키고(스텝 S423), 스텝 S424로 진행된다.
스텝 S424에서는, 운전 제어기(112)는 내장된 비휘발성 메모리에 이상 정보가 기억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운전 제어기(112)는, 이상 정보가 기억되어 있는 경우(스텝 S424에서 예)에는, 표시기(114)에 그 이상 정보를 표시시킨다(스텝 S425). 한편, 운전 제어기(112)는, 이상 정보가 기억되어 있지 않은 경우(스텝 S424에서 아니오)에는, 표시기(114)에 정상 정보를 표시시킨다(스텝 S426). 그리고, 운전 제어기(112)는 본 프로그램을 종료한다.
이렇게 해서, 본 변형예 1의 분산형 발전 시스템(102)에서는, 제 2 전류 센서(109b)의 설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변형예 1의 분산형 발전 시스템(102)이더라도, 실시 형태 1에 따른 분산형 발전 시스템(102)과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변형예 1의 분산형 발전 시스템(102)에서는, 보다 구체적으로 제 1 전류 센서(109a), 제 2 전류 센서(109b)가 설치되어 있는 전선을 판단할 수 있다.
또, 본 변형예 1에서는, 제 1 전류 센서(109a), 제 2 전류 센서(109b)의 설치 방향에 대해서는, 판단하는 흐름을 기재하고 있지 않지만, 실시 형태 1에서 기재한 흐름을 참조함으로써, 제 1 전류 센서(109a), 제 2 전류 센서(109b)의 설치 방향은 용이하게 판단될 수 있다. 또한, 제 1 전류 센서(109a) 및/또는 제 2 전류 센서(109b)의 설치 방향이 역방향인 경우에는, 운전 제어기(112)는, 제 1 전류 센서(109a) 및/또는 제 2 전류 센서(109b)의 부착 방향의 정부를 반전시키고, 기억부에 기억시킴과 아울러, 이 이후, 제 1 전류 센서(109a) 및/또는 제 2 전류 센서(109b)가 검지하는 전류값의 부호를 반전 보정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실시 형태 2)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따른 분산형 발전 시스템은, 접속 기구가 제 1 전선과 제 2 전선을 내부 전력 부하에 접속하는 제 3 접속기를 갖고 있으며, 제어기는, 제 3 접속기가 제 1 전선과 제 2 전선을 내부 전력 부하와 접속하는 전후에서의 제 1 전류 센서가 검출하는 전류값의 변화량이 내부 전력 부하의 소비 전력량에 대응한 변화량이 아닌 경우에, 제 1 전류 센서가 제 3 전선에 배치되어 있거나, 또는 제 1 전류 센서 자체가 이상이라고 판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형태를 예시하는 것이다.
[분산형 발전 시스템의 구성]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따른 분산형 발전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따른 분산형 발전 시스템(102)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분산형 발전 시스템(102)과 기본적 구성은 동일하지만, 접속 기구(110)가 제 3 접속기(110c)로 구성되어 있는 점이 상이하다다. 구체적으로는, 제 3 접속기(110c)는, ON 상태일 때에, 전력 계통(101)의 U상(101a)-W상(101b) 사이에 내부 전력 부하(111)를 접속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분산형 발전 시스템의 동작(전류 센서의 설치 상태 확인 동작)]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 2에 따른 분산형 발전 시스템(102)의 동작(전류 센서의 설치 상태 확인 동작)에 대해,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따른 분산형 발전 시스템에서의 제 1 전류 센서의 설치 상태의 확인 동작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운전 제어기(112)는, 조작기(113)로부터 조작 신호를 받으면, 확인 테스트를 개시한다(스텝 S501에서 예). 구체적으로는, 운전 제어기(112)는 제 1 전류 센서(109a)가 검지하는 전류값을 취득한다(스텝 S502).
다음으로, 운전 제어기(112)는 접속 기구(110)에 제 3 접속기(110c)를 ON하는 지령을 출력한다(스텝 S503). 이것에 의해, 제 3 접속기(110c)가 U상(101a)-W상(101b) 사이에 내부 전력 부하(111)를 접속함으로써, U상(101a)의 연계점(103) 및 W상(101b)의 연계점(103)에 전류가 흐른다.
이 때, 운전 제어기(112)는, 제 1 전류 센서(109a)가 검지하는 전류값을 다시 취득하고(스텝 S504), 스텝 S502에서 취득한 전류값으로부터의 변화량(본 실시 형태 2에서는, 제 1 전류 센서(109a)에서의 스텝 S502로부터의 전류값의 변화량을 ΔI5로 한다)을 산출한다(스텝 S505).
다음으로, 운전 제어기(112)는 접속 기구(110)에 제 3 접속기(110c)를 OFF하는 지령을 출력한다(스텝 S506). 이것에 의해, 제 3 접속기(110c)가 U상(101a)-W상(101b) 사이와 내부 전력 부하(111)의 접속을 해제함으로써, U상(101a)의 연계점(103) 및 W상(101b)의 연계점(103)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된다.
여기서, 제 3 접속기(110c)를 ON/OFF했을 때에, 내부 전력 부하(111)가 소비한 전력분만큼, 제 1 전류 센서(109a)가 검지하는 전류값이 변화하지 않은 경우, 즉, ΔI5가 소정 범위(본 실시 형태 2에서는, -1A~1A의 범위) 내인 경우(스텝 S507에서 예)에는, 제 1 전류 센서(109a)가 O상(101c)의 연계점(103)에 잘못 부착되어 있거나 또는 제 1 전류 센서(109a) 자체가 이상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운전 제어기(112)는, ΔI5가 소정의 범위 내인 경우(스텝 S507에서 예)에는, 내장된 비휘발성 메모리(기억부)에, 제 1 전류 센서(109a)가 O상(101c)에 배치되어 있다고 하는 이상 정보를 기억시키고(스텝 S508), 스텝 S509로 진행된다. 한편, 운전 제어기(112)는, ΔI5가 소정 범위 외인 경우(스텝 S507에서 아니오)에는, 그대로 스텝 S509로 진행된다.
스텝 S509에서는, 운전 제어기(112)는 내장된 비휘발성 메모리에 이상 정보가 기억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운전 제어기(112)는, 이상 정보가 기억되어 있는 경우(스텝 S509에서 예)에는, 표시기(114)에 그 이상 정보를 표시시킨다(스텝 S510). 한편, 운전 제어기(112)는, 이상 정보가 기억되어 있지 않은 경우(스텝 S509에서 아니오)에는, 표시기(114)에 정상 정보를 표시시킨다(스텝 S511). 그리고, 운전 제어기(112)는 본 프로그램을 종료한다.
이렇게 해서, 본 실시 형태 2에 따른 분산형 발전 시스템(102)에서는, 제 1 전류 센서(109a)의 설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전류 센서(109a)가 O상(101c)의 연계점(103)에 배치되어 있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변형예]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 2에 따른 분산형 발전 시스템(102)의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변형예의 분산형 발전 시스템은, 접속 기구가 제 1 전선과 제 2 전선을 내부 전력 부하에 접속하는 제 3 접속기를 갖고 있으며, 제어기는, 제 3 접속기가 제 1 전선과 제 2 전선을 내부 전력 부하와 접속하는 전후에서의 제 2 전류 센서가 검출하는 전류값의 변화량이 내부 전력 부하의 소비 전력량에 대응한 변화량이 아닌 경우에, 제 2 전류 센서가 제 3 전선에 배치되어 있거나, 또는 제 2 전류 센서 자체가 이상이라고 판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형태를 예시하는 것이다.
[분산형 발전 시스템의 동작(전류 센서의 설치 상태 확인 동작)]
본 변형예의 분산형 발전 시스템은, 실시 형태 2에 따른 분산형 발전 시스템의 구성과 동일하기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은, 본 실시 형태 2의 변형예의 분산형 발전 시스템에서의 제 2 전류 센서의 설치 상태의 확인 동작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운전 제어기(112)는, 조작기(113)로부터 조작 신호를 받으면, 확인 테스트를 개시한다(스텝 S601에서 예). 구체적으로는, 운전 제어기(112)는 제 2 전류 센서(109b)가 검지하는 전류값을 취득한다(스텝 S602).
다음으로, 운전 제어기(112)는 접속 기구(110)에 제 3 접속기(110c)를 ON하는 지령을 출력한다(스텝 S603). 이것에 의해, 제 3 접속기(110c)가 U상(101a)-W상(101b) 사이에 내부 전력 부하(111)를 접속함으로써, U상(101a)의 연계점(103) 및 W상(101b)의 연계점(103)에 전류가 흐른다.
이 때, 운전 제어기(112)는, 제 2 전류 센서(109b)가 검지하는 전류값을 다시 취득하고(스텝 S604), 스텝 S602에서 취득한 전류값으로부터의 변화량(본 변형예에서는, 제 2 전류 센서(109b)에서의 스텝 S602로부터의 전류값의 변화량을 ΔI6으로 한다)을 산출한다(스텝 S605).
다음으로, 운전 제어기(112)는 접속 기구(110)에 제 3 접속기(110c)를 OFF하는 지령을 출력한다(스텝 S606). 이것에 의해, 제 3 접속기(110c)가 U상(101a)-W상(101b) 사이와 내부 전력 부하(111)의 접속을 해제함으로써, U상(101a)의 연계점(103) 및 W상(101b)의 연계점(103)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된다.
여기서, 제 3 접속기(110c)를 ON/OFF했을 때에, 내부 전력 부하(111)가 소비한 전력분만큼, 제 2 전류 센서(109b)가 검지하는 전류값이 변화하지 않은 경우, 즉, ΔI6이 소정 범위(본 변형예에서는, -1A~1A의 범위) 내인 경우(스텝 S607에서 예)에는, 제 2 전류 센서(109b)가 O상(101c)의 연계점(103)에 잘못 부착되어 있다 또는 제 2 전류 센서(109b) 자체가 이상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운전 제어기(112)는, ΔI6이 소정의 범위 내인 경우(스텝 S607에서 예)에는, 내장된 비휘발성 메모리(기억부)에, 제 1 전류 센서(109a)가 O상(101c)에 배치되어 있다고 하는 이상 정보를 기억시키고(스텝 S608), 스텝 S609으로 진행된다. 한편, 운전 제어기(112)는, ΔI6이 소정 범위 외인 경우(스텝 S607에서 아니오)에는, 그대로 스텝 S609로 진행된다.
스텝 S609에서는, 운전 제어기(112)는 내장된 비휘발성 메모리에 이상 정보가 기억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운전 제어기(112)는, 이상 정보가 기억되어 있는 경우(스텝 S609에서 예)에는, 표시기(114)에 그 이상 정보를 표시시킨다(스텝 S610). 한편, 운전 제어기(112)는, 이상 정보가 기억되어 있지 않은 경우(스텝 S609에서 아니오)에는, 표시기(114)에 정상 정보를 표시시킨다(스텝 S611). 그리고, 운전 제어기(112)는 본 프로그램을 종료한다.
이렇게 해서, 본 변형예의 분산형 발전 시스템(102)에서는, 제 2 전류 센서(109b)의 설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2 전류 센서(109b)가 O상(101c)의 연계점(103)에 배치되어 있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는, 본 발명이 많은 개량이나 다른 실시 형태가 명백해진다. 따라서, 상기 설명은, 예시로서만 해석되어야 할 것이며, 본 발명을 실행하는 최선의 형태를 당업자에게 교시할 목적으로 제공된 것이다.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는 일없이, 그 구조 및/또는 기능의 상세를 실질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개시되어 있는 복수의 구성요소의 적당한 조합에 의해 여러 발명을 형성할 수 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분산형 발전 시스템은, 간단한 구성으로, 전류 센서가 설치되어 있는 전선 및 그 설치 방향을 판단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유용하다.
1: 자가 발전 장치 2: 분전반
3: 상용 전력 계통 4: 분기 단로기
7: 연산 기억부 8a: 전력 연산부
8b: 전력 연산부 10: 표시기
14: 가산 연산부 15: 비휘발성 메모리
16: 부호 판정부 101: 전력 계통
101a: U상(제 1 전선) 101b: W상(제 2 전선)
101c: O상(제 3 전선) 102: 분산형 발전 시스템
103: 연계점 104: 가정내 부하(외부 전력 부하)
105: 발전 장치 106: 직류 교류 전력 변환기
107: 연계 릴레이 108: 전압 검출기
109a: 제 1 전류 센서 109b: 제 2 전류 센서
110: 접속 기구 110a: 제 1 접속기
110b: 제 2 접속기 110c: 제 3 접속기
111: 내부 전력 부하 112: 운전 제어기(제어기)
113: 조작기 114: 표시기

Claims (18)

  1. 제 1~제 3 전선 중 제 3 전선이 중성선(中性線)인 3선식의 전력 계통에 연계되는 분산형 발전 시스템으로서,
    상기 분산형 발전 시스템은,
    발전 장치와,
    상기 제 1~3 전선 중 임의의 2개의 전선을 내부 전력 부하와 접속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접속 기구와,
    상기 제 1 전선의 전류값을 검출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제 1 전류 센서와,
    상기 제 2 전선의 전류값을 검출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제 2 전류 센서와,
    상기 접속 기구가 상기 임의의 2개의 전선을 내부 전력 부하와 접속하는 전후에서의 상기 제 1 전류 센서 및 상기 제 2 전류 센서가 검지하는 전류값의 변화량이, 상기 내부 전력 부하의 소비 전력량에 대응한 변화량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 1 전류 센서 및 상기 제 2 전류 센서가 배치되어 있는 전선 및 그 설치 방향을 판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어기를 구비하는
    분산형 발전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기구는, 상기 제 1 전선과 상기 제 3 전선을 상기 내부 전력 부하에 접속하는 제 1 접속기와, 상기 제 2 전선과 상기 제 3 전선을 상기 내부 전력 부하에 접속하는 제 2 접속기를 갖고 있는
    분산형 발전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 1 접속기가 상기 제 1 전선과 상기 제 3 전선을 상기 내부 전력 부하에 접속하는 전후에서의 상기 제 1 전류 센서가 검출하는 전류값의 변화량이, 상기 전력 부하의 소비 전력량에 대응한 변화량이고, 또한, 상기 제 2 접속기가 상기 제 2 전선과 상기 제 3 전선을 상기 내부 전력 부하에 접속하는 전후에서의 상기 제 1 전류 센서가 검출하는 전류값의 변화량이, 상기 전력 부하의 소비 전력량에 대응한 변화량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제 1 전류 센서가 상기 제 1 전선에 배치되어 있다고 판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분산형 발전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 1 접속기가 상기 제 1 전선과 상기 제 3 전선을 상기 내부 전력 부하에 접속하는 전후에서의 상기 제 1 전류 센서가 검출하는 전류값의 변화량이, 상기 전력 부하의 소비 전력량에 대응한 변화량인 경우로서,
    그 변화량이 정(正)의 방향인 경우에는, 상기 제 1 전류 센서가 상기 제 1 전선에 정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고 판단하고,
    그 변화량이 부(負)의 방향인 경우에는, 상기 제 1 전류 센서가 상기 제 1 전선에 역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고 판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분산형 발전 시스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 1 접속기가 상기 제 1 전선과 상기 제 3 전선을 상기 내부 전력 부하에 접속하는 전후에서의 상기 제 1 전류 센서가 검출하는 전류값의 변화량이, 상기 전력 부하의 소비 전력량에 대응한 변화량이 아니고, 또한, 상기 제 2 접속기가 상기 제 2 전선과 상기 제 3 전선을 상기 내부 전력 부하에 접속하는 전후에서의 상기 제 1 전류 센서가 검출하는 전류값의 변화량이, 상기 전력 부하의 소비 전력량에 대응한 변화량인 경우에는, 상기 제 1 전류 센서가 상기 제 2 전선에 배치되어 있다고 판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분산형 발전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 2 접속기가 상기 제 2 전선과 상기 제 3 전선을 상기 내부 전력 부하에 접속하는 전후에서의 상기 제 1 전류 센서가 검출하는 전류값의 변화량이, 상기 전력 부하의 소비 전력량에 대응한 변화량인 경우로서,
    그 변화량이 정의 방향인 경우에는, 상기 제 1 전류 센서가 상기 제 2 전선에 정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고 판단하고,
    그 변화량이 부의 방향인 경우에는, 상기 제 1 전류 센서가 상기 제 2 전선에 역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고 판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분산형 발전 시스템.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 1 접속기가 상기 제 1 전선과 상기 제 3 전선을 상기 내부 전력 부하에 접속하는 전후에서의 상기 제 1 전류 센서가 검출하는 전류값의 변화량과, 상기 제 2 접속기가 상기 제 2 전선과 상기 제 3 전선을 상기 내부 전력 부하에 접속하는 전후에서의 상기 제 1 전류 센서가 검출하는 전류값의 변화량의 양쪽 모두의 변화량이, 상기 전력 부하의 소비 전력량에 대응한 변화량인 경우에는, 상기 제 1 전류 센서가 상기 제 3 전선에 배치되어 있다고 판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분산형 발전 시스템.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 1 접속기가 상기 제 1 전선과 상기 제 3 전선을 상기 내부 전력 부하에 접속하는 전후에서의 상기 제 1 전류 센서가 검출하는 전류값의 변화량과, 상기 제 2 접속기가 상기 제 2 전선과 상기 제 3 전선을 상기 내부 전력 부하에 접속하는 전후에서의 상기 제 1 전류 센서가 검출하는 전류값의 변화량의 양쪽 모두의 변화량이, 상기 전력 부하의 소비 전력량에 대응한 변화량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제 1 전류 센서가 이상(異常)이라고 판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분산형 발전 시스템.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 1 접속기가 상기 제 1 전선과 상기 제 3 전선을 상기 내부 전력 부하에 접속하는 전후에서의 상기 제 2 전류 센서가 검출하는 전류값의 변화량이, 상기 전력 부하의 소비 전력량에 대응한 변화량이 아니고, 또한, 상기 제 2 접속기가 상기 제 2 전선과 상기 제 3 전선을 상기 내부 전력 부하에 접속하는 전후에서의 상기 제 2 전류 센서가 검출하는 전류값의 변화량이, 상기 전력 부하의 소비 전력량에 대응한 변화량인 경우에는, 상기 제 2 전류 센서가 상기 제 2 전선에 배치되어 있다고 판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분산형 발전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 2 접속기가 상기 제 2 전선과 상기 제 3 전선을 상기 내부 전력 부하에 접속하는 전후에서의 상기 제 2 전류 센서가 검출하는 전류값의 변화량이, 상기 전력 부하의 소비 전력량에 대응한 변화량인 경우로서,
    그 변화량이 정의 방향인 경우에는, 상기 제 2 전류 센서가 상기 제 2 전선에 정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고 판단하고,
    그 변화량이 부의 방향인 경우에는, 상기 제 2 전류 센서가 상기 제 2 전선에 역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고 판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분산형 발전 시스템.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 1 접속기가 상기 제 1 전선과 상기 제 3 전선을 상기 내부 전력 부하에 접속하는 전후에서의 상기 제 2 전류 센서가 검출하는 전류값의 변화량이, 상기 전력 부하의 소비 전력량에 대응한 변화량이고, 또한, 상기 제 2 접속기가 상기 제 2 전선과 상기 제 3 전선을 상기 내부 전력 부하에 접속하는 전후에서의 상기 제 2 전류 센서가 검출하는 전류값의 변화량이, 상기 전력 부하의 소비 전력량에 대응한 변화량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제 2 전류 센서가 상기 제 1 전선에 배치되어 있다고 판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분산형 발전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 1 접속기가 상기 제 1 전선과 상기 제 3 전선을 상기 내부 전력 부하에 접속하는 전후에서의 상기 제 2 전류 센서가 검출하는 전류값의 변화량이, 상기 전력 부하의 소비 전력량에 대응한 변화량인 경우로서,
    그 변화량이 정의 방향인 경우에는, 상기 제 2 전류 센서가 상기 제 1 전선에 정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고 판단하고,
    그 변화량이 부의 방향인 경우에는, 상기 제 2 전류 센서가 상기 제 1 전선에 역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고 판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분산형 발전 시스템.
  1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 1 접속기가 상기 제 1 전선과 상기 제 3 전선을 상기 내부 전력 부하에 접속하는 전후에서의 상기 제 2 전류 센서가 검출하는 전류값의 변화량과, 상기 제 2 접속기가 상기 제 2 전선과 상기 제 3 전선을 상기 내부 전력 부하에 접속하는 전후에서의 상기 제 2 전류 센서가 검출하는 전류값의 변화량의 양쪽 모두의 변화량이, 상기 전력 부하의 소비 전력량에 대응한 변화량인 경우에는, 상기 제 2 전류 센서가 상기 제 3 전선에 배치되어 있다고 판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분산형 발전 시스템.
  1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 1 접속기가 상기 제 1 전선과 상기 제 3 전선을 상기 내부 전력 부하에 접속하는 전후에서의 상기 제 2 전류 센서가 검출하는 전류값의 변화량과, 상기 제 2 접속기가 상기 제 2 전선과 상기 제 3 전선을 상기 내부 전력 부하에 접속하는 전후에서의 상기 제 2 전류 센서가 검출하는 전류값의 변화량의 양쪽 모두의 변화량이, 상기 전력 부하의 소비 전력량에 대응한 변화량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제 2 전류 센서가 이상이라고 판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분산형 발전 시스템.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기구는 상기 제 1 전선과 상기 제 2 전선을 상기 내부 전력 부하에 접속하는 제 3 접속기를 갖고 있으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 3 접속기가 상기 제 1 전선과 상기 제 2 전선을 상기 내부 전력 부하와 접속하는 전후에서의 상기 제 1 전류 센서가 검출하는 전류값의 변화량이 상기 내부 전력 부하의 소비 전력량에 대응한 변화량이 아닌 경우에, 상기 제 1 전류 센서가 상기 제 3 전선에 배치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제 1 전류 센서 자체가 이상이라고 판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분산형 발전 시스템.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기구는 상기 제 1 전선과 상기 제 2 전선을 상기 내부 전력 부하에 접속하는 제 3 접속기를 갖고 있으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 3 접속기가 상기 제 1 전선과 상기 제 2 전선을 상기 내부 전력 부하와 접속하는 전후에서의 상기 제 2 전류 센서가 검출하는 전류값의 변화량이 상기 내부 전력 부하의 소비 전력량에 대응한 변화량이 아닌 경우에, 상기 제 2 전류 센서가 상기 제 3 전선에 배치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제 2 전류 센서 자체가 이상이라고 판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분산형 발전 시스템.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조작기의 조작 지령에 따라, 상기 제 1 전류 센서 및 상기 제 2 전류 센서가 배치되어 있는 전선 및 그 설치 방향의 판단을 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분산형 발전 시스템.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에 의한 상기 제 1 전류 센서 및 제 2 전류 센서의 판정의 결과를 표시하는 표시기를 더 구비하고 있는
    분산형 발전 시스템.
KR1020127022712A 2010-02-01 2011-01-31 분산형 발전 시스템 KR2012011805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020077 2010-02-01
JPJP-P-2010-020077 2010-02-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8056A true KR20120118056A (ko) 2012-10-25

Family

ID=44319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2712A KR20120118056A (ko) 2010-02-01 2011-01-31 분산형 발전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20286759A1 (ko)
JP (1) JP5134145B2 (ko)
KR (1) KR20120118056A (ko)
CA (1) CA2788055A1 (ko)
WO (1) WO20110931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37110B2 (ja) * 2011-09-28 2015-06-17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コジェネレーションシステムの電流センサ取付状態判定装置
JP5999406B2 (ja) * 2012-01-06 2016-09-28 オムロン株式会社 検出装置、検査装置、検査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5370566B1 (ja) * 2012-10-17 2013-12-18 三菱電機株式会社 結線状態診断装置および結線状態診断方法
JP5814979B2 (ja) * 2013-06-13 2015-11-17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力測定装置、判定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521800B2 (ja) * 2015-08-31 2019-05-29 大阪瓦斯株式会社 熱電併給システム
JP6660230B2 (ja) * 2016-03-31 2020-03-1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コージェネレーションシステムおよびコージェネレーションシステムのセンサチェック方法
JP6776796B2 (ja) * 2016-10-14 2020-10-28 サンケン電気株式会社 変流器取付診断装置及び変流器取付診断方法
JP6579117B2 (ja) 2017-01-06 2019-09-25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パワーコンディショナ
JP6870449B2 (ja) * 2017-04-14 2021-05-12 株式会社アイシン 電流センサの取付状態判定装置
JP6964253B2 (ja) * 2017-11-28 2021-11-1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制御装置、電力変換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6956382B2 (ja) * 2017-11-28 2021-11-0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制御装置、電力変換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7294606B2 (ja) * 2019-06-19 2023-06-20 ニチコン株式会社 電力供給システム
JP7345329B2 (ja) * 2019-09-13 2023-09-15 大阪瓦斯株式会社 診断装置、分散型発電システム、診断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06973A (en) * 1990-03-28 1991-04-09 The Boeing Company Autotuned resonant power source
US5994892A (en) * 1996-07-31 1999-11-30 Sacramento Municipal Utility District Integrated circuit design automatic utility meter: apparatus & method
KR20040008610A (ko) * 2002-07-19 2004-01-31 최세완 중성선 전류 제거를 위한 저감된 정격의 능동 전력 필터장치
JP4336134B2 (ja) * 2003-03-27 2009-09-30 京セラ株式会社 自家発電システム
JP4859707B2 (ja) * 2007-02-28 2012-01-25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コジェネレーション装置と該コジェネレーション装置における電流検出手段の配線確認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1093109A1 (ja) 2013-05-30
JP5134145B2 (ja) 2013-01-30
CA2788055A1 (en) 2011-08-04
US20120286759A1 (en) 2012-11-15
WO2011093109A1 (ja) 2011-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18056A (ko) 분산형 발전 시스템
US8958923B2 (en) Distributed power supply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5003417B2 (ja) 分散型電源システム
JP2011160562A (ja) 分散型発電装置
CN103457526A (zh) 电动机驱动装置和具有电动机驱动装置的电助力转向装置
US20050270720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detecting operational failures of relays
WO2012132258A1 (ja) 分散型発電システム及びその運転方法
US20200341037A1 (en) Electrical assembly and method
EP3252908B1 (en) Power management device configured to determine mounting directions of current sensors of a power grid
WO2019044428A1 (ja) コントローラ、分散電源、および溶着を確認する方法
JP2006042514A (ja) 自家発電システム
US20200339048A1 (en) Electrical assembly and method
JP5530404B2 (ja) 開閉器制御装置および配電自動化システム
US7282813B2 (en) AC power backfeed protection based on phase shift
KR20160141573A (ko) 리던던시 적용 시스템의 릴레이 고장 감지 장치
JP2011078253A (ja) 電源制御装置
KR101524052B1 (ko) 펌프 유니트 및 그 비상운전방법
JP4986940B2 (ja) 電子式指示計器
AU2020100761A4 (en) An electrical testing device
CN113433877A (zh) 一种dred控制器的检测电路、检测方法及储能逆变器
JP2013258794A (ja) 分散型発電装置、及び、該分散型発電装置の運転方法
ES2849448T3 (es) Sistema de arranque de motor y método para operar el mismo
JP5370566B1 (ja) 結線状態診断装置および結線状態診断方法
CN220626920U (zh) 一种工业机器人数据检测系统
JPWO2019082431A1 (ja) 系統連系蓄電システム及び電流センサの取り付け異常検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