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7836A - 불순물을 포함하는 액체를 처리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및 방법 - Google Patents

불순물을 포함하는 액체를 처리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7836A
KR20120117836A KR1020127019436A KR20127019436A KR20120117836A KR 20120117836 A KR20120117836 A KR 20120117836A KR 1020127019436 A KR1020127019436 A KR 1020127019436A KR 20127019436 A KR20127019436 A KR 20127019436A KR 20120117836 A KR20120117836 A KR 201201178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lift
water treatment
treatment tank
flow
re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9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브렛트 에이치. 보이드
러셀 엘. 쿡
아드리안 스트렝
Original Assignee
파크슨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크슨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파크슨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20117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78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6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02F1/004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using large scale industrial sized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B01D24/1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held in a closed container
    • B01D24/14Downward filtration, the container having distribution or collection headers or pervious cond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36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fluidised during the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6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4/4631Counter-current flushing, e.g. by air
    • B01D24/4652Counter-current flushing, e.g. by air by using gasb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6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4/4668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by moving the filtering element
    • B01D24/4689Displacement of the filtering material to a compartment of the filtering device for regen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8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integrally combined with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iltration
    • B01D24/4869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integrally combined with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iltration by level meas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1/00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outside the filter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B01D24/1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held in a closed container
    • B01D24/14Downward filtration, the container having distribution or collection headers or pervious conduits
    • B01D2024/145Downward filtration, the container having distribution or collection headers or pervious conduits spray head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1/00Types of filters having loose filtering material
    • B01D2101/04Sand or gravel fil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2Non-contaminated water, e.g. for industrial water supply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05Processes using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 C02F2209/006Processes using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comprising a software program or a logic diagra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 Water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및 방법은 수처리 탱크와 연관된 리젝트율의 감소를 촉진시키는 역류 공정을 수행한다. 수처리 탱크가 역류 공정을 필요로 하는지 여부에 대한 결정이 이루어지고, 만약 필요하다면 다음의 명령들이 수행된다. 상부 폭발 솔레노이드는 수처리 탱크의 바닥 부분에, 제1 위치 및 제1 시점에서 제1 에어리프트 경로 안에 에어리프트 흐름을 시작하도록 작동된다. 하부 폭발 솔레노이드는 수처리 탱크의 바닥 부분에, 제2 위치 및 제2 시점에서 제2 에어리프트 경로 안에 에어리프트 흐름을 시작하도록 작동되며, 제2 위치는 제1 위치보다 아래이고 제2 시점은 제1 시점 이후이다. 제1 및 제2 에어리프트 경로들 안에 에어리프트 흐름은 수처리 탱크 내에 적절한 물 흐름을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불순물을 포함하는 액체를 처리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및 방법{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TREATING LIQUID CONTAINING IMPURITIES}
본 발명은 여기에 전부 참조로 포함되는, 2010년 1월 8일에 출원된 불순물을 포함하는 액체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이라는 제목의, 미국 가 특허 출원 번호 제 61/293,509호에 대하여 우선권을 주장한다.
본 발명은 공중폭발들이 여과액 혼탁 스파이크(turbidity spike)들을 제거하고 및/또는 감소시키기 위하여 두 개의 공중폭발 선들을 통해 수처리 탱크에 제공된다는 불순물을 포함하는 액체들의 처리에 관련된다.
많은 지방 자치제의 및 산업적인 수처리 시스템들에 관하여, 물/폐수는 정화될 필요가 있다. 한 예는 식수가 표층수로부터 생산되는 식수 시스템일 수 있다. 다른 예는 폐수가 산업적인, 관개하는, 또는 유사한 목적들을 위해 방출되나 재사용될 수 있도록 처리될 필요가 있는 지방 자치제의 폐수 처리 시스템일 것이다.
역류(Backwash) 상향류 필터들은 일반적으로 액체로부터 불순물들을 분리하는 것을 돕도록 불순물을 포함하는 액체 및 입상 베드들(granular beds) 사이에 상호 작용을 활발하게 하기 위해 입상 베드들 안에 에어리프트(airlift)들을 사용한다. 그러한 필터들은 일반적으로 에어리프트 기능의 손실을 위해 탐지하고 교정하는 장치를 구비하지 않는다. 만약 생성된 에어리프트가 필터 매체를 리프팅(lifting) 하는 것을 멈춘다면, 한동안 후에 필터 베드(filter bed)가 고형사료들(feed solids)로 채워질 것이다. 결국, “돌파구(break though)”가 나타나 여과액 안으로 과도한 양의 현탁 물질들(suspended solids)을 방출하여 용인할 수 없는 여과액 질을 생성할 것이다. 에어리프트 고장들의 탐지는 관례적으로 작업자들에 의한 물리적 관찰, 및 상황을 교정하기 위해 육체적 노력들을 요구한다. 불행히도, 에어리프트 고장들은 종종 인지되지 않고 몇 시간이나 또는 몇 일 동안 교정되지 못하며, 노동집약적인 베드의 에어 랜싱(air lancing) 또는 매체 베드(media bed) 및/또는 에어리프트의 제거 및 복위 및/또는 교정하는 행동들이 요구된다.
폐수 같은, 불순물을 포함하는 액체들의 처리를 위한 새롭고 개선된 방법 및 장치가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방법 및 장치에서, 불순물들 및/또는 오염물질들은 모래 필터 같은 입상 매체 필터 안에 다른 액체 또는 폐수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수처리 탱크와 연관된 리젝트율의 감소를 촉진시키는, 역류 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저장하고, 컴퓨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 프로세서가 다음의 명령들을 수행하도록 한다:
a) 수처리 탱크가 역류 공정을 필요로 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만약 그렇다면, 다음의 명령들을 수행함;
a1) 상부 폭발 솔레노이드가 상기 수처리 탱크의 바닥 부분에, 제1 위치 및 제1 시점에서 제1 에어리프트 경로 안에 에어리프트 흐름을 시작하도록 지시하는 단계;
a2) 하부 폭발 솔레노이드가 상기 수처리 탱크의 바닥 부분에, 제2 위치 및 제2 시점에서 제2 에어리프트 경로 안에 에어리프트 흐름을 시작하도록 지시하는 단계, 상기 제2 위치는 상기 제1 위치보다 아래이고 상기 제2 시점은 상기 제1 시점 이후임; 및
a3) 상기 리젝트율을 제어하도록 리젝트 밸브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에어리프트 경로들 안 상기 에어리프트 흐름은 상기 수처리 탱크 내에 적절한 물 흐름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수처리 탱크와 연관된 리젝트율의 감소를 촉진시키는 방법은 수처리 탱크가 역류 공정을 필요로 하는지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만약 그렇다면 다음의 명령들을 수행한다:
a1) 상기 수처리 탱크의 바닥 부분에, 제1 위치 및 제 1 시점에서 제1 에어리프트 경로 안에 에어리프트 흐름을 시작하는 단계;
a2) 상기 수처리 탱크의 바닥 부분에, 제2 위치 및 제 2 시점에서 제2 에어리프트 경로 안에 에어리프트 흐름을 시작하는 단계, 상기 제2 위치는 상기 제1 위치보다 아래이고 상기 제2 시점은 상기 제1 시점 이후임; 및
a3) 상기 리젝트율을 제어하도록 리젝트 밸브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에어리프트 경로들은 상기 수처리 탱크 내에 적절한 물 흐름을 가능하게 한다.
앞서 말한 일반적인 설명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들은 모두 오직 전형적이고 설명을 위한 것이고, 주장되는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다는 것은 이해될 것이다.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음.
본 발명의 이것들 및 다른 특징들, 태양들, 및 이점들은 다음의 설명, 첨부된 청구항들, 및 아래에 간결하게 설명되는, 도면들 안에 도시된 부수하는 전형적인 실시예들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관련된 적용에 따른 불순물들을 포함하는 액체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불순물들을 포함하는 액체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3a 및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불순물들을 포함하는 액체를 처리하기 위한 제거 방법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첨부의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참조에 의해 여기에 전부 포함되는, 관련된 가 특허 출원 번호 제 61/293,509호 안에 설명된, (예를 들어, 바람직하지 않는 물질 같은) 불순물을 포함하는 액체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1)를 도시한다. 장치(1)는 연속적인 역류(backwash)를 가지는 상향류의(upflow), 깊은 베드(bed) 입상 매체 필터(granular media filter)일 것이다. (예를 들어, 폐수 같은) 불순물들을 포함하는 액체는 입구(109)를 통해 안내되고 (예를 들어, 모래일 수 있는) 입상 매체(granular media; 104)의 일부 아래에 및 필터링 챔버(filtering chamber; 100) 안으로 전달된다. (필터링 매체로서 작용하는) 입상 매체(104)의 베드는 필터링 챔버를 채운다.
불순물들을 포함하는 액체는 그것이 입상 매체 베드를 통해 흐르도록 필터링 챔버(100) 안에서 위로 오를 것이다. 액체의 여과(filtration)는 입상 매체가 화살표(112)에 의해 가리켜지는 대로 필터링 챔버(100) 안에서 아래로 천천히 이동하는 동안 일어난다. 가스는 또한 필터링 챔버의 바닥 가까이에 에어리프트 하우징(airlift housing; 132)에 공급된다. 가스는 에어리프트 하우징(132) 안으로 안내되어, 액체, 공기 및 입상 필터 매체의 혼합물을 포함할 것이다. 액체, 공기 및 입상 필터 매체의 혼합물은 둘러싸는 액체보다 더 낮은 밀도를 구비하여 혼합물이 에어리프트 하우징(132) 안에서 오르도록 야기한다. 이 혼합물이 에어리프트 하우징 안에서 오를 때, 필터링 챔버의 바닥 가까이에 입상 매체 및 액체는 에어리프트 하우징(132) 안으로 흘러, 입상 매체 중 가장 더러운 물질은 에어리프트 하우징(132) 안에서 위로 및 안으로 흐르는 경향이 있다.
더러운 입상 매체가 에어리프트 하우징 안에서 위로 흐를 때, 입상 매체는 에어리프트 하우징(132) 내에 가스 거품들의 작용에 의해 완전한 기계적인 동요를 당하게 되고, (오물 또는 다른 바람직하지 않은 물질 같은) 불순물들은 입상 매체로부터 분리된다. 입자들 또는 입상 매체를 더 깨끗하게 하기 위해, 매체는 필터링 챔버(100)의 상단부 가까이에 위치된 입상 매체 와셔(granular media washer; 134) 안에서 세척된다. 입상 매체 와셔(134)로부터 깨끗하게 된 입상 매체는 입상 매체(104)의 베드 상부로 반송되는데 반해, 입상 매체 와셔(134)로부터의 리젝트(reject)는 와셔(104)에서 리젝트 구획(reject section; 116)으로 흘러 출구(120)를 통해 방출되도록 한다. 반면, 처리된 액체 또는 여과액은 여과액 구획(filtrate section; 108) 안으로 흘러 출구(110)를 통해 유출수(effluent)로서 방출된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향류의, 깊은 베드 입상 매체 필터를 이용하여, 필터 매체는 역류 펌프들 또는 저장 탱크들을 요하지 않는 간단한 내부 세척 시스템에 의해 깨끗해질 것이다. 역류 펌프들의 부재는 낮은 에너지 소비의 이점을 가진다. 입상 매체 베드는 장치가 높은 수준의 현탁 물질(suspended solids)을 다루는 것을 허용하며 이러한 중대한 실행은 어떠한 적용들에서 처리 공정 안에 선-침전(pre-sedimentation) 또는 부양 단계들에 대한 요구를 제거할 것이다. 입상 매체는 85, 90, 95, 99% 또는 이상, 또는 그것들 사이의 정수까지 같이, 액체로부터 불순물들의 상당한 제거를 허용한다.
도 1 안에 장치(1)의 상세한 사항은 이제 설명될 것이다. 장치(1)는 불순물들을 포함하는 액체를 수용하기 위한 필터링 챔버(100), 여과액 구획(108), 리젝트 구획(116), 가스 공급 시스템(122), 및 제어 유닛(202)을 포함할 것이다.
필터링 챔버(100)는 입상 매체(104)가 여과액(106)을 생산하도록 제1 입구(109) 내에 액체로부터 불순물들을 제거하는 하부(102)를 포함한다. 하부(102)는 수직 방향으로 필터링 챔버의 하반(lower half) 내에 위치되므로 더 낮게 생각된다. 도 1의 필터링 챔버(100)가 원통형을 구비함에도, 적절한 형상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챔버는 단면을 원형의, 직사각형의, 정사각형의, 삼각형의, 또는 다른 다각형의 또는 비-다각형의 형상들로 구비할 수 있다. 필터링 챔버(100)는 불순물들을 포함하는 액체 또는 유입수의 유입을 위한 제1 입구(109)와 유체 소통할 수 있다.
제1 입구(109)는 불순물들을 포함하는 액체를 포함하는 (저장소 같은) 액체 공급원(208)과 유체 소통할 수 있다. 액체는 폐수 또는 불순물들을 가지는 물일 것이다. 펌핑 시스템(pumping system; 206)은 액체 공급원(208)에서 제1 입구로 액체를 전달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펌핑 시스템(206)은 펌프, 제어 밸브, 및/또는 파이프/튜브 같은, 필터링 챔버(100) 및 액체 공급원(208) 사이에 유체 흐름을 시작하여 유지하기 위해 모든 필요한 장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입구(109)는 공급 파이프(146), 고리모양 파이프(148), 및 방사상 파이프들(150)을 포함할 수 있다. 불순물들을 포함하는 유입수 또는 액체는 공급 파이프(146)의 상부에 안내되어 (후에 설명될) 에어리프트 하우징(132) 주위에 고리모양 파이프(148)를 통해 아래로 흐른다. 고리모양 파이프(148)는 그것의 상단부에서 밀폐되고 방사상 파이프들(150) 및 공급 파이프(146)와 유체 소통할 수 있어, 액체는 필터링 챔버(100)의 바닥을 향하는 측면들 상에 (즉, 도 1의 아래쪽에) 그것들의 길이 방향 길이를 따라 개별적인 개구들을 구비하거나 개방되는, 일련의 방사상 파이프들(150)을 통해 입상 매체(104)의 베드 안으로 안내된다.
입구를 위한 다른 구성들은 의도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것보다 대체 구조들은 하나 이상의 다음의 구조들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급 파이프(146)는 고리모양 파이프(148) 없이 방사상 파이프들(150)에 직접 연결될 수 있고, 방사상 파이프들(150)은 그것들의 말단부들에서 개방될 수 있고, 방사상 파이프들(150)은 그것들의 바닥 표면들을 따라 하나 이상의 구멍들의 형태로 그것들의 원주 표면들을 따라 출구들을 구비할 수 있고, 방사상 파이프들은 아래로 향하는 그것들의 개방된 말단들을 가지는 간단하게 U형의 구조들일 수 있고, 에어리프트 하우징(132)에 평행하게 나아가는 파이프는 고리모양 파이프(148) 대신에 사용될 수 있고, 및/또는 공급 파이프(146)는 상부 대신에 필터링 챔버의 중심을 향해 또는 바닥 가까이에 필터링 챔버를 들어갈 수 있다.
입상 매체(104)는 모래일 수 있으며 폭이 40"인 베드 또는 폭이 80"인 베드 같은 적절한 크기의 베드를 생성할 수 있다. 게다가, 베드는 적절한 깊이를 가질 수 있다. 적절한 깊이들은 예를 들어, 1, 2, 3, 4, 5, 또는 이상 미터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1 미터보다 더 적은 깊이들 또한 포함할 수 있다.
필터링 챔버 안에 입상 매체(104)는 화살표(112)에 의해 가리켜진 대로 아래로 내려갈 수 있으며 필터링 챔버(100) 안의 액체(106)는 위로 흐를 수 있어, 불순물들이 입상 매체(104)에 충돌함에 의해 액체로부터 제거되어 입상 매체(104) 베드의 상부에 여과액이 생성된다. 사실은, 액체의 여과는 입상 매체(104)가 화살표(112)에 가리켜진 대로 필터링 챔버(100) 안에서 천천히 아래로 이동하면서 일어난다. 베드 안에 입상 매체의 느린 아래로의 이동은 가스 공급 시스템(122)에 의해 보내지는 가스에 의해 유발된다.
여과액 구획(108)은 입상 매체(104)를 통해 지나는 여과액을 받기 위해 필터링 챔버(100)의 하부(102)와 유체로 통할 수 있다. 여과액 구획은 개방된 단부 컨테이너(container), 인클로져(enclosure), 또는 적절한 유체를 포함하는 구조일 수 있다. 가능한 일 실시에 따라, 여과액 구획(108)은 둑(weir; 107)을 포함한다. 필터링 챔버(100)의 상부에 나타나는 여과액은 둑(107)을 너머 여과액 구획(108) 안으로 흐른다. 여과액 구획(108)은 여과액 또는 유출수의 유출을 위한 제1 출구(110)와 유체 소통할 수 있다. 제1 출구(110)는 파이프, 튜브, 또는 파이프 또는 튜브가 연결될 수 있는 연결들일 수 있다.
리젝트 구획(116)은 불순물들 및 입상 매체를 포함하는 리젝트 혼합물(138)을 받기 위한 필터링 챔버(100)의 하부(102)와 유체 소통할 수 있다. 리젝트 구획(116)은 개방된 단부 컨테이너, 인클로져, 또는 적절한 유체를 포함하는 구조일 수 있다. 유체 전달은 리젝트 구획(116)이 에어리프트 하우징(132)과 유체 소통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에어리프트 하우징(132)은 원통형의 파이프 또는 튜브 같은 구조이며, 필터링 챔버(100)의 중심을 통해 및 고리모양 파이프(148) 안으로 나아갈 수 있다. 필터링 챔버(100) 안에 입상 매체(104)가 아래 방향(112)으로 내려가면서 불순물들은 필터링 챔버(100)의 바닥 가까이에, 입상 매체(104)에 의해 액체로부터 제거되며, 에어리프트 하우징(132)의 바닥 단부(136)에서 에어리프트 하우징(132) 안으로 입상 매체(104)를 끌어당기도록, 공기, 질소, 산소 등 작은 체적의 압축된 가스는 가스 공급 시스템(122)에 의해 필터링 챔버(100)의 바닥으로 안내된다. 에어리프트 하우징(132) 내부에서의 연마는 입상 매체에 부착된 고체 입자들을 제거한다. (더러운 슬러리(slurry)를 형성할 수 있는) 제거된 불순물들 및 입상 매체의 리젝트 혼합물은 에어리프트 하우징(132)의 상단부(138)로 및 리젝트 구획(116) 안으로 밀린다.
리젝트 구획(116)은 둑(weir; 117)에 의해 서로로부터 분리되는 입구 구획(119) 및 출구 구획(121)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리프트 하우징(132)의 상단부(138)에 에어리프트 하우징(132)으로부터 나타나는 리젝트 혼합물은, 리젝트 혼합물의 일부가 둑(117)을 너머 리젝트 구획의 출구 구획(121) 안으로 흐를 때까지 리젝트 구획(116)의 입구 구획(119)을 채운다. 리젝트 구획(116)의 출구 구획(121)은 또한 둑(117)을 너머 흐르는 리젝트 혼합물(118)의 일부의 유출을 위한 제2 출구(120)와 유체 소통할 수 있다. 제2 출구(120)는 파이프, 튜브, 또는 파이프 또는 튜브가 연결될 수 있는 연결일 수 있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리젝트 구획(116)의 입구 구획(119)은 또한 입상 매체 와셔(134)와 유체 소통한다. 입상 매체 와셔는 입상 매체 입구(140), 입상 매체 출구(142), 및 동심의 스테이지들(concentric stages; 144)을 구비한다. 리젝트 구획(116)으로부터, 더 무거운 입상 매체(104)는 입상 매체 입구(140)를 통해 입상 매체 와셔(134) 안으로 떨어지고, 입상 매체 흐름으로부터 제거된 더 가벼운 리젝트 고체들은 결국 둑(117)을 너머 제2 출구(120) 밖으로 흘려진다. 입상 매체(104)는 입상 매체 와셔(134)의 동심의 스테이지들(144)을 통해 아래로 떨어진다. 동심의 스테이지들(144)은 간단하게 에어리프트 하우징(132) 주위에 나선의 날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입상 매체가 동심의 스테이지들 아래로 떨어지면서 입상 매체 출구(142)로부터 와셔(134)를 통해 위로 이동하는 작은 양의 여과액과 만난다. 와셔(134) 안의 이러한 여과액은 필터링 챔버(100) 및 리젝트 구획(116) 안의 여과액 웅덩이(pool) 사이의 액위 차이에 의해 이동된다. 더 무겁고, 더 거친 입상 매체는 이러한 작은 역류를 통해 흐르는 반면 남은 불순물들은 리젝트 구획(116)까지 뒤로 이동된다. 세척된 입상 매체는 필터링 챔버(100)로 돌아오고, 다시 한번 유입수 세척 공정 및 결국 필터링 챔버(100)의 바닥으로의 그것의 궁극적인 이동을 시작하는 입상 매체 베드의 상부 상에 놓인다.
가스 공급 시스템(122)은 액체로부터 불순물들의 제거를 촉진하는 입상 매체(104), 액체(106), 및 불순물들 사이에 상호 작용을 자극하는 입상 매체(104)에 리프트(lift)를 제공하는 필터링 챔버(100) 안 입상 매체(104)에 가스를 전달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가스 공급 시스템(122)은 가스 공급원(124), 가스 공급원(124)과 유체 소통하는 가스 라인(126), 및 필터링 챔버(100)에 부착되고 필터링 챔버(100)의 하부(102) 및 가스 라인(126)과 유체로 통하는 가스 입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가스 공급원(124)은 팬(fan), 가스 펌프(gas pump), 가압된 가스 실린더, 또는 다른 적절한 가스 공급원일 수 있다. 가스 공급원은 또한 필터링 챔버(100)의 하우징 내에 있거나 또는 가스 공급원(124)은 가스 입구(128)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가스 공급원(124)에 의해 필터링 챔버(100) 안으로 안내되는 가스는 공기, 질소, 산소, 또는 다른 적절한 가스일 수 있다. 제어 밸브(130)는 가스 흐름 및/또는 가스 공급원(124)에서 필터링 챔버(100)의 하부(102)까지의 압력을 제어하도록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분포 평판(미도시)이 입상 매체(104)를 통해 가스의 분포를 제어하기 위해 필터링 챔버(100)의 바닥 가까이에 위치될 수 있다. 더 추가하여, 임의의 하수구(drain; 128)는 필터링 챔버(100)의 바닥에 또는 가까이에 제공될 수 있다.
여기에 사용된 것과 같이, 용어 “에어리프트"는 사용되는 가스의 유형에 관계없이 가스 공급 시스템에 의한 가스 전달에 의해 야기되는 리프트를 포함하는 것으로 의미된다. 즉, “에어리프트"는 공기 이외에 질소, 산소, 또는 다른 적절한 가스들에 의한 리프트를 포함한다.
센서(200)는 리젝트 구획(116) 안 리젝트 혼합물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고, 유량계가 리젝트 구획(116) 안에 리젝트 흐름의 양을 결정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으며, 제어 유닛(202)이 가스 공급 시스템(122)을 제어하고 센서(200)로부터 하나 이상의 신호들을 받도록 제공될 수 있다. 대체로, 에어리프트가 필터 매체의 리프팅을 정지할 때, 리젝트 흐름 비율은 증가한다. 에어리프트의 부족은 입상 매체가 에어리프트 하우징(132)의 바닥 단부(136)에서 에어리프트 하우징(132) 안으로 끌어당겨지고 리젝트 구획(116)으로 들어가는 것을 막는다. 입상 매체 와셔(134)의 동심의 스테이지들(144)을 통해 아래로 떨어지는 에어리프트된 매체 알갱이들은 보통 (떨어지는 필터 매체로부터 불순물들 및 오물을 연마하는 입상 매체 와셔(134)의 동심의 스테이지들(144)을 통해 상향으로 이동하면서 리젝트 액체가 되는 입상 매체 와셔(134) 아래에 깨끗한 여과액인 세척 액체) 세척 액체의 상향 흐름을 제한한다. 만약 입상 매체 와셔(134)를 통해 떨어질 수 있는 리젝트 구획(116) 안에 입상 매체가 거의 없다면, 떨어지는 매체는 입상 매체 와셔(134)를 통해 세척 액체의 상향 오름을 제한하지 않는다; 따라서 리젝트 구획 안으로 정상적인 유체 흐름 이상을 유발한다. 결과적으로, 리젝트 흐름 비율은 에어리프트가 그것의 정상적인 작동을 정지할 때 증가한다. 그러므로, 리젝트 혼합물의 양은 리젝트 구획, 특히 리젝트 구획의 출구 구획 안에 증가된다. 다음의 설명에 리젝트 구획(116)의 출구 구획(121) 안에 센서를 위치시킴에도, 그 대신에 센서(200)는 리젝트 구획(116)의 입구 구획(119) 안에 위치될 수 있다.
센서 및 제어 유닛의 결합은 출구 구획(121)에서 리젝트 구획(116) 안에 모이는 액체의 깊이를 효율적으로 및 연속적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가능한 일 실시에 따라, 센서 및 제어 유닛은 출구 구획 안으로 리젝트 구획 둑(117)을 너머 흐르는 액체의 깊이를 효율적으로 및 연속적으로 결정할 것이다. 센서는 둑(117) 그 자체에 부착되거나 리젝트 구획(116)의 출구 구획(121) 안에 리젝트 구획 둑(117) 위로 리젝트 구획(116)의 벽들 중 하나에 부착되는 초음파 레벨 변환기 센서일 수 있다. 적절한 센서의 예는 모델 번호 UB300-18GM40-I-V1, Pepperl+Fuchs 로부터 18㎜ 직경 원통형 아날로그 출력 초음파 센서일 수 있다. 그러한 센서는 4-20㎃ 출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는 제어 유닛 안에 설치될 수 있다. 만약 센서(200)가, 도 2의 브라켓(bracket; 210)에 의해서와 같이, 둑(117) 그 자체에 부착된다면, 작업자가 리젝트 구획 둑(117)의 높이를 높이거나 더 낮춘다면, 센서(200) 및 리젝트 구획 둑(117) 사이의 참조 거리는 둑(117)의 높이 변화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다.
제어 유닛(202)은 필터링 챔버(100) 안으로 가스 공급 시스템(122)으로부터 방출되는 가스의 양을 제어하는 가스 밸브(130) 및/또는 가스 공급원(124)과 예를 들어 전기적인 접촉으로 통할 수 있다. 제어 유닛(202)은 리젝트 구획(116) 안에 리젝트 혼합물의 양을 결정하는 받은 신호들을 센서로부터 받고 처리하도록 센서(200)와, 예를 들어 전기적인 접촉으로, 또한 통할 수 있다. 센서는 리젝트 구획 둑(117)에 접해 있는 출구 구획(121) 안에 현재의 리젝트 혼합물 깊이를 연속적으로 판독하도록 제어 유닛 안에 설치될 수 있다. 구획 안에 리젝트 혼합물의 결정된 양으로부터, 제어 유닛(202)은 입상 매체가 가스 공급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적합한 리프트에 의해 적합하게 리프트 되는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구조에 따라, 제어 유닛(202)은 적합한 리프트가 센서로부터 미리 정해진 기준점(threshold)까지 판독하는 센서를 비교함에 의해 제공되는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적합한 리프트”는 여과액 안으로 현탁 물질의 지나친 양들의 방출 (즉, 돌파구)이 피해지도록 입상 매체의 베드에 가스 공급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리프트의 양일 수 있다. 적합한 리프트의 예들은, 입상 매체 베드의 상부 및 바닥 사이 압력 차이가 (10, 15, 20, 30 psi 또는 그것들 사이 정수 같은) 미리 정해진 범위 안에 있도록, 또는 (5, 10, 20, 25, 30% 또는 그것들 사이 정수 같은) 입상 매체의 미리 정해진 비율이 움직이는 채로 있도록, 가스 공급 시스템의 작동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유닛은 리젝트 구획(116)의 출구 구획(121) 안 리젝트 혼합물의 레벨이 미리 정해진 기준점보다 위에 있을 때 적합한 리프트가 가스 공급 시스템(122)에 의해 제공되지 않는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기준점은 센서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에 있을 수 있다. 가능한 일 실시에 따라, 기준점은 센서로부터 둑(117)의 상부 등의 아래에 있는 출구 구획(121) 안에 리젝트 혼합물의 받아들일 수 있는 레벨까지의 수직거리일 수 있다. 제어 유닛(202)은 만약 적합한 리프트가 가스 공급 시스템(122)에 의해 제공되지 않는다면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필터링 챔버(100) 안 입상 매체에 반복된 가스 폭발들을 제공하는 가스 공급 시스템(122)을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제어 유닛(202)은 적합한 리프트가 가스 공급 시스템(122)에 의해 제공되지 않는다면 미리 정해진 많은 시간 동안 필터링 챔버 안 입상 매체에 반복된 가스 폭발들을 제공하는 가스 공급 시스템(122)을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가스 공급 시스템(122)의 작동은 (예를 들어, 만약 가스 공급원(124)이 가스 펌프라면) 가스 공급원(124)의 작동 및/또는 가스 제어 밸브(130)의 작동을 통해 제어 유닛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적합한 리프트가 제어 유닛(202)에 의해 취해진 교정하는 조치들 이후 (예를 들어, 가스 공급 시스템이 미리 정해진 많은 시간들 동안 필터링 챔버 안 입상 매체에 반복된 가스 폭발들을 제공한 이후) 가스 공급 시스템(122)에 의해 제공되지 않는다면, 제어 유닛은 경보(204)를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 유닛(202)은 중앙 처리 유닛(CPU), 읽기 전용 기억 장치(ROM), 임의 추출 기억 장치(random access memory), 입력/출력 인터페이스((I/O interface), 계수기, 및 하나 이상의 타이머들을 포함하는 마이크로컴퓨터(microcomputer)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그 대신에 또는 게다가, 제어기는 다수의 마이크로 컴퓨터들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제어 유닛(202)은 여기에 나타내진 그것의 명령들을 실시하도록 필요한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구조는 적어도 다음의 단계들을 실행할 수 있다. 제어 유닛(202)은 센서(200)에서 하나 이상의 기준점들까지 판독한 것들을 비교하여 존재하는, 예를 들어 몇 초 같이, 기간 안에 기능하지 않는 에어리프트를 탐지한다. 제어 유닛(202)은 1, 2, 3, 4, 또는 그 이상 초들 안에 같이, 적합한 에어리프트 기능을 회복하는 교정하는 작동들을 즉시 시작한다. 지정된 대기 시간 (예를 들어, 1, 2, 3, 4, 또는 이상 분들) 이후, 에어리프트가 적합한 기능을 회복하지 않는다면, 교정하는 작동들은 반복될 것이다. 이러한 단계들은 (예를 들어, 2, 3, 4, 5, 또는 그 이상 번처럼) 지정된 횟수로 반복될 것이다. 만약 에어리프트 작동이 이러한 반복들 이후 복구되지 않는다면, 경보(204)는 작업자로부터 물리적인 주의를 권하는 것이 유발될 것이다. 경보는 가정 경보 및/또는 가시 경보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 유닛(1')의 실시예는 도 2를 참조하여 아래에 설명된다. 이 실시예에서, 에어리프트 하우징(132')은, 도 1에 도시된 구조 안에 에어리프트 하우징(132) 안에 제공되는 오직 단일 공기 공급 라인만 대신에, 상부 공기 공급 라인(235) 및 하부 공기 공급 라인(245)을 구비한다. 두 개의 공기 공급 라인들은 에어리프트 바닥 분출과 관련된 문제들을 극복하기 위해 제공된다. 에어리프트 바닥 분출은 에어리프트 안에 모래들 및 고체들의 충돌에 의해 일어나며, 바람직하게, 에어리프트의 상부 밖으로 모두 나가는 것보다는, 에어리프트의 바닥 밖으로 방출하는 일부의 공중폭발을 야기한다. 이 실시예에 따라 두 개의 개별적인 공기 공급 라인들을 구비하는 것에 의해, 필터 베드 안으로 방출된 공기는 여과액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수처리 장치의 상부에 여과액 웅덩이 안으로 방출되고 매체로부터 제거되는 고체들의 영향을 줄일 것이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 충분한 필터 매체 이동이 수처리 탱크 안에 일어나는지 여부를 탐지하기 위해, 센서(255)는 리젝트 구획(116)의 둑(117) 위로 직접 위치된다. 게다가, 이 실시예에서, 수처리 탱크를 위해 현재의 수두손실을 결정하기 위해, 압력 변환기(265)가 공급 입구(109) 위에 제공된다. 더 추가적으로, 자동 밸브(275)는 리젝트 구획(116)의 출구(120)에 제공되어, 수처리 탱크로부터 리젝트 흐름의 재시작 동안 보통 일어나는 오염 물질의 레벨들의 증가를 제거 및/또는 감소시키기 위해, 특정 시간에 자동 밸브(275)는 개방되고 폐쇄된다. 제어 유닛(202')은 센서(255) 및 압력 변환기(265)로부터 정보를 받고, 자동 밸브(275)의 작동에 의해 제어한다. 모든 다른 고려들에서, 제어 유닛(202')은 도 1에 도시된 제어 유닛(202)과 유사하다.
보다 상세히, 수처리 유닛을 깨끗하게 하는 역류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가 DynaSand™ Filter같은 수처리 유닛을 위해 주기적인 에어리프트 작동을 시동할 때, 사용자들은 공중폭발 개시 이후 즉시 용납할 수 없게 높은 혼탁 스파이크(turbidity spike)를 때때로 경험한다. 수처리 유닛의 상부에 여과된 물의 체적에 의해, 30분 또는 이상과 비슷할 수 있는, 스파이크의 잔여 효과(after-effect) 동안 통과하도록 실행될 것이다. 이것은 용납될 수 없는 문제이며, 이 실시예에 설명된 대로 상부 및 하부 에어리프트 라인들의 사용은 이 문제를 극복하도록 작용한다.
이 실시예에서, 제2 공기 공급 라인은 각각의 에어리프트에 제공되어, 상부 공기 공급 라인은 하부 공기 공급 라인의 높이 위로 2 피트에 위치된다. 당업자들은 상부 및 하부 공급 라인들 사이 다른 높이 간격들이 (예를 들어, 6"내지 3' 높이 차이)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안에 남아 있는 동안 계획될 것이라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상위 공급 라인에 공중폭발을 처음 보내기 위해 공기 제어판을 프로그래밍하고, 하위 공급 라인에 보내진 폭발을 구비하는 것에 의해, 저항은 수처리 유닛의 상부에 에어리프트를 통해 공기 폭발들이 위로 오르는 것을 허용할 공기에 대해서 더 적게 할 것이다. 이런 방법으로, 에어리프트의 바닥 밖으로 공기의 파괴적인 폭파는 수처리 유닛들의 단일 공기 공급 라인과 비교하여 제거되거나 및/또는 최소화될 것이다.
종래의 수처리 유닛들에 비하여 더 나은 (예를 들어, 더 낮은) 리젝트율(reject rate)을 제공하도록 공중폭발들을 제공하는 것에, (예를 들어, 콤팩트 디스크 같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컴퓨터에 의해 수행되는) 제어의 작동을 도시하는 흐름도에 대응하는 도 3a 및 도 3b를 참조된다. 단계(3100)에서, 시스템 준비(setup)가 실행되어, 값들이 최대 수두손실 (최대_수두손실_설정_값, 최소값 10 인치 및 최대값 48 인치를 구비하는, 1 미터 탱크를 위한 수압의 24 내지 30 인치의 초기설정, 2 미터 탱크를 위한 수압의 30 내지 36 인치의 초기설정), 여과 사이 최대 시간 (예를 들어, 초기설정 12시간, 최소 1시간, 최대 48시간), 역류 타이머 (예를 들어, 초기설정 6시간, 최소 30분, 최대 12시간), 및 경보들 전에 폭발 계수기 (예를 들어, 초기설명 3, 최소 2, 최대 10)를 위해 설정된다. 이러한 값들은 수처리 유닛의 작업자에 의해 설정되고, 컴퓨터 키보다 또는 마우스를 통해, 또는 다른 입력 메커니즘들에 의해 입력시킬 수 있다.
단계(3110)에서, 탱크(100) 안으로 유출수의 수위가 여과액 둑 위에 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만약 그렇지 않다면, 시스템은 작동되도록 요구되지 않고 처리 흐름 루프(loop)들은 단계(3110)의 시작으로 돌아간다 (이러한 결정은 매 10초마다 같이, 주기적으로 이루어진다). 만약 그렇다면, 처리 흐름은 단계(3120)로 가서, 연속적인 역류 여과를 시작한다. 단계(3120)에서, 리젝트 밸브가 개방되고, 상부 폭발 솔레노이드가 개방되고 (상위 공급 라인 안으로 공기가 흐를 수 있도록), 상부 폭발 타이머가 시작되고 (초기설정 2.5초, 최소 1초, 최대 10초), 하부 폭발 지연 타이머가 시작되고 (초기설정 2초, 최소 1초, 최대 10초), 및 역류 타이머가 시작된다.
단계(3130)에서, 하부 폭발 지연 타이머의 경과 여부가 결정된다. 만약 그렇지 않다면, 처리 흐름 루프들은 단계(3130)의 시작으로 돌아간다 (이러한 결정은 매 10 밀리세컨드마다 같이, 주기적으로 이루어진다). 만약 그렇다면, 처리 흐름은 하부 공중폭발을 시작하는, 단계(3140)로 간다. 단계(3140)에서, 하부 공중폭발 솔레노이드가 개방되고 (하위 공급 라인 안으로 공기가 흐를 수 있도록), 정상적인 작동 솔레노이드가 개방되고, 및 하부 폭발 타이머가 시작된다 (초기설정 3초, 최소 1초, 최대 10초).
단계(3150)에서, 상부 폭발 타이머의 경과 여부가 결정된다. 만약 그렇다면, 처리 흐름은 단계(3160)로 가서, 상부 공중폭발 솔레노이드는 상부 공중폭발을 정지하도록 폐쇄시킨다. 만약 그렇지 않다면, 처리 흐름 루프들은 단계(3150)의 시작으로 돌아간다 (이러한 결정은 매 10밀리세컨드 마다 같이, 주기적으로 이루어진다).
단계(3170)에서, 하부 폭발 타이머의 경과 여부가 결정된다. 만약 그렇다면, 처리 흐름은 단계(3180)로 가서, 하부 공중폭발 솔레노이드는 하부 공중폭발을 정지하도록 폐쇄되고, 연속적인 역류의 정상적인 작동 지연 타이머가 시작된다 (초기설정 2분, 최소 10초, 최대 5분). 만약 그렇지 않다면, 처리 흐름 루프들은 단계(3170)의 시작으로 돌아간다 (이러한 결정은 매 10밀리세컨드 마다 같이, 주기적으로 이루어진다).
단계(3190)에서, 연속적인 역류의 정상 작동 지연 타이머의 경과 여부가 결정된다. 만약 그렇지 않다면, 처리 흐름 루프들은 단계(3190)의 시작으로 돌아간다 (이러한 결정은 매 10초마다 같이, 주기적으로 이루어진다). 만약 그렇다면, 처리 흐름은 단계(3200)로 진행된다.
단계(3200)에서, 필터 매체 이용의 탐지 여부가 결정된다. 예로써 및 제한되지 않고, 필터 매체 이동은 리젝트 둑 위에 직접적으로 위치된 초음파 레벨 변환기에 의해 탐지된다. 만약 그렇다면, 처리 흐름은 단계(3210)로 진행된다. 만약 그렇지 않다면, 처리 흐름은 단계(3220)로 진행된다. 단계(3220)에서, 폭발 계수기 값은 1씩 증가된다. 단계(3230)에서, 폭발 계수 값이 설정값(초기설정 6, 최소 3, 최대 10)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만약 그렇다면, 에어리프트 공정이 수처리 시스템을 적합하게 깨끗하게 하는 데 실패했다는 것을 관리자에게 알리기 위해, 연속적인 역류 필터 에어리프트 경보는 단계(3240)에 출력된다. 만약 그렇지 않다면, 폭발 시퀀스를 재시작하도록, 처리 흐름은 단계(3250)로 진행된다. 단계(3250)에서, 상부 폭발 솔레노이드가 개방되고, 상부 폭발 타이머가 시작되고(초기설정 2.5초, 최소 1초, 최대 10초), 하부 폭발 지연 타이머가 시작되고(초기설정 2초, 최소 1초, 최대 10초), 및 역류 타이머가 시작된다. 단계(3250) 이후, 처리 흐름은 단계(3110) 뒤로 진행된다.
6 같이, 미리 정해진 설정값으로 폭발 계수기 값을 설정하는 것에 의해, 에어리프트가 작동하는 것을 정지할 때 (그것이 그렇게 되도록 할 때), 이중 폭발 에어리프트 작동은 최대 5번 이상까지 (초기설정 총 6회, 최소 3회, 최대 10회) 반복될 것이다. 에어리프트가 여전히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다면 (도 2에 도시된 대로 리젝트 구획(116)의 둑(117) 너머 직접적으로 위치된 센서(255)에 의해 제공된 신호들에 근거하여 결정된 대로, 센서(255)는 가능한 일 실시에서 초음파 레벨 변환기에 대응할 것이다), 경보가 출력되어 (단계(3240)에서), 작업자 또는 관리자에게 실패를 알리고, 추가적인 교정하는 작동이 요구된다.
단계(3210)에서, 역류 타이머의 경과 여부가 확인된다. 만약 그렇다면, 처리 흐름은 단계(3260)로 진행되고, 만약 그렇지 않다면, 처리 흐름은 단계(3270)로 진행된다. 단계(3270)에서, 폭발 계수기는 0으로 되고, 처리 흐름은 단계(3200)로 진행된다. 단계(3260)에서, 수두손실이 미리 정해진 시간 (예를 들어, 1분, 최소 5초, 최대 2분) 보다 더 오랫동안 최대 수두손실 설정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예로써 및 제한되지 않고, 수두손실은 공급 입력 경로 상에 제공되는 압력 변환기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만약 수두손실이 최대 수두손실 설정값을 초과한다면, 처리 흐름은 단계(3265)로 진행되어, 경보는 수두손실이 최대 수두손실 값을 초과한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해 출력되고, 처리 흐름은 폭발 계수기가 0인, 단계(3270)로 진행되고, 처리 흐름은 단계(3200)로 다시 진행된다. 만약 수두손실이 미리 정해진 시간보다 더 오랫동안 최대 수두손실 설정값을 초과하지 않는다면, 처리 흐름은 역류 시퀀스가 정지하는 단계(3280)로 진행된다. 단계(3280)에서, 정상적인 작동 솔레노이드가 폐쇄되고, 리젝트 정지 지연 타이머가 시작된다 (초기설정 2분, 최소 3초, 최대 5분).
단계(3285)에서, 리젝트 정지 지연 타이머의 경과 여부가 결정된다. 만약 그렇지 않다면, 처리 흐름 루프들은 단계(3285)의 시작으로 돌아간다 (이러한 결정은, 매 10밀리세컨드 마다 같이, 주기적으로 이루어진다). 만약 그렇다면, 처리 흐름은 리젝트 밸브가 폐쇄되는, 단계(3290)로 진행된다.
단계(3290)에서, 리젝트 값은 폐쇄되고, 여과 사이에 최대 타이머는 시작된다(초기설정 12시간, 최소 30분, 최대 48시간). 단계(3295)에서, 수두손실이 최대 수두손실 설정값을 초과하는지 여부가 결정된다. 만약 그렇다면, 처리 흐름은 단계(3130)로 진행된다. 만약 그렇지 않다면, 처리 흐름은, 여과 사이에 최대 타이머가 경과하는지 여부가 결정되는, 단계(3300)로 진행된다. 만약 단계(3300)에서 결정이 아니오 라면, 처리 흐름은 단계(3295)로 다시 진행된다. 만약 단계(3300)에서 결정이 예 라면, 처리 흐름은 단계(3110)로 진행된다.
위에 설명된 변수들을 위해 (예를 들어, 타이머 값들 및 계수기 값들 같은) 초기설정 값들은 실시예의 전형적인 실시를 위한 것이어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안에 남아있는 동안, 다른 변수들이 이 변수들을 위해 계획될 것이라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조절 유닛(202')은 중앙 처리 유닛(CPU), 읽기 전용 기억 장치(ROM), 임의 추출 기억 장치(random access memory), 입력/출력 인터페이스((I/O interface), 계수기, 및 하나 이상의 타이머들을 포함하는 마이크로 컴퓨터(microcomputer)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그 대신에 또는 게다가, 제어기는 다수의 마이크로 컴퓨터들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제어 유닛(202')은 여기에 나타내진 그것의 명령들을 실시하도록 필요한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는 제어 유닛(202')에 의해 접근될 수 있는, DVD 또는 CD-ROM 같은 만질 수 있는 저장 장치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나타내진 시스템 및 컴퓨터로 실행되는 방법은 연속적이고 확실한 에어리프트 작동을 유지하기 위해 입상 매체 필터 안 필터링 베드(filtering bed) 안 고장 난 에어리프트들에 대해 즉각적인 자동 탐지 및 교정을 제공한다. 또한, 그러한 즉각적이고 자동의 탐지 및 교정은 현장의 직원에 의해 현재 요구되는 노동 및 요구되는 경계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에어리프트들의 주기적인 작동과 결합하여 이중 에어리프트들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종래의 시스템들 너머 다양한 개선들은 예를 들어, a) 감소된 압축 공기 흐름, b) 공기 압축기 시스템 상 감소된 손상, c) 에어리프트들 상 감소된 손상, d) 감소된 전기/에너지 소비, e) 개선된 여과액 질, 및 f) 감소된 화학 제품 소비 및 비용을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공개에 의해, 당업자들은 본 발명의 범위 및 사상 안에 다른 실시예들 및 변형들이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 및 사상 안에 현재의 공개로부터 당업자에 의해 달성할 수 있는 모든 변형들은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들로서 포함될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다음의 청구항들 안에 설명된 대로 정의될 것이다.
1: 불순물을 포함하는 액체를 처리하는 장치
100: 필터링 챔버
102: 하부
104: 입상 매체
106: 여과액
107, 117: 둑
108: 여과액 구획
109: 입구
110, 120: 출구
112: 화살표
116: 리젝트 구획
118: 리젝트 혼합물
119: 입구 구획
121: 출구 구획
122: 가스 공급 시스템
132: 에어리프트 하우징
134: 입상 매체 와셔
136: 바닥 단부
138: 상단부
140: 입상 매체 입구
142: 입상 매체 출구
144: 동심의 스테이지들
146: 공급 파이프
148: 고리모양 파이프
150: 방사상 파이프들
200: 센서
202: 제어 유닛
206: 펌핑 시스템
208: 액체 공급원

Claims (20)

  1. 컴퓨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컴퓨터 프로그램은,
    a) 수처리 탱크가 역류(backwash) 공정을 필요로 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만약 그렇다면, 다음의 명령들을 수행함:
    a1) 상부 폭발 솔레노이드가 상기 수처리 탱크의 바닥 부분에, 제1 위치 및 제1 시점에서 제1 에어리프트 경로 안에 에어리프트 흐름을 시작하도록 지시하는 단계; 및
    a2) 하부 폭발 솔레노이드가 상기 수처리 탱크의 바닥 부분에, 제2 위치 및 제2 시점에서 제2 에어리프트 경로 안에 에어리프트 흐름을 시작하도록 지시하는 단계, 상기 제2 위치는 상기 제1 위치보다 아래이고 상기 제2 시점은 상기 제1 시점 이후임;
    를 수행하도록 상기 컴퓨터 프로세서를 야기하고, 상기 제1 및 제2 에어리프트 경로들 안 상기 에어리프트 흐름은 상기 수처리 탱크 내에 적절한 물 흐름을 가능하게 하는, 수처리 탱크와 연관된 리젝트율(reject rate)의 감소를 촉진시키는, 상기 역류 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2. 제1항에 있어서,
    a3) 리젝트 라인 상에 제공되는 리젝트 밸브에 정상적인 폐쇄 위치로부터의 개방을 지시하는 단계; 및
    a4) 공급 라인 안에 흐르는 물에 근거하여 수두손실 값을 가리키는 센서 신호를 받는 단계, 만약 상기 수두손실 값이 미리 정해진 수두손실 값보다 작다면, 상기 역류 공정을 정지함;
    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공급 라인 안 수위가 미리 정해진 높이보다 더 크다는 것을 가리키는 센서 신호를 받은 것에 의해 결정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4. 제2항에 있어서,
    a5) 폭발 계수기를 0으로 설정하는 단계;
    a6) 필터 매체 이동이 상기 수처리 탱크 안에 미리 정해진 양의 이동보다 위에 나타나는지를 가리키는 센서 신호를 받는 단계, 만약 그렇지 않다면, 다음 명령들을 수행함;
    a61) 상기 폭발 계수기를 증가시키는 단계;
    a62) 상기 폭발 계수기가 상기 폭발 계수기의 미리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만약 초과하지 않는다면, a1) 단계에서 시작하는 다른 역류 공정을 수행하고, 만약 초과한다면, 상기 리젝트율을 감소시키는 상기 역류 공정에서의 문제들을 가리키는 경보를 출력함;
    을 상기 컴퓨터가 더 수행하도록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에어리프트 흐름들은 미리 정해진 시간에 의해 제 시간에 겹쳐지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6. 제2항에 있어서,
    만약 상기 수두손실이 상기 미리 정해진 수두손실 값보다 작다면,
    a5) 상기 에어리프트에 완비된 가스 흐름의 정지를 지시하는 단계; 및
    a6) 상기 리젝트 밸브의 폐쇄를 지시하는 단계;
    를 상기 컴퓨터가 더 수행하도록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역류 공정은 상기 물탱크의 수두손실과 무관하게 단속적으로 수행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에어리프트 경로 안 상기 에어리프트 흐름을 시작하는 a1) 단계는 공기가 상기 수처리 탱크 내에 하부에서 상부까지 위로 흐르는 것을 허용하도록 상기 상부 폭발 솔레노이드에 신호를 보내는 것에 의해 완료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에어리프트 경로 안 상기 에어리프트 흐름을 시작하는 a2) 단계는 공기가 상기 수처리 탱크 내에 하부에서 상부까지 위로 흐르는 것을 허용하도록 상기 하부 폭발 솔레노이드에 신호를 보내는 것에 의해 완료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10. 제1항에 있어서,
    a12) 상기 상부 폭발 솔레노이드의 폐쇄 지시에 의해 상기 제1 에어리프트 경로 안 상기 에어리프트 흐름을 종료하는 단계; 및
    a22) 상기 하부 폭발 솔레노이드의 폐쇄 지시에 의해 상기 제2 에어리프트 경로 안 상기 에어리프트 흐름을 종료하는 단계;
    를 상기 컴퓨터가 더 수행하도록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11. a) 수처리 탱크가 역류 공정을 필요로 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만약 그렇다면, 다음의 명령들을 수행함;
    a1) 상기 수처리 탱크의 바닥 부분에, 제1 위치 및 제 1 시점에서 제1 에어리프트 경로 안에 에어리프트 흐름을 시작하는 단계; 및
    a2) 상기 수처리 탱크의 바닥 부분에, 제2 위치 및 제 2 시점에서 제2 에어리프트 경로 안에 에어리프트 흐름을 시작하는 단계, 상기 제2 위치는 상기 제1 위치보다 아래이고 상기 제2 시점은 상기 제1 시점 이후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에어리프트 경로들은 상기 수처리 탱크 내에 적절한 물 흐름을 가능하게 하는, 수처리 탱크와 연관된 리젝트율의 감소를 촉진시키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a3) 정상적으로 폐쇄된 위치로부터 리젝트 라인 상에 제공된 리젝트 밸브를 개방하는 단계; 및
    a4) 공급 라인 안에 흐르는 물에 근거하여 수두손실 값을 결정하는 단계, 만약 상기 수두손실 값이 미리 정해진 수두손실 값보다 작다면, 역류 공정을 정지함;
    를 더 포함하는, 수처리 탱크와 연관된 리젝트율의 감소를 촉진시키는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공급 라인 안 수위가 미리 정해진 높이보다 크다는 것을 가리키는 제1 센서 신호를 받는 것에 의해 결정되는, 수처리 탱크와 연관된 리젝트율의 감소를 촉진시키는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a5) 폭발 계수기를 0으로 설정하는 단계;
    a6) 필터 매체 이동이 상기 수처리 탱크 안에 미리 정해진 양의 이동보다 위에 나타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만약 그렇지 않다면 다음의 명령들을 수행함:
    a61) 상기 폭발 계수기를 증가시키는 단계;
    a62) 상기 폭발 계수기가 상기 폭발 계수기의 미리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만약 초과하지 않는다면, a1) 단계에 시작하는 다른 역류 공정을 수행함, 만약 초과한다면, 상기 리젝트율을 감소시키는 상기 역류 공정에서의 문제들을 가리키는 경고를 출력함;
    를 더 포함하는, 수처리 탱크와 연관된 리젝트율의 감소를 촉진시키는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에어리프트 흐름들은 미리 정해진 시간에 의해 제 시간에 겹쳐지는, 수처리 탱크와 연관된 리젝트율의 감소를 촉진시키는 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수두손실이 상기 미리 정해진 수두손실 값보다 작다면,
    a5) 상기 에어리프트에 완비된 가스 흐름을 정지하는 단계; 및
    a6) 상기 리젝트 밸브를 폐쇄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수처리 탱크와 연관된 리젝트율의 감소를 촉진시키는 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역류 공정은 상기 수처리 탱크의 수두손실에 무관하게 단속적으로 수행되는, 수처리 탱크와 연관된 리젝트율의 감소를 촉진시키는 방법.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에어리프트 경로 안 상기 에어리프트 흐름을 시작하는 a1) 단계는 공기가 상기 수처리 탱크 내에 하부에서 상부까지 위로 흐르는 것을 허용하도록 상부 폭발 솔레노이드에 신호를 보내는 것에 의해 완료되는, 수처리 탱크와 연관된 리젝트율의 감소를 촉진시키는 방법.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에어리프트 경로 안 상기 에어리프트 흐름을 시작하는 a2) 단계는 공기가 상기 수처리 탱크 내에 하부에서 상부까지 위로 흐르는 것을 허용하도록 하부 폭발 솔레노이드에 신호를 보내는 것에 의해 완료되는, 수처리 탱크와 연관된 리젝트율의 감소를 촉진시키는 방법.
  20. 제11항에 있어서,
    a12) 상기 제1 에어리프트 경로 안 상기 에어리프트 흐름을 종료하는 단계; 및
    a22) 상기 제2 에어리프트 경로 안 상기 에어리프트 흐름을 종료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수처리 탱크와 연관된 리젝트율의 감소를 촉진시키는 방법.
KR1020127019436A 2010-01-08 2010-08-02 불순물을 포함하는 액체를 처리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및 방법 KR2012011783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9350910P 2010-01-08 2010-01-08
US61/293,509 2010-01-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7836A true KR20120117836A (ko) 2012-10-24

Family

ID=4425771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9436A KR20120117836A (ko) 2010-01-08 2010-08-02 불순물을 포함하는 액체를 처리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및 방법
KR1020117008366A KR20120131086A (ko) 2010-01-08 2010-08-02 불순물 함유 액체 처리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8366A KR20120131086A (ko) 2010-01-08 2010-08-02 불순물 함유 액체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5) US8771521B2 (ko)
JP (2) JP2013516316A (ko)
KR (2) KR20120117836A (ko)
AR (2) AR077954A1 (ko)
AU (3) AU2010340292B2 (ko)
NZ (4) NZ601053A (ko)
SG (2) SG182339A1 (ko)
WO (2) WO20110841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97040B2 (en) 2007-09-19 2011-03-01 Blue Water Technologies, Inc. Washbox
US10702805B2 (en) 2007-09-19 2020-07-07 Nexom (Us), Inc. Washbox
WO2011057665A1 (en) * 2009-11-11 2011-05-19 Nordic Water Products Ab A method for the treatment of water and wastewater
NZ601053A (en) * 2010-01-08 2013-09-27 Parkson Corp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treating liquid containing impurities
KR20130027439A (ko) 2011-09-07 2013-03-15 코웨이 주식회사 연속 순환식 모래여과기 및 방법
JP2013144278A (ja) * 2012-01-16 2013-07-25 Takuma Co Ltd 移床式砂ろ過装置およびその運転方法
US10059613B1 (en) * 2012-07-23 2018-08-28 Peter F. Santina Removal of contaminants from water
US20170080360A1 (en) 2014-05-21 2017-03-23 Nexom (U.S.), Inc. Energy reduction and monitoring control system for backwashing media systems
KR101434825B1 (ko) 2014-06-03 2014-09-24 주식회사 화일씨앤이 상향류식 모래여과기
US10343088B2 (en) 2015-02-27 2019-07-09 Recovered Energy, Inc. Liquid refinement
US10343089B2 (en) 2015-02-27 2019-07-09 Recovered Energy, Inc. Liquid refinement
MX2017010900A (es) 2015-02-27 2018-05-28 Recovered Energy Inc Refinamiento de liquidos.
WO2017007307A1 (en) * 2015-07-03 2017-01-12 Paques I.P. B.V. Apparatus and method for purification of a fluid by means of a filter bed
CN106731057B (zh) * 2016-12-23 2019-05-31 海南绿藻世界生物科技有限公司 反冲式砂滤池
EP3787902B1 (en) * 2018-04-28 2023-07-0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ispersing concentrated printing fluids
WO2019221663A1 (en) * 2018-05-18 2019-11-21 Nordic Water Products Ab Continuous sand filter
CN109954299B (zh) * 2019-03-20 2021-07-27 河南倍杰特环保技术有限公司 一种提标装置
CN111773780B (zh) * 2020-06-19 2022-03-04 甘肃普罗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酪蛋白生产线用高效率自来水过滤器
JP7237888B2 (ja) * 2020-07-13 2023-03-13 株式会社タクマ ろ過装置、及びろ過装置の運転方法
US20220274035A1 (en) * 2021-02-26 2022-09-01 Saudi Arabian Oil Company Automatic sand filter system controller
WO2023118145A1 (de) * 2021-12-21 2023-06-29 Wte Wassertechnik Gmbh Verfahren zur entfernung von nitrat aus membranfiltrationskonzentraten
EP4344761A1 (en) * 2022-09-30 2024-04-03 FCC Aqualia, S.A. Washing device for filter media in continous backwash sand filters and method of use

Family Cites Families (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65535A (en) * 1972-02-17 1973-10-16 Gen Filter Co Aeration device for filter tanks
JPS5175557A (ko) * 1974-12-26 1976-06-30 Yokogawa Electric Works Ltd
US4206522A (en) * 1975-12-15 1980-06-10 Baker William H Automated surge weir and rim skimming gutter flow control system
SE396552B (sv) * 1976-03-03 1977-09-26 Nordstjernan Rederi Ab Forfarande for filtrering av en suspension eller emulsion samt filtreringsapparat for utforande av forfarandet
US4051032A (en) * 1976-05-21 1977-09-27 Environmental Filtration Products, Inc. Water treatment system
SE429128B (sv) * 1976-11-29 1983-08-15 Nordstjernan Rederi Ab Forfarande for separering av fororeningar i vattensuspensioner eller -emulsioner
SE8002255L (sv) * 1979-04-03 1980-10-04 Gimag Ag Anordning for regenererande rening av en av kornformigt material bestaende filterbedd
JPS5717820A (en) * 1980-07-08 1982-01-29 Fuji Electric Co Ltd Ultrasonic wave level meter
FR2508338B1 (fr) * 1981-06-25 1987-09-18 Degremont Filtre a remplissage de materiau granulaire
US4676914A (en) * 1983-03-18 1987-06-30 North Coast Systems, Inc. Microprocessor based pump controller for backwashable filter
JPS60110307A (ja) * 1983-11-21 1985-06-15 Tsukishima Kikai Co Ltd 移床式連続濾過器の運転方法
US4578186A (en) * 1984-09-04 1986-03-25 Morin Thomas M Swimming pool filter system
JPS6268507A (ja) * 1985-09-24 1987-03-28 Amuusu Sangyo Kk 連続濾過装置
JPS6377508A (ja) * 1986-09-20 1988-04-07 Akashi Jiyouka:Kk 移動床式水処理装置
JPS6366109U (ko) * 1986-10-16 1988-05-02
JPH0312322Y2 (ko) * 1987-08-04 1991-03-25
JPH0386004U (ko) * 1989-12-20 1991-08-30
JP2529664Y2 (ja) * 1990-06-07 1997-03-19 アクセル・ヨンソン・エンジニアリング・アーベー 懸濁液又は乳濁液の濾過装置
JPH0433906U (ko) * 1990-07-13 1992-03-19
JPH0522005U (ja) * 1991-09-05 1993-03-23 株式会社スイレイ 砂濾過装置に装備される濾床濾材の向流方向に噴射されるエアー供給装置
US5252230A (en) * 1991-10-25 1993-10-12 Karl Dunkers Granulated filter for the filtration of fine graded suspensions
JP2859027B2 (ja) * 1992-05-07 1999-02-17 三菱電機株式会社 論理回路合成装置
US5468397A (en) * 1993-03-16 1995-11-21 Memtec America Corporation Gas backwash of pleated filters
US5582722A (en) 1994-12-13 1996-12-10 Ashbrook-Simon-Hartley Corporation Continuous self-cleaning filtration unit
JPH08196819A (ja) * 1995-01-27 1996-08-06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移床式上向流ろ過装置
JPH0994407A (ja) * 1995-10-02 1997-04-08 Sumikura Ind Co Ltd 連続砂濾過装置
JP3903510B2 (ja) * 1996-06-27 2007-04-11 株式会社石垣 移動ろ床式ろ過装置
JPH1028810A (ja) * 1996-07-17 1998-02-03 Toa Harbor Works Co Ltd 水質浄化方法および装置
JPH11197410A (ja) * 1998-01-19 1999-07-27 Minoru Tsuchiya 移床式洗浄による固定床ろ過装置
JP2000202209A (ja) * 1999-01-20 2000-07-25 Japan Organo Co Ltd 濾過方法および濾過装置
US20020030020A1 (en) * 2000-03-13 2002-03-14 Jack Moorehead Efficient and economical use of activated carbon for treating chemical-contaminated drinking water
US6426005B1 (en) 2000-04-18 2002-07-30 Parkson Corporation Sequential descending bed filters with reject/washwater containing impurities being fed to a separate unit for elimination of impurities
JP2002126408A (ja) * 2000-10-30 2002-05-08 Ebara Corp 移床式上向流濾過装置の濾粒材ブリッジ防止機構
JP4454179B2 (ja) * 2001-05-11 2010-04-21 水道機工株式会社 横流型移動床式ろ過装置
JP3809648B2 (ja) * 2002-01-31 2006-08-16 株式会社石垣 移動ろ床式ろ過装置
US7319921B2 (en) * 2002-05-22 2008-01-15 Underwood Fred R Water treatment control system
CN1856450A (zh) * 2003-09-23 2006-11-01 3M创新有限公司 减压水过滤系统
US7381336B2 (en) * 2003-10-14 2008-06-03 Mm Filtration Company Automated water treatment system and method of use
US20060081533A1 (en) 2004-10-16 2006-04-20 Khudenko Boris M Batch-continuous process and reactor
US20070210012A1 (en) 2006-03-09 2007-09-13 Energy & Environmental Research Center Foundation Wet solids removal and separation system
KR101432025B1 (ko) 2006-05-10 2014-08-20 파크슨 코포레이션 분리처리부를 사용하여 연속 필터로부터의 거절물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방법 및 장치
US7897040B2 (en) * 2007-09-19 2011-03-01 Blue Water Technologies, Inc. Washbox
NL2001166C2 (nl) * 2008-01-08 2009-07-13 Pacques Bv Inrichting voor het reinigen van een vloeistof middels een filterbed alsmede werkwijze voor het bepalen van de mate van beweging van het filterbed.
JP4917073B2 (ja) * 2008-06-02 2012-04-18 住友重機械エンバイロメント株式会社 移動床式砂ろ過装置
US8246818B2 (en) * 2009-04-24 2012-08-21 Korzeniowski Jan A Syphon filtration system
NZ601053A (en) 2010-01-08 2013-09-27 Parkson Corp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treating liquid containing impuriti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84173A1 (en) 2011-07-14
US20140284283A1 (en) 2014-09-25
AU2016204654A1 (en) 2016-07-21
AU2016204654B2 (en) 2018-05-31
SG182364A1 (en) 2012-08-30
US8658031B2 (en) 2014-02-25
AR077953A1 (es) 2011-10-05
AR077954A1 (es) 2011-10-05
AU2010340292A1 (en) 2012-07-26
NZ601053A (en) 2013-09-27
US8771521B2 (en) 2014-07-08
NZ601052A (en) 2014-05-30
US20110168615A1 (en) 2011-07-14
US10112847B2 (en) 2018-10-30
AU2010340333B2 (en) 2016-07-28
US20110168641A1 (en) 2011-07-14
JP2013516317A (ja) 2013-05-13
KR20120131086A (ko) 2012-12-04
US20110168643A1 (en) 2011-07-14
US8696896B2 (en) 2014-04-15
JP2013516316A (ja) 2013-05-13
AU2010340333A1 (en) 2012-07-26
WO2011084172A1 (en) 2011-07-14
SG182339A1 (en) 2012-08-30
AU2010340292B2 (en) 2015-05-14
NZ623725A (en) 2015-10-30
US20140216995A1 (en) 2014-08-07
NZ713066A (en) 2016-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17836A (ko) 불순물을 포함하는 액체를 처리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및 방법
JP5833493B2 (ja) バラスト水処理用多筒型自動逆洗式ストレーナ
TW202120167A (zh) 再生媒介過濾器空氣沖洗設備及方法
US523460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permeability of a traveling bridge filter system
KR101537784B1 (ko) 급속 여과지 자동 운전장치
US11198075B2 (en) Energy reduction and monitoring control system for backwashing media systems
CN115364536A (zh) 一种滤池反冲洗系统、滤池系统以及反冲洗方法
KR101320304B1 (ko) 유량 모니터링을 이용한 샌드 필터 자동 역세 장치
KR101741156B1 (ko) 배압형성을 방지하는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
KR20160066098A (ko) 역세척수 잔류염소 모니터링 및 역세척 배출수의 잔류염소 제거가 가능한 분리막 역세척 장치 및 방법
JP7259538B2 (ja) 液体濾過器
WO2006031086A2 (en) System for automatically filtering floating material from wastewater
JPH0857211A (ja) 濾過装置における濾材の再生方法
JP2002066211A (ja) 吸着ろ過槽の洗浄装置及び洗浄方法
KR101255235B1 (ko) 가변펌프를 사용한 용수여과시스템
WO2015052906A1 (ja) ろ過装置
US20230365429A1 (en) Method and packaged system for filtering water
RU2243022C1 (ru) Фильтрационная установка
JPH06315690A (ja) 浴槽湯の清浄化装置
JPH04305210A (ja) クロスフロー型固液分離装置
JP2007147508A (ja) レベル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