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2025B1 - 분리처리부를 사용하여 연속 필터로부터의 거절물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분리처리부를 사용하여 연속 필터로부터의 거절물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2025B1
KR101432025B1 KR1020087029428A KR20087029428A KR101432025B1 KR 101432025 B1 KR101432025 B1 KR 101432025B1 KR 1020087029428 A KR1020087029428 A KR 1020087029428A KR 20087029428 A KR20087029428 A KR 20087029428A KR 101432025 B1 KR101432025 B1 KR 1014320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treatment
reject
rejection
efflu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9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9709A (ko
Inventor
브렛 헌트 보이드
월터 앤드류 모라카
도미닉 에드거 얀센
Original Assignee
파크슨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크슨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파크슨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900297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97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2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20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07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in series conn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B01D24/1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held in a closed container
    • B01D24/16Upward filtration
    • B01D24/167Upward filtration the container having distribution or collection headers or pervious cond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28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moving during the filtration
    • B01D24/30Trans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6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4/4668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by moving the filtering element
    • B01D24/4689Displacement of the filtering material to a compartment of the filtering device for regener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 Water (AREA)

Abstract

개시된 방법 및 장치는 액체를 정화하기 위한 순차 필터들의 사용을 수반한다. 이 순차 필터들은 각각 거절물을 생성할 수 있는데, 이 거절물들은 각각의 처리장치에서 개별적으로 처리되며, 이 처리장치는 이 장치가 처리하는 특정 거절물에 맞게 미세 조정될 수 있다. 다른 방식으로서, 상기 제 1 거절물이 처리되는 동안 상기 제 2 거절물은 처리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거절물들(처리되거나 처리되지 않은 거절물들)은 혼합유동물로 혼합된 후 상기 순차 필터로 순환될 수 있다.
액체 정화, 필터, 거절물, 분리처리, 불순물

Description

분리처리부를 사용하여 연속 필터로부터의 거절물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Impurities in Rejects from Sequential Filters Using Separate Treatment Units}
본 출원은 2006년 5월 10일 출원된 미합중국 가출원 제60/799,003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는데, 그 전체 내용을 여기서 참조하여 채용한다.
본 발명은 수/폐수의 처리에 관한 것으로, 특히 2단계로 연속적으로 동작하는 입상매질 여과시스템의 각 단계로부터의 거절물을 개별적으로 처리하여 수/폐수로부터 불순물 및/또는 오염물을 제거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많은 도시용수 및 산업용수 처리시스템과 관련하여, 수/폐수를 정화할 필요가 있다. 그 일 예는 지표수로부터 음료수를 생산하는 음료수 시스템이 될 수 있다. 다른 예는 폐수를 처리하여 산업용, 관개용 등의 목적으로 방출하거나 재사용할 수 있게 할 필요가 있는 도시폐수 처리시스템이 될 수 있다. 이런 처리된 물을 사용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폐수로부터 병원균, 원생동물, 인 및 그 외의 오염물을 재거할 필요가 있다 . 또한, 크립토스포리듐(Cryptosporidium) 및 지아르디아(Giardia) 및 그 접합자낭(oocyst) 및/또는 낭포(cyst) 등의 유기물을 이 수/폐수(본 발명의 장치 및 방법으로 불순물을 함유하는 어떤 종류의 물이나 액체도 처 리할 수 있지만 이하에서는 폐수라고 한다)로부터 제거할 필요가 있다.
정화공정에서 폐수는 침전 및 응집 처리를 받을 수 있다. 여기서, 종래의 화학처리에는 폐수를 스터러(stirrer) 또는 에지테이터(agitator)로 교반하는 하나 이상의 응집조를 포함할 수 있다. 그 후, 폐수는 적절한 화학약품을 첨가한 후에 하나 이상의 침전지를 통과한다. 종래의 화학처리공정의 결점 중의 한가지는 응집조 및 침전지에 큰 지역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종래의 화학처리법의 또 다른 결점은 오랜 시간동안 물이 침전지 뿐만 아니라 응집조에 남아있어야 하는 것이다.
화학처리공정에서 응집조 및 침전지를 단독으로 사용하면 통상적으로 많은 용도에 적합한 충분히 높은 순도의 물이 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처리중의 물의 순도를 높이기 위해 화학처리단계의 종료시에 입상매질필터를 부가할 수 있다. 이런 필터 내의 모래도 깨끗하여야 한다. 이런 필터의 일부는 자주 역류세정(back-washing)하여 모래를 깨끗하게 한다. 여과단계의 중단을 피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두 개의 모래필터를 평행하게 제공하는데, 그 중 하나를 사용하는 동안 다른 것은 역류세정하도록 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미합중국 특허 제4,126,546호 및 제4,197,201호에 개시된 타입의 연속동작형 모래필터를 이용한다면 개별적으로 동작하는 두 개의 서로 다른 모래필터의 사용을 피할 수 있다. 이런 모래필터에서는 필터가 동작하는 동안에 여과층(filter bed)이 연속적으로 청정처리된다. 여기서, 가장 더러운 모래를 여과층로부터 꺼내어 세정한 다음 여과층의 상기 청정처리된 부분으로 복귀시킨다. 이렇게, 필터를 역류세정 작업으로부터 꺼낼 필요가 없다. 유사한 타입의 연속동작 모래필터도 미합 중국 특허 제4,246,102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 특허에 개시된 바와 같이, 액체는 모래필터에서 처리되기 전에 화학약품으로 처리된다.
미합중국 특허 제4,246,102호에 나타내어져 있는 것처럼, 화학처리하면서 연속적으로 동작하는 모래필터를 사용하면 여과단계에 보유되는 액체 용량을 종래의 공정에 필요한 용량의 약 1/10로 줄일 수 있다. 그 결과, 이 단계에 필요한 면적이 감소되고 액체가 여과단계를 통과하는 속도가 높아진다.
처리중의 물의 순도레벨을 더욱 높이기 위해서는 두 개의 연속적으로 동작하는 모래필터가 연속적으로 동작하여 제 1 모래필터에서 나온 여액이 제 2 모래필터의 투입물으로서 도입될 수 있다. 이런 연속모래필터는 성공적으로 동작하였지만 이들 필터로부터 나온 거절물의 양과 그 속의 불순물의 양 때문에 거절물을 처분하기가 어렵고 비용이 많이 든다.
모래필터 용도의 다른 예는 미합중국 특허 제5,843,308호에 개시된 폐수관리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은 두 개의 연속적으로 동작하는 모래필터를 포함하는데, 이들 모래필터는 인, 병원균 및 원생동물(예를 들어, 크립토스포리듐 및 지아르디아)을 제거하거나 상당히 줄이기 위해 연속하여 동작한다. 제 2 모래필터로부터 거절된 물은 제 1 모래필터의 유입액으로 복귀되고, 제 1 모래필터에서만 나온 거절수는 폐수로 향하게 된다.
폐수처리시스템의 다른 예는 미합중국 특허 제6,426,005호에 개시되어 있는데, 여기서 두 개의 연속동작형 입상매질 필터가 연속적으로 함께 동작한다. 이 특허에서는 처리할 폐수가 제 1 입상매질필터 속에 유입물로서 도입되어 그 속에서 처리된다. 제 1 필터는 처리된 폐수 또는 유출물과 제 1 입상매질 필터 내의 입상매질층으로부터 분리된 불순물을 함유하는 제 1 거절물을 생성한다. 제 1 필터에서 나온 유출물은 제 2의 연속동작 입상매질필터에서 더욱 여과되어 최종 유출물이 생성된다. 제 2 입상매질필터로부터 방출된 제 2 거절물은 제 2 입상매질필터 내의 입상층으로부터 분리된 불순물을 함유한다. 제 1 및 제 2 거절물 내의 오염물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적어도 한 처리단계에서 제 1 및 제 2 거절수가 혼합된다.
미합중국 특허 제6,426,005호의 한 결점은 제 1 및 제 2 거절수가 서로 다른 화학조성 또는 불순물 레벨을 가질 수 있는데, 이는 서로 다른 처리법을 요구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각 거절스트림의 특성에 맞게 처리를 미세 조정할 수 있도록 제 1 및 제 2 거절물의 처리를 개량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폐수나 기타 액체를 처리하기 위한 새로운 개량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처리중의 폐수나 그 외의 액체로부터 오염물(예를 들어, 병원균, 원생동물 및 인)을 제거한 후 이 오염물을 개별적으로 처리하는 폐수 또는 그 외의 액체를 처리하기 위한 새로운 개량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또 다른 목적은 연속적으로 순차 동작하는 모래필터 등의 한 쌍의 필터내의 불순물 및/또는 오염물로부터 불순물 및/또는 오염물을 분리하고 각 필터로부터 나온 거절물을 개별적으로 처리하는 폐수 또는 그 외의 액체를 처리하기 위한 새로운 개량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불순물을 갖는 액체의 처리방법으로서, 이 방법은 불순물을 갖는 액체를 제 1 유입물로서 제 1 필터에 공급하는 단계; 상기 제 1 유입물을 상기 제 1 필터에서 여과하여 제 1 유출물 및 제 1 거절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유출물을 제 2 유입물로서 제 2 필터에 공급하는 단계; 상기 제 2 유입물을 상기 제 2 필터에서 여과하여 제 2 유출물 및 제 2 거절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거절물을 제 1 거절물처리하여 제 1 처리거절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 2 거절물을 제 2 거절물처리하여 제 2 처리거절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처리거절물과 상기 제 2 처리거절물을 혼합하여 혼합처리거절물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처리거절물을 상기 제 1 필터 속으로 공급하는 단계, 예를 들어 상기 혼합처리거절물을 상기 제 1 유입물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필터는 연속적으로 역류세정되는 상향류 입상매질필터이거나 그 외의 공지된 타입의 필터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입상매질필터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제 1 및 제 2 입상매질필터의 각각의 필터매질로서 모래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거절물처리는 동일한 처리 또는 서로 다른 처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거절물처리는 중력분리, 여과, 2단 또는 다단 여과, 막여과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되는 처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불순물을 갖는 액체의 처리방법은 불순물을 갖는 액체를 제 1 유입물로서 제 1 필터에 공급하는 단계; 상기 제 1 유입물을 상기 제 1 필터에서 여과하여 제 1 유출물 및 제 1 거절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유출물을 제 2 유입물로서 제 2 필터에 공급하는 단계; 상기 제 2 유입물을 상기 제 2 필터에서 여과하여 제 2 유출물 및 제 2 거절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거절물을 제 1 거절처리하여 제 1 처리거절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처리거절물과 상기 제 2 미처리거절물을 혼합하여 처리거절물 및 미처리거절물의 혼합거절물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처리 및 미처리 혼합거절물을 상기 제 1 필터 속으로 공급하는 단계, 예를 들어 상기 처리 및 미처리 혼합거절물을 상기 제 1 유입물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필터는 연속적으로 역류세정되는 상향류 입상매질필터이거나 그 외의 공지된 타입의 필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거절물처리는 중력분리, 여과, 2단 또는 다단 여가, 막여과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처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불순물을 갖는 액체의 처리장치는 제 1 필터, 제 2 필터, 처리부 및 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필터는 불순물을 갖는 액체가 제 1 유입물로서 유입되는 제 1 필터 입구, 제 1 유출물이 유출되는 제 1 필터 출구, 및 제 1 거절물이 유출되는 제 2 필터 출구를 포함하는 제 1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필터는 상기 제 1 필터의 제 1 필터 출구와 유체 연통되어 상기 제 1 유출물이 제 2 유입물로서 유입되는 제 2 필터 입구, 제 2 유출물이 유출되는 제 3 필터 출구, 및 제 2 거절물이 유출되는 제 4 필터 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 1 필터의 제 2 필터 출구와 유체 연통되는 처리 입구 및 처리된 거절물이 유출되는 처리물 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합부는 상기 처리부의 처리물 출구 및 상기 제 2 필터의 제 4 필터 출구와 유체 연통되는 하나 이상의 조합 입구, 및 상기 제 1 필터의 제 1 필터 입구와 유체 연통되며 혼합거절물이 상기 제 1 필터 속으로 유출되어, 예를 들어 상기 혼합거절물의 유출물이 상기 제 1 유입물과 혼합될 수 있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조합 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필터의 제 4 필터출구와 유체 연통되는 제 2 처리물 입구 및 제 2 처리거절물이 유출되는 제 2 처리물 출구를 포함하는 제 2 처리부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 2 처리물 출구는 상기 조합부의 적어도 하나의 조합 입구와 유체 연통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합 출구에서는 혼합처리거절물이 유출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처리부는 동일한 타입이거나 서로 다른 타입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필터는 연속적으로 역류세정되는 상향류 입상매질필터이지만 다른 공지의 타입의 필터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일반적인 설명과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모두 예시 및 설명을 위한 것일 뿐 청구범위의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특징, 관점 및 이점들은 이하의 설명, 첨부 특허청구범위 및 도면에 도시하는 실시예로부터 명백하게 될 것인데, 이들 도면을 이하에 간단히 설명한다.
도 1은 모래필터의 동작을 식별할 수 있도록 외측 하우징의 일부가 절제된 종래의 폐수처리용 연속동작 모래필터의 사시도를 보여준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수터리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여준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폐수처리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여준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가의 기계적 처리장치를 구비한 폐수처리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여준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가의 기계적 및 생물학적 처리장치를 구비한 폐수처리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여준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가의 기계적, 생물학적 및 화학적 처리장치를 구비한 수/폐기물처리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여준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추가의 기계적 처리장치를 구비한 폐수처리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여준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추가의 기계적 및 생물학적 처리장치를 구비한 폐수처리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여준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추가의 기계적, 생물학적 및 화학적 처리장치를 구비한 수/폐기물 처리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여준다.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폐수의 처리에서 사용되는 종래의 연속동작형 모래필터(30)를 보여준다. 이런 모래필터(30)는 미합중국 특허 제4,126,546호, 제4,197,201호, 제4,246,102호 및 제6,426,005호에 개시된 일반형의 것으로서, 상기 특허들의 개시내용을 여기서 참조하여 채용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두 개의 이런 모래필터(30)는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필터에 대한 개개의 처리장치와 함께 순차 동작할 수 있다.
모래필터(30)는 상단부(36)로부터 깔때기형 바닥부(38)까지 연장되는 통상의 원통형 외측벽(34)을 갖는 외측하우징 또는 탱크(32)를 포함한다. 이 탱크(32)는 스탠드 조립체(40)에 지지되므로 도면중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탱크(32)가 수직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스탠드 조립체(40)는 외측벽(34)으로부터 깔때기형 바닥부(38) 주위로 연장된다. 상기 모래필터(30)는 입구(42)와 출구(44,46)를 포함한다. 화살표(48)로 나타낸 바와 같이, 미처리 폐수는 입구(42)를 통하여 모래필터(30)의 탱크(32) 속으로 유입된다. 화살표(50)는 처리 폐수가 어떻게 출구(44)로부터 방출되는지를 나타내며 화살표(52)는 모래필터(30)로부터 나온 거절물이 어떻게 출구(46)로부터 방출되는지를 나타낸다.
처리 폐수(유입물)는 입구(42)를 통해 도입되며 화살표(48)의 방향으로 입구(42) 속으로 유입된다. 유입물은 입구(42)로부터 입구관 또는 공급관(54)을 통하여 유동하며, 상기 입구관 또는 공급관은 대각선방향으로 배향된 관부(56)와 중앙 수직라이저(60)를 중심으로 동축상태로 연장되는 수직배향 관부(58)를 포함한 다. 유입물은 깔때기형 후드(66)의 상측부 바로 위나 상측부를 통해서 벽(34)의 하측부(64) 부근의 라이저(60)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분배후드(62)(도 1에 도시한 모래필터(30)에서는 분배후드(62) 중에서 6개만이 도시되어 있지만 모래필터(30)는 통상적으로 라이저(60) 주위로 균등하게 분배된 8개의 분배후드(62)를 포함할 것이다)까지 공급관(54)을 통하여 유동한다. 유입물은 화살표(68)로 나타낸 것처럼 분배후드(62)의 하측부로부터 탱크(32) 속으로 방출된다. 모래층(70)은 깔때기형 바닥부(38)로부터 대략 도면부호(72)로 나타낸 레벨까지 탱크(32)를 채우는 여과매질을 포함한다. 분배후드(62) 아래로부터 유입물이 방출되면 여과매질이 분배후드(62)의 출구와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런 배치에 의해, 출구에 근접한 여과매질에 의해 분배후드(62)의 출구가 막히는 위험이 감소된다. 또 화살표(68)로 나타낸 바와 같이, 유입물이 탱크(32) 속에서 상방향으로 상승하므로 모래층을 통하여 유동하게 될 것이다.
분배후드(62)로부터 방출되는 유입물은 모래층(70)을 통해 상승하며, 화살표(74)로 나타낸 바와 같이 여과매질이 탱크(32) 속에서 서서히 하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서 유입물의 여과가 일어나게 된다. 여과층(70)의 하측부 내에 분배후드(62)가 배치되면 유입물중의 부유물질의 대부분이 분배후드(62)가 배치된 레벨 근처에서 분리될 것이다. 그 결과, 여과매질의 대부분의 더러운 부분이 계속 하방으로 진행하므로 청정처리될 때까지는 더 이상 여과공정에 이용되지 않는다.
모래층(70) 내에서 여과매질이 서서히 하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은 라이저(60) 내에서 연장되는 에어리프트 펌프(76)에 의해 일어난다. 압축공기는 라이저(60)를 통해 하방으로 연장되는 급기라인(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라이저(60)의 바닥 근처의 에어리프트 펌프(76)의 76A에서 에어리프트 챔버로 공급된다. 이 공기는 76A에서의 에어챔버로부터 에어리프트 펌프(76) 속으로 도입된다. 에어리프트 펌프(76)는 그 동작 중에 액체, 공기 및 입상 여과매질의 혼합물을 포함할 것이다. 이 액체, 공기 입상 여과매질의 혼합물은 이 혼합물을 에어리프트 펌프(76) 내에서 상승시키는 주위의 액체보다 낮은 밀도를 갖는다. 이 혼합물이 에어리프트 펌프(76) 내에서 상승함에 따라서, 탱크(32)의 깔때기형 바닥부(38) 내의 모래층(70)의 바닥 부근의 여과매질 및 액체는 화살표(78)로 나타낸 것처럼 라이저(60)의 하측부로부터 연장되는 에어리프트 펌프(76)의 입구(80)를 통해 유동할 것이다. 탱크(32)의 바닥 부근에 입구(80)를 가짐에 의해, 여과매질의 가장 더러운 매질이 에어리프트 펌프(76) 속으로 그리고 상방향으로 유동하게 된다.
더러운 여과매질(모래)이 에어리프트 펌프(76) 내에서 상방향으로 유동하게 됨에 따라서, 모래는 에어리프트 펌프(76) 내의 기포의 작용에 의해 철저한 기계적 교반작용을 받게 되어 오물이 모래입자로부터 분리된다. 에어리프트 펌프(76) 내의 기포의 작용에 의해 발생되는 기계적 교반 및 난류는 이 작용에 의해 일부 미생물들이 죽을 정도로 강렬하다. 모래입자들을 더욱 깨끗하게 하기 위해서는 라이저(60)의 상단부 근처에 위치하고 에어리프트 펌프(76) 주위에 동축상태로 배치된 워셔(82) 내에서 모래를 세정한다. 깨끗해진 모래는 워셔(82)로부터 모래층(70)의 상단으로 복귀되는 반면 워셔(82)로부터 나오는 거절물은 화살표(52)로 나타낸 바와 같이 출구(46)를 통해 방출되도록 워셔(82)로부터 방출관(84)을 통해 유출된다. 한편, 처리수나 여액은 탱크(32)의 상단(36) 부근에서 익류로서 유출되며 화살표(50)로 나타낸 바와 같이 출구(44)를 통하여 유출물로서 방출된다.
이런 모래필터(30) 한 개에 의해 얻어지는 것보다 높은 정도의 정화/여과를 원하는 상황에서는 도 1에 도시된 타입의 모래필터(30) 같은 모래필터들을 순차적으로 사용한다. 그러나, 이런 타입의 모래필터(30) 같은 모래필터들을 폐수처리 시스템(100)에서 사용한다면 보다 높은 정도의 정화를 얻을 수 있는데, 이는 도 2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있다. 이 폐수처리 시스템(100)은 각각 도 1에 도시된 모래필터(30)가 본질적으로 동일한 제 1 모래필터(30A) 및 제 2 모래필터(30B)와 두 개의 분리처리장치(102A,102B)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한 특정의 폐수처리 시스템(100)에서는 두 개의 모래필터(30A,30B)가 개시되어있지만, 본 발명과 관련하여 모래필터(30A,30B) 중의 하나 또는 둘 대신에 어떤 적절한 타입의 필터라도 사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트레블링 브리지필터(traveling bridge filter) 또는 그 외의 타입의 급속중력필터를 사용할 수 있다. 사실 제 1 필터(30A) 및 제 2 필터(30B)는 예를 들어 둘 다 연속적으로 역류세정되는 상향 입상매질 필터가 되는 경우처럼 동일한 타입이 되거나 서로 다른 타입이 될 수 있다. 입상매질필터를 사용하는 경우, 이 필터는 물 등을 여과하는데 적합한 모래층, 파쇄화강암 또는 그 외의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이 폐수처리시스템(100)에는 연속적으로 순차 동작하는 두 개의 필터(30A,30B)가 있다. 모래필터(30A,30B)는 모래필터(30)와 유사한 설계로 이루어진다. 처리될 폐수는 화살표(130)로 개략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입구를 통해 유동한다. 폐수는 입구관으로부터 제 1 모래필터(30A)의 입구(화살표 130) 속으로 유입된다. 유입물은 도 1의 모래필터(30)에서 폐수가 처리되는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 1 모래필터(30A) 내에서 처리될 수 있다. 그 결과, 1차로 처리된 제 1 폐수 또는 유출물과 제 1 모래필터(30A) 내의 모래층에서 분리된 불순물을 함유하는 제 1 거절물이 생성된다. 이 제 1 유출물은 화살표(132)로 개략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은 출구를 통해 연결관 속으로 유입된다. 이 연결관은 제 1 필터(30A)의 출구를 제 2 모래필터(30B)의 입구에 연결한다. 그 결과, 모래필터(30A)로부터 방출되는 제 1 유출물은 제 2 모래필터(30B)에서의 제 2 유출물처럼 연결관을 통해 제 2 필터(30B)의 입구 속으로 유입된다. 한편, 제 1 모래필터(30A)로부터 나오는 제 1 거절물은 화살표(136)로 나타낸 바와 같이 출구로부터 제 1 거절물관 속으로 방출된다. 제 1 거절물관은 제 1 분리처리장치(102A)의 입구관과 유체 연통되므로 필터(30A)로부터 나오는 제 1 거절물은 제 1 분리처리장치(102A)로 유동한다.
화살표(132)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모래필터(30B)의 입구 속으로 유입되는 제 2 유입물은 도 1의 모래필터(30)에서 폐수가 처리되는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 2 모래필터(30B) 내에서 처리된다. 그 결과, 제 2 처리폐수 또는 유출물과 제 2 모래필터(30B) 내의 모래층에서 분리된 불순물을 함유하는 제 2 거절물이 생성된다. 제 2 유출물은 화살표(134)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필터의 출구를 통하여 출구관 속으로 방출되므로 출구관을 통해 방출되는 정화액체를 예를 들어 제 1 유입물이 지표수에서 발생된 경우에는 음료수로서 사용할 수 있거나, 또는 제 1 유입물이 도시의 폐수처리설비에서 발생된 경우에는 산업용, 관개용 또는 그 외의 유사 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제 2 모래필터(30B)에서 나오는 제 2 거절물은 화살표(138)로 나타낸 바와 같이 출구를 통해 제 2 거절물관 속으로 방출된다. 제 2 거절물관은 제 2 분리처리장치(102B)의 입구관과 유체 연결된다.
필터(30A,30B)는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스탠드 조립체(40A,40B)에 각각 지지되는 독립입설부가 될 수 있다. 다른 방식으로서, 필터(30A,30B)는 다수의 필터모듈이 배치되는 콘크리트 탱크 같은 필터 내의 다중 모듈이 될 수 있다. 또한, 필터(30A,30B)는 두 개의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질 수 있는데, 제 2 필터(30B)는 조금 다르게 작은 높이를 가지므로, 제 1 필터(30A)로부터 나오는 유출물이 제 1 필터의 출구에서 유출됨에 따라서 관내에서 제 2 필터(30B)의 입구(화살표 132)로 유동할 것이다. 제 1 필터의 출구와 제 2 필터의 입구의 높이의 차이에 의해 제 1 필터의 출구와 제 2 필터의 입구 사이의 관속에서 (화살표 132를 따라서) 유출물을 펌핑할 필요가 없어진다. 한편, 필터(30A,30B)는 동일한 사이즈가 될 수 있지만, 필터(30A)는 필터(30B)보다 높은 레벨에 위치할 것이다. 다른 방식으로서, 제 1 필터의 출구로부터 제 2 필터의 입구까지 관을 통해 액체를 이동시키기 위해 펌프를 사용할 수 있다.
제 1 필터(30A) 및 제 2 필터(30B)의 모래층은 서로 다른 깊이를 가질 수 있으며 그리고 다양한 타입 또는 사이즈의 여과매질을 가질 수 있다. 실제로 두 개의 필터(30A,30B)의 여과매질은 독립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래층을 사용하는 경우, 모래층 내의 여과매질은 규사(silica sand)가 될 수 있다. 모래층의 각각은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입자크기의 모래를 포함할 수 있으며[예를 들어, 제 1 모래필터(30A)의 여과매질은 제 2 모래필터(30B)의 여과매질보다 큰 입자크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밀도를 가질 수 있다[예를 들어, 제 1 모래필터(30A)의 여과매질은 제 2 모래필터(30B)의 여과매질보다 낮은 밀도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제 1 모래필터(30A)의 여과매질은 규사가 될 수 있으며 제 2 모래필터(30B)의 여과매질은 석류석(garnet)이 될 수 있다. 이에 추가하여 그리고 이하에 더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제 1 유입물은 제 1 모래필터(30A)의 입구 속으로 도입되기 전에 기계적인 처리; 응고(coagulation)/응집(flocculation)용 화학약품에 의한 화학적인 처리; 및/또는 생물학적인 처리를 받을 수 있다.
앞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모래필터(30A)로부터 나오는 제 1 거절물은 투입관(화살표 136)을 통하여 제 1 분리처리장치(102A) 속으로 도입되는 한편 제 2 모래필터(30B)로부터 나오는 제 2 거절물은 다른 투입관(화살표 138)을 통하여 제 2 분리처리장치(102B) 속으로 도입된다. 제 1 및 제 2 거절물은 제 1 및 제 2 의 연속 필터(30A,30B) 내에서 처리되는 폐수로부터 분리된 오염물이 재처리 및/또는 분리처리를 받을 수 있도록 분리처리장치 내에서 처리된다. 그러나, 제 1 및 제 2 분리처리장치(102A,102B)의 출력물은 품질규격을 만족시키는 청정수로서 시스템으로부터 방출하기에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제 1 분리처리장치(102A)로부터의 유출물 또는 제 1 처리거절물은 조합부(115)에 연결된 관(화살표 135) 속으로 방출된다. 또한, 제 2 분리처리장치(102B)로부터의 유출물, 또는 제 2 처리거절물은 조합부(115)에 연결된 관(화살표 137) 속으로 방출된다. 한편, 제 1 및 제 2 분리처리장치(102A, 102B)는 또한 각각 화살표(141,143)로 나타낸 바와 같이 관속으로 슬러지를 방출할 수도 있다. 이 슬러지 유동물은 탈수처리 및/또는 적합한 위생조치(예를 들어, 살균)에 의한 처리를 받을 수 있다.
제 1 및 제 2 분리처리장치(102A,102B)에 관해서는, 이들 서로 다른 구성부에 의해 각 거절물 스트림을 더욱 미세하게 조정하여 처리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제 1 거절물은 제 2 거절물보다 많은 불순물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예를 들어 제 1 거절물이 그 처리공정으로서 정화공정을 받게 할 수 있으며 한편 제 2 거절물은 단지 여과공정을 받을 필요가 있다. 도 2에 도시한 예에서, 제 1 분리처리장치는 제 1 분리처리장치(102A) 내에서 생성된 제 1 처리거절물이 출구관(화살표 135)으로 방출되는 한편 슬러지는 방출관(화살표 141)으로 방출된다. 제 2 처리장치에서 제 2 분리처리장치(102B) 내에서 생성된 제 2 처리거절물은 출구관(화살표 137) 속으로 방출되는 한편 슬러지는 방출관(화살표 143) 속으로 방출된다. 다른 방식으로서, 제 1 및 제 2 분리처리장치(102A,102B) 내에서 제 1 및 제 2 처리공정 중에서 하나 또는 둘을 이용하면 슬러지 유동물이 방출되지 않을 수 있다. 슬러지가 방출되지 않는 경우, 제 1 및 제 2 분리처리장치(102A,102B)에 연결된 출구관은 없지만[따라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화살표(141,143)는 없다] 처리거절물용 출구관(화살표 135,137)만 있을 것이다.
제 1 및 제 2 거절수에 대한 제 1 및 제 2 분리처리장치(102A,102B)에 대한 처리는 중력분리, 막여과, 2단 또는 다단 여과나 여과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선택되는 각 처리장치에 대한 특정 처리는 이 처리가 제 1 및 제 2 필터의 전체성능을 크게 저하시키지 않고서 필터(30A) 속으로 들어가는 유입물의 일부로서 시스템으로 재도입하는데 적합한 소망의 양의 처리거절물을 생성하도록 하는데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제 1 분리처리장치(102A)에 대하여 선택된 처리는 제 2 분리처리장치(102B)에 대하여 선택된 처리와 동일한 타입이 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양 장치는 막여과일 수 있다. 한편, 제 1 처리는 제 2 처리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처리장치는 중력분리형이 되는 한편 제 2 처리장치는 막여과형이 될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분리처리장치(102A,102B)는 단일 하우징이나 두 개의 개별 하우징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두 개의 거절물이 동일한 처리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두 개의 거절유동물을 분리하기 위해 중앙벽을 갖는 콘크리트 침전지를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단일 장비보다는 절반 용량의 장비 두 개로 될 수 있다.
제 1 거절물 및 제 2 거절물을 모두 각 처리장치 내에서 처리한 후에 두 개의 처리된 거절유동물이 조합부(115) 속에 혼합된다. 이 혼합부는 두 개의 유동물을 단일 유동물로 합류시키는데 사용되는 챔버, 배관 또는 구조물이나 구조물의 조합이 될 수 있다. 처리된 거절물이 혼합된 후, 이 혼합된 처리거절유동물은 화살표(139)로 나타낸 유동으로 조합부(115)에서 나와서 출구관 속으로 들어가는데, 이 출구관은 제 1 필터에 이어지는 입구관에 연결된다(화살표 130). 혼합된 처리거절유동물은 제 1 필터에 이어지는 입구관 속으로 유입되므로(화살표 130) 혼합된 처리거절유동물은 제 1 필터에 들어가기 전에 제 1 유입물과 함께 도입된다. 혼합된 처리거절유동물을 필요에 따라서 제 1 필터에 이어지는 입구관 속으로 주입하는데 는(화살표 130) 펌프(도시하지 않음)를 사용할 수 있다.
도 3은 폐수처리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준다. 도 2에서처럼, 제 1 유입물은 입구를 통해 제 1 필터(30A)에 들어간다(화살표 130). 제 1 필터의 출구는 제 1 유출물을 방출하고 이 유출물은 제 2 유입물로서 입구롤 통해 제 2 필터(30B)로 들어간다(화살표 132). 제 1 필터(30A)도 출구로부터 나와서(화살표 136) 제 1 분리처리장치(102A)에 들어가는 제 1 거절물을 갖는다. 한편, 제 2 유입물은 제 2 필터(30B) 속으로 들어가서 처리수를 생성하는데, 이 처리수는 출구로부터 방출된다(화살표 134). 또한, 제 2 필터(30B)도 제 2 거절유동물을 생성하는데, 이는 제 2 거절물관 속으로 들어간다(화살표 138).
제 1 거절물은 도 2의 실시예에서 언급하였던 것처럼 중력분리, 여과, 2단 또는 다단 여과, 막여과 및 이들의 조합을 이용하는 장치들처럼 기술적으로 공지된 임의의 수단에 의해 제 1 분리처리장치(102A) 내에서 처리된다. 제 1 거절물이 처리되면 제 1 처리거절물이 되는데, 이는 출구관 속으로 방출된다(화살표 135). 한편으로 제 2 거절물은 처리되지 않고 단지 제 2 거절물관 속으로 방출된다(화살표 138). 제 1 분리처리장치(102A)로부터의 출구관(화살표 135) 및 제 2 거절물관(화살표 138)은 조합부(115)에 연결되는데 여기서 제 1 처리거절물과 제 2 미처리거절물은 단일 유동물로 혼합된다. 조합부(115)는 두 유동물을 단일 유동물로 합류시키는데 사용되는 챔버, 배관 또는 임의의 구조가 될 수 있다. 처리거절물과 미처리거절물이 혼합된 후, 이 혼합거절유동물은 조합부(115)에서 나와서 출구관(화살표 139)으로 들어가는데, 이 출구관은 제 1 필터에 이어지는 입구관(화살표 130)에 연결된다. 이 혼합된 거절유동물은 제 1 필터에 이어지는 입구관(화살표 130) 속으로 도입되므로 혼합된 거절유동물은 제 1 필터의 유입물과 함께 도입된다. 도 2의 실시예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서는 혼합된 처리거절유동물을 제 1 필터에 이어지는 입구관 속으로 주입하는데 펌프(도시하지 않음)를 사용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폐수처리시스템(100)과 함께 사용할 수 있는 부가의 공정들을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도 4의 경우에서 제 1 유입물은 화살표(130)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필터(30A) 속으로 유입되기 전에 기계적 처리를 받는다. 제 1 유입물은 제 1 필터(30A) 속으로 도입되기 전에 화살표(148)로 나타낸 바와 같이 기계적처리장치(146) 속으로 유입된다. 기계적처리장치(146)는 다른 방식으로서 샌드트랩 및/또는 어떤 타입의 스크린 및/또는 침강장치가 될 수 있다.
기계적처리장치(146)와 제 1 필터(30A) 사이에서는 제 1 유입물이 생물학적 처리를 받을 수 있다. 도 5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제 1 유입물은 기계적처리장치(146) 내에서 기계적으로 처리된 후 그리고 제 1 필터(30A) 속으로 도입되기 전에 화살표(152)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생물학적처리장치(150) 속으로 유입된다. 화살표(139)로 나타낸 바와 같이 조합부(115)로부터 방출되는 혼합된 거절유동물은 기계적처리장치(146)의 상류측에 도입되거나[혼합된 거절유동물이 화살표(148)로 나타낸 바와 같이 기계적처리장치(146) 속으로 유입할 때 유입물과 혼합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화살표(176)로 나타냄] 또는 생물학적처리장치(150)의 상류측에 도입될 수 있다[혼합된 거절유동물이 화살표(152)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생물학적처리장치(150) 속으로 유입할 때 유입물과 혼합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화살 표(174)로 나타냄].
또한, 제 1 유입물은 필터(30A) 속으로 유입되기 전에 화학적으로 처리될 수 있다. 여기서, 도 6은 제 1 유입물이 화살표(156)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생물학적처리장치(150)에서 유출되어 제 1 필터(30A)에 들어가기 전에 화학적처리장치(154)가 제 1 유입물을 받아들일 수 있다는 것을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화살표(139)로 나타낸 바와 같이 조합부(115)로부터 방출되는 혼합된 거절유동물은 기계적처리장치(146)의 상류측에 도입되거나[혼합된 거절유동물이 화살표(148)로 나타낸 바와 같이 기계적처리장치(146)에 유입될 때 유입물과 혼합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화살표(176)로 나타냄], 생물학적처리장치(150)의 상류측에 도입되거나[혼합된 거절유동물이 화살표(152)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생물학적처리장치(150) 속으로 유입될 때 유입물과 혼합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화살표(174)로 나타냄], 또는 화학적처리장치(154)의 상류측에 도입될 수 있다[혼합된 거절유동물이 화살표(156)로 나타낸 바와 같이 화학적처리장치(154) 속으로 유입될 때 유입물과 혼합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화살표(177)로 나타냄].
폐수처리시스템(100)의 제 1 및 제 2 필터(30A,30B)에 의해 폐수를 처리하는 것 외에도 제 1 및 제 2 필터(30A,30B)와 제 1 및 제 2 분리처리장치(102A,102B)에서 유입 및 유출하는 액체에 소독약품을 첨가할 수 있다. 이 소독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치(D1,D2,D3,D4,D5,D6 또는 D7) 중의 어디에서도 달성될 수 있다. 이 소독은 위치(D1,D2,D3,D4,D5,D6 또는 D7) 중의 어느 위치에서도 개별적으로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위치와 함께 실시할 수 있다(소독위치의 어떤 조합도 가능하 다). 폐수처리시스템(100)의 상류측에 추가의 기계적, 생물학적 및/또는 화학적 처리장치가 제공되는 경우, 소독은 예를 들어 도 4의 위치(D8), 도 5의 위치(D8,D9) 및 도 6의 위치(D8,D9,D10)에서 달성될 수 있다. 실제로는 이 소독은 표시한 위치 중에서 하나 이상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소독은 어떤 타입의 소독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지만 염소나 염소함유 화합물, 오존 또는 산소함유 소독제나 화합물, 또는 자외선 등의 소독제를 사용할 수 있다.
폐수처리시스템(100)의 여과공정을 돕기 위해, 폐수처리시스템(100)에서 처리된 폐수에 응고(coagulation) 및/또는 응집(flocculation) 약품이 첨가될 수 있다. 도면 중에서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위치(C1,C2,C3,C4,C5,C6)는 이런 응고 및/또는 응집 약품이 첨가될 수 있는 위치이다. 이런 약품의 첨가는 위치(C1,C2,C3, C4,C5,C6) 중의 어디에서도 개별적으로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위치에서의 약품 첨가와 함께 이루어질 수 있다. 실제로는 약품첨가위치의 어떤 조합도 가능하다. 추가의 기계적, 생물학적 및/또는 화학적 처리장치가 폐수처리시스템(100)의 상류측에 제공되는 경우, 응고 및/또는 응집 약품도 첨가될 수 있다. 여기서, 도 4의 위치(C7), 도 5의 위치(C7,C8), 및 도 6의 위치(C7,C8,C9)는 폐수처리시스템(100)에서 처리될 폐수에 약품을 첨가할 수 있는 또 다른 위치를 나타낸다. 실제로는 이런 약품의 첨가는 표시한 위치 중에서 하나 이상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어떤 추가의 위치나 위치들이 선택되는지에 관계없이 응고 및/또는 응집 약품의 첨가 전에 pH조정약품을 액체에 첨가할 수 있다.
도 3 및 도 7 내지 도 9는 폐수처리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들을 보여주는데, 여기서 제 1 거절물은 제 1 분리처리장치(102A)에서 처리되는 한편 제 2 거절물은 이렇게 처리되지 않는다. 제 1 필터(30A)와 관련하여, 처리된 폐수(또는 제 1 유출물)는 화살표(132)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유출물로서 제 2 필터(30B) 속으로 들어가는 한편 제 1 거절물은 화살표(136)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분리처리장치(102A)속으로 들어간다. 제 2 필터(30B)는 제 2 유입물을 받아들여서 화살표(134)로 나타낸 바와 같이 처리폐수(또는 제 2 유출물)와 제 2 거절물을 생성하는데, 제 2 거절물은 화살표(138)로 나타낸 바와 같이 방출된다. 처리유동물과 미처리유동물은 조합부(115)에서 함께 혼합된다. 다음으로 혼합된 유동물은 화살표(139)로 나타낸 바와 같이 조합부(115)를 나와서 제 1 필터(30A)의 유입물 속에 투입된다. 도 3 및 도 7 내지 도 9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제 1 분리처리장치(102A)는 슬러지 유동물을 가질 수 있는데, 이 슬러지 유동물은 제 1 분리처리장치에서 나와서 탈수 및/또는 적합한 위생조치(예를 들어, 살균)에 의한 처리를 받을 수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스템은 기계적처리장치(146)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 장치를 통하여 유입물이 유입되며 제 1 필터(30A) 속에 도입되기 전에 처리된다. 화살표(139)로 나타낸 혼합거절유동물은 유입물이 화살표(148)로 나타낸 바와 같이 기계적처리장치(146) 속으로 도입되는 지점의 상류측에 합류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입물은 통과하며 제 1 필터(30A) 속에 도입되기 전에 기계적처리장치(146) 및 생물학적처리장치(150)에서 처리된다. 도 5의 경우에서처럼, 화살표(139)로 나타낸 바와 같이 조합부(115)로부터 방출되는 혼합된 거 절유동물은 기계적처리장치(146)의 상류측에 도입되거나[화살표(148)로 나타낸 바와 같이 혼합된 거절유동물이 기계적처리장치(146)에 유입될 때 유입물과 혼합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화살표(176)로 나타냄] 또는 생물학적처리장치(150)의 상류측에 도입될 수 있다[화살표(152)로 나타낸 바와 같이 혼합된 거절유동물이 생물학적처리장치(150) 속으로 유입될 때 유입물과 혼합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화살표(148)로 나타냄].
도 9에 도시한 시스템의 경우, 유입물은 통과하며 제 1 필터(30A) 속에 도입되기 전에 기계적처리장치(146), 생물학적처리장치(150) 및 화학처리장치(154)에서 처리된다. 도 6의 경우에서처럼, 화살표(139)로 나타낸 바와 같이 조합부(115)에서 방출되는 혼합된 거절유동물은 기계적처리장치(146)의 상류측에 도입되거나[화살표(148)로 나타낸 바와 같이 혼합된 거절유동물이 기계적처리장치(146) 속으로 유입될 때 유입물과 혼합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화살표(176)로 나타냄], 생물학적처리장치(150)의 상류측에 도입되거나[화살표(152)로 나타낸 바와 같이 혼합된 거절유동물이 생물학적처리장치(150) 속으로 유입될 때 유입물과 혼합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화살표(174)로 나타냄], 또는 화학적처리장치(154)의 상류측에 도입될 수 있다[화살표(156)로 나타낸 바와 같이 혼합된 거절유동물이 화학적처리장치(154) 속에 유입될 때 유입물과 혼합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화살표(177)로 나타냄].
또한, 도 3 및 도 7 내지 도 9에 나타낸 시스텐의 경우에, 도 2 및 도 4 내지 도 6에서 나타낸 시스템과 관련하여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양한 위치에서 그리고 다양한 조합으로 화학약품의 첨가 및/또는 소독을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해 한 필터의 거절물을 다른 필터의 거절물과 다르게 처리할 수 있다. 이런 이점으로 인해 특정 거절물에 대한 처리공정을 미세하고 조정할 수 있으며, 결국 청정수의 생성에서 높은 효율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다른 거절물이 여전히 보다 비싼 처리공정을 받는 동안에 거절물이 보다 저렴한 형태의 처리공정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제조비용이 낮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개시내용을 고려하면 기술적으로 숙련자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서 다른 실시예 및 수정예도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 및 정신 내에서 본 발명의 개시내용으로부터 기술적으로 숙련자에서 얻을 수 있는 모든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포함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이후의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되는 것처럼 정의되어야 한다.

Claims (13)

  1. (a) 불순물을 갖는 액체를 제 1 유입물로서 제 1 필터에 공급하는 단계;
    (b) 상기 제 1 유입물을 상기 제 1 필터에서 여과하여 제 1 유출물 및 제 1 거절물을 생성하는 단계;
    (c) 상기 제 1 유출물을 제 2 유입물로서 제 2 필터에 공급하는 단계;
    (d) 상기 제 2 유입물을 상기 제 2 필터에서 여과하여 제 2 유출물 및 제 2 거절물을 생성하는 단계;
    (e) 상기 제 1 거절물을 제 1 거절물처리하여 제 1 처리거절물을 생성하는 단계;
    (f) 상기 제 2 거절물을 제 2 거절물처리하여 제 2 처리거절물을 생성하는 단계;
    (g) 상기 제 1 처리거절물과 상기 제 2 처리거절물을 혼합하여 혼합처리거절물을 제공하는 단계; 및
    (h) 상기 혼합처리거절물을 상기 제 1 필터 속으로 공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순물을 갖는 액체의 처리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필터는 연속적으로 역류세정되는 상향류 입상매질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순물을 갖는 액체의 처리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입상매질필터의 필터매질로서 모래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순물을 갖는 액체의 처리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거절물처리는 동일한 처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순물을 갖는 액체의 처리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거절물처리는 중력분리, 여과, 2단 또는 다단 여과, 막여과,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그룹에서 하나 이상 선택되는 처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순물을 갖는 액체의 처리방법.
  6. (a) 불순물을 갖는 액체를 제 1 유입물로서 제 1 필터에 공급하는 단계;
    (b) 상기 제 1 유입물을 상기 제 1 필터에서 여과하여 제 1 유출물 및 제 1 거절물을 생성하는 단계;
    (c) 상기 제 1 유출물을 제 2 유입물로서 제 2 필터에 공급하는 단계;
    (d) 상기 제 2 유입물을 상기 제 2 필터에서 여과하여 제 2 유출물 및 제 2 거절물을 생성하는 단계;
    (e) 상기 제 1 거절물을 제 1 거절물처리하여 제 1 처리거절물을 생성하는 단계;
    (f) 상기 제 1 처리거절물과 제 2 미처리거절물을 혼합하여 처리거절물 및 미처리거절물의 혼합거절물을 제공하는 단계; 및
    (g) 상기 처리거절물 및 미처리거절물의 혼합거절물을 상기 제 1 필터 속으로 공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순물을 갖는 액체의 처리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필터는 연속적으로 역류세정되는 상향류 입상매질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순물을 갖는 액체의 처리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거절물처리는 중력분리, 여과, 2단 또는 다단 여가, 막여과,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하나 이상 선택되는 처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순물을 갖는 액체의 처리방법.
  9. (a) 불순물을 갖는 액체가 제 1 유입물로서 유입되는 제 1 필터 입구, 제 1 유출물이 유출되는 제 1 필터 출구, 및 제 1 거절물이 유출되는 제 2 필터 출구를 포함하는 제 1 필터;
    (b) 상기 제 1 필터의 제 1 필터 출구와 유체 연통되어 상기 제 1 유출물이 제 2 유입물로서 유입되는 제 2 필터 입구, 제 2 유출물이 유출되는 제 3 필터 출구, 및 제 2 거절물이 유출되는 제 4 필터 출구를 포함하는 제 2 필터;
    (c) 상기 제 1 필터의 제 2 필터 출구와 유체 연통되는 처리 입구 및 처리된 거절물이 유출되는 처리물 출구를 포함하는 제 1 처리부; 및
    (d) 상기 제 1 처리부의 처리물 출구 및 상기 제 2 필터의 제 4 필터 출구와 유체 연통되는 하나 이상의 조합 입구, 및 상기 제 1 필터의 제 1 필터 입구와 유체 연통되며 혼합거절물이 상기 제 1 필터 속으로 유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조합 출구를 포함하는 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순물을 갖는 액체의 처리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필터의 제 4 필터출구와 유체 연통되는 제 2 처리물 입구 및 제 2 처리거절물이 유출되는 제 2 처리물 출구를 포함하는 제 2 처리부를 더 포함하므로, 상기 제 2 처리물 출구는 상기 조합부의 적어도 하나의 조합 입구와 유체 연통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합 출구에서는 혼합처리거절물이 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순물을 갖는 액체의 처리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처리부는 동일한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순물을 갖는 액체의 처리장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필터는 연속적으로 역류세정되는 상향류 입상매질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순물을 갖는 액체의 처리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필터는 연속적으로 역류세정되는 상향류 입상매질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순물을 갖는 액체의 처리장치.
KR1020087029428A 2006-05-10 2007-05-08 분리처리부를 사용하여 연속 필터로부터의 거절물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4320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9900306P 2006-05-10 2006-05-10
US60/799,003 2006-05-10
PCT/US2007/068488 WO2007134064A2 (en) 2006-05-10 2007-05-08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impurities in rejects from sequential filters using separate treatment uni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9709A KR20090029709A (ko) 2009-03-23
KR101432025B1 true KR101432025B1 (ko) 2014-08-20

Family

ID=38624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9428A KR101432025B1 (ko) 2006-05-10 2007-05-08 분리처리부를 사용하여 연속 필터로부터의 거절물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080302724A1 (ko)
EP (1) EP2035108A2 (ko)
JP (1) JP2009536577A (ko)
KR (1) KR101432025B1 (ko)
CN (1) CN101511443A (ko)
BR (1) BRPI0712534A2 (ko)
CA (1) CA2651824C (ko)
MX (1) MX2008014401A (ko)
TW (1) TW200810822A (ko)
WO (1) WO2007134064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L2498891T3 (pl) * 2009-11-11 2018-10-31 Nordic Water Products Ab Sposób i instalacja do uzdatniania wody i ścieków
KR20120117836A (ko) 2010-01-08 2012-10-24 파크슨 코포레이션 불순물을 포함하는 액체를 처리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및 방법
CN103619434A (zh) * 2011-03-01 2014-03-05 耐普塞斯科技有限公司 液体处理体系
CN103214152A (zh) * 2013-05-10 2013-07-24 陈卫国 废液再生机器
CN103736307B (zh) * 2013-12-19 2016-04-27 江苏北辰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流砂过滤器
ITUB20152260A1 (it) * 2015-07-17 2017-01-17 Remediation Srl Filtro autorigenerante in continuo
CN112516675A (zh) * 2019-09-19 2021-03-19 苏州首泓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工业废水处理用环保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26005B1 (en) * 2000-04-18 2002-07-30 Parkson Corporation Sequential descending bed filters with reject/washwater containing impurities being fed to a separate unit for elimination of impuritie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26546B1 (en) * 1977-02-23 1993-05-18 Axel Johnson Engineering Ab Method for the filtration of a suspension or emulsion
US4197201A (en) * 1976-03-03 1980-04-08 Rederiaktiebolaget Nordstjernan Apparatus for the filtration of a suspension or emulsion
SE429128B (sv) * 1976-11-29 1983-08-15 Nordstjernan Rederi Ab Forfarande for separering av fororeningar i vattensuspensioner eller -emulsioner
US5462654A (en) * 1993-09-29 1995-10-31 Hering, Jr.; C. J. Dynamic moving bed filter apparatus
US5501798A (en) * 1994-04-06 1996-03-26 Zenon Environmental, Inc. Microfiltration enhanced reverse osmosis for water treatment
US5607598A (en) * 1995-07-14 1997-03-04 Ormet Corporation Treatment and disposal of red mud generated in the Bayer Process
US5843308A (en) * 1996-11-05 1998-12-01 Dss Environmental, Inc. Wastewater management system
US6077446A (en) * 1998-03-31 2000-06-20 Tm Industrial Supply, Inc. Sand filtration filtering system using ozone
WO2000026145A1 (fr) * 1998-10-29 2000-05-11 Federalnoe Gosudarstvennoe Unitarnoe Predpriyatie 'issledovatelsky Tsentr Imeni M.V.Keldysha' Clarificateur et installation d'epuration et de clarification d'eau
US6364122B1 (en) * 2001-02-28 2002-04-02 Aqua-Zyme Disposal Systems, Inc. Apparatus for separating liquids from solids
US8071055B2 (en) * 2002-12-04 2011-12-06 Blue Water Technologies, Inc. Water treatment techniqu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26005B1 (en) * 2000-04-18 2002-07-30 Parkson Corporation Sequential descending bed filters with reject/washwater containing impurities being fed to a separate unit for elimination of impuriti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PI0712534A2 (pt) 2012-09-04
EP2035108A2 (en) 2009-03-18
WO2007134064A3 (en) 2008-01-10
CA2651824C (en) 2016-06-28
MX2008014401A (es) 2009-01-27
US20080302724A1 (en) 2008-12-11
KR20090029709A (ko) 2009-03-23
WO2007134064A2 (en) 2007-11-22
CA2651824A1 (en) 2007-11-22
TW200810822A (en) 2008-03-01
CN101511443A (zh) 2009-08-19
JP2009536577A (ja) 2009-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2998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of water/wastewater
KR101432025B1 (ko) 분리처리부를 사용하여 연속 필터로부터의 거절물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645952B1 (ko) 폐수 정화용 중공사막 여과 장치, 여과 모듈 및 그를 이용하는 물 또는 폐수 처리 방법
KR890004193B1 (ko) 하향 유형 생물막 정화장치(下向 流型 生物膜 淨化裝置)
US7381336B2 (en) Automated water treatment system and method of use
US20040217058A1 (en) Integrated dissolved air flotation and immersed membrane filt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using same
JP4529670B2 (ja) 生物処理装置
KR101529272B1 (ko) 정수장치 모듈 구조
CN1238278C (zh) 废水处理方法和装置
JP3281161B2 (ja) 浄水処理装置
KR101091092B1 (ko) 2단 응집 직여과 정수장치
JPH11207393A (ja) 有機性汚水の処理方法
KR20180033730A (ko) 고속 여과형 대용량 여과장치
KR101215567B1 (ko) 버블효과 및 원수유도관을 채용한 복합 수처리 장치
JPH10202010A (ja) 水処理装置
KR101956380B1 (ko) 다단 여과장치 및 여과방법
CA1074928A (en) Water treatment system
JP3459231B2 (ja) 藻類の除去装置
KR20170013000A (ko) 다단 여과장치 및 여과방법
WO2011161327A1 (en) A process for treating waste water comprising organic material
KR20070016432A (ko) 폐수처리장치 및 폐수처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