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4264A - 팰릿 랙, 팰릿 랙 유닛 및 팰릿 랙을 구비한 컨테이너 - Google Patents

팰릿 랙, 팰릿 랙 유닛 및 팰릿 랙을 구비한 컨테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4264A
KR20120114264A KR1020127015334A KR20127015334A KR20120114264A KR 20120114264 A KR20120114264 A KR 20120114264A KR 1020127015334 A KR1020127015334 A KR 1020127015334A KR 20127015334 A KR20127015334 A KR 20127015334A KR 20120114264 A KR20120114264 A KR 201201142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
pallet
pallet rack
support
bea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53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루 가와이
마사시 스자키
Original Assignee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9280590A external-priority patent/JP486293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0185593A external-priority patent/JP4941582B2/ja
Application filed by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14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42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14Stack holders or separa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3/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enabling folding of the cabinet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2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made of metal only
    • A47B47/021Racks or shelf uni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2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made of metal only
    • A47B47/021Racks or shelf units
    • A47B47/028Racks or shelf units with crossba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1/00Cabinets or rack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e.g. for storing guns or skis
    • A47B81/007Racks for cylindrical or barrel-like objects, e.g. casks, ro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47B91/04Elastic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5/00Tank wagons for carrying fluent materials
    • B61D5/08Covers or access openings; Arrangemen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12Large containers rigid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Abstract

본 발명의 팰릿 랙(pallet rack)(21)은, 지주(支柱)(210)와, 빔(beam) 부재(211)와, 위쪽으로 절곡되는 서브 빔(212)을 구비한다. 팰릿 랙(21)은, 연결된 지주(210)와 빔 부재(211)를 대향시켜, 대향하는 빔 부재(211) 사이에 복수 개의 서브 빔(212)을 가설(架設)하여 적재부(20)를 형성하였다.

Description

팰릿 랙, 팰릿 랙 유닛 및 팰릿 랙을 구비한 컨테이너{PALLET RACK, PALLET RACK UNIT, AND CONTAINER PROVIDED WITH PALLET RACKS}
본 발명은, 각종 물품을 탑재하여 운반 및 보관할 때 등에 사용되는 팰릿 랙(pallet rack), 팰릿 랙 유닛 및 팰릿 랙을 구비한 컨테이너에 관한 것이다.
종래, 물품을 운반 및 보관할 때, 팰릿 상에 물품을 적재한 상태로 팰릿마다 적재 물품을 컨테이너에 수용하고, 컨테이너마다 차량이나 화물차, 선박, 항공기 등에 의해 운송되고 있었다(특허 문헌 1 참조).
예를 들면, 적재하는 물품이 우유 팩의 카톤(carton) 등, 적층해도 쉽게 파손되지 않는 것인 경우에는, 물품을 팰릿에 직접 적재한다. 그리고, 물품 상에 팰릿을 설치하고, 다시 그 위에 물품을 직접 적재하여 적층한다.
그러나, 물품이 태양 전지판이나 반도체 패널, 액정 패널 등의 유리판 등을 사용한 정밀 제품(이하, 단지 패널이라고 약칭함)인 경우에는, 물품을 직접 단(段)쌓기 하면 하단의 물품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그러므로, 패널 등을 골판지 상자에 수납하여 적재하고, 그 제품 상에 다른 제품을 적재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한, 패널 등을 커버가 없는 용기 내에 수용하고, 그 제품에 직접 위에 적재하지 않도록 하여 제품을 보호하고 있다. 또한, 제품을 팰릿에 적재하여 스트렛치 필름(stretch film)으로 제품과 팰릿의 측면을 권취하여 고정시킴으로써, 밀봉 봉지(封止) 상태로 포장하여 제품의 어긋남을 방지하는 것도 행해지고 있다.
전술한 적재 방법에서는, 팰릿이나 용기 내로의 물품의 적재에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선반 형상의 팰릿 랙을 컨테이너 내에 설치하여, 각 팰릿 랙의 선반마다 제품을 적재하여 수송하는 것 등이 행해지고 있다. 또는, 팰릿 랙을 직접 창고나 수납고 등의 바닥면에 배열하여 각 팰릿 랙의 선반마다 제품을 적재하고 있었다. 이들의 경우에는 팰릿 랙의 선반 상의 제품 상에 공간이 있기 때문에 손상될 우려가 없다.
일본특표 2001?502643호 공보
그러나, 이와 같은 팰릿 랙을 사용하여 물품을 수송할 경우, 물품을 내린 후의 복로(復路)의 편(便)에서는 다른 물품을 탑재하고 있지 않은 빈 편인 경우가 많아, 수송 비용이 증대하게 된다. 이에 대하여, 수송 비용을 저감하기 위해, 왕로(往路)의 편에서 반송(搬送)한 물품과는 상이한 다른 물품을 복로의 편에 적재하면 물품의 형상이나 치수가 상이한 경우가 많아, 팰릿 랙의 각 선반의 공간에 적재할 수 없거나, 적재하기 어렵거나 한 경우가 있었다. 이 경우, 큰 스페이스를 점유하는 팰릿 랙은 방해가 되어, 복로의 물품 적재 스페이스가 작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간단하고, 또한 용이하게 절첩(折疊)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이 양호한 팰릿 랙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치수나 형상이 상이한 물품을 수송하는 경우라도, 종래보다 적재 스페이스를 넓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한 팰릿 랙, 팰릿 랙 유닛 및 컨테이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절첩 가능한 팰릿 랙은, 지주(支柱)와, 지주에 연결되는 빔(beam) 부재와, 빔 부재 사이에 가설(架設)하고, 위쪽으로 절곡 가능한 서브 빔을 구비하고, 서브 빔이 연장된 상태에서 적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팰릿 랙에 의하면, 치수나 형상이 상이한 물품을 수송하는 경우라도, 종래보다 적재 스페이스를 넓게 확보할 수 있다.
상기한 적재부는, 연결된 지주와 빔 부재를 대향하여 설치하여 이루어지고, 대향하는 상기 빔 부재 사이에 서브 빔을 가설하여 이루어진다. 서브 빔은 길이 방향 도중 부분에서 절곡 가능하게 설치되고, 들어올림으로써 상기 서브 빔을 절곡시키는 연결 부재가 서브 빔에 설치되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물품 등의 적재부를 형성하는 서브 빔에 설치한 연결 부재를, 예를 들면, 포크(fork)의 클로우부(claw portion) 등의 지지 기구(機構)로 들어올림으로써, 서브 빔을 도중 부분의 절곡부에서 절곡하여 절첩할 수 있다. 이로써, 대향하는 지주끼리와 빔 부재끼리를 서로 근접시켜 전체를 절첩할 수 있다. 또한, 절첩 상태의 팰릿 랙을 열 때, 연결 부재를 포크의 클로우부 등의 지지 기구로 들어 올린 상태로 하강시킴으로써, 서브 빔의 절곡부를 개방하여 물품 등의 적재물을 적재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서브 빔의 절첩이나 개방 작동에 있어서 안전하고 효율적인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연결 부재를 지지하여 절곡하거나 개방하거나 할 때, 연결 부재가 서브 빔이나 빔 부재나 지주의 변형을 억제하는 스태빌라이져(stabilizer)의 역할을 완수할 수 있다.
상기한 적재부는, 연결된 지주와 빔 부재를 대향하여 설치하고, 대향하는 빔 부재 사이에 서브 빔을 가설하여 이루어진다. 서브 빔은 길이 방향 도중 부분에서 절곡 가능하게 설치되고, 서브 빔의 루트 부분(root portion)에 서브 빔을 밀어올리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밀어올림 부재가 설치되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물품이나 팰릿을 서브 빔을 가설한 탑재대로부터 벗어나게 함으로써, 서브 빔은 밀어올림 부재에 의해 밀어올려져 절곡된다. 또한 수동 등에 의해 밀어올림 부재로부터 이격(離隔)되도록 절곡함으로써 절첩된 상태로 되어, 물품 및/또는 팰릿을 서브 빔의 적재대에 탑재하면, 그 하중에 의해 서브 빔은 밀어올림 부재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직선형으로 유지된다. 그러므로, 팰릿 랙은 절첩 시에는 점유 스페이스가 작아져, 빈 스페이스에 다른 물품을 탑재 가능하게 된다. 또한, 서브 빔의 회전축에 가까운 루트 부분에 밀어올림 부재를 설치하였으므로, 짧은 밀어올림 스트로크로 서브 빔을 크게 밀어올릴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팰릿 랙에 의하면, 간단하고 또한 용이하게 절첩할 수 있어, 양호한 작업 효율의 팰릿 랙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치수나 형상이 상이한 물품을 수송하는 경우라도, 종래보다 적재 스페이스를 넓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팰릿 랙은, 서브 빔이 길이 방향 도중 부분에서 절곡 가능하게 설치되고, 들어올림으로써 상기 서브 빔을 절곡시키는 연결 부재가 서브 빔에 설치되어 있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미사용 시에 팰릿 랙을 절첩할 때, 예를 들면, 포크리프트(forklift)의 클로우 등으로 연결 부재를 들어올림으로써 서브 빔을 동시에 절곡하여 절첩할 수 있다. 또한, 절첩 상태의 팰릿 랙을 개방하여 전개하는 경우라도, 연결 부재를 하강시킴으로써, 복수 개의 서브 빔이 자중(自重)에 의해 동시에 열려 서브 빔을 전개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작업이 간단하며 효율적이다.
또한, 팰릿 랙의 절첩이나 전개 시, 연결 부재에 포크리프트의 클로우 등을 걸리게 하여 들어 올리거나 하강의 작동을 행하면, 서브 빔의 절곡이나 개방 작업을 행할 때 손이나 손가락 등으로 서브 빔이나 빔 부재나 필러(pillar)를 조작하지 않으므로, 안전하고 효율적인 작업을 행할 수 있다.
적재대로서 서브 빔이 복수 설치되어 있어도, 팰릿 랙을 절첩할 때, 각각의 서브 빔을 개별적으로 절곡하면 번잡하며 팰릿 랙이 변형될 우려가 있지만, 연결 부재에 의해 동시에 복수 개의 서브 빔을 절곡함으로써 팰릿 랙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연결 부재는 서브 빔이나 지주나 빔 부재 등의 변형을 억제하여 스태빌라이져로서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팰릿 랙의 미사용 상태에서 팰릿 랙을 작게 접으면, 점유 스페이스가 작아지므로, 다른 물품의 수용 스페이스를 넓게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팰릿 랙은, 서브 빔이 길이 방향 도중 부분에서 절곡 가능하게 설치되고, 서브 빔의 루트 부분에 서브 빔을 밀어올리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밀어올림 부재가 설치된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물품이나 팰릿 등의 적재대로 되는 서브 빔이 밀어올리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으므로, 팰릿 및/또는 물품을 적재한 상태에서는 서브 빔은 밀어올림 부재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수평 상태로 유지되고, 팰릿이나 물품을 인출하면 서브 빔이 밀어올려져 절곡 상태로 된다. 그러므로, 팰릿 랙의 미사용 상태에서는 팰릿 랙을 절첩하여 다른 물품의 수용 스페이스를 넓게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팰릿 랙을 배열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팰릿을 적재한 팰릿 랙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서브 빔을 개방한 물품 적재 가능 상태의 팰릿 랙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의 (a), (b)는 팰릿 랙의 절첩 공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의 (a), (b), (c)는 팰릿 랙의 서브 빔의 절곡 공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의 (a), (b), (c)는 팰릿 랙의 스태빌라이져의 절첩 공정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의 (a)는 팰릿 랙에서의 지주에 설치한 넘어짐 방지 부재와 코너부에 설치한 보강 부재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b)는 넘어짐 방지 부재를 지주에 수용한 상태의 부분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b)에 나타낸 넘어짐 방지 부재를 수납한 지주를 90° 상이한 각도로부터 본 확대 설명도이다.
도 9의 (a)는 지주로부터 넘어짐 방지 부재를 회동(回動)시켜 외측으로 튀어나오게 한 상태의 도면, (b)는 넘어짐 방지 부재를 수평 상태로 록(lock)한 도면이다.
도 10은 넘어짐 방지 부재의 록 기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1은 팰릿 랙을 절첩한 상태의 주요부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며, 빔 부재에 걸림 도구를 장착한 절첩 상태의 팰릿 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팰릿 랙을 수납한 컨테이너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팰릿을 적재한 팰릿 랙의 사시도이다.
도 15의 (a), (b), (c)는 팰릿 랙의 절첩 공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6의 (a), (b), (c)는 서브 빔의 절곡 공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7은 서브 빔의 밀어올림 부재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a)는 물품을 탑재한 상태의 도면, (b)는 밀어올림 부재로 서브 빔을 절곡한 상태의 도면, (c)는 다시 서브 빔을 밀어올린 상태의 도면이다.
도 18은 서브 빔을 절곡한 상태의 도면이다.
도 19의 (a), (b), (c)는 팰릿 랙의 스태빌라이져의 절첩 공정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0은 팰릿 랙의 각 지주의 다리부에 설치한 차륜과 컨테이너의 기판에 형성한 가이드홈을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20에 나타낸 팰릿 랙의 차륜을 나타낸 단면도로서, (a)는 물품을 적재하기 전의 도면, (b)는 물품을 적재한 도면이다.
도 22는 팰릿을 제외한 팰릿 랙을 수납한 컨테이너의 사시도이다.
도 23은 팰릿 랙을 절첩한 상태의 컨테이너의 사시도이다.
도 24는 걸림 도구를 구비한 절첩한 팰릿 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는 스태빌라이져의 변형예를 구비한 팰릿 랙의 측면도이다.
도 26은 팰릿을 사용하지 않는 다른 물품을 팰릿 랙에 적재한 상태를 나타낸 주요부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팰릿 랙은, 지주와, 지주에 연결되는 빔 부재와, 빔 부재 사이에 가설하고, 위쪽으로 절곡 가능한 서브 빔을 구비하고, 서브 빔이 연장된 상태로 적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팰릿 랙의 미사용 상태에서는 팰릿 랙을 절첩하여 다른 물품의 수용 스페이스를 넓게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연결 부재가 빔 부재 사이에 배열되는 복수 개의 서브 빔을 절곡부로 연결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 부재에 연결되어 있어 끌어올림으로써 연결 부재를 통하여 복수 개의 서브 빔을 절곡하는 인상(引上) 부재를 구비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팰릿 랙의 절첩 시나 개방 시에, 인상 부재를 포크의 클로우부 등으로 걸리게 하여, 들어 올리면 연결 부재를 통하여 복수 개의 서브 빔을 동시에 절첩할 수 있고, 또한 인상 부재를 하강시키면 복수 개의 서브 빔을 동시에 개방하여 연장시킬 수 있으므로, 손 등을 사용하지 않고, 절첩 동작과 개방 동작을 간단하고 또한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인상 부재는 기립(起立) 위치와 도복(倒伏) 위치로 전환 가능하며, 서브 빔에는 넘어진 인상 부재를 서브 빔으로부터 돌출하지 않는 위치에 수납하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인상 부재를 사용하여 서브 빔의 절첩이나 개방 작동을 행할 때는, 인상 부재는 연결 부재에 대하여 기립 상태로 유지하여 포크의 클로우부 등을 걸리게 한다. 그리고, 인상 부재의 미사용 시에 있어서는, 인상 부재를 서브 빔의 오목부 내에 수납 가능하므로, 물품이나 팰릿 등을 개방한 서브 빔 상에 탑재할 때, 인상 부재가 방해가 되지 않는다.
또한, 빔 부재 사이에 설치한 복수 개의 서브 빔을 설치한 적재부는 지주의 높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개방하여 복수 단 형성되고, 복수 단의 적재부에서의 서브 빔에 각각 설치된 연결 부재끼리를 연결하는 연결 기구를 구비하고, 최상단의 적재부에 설치한 연결 부재에 인상 부재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한 팰릿 랙에 의하면, 복수 개의 서브 빔이 배열된 적재부가 복수 단 설치되어 있어도, 각 단의 서브 빔에 삽통(揷通)된 연결 부재끼리가 연결 기구에 의해 접속되어 있어, 인상 부재를 포크의 클로우부 등으로 끌어올리거나 하강시키거나 함으로써, 복수 단의 서브 빔을 동시에 절곡하거나 개방하거나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팰릿 랙의 절첩과 개방 작업이 한층 용이하며 절첩과 개방 작업으로 된다.
또한, 지주의 하단부에는, 지주에 수납되어 있어 튀어나올 수 있는 차륜이 부착된 넘어짐 방지 부재가 장착되어 있고, 넘어짐 방지 부재는, 지주에 수납된 상태와 지주로부터 튀어나와 차륜에 의해 지지하는 상태를 선택적으로 취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특히, 팰릿 랙의 절첩 작동 시와 개방 작성 시에는, 서브 빔의 절첩과 개방 작동에 연동하여 빔 부재와 함께 지주의 간격을 좁히거나 넓히거나 하여 개폐 작동시켜, 지주는 넘어짐 방지 부재의 차륜에 의해 원활하게 확장 수축 이동을 행할 수 있다. 그러므로, 팰릿 랙이 넘어지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넘어짐 방지 부재는 4개의 지주에 각각 설치되고, 넘어짐 방지 부재가 튀어나오는 상태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팰릿 랙의 절첩과 개방 작동에 연동하여 지주가 개폐 작동하기 때문에, 넘어짐 방지 부재의 차륜에 의해 지주가 원활하게 이동함으로써, 팰릿 랙이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서로 연결되는 지주와 빔 부재의 코너부에는, 지주와 빔 부재를 착탈(着脫) 가능하게 연결하는 보강 부재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 보강 부재에 의해 지주와 빔 부재와의 강도를 확보할 수 있어, 물품 등을 적재해도 지주와 빔 부재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서브 빔에 물품 등을 출입할 때는, 보강 부재를 빔 부재로부터 후퇴시킴으로써, 물품 등과의 간섭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팰릿 랙 유닛은, 전술한 어느 하나에 기재된 복수 개의 팰릿 랙에 있어서, 서로 근접 또는 맞닿은 필러는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팰릿 랙 유닛에 의하면, 복수 개의 팰릿 랙을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많은 물품을 서브 빔에 탑재할 수 있어, 지주의 개수를 적게 할 수 있으므로, 부품수를 삭감할 수 있어 제조 비용이 저렴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의한 팰릿 랙에서는, 밀어올림 부재는, 서브 빔을 밀어올리는 방향으로 가압하고, 또한 밀어올리는 방향의 진퇴 범위가 규제된 피스(piece)와, 서브 빔을 밀어올리는 방향으로 피스를 가압하는 탄성 부재를 구비해도 된다. 이 서브 빔에 있어서는, 밀어올림 부재에 가압된 제1 단계의 밀어올림에 의한 절곡과, 또한 밀어올림 부재로부터 이격된 제2 단계의 밀어올림에 의한 절곡이 행해진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팰릿 랙의 적재대인 서브 빔으로부터 팰릿이나 물품이 분리된 경우, 밀어올림 부재의 피스가 스프링 부재 등의 탄성 부재의 가압력에 의해 외측으로 돌출되어 서브 빔을 가압하여 제1 단계의 밀어올림을 행한다. 또한 서브 빔을 수동 등으로 절곡함으로써 피스로부터 이격시켜 제2 단계의 밀어올림이 행해져 팰릿 랙이 절첩 상태로 된다. 그러므로, 팰릿 랙은 팰릿이나 물품을 적재하지 않는 상태에서로 절곡 상태로 유지되므로, 그 절첩을 밀어올림 부재의 가압력에 기초하여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대향하는 제1 빔 부재에 연결된 지주와 제2 빔 부재에 연결된 지주를 연결하는 스태빌라이져가 설치되어도 된다. 스태빌라이져는 대향하는 한쌍의 지주를 근접시킴으로써 절첩 가능 또는 절곡 가능하게 되어 있어도 된다.
이로써, 팰릿 랙은 서브 빔을 절곡하면 빔 부재를 통하여 연결된 지주가 접근하는 것에 연동하여, 지주의 접근에 추종하여 스태빌라이져가 절첩되거나, 또는 절곡되므로, 절첩 또는 절곡 시에 지주가 비틀리거나 하지 않고 원활하게 절첩할 수 있다.
또한, 지주의 하단부에는 차륜이 장착되어 있고, 지주는 탄성 부재에 의해 차륜에 대하여 그 길이 방향으로 진퇴(進退) 가능하게 되어도 된다. 이로써, 서브 빔에 물품 및/또는 팰릿을 적재하면 탄성 부재가 압축되어 지주의 하단부가 차륜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하강하여 걸리게 하도록 해도 된다.
팰릿 랙의 서브 빔에 물품이나 팰릿을 적재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지주를 포함하는 팰릿 랙은 탄성 부재의 가압력에 의해 차륜으로부터 이격되는 상승 위치에 유지되고, 팰릿 랙은 차륜에 의해 이동 가능하다. 한편, 서브 빔에 물품 및/또는 팰릿을 적재하면, 물품 및/또는 팰릿의 중량에 의해 지주를 포함하는 팰릿 랙이 탄성 부재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차륜과 중첩되는 방향으로 하강하게 하여 각 지주의 하단부가 바닥면 또는 기판 등와 맞닿은 하강 위치에서 걸리게 하여, 차륜에 의한 이동을 저지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의한 팰릿 랙 유닛은, 복수 개의 전술한 팰릿 랙이 일체로 형성되고, 서로 근접 또는 맞닿은 지주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팰릿 랙 유닛에 의하면, 복수 개의 팰릿 랙을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많은 물품을 서브 빔에 탑재할 수 있어, 지주의 개수를 적게 할 수 있으므로 부품수를 삭감할 수 있어 제조 비용이 저렴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의한 컨테이너는, 기판과 개구를 제외한 주위에 형성된 측벽이 설치되고, 기판에는 전술한 절첩 가능한 팰릿 랙이 1 또는 복수 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컨테이너에 의하면, 컨테이너 내에 복수 개의 팰릿 랙을 수납?유지하여 수송할 수 있는 동시에, 예를 들면, 왕로에서 물품을 각 팰릿 랙에 적재하여 수송한 후, 복로로 치수나 형상이 상이한 다른 물품을 적재하여 수송하는 경우, 컨테이너에 수용한 복수 개의 팰릿 랙을 절첩 상태로 함으로써 빈 스페이스를 크게 설정하여 다른 물품의 탑재 스페이스를 확보 가능하므로, 왕복의 수송에 있어서 스페이스의 낭비를 억제한 수송을 행할 수 있다.
또한, 기판에는, 지주의 하단부에 설치한 차륜의 주행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그 경우, 컨테이너로의 팰릿 랙의 출입이 가이드홈을 따라 용이하게 행해진다.
또한, 기판은 착탈 가능하게 해도 된다. 그 경우, 가이드홈이 없는 기판과 교체할 수 있어, 기존의 컨테이너에도 본 발명에 의한 팰릿 랙을 수납하여 수송할 수 있다.
[실시예 1]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팰릿 랙을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있어서, 실시예 1에 의한 팰릿 랙(21)은, 물품(22)을 적재하여 보관하거나, 물품(22)을 보관한 상태에서 육상 운송이나 해상 운송이나 항공기 수송 등에 사용하여 각종 물품(22)을 반송하거나 하는 것이다. 도 1에 나타낸 예에서는, 다수의 팰릿 랙(21)의 적재대에 물품(22)을 탑재한 팰릿(23)을 적재하여 보관하거나, 또는 보관 상태로 팰릿 랙(21)을 고정시켜 각종 수송에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도 2에 나타낸 팰릿 랙(21)에서는, 바닥면에도 팰릿(23)과 물품(22)을 탑재하고 있지만, 팰릿 랙(21)을 창고 등에 직접 탑재하는 경우, 바닥면에는 탑재하지 않아도 된다.
도 2에 나타낸 팰릿 랙(21)은, 물품용의 적재대(적재부)(20)가 예를 들면 2단으로 형성되어 있고, 각 단에 팰릿(23)이 탑재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팰릿 랙(21)은 대략 직육면체의 프레임형을 이루고 있고, 팰릿 랙(21)에 설치한 4개의 지주(210)는 대향하는 2개의 측면을 구성하는 한쌍의 전면측 지주(210a, 210a)와 배면측 지주(210b, 210b)이다. 전면측 지주(210a, 210a)와 배면측 지주(210b, 210b)에는 각각 상하 2단의 빔 부재(211)가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예를 들면, 상단의 빔 부재(211)를 부호 "211a", 하단의 빔 부재(211)를 부호 "211b"로 나타내는 것으로 하여, 상단의 빔 부재(211a, 211a)와 하단의 빔 부재(211b, 211b)는 서로 대향하고 있다.
그리고, 상단의 빔 부재(211a, 211a)에는 복수 개(도면에서는 3개)의 중절(中折) 가능한 서브 빔(212)이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가설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하단의 빔 부재(211b, 211b)에도 복수 개의 중절 가능한 서브 빔(212)이 직교하는 방향으로 가설되어 있다. 이들 상하 단의 복수 개의 서브 빔(212, 212)은 물품(22) 등의 적재대(20)를 구성한다. 적재대(20)에 물품(22) 등이 적재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브 빔(212)은 절첩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팰릿 랙(21)의 대향하는 다른 2개의 측면에 있어서, 전면측 지주(210a)와 배면측 지주(210b)에는, 예를 들면, 대략 X자 형상의 스태빌라이져(214)가 상하 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다음에, 서브 빔(212)에 대해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의해 설명한다.
도 5에 있어서, 서브 빔(212)은, 예를 들면, 같은 길이의 2개의 빔 부재(217, 218)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빔 부재(217, 218)는 외측 단부(217a, 218a) 양측에 고정한 단면 대략 L자 형상을 이루는 한쌍의 고정판(219, 219)에 의해 빔 부재(211, 211)에 지지되고, 고정판(219, 219)에 장착된 지지축(220) 주위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5의 (a)에 있어서, 빔 부재(217, 218)의 내측 단부(217b, 218b)끼리는 연결 부재인 봉형(棒形)의 연결축부(221)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한쪽의 빔 부재(218)는 내측 단부(218b)가 절결(切缺) 스텝부(222)를 가지는 동시에 연결축부(221)를 중심으로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다른 쪽의 빔 부재(217)는 내측 단부(217b)가 절결 스텝부(222)에 의해 걸리기까지 빔 부재(218)의 내측 단부(218b)에 서로 끼워지도록 단면이 ㄷ자형(square U?shape or one side opened square shape)으로 형성되고, 연결축부(221) 주위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도 5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빔 부재(217, 218)의 내측 단부(217b, 218b)끼리를 끼워맞추면, 양자 사이에 단차가 형성되지 않는다. 또한, 서브 빔(212)의 절곡 시에 빔 부재(217, 218)의 내측 단부(217b, 218b)에서의 연결축부(221) 주위의 절곡 회동이 원활하게 행해진다[도 5의 (c) 참조].
또한, 연결축부(221)를 서브 빔(212)의 중앙 절곡부에 설치했으므로, 절첩 시에 서브 빔(212)이 대략 균등하게 분할되므로, 절첩 시의 형상을 균형잡히게 하여 그 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축부(221)는 적재대(20)로서 설치한 3개의 서브 빔(212)에서의 각 빔 부재(217, 218)의 내측 단부(217b, 218b)끼리의 구멍을 각각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반드시 3개의 서브 빔(212)을 관통하는 연결축부(221)를 사용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연결축부(221) 대신에, 각 빔 부재(217, 218)의 내측 단부(217b, 218b)끼리의 구멍을 관통하는 축부를, 각 서브 빔(212)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설치해도 된다.
그리고, 도 3 및 도 5에 나타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 개의 서브 빔(212)에서의 빔 부재(217, 218)의 끼워맞춤 구조에 대하여, 한쪽의 빔 부재(217)에 절결 스텝부(222)를 형성여 다른 쪽의 빔 부재(218)를 끼워맞춘 구성을 채용하고 있지만, 이것과 반대의 구조, 즉 빔 부재(218)에 절결 스텝부(222)를 형성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그리고, 복수 개의 서브 빔(212)에서의 절결 스텝부(22)를 형성하는 빔 부재를 그 배열 방향을 따라 빔 부재(217)와 빔 부재(218)교호적(交互的)으로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복수 개의 서브 빔(212)에 의한 적재대(20)의 물품 등의 지지 강도가 한층 안정된다.
도 3에 있어서, 연결축부(221)는, 상단의 적재대(20)를 구성하는 3개의 서브 빔(212)뿐아니라, 하단의 적재대(20)를 구성하는 3개의 서브 빔(212)에도 마찬가지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상하 단의 연결축부(221, 221)는 연결 기구인 연결간(連結杆)(223)에 의해 링크 형상으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연결간(223)은 필수적인 구성은 아니고, 상하 단의 서브 빔(212)을 개별적으로 굴곡시키는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여기서, 상단의 연결축부(221)와 하단의 연결축부(221)를 부호 "221a", " 221b"로 구별하여 나타내는 것으로 하여, 도 5에 있어서, 상단의 연결축부(221a)의 상부에는 인상 부재(224)가 대략 평행하게 설치되고, 연결축부(221a)에서의 각 서브 빔(212)을 협지하는 양쪽에서 연결축부(221a)로부터 기립하는 한쌍의 크랭크 암(225)을 통하여 인상 부재(224)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크랭크 암(225)은 1개의 서브 빔(212)에 대하여 1개 또는 양측에 2개 중 어느 것을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인상 부재(224)는, 도 5의 (b),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랭크 암(225)을 통하여 서브 빔(212)으로부터 기립된 기립 상태와, 서브 빔(212) 상에 기울어진 도복 상태를 선택적으로 취할 수 있도록, 연결축부(221a) 주위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단의 서브 빔(212)에는, 인상 부재(224)가 넘어진 상태에서, 인상 부재(224)를 서브 빔(212) 내에 수용 가능하도록 오목부(226)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예를 들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 단의 적재대(20)를 이루는 서브 빔(212)이 수평 상태로 유지된 상태로부터, 예를 들면, 포크리프트의 클로우 F로 인상 부재(224)를 걸어맞추어 끌어올리면, 도 4의 (a),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축부(221a, 221b)를 통하여 상하 2단의 각 서브 빔(212)이 절곡되어, 팰릿 랙(21)이 전체적으로 절첩된다.
그리고, 수평 상태에 있는 서브 빔(212)의 각 빔 부재(217, 218)의 루트 부분의 배면에 각 빔 부재(217, 218)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228, 228)가 빔 부재(211)에 장착되어 있어도 된다.
다음에, 스태빌라이져(214)에 대하여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의 (a)에 있어서, 지주(210a, 210b) 사이에 장착한 스태빌라이져(214)는, 각각의 한쌍의 판형의 암(230, 230)이 대략 X자형으로 교차하고 있다. 암(230, 230)의 교차부는 지지축(231)에 의해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하 양단이 지주(210a, 210b)에 지지되어 있다. 각 암(230)의 하단부는 도시하지 않은 축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양 암(230)의 교차부인 중앙부에는 긴 홈(230a)이 각각 형성되어 지지축(231)이 끼워져 삽입됨으로써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양 암(230)의 상단부에도 긴 홈(230b, 230b)이 형성되어 지지축(232, 232)이 끼워져 삽입되어 지지되어 있다.
그러므로, 팰릿 랙(21)이 절첩되어 지주(210a, 210b)의 간격이 좁아지면, 각 암(230, 230)은 지지축(231, 232)에 가이드되어 하단부를 지점(支点)으로 하여 회동되면서 위쪽으로 돌출되어 서로 근접하게 된다. 그리고, 팰릿 랙(21)의 각 지주(210a, 210b)는 스태빌라이져(214)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므로, 신축 시에 비틀리지 않고 평행 이동한다.
다음에, 도 7에 있어서, 팰릿 랙(21)의 전면측의 한쪽의 지주(210a)와 상단의 빔 부재(211a)가 교차하는 코너부 근방에는, 버팀대(knee brace)형의 보강 부재(234)가 설치되어 있다. 이 보강 부재(234)는 그 일단이 축(235)에 의해 지주(210a)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코너부 근방의 빔 부재(211a)에는 회동된 보강 부재(234)를 걸리게 하기 위한, 예를 들면, 대략 L자 형상의 걸림부(23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지주(210a)에 있어서 축(235)의 상부에는 보강 부재(234)를 받는 받이부(237)가 설치되어 있다.
마찬가지인 구성의 보강 부재(234)는 지주(210a)와 하단의 빔 부재(211b)와의 사이에도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보강 부재(234)는, 빔 부재(211a, 211b)의 각각의 걸림부(236)에 걸린 상태에서 지주(210a)와 빔 부재(211a, 211b)의 코너부를 넘도록 경사져 버팀대로서 견고하게 고정되어, 팰릿 랙(21)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적재대(20)의 서브 빔(212) 상에 물품(22)이나 팰릿(23)을 탑재하는 경우에는, 걸림부(236)에 걸린 보강 부재(234)와 간섭할 우려가 있으므로, 보강 부재(234)를 받이부(237)로 퇴피(退避)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받이부(237)의 위치는 보강 부재(234)가 걸림부(236)와 반대측으로 경사진 위치로 한다.
이 보강 부재(234)는 적어도 앞쪽의 한쪽의 지주(210a)와 배면측의 한쪽의 지주(210b)에 설치하면 되지만, 4개의 지주(210) 모두에 설치해도 된다.
다음에, 팰릿 랙(21)이 넘어짐 방지 부재(240)에 대해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팰릿 랙(21)의 각 지주(210)의 하부에는 넘어짐 방지 부재(240)가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고, 이 넘어짐 방지 부재(240)는, 미사용 시에는 지주(210) 내에 수납되고[도 7의 (b) 참조], 사용 시에는 지주(210)에 대하여 직각으로 돌출되어 고정 유지된다[도 7의 (a) 참조]. 그리고, 도 7의 (a)에서는 한쪽의 지주(210)에 설치한 넘어짐 방지 부재(240)는 생략되어 있다.
넘어짐 방지 부재(240)는 각각 팰릿 랙(21)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것으로 하고, 예를 들면, 전면측과 배면측에서 4개의 각 지주(210)의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으로 한다.
도 8에 나타낸 지주(210)의 하단부에 있어서, 바닥면에 접하는 지지부(241)에는, 넘어짐 방지 부재(240)의, 예를 들면, 단면이 ㄷ자형의 베이스 부재(242)가 축부(243) 주위로 대략 90° 정역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통상의 상태인 넘어짐 방지 부재(240)의 미사용 시에는 베이스 부재(242)는 지지부(241)의 연장선을 이루는 동일 직선 상에서 지주(210) 내에 유지되어 있다. 그리고, 베이스 부재(242)의 연장 방향에 있어서 축부(243)의 근방에 제1 차륜(244)이 설치되고, 자유단 측에, 예를 들면, 2개의 차륜으로 이루어지는 제2 차륜(245)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지주(210) 내에 있어서, 지지부(241)의 외측에는 지지부(241)보다 높이가 낮은 록 테이블(lock table)(246)이 고정되어 있다. 록 테이블(246)의 정상면(246a)에는 록용의 긴 구멍(247)이 형성되어 있다(도 9 참조). 한편, 베이스 부재(242)의 차륜(244, 245) 측의 면인 배면(242a)을 록 테이블(246)의 정상면(246a)에 면접촉시켜 걸리게 하기 위한 록 기구(248)가 설치되어 있다.
베이스 부재(242)를 축부(243) 주위에 외측으로 회동시키면 도 9의 (a)에 나타낸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 베이스 부재(242)는 록 테이블(246)의 상면에 올라앉아 맞닿는다. 이 때, 제1 차륜(244) 및 제2 차륜(245)의 베이스 부재(242)의 배면(242a)의 바닥면으로부터의 높이는 록 테이블(246)의 높이보다 약간 크다. 또한 축부(243)가 록 테이블(246)의 정상면(246a)보다 약간 높은 위치에 있다. 그러므로, 베이스 부재(242)는 축부(243)로부터 자유단부를 향해 위쪽으로 경사진 상태로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록 기구(248)와 록 테이블(246)의 긴 구멍(247)이 대향하는 위치에 있다.
다음에, 록 기구(248)에 대해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베이스 부재(242)의 배면(242a)에는 T형 볼트(249)의 헤드부(249a)를 외부에 위치시켜 축부(249b)를 삽입시키는 구멍부(250)가 형성되어 있다. 구멍부(250) 내에 삽입된 축부(249b)는 슬리브(251)를 통하여 제1 너트(252)와 나사결합된다. 축부(249b)는, 다시 긴 원형상의 회전 부재(253)의 중앙공(253a)을 관통하여 제2 너트(254)와 나사결합된다. 이와 같이, 록 기구(248)는, T형 볼트(249)가 단단히 체결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회전 부재(253)는 그 양측에 핀(253b)이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T형 볼트(249)의 헤드부(249a)의 길이 방향과 회전 부재(253)의 한쌍의 핀(253b)의 배열 방향이, 예를 들면, 동일 방향으로 되도록 고정되어 있다. 한편, 베이스 부재(242)에 있어서, 록 기구(248)의 근방에 십자홈(255)을 형성한 록 판(256)이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십자홈(255)은 록 테이블(246)의 긴 구멍(247)의 길이 방향과 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긴 홈(255b, 255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9의 (a)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베이스 부재(242)의 자유단을 누름으로써, 베이스 부재(242)의 배면(242a)은 록 테이블(246)의 정상면(246a)에 올라앉아 면접촉한다. 이로써, 제1 및 제2 차륜(244, 245)이 바닥면과 맞닿고, 지주(210)의 하단이 바닥면으로부터 위쪽으로 이격된다[도 9의 (b) 참조]. 이 상태에서, 록 기구(248)의 T형 볼트(249)의 헤드부(249a)가 록 테이블(246)의 긴 구멍(247) 내에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록 기구(248)를 90°회전시키면, T형 볼트(249)의 헤드부(249a)의 길이 방향이 록 테이블(246)의 긴 구멍(247)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여 베이스 부재(242)가 걸린다. 또한, 회전 부재(253)에 대하여 록 판(256)의 십자홈(255)의 긴 홈(255b)을 끼워 삽입한다. 긴 홈(255b)에는 회전 부재(253)의 한쌍의 핀(253b)이 돌출되어 록 기구(248)가 회전 불가능하게 록된다.
이로써, 도 9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242)가 지주(210)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튀어나와 베이스 부재(242)의 차륜(244, 245)이 바닥면에 착석하고, 각 지주(210)가 바닥면으로부터 뜬다. 이로써, 팰릿 랙(21)은 차륜(244, 245)에 의해 주행 가능하게 지지된 구성으로 된다.
베이스 부재(242)와 록 기구(248)에 의해 팰릿 랙(21)을 들어올려 지지하는 것은, 물품(22) 등을 탑재하지 않는 팰릿 랙(21)의 절첩과 개방 작동의 경우이므로, 이들 기구에 큰 중량을 지지하는 강도는 필요없다.
그리고, 팰릿 랙(21)의 지주(210), 빔 부재(211), 서브 빔(212), 스태빌라이져(214) 등은, 예를 들면, 철계(鐵系)의 강재(鋼材)나 SUS, 알루미늄이나 마그네슘 등의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팰릿 랙(21)은 전술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다음에, 그 사용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팰릿 랙(21)은, 팰릿(23)이나 물품(22)이 탑재되어 있지 않은 무부하의 상태에서, 도 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면측 지주(210a)가 배면측 지주(210b)와 서로 근접되어 각 서브 빔(212)이 중절 상태에서 위쪽으로 절첩된 절첩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물품(22) 등을 탑재하기 위해 팰릿 랙(21)에 대하여 개방 작업을 행한다.
이에 앞서, 각각의 한쌍의 지주(210a, 210b)로부터 넘어짐 방지 부재(240)를 인출하여 위치 결정 고정시키는 작업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넘어짐 방지 부재(240)의 베이스 부재(242)는 지지부(241)와 동일 직선 상에 유지되어 지주(210) 내에 수용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도 10에 나타낸 록 기구(248)의 회전 부재(253)는 록 판(256)의 십자홈(255)의 한쪽의 긴 홈(255a)에 끼워맞추어져 있다. 그리고, 록 판(256)을 록 기구(248)의 회전 부재(253)로부터 분리하여 둔다.
그리고, 도 9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지주(210)로부터 베이스 부재(242)를 축부(243) 주위에 외측으로 회동시켜, 그 배면(242a)을 록 테이블(246)의 정상면(246a)에 탑재한다. 이 상태에서 베이스 부재(242)는 제1 차륜(244)이 바닥면과 맞닿아 있다. T형 볼트(249)의 헤드부(249a)는 록 테이블(246)의 긴 구멍(247) 내에 위치한다.
이 상태에서, 도 9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242)의 자유단을 작업자가 다리 등으로 누르면, 베이스 부재(242)는 록 테이블(246)의 정상면(246a)에 배면(242a)이 맞닿는다. 또한, 제1 차륜(244)의 접지점을 지지점으로 하고, 지지축(243)을 작용점으로 하여, 베이스 부재(242)를 회동시킨다. 그리고, 지주(210)를 약간 바닥면으로부터 띄우면, 동시에 제2 차륜(244, 245)이 착지(着地)하여, 베이스 부재(242)가 바닥면과 평행하게 된다. 이 때 T형 볼트(249)의 헤드부(249a)는 긴 구멍(247)을 통해 록 테이블(246) 내에 진입한다.
다음에, 회전 부재(253)를 조작하여 록 기구(248)를 대략 90° 회전시키면, T형 볼트(249)의 헤드부(249a)가 록 테이블(246)에서의 긴 구멍(247)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되어, 베이스 부재(242)를 록 테이블(246)에 고정시킨다. 이 상태에서, 록 기구(248)의 회전 부재(253)는 T형 볼트(249)의 헤드부(249a)와 동일 방향으로 길이 방향이 위치하고 있다. 그 위에 록 판(256)을 씌워 긴 홈(255b)로부터 회전 부재(253)의 2개의 핀(253b)을 돌출시킨다.
이와 같은 작업을 4개의 지주(210) 모두에 행하여, 각각의 베이스 부재(242)가, 예를 들면, 전면측 및 배면측으로 대향하여 돌출되어, 각 제1 및 제2 차륜(244, 245)이 동일 방향을 향하도록 세팅한다.
이로써, 팰릿 랙(21)을 절첩 상태로부터 넓힐 때, 앞쪽의 지주(210a)와 배면측의 지주(210b)를 각각 주행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각 팰릿 랙(21)을 소정의 보관 위치로 이동시켜 유지한다.
이 상태에서, 먼저 팰릿 랙(21)에 있어서, 인상 부재(224)를 기립시켜, 인상 부재(224)의 아래쪽에 도시하지 않은 포크리프트의 클로우부 F를 꽂고, 서브 빔(212)이 자중 등에 의해 급격하게 개방되는 것을 방지한다. 클로우부 F를 하강 시켜, 도 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주(210a, 210b)를 점차 넓히는 등 하여 각 서브 빔(212)의 한쌍의 빔 부재(217, 218)를 점차로 개방하여 간다. 그러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팰릿 랙(21)이 전개되어, 물품을 적재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그리고, 인상 부재(224)를 한쪽의 빔 부재(217) 측으로 넘어뜨려 각각의 오목부(226) 내에 수용한다[도 5의 (b) 참조]. 또한, 지주(210a)와 상하 단의 빔 부재(211a, 211b)와의 사이의 코너부에 가설된 보강 부재(234)를 걸림부(236)에 걸리게 하여 경사 상태로부터 반대측으로 경사지게 하여 받이부(237)에 접촉시켜, 물품(22)을 적재할 때 보강 부재(234)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한다(도 7 참조).
또한, 각 지주(210)가 넘어짐 방지 부재(240)에 대해서도, 록 기구(248)의 록 판(256)을 회전 부재(253)로부터 분리하고, 회전 부재(253)를 약 90° 회전시킴으로써, T형 볼트(249)의 헤드부(249a)에 의한 록을 해제한다. 그리고, 베이스 부재(242)에 대하여, 지주(210)로부터 튀어나오는 위치로부터 상기한 조작과 반대의 조작에 의해 지주(210) 내에 수용하여 둔다.
다음에, 도 3에 나타낸 팰릿 랙(21)의 상하 단의 적재대(20)인 직선형으로 연장된 각 서브 빔(212) 상에, 포크리프트를 사용하여 팰릿(23)에 적재된 물품(22)을 탑재한다. 그리고,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팰릿 랙(21)의 최하단인 바닥면 상에도 팰릿(23)이나 물품(22)을 탑재할 수 있다. 물품(22) 등을 서브 빔(212) 상에 적재한 상태에서, 보강 부재(234)를 빔 부재(211a, 211b) 상의 걸림부(236)에 걸리게 하여 팰릿 랙(21)을 보강한다.
전술한 작업을 각 팰릿 랙(21)마다 행함으로써,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창고 내나 배나 차량 등에 수납한 모든 팰릿 랙(21)의 각 단에 물품(22)을 탑재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물품(22)을 각 팰릿 랙(21)에 탑재함으로써, 직접 겹쳐 쌓을 수 없는 물품이라도 손상시키지 않고 정연(整然)하게 적재할 수 있다.
다음에, 창고 내나 선박 등에 의한 물품(22)의 보관이나 수송이 종료하여 각 팰릿 랙(21)으로부터 물품(22)을 반출한 후의 작업에 대하여 설명한다.
각 팰릿 랙(21)의 서브 빔(212)으로부터 물품(22)을 적재한 팰릿(23)을, 예를 들면, 포크리프트로 인출한 후,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지주(210)로부터 넘어짐 방지 부재(240)를 외측으로 회동시켜 튀어나오게 하여 록하여 둔다.
이 상태에서, 인상 부재(224)를 각 서브 빔(212)의 오목부(226)로부터 분리하여, 기립 상태로 유지한다. 인상 부재(224)의 아래쪽에 포크리프트의 클로우부를 삽입하여, 인상 부재(224)를 위쪽으로 인장시킨다. 그러면 도 4의 (a),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 단의 연결축부(221a, 221b)는 연결간(223)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으므로, 인상 부재(224)를 인장시키는 것만으로, 상단의 3개의 서브 빔(212)과 하단의 3개의 서브 빔(212)이 동시에 위쪽으로 끌어 올려진다.
이에 연동하여, 상하 단의 각 서브 빔(212)은 연결축부(221a, 221b)를 중심으로 빔 부재(217, 218)가 위쪽으로 절곡되고, 전면측 지주(210a)와 배면측 지주(210b)가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때, 연결축부(221a, 221b)는 각각 스태빌라이져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각 빔 부재(217, 218)나 지주(210a, 210b)가 비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지주(210a, 210b)의 접근 이동과 동시에, 도 6의 (a)~(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태빌라이져(214)의 각 암(230)은, 지주(210a, 210b)에 지지된 하단부를 중심으로 회동한다. 이 때, 각 암(230)은, 지지축(231, 232)에 의해 가이드되어 긴 홈(230a, 230b)이 위쪽을 향해 슬라이드 이동한다. 그리고, 대향하는 지주(210a, 210b)가 가장 근접한 도 6의 (c)에 나타낸 위치에서, 암(230)도 가장 위쪽으로 연장되어 유지된다.
이와 같이 하여, 팰릿 랙(21)의 절첩이 완료한 상태로 된다. 그리고, 이들 복수 개의 팰릿 랙(21)을 1개소에 모아서 보관하면, 그 점유 스페이스가 작아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한 팰릿 랙(21)은, 물품(22)을 탑재하는 위쪽에 중절 가능한 복수 개의 서브 빔(212)의 중앙부에 연결축부(221)가 삽통된 구성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연결축부(221)에 연결된 인상 부재(224)에 포크리프트의 클로우부 F를 거는 것에 의해, 연결축부(221)를 상하 이동시켜 복수 개의 서브 빔(212)을 동시에 절곡하거나, 개방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작업원의 손 등을 삽입하여 서브 빔(212)의 절곡과 개방하는 동작을 실시하지 않아도 되어 안전하고, 또한 효율적인 서브 빔(212)의 개폐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상하 단의 서브 빔(212)에 각각 끼워 삽입하여 설치한 연결 부재(221a, 221b)를 연결간(223)으로 연결시켜 링크시키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1개의 인상 부재(224)를 조작하는 것만으로 복수 단의 적재대(20)의 각 서브 빔(212)을 동시에 절곡하거나 개방하거나 할 수 있다.
또한, 각 적재대(20)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서브 빔(212)을 각각 연결축부(221)에 의해 연결시킨 구성이다. 따라서, 연결 부재(221)가 스태빌라이져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어, 절첩과 개방 동작에 있어서 팰릿 랙(21)이 변형되거나 왜곡(歪曲)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팰릿 랙(21)을 절첩하거나 개방하거나 했을 때, 제1 및 제2 차륜(244, 245)을 장착한 베이스 부재(242)를 튀어나오게 하여 각 지주(210)를 부상하게 하여 이동 가능하게 했다. 이로써, 팰릿 랙의 절첩과 개방 동작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그 때, 록 기구(248)에 의해 각각의 베이스 부재(242)에 대하여 지주(210)를 부상시킨 상태로 록할 수 있다. 그러므로, 팰릿 랙(21)이 넘어지거나 바닥면을 손상시키거나 하는 경우가 없다.
또한, 팰릿 랙(21)에 착탈 가능한 보강 부재(234)를 설치하였다. 이로써, 팰릿 랙(21)의 골조 구조를 견고하게 할 수 있다. 더욱이, 물품(22) 등을 서브 빔(212)의 적재대(20)에 짐을 싣거나 내리거나 할 때는, 보강 부재(234)를 제외함으로써, 물품(22) 등과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물품(22)을 반송하는데 있어서, 왕로에서 팰릿 랙(21)에 물품(22)을 탑재하여 운반한 후, 복로에서 물품(22)이나 팰릿(23)을 팰릿 랙(21)으로부터 인출한 절첩 상태로 함으로써,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빈 스페이스를 넓게 확보할 수 있다. 그러므로, 형상이나 크기 등이 상이한 다른 물품을 빈 스페이스에 탑재하여 수송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형태에 의한 팰릿 랙(21)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시키지 않는 한 각종 변경을 행할 수 있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절첩한 팰릿 랙(21)에 대하여, 쉽게 개방되거나 하지 않도록 록부재(260)를 설치한 것이다. 록부재(260)는, 절첩된 빔 부재(211, 211)나 지주(210, 210)가 열리지 않도록 파지(把持)하는 걸림판(261, 261)이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팰릿 랙(21)을 절첩한 상태에서, 2개의 빔 부재(211a, 211a), (211b, 211b), 또는 지주(210a, 210b)를 록부재(260)에 의해 끼워맞추어 유지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12에 의해, 스태빌라이져(214)의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에 있어서, 변형예에 의한 스태빌라이져(264)는, 지주(210a, 210b)로부터 상하 2단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각 2개의 암부(265, 265)끼리의 교차부에 설치한 2개의 지지축을 중앙 암부(266)에 의해 연결하여, 회동 가능하게 한 것이다.
도 12에 나타낸 스태빌라이져(264)는 팰릿 랙(21)이 절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각 암부(265, 266)의 자중에 의해 하강하고 있다. 팰릿 랙(21)이 개방된 상태에서는, 스태빌라이져(264)는 대략 H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중앙 암부(266)에 아래쪽에 자중이 걸리므로, 스태빌라이져(264)는 자중에 의해 절첩 방향으로 가압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변형예에서도 전술한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스태빌라이져(264)는 자중에 의해 아래쪽으로 절곡 가능하게 구성하였지만, 이 대신에 위쪽으로 절곡 가능하게 하여 절첩해도 된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 개의 팰릿 랙(21)을 배열시켰을 경우, 인접하는 복수 개의 팰릿 랙(21)끼리에 의해 사용하는 지주(210)가 4개 또는 2개 근접 또는 맞닿아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근접 또는 맞닿아 배치된 복수 개의 지주(210)끼리를 일체의 지주로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지주(210)의 개수를 삭감할 수 있어,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팰릿 랙(21)의 복수 개의 서브 빔(212)으로 이루어지는 적재대(20)에 팰릿(23)을 탑재하지 않고, 직접 물품(22)을 탑재해도 된다. 팰릿(23)에 적재하는 물품(22)은 패널 등에 한정되지 않고, 적층이 곤란한 것이나 부정형물(不定形物) 등의 모든 물품을 포함한다.
그리고, 전술한 실시형태에 의한 팰릿 랙(21)에서는, 복수 개의 서브 빔(212)으로 이루어지는 적재대(20)를 상하 2단으로 형성하였으나, 2단에 한정되지 않고, 1단 또는 3단 이상이라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그 때, 지주(210)의 하단부에 빔 부재(211)를 대향하여 설치하여 복수 개의 서브 빔(212)을 가설하고, 이것을 최하단의 적재대(20)로 해도 된다.
또한, 적재대(20)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서브 빔(212)에 삽통시키는 연결축부(221)는 반드시 중앙의 절곡부에서 빔 부재(217, 218)에 장착하지 않아도 되고, 중앙부로부터 서브 빔(212)의 단부측으로 어긋나게 설치해도 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팰릿 랙(21)의 인상 부재(224)를 연결축부(221a)에 대하여 기립과 도복을 전환 가능하도록 회동 가능하게 구성하고, 인상 부재(224)에 포크리프트의 클로우부 F를 삽입하여 걸리게 하도록 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 예를 들면, 최상단의 연결축부(221a)에 직접 포크리프트의 클로우부 F를 걸어 인상과 하강의 작업을 행하여, 팰릿 랙(21)의 절첩과 개방 작업을 행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포크리프트의 클로우부 F를 훅형(hook type)으로 형성하여 두면 당겨 거는 조작이 한층 용이하게 된다.
또한, 서브 빔(212)에 탑재하는 물품이 시트형의 필름이나 용지 등을 감은 롤형의 물품인 경우, 팰릿(23)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고, 이 경우, 2개의 서브 빔(212) 사이에 롤형의 물품을 끼워져 삽입시켜 양측의 축심(軸芯)을 서브 빔(212)으로 매달아 지지하도록 해도 된다.
[실시예 2]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팰릿 랙과 컨테이너를 도 13 내지 도 2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3에 있어서, 본 실시형태에 의한 컨테이너(11)는 전체로서, 예를 들면, 대략 직육면체의 프레임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기판(12)과, 기판(12)의 주위의 3방향으로 설치한 측벽(13)을 가지고 있다. 컨테이너(11)의 나머지의 측면에는 측벽(13)은 설치되어 있지 않고 개구(14)로 도어를 설치하고 있다. 컨테이너(11)의 기판(12)에는, 복수 개의 가이드홈(15)이 소정 간격으로 개구(14)로부터 안쪽부를 향해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컨테이너(11)는 육상 운송이나 해상 운송이나 항공기 수송 등에 이용되어 각종 물품을 반송하는 것이며, 본 실시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선박에 적재되어 해상 운송에 사용된다.
컨테이너(11) 내에는 적하용(積荷用)의 물품을 탑재하기 위한 단체(單體)의 팰릿 랙(17)이 복수 형성되어 있고, 각 팰릿 랙(17)은 한쌍의 가이드홈(15)을 따라 컨테이너(11) 내에 인출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도 13에 나타낸 각 팰릿 랙(17)에는 물품 P를 탑재하기 위한 팰릿(18)이 탑재되어 있다.
도 14에 나타낸 팰릿 랙(17)은, 물품용의 적재대(적재부)(10)가, 예를 들면, 3단으로 형성되어 있고, 각 단에 팰릿(18)이 탑재되어 있다.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낸 팰릿 랙(17)은 기판(12) 상에 지지되어 있다. 대략 직육면체의 프레임형을 이루는 팰릿 랙(17)에 설치한 4개의 지주(110)는 대향하는 2개의 측면을 구성하는 한쌍의 전면측 지주(110a, 110a)와 배면측 지주(110b, 110b)이다.
전면측 지주(110a, 110a)와 배면측 지주(110b, 110b)에는 각각 상하 2단의 빔 부재(111)가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예를 들면, 상단의 빔 부재(111)를 부호 "111a", 하단의 빔 부재(111)를 부호 "111b"로 나타내는 것으로 하여, 상단의 빔 부재(111a, 111a)와 하단의 빔 부재(111b, 111b)는 서로 대향하여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단의 빔 부재(111a, 111a)에는 복수 개(도면에서는 3개)의 위쪽에 중절 가능한 서브 빔(112)이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가설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하단의 빔 부재(111b, 111b)에도 복수 개의 위쪽에 중절 가능한 서브 빔(112)이 직교하는 방향으로 가설되어 있다. 이들 상하 단의 복수 개의 서브 빔(112, 112)은 물품 P 등의 적재대(10)를 구성한다.
또한, 팰릿 랙(17)의 대향하는 다른 2개의 측면에 있어서, 전면측 지주(110a)와 배면측 지주(110b)에는, 예를 들면, 대략 H자 형상의 스태빌라이져(114)가 각각의 단부(114a)에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다음에, 서브 빔(112)에 대해 도 16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6에 있어서, 서브 빔(112)은, 예를 들면, 같은 길이의 2개의 빔 부재(115, 116)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빔 부재(115, 116)는 외측 단부(115a, 116a) 양측에 고정한 단면 대략 L자 형상을 이루는 한쌍의 고정판(118, 118)에 의해 빔 부재(111, 111)에 지지되고, 고정판(118, 118)에 장착된 지지축(119) 주위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지지축(119)을 서브 빔(112)의 중앙에 설치했으므로, 절첩 시에 서브 빔(112)이 대략 균등하게 분할되므로, 절첩 시의 형상을 균형잡히게 하여 그 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도 16의 (a)에 있어서, 빔 부재(115, 116)의 내측 단부(115b, 116b)끼리는 축부(121)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한쪽의 빔 부재(116)는 내측 단부(116b)가 절결 스텝부(122)를 가지는 동시에 축부(121)를 중심으로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다른 쪽의 빔 부재(115)는 내측 단부(115b)가 절결 스텝부(122)에 의해 걸리기까지 빔 부재(116)의 내측 단부(116b)에 서로 끼워지도록 단면이 ㄷ자형으로 형성되고, 축부(121) 주위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도 16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빔 부재(115, 116)의 내측 단부(115b, 116b)끼리를 끼워맞추면, 양자 사이에 단차가 형성되지 않는다. 또한, 서브 빔(112)의 밀어올림에 의한 절곡 시에 빔 부재(115, 116)의 내측 단부(115b, 116b)에서의 축부(121) 주위의 절곡 회동이 원활하게 행해진다[도 16의 (c) 참조].
그리고, 도 15에 나타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 개의 서브 빔(112)에서의 빔 부재(115, 116)의 끼워맞춤 구조에 대하여, 한쪽의 빔 부재(115)에 절결 스텝부(122)를 형성하여 다른 쪽의 빔 부재(116)를 끼워맞춘 구성을 채용하고 있지만, 이것과 반대의 구조, 즉 빔 부재(116)에 절결 스텝부(122)를 형성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그리고, 복수 개의 서브 빔(112)에서의 절결 스텝부(122)를 형성하는 빔 부재를 그 배열 방향을 따라 빔 부재(115)와 빔 부재(116)를 교호적으로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복수 개의 서브 빔(112)에 의한 적재대(10)의 물품 등의 지지 강도가 한층 안정된다.
다음에, 빔 부재(115, 116)의 밀어올림 부재(123)에 대해 도 17,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7의 (a)에 있어서, 빔 부재(115, 116)의 외측 단부(115a, 116a)의 아래쪽에 설치한 지지부(117, 117)는 빔 부재(111, 111)에 볼트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각각의 지지부(117)에는 걸림판(117a)과 가이드 통(117b)이 설치되고, 상하 단에 플랜지부를 가지는 피스(124)가 걸림판(117a)의 구멍을 관통하여 상하 방향으로 소정 범위에서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 통(117b) 내에는 빔 부재(115, 116)를 가압 이동하여 밀어올리는 방향으로 피스(124)를 가압하는 스프링 부재(125)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서브 빔(112) 상에 팰릿(18) 및/또는 물품 P가 적재되어 있는 경우에는, 서브 빔(112)의 빔 부재(115, 116)가 피스(124)를 가압하여, 스프링 부재(125)를 그 가압력에 저항하여 압축시켜 빔 부재(115, 116)를 가이드 통(117b, 117b) 상에 맞닿게 하여, 직선형으로 유지한다[도 17의 (a) 참조]. 그리고, 서브 빔(112)에 적어도 팰릿(18) 또는 물품을 탑재시킴으로써, 서브 빔(112)은 직선형으로 넓어진 상태로 유지되도록 한다.
서브 빔(112)으로부터 팰릿(18)이나 물품이 인출되었을 경우에는, 스프링 부재(125)의 가압력으로 피스(124)가 가이드 통(117b)으로부터 돌출하여 빔 부재(115, 116)를 가압하여 밀어올리고, 지지축(119) 주위로 회동시킨다[도 17의 (b) 참조]. 이로써, 빔 부재(115, 116)이 ヘ자형(chevron shape)으로 절곡되므로, 서브 빔(112)이 수평인 상태로 절첩 방향으로 돌출되지 않아, 확실하게 절첩할 수 있다.
또한, 팰릿 랙(17)을 절첩하여 전면측 지주(110a, 110a)와 배면측 지주(110b, 110b)를 근접시키면, 빔 부재(115, 116)는 피스(124)로부터 이격되어 절첩된다[도 17의 (c), 도 18 참조).
서브 빔(112)의 회전축에 가까운 루트 부분에 밀어올림 부재(123)를 설치하였으므로, 스프링 부재(125)에 의한 피스(124)가 작은 스트로크로 서브 빔(112)을 크게 밀어올릴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밀어올림 부재(123)가 루트 부분으로부터 이격되어 있으면 피스(124)의 스트로크가 길고 또한 스프링 부재(125)에 의한 스프링력을 보다 강력하게 해야만 한다.
다음에, 스태빌라이져(114)에 대해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9의 (a)에 있어서, 지주(110a, 110b) 사이에 장착한 스태빌라이져(114)는, 각각 지주(110a, 110b)에 회동 가능하게 상하로 연결된 각각의 한쌍의 암(127, 127)과, 상하의 각 2개의 암(127, 127)의 자유단끼리를 지지축(128, 128)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간(126)에 의해 대략 H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축(128, 128)은 서브 빔(112)의 축부(121)와 동일한 수직면 상에 위치하는 것으로 한다.
스태빌라이져(114)는 자중에 의해 각 암(127, 127)이 아래쪽으로 회동하는 방향으로 항상 힘을 받고 있다. 그러므로, 팰릿 랙(17)이 절첩되기 시작하면 스태빌라이져(114)는 연동하여 자중에 의해 지지축(128, 128)에 의해 아래쪽으로 절곡된다. 팰릿 랙(17)이 절첩될 때, 각 지주(110a, 110b)는 스태빌라이져(114)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므로, 비틀리지 않고 평행 이동한다.
다음에, 팰릿 랙(17)의 각 지주(110)의 하단에 설치한 다리부(129)에 대해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팰릿 랙(17)의 각 지주(110)는, 예를 들면, 단면(斷面)이 대략 L자형으로 형성되고, 그 하단의 다리부(129)에는 차륜(130)과 그 수용부(131)가 설치되어 있다. 수용부(131)는, 예를 들면, 단면이 대략 ㄷ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수용부(131)에는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제1 걸림판(132) 및 제2 걸림판(133)이 설치되고, 이들 제1 및 제2 걸림판(132, 133)을 관통하여 지지축(134)이 상대적으로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지지축(134)의 상단에는 스토퍼(135)가 설치되고, 하단에는 지지 프레임(136)을 통하여 차륜(130)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지지 프레임(136)과 제2 걸림판(133)과의 사이에는 탄성 부재로서 스프링 부재(137)가 장착되어 있다.
한편, 도 21에 있어서, 컨테이너(11)의 기판(12)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각 지주(110)의 차륜(130)이 주행하는 가이드홈(15)이 형성되어 있고, 가이드홈(15)의 외측에는 가이드홈(15)보다 약간 얕은 걸림홈(139)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가이드홈(15)의 외측에는 지주(110)의 위치를 규제하는 가이드 벽(140)이 기판(12)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도 21에 있어서, 팰릿 랙(17)의 각 지주(110)의 하단에 설치한 차륜(130)이 기판(12)의 가이드홈(15)에 착지한 상태에서, 도 21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팰릿 랙(17)에 팰릿(18)이나 물품 P가 탑재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스프링 부재(37)의 가압력에 의해 제2 걸림판(133)을 위쪽으로 가압하고 있으므로, 팰릿 랙(17)은 상승 위치에 유지되고, 지주(110)는 하단이 기판(12)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또한, 도 21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팰릿 랙(17)은 팰릿(18) 및/또는 물품 P가 탑재된 상태에서는 하강 위치에 있고, 스프링 부재(137)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지주(110)가 아래쪽으로 가압되고, 스프링 부재(137)는 제2 걸림판(133)에 의해 압축된다. 팰릿 랙(17)의 하강 위치에서, 지주(110)의 수용부(131)의 하단은 기판(12)의 걸림홈(139)에 압압(押壓)되어 걸리게 하여, 팰릿 랙(17)의 차륜(130)이 가이드홈(15)을 따라 뜻하지 않게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차륜(130)의 지지 프레임(136)에 핀(136a)이 형성되어 있고, 수용부(131)의 하단에 형성한 절결홈(131a)이 핀(136a)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끼워져 삽입되어 있으므로, 팰릿 랙(17)의 하강 범위가 규제된다.
그리고, 팰릿 랙(17)의 지주(110), 빔 부재(111), 서브 빔(112), 스태빌라이져(114) 등은 철계의 강재나 SUS, 알루미늄이나 마그네슘 등의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팰릿 랙(17)은 전술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다음에, 그 사용 방법과 컨테이너(11)로의 수납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팰릿 랙(17)은 팰릿(18)이나 물품이 탑재되어 있지 않은 무부하의 상태에서, 도 15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면측 지주(110a)를 배면측 지주(110b)에 근접시킨 절첩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팰릿 랙(17)은 상승 위치에 있으므로, 각 지주(110a, 110b)의 다리부(129)에 설치한 차륜(130)에 대하여 수용부(131)가 위쪽으로 상승한 위치에 있다. 그리고, 수용부(131)는 걸림홈(139)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도 20, 도 21의 (a) 참조]. 그러므로, 절첩 상태의 팰릿 랙(17)을 누름으로써, 4개의 지주(110)의 차륜(130)에 의해 팰릿 랙(17)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로써, 팰릿 랙(17)을 컨테이너(11) 내의 기판(12)에 설치한 한쌍의 가이드홈(15, 15)을 따라 기판(12) 상의 소정의 유지 위치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컨테이너(11) 내에서 수납 상태에 있는 팰릿 랙(17)에 물품을 탑재하는 경우, 절첩 상태에 있는 팰릿 랙(17)에 대하여, 전면측 지주(110a, 110a)와 배면측 지주(110b, 110b)를 서로 이격시킨다. 그리고, 팰릿 랙(17)을, 각 서브 빔(112)이 중절된 접는 상태로부터 도 15의 (a)에 나타낸 빔 부재(115, 116)가 직선형으로 넓어진 물품을 적재 가능한 상태로 넓힌다.
이 상태에서, 상단과 하단의 각 서브 빔(112)에 미리 물품 P를 적재한 팰릿(18)을 각각 탑재하면(도 14 참조), 물품 P와 팰릿(18)의 중량에 의해, 빔 부재(115, 116)는 각각 밀어올림 부재(123)의 피스(124)를 가압 이동시켜 가이드 통(117b) 내로 후퇴시켜, 스프링 부재(125)를 압축한다[도 17의 (a) 참조].
그리고, 상단 또는 하단 중 적어도 1단으로 물품 P를 적재한 팰릿(18)을 서브 빔(112)에 탑재함으로써, 팰릿(18)을 탑재하지 않은 단의 적재대(10)도 포함하여 각 서브 빔(112)을 물품 적재 가능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각각의 스프링 부재(125)의 가압력과 팰릿(18)의 중량을 균형잡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단 및/또는 하단의 각 서브 빔(112) 상에 물품 P를 적재한 팰릿(18)을 탑재시키면, 그 중량에 의해 각각의 밀어올림 부재(123)의 스프링 부재(125)가 압축된다. 그뿐아니고, 각 지주(110)가 약간 하강하여 다리부(129)에 설치한 스프링 부재(137)가 압축된다. 이로써, 팰릿 랙(17)을 하강 상태로 유지한다[도 21의 (b) 참조]. 이로써, 다리부(129)에서의 수용부(131)의 단면이 ㄷ자형으로 형성된 부분의 하단이 가이드홈(15)의 양측에 형성된 걸림홈(139)에 착석한다. 그러므로, 팰릿 랙(17)은 기판(12)에 걸린 상태로 유지되어 컨테이너(11)를 수용한 선박 등이 요동해도 이동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팰릿 랙(17)의 최하단인 기판(12) 상에도 팰릿(18)을 탑재할 수 있다.
전술한 작업을 각 팰릿 랙(17)마다 행함으로써,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컨테이너(11) 내에 수납한 모든 팰릿 랙(17)의 각 단에 물품 P를 탑재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물품 P를 각 팰릿 랙(17)에 탑재함으로써, 직접 겹쳐 쌓을 수 없는 물품이라도 손상시키지 않고, 정연하게 적재할 수 있다.
다음에, 선박 등에 의한 수송이 종료하여 컨테이너(11)로부터 물품을 반출한 후의 작업에 대하여 설명한다. 특히, 왕로에서 물품 P를 반송한 후의 복로의 편(便)에서, 왕로에서 반송한 물품 P와 다른 형상이나 치수의 물품 등을 컨테이너(11)에 적재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22에 있어서, 컨테이너(11) 내에 각각의 가이드홈(15)을 따라 다수의 팰릿 랙(17)이 수용되어 있고, 각 팰릿 랙(17)의 서브 빔(112)으로부터 물품 P를 적재한 팰릿(18)을 인출하면, 각 지주(110)가 다리부(129)에서의 스프링 부재(137)의 가압력에 의해 상승 위치로 이동한다. 그러면, 수용부(131)의 하단이 걸림홈(139)으로부터 이격되므로, 팰릿 랙(17)은 차륜(130)에 의해 가이드홈(15) 내를 이동 가능하게 된다[도 21의 (a) 참조].
각 팰릿 랙(17)은 물품 P와 팰릿(18)을 인출함으로써, 각 서브 빔(112)의 빔 부재(115, 116)는 그 루트 부분에 설치한 밀어올림 부재(123)에서의 스프링 부재(125)의 가압력에 의해 피스(124)를 가이드 통(117b)으로부터 돌출시킨다. 피스(124)는 각 빔 부재(115, 116)를 가압 이동시켜, 그 하단의 플랜지부가 걸림판(117a)과 맞닿기까지 상승한다. 각 빔 부재(115, 116)는 축부(121)를 중심으로 위쪽으로 밀어올려져 회동되어, 중절 상태로 된다.
각 빔 부재(115, 116)의 밀어올림 회동에 연동하여, 전면측 지주(110a, 110a)와 배면측 지주(110b, 110b)는 스태빌라이져(114)에 의해 평행 상태를 유지하여 서로 접근한다. 전면측 지주(110a, 110a)와 배면측 지주(110b, 110b)의 접근에 연동하여, 스태빌라이져(114)는 그 자중에 의해 연결축(28)에 의해 아래쪽으로 절곡된다[도 15의 (b), 도 19의 (b) 참조].
그리고, 서브 빔(112)은 다시 수동 등으로 중절되어 밀어올림 부재(123)의 피스(124)로부터 이격되고, 스태빌라이져(114)도 아래쪽으로 절곡됨으로써, 팰릿 랙(17)은 절첩이 완료된 상태로 된다[도 15의 (c), 도 19의 (c) 참조].
이와 같이 하여, 모든 팰릿 랙(17)의 절첩이 완료되고,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들 팰릿 랙(17)을 컨테이너(11)의 안쪽의 측벽(13)에 기울게 한다. 그러면 도 23에 있어서, 컨테이너(11)의 개구(14) 측의 스페이스가 공간으로 되고, 이 공간에 다른 물품을 탑재하여 귀로(歸路)에 운반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한 팰릿 랙(17) 및 컨테이너(11)는, 물품 P를 탑재하는 중절 가능한 서브 빔(112)의 루트 부분에 피스(124)와 스프링 부재(125)를 구비한 밀어올림 부재(123)를 설치하였다. 이로써, 물품이나 팰릿(18)을 인출한 상태에서 스프링 부재(125)의 가압력에 의해 절곡 상태로 할 수 있다. 그와 동시에, 팰릿(18)이나 물품 P를 서브 빔(112)에 탑재한 상태에서 스프링 부재(125)를 압축하여, 서브 빔(112)을 물품이 적재 가능한 상태로 넓히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전면측 지주(110a)와 배면측 지주(110b)를 근접시키면, 스태빌라이져(114)가 아래쪽으로 절곡되므로, 스태빌라이져(114)는 스프링 부재 등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 종동적(從動的)으로 절곡 작동과 확폭(擴輻) 작동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스태빌라이져(114)에 의해, 전면측 지주(110a)와 배면측 지주(110b)는 비틀리지 않고 평행 상태를 유지하여 절첩 또는 넓히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팰릿 랙(17)은 팰릿(18)이나 물품 P를 서브 빔(112)에 탑재함으로써, 그 중량에 의해 지주(110)를 포함하여 하강 위치에 유지된다. 그러므로, 다리부(129)에서의 수용부(131)의 하단을 걸림홈(139)에 착석시켜 팰릿 랙(17)을 걸리게 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팰릿 랙(17)이 뜻하지 않게 움직이거나 하지 않으므로, 팰릿(18)이나 물품 P를 확실히 유지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팰릿 랙(17)으로부터 팰릿(18)이나 물품 P를 인출한 상태에서, 다리부(129)에 설치한 스프링 부재(137)의 가압력으로 상승 위치에 유지되고, 차륜(130)에 의해 주행하여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므로, 절첩한 팰릿 랙(17)을 컨테이너(11) 내의 기판(12) 내에 설치한 가이드홈(15) 상을 주행시켜 소정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왕로에서 팰릿 랙(17)에 물품 P를 탑재하여 운반한 후, 복로에서, 물품이나 팰릿(18)을 팰릿 랙(17)으로부터 떼어낸 절첩 상태로 함으로써, 컨테이너(11) 내의 기판(12) 상의 빈 스페이스를 넓게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형상이나 크기 등이 상이한 다른 물품을 빈 스페이스에 탑재하여 수송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형태에 의한 팰릿 랙(17)과 컨테이너(11)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시키지 않는 한 각종 변경을 행할 수 있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4는 절첩한 팰릿 랙(17)에 대하여, 함부로 개방되거나 하지 않도록 록부재(141)를 설치한 것이다. 록부재(141)는, 기재(基材)(142)에 대하여 절첩된 빔 부재(111, 111)나 지주(110, 110)가 개방되지 않도록 파지하는 걸림판(143, 143)이 설치되어 있다.
팰릿 랙(17)을 절첩한 상태에서, 2개의 빔 부재(111a, 111a), (111b, 111b), 또는 지주(111a, 111b)를 록부재(141)에 의해 끼워맞추어 유지하게 할 수 있다.
다음에, 도 25는 스태빌라이져(114)의 변형예를 가지는 팰릿 랙(17)의 측면도이다.
도 25에 있어서, 변형예에 의한 스태빌라이져(145)는, 2개의 암(146, 146)을 X자형으로 교차시켜, 교차점에 지지축(128)을 설치하여 회동 가능하게 하고, 각 암(146)의 양 자유단부는 전면측 지주(110a)와 배면측 지주(110b)에 축(147, 147)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전면측 지주(110a)와 배면측 지주(110b)에는 각 암(146)의 축(147, 147)을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긴 홈(148, 148)이 천공(穿孔)되어 있다.
그러므로, 팰릿 랙(17)의 절첩 상태에서는, 스태빌라이져(145)의 각 암(146)의 축(147, 147)은 각 지주(110a, 110b)의 긴 홈(148, 148)의 상하 방향 외측으로 이동하여 접히고, 물품 적재 가능 상태에서는, 각 암(146)의 축(147, 147)은 각 긴 홈(148, 148)의 상하 방향 내측으로 이동하여 서브 빔(112)을 직선형으로 넓어진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은 변형예에서도 전술한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컨테이너(11) 내에 복수 개의 팰릿 랙(17)을 배열시킨 경우, 인접하는 복수 개의 팰릿 랙(17)끼리에 의해 사용하는 지주(110)가 4개 또는 2개 근접 또는 맞닿아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근접 또는 맞닿아 배치된 복수 개의 지주(110)끼리를 일체의 지주로서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지주(110)의 개수를 삭감할 수 있어,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기판(12)에는 가이드홈(15)을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 팰릿 랙(17)의 다리부(129)에 스토퍼를 설치하여, 소정 위치에서 록시키면 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팰릿 랙(17)의 서브 빔(112)으로 이루어지는 적재대(10)에 팰릿(18)을 탑재시키지 않고, 직접 물품을 탑재시키도록 해도 된다.
또한, 스태빌라이져(114)는 자중에 의해 아래쪽으로 절곡 가능하게 구성하였지만, 그 대신에 위쪽으로 절곡 가능하게 하여 절첩해도 된다.
또한, 팰릿(18)에 적재하는 물품 P는 패널 등에 한정되지 않고, 적층이 곤란한 것이나 부정형물 등의 모든 물품을 포함한다.
또한,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브 빔(112)에 탑재하는 물품이 시트형의 필름이나 용지 등을 감은 롤형의 물품 Q인 경우, 팰릿(18)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고, 이 경우, 서브 빔(112) 사이에 롤형의 물품 Q를 끼워 삽입하여 양측의 축심을 서브 빔(112)에 의해 매달아 지지하도록 해도 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구성의 부가, 생략, 치환, 및 그 외의 변경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설명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첨부한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산업 상의 이용 가능성]
절첩 가능한 팰릿 랙으로서, 지주와, 빔 부재와, 위쪽으로 절곡되는 서브 빔을 구비하고, 연결된 상기 지주와 상기 빔 부재를 대향시켜, 대향하는 상기 빔 부재 사이에 상기 서브 빔을 가설함으로써 적재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1: 팰릿 랙
22: 물품
210: 지주
210a: 전면측 지주
210b: 배면측 지주
211, 211a, 211b: 빔 부재
212: 서브 빔
214, 264: 스태빌라이져
217, 218: 빔 부재
223: 연결간
221, 221a, 221b: 연결축부
224: 걸림 부재
225: 크랭크 링크
226: 오목부
234: 보강 부재
236: 걸림부
240: 넘어짐 방지 부재
242: 베이스 부재
243: 지지축
244: 제1 차륜
245: 제2 차륜
248: 록 기구
249: T형 볼트
249a: 헤드부
246: 록 테이블
247: 긴 구멍
255: 십자홈
11: 컨테이너
12: 기판
15: 레일 홈
17: 팰릿 랙
18: 팰릿
110: 지주
110a: 전면측 지주
110b: 배면측 지주
111, 111a, 111b: 빔 부재
112: 서브 빔
115, 116: 빔 부재
114, 145: 스태빌라이져
123: 밀어올림 부재
124: 피스
125, 137: 스프링 부재
129: 다리부
130: 차륜
131: 수용부
134: 지지축
139: 걸림홈

Claims (16)

  1. 지주(支柱)와,
    상기 지주에 연결되는 빔(beam) 부재와,
    상기 빔 부재 사이에 가설(架設)되어 위쪽으로 절곡 가능한 서브 빔
    을 포함하고,
    상기 서브 빔이 연장된 상태로 적재부가 형성되어 있는, 절첩(折疊) 가능한 팰릿 랙(pallet rack).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는, 연결된 상기 지주와 상기 빔 부재를 대향하여 설치하고, 대향하는 상기 빔 부재 사이에 상기 서브 빔을 가설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서브 빔은 길이 방향 도중 부분에서 절곡 가능하게 설치되고, 들어올림으로써 상기 서브 빔을 절곡시키는 연결 부재가 상기 서브 빔에 설치되어 있는, 팰릿 랙.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빔 부재 사이에 배열되는 복수 개의 서브 빔을 절곡부에 의해 연결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 부재에 연결되어 있어, 끌어올림으로써 상기 연결 부재를 통하여 복수 개의 서브 빔을 절곡하는 인상(引上) 부재를 구비한, 팰릿 랙.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상 부재는 기립(起立) 위치와 도복(倒伏) 위치로 전환 가능하며, 상기 서브 빔에는 넘어진 상기 인상 부재를 서브 빔으로부터 돌출하지 않는 위치에 수납하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팰릿 랙.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빔 부재 사이에 설치한 복수 개의 서브 빔을 설치한 적재부는, 상기 지주의 높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개방하여 복수 단 형성되고, 복수 단의 상기 적재부에서의 서브 빔에 각각 설치된 상기 연결 부재끼리를 연결하는 연결 기구를 구비하고, 최상단의 적재부에 설치한 상기 연결 부재에 상기 인상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팰릿 랙.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의 하단부에는, 상기 지주에 수납되어 있어 튀어나올 수 있는 차륜이 부착된 넘어짐 방지 부재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넘어짐 방지 부재는, 상기 지주에 수납된 상태와 상기 지주로부터 튀어나와 차륜에 의해 지지하는 상태를 선택적으로 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팰릿 랙.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넘어짐 방지 부재는 4개의 지주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넘어짐 방지 부재가 튀어나온 상태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는, 팰릿 랙.
  8. 제2항에 있어서,
    서로 연결되는 상기 지주와 상기 빔 부재의 코너부에는, 상기 지주와 상기 빔 부재를 착탈(着脫) 가능하게 연결하는 보강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팰릿 랙.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는, 연결된 상기 지주와 상기 빔 부재를 대향하여 설치하고, 대향하는 상기 빔 부재 사이에 상기 서브 빔을 가설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서브 빔은 길이 방향 도중 부분에서 절곡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서브 빔의 루트 부분(root portion)에 상기 서브 빔을 밀어올리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밀어올림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팰릿 랙.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밀어올림 부재는, 상기 서브 빔을 밀어올리는 방향으로 가압하고, 또한 밀어올리는 방향의 진퇴(進退) 범위가 규제된 피스(piece)와 상기 서브 빔을 밀어올리는 방향으로 피스를 가압하는 탄성 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서브 빔은 상기 밀어올림 부재에 가압된 제1 단계의 밀어올림에 의한 절곡과, 또한 상기 밀어올림 부재로부터 이격(離隔)된 제2 단계의 밀어올림에 의한 절곡이 행해지도록 되어 있는, 팰릿 랙.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대향하는 제1 상기 빔 부재에 연결된 지주와 제2 상기 빔 부재에 연결된 지주를 연결하는 스태빌라이져(stabilizer)가 설치되고, 상기 스태빌라이져는 대향하는 한쌍의 상기 지주를 근접시킴으로써 절첩 가능 또는 절곡 가능하게 되어 있는, 팰릿 랙.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의 하단부에는 차륜이 장착되어 있고, 상기 지주는 탄성 부재에 의해 차륜에 대하여 그 길이 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서브 빔에 물품 및 팰릿 중 적어도 한쪽을 적재하면 상기 탄성 부재가 압축되어 상기 지주의 하단부가 상기 차륜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하강하여 걸리게 하도록 한, 팰릿 랙.
  13. 제9항에 기재된 복수 개의 팰릿 랙이 일체로 형성되고, 서로 근접 또는 맞닿은 지주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팰릿 랙 유닛.
  14. 기판과,
    개구를 제외한 주위에 형성된 측벽
    을 포함하고,
    상기 기판에는 제9항에 기재된 절첩 가능한 팰릿 랙이 1 또는 복수 개 설치되어 있는, 컨테이너.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에는, 상기 지주의 하단부에 설치한 차륜의 주행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는, 컨테이너.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는, 컨테이너.
KR1020127015334A 2009-12-10 2010-12-08 팰릿 랙, 팰릿 랙 유닛 및 팰릿 랙을 구비한 컨테이너 KR2012011426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280590 2009-12-10
JP2009280590A JP4862938B2 (ja) 2009-12-10 2009-12-10 パレットラック、パレットラックユニット及びパレットラックを備えたコンテナ
JPJP-P-2010-185593 2010-08-20
JP2010185593A JP4941582B2 (ja) 2010-08-20 2010-08-20 パレットラック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4264A true KR20120114264A (ko) 2012-10-16

Family

ID=44145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5334A KR20120114264A (ko) 2009-12-10 2010-12-08 팰릿 랙, 팰릿 랙 유닛 및 팰릿 랙을 구비한 컨테이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120114264A (ko)
CN (1) CN102652100A (ko)
WO (1) WO20110710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98449B2 (ja) * 2011-11-10 2015-10-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パックの積載システム、積載方法、及び積載構造
JP6052515B2 (ja) * 2014-06-13 2016-12-27 株式会社ダイフク コンテナ昇降搬送装置
JP6183714B2 (ja) * 2014-06-13 2017-08-23 株式会社ダイフク コンテナ昇降搬送装置
CN107555051B (zh) * 2016-06-30 2023-05-16 嘉兴宋氏模塑工业有限公司 立体货架及运用该货架的立体仓库
CN106541976A (zh) * 2016-10-28 2017-03-29 东莞市北扬工业设计有限公司 一种光伏电池板的运转车
CN108839943A (zh) * 2018-07-19 2018-11-20 盐城天合国能光伏科技有限公司 一种可回收的光伏组件包装运输方法和结构组合件
US10934053B1 (en) * 2019-12-09 2021-03-02 FreightWeb Services, Inc. Adjustable pallet rack
US11891236B2 (en) 2020-02-25 2024-02-06 Pvpallet, Inc. Transport container
CN111453272B (zh) * 2020-04-01 2021-05-14 清华大学 一种具有高刚度的转运货架
CN111547332B (zh) * 2020-04-23 2021-10-26 南京东升货架制造有限公司 一种便于稳定存放物料的料架
CN113213051B (zh) * 2021-06-16 2021-12-14 浙江云洁仓储设备有限公司 一种具有电动抓取机构的大型仓储柜体
CN114847654B (zh) * 2022-05-06 2023-06-06 江西光正金属设备集团有限公司 一种具有连接结构的便于折叠的金属架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88203640U (zh) * 1988-02-29 1988-08-24 王新瑜 窗和家具门插销
US5253389A (en) * 1992-09-21 1993-10-19 Odyssey Systems, Ltd. Foldable caster
CN2185789Y (zh) * 1993-12-30 1994-12-21 谢锡安 工作梯
JP2573470B2 (ja) * 1994-09-01 1997-01-22 東海理研株式会社 郵便はがき仕分箱用受棚枠
DE20012511U1 (de) * 2000-07-17 2000-12-28 Hoerdum Martin Selbstaufbauende Möbel
JP2004017982A (ja) * 2002-06-13 2004-01-22 Wen-Bin Tsai 折畳み式物入れ
CN2754455Y (zh) * 2004-12-13 2006-02-01 彭涛 方便移动桌
JP4506562B2 (ja) * 2005-05-26 2010-07-21 株式会社ダイフク 表示器を備えた構造物
KR100738704B1 (ko) * 2005-10-06 2007-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용 스탠드
CN201128579Y (zh) * 2007-12-18 2008-10-08 天津重钢机械装备有限公司 用于集装箱装卸货物的移动式货架
JP2009203032A (ja) * 2008-02-28 2009-09-10 Nippon Zeon Co Ltd ラッ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71076A1 (ja) 2011-06-16
CN102652100A (zh) 2012-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14264A (ko) 팰릿 랙, 팰릿 랙 유닛 및 팰릿 랙을 구비한 컨테이너
US7802526B2 (en) Modular and customizable returnable rack system
DK2390198T3 (en) Shuttle Pallet System
US7971713B2 (en) Container for shipping vehicles, including extension plate
KR100987869B1 (ko) 접철식 컨테이너형 파레트
US9038838B2 (en) Intermodal container
US9828172B2 (en) Intermodal container
KR20090127164A (ko) 포스트팔레트
US20090218304A1 (en) Collapsible and stackable supporting device for shipping and storage of materials
JP2011079555A (ja) ポストパレット
CN104554989B (zh) 带托盘的堆叠装置
EP3524536B1 (en) Pallet
KR101165568B1 (ko) 접철식 컨테이너 파레트
JP4862938B2 (ja) パレットラック、パレットラックユニット及びパレットラックを備えたコンテナ
JP2006306498A (ja) 長尺フィルムのロールコンテナ
US20130319887A1 (en) Collapsible Garment Stillage
CN203652263U (zh) 带托盘的堆叠装置
US20130206620A1 (en) Collapsible Garment Stillage
JPH0966938A (ja) ガラス板用コンテナパレット
KR102268567B1 (ko) 확장형 파렛트
JP2006347617A (ja) 箱状コンテナの壁面構造
JP4941582B2 (ja) パレットラック
RU72945U1 (ru) Тара многооборотная трансформируемая
KR102084055B1 (ko) 차량 적재물 하역 보조기구
JP3209660U (ja) トラ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