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4241A - 세정제 조성물, 거품을 생성하는 방법, 거품 및 모발을 세정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세정제 조성물, 거품을 생성하는 방법, 거품 및 모발을 세정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4241A
KR20120114241A KR1020127013952A KR20127013952A KR20120114241A KR 20120114241 A KR20120114241 A KR 20120114241A KR 1020127013952 A KR1020127013952 A KR 1020127013952A KR 20127013952 A KR20127013952 A KR 20127013952A KR 20120114241 A KR20120114241 A KR 201201142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am
foaming
cleaning
composition
bub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3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모유키 가와소에
히로미 테라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9278766A external-priority patent/JP485997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9280414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1121896A/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ublication of KR201201142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42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7/00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1Cellulose; Quaternized cellulose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7Polym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물 및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세정제 조성물로서, 상기 세정제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은 0.4질량%이상 12질량%이하이며, 30℃에서의 상기 세정제 조성물의 점도는 5mPa·초이상 1500mPa·초이하이며, 상기 세정제 조성물에 공기를 혼합함으로써 거품을 생성시키고 10초후에 있어서의 30℃에서의 거품의 점도는 40mPa·초이상 100mPa·초이하이며, 상기 세정제 조성물에 공기를 혼합함으로써 거품을 생성시킨 30초후에 있어서의 거품에 포함되는 기포의 평균직경은 10μm이상 100μm이하인 세정제 조성물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세정제 조성물, 거품을 생성하는 방법, 거품 및 모발을 세정하는 방법{CLEANSER COMPOSITION, METHOD FOR GENERATING FOAM, FOAM, AND METHOD FOR WASHING HAIR}
본 발명은 세정제 조성물, 거품을 생성하는 방법, 거품 및 모발을 세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모발, 피부 등을 세정하는 세정제로서는 고체세정제, 액체세정제 등이 알려져 있지만 간편하게 거품을 발생시킬 수 있는 점에서 포말세정제가 이용되고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7-161906호에는 애니온 계면활성제, 지방산알킬올아미드 및 폴리알킬렌테레프탈레이트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포말세정제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펌프포머, 스퀴즈포머 등의 넌에어로졸(non-aerosol)형 거품토출용기에 포말세정제용 조성물을 충전한 포말세정제가 개시되어 있다.
그렇지만, 포말세정제용 조성물중에는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이 많기 때문에 세정에 의한 계면활성제의 배출량이 많아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포말세정제용 조성물중의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을 줄이면 세정성 및 사용감촉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다.
일반적으로, 두발이나 피부 등 신체에 사용하는 샴푸·핸드솝·보디솝 등의 세정제를 사용할 때에는 액상인 채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세정제의 원액을 손에 덜어 손바닥 혹은 두발상에서 거품상으로 기포(거품을 발생시킴)시키거나, 기포기구가 부착된 용기 혹은 기포장치를 이용하여 거품상으로 기포시켜, 그 기포상의 세정제(포상 세정제)로 머리카락이나 손 및 피부를 세정함으로써 적정한 세정력이 발휘된다.
액상세정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세정처리를 개시하기 전에 세정제의 거품을 발생시킬 필요가 있고, 이 처리가 번거롭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거품을 발생시키는 방법이 개개인에게 동일하지 않으므로 소정의 세정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는 문제점도 있다. 그러나, 미리 기포기구가 부착된 용기 등에서 기포된 거품상 세정제를 용기로부터 취출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는 즉시 거품상 세정제를 사용할 수 있고 사용성의 향상 및 세정성의 균일화를 도모할 수 있다.
종래의 원액 세정제로부터 거품상 세정제를 생성하는 방법으로는 펌프포머에 의한 거품생성방법, 에어로졸에 의한 거품생성방법 및 전동에 의한 거품생성방법 등이 알려져 있다. 펌프포머에 의한 거품생성방법은 내부에 메시부재 등의 거품발생부를 설치한 디스펜서를 이용하여 액상세정제를 거품상 세정제로 하는 방법이다(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8-265877호 및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5-262202호).
또한, 에어로졸용기에 의한 거품생성방법은 분사제가 되는 액화가스가 세정액과 동시에 노즐로부터 토출될 때, 액화가스가 급격하게 팽창함으로써 세정액이 발포하고, 이로써 거품상 세정제가 생성되는 방법이다(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9-120525호). 또한, 전동에 의한 거품생성방법은 세정액이 충전된 탱크내에 세정액내로 펌프로부터 공기가 공급되도록 구성된 발포석(다공질재)을 배설하고, 이 발포석으로부터 분사되는 거품에 의해 세정제에 미세한 공기를 혼합하여 거품상 세정제를 생성하는 방법이다(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3-033292호). 또한, 공중화장실 등에서 실용화되어 있는 펌프포머에 의한 거품생성방법과 전동에 의한 거품생성방법을 조합한 방법도 있다(일본공개실용신안공보 평05-007334호).
그러나, 펌프포머에 의한 거품생성방법에서는 생성되는 거품상 세정제의 입자가 거칠고 원하는 크리미한 거품을 생성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감촉이 거친 거품은 함유되는 공기(기포)가 크고, 세정중에 용이하게 파포해 버리는 점에서, 거품의 지속성이 나쁘고 세정에 관한 만족감에도 문제가 있었다. 또한, 펌프포머에 의한 거품생성방법에서는 디스펜서에 형성된 메시부재가 세정제 원액의 잔류·건조에 의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메시의 그물눈이 막힘에 따라 세정제의 적용종류에 제한이 있음과 동시에, 사용법에 따라서는 사용수명이 짧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메시부재를 교환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지만, 통상 메시부재는 디스펜서의 깊은 곳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이를 교환하는 작업은 번거롭고 현실적이지 않다.
또한, 에어로졸용기에 의한 거품생성방법에서는 분사제로서 액화가스가 필요하고, 일반적으로 이 액화가스는 가연성이기 때문에 안전성에 문제가 있다.
나아가, 종래의 전동에 의한 거품생성방법에서는 발포석으로부터 분사되는 거품에 의해 생성되는 거품상 세정제가 탱크를 채울 때까지 외부로 토출되지 않으므로, 거품상 세정제를 취출할 수 있을 때까지 긴 시간을 필요로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발포석을 이용하여 생성되는 거품상 세정제는 입자가 거칠고 원하는 크리미한 거품을 생성할 수 없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펌프포머에 의한 거품생성방법과 전동에 의한 거품생성방법을 조합한 방법에서는 메시부재의 막힘의 경감은 기대할 수 있지만, 거품상 세정제의 입자가 거칠고 원하는 크리미한 거품을 얻을 수 없다는 결점은 여전히 해결되지 않는다. 나아가, 기기의 크기가 커져 버린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7-161906호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8-265877호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5-262202호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9-120525호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3-033292호 일본공개실용신안공보 평05-007334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의 일태양에 의하면, 물 및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세정제 조성물로서, 상기 세정제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은 0.4질량%이상 12질량%이하이며, 30℃에서의 상기 세정제 조성물의 점도는 5mPa·초이상 1500mPa·초이하이며, 상기 세정제 조성물에 공기를 혼합함으로써 거품을 생성시키고 10초후에 있어서의 30℃에서의 거품의 점도는 40mPa·초이상 100mPa·초이하이며, 상기 세정제 조성물에 공기를 혼합함으로써 거품을 생성시킨 30초후에 있어서의 거품에 포함되는 기포의 평균직경은 10μm이상 100μm이하인 세정제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의하면, 상기 세정제 조성물에 공기를 혼합함으로써 거품을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스크류에 상기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 및 상기 스크류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세정제 조성물에 공기를 혼합하는 것을 포함하는 거품을 생성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의하면, 상기의 세정제 조성물에 공기를 혼합함으로써 생성되는 거품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의하면, 상기의 거품을 사용하여 모발을 세정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도 1은 스크류를 구비한 거품발생장치의 일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거품을 발생시키고 10~40초후의 거품상 세정제의 점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거품을 발생시키고 30초후 및 60초후의 거품상 세정제의 평균거품직경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인 세정용 거품을 생성하는 거품생성장치의 외관도이다.
도 5는 거품생성장치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거품생성장치를 미용살롱에 설치한 태양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인 세정용 거품의 거품점도와 종래의 거품생성방법에 의해 생성된 세정용 거품의 거품점도를 비교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인 세정용 거품의 생성에 사용하는 세정제 조성물의 조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인 거품생성방법 및 거품생성장치에서 생성된 세정용 거품에 함유된 기포과 종래의 거품생성방법에 의해 생성된 세정용 거품을 비교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인 거품생성방법 및 거품생성장치에서 생성된 세정용 거품에 함유된 기포와 종래의 거품생성방법에 의해 생성된 세정용 거품에 함유된 기포의 크기를 비교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인 세정용 거품을 사용하여 모발을 세정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거품상 세정제용 조성물은 공기를 혼합하여 거품을 발생시키고 10초후의 거품상 세정제의 30℃에 있어서의 거품점도 및 30초후의 거품상 세정제의 평균거품직경이 각각 40~100mPa·초 및 10~100μm, 바람직하게는, 50~70mPa·초 및 10~80μm가 되도록 거품을 발생시켜 이용되고, 물 및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이 때, 거품상 세정제용 조성물중의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은 0.4~12질량%이며, 5~10질량%가 바람직하다. 또한, 거품상 세정제용 조성물의 30℃에 있어서의 점도는 5~1500mPa·초이고, 300mPa·초이하가 바람직하다.
거품을 발생시키고 10초후의 30℃에 있어서의 거품점도가 100mPa·초를 초과하는 경우 또는 거품을 발생시키고 30초후의 평균거품직경이 10μm미만인 경우에는, 각각 페이스트상 또는 액상의 형태가 되어 거품상의 형태를 유지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입자가 곱고 크리미한 거품상 세정제를 얻지 못하고, 세정성 및 사용감촉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한편, 거품을 발생시키고 10초후의 거품상 세정제의 30℃에 있어서의 거품점도가 40mPa·초미만인 경우 또는 거품을 발생시키고 30초후의 거품상 세정제의 평균거품직경이 100μ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입자가 거칠고 크리미한 상태를 지속시키기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다. 거품상 세정제용 조성물중의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이 0.4질량%미만이면, 입자가 곱고 크리미한 거품상 세정제를 얻지 못하고, 세정성 및 사용감촉이 저하하며, 12질량%를 초과하면, 세정에 의한 계면활성제의 배출량이 많아지는 경우가 있다.
거품상 세정제용 조성물의 30℃에 있어서의 점도가 5mPa·초미만인 경우 또는 1500mPa·초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입자가 곱고 크리미한 거품상 세정제를 얻지 못하고, 세정성 및 사용감촉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거품상 세정제용 조성물은 공기를 혼합하여 거품을 발생시키고 40초후의 거품상 세정제의 30℃에 있어서의 거품점도 및 60초후의 거품상 세정제의 평균거품직경이 각각 35mPa·초이상 및 150μm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40Pa·초이상 및 130μm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거품을 발생시키고 40초후의 거품상 세정제의 30℃에 있어서의 거품점도가 35mPa·초미만인 경우 또는 거품을 발생시켜 60초후의 거품상 세정제의 평균거품직경이 150μ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입자가 곱고 크리미한 상태를 지속시키기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거품상 세정제용 조성물의 점도 및 거품상 세정제의 거품점도는 각각 B형 점도계 및 음차형 진동식점도계 SV-10(A&D사 제품)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또한, 거품상 세정제의 평균거품직경은 거품상 세정제를 슬라이드글라스에 놓고 커버유리로 덮은 후, 디지털마이크로스코프 VHX-200(키엔스사 제품)을 이용하여 얻어진 화상으로부터 산출할 수 있다.
계면활성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베헤닐트리메릴암모늄, 디코코일에틸히드록시에틸모늄메토설페이트 등의 캐티온성 계면활성제; AMT타우린나트륨, 야자유지방산메틸타우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황산나트륨 등의 애니온성 계면활성제; 야자유지방산아미드프로필베타인, 2-알킬-N-카르복시메틸-N-히드록시에틸이미다졸리늄베타인 등의 양성(兩性) 계면활성제를 들 수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하여도 된다. 그 중에서도, 세정성의 관점에서는 애니온성 계면활성제 및 양성 계면활성제를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거품상 세정제용 조성물은 계면활성제로서 양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경우, 캐티온성 폴리머 또는 애니온성 폴리머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캐티온성 폴리머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캐티온화 셀룰로오스, 캐티온화 로커스트빈검, 캐티온화 전분, 프로필트리모늄클로라이드아크릴아미드/디메틸아크릴아미드코폴리머 등을 들 수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하여도 된다. 그 중에서도, 거품상 세정제의 사용감촉이 우수한 점에서 캐티온화 셀룰로오스 및/또는 프로필트리모늄클로라이드아크릴아미드/디메틸아크릴아미드코폴리머가 바람직하다.
거품상 세정제용 조성물중의 캐티온성 폴리머의 함유량은 통상, 0.1~1질량%이며, 0.3~0.5질량%가 바람직하다. 캐티온성 폴리머의 함유량이 0.1질량%미만이면, 거품상 세정제의 사용감촉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고, 1질량%를 초과하면, 세정에 의해 모발이 단단해지는 경우가 있다.
애니온성 폴리머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카리기난, 잔탄검 등을 들 수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하여도 된다. 그 중에서도, 거품상 세정제의 사용감촉이 우수한 점에서 잔탄검이 바람직하다.
거품상 세정제용 조성물중의 애니온성 폴리머의 함유량은 통상, 0.01~0.5질량%이며, 0.05~0.1질량%가 바람직하다. 애니온성 폴리머의 함유량이 0.01질량%미만이면, 거품상 세정제의 사용감촉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고, 0.5질량%를 초과하면, 세정에 의해 머리카락이 단단해지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거품상 세정제용 조성물은 보습제, 향료, 방부제, pH안정제, 모발보수성분 등을 더 포함하여도 된다.
또한, 거품상 세정제는 모발, 피부 등을 세정할 때에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샴푸, 보디샴푸, 세안료 등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샴푸로서 사용하면 효과적이다.
거품상 세정제용 조성물에 공기를 혼합하여 거품을 발생시키는 방법으로는 거품을 발생시키고 10초후의 거품상 세정제의 30℃에 있어서의 거품점도 및 30초후의 거품상 세정제의 평균거품직경이 각각 40~100mPa 및 10~100μm가 되도록 거품을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하다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스크류를 구비한 거품발생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 스크류를 구비한 거품발생장치의 일례를 나타낸다. 거품발생장치(101)는 본체부(102)의 정면측에 손삽입부(10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체부(102)의 상부에는 조작부(104)가 형성되어 있고, 거품발생장치(101)의 사용자가 조작부(104)를 조작하면, 후술할 바와 같이, 거품상 세정제(A1')가 토출구(116)로부터 토출된다. 또한, 본체부(102)의 천정판에는 덮개체(106)가 형성되어 있고, 덮개체(106)는 거품상 세정제용 조성물(A1)을 본체부(102)내의 원액탱크(105)에 장전할 때에 개방된다.
거품발생장치(101)의 내부에는 탱크(105), 모터(107), 거품발생실(108), 스크류(109) 및 개폐밸브(110)가 형성되어 있다.
조작부(104)에는 2개의 샤프트(112 및 117)가 형성되어 있다. 샤프트(112)는 후술할 개폐밸브(110)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으로, 본체부(102)에 상하방향(Z11-Z12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탱크(105)의 내부에 거품상 세정제용 조성물(A1)이 충전되어 있다. 탱크(105)내의 거품상 세정제용 조성물(A1)의 양이 적어진 때에는 본체부(102)에 형성된 덮개체(106)를 개방하고 탱크(105)에 거품상 세정제용 조성물(A1)을 충전한다. 이와 같이, 거품발생장치(101)는 거품상 세정제용 조성물(A1)을 보급할 수 있다.
모터(107)는 스위치(115)의 ON/OFF 조작에 의해 구동 및 구동정지를 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스위치(115)는 조작부(104)에 배설된 샤프트(117)와 접속되어 있고, 조작부(104)의 압압조작(Z11방향으로의 조작)에 의해 ON/OFF 동작을 실시한다.
모터(107)의 회전축은 거품발생실(108)의 내부로 돌출하여 있다. 모터(107)의 회전축은 거품발생실(108)의 벽부를 관통하여 거품발생실(108)의 내부로 돌출하지만, 관통부분은 시일되어 액밀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모터(107)의 회전축에서 거품발생실(108)내에 돌출한 부분에는 스크류(109)가 배설되어 있다. 이 때문에, 스크류(109)는 모터(107)에 의해 회전한다.
거품발생실(108)은 탱크(105)와 연통하고 있고, 탱크(105)와 거품발생실(108)의 연통부(118)에는 개폐밸브(110)가 형성되어 있다. 개폐밸브(110)의 밸브체(113)는 탱크(105)와 거품발생실(108)의 연통부(118)를 개폐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밸브체(113)가 개방함으로써 탱크(105)로부터 거품상 세정제용 조성물(A1)이 거품발생실(108)내에 유입한다. 또한, 밸브체(113)가 폐쇄함으로써 탱크(105)로부터 거품발생실(108)내로의 거품상 세정제용 조성물(A1)의 유입이 정지된다.
밸브체(113)는 샤프트(112)의 하단부에 배설되어 있다. 또한, 샤프트(112)에는 코일스프링(111)이 배설되어 있고, 코일스프링(111)은 밸브체(113)가 연통부(118)를 닫는 방향(Z12방향)으로 항상 샤프트(112)에 힘을 가하고 있다.
또한, 거품발생실(108)의 X12방향 단부의 상부에는 흡입구(114)가 형성되어 있다. 스크류(109)가 회전할 때에 에어흡입구(114)로부터 거품발생실(108)내로 공기가 유입한다.
거품발생장치(101)에서 조작부(104)가 압압조작되면 스위치(115)가 샤프트(117)를 통하여 ON으로 되어 모터(107)가 기동한다. 또한, 모터(107)가 기동함으로써 거품발생실(108)내에서 스크류(109)가 회전을 개시한다.
또한, 조작부(104)가 압압조작됨으로써, 샤프트(112)는 코일스프링(111)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Z11방향으로 이동하고, 밸브체(113)는 개방된다. 이로써, 탱크(105)내의 거품상 세정제용 조성물(A1)은 연통부(118)를 통하여 거품발생실(108)내로 유입한다.
스크류(109)는 거품발생실(108)내로 유입한 거품상 세정제용 조성물(A1)과 공기를 혼합교반함으로써 거품상 세정제용 조성물(A1)에 거품을 발생시킴과 동시에 X11방향으로 내보낸다. 거품발생실(108)의 X11방향의 단부에는 손삽입부(103)내로 개구하는 토출구(116)가 형성되어 있고, 토출구(116)로부터 거품상 세정제(A1')가 토출된다.
한편, 사용자가 조작부(104)의 압압조작을 해제하면, 코일스프링(111)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샤프트(112)는 Z12방향으로 이동하여 연통부(118)가 밸브체(113)에 의해 닫힌다. 이로써, 탱크(105)로부터 거품발생실(108)로의 거품상 세정제용 조성물(A1)의 유입이 정지된다. 또한, 샤프트(112)가 Z12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조작부(104)도 Z12방향으로 이동하고, 샤프트(117)도 Z12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로써, 스위치(115)는 OFF가 되어 모터(107)가 정지한다. 또한, 스위치(115)의 정지에 의해 스크류(109)의 회전도 정지되고, 거품상 세정제(A1')의 토출도 정지된다.
거품상 세정제(A1')를 이용하여 모발, 피부등을 세정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공지된 세정제를 이용하여 모발, 피부 등을 세정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모발, 피부 등을 세정할 때에 사용하는 거품상 세정제(A1')로서는 세정성 및 사용감촉을 고려하면 공기를 혼합하여 거품을 발생시킨 직후의 거품상 세정제(A1')가 바람직하지만, 입자가 곱고 크리미한 거품상 세정제(A1')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공기를 혼합하여 거품을 발생시키고 30초후의 거품상 세정제(A1')를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1-1]
야자유지방산아미드프로필베타인액 3.6 질량%
2-알킬­N-카르복시메틸-N-히드록시에틸이미다졸리늄베타인
3.6 질량%
AMT타우린나트륨 2.5 질량%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황산나트륨 0.6 질량%
캐티온화 셀룰로오스 0.3 질량%
프로필트리모늄클로라이드아크릴아미드/디메틸아크릴아미드코폴리머
0.5 질량%
잔탄검 0.05 질량%
디코코일에틸히드록시에틸모늄메트설페이트 0.3 질량%
소르비트액 3.0 질량%
안식향산나트륨(벤조산나트륨) 0.3 질량%
무수시트르산 수용액 적당량
정제수 잔여
상기 성분을 통상적인 방법으로 혼합하여 거품상 세정제용 조성물(A1)을 조제하였다. 거품상 세정제용 조성물(A1)의 점도를 B형 점도계를 이용하여 30℃에서 측정했더니 45mPa·초였다.
도 1의 스크류를 구비한 거품발생장치와 동일한 구성의 라자메이트(오쿠노전기산업사 제품)를 이용하여 거품상 세정제용 조성물(A1)에 거품을 발생시켜 거품상 세정제(A1')를 생성하였다.
도 2에 거품을 발생시키고 10, 20, 30 및 40초후의 거품상 세정제(A1')의 거품점도의 측정결과를 나타낸다. 또한, 거품상 세정제(A1')의 거품점도는 음차형 진동식점도계 SV-10(A&D사제)을 이용하여 30℃에서 7회 측정한 평균치이다.
도 3에 거품을 발생시키고 30초후 및 60초후의 거품상 세정제(A1')의 평균거품직경을 나타낸다. 또한, 거품상 세정제(A1')의 평균거품직경은 거품상 세정제(A1')를 슬라이드글라스에 놓고 커버유리로 덮은 후 디지털마이크로스코프 VHX-200(키엔스사 제품)을 이용하여 얻어진 화상으로부터 산출하였다.
다음으로, 거품을 발생시킨 직후의 거품상 세정제(A1')를 이용하여 모발을 세정했더니, 입자가 곱고 크리미한 상태가 지속되고 거품상 세정제(A1')의 세정성 및 사용감촉이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으로부터, 거품을 발생시키고 10초후의 거품점도 및 30초후의 평균거품직경이 각각 40~100mPa·초 및 10~100μm인 거품상 세정제(A1')는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이 적어도 세정성 및 사용감촉이 뛰어나다는 것이 알 수 있다.
비교예 1-1]
라자메이트(오쿠노전기산업사 제품)대신에 2매의 메시가 채용된 타입의 시판되는 펌프포머 용기(요시노공업사 제품)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1과 마찬가지로 하여, 거품상 세정제용 조성물(A1)에 거품을 발생시키고 10, 20, 30 및 40초후의 거품상 세정제(A1')의 거품점도를 측정하였다.
도 2에 거품을 발생시키고 10, 20, 30 및 40초후의 거품상 세정제(A1')의 거품점도의 측정결과를 나타낸다.
도 3에 거품을 발생시키고 30초후 및 60초후의 거품상 세정제(A1')의 평균거품직경을 나타낸다.
다음으로, 거품을 발생시킨 직후의 거품상 세정제(A1')를 이용하여 모발을 세정했더니, 거품이 소멸하기 쉽고, 입자가 곱고 크리미한 상태가 지속되지 않고, 거품상 세정제(A1')의 세정성 및 사용감촉이 낮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비교예 1-2]
라자메이트(오쿠노전기산업사 제품) 대신에, 거품워시 세안용 세트 EH2611P (파나소닉사 제품)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1과 마찬가지로 하여, 거품상 세정제용 조성물(A1)에 거품을 발생시키고 10, 20, 30 및 40초후의 거품상 세정제(A1')의 거품점도를 측정하였다.
도 2에 거품을 발생시키고 10, 20, 30 및 40초후의 거품상 세정제(A1')의 거품점도의 측정결과를 나타낸다.
또한, 도 3에 거품을 발생시키고 30초후 및 60초후의 거품상 세정제(A1')의 평균거품직경을 나타낸다.
다음으로, 거품을 발생시킨 직후의 거품상 세정제(A1')를 이용하여 모발을 세정했더니, 거품이 소멸하기 쉽고, 입자가 곱고 크리미한 상태가 지속되지 않고, 거품상 세정제(A1')의 세정성 및 사용감촉이 낮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으로부터, 거품상 세정제용 조성물(A1)은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이 적으므로 펌프포머 용기(요시노공업사 제품)나 거품워시 세안용 세트 EH2611P(파나소닉사 제품)를 이용하여 거품상 세정제용 조성물(A1)에 거품을 발생시켜도 세정성 및 사용감촉이 낮은 거품상 세정제(A1')가 생성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반해, 거품상 세정제용 조성물(A1)에 거품을 발생시키고 10초후의 거품상 세정제(A1')의 거품점도 및 30초후의 거품상 세정제(A1')의 평균거품직경이 각각 40~100mPa·초 및 10~100μm이 되도록 거품을 발생시키면 세정성 및 사용감촉이 뛰어난 거품상 세정제(A1')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거품상 세정제용 조성물(A1)의 다른 예를 이하에 나타낸다.
거품상 세정제(헤어샴푸)용 조성물]
계면활성제로서의 라우릴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베타인 4.0질량%및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0.2질량%, 프로필렌글리콜, 캐티온화 셀룰로오스, 잔탄검, 안식향산나트륨, 시트르산(구연산), 페녹시에탄올, 색소, 향료, 정제수를 통상적인 방법으로 혼합하여 30℃에 있어서의 점도가 5~1500Pa·초가 되도록 거품상 세정제(헤어샴푸)용 조성물을 조제한다.
[거품상 세정제(헤어샴푸)용 조성물]
계면활성제로서의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황산나트륨 0.5질량%, 야자유지방산메틸타우린나트륨 0.5질량% 및 야자유지방산아미드프로필베타인액 8.0질량%, 캐티온화 구아검, 스테아록시히드록시프로필아민, 소르비트액, L-아르기닌, 히드록시에틸요소(우레아), 색제, 향료, 정제수를 통상적인 방법으로 혼합하여 거품상 세정제(헤어샴푸)용 조성물을 조제한다.
거품상 세정제(헤어샴푸)용 조성물]
계면활성제로서의 폴리옥시에틸렌술포숙신산라우릴디나트륨 6.0질량%, 2-알킬-N-카르복시메틸-N-히드록시에틸이미다졸리늄베타인 2.0질량% 및 야자유지방산아미드프로필베타인액 1.0질량%, 폴리염화디메틸메틸렌피페리디늄, 글리세린, 캐티온화 로커스트빈검, 염화알킬트리메틸암모늄, 색제, 향료, 정제수를 통상적인 방법으로 혼합하여 거품상 세정제(헤어샴푸)용 조성물을 조제한다.
거품상 세정제(헤어샴푸)용 조성물]
계면활성제로서의 라우린산타우린나트륨 2.0질량%,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황산나트륨 3.0질량%, 라우릴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베타인 1.0질량% 및 야자유지방산아미드프로필베타인액 2.0질량%, 프로필트리모늄클로라이드아크릴아미드/디메틸아크릴아미드코폴리머(정제수 혼합물), 소르비트액, 호박산(숙신산), 동백오일, 색제, 향료, 정제수를 통상적인 방법으로 혼합하여 거품상 세정제(헤어샴푸)용 조성물을 조제한다.
거품상 세정제(보디샴푸)용 조성물]
계면활성제로서의 라우린산트리에탄올아민 6.0질량% 및 라우릴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베타인 2.0질량%, 글리세린, 디프로필렌글리콜, 카모밀라엑기스, 에데트산3나트륨, 방부제, 색제, 향료, 정제수를 통상적인 방법으로 혼합하여 거품상 세정제(보디샴푸)용 조성물을 조제한다.
거품상 세정제(세안폼)용 조성물]
계면활성제로서의 스테아린산 0.05질량%, 라우린산 2.0질량%, 미리스틴산 3.0질량%, 수산화칼륨 1.8질량%, 야자유지방산디에탄올아마이드 0.3질량% 및 야자유지방산아미드프로필베타인액 2.0질량%, 글리세린, 폴리에틸렌글리콜1500, 소르비트액, 멜리사엑기스, 에데트산3나트륨, 향료, 정제수를 통상적인 방법으로 혼합하여 거품상 세정제(세안폼)용 조성물을 조제한다.
거품상 세정제(세안폼)용 조성물]
계면활성제로서의 N-메틸타우린나트륨 2.0질량% 및 라우릴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베타인 1.0질량%, 글리세린, 디프로필렌글리콜, 1, 3-부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1500, 소르비트액, 라우린산, 미리스틴산, 이자요이장미엑기스, 글리시리진산디칼륨, 에데트산3나트륨, 향료, 정제수를 통상적인 방법으로 혼합하여 거품상 세정제(세안폼)용 조성물을 조제한다.
거품상 세정제(핸드솝)용 조성물]
계면활성제로서의 라우린산 3.0질량%, 미리스틴산 1.0질량%, 트리에탄올아민 2.5질량%, 폴리옥시에틸렌술포숙신산라우릴2나트륨 1.0질량%, 야자유지방산디에탄올아마이드 0.5질량% 및 야자유지방산아미드프로필베타인액 2.0질량%, 프로필렌글리콜, 염화나트륨, 에데트산3나트륨, 향료, 정제수를 통상적인 방법으로 혼합하여 거품상 세정제(핸드솝)용 조성물을 조제한다.
거품상 세정제(핸드솝)용 조성물]
계면활성제로서의 테트라데센설폰산나트륨액 6.0질량%,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 사과산, 유칼리유, 안식향산나트륨, 염화벤잘코늄액, 에데트산3나트륨, 정제수를 통상적인 방법으로 혼합하여 거품상 세정제(핸드솝)용 조성물을 조제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인 세정용 거품(A2)를 생성하는데 사용하는 거품생성장치(201)를 나타낸다. 세정용 거품(A2)의 특성을 설명하기 전에,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인 세정용 거품(A2)를 생성하는 방법 및 이 생성방법을 실시할 때에 사용하는 거품생성장치(201)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거품생성장치(201)의 외관도이고, 도 5는 거품생성장치(201)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세정제 조성물 원액(B2)으로서 샴푸를 사용하는 거품생성장치(201)를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세정제 조성물 원액(B2)은 샴푸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핸드솝, 보디솝 등의 거품상으로 이용함에 있어 바람직한 각종 세정제 조성물 원액에 대하여도 적용할 수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거품생성장치(201)는 본체부(202)의 정면측에 손삽입부(203)가 형성되어 있다. 이 손삽입부(203)의 내부에는 조작부(204)가 형성되어 있고, 거품생성장치(201)의 사용자는 손을 손삽입부(203)에 삽입하여 조작부(204)를 조작함으로써, 후술할 바와 같이 거품토출구(216)로부터 세정용 거품(A2)이 돌출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본체부(202)의 천장판에는 덮개체(206)가 형성되어 있고, 이 덮개체(206)는 세정제 조성물 원액(B2)을 본체부(202)내의 원액탱크(205)에 장전할 때에 개방된다.
다음으로, 도 5를 이용하여 거품생성장치(201)의 내부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거품생성장치(201)의 내부에는 원액탱크(205), 모터(207), 거품실(208), 스크류(209) 및 개폐밸브(210) 등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도 4를 이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조작부(204)는 손삽입부(203)내에 배설되지만, 도 5에서는 도시의 편의상 조작부(204)를 본체부(202)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도시하였다.
조작부(204)는 상기와 같이 거품생성장치(201)의 사용자에 의해 조작된다. 이 조작부(204)에는 2개의 샤프트(212, 217)가 형성되어 있다. 이 샤프트(212)는 후술할 개폐밸브(210)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으로, 본체부(202)에 상하방향(Z21, Z22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원액탱크(205)는 내부에 액상세정제의 원액(세정제 조성물 원액(B2))이 충전되어 있다. 원액탱크(205)내의 세정제 조성물 원액(B2)의 양이 적어진 때에는, 본체부(202)에 형성된 덮개체(206)를 개방하고 여기로부터 원액탱크(205)에 세정제 조성물 원액(B2)을 충전한다. 이와 같이, 거품생성장치(201)는 세정제 조성물 원액(B2)을 보급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에어로졸용기와 같이 1회의 사용으로 폐기하는 것에 비하여 환경대책의 향상 및 비용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모터(207)는 스위치(215)의 ON/OFF 조작에 의해 구동 및 구동정지를 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스위치(215)는 조작부(204)에 배설된 샤프트(217)와 접속되어 있고, 조작부(204)의 압압조작(Z21방향으로의 조작)에 의해 ON/OFF 동작을 실시한다.
모터(207)의 회전축은 거품실(208)의 내부로 돌출하여 있다. 이 모터(207)의 회전축은 거품실(208)의 벽부를 관통하여 그 내부로 돌출하지만, 관통부분은 시일이 되어 액밀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모터(207)의 회전축에서 거품실(208)내로 돌출한 부분에는 스크류(209)가 배설되어 있다. 따라서 스크류(209)는 모터(207)에 의해 회전된다.
거품실(208)은 원액탱크(205)와 연통되어 있다. 이 원액탱크(205)와 거품실(208)과의 연통부(218)에는 개폐밸브(210)가 형성되어 있다. 개폐밸브(210)의 밸브체(213)는 원액탱크(205)와 거품실(208)의 연통부(218)를 개폐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밸브체(213)가 개방함으로써 원액탱크(205)로부터 세정제 조성물 원액(B2)이 거품실(208)내로 유입하고, 또한 밸브체(213)가 폐쇄함으로써 원액탱크(205)로부터 거품실(208)내로의 세정제 조성물 원액(B2)의 진입이 정지된다.
이 밸브체(213)는 상기한 샤프트(212)의 하단부에 배설되어 있다. 또한, 샤프트(212)에는 코일스프링(211)이 배설되어 있고, 이 코일스프링(211)은 밸브체(213)이 연통부(218)를 폐쇄하는 방향(Z22방향)으로 항상 샤프트(212)에 힘을 가하고 있다.
나아가, 거품실(208)의 화살표 X22방향 단부의 상부에는 에어흡입구(214)가 형성되어 있다. 스크류(209)가 회전한 때에 이 에어흡입구(214)로부터 거품실(208)내로 공기가 유입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거품생성장치(201)에 있어서 조작부(204)가 압압조작되면, 스위치(215)가 샤프트(217)를 통하여 ON이 되고, 이로써 모터(207)가 기동한다. 또한, 모터(207)가 기동함으로써 거품실(208)내에서 스크류(209)가 회전을 개시한다.
또한, 조작부(204)가 압압조작됨으로써 샤프트(212)는 코일스프링(211)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Z21방향으로 이동하고 밸브체(213)는 개방된다. 이로써, 원액탱크(205)내의 세정제 조성물 원액(B2)은 연통부(218)를 통하여 거품실(208)내로 유입한다.
스크류(209)는 거품실(208)내에 유입한 세정제 원액(B2) 및 공기를 혼합·교반함으로써 세정용 거품(A2)를 생성하고, 이를 화살표 X21방향으로 내보내는 기능을 발휘한다. 거품실(208)의 화살표 X21방향 단부에는 손삽입부(203)내로 개구하는 거품토출구(216)가 형성되어 있다. 거품실(208)내에서 스크류(209)에 의해 생성된 세정용 거품(A2)은 이 거품토출구(216)으로부터 토출된다.
한편, 사용자가 조작부(204)의 압압조작을 해제하면, 코일스프링(211)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샤프트(212)는 위로 이동(Z22방향 이동)하여 연통부(218)를 밸브체(213)에 의해 폐쇄한다. 이로써, 세정제 조성물 원액(B2)의 원액탱크(205)로부터 거품실(208)에 대한 유입이 정지된다. 또한, 샤프트(212)가 위로의 이동함에 따라 조작부(204)도 위로 이동하고, 따라서 샤프트(217)도 위로 이동한다. 이로써, 스위치(215)는 OFF가 되어 모터(207)가 정지한다. 또한, 스위치(215)의 정지에 의해 스크류(209)의 회전도 정지하고, 세정용 거품(A2)의 토출도 정지된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실제의 거품생성장치(201)에는 손삽입부(203)내에 조작부(204)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사용자는 손삽입부(203)내에 손을 삽입해 조작부(204)를 조작함으로써, 거품토출구(216)으로부터 토출되는 세정용 거품(A2)를 손바닥에 덜 수 있다.
상기한 세정용 거품(A2)의 생성방법 및 거품생성장치(201)에 의하면 모터(207)에 의해 회전하는 스크류(209)의 회전에 의해 세정제 조성물 원액(B2)과 공기를 혼합하므로, 입자가 곱고 크리미한 세정용 거품(A2)을 생성할 수 있다(이에 대하여서는 후술한다).
또한, 종래의 펌프포머를 이용한 거품생성방법과 같이 메시부재를 이용하지 않으므로, 그물눈 막힘이 발생하지 않고 사용수명의 장기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펌프포머의 경우, 누름 보턴을 강하게 누를 필요가 있어 사용성이 나빴으나, 거품생성장치(201)에서는 단순히 손을 손삽입부(203)에 삽입하여 조작부(204)를 조작하는 것만으로 세정용 거품(A2)이 손바닥에 토출되므로 사용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거품생성방법에서는 에어로졸용기의 경우 필요한 가연성 액화가스(분사제)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안전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세정제 조성물 원액(B2)은 원액탱크(205)에대하여 보급이 가능하므로, 에어로졸용기와 같이 1개 사용시마다 폐기하지 않아도 되고, 나아가서는 액화가스의 휘산도 없고 환경에 영향이 없는 거품생성방법을 실현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형태에 관한 거품생성방법 및 거품생성장치(201)에서는 모터(207)가 기동하여 스크류(209)가 회전함으로써 세정용 거품(A2)이 즉시 생성되기 시작한다. 따라서, 세정용 거품(A2)이 토출가능하게 될 때까지의 시간이 짧고 이로써도 사용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생성된 세정용 거품(A2)의 특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상기한 거품생성방법 및 거품생성장치(201)에서 생성된 세정용 거품(A2)의 거품점도와 종래의 거품생성방법에 의해 생성된 세정용 거품의 거품점도를 비교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이 거품점도의 측정은 음차형 진동식점도계(SV-10, A&D사제)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동도면중 참고예 2-1로서 나타낸 것은 종래의 펌프포머를 이용하여 생성된 세정용 거품의 거품점도이다. 또한, 동도면중 참고예 2-2로서 나타낸 것은 종래의 발포석을 사용한 전동에 의한 거품생성방법에 의해 생성된 세정용 거품의 거품점도이다. 또한, 도면중 실시예 2로서 나타낸 것은 도 4 및 도 5를 이용하여 설명한 거품생성방법 및 거품생성장치(201)에 의해 생성된 세정용 거품(A2)의 거품점도이다. 또한, 도면중 "n="로 기재되어 있는 숫자는 측정횟수를 나타내고, 도시되어 있는 특성선은 그 평균치를 구한 것이다.
또한, 동도면에서는 세로축이 거품점도(mPa·초)를 나타내고, 가로축이 세정용 거품이 생성된 후의 경과시간(초)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거품의 입자가 고운 정도 및 크리미한 정도는 거품점도와 서로 관계가 있고, 거품점도값이 높을수록 거품의 입자는 곱고 크리미해진다. 또한, 경과시간은 세정용 거품이 생성된 때를 10초로 하고, 그 40초까지의 사이를 5초간격으로 측정하였다.
사용하는 세정제 조성물 원액은 참고예 2-1, 2-2 및 실시예 2에서 각각 동일한 것을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도 8에 실시예 2-1로서 나타낸 조성의 세정제 조성물 원액을 사용한다. 이 실시예 2-1에 관련된 세정제 조성물 원액은 계면활성제(애니온 활성제 및 양성 활성제)를 포함하고, 그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은 0.4질량%이상 12질량%이하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샴푸 등으로서 사용된 세정제 조성물 원액에 비하여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은 적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이 실시예 2-1에 관련된 세정제 조성물 원액의 점도(액점도)는 30℃에 있어서 5mPa·초이상 1500mPa·초이하이다.
도 7에 있어서, 실시예 2로서 나타낸 본 실시형태에 관한 거품생성방법에 의해 생성된 세정용 거품(A2)의 거품점도에 주목하면, 거품생성 직후의 거품점도가 43mPa·초이상 55mPa·초이하로 되어 있다. 이는 거품점도의 값이 20mPa·초이상 35mPa·초이하인 실시예 2-1 및 거품점도의 값이 16mPa·초이상 21mPa·초이하인 실시예 2-2에 비해 높은 값이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관한 거품생성방법에 의해 생성된 세정용 거품(A2)은 종래의 거품생성방법에 의해 생성된 세정용 거품에 비해 입자가 곱고 크리미하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또한, 세정제 조성물 원액에 포함되는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이 적음에도 불구하고, 입자가 곱고 크리미한 세정용 거품이 생성되고 시간이 경과하여도 지속할 수 있는 것도 실증되었다.
다음으로, 시간경과에 따른 거품점도의 변화에 주목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거품생성방법에 의해 생성된 세정용 거품(A2)은 거품생성 직후(10sec)의 거품점도와 거품생성후 40초후(40sec)의 거품점도의 차이(시간경과에 따른 변화)는 7mPa·초이상 23mPa·초이하이다. 이에 대하여, 참고예 2-1에서는 거품점도의 시간경과에 따른 변화는 4mPa·초이상 19mPa·초이하이며, 참고예 2-2에서는 거품점도의 시간경과에 따른 변화는 4mPa·초이상 9mPa·초이하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세정용 거품(A2)은 참고예 2-1, 2-2에 비해 거품점도의 시간경과에 따른 감소율은 높다. 그러나, 30초 경과후에도 본 실시형태에 관한 세정용 거품(A2)의 거품점도는 참고예 2-1의 최고치(31mPa·초) 및 참고예 2-2의 최고치(17mPa·초)보다 높은 값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세정용 거품(A2)은 참고예 2-1, 2-2에 비해 거품의 지속성, 소위, 거품 유지가 좋다는 것이 실증되었다. 이러한 점은 입자가 곱고 크리미한 거품을 생성함으로써 거품의 지속성을 향상시키고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상기한 도 7에 나타낸 세정용 거품(A2)의 거품점도를 측정하는 실험에서는 도 8에 실시예 2-1로 나타낸 조성을 갖는 세정제 조성물 원액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이 실시예 2-1에 관련된 세정제 조성물 원액(B2) 대신에 실시예 2-2로 나타낸 조성을 갖는 세정제 조성물 원액을 이용하여 상기와 동일한 거품점도의 측정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2-2에 관련된 세정제 조성물 원액은 종래부터 일반적으로 이용된 샴푸와 유사한 조성이다.
다만, 이러한 종래부터 일반적으로 이용된 샴푸는 원액의 점도(액점도)가 30℃에 있어서 1500mPa·초이상이고 또한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은 12질량%이상이므로, 그대로 사용하면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세정제 조성물에 공기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세정용 거품에서 거품생성 직후의 거품점도가 40mPa·초이상 100mPa·초이하 또한 생성 직후의 거품에 있어서 함유되는 거품의 평균입자경이 10μm이상 100μm이하인 세정에 적절한 거품이 될 수 없다. 그래서, 계면활성제의 함유량 및 원액의 점도(액점도)를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적절하도록 조정한 것을 세정제 원액(이하, 조정원액이라고 한다)으로서 사용하였다.
그 결과, 도 7에 실시예 2로 나타낸 특성과 대략 동등한 거품점도특성을 갖는 세정용 거품을 생성할 수 있었다. 이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거품생성방법 및 거품생성장치(201)을 사용함으로써 세정제 조성물 원액(B2)으로서 조정원액이 사용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 실시예 2-2의 조정원액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실시예 2-1의 세정제 조성물 원액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은 증가하지만, 일반적으로 시판된 샴푸와 유사한 사용감을 실현함과 동시에 세정제 조성물 원액의 실시예 2-1에 비해 비용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도 9는 상기한 거품생성방법 및 거품생성장치(201)로 생성된 세정용 거품(A2)에 함유되는 거품 및 종래의 거품생성방법에 의해 생성된 세정용 거품에 함유된 거품을 디지털마이크로스코프로 관찰한 것이다. 관찰에는 50배 확대조건으로 설정한 디지털마이크로스코프(VHX-200, 키엔스사)를 이용하여 각 거품생성방법에 의해 생성된 세정용 거품에서 토출 30초후, 60초후에 관찰한 것이다. 기포화상의 취득에는 슬라이드글라스상에 놓은 생성직후의 거품을 커버유리를 덮어 실시하였다. 또한, 도 10은 도 9에서 얻어진 화상으로부터 거품에 함유된 기포의 평균직경을 산출하고, 상기한 거품생성방법 및 거품생성장치(201)로 생성된 세정용 거품(A2)과 종래의 거품생성방법에 의해 생성된 세정용 거품에 있어서 함유되는 거품의 크기를 비교하였다.
도 9(A-1), (A-2)에 비교예 2-1로서 나타낸 것은 종래의 펌프포머를 이용하여 생성된 세정용 거품에 함유된 기포의 화상이다. 또한, 도 9(B-1), (B-2)에 비교예 2-2로서 나타낸 것은 종래의 발포석을 사용한 전동에 의한 거품생성방법에 의해 생성된 세정용 거품에 함유된 기포의 화상이다. 또한, 도 9(A-1), (A-2)에 실시예 2로서 나타낸 것은 도 4 및 도 5를 이용하여 설명한 거품생성방법 및 거품생성장치(201)에 의해 생성된 세정용 거품(A2)에 함유된 기포의 화상이다. 나아가, 각 도면에 있어서 (A-1), (B-1), (C-1)로 나타낸 것은 토출후 30초후 상태를 나타낸 화상이며, (A-2), (B-2), (C-2)로 나타낸 것은 토출후 60초후 상태를 나타낸 화상이다.
사용하는 세정제 조성물 원액은 비교예 2-1, 2-2 및 실시예 2와 각각 동일한 것을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도 9에서 실시예 2-1로 나타낸 조성의 세정제 조성물 원액을 사용한다. 이 실시예 2-1에 관련된 세정제 조성물 원액은 계면활성제(애니온 활성제 및 양성 활성제)를 포함하고, 그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은 0.4질량%이상 12질량%이하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샴푸 등으로서 사용된 세정제 조성물 원액에 비해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은 적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이 실시예 2-1에 관련된 세정제 조성물 원액의 점도(액점도)는 30℃에 있어서 5mPa·초이상 1500mPa·초이하이다.
또한, 도 10에는 취득된 각 수준의 화상 3매에서 확인되는 기포로부터 산출한 기포직경의 평균치를 나타내고 있고, "n="로서 기재되어 있는 숫자는 계측한 거품수를 나타낸다. 동도면에서는 세로축은 기포직경(μm)을 나타내고 있고, 실시예 2-1, 참고예 2-1 및 2-2의 거품생성 직후보다 30초후 및 60초후의 거품에 함유된 기포직경의 평균치를 나타내고 있다.
도 9 및 10에 있어서, 실시예 2로서 나타낸 본 실시형태에 관한 거품생성방법에 의해 생성된 세정용 거품(A2)에 함유되는 기포직경은 각 비교예에 비하여 매우 곱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평균기포직경의 값이 80μm이고, 이는 평균기포직경 값이 200μm인 비교예 2-1, 비교예 2-2에 비해 명백히 낮은 값이 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관한 거품생성방법에 의해 생성된 세정용 거품(A2)은 종래의 거품생성방법에 의해 생성된 세정용 거품에 비해 입자가 곱고 크리미하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또한, 세정제 조성물 원액에 포함되는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이 적음에도 불구하고 함유되는 기포가 세세함에 의해 입자가 곱고 크리미한 세정용 거품이 생성되는 것이 실증되었다.
다음으로, 시간경과에 따른 거품점도의 변화에 주목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거품생성방법에 의해 생성된 세정용 거품(A2)(실시예 2)은 거품생성후 60초후에 있어서도 거품에 함유된 기포직경의 평균치가 130μm이며, 비교예 2-1의 평균기포직경인 240μm, 비교예 2-2의 290μm에 비해 명백하게 낮은 값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것으로부터, 종래의 거품생성방법에 의해 생성된 세정용 거품에 비해 입자가 곱고 크리미한 거품이 지속되는 것이 증명되었다.
다음으로, 상기한 거품점도특성을 갖는 세정용 거품(A2)를 사용한 모발을 세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미용살롱(220)의 세발대(221)(이하, 샴푸대라고 한다)의 근방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한 거품생성직후의 거품점도가 40mPa·초이상 또한 생성직후의 거품에 있어서 함유되는 기포직경의 평균치가 1mm이하를 갖는 세정용 거품(A2)을 생성할 수 있는 거품생성장치(201)는미용살롱(220)의 선반(222)에 설치된다. 이 선반(222)은 화장품용기(223)나 세발시에 사용하는 타올 등이 놓여지는 곳이다. 거품생성장치(201)는 이와 같이 피세발자에 대하여 세발을 실시하는 살롱 스탭의 손이 닿기 쉬운 위치인 선반(222)에 설치되어 있다.
도 11은 살롱 스탭이 피세발자에 대하여 실시하는 세발처리의 처리공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세발처리가 개시되면 살롱 스탭은 피세발자를 샴푸대(221)로 안내한다(단계 S10). 그리고, 세발자의 머리를 샴푸대(221)에 위치시킨 후, 살롱 스탭은 손을 거품생성장치(201)의 손삽입부(203)에 삽입하여 조작부(204)를 조작한다.
상기와 같이, 거품생성장치(201)는 조작부(204)를 조작함으로써 즉시 거품토출구(216)로부터 입자가 곱고 크리미한 세정용 거품(A2)이 손바닥에 토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살롱 스탭은 펌프포머나 에어로졸용기 등의 경우와 같은 번거로운 버튼의 압압조작을 실시하지 않고 용이하게 양호한 특성을 갖는 세정용 거품(A2)을 손에 덜 수 있다(단계 S12).
계속하여, 거품생성장치(201)에서 생성된 세정용 거품(A2)을 피세발자의 머리카락에 도포하고 세발처리를 개시한다(단계 S14). 본 실시형태에 관한 모발을 세정하는 방법에서는 거품생성장치(1)로부터 거품상태의 세정용 거품(A2)이 토출되므로, 종래의 액상 샴푸를 사용한 경우에 필요한 거품발생처리가 불필요해진다. 따라서, 살롱 스탭의 세발처리의 작업 경감을 도모할 수 있다.
특히, 머리카락이 긴 여성에 대한 통상적인 살롱 스탭의 세발처리작업에서는 두피 부근에서 발생시킨 거품을 머리칼 말단으로 이행시켜 두피 이외의 세정을 하고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거품발생처리가 불필요할뿐만 아니라, 단계 S12에서 손에 담은 거품을 그대로 머리칼 말단으로 도포가능하여 머리칼 말단의 순조로운 세정으로 이행할 수 있다. 그 결과, 살롱 스탭의 작업성을 향상할 수 있다.
나아가, 세정용 거품(A2)은 상기와 같이 거품 유지성이 좋으므로 세발중에는 세정용 거품(A2)의 거품이 유지된다. 이로써, 피세발자에게는 세발을 실시하고 있는 동안은 입자가 고운 크리미한 거품의 감촉이 오랫동안 지속하게 되어 피세발자에게 양호한 인상을 줄 수가 있다.
세정용 거품(A2)에 의한 세발처리가 종료하면 살롱 스탭은 세정용 거품(A2)을 헹굼처리하고(단계 S16), 이로써 세발처리가 종료한다.
상기와 같이, 세정용 거품(A2)를 생성하는 기본이 되는 세정제 조성물 원액(B2)은 계면활성제가 일반의 샴푸에 비해 적은 조성이 되고, 본 실시형태의 모발을 세정하는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세발시에 세발을 실시하는 사람의 거품발생작업이 불필요해지기 때문에, 계면활성제나 물에의 접촉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는 점에서, 피부에 자극이 생기거나 또한 손의 거칠어짐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상기의 모발을 세정하는 방법을 미용살롱에서 실제로 2주간에 걸쳐 실시하여 이 모발을 세정하는 방법을 실시한 살롱 스탭 11명에 사용감에 관한 앙케이트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본 실시형태에 관한 모발을 세정하는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종래의 일반적인 모발을 세정하는 방법에 비해 피부에 자극이 생기거나 손의 거칠어짐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결과를 얻었다.
또한, 세정용 거품(A2)의 사용량은 종래의 액상 샴푸에 비해 사용량을 저감할 수 있다는 것도 판명되었다. 나아가, 세정용 거품(A2)은 머리카락으로의 이행이 양호하고, 또한, 머리카락의 엉킴을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는 것도 판명되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모발을 세정하는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종래의 모발을 세정하는 방법에서는 얻을 수 없는 여러 가지 이점을 얻을 수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세정용 거품을 생성하기 위한 세정제 조성물의 그 밖의 예를 든다. 또한, 이들 처방예는 모두 통상적인 방법으로 조제할 수 있고, 거품생성장치(201)에서 기포하면 일반적으로 사용된 세정제 조성물의 계면활성제보다 적은 함유량에도 불구하고. 입자가 곱고 크리마하며 거품 지속성이 뛰어난 세정용 거품의 생성을 실현할 수 있다.
처방예 2-3: 헤어샴푸용 조성물]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황산트리에탄올아민염 5.0질량%
라우릴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베타인 2.5
프로필렌글리콜 2.0
캐티온화 셀룰로오스 0.3
안식향산나트륨 0.5
시트르산 0.05
페녹시에탄올 0.1
색소 적당량
향료 적당량
정제수 잔여
처방예 2-4: 헤어샴푸용 조성물]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황산나트륨 1.5질량%
야자유지방산메틸타우린나트륨 0.8
야자유지방산아미드프로필베타인액 3.5
캐티온화 구아검 0.3
소르비트액 2.0
L-아르기닌 0.08
히드록시에틸요소 0.2
해조엑기스 적당량
색제 적당량
향료 적당량
정제수 잔여
처방예 2-5: 헤어샴푸용 조성물]
폴리옥시에틸렌술포숙신산라우릴2나트륨 6.0질량%
2-알킬-N-카르복시메틸-N-히드록시에틸이미다졸리늄베타인
2.0
야자유지방산아미드프로필베타인액 1.0
폴리염화디메틸메틸렌피페리디늄액 2.0
글리세린 2.0
캐티온화 로커스트빈검 0.3
색제 적당량
향료 적당량
정제수 잔여
처방예 2-6: 헤어샴푸용 조성물]
라우린산타우린나트륨 2.0질량%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황산나트륨 3.0
라우릴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베타인 1.0
야자유지방산아미드프로필베타인액 2.0
프로필트리모늄클로라이드아크릴아미드/디메틸아크릴아미드코폴리머, 정제수 혼합물 0.2
소르비트액 3.0
숙신산 0.04
동백오일 0.3
색제 적당량
향료 적당량
정제수 잔여
처방예 2-7: 바디샴푸용 조성물]
글리세린 10.0질량%
디프로필렌글리콜 5.0
라우린산트리에탄올아민 6.0
라우릴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베타인 2.0
카모밀라엑기스 적당량
에데트산3나트륨 적당량
방부제 적당량
색제 적당량
향료 적당량
정제수 잔여
처방예 2-8: 세안폼용 조성물]
글리세린 25.0질량%
폴리에틸렌글리콜1500 3.0
소르비트액 3.0
스테아린산 0.05
라우린산 2.0
미리스틴산 3.0
야자유지방산디에탄올아마이드 0.3
야자유지방산아미드프로필베타인액 2.0
수산화칼륨 1.8
멜리사엑기스 0.1
에데트산3나트륨 적당량
향료 적당량
정제수 잔여
처방예 2-9: 세안폼용 조성물]
글리세린 10.0질량%
디프로필렌클리콜 5.0
1, 3-부틸렌글리콜 5.0
폴리에틸렌글리콜1500 3.0
소르비트액 20.0
라우린산 2.5
미리스틴산 0.5
N-메틸타우린나트륨 2.0
라우릴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베타인 1.0
이자요이장미엑기스 0.2
글리시린산디칼륨 0.05
에데트산3나트륨 적당량
향료 적당량
정제수 잔여
처방예 2-10: 핸드솝용 조성물]
프로필렌글리콜 6.0질량%
라우린산 3.0
미리스틴산 1.0
폴리옥시에틸렌술포숙신산라우릴2나트륨 1.0
야자유지방산디에탄올아마이드 0.5
야자유지방산아미드프로필베타인액 2.0
트리에탄올아민 2.5
염화나트륨 0.05
에데트산3나트륨 적당량
향료 적당량
정제수 잔여
처방예 2-11: 핸드솝용 조성물]
프로필렌글리콜 10.0질량%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 1.0
테트라데센설폰산나트륨액 6.0
사과산 0.1
유칼리유 0.05
안식향산나트륨 0.1
염화벤잘코늄액 0.1
에데트산3나트륨 적당량
정제수 잔여
[부기]
<거품상 세정제용 조성물 및 세정방법/세정용 거품 및 그 생성방법 및 모발을 세정하는 방법>
본 발명의 어느 실시형태는 거품상 세정제용 조성물 및 세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어느 실시형태는 세정용 거품 및 그 생성방법 및 모발을 세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어느 실시형태의 일목적은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이 적어도 세정성 및 사용감촉이 뛰어난 거품상 세정제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한 거품상 세정제용 조성물 및 그 거품상 세정제용 조성물을 사용하는 세정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어느 실시형태의 다른 목적은 입자가 곱고 크리미한 세정용 거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어느 실시형태의 다른 목적은 종래에 없는 적은 계면활성제의 배합량의 세정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입자가 곱고 크리미한 세정용 거품을 효율적으로 안전하게 생성할 수 있는 세정용 거품의 생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어느 실시형태의 다른 목적은 세발처리를 실시하는 사람의 부담경감을 도모할 수 있는 모발을 세정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1-1)는 공기를 혼합하여 거품을 발생시키고 10초후의 거품상 세정제의 30℃에 있어서의 거품점도 및 30초후의 거품상 세정제의 평균거품직경이 각각 40mPa·초이상 100mPa·초이하 및 10μm이상 100μm이하가 되도록 거품을 발생시켜 사용되는 거품상 세정제용 조성물로서, 물 및 계면활성제를 포함하고, 상기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이 0.4질량%이상 12질량%이하이며, 30℃에 있어서의 점도가 5mPa·초이상 1500mPa·초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상 세정제용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1-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1-1)에 관련된 거품상 세정제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거품을 발생시키고 40초후의 30℃에 있어서의 거품상 세정제의 거품점도 및 60초후의 거품상 세정제의 평균거품직경이 각각 35mPa·초이상 및 150μm이하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상 세정제용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1-3)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1-1) 또는 (1-2)에 관련된 거품상 세정제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양성 계면활성제 및 애니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상 세정제용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1-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1-1) 또는 (1-2)에 관련된 거품상 세정제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양성 계면활성제이며, 캐티온성 폴리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상 세정제용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1-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1-4)에 관련된 거품상 세정제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캐티온성 폴리머는 캐티온화 셀룰로오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상 세정제용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1-6)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1-4) 또는 (1-5)에 관련된 거품상 세정제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캐티온성 폴리머의 함유량이 0.1질량%이상 1질량%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상 세정제용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1-7)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1-1) 또는 (1-2)에 관련된 거품상 세정제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양성 계면활성제이며, 애니온성 폴리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상 세정제용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1-8)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1-7)에 관련된 거품상 세정제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애니온성 폴리머는 잔탄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상 세정제용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1-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1-7) 또는 (1-8)에 관련된 거품상 세정제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애니온성 폴리머의 함유량이 0.01질량%이상 0.5질량%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상 세정제용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1-10)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1-1)로부터 (1-9)까지의 어느 하나에 관련된 거품상 세정제용 조성물에 있어서,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스크류를 구비한 거품발생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거품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상 세정제용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1-11)는 세정방법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1-1)로부터 (1-10)까지의 어느 하나에 관련된 거품상 세정제용 조성물에 상기 거품을 발생시켜 거품상 세정제를 생성하는 공정과, 그 거품상 세정제를 이용하여 세정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방법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2-1)는 세정제 조성물에 공기를 혼합하여 생성된 세정용 거품으로서,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이 0.4질량%이상 12질량%이하이며, 거품생성 직후의 거품점도가 40mPa·초이상 100mPa·초이하 또한 생성 30초후의 거품에 있어서 함유되는 거품의 평균입자경이 10μm이상 100μm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용 거품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2-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2-1)에 관련된 세정용 거품에 있어서, 상기 세정제 조성물의 점도가 30℃에 있어서 5mPa·초이상 1500mPa·초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용 거품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2-3)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2-1) 또는 (2-2)에 관련된 세정용 거품에 있어서, 상기 세정제 조성물에 상기 공기를 혼합한 거품생성직후(10초후)의 상기 점도와 거품생성 후 40초후의 상기 점도의 차이가 7mPa·초이상 23mPa·초이하이며, 또한 생성 60초후의 거품에 있어서 함유되는 거품의 평균입자경이 150μm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용 거품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2-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2-1)로부터 (2-3)까지의 어느 하나에 관련된 세정용 거품에 있어서, 상기 세정제 조성물이 샴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용 거품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2-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2-1)로부터 (2-3)까지의 어느 하나에 관련된 세정용 거품에 있어서, 상기 세정제 조성물이 보디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용 거품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2-6)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2-1)로부터 (2-3)까지의 어느 하나에 관련된 세정용 거품에 있어서, 상기 세정제 조성물이 세안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용 거품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2-7)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2-1)로부터 (2-3)까지의 어느 하나에 관련된 세정용 거품에 있어서, 상기 세정제 조성물이 핸드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용 거품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2-8)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2-1)로부터 (2-7)까지의 어느 하나에 관련된 세정용 거품의 생성방법으로서,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스크류를 구비한 거품생성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상기 세정제 조성물과 상기 공기를 혼합하여 상기 세정용 거품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용 거품의 생성방법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2-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2-8)에 관련된 세정용 거품의 생성방법에 있어서, 상기 거품생성장치는 상기 모터의 기동 및 정지를 실시하는 스위치를 구비하고, 사용자가 그 스위치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모터가 기동하여 상기 세정용 거품을 토출하고, 상기 사용자가 그 스위치의 조작을 해제 함으로써 상기 모터가 정지하여 상기 세정용 거품의 토출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용 거품의 생성방법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2-10)는 세발을 실시하는 세발대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2-1)로부터 (2-3)까지의 어느 하나에 관련된 세정용 거품을 생성할 수 있는 거품생성장치를 설치하고, 그 거품생성장치에서 생성된 상기 세정용 거품을 이용하여 상기 세발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을 세정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어느 실시형태에 의하면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이 적어도 세정성 및 사용감촉이 뛰어난 거품상 세정제를 생성할 수 있는 거품상 세정제용 조성물 및 그 거품상 세정제용 조성물을 사용하는 세정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어느 실시형태에 의하면 입자가 곱고 크리미한 거품지속성이 뛰어난 세정용 거품을 실현할 수가 있는 경우가 있다. 또한, 계면활성제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고, 업무용으로 사용하여도 사용자의 손 거칠어짐의 방지를 도모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나아가, 계면활성제가 저감됨으로써 세정용 거품의 비용저감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형태 및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지금까지 기재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 실시형태 및 실시예의 어느 것에도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실시형태 및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일탈하지 않고 변형, 변경 또는 조합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본 출원은 2009년 12월 8일에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제2009-278766호 및 2009년 12월 10일에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제2009-280414호에 근거한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으로서, 그 모든 내용은 여기에 참조로써 원용된다.
101 거품발생장치 102 본체부
103 손삽입부 104 조작부
105 탱크 106 덮개체
107 모터 108 거품발생실
109 스크류 110 개폐밸브
111 코일스프링 112 샤프트
113 밸브체 114 흡입구
115 스위치 116 토출구
A1 거품상 세정제용 조성물 A1' 거품상 세정제
201 거품생성장치 202 본체부
203 손삽입부 204 조작부
205 원액탱크 207 모터
208 거품실 209 스크류
210 개폐밸브 214 에어흡입구
215 스위치 216 거품토출구
220 미용살롱 221 샴푸대
223 화장품용기 A2 세정용 거품
B2 세정제 원액

Claims (15)

  1. 물 및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세정제 조성물로서,
    상기 세정제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은 0.4질량%이상 12질량%이하이고,
    30℃에서의 상기 세정제 조성물의 점도는 5mPa·초이상 1500mPa·초이하이고,
    상기 세정제 조성물에 공기를 혼합함으로써 거품을 생성시키고 10초후에 있어서의 30℃에서의 거품의 점도는 40mPa·초이상 100mPa·초이하이고,
    상기 세정제 조성물에 공기를 혼합함으로써 거품을 생성시킨 30초후에 있어서의 거품에 포함되는 기포의 평균직경이 10μm이상 100μm이하인 세정제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제 조성물에 공기를 혼합함으로써 거품을 생성시키고 40초후에 있어서의 30℃에서의 거품의 점도는 35mPa·초이상임과 함께,
    상기 세정제 조성물에 공기를 혼합함으로써 거품을 생성시키고 60초후에 있어서의 거품에 포함되는 기포의 평균직경은 150μm이하인 세정제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제 조성물에 공기를 혼합함으로써 거품을 생성시키고 10초후에 있어서의 거품의 점도 및 상기 세정제 조성물에 공기를 혼합함으로써 거품을 생성시키고 40초후에 있어서의 거품의 점도의 차이는 7mPa·초이상 23mPa·초이하임과 함께,
    상기 세정제 조성물에 공기를 혼합함으로써 거품을 생성시키고 60초후에 있어서의 거품에 포함되는 기포의 평균직경은 150μm이하인 세정제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양성 계면활성제 및 애니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세정제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양성 계면활성제임과 함께,
    상기 세정제 조성물은 캐티온성 폴리머를 더 포함하는 세정제 조성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캐티온성 폴리머는 캐티온화 셀룰로오스인 세정제 조성물.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제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캐티온성 폴리머의 함유량은 0.1질량%이상 1질량%이하인 세정제 조성물.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양성 계면활성제임과 함께,
    상기 세정제 조성물은 애니온성 폴리머를 더 포함하는 세정제 조성물.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애니온성 폴리머는 잔탄검인 세정제 조성물.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제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애니온성 폴리머의 함유량은 0.01질량%이상 0.5질량%이하인 세정제 조성물.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제 조성물은 샴푸, 보디솝, 세안료 및 핸드솝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세정제 조성물.
  12. 제 1 항에 기재된 세정제 조성물에 공기를 혼합함으로써 거품을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스크류에 상기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 및
    상기 스크류를 회전시켜 상기 세정제 조성물에 공기를 혼합하는 것
    을 포함하는 거품을 생성하는 방법.
  13. 제 12 항에 기재된 거품을 생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기동 및 정지를 전환함으로써 거품의 생성의 개시 및 정지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거품을 생성하는 방법.
  14. 제 1 항에 기재된 세정제 조성물에 공기를 혼합함으로써 생성되는 거품.
  15. 제 14 항에 기재된 거품을 사용하여 모발을 세정하는 방법.




KR1020127013952A 2009-12-08 2010-12-01 세정제 조성물, 거품을 생성하는 방법, 거품 및 모발을 세정하는 방법 KR2012011424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278766A JP4859973B2 (ja) 2009-12-08 2009-12-08 泡状洗浄剤の製造方法及び洗浄方法
JPJP-P-2009-278766 2009-12-08
JP2009280414A JP2011121896A (ja) 2009-12-10 2009-12-10 洗浄用の泡及びその生成方法及び洗髪方法
JPJP-P-2009-280414 2009-12-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4241A true KR20120114241A (ko) 2012-10-16

Family

ID=44145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3952A KR20120114241A (ko) 2009-12-08 2010-12-01 세정제 조성물, 거품을 생성하는 방법, 거품 및 모발을 세정하는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20309660A1 (ko)
EP (1) EP2511363A1 (ko)
KR (1) KR20120114241A (ko)
CN (1) CN102858943A (ko)
TW (1) TW201130519A (ko)
WO (1) WO201107095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0093B1 (ko) 2022-05-30 2022-11-23 (주)엘에스화장품 거품형 클렌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L2537510T3 (pl) * 2011-06-24 2017-08-31 Sca Tissue France Kompozycja czyszcząca do higieny osobistej zawierająca środki żelujące i pianotwórcze do impregnacji bibuły
TWI469815B (zh) * 2013-02-08 2015-01-21 Univ Nat Taiwan Normal Simulation of natural objects to explore the game method, computer program products and systems
JP5373216B1 (ja) * 2013-04-18 2013-12-18 株式会社 資生堂 ポンプフォーマー用洗浄剤組成物
BR112017022021B1 (pt) 2015-04-23 2021-07-0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mposição para tratamento dos cabelos
AU2016354572B2 (en) 2015-11-12 2020-08-27 Gojo Industries, Inc. Sequentially activated multi-diaphragm foam pump
US10065199B2 (en) 2015-11-13 2018-09-04 Gojo Industries, Inc. Foaming cartridge
CA3003148A1 (en) 2015-11-18 2017-05-26 Gojo Industries, Inc. A refill unit for a foam dispenser
US10080467B2 (en) 2015-11-20 2018-09-25 Gojo Industries, Inc. Foam dispensing systems, pumps and refill units having high air to liquid ratios
US10080468B2 (en) 2015-12-04 2018-09-25 Gojo Industries, Inc. Sequentially activated multi-diaphragm foam pumps, refill units and dispenser systems
US10441115B2 (en) 2016-02-11 2019-10-15 Gojo Industries, Inc. High quality non-aerosol hand sanitizing foam
EP3413770A1 (en) * 2016-02-11 2018-12-19 Gojo Industries, Inc. High quality non-aerosol hand sanitizing foam
JP6813586B2 (ja) 2016-03-03 2021-01-13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The Procter & Gamble Company エアゾールフケ防止組成物
US10912426B2 (en) 2016-04-06 2021-02-09 Gojo Industries, Inc. Sequentially activated multi-diaphragm foam pumps, refill units and dispenser systems
US10143339B2 (en) 2016-04-06 2018-12-04 Gojo Industries, Inc. Sequentially activated multi-diaphragm foam pumps, refill units and dispenser systems
MX2019003107A (es) 2016-10-21 2019-09-13 Procter & Gamble Productos de champu compactos y estables con baja viscosidad y agente reductor de viscosidad.
WO2018075838A1 (en) 2016-10-21 2018-04-2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ncentrated shampoo dosage of foam for providing hair care benefits
CN109843258A (zh) 2016-10-21 2019-06-04 宝洁公司 表示毛发调理有益效果的浓缩型洗发剂泡沫剂型
US11141361B2 (en) 2016-10-21 2021-10-12 The Procter And Gamble Plaza Concentrated shampoo dosage of foam designating hair volume benefits
US10888505B2 (en) 2016-10-21 2021-01-12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Dosage of foam for delivering consumer desired dosage volume, surfactant amount, and scalp health agent amount in an optimal formulation space
JP7033768B2 (ja) * 2016-12-13 2022-03-11 株式会社ニイタカ 身体洗浄剤組成物及び身体の洗浄方法
US11679073B2 (en) 2017-06-06 2023-06-2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Hair compositions providing improved in-use wet feel
US11141370B2 (en) 2017-06-06 2021-10-12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Hair compositions comprising a cationic polymer mixture and providing improved in-use wet feel
US11224567B2 (en) 2017-06-06 2022-01-18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Hair compositions comprising a cationic polymer/silicone mixture providing improved in-use wet feel
JP6945746B2 (ja) 2017-10-10 2021-10-06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The Procter & Gamble Company サルフェートフリーの界面活性剤を含有するコンパクトなシャンプー組成物
WO2019074993A1 (en) 2017-10-10 2019-04-1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ULFATE FREE TRANSPARENT PERSONAL CLEANING COMPOSITION COMPRISING LOW INORGANIC SALT
WO2019074988A1 (en) 2017-10-10 2019-04-1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OF TREATING HAIR OR SKIN WITH PERSONAL FOAM COMPOSITION IN THE FORM OF FOAM
CN111278418A (zh) 2017-10-10 2020-06-12 宝洁公司 具有基于氨基酸的阴离子表面活性剂和阳离子聚合物的致密型洗发剂组合物
JP7280265B2 (ja) 2017-12-20 2023-05-23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シリコーンポリマーを含有する透明なシャンプー組成物
JP2021528410A (ja) 2018-06-29 2021-10-21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The Procter & Gamble Company 低界面活性剤エアゾール抗ふけ組成物
JP6786744B1 (ja) * 2019-07-30 2020-11-18 コタ株式会社 シャンプー組成物
CN114746153A (zh) 2019-12-06 2022-07-12 宝洁公司 具有增强头皮活性物质沉积的不含硫酸盐的组合物
CN115151310A (zh) 2020-02-27 2022-10-04 宝洁公司 功效和美观性增强的含硫去头皮屑组合物
MX2023005963A (es) 2020-12-04 2023-06-07 Procter & Gamble Composiciones para el cuidado del cabello que comprenden materiales de reduccion del mal olor.
US20220378684A1 (en) 2021-05-14 2022-12-0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hampoo Compositions Containing a Sulfate-Free Surfactant System and Sclerotium Gum Thickener
US11986543B2 (en) 2021-06-01 2024-05-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Rinse-off compositions with a surfactant system that is substantially free of sulfate-based surfactants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45024U (ja) * 1984-08-30 1986-03-25 タカラベルモント株式会社 液状化粧品の泡だて装置
JP2537060B2 (ja) * 1987-09-16 1996-09-25 株式会社資生堂 皮膚洗浄剤組成物
JPH057334A (ja) 1991-06-20 1993-01-14 Canon Inc 電子スチルカメラ
JP3815538B2 (ja) * 1999-12-14 2006-08-30 ライオン株式会社 液体洗浄剤組成物
JP4112787B2 (ja) * 2000-09-14 2008-07-02 花王株式会社 洗浄剤組成物
JP2003033292A (ja) 2001-07-19 2003-02-0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泡発生器
JP4916626B2 (ja) * 2001-08-01 2012-04-18 株式会社 資生堂 洗浄剤組成物
JP2004051498A (ja) * 2002-07-17 2004-02-19 Kanebo Ltd アルカリ除去用毛髪化粧料及びその使用方法
JP2005262202A (ja) 2004-02-20 2005-09-29 Yoshino Kogyosho Co Ltd フォーマーディスペンサ
JP4271185B2 (ja) 2005-12-15 2009-06-03 株式会社マンダム 泡沫洗浄剤用組成物及び泡沫洗浄剤
US20090008413A1 (en) 2007-04-17 2009-01-08 Choi Hee Jin Airless dispensing pump container with an airtight push down type nozzle head
JP5192784B2 (ja) 2007-11-14 2013-05-08 株式会社ダイゾー エアゾール製品およびその吐出方法
JP5038860B2 (ja) * 2007-11-15 2012-10-03 ライオン株式会社 液体洗浄剤組成物
JP2009278766A (ja) 2008-05-14 2009-11-26 Toyota Motor Corp 昇圧コンバータ制御装置、モータ制御装置、電気自動車
JP2009280414A (ja) 2008-05-19 2009-12-03 Fine Energy Kk 生体改善ガス及びその供給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0093B1 (ko) 2022-05-30 2022-11-23 (주)엘에스화장품 거품형 클렌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858943A (zh) 2013-01-02
US20120309660A1 (en) 2012-12-06
WO2011070958A1 (ja) 2011-06-16
TW201130519A (en) 2011-09-16
EP2511363A1 (en) 2012-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14241A (ko) 세정제 조성물, 거품을 생성하는 방법, 거품 및 모발을 세정하는 방법
JP5577058B2 (ja) 洗浄剤
JP4558514B2 (ja) 液状洗浄剤組成物
EP0745665B1 (en) Personal cleaning composition
JP5947121B2 (ja) ノンガスフォーマー容器入り液体洗浄剤
JP5373216B1 (ja) ポンプフォーマー用洗浄剤組成物
CN105902411A (zh) 一种洗面泡沫及其制备方法
TWI629999B (zh) Liquid detergent composition
JPH0920618A (ja) 皮膚洗浄用品
KR102106392B1 (ko) 액체 세정제 조성물
TW201626984A (zh) 清洗製品
JP2011121896A (ja) 洗浄用の泡及びその生成方法及び洗髪方法
JP5801525B2 (ja) 液状洗浄剤組成物
JP6619960B2 (ja) 泡吐出容器入り液体洗浄剤組成物
JPH08165234A (ja) 皮膚洗浄用品
JP4112787B2 (ja) 洗浄剤組成物
TWI816653B (zh) 皮膚洗淨劑物品
JP4859973B2 (ja) 泡状洗浄剤の製造方法及び洗浄方法
JP6860982B2 (ja) 液体皮膚洗浄剤組成物
JPH08183729A (ja) 皮膚洗浄用品
JP2005023282A (ja) 起泡性清拭料
JP2001278777A (ja) 皮膚洗浄料
JP7146486B2 (ja) 皮膚洗浄剤物品
KR102517441B1 (ko) 메이크업 세정력이 우수한 포머 용기용 액체 세정제 조성물
JP2004277365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