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3239A -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3239A
KR20120113239A KR1020127019833A KR20127019833A KR20120113239A KR 20120113239 A KR20120113239 A KR 20120113239A KR 1020127019833 A KR1020127019833 A KR 1020127019833A KR 20127019833 A KR20127019833 A KR 20127019833A KR 20120113239 A KR20120113239 A KR 201201132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mical liquid
tissue paper
continuous sheet
roll
chem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9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8578B1 (ko
Inventor
유스케 시이노키
타쿠야 오쿠오카
Original Assignee
다이오 페이퍼 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408006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20113239(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오 페이퍼 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다이오 페이퍼 코퍼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201132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32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85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85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16Paper towel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18Holders; Receptacles
    • A47K10/22Holders; Receptacles for rolled-up web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16Paper towel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16Paper towel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18Holders; Receptacles
    • A47K10/20Holders; Receptacles for piled she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3/00Processes or apparatus for adding material to the pulp or to the pape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3/00Processes or apparatus for adding material to the pulp or to the paper
    • D21H23/02Processes or apparatus for adding material to the pulp or to the paper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substances are added
    • D21H23/22Addition to the formed paper
    • D21H23/50Spraying or projecting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3/00Processes or apparatus for adding material to the pulp or to the paper
    • D21H23/02Processes or apparatus for adding material to the pulp or to the paper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substances are added
    • D21H23/22Addition to the formed paper
    • D21H23/52Addition to the formed paper by contacting paper with a device carrying the material
    • D21H23/56Roll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002Tissue paper; Absorbent pape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002Tissue paper; Absorbent paper
    • D21H27/004Tissue paper; Absorbent paper characterised by specific parameters
    • D21H27/005Tissue paper; Absorbent paper characterised by specific parameters relating to physical or mechanical properties, e.g. tensile strength, stretch, softnes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30Multi-ply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30Multi-ply
    • D21H27/32Multi-ply with materials applied between the shee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0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 Y10T156/1052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with cutting, punching, tearing or severing
    • Y10T156/1056Perforating lamina
    • Y10T156/1057Subsequent to assembly of lamina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anitary Thin Paper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per (AREA)
  • Winding Of Webs (AREA)
  • Collation Of Sheets And Webs (AREA)
  • Advancing Webs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저비용으로 약액 도포를 실시할 수 있는 한편, 약액 도포의 유무를 용이하게 변환 가능한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복수의 1차 원단 롤(JR)로부터 풀어내는 1차 연속 시트((S11), (S12))를 그 연속 방향에 따라 적층하여 적층 연속 시트 (S2)로 하는 적층 공정(51)과, 적층 연속 시트(S2)에 대해서 약액을 도포하는 약액 도포 공정(53)과, 적층 연속 시트(S2)를 티슈 페이퍼 제품의 제품 폭 또는 그 복수배 폭이 되도록 슬릿하는 슬릿 공정(55)과, 슬릿된 각 적층 연속 시트(S2)를 같은 축으로 권취하여 티슈 페이퍼 제품의 제품 폭 또는 그 복수배 폭의 복수의 2차 원단 롤(R)을 형성하는 권취 공정(56)을 갖는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 방법으로 한다.

Description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SECONDARY WHOLE ROLL FOR TISSUE PAPER PRODUCT}
본 발명은, 멀티 스탠드식 인터폴더에 제공하는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티슈 페이퍼를 상자에 채운 제품은 일반적으로 인터폴더(접힘 설비)에 의해 복수의 연속되는 티슈 페이퍼를 접으면서 적층하고,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여 티슈 페이퍼 묶음을 얻고, 이 티슈 페이퍼 묶음을 수납상(티슈 카턴) 내에 수납함으로써 제조된다.
이러한 인터폴더의 예로서, 하기 미국특허4052048호 공보(특공소55-1215호공보), 일본 특개2006-240750호 공보에 개시되는 멀티 스탠드식 인터폴더나, 하기 일본 특개소61-37668호 공보, 일본 특개평5-124770호 공보에 개시되는 바와 같은 로터리식 인터폴더 등이 알려져 있다.
멀티스탠드식 인터폴더를 이용한 제조 방법의 종래 예로서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즉, 초지(抄紙) 설비에서 박엽지를 제조하여 권취함으로써 1차 원단 롤(일반적으로 점보 롤이라고도 일컬어짐)을 제조하고, 이어서, 이 1차 원단 롤을 플라이머신에 세트하고, 복수의 1차 원단 롤로부터 풀어낸 1차 연속시트를 서로 겹쳐서 권취함과 동시에 슬릿(폭방향으로 티슈 페이퍼 제품의 제품 폭 또는 그 복수 배폭으로 분할)하여, 복수의 플라이로 이루어지는 2차 원단 롤을 제조한다.
플라이머신으로 제조된 2차 원단 롤은 플라이머신으로부터 끄집어낸 후, 필요한 수만큼 멀티 스탠드식 인터폴더에 세트된다. 이어서, 2차 원단 롤로부터 2차 연속시트를 풀어내어 접힘 기구부로 보내고, 여기서 접으면서 적층한 후,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여 티슈 페이퍼 묶음으로 하고, 수납상자 내에 수납한다.
이와 같은 멀티 스탠드식 인터폴더를 이용한 제조 방법은, 다른 접힘 설비를 이용한 제조 방법에 비해서 다수(통상 80~100기)의 접힘 기구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생산성이 높은 이점을 가지고 있다.
그런데, 최근에는, 티슈 페이퍼 제품에 보습제나 향료등의 약액이 도포된 것의 수요가 확대되고 있으며, 예를 들면 하기 일본 특개2004-322034호 공보, 일본 특표2008-525103호 공보, 일본 특개2008-264564호 공보에 개시되는 제조 방법이나 설비가 다양하게 제안되고 있다. 이와 같은 티슈 페이퍼 제품은 주로 로터리식 인터폴더로 제조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예를 들면 아래와 같이 특허 문헌 5). 그러나, 로터리식 인터폴더는, 가공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접음과 재단을 동시에 행하기 위해, 생산성이 낮다는 결점이 있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 문헌 1) 미국특허4052048호 공보(특공소55-1215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개2006-240750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 특개소61-37668호 공보
(특허 문헌 4) 일본 특개평5-124770호 공보
(특허 문헌 5) 일본 특개2004-322034호 공보
(특허 문헌 6) 일본 특표2008-525103호 공보
(특허 문헌 7) 일본 특개2008-264564호 공보
그러므로, 본 발명자 등은, 약액이 도포된 티슈 페이퍼 제품을 로터리식 인터폴더에 비해 생산성이 높은 멀티스탠드식 인터폴더를 이용한 제조 방법으로 제조하는 것을 고려했지만, 멀티 스탠드식 인터폴더를 이용한 제조 방법으로 제조하는 경우, 플라이머신이나 멀티 스탠드식 인터폴더와는 별도로 약액 도포 공정을 마련하면, 원단의 이송의 수고나 설비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약액 도포 공정을 멀티 스탠드식 인터폴더에 마련하면, 약액을 도포하는 티슈 페이퍼 제품을 제조하는 라인과, 약액을 도포하지 않는 티슈 페이퍼 제품을 제조하는 라인을 나눌 필요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된 과제는 멀티 스탠드식 인터폴더로 이용되는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 방법이며, 저비용으로 약액 도포를 실시할 수 있는 한편, 약액 도포의 유무를 용이하게 전환할 수 있는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및 그로 인한 작용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청구항 1 기재의 발명]
1차 원단 롤로부터 연속적으로 티슈 페이퍼 제품용 복수의 2차 원단 롤을 제조하는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 방법이며,
복수의 1차 원단 롤로부터 풀어내는 1차 연속시트를 그 연속 방향에 따라서 적층하여 적층 연속시트로 하는 적층 공정과,
적층 연속시트에 대해서 약액을 도포하는 약액 도포 공정과,
적층 연속시트를 티슈 페이퍼 제품의 제품 폭 또는 그 복수배 폭이 되도록 슬릿하는 슬릿 공정과,
슬릿된 각 적층 연속시트를 동일한 축으로 권취하여 티슈 페이퍼 제품의 제품 폭 또는 그 복수배 폭의 복수의 2차 원단 롤을 형성하는 권취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 방법.
〔청구항 2 기재의 발명〕
상기 약액 도포 공정은, 상기 적층 공정의 다음에 있고, 한편, 상기 슬릿 공정의 전에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항에 기재한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 방법.
〔청구항 3 기재의 발명〕
상기 적층 공정과 상기 약액 도포 공정과의 사이에, 캘린더에서 평활화 처리하는 평활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2항에 기재한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 방법.
〔청구항 4 기재의 발명〕
상기 약액 도포 공정과 상기 슬릿 공정과의 사이에, 상기 적층 연속시트에 대해서 층간 박리를 방지하는 라인 형상의 컨택트 엠보스를 부여하는, 컨택트 엠보스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2항에 기재한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 방법.
〔청구항 5 기재의 발명〕
상기 약액의 도포는 플렉소 인쇄 방식에 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제 1항에 기재한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 방법.
〔청구항 6 기재의 발명〕
플렉소 인쇄 방식에 의해서 약액을 도포할 때의 적층 연속시트의 반송 속도는 700 m/분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제 5항에 기재한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 방법.
본 발명에 의한 제조 방법에서의 슬릿 공정에서 티슈 페이퍼 제품의 제품 폭 또는 그 복수배 폭이 되도록 제조된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은 이 후단에서 멀티 스탠드식 인터폴더에 다수 세트된다. 이어서, 멀티 스탠드식 인터폴더에 세트된 2차 원단 롤로부터 2차 연속시트를 풀어내서, 접힘 기구부로 보내고, 여기서 접으면서 적층한 후,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여 티슈 페이퍼 묶음으로 하고, 수납상자 내에 수납한다.
본 발명에서는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 방법에서의 적층 연속시트에 대해 약액을 도포하게 되어 있다. 그렇기 때문에, 플라이머신이나 멀티 스탠드식 인터폴더와는 별도로 약액 도포 공정을 마련하는 경우와 비해서 설비 비용을 낮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약액을 도포하지 않는 티슈 페이퍼 제품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 공정으로부터 약액 도포 공정을 생략하기만 하면 되므로 설비의 변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 방법에서는 약액 도포 공정은 적층 공정의 후이며, 또한 슬릿 공정 전에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약액 도포 공정이 적층 공정의 전이라면, 각각의 1차 연속시트에 대해서 약액을 도포하기 위한 설비를 마련하지 않으면 안되고, 반면에 슬릿 공정 후이면, 슬릿 공정에 의해서 복수에 분할된 적층 연속시트에 대해서 약액을 도포하기 때문에 슬릿으로부터 약액이 누출되어, 롤이 더러워지거나 종이가 잘라지는 원인이 된다. 약액 도포 공정이 적층 공정과 슬릿 공정과의 사이에서 행해지도록 되어 있으면, 슬릿 공정에 의해서 분할되어 있지 않은 적층 연속시트에만 약액을 도포하기 위한 설비를 마련하면 되고, 약액의 손실이 적으며, 종이가 잘라지는 현상이 적어 조업이 안정된다.
본 발명에 의한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는, 캘린더에서 평활화 처리하는 평활화 공정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평활화 공정을 가짐으로써, 표면이 매끄러운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평활화 공정은, 적층 공정과 약액 도포 공정과의 사이에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평활화 공정이 적층 공정의 전이면, 적어도 적층 시트의 외측 시트의 외측 표면을 평활화하기 위한 설비가 2기 없으면, 적층 공정 후의 1기의 평활화 공정과 동등의 효과를 얻지 못하고, 또한, 외층이 되는 2개의 시트 표면에 2기의 캘린더에 동등의 평활성을 얻는 경우에는 종이 두께가 손상된다.
본 발명에 의한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는, 적층 연속시트에 대해서 층간 박리를 방지하는 라인 형상의 컨택트 엠보스를 부여하는 컨택트 엠보스 공정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컨택트 엠보스 공정은, 슬릿 공정의 전에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컨택트 엠보스 공정이 슬릿 공정 후에 있으면, 제품 폭에 슬릿이 들어간 적층 연속시트에 대해서 컨택트 엠보스를 부여하게 되어, 연속하는 제품 폭의 적층 시트의 단부에 2개소(2 라인)의 컨택트 엠보스가 되기 때문에, 전체 폭으로 컨택트 엠보스를 부여하는 것과 비교하여 종이가 잘라지기 쉬워진다. 
본 발명에 따른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 방법에서는, 약액 도포의 방법은, 침지, 스프레이 도포, 플렉소 인쇄 방식, 그라비어 인쇄 방식에 의한 공지의 도포 방법을 모두 사용할 수 있지만, 그 중에서도 플렉소 인쇄 방식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닥터 챔버를 이용한 플렉소 인쇄 방식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렉소 인쇄 방식은, 플렉소 쇄판 롤이 수지제이며 가공 속도가 고속이어도 크레이프지의 요철에 대응해 도포량을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아니록스 롤의 선수나 셀 용량, 플렉소 쇄판 롤의 선수나 정점 면적율을 바꾸는 것으로, 용이하게 폭넓은 약액의 점도에 대응해 도포량을 안정시킬 수 있다. 닥터 챔버 형식은, 아니록스 롤(전사용 요롤)의 표면에 직접, 약액을 도공해 피막을 만드는 것으로, 약액에 종이가루나 공기가 혼입하기 어렵도록 약액의 물성이 안정되기 쉬운 특징이 있는 한편, 아니록스 롤로부터 전사되는 약액이 균일하고, 크레이프지의 로션제를 저량 도포하는데 가장 적합하다.
도 1은 1차 원단 롤의 제조 설비,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멀티 스탠드식 인터폴더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며, 정면으로부터 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은 멀티 스탠드식 인터폴더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며, 측면으로부터 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4는 멀티 스탠드식 인터폴더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며, 정면으로부터 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5는 접혀진 티슈 페이퍼의 종단면도이다.
도 6은 (a) 티슈 페이퍼묶음을 수납상자에 수납하고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b) 수납상자에 수납된 티슈 페이퍼를 끄집어내는 상태를 도시하는 일부 파단도이다.
도 7은 절판에 관한 부위의 주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8은 2차 연속시트(티슈 페이퍼)를 폴딩 방법을 나타내는 주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9는 2차 연속시트(티슈 페이퍼)를 폴딩 방법을 나타내는 주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10은 2차 연속시트(티슈 페이퍼) 폴딩 방법을 나타내는 주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11은 2차 원단 롤의 제조 설비,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나타낸 약액 도포 수단 주변의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13은 컨택트 엠보스 수단에 의해서 적층 연속시트에 컨택트 엠보스를 부여하고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약액 공급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 15는 도 14에서의 약액 공급 장치의 도출부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6은 약액 공급 장치의 그 외의 도출부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7은 약액 공급 장치의 그 외의 도출부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8은 도 14에 도시되는 실시 형태의 약액 공급 장치에서 이용되는 닥터 챔버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A)는 2개의 도입부와 1개의 도출부를 갖는 구조를 도시하고, (B)는 3개의 도입부와 2개의 도출부를 갖는 구조를 도시하고, (C)는 도입부 및 도출부가 각각 동일한 수 존재하는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 19는 그 외의 2차 원단 롤의 제조 설비,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0은 그 외의 2차 원단 롤의 제조 설비,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1은 그 외의 2차 원단 롤의 제조 설비,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2는 그 외의 2차 원단 롤의 제조 설비,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3은 도 12에 나타낸 약액 도포 수단을 다른 것으로 치환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는 적층 연속시트(티슈 페이퍼)의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A) 약액 도포전의 MD방향 단면도, (B) 약액 침투 공정 전의 상면도, (C) I-I방향에서 본 외관도.
도 25는 적층 연속시트(티슈 페이퍼)의 표면 요철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A) 약액 도포전, (B) 약액 도포 후.
도 26은 약액 침투 공정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7은 티슈 페이퍼의 MMD값의 측정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8은 그 외의 2차 원단 롤의 제조 설비,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또한, 도면 중의 화살표 HD는 수평 방향을, 화살표 LD는 상하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1차 원단 롤의 제조 방법〕
1차 원단 롤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도 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와이어 파트를 거친 습지(W)가 보텀 펠트(111)에 얹어 놓아져서 이송되고, 그 후 톱 펠트(110) 및 보텀 펠트(111)에 끼워진 상태에서, 톱 롤(112)과 보텀 롤(113)의 사이를 통과하여 물이 짜내어진다. 그 후 물이 짜내어진 습지(W)는, 톱 펠트(110)에 얹어 놓아진 상태에서 터치 롤(116)을 통해서 양키 드라이어(115)의 표면에 부착된다. 그리고, 습지(W)는, 양키 드라이어(115)에 의해서 건조되고, 닥터 블레이드(117)에 의해 잡아 떼어진 후, 권취됨으로써 1차 원단 롤(JR)이 된다.
이와 같이 종이를 뜰 때에는 예를 들면, 분산제, 건조지력 증강제, 습윤지력증강제, 유연제, 박리제, 접착제, 가성 소다등의 pH조정제, 소포제, 방부제, 슬라임 컨트롤제, 염료 등의 적절한 약품을 첨가할 수 있다.
또한, 본 1차 원단 롤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는, 닥터 블레이드(117)에 의해 잡아 떼어진 후에 캘린더 수단(118)에 의해 평활화 처리를 행할 수도 있다.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 설비〕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과 관련되는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 설비(X1)(플라이머신(X1))는, 상술한 제조 방법 등으로 제조된 1차 원단 롤 (JR)을 적어도 2개 이상 세트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이들 1차 원단 롤(JR)로부터 풀어낸 1차 연속시트(도시한 예에서는 (S11), (S12))를 그 연속 방향에 따라서 적층하여 적층 연속시트(S2)로 하는 플라이 수단(51)을 가지고 있다.
플라이 수단(51)의 후단에는, 플라이 수단(51)으로부터 흘러오는 적층 연속시트(S2)에 대해서 약액을 도포하는 한 쌍의 약액 도포 수단(53)이 설치되어 있고, 이러한 약액 도포 수단(53)의 후단에는, 나란히 설치된 복수의 커터로 이루어지고, 약액 도포 수단 (53)으로부터 이송되어 온 적층 연속시트 (S2)를 티슈 페이퍼 제품의 제품 폭 또는 그 복수배 폭이 되도록 슬릿하는 슬릿 수단 (55)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슬릿 수단 (55)의 후단에는, 슬릿 수단 (55)에 의해서 슬릿된 적층 연속시트 (S2)를 동일한 축으로 권취하여 티슈 페이퍼 제품의 제품 폭 또는 그 복수배 폭의 복수의 2차 원단 롤 (R)을 형성하는 권취 수단 (56)이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이 권취 수단 (56)은, 슬릿된 각 적층 연속시트 (S2)를 2차 원단 롤 (R)에 안내하기 위한 2개의 와인딩 드럼 (56A)를 가지고 있고, 이것들 2개의 와인딩 드럼 (56A)이 2차 원단 롤 (R)의 외주면에 접해 적층 연속시트 (S2)를 안내하고 있다. 
(캘린더 수단)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 설비 (X1)에는, 적층 연속시트 (S2)를 캘린더 처리하는 캘린더 수단 (52)를 하나 이상 마련할 수도 있다.
캘린더 수단 (52)에 있어서의 캘린더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표면의 평활성 향상과 종이 두께의 조정의 이유로, 소프트 캘린더 또는 칠드(chilled) 캘린더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프트 캘린더란, 우레탄 고무등의 탄성재를 피복한 롤을 이용한 캘린더이며, 칠드 캘린더는 금속 롤로 이루어지는 캘린더이다.
캘린더 수단 (52)의 수는,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복수 설치하면 가공 속도가 빨라도 충분히 평활화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 반면, 하나라면 스페이스가 좁아도 설치 가능하다는 이점을 가진다.
둘 이상의 캘린더 수단 (52)를 설치하는 경우, 수평 방향, 상하 방향, 혹은 비스듬한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할 수 있고, 또한, 이러한 설치 방향을 조합시켜서 배치해도 된다. 수평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하면, 랩 각도를 작아지기 때문에 가공 속도를 고속으로 할 수 있고, 상하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하면 설치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랩 각도란 롤의 축 중심으로부터 봐서 시트가 접하고 있는 사이(축과 직교하는 단면의 원호의 일부)의 각도를 의미하고 있다(이하 동일함). 
캘린더 처리 조건에 있어서의 캘린더 종별, 닙 선압, 닙 수 등도 제어 요인으로서 종이를 뜨도록 하고, 이들 제어 요인은 요구하는 티슈 페이퍼의 품질, 즉, 종이 두께나 표면성에 의해 적절히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캘린더 수단 (52)의 설치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플라이 수단 51의 후단이며 약액 도포 수단 (53)의 전단으로 하거나, 약액 도포 수단 (53)의 후단이며 컨택트 엠보스 수단 (54)의 전단으로 할 수 있다.
(약액 도포 수단)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 설비 또는 제조 방법에 대해서는, 약액을 적층 연속시트 (S2)의 양면에 도포하는 경우, 양면의 합계의 약액 도포량은, 1.5~5.0g/m2, 바람직하게는 2.0~4.5g/m2, 보다 바람직하게는 2.5~4.0g/m2이다. 5.0g/m2초과라면, 지력 저하나 신장 등에 의해 단지하거나, 와인딩 드럼으로 권취시에 권취 어긋남을 일으키거나, 또한 품질적으로 지나치게 끈적이는 경우도 나오게 된다. 1.5g/m2미만이면 매끄러움이나 촉촉한 감 등 미도포품과의 품질 차이를 느낄 수 없게 된다.
또한 양 도포면에의 도포량에 차이가 있는 경우, 도포 후에 플라이 원단으로 보관되고 나서 접힘 가공될 때까지의 시간(8시간 이상)에 양쪽 도포면은 접하고 있으므로, 서서히 양자의 약액량은 균등화되어서 표리차가 작아진다.
약액을 적층 연속시트 (S2)의 한 면에만 도포하는 경우, 약액의 도포면은, 적층 연속시트 (S2)에 있어서의 2차 원단 롤 (R)의 안쪽에 위치하는 분의 면(1차 연속시트 (S11)측의 면)에의 도포가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제품에서의 표리차는 있으나, 권취 어긋남은 일어나기 어렵다. 이 경우, 도포량은 1.5~5.0g/m2, 바람직하게는 2.0~4.5g/m2, 보다 바람직하게는 2.5~4.0g/m2이다.
또한, 적층 연속시트 (S2)를 구성하는 각 1차 연속시트의 크레이프율에 차이를 두는 경우, 크레이프율이 높은 측의 1차 연속시트 측(도시한 예에서는 1차 연속시트 (S11)측)에 의해 많은 약액을 도포하는 것도 제안된다. 예를 들면, 도 11 및 도 24에 나타나는 예에 대해서는, 2개의 약액 도포 수단 (53) 중, 1차 연속시트 (S11)에 직접 약액을 도포하는 약액 도포 수단 (53B)이, 한편의 약액 도포 수단 (53A)보다 많은 약액을 도포하는 것으로 한다. 이 경우, 양면의 약액 도포량의 비는, (100):0~60:40, 바람직하게는 75:25~60:40으로 한다. 
도 24(A)는 약액 도포전의 2 플라이에 적층된 적층 연속시트 (S2)의 단면도이다(MD방향으로 평행하게 절단한 단면도). 2 플라이에 적층된 적층 연속시트 (S2)의 양면에 약액을 도포하는 것에 있어서, 양면의 약액량에 차이를 두고, 도면에서는 1차 연속시트 (S11)의 측에 약액을 많이 도포한다. 약액 도포 후, 적층 연속시트 (S2)가 신장되기 전에, 컨택트 엠보스 CE에 의해 적층을 일체화하고, 슬릿 수단 (55)에 의해 제품 폭에 커트 한다(도면 24(B)). 그 후, 적층 연속시트 (S2)를 권취 수단 (56)으로 권취하고, 약액을 침투시키기 위해 가만히 둔다. 약액 도포 수단 (53)으로 약액이 도포된 적층 연속시트 (S2)를 구성하는 1차 연속시트 (S11), (S12)는 주로 MD방향으로 신장된다. 그 때, 보다 많은 약액이 도포된 1차 연속시트 (S11)가 한편의 1차 연속시트 (S12)보다 큰 신장율을 갖는데, 1차 연속시트 (S11), (S12)는 컨택트 엠보스 CE에서 서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보다 신장된 1차 연속시트 (S11)의 표면에 주름이 발생한다(도 24(C)). 적층하는 적층 연속시트 (S2)의 크레이프율에도 차이를 두고, 1차 연속시트 (S11)에 크레이프율이 높은 원지를 사용하면, 보다 1차 연속시트 (S11)와 1차 연속시트 (S12)와의 신장율에 차이를 발생시킬 수 있다.
크레이프는 양키 드라이어 (115)에서 원지를 건조한 후, 닥터 블레이드 (117)에 의해 양키 드라이어 (115)로부터 벗긴 후, 드라이어 스피드와 권취 스피드의 차이에 의해 형성된다. 이 크레이프는 양키 드라이어 (115)에의 종이의 접착에 의해 형상을 조정하는데, 이 접착에 약간의 불균일이 있는 것이나, 섬유 원료가 균등하게 분포하고 있지 않음으로 인하여, 미크로적인 시야에서 보면 입체적으로 크레이프 형상에는 약간의 불균일이 존재한다. 이 불균일은 크레이프율이 커질수록 현저해진다.
여기서, 크레이프율이란, 아래의 식에서 표현되는 것으로 한다.
크레이프율:((제지시의 드라이어의 주속)-(릴 주속))/(제지시의 드라이어의 주속)×(100).
이 크레이프의 불균일과 더불어, 약액을 도포했을 때의 신장에도 불균일이 발생하고, 이것이 3 차원적으로는 작은 요동으로서 형성된다. 이 요동은 원단 시즈닝 시에는 장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현재화되지 않으나, 제품으로 가공하여 재단한 후에 복원하여 현재화한다. 시트에의 약액의 도포량이 많을수록, 크레이프가 클수록 크레이프 형상의 변화, 시트의 요동은 크고, 반대로 시트에의 약액의 도포량이 적을수록, 크레이프가 작을수록 크레이프 형상의 변화, 시트의 요동은 작다. 이 때문에, 도포량뿐 아니라, 크레이프율을 변화시킴으로써 부피증가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품질에 대해서, 크레이프율이 다른 1차 연속시트 (S11), (S12)를 적층해 제품화했을 경우, 약액 도포를 행하지 않으면, 제품인 티슈 페이퍼는, 양면에서 벌크감이 다른 것이 된다(도 25(A)). 그러나, 보다 표면의 요철이 큰(크레이프율이 높은) 1차 연속시트 (S11)에 보다 많은 약액을 도포함으로써, 1차 연속시트 (S11)는 1차 연속시트 (S12)보다 높은 신장율로 신장되는데, 컨택트 엠보스에 의해 MD방향과 평행하게 고정되고 있기 때문에(도시하지 않음), 1차 연속시트 (S11)는 요동하고, 적층 시트의 부피가 증가된다(도 25(B)).
약액 도포량에 차이를 둠으로써, 제품의 양면에서 촉감, 사용감이 다른 것이 우려되는데, 2차 원단 롤 (R)을 다음의 공정(폴딩 가공 등)에 제공하기 전에 롤 상태에서 가만히 둠으로써, 약액 도포량이 다른 1차 연속시트 (S11), (S12)의 표면이 서로 마주 본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약액 침투 공정, 도 26), 연속시트간의 약액 성분이 조금씩 전이하여(도면중 그레이 화살표), 그 차이는 시즈닝 중에 점차 경감된다. 또한 도 26의 흰색 화살표는 약액 성분의 침투 방향을 나타낸다.
한편, 약액 도포 수단 (53)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그라비어 인쇄 방식, 혹은 플렉소 인쇄 방식등의 인쇄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 설비 또는 제조 방법에 있어서, 약액 도포 수단 (53)으로서 그라비어 인쇄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 가공 속도는 100~1000 m/분, 바람직하게는 350~950 m/분, 특히 바람직하게는 450~950 m/분으로 한다. 100m/분 미만이면 생산성이 낮고, 1000m/분 초과라면, 도포 얼룩이 발생하고, 약액이 흩어지기 쉬워진다. 또한, 그라비어 롤의 선 수는, 40~160선, 바람직하게는 60~140선, 특히 바람직하게는 80~120선으로 한다. 선 수가 40선 미만이면 약액 비산량이 많아져 버리는 한편, 선 수가 160선을 초과하면 종이가루가 막히기 쉬워진다.
본 발명의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 설비 또는 제조 방법에 있어서, 약액 도포 수단 (53)으로서 플렉소 인쇄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 가공 속도는 100~1100 m/분, 바람직하게는 350~1050 m/분, 특히 바람직하게는 450~1000 m/분으로 한다. 100 m/분 미만이면 생산성이 낮고, 한편, 1100 m/분 이상이라면, 도포 얼룩짐이 많이 발생하고, 약액의 비산량이 많아진다. 플렉소 쇄판 롤의 선 수는, 10~60선, 바람직하게는 15~40선, 특히 바람직하게는 20~35선으로 한다. 선 수가 10선 미만이면 도포 얼룩짐이 많이 발생하게 되고, 반면에 선 수가 60선을 초과하면 종이가루가 막히기 쉬워진다. 아니록스 롤의 선수는, 10~300선, 바람직하게는 25~200선, 특히 바람직하게는 50~100선으로 한다. 선 수가 10선 미만이면 도포 얼룩이 많이 발생하게 되고, 반면에 선 수가 300선을 초과하면 종이가루가 막히기 쉬워진다. 아니록스 롤의 셀 용량은, 10~100cc, 바람직하게는 15~70cc, 특히 바람직하게는 30~60cc로 한다. 셀 용량이 10cc미만이면 원하는 도포량이 얻어지지 않고, 반면에 셀 용량이 100cc초과라면 약액의 비산량이 많아져 버린다.
플렉소 인쇄 방식은, 가공 속도가 고속이라도 도포량을 안정시킬 수 있고, 또한, 하나의 롤로 폭넓은 약액의 점도를 안정시켜서 도포할 수 있다.
약액 도포 수단 (53)에 그라비어 인쇄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 다이렉트 그라비어 코터 또는 오프셋 그라비어 코터등을 이용할 수 있고, 플렉소 인쇄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닥터 챔버 형식(이하, 단지 닥터 챔버 형식이라고 말한다)이나 1 또는 2 롤 전사 형식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그라비어 인쇄 방식, 혹은 플렉소 인쇄 방식 등의 인쇄 방식을 이용한 약액 도포 수단 (53)은, 단수 혹은 복수 설치할 수 있으며, 복수 설치하는 경우, 수평 방향, 상하 방향, 혹은 비스듬한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해도 되며, 수평 방향을 포함한 이들 설치 방향을 조합시켜서 배치해도 된다. 수평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하면 랩 각도를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가공 속도를 고속으로 할 수 있고, 상하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하면 수평 방향에 있어서의 설치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다.
약액 도포 수단 (53)의 전후에 배치되는 수단(도 11의 예에서는 캘린더 수단 (52) 및 컨택트 엠보스 수단 (54))은, 서로 근접하여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게 함으로써, 약액이 도포되지 않는 티슈 페이퍼 제품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적층 연속시트 (S2)를 약액 도포 수단 (53)의 전단으로부터 후단으로 직접 이송하고, 약액 도포 수단 (53)을 통과시키지 않고 적층 연속시트 (S2)를 통과시키기만 하면 되므로, 약액 도포의 유무를 용이하게 전환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하는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 설비 (X1)에서는, 약액이 도포되지 않는 티슈 페이퍼 제품을 제조하는 경우, 도 11에 있어서 2점쇄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적층 연속시트 (S2)를 캘린더 수단 (52)로부터 컨택트 엠보스 수단 (54)에 직접 이송하여, 약액 도포 수단 (53)을 통과시키지 않고 적층 연속시트 (S2)를 흐르게 하면 된다.
<닥터 챔버 형식의 실시 형태 1>
여기에서는, 플렉소 인쇄 방식에 있어서의 닥터 챔버 형식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쪽의 닥터 챔버 형식으로 되는 약액 도포부 (53A)는 약액이 들어가 있는 닥터 챔버 (61A)가 회전 가능한 아니록스 롤 (63A)와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고, 닥터 챔버 (61A)로부터 아니록스 롤 (63A)로 약액을 주고 받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아니록스 롤 (63A)와 접하며, 또한 적층 연속시트 (S2)의 일면과도 접하는 쇄판 롤 (64A)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이 아니록스 롤 (63A)로부터 쇄판 롤 (64A)로 약액을 주고 받도록 되어 있다. 나아가 적층 연속시트 (S2)를 사이에 두고 상기 쇄판 롤 (64A)와 대향하고 있는 탄성 롤 (65A)로 적층 연속시트 (S2)에 압력을 부여하면서, 쇄판 롤 (64A)로부터 적층 연속시트 (S2)에 약액을 도포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본 형태에서는, 이 약액 도포부 (53A)가 후술하는 컨택트 엠보스 수단 (54)의 굴림대 (54A)와 대향하며, 또한 전술한 와인딩 드럼 (56A)과도 대향하는 적층 연속시트 (S2)의 면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전술한 닥터 챔버 (61A)에 대해서 약액을 도포하는 공급 펌프(도시하지 않는다) 및, 이 닥터 챔버 (61A)로부터 약액을 되돌리기 위한 배출 공급 펌프(도시하지 않는다)가 닥터 챔버 (61A)에 설치되어 있다.
한편,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른 쪽의 닥터 챔버 형식으로 여겨지는 약액 도포부 (53B)는, 약액이 들어가 있는 닥터 챔버 (61B)가, 회전 가능한 아니록스 롤 (63B)와 대향해서 배치되어 있고, 닥터 챔버 (61B)로부터 아니록스 롤 (63B)에 약액을 주고 받게 되어 있다. 또한 이 아니록스 롤 (63B)와 접하며, 또한 적층 연속시트 (S2)의 다른 면과도 접하는 쇄판 롤 (64B)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이 아니록스 롤 (63B)로부터 쇄판 롤 (64B)에 약액을 주고 받게 되어 있다. 나아가 적층 연속시트 (S2)를 사이에 두어 이 쇄판 롤 (64B)와 대향하고 있는 탄성 롤 (65B)로 적층 연속시트 (S2)에 압력을 부여하면서 쇄판 롤 (64B)로부터 적층 연속시트 (S2)에 약액을 도포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이 약액 도포부 (53B)이 굴림대 (54A)와 대향하지 않고, 또한 전술한 와인딩 드럼 (56A)과도 대향하지 않는 적층 연속시트 (S2)의 다른 면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전술한 닥터 챔버 (61B)에 대해서 약액을 도포하는 공급 펌프(도시하지 않는다) 및 이 닥터 챔버 (61B)로부터 약액을 되돌리기 위한 배출 공급 펌프(도시하지 않는다)가 닥터 챔버 (61B)에도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적층 연속시트 (S2)의 양면에 약액 도포부 (53A) 및 약액 도포부 (53B)로부터 약액이 각각 도포되는데, 이 때 약액 도포부 (53A)에 의한 굴림대 (54A)와 대향하는 적층 연속시트 (S2)의 면측의 도포량을 약액 도포부 (53B)에 의한 다른 면측의 도포량에 대해서 적게 하면서, 적층 연속시트 (S2)의 양면으로부터 각각 적층 연속시트 (S2)에 대해서 약액을 도포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양면의 합계 도포량을 1.5~5g/m2로 하고, 또한 플라이 원단롤인 2차 원단 롤 (R)의 외주면의 도포량을, 2차 원단 롤 (R)의 내주면의 도포량보다 줄이는 경우, 종이의 양면에 대한 로션제의 합계 도포량 중, 2차 원단 롤 (R)의 외주면에의 도포량은 전체의 20%이상이고 50%미만이 좋지만, 구체적인 값은 2차 원단 롤 (R)의 미끄러짐과 품질의 밸런스, 시트의 두께나 로션제의 침투성, 전이성에 의해 최적 조건이 다르므로 상기의 범위에서 변화한다.
구체적으로는, 한쪽면마다 도포량을 변화시킬 뿐 아니라, 플렉소판의 선 수를 15~40선정도, 꼭지점 면적율을 20~40%정도의 약액이 흩어지지 않는 정도로 거칠게 하는 것이 고려되고, 이와 같이 함으로써, 도포 직후는 도트 무늬가 남아, 순간적으로 도포 부분과 비도포 부분이 생기게 된다.
따라서, 본 형태에 의하면, 플렉소 인쇄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판이 수지이어서 탄력성이 있기 때문에 위생용 박엽지지에 다소의 요철이 있어도 인쇄압으로 조정 가능하여, 적층 연속시트 (S2)에 주름이 들어가기 어려워진다. 반면 플렉소 인쇄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가공속도가 고속이어도 도포량을 안정시킬 수 있고, 또한 하나의 롤로 폭넓은 약액의 점도를 안정시켜서 도포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적층 연속시트 (S2)를 700m/분 이상, 바람직하게는 900 m/분 이상의 속도로 반송하면서, 약액으로 여겨지는 로션제를 후술의 범위의 도포량으로 도포할 때에도, 도포가 균일하고 구불구불하지 않게 적층 연속시트 (S2)를 권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형태에 부수하는 약액 도포 수단 (53)의 요건으로서는, 다음과 같은 것이 고려된다.
2롤 플렉소 형식의 약액 도포 수단에서는 약액 탱크 등의 도포 장치 내에서 순환하는 약액에 포함되는 종이가루이나 에어의 여과 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있는데, 본 실시의 형태와 같은 닥터 챔버 형식의 약액 도포 수단 (53)으로 한 경우, 종이가루 등이 적어지므로, 여과 장치의 부하가 경감되는 것도 고려된다. 나아가 닥터 챔버 (61A), (61B) 등의 도포 장치 내에서 약액의 온도를 컨트롤 하고, 약액 점도를 안정시킬 필요성이 고려되는데, 닥터 챔버 (61A), (61B)에 연결되는 중간 탱크 및 배관에 히터를 설치할 수 있다. 반면, 조업 중에 적층 연속시트 (S2)의 폭방향의 수분율로 도포량을 관리할 필요성이 고려되는데, 예를 들어 적외선의 검사기등을 이용하여 항상 폭방향의 수분량과 불균일을 체크할 수 있다.
<닥터 챔버 형식의 실시 형태 2>
다음에, 닥터 챔버 형식의 실시 형태 2에 대해서, 구체적인 구조를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전술한 약액 도포 수단 (53)을 구성하는 닥터 챔버 형식의 플렉소 인쇄 방식에 의한 2개의 약액 도포부 (53A), (53B)의 한쪽만을 빼낸 구조의 약액 공급 장치 (100)을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하는데, 약액 도포부 (53A), (53B)의 다른 쪽도 동일한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은 당연하다. 또한, 도 14에 나타내는 약액 공급 장치 (100)의 좌우 방향을 X축방향, 상하 방향을 Y축방향으로 한다.
즉, 도 14 및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약액 공급 장치 (100)은 약액 L을 저장하는 저장 탱크 (110)와, 저장 탱크 (110) 내의 약액 L을 밀어내는 압출부 (120)와, 압출부 (120)로부터 압출된 약액 L을 저장하는 닥터 챔버 (130)와, 닥터 챔버 (130)에 저장되는 약액 L의 일부를 탱크 (110)에 인입하는 인입부 (140)와, 닥터 챔버 (130)에 의해 공급되는 약액 L을 적층 연속시트 (S2)의 표면에 전사시키는 약액 전사부 (150)와, 적층 연속시트 (S2)를 둘레면에 감아서 회동시키는 회동부 (16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전술한 닥터 챔버 (61A), (61B)가, 본 실시 형태에서는 닥터 챔버 (130)으로, 전술한 탄성 롤 (65A), (65B)가, 본 실시 형태에서는 회동부 (160)가 된다.
저장 탱크 (110)는, 내부에 약액 L을 저장하는 탱크이며, 후술의 압출부 (120)의 압출 호스 (121)과, 인입부 (140)의 인입호스 (141)가 액층 내에 삽입되어 있다.
압출부 (120)는 예를 들어 저장 탱크 (110)내에 삽입된 압출 호스 (121)와, 저장 탱크 (110)에 저장된 약액 L을 밀어내고 닥터 챔버 (130)에 공급하는 공급 펌프 (122)와, 공급 펌프 (122)에 의한 약액 L의 압출량(유량)을 조정하기 위한 조정 밸브 (123)를 포함해 구성된다.
압출 호스 (121)은, 일단이 저장 탱크 (110) 내에 삽입되고, 타단이 닥터 챔버 (130)의 도입부 (132)로 접속된 호스이며, 저장 탱크 (110) 내의 약액 L을 반송하는 유로로서 기능한다. 공급 펌프 (122)는, 압출 호스 (121)에 설치되고, 도시하지 않은 구동 모터에 의해 구동되어, 저장 탱크 (110)내의 약액 L을 닥터 챔버 (130)에 가압 송급한다. 조정 밸브 (123)은 공급 펌프 (122)에 의해 압출되는 약액 L의 유량을 변의 개폐에 의해 조정한다.
인입부 (140)는 예를 들어, 저장 탱크 (110)내에 삽입된 인입호스 (141)와, 저장 탱크 (110)에 약액 L을 인입하는 흡인 펌프 (142)를 포함해 구성된다.
인입호스 (141)는, 일단이 저장 탱크 (110)내에 삽입되고, 타단이 후술하는 닥터 챔버 (130)의 도출부 (133)와 접속된 호스이며, 도출부 (133)로부터 도출되는 약액 L을 저장 탱크 (110)에 반송하는 유로로서 기능한다.
흡인 펌프 (142)는, 인입호스 (141)에 설치되고, 도시하지 않은 구동 모터에 의해 구동되고, 도출부 (133)에 의해 도출되는 약액 L을 흡인시켜서 저장 탱크 (110)(외부)로 배출시킨다.
따라서, 전술한 닥터 챔버 (61A), (61B)에 대해서 약액을 도포하는 공급 펌프가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저장 탱크 (110)에 저장된 약액 L을 밀어내서 닥터 챔버 (130)에 공급하는 공급 펌프 (122)가 되고, 또한 전술한 닥터 챔버 (61A), (61B)로부터 약액을 되돌리기 위한 배출 공급 펌프가,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저장 탱크 (110)에 약액 L을 끌어들이는 흡인 펌프 (142)가 된다.
닥터 챔버 (130)은 후술의 아니록스 롤 (151)에 인접해 배치되고, 약액 L을 저장하는 본체부 (131)와, 압출부 (120)와 본체부 (131)를 연결하는 도입부 (132)와, 인입부 (140)과 본체부 (131)을 연결하는 도출부 (1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부 (131)는, 닥터 챔버 (130)의 본체 부분이며, 저장부 (131a)와 블레이드 (131b), (131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저장부 (131a)는 아니록스 롤 (151)측의 단부가 개구하고, 도입부 (132) 및 도출부 (133)과 연결되어, 내부에 저장되는 약액 L을 아니록스 롤 (151)에 공급한다. 그리고, 아니록스 롤 (151)에의 공급량이 일정해지도록, 도입부 (132)로부터 저장부 (131a)에 도입되는 약액 L의 일부가 도출부 (133)를 통해서 도출됨으로써 순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전술한 아니록스 롤 (63A), (63B)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아니록스 롤 (151)이 된다.
블레이드 (131b), (131c)는, 아니록스 롤 (151)과 맞닿도록 마련되고, 아니록스 롤 (151)에 밀어붙인 상태에서 약액 L을 짠다.
도입부 (132)는, 일단이 본체부 (131)에 접속되고, 타단이 압출부 (120)의 압출 호스 (121)에 접속되며, 압출부 (120)와 본체부 (131)를 연결하는 관 모양의 이음매이고, 공급 펌프 (122)에 의해 공급된 약액 L을 본체부 (131)의 저장부 (131a)에 도입할 수 있다.
도출부 (133)은, 도 14 및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음매 (133A), 구멍부 (133b), 및 튜브 (133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음매 (133A)는, 일단이 본체부 (131)에 접속되고, 타단이 인입부 (140)의 인입호스 (141)에 접속되며, 인입부 (140)과 본체부 (131)을 연결하는 관형의 이음매이다.
구멍부 (133b)는 이음매 (133A)의 상면에 형성되고, 소정의 지금으로 이루어지는 개구부분이다.
즉, 이음매 (133A)에 구멍부 (133b)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이음매 (133A)내의 약액 L은 바깥 공기와 접촉하게 된다. 그 때문에, 도입부 (132)로부터 도입한 약액 L의 일부를 배출(도출부 (133)으로부터 도출)하여 약액 L을 순환시킬 때에, 흡인 펌프 (142)로 약액 L의 흡인을 행해도, 상기 구멍부 (133b)에 의해 약액 L이 바깥 공기와 접촉하여 내압을 외기압에 근접하게 할 수 있으므로, 닥터 챔버 (130)내의 내압 변동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 구멍부 (133b)는, 닥터 챔버 (130)내의 내압 변동이 억제될 수 있으면 되므로, 예를 들면, 본체부 (131)의 표면에 저장부 (131a)에 연통하도록 형성해도 된다.
튜브 (133c)는, 구멍부 (133b)에 하단이 연결되고, 상방으로 연신된 투명 또는 반투명의 튜브장의 부재이다. 그 때문에, 도입부 (132)로부터 도입한 약액 L의 일부를 배출하여 약액 L을 순환시킬 때에, 약액 L이 구멍부 (133b)를 통해서 이 튜브 (133c)내로 유입되는지 여부를 목시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즉, 상기 튜브 (133c)내에의 유입이 확인되었을 경우는, 저장부 (131a)에 저장되는 약액 L의 양이 과다하게 되어 있는(아니록스 롤 (151)에 대해서 약액 L이 과잉 공급 상태가 되고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과다 상태를 목시로 확인한 사용자는, 예를 들어 조정 밸브 (123)를 조작하여 약액 L의 압출량(유량)을 조정함으로써 이 과다 상태를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튜브 (133c)는, 내부가 공동(空洞)으로 상단 측이 바깥 공기에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구멍부 (133b)의 작용을 상쇄하지 않는다.
약액 전사부 (150)는 예를 들어, 닥터 챔버 (130)로부터 약액 L이 공급되는 아니록스 롤 (151)과, 아니록스 롤 (151) 및 후술하는 회동부 (160) 사이에 마련된 쇄판 롤 (15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전술한 쇄판 롤 (64A), (64B)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쇄판 롤 (152)이 된다.
아니록스 롤 (151)은, 닥터 챔버 (130)의 블레이드 (131b), (131c)와 맞닿도록 마련되고, 닥터 챔버 (130)의 저장부 (131a)의 개구로부터 공급되는 약액 L이 둘레면에 흡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아니록스 롤 (151)은, 원주형을 이루고, XY 평면에 직교하는 축 둘레에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둘레면에 흡착된 약액 L은, 회동에 의해서 쇄판 롤 (152)에 전사할 수 있다.
쇄판 롤 (152)은, 둘레면이 고무재로 된 원주형을 이루고, 좌우 단부의 둘레면(도 14에 도시하는 점 P1, 점 P2)이 아니록스 롤 (151) 및 회동부 (160)(에 감을 수 있는 적층 연속시트 (S2))의 둘레면에 맞닿도록 설치되며, XY평면에 직교하는 축 둘레에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쇄판 롤 (152)은 좌단에서 맞닿는 회동부 (160)가 (R1)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R2)방향으로 회동함과 동시에, 우단에서 맞닿는 아니록스 롤 (151)을 (R1)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즉, 쇄판 롤 (152)는, 아니록스 롤 (151)의 둘레면에 흡착된 약액 L을 점 P2에서 취득해, (R2)방향으로의 회동에 의해 점 P1까지 반송하여 적층 연속시트 (S2)에 전사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아니록스 롤 (151)에 의해 흡착된 약액 L이 아니록스 롤 (151)의 둘레면 상에 층형상으로 불균일하게 남아 버리는 경우에도 쇄판 롤 (152)의 둘레면으로 이송시킴으로써, 적층 연속시트 (S2)에 약액 L을 균일하게 전사할 수 있다.
회동부 (160)는, 쇄판 롤 (152)에 인접하여 마련되고, 도시하지 않은 모터 등으로부터 구동력이 부여되는 것으로, XY 평면에 직교 하는 축 둘레(예를 들면, 도 14의 (R1)방향)에 회동하는 원주형상의 부재이며, 둘레면에서 적층 연속시트 (S2)를 파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회동부 (160)은, (R1)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으로써, 공급되는 적층 연속시트 (S2)를 둘레면에 감음과 동시에, 쇄판 롤 (152) 및 아니록스 롤 (151)을 회동시켜, 점 P1위치까지 반송한 시점에서 쇄판 롤 (152)로부터 약액 L을 전사시킬 수 있다.
또한 회동부 (160)의 회동의 방향은, 도 14에서 (R1)방향으로 했으나, 물론 (R2)방향으로 회동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 경우, 아니록스 롤 (151) 및 쇄판 롤 (152)는 도 14와는 반대방향(즉, 아니록스 롤 (151):(R2)방향, 쇄판 롤 (152):(R1) 방향)으로 회동한다.
다음에,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약액 공급 장치 (100)에 의한 약액 L의 순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공급 펌프 (122)를 구동시키고, 저장 탱크 (110)로부터 약액 L을 밀어내고, 압출 호스 (121) 및 닥터 챔버 (130)의 도입부 (132)를 통해서 본체부 (131)의 저장부 (131a)로 공급한다.
이어서, 회동부 (160)을 회동시켜서, 아니록스 롤 (151)에 저장부 (131a)의 약액 L을 공급하며, 쇄판 롤 (152)을 통해서 약액 L을 적층 연속시트 (S2)상에 전사시킨다.
아울러, 흡인 펌프 (142)를 구동시켜서, 도출부 (133)를 통해서 저장부 (131a)의 약액 L의 일부를 저장 탱크 (110)로 향해서 배출하여 순환시킨다. 이 때, 도출부 (133)의 이음매 (133A)내에서, 구멍부 (133b)를 개입시킨 바깥 공기의 접촉에 의해 닥터 챔버 (130)내의 내압 변동이 억제된다.
또한, 상기 순환 시에, 약액 L의 튜브 (133c)내에의 유입이 확인되었을 경우, 조정 밸브 (123)을 조작해 약액 L의 유량의 조정을 실시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약액 공급 장치 (100)에 의하면, 약액 L을 저장하는 저장 탱크 (110)와, 저장 탱크 (110)에 저장된 약액 L을 닥터 챔버 (130)의 본체부 (131)에 압출 호스 (121)를 통해서 공급하는 공급 펌프 (122)와, 닥터 챔버 (130)의 본체부 (131)에 저장된 약액 L을 흡인시켜 저장 탱크 (110)(외부)에 인입호스 (141)를 통해서 배출시키는 흡인 펌프 (142)를 갖추고, 닥터 챔버 (130)은, 압출 호스 (121)와 본체부 (131)를 연결하고, 공급 펌프 (122)에 의해 공급된 약액 L을 본체부 (131)에 도입하는 도입부 (132)와, 인입호스 (141)와 본체부 (131)을 연결하고, 도입부 (132)로부터 본체부 (131)로 도입된 약액 L의 일부를 도출하기 위한 관 모양의 이음매 (133A)를 구비한 도출부 (133)를 갖고, 도출부 (133)의 이음매 (133A)의 상면에 구멍부 (133b)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즉, 약액 공급 장치 (100)에서는, 도출부 (133)의 이음매 (133A)의 표면에 구멍부 (133b)가 구비된다. 그 때문에, 흡인 펌프 (142)를 이용하여 본체부 (131)내의 약액 L의 일부를 배출할 때에, 상기 구멍부 (133b)에 의해서 약액 L이 바깥 공기와 접촉하므로, 흡인 펌프 (142)의 동작에 기인한 닥터 챔버 (130)내의 내압 변동이 억제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약액 L의 일부를 배출할 때에 흡인 펌프 (142)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약액 L을 자연 낙하시키기 위한 유로는 필요하지 않고, 탱크 (110)의 설치 위치도 특별히 닥터 챔버 (130)의 상방 등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약액 공급 장치 (100)은, 닥터 챔버 (130)으로부터 약액 L을 빨아낼 때의, 닥터 챔버 (130)내의 내압 변동을 억제하는 것과 동시에, 극력 공간을 절약하면서 설치할 수 있는 약액 공급 장치 (100)라고 말할 수 있다.
또한, 닥터 챔버 (130)은, 구멍부 (133b)에 하단이 연결되고, 상방으로 연신된 투명 또는 반투명의 튜브 (133c)를 구비한다.
즉, 도입부 (132)로부터 도입한 약액 L의 일부를 배출해 약액 L을 순환시킬 때에, 약액 L이 구멍부 (133b)를 통해서 해당 튜브 (133c)내에 유입하는지 여부를 목시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상기 튜브 (133c)내에의 유입이 확인되었을 경우는, 저장부 (131a)에 저장되는 약액 L의 양이 과다하게 되어 있는(아니록스 롤 (151)에 대해서 약액 L이 과공급 상태가 되고 있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과다 상태를 목시로 확인한 사용자는, 예를 들면 조정 밸브 (123)을 조작해 약액 L의 유량을 조정하는 것으로써, 이 과다 상태를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튜브 (133c)의 상단(자유단)을 아래로 향하게 하여 마련함으로써, 구멍부 (133b)에의 종이가루 등의 이물의 혼입을 방지할 수 있다.
<닥터 챔버 형식의 실시 형태 3>
다음에, 닥터 챔버 형식의 실시 형태 3의 약액 공급 장치 (200)에 대해서, 도 1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닥터 챔버 형식의 실시 형태 2의 약액 공급 장치 (100)에서는, 구멍부 (133b)에 연결된 튜브 (133c)내로의 약액 L의 유입을 목시에 의해 확인함으로써, 아니록스 롤 (151)에 대해서 약액 L이 과공급 상태가 되고 있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했으나, 본 실시 형태의 약액 공급 장치 (200)에서는 상기 상태에 이르렀는지 여부를 자동적으로 판별하고, 사용자에 판별 결과를 알리도록 구성한다.
이하의 약액 공급 장치 (200)의 설명에 대해서는, 닥터 챔버 형식의 실시 형태 2의 약액 공급 장치 (100)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일치하는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교부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의 도출부 (233)은,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음매 (133A), 구멍부 (133b), 구멍부 (133b)의 윗쪽에 설치된 원통형상부 (133d), 원통형상부 (133d)에 장착된 센서부 (133e)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원통형상부 (133d)는 구멍부 (133b)의 둘레면에 하단이 용접 등에 의해 고착 접속되고, 상방으로 연신된 원통형상의 부재이다.
센서부 (133e)는, 원통형상부 (133d)에 설치된 센서 (133f)와, 센서 (133f)에 의해 설치되어, 센서 (133f)의 검지에 연동하여 통지를 행하는 통지부 (133g)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센서 (133f)는, 예를 들면, 피검지체를 향해서 발광하는 발광소자(도시하지 않음)와, 피검지체로부터의 반사광을 수광하는 수광소자(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하고, 수광소자로부터의 반사광의 수광량에 기초하여, 원통형상부 (133d)에 유입하는 약액 L의 높이가, 해당 센서 (133f)가 마련된 높이 위치(도 16에 나타낸 y1)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검지하는 센서이다.
통지부 (133g)는, 예를 들어 스피커 등이며, 센서 (133f)에 의해, 원통형상부 (133d)에 유입하는 약액 L의 높이가, 상기 센서 (133f)가 마련된 높이 위치에 도달했다고 검지되었을 경우에 음성에 의해 사용자에의 통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도입부 (132)에서 도입한 약액 L의 일부를 배출하여 약액 L을 순환시킬 때에, 센서 (133f)에 의해 원통형상부 (133d)로 유입되는 약액 L이 상기 높이 위치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검지함으로써, 저장부 (131a)에 저장되는 약액 L의 양이 과다하게 되어 있는지(아니록스 롤 (151)에 대해서 약액 L이 과공급 상태로 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과다 상태에 이른 경우, 사용자는 통지부 (133g)에 의해 그 취지를 알 수 있으므로, 예를 들어 조정 밸브 (123)을 조작하여 약액 L의 압출량(유량)을 조정함으로써, 이 과다 상태를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원통형상부 (133d)는, 내부가 공동으로 상단측이 바깥 공기에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구멍부 (133b)의 작용을 상쇄하지 않는다.
다음에,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약액 공급 장치 (200)에 의한 약액 L의 순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공급 펌프 (122)를 구동시켜, 저장 탱크 (110)에서 약액 L을 밀어내어, 압출 호스 (121) 및 닥터 챔버 (130)의 도입부 (132)를 통해서 본체부 (131)의 저장부 (131a)에 공급한다.
이어서, 회동부 (160)을 회동시켜서 아니록스 롤 (151)에 저장부 (131a)의 약액 L을 공급하고, 쇄판 롤 (152)을 통해서 약액 L을 적층 연속시트 (S2)상에 전사시킨다.
아울러, 흡인 펌프 (142)를 구동시켜, 도출부 (233)을 통해서 저장부 (131a)의 약액 L의 일부를 저장 탱크 (110)로 향해서 배출하여 순환시킨다. 이 때, 도출부 (233)의 이음매 (133A)내에서, 구멍부 (133b)에서의 바깥 공기 접촉을 개입시켜 닥터 챔버 (130)내의 내압 변동이 억제된다.
또한, 상기 순환 시에, 센서 (133f)에 의해, 원통형상부 (133d)에 유입하는 약액 L의 높이가, 센서 (133f)가 설치된 높이 위치에 이르렀다고 검지되고, 통지부 (133g)에 의해 사용자에게 그 취지가 통지된 경우, 조정 밸브 (123)를 조작하여 약액 L의 유량의 조정을 실시한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약액 공급 장치 (200)에 의하면, 닥터 챔버 (130)는, 구멍부 (133b)의 둘레면에 하단이 접촉되고, 상방으로 연신된 원통형의 원통형상부 (133d)와, 원통형상부 (133d)에 마련되어, 원통형상부 (133d)에 유입하는 약액 L의 높이가 소정의 높이 위치(센서 (133f)가 설치된 높이 위치)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검지하는 센서 (133f)와, 센서 (133f)에 의해, 원통형상부 (133d)에 유입하는 약액 L의 높이가 상기 소정 높이 위치에 도달했다고 검지된 경우에 통지하는 통지부 (133g)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즉, 약액 공급 장치 (200)에 의하면, 약액 공급 장치 (100)와 동일한 효과를 발휘하는 것은 물론, 약액 L을 순환시킬 때에, 센서 (133f) 및 통지부 (133g)에 의해, 아니록스 롤 (151)에 대해서 약액 L이 과공급 상태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자동으로 판별하고, 사용자에게 판별 결과를 통지할 수 있으므로 상기 상태 판별을 사용자 자신이 실시하는 부담이 경감된다.
<닥터 챔버 형식의 실시 형태 4>
다음으로, 닥터 챔버 형식의 실시 형태 4의 약액 공급 장치 (300)에 대해서, 도 1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닥터 챔버 형식의 실시 형태 2의 약액 공급 장치 (100) 및 실시 형태 3의 약액 공급 장치 (200)에서는, 구멍부 (133b)의 개구량은 고정값이 되도록 구성했으나, 본 실시 형태의 약액 공급 장치 (300)에서는, 이 개구량을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하의 약액 공급 장치 (300)의 설명에 대해서는, 닥터 챔버 형식의 실시 형태 2의 약액 공급 장치 (100) 및 실시 형태 3의 약액 공급 장치 (200)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일치하는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 한다.
본 실시 형태의 도출부 (333)은,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음매 (133A), 원통형상부 (133d), 센서부 (133e), 원통형상부 (133d)에 설치된 조정부 (133h)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조정부 (133h)는, 예를 들면, 니들 밸브이며, 이음매 (133A)의 상면에 형성되는 개구로서의 구멍부 (133j)와, 구멍부 (133j)의 개구량을 조정하는 밸브 본체 (133i)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멍부 (133j)는, 소정 지름으로 이루어지는 개구의 주위가 오리피스로 둘러싸인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밸브 본체 (133i)는, 상기 구멍부 (133j)의 개구의 상방에 배치되고, 선단이 테이퍼 형상으로 상하이동 가능한 니들 축(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하고, 이 니들 축을 상하로 움직여서, 구멍부 (133j)의 오리피스와 접촉할 때의 개도에 따라 구멍부 (133j)의 개구량을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조정부 (133h)에 의해, 구멍부 (133j)의 개구량을 조정할 수 있으므로, 약액 L을 순환시킬 때에, 닥터 챔버 (131)내의 내압 변동량에 따라, 구멍부 (133j)의 개구량을 적당하게 조정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센서부 (133e)에 의해, 원통형상부 (133d)에 유입하는 약액 L의 높이가, 센서 (133f)가 설치된 높이 위치에 이르렀다고 검지되었을 경우, 조정 밸브 (123)을 조작하여 약액 L의 압출량을 조정함으로써 대처할 뿐 아니라, 조정부 (133h)에 의한 구멍부 (133j)의 개구량의 조정에 의해 구멍부 (133j)에 의한 에어 제거 능력을 높이고(바깥 공기와의 접촉 면적을 확장하고), 닥터 챔버 (130)내의 내압 변동을 억제하는 대처를 취하는 일도 가능해진다.
즉, 내압 변동을 억제함으로써, 내압 변동에 의해 초래되는 닥터 챔버 (130)내로부터의 약액 L의 분출이나, 아니록스 롤 (151)상의 약액 L의 닥터 챔버 (130)측으로의 흡입 등이 바람직하게 방지되므로, 약액 L의 순환이 촉진된다.
다음에,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약액 공급 장치 (300)에 의한, 약액 L의 순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공급 펌프 (122)를 구동시켜, 저장 탱크 (110)로부터 약액 L을 밀어내고, 압출 호스 (121) 및 닥터 챔버 (130)의 도입부 (132)를 개입시켜 본체부 (131)의 저장부 (131a)로 공급한다.
이어서, 회동부 (160)을 회동시켜 아니록스 롤 (151)에 저장부 (131a)의 약액 L을 공급하고, 쇄판 롤 (152)를 개입시켜 약액 L을 적층 연속시트 (S2)상에 전사시킨다.
아울러, 흡인 펌프 (142)를 구동시켜서, 도출부 (333)를 통해서 저장부 (131a)의 약액 L의 일부를 저장 탱크 (110)로 향하여 배출하여 순환시킨다. 상기 순환시에, 센서 (133f)에 의해, 원통형상부 (133d)로 유입되는 약액 L의 높이가, 센서 (133f)가 마련된 높이 위치에 이르렀다고 검지되어, 통지부 (133g)에 의해 사용자에 그 취지가 통지된 경우, 조정 밸브 (123)의 조작 또는 조정부 (133h)에 의한 구멍부 (133j)의 개구량의 조정에 의해 대처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약액 공급 장치 (300)에 의하면, 닥터 챔버 (130)은, 구멍부 (133j)의 개구량을 조정하는 조정부 (133h)를 갖춘다.
즉, 약액 공급 장치 (300)에 의하면, 약액 공급 장치 (100)과 같은 효과를 발휘하는 것은 물론, 상기 조정부 (133h)에 의해, 구멍부 (133j)의 개구량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약액 L을 순환시킬 때에 닥터 챔버 (131)내의 내압 변동량에 따라서 구멍부 (133j)의 개구량을 적절하게 조정함으로써, 닥터 챔버 (130)내의 내압 변동을 한층 바람직하게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각 실시 형태의 약액 공급 장치에 대해서는, 압출 호스 (121)에 연결되는 도입부 (132) 및 압출 호스 (121)에 연결되는 도입부 (132)의 하나만 닥터 챔버 (130)가 갖는 구조로 되어 있으나, 예를 들어 도 18에 나타내는 각 예와 같은 구조로 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18(A)에서는, 넓은 폭으로 형성되어 회전축 (R0) 둘레에 회전하는 아니록스 롤 (151)에 따라서 폭이 넓은 직사각형 형상으로 외측 테두리가 형성된 닥터 챔버 (130)의 폭방향 D의 좌우단 부근의 부분에 각각 압출 호스 (121)에 연결되는 도입부 (132)를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닥터 챔버 (130)의 중앙부에 인입호스 (141)에 연결되는 하나의 도출부 (133)가 존재하는 구조로도 되어있다.
즉, 도 18(A)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2개의 압출 호스 (121)이 각각 2개의 도입부 (132)에 연결되어 약액 L을 닥터 챔버 (130)의 좌우단 부근으로부터 공급함으로써, 저장 탱크 (110)내로부터의 신선한 약액 L을 닥터 챔버 (130)내로 평균적으로 공급할 수 있고, 나아가 중앙부의 도출부 (133)로부터 남은 약액 L이 닥터 챔버 (130)로부터 도출되게 된다.
또한, 도 18(B)에서는, 넓은 폭으로 형성되어 회전축 (R0) 둘레에 회전하는 아니록스 롤 (151)을 따라서 넓은 폭의 직사각형 형상으로 외측 테두리가 형성된 닥터 챔버 (130)의 폭방향 D의 좌우단 부근 및 중앙부에 각각 압출 호스 (121)에 연결되는 도입부 (132)를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닥터 챔버 (130)의 폭방향 D의 좌우에 근접한 부분에 각각 인입호스 (141)에 연결되는 2개의 도출부 (133)가 존재하는 구조로도 되어있다.
즉, 도 18(B)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3개의 도입부 (132)의 각각의 사이에 2개의 도출부 (133)가 각각 배치된 구조로 되어 있으며, 3개의 압출 호스 (121)가 각각 3개의 도입부 (132)에 연결되어 약액 L을 닥터 챔버 (130)의 좌우단 부근 및 중앙부로부터 공급함으로써, 저장 탱크 (110)내로부터의 신선한 약액 L을 닥터 챔버 (130)내에 평균적으로 공급할 수 있고, 나아가 2개의 도출부 (133)으로부터 남은 약액 L이 닥터 챔버 (130)로부터 도출되게 된다.
한편, 도 18(C)에서는, 넓은 폭으로 형성되어 회전축 (R0) 둘레에 회전하는 아니록스 롤 (151)을 따라서, 넓은 폭의 직사각형 형상으로 외측 테두리가 형성된 닥터 챔버 (130)의 폭방향 D에 따른 등간격 또는 도면의 상측에 가까운 복수 부분에 각각 압출 호스 (121)에 연결되는 도입부 (132)를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각 도입부 (132)에 서로 이웃한 닥터 챔버 (130)의 도면의 하측에 가까운 부분에 각각 인입호스 (141)에 연결되는 복수의 도출부 (133)가 존재하는 구조로도 되고 있다.
즉, 도 18(C)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닥터 챔버 (130)의 폭방향 D에 따라서 배치된 복수의 도입부 (132)에 압출 호스 (121)로부터 각각 약액 L이 공급됨과 동시에, 이들 도입부 (132)에 각각 서로 이웃하고 있는 복수의 도출부 (133)으로부터 남은 약액 L이 닥터 챔버 (130)으로부터 도출되게 된다. 따라서, 본 예에서도, 저장 탱크 (110)내로부터의 신선한 약액 L을 닥터 챔버 (130)내에 평균적으로 공급할 수 있고, 나아가 도출부 (133)로부터 남은 약액 L이 닥터 챔버 (130)로부터 도출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개량 및 설계의 변경을 행해도 된다.
예를 들면, 약액 공급 장치 (100)에서 튜브 (133c)를 마련하지 않는 경우에는, 구멍부 (133b)의 상부에 에어 필터를 설치하고, 구멍부 (133b)에의 종이가루 등의 이물질의 혼입을 방지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구멍부 (133b)는 저장부 (131a)의 약액 L의 액면보다 상방이면 본체부 (131)의 측면에 마련해도 좋다.
<플렉소 2 롤 전사 형식의 실시 형태>
여기에서는, 플렉소 인쇄 방식에 있어서의 2 롤 전사 형식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11 및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쪽의 플렉소 인쇄 방식의 약액 도포부 (53A)는, 약액이 들어가 있는 약액 탱크 (66A)에 딥 롤인 압착 롤 (62A)이 잠기면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약액 탱크 (66A) 외에서 압착 롤 (62A)과 접하면서 아니록스 롤 (63A)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이 아니록스 롤 (63A)과 접하면서 적층 연속시트 (S2)의 일면과도 접하는 쇄판 롤 (64A)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적층 연속시트 (S2)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고 있는 탄성 롤 (65A)로 적층 연속시트 (S2)에 압력을 부여하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이 약액 도포부 (53A)가 후술하는 컨택트 엠보스 수단 (54)의 굴림대 (54A)와 대향하면서, 또한 전술한 와인딩 드럼 (56A)과도 대향하는 적층 연속시트 (S2)의 면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도 11 및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른 쪽의 플렉소 인쇄 형식의약액 도포부 (53B)는 약액이 들어가 있는 약액 탱크 (66B)에 딥 롤인 압착 롤 ((62B))이 잠기면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나아가 약액 탱크 (66B)외에서 압착 롤 ((62B))과 접하면서 아니록스 롤 (63B)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이 아니록스 롤 (63B)과 접하면서 적층 연속시트 (S2)의 다른 면과도 접하는 쇄판 롤 (64B)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적층 연속시트 (S2)를 사이에 두어 대향하고 있는 탄성 롤 (65B)로 적층 연속시트 (S2)에 압력을 부여하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이 약액 도포부 (53B)이 굴림대 (54A)와 대향하지 않고, 전술한 와인딩 드럼 (56A)과도 대향하지 않게 되는 적층 연속시트 (S2)의 다른 면측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적층 연속시트 (S2)의 양면에 약액 도포부 (53A) 및 약액 도포부 (53B)로부터 약액이 각각 도포되는데, 이 때 약액 도포부 (53A)에 의한 굴림대 (54A)와 대향하는 적층 연속시트 (S2)의 면측의 도포량을 약액 도포부 (53B)에 의한 다른 면측의 도포량에 대해 적게 하면서, 적층 연속시트 (S2)의 양면으로부터 각각 적층 연속시트 (S2)에 대해서 약액을 도포할 수 있다.
여기서, 양면의 합계 도포량을, 전술한 바와 같이 1.5~5g/m2로 하고, 플라이원단 롤인 2차 원단 롤 (R)의 외주면의 도포량을 2차 원단 롤 (R)의 내주면의 도포량보다 적게 하는 경우, 종이의 양면에 대한 로션제의 합계 도포량 중, 2차 원단 롤 (R)의 외주면에의 도포량은 전체의 20%이상, 50%미만이 바람직하지만, 구체적인 값은, 2차 원단 롤 (R)의 미끄러짐과 품질의 밸런스, 시트의 두께나 로션제의 침투성, 전이성에 의해 최적 조건이 다르므로 상기의 범위에서 변화한다.
구체적으로는 한쪽면마다의 도포량을 변화시킬 뿐 아니라, 플렉소판의 선 수가 15~40선정도, 꼭지점 면적율을 20~40%정도의 약액이 흩어지지 않는 정도로 거칠게 하는 것이 고려되고, 이와 같이 함으로써, 도포 직후에는 도트 무늬가 남고, 순간적으로 도포 부분과 비도포 부분이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플렉소 형식을 이용하여 판이 수지이며 탄력성이 있기 때문에 적층 연속시트 (S2)에 다소의 요철이 있어도 인쇄압으로 조정가능하여, 그라비어 인쇄와 같은 금속 롤로 도포하는 것에 비해서 적층 연속시트 (S2)에 주름이 들어가기 어려워진다. 반면 플렉소 인쇄를 응용한 플렉소 인쇄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가공 속도가 고속이어도 도포량을 안정시킬 수 있고, 또한 하나의 롤로 폭넓은 약액의 점도를 안정시켜서 도포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적층 연속시트 (S2)를 700m/분 이상의 속도로 반송하면서, 약액이 되는 로션제를 1.5g~5g/m2의 도포량으로 도포할 때에도, 도포가 균일하여 구불구불하지 않게 적층 연속시트 (S2)를 권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부수되는 약액 도포 수단 (53)의 요건으로서는 다음과 같은 것이 고려된다.
약액 탱크 (66A), (66B) 등의 도포 장치 내에서 순환하는 약액에 포함되는 종이가루나 에어의 여과 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있는데, 여과 장치로서는 필터로 종이가루 등을 제거하는 것이 고려된다. 또한 약액 탱크 (66A), (66B)등의 도포 장치내에서 약액의 온도를 컨트롤하고, 약액 점도를 안정시킬 필요가 고려되는데, 약액 탱크 (66A), (66B)에 연결되는 중간 탱크 및 배관에 히터를 설치하는 것이 고려된다. 반면, 조업 중에 적층 연속시트 (S2)의 폭방향의 수분율로 도포량을 관리할 필요가 고려되는데, 예를 들면 적외선의 검사기 등을 이용하여 항상 폭방향의 수분량과 불균일을 체크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본 실시 형태에 대해서는, 아니록스 롤 (63A), (63B)에 대해서 닥터 블레이드(도시하지 않음)를 마련해도 되고, 이 경우 약액을 균일하게 도포할 수 있고, 아니록스 롤 (63A), (63B)로부터 약액이 흩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을 누릴 수 있지만, 그 반면 닥터 블레이드를 손질하고 교환하지 않으면 안되는 단점이 있다.
<플렉소 1 롤 전사 형식의 실시 형태>
플렉소 인쇄 방식에 있어서의 1 롤 전사 형식은 전술한 플렉소 2 롤 전사 형식으로부터 압착 롤 (62A), (62B)을 생략한 것이다. 이 경우, 아니록스 롤 (63A), (63B)이, 각각 약액 탱크 (66A), (66B)에 잠기면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이들 아니록스 롤 (63A), (63B)에 대해서는, 아니록스 롤 (63A), (63B)표면의 약액을 긁어내는 닥터 블레이드(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해도 된다. 이러한 플렉소 1 롤 전사 형식은 유지보수가 비교적 용이하다는 이점이나, 블레이드의 마모나 약액 중의 종이가루 등의 이물의 혼입 상태를 용이하게 목시로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약액)
도포하는 약액에 대해서, 점도는 고속 가공을 실시하는 관점으로부터 40℃에서 1~700mPa?s로 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400mPa?s(40℃)로 한다. 1 mPa?s보다 작으면 아니록스 롤, 쇄판 롤, 그라비어 롤 등의 롤상에서 약액이 흩어지기 쉬워지며, 반대로 700 mPa?s보다 크면 각 롤이나 연속시트에의 도포량을 컨트롤하기 어려워진다. 성분은 폴리올을 70~90%, 수분을 1~15%, 기능성 약품을 0.01~22%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폴리올은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그 유도체등의 다가 알코올, 솔비톨, 글루코오스, 자일리톨, 말토오스, 말티톨, 만니톨, 트레할로오스 등의 당류를 포함한다.
기능성 약제로서는, 유연제, 계면활성제, 무기 및 유기의 미립자 분체, 유성 성분 등이 있다. 유연제, 계면활성제는 티슈에 유연성을 부여하거나, 표면을 매끄럽게 하는 효과가 있고,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양성 이온 계면활성제를 적용한다. 무기 및 유기의 미립자 분체는 표면의 촉감을 매끄럽게 한다. 유성 성분은 활성을 높이는 작용을 하며, 유동 파라핀, 세타놀, 스테아릴알코올, 올레일 알코올 등의 고급 알코올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기능성 약제로서 폴리올의 보습성을 돕거나 유지시키는 약제로서 친수성 고분자 겔화제, 콜라겐, 가수분해 콜라겐, 가수분해 케라틴, 가수분해 실크, 히아루론산 혹은 그 염, 세라마이드 등의 1종 이상의 임의의 조합 등의 보습제를 가할 수 있다.
또한 기능성 약제로서 향료, 각종 천연 엑기스 등의 에몰리엔트제, 비타민류, 배합 성분을 안정시키는 유화제, 약액의 발포를 억제하고 도포를 안정시키기 위한 소포제, 방미제, 유기산등의 소취제를 적당량 배합할 수 있다. 또한, 비타민 C, 비타민 E의 항산화제를 함유시켜도 좋다.
상기 성분 중,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다가 알코올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이, 약액의 점도, 도포량을 안정시키는데 있어서 바람직하다.
약액 도포시의 온도는 30~60℃, 바람직하게는 35~55℃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컨택트 엠보스 수단)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 설비 (X1)에는, 적층 연속시트 (S2)에 대해 컨택트 엠보스를 부여하는 컨택트 엠보스 수단 (54)을 마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컨택트 엠보스 수단 (54)는, 도면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금속 롤 또는 탄성 롤인 받이 롤 (54B)과, 표면에 가는 볼록부 (54C)를 갖는 금속제로 경질의 굴림대 (54A)가 소정의 압력을 가지고 서로 외주면끼리 맞닿으면서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적층 연속시트 (S2)에 있어서 티슈 페이퍼 제품의 폭방향 중앙에 해당하는 부분에 대해서, 좌우 각 2개씩 존재하는 볼록부 (54C)와, 받이 롤 (54B)의 사이에 적층 연속시트 (S2)를 끼우면서 반송함으로써, 적층 연속시트 (S2)에 대해서 적층 연속시트 (S2)의 연속 방향에 따라서 층간 박리를 방지하는 라인 형상의 컨택트 엠보스 CE를 부여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컨택트 엠보스 CE를 부여하는 굴림대 (54A)와 대향한 측의 면을 외주측으로하여, 전술한 권취 수단 (56)이 적층 연속시트 (S2)를 권취하게 된다.
이와 같이 컨택트 엠보스 CE를 부여함으로써, 복수의 1차 연속시트(도시한 예에서는 (S11), (S12))를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적층 연속시트 (S2)의 층간 박리를 방지한다. 또한 컨택트 엠보스 CE는, 티슈 페이퍼 제품의 단부가 층간 박리 하기 어려워지도록 티슈 페이퍼 제품의 폭방향 양측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컨택트 엠보스 수단 (54)의 설치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약액 부여 수단 (53)의 후단이면서 슬릿 수단 (55)의 전단이거나, 캘린더 수단 (52)의 후단이면서 약액 부여 수단 (53)의 전단으로 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즉, 캘린더 수단 (52)의 후단이면서 슬릿 수단 (55)의 전단의 어느 한쪽의 위치에 있으면 바람직하다.
컨택트 엠보스 수단 (54)로 컨택트 엠보스 CE를 부여하는 경우, 적층 연속시트 (S2)에 대해서 약액을 도포한 후, 0.3~2.5초, 바람직하게는 0.3~1.0초 이내에 컨택트 엠보스 CE를 부여하는 것도 제안된다. 0.3초 미만이면 약액이 원지에 충분히 흡수되지 않기 때문에, 받이 롤 (54B)나 굴림대 (54A)에 약액이 부착해 종이가 잘리거나, 받이 롤 (54B)나 굴림대 (54A)에 오염이 부착된다. 2.5초를 초과하면, 약액을 도포한 적층 연속시트 (S2)가 늘어나기 때문에, 그 후 공정 주름이 생기기 어려워져, 부피가 큰 티슈 페이퍼 제품을 얻기 힘들어진다. 또한, 적층 연속시트 (S2)가 늘어나면 드로 변동에 대응할 수 있는 신축성이 없어지고, 또한 흡습, 흡수에 의해 인장 강도가 저하되기 때문에, 종이가 잘리기 쉬워져 작업성이 떨어진다는 문제도 있다.
또한, 이 접합 공정에 있어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굴림대로서 표면에 가는 볼록부 (54C)를 갖는 금속제로 경질의 굴림대 (54A)를 이용했으나, 적층 연속시트 (S2)에 대해서 층간 박리를 방지하는 라인 형상의 접합 부분을 형성할 수 있으면 되고, 예를 들면 굴림대 (54A) 대신에 표면에 가는 바늘형상의 부재를 갖는 롤러를 굴림대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접합하기 위한 수단으로서는 상기예로 한정되지 않고, 볼록부의 선단 형상이 점형상, 정사각형, 직사각형, 원형, 타원형 등의 형상인 것을 굴림대로서 이용하면 되고, 볼록부의 선단형상이 가늘고 긴 선형, 가늘고 비스듬하게 신장되는 선형상 등의 것을 굴림대로서 이용해도 된다.
한편 볼록부의 배열로서는 등간격을 고려되는데, 지그재그 형상으로 하거나 등간격으로 하지 않아도 좋고, 또한 볼록부를 1열로 배열하여 컨택트 엠보스를 연속하여 부여하는 것 이외에, 볼록부를 2열 이상의 복수열 배치하는 것도 고려된다. 그리고, 컨택트 엠보스를 긴밀히 복수열 부여하도록 볼록부가 배치된 군을 복수 열거하여 복수의 컨택트 엠보스군을 부여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접합 공정으로서는 상기와 같이 기계적으로 압력을 더해 접합하는 것 외에, 초음파 등의 다른 수단에 의해 접합해도 된다.
도면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약액 도포 수단 (53)과 컨택트 엠보스 수단 (54)의 사이에, 적층 연속시트 (S2)의 텐션을 제어하는 텐션 컨트롤 수단 (57)을 마련할 수도 있다. 상기 텐션 컨트롤 수단 (57)은 원통 형상의 롤로 이루어져 있고, 적층 연속시트 (S2)의 휜 상태에 맞추어 상하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도 19에 나타내는 형태와 같이 텐션 컨트롤 수단 (57)에 의하는 경우, 약액 도포 수단 (53)의 전단과 텐션 컨트롤 수단 (57)의 후단에 캘린더 수단 (52)를 배치하는 것도 제안된다. 이 경우, 텐션 컨트롤 수단 (57)의 후단에 배치된 캘린더 수단 (52)에서는, 약액 도포시에는, 캘린더 롤 (52)A를 받이 롤 (52)B로부터 적층 연속시트 (S2)의 종이 두께 이상의 거리만 이간시키고, 적층 연속시트 (S2)에 대해서 평활화 처리를 행하지 않고 소통시키는 것도 제안된다(제2의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 설비 및 제조 방법).
(1차 연속시트)
1차 연속시트 (S11), (S12)의 원료 펄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티슈 페이퍼 제품의 용도에 따라 적절한 원료 펄프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원료 펄프로서는, 예를 들면, 목재 펄프, 비목재 펄프, 합성 펄프, 고지 펄프 등으로부터, 보다 구체적으로는, 그라운드 펄프(GP), 스톤 그라운드 펄프(SGP), 리파이너 그라운드 펄프((R)GP), 가압식 그라운드 펄프(PGW), 서모메커니컬 펄프(TMP), 케미 서모 메커니컬 펄프(CTMP), 표백 케미서모 메커니컬 펄프(BCTMP) 등의 기계 펄프(MP), 화학적 기계 펄프(CGP), 반화학적 펄프(SCP), 광엽수 표백 크라프트 펄프(LBKP), 침엽수 표백 크라프트 펄프(NBKP) 등의 크라프트 펄프(KP), 소다 펄프(AP), 설페이트 펄프(SP), 용해 펄프(DP) 등의 화학적 펄프(CP), 나일론, 레이온, 폴리에스텔, 폴리비닐알코올(PVA) 등을 원료로 하는 합성 펄프, 탈묵 펄프(DIP), 웨스트 펄프(WP) 등의 고지 펄프, 광미 펄프(TP), 목면, 아마, 마, 황마, 마닐라마, 라미 등을 원료로 하는 넝마 펄프, 짚펄프, 에스파르토 펄프, 버개스 펄프, 대나무 펄프, 케나프 펄프등의 줄기대 펄프, 인피 펄프등의 보조 펄프 등으로부터, 1종 또는 여러 종 이상을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원료 펄프는, NBKP와 LBKP를 배합한 것이 바람직하다. 적절히 고지 펄프가 배합되어 있어도 되나, 촉감 등의 점에서 NBKP와 LBKP만으로부터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경우의 배합 비율(JIS P 8120)로서는 NBKP:LBKP=20:80 ~ 80:20이 바람직하고, 특히, NBKP:LBKP=30:70 ~ 60:40이 바람직하다.
1차 연속시트 (S11), (S12)는, JIS P 8124에 의한 평량이, 10~25 g/m2, 바람직하게는 12~20 g/m2, 보다 바람직하게는 13~16 g/m2이다. 평량이 10 g/m2미만이면, 부드러움의 면에서 바람직하지만, 적정한 강도를 확보할 수 없게 된다. 한편, 평량이 25 g/m2를 초과하면, 너무 딱딱해져서 촉감이 악화된다.
또한 종이 두께(오자키 제작소제 피콕에 의해 측정)는 1플라이에서 80~250㎛, 바람직하게는 100~200 ㎛, 보다 바람직하게는 130~180㎛이다.
1차 연속시트 (S11), (S12)는, 크레이프율이 10~30%인 것이 바람직하고, 12~2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3~20%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크레이프율이 10%미만이면, 가공시에 종이가 잘라지기 쉬움과 동시에 신장이 적은 탄력성이 없는 티슈 페이퍼 제품이 된다. 한편, 크레이프율이 30%를 초과하면, 가공시의 시트의 장력 컨트롤이 어려워서 종이가 잘라지기 쉬워지며, 또한, 제조 후에는 주름이 발생하여 외관이 나쁜 티슈 페이퍼 제품이 된다.
1차 연속시트 (S11), (S12)는, JIS P 8113에 규정되는 건조 인장 강도(이하, 건조지력이라고도 한다)의 세로 방향이 2 플라이에서 200~700 cN/25 mm, 바람직하게는 250~600 cN/25 mm, 특히 바람직하게는 300~600 cN/25 mm인 한편, 가로 방향이, 2 플라이로 100~300 cN/25 mm, 바람직하게는 130~270 cN/25 mm, 특히 바람직하게는 150~250 cN/25 mm이다. 원지의 건조 인장 강도가 너무 낮으면 제조시 및 사용시의 종이가 잘라지거나 늘어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기 쉬워지고, 너무 높으면 사용시에 뻣뻣한 촉감이 된다.
이들 종이강도는 공지의 방법에 의해 조정할 수 있고, 예를 들면, 건조지력 증강제를 내첨(드라이어 파트보다 전의 단계, 예를 들면 펄프 슬러리에 첨가)하고, 펄프의 여수도를 저하(예를 들면 30~40ml정도 저하)시켜, NBKP 배합율을 증가(예를 들면 50%이상으로)하는 등의 수법을 적절히 조합시킬 수 있다.
건조지력제로서는, 전분, 폴리아크릴아미드, CMC(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혹은 그 염인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칼슘,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아연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습윤지력제로서는, 폴리아미드폴리아민에피클로로히드린수지, 요소수지, 산 콜로이드?멜라민 수지, 열가교성부여 PAM등을 이용할 수 있다. 습윤지력제를 내첨하는 경우, 그 첨가량은 펄프 슬러리에 대한 중량비로 5~20kg/t 정도로 할 수 있다. 또, 건조지력제를 내첨하는 경우, 그 첨가량은 펄프 슬러리에 대한 중량비로 0.5~1.0kg/t 정도로 할 수 있다.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 방법〕
다음에, 본 발명과 관련되는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설명한다. 본 형태와 관련되는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 방법은, 예를 들면, 상술한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 설비 (X1)를 이용해 행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과 관련되는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 방법에서는 플라이 수단 (51)에서 복수의 1차 원단 롤로부터 풀어내는 1차 연속시트(도시한 예에서는 (S11), (S12))를 그 연속 방향에 따라 적층하여 적층 연속시트 (S2)로 하고(적층 공정), 이 적층 연속시트 (S2)에 대해서 한 쌍의 약액 도포 수단 (53)으로 약액을 도포하며(약액 도포 공정), 슬릿 수단 (55)에 의해서 적층 연속시트 (S2)를 티슈 페이퍼 제품의 제품 폭 또는 그 복수배 폭이 되도록 슬릿하고(슬릿 공정), 다음에 슬릿 공정으로 슬릿된 적층 연속시트 (S2)를 동일한 축으로 권취하여 티슈 페이퍼 제품의 제품 폭 또는 그 복수배 폭의 복수의 2차 원단 롤 (R)을 권취수단 (56)에 의해서 형성한다.
또한 본 형태와 관련되는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 방법에서는, 상술한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 설비 (X1)와 동일하게, 적층 공정의 후단이고 또한 약액 도포 공정의 전단에 적층 연속시트 (S2)에 대해서 한 쌍의 캘린더 수단 (52)로 평활화 처리하는 평활화 공정을 마련할 수도 있다. 또한, 약액 도포 공정의 후단이고 또한 슬릿 공정의 전단에 적층 연속시트 (S2)에 대해서 컨택트 엠보스 수단 (54)로 층간 박리를 방지하는 라인 형상의 컨택트 엠보스를 부여하는 컨택트 엠보스 공정을 마련할 수도 있다.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 설비 또는 제조 방법에 대해서는, 가공 속도는 100~1100m/분, 바람직하게는 350~1050m/분, 보다 바람직하게는 450~1000m/분이다. 100m/분 미만이라면 생산성이 낮고, 한편, 1100m/분 초과라면, 적층 연속시트 (S2)가 잘라지는 빈도가 높아져, 약액 도포 공정은 쇄판 롤이나 아니록스 롤의 약액의 전이가 불안정해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도포 얼룩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멀티 스탠드식 인터폴더〕
상술한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 설비,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2차 원단 롤 (R)은, 멀티 스탠드식 인터폴더에 다수 세트되고, 세트된 2차 원단 롤 (R)로부터 2차 연속시트를 풀어내서 접음과 동시에 적층함으로써 티슈 페이퍼 묶음이 제조된다. 이하에서는, 그 멀티 스탠드식 인터폴더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멀티 스탠드식 인터폴더의 일례를 도시했다. 도면 중의 부호 2는 멀티 스탠드식 인터폴더 1의 도시하지 않은 2차 원단 롤 지지부에 세트된 2차 원단 롤 (R), (R)…을 나타내고 있다. 이 2차 원단 롤 (R), (R)…은, 필요한 수가 도시 평면과 직교하는 방향(도면 2에 있어서의 수평 방향, 도면 3에서의 종이면 전후방향)으로 가로로 나란히 세트되고 있다. 각 2차 원단 롤 (R)은, 상술한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 설비, 제조 방법에서 티슈 페이퍼 제품 폭으로 슬릿이 넣어져 있으며, 티슈 페이퍼 제품의 복수배 폭, 도시한 예에서는 2배 폭으로 권취되어 세트되어 있다.
2차 원단 롤 (R)로부터 감아낸 연속하는 띠 모양의 2차 연속시트 (3A) 및 (3B)는, 가이드 롤러 (G1), (G1) 등의 가이드 수단으로 안내되어 절힘 기구부 (20)에 보내진다. 또한, 절첩기구부 (20)에는, 도면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절판 P, P…가 필요한 수만큼 나란히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절판군 (21)이 구비되어 있다. 각 절판 (P)에 대해서는, 한 쌍의 연속하는 2차 연속시트 (3A) 또는 (3B)를 안내하는 가이드 롤러 (G2), (G2)나, 가이드 환봉부재 (G3), (G3)가, 각각 적절한 곳에 구비되어 있다. 또한 절판 P, P…의 하방에는, 접으면서 적층된 적층띠 (30)를 받아 반송하는 컨베이어 (22)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종류의 절판 P, P…를 이용한 접힘 기구는 예를 들어, 미국 특허 4052048호 특허 명세서 등에 의하여 공지된 기구이다. 이런 종류의 절첩기구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연속하는 2차 연속시트 (3A), (3B)…를, Z자 형상으로 접으면서, 또한 인접하는 연속하는 2차 연속시트 (3A), (3B)…의 측단부 서로를 걸어 맞추면서 적층한다.
도 7~도 10에, 절첩기구부 (20)의 특히 절판 P에 관한 부위를 상세하게 도시했다. 본 접힘 기구부 (20)에서는 각 절판 P에 대해서 한 쌍의 연속하는 2차 연속시트 (3A) 및 (3B)가 안내된다. 이 때, 연속하는 2차 연속시트 (3A) 및 (3B)는, 가이드 환봉부재 (G3), (G3)에 의해 측단부 상호가 겹치지 않도록 위치를 움직이면서 안내된다.
절판 P으로 안내된 시점에서 하측에 겹쳐지고 있는 연속되는 2차 연속시트를 제1의 연속되는 2차 연속시트 (3A)로 하고, 상측에 겹쳐져 있는 연속되는 2차 연속시트를 제2 연속되는 2차 연속시트 (3B)로 하면, 이들 연속되는 2차 연속시트 (3A) 및 (3B)는, 도 5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연속되는 2차 연속시트 (3A)의 제2의 연속되는 2차 연속시트 (3B)와 겹치지 않은 측단부 (e1)가, 절판 P의 측판 P1에 의해 제2 연속되는 2차 연속시트 (3B)의 상측으로 되접힘과 동시에, 도 5 및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연속되는 2차 연속시트 (3B)의 제1 연속하는 2차 연속시트 (3A)와 겹쳐져 있지 않은 측단부 (e2)가, 절판 P의 슬릿 P2로부터 절판 P 아래로 끌어 넣어지도록 하여 하측으로 되접혀진다. 이 때, 도 5 및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류의 절판 P에서 접으면서 적층된 연속되는 2차 연속시트 (3A)의 측단부 (e3)(e1)가, 절판 P의 슬릿 P2로부터 제2 연속되는 2차 연속시트 (3B)의 되접힘 부분 사이로 안내된다. 이와 같이 하여, 각 연속하는 2차 연속시트 (3A), (3B)…는, Z자 모양으로 접혀짐과 동시에, 인접하는 연속하는 2차 연속시트 (3A) 및 (3B)의 측단부 상호가 서로 걸어 맞춰지고, 따라서, 제품 사용시에 있어서, 최상위의 티슈 페이퍼를 꺼내면, 다음의 티슈 페이퍼의 측단부가 꺼내지게 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멀티 스탠드식 인터폴더 1에서 얻어지는 적층띠 (30)는, 도면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단의 절단 수단 (41)에서 흐름 방향 FL에 소정 간격을 두고 재단(절단)되어 티슈 페이퍼 묶음 (30a)이 되고, 도면 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티슈 페이퍼묶음 (30a)는 나아가 후단 설비에서 수납상자 B에 수납된다. 또한 이상과 같은 멀티 스탠드식 인터폴더 1에서는, 적층띠 (30)의 종이의 방향은, 흐름 방향 FL에 따라서 세로 방향(MD방향)으로 되어 있으며, 흐름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서 가로방향(CD방향)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적층띠 (30)를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여 얻어진 티슈 페이퍼 묶음 (30a)을 구성하는 티슈 페이퍼의 종이의 방향은 도면 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티슈 페이퍼의 접는부의 연장 방향을 따라서 세로 방향(MD방향)이 되며, 티슈 페이퍼의 접힘부의 연재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서 가로방향(CD방향)이 된다.
도면 6(b)에, 수납상자 B에 티슈 페이퍼묶음 (30a)를 수납하여 이루어지는 제품의 일례를 도시했다. 수납상자 B의 상면에는 점선 M이 마련되어 있으며, 이 점선 M으로 수납상자 B 상면의 일부를 파단함으로써 수납상자 B의 상면이 개구되도록 되어 있다. 이 개구는 중앙에 슬릿을 갖는 필름 F에 의해서 덮여져 있으며 이 필름 F에 설치된 슬릿을 개입시켜 티슈 페이퍼 T를 끄집어낼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이, 티슈 페이퍼묶음 (30a)를 구성하는 티슈 페이퍼의 종이의 방향은, 티슈 페이퍼의 접힘부의 연장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따라 횡방향(CD방향)이 되기 때문에, 도면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티슈 페이퍼 T를 수납상자 B로부터 꺼낼 때에는, 그 꺼내는 방향은 티슈 페이퍼T의 가로방향(CD방향)을 따르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 설비 및 제조 방법의 그 외의 형태를 설명한다.
〔제3의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 설비 및 제조 방법〕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컨택트 엠보스 수단 (54)는, 캘린더 수단 (52)과 약액 도포 수단 (53)의 사이에 설치할 수도 있다. 이러한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 설비 X3를 이용한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다.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형태와 관련되는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는, 플라이 수단 (51)로 복수의 1차 원단 롤로부터 풀어내는 1차 연속시트(도시한 예에서는 (S11), (S12))를 그 연속 방향을 따라서 적층하여 적층 연속시트 (S2)로 하고(적층 공정), 이 적층 연속시트 (S2)에 대해서 한 쌍의 캘린더 수단 (52)로 평활화 처리하며(평활화 공정), 평활화 처리된 적층 연속시트 (S2)에 대해서 컨택트 엠보스 수단 (54)로 컨택트 엠보스를 부여하고(컨택트 엠보스 공정), 컨택트 엠보스가 부여된 적층 연속시트 (S2)에 대해서 한 쌍의 약액 도포 수단 (53)으로 약액을 도포하며(약액 도포 공정), 슬릿 수단 (55)에 의해서 적층 연속시트 (S2)를 티슈 페이퍼 제품의 제품 폭 또는 그 복수배 폭이 되도록 슬릿(슬릿 공정)한 다음, 슬릿 공정으로 슬릿된 적층 연속시트 (S2)를 동일한 축으로 권취하여 티슈 페이퍼 제품의 제품 폭 또는 그 복수배 폭의 복수의 2차 원단 롤 (R)을 권취 수단 (56)에 의해서 형성한다.
또한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 설비 X3로, 약액이 도포되지 않는 티슈 페이퍼 제품을 제조하는 경우, 도 20에 대해 2점 긴 점선으로 나타내 듯이, 적층 연속시트 (S2)를 컨택트 엠보스 수단 (54)로부터 슬릿 수단 (55)에 직접 이송하여, 약액 도포 수단 (53)을 통과하지 않고 적층 연속시트 (S2)를 흘려주는 것만으로도 된다.
〔제4의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 설비 및 제조 방법〕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약액 도포 공정 (53)은, 컨택트 엠보스 수단 (54)를 플라이 수단 (51)과 캘린더 수단 (52)의 사이에 설치하고, 캘린더 수단 (52)를 하나의 수단으로 하여 약액 도포 수단 (53)과 컨택트 엠보스 수단 (54)의 사이에 설치할 수도 있다. 이러한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 설비 X4를 이용한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이 된다.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형태와 관련되는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는, 플라이 수단 (51)로 복수의 1차 원단 롤로부터 풀어내는 1차 연속시트(도시한 예에서는 (S11), (S12))를 그 연속 방향에 따라서 적층하여 적층 연속시트 (S2)로 하고(적층 공정), 이 적층 연속시트 (S2)에 대해서 상하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된 한 쌍의 약액 도포 수단 (53)으로 약액을 도포하며(약액 도포 공정), 한 쌍의 캘린더 수단 (52)로 평활화 처리하고(평활화 공정), 평활화 처리된 적층 연속시트 (S2)에 대해서 컨택트 엠보스 수단 (54)로 컨택트 엠보스를 부여하며(컨택트 엠보스 공정), 슬릿 수단 (55)에 의해서 적층 연속시트 (S2)를 티슈 페이퍼 제품의 제품 폭 또는 그 복수배 폭이 되도록 슬릿(슬릿 공정)한 다음, 슬릿 공정으로 슬릿된 적층 연속시트 (S2)를 동일한 축으로 권취하여 티슈 페이퍼 제품의 제품 폭 또는 그 복수배 폭의 복수의 2차 원단 롤 (R)을 권취 수단 (56)에 의해서 형성한다.
또한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 설비 X4로, 약액이 도포되지 않는 티슈 페이퍼 제품을 제조하는 경우, 도 21에 대해서 2점 긴 점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적층 연속시트 (S2)를 캘린더 수단 (52)로부터 컨택트 엠보스 수단 (54)으로 이송하여, 약액 도포 수단 (53)을 통과하지 않고 적층 연속시트 (S2)를 흘려주는 것만으로도 된다.
〔제5의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 설비 및 제조 방법〕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캘린더 수단 (52)를 상하 방향에 따라서 배치하고, 한편, 한 쌍의 약액 도포 수단 (53)을 상하 방향에 따라서 배치할 수도 있다.
이러한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 설비 X5를 이용한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이 된다.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형태와 관련되는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는, 플라이 수단 (51)으로 복수의 1차 원단 롤로부터 풀어내는 1차 연속시트(도시한 예에서는 (S11), (S12))를 그 연속 방향에 따라서 적층하여 적층 연속시트 (S2)로 하고(적층 공정), 이 적층 연속시트 (S2)에 대해서 한 쌍의 캘린더 수단 (52)로 평활화 처리하며(평활화 공정), 적층 연속시트 (S2)에 대해서 한 쌍의 약액 도포 수단 (53)으로 약액을 도포하고(약액 도포 공정), 적층 연속시트 (S2)에 대해서 컨택트 엠보스 수단 (54)로 컨택트 엠보스를 부여하며(컨택트 엠보스 공정), 슬릿 수단 (55)에 의해서 적층 연속시트 (S2)를 티슈 페이퍼 제품의 제품 폭 또는 그 복수배 폭이 되도록 슬릿(슬릿 공정)한 다음, 슬릿 공정으로 슬릿된 적층 연속시트 (S2)를 동일한 축으로 감아 티슈 페이퍼 제품의 제품 폭 또는 그 복수배 폭의 복수의 2차 원단 롤 (R)을 권취 수단 (56)에 의해서 형성한다.
또한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 설비 X5로, 약액이 도포되지 않는 티슈 페이퍼 제품을 제조하는 경우, 도 22에 대해 2점 긴 점선으로 나타내 내듯이, 적층 연속시트 (S2)를 캘린더 수단 (52)로부터 컨택트 엠보스 수단 (54)에 직접 이송하여, 약액 도포 수단 (53)을 통과하지 않고 적층 연속시트 (S2)를 흘려주는 것만으로도 된다.
〔제6의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 설비 및 제조 방법〕
본 발명의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 설비는, 도 2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평 방향으로 두 개의 캘린더 수단 (52)를 병설하여, 그 캘린더 수단의 윗쪽에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한 쌍의 챔버 방식의 플렉소 인쇄기를 배치한 형태이다.
이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 설비 X6에 의해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이 된다.
우선, 플라이 수단 (51)로 복수의 1차 원단 롤로부터 풀어내는 1차 연속시트(도시한 예에서는 (S11), (S12))를 그 연속 방향에 따라서 적층하여 적층 연속시트 (S2)로 하고(적층 공정), 이 적층 연속시트 (S2)에 대해서 초단의 캘린더 수단 (52)로 평활화 처리한다(평활화 공정). 다음으로, 그 캘린더 수단 (52)를 통과한 적층 연속시트 (S2)를 익스팬더(expander) 롤 등의 텐션 컨트롤 수단, 가이드 롤 등의 안내 수단 (57)을 적절히 설치하고, 플렉소 인쇄기의 상방에 이르게 한다. 그리고, 그 적층 연속시트 (S2)를 한 쌍의 플렉소 인쇄기 중 상류측의 플렉소 인쇄기 (53B)의 쇄판 롤 (64B)와 탄성 롤 (65B)의 사이를 윗쪽에서 하부 측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통과시켜 약액을 한쪽면에 도포한다. 다음에 그 한쪽 면에 약액이 도포된 적층 연속시트 (S2)를 탄성 롤 (65B)에 따라서 윗쪽으로 안내하고, 한층 더 가이드 롤 등의 안내 수단 (57)을 개입시켜 하류측의 플렉소 인쇄기 (53A)의 윗쪽으로 도달하게 한다. 그리고, 그 적층 연속시트 (S2)를 하류 측의 플렉소 인쇄기 (53A)의 탄성 롤 (65A)와 쇄판 롤 (65B)의 사이에 윗쪽에서 하부로 향할 방향으로 통하여 양면의 약액 도포를 완료한다.
적층 연속시트 (S2)에 대해서 한 쌍의 플렉소 인쇄기에 의해서 약액을 도포했다면, 적층 연속시트 (S2)에 대해서 컨택트 엠보스 수단 (54)로 컨택트 엠보스를 부여하고(컨택트 엠보스 공정), 슬릿 수단 (55)에 의해서 적층 연속시트 (S2)를 티슈 페이퍼 제품의 제품 폭 또는 그 복수배 폭이 되도록 슬릿(슬릿 공정)한 다음, 슬릿 공정으로 슬릿된 적층 연속시트 (S2)를 동일한 축으로 권취하여 티슈 페이퍼 제품의 제품 폭 또는 그 복수배 폭의 복수의 2차 원단 롤 (R)을 권취 수단 (56)에 의해서 형성한다.
또한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 설비 X6로, 약액이 도포되지 않는 티슈 페이퍼 제품을 제조하는 경우, 도 28에 대해 2점 긴 점선으로 나타내 듯이, 적층 연속시트 (S2)를 캘린더 수단 (52)로부터 컨택트 엠보스 수단 (54)에 직접 이송하여, 약액 도포 수단 (53)을 통과하지 않고 적층 연속시트 (S2)를 흘려주는 것만으로도 된다.
또한 본 형태에 대해서는 약액 도포 수단으로서 챔버 방식의 플렉소 인쇄기로 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형태는 적층 연속시트를 쇄판 롤과 탄성 롤의 사이에 윗쪽에서 하부로 향해 통하는 형태를 개시한다.
또한, 본 형태에서는 종이가루의 발생이 적다는 이점이 있다.
실시예
다음으로, 도면 11에 도시되는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 (X1)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2차 원단 롤을 이용하여 상기의 멀티 스탠드식 인터폴더로 티슈 페이퍼 제품(실시예)을 제조하고, 비교예와 대비했다.
(표 1, 표 2에 대해)
표 1 및 표 2의 비교예는 모두 시판품이며, 비교예 A1는 비보습계 범용 티슈 페이퍼, 비교예 A2~A4는 보습계 로션 타입의 티슈 페이퍼, 비교예 A5, A6는 비보습계로 미평(평량), 종이 두께가 높은 고급 타입의 티슈 페이퍼이다.
표 1 및 표 2에 나타내는 각 파라미터는 이하와 같다.
미평(평량)…JIS P 8124(1998)에 준해 측정했다. 2 플라이의 티슈 제품의 경우, 2 플라이 시트의 평균 미평을 기재했다.
종이 두께…JIS P 8111(1998)의 조건하에서, 다이알 시크네스 게이지(DIAL THICKNESS GAUGE)(두께 측정기) 「PEACOCK G형」(오자키 제작소 제)을 이용하여 측정된 것이다.
제품 밀도…제품의 밀도는, JIS P 8111 조건하에 있어 조습을 부여한 티슈 페이퍼 제품 미평을 2배가 된 값(C)을, 「PEACOCK G형」에 의한 티슈 페이퍼(2 플라이)에서의 종이 두께(D)로 제거한 값으로, 단위를 g/cm3, 소수점 3자리수로 나타낸다.
건조 인장 강도…JIS P 8113(1998)의 인장 시험 방법에 준하여 측정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플런저와 측정대의 사이에 먼지, 티끌 등이 없는 것을 확인하고 플런저를 측정대 위에 놓고, 상기 다이알 시크네스 게이지의 메모리를 이동시켜 제로점을 맞춘 다음에, 플런저를 올려 시료를 시험대 위에 놓고 플런저를 천천히 내려 그 때의 게이지를 읽어낸다. 이 때, 플런저를 실은 만큼 한다. 플런저의 단자는 금속제로 직경 10 mm의 원형의 평면이 종이 평면에 대해 수직에 해당되도록 하고, 이 종이 두께 측정시의 하중은, 약 70 gf이다. 또한 종이 두께는 측정을 10회하여 얻을 수 있는 평균치로 한다.
습윤 인장 강도…JIS P 8135(1998)에 준해 측정되는 것이다.
신장율…미네베아 주식회사제 「만능 인장 압축 시험기 TG(200)N」를 이용해 측정되는 것이다.
소프트니스…JIS L1096 E법으로 준한 핸들-오-미터(handle-O-meter)법에 근거해 측정된다. 단, 시험편은 100mm×100mm의 크기로 하고, 클리어란스는 5 mm로 실시했다. 1 플라이로 세로 방향, 횡방향의 각각 5회씩 측정하고, 그 전 10회의 평균치를 소수점 1자리수로 하고, cN/100mm를 단위로서 나타냈다.
정마찰 계수…JIS P 8147(1998)에 준해 다음의 방법으로 측정되는 것이다. 1 플라이 벗긴 티슈 페이퍼를, 종이의 겉이 외측에 오도록 아크릴판에 붙인다. 2 플라이인 채 100g의 추에 티슈 페이퍼를 권취하여 아크릴판상 티슈에 싣는다. 아크릴판을 기울이고 추가 미끄러져 떨어지는 각도를 측정한다. 각도 측정은 MD방향끼리로 4회, CD방향끼리로 4회, 합계 8회 실시하고, 평균 각도를 산출하여, 그 탄젠트치를 정마찰 계수로 한다.
MMD…정마찰 계수의 평균 편차 MMD이다. MMD는 매끄러움의 지표의 하나이며, 수치가 작은 만큼 매끄럽고, 수치가 큰 만큼 매끄러움에 뒤떨어진다고 여겨진다. 또한 MMD값의 측정 방법으로서는, 도면 27(a)에 도시하였듯이, 마찰자 (212)의 접촉면을 소정 방향(도면 27(a)에 있어서의 우측으로 비스듬히 아래방향)에 20 g/cm의 장력이 부여된 측정 시료인 티슈 페이퍼 211의 표면에 대해서 25 g의 접촉압으로 접촉시키면서, 장력이 부여된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속도 0.1cm/s로 2cm 이동시킨다. 이 때의, 마찰 계수를, 마찰감 테스터 KES-SE(카토텍 주식회사제)를 이용하여 측정해, 그 마찰 계수를 마찰 거리(이동거리=2cm)로 제거한 값을 MMD값으로 했다. 또한 마찰자 (212)는, 직경 0.5 mm의 피아노선 P를 20개 인접시켜서 이루어지고, 길이 및 폭이 10mm가 되도록 형성된 접촉면을 가지고 있다. 접촉면에는, 선단이 20개의 피아노선 P(곡율 반경 0.25mm)로 형성된 단위 팽출부가 형성되고 있다. 또한 도 27(a)에는, 마찰자 (212)를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도 27(b)에는, 도 27(a)에 있어서의 일점 긴 점선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확대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수분율…JIS P 8111(1998)에 준해 측정되는 것이다.
약액 함유량…약액 도포량이란, JIS P 8111의 표준 상태에 있어서의 티슈 페이퍼의 단위면적에 대해 포함되는 건조 상태(절대건조)의 약액 성분의 함유량을 나타내며, 구체적으로는, 도포한 약액 중의 수분 이외의 성분의 함유량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이 티슈 페이퍼의 단위면적이란, 플라이 된 시트를 평면에 수직선상에 있는 시점에서 본 면적이며, 플라이 된 각 시트 및 그 표리면의 합계 면적을 의미하지 않는다.
약액 함유율…약액 도포율이란, JIS P 8111 조건하에 있어 조습을 부여한 소정 질량의 티슈 페이퍼 제품을 분모(A)(g)로 하고, 소정 질량의 티슈 페이퍼 제품중에 포함되는 약액중의 수분을 제외한 질량(B)(g)를 분자로 하여, (B)를 (A)로 제거한 비율을(%) 나타낸다. (약액 함유율%)=(B)÷(A)×100(%)
관능 평가…실시예A1 및 비교예A1, A2, A5, A6에 대해서, 소비자 87명을 대상으로, 부드러움, 매끈함, 두께감, 촉촉한 감에 대해 아래와 같은 기준에 근거하는 관능 평가를 실시했다(표 1). 또한, 실시예A1~A3 및 비교예A1~A4에 대해서, 별도 12명을 대상으로 한 관능 평가를 실시했다(표 2). 또한 평가 기준은, 약액이 도포되어 있지 않은 비보습계의 범용 티슈 페이퍼의 성적을 모두 「3」이라고 하고, 「몹시 우수하다」라고 느낀 것에 대해서는 「5」, 「우수하다」라고 느낀 것에 대해서는 「4」, 「기준과 동등」이라고 느낀 것에 대해서는 「3」, 「뒤떨어진다」라고 느낀 것에 대해서는 「2」, 「현저하게 뒤떨어진다」라고 느낀 것에 대해서는 「1」이라고 했다. 또한 약액 도포 티슈 페이퍼에 대해서는, 끈적거림의 유무에 대해서도 평가를 실시해, 평가 기준은, 「끈적거림이 적은」것을 「○」이라고 하고, 「분명하게 끈적거림이 있는」 것을 「×」라고 했다.
[표 1]
Figure pct00001
[표 2]
Figure pct00002
표 1 및 표 2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듯이,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2차 원단 롤을 이용해 상기의 멀티 스탠드식 인터폴더로 제조된 티슈 페이퍼 제품은, 시판의 보습 티슈와 비교하여 CD방향의 건조 인장 강도, 습윤 인장 강도에 대해 높은 값을 나타냈다. 또한, CD방향의 습윤 인장 강도에 대해서는, 종래의 범용 타입의 티슈 페이퍼보다 높은 값을 나타냈다. 또한, 부드러움(softness), 정마찰 계수가 타제품에 비교해 낮고, 매끈하고 부드러운 종이질을 갖는다는 점이 나타났다.
관능 평가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되는 티슈 페이퍼는, 두께감이 뛰어난 것은 아니지만, 보습 티슈와 동등 이상의 부드러움, 매끈함, 촉촉한 감을 갖는 한편, 보습 티슈에서 볼 수 있는 끈적거림이 경감되고 있는 것을 알았다.
특히 양호한 미끄러짐성을 갖는 요인에 대해서는, 다음의 사항을 생각할 수 있다. 티슈 페이퍼에 도포한 약액의 침투성에 따라서 다르지만, 친수성, 친유성의 양성분을 포함한 약액을 도포했을 경우, 친수성 성분이 펄프 내에 흡수되는 것과 동시에 친유성 성분이 종이 표면에 남기 쉽고, 표면의 마찰이 경감된다고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보습 티슈와 같이 약액 도포량을 늘리면 친수성 성분이 충분히 펄프내에 흡수되지 않고 표면에 남기 때문에, 친유성 성분의 마찰 경감 효과가 희미해지는 것과 동시에, 친수성 성분(글리세린등)의 점성에 의해 미끄러짐성이 저하되는 것이라고 추측된다.
또한, 실시예 4 및 5로부터 이해되듯이 본원 발명에 대해서는 도포 속도를 800m/분, 950m/분으로 하여도, 충분한 품질의 티슈 페이퍼 제품을 얻을 수 있어 생산성이 뛰어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표 3, 표 4에 대해)
표 3 및 표 4중의 비교예는 모두 시판품이며, 비교예 B1는 비보습계의 범용 티슈 페이퍼, 비교예 B2, B5, B6는 보습 티슈 페이퍼, 비교예 B7, B8는 비보습계로 미평, 종이 두께가 높은 고급 타입의 티슈 페이퍼이다. 비교예 B3는 약액 중 유성 성분을 규정보다 많이 한 티슈 페이퍼시료, 비교예 B4는 약액 중 실리콘류의 함유량을 규정보다 많이 한 티슈 페이퍼시료이다.
표 3 및 표 4에 나타내는 각 파라미터는, 표 1 및 표 2에 나타내는 각 파라미터와 같은 것이다. 또한 흡수도란, JIS S3104로 기재된 「흡수도」로, 일정량의 수분을 티슈 표면에서 흡수하는 초수를 측정한 것이다. 티슈의 양겉의 면을 각각 5회 측정해, 합계 10회의 측정치를 평균낸 것을 초수로 나타낸다.
관능 평가에서는, 실시예 B1, B3 및 비교예 B1~B4, B7, B8에 대해서, 소비자 87명을 대상으로, 부드러움, 매끈함, 두께감, 촉촉한 감에 대해 아래와 같은 기준에 근거하는 관능 평가를 실시했다(표 3). 또한, 실시예 B1~B4 및 비교예 B1, B2, B5, B6에 대해서, 별도 12명을 대상으로 한 관능 평가를 실시했다(표 4). 또한 평가 기준은, 약액이 도포되어 있지 않은 비보습계의 범용 티슈 페이퍼의 성적을 모두 「3」이라고 하고, 「몹시 우수하다」라고 느낀 것에 대해서는 「5」, 「우수하다」라고 느낀 것에 대해서는 「4」, 「기준과 동등」이라고 느낀 것에 대해서는 「3」, 「뒤떨어진다」라고 느낀 것에 대해서는 「2」, 「현저하게 뒤떨어진다」라고 느낀 것에 대해서는 「1」이라고 했다. 또한 약액 도포 티슈 페이퍼에 대해서는, 끈적거림의 유무에 대해서도 평가를 실시하고, 평가 기준은, 「끈적거림이 적은」 것을 「○」이라고 하고, 「분명하게 끈적거림이 있는」 것을 「×」라고 했다.
[표 3]
Figure pct00003
[표 4]
Figure pct00004
표 3 및 표 4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듯이,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2차 원단 롤을 이용해 상기의 멀티 스탠드식 인터폴더로 제조된 티슈 페이퍼 제품은, 시판의 보습 티슈와 비교해 CD방향의 건조 인장 강도, 습윤 인장 강도가 높은 값을 나타냈다. 또한 CD방향의 습윤 인장 강도에 대해서는, 종래의 범용 타입의 티슈 페이퍼보다 높은 값을 나타냈다. 또한, 흡수도는 약제의 발수성 성분량이 많은 비교예 B3, B4나 시판의 보습 티슈와 비교하여 유의미하게 낮고, 비보습 티슈에 가까운 값이었다.
또한, 실시예 4 및 5로부터 이해되듯이, 본원 발명에 있어서는 도포 속도를 800m/분, 950m/분으로 하여도, 충분한 품질의 티슈 페이퍼 제품을 얻을 수 있어 생산성이 뛰어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속도가 빠른 편이 두께감이 뛰어나다는 경향을 알 수 있었다.
관능 평가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되는 티슈 페이퍼는, 종래의 보습 티슈와 동등 이상의 부드러움, 폭신폭신함을 갖는 한편, 보습 티슈에서 볼 수 있는 끈적거림이 경감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표 5에 대해)
원지(1차 연속시트) 및 약액을 아래와 같은 조건으로 제조하고, 원지의 신장 시험(시험 1), 티슈 페이퍼 제품의 성능 비교 시험(시험 2)을 실시했다. 또한 표 5중에 나타내는 각 파라미터 중, 표 1 및 표 2에 나타내는 각 파라미터와 같은 것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포량…도포량은, 조업 중에 플라이 후의 약액을 도포하지 않는 경우의 각각의 시트 미평과, 대응하는 도포한 직후의 각각의 시트 미평과의 차이에 의해 산출했다.
(도포량 g/m2)=(도포 직후의 미평 g/m2)-(도포하지 않는 경우의 미평 g/m2)
양 표층의 도포량, 혹은 양면의 도포량의 합계는, 플라이된 티슈 페이퍼 시트의 단위 면적당 도포량의 합계이며, 각 시트의 도포량을 가산한 것으로 한다.
<원지>
원지를 구성하는 펄프는, NBKP50%, LBKP50%로 했다. 또한, 플라이 가공 전의 원지는, 평량이 13.5g/m2, 두께가 150㎛(1 플라이)이며, 크레이프율 19%인 것을 사용했다.
<약액>
약액은, 점도가 300mPa?s(40℃)가 되도록 조제했다.
<티슈 페이퍼의 성능 비교>
아래와 같은 방법에 의해 제조한 티슈 페이퍼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해서, 성능 시험을 실시했다.
실시예:상기 원지로 이루어지는 연속시트를 적층해 2층으로 하고, 일면에 1.7g/m2, 타면에 2.3g/m2의 약액을 도포하고, 컨택트 엠보스를 부여한 후, 권취 및 24시간의 정치를 실시했다.
비교예:오프라인 도포 장치에 의해 약액을 도포한 후, 15시간 후에 연속시트를 거듭해 2층으로 하고, 컨택트 엠보스를 부여했다. 약액 도포량은 양면에서 4.0g/m2로 했다.
실시예 및 비교예의 티슈 페이퍼의 성능 평가 및 관능 평가의 결과를 표 5에 나타냈다. 성능 평가 및 관능 평가의 방법은 이하와 같다.
<웹 부피>
티슈 페이퍼의 묶음 위에, 무게 30g, 130mm×250mm의 크기의 플라스틱판을 실어 네 귀퉁이의 높이를 평균으로 하여 웹 부피로 했다.
<부드러움(softness)>
핸들-오-미터법(JIS L 1096 E)에 준해 측정했다.
<관능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와 관련되는 티슈 페이퍼에 대해서, 부드러움, 두께감, 종합 평가에 관한 관능 평가를 실시했다. 관능 평가는 5 단계로 실시하고, 그 판단 기준은 아래와 같이 했다. 표 1에 나타내는 관능 평가의 값은, 15명의 검사원에 의한 관능 평가의 평균치이다.
〈부드러움〉
5…매우 부드럽다.
4…약액 도포 티슈 페이퍼로서 기대되는 평균적인 부드러움보다 부드럽다.
3…약액 도포 티슈 페이퍼로서 기대되는 평균적인 부드러움을 가진다.
2…약액 도포 티슈 페이퍼로서 기대되는 평균적인 부드러움보다 뻣뻣하다.
1…뻣뻣함을 느낀다.
〈두께감〉
5…현저한 두께를 느낀다.
4…약액 도포 티슈 페이퍼로서 기대되는 평균적인 두께보다 두껍게 느낀다.
3…약액 도포 티슈 페이퍼로서 기대되는 평균적인 두께이다.
2…약액 도포 티슈 페이퍼로서 기대되는 평균적인 두께보다 얇게 느낀다.
1…얇게 느낀다.
〈종합 평가〉
5…매우 양호한 사용감이다.
4…양호한 사용감이다.
3…약액 도포 티슈 페이퍼로서 기대되는 평균적인 사용감이다.
2…약액 도포 티슈 페이퍼로서 기대되는 평균적인 사용감보다 사용감이 약간 뒤떨어진다.
1…사용감이 나쁘다.
[표 5]
Figure pct00005
표 5에 나타낸 대로, 2 플라이 티슈 페이퍼인 실시예와 비교예를 비교하면, 미평은 거의 같은 것임에도 불구하고, 종이 두께 및 웹 부피는 실시예가 유의미하게 높은 값을 나타냈다. 또한 실시예의 제품이 보다 높은 유연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성 평가에 대해서도, 부드러움, 두께감, 종합 평가의 모두에 대하여 실시예가 비교예를 상회하는 결과가 되었다.
〔그 외〕
본 발명에는, 이하의 발명도 포함된다.
(발명 A1)
1차 원단 롤로부터 연속적으로 티슈 페이퍼 제품용 복수의 2차 원단 롤을 제조하는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 설비이며,
복수의 1차 원단 롤로부터 풀어내는 1차 연속시트를 그 연속 방향을 따라서 적층하여 적층 연속시트로 하는 적층 수단과
적층 연속시트에 대해서 약액을 도포하는 약액 도포 수단과
적층 연속시트를 티슈 페이퍼 제품의 제품 폭 또는 그 복수배 폭이 되도록 슬릿하는 슬릿 수단과
슬릿된 각 적층 연속시트를 동일한 축으로 권취하여 티슈 페이퍼 제품의 제품 폭 또는 그 복수배 폭의 복수의 2차 원단 롤을 형성하는 권취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 설비.
(발명 A2)
상기 약액 도포 수단이, 상기 적층 수단의 후단이며 상기 슬릿 수단의 전단에 설치되어 있는, 발명 A1에 기재한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 설비.
(발명 A3)
상기 적층 수단과 상기 약액 도포 수단의 사이에, 캘린더에서 평활화 처리하는 평활화 수단을 갖는, 발명 A2에 기재한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 설비.
(발명 A4)
상기 약액 도포 수단과 상기 슬릿 수단의 사이에, 상기 적층 연속시트에 대해서 층간 박리를 방지하는 라인 형상의 컨택트 엠보스를 부여하는 컨택트 엠보스 수단을 갖는, 발명 A2에 기재한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 설비.
(발명 A5)
상기 약액의 도포가 플렉소 인쇄 방식에 의하는 것인, 발명 A1에 기재한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 설비.
(발명 B1)
복수의 1차 원단 롤로부터 풀어내는 1차 연속시트를 그 연속 방향에 따라서 적층하여 적층 연속시트로 하는 적층 공정과
적층 연속시트에 대해서 약액을 도포하는 약액 도포 공정과
적층 연속시트를 티슈 페이퍼 제품의 제품 폭 또는 그 복수배 폭이 되도록 슬릿하는 슬릿 공정과
슬릿된 각 적층 연속시트를 동일한 축으로 권취하여 티슈 페이퍼 제품의 제품 폭 또는 그 복수배 폭의 복수의 2차 원단 롤을 형성하는 권취 공정과
복수의 상기 2차 원단 롤로부터 풀어내는 복수의 2차 연속시트를 그 연속 방향을 따라서 이송함과 동시에, 접으면서 적층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슈 페이퍼 제품의 제조 방법.
(발명 B2)
상기 약액 도포 공정이, 상기 적층 공정의 후에 있고, 상기 슬릿 공정의 전에 행해지는, 발명 B1에 기재한 티슈 페이퍼 제품의 제조 방법.
(발명 B3)
상기 적층 공정과 상기 약액 도포 공정의 사이에, 캘린더에서 평활화 처리하는 평활화 공정을 갖는, 발명 B2에 기재한 티슈 페이퍼 제품의 제조 방법.
(발명 B4)
상기 약액 도포 공정과 상기 슬릿 공정의 사이에, 상기 적층 연속시트에 대해서 층간 박리를 방지하는 라인 형상의 컨택트 엠보스를 부여하는 컨택트 엠보스 공정을 갖는, 발명 B2에 기재한 티슈 페이퍼 제품의 제조 방법.
(발명 B5)
상기 약액의 도포가 플렉소 인쇄 방식에 의하는 것인, 발명 B1에 기재한 티슈 페이퍼 제품의 제조 방법.
(발명 C1)
복수의 1차 원단 롤로부터 풀어내는 1차 연속시트를 그 연속 방향에 따라서 적층하여 적층 연속시트로 하는 적층 수단과
적층 연속시트에 대해서 약액을 도포하는 약액 도포 수단과
적층 연속시트를 티슈 페이퍼 제품의 제품 폭 또는 그 복수배 폭이 되도록 슬릿하는 슬릿 수단과
슬릿된 각 적층 연속시트를 동일한 축으로 권취하여 티슈 페이퍼 제품의 제품 폭 또는 그 복수배 폭의 복수의 2차 원단 롤을 형성하는 권취 수단과
복수의 상기 2차 원단 롤로부터 풀어내는 복수의 2차 연속시트를 그 연속 방향에 따라서 이송함과 동시에, 접으면서 적층하는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슈 페이퍼 제품의 제조 설비.
(발명 C2)
상기 약액 도포 수단이, 상기 적층 수단의 후단에 있고, 상기 슬릿 수단의 전단에 설치되어 있는, 발명 C1에 기재한 티슈 페이퍼 제품의 제조 설비.
(발명 C3)
상기 적층 수단과 상기 약액 도포 수단의 사이에, 캘린더에서 평활화 처리하는 평활화 수단을 갖는, 발명 C2에 기재한 티슈 페이퍼 제품의 제조 설비.
(발명 C4)
상기 약액 도포 수단과 상기 슬릿 수단의 사이에, 상기 적층 연속시트에 대해서 층간 박리를 방지하는 라인 형상의 컨택트 엠보스를 부여하는 컨택트 엠보스 수단을 갖는, 발명 C2에 기재한 티슈 페이퍼 제품의 제조 설비.
(발명 C5)
상기 약액의 도포가 플렉소 인쇄 방식에 의하는 것인, 발명 C1에 기재한 티슈 페이퍼 제품의 제조 설비.
본 발명은, 멀티 스탠드식 인터폴더로 이용되는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에 적용할 수 있다.
51: 플라이 수단(적층 공정)
52: 캘린더 수단(평활화 공정)
53: 약액 도포 수단(약액 도포 공정)
54: 컨택트 엠보스 수단(컨택트 엠보스 공정)
55: 슬릿 수단(슬릿 공정)
56: 권취 수단(권취 공정)
S11, S12: 1차 연속시트
S2: 적층 연속시트
JR: 1차 원단 롤
R: 2차 원단 롤

Claims (6)

1차 원단 롤로부터 연속적으로 티슈 페이퍼 제품용의 복수의 2차 원단 롤을 제조하는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 방법이며,
복수의 1차 원단 롤로부터 풀어내는 1차 연속시트를 그 연속 방향에 따라서 적층하여 적층 연속시트로 하는 적층 공정과
적층 연속시트에 대해서 약액을 도포하는 약액 도포 공정과
적층 연속시트를 티슈 페이퍼 제품의 제품 폭 또는 그 복수배 폭이 되도록 슬릿하는 슬릿 공정과
슬릿된 각 적층 연속시트를 동일한 축으로 권취하여 티슈 페이퍼 제품의 제품 폭 또는 그 복수배 폭의 복수의 2차 원단 롤을 형성하는 권취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 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액 도포 공정은 상기 적층 공정의 후에 있고, 상기 슬릿 공정의 전에 행해지는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 방법.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공정과 상기 약액 도포 공정과의 사이에, 캘린더에서 평활화 처리하는 평활화 공정을 갖는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 방법.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약액 도포 공정과 상기 슬릿 공정의 사이에, 상기 적층 연속시트에 대해서 층간 박리를 방지하는 라인 형상의 컨택트 엠보스를 부여하는 컨택트 엠보스 공정을 갖는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 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액의 도포가 플렉소 인쇄 방식에 의하는 것인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 방법.
제5항에 있어서, 플렉소 인쇄 방식에 의해서 약액의 도포할 때의 적층 연속시트의 반송 속도를 700 m/분 이상으로 하는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 방법.
KR1020127019833A 2009-12-28 2010-07-30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방법 KR1017285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298281 2009-12-28
JP2009298281 2009-12-28
JP2010095133A JP4676564B1 (ja) 2009-12-28 2010-04-16 ティシュペーパー製品の製造方法及び製造設備
JPJP-P-2010-095133 2010-04-16
PCT/JP2010/062939 WO2011080937A1 (ja) 2009-12-28 2010-07-30 ティシュペーパー製品用二次原反ロール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3239A true KR20120113239A (ko) 2012-10-12
KR101728578B1 KR101728578B1 (ko) 2017-04-19

Family

ID=44080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9833A KR101728578B1 (ko) 2009-12-28 2010-07-30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20120285615A1 (ko)
EP (1) EP2520206B1 (ko)
JP (4) JP4676564B1 (ko)
KR (1) KR101728578B1 (ko)
CN (1) CN102781299B (ko)
WO (1) WO20110809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64247B2 (ja) * 2009-12-28 2014-07-30 大王製紙株式会社 ティシュペーパー製品用二次原反ロールの製造方法
JP4777468B1 (ja) * 2010-05-31 2011-09-21 大王製紙株式会社 薬液含有ティシュペーパーの製造方法及び薬液中の紙粉除去装置
JP4868620B2 (ja) * 2010-06-30 2012-02-01 大王製紙株式会社 ティシュペーパー及びティシュペーパーの製造方法
JP5314065B2 (ja) * 2011-02-22 2013-10-16 大王製紙株式会社 トイレットロール製品の製造方法及びトイレットロール製品
JP5598436B2 (ja) 2011-07-10 2014-10-01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回転電機のプーリ蓋構造
CN102493254A (zh) * 2011-12-13 2012-06-13 潍坊永新纸业有限公司 一种薄页纸造纸工艺
JP5910240B2 (ja) * 2012-03-29 2016-04-27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スリッター
JP5922466B2 (ja) * 2012-03-30 2016-05-24 大王製紙株式会社 ティシュペーパー製品及びティシュペーパー製品の製造方法
JP6230342B2 (ja) * 2013-09-04 2017-11-15 大王製紙株式会社 保湿剤含有ティシュペーパーの製造方法
CN103740238A (zh) * 2013-12-12 2014-04-23 江门市皇宙化工有限公司 一种环保型高仿真电镀铝粉粉末涂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6573268B (zh) * 2014-08-06 2019-11-19 德尔福特集团有限公司 用脂肪酸氯连续涂覆基于纤维素的纤维基质网的方法
JP6210567B2 (ja) * 2015-09-14 2017-10-11 大王製紙株式会社 ティシュペーパー
EP3266933A1 (en) * 2016-07-08 2018-01-10 Lucart Spa Paper material, apparatus and method for its production
IT201600071777A1 (it) * 2016-07-08 2018-01-08 Lucart Spa Materiale cartaceo, ed apparecchiatura per la sua produzione
JP6879048B2 (ja) * 2017-05-16 2021-06-02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塗工装置、衛生用品の製造装置、塗工方法、および、衛生用品の製造方法
JP6809370B2 (ja) * 2017-05-16 2021-01-06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衛生用品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JP6809369B2 (ja) * 2017-05-16 2021-01-06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衛生用品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JP6904050B2 (ja) * 2017-05-16 2021-07-14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衛生用品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JP6805960B2 (ja) * 2017-05-16 2020-12-23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衛生用品の製造装置
JP2019020288A (ja) * 2017-07-19 2019-02-07 花王株式会社 剤含有シート状物の検査方法及び剤含有シート状物の製造方法
CN107673133B (zh) * 2017-10-21 2024-05-07 山东达驰电气有限公司 绝缘皱纹纸裁段机
CN108147191A (zh) * 2017-12-25 2018-06-12 常德金德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转移膜的回收方法
AU2018423670B2 (en) * 2018-05-15 2021-11-04 Essity Hygiene And Health Aktiebolag Method for compressing structured tissues
JP6879416B2 (ja) * 2020-07-10 2021-06-02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衛生用品の製造方法
JP6915736B1 (ja) * 2020-08-31 2021-08-04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衛生薄葉紙ロールの製造方法
CN113102205B (zh) * 2021-02-25 2022-11-11 李平 一种保温纸巾的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24643A (en) * 1965-11-08 1969-01-28 Kimberly Clark Co Sheet material creped tissue product
US4052048A (en) 1976-03-11 1977-10-04 Paper Converting Machine Company Longitudinally interfolding device and method
JPS551215A (en) 1978-06-15 1980-01-08 Nippon Denso Co Ltd Thermal controller of automobile air conditioner
JPS6137668A (ja) 1984-07-31 1986-02-22 Kawanoe Zoki Kk ジグザグ折り集積物の自動取出し方法及び装置
JPH03213170A (ja) * 1990-01-12 1991-09-18 Ishizu Seisakusho:Kk 通気性を有するウエブに対する有効成分付着方法及びその装置
JP2575247B2 (ja) 1991-11-01 1997-01-22 克 米山 単葉ウエブの多重折畳方法とその装置
WO1995035412A1 (en) 1994-06-17 1995-12-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Improved lotion composition for treating tissue paper
KR100237521B1 (ko) 1994-06-17 2000-04-01 데이비드 엠 모이어 로션 처리된 티슈 페이퍼
US6136422A (en) * 1996-04-05 2000-10-24 Eatern Pulp & Paper Corporation Spray bonded multi-ply tissue
JP3216557B2 (ja) * 1996-12-26 2001-10-09 王子製紙株式会社 圧縮ティシュペーパー製品の製造方法
JP3588448B2 (ja) 2000-02-01 2004-11-10 王子製紙株式会社 箱に収納されたティシュペーパー製品
JP3628980B2 (ja) * 2001-05-28 2005-03-16 大王製紙株式会社 ティッシュペーパーの製造設備及び製造方法
US20040112783A1 (en) * 2001-02-20 2004-06-17 Takeharu Mukai Sanitary thin pap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thin paper, storage box for sanitary thin paper, storage body for sanitary thin paper, inter folder, and device and method for transfer of storage body for sanitary thin paper
WO2002081819A1 (en) * 2001-04-09 2002-10-17 Scott Paper Limited Tissue products containing softness
JP4434520B2 (ja) * 2001-06-29 2010-03-17 日本製紙クレシア株式会社 柔軟性と表面滑性に優れた圧縮ティッシュペーパー及びこれの製造方法
JP2003325372A (ja) * 2002-05-14 2003-11-18 Crecia Corp 衛生用紙
JP3930815B2 (ja) * 2003-02-06 2007-06-13 丸富製紙株式会社 水解性を有する紙を二枚重ねにしたペーパー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製造装置
JP2004322034A (ja) 2003-04-28 2004-11-18 Crecia Corp 衛生薄葉紙の加工方法およびその加工機
WO2005031068A1 (en) * 2003-08-28 2005-04-0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Soft paper sheet with improved mucus removal
ITFI20040032A1 (it) * 2004-02-13 2004-05-13 Perini Fabio Spa Metodo e dispositivo goffratore e laminatore per la produzione di manufatti plurivelo e relativo prodotto
JP2004338415A (ja) 2004-08-24 2004-12-02 Daio Paper Corp インターフォルダ及びティッシュペーパーの製造方法
WO2006025362A1 (ja) * 2004-08-31 2006-03-09 Daio Paper Corporation 家庭用衛生薄葉紙、その製造方法及び製造設備
US7799169B2 (en) * 2004-09-01 2010-09-21 Georgia-Pacific Consumer Products Lp Multi-ply paper product with moisture strike through resistanc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20060130989A1 (en) 2004-12-22 2006-06-2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Tissue products treated with a polysiloxane containing softening composition that are wettable and have a lotiony-soft handfeel
JP3968368B2 (ja) 2005-02-28 2007-08-29 大王製紙株式会社 シートの折り畳み設備
US7799167B2 (en) * 2005-06-09 2010-09-21 Kawano Paper Co., Ltd. Embossed crepe pape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JP4431995B2 (ja) * 2005-06-09 2010-03-17 高知県 エンボス加工クレープ紙の製造方法
JP4422082B2 (ja) * 2005-08-30 2010-02-24 大王製紙株式会社 薄葉紙製品の製造方法
US8444811B2 (en) * 2005-12-15 2013-05-2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Process for increasing the basis weight of sheet materials
WO2007081244A1 (en) * 2006-01-11 2007-07-19 Sca Hygiene Products Ab Method for providing a perforation line having enhanced visibility on a fibrous web material, fibrous web material obtained by the method and fibrous web material
JP5073957B2 (ja) * 2006-03-28 2012-11-14 大王製紙株式会社 家庭用衛生薄葉紙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設備
ITFI20060100A1 (it) * 2006-04-28 2007-10-29 Delicarta Spa Metodo e impianto per la trasformazione di carta tissue con applicazione di agenti umido-resistenti
JP2009183411A (ja) * 2008-02-05 2009-08-20 Oji Nepia Co Ltd 衛生用紙の製造方法
US8480852B2 (en) * 2009-11-20 2013-07-0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ooling substrates with hydrophilic containment layer and method of making
WO2011080941A1 (ja) * 2009-12-28 2011-07-07 大王製紙株式会社 ティシュペーパー製品用の二次原反ロールの製造方法
JP4676552B1 (ja) * 2009-12-28 2011-04-27 大王製紙株式会社 ティシュペーパー製品用二次原反ロールの製造方法
JP4723681B1 (ja) * 2010-01-29 2011-07-13 大王製紙株式会社 薬液が塗布されたティシュペーパー製品の製造方法
JP4681677B1 (ja) * 2010-03-26 2011-05-11 大王製紙株式会社 ティシュペーパー製品用二次原反ロールの製造方法及びティシュペーパー製品の製造方法
JP4868620B2 (ja) * 2010-06-30 2012-02-01 大王製紙株式会社 ティシュペーパー及びティシュペーパー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951823B2 (ja) 2016-07-13
JP5918467B2 (ja) 2016-05-18
EP2520206B1 (en) 2017-05-24
CN102781299B (zh) 2016-01-13
JP2011152780A (ja) 2011-08-11
US20130340925A1 (en) 2013-12-26
JP2011152404A (ja) 2011-08-11
CN102781299A (zh) 2012-11-14
US10085600B2 (en) 2018-10-02
JP4676564B1 (ja) 2011-04-27
JP2011152405A (ja) 2011-08-11
JP2015147049A (ja) 2015-08-20
WO2011080937A1 (ja) 2011-07-07
EP2520206A1 (en) 2012-11-07
US20120285615A1 (en) 2012-11-15
KR101728578B1 (ko) 2017-04-19
JP4763089B2 (ja) 2011-08-31
EP2520206A4 (en) 2014-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13239A (ko)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방법
JP5931390B2 (ja) トイレットロールの製造方法
JP4681677B1 (ja) ティシュペーパー製品用二次原反ロールの製造方法及びティシュペーパー製品の製造方法
JP5844079B2 (ja) トイレットロールの製造方法
KR101748899B1 (ko) 티슈 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방법
JP4723681B1 (ja) 薬液が塗布されたティシュペーパー製品の製造方法
JP5833295B2 (ja) ティシュペーパー製品の製造方法
JP5883040B2 (ja) ティシュペーパー製品用二次原反ロールの製造方法
JP5833318B2 (ja) ティシュペーパー製品の製造方法
JP5518464B2 (ja) ティシュペーパー製品用二次原反ロールの製造方法
JP5766938B2 (ja) ティシュペーパー製品の製造方法
JP5855810B2 (ja) ティシュペーパー製品の製造方法
JP5833294B2 (ja) ティシュペーパー製品の製造方法
JP5855809B2 (ja) ティシュペーパー製品の製造方法
JP2011161240A5 (ko)
JP2011136157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