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1807A - 에세리키아 속 균주에서 유래된 프락토키나제 유전자가 도입된 코리네박테리움 속 균주 및 상기 균주를 이용하여 l-아미노산을 생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에세리키아 속 균주에서 유래된 프락토키나제 유전자가 도입된 코리네박테리움 속 균주 및 상기 균주를 이용하여 l-아미노산을 생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1807A
KR20120111807A KR1020110030392A KR20110030392A KR20120111807A KR 20120111807 A KR20120111807 A KR 20120111807A KR 1020110030392 A KR1020110030392 A KR 1020110030392A KR 20110030392 A KR20110030392 A KR 20110030392A KR 20120111807 A KR20120111807 A KR 201201118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in
corynebacterium
amino acid
gene
promo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0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94935B1 (ko
Inventor
배현원
김형준
문준옥
장재우
김종철
김태한
성진석
이경한
김대철
김효진
배현애
임상조
Original Assignee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제일제당 (주) filed Critical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to KR1020110030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4935B1/ko
Priority to BR112013025358-4A priority patent/BR112013025358B1/pt
Priority to CN201611102490.1A priority patent/CN106867951A/zh
Priority to JP2014502487A priority patent/JP5814459B2/ja
Priority to CN2012800163031A priority patent/CN103476922A/zh
Priority to PCT/KR2012/002474 priority patent/WO2012134253A2/en
Priority to US14/007,941 priority patent/US9267161B2/en
Priority to EP12764461.5A priority patent/EP2694638B1/en
Publication of KR201201118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18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4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49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9/00Enzymes; Pro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for preparing, activating, inhibiting, separating or purifying enzymes
    • C12N9/10Transferases (2.)
    • C12N9/12Transferases (2.) transferring phosphorus containing groups, e.g. kinases (2.7)
    • C12N9/1205Phosphotransferases with an alcohol group as acceptor (2.7.1), e.g. protein kinas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11DNA or RNA fragments; Modified forms thereof; Non-coding nucleic acids having a biological activity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63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vectors; Vectors; Use of hosts therefor; Regulation of expression
    • C12N15/74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rokaryotic hosts other than E. coli, e.g. Lactobacillus, Micromonospora
    • C12N15/77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rokaryotic hosts other than E. coli, e.g. Lactobacillus, Micromonospora for Corynebacterium; for Brevibacterium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3/00Preparation of nitro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C12P13/04Alpha- or beta- amino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3/00Preparation of nitro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C12P13/04Alpha- or beta- amino acids
    • C12P13/08Lysine; Diaminopimelic acid; Threonine; Valin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3/00Preparation of nitro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C12P13/04Alpha- or beta- amino acids
    • C12P13/14Glutamic acid; Glutamin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YENZYMES
    • C12Y207/00Transferases transferring phosphorus-containing groups (2.7)
    • C12Y207/01Phosphotransferases with an alcohol group as acceptor (2.7.1)
    • C12Y207/01004Fructokinase (2.7.1.4)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Vir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세리키아 속 균주에서 유래된 프락토키나제 유전자가 도입되어 프락토즈를 6-인산화-프락토즈로 전환시키기에 충분한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프락토키나제가 발현됨으로써, 에너지의 불필요한 소모를 방지할 수 있도록 형질전환된 코리네박테리움 속 균주 및 상기 균주를 이용하여 L-아미노산을 생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형질전환된 코리네박테리움 속 균주는, 에세리키아 유래의 프락토키나제 유전자로부터 발현되는 프락토키나제에 의하여 프락토즈의 대사시 에너지의 불필요한 소모를 방지함으로써, 보다 경제적으로 L-아미노산을 생산할 수 있으므로, L-아미노산의 효과적인 생산에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Description

에세리키아 속 균주에서 유래된 프락토키나제 유전자가 도입된 코리네박테리움 속 균주 및 상기 균주를 이용하여 L-아미노산을 생산하는 방법{Corynebaterium sp. Transformed with a Fructokinase Gene Derived from Escherichia sp. And Process for Preparing L-amino aci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에세리키아 속 균주에서 유래된 프락토키나제 유전자가 도입된 코리네박테리움 속 균주 및 상기 균주를 이용하여 L-아미노산을 생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에세리키아 속 균주에서 유래된 프락토키나제 유전자가 도입되어 프락토즈를 6-인산화-프락토즈로 전환시키기에 충분한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프락토키나제가 발현됨으로써, 에너지의 불필요한 소모를 방지할 수 있도록 형질전환된 코리네박테리움 속 균주 및 상기 균주를 이용하여 L-아미노산을 생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코리네박테리움 속 균주(Corynebacteria sp.), 특히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Corynebacterium glutamicum)은 L-아미노산 생산에 많이 이용되고 있는 그람 양성의 미생물이다. L-라이신과 같은 L-아미노산은 동물사료, 사람의 의약품 및 약제산업에 사용되고 있으며 코리네박테리아 균주를 이용한 유전공학적인 방법으로 대량생산되고 있으나, 산업의 발달에 따라 더욱 많은 량의 L-아미노산의 공급이 요구되고 있기 때문에, 코리네박테리아 균주를 개량하여 보다 효과적이고, 경제적으로 L-아미노산을 생산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법은 코리네박테리아 균주에 L-아미노산 생합성-관련 유전자와 같은 특정한 DNA를 도입하거나 또는 그의 활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코리네박테리아의 L-아미노산 생산성을 증대시키는 방법이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1-51915호 및 제2001-62279호에는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으로부터 유래된 sucC 및 sucD 유전자 및 zwa2 유전자를 감쇠발현시켜 코리네형 박테리아로부터 L-아미노산의 생산성을 증대시키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 2001-62272호에는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으로부터 유래된 zwa1 유전자를 과발현시킴으로써 코리네형 박테리아로부터 L-아미노산의 생산성을 증대시키는 방법이 기술되어 있으며, 일본 특허공고번호 제1995-121228호에는 에세리키아 콜리 (Escherichia coli) 유래의 시트르산 신타제를 코딩하는 유전자를 도입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상기 코리네박테리움 속 균주는 탄소원으로서 수크로즈(sucrose), 글루코즈(glucose) 및 프락토즈(fructose)를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이중에서 상기 수크로즈는 포스포트란스퍼라제 시스템(PTS)에 의해 인산화되어 세포 내로 유입되고, 인산화된 수크로즈는 인버타아제(invertase)에 의해 곧바로 분해되어 6-인산화-글루코즈와 프락토즈를 생성한다. 상기 생성된 6-인산화-글루코즈는 바로 해당과정(glcolysis)에 이용되지만, 인산화되지 못한 프락토즈는 세포 밖으로 배출된 후, 포스포트란스퍼라제 시스템에 의해 인산화된 후에 다시 세포내로 유입되어 해당과정에 이용된다. 이처럼 프락토즈는 탄소원으로서 사용되기 위하여 상대적으로 복잡한 경로를 거치게 되는데,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는 원인은 코리네박테리움 속 균주가 프락토키나제(fructose kinase) 활성을 가지지 않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Appl Environ Microbiol.(1996) 62:3878-3880). 단적으로, 프락토키나제를 발현하는 박테리아에서는, 수크로즈가 인버타아제에 의해 6-인산화-글루코즈와 프락토즈로 분해된 후, 프락토키나제에 의해 프락토즈가 인산화되고, 6-인산화-글루코즈와 인산화된 프락토즈가 해당과정에 이용된다.
이처럼, 프락토즈를 코리네박테리움 속 균주의 배양시 탄소원으로 이용할 경우, 복잡한 경로를 거치면서 에너지의 불필요한 소모가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이를 극복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예를 들어, 본 출원인은 클로스트리디움 아세토부틸리쿰(Clostridium acetobutylicum) 또는 바실러스 서브틸러스(Bacillus subtilus)로부터 유래하는 프락토키나제 유전자를 코리네박테리움 속 균주에 도입하여 형질전환 균주를 제조하고, 이를 이용하여 L-라이신을 제조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대한민국 등록특허 제564805호). 그러나, 후속 연구를 통하여, 상기 프락토키나제 유전자가 도입되어 형질전환된 코리네박테리움 속 균주는 발현되는 프락토키나제의 활성이 매우 낮아, 수크로즈를 탄소원으로 이용하여 상기 균주를 배양할 경우, 수크로즈에서 유래되는 프락토즈의 생성량 중에서 일부만이 6-인산화-프락토즈로 전환되고, 나머지 프락토즈는 야생형 균주에서와 마찬가지로 세포 밖으로 배출된 후, 포스포트란스퍼라제 시스템에 의해 인산화된 후에 다시 세포내로 유입됨을 확인하여, 프락토키나제 유전자를 도입한 의도가 충분히 반영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코리네박테리움 속 균주에서 프락토즈를 6-인산화-프락토즈로 전환시키기에 충분한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다른 프락토키나제 유전자를 탐색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상기, 프락토키나제 유전자는 수크로즈 자화능 부여를 위한 수크로즈 유입 및 분해 유전자에 관련된 연구의 결과로서 밝혀져 있는데, 주로 살모넬라(Salmonella), 클렙시엘라 뉴모니애(Klebsiella pneumoniae) 및 어위니아 아밀로보라(Erwinia amylovora)에 존재하는 scr 레귤론(J. Bacteriol., 151:68-76, 1982; Mol. Microbiol., 2:1-8, 1988; J. Bacteriol., 173:7464-7470, 1991; J. Gen. Microbiol., 134:1635-1644, 1988; J. Bacteriol., 182:5351-5358, 2000; USP 7,179,623), 에세리키아 속 균주로부터 유래된 csc 레귤론(Appl. Environ. Microbiol., 58:2081-2088, 1992; USP 6,960,455), 그람 양성 미생물인 스트렙토코코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 유래의 scr 레귤론과 sac 오페론(J. Bacteriol., 171:263-271, 1989) 등이 밝혀져 있다. 이중에서, 에세리키아 속 균주로부터 두 종류의 프락토키나제 유전자(cscK 및 mak)가 발견되었는데, 상기 cscK는 csc 레귤론에 속하는 프락토키나제 유전자로서 cscB(proton symport-type sucrose permease) 및 cscA(sucrose hydolase)와 함께 수크로즈 대사에 관련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J. Bacteriol., 184: 5307-5316, 2002), 상기 mak는 만노키나제를 코딩하는 유전자로서, 만노오즈, 프락토즈, 글루코즈 등을 포함한 헥소스(hexose)를 6-포스포-에스터(6-phospho-ester) 형태로 전환해주는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Mol. Microbiol., 5:2913-2922, 1991).
이에, 본 발명자들은 에세리키아의 프락토키나제 유전자(cscK 및 mak)를 분리하여 이를 코리네박테리움 균주에 형질전환시켜 아미노산 생산능이 개선된 균주를 제공할 수 있게 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에세리키아 속 균주에서 유래된 프락토키나제 유전자가 도입되어 프락토즈를 6-인산화-프락토즈로 전환시키기에 충분한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프락토키나제가 발현됨으로써, 에너지의 불필요한 소모를 방지할 수 있도록 형질전환된 코리네박테리움 속 균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형질전환된 코리네박테리움 속 균주를 배양하고, 이로부터 L-아미노산을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L-아미노산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형질전환된 코리네박테리움 속 균주를 수크로즈를 탄소원으로 포함하는 배지에서 배양하고, 이로부터 L-아미노산을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L-아미노산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의하면, 본 발명은 에세리키아 속 균주에서 유래된 프락토키나제 유전자가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유전자 발현단위를 포함하는 L-아미노산 생산용 코리네박테리움 속 균주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프락토키나제 유전자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cscK 또는 mak를 사용함이 바람직하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cscK를 사용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cscK는 서열번호 17의 뉴클레오티드 서열을 갖고, 상기 mak는 서열번호 18의 뉴클레오티드 서열을 갖는다.
또한, 상기 유전자 발현단위는 벡터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코리네박테리움 미생물에 형질도입되어 포함되거나 상기 코리네박테리움 미생물의 염색체 내에 삽입되어 포함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유전자는 개시코돈의 상류에 연결된 프로모터에 의해 과발현되도록 작동가능하게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전자의 상류에 위치한 본래의 프로모터 대신 이종 프로모터가 연결될 수도 있는데, 상기 이종 프로모터의 예로는 pcj7 프로모터, lysCP1 프로모터, EF-Tu 프로모터, groEL 프로모터, aceA 프로모터, aceB 프로모터 등이 있으며, 코리네박테리움 유래의 프로모터인 pcj7 프로모터 또는 lysCP1 프로모터를 사용함이 바람직하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pcj7 프로모터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현단위”는 프로모터와 단백질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가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단편을 의미하며, 이에 3'-UTL, 5'-UTL, poly A tail 등이 추가로 포함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발현단위”는 “발현카세트”와 혼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pcj7 프로모터”는 코리네박테리움 암모니아게네스 및 에세리키아에서 발현가능하고, 우수한 프로모터 활성을 나타내며,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에서도 역시 우수한 프로모터 활성을 나타내는 프로모터를 의미한다(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620092호).
본 발명의 “lysCP1 프로모터”는 아스파테이트 키나제 및 아스파테이트 세미알데히드 디히드로게나제를 암호화 하는 유전자의 프로모터 부위 염기서열 치환을 통해 개량한 프로모터로서 아스파테이트 키나제 유전자의 발현량 증대를 통해 당 효소의 활성을 야생형 대비 약 5배 정도로 향상시킬 수 있는 강력한 프로모터를 의미한다(WO 2009/096689).
본 발명에서 상기 프락토키나제 유전자가 도입될 수 있는 코리네박테리움 속 균주는 코리네박테리움 속에 속하고, L-아미노산 생산능을 갖는 모든 균주를 포함하는데, 상기 균주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Corynebacterium glutamicum)(ATCC 13032), 코리네박테리움 써모아미노게네스(Corynebacterium thermoaminogenes) (FERM BP-1539), 브레비박테리움 플라붐(Brevibacterium flavum)(ATCC 14067), 브레비박테리움 락토페르멘툼(Brevibacterium fermentum)(ATCC 13869) 등을 사용함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Corynebacterium glutamicum) KFCC10881(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159812호), KFCC-11074, KFCC110011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형질전환"이라는 용어는 상기 프락토키나제 유전자를 숙주세포인 코리네박테리움 속 균주 내로 도입하여 상기 숙주세포 내에서 발현될 수 있도록 하는 전반적인 행위를 의미한다. 이때, 상기 프락토키나제 유전자는 프락토키나제를 코딩할 수 있는 폴리뉴클레오티드로서 DNA 및 RNA를 포함한다. 상기 유전자는 숙주세포 내로 도입되어 발현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형태로도 도입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유전자는, 자체적으로 상기 유전자의 발현에 필요한 모든 요소(element)를 포함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구조체인 발현 카세트 (expression cassette)의 형태로 숙주세포 내로 도입될 수 있다. 상기 발현 카세트는 통상 상기 유전자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프로모터, 전사종결 신호, 리보좀 결합 부위 및 번역 종결 신호를 포함한다. 상기 발현 카세트는 자체 복제가 가능한 발현 벡터의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전자는 그 자체 또는 폴리뉴클레오티드 구조체의 형태로 숙주세포로 도입되어, 숙주세포의 발현에 필요한 서열과 작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일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양태에 의하면, 본 발명은 상기 에세리키아 속 균주에서 유래된 프락토키나제 유전자가 도입되어 형질전환된 코리네박테리움 속 균주를 배양하는 단계; 및, 상기 배양물로부터 L-아미노산을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L-아미노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때, L-아미노산은 모든 형태의 L-아미노산이 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L-라이신, L-트레오닌 또는 L-글루타메이트가 될 수 있다.
상기 코리네박테리움 종 미생물의 배양은 적당한 배지에서 당업계에서 알려진 다양한 배양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Chmiel, Bipprozesstechnik 1. Einfuhrung in die Bioverfahrenstechnik ,Gustav Fischer Verlag, Stuttgart, 1991; Storhas, Bioreaktoren und periphere Einrichtungen, Vieweg Verlag, Braunschweig/Wiesbaden, 1994). 상기 배양 방법의 예에는, 회분식, 연속식 및 유가식 배양이 포함된다. 상기 유가식 배양에는 주입 배치 및 반복 주입 배치 배양이 포함되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배양에 사용될 수 있는 배지는 배양 방식과 균주에 따라, 당업계에 알려진 적당한 배지가 선택될 수 있다("Manual of Methods for General Bacteriology" by the American Society for Bacteriology, Washington D.C., 미국, 1981).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배지는 다양한 탄소원, 질소원 및 미량원소 성분을 포함한다. 코리네박테리움 미생물 배양을 위한 배지에서 탄소원으로는 수크로즈, 글루코즈, 프락토즈, 지방, 지방산, 알코올, 유기산 등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본원 발명의 코리네박테리움 미생물은 프락토키나제 활성을 가지므로, 인산화된 수크로즈의 분해를 통해 생성된 프락토즈를 세포 밖으로 배출 후 재유입시키는 과정을 거치지 않고, 세포 내에서 곧바로 프락토키나제에 의해 프락토즈가 인산화 되어 해당과정에 이용될 수 있으므로, 기존의 코리네박테리움 미생물보다 수크로즈 이용성이 더욱 증가할 수 있다. 이에, 사용될 수 있는 탄소원의 구체적인 예에는, 수크로즈를 다량으로 포함한 당밀, 글루코즈, 락토즈, 프락토즈, 말토즈, 전분, 셀룰로즈와 같은 탄수화물, 대두유, 해바라기유, 피마자유, 코코넛유와 같은 지방, 팔미트산, 스테아린산, 리놀레산과 같은 지방산, 글리세롤 및 에탄올과 같은 알코올, 아세트산과 같은 유기산이 포함되며, 적정량의 탄소원은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질소원으로는 펩톤, 효모 추출물, 육즙, 맥아 추출물, 옥수수 침지액, 및 대두밀과 같은 유기 질소원 및 요소, 황산암모늄, 염화암모늄, 인산암모늄, 탄산암모늄 및 질산암모늄과 같은 무기 질소원이 있다. 이들 질소원은 단독 또는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배지에는 인원으로서, 인산이수소칼륨, 인산수소이칼륨 및 대응되는 소듐-함유 염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황산마그네슘 또는 황산철과 같은 금속염을 포함할 수 있다. 그외에, 아미노산, 비타민, 및 적절한 전구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들 배지 또는 전구체는 배양물에 회분식 또는 연속식으로 첨가될 수 있다.
배양 중에 수산화암모늄, 수산화칼륨, 암모니아, 인산 및 황산과 같은 화합물을 배양물에 적절한 방식으로 첨가하여, 배양물의 pH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배양 중에는 지방산 폴리글리콜 에스테르와 같은 소포제를 사용하여 기포 생성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배양물의 호기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배양물내로 산소 또는 산소-함유 기체 (예, 공기)를 주입한다. 배양물의 온도는 보통 20 ℃ 내지 45 ℃, 바람직하게는 25 ℃ 내지 40 ℃이다. 배양 기간은 원하는 L-아미노산의 생성량이 얻어질 때까지 계속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60 시간이다.
배양물로부터의 L-아미노산의 분리는 당업계에 알려진 통상적인 방법에 의하여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분리 방법에는, 원심분리, 여과, 이온교환크로마토그래피,및 결정화 등의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배양물을 저속 원심분리하여 바이오매스를 제거하고 얻어진 상등액을, 이온교환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하여 분리할 수 있다.
본원의 다른 양태로서, 상기 기술된 코리네박테리움 속 균주를 수크로즈를 포함하는 배지에서 배양하는 단계, 및 상기 배양물로부터 L-아미노산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L-아미노산을 생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때, 상기 L-아미노산 생산용 코리네박테리움 속 균주에 의하여 생산되는 L-아미노산은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L-라이신, L-트레오닌 또는 L-글루타메이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로서, 상기 L-라이신을 생산하는 방법은 상기 기술된 코리네박테리움 속 균주를 수크로즈를 포함하는 배지에서 배양하는 단계, 및 상기 배양물로부터 L-아미노산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양태로서, 상기 L-트레오닌을 생산하는 방법은 cscK 프로모터가 연결된 프락토키나제 유전자 cscK를 포함하는 발현벡터와 트레오닌 생합성 및 배출관련 유전자를 포함하고 있는 플라스미드 벡터를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KFCC10881에 도입하여 형질전환 균주를 수득하고 이를 배양한 다음, 상기 배양물로부터 L-트레오닌을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cscK 프로모터가 연결된 프락토키나제 유전자 cscK를 포함하는 발현벡터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pDZTn-pcj7_cscK 또는 pDZTn-lysCP1_cscK을 사용함이 바람직하고, 상기 트레오닌 생합성 및 배출관련 유전자를 포함하고 있는 플라스미드 벡터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pECCG117-homthrBCE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양태로서, 상기 L-글루타메이트를 생산하는 방법은 상기 cscK 프로모터가 연결된 프락토키나제 유전자 cscK를 포함하는 발현벡터를 글루타메이트 생산균주인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KTCC10774에 도입하여 형질전환 균주를 수득하고, 이를 배양한 다음, 상기 배양물로부터 L-글루타메이트를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cscK 프로모터가 연결된 프락토키나제 유전자 cscK를 포함하는 발현벡터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pDZTn-pcj7_cscK 또는 pDZTn-lysCP1_cscK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에세리키아에서 유래된 프락토키나제 유전자인 cscK 또는 mak이 도입된 경우, 종래의 클로스트리디움 아세토부틸리쿰 유래의 프락토키나제 유전자인 CFK가 도입된 경우(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564805호) 보다도 높은 수준으로 L-라이신을 생산할 수 있고, 특히 프락토키나제 유전자인 cscK를 자체의 프로모터가 아닌 외래의 프로모터인 pcj7 또는 lysCP1와 연결하여 도입할 경우, 그의 효과가 더욱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표 1). 또한, 프로모터인 pcj7와 연결된 프락토키나제 유전자 cscK가 도입된 형질전환 균주를 수크로즈를 탄소원으로 포함하는 배지에서 배양할 경우, 배지로 수크로즈의 분해산물인 프락토즈가 방출되지 않아, 배지에 존재하는 수크로즈를 세포내에서 분해하여 생성한 프락토즈를 모두 인산화시켜서, 해당과정에 이용되게 할 수 있게 함을 알 수 있었다(도 3). 뿐만 아니라, 프락토키나제 유전자가 도입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프락토키나제 유전자가 도입된 경우에는 프락토키나제의 활성도가 1.95 내지 4.24배 증가하고, 프락토키나제 유전자 중에서도 cscK가 도입된 경우에 종래의 프락토키나제 유전자가 도입된 경우 보다도 프락토키나제의 활성도가 1.80 내지 2.16배 증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표 3).
이러한 에세리키아에서 유래된 프락토키나제 유전자가 도입된 형질전환 균주는 단순히 L-라이신의 생산성을 증대시키는 것이 아니라, 다른 L-아미노산인 L-트레오닌(표 4) 및 L-글루타메이트(표 5)를 생산할 경우에도 그의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에세리키아에서 유래된 프락토키나제 유전자가 도입된 형질전환 균주는 전반적인 L-아미노산의 생산에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가장 효과가 우수한 pDZTn-pcj7_cscK를 형질전환하여 얻은 형질전환체(KFCC-10881-Pcj7_cscK)를 Corynebacterium glutamicum CA01-2012로 명명하고, 2011년 3월 28일자로 한국미생물보존센터(Korean Culture center of Microorganisms, 이하, “KCCM”으로 약칭함)에 수탁번호 KCCM11183P로 기탁하였다.
본 발명의 형질전환된 코리네박테리움 속 균주는, 에세리키아 유래의 프락토키나제 유전자로부터 발현되는 프락토키나제에 의하여 프락토즈의 대사시 에너지의 불필요한 소모를 방지함으로써, 보다 경제적으로 L-아미노산을 생산할 수 있으므로, L-아미노산의 효과적인 생산에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발현벡터 pDZTn-pcj7_cscK의 유전자 지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발현벡터 pDZTn-lysCP1_cscK의 유전자 지도를 나타낸다.
도 3은 프락토키나제 유전자가 도입되어 형질전환된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균주를 배양하고, 배지내에 존재하는 수크로즈 및 프락토즈의 양을 정량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발현벡터 pECCG117-homthrBC의 유전자 지도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에세리키아 유래 프락토키나제 유전자 획득 및 벡터 제작
에세리키아 유래의 프락토키나제 유전자의 염기서열은 이미 명백하게 밝혀져 있으며 공개되어 있다. 미국국립보건원 진뱅크 (NIH GenBank)로부터 에세리키아 콜리 (Echerichia coli) EC3231 (등록번호 X81461)로부터 cscK 유전자 (서열번호 17) 정보와 W3110 (등록번호 AC000091)으로부터 mak 유전자 (서열번호 18) 정보를 확보하였다.
보고된 염기서열에 근거하여 5’말단에 EcoRⅠ 제한효소 부위를 삽입한 프라이머와 3’ 말단에 SpeⅠ 제한효소 부위를 삽입한 프라이머를 합성하고, 미국생물자원센터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로부터 구매한 에세리키아 콜리 W 균주 (ATCC9637)의 염색체를 주형으로 한 PCR 법을 통하여 프로모터 부위를 포함한 약 1200 bp의 cscK 유전자 (서열번호 1과 2의 프라이머 이용) 및 mak 유전자(서열번호 3과 4의 프라이머 이용)를 증폭하였다. 이때, PCR법은 94℃에서 5분간 변성 후, 94℃/30초 변성, 56℃/30초 어닐링, 72℃/1분 중합을 30회 반복한 후, 72℃에서 7분간 중합반응시켜서 수행되었다.
서열번호 1: 5’-gcgaattcgaaaatggggataga-3’
서열번호 2: 5’-gcactagtattacctgcctgtcg-3’
서열번호 3: 5’-cagaattcacgtgcgttaacgcatcg-3’
서열번호 4: 5’-ctactagtcaccttttgtaggcctga-3’
증폭된 2종의 프락토키나제 유전자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제한효소 EcoRI과 SpeI으로 처리하여 각각의 DNA 절편을 획득한 후 에세리키아와 코리네박테리움의 셔틀 벡터인 pECCG117 벡터의 EcoRⅠ, SpeⅠ부위에 연결하여 대장균 DH5α에 형질전환하고 카나마이신이 포함된 LB 고체배지에 도말하였다. PCR을 통해 유전자가 삽입된 벡터로 형질전환된 콜로니를 선별한 후 통상에 알려진 플라스미드 추출법을 이용하여 플라스미드를 획득하여 각각 pECCG117-cscK 및 pECCG117-mak 이라 명명하였다.
실시예 2: 프락토키나제 유전자의 라이신 생산 균주 도입 및 라이신 생산능 비교
전기펄스법을 통하여 L-라이신 생산균주인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KFCC10881를 pECCG117-cscK 혹은 pECCG117-mak 벡터로 형질전환하여 카나마이신 내성을 가지는 콜로니를 획득하였다.
2종의 에세리키아 유래 프락토키나제가 도입된 각각의 균주와 앞서 언급한 클로스트리디움 아세토부틸리쿰 (Clostridium acetylbutylicum) 유래의 프락토키나제인 CFK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0564805)가 도입된 균주를 함께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배양하여 라이신 생산능을 비교하였다.
종 배지 25 ml(카나마이신 25μl/ml 첨가)을 함유하는 250 ml 코너-바플 플라스크에 각 균주들을 접종하고, 30 ℃에서 20 시간 동안, 200 rpm으로 진탕 배양하였다. 이때, 종배지 (pH 7.0)의 조성은 다음과 같다: 원당 20g, 펩톤 10g, 효모추출물 10g, 요소 5g, KH2PO4 4g, K2HPO4 8g, MgSO4 7H2O 0.5g, 바이오틴 100㎍, 티아민 HCl 1000㎍ (공정수 1 리터 기준).
그런 다음, 생산 배지 24 ml (카나마이신 25μl/ml 첨가)을 함유하는 250 ml 코너-바플 플라스크에 1 ml의 종 배양액을 접종하고 30 ℃에서 72시간 동안, 200 rpm에서 진탕 배양하였다. 이때, 생산배지 (pH 7.0)의 조성은 다음과 같다: 원당 80g, 당밀 또는 전처리 당밀 (환원당으로서) 20g, 옥수수 침지액 (Corn Steep Liquor) 5g, (NH4)2SO4 40g, 요소 4g, KH2PO4 1g, NaCl 2.5g, MgSO4 7H2O 1g, FeSO4 7H2O 10mg, MnSO4 5H2O 10mg, 바이오틴 100㎍, 티아민 염산염 200㎍, CaCO3 40g, 필요시 L-루신 0.4g, 필요시 L-트레오닌 0.1g, 필요시 L-메티오닌 0.1g (공정수 1리터 기준).
끝으로, 배양을 종료한 다음, HPLC에 의해 L-라이신의 평균농도를 측정하였다(참조: 표 1).
프락토키나제 유전자의 도입에 따른 L-라이신의 농도비교(단위: g/L)
실험군 균주 L-라이신 평균농도
1 KFCC10881/pECCG117 32.9
2 KFCC10881/pECCG117-cscK 40.5
3 KFCC10881/pECCG117-mak 35.4
4 KFCC10881/pECCG-CFK 34.1
상기 표 1에서 실험군 1은 프락토키나제 유전자 없이 빈 벡터만 도입된 균주를 배양하고 이로부터 회수한 L-라이신의 평균농도를 나타내고, 실험군 2는 프락토키나제 유전자 cscK가 도입된 균주를 배양하고 이로부터 회수한 L-라이신의 평균농도를 나타내며, 실험군 3은 프락토키나제 유전자 mak가 도입된 균주를 배양하고 이로부터 회수한 L-라이신의 평균농도를 나타내고, 실험군 4는 종래의 프락토키나제 유전자인 CFK가 도입된 균주를 배양하고 이로부터 회수한 L-라이신의 평균농도를 나타낸다.
표 1의 결과에서 보듯이, 프락토키나제 유전자가 도입되지 않은 경우(실험군 1)에 비하여, 프락토키나제 유전자가 도입된 경우(실험군 2-4)에는 L-라이신의 평균농도가 증가하고, 프락토키나제 유전자 중에서도 cscK 또는 mak가 도입된 경우(실험군 2 및 3)에 종래의 프락토키나제 유전자가 도입된 경우(실험군 4) 보다도 높은 수준으로 L-라이신의 평균농도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종래의 프락토키나제 유전자 보다는 에세리키아 속 균주에서 유래된 프락토키나제 유전자를 사용함이 바람직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3: cscK 유전자의 프로모터 교체 및 염색체 도입용 재조합 벡터 제작
에세리키아 유래의 프락토키나제 유전자를 코리네박테리움의 염색체상에 삽입하기 위하여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에서의 트랜스포존 유전자가 삽입된 벡터 pDZTn 벡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2009-0107665)를 기본 벡터로 사용하였다. 2종의 에세리키아 유래 프락토키나제 유전자 중 라이신 생산능의 증가 효과가 더욱 뛰어난 cscK 유전자를 선택하였고, 코리네박테리움 유래의 강력한 프로모터를 cscK 유전자 개시코돈 상단에 연결하여 발현량의 증가를 유도하였다.
서열번호 17에 근거하여 ORF 부위만을 증폭할 수 있으며 5’말단에 NdeⅠ 제한효소 부위와 3’ 말단에 SpeⅠ 제한효소 부위를 가지도록 고안한 프라이머를 합성하고(서열번호 5와 6) 에세리키아 콜리 W 균주 (ATCC9637)의 염색체 DNA를 주형으로 한 PCR법을 통하여 약 900 bp의 cscK 유전자 ORF 부위를 증폭하였다. 이때, PCR법은 94℃에서 5분간 변성 후, 94℃/30초 변성, 56℃/30초 어닐링, 72℃/1분 중합을 30회 반복한 후, 72℃에서 7분간 중합반응시켜서 수행되었다.
서열번호 5: 5’-atgccatatgtcagccaaagtatg-3’
서열번호 6: 5’-atgcactagtattacctgcctgtcg-3’
코리네박테리움 암모니아게네스 유래의 pcj7 프로모터를 증폭할수 있으며 5’말단에 SpeⅠ 제한효소 부위와 3’말단에 NdeⅠ 제한효소 부위를 가지도록 고안한 프라이머 (서열번호 7 및 8)를 합성하고, 코리네박테리움 암모니아게네스 균주의 염색체 DNA를 주형으로 한 PCR법을 통하여 약 300 bp의 프로모터 부위를 증폭하였다. 이때, PCR법은 94℃에서 5분간 변성 후, 94℃/30초 변성, 56℃/30초 어닐링, 72℃/30초 중합을 30회 반복한 후, 72℃에서 7분간 중합반응시켜서 수행되었다.
서열번호 7: 5’-atgcactagtatagggagcgttgac-3’
서열번호 8: 5’-atgccatatgtgtttcctttcg-3’
또한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유래의 lysCP1 프로모터를 증폭할 수 있으며 5’말단에 SpeⅠ 제한효소 부위를 삽입한 프라이머와 3’말단에 NdeⅠ 제한효소 부위를 가지도록 고안한 프라이머 (서열번호 9 및 10)를 합성하고,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균주의 염색체 DNA를 주형으로 한 PCR법을 통하여 약 300 bp의 프로모터 부위를 증폭하였다. 이때, PCR법은 94℃에서 5분간 변성 후, 94℃/30초 변성, 56℃/30초 어닐링, 72℃/30초 중합을 30회 반복한 후, 72℃에서 7분간 중합반응시켜서 수행되었다.
서열번호 9: 5’-ttcatatgtgtgcacctttcgatcta-3’
서열번호 10: 5’-ttactagtgattgttaatgccgatgcta-3’
증폭된 프락토키나제 유전자 폴리뉴클레오티드와 프로모터 부위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제한효소 SpeI과 NdeI로 처리하여 각각의 DNA 절편을 획득하였다. pDZTn을 제한효소 SpeI으로 처리하여 얻은 DNA 절편에 각각의 프로모터와 cscK 유전자 부위 DNA 절편을 DNA 접합 효소를 이용해서 연결하여 pDZTn-pcj7_cscK (도 1), pDZTn-lysCP1_cscK (도 2) 벡터를 제조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발현벡터 pDZTn-pcj7_cscK의 유전자 지도를 나타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발현벡터 pDZTn-lysCP1_cscK의 유전자 지도를 나타낸다.
실시예 4: cscK 유전자 발현 증가 균주의 라이신 생산능 비교
상기 실시예 3에서 제조한 2종의 벡터 pDZTn-pcj7_cscK 및 pDZTn-lysCP1_cscK를 전기펄스법을 이용하여 L-라이신 생산균주인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KFCC10881에 각각 형질전환시키고, 염색체 상의 트랜스포존 부위에 프로모터가 치환된 프락토키나제 유전자를 갖는 균주를 선택적으로 분리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배양하고, 이로부터 회수된 L-라이신의 평균농도를 측정하였다(표 2).
프로모터의 도입에 따른 L-라이신의 농도비교(단위: g/L)
실험군 균주 L-라이신 평균농도
5 KFCC10881 33.2
6 KFCC10881::pcj7_cscK 42.1
7 KFCC10881::lysCP1_cscK 38.7
상기 표 2에서 실험군 5는 프락토키나제 유전자가 도입되지 않은 균주를 배양하고 이로부터 회수한 L-라이신의 평균농도를 나타내고, 실험군 6은 프로모터 pcj7와 연결된 프락토키나제 유전자 cscK가 도입된 균주를 배양하고 이로부터 회수한 L-라이신의 평균농도를 나타내며, 실험군 7은 프로모터 lysCP1와 연결된 프락토키나제 유전자 cscK가 도입된 균주를 배양하고 이로부터 회수한 L-라이신의 평균농도를 나타낸다.
표 2의 결과에서 보듯이, 프락토키나제 유전자가 도입되지 않은 경우(실험군 5)에 비하여, 프락토키나제 유전자가 도입된 경우(실험군 6 및 7)에는 L-라이신의 평균농도가 증가하고, 프락토키나제 유전자애 연결된 프로모터 중에서도 pcj7가 연결된 경우(실험군 6)에 다른 프로모터인 lysCP1가 연결된 경우(실험군 7) 보다도 높은 수준으로 L-라이신의 평균농도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에세리키아 속 균주에서 유래된 프락토키나제 유전자를 도입할 경우, pcj7 프로모터를 연결하여 사용함이 바람직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5: cscK 유전자 발현 증가 균주에서의 프락토즈 이용능 측정
본 실시예에서는 프락토키나제 유전자가 발현되도록 형질전환된 L-라이신 생산균주를 대상으로, 세포 내 프락토키나제 활성 증가와 동시에 프락토즈의 이용능이 증가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2에 명시된 방법을 통해 생장속도 및 당 이용성을 측정하였다. 배양시간에 따른 562nm에서의 흡광도와 배지 내 잔여 수크로즈 및 프락토즈의 양을 측정하였다(도 3).
도 3은 프락토키나제 유전자가 도입되어 형질전환된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균주를 배양하고, 배지내에 존재하는 수크로즈 및 프락토즈의 양을 정량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로서, A는 프락토키나제 유전자가 도입되지 않은 균주를 배양한 결과를 나타내고, B는 pcj7 프로모터가 연결된 종래의 프락토키나제 유전자 CFK가 도입된 균주를 배양한 결과를 나타내며, C는 pcj7 프로모터가 연결된 프락토키나제 유전자 cscK가 도입된 균주를 배양한 결과를 나타내고, D는 lysCP1 프로모터가 연결된 프락토키나제 유전자 cscK가 도입된 균주를 배양한 결과를 나타내며, 상기 A-D 에서 (●)는 OD562 측정값을 나타내고, (■)는 배지내에 잔류하는 수크로즈의 총량을 나타내며, (▲)는 배지내에 잔류하는 프락토즈의 총량을 나타낸다.
도 3에서 보듯이, KFCC10881(A) 및 KFCC10881::pcj7_CFK(B)를 도입한 균주에서는 배양이 진행됨에 따라 배지 내에 프락토즈가 균주간 상대적인 차이를 두고 일정량 축적되었다가 다시 소모되는 양상을 보인 반면, KFCC10881::pcj7_cscK(C) 및 KFCC10881::lysCP1_cscK(D)를 도입한 균주에서는 배양이 진행되는 동안 배지 내에서 프락토즈가 전혀 검출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한 프락토키나제 유전자에 의해 발현되는 프락토키나제는 배지에 존재하는 수크로즈를 세포내에서 분해하여 생성한 프락토즈를 모두 인산화시켜서, 해당과정에 이용되게 할 수 있으므로,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내의 프락토즈 대사에 있어서 에너지의 불필요한 소모를 방지할 수 있게 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6: cscK 유전자 발현 증가 균주에서의 프락토키나제 활성의 측정
본 실시예에서는 L-라이신 생산균주 염색체 상에서 코리네박테리움 유래의 강력한 발현유도활성을 갖는 프로모터에 의해, 프락토키나제 유전자가 세포 내에서 과발현되고, 당 효소활성이 존재하는지를 공지문헌에 기재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Microbiology (2002) 148:843-852). 균주를 LB 배지에서 하루 정도 배양한 다음, 원심분리하여 세포만을 획득하였다. 얻은 세포를 적당한 버퍼에 현탁한 뒤 초음파 파쇄법으로 세포를 파괴하고, 다시 고속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얻었다. 위 방법으로 얻어진 상등액을 프락토즈, 포스포글루코즈 이소머라제, 글루코즈-6-포스페이트 디히드로게나제, ATP 및 NADP+가 들어 있는 반응액과 반응시킨 후 생성되는 NADPH의 양을 파장 340 nm에서의 흡광도로 측정하여 간접적으로 프락토즈의 프락토즈 6-포스페이트로의 전환 정도를 계산하였다(표 3).
프로모터 또는 유전자의 도입에 따른 프락토키나제의 활성도 변화
실험군 균주 활성도a
8 KFCC10881 11.90
9 KFCC10881::pcj7_cscK 50.55
10 KFCC10881::lysCP1_cscK 42.06
11 KFCC10881::pcj7_CFK 23.32
a): nmol (생성된 프락토즈-6-포스페이트)/min/mg (단백질)
상기 표 3에서 실험군 8은 프락토키나제 유전자가 도입되지 않은 균주를 배양하고 이로부터 회수한 프락토키나제의 활성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고, 실험군 9는 프로모터 pcj7가 연결된 프락토키나제 유전자 cscK가 도입된 균주를 배양하고 이로부터 회수한 프락토키나제의 활성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며, 실험군 10은 프로모터 lysCP1이 연결된 프락토키나제 유전자 cscK가 도입된 균주를 배양하고 이로부터 회수한 프락토키나제의 활성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고, 실험군 11은 프로모터 pcj7가 연결된 종래의 프락토키나제 유전자인 CFK가 도입된 균주를 배양하고 이로부터 회수한 프락토키나제의 활성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표 3의 결과에서 보듯이, 프락토키나제 유전자가 도입되지 않은 경우(실험군 8)에 비하여, 프락토키나제 유전자가 도입된 경우(실험군 9-11)에는 프락토키나제의 활성도가 1.95 내지 4.24배 증가하고, 프락토키나제 유전자 중에서도 cscK가 도입된 경우(실험군 9 및 10)에 종래의 프락토키나제 유전자가 도입된 경우(실험군 11) 보다도 프락토키나제의 활성도가 1.80 내지 2.16배 증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종래의 프락토키나제 유전자 보다는 에세리키아 속 균주에서 유래된 프락토키나제 유전자를 사용함이 바람직함을 알 수 있었다.
상기 실시예 4-6의 결과에서 보듯이, 프로모터 pcj7가 연결된 프락토키나제 유전자 cscK가 도입된 균주는 모든 면에서 가장 우수한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는 바, 상기 pDZTn-pcj7_cscK를 형질전환하여 얻은 형질전환체(KFCC-10881-Pcj7_cscK)를 Corynebacterium glutamicum CA01-2012로 명명하고, 2011년 3월 28일자로 한국미생물보존센터(Korean Culture center of Microorganisms, 이하, “KCCM”으로 약칭함)에 수탁번호 KCCM11183P로 기탁하였다.
실시예 7: cscK 유전자 발현 증가 균주를 이용한 트레오닌 생산
본 실시예에서는 KFCC10881과 KFCC10881::pcj7_cscK 균주에 트레오닌 생합성 및 배출관련 유전자를 포함하고 있는 플라스미드 벡터 pECCG117-homthrBCE를 도입하여 트레오닌 생산능을 비교하였다. 플라스미드 벡터 pECCG117-homthrBCE의 제작 과정은 다음과 같다. 일본 KEGG 사이트(www.genome.jp/kegg/)로부터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ATCC13032의 트레오닌 생합성 유전자 hom-thrB (NCgl1136, 1137, 서열번호 19), thrC (NCgl2139, 서열번호 20) 및 배출유전자 thrE (NCgl2533, 서열번호 21) 염기서열을 획득한 후, 이에 근거하여 각각의 오페론 혹은 유전자를 PCR 증폭하기 위한 프라이머를 제작하였다. PCR 증폭에 사용한 주형은,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ATCC13032를 모균주로 NTG (N-methyl-N'-nitro-N-nitrosoguanidine)를 이용한 인공변이법을 통해 트레오닌 유사물질인 AHV (2-amino-3-hydroxy-valerate)에 대해 3 g/l 농도까지 내성을 부여한 균주로부터 추출한 염색체 DNA이다.
먼저, hom-thrB 오페론을 증폭하기 위하여 5'양쪽 말단에 XhoI 인식부위를 포함하고 있는 프라이머 (서열번호 11 및 12)를 사용하였으며, PCR 후 최종적으로 3 kb의 DNA 단편을 획득하였다. 이때, PCR법은 94℃에서 5분간 변성 후, 94℃/30초 변성, 56℃/30초 어닐링, 72℃/3분 중합을 30회 반복한 후, 72℃에서 7분간 중합반응시켜서 수행되었다. DNA 단편을 XhoI으로 절단한 다음, 동 제한효소로 절단한 후 탈인산화한 플라스미드 벡터 pECCG117에 연결하여 pECCG117-homthrB 벡터를 제작하였다.
서열번호 11: 5’-ttcctcgaggaggggaacttgatcagagga-3’
서열번호 12: 5’-ttcctcgagctacacagctgcccatttgtg-3’
thrC 유전자의 경우, 5'양쪽 말단에 SalI 인식부위를 포함하고 있는 프라이머 (서열번호 13 및 14)를 사용하였으며, PCR 후 최종적으로 2.1 kb의 DNA 단편을 획득하였다. 이때, PCR법은 94℃에서 5분간 변성 후, 94℃/30초 변성, 56℃/30초 어닐링, 72℃/2분 중합을 30회 반복한 후, 72℃에서 7분간 중합반응시켜서 수행되었다. DNA 단편을 SalI으로 절단한 다음, 동 제한효소로 절단 한 후 탈인산화한 플라스미드 벡터 pECCG117-homthrB에 클로닝하여 pECCG117-homthrBC 벡터를 제작하였다.
서열번호 13: 5’-ttcgtcgacgattaaggatttcaactgcgg-3’
서열번호 14: 5’-ttcgtcgacgcaacgagcaattccgagagc-3’
thrE 유전자의 경우, 5'양쪽 말단에 BamHI 인식부위를 포함하고 있는 프라이머(서열번호 15 및 16)를 사용하였으며, PCR 후 최종적으로 2.5 kb의 DNA 단편을 획득하였다. 이때, PCR법은 94℃에서 5분간 변성 후, 94℃/30초 변성, 56℃/30초 어닐링, 72℃/1분 중합을 30회 반복한 후, 72℃에서 3분간 중합반응시켜서 수행되었다. DNA 단편을 BamHI으로 절단한 후, 동 제한효소로 절단 한 후, 탈인산화한 플라스미드 벡터 pECCG117-homthrBC에 클로닝하여 pECCG117-homthrBCE 벡터 (도 4)를 제작하였다. 도 4는 본 발명의 발현벡터 pECCG117-homthrBCE의 유전자 지도를 나타낸다.
서열번호 15: 5’-atcggatccaagatctagtcatcaatc-3’
서열번호 16: 5’-cggcaaggatcctcctgagtg-3’
상기의 벡터 pECCG117-homthrBCE를 전기펄스법을 이용하여 각각 L-라이신 생산균주인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KFCC10881 또는 KFCC10881::pcj7_cscK 균주에 도입한 후, 실시예 2에 명시된 방법으로 배양함으로써 cscK 유전자의 유무에 따른 L-트레오닌 생산량을 분석하였다(표 4).
프락토키나제 유전자의 도입에 따른 L-트레오닌의 평균농도 비교(단위: g/L)
실험군 균주 L-트레오닌의 평균농도
12 KFCC10881/pECCG117-homthrBCE 12.2
13 KFCC10881::pcj7_cscK/pECCG117-homthrBCE 14.0
상기 표 4에서 실험군 12는 프락토키나제 유전자가 도입되지 않은 균주를 배양하고 이로부터 회수한 L-트레오닌의 평균농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고, 실험군 13은 프로모터 pcj7가 연결된 프락토키나제 유전자 cscK가 도입된 균주를 배양하고 이로부터 회수한 L-트레오닌의 평균농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표 4의 결과에서 보듯이, 프락토키나제 유전자가 도입되지 않은 경우(실험군 12)에 비하여, 프락토키나제 유전자가 도입된 경우(실험군 13)에는 L-트레오닌의 농도가 증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L-트레오닌의 제조시에도, 에세리키아 속 균주에서 유래된 프락토키나제 유전자가 도입된 균주를 사용함이 바람직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8: cscK 유전자 발현 증가 균주의 글루타메이트 생산능 비교
본 실시예에서는 글루타메이트 생산 균주의 염색체 상에 cscK 유전자를 삽입한 균주를 제작하고 글루타메이트 생산능을 비교하였다. pDZTn-pcj7_cscK 벡터를 전기펄스법을 이용하여 글루타메이트 생산균주인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KTCC10774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0824457) 균주에 형질전환시키고, 염색체 상의 트랜스포존 부위에 프락토키나제 유전자가 삽입된 균주를 선택적으로 분리하였다.
종배지 25 ml을 함유하는 250 ml 코너-바플 플라스크에 균주를 접종용 루프로 한 루프 접종하고, 30 ℃에서 20 시간 동안, 220 rpm으로 진탕 배양하였다. 이때, 종배지(pH 7.0)의 조성은 다음과 같다: 원당 20g, 펩톤 10g, 효모추출물 10g, 요소 5g, KH2PO4 4g, K2HPO4 8g, MgSO4 7H2O 0.5g, 바이오틴 100㎍, 티아민 HCl 1000㎍ (공정수 1 리터 기준).
이어, 생산 배지 25 ml을 함유하는 250 ml 코너-바플 플라스크에 1 ml의 종 배양액을 접종하고 30 ℃에서 40시간 동안, 220 rpm에서 진탕 배양하였다. 이때, 생산배지(pH 7.1)의 조성은 다음과 같다: 원당 30g, 당밀 또는 전처리 당밀 (환원당으로서) 10g, MgSO4 7H2O 0.4g, KH2PO4 1g, (NH4)2SO4 3g, FeSO4 7H2O 10mg, MnSO4 5H2O 10mg, 비오틴 500㎍, 티아민 염산염 2mg, 요소 1g (공정수 1리터 기준).
끝으로, 배양을 종료한 다음, HPLC에 의해 L-글루타메이트의 생산량을 측정하였다(표 5).
프락토키나제 유전자의 도입에 따른 L-글루타메이트의 평균농도 비교(단위: g/L)
실험군 균주 L-글루타메이트의 평균농도
14 KFCC10774 11.2
15 KFCC10774::pcj7_cscK 15.8
상기 표 5에서 실험군 14는 프락토키나제 유전자가 도입되지 않은 균주를 배양하고 이로부터 회수한 L-글루타메이트의 평균농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고, 실험군 15는 프로모터 pcj7가 연결된 프락토키나제 유전자 cscK가 도입된 균주를 배양하고 이로부터 회수한 L-글루타메이트의 평균농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표 5의 결과에서 보듯이, 프락토키나제 유전자가 도입되지 않은 경우(실험군 14)에 비하여, 프락토키나제 유전자가 도입된 경우(실험군 15)에는 L-글루타메이트의 농도가 증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L-글루타메이트의 제조시에도, 에세리키아 속 균주에서 유래된 프락토키나제 유전자가 도입된 균주를 사용함이 바람직함을 알 수 있었다.
한국미생물보존센터(국외) KCCM11183P 20110328
<110> CJ CheilJedang Corporation <120> Corynebaterium sp. Transformed with a Fructokinase Gene Derived from Escherichia sp. And Process for Preparing L-amino acid using the same <130> PA110179/KR <160> 21 <170> KopatentIn 1.71 <210> 1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1 gcgaattcga aaatggggat aga 23 <210> 2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2 gcactagtat tacctgcctg tcg 23 <210> 3 <211> 2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3 cagaattcac gtgcgttaac gcatcg 26 <210> 4 <211> 2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4 ctactagtca ccttttgtag gcctga 26 <210> 5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5 atgccatatg tcagccaaag tatg 24 <210> 6 <211> 2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6 atgcactagt attacctgcc tgtcg 25 <210> 7 <211> 2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7 atgcactagt atagggagcg ttgac 25 <210> 8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8 atgccatatg tgtttccttt cg 22 <210> 9 <211> 2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9 ttcatatgtg tgcacctttc gatcta 26 <210> 10 <211> 2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10 ttactagtga ttgttaatgc cgatgcta 28 <210> 11 <211> 3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11 ttcctcgagg aggggaactt gatcagagga 30 <210> 12 <211> 3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12 ttcctcgagc tacacagctg cccatttgtg 30 <210> 13 <211> 3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13 ttcgtcgacg attaaggatt tcaactgcgg 30 <210> 14 <211> 3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14 ttcgtcgacg caacgagcaa ttccgagagc 30 <210> 15 <211> 27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15 atcggatcca agatctagtc atcaatc 27 <210> 16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16 cggcaaggat cctcctgagt g 21 <210> 17 <211> 1285 <212> DNA <213> cscK <400> 17 gaaaatgggg atagaaagtg ttaccccggt gctcatgaag ttttgctagt gcgttttgcg 60 ccgcatgcaa tcgagtttgc gtcattttaa tcatccaggt taagcaaatt tggtgaattg 120 ttaacgttaa cttttataaa aataaagtcc cttactttca taaatgcgat gaacatcaca 180 aatgttaacg ttaactatga cgttttgtga tcgaatatgc atgttttagt aaatccatga 240 cgattttgcg aaaaagaggt ttatcactat gcgtaagtca gatgaattta agggaaaaaa 300 atgtcagcca aagtatgggt tttaggggat gcggtcgtag atctcttgcc agaatcagac 360 gggcggctac tgccttgtcc tggcggcgcg ccagctaacg ttgcggtggg aatcgccaga 420 ttaggcggaa taagtgggtt tataggtcgg gtcggtgatg atccttttgg ggcgttaatg 480 caaagaacgc tgctaactga gggagtcgat atcacgtatc tgaagcaaga tgaatggcac 540 cggacatcca cggtgcttgt cgatctgaac gatcaagggg aacgttcatt tacgtttatg 600 gtccgcccca gtgccgatct ttttttagag acgacagact tgccctgctg gcgacatggc 660 gaatggttac atctctgttc aattgcgttg tctgccgagc cttcgcgtac cagcgcattt 720 actgcgatga cggcgatccg gcatgccgga ggttttgtca gcttcgatcc taatattcgt 780 gaagatctat ggcaagacga gcatttgctc cgcttgtgtt tgcggcaggc gctacaactg 840 gcggatgtcg tcaagctctc ggaagaagaa tggcgactta tcagtggaaa aacacagaac 900 gatcgggata tatgcgccct ggcaaaagag tatgagatcg ccatgctgtt ggtgactaaa 960 ggtgcagaag gtgtggtggt ctgttatcga ggacaagttc accattttgc tggaatgtct 1020 gtgaattgtg tcgatagcac gggggcggga gatgcgttcg ttgccgggtt actcacaggt 1080 ctgtcctcta cgggattatc tacagatgag agagaaatgc gacgaattat cgatctcgct 1140 caacgttgcg gagcgcttgc agtaacggcg aaaggggcaa tgacagcgct gccatgtcga 1200 caagaactgg aatagtgaga agtaaacggc gaagtcgctc ttatctctaa ataggacgtg 1260 aattttttaa cgacaggcag gtaat 1285 <210> 18 <211> 1279 <212> DNA <213> mak <400> 18 acgtgcgtta acgcatcgct gtgcgatccc atcggaggaa cccagcccat cttcgccatg 60 tcctggctgc cgcatggggt aaatgccatc gaggctagct gtttttccat ctcttctgca 120 cgcagcgaaa tctcgcggct aagacggtaa accattaaat ttttgaacca cagcatgata 180 atttccacgg ccttgtcgtt aaatttagcg ggcatgataa cgaattgtcg gcggccttgc 240 attgccaatc cggttgtccg tctctacgct attgatattg aaaaaaataa ggagagtcat 300 atgcgtatag gtatcgattt aggcggcacc aaaactgaag tgattgcact gggcgatgca 360 ggggagcagt tgtaccgcca tcgtctgccc acgccgcgtg atgattaccg gcagactatt 420 gaaacgatcg ccacgttggt tgatatggcg gagcaggcga cggggcagcg cggaacggta 480 ggtatgggca ttcctggctc aatttcgcct tacaccggtg tggtgaagaa tgccaattca 540 acctggctca acggtcagcc attcgataaa gacttaagcg cgaggttgca gcgggaagtg 600 cggctggcaa atgacgctaa ctgtctggcg gtttcagaag cagtagatgg cgcggcagcg 660 ggagcgcaga cggtatttgc cgtgattatc ggcacgggat gcggcgcggg cgtggcattc 720 aatgggcggg cgcatatcgg cggcaatggc acggcaggtg agtggggaca caatccgcta 780 ccgtggatgg acgaagacga actgcgttat cgcgaggaag tcccttgtta ttgcggtaaa 840 caaggttgta ttgaaacctt tatttcgggc acgggattcg cgatggatta tcgtcgtttg 900 agcggacatg cgctgaaagg cagtgaaatt atccgcctgg ttgaagaaag cgatccggta 960 gcggaactgg cattgcgtcg ctacgagctg cggctggcaa aatcgctggc acatgtcgtg 1020 aatattctcg atccggatgt gattgtcctg gggggcggga tgagcaatgt agaccgttta 1080 tatcaaacgg ttgggcagtt gattaaacaa tttgtcttcg gcggcgaatg tgaaacgccg 1140 gtgcgtaagg cgaagcacgg tgattccagc ggcgtacgcg gcgctgcgtg gttatggcca 1200 caagagtaaa aaacgtaggc aattggcgca tcatgcctga tgcgacgctt gccgcgtctt 1260 atcaggccta caaaaggtg 1279 <210> 19 <211> 3240 <212> DNA <213> hom-thrB <400> 19 gaggggaact tgatcagagg aatacaccat ggagccgatg tcagaggcga ctgcgggcag 60 atccttttga agctgtttca caatttcttt gcccagttcg cggcggatct ggaaccactt 120 ttgcatgcga tcgtcgtcag agtggttcat gtgaaaaata cactcaccat ctcaatggtc 180 atggtgaagg cctgtactgg ctgcgacagc atggaactca gtgcaatggc tgtaaggcct 240 gcaccaacaa tgattgagcg aagctccaaa atgtcctccc cgggttgata ttagatttca 300 taaatatact aaaaatcttg agagtttttc cgttgaaaac taaaaagctg ggaaggtgaa 360 tcgaatttcg gggctttaaa gcaaaaatga acagcttggt ctatagtggc taggtaccct 420 ttttgttttg gacacatgta gggtggccga aacaaagtaa taggacaaca acgctcgacc 480 gcgattattt ttggagaatc atgacctcag catctgcccc aagctttaac cccggcaagg 540 gtcccggctc agcagtcgga attgcccttt taggattcgg aacagtcggc actgaggtga 600 tgcgtctgat gaccgagtac ggtgatgaac ttgcgcaccg cattggtggc ccactggagg 660 ttcgtggcat tgctgtttct gatatctcaa agccacgtga aggcgttgca cctgagctgc 720 tcactgagga cgcttttgca ctcatcgagc gcgaggatgt tgacatcgtc gttgaggtta 780 tcggcggcat tgagtaccca cgtgaggtag ttctcgcagc tctgaaggcc ggcaagtctg 840 ttgttaccgc caataaggct cttgttgcag ctcactctgc tgagcttgct gatgcagcgg 900 aagccgcaaa cgttgacctg tacttcgagg ctgctgttgc aggcgcaatt ccagtggttg 960 gcccactgcg tcgctccctg gctggcgatc agatccagtc tgtgatgggc atcgttaacg 1020 gcaccaccaa cttcatcttg gacgccatgg attccaccgg cgctgactat gcagattctt 1080 tggctgaggc aactcgtttg ggttacgccg aagctgatcc aactgcagac gtcgaaggcc 1140 atgacgccgc atccaaggct gcaattttgg catccatcgc tttccacacc cgtgttaccg 1200 cggatgatgt gtactgcgaa ggtatcagca acatcagcgc tgccgacatt gaggcagcac 1260 agcaggcagg ccacaccatc aagttgttgg ccatctgtga gaagttcacc aacaaggaag 1320 gaaagtcggc tatttctgct cgcgtgcacc cgactctatt acctgtgtcc cacccactgg 1380 cgtcggtaaa caagtccttt aatgcaatct ttgttgaagc agaagcagct ggtcgcctga 1440 tgttctacgg aaacggtgca ggtggcgcgc caaccgcgtc tgctgtgctt ggcgacgtcg 1500 ttggtgccgc acgaaacaag gtgcacggtg gccgtgctcc aggtgagtcc acctacgcta 1560 acctgccgat cgctgatttc ggtgagacca ccactcgtta ccacctcgac atggatgtgg 1620 aagatcgcgt gggggttttg gctgaattgg ctagcctgtt ctctgagcaa ggaatctccc 1680 tgcgtacaat ccgacaggaa gagcgcgatg atgatgcacg tctgatcgtg gtcacccact 1740 ctgcgctgga atctgatctt tcccgcaccg ttgaactgct gaaggctaag cctgttgtta 1800 aggcaatcaa cagtgtgatc cgcctcgaaa gggactaatt ttactgacat ggcaattgaa 1860 ctgaacgtcg gtcgtaaggt taccgtcacg gtacctggat cttctgcaaa cctcggacct 1920 ggctttgaca ctttaggttt ggcactgtcg gtatacgaca ctgtcgaagt ggaaattatt 1980 ccatctggct tggaagtgga agtttttggc gaaggccaag gcgaagtccc tcttgatggc 2040 tcccacctgg tggttaaagc tattcgtgct ggcctgaagg cagctgacgc tgaagttcct 2100 ggattgcgag tggtgtgcca caacaacatt ccgcagtctc gtggtcttgg ctcctctgct 2160 gcagcggcgg ttgctggtgt tgctgcagct aatggtttgg cggatttccc gctgactcaa 2220 gagcagattg ttcagttgtc ctctgccttt gaaggccacc cagataatgc tgcggcttct 2280 gtgctgggtg gagcagtggt gtcgtggaca aatctgtcta tcgacggcaa gagccagcca 2340 cagtatgctg ctgtaccact tgaggtgcag gacaatattc gtgcgactgc gctggttcct 2400 aatttccacg catccaccga agctgtgcgc cgagtccttc ccactgaagt cactcacatc 2460 gatgcgcgat ttaacgtgtc ccgcgttgca gtgatgatcg ttgcgttgca gcagcgtcct 2520 gatttgctgt gggagggtac tcgtgaccgt ctgcaccagc cttatcgtgc agaagtgttg 2580 cctattacct ctgagtgggt aaaccgcctg cgcaaccgtg gctacgcggc atacctttcc 2640 ggtgccggcc caaccgccat ggtgctgtcc actgagccaa ttccagacaa ggttttggaa 2700 gatgctcgtg agtctggcat taaggtgctt gagcttgagg ttgcgggacc agtcaaggtt 2760 gaagttaacc aaccttaggc ccaacaagga aggccccctt cgaatcaaga agggggcctt 2820 attagtgcag caattattcg ctgaacacgt gaaccttaca ggtgcccggc gcgttgagtg 2880 gtttgagttc cagctggatg cggttgtttt caccgaggct ttcttggatg aatccggcgt 2940 ggatggcgca gacgaaggct gatgggcgtt tgtcgttgac cacaaatggg cagctgtgta 3000 gagcgaggga gtttgcttct tcggtttcgg tggggtcaaa gcccatttcg cggaggcggt 3060 taatgagcgg ggagagggct tcgtcgagtt cttcggcttc ggcgtggtta atgcccatga 3120 cgtgtgccca ctgggttccg atggaaagtg ctttggcgcg gaggtcgggg ttgtgcattg 3180 cgtcatcgtc gacatcgccg agcatgttgg ccatgagttc gatcagggtg atgtattctt 3240 3240 <210> 20 <211> 2446 <212> DNA <213> thrC <400> 20 gccgttgatc attgttcttc acagaggatc agggtagccc tcttacagga aaatatggga 60 ctttgattcc caatccatgg ctaagtgtga tcatttagat aattgttcga tcgaccgaat 120 gaaatcaccc gttatggaga cctactggaa ttgagcccag aaaccgtcga tgtgtgcctc 180 aacgtagggg taaagccacg gcccgagcag caccagcccg accgcgagca ccgaacaacc 240 aatgagaaca tacaggttcc acttggacac cggcgctgga ttaaggattt caactgcggt 300 gagattcttc ttgttgttgt cctcgagttt cgagaagctg gggtaatcgg gagctgtcat 360 ctttaaagca catcctaaaa ccgacaattg aaagtgatca gcaacacttt agggtatcgc 420 gtgggcgaag tcaccttttt caacatattt gagacggtgt gggggagtat tgtgtcaccc 480 cttgggatag ggttatatcc gtggactaca tttcgacgcg tgatgccagc cgtacccctg 540 cccgcttcag tgatattttg ctgggcggtc tagcaccaga cggcggcctg tacctgcctg 600 caacctaccc tcaactagat gatgcccagc tgagtaaatg gcgtgaggta ttagccaacg 660 aaggatacgc agctttggct gctgaagtta tctccctgtt tgttgatgac atcccagtag 720 aagacatcaa ggcgatcacc gcacgcgcct acacctaccc gaagttcaac agcgaagaca 780 tcgttcctgt caccgaactc gaggacaaca tttacctggg ccacctttcc gaaggcccaa 840 ccgctgcatt caaagacatg gccatgcagc tgctcggcga acttttcgaa tacgagcttc 900 gccgccgcaa cgaaaccatc aacatcctgg gcgctacctc tggcgatacc ggctcctctg 960 cggaatacgc catgcgcggc cgcgagggaa tccgcgtatt catgctgacc ccagctggcc 1020 gcatgacccc attccagcaa gcacagatgt ttggccttga cgatccaaac atcttcaaca 1080 tcgccctcga cggcgttttc gacgattgcc aagacgtagt caaggctgtc tccgccgacg 1140 cagaattcaa aaaagacaac cgcatcggtg ccgtgaactc catcaactgg gcacgcctta 1200 tggcacaggt tgtgtactac gtttcctcat ggatccgcac cacaaccagc aatgaccaaa 1260 aggtcagctt ctccgtacca accggcaact tcggtgacat ttgcgcaggc cacatcgccc 1320 gccaaatggg acttcccatc gatcgcctca tcgtggccac caacgaaaac gatgtgctcg 1380 acgagttctt ccgtaccggc gactaccgag tccgcagctc cgcagacacc cacgagacct 1440 cctcaccttc gatggatatc tcccgcgcct ccaacttcga gcgtttcatc ttcgacctgc 1500 tcggccgcga cgccacccgc gtcaacgatc tatttggtac ccaggttcgc caaggcggat 1560 tctcactggc tgatgacgcc aactttgaga aggctgcagc agaatacggt ttcgcctccg 1620 gacgatccac ccatgctgac cgtgtggcaa ccatcgctga cgtgcattcc cgcctcgacg 1680 tactaatcga tccccacacc gccgacggcg ttcacgtggc acgccagtgg agggacgagg 1740 tcaacacccc aatcatcgtc ctagaaactg cactcccagt gaaatttgcc gacaccatcg 1800 tcgaagcaat tggtgaagca cctcaaactc cagagcgttt cgccgcgatc atggatgctc 1860 cattcaaggt ttccgaccta ccaaacgaca ccgatgcagt taagcagtac atagtcgatg 1920 cgattgcaaa cacttccgtg aagtaacttg ctttacgcca aggcctgatt cctctcttta 1980 tgggatggaa ccaggccttt cgcattgagt ggcgttttaa ggcctccaat tcttagaacg 2040 ggtgtttgac atggaggggt cacagtcaag ccgttagaag cgattctggg agggcaagtt 2100 tttcggagtt ggaggtcgaa tttccgctga actgatggga accagacagg cgtgacaaga 2160 ttggctaaaa acctgaagtt ttgtcacgcc tgtctggttt ccctcttgtc ggtgcgagcg 2220 agtcccttga acgacacaga tcgcgccaaa tggaagtgtc tgcgacccca gaatatttga 2280 ttccccggtc cgagtcgtgc gaaaaatgct ctggttagtc ctcgatcatc gcaatcgcat 2340 caatttccac agttgcacca taaggaagcg atgatgcacc cacgaaagag cgtgccgggc 2400 ggccttcgag gaaatgctct cggaattgct cgttgcattc ttcgcg 2446 <210> 21 <211> 2470 <212> DNA <213> thrE <400> 21 cagcaagatc tagtcatcaa tctggtcaac gaatttaagg agcttaattt gaacacgcca 60 tatgaaaagt gactaatttc aacccaaacg ggagcctaag tgaaatgaaa taatcccctc 120 accaactggc gacattcaaa caccgtttca tttccaaaca tcgagccaag ggaaaagaaa 180 gcccctaagc cccgtgttat taaatggaga ctttttggag acctcaagcc aaaaaggggc 240 attttcatta agaaaatacc cctttgacct ggtgttattg agctggagaa gagacttgaa 300 ctctcaacct acgcattaca agtgcgttgc gctgccaatt gcgccactcc agcaccgcag 360 atgctgatga tcaacaacta cgaatacgta tcttagcgta tgtgtacatc acaatggaat 420 tcggggctag agtatctggt gaaccgtgca taaacgacct gtgattggac tctttttcct 480 tgcaaaatgt tttccagcgg atgttgagtt ttgcgaccct tcgtggccgc atttcaacag 540 ttgacgctgc aaaagccgca cctccgccat cgccactagc cccgattgat ctcactgacc 600 atagtcaagt ggccggtgtg atgaatttgg ctgcgagaat tggcgatatt ttgctttctt 660 caggtacgtc aaatagtgac accaaggtac aagttcgagc agtgacctct gcgtacggtt 720 tgtactacac gcacgtggat atcacgttga atacgatcac catcttcacc aacatcggtg 780 tggagaggaa gatgccggtc aacgtgtttc atgttgtagg caagttggac accaacttct 840 ccaaactgtc tgaggttgac cgtttgatcc gttccattca ggctggtgcg accccgcctg 900 aggttgccga gaaaatcctg gacgagttgg agcaatcccc tgcgtcttat ggtttccctg 960 ttgcgttgct tggctgggca atgatgggtg gtgctgttgc tgtgctgttg ggtggtggat 1020 ggcaggtttc cctaattgct tttattaccg cgttcacgat cattgccacg acgtcatttt 1080 tgggaaagaa gggtttgcct actttcttcc aaaatgttgt tggtggtttt attgccacgc 1140 tgcctgcatc gattgcttat tctttggcgt tgcaatttgg tcttgagatc aaaccgagcc 1200 agatcatcgc atctggaatt gttgtgctgt tggcaggttt gacactcgtg caatctctgc 1260 aggacggcat cacgggcgct ccggtgacag caagtgcacg atttttcgaa acactcctgt 1320 ttaccggcgg cattgttgct ggcgtgggtt tgggcattca gctttctgaa atcttgcatg 1380 tcatgttgcc tgccatggag tccgctgcag cacctaatta ttcgtctaca ttcgcccgca 1440 ttatcgctgg tggcgtcacc gcagcggcct tcgcagtggg ttgttacgcg gagtggtcct 1500 cggtgattat tgcggggctt actgcgctga tgggttctgc gttttattac ctcttcgttg 1560 tttatttagg ccccgtctct gccgctgcga ttgctgcaac agcagttggt ttcactggtg 1620 gtttgcttgc ccgtcgattc ttgattccac cgttgattgt ggcgattgcc ggcatcacac 1680 caatgcttcc aggtctagca atttaccgcg gaatgtacgc caccctgaat gatcaaacac 1740 tcatgggttt caccaacatt gcggttgctt tagccactgc ttcatcactt gccgctggcg 1800 tggttttggg tgagtggatt gcccgcaggc tacgtcgtcc accacgcttc aacccatacc 1860 gtgcatttac caaggcgaat gagttctcct tccaggagga agctgagcag aatcagcgcc 1920 ggcagagaaa acgtccaaag actaatcaga gattcggtaa taaaaggtaa aaatcaacct 1980 gcttaggcgt ctttcgctta aatagcgtag aatatcgggt cgatcgcttt taaacactca 2040 ggaggatcct tgccggccaa aatcacggac actcgtccca ccccagaatc ccttcacgct 2100 gttgaagagg aaaccgcagc cggtgcccgc aggattgttg ccacctattc taaggacttc 2160 ttcgacggcg tcactttgat gtgcatgctc ggcgttgaac ctcagggcct gcgttacacc 2220 aaggtcgctt ctgaacacga ggaagctcag ccaaagaagg ctacaaagcg gactcgtaag 2280 gcaccagcta agaaggctgc tgctaagaaa acgaccaaga agaccactaa gaaaactact 2340 aaaaagacca ccgcaaagaa gaccacaaag aagtcttaag ccggatctta tatggatgat 2400 tccaatagct ttgtagttgt tgctaaccgt ctgccagtgg atatgactgt ccacccagat 2460 ggtagctata 2470

Claims (16)

  1. 에세리키아 속 균주에서 유래된 프락토키나제 유전자가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유전자 발현단위를 포함하는 L-아미노산 생산용 코리네박테리움 속 균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락토키나제 유전자는 cscK 또는 mak인 L-아미노산 생산용 코리네박테리움 속 균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락토키나제 유전자는 서열번호 17 또는 서열번호 18의 뉴클레오티드 서열을 갖는 것인 L-아미노산 생산용 코리네박테리움 속 균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자 발현단위는 벡터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코리네박테리움 미생물에 형질도입되어 포함되거나 상기 코리네박테리움 미생물의 염색체 내에 삽입되어 포함되는 것인 L-아미노산 생산용 코리네박테리움 속 균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자는 개시코돈의 상류에 연결된 프로모터에 의해 과발현되는 것인 L-아미노산 생산용 코리네박테리움 속 균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모터는 cscK 프로모터, mak 프로모터, pcj7 프로모터, lysCP1 프로모터, EF-Tu 프로모터, groEL 프로모터 및 aceAB 프로모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L-아미노산 생산용 코리네박테리움 속 균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아미노산은 L-라이신, L-트레오닌 또는 L-글루타메이트인 것인 L-아미노산 생산용 코리네박테리움 속 균주.
  8. 제1항에 있어서,
    트레오닌 생합성 및 배출관련 유전자를 포함하고 있는 벡터를 추가로 형질전환시킨 것인 L-아미노산 생산용 코리네박테리움 속 균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오닌 생합성 관련 유전자는 hom-thrB 또는 hom-thrC 이고, 트레오닌 배출 관련 유전자는 hom-thrE인 것인 L-아미노산 생산용 코리네박테리움 속 균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리네박테리움 속 균주는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Corynebacterium glutamicum), 코리네박테리움 써모아미노게네스(Corynebacterium thermoaminogenes), 브리비박테리움 플라붐(Brevibacterium flavum), 및 브리비박테리움 락토페르멘툼(Brevibacterium fermentum)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L-아미노산 생산용 코리네박테리움 속 균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코리네박테리움 속 균주는 L-라이신 생산균주인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KFCC10881인 것인 L-아미노산 생산용 코리네박테리움 속 균주.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코리네박테리움 속 균주는 글루타메이트 생산균주인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KTCC10774인 것인 L-아미노산 생산용 코리네박테리움 속 균주.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형질전환 균주는 수탁번호 KCCM11183P인 L-아미노산 생산용 코리네박테리움 속 균주.
  14. (i)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의 코리네박테리움 속 균주를 배양하는 단계; 및,
    (ii) 상기 배양물로부터 L-아미노산을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L-아미노산의 제조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L-아미노산은 L-라이신, L-트레오닌 또는 L-글루타메이트인 것인 L-아미노산의 제조방법.
  16. (i)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의 코리네박테리움 속 균주를 수크로즈를 탄소원으로 포함하는 배지에서 배양하는 단계; 및,
    (ii) 상기 배양물로부터 L-아미노산을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L-아미노산의 제조방법.
KR1020110030392A 2011-04-01 2011-04-01 에세리키아 속 균주에서 유래된 프락토키나제 유전자가 도입된 코리네박테리움 속 균주 및 상기 균주를 이용하여 l-아미노산을 생산하는 방법 KR1012949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0392A KR101294935B1 (ko) 2011-04-01 2011-04-01 에세리키아 속 균주에서 유래된 프락토키나제 유전자가 도입된 코리네박테리움 속 균주 및 상기 균주를 이용하여 l-아미노산을 생산하는 방법
BR112013025358-4A BR112013025358B1 (pt) 2011-04-01 2012-04-02 corynebacterium sp. transformada com um gene de frutoquinase de escherichia sp. e método para a preparação de l-aminoácidos usando o mesmo
CN201611102490.1A CN106867951A (zh) 2011-04-01 2012-04-02 用来源于埃希氏菌的果糖激酶基因转化的棒杆菌及使用该棒杆菌制备l‑氨基酸的方法
JP2014502487A JP5814459B2 (ja) 2011-04-01 2012-04-02 エシェリキア属菌株に由来するフルクトキナーゼ遺伝子が導入されたコリネバクテリウム属菌株、及び該菌株を用いてl−アミノ酸を生産する方法。
CN2012800163031A CN103476922A (zh) 2011-04-01 2012-04-02 用来源于埃希氏菌(Escherichia sp.)的果糖激酶基因转化的棒杆菌(Corynebacterium sp.)及使用该棒杆菌制备L-氨基酸的方法
PCT/KR2012/002474 WO2012134253A2 (en) 2011-04-01 2012-04-02 Corynebacterium sp. transformed with a fructokinase gene derived from escherichia sp. and process for preparing l-amino acid using the same
US14/007,941 US9267161B2 (en) 2011-04-01 2012-04-02 Corynebacterium sp. transformed with a fructokinase gene derived from Escherichia sp. and process for preparing L-amino acid using the same
EP12764461.5A EP2694638B1 (en) 2011-04-01 2012-04-02 Corynebacterium sp. transformed with a fructokinase gene derived from escherichia sp. and process for preparing l-amino acid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0392A KR101294935B1 (ko) 2011-04-01 2011-04-01 에세리키아 속 균주에서 유래된 프락토키나제 유전자가 도입된 코리네박테리움 속 균주 및 상기 균주를 이용하여 l-아미노산을 생산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1807A true KR20120111807A (ko) 2012-10-11
KR101294935B1 KR101294935B1 (ko) 2013-08-08

Family

ID=46932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0392A KR101294935B1 (ko) 2011-04-01 2011-04-01 에세리키아 속 균주에서 유래된 프락토키나제 유전자가 도입된 코리네박테리움 속 균주 및 상기 균주를 이용하여 l-아미노산을 생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267161B2 (ko)
EP (1) EP2694638B1 (ko)
JP (1) JP5814459B2 (ko)
KR (1) KR101294935B1 (ko)
CN (2) CN106867951A (ko)
BR (1) BR112013025358B1 (ko)
WO (1) WO2012134253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91467A1 (ko) * 2021-03-08 2022-09-15 씨제이제일제당 (주) L-아미노산을 생산하는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l-아미노산의 생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18346A (zh) * 2015-04-29 2015-08-05 宁夏诚志万胜生物工程有限公司 一种高产酸量l-精氨酸发酵过程的调控方法
JP7066977B2 (ja) * 2017-04-03 2022-05-16 味の素株式会社 L-アミノ酸の製造法
WO2024094481A1 (en) 2022-11-03 2024-05-10 Evonik Operations Gmbh Improved biotechnological process to produce guanidinoacetic acid (gaa) by targeted introduction or by increasing the activity of a transmembrane exporter protein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9623A (en) 1876-07-04 Improvement in heating apparatus
JPH07121228A (ja) 1993-10-22 1995-05-12 Mazda Motor Corp 生産設備の生産情報確認方法
KR0159812B1 (ko) 1995-12-20 1998-11-16 손경식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컴 씨에이치 77 및 이 균주를 이용한 l-라이신의 제조 방법
AU5106800A (en) * 1999-06-15 2001-01-02 Ajinomoto Co., Inc. Process for producing l-lysine
DE19941478A1 (de) * 1999-09-01 2001-03-08 Degussa Neue für das thrE-Gen codierende Nukleotidsequenzen und Verfahren zur fermentativen Herstellung von L-Threonin mit coryneformen Bakterien
DE19956686A1 (de) 1999-11-25 2001-05-31 Degussa Neue für die Gene sucC und sucD codierende Nukleotidsequenzen
DE19959327A1 (de) 1999-12-09 2001-06-13 Degussa Neue für das zwa2-Gen codierende Nukleotidsequenzen
DE19959328A1 (de) 1999-12-09 2001-06-13 Degussa Neue für das zwa1-Gen codierende Nukleotidsequenzen
JP4306169B2 (ja) * 1999-12-24 2009-07-29 味の素株式会社 L−アミノ酸の製造法及び新規遺伝子
US7010061B2 (en) * 1999-12-30 2006-03-07 Infineon Technologies Ag Configurable all-digital coherent demodulator system for spread spectrum applications
RU2212447C2 (ru) 2000-04-26 2003-09-20 За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Аджиномото-Генетика" Штамм escherichia coli - продуцент аминокислоты (варианты) и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аминокислот (варианты)
DE10244581A1 (de) * 2002-03-07 2003-09-18 Degussa Aminosäure produzierende Bakterien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L-Aminosäuren
CN1597974A (zh) * 2003-09-17 2005-03-23 广东肇庆星湖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大肠杆菌生产l-苏氨酸
KR100564805B1 (ko) 2003-12-23 2006-03-27 씨제이 주식회사 프락토키나제 유전자에 의하여 형질전환된 코리네박테리움종 및 그를 이용한 l-라이신의 제조방법
KR100620092B1 (ko) * 2004-12-16 2006-09-08 씨제이 주식회사 코리네박테리움 속 세포로부터 유래된 신규한 프로모터서열, 그를 포함하는 발현 카세트 및 벡터, 상기 벡터를포함하는 숙주 세포 및 그를 이용하여 유전자를 발현하는방법
CN101578361A (zh) * 2005-06-17 2009-11-11 米克罗比亚精密工程股份有限公司 改进的氨基酸和代谢物生物合成
KR100733928B1 (ko) * 2005-11-30 2007-07-02 씨제이 주식회사 카나마이신 내성을 갖고 l-라이신 생산능이 향상된코리네형 미생물 및 그를 이용하여 l-라이신을 생산하는방법
KR100885616B1 (ko) 2006-06-26 2009-02-24 씨제이제일제당 (주) 글리세롤을 이용한 아미노산의 생산 방법
KR100824457B1 (ko) * 2006-10-16 2008-04-22 씨제이제일제당 (주) 고농도의 글루탐산을 생산하는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글루탐산의 제조 방법
US8048649B2 (en) 2007-09-26 2011-11-01 Archer Daniels Midland Company Production of amino acids from sucrose in Corynebacterium glutamicum
KR100930203B1 (ko) 2008-01-28 2009-12-07 씨제이제일제당 (주) 개량된 프로모터 및 이를 이용한 l-라이신의 생산 방법
KR101126041B1 (ko) 2008-04-10 2012-03-19 씨제이제일제당 (주) 트랜스포존을 이용한 형질전환용 벡터, 상기 벡터로형질전환된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l-라이신 생산방법
KR101083136B1 (ko) 2009-02-13 2011-11-11 씨제이제일제당 (주) L-아미노산 생산용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하여 l-아미노산을 생산하는 방법
KR101182033B1 (ko) * 2009-07-08 2012-09-11 씨제이제일제당 (주) 외래종 유래의 글리세르알데하이드-3-포스페이트 디하이드로지나제의 활성을 획득한 코리네박테리움 속의 l-라이신 생산방법
US8852903B2 (en) * 2009-10-23 2014-10-07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Co-metabolism of fructose and glucose in microbial production strain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91467A1 (ko) * 2021-03-08 2022-09-15 씨제이제일제당 (주) L-아미노산을 생산하는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l-아미노산의 생산방법
KR20220126029A (ko) * 2021-03-08 2022-09-15 씨제이제일제당 (주) L-아미노산을 생산하는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l-아미노산의 생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476922A (zh) 2013-12-25
BR112013025358A2 (pt) 2016-12-13
JP2014510535A (ja) 2014-05-01
EP2694638B1 (en) 2018-07-18
WO2012134253A3 (en) 2012-12-27
KR101294935B1 (ko) 2013-08-08
JP5814459B2 (ja) 2015-11-17
US20140099680A1 (en) 2014-04-10
WO2012134253A2 (en) 2012-10-04
CN106867951A (zh) 2017-06-20
US9267161B2 (en) 2016-02-23
EP2694638A2 (en) 2014-02-12
EP2694638A4 (en) 2014-11-12
BR112013025358B1 (pt) 2021-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2140B1 (ko) 자일로즈 이용능이 부여된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l-라이신의 생산방법
CN105483145B (zh) 利用具有产生l-赖氨酸能力的微生物产生l-赖氨酸的方法
JP6297134B2 (ja) プトレシン生産性を有する微生物及びそれを用いたプトレシン生産方法
JP6625133B2 (ja) ピルビン酸デヒドロゲナーゼ変異体、それを含む微生物及びそれを用いるl−アミノ酸生産方法
US9758801B2 (en) Microorganism of Corynebacterium sp. having enhanced L-lysine producibility and method for producing L-lysine using same
JP6465997B2 (ja) グルコネートリプレッサー変異体、これを含むl−リシンを生産する微生物及びこれを利用したl−リシン生産方法
KR101294935B1 (ko) 에세리키아 속 균주에서 유래된 프락토키나제 유전자가 도입된 코리네박테리움 속 균주 및 상기 균주를 이용하여 l-아미노산을 생산하는 방법
US10179903B2 (en) Microorganism having L-lysine producing ability and L-lysine producing method using same
US10787690B2 (en) Microorganism of the genus Corynebacterium producing l-lysine and a method for producing l-lysine using the same
DK2430152T3 (en) A microorganism with increased L-lysine productivity and method for producing L-lysine using the same
KR101564753B1 (ko) 코리네형 세균 유래의 치환된 개시코돈을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 형질전환된 숙주세포 및 이를 이용한 아미노산의 생산방법
US10597686B2 (en) Polypeptide having the activity of exporting O-acetyl-homoserine
KR100564805B1 (ko) 프락토키나제 유전자에 의하여 형질전환된 코리네박테리움종 및 그를 이용한 l-라이신의 제조방법
KR102175112B1 (ko) L-쓰레오닌 생산능이 강화된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쓰레오닌 생산방법
WO2023142854A1 (zh) 一种苏氨酸生产菌株及其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