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9483A - 연결 성능을 가진 리프팅 장치, 특히 케이블 윈치의 베이스 프레임 - Google Patents

연결 성능을 가진 리프팅 장치, 특히 케이블 윈치의 베이스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9483A
KR20120109483A KR1020127012299A KR20127012299A KR20120109483A KR 20120109483 A KR20120109483 A KR 20120109483A KR 1020127012299 A KR1020127012299 A KR 1020127012299A KR 20127012299 A KR20127012299 A KR 20127012299A KR 20120109483 A KR20120109483 A KR 201201094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ms
base plates
longitudinal
base plate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2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게레온 임부쉬
토마스 퀼렌버그
프란츠 슐트
딩유안 자오
웬케 수이
진핑 장
Original Assignee
데막 크레인즈 운트 컴포넌츠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막 크레인즈 운트 컴포넌츠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데막 크레인즈 운트 컴포넌츠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20109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94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1/00Trolleys or crabs, e.g. operating above run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02Driving gear
    • B66D1/12Driving gear incorporating electric mo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 Carriers, Traveling Bodies, And Overhead Traveling Cranes (AREA)
  • Pinball Game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프팅 장치, 특히 케이블 견인 기구(traction mechanism)에 대한 것으로서, 적어도 두 개의 베이스판들을 가지는 베이스 프레임과, 베이스판들을 상호 연결하고 서로 이격된 적어도 두 개의 세로 비임들과, 홀딩부들에 의해 베이스판 위에 장착되는 장착부재를 포함한다. 리프팅 장치, 특히, 모듈형 디자인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견인장치를 제조하기 위하여, 홀딩부(13a, 13b)들이 세로 비임(5a, 5b, 5c)들의 연장으로 형성된다.

Description

연결 성능을 가진 리프팅 장치, 특히 케이블 윈치의 베이스 프레임{Base frame of a lifting apparatus, in particular a cable winch, with connection capabilities}
본 발명은 리프팅 장치, 특히 케이블 윈치에 대한 것으로서, 적어도 두 개의 베이스판들을 포함하는 베이스 프레임, 베이스 판들을 같이 연결하며 서로에 대해 이격된 위치에 유지하는 적어도 두 개의 세로 비임들, 및 홀딩부를 통해 베이스판들에 장착되는 장착부재를 가지는 리프팅 장치에 대한 것이다.
독일 특허출원 DE4310 770A1으로부터 이미 극장에서 물품을 들어올리기 위한 모터 작동 케이블 윈치가 알려져 있다. 이 모터 작동 케이블 윈치는 변속기를 통해 케이블 드럼에 작용하는 전기구동 모터에 의해 구동된다. 변속기는 두 제동기와 같이 케이블 드럼 내에 설치된다. 케이블 드럼은 서로 평행으로 배치된 두 개의 서로 이격된 베이스판들로 실질적으로 구성되는 베이스 프레임에 양 단부에서 장착된다.
베이스판들은 각각 실질적으로 사각형 형상을 가지며 케이블 드럼의 길이축에 평행으로 배치되는 4개의 세로 비임들에 의해 서로 부착된다. 세로 비임들은 각 코너 영역에서 스페이서 파이프와 나사를 가진 너트 내에서 안내되고 양 단부들에서 나사 결합되는 타이 로드에 의해 베이스판들에 연결되는 스페이서 파이프로 형성된다. 스페이서 파이프의 평면 단부 면들은 타이 로드용 관통 보어 영역에서 베이스판들의 내측에 접하여 위치된다.
이러한 모터 작동 케이블 윈치는 소위 발달린(foot-mounted) 호이스트로 형성되는 데, 상부에서 개방된 U-형 연결 비임을 통하여 고정 지지 구조물 또는 창고의 마루에 모터 작동 케이블 윈치가 부착되기 때문이다. 연결 비임들에 모터 작동 케이블 윈치를 부착하기 위해서는 베이스판의 하부 긴 측의 영역에서 세로 비임용 관통 보어들에 인접하는 베이스판들에 두 개의 추가적인 홀딩 보어들이 배치되며, 이 홀딩 보어들은 스터드 볼트를 통해 U-형 연결 비임들의 다리들에 베이스판들을 부착하도록 작용한다. 진동감쇠 목적으로서 탄성 부재가 스터드 볼트와 홀딩 보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모듈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장치, 특히 케이블 윈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허청구범위 1항의 특징을 가지는 리프팅장치, 특히 케이블 윈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유익한 실시예들이 종속 청구항2 내지 12에 설명된다.
본 발명에 따라, 적어도 두 개의 베이스판들을 포함하는 베이스 프레임, 베이스 판들을 같이 연결하며 서로에 대해 이격된 위치에 유지하는 적어도 두 개의 세로 비임들, 및 홀딩부를 통해 베이스판들에 장착되는 장착부재를 가지는 리프팅장치, 특히 케이블 윈치의 경우, 모듈 구조가 세로 비임들의 연장부로서 홀딩부가 배치되는 점에 의해 달성된다. 홀딩부에 의해 베이스판들과 장착 부재 사이의 일반적인 계면이 생성된다. 또한, 이러한 배치는 베이스판들이 충분한 두께이므로 특히 공간 절약적이다. 또한 지지바들과 홀딩부들이 하나의 작업 공정을 통해 부착되므로 장착은 촉진된다.
장착 부재의 장착의 단순화가 연결부재, 특히 스크루에 의해 홀딩부들이 베이스판들에 부착되고, 동시에 세로 비임들이 이들 연결부재를 통해 베이스판들에 부착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한 방식으로, 장착 부재는 크레인 트롤리에 리프팅장치를 부착하기 위한 연결 비임으로서 형성되거나 또는 고정 지지 구조물에 리프팅장치를 부착하기 위한 연결 비임들로서 형성된다.
홀딩부들과 장착 부재들 사이의 연결은 멀티-시어(multi-shear), 바람직하게는 이중 시어, 볼트 연결 방식으로 형성되며 따라서 양호한 수준의 안정성을 가진다.
구조적으로 유익한 실시예에서, 장착 러그에는 장착 부재 위에 배치된 장착 보어가 제공되며, 각각 분기 보어를 갖춘 두 분기 러그들이 베이스판들의 영역에 배치되며, 이러한 분기 러그들이 상호 이격된 대향하는 방식으로 틈새를 형성하며 배치된다.
다중-시어 볼트 연결을 형성하기 위하여, 장착 러그의 장착 보어와 분기 러그들의 분기 보어들은 서로 정렬되고 볼트형 홀딩부는 베이스판들의 하나에 장착 부재를 부착하기 위하여 분기 보어들과 장착 보어를 관통하여 연장한다. 홀딩부들은 각각 세로 비임의 세로 축 방향으로 향하는 스크루를 통해 세로 비임 및 베이스판들의 하나에 부착된다.
베이스판은 바람직하게는 사각형이며, 각각의 턱이 형성된(stepped) 관통-개구 또는 관통-개구가 베이스판들의 내측에서 가상 사변형, 특히 정사각형의 코너들에 배치되고, 각각의 경우의 관통-개구에 소정 수의 세로 비임들로부터 취해진 하나의 세로 비임이 삽입된다.
홀딩 부재는 세로 비임의 제1 비임 단부를 세로 비임의 세로축 방향으로 축방향으로 접하도록 제1 베이스판에 고정하기 위해 설치된다. 홀딩 부재는 제1 베이스판의 외측면에 부착되며 제1 비임 단부가 관통하여 돌출하는 홀딩 보어를 가지며, 제1 비임 단부는 부착 부재, 특히 스크루를 통해 홀딩 부재 위에 고정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적어도 두 개의 베이스판들의 제2 베이스판의 내측에는 턱이 형성된 관통-개구가 배치되며, 각각의 경우에 그 내부로 세로 비임들의 제2 비임 단부가 삽입되고 부착되며, 세로 비임들의 각각의 제2 비임 단부는 세로 비임의 세로축 방향으로 향하는 스크루를 통해 턱이 형성된 관통-개구에 고정되어 제2 베이스판의 외측면에 지지된다.
효과적으로는 세로 비임들이 둥근 단면을 가지는 바들로서 형성된다.
통상의 방식과 같이 케이블 드럼이 베이스판들의 내측 사이 그 위에 장착되며, 케이블 드럼의 회전축은 세로 비임의 세로축과 평행으로 배향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홀딩부에 의해 베이스판들과 장착 부재 사이의 일반적인 계면이 생성되고, 또한, 베이스판들이 충분한 두께이므로 특히 공간 절약적이며, 지지바들과 세로 비임들 및 홀딩부들이 하나의 작업 공정을 통해 부착되므로 장착은 촉진되고, 또한, 홀딩부와 장착 부재 사이의 연결은 양호한 레벨의 안정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예로서의 실시예가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이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될 것인 데, 여기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발-장착 호이스트로 형성된 케이블 윈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케이블 드럼과 전기 모터가 생략된 도 1의 평면도를 도시하며;
도 3은 베이스 프레임의 제1 베이스판에 세로 비임을 부착한 영역으로부터의 도 2의 상세 도면을 도시하며;
도 4는 베이스 프레임의 제2 베이스판에 세로 비임을 부착한 영역으로부터의 도 2의 상세 도면을 도시하며;
도 5는 짧은 디자인 형태의 모노레일 크레인 트롤리의 부품으로서의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윈치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은 베이스 프레임(3)의 양 단부들에 장착된 케이블 드럼(2)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윈치(1)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케이블 윈치(1)는 베이스 프레임(3)에 장착 부재(18)가 부착된 소위, 발(foot)-장착 호이스트로 형성되며, 고정 지지 구조물 또는 창고 마루 위에 설치되며 그 위치에 부착된다.
전체적으로 주사위 형상으로 형성된 베이스 프레임(3)은 제1 베이스판(4a)과 제2 베이스판(4b)으로 구성되며, 케이블 드럼(2)이 서로 대향하는 제1 및 제2의 내측면(4c, 4d)들에 장착된다. 케이블 드럼(2)은 회전축(D) 둘레로 회전가능하고 변속기(2b)를 거쳐 전기 모터(2a)에 의해 구동된다. 제1 베이스판(4a)과 제2 베이스판(4b)은 주사위 형상 또는 직사각형으로 각각 형성된다.
다른 한편, 주사위 형상으로 형성된 베이스 프레임(3)은 최대 4개의 여러 세로 비임들로 구성되고, 제1 세로 비임(5a)과 제2 세로 비임(5b)이 도 1에서 볼 수 있다. 제3 세로 비임은 제1 세로 비임(5a) 아래 배치되며 케이블 드럼(2)에 의해 z커버된다.
베이스판(4a, 4b)들은 서로 이격되며 세로 비임5a, 5b)들에 의해 같이 연결된다. 세로 비임(5a, 5b)들은 제1 및 제2 베이스판(4a, 4b)들의 가상 사변형의 코너들에 배치된다. 제2 베이스판(4b)의 경우, 세로 비임(5a, 5b)들은 실제로 사각형의 베이스판(4b)의 코너 영역에 배치된다.
제1 베이스판(4a)은 제2 베이스판(4b)에 비해, 직사각 형상을 가지는 데, 이는 전기 모터(2a)를 부착하기 위한 제1 및 제2 세로 비임(5a, 5b)들 위로 연장하기 때문이다.
대응하는 방식으로, 제3 및 가능한 제4의 세로 비임들은 제1 베이스판(4a)의 하부 코너 영역에 배치되며 제1 및 제2 세로 비임(5a, 5b)들은 제1 베이스판(4a)의 중심 및 측면에지 영역에 대략 배치된다.
또한, 이러한 제1 베이스판(4a)은 그 외측면(4e)영역에서 변속기(2b)를 수용하는 데, 이 변속기는 케이블 드럼을 구동가능한 방식으로 전기 모터(2a)에 연결한다.
세로 비임(5a, 5b)들은 단단한 바들로 형성되고 2 내지 4 개의 세로 비임(5a, 5b)들은 케이블 윈치(1)의 사용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설치되는 데, 비임들은 선택된 방식으로 설치되거나 또는 베이스판(4a, 4b)들의 모든 코너들에 배치된다. 세로 비임(5a, 5b)들은 트위스트에 저항하도록 베이스판(4a, 4b)들을 같이 연결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소정 공차 내의 두 베이스판(4a, 4b)들 사이의 소정 거리 및 평행성은 세로 비임(5a, 5b) 들의 길이에 의해 달성된다.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전체 3개의 세로 비임(5a, 5b)들이 도시되지 않은 케이블을 케이블 드럼(2)으로부터 감고 푸는 것을 방지하지 않도록 설치된다. 세로 비임(5a, 5b)들은 각각 제1 비임 단부(5d)와 대향하는 제2 비임 단부(5e)를 가진다.
제1 비임 단부(5d)들은 각각 제1 베이스판(4a)에 부착되며 제2 비임 단부(5e)들은 각각 제2 베이스판(4b)에 부착된다. 제1 비임 단부(5d)의 제1 베이스판(4a)에의 부착 및 제2 비임 단부(4e)의 제2 베이스판(4b)에의 부착의 구체적인 방식이 도 3 및 도 4와 관련하여 설명된다.
도 1은 세로 비임(5A, 5B)들의 조립 후의 소위 작동 상태의 케이블 윈치를 도시한다. 이러한 작동 상태에서 세로 비임(5A, 5B)들은 케이블 드럼(2)의 회전축(D)으로부터 측방으로 오프셋되고 평행하게 세로축(L)이 향해진다.
도 1은 소위 발(foot)-부착 호이스트로서 케이블 윈치(1)를 도시한다. 이 케이블 윈치(1)는 장착 부재(18)를 사용시, 크레인 트롤리의 부품을 구성하는 데, 여기에서 베이스판(4a, 4b)들에 이동기구 부품들이 부착된다. 가능한 크레인 트롤리 디자인은 케이블 윈치(1)가 레일, 및 2-레일 크레인 트롤리 다음에 배치되는 하부 플랜지 크레인 트롤리, 모노레일 크레인 트롤리를 포함한다.
대응하는 방식으로서, 케이블 드럼(2)을 장착시키는 것에 추가적으로 베이스판(4a, 4b)들은 예컨대 전기 드라이브(2a)를 지지하는 것, 케이블 고정 배치의 부품들을 위한 크로스-비임 수용 장착, 전기 설비의 내장, 케이블 윈치 또는 이동기구의 장착 부품들의 다리를 부착시키는 것과 같은 여러 다른 기능들을 가진다.
도 2는 도 1의 케이블 윈치의 평면도를 도시하는 데, 명확성을 위하여 케이블 드럼(2), 변속기(2b) 및 전기모터(2c)가 도시되지 않았다. 두 개의 베이스판(4a, 4b)들이 중량을 줄이기 위하여 주조 부품들로 제조되며, 케이블 윈치(1)의 구동, 전기 및 전자적인 부품들이 내부에 내장될 수 있는 제1 및 제2의 중공 공간(4g, 4h)들을 각각 가지는 외측면을 향해 개방된 포트 형상이다.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변속기(2b)는 제1 중공 공간(4g)에 위치된다. 조건과 디자인에 따라, 제1 및 제2 중공 공간(4g, 4h)들은 커버로 커버되거나 개방된 채로 유지할 수 있다. 제1 베이스판(4a)의 제1 중공 공간(4g)은 프레임 형상의 홀딩 부재(7)를 통해 제1 베이스판(4a)의 제1 외측면(4g)에 부착되는 제1 커버(6a)에 의해 커버된다. 제2 베이스판(4b)의 제2 중공 공간(4h)은 프레임 형상의 홀딩 부재(7)를 통해 제2 베이스판(4b)의 제2 외측면(4f)에 직접 부착되는 제2 커버(4f)에 의해 커버된다.
비임 단부(5d, 5e)들과 베이스판(4a, 4b)들 사이의 연결 및 장착 부재(18)의 베이스판(4a, 4b)으로의 연결 구조가 도 3 및 도 4와 관련하여 이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3은 제1 베이스판(4a) 영역으로부터의 도 2의 확대 부분을 도시한다. 도 1과 관련해서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제1 베이스판(4a)은 전체 4개의 세로 비임(5a, 5b) 또는 4개 보다 작은 세로 비임(5a, 5b, 5c)들을 4개의 상이한 고정 위치들에서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구비한다.
도 3은 두 개의 즉, 제1 및 제 3의 세로 비임(5a, 5c)들을 도시한다. 제1 비임 단부(5d)를 가지는 세로 비임(5a, 5c)들을 제1 베이스판(4a)에 부착하기 위하여, 관통-개구(8)가 소정 고정 위치들의 영역에서 제1 베이스판(4a)에 형성된다.
세로 비임(5a, 5c)들이 둥근 단면을 가지는 바들로 형성되므로 관통-개구(8)는 세로 비임(5a, 5b)의 단면보다 다소 큰 통로 단면을 가진다. 세로 비임(5a, 5b)들은 이와 같이 제1 베이스판(4a)과 적극(positive)-잠금 접촉을 이룬다. 따라서 관통-개구(8)의 중심 통로축(d)은 작동 상태에서 세로 비임(5a, 5c)들의 세로축(L)과 일치한다.
세로 비임(5a, 5c)들의 세로축(L)에 대향하게 세로 비임(5a, 5c)의 제1 비임 단부(5d)를 고정하기 위하여, 제1 비임 단부(5d)의 외측 단부에서의 세로 비임(5a, 5c)들의 직경은 동심으로 테이퍼를 이루어 환형 어깨면(shoulder surface)(5f)과 원통 돌출부(5g)를 형성한다.
또한, 세로 비임(5a, 5c)의 세로축(L) 방향으로 향하는 나사 보어(9)가 내부 나사를 가지며 원통 돌출부(5g)의 외측 단부면으로부터 시작하는 제1 비임 단부(5d)에 중심으로 형성된다.
관통-개구(8)에의 제1 비임 단부(5d)의 삽입 깊이, 즉 제1 및 제2 베이스판(4a, 4b)들 사이의 거리는 어깨면(5f)이 제1 베이스판(4a)의 외측면(4e)과 정렬되도록 선택된다.
세로 비임(5a, 5c)들의 세로축(L) 방향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러한 위치에 세로 비임(5a, 5c)들을 유지하기 위하여, 홀딩 보어(10a)를 가지는 홀딩 부재(10)가 설치된다. 홀딩 부재(10)는 제1 베이스핀(4a)의 각각의 관통-개구(8)에 대한 4개의 홀딩 보어(10a)들을 가지는 직사각형 프레임으로 형성된다. 홀딩 보어(10a)의 깊이는 제1 비임 단부(5d)의 원통 돌출부(5g)의 길이보다 다소 크도록 선택된다.
홀딩 보어(10a)에 삽입된 원통 돌출부(5g)는 이와 같이 외측면으로부터 나사 보어(9)에 나사 결합된 제1 스크루(11)를 통해 홀딩 부재(10)에 부착될 수 있다. 홀딩 부재(10)는 제1 스크루(11)의 머리와 제1 비임 단부(5d)의 어깨면(5f) 사이에 클램핑된다.
또한, 원통형 머리의 스크루로 형성된 스크루(11)의 머리와 홀딩 부재(10)의 외측면 사이에 디스크(12)가 설치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부분용 판-형상의 홀딩 부재(10)는 스크루들에 의해 제1 베이스판(4a)의 외측면(4e)으로 나사 결합된다. 또한, 제1 베이스판(4a)의 중공 공간(4g)을 폐쇄하기 위한 커버(6a)는 외측으로부터 프레임-형상 홀딩 부재(10)에 나사 결합된다.
스크루(11)와 함께 홀딩 부재(10)를 통해 관통-개구(8)에 제1 비임 단부(5d)를 부착시키는 방식에 의해, 홀딩 부재(10)를 분리한 후에, 세로축(L) 방향으로 제1 베이스판(4a)으로부터 세로 비임(5a, 5c)들을 당길 수 있다. 이와 같이, 케이블 드럼(2)을 제거함이 없이 세로 비임(5a, 5b)들의 위치나 수를 변경할 수 있다.
도 3은 세로 비임(5a, 5b)들의 제1 비임 단부(5a)가 일체로 형성되지 않고 세로 비임(5a, 5b, 5c)들의 외경과 본질적으로 대응하는 외경을 가지는 제1 홀딩부(13a)를 구비한다. 제1 홀딩부(13a)의 외경은 세로 비임(5a, 5b, 5c)들의 외경보다 다소 크므로 세로 비임(5a, 5b, 5c)들은 세로축(L) 방향으로 보다 용이하게 장착되고 분리될 수 있다. 제1 원통 돌출부(5g)와 제1 어깨면(5f)은 이어서 홀딩부(13)의 외측 자유단부에 제공된다.
세로 비임(5a, 5b, 5c)들의 단부에 제1 홀딩부(13)를 연결하기 위하여, 제2 원통 돌출부(5h)와 제2 어깨면(5i)이, 제1 홀딩부(13)가 위에 설치된 세로 비임(5a, 5b, 5c)들의 단부에 제공된다. 세로 비임(5a, 5b, 5c)들의 단부에 나사 보어(9)가 형성된다. 제1 홀딩부(13)에는 나사 없이 단 하나의 관통-개구가 위치된다. 스크루(11)를 통해 세로 비임(5a, 5b)의 단부에 홀딩부(13)가 부착된다.
제1 홀딩부(13a)는 도 1 도시와 같이, 제1 베이스판(4a)에 장착 부재(8)를 부착시키도록 작용한다. 장착 부재(18)는, 이 경우, 바닥 브래킷으로 형성된다. 이상과 같이 베이스판(4a, 4b)들에 부착될 수 있는 장착 부재(18)의 연결은 소위 이중-시어(double-shear) 볼트 연결 방식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목적에 필요한 볼트는 제1 홀딩부(13a)에 의해 형성되며; 하나 또는 복수의 장착 러그(18a)가 장착 부재(18) 위에 형성되고 제1 및 제2 분기(forked) 러그(19a, 19b)들이 제1 베이스판(4a)과 홀딩 부재(10)에 의해 형성되며, 이들이 제1 베이스판(4a)에서 틈새(20)를 형성한다.
제1 볼트형 홀딩부(13a)를 수용하기 위하여, 장착 보어(18b)가 제1 분기 러그(19a)에 배치되고 제2 분기 보어(19d)가 제2 분기 러그(19b)에 설치된다. 대응하는 방식으로 제1 분기 보어(19c), 장착부재 보어(18b) 및 제2 분기 보어(19d)가 서로 정렬되고 그 중심축은 세로 비임(5a, 5b)들의 세로축(L)에 동축으로 향해진다. 제1 분기 보어(19c)는 또한 동시에 세로 비임(5a, 5b) 용의 관통-개구(8)이며 제2 분기 보어(19d)는 홀딩 부재(10)의 홀딩 보어(10a)에 의해 형성된다.
장착부재(18)에 부가해서 또는 대신에 홀딩부재(10) 및 커버(6a)의 스크루(11)를 제거 후에 장착 부재(18)는 세로 비임(5a, 5b, 5c)들이나 홀딩부(13)의 제거 및 재설치 없이 세로 비임(5a, 5b, 5c)들의 세로축(L) 방향으로 장착 러그(18a)와 같이 장착 부재(18)가 제거될 수 있는 것이 특히 유익하다. 필요하면, 제1 홀딩부(13a)가 부가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특정 경우에는 케이블 드럼(2)이 베이스판(4a, 4b)들 사이에 잔류할 수 있다.
도 4는 제2 베이스판(4b)의 영역으로부터 도 2의 확장부를 도시한다. 제1 베이스판(4a)과 같이, 제2 베이스판(4b)은 4개의 상이한 고정 위치들에서 전체 4개의 세로 비임(5a, 5b, 5c)들 또는 4개 보다 작은 세로 비임(5a, 5c)들의 고정수단을 포함한다.
제2 비임 단부(5e)를 가진 세로 비임(5a, 5b)들을 제2 베이스판(4B)에 부착하기 위하여, 턱이 형성된 관통-개구(14)가 소정 고정 위치들의 영역에서 제2 베이스판(4b)에 배치되며, 관통-개구들의 단면은 세로 비임(5a, 5b)들의 단면보다 다소 크다.
턱이 형성된 관통-개구(14)는, 이 경우, 중심 관통-보어를 가진 막힌 홀 보어로 이해된다. 세로 비임(5a, 5b)들은 이와 같이 제2 베이스판(4b)과 적극-잠금 접촉을 형성한다. 막힌 홀 보어(14)의 중심축(e)은 작동 상태에서 세로 비임(5a, 5b)들의 세로축(L)과 일치한다.
턱이 형성된 관통-개구(14)에 세로 비임(5a, 5b, 5c)들의 세로축(L)에 대향하게 세로 비임(5a, 5b)들의 제2 비임 단부(5e)를 고정하기 위하여, 제2 비임 단부(5e)의 외측 단부에서 세로 비임(5a, 5b)의 직경은 동심으로 테이퍼 가공되어 제3의 환형 어깨면(5j)과 제3의 원통 돌출부(5k)를 형성한다.
또한, 세로 비임(5a, 5c)의 세로축(L) 방향으로 향하는 나사 보어(15)는 내부 나사를 가지고 외측 단부면으로부터 제2 비임 단부(5b)에 중심으로 형성된다. 턱이 형성된 관통-개구(14)의 제2 비임 단부(5e)의 삽입 깊이, 즉 제1 및 제2 베이스판(4a, 4b)들 사이의 거리는 제2 베이스판(4b)의 내측면(4d)에 접해서 제3 어깨면(5j)이 위치되도록 선택된다.
세로 비임(5a, 5c)들의 세로축(L) 방향으로 보여지는 이러한 위치에 세로 비임(5a, 5b)들을 유지하기 위하여, 제2 베이스판(4b)의 외측면(4f)으로부터 턱이 형성된 관통-개구(14)의 베이스에서 중앙으로 형성되는 나사 보어(15) 내부로 스크루(16)가 나사 결합된다. 육각 소켓-머리 스크루로 형성된 스크루(16)의 머리는 이와 같이 제2 베이스판(4b)의 외측면(5e) 위에 지지된다.
도 4는, 제2 베이스판(4b)의 외 측면(4f) 위에 직접 머리를 두는 것이 아니며 제2의 슬리브형 홀딩부(13b)를 통해 스크루(16)가 지지되는 것을 도시하며, 이 홀딩부는 장착 부재(18)를 도 1 도시와 같이 제2 베이스판(4b)에 부착하도록 작용한다.
장착 부재(18)는 이어서 발(foot) 브래킷으로 형성된다. 베이스판(4a, 4b)들에 선택적으로 부착될 수 있는 장착 부재(18)의 연결은 재차 이중-시어 볼트 연결로서 형성된다. 이러한 목적으로서 필요한 볼트는 제2 홀딩부(13b)에 의해 형성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장착 러그(18a)들이 장착 부재(18) 위에 배치되며 제3 및 제4의 분기 러그(19e, 19f)들이 제2 베이스판(4b)과 제2 커버(6b)에 의해 형성되며, 이들은 제2 베이스판(4b)에서 틈새(21)를 형성한다.
제2의 볼트형 홀딩부(13b)를 수용하기 위하여, 장착 보어(18d)가 장착 러그(18a)에 배치되며, 제3 분기 보어(19g)가 제3 분기 러그(19e)에 배치되며 제4 분기 보어(19h)가 제4 분기 러그(19f)에 배치된다.
대응하는 방식으로, 제3 분기 보어(19g), 장착 부재(18b) 및 제4 분기 보어(19h)는 서로 정렬되고 세로 비임(5a, 5b)들의 세로축(L)에 중심축이 동축이 되도록 향한다. 제3 분기 보어(19g)는 제2 베이스판(4b)에서 세로 비임(5a, 5b)을 위한 턱이 형성된 관통-개구(14)의 연장부로서 배치되며 스크루(16)를 위한 보어(17)를 가지는 턱이 형성된 관통-개구(14)의 분리벽(22)에 의해 분리된다.
장착부재(18)에 부가해서 또는 대신에 제2 홀딩부재(13b) 및 스크루(16)를 제거 후에 장착 부재(18)는 세로 비임(5a, 5c)들이나 제2 커버(6b)의 제거 없이 세로 비임(5a, 5c)들의 세로축(L)에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장착 러그(18a)와 같이 장착 부재(18)가 제거될 수 있는 것이 특히 유익하다. 필요하면, 제2 홀딩부(13b)가 제 위치에 유지되고 제2 커버(6b)가 제거될 수 있다. 특정 경우에는 케이블 드럼(2)이 베이스판(4a, 4b)들 사이에 잔류할 수 있다.
관통-개구(8)와 턱이 형성된 관통-개구(14) 영역에서 장착 부재(18)를 부착하기 위하여 지지로드(8)가 삽입되지 않으면, 스텀프형 지지 로드들이 이러한 목적으로 제공되며, 이는 베이스판(4a, 4b)들의 내측(4c, 4d) 영역에서 종료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윈치(1)의 짧은 디자인으로서 모노레일 크레인 트롤리의 부품으로서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로부터의 발-장착 호이스트로서의 실시예와 비교하면, 장착 부재(18)들은 구조물이나 창고 마루를 지지하기 위한 케이블 윈치(1) 부착용 홀딩 레일들이 아니며, 이동 기구와 이동 드라이브(24)의 부품(23)들을 지지하는 가로 비임이다.
1: 케이블 윈치 2: 케이블 드럼
2a: 전기 모터 2b: 변속기
3: 베이스 프레임 4a: 제1 베이스판
4b: 제2 베이스판 4c: 제1 베이스판(4a)의 내측면
4d: 제2 베이스판(4b)의 내측면 4e: 제1 베이스판(4a)의 외측면
4f: 제2 베이스판(4b)의 외측면 4g: 제1 중공 챔버
4h: 제2 중공 챔버 5a: 제1 세로 비임
5b: 제2 세로 비임 5c: 제3 세로 비임
5d: 제1 비임 단부 5e: 제2 비임 단부
5f: 제1 어깨면 5g: 제1 원통형 돌출부
5h: 제2 어깨면 5i: 제2 원통형 돌출부
5j: 제3 어깨면 5k: 제3 원통형 돌출부
6a: 제1 커버 6b: 제2 커버
7: 홀딩 부재 8: 관통 보어
9, 15: 나사 보어 10: 홀딩 부재
10a: 홀딩 보어 11, 16: 스크루
12: 디스크 13a: 제1 홀딩부
13b:제2 홀딩부 14: 단턱 관통개구
17: 보어 18: 장착 부재
18a: 장착 러그 18b: 장착 보어
19a: 제1 분기 러그 19b: 제2 분기 러그
19c: 제1 분기 보어 19d: 제2 분기 보어
19e: 제3 분기 러그 19f: 제4 분기 러그
19g: 제3 분기 보어 19h: 제4 분기 보어
20, 21: 틈새 22: 분리벽
23: 이동기구의 부분 24: 이동 드라이브
D: 회전축 L: 세로 축
d: 통로축 e: 축

Claims (12)

  1. 적어도 두 개의 베이스판들을 포함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판들을 같이 연결하며 서로에 대해 이격된 위치에 유지하는 적어도 두 개의 세로 비임들, 및 홀딩부를 통해 상기 베이스판들에 장착되는 장착부재들을 가지는 리프팅장치, 특히 케이블 윈치에 있어서,
    상기 홀딩부(13a, 13b)들이 상기 세로 비임(5a, 5b, 5c)들의 연장부로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부(13a, 13b)들이 연결부재, 특히 스크루(11, 16)들에 의해 상기 베이스판(4a, 4b)들에 부착되고, 동시에 상기 세로 비임(5a, 5b, 5c)들이 이들 연결부재들에 의해 상기 베이스판(4a, 4b)들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부재(18)들은 크레인 트롤리의 프레임에 상기 리프팅 장치를 부착하기 위한 연결 비임들로 형성되거나 또는 고정 지지 구조물에 상기 리프팅 장치를 부착하기 위한 연결 비임들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장치.
  4. 제1항 내지 제 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홀딩부(13a, 13b)들과 장착 부재(18) 사이의 연결은 다중-시어, 바람직하게는 이중-시어(shear), 볼트 연결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장착 보어(18b)를 갖춘 장착 러그(18a)는 장착 부재(18) 위에 배치되며 각각 분기 보어(19c, 19d, 19g, 19h)를 가지는 두 개의 분기 러그(19a, 19b, 19e, 19f)들은 베이스판(4a, 4b)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분기 러그들은 서로 이격된 대향식으로 틈새(20, 21)를 형성하며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러그(18b)의 장착 보어(18a)와 상기 분기 러그(19a19b, 19e, 19f)들의 분기 보어(19c, 19d, 19g, 19h)들은 서로 정렬되며 볼트형 홀딩부(13a, 13b)들은 상기 장착 부재(18)를 상기 베이스판(4a, 4b)들의 하나에 부착하기 위하여 상기 분기 보어(19c, 19d, 19g, 19h)들과 상기 장착 보어(18a)를 관통하여 통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장치.
  7. 제 1항 내지 제6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부(13a, 13b)들은 세로 비임(5a, 5b, 5c)의 세로축(L) 방향으로 향하는 스크루(11, 16)에 의해 각각 상기 세로 비임(5a, 5b, 5c) 및 베이스판(4a, 4b)들의 하나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장치.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4a, 4b)들은 직사각형이며, 상기 베이스판(4a, 4b)들의 내측면들의 가상 사변형, 특히 정사각형의 코너들에 각각의 턱이 형성된 관통 개구(14) 또는 관통-개구(8)가 배치되며, 소정 수의 세로 비임(5a, 5b, 5c)들로부터 선택된 세로 비임(5a, 5b, 5s)이 각각 상기 관통-개구 내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세로 비임(5a, 5b, 5c)들의 제1 비임 단부(5d)는 상기 세로 비임(5a, 5b, 5c)들의 세로축(L) 방향으로 홀딩 부재(10)에 의해 상기 제1 베이스판(4a)에 고정되며, 상기 홀딩 부재(10)는 상기 제1 베이스판(4a)의 외측면(4e)에 부착되며, 상기 홀딩 부재(10)는 상기 제1 비임 단부(5d)가 돌출하는 홀딩 보어(10)를 가지며, 상기 제1 비임 단부(5d)는 부착 부재, 특히 스크루(11)에 의해 상기 홀딩 부재(10)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장치.
  10.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베이스판(4a, 4b)들의 제2 베이스판(4b)의 내측면(4d)에는 막힌 홀 개구(14)가 형성되고, 세로 비임(5a, 5b, 5c)들의 제2 비임 단부(5e)가 각 경우, 그 내부로 삽입되어 부착되며, 상기 세로 비임(5a, 5b, 5c)들의 세로축(L) 방향으로 향하고 상기 제2 베이스판(4b)의 외측면(4e)에 지지되는 스크루(16)의 턱이 형성된 관통 개구(14)에 상기 세로 비임(5a, 5b, 5c)들의 각각의 제2 비임 단부(5d)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장치.
  11.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 비임((5a, 5b, 5c)들이 둥근 단면을 가지는 바들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장치.
  12. 제 1항 내지 제 11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케이블 드럼(2)이 상기 베이스판(4a, 4b)들의 내 측면(4c, 4d)들 사이 그 위에 양 단부들에서 장착되며, 상기 케이블 드럼의 회전축(D)은 상기 세로 비임((5a, 5b, 5c)들의 세로축(L)에 평행으로 향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장치.
KR1020127012299A 2009-11-21 2010-11-12 연결 성능을 가진 리프팅 장치, 특히 케이블 윈치의 베이스 프레임 KR2012010948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9054226.4 2009-11-21
DE102009054226A DE102009054226B3 (de) 2009-11-21 2009-11-21 Grundrahmen eines Hebezeug, insbesondere Seilzuges, mit Anschlussmöglichkeit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9483A true KR20120109483A (ko) 2012-10-08

Family

ID=43495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2299A KR20120109483A (ko) 2009-11-21 2010-11-12 연결 성능을 가진 리프팅 장치, 특히 케이블 윈치의 베이스 프레임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8763992B2 (ko)
EP (1) EP2501637B1 (ko)
JP (1) JP2013511450A (ko)
KR (1) KR20120109483A (ko)
CN (1) CN102666358B (ko)
AU (1) AU2010321057B2 (ko)
CA (1) CA2781545C (ko)
DE (1) DE102009054226B3 (ko)
ES (1) ES2455495T3 (ko)
MX (1) MX2012005605A (ko)
RU (1) RU2509714C2 (ko)
WO (1) WO20110611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9054225A1 (de) * 2009-11-21 2011-06-09 Demag Cranes & Components Gmbh Grundrahmen eines Hebezeug, inbesondere Seilzuges, und ein Verfahren zu dessen Montage, Demontage oder Umbau
US9120656B2 (en) 2012-06-14 2015-09-01 Warn Industries, Inc. Rope anchor for a winch
US10549958B2 (en) 2014-05-30 2020-02-04 Kito Corporation Rope hoist
CA2951116C (en) 2014-06-06 2018-03-13 Kito Corporation Rope hoist
DE102014117561A1 (de) 2014-11-28 2016-06-02 Terex Mhps Gmbh Laufkatze für ein Hebezeug
DE102015102140A1 (de) 2015-02-13 2016-08-18 Terex MHPS IP Management GmbH Anordnung aus einem elektrischen Antriebsmotor, einem Getriebe und einem Drehgeber, insbesondere für einen Seilzug
JP6392700B2 (ja) 2015-05-01 2018-09-19 株式会社キトー ロープホイスト
DE102015108265A1 (de) * 2015-05-26 2016-12-01 Terex MHPS IP Management GmbH Grundrahmen eines Hebezeuges, insbesondere eines Seilzuges
KR101947732B1 (ko) 2018-07-17 2019-02-14 (주)고려호이스트 드럼 프레임을 경량화시킨 전기 호이스트
US11034562B2 (en) 2018-10-11 2021-06-15 Jeffrey S. Armfield Modular powered hoist with integrated lift/guide assembly
CN116374817A (zh) * 2023-05-30 2023-07-04 河南省大方重型机器有限公司 一种稳定提升的起重机起升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561113C (de) * 1932-10-10 Wilhelm Puetzer Unverschiebliche Lagerung eines Getriebegehaeuses an dem Seitenschild eines Elektroflaschenzuges
DE851250C (de) 1950-10-03 1952-10-02 Demag Zug Gmbh Blockwinde
US3066917A (en) 1958-09-26 1962-12-04 Rubery Owen & Company Ltd Winches
US3766795A (en) 1970-12-02 1973-10-23 Dutton Lainson Co Winch power module with gear disconnect
JPS5117621Y2 (ko) * 1971-11-01 1976-05-12
SU503813A1 (ru) * 1974-06-21 1976-02-25 Предприятие П/Я А-7054 Опора барабана
US3994476A (en) 1975-03-20 1976-11-30 Gennep Jan Van Automatic braking arrangement for a windlass
US4042213A (en) 1976-06-04 1977-08-16 Columbus Mckinnon Corporation Electric hoist
DE4310770A1 (de) * 1993-04-02 1994-10-06 Krupp Industrietech Motorseilwinde
US6494437B1 (en) 1995-10-24 2002-12-17 Mark L. Boyer Boom mounted winch
DE19602927A1 (de) 1996-01-18 1997-07-24 Mannesmann Ag Tragrahmen, insbesondere für zugmittelbetriebene Hebezeuge
US5947450A (en) 1997-02-07 1999-09-07 Grapes; David B. Manual swivel winch with open bottom
DE20003513U1 (de) 2000-02-28 2001-07-26 Wirth Co Kg Masch Bohr Hebewerk
CA2424788C (en) 2000-10-18 2010-01-12 Mhe Technologies, Inc. Hoist apparatus
US7097157B1 (en) 2002-04-03 2006-08-29 Lodrick Lester B Modular adjustable hoist
US7028989B2 (en) 2002-11-27 2006-04-18 Dura Global Technologies, Inc. Tire carrier
US7419137B2 (en) 2003-09-30 2008-09-02 Ib Supplies Pty Ltd. Cable handling apparatus
CN2709408Y (zh) * 2004-07-19 2005-07-13 三一重机科技发展有限公司 滚筒式卷扬机压绳器
EP1778579A4 (en) 2004-07-29 2009-01-28 Unovo Inc LIFT DEVICE WITH REMOVABLE POWER SUPPLY AND CONTROL UNIT
US7562863B2 (en) 2004-09-10 2009-07-21 J.R. Clancy, Incorporated Theater rigging system
DE102005029113B3 (de) 2005-06-23 2006-08-10 Demag Cranes & Components Gmbh Tragrahmen eines Hebezeuges
US7364136B2 (en) 2005-07-15 2008-04-29 Tiffin Scenic Studios, Inc. Hoist assembly
DE102005046900A1 (de) 2005-09-30 2007-04-05 Demag Cranes & Components Gmbh Seilführung einer Seilwinde, insbesondere einer Seilhubwinde
US7478795B2 (en) 2006-03-21 2009-01-20 W.W. Patterson Company Marine winch with winch-line engaging roller
CN2926174Y (zh) * 2006-06-15 2007-07-25 川方企业股份有限公司 动力绞车之组成构造
US7621507B2 (en) * 2006-10-09 2009-11-24 Dura Global Technologies, Inc. Break-away cable sheave for tire carrier
US7909308B2 (en) 2007-04-19 2011-03-22 Sikorsky Aircraft Corporation Winch system for VTOL aircraft
EP2229334B1 (en) * 2007-12-10 2012-10-10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machine frame
FR2928637B1 (fr) * 2008-03-11 2010-02-12 Huchez Treuils Structure de treuil
US7850146B2 (en) 2008-06-13 2010-12-14 Production Resource Group, Llc Lineset winch with braking parts
DE102009010664B4 (de) 2009-02-27 2011-03-31 Wolffkran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Umscheren eines Hubseils
CA2781546C (en) 2009-11-21 2016-10-04 Demag Cranes & Components Gmbh Lifting apparatus, especially cable traction mechanism, comprising connecting possibilities
DE102009054225A1 (de) 2009-11-21 2011-06-09 Demag Cranes & Components Gmbh Grundrahmen eines Hebezeug, inbesondere Seilzuges, und ein Verfahren zu dessen Montage, Demontage oder Umbau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763992B2 (en) 2014-07-01
US20120280190A1 (en) 2012-11-08
CN102666358A (zh) 2012-09-12
CA2781545C (en) 2016-06-07
WO2011061129A1 (de) 2011-05-26
ES2455495T3 (es) 2014-04-15
EP2501637B1 (de) 2014-01-08
CA2781545A1 (en) 2011-05-26
AU2010321057A1 (en) 2012-06-14
EP2501637A1 (de) 2012-09-26
DE102009054226B3 (de) 2011-02-24
CN102666358B (zh) 2015-03-18
RU2012120794A (ru) 2013-12-27
RU2509714C2 (ru) 2014-03-20
AU2010321057B2 (en) 2014-09-25
JP2013511450A (ja) 2013-04-04
MX2012005605A (es) 2012-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09483A (ko) 연결 성능을 가진 리프팅 장치, 특히 케이블 윈치의 베이스 프레임
US8789812B2 (en) Base frame for a cable winch having removable support members
CN102725221B (zh) 具有连接可能性的钢绳葫芦
US10486948B2 (en) Rope hoist
US10399831B2 (en) Lifting device, in particular a cable winch
CN208022591U (zh) 轨道梁吊具
EP2724970B1 (en) Elevator and method for repairing elevator
CN202116215U (zh) 起重装置
JP3787453B2 (ja) コンクリート製部材の連結構造及び連結方法
JP2011173700A (ja) エレベーターの主索端末装置
JP2008050159A (ja) エレベータの錘保持装置および主ロープ緩和方法
CN202156892U (zh) 起重装置
KR20120039823A (ko) 크레인 승강용 방진벨트 텐션 조절장치
JP2005082391A (ja) エレベータ
AU2006202257A1 (en) Drive for a lift install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