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7134A - 공조기의 실내 유닛 - Google Patents

공조기의 실내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7134A
KR20120107134A KR1020127021051A KR20127021051A KR20120107134A KR 20120107134 A KR20120107134 A KR 20120107134A KR 1020127021051 A KR1020127021051 A KR 1020127021051A KR 20127021051 A KR20127021051 A KR 20127021051A KR 20120107134 A KR20120107134 A KR 201201071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cleaning
output
leve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1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97879B1 (ko
Inventor
쯔요시 요꼬미조
요시떼루 노우찌
유끼히로 다까가끼
아끼히꼬 사까시따
Original Assignee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07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71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78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78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10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01D46/68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means acting on the cake side involving movement with regard to the filter elements
    • B01D46/681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means acting on the cake side involving movement with regard to the filter elements by scrapers, brush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01D46/74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forces created by movement of the filter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4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the ceiling or at the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7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7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 F24F1/007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r arrangement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24F11/39Monitoring filter perform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6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using tim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90Cleaning of purification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24F2013/0616Outlets that have intake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실내 유닛(1)에 대하여, 먼지 저류부(60, 90) 내의 먼지량이 소정의 제1 레벨에 도달하였다고 판단한 경우와, 먼지 저류부(60, 90) 내의 먼지량이 제1 레벨보다도 많은 먼지량의 제2 레벨에 도달하였다고 판단한 경우에, 청소 사인 출력부(33, 48)에 청소 사인을 출력시키는 출력 제어부(35, 71)를 설치한다.

Description

공조기의 실내 유닛 {INDOOR UNIT OF AIR CONDITIONING APPARATUS}
본 발명은 실내 공간을 공조하기 위한 공조기의 실내 유닛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실내 공간을 공조하는 공조기의 실내 유닛으로서, 에어 필터에 부착된 먼지를 제거하는 기능을 갖는 실내 유닛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에어 필터를 자동적으로 청소하는 오토 클린 동작을 행하는 실내 유닛이 개시되어 있다. 이 실내 유닛에서는, 실내 유닛의 운전 적산 시간에 기초하여, 오토 클린 동작을 행할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또한, 이 실내 유닛에서는, 그 운전 적산 시간이 소정 시간에 도달하면, 에어 필터로부터 제거된 먼지를 저류하는 더스트 박스로부터 먼지를 제거할 필요가 있는 것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해, 본체 표시부에 있어서 유지 보수 표시가 출력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4-239449호 공보
그런데, 종래의 공조기의 실내 유닛에서는, 먼지 저류부로부터 먼지를 제거하고 나서의 실내 유닛의 운전 적산 시간이 소정 시간에 도달하는 경우에만, 내부에 저류하는 먼지를 제거하는 먼지 저류부 내의 청소가 필요한 것을 알리는 청소 사인이 출력된다. 즉, 1개의 레벨의 먼지량에 대응하는 청소 사인만 출력된다. 이로 인해, 청소 사인의 출력시에 먼지 저류부 내의 청소를 반드시 행할 필요가 생기므로, 사용자는 먼지 저류부 내의 청소를 유연하게 행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에어 필터로부터 제거한 먼지를 저류하는 먼지 저류부를 갖는 공조기의 실내 유닛에 있어서, 먼지 저류부 내의 청소의 긴급도를 사용자가 단계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있다.
제1 발명은, 흡입구(13)와 토출구(14)가 형성된 케이싱(20)과, 상기 흡입구(13)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한 공기를 토출구(14)로 보내는 실내 팬(21)과, 상기 흡입구(13)로부터 흡입한 공기에 포함되는 먼지를 포착하는 에어 필터(30)를 구비하고, 상기 흡입구(13)로부터 흡입한 공기를 상기 토출구(14)로부터 실내로 분출하는 공조 운전을 행하는 공조기의 실내 유닛(1)을 대상으로 한다. 그리고, 이 실내 유닛(1)은, 상기 에어 필터(30)에 포착된 먼지를 상기 에어 필터(30)로부터 제거하는 먼지 제거부(40, 50)와, 상기 에어 필터(30)로부터 제거된 먼지가 저류되는 먼지 저류부(60, 90)와, 상기 먼지 저류부(60, 90)로부터의 먼지의 제거가 필요한 것을 알리기 위한 청소 사인을 출력하는 청소 사인 출력부(33, 48)와, 상기 먼지 저류부(60, 90) 내의 먼지량이 소정의 제1 레벨에 도달하였다고 판단한 경우와, 상기 먼지 저류부(60, 90) 내의 먼지량이 상기 제1 레벨보다도 많은 제2 레벨에 도달하였다고 판단한 경우에, 상기 청소 사인 출력부(33, 48)에 상기 청소 사인을 출력시키는 출력 제어부(35, 71)를 구비하고 있다.
제2 발명은, 상기 제1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출력 제어부(35, 71)가, 상기 먼지 저류부(60, 90) 내의 먼지량이 상기 제2 레벨에 도달하였다고 판단하면, 상기 먼지 제거부(40, 50)에 의해 상기 에어 필터(30)로부터 먼지를 제거하는 청소 운전을 금지한다.
제3 발명은, 상기 제2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에어 필터(30)의 막힘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막힘 검출 수단(37)을 구비하고, 상기 출력 제어부(35, 71)는, 상기 먼지 저류부(60, 90) 내의 먼지량이 상기 제2 레벨에 도달하였다고 판단한 후에, 상기 막힘 검출 수단(37)의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에어 필터(30)의 막힘 상태가 소정의 레벨에 도달하였다고 판단하면, 공조 운전을 금지한다.
제4 발명은, 상기 제1 또는 제2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출력 제어부(35, 71)가, 상기 먼지 저류부(60, 90) 내의 먼지량이 상기 제2 레벨에 도달하였다고 판단하면, 상기 공조 운전을 금지한다.
제5 발명은, 상기 제2 또는 제3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출력 제어부(35, 71)가 상기 청소 운전을 금지하고 있는 상태를 해제하는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금지 해제 입력부(55)를 구비하고, 상기 출력 제어부(35, 71)는, 상기 제1 레벨 및 제2 레벨에 추가하여, 상기 제2 레벨보다도 많은 먼지량의 제3 레벨에 상기 먼지 저류부(60, 90) 내의 먼지량이 도달하였다고 판단한 경우에도, 상기 청소 사인 출력부(33, 48)에 상기 청소 사인을 출력시키는 한편, 상기 먼지 저류부(60, 90) 내의 먼지량이 상기 제3 레벨에 도달하였다고 판단할 때까지에 한하여, 상기 금지 해제 입력부(55)에의 입력에 의해, 상기 출력 제어부(35, 71)가 상기 청소 운전을 금지하고 있는 상태가 해제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6 발명은, 상기 제1 내지 제4 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먼지 저류부(60, 90) 내의 먼지량을 검지하기 위한 검지 센서(71)를 구비하고, 상기 출력 제어부(35, 71)는, 상기 먼지 저류부(60, 90) 내의 먼지량이 상기 제1 레벨에 도달하였는지의 여부를 상기 검지 센서(71)의 출력에 의해 판단한다.
제7 발명은, 상기 제6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출력 제어부(35, 71)가, 상기 먼지 저류부(60, 90) 내의 먼지량이 상기 제1 레벨에 도달하였다고 판단한 시점으로부터의 상기 실내 팬(21) 또는 상기 공조기의 운전 적산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먼지 저류부(60, 90) 내의 먼지량이 상기 제2 레벨에 도달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제8 발명은, 상기 제7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출력 제어부(35, 71)가, 상기 제1 레벨 및 제2 레벨에 추가하여, 상기 제2 레벨보다도 많은 먼지량의 제3 레벨에 상기 먼지 저류부(60, 90) 내의 먼지량이 도달하였다고 판단한 경우에도, 상기 청소 사인 출력부(33, 48)에 상기 청소 사인을 출력시키는 한편, 상기 출력 제어부(35, 71)는, 상기 먼지 저류부(60, 90) 내의 먼지량이 상기 제2 레벨에 도달하였다고 판단한 시점으로부터의 상기 실내 팬(21) 또는 상기 공조기의 운전 적산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먼지 저류부(60, 90) 내의 먼지량이 상기 제3 레벨에 도달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제9 발명은, 상기 제1 내지 제8 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청소 사인 출력부(33, 48)가, 상기 청소 사인을 출력하는 먼지량의 레벨마다, 상이한 청소 사인을 출력한다.
제10 발명은, 상기 제1 내지 제9 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청소 사인 출력부(33, 48)가, 상기 청소 사인을 출력하는 먼지량의 레벨 중에서 먼지량이 가장 많은 레벨의 청소 사인을 출력할 때에는, 상기 청소 사인과 함께, 상기 먼지 저류부(60, 90)의 이상을 나타내는 이상 코드를 출력한다.
제11 발명은, 상기 제1 내지 제10 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먼지 저류부(60, 90)로부터 먼지를 제거하고 나서의 상기 실내 팬(21) 또는 상기 공조기의 운전 적산 시간을 계측하는 계측 타이머(37)를 구비하고, 상기 출력 제어부(35, 71)는, 상기 계측 타이머(37)의 계측 시간 또는 상기 계측 시간을 이용하여 연산한 시간이 소정의 기준 시간에 도달하는 경우에도, 상기 청소 사인 출력부(33, 48)에 상기 청소 사인을 출력시킨다.
-작용-
제1 발명에서는, 공조 운전시에 에어 필터(30)에 포착된 먼지가 먼지 제거부(40, 50)에 의해 제거될 때마다, 먼지 저류부(60, 90) 내에 먼지가 저류되어 간다. 그리고, 출력 제어부(35, 71)가, 먼지 저류부(60, 90) 내의 먼지량이 제1 레벨에 도달하였다고 판단하면, 청소 사인 출력부(33, 48)에 청소 사인을 출력시킨다. 그리고, 먼지 저류부(40, 50) 내의 청소가 되지 않고 먼지 저류부(60, 90) 내에 먼지가 더 저류되어 가서, 출력 제어부(35, 71)가, 먼지 저류부(60, 90) 내의 먼지량이 제2 레벨에 도달하였다고 판단하면, 청소 사인 출력부(33, 48)에 청소 사인을 출력시킨다. 이 제1 발명에서는, 먼지 저류부(60, 90) 내의 먼지의 제거가 필요한 것을 알리기 위한 청소 사인이, 먼지량이 서로 다른 2개의 레벨의 각각에서 출력된다.
제2 발명에서는, 출력 제어부(35, 71)가, 먼지 저류부(60, 90) 내의 먼지량이 제2 레벨에 도달하였다고 판단하면, 청소 사인 출력부(33, 48)에 청소 사인을 출력시킴과 함께, 청소 운전을 금지한다. 청소 운전은, 제2 레벨의 청소 사인의 출력으로부터 금지된다. 제2 레벨에서 청소 운전이 금지될 때까지는, 제1 레벨의 청소 사인이 출력된다.
제3 발명에서는, 먼지 저류부(60, 90) 내의 먼지량이 제2 레벨에 도달하면, 청소 운전 및 공조 운전 중 청소 운전만이 금지된다. 그리고, 먼지 저류부(60, 90) 내의 먼지량이 제2 레벨에 도달한 후에, 에어 필터(30)의 먼지량이 소정의 레벨에 도달하면, 또한 공조 운전도 금지된다. 이 제3 발명에서는, 먼지 저류부(60, 90) 내의 먼지량이 제2 레벨에 도달하여 청소 운전이 금지된 후에도, 에어 필터(30)의 먼지량이 소정의 레벨에 도달할 때까지는, 공조 운전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4 발명에서는, 출력 제어부(35, 71)가, 먼지 저류부(60, 90) 내의 먼지량이 제2 레벨에 도달하였다고 판단하면, 청소 사인 출력부(33, 48)에 청소 사인을 출력시킴과 함께, 공조 운전을 금지한다. 공조 운전은, 제2 레벨의 청소 사인의 출력으로부터 금지된다. 제2 레벨에서 공조 운전이 금지될 때까지는, 제1 레벨의 청소 사인이 출력된다.
제5 발명에서는, 제2 레벨의 청소 사인의 출력으로부터 청소 운전이 금지되지만, 제3 레벨의 청소 사인의 출력까지는, 금지 해제 입력부(55)에의 입력에 의해 청소 운전을 금지하고 있는 상태가 해제된다. 제3 레벨의 청소 사인의 출력으로부터는, 금지 해제 입력부(55)에의 입력이 있어도 청소 운전을 금지하고 있는 상태는 해제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제3 레벨의 청소 사인의 출력 이후에, 청소 운전에 의해 먼지 저류부(60, 90)에 먼지가 저류하는 일은 없다.
제6 발명에서는, 먼지 저류부(60, 90) 내의 먼지량이 제1 레벨에 도달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데에, 검지 센서(71)의 출력이 이용된다. 이로 인해, 예를 들어 실내 유닛의 운전 적산 시간에 의해 먼지량을 추정하는 경우에 비하여, 제1 레벨에 도달하였는지의 여부가 정확하게 검지된다.
제7 발명에서는, 먼지 저류부(60, 90) 내의 먼지량이 제2 레벨에 도달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데에, 실내 팬(21) 또는 공조기의 운전 적산 시간이 이용되고 있다. 이로 인해, 제2 레벨에 도달하였는지의 여부를 검지하기 위해, 제1 레벨의 판단용의 검지 센서(71)와는 별도로, 검지 센서(71)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제8 발명에서는, 먼지 저류부(60, 90) 내의 먼지량이 제3 레벨에 도달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데에, 실내 팬(21) 또는 공조기의 운전 적산 시간이 이용되고 있다. 이로 인해, 제3 레벨에 도달하였는지의 여부를 검지하기 위해, 제1 레벨의 판단용의 검지 센서(71)와는 별도로, 검지 센서(71)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제9 발명에서는, 청소 사인을 출력하는 먼지량의 레벨마다, 상이한 청소 사인이 출력된다. 제1 레벨과 제2 레벨에서는, 상이한 청소 사인이 출력된다. 이로 인해, 어느 레벨의 청소 사인인지가 식별된다.
제10 발명에서는, 청소 사인을 출력하는 먼지량의 레벨 중에서 먼지량이 가장 많은 레벨의 청소 사인을 출력할 때에는, 이상 코드가 출력된다. 예를 들어, 제1 레벨 내지 제3 레벨의 3단계에서 청소 사인을 출력하는 실내 유닛의 경우에는, 제3 레벨의 청소 사인을 출력할 때, 이상 코드가 출력된다. 이 제10 발명에서는, 먼지 저류부(60, 90) 내의 청소의 긴급도가 가장 높은 청소 사인시에, 이상 코드가 출력된다.
제11 발명에서는, 먼지 저류부(60, 90) 내의 먼지량이 소정의 레벨에 도달하였다고 판단한 경우뿐만 아니라, 계측 타이머(37)의 계측 시간 또는 상기 계측 시간을 이용하여 연산한 시간이 소정의 기준 시간에 도달한 경우에도, 청소 사인이 출력된다. 여기서, 실내 팬(21) 또는 공조기의 운전 적산 시간은, 에어 필터(30)를 통과한 공기량을 반영하고 있다. 에어 필터(30)를 통과한 공기량이 많을수록 먼지 저류부(60, 90)에는 많은 먼지가 저류한다. 이 제11 발명에서는, 청소 사인의 출력의 판단에, 먼지 저류부(60, 90)의 먼지량을 반영하는 실내 팬(21) 또는 공조기의 운전 적산 시간이 이용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먼지 저류부(60, 90) 내의 먼지량이 제1 레벨에 도달하였다고 판단한 경우와, 먼지 저류부(60, 90) 내의 먼지량이 제2 레벨에 도달하였다고 판단한 경우에, 청소 사인 출력부(33, 48)에 청소 사인을 출력시키는 출력 제어부(35, 71)를 설치함으로써, 먼지량이 서로 다른 2개의 레벨의 각각에서 청소 사인이 출력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먼지 저류부(60, 90) 내의 먼지량이 증가함에 따라 청소 사인이 순차적으로 출력되므로, 사용자는 먼지 저류부(60, 90) 내의 먼지의 저류 레벨을 단계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먼지 저류부(60, 90) 내의 청소의 긴급도를 단계적으로 인식할 수 있고, 먼지 저류부(40, 50) 내의 청소를 유연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제2 발명에서는, 제2 레벨에서 청소 운전이 금지될 때까지, 제1 레벨의 청소 사인이 출력된다. 그런데, 1개의 레벨의 먼지량에 대응하는 청소 사인만 출력되는 종래의 실내 유닛에서도, 청소 사인의 출력과 함께, 청소 운전이 금지된다. 이 경우, 청소 운전이 금지될 때까지 청소 사인은 출력되지 않는다. 이에 대해, 이 제2 발명에서는, 제2 레벨에서 청소 운전이 금지될 때까지, 제1 레벨의 청소 사인이 출력된다. 이로 인해, 제1 레벨의 청소 사인에 의해 청소 운전이 금지되는 상태가 근접해 있는 것을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발명에서는, 먼지 저류부(60, 90) 내의 먼지량이 제2 레벨에 도달하여 청소 운전이 금지된 후에도, 에어 필터(30)의 먼지량이 소정의 레벨에 도달할 때까지는, 공조 운전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가능한 한 공조 운전을 가능한 상태가 계속되므로, 청소 운전을 금지하는 제2 레벨에 도달한 후에 즉시 실내의 쾌적성이 손상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 발명에서는, 제2 레벨에서 공조 운전이 금지될 때까지, 제1 레벨의 청소 사인이 출력된다. 그런데, 1개의 레벨의 먼지량에 대응하는 청소 사인만 출력되는 종래의 실내 유닛에서도, 청소 사인의 출력과 함께, 공조 운전이 금지된다. 이 경우, 공조 운전이 금지될 때까지 청소 사인은 출력되지 않는다. 이에 대해, 이 제4 발명에서는, 제2 레벨에서 공조 운전이 금지될 때까지, 제1 레벨의 청소 사인이 출력된다. 이로 인해, 제1 레벨의 청소 사인에 의해 공조 운전이 금지되는 상태가 근접해 있는 것을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5 발명에서는, 제3 레벨의 청소 사인의 출력으로부터는, 금지 해제 입력부(55)에의 입력이 있어도 청소 운전을 금지하고 있는 상태를 해제할 수 없도록 함으로써, 청소 운전에 의해 먼지 저류부(60, 90)에 먼지가 저류하는 일이 없도록 하고 있다. 이로 인해, 먼지 저류부(60, 90) 내의 먼지량이 지나치게 많아지는 것에 기인하는 트러블을 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6 발명에서는, 먼지 저류부(60, 90) 내의 먼지량이 제1 레벨에 도달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검지 센서(71)의 출력을 이용하고 있으므로, 제1 레벨에 도달하였는지의 여부가 비교적 정확하게 검지된다. 따라서, 먼지 저류부(60, 90) 내의 먼지량에 대하여 적절한 타이밍에서, 제1 레벨의 청소 사인의 출력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7 발명에서는, 실내 팬(21) 또는 공조기의 운전 적산 시간을 이용하여 먼지 저류부(60, 90) 내의 먼지량이 제2 레벨에 도달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제1 레벨의 판단용의 검지 센서(71)와는 별도로, 검지 센서(71)를 설치할 필요가 없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실내 유닛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8 발명에서는, 실내 팬(21) 또는 공조기의 운전 적산 시간을 이용하여 먼지 저류부(60, 90) 내의 먼지량이 제3 레벨에 도달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제1 레벨의 판단용의 검지 센서(71)와는 별도로, 검지 센서(71)를 설치할 필요가 없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실내 유닛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9 발명에서는, 청소 사인을 출력하는 먼지량의 레벨마다 상이한 청소 사인으로 함으로써, 어느 레벨의 청소 사인인지가 식별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어느 레벨의 청소 사인인지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0 발명에서는, 먼지 저류부(60, 90) 내의 청소의 긴급도가 가장 높은 청소 사인시에, 이상 코드가 출력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먼지 저류부(60, 90) 내의 청소의 긴급도가 높은 것을 사용자에게 확실하게 인식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실내 유닛의 종단면도.
도 2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실내 유닛의 수평 단면도.
도 3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화장 패널을 비스듬한 하방으로부터 본 경우의 사시도.
도 4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하측 케이싱을 비스듬한 하방으로부터 본 경우의 사시도.
도 5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먼지 포집 용기의 단면도.
도 6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출력 제어부의 개략 구성도.
도 7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실내 유닛에서의 각 레벨의 청소 사인과 먼지 저류부 내의 먼지량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표.
도 8은 그 밖의 실시 형태에 관한 액정 표시부의 표시예를 나타낸 화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는, 본 발명에 관한 공조기의 실내 유닛(1)이다. 이 실내 유닛(1)은, 실내 공간의 천장에 설치되는 천장 설치형의 실내 유닛이다. 이 실내 유닛(1)에는, 에어 필터(30)의 청소를 자동적으로 행하는, 소위 청소 기능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공조기는, 증기 압축 냉동 사이클을 행하는 냉매 회로를 구비하고, 공조 운전으로서 냉방 운전과 난방 운전을 실행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실내 유닛(1)에는, 냉매 회로에 접속된 구성 기기 중 실내 열교환기(22)가 설치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내 유닛(1)은, 대략 직육면체의 상자 형상의 본체 케이싱(10)과, 직사각형 판 형상의 화장 패널(11)로 이루어지는 케이싱(20)을 구비하고 있다. 본체 케이싱(10)은 천장 뒤에 설치된다. 본체 케이싱(10)은, 상측 케이싱(10a)과, 상측 케이싱(10a)의 하부에 설치되는 하측 케이싱(10b)을 구비하고 있다. 상측 케이싱(10a)의 내면에는, 단열재(17)가 적층되어 있다.
화장 패널(11)은, 본체 케이싱(10)의 하측을 덮도록 본체 케이싱(10)에 설치된다. 이 상태에서는, 화장 패널(11)의 전방면(하면)이 실내 공간에 노출됨과 함께, 화장 패널(11)의 배면(상면)의 외주 부분이 천장판(16)에 접촉한다.
화장 패널(11)에는, 흡입구(13)와 토출구(14)가 형성되어 있다. 흡입구(13)는, 화장 패널(11)의 흡입 그릴(12)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다. 흡입구(13)는, 복수의 슬릿으로 구성되고, 전체로서 대략 정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토출구(14)는, 흡입 그릴(12)과, 화장 패널(11)의 외주 부분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토출구(14)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장 패널(11)의 외주의 전체 주위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이 실내 유닛(1)에서는, 토출구(14)가, 화장 패널(11)의 외주의 각 변을 따르는 부분뿐만 아니라 각 코너부에도 형성되어 있다. 또한, 흡입 그릴(12)에는, 후술하는 먼지 저류부(60, 90)로부터 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삽입구(18)가 형성되어 있다.
화장 패널(11)의 각 코너부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너 패널(45)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각 코너 패널(45)은, 화장 패널(11)의 본체에 대하여 제거 가능하게 되어 있다. 4개의 코너 패널(45) 중 1개에는, 후술하는 제어부(35)의 제어에 의해 점등하는 점등부(33)가 설치되어 있다. 점등부(33)는, 3개의 LED(발광 다이오드)로 이루어지는 발광부와, 투명 아크릴 수지제의 광확산부를 구비하고 있다. 발광부는, 2개의 녹색 LED와 1개의 적색 LED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점등부(33)는, 그 일단부면이 실내 공간에 노출되는 노출부로 되어 있다. 점등부(33)에서는, 발광부가 발광하면, 발광부로부터의 광이 광확산부에 입사하고, 그 입사한 광이 광확산부의 노출부로부터 출사된다.
상측 케이싱(10a)의 내부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내 열교환기(22), 드레인 팬(23) 및 실내 팬(21)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측 케이싱(10b)의 내부에는, 에어 필터(30), 필터 구동부(40), 브러시 유닛(50), 먼지 포집 용기(60) 및 먼지 저류 용기(90)가 설치되어 있다. 필터 구동부(40) 및 브러시 유닛(50)은 먼지 제거부(40, 50)를 구성하고 있다. 먼지 포집 용기(60) 및 먼지 저류 용기(90)는 먼지 저류부(60, 90)를 구성하고 있다. 먼지 저류부(60, 90)에서는, 먼지 포집 용기(60)가 제1 용기가 되고, 먼지 저류 용기(90)가 제2 용기가 되며, 제1 용기로부터 제2 용기로 먼지가 보내진다.
실내 팬(21)은, 소위 터보 팬이다. 실내 팬(21)은, 상측 케이싱(10a)의 한가운데 부근에 배치되어 있다. 실내 팬(21)은, 팬 모터(21a)와 날개차(21b)를 구비하고 있다. 팬 모터(21a)는, 상측 케이싱(10a)의 천장판에 고정되어 있다. 날개차(21b)는, 팬 모터(21a)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있다. 실내 팬(21)의 하측에는, 흡입구(13)에 연통하는 벨 마우스(24)가 설치되어 있다. 실내 팬(21)은, 벨 마우스(24)를 통하여 하측으로부터 흡입한 공기를 둘레 방향으로 분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실내 열교환기(22)는, 크로스 핀식의 핀ㆍ앤드ㆍ튜브형 열교환기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실내 열교환기(22)는, 평면에서 볼 때 ㅁ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실내 팬(21)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다. 실내 열교환기(22)에서는, 실내 팬(21)에 의해 보내지는 실내 공기와 냉매 사이에서 열교환이 행하여진다.
드레인 팬(23)은, 실내 열교환기(22)의 하측에 설치되어 있다. 드레인 팬(23)은, 실내 열교환기(22)에 있어서 공기 중의 수분이 응축하여 발생하는 드레인수를 받기 위한 것이다. 드레인 팬(23)에는, 드레인수를 배수하기 위한 드레인 펌프가 설치되어 있다(도시 생략).
에어 필터(30)는, 흡입구(13)로부터 벨 마우스(24)로 향하는 공기 중의 먼지를 포착하기 위한 것이다. 에어 필터(30)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에어 필터(30)는, 하측 케이싱(10b)의 상단부의 구획판(25)에 형성된 원형의 통기구를 덮도록 설치되어 있다. 에어 필터(30)는, 구획판(25)의 통기구를 4분할하는 리브(도시 생략)의 중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에어 필터(30)의 외주면에는, 필터측 기어부가 형성되어 있다(도시 생략).
필터 구동부(40)는, 모터와,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모터측 기어부를 구비하고 있다. 필터 구동부(40)는, 모터측 기어부가 필터측 기어부와 맞물리도록, 에어 필터(30)의 외측에 설치되어 있다. 필터 구동부(40)는, 후술하는 브러시 유닛(50)에 의해 에어 필터(30)로부터 먼지를 제거하는 청소 운전시에, 모터의 회전에 의해 에어 필터(30)를 회전시킨다.
브러시 유닛(50)은, 에어 필터(30)에 포착된 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브러시 유닛(50)은, 후술하는 먼지 포집 용기(60)에 설치되어 있다. 브러시 유닛(50)은, 에어 필터(30)에 접촉하는 회전 브러시(51)와, 회전 브러시(51)를 회전시키는 브러시 구동부(53)를 구비하고 있다. 브러시 유닛(50)에서는, 상기 청소 운전시에, 브러시 구동부(53)가 회전 브러시(51)를 회전시킨다.
먼지 포집 용기(6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 부분이 브러시 유닛(50)을 수납하는 수납부(61)로 되고, 하측 부분이 에어 필터(30)로부터 제거된 먼지가 저류되는 저류부(62)로 되어 있다. 저류부(62)에서는, 후술하는 발광 LED(72)와 포토 트랜지스터(73)에 대면하는 부분에, 투명한 부재에 의해 구성된 제1 창부(64) 및 제2 창부(65)가 설치되어 있다. 저류부(62)에는, 회전 브러시(51)에 의해 에어 필터(30)로부터 긁어 떨어뜨려진 먼지나, 수납부(61)에 설치된 청소용 브러시(52)에 의해 회전 브러시(51)로부터 긁어 떨어뜨려진 먼지가 저류되어 간다.
먼지 포집 용기(60)에는, 내부에 제1 실과 제2 실이 형성된 댐퍼 박스(81)가 접속되어 있다. 댐퍼 박스(81)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실과 제2 실 사이의 연통구를 개폐하는 댐퍼(82)가 설치되어 있다. 제1 실의 상면에는, 벨 마우스(24)의 상측으로 개구하는 도입용 덕트(86)가 접속되어 있다. 댐퍼(82)를 개방 상태로 설정한 상태에서 실내 팬(21)을 운전시키면, 실내 팬(21)의 분출 공기가 도입용 덕트(86) 및 댐퍼 박스(81)를 통하여 먼지 포집 용기(60)에 유입되므로, 먼지 포집 용기(60) 내의 먼지가 먼지 저류 용기(90)로 반송된다. 또한, 댐퍼(82)는, 공조 운전 중에는 개방 상태로 설정된다.
또한, 댐퍼 박스(81)의 제2 실의 하면에는, 삽입구(18)에 연통하는 흡인용 덕트(87)가 접속되어 있다. 삽입구(18)에 청소기의 먼지 흡입구를 접속하여 청소기를 운전시키면, 먼지 저류 용기(90) 및 먼지 포집 용기(60)의 먼지가 청소기에 의해 흡인된다.
먼지 저류 용기(90)는, 에어 필터(30)의 하측에 배치되고, 반송용 덕트(88)를 통하여 먼지 포집 용기(60)에 접속되어 있다. 먼지 저류 용기(90)에는, 배기구(91)가 형성되어 있다. 배기구(91)에는 필터(92)가 설치되어 있다. 배기구(91)는, 하측 케이싱(10b)의 배기 통로(19)를 통하여, 케이싱(20)의 외부에 연통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지 포집 용기(60)에 대하여, 먼지 포집 용기(60)에서의 먼지의 저류량을 검지하기 위한 검지 센서(71)가 설치되어 있다. 검지 센서(71)는 광 센서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검지 센서(71)는, 먼지 포집 용기(60)의 저류부(62)에 설치된 센서 박스(70)에 수용되어 있다.
검지 센서(71)는, 동일한 높이에 설치된 한쌍의 발광 LED(72) 및 포토 트랜지스터(73)를 구비하고 있다. 발광 LED(72) 및 포토 트랜지스터(73)는, 저류부(62)의 한가운데의 높이보다도 조금 낮은 높이에 설치되어 있다. 검지 센서(71)에서는, 발광 LED(72)가 발한 광이, 제1 창부(64)와 제2 창부(65)를 순서대로 투과하고, 그 투과한 광의 광도가 포토 트랜지스터(73)에 의해 검출된다. 포토 트랜지스터(73)에서 검출된 검출 광도는, 후술하는 제어부(35)에 출력된다. 검지 센서(71)에 따르면, 검출 광도가 후술하는 판정 광도 이하가 되는 경우에, 먼지 포집 용기(60)에 검지 센서(71)의 높이까지 먼지가 저류되어 있는 것이 검지된다.
-제어부의 구성-
본 실시 형태의 실내 유닛(1)에는, 공조 운전 및 청소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부(35)가 설치되어 있다. 제어부(35)는, 하측 케이싱(10b)이 수용된 제어 박스(32) 내의 제어 기판(31)에 설치되어 있다. 제어부(35)는, 검지 센서(71)와 함께 출력 제어부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실내 유닛(1)에는, 먼지 저류부(60, 90)로부터의 먼지의 제거가 필요한 것을 알리기 위한 청소 사인을 출력하는 청소 사인 출력부(33, 48)가 설치되어 있다. 청소 사인 출력부(33, 48)는, 화장 패널(11)의 점등부(33)와, 사용자가 전원의 온/오프 등을 입력하는 리모콘(48)으로 구성되어 있다. 청소 사인 출력부(33, 48)의 제어는, 제어부(35)에 의해 행하여진다. 또한, 청소 사인 출력부(33, 48)는, 주의 사인, 경고 사인, 제1 이상 사인 및 제2 이상 사인의 4종류의 청소 사인을 출력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들 청소 사인은, 출력 방법이 서로 다르다.
또한, 리모콘(48)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정 온도 등을 표시하는 액정 표시부(34)와, 금지 해제 입력부를 구성하는 리셋 버튼(55)과, LED에 의해 구성된 리모콘 점등부(5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리셋 버튼(55)은, 제어부(35)를 구성하는 제어 기판(31)에도 설치되어 있다.
제어부(35)는, 청소 사인을 출력할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청소 사인을 출력한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청소 사인 출력부(33, 48)에 청소 사인을 출력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어부(35)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계측 타이머(37)와 출력 판정부(38)와 출력 지시부(39)를 구비하고 있다.
계측 타이머(37)는, 실내 팬(21)의 운전 적산 시간을 계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계측 타이머(37)는, 포토 트랜지스터(73)에서 검출된 검출 광도가 후술하는 판정 광도 이하의 상태로부터 판정 광도를 상회하는 상태로 변화한 것이 검지되면, 먼지 저류부(60, 90) 내로부터 먼지가 제거된 것으로서, 리셋된다. 또한, 계측 타이머(37)는, 검출 광도가 판정 광도를 상회하는 상태에서 리셋 버튼(55)의 입력이 있었던 경우에도 리셋된다. 계측 타이머(37)에서는, 먼지 저류부(60, 90)로부터 먼지를 제거하고 나서의 실내 팬(21)의 운전 적산 시간(단, 실내 유닛(1)의 설치 직후의 경우는, 그 설치 직후로부터의 실내 팬(21)의 운전 적산 시간)인 제1 적산 시간이 계측된다.
출력 판정부(38)는, 계측 타이머(37)의 계측 시간(제1 적산 시간)에 기초하여 주의 사인을 출력할지의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출력 판정부(38)에는, 주의 사인을 출력할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 시간 Tsd의 초기값(예를 들어 8760시간=1년)이 미리 설정되어 있다. 출력 판정부(38)는, 계측 타이머(37)의 계측 시간이 기준 시간 Tsd에 도달하면, 주의 사인을 출력할 것을 결정한다.
또한, 출력 판정부(38)는, 포토 트랜지스터(73)의 검출 광도에 기초하여 경고 사인을 출력할지의 여부도 판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출력 판정부(38)에는, 경고 사인을 출력할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판정 광도가 미리 설정되어 있다. 출력 판정부(38)는, 상기 검출 광도가 판정 광도 이하가 되면, 경고 사인을 출력할 것을 결정한다. 또한, 출력 판정부(38)는, 후술하는 먼지 반송 동작이 종료될 때마다 포토 트랜지스터(73)의 검출 광도를 판독하고, 경고 사인의 출력 후에는 일정한 주기로 포토 트랜지스터(73)의 검출 광도를 판독해 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제어부(35)는, 먼지 저류 용기(90)가 가득 차기 전에 포토 트랜지스터(73)로부터의 검출 광도가 판정 광도 이하가 되지 않도록, 댐퍼(82)를 개방 상태로 하여 실내 팬(21)을 운전시킴으로써 먼지 포집 용기(60) 내의 먼지를 먼지 저류 용기(90)로 반송하는 먼지 반송 동작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35)는, 청소 운전의 종료 후에 매회 먼지 반송 동작을 실행한다. 이로 인해, 출력 판정부(38)가 경고 사인을 출력할 것을 결정한 단계에서는, 반송용 덕트(88)가 막혀 있지 않으면 먼지 저류 용기(90)가 가득차게 되어, 먼지 포집 용기(60)에 저류된 먼지를 먼지 저류 용기(90)로 반송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경고 사인의 단계의 먼지의 저류량이 제1 레벨로 되어 있다. 제1 레벨은, 먼지 포집 용기(60)가 가득차게 될 때까지, 아직 여유가 있는 저류량이다.
또한, 출력 판정부(38)는, 제1 이상 사인을 출력할지의 여부도 판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출력 판정부(38)는, 상기 제1 레벨에 도달하였다고 판단한 시점으로부터의 실내 팬(21)의 운전 적산 시간인 제2 적산 시간에 기초하여, 제1 이상 사인을 출력할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출력 판정부(38)는, 제1 레벨에 도달하였다고 판단한 시점의 계측 타이머(37)의 계측 시간을 기억한다. 그리고, 출력 판정부(38)는, 현재의 계측 타이머(37)의 계측 시간과 기억한 시간과의 차로부터 제2 적산 시간을 산출하고, 그 제2 적산 시간이 소정의 제1 판정 시간 T1에 도달하면, 제1 이상 사인을 출력할 것을 결정한다. 또한, 제1 판정 시간 T1은, 이하에 나타내는 수학식 1에 의해 산출된다. 하기의 수학식 1에 있어서, A는 소정의 제1 계수(예를 들어 A=0.04)를 나타내고 있다.
Figure pat00001
이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이상 사인의 단계의 먼지의 저류량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레벨보다도 많은 먼지량의 제2 레벨로 되어 있다. 제2 레벨은, 먼지 포집 용기(60)가 거의 가득 차 있는 상태에서, 브러시 유닛(50) 등이 고장은 아니지만, 브러시 유닛(50) 등의 기능이 저하하기 시작하는 상태를 상정하고 있다. 제2 레벨에 도달한 후에는, 먼지 포집 용기(60)로부터 먼지가 실내 공간으로 낙하하거나, 청소 운전을 행하여도 에어 필터(30)에 먼지의 잔여물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또한, 출력 판정부(38)는, 제2 이상 사인을 출력할지의 여부도 판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출력 판정부(38)는, 상기 제2 레벨에 도달하였다고 판단한 시점으로부터의 실내 팬(21)의 운전 적산 시간인 제3 적산 시간에 기초하여, 제2 이상 사인을 출력할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출력 판정부(38)는, 제2 레벨에 도달하였다고 판단한 시점의 계측 타이머(37)의 계측 시간을 기억한다. 그리고, 출력 판정부(38)는, 현재의 계측 타이머(37)의 계측 시간과 기억한 시간과의 차로부터 제3 적산 시간을 산출하고, 그 제3 적산 시간이 소정의 제2 판정 시간 T2에 도달하면, 제2 이상 사인을 출력할 것을 결정한다. 또한, 제2 판정 시간 T2는, 이하에 나타내는 수학식 2에 의해 산출된다. 하기의 수학식 2에 있어서, B는 소정의 제2 계수(예를 들어 B=0.04)를 나타내고 있다. 제2 계수는 제1 계수와 동일한 값이다.
Figure pat00002
이 실시 형태에서는, 제2 이상 사인의 단계의 먼지의 저류량이, 제2 레벨보다도 많은 먼지량의 제3 레벨로 되어 있다. 제3 레벨은, 브러시 유닛(50) 등이 고장에 이를 정도로 먼지 포집 용기(60)에 먼지가 저류되어 있는 상태를 상정하고 있다. 제3 레벨에 도달한 후에는, 브러시 유닛(50)이 회전하지 않는 사태나, 먼지 포집 용기(60)로부터 먼지가 낙하하는 사태나, 청소기에 의해 삽입구(18)로부터 먼지 저류부(60, 90) 내의 먼지를 회수할 수 없는 사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출력 지시부(39)는, 출력 판정부(38)가 주의 사인의 출력을 결정하면, 청소 사인 출력부(33, 48)에 주의 사인을 출력시킨다. 주의 사인의 경우에는, 리모콘(48)으로만 청소 사인이 출력된다. 리모콘(48)에서는, 출력 지시부(39)로부터의 출력 지시에 의해, 먼지 저류부(60, 90)로부터의 먼지의 제거를 사용자에게 촉구하는 문자가 표시된다. 구체적으로, 액정 표시부(34)에는, 「더스트 박스를 청소해 주십시오」라고 하는 문자가 표시된다.
또한, 출력 지시부(39)는, 출력 판정부(38)가 경고 사인의 출력을 결정하면, 청소 사인 출력부(33, 48)에 경고 사인을 출력시킨다. 경고 사인의 경우에는, 점등부(33) 및 리모콘(48)의 각각으로부터 청소 사인이 출력된다. 점등부(33)에서는, 출력 지시부(39)로부터의 출력 지시에 의해, 발광부의 적색 LED가 점등한다. 또한, 리모콘(48)에서는, 출력 지시부(39)로부터의 출력 지시에 의해, 주의 사인일 때와 마찬가지로, 「더스트 박스를 청소해 주십시오」라고 하는 문자가 액정 표시부(34)에 표시된다.
또한, 리셋 버튼(55)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면, 출력 지시부(39)는, 청소 사인 출력부(33, 48)에 경고 사인의 출력을 정지시킨다. 이에 의해, 점등부(33)에서는 적색 LED가 소등한다. 단, 출력 지시부(39)는, 검출 광도가 판정 광도 이하의 상태가 계속되고 있는 한은, 리셋 버튼(55)의 입력으로부터의 실내 팬(21)의 운전 적산 시간이 소정의 제3 판정 시간 T3(예를 들어 2시간)에 도달할 때마다, 청소 사인 출력부(33, 48)에 경고 사인을 출력시킨다. 또한, 제3 판정 시간 T3은, 제1 판정 시간 T1 및 제2 판정 시간 T2보다도 단시간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출력 지시부(39)는, 출력 판정부(38)가 제1 이상 사인의 출력을 결정하면, 청소 사인 출력부(33, 48)에 제1 이상 사인을 출력시킨다. 제1 이상 사인의 경우에는, 점등부(33) 및 리모콘(48)의 각각으로부터 청소 사인이 출력된다. 점등부(33)에서는, 출력 지시부(39)로부터의 출력 지시에 의해, 발광부의 적색 LED가 점멸한다. 또한, 리모콘(48)에서는, 출력 지시부(39)로부터의 출력 지시에 의해, 「더스트 박스를 청소해 주십시오」라고 하는 문자가 액정 표시부(34)에 표시됨과 함께, 리모콘 점등부(56)가 점멸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이상 사인의 출력이 결정되면, 제어부(35)가, 공조 운전 및 청소 운전을 금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실내 유닛(1)에서는, 제1 이상 사인의 출력과 동시에, 공조 운전이 금지된 공조 금지 상태가 되고, 청소 운전이 금지된 청소 금지 상태가 된다. 공조 운전이 금지되면, 사용자는 먼지 저류부(60, 90) 내의 청소가 재촉된다.
이 상태에서, 리셋 버튼(55)이 입력되면, 출력 지시부(39)가, 청소 사인 출력부(33, 48)에 제1 이상 사인의 일부의 출력을 정지시킨다. 또한, 제어부(35)는, 먼지 저류부(60, 90) 내의 청소가 행하여지지 않아도, 공조 금지 상태 및 청소 금지 상태를 일시적으로 해제한다. 이에 의해, 점등부(33) 및 리모콘 점등부(56)가 소등한다. 또한, 액정 표시부(34)에서는, 청소 사인의 표시가 계속된다. 또한, 실내 유닛(1)은, 공조 운전 및 청소 운전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단, 검출 광도가 판정 광도 이하의 상태가 계속되고 있는 한은, 리셋 버튼(55)의 입력으로부터의 실내 팬(21)의 운전 적산 시간이 상기 제3 판정 시간 T3에 도달할 때마다, 출력 지시부(39)는, 다시 점등부(33) 및 리모콘 점등부(56)를 점멸시키고, 제어부(35)는, 다시 공조 운전 및 청소 운전을 금지한다. 공조 금지 상태 및 청소 금지 상태는, 점등부(33) 및 리모콘 점등부(56)의 점멸의 정지 중에만 해제된다.
또한, 출력 지시부(39)는, 출력 판정부(38)가 제2 이상 사인의 출력을 결정하면, 청소 사인 출력부(33, 48)에 제2 이상 사인을 출력시킴과 함께, 이상 개소가 먼지 저류부(60, 90)인 것을 나타내는 이상 코드를 리모콘(48)에 표시시킨다. 제2 이상 사인의 경우에는, 점등부(33) 및 리모콘(48)의 각각으로부터 청소 사인이 출력된다. 점등부(33)에서는, 출력 지시부(39)로부터의 출력 지시에 의해, 발광부의 적색 LED가 점멸한다. 또한, 리모콘(48)에서는, 리모콘 점등부(56)가 점멸함과 함께, 액정 표시부(34)에 이상 코드가 표시된다. 액정 표시부(34)에는, 이상 코드와 함께, 공조기의 유지 보수를 행하는 서비스 센터의 연락처도 표시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이상 사인의 이후에도, 제어부(35)가, 공조 운전 및 청소 운전의 금지를 계속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실내 유닛(1)에서는, 리셋 버튼(55)의 입력에 의해 공조 운전 및 청소 운전이 일시적으로 해제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2 이상 사인의 출력과 동시에, 공조 운전이 금지된 공조 금지 상태가 되고, 청소 운전이 금지되어 청소 금지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리셋 버튼(55)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면, 출력 지시부(39)가, 청소 사인 출력부(33, 48)에 제2 이상 사인의 출력을 정지시킨다. 또한, 제어부(35)는, 먼지 저류부(60, 90) 내의 청소가 행하여지지 않아도, 공조 금지 상태를 일시적으로 해제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공조 금지 상태만 해제되고, 청소 금지 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것은, 제2 이상 사인의 출력이 결정될 때까지로 한정되어 있다. 제어부(35)는, 제2 이상 사인의 출력 결정 후에는, 리셋 버튼(55)의 입력이 있어도, 먼지 저류부(60, 90) 내의 청소가 행하여지지 않는 한, 청소 금지 상태를 해제하지 않는다. 이에 의해, 점등부(33) 및 리모콘 점등부(56)가 소등한다. 액정 표시부(34)에서는, 이상 코드의 표시가 계속된다. 그리고, 실내 유닛(1)은, 공조 운전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단, 검출 광도가 판정 광도 이하의 상태가 계속되고 있는 한은, 리셋 버튼(55)의 입력으로부터의 실내 팬(21)의 운전 적산 시간이 상기 제3 판정 시간 T3에 도달할 때마다, 출력 지시부(39)는, 다시 점등부(33) 및 리모콘 점등부(56)를 점멸시키고, 제어부(35)는, 다시 공조 운전을 금지한다. 공조 금지 상태는, 점등부(33) 및 리모콘 점등부(56)의 점멸의 정지 중에만 해제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경고 사인이 출력될 때까지는, 사용자가 리셋 버튼(55)을 입력함으로써, 계측 타이머(37)가 리셋된다. 이 때, 청소 사인이 나오고 있으면, 청소 사인은 해제된다. 또한, 경고 사인의 출력 후에는, 사용자가 먼지 저류부(60, 90)로부터 먼지를 제거함으로써, 포토 트랜지스터(73)의 검출 광도가 판정 광도를 상회하여, 계측 타이머(37)가 자동적으로 리셋된다. 이 때, 청소 사인이 나오고 있으면, 청소 사인은 해제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어부(35)가, 공조 운전 중에 점등부(33)의 2개의 녹색 LED를 연속적으로 점등시키고, 청소 운전 중에 점등부(33)의 2개의 녹색 LED를 점멸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단, 리모콘(48)에는, 사용자가 점등부(33)를 점등시킬지의 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점등 조작 버튼(54)이 설치되어 있다. 제어부(35)에서는, 점등 조작 버튼(54)이 입력될 때마다, 공조 운전 중 및 청소 운전 중에 점등부(33)를 점등시키는 제1 설정과, 점등부(33)를 점등시키지 않는 제2 설정 사이에서 전환된다. 또한, 제어부(35)는, 제2 설정으로 설정되어 있어도, 경고 사인, 제1 이상 사인 및 제2 이상 사인의 출력이 결정된 경우에는, 점등부(33)를 점등시킨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실내 유닛(1)을 설치하는 실내 공간의 공기 중의 먼지량에 따른 시간이 되도록 상기 기준 시간 Tsd를 학습시키는 학습 기능이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출력 판정부(38)는, 경고 사인의 출력을 결정하기 전에 주의 사인의 출력을 결정한 경우에는, 기준 시간 Tsd를 장시간으로 변경한다. 이 경우, 기준 시간 Tsd는, 이하에 나타내는 수학식 3에 의해 얻어진 값 Tsd'로 변경된다. 또한, 하기의 수학식 3에 있어서, Tsd는 변경 전의 기준 시간을 나타내고, Tsd'는 변경 후의 기준 시간을 나타내고, C는 1보다 큰 제3 계수(예를 들어 C=1.2)를 나타내고 있다.
Figure pat00003
또한, 출력 판정부(38)는, 주의 사인의 출력을 결정하기 전에 경고 사인의 출력을 결정한 경우에는, 기준 시간 Tsd를 단시간으로 변경한다. 이 경우, 기준 시간 Tsd는, 이하에 나타내는 수학식 4에 의해 얻어진 값 Tsd'로 변경된다. 또한, 하기의 수학식 4에 있어서, D는 1 미만의 제4 계수(예를 들어 D=0.7)를 나타내고 있다.
Figure pat00004
또한, 출력 판정부(38)에는, 기준 시간 Tsd의 상한 시간(예를 들어 10800시간)과 하한 시간(예를 들어 900시간)이 각각 설정되어 있다. 변경 후의 기준 시간 Tsd'가 상한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변경 후의 기준 시간 Tsd'는 상한 시간으로 설정되고, 변경 후의 기준 시간 Tsd'가 하한 시간을 하회하는 경우에는, 변경 후의 기준 시간 Tsd'는 하한 시간으로 설정된다. 이로 인해, 검지 센서(71)의 오검지 등에 의해 기준 시간 Tsd가 극단적으로 단시간이나 장시간으로 조절되는 일이 없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공기 중의 먼지량이 비교적 많은 실내 환경에서는, 비교적 단시간만에 먼지 저류부(60, 90)에 먼지가 저류하므로, 먼지 저류부(60, 90)로부터 먼지를 제거하고 나서 경고 사인이 출력될 때까지의 시간이 비교적 짧아진다. 이러한 경우, 기준 시간 Tsd는, 학습 기능에 의해 단시간으로 조절된다. 한편, 공기 중의 먼지량이 비교적 적은 실내 환경에서는, 먼지 저류부(60, 90)로부터 먼지를 제거하고 나서 경고 사인이 출력될 때까지의 시간이 비교적 길어진다. 이러한 경우, 기준 시간 Tsd는, 학습 기능에 의해 장시간으로 조절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경고 사인의 출력 타이밍에 따라 기준 시간 Tsd가 조절되므로, 기준 시간 Tsd가 실내 공간의 공기 중의 먼지량에 따른 시간으로 조절되어 간다. 따라서, 주의 사인이 적절한 타이밍에서 출력되게 된다.
또한, 제1 이상 사인을 출력할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제1 판정 시간 T1과, 제2 이상 사인을 출력할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제2 판정 시간 T2는, 기준 시간 Tsd로부터 산출하고 있다. 따라서, 제1 판정 시간 T1 및 제2 판정 시간 T2는, 기준 시간 Tsd의 변경에 수반하여 변경된다. 구체적으로, 공기 중의 먼지량이 비교적 많은 실내 환경에서는, 제1 판정 시간 T1 및 제2 판정 시간 T2는 단시간으로 조절되고, 공기 중의 먼지량이 비교적 적은 실내 환경에서는, 제1 판정 시간 T1 및 제2 판정 시간 T2는 장시간으로 조절된다. 제1 판정 시간 T1 및 제2 판정 시간 T2도, 기준 시간 Tsd와 마찬가지로, 실내 공간의 공기 중의 먼지량에 따른 시간으로 변경되어 간다. 따라서, 제1 이상 사인 및 제2 이상 사인이 적절한 타이밍에서 출력되게 된다.
또한, 출력 판정부(38)에는, 제1 판정 시간 T1의 하한 시간(예를 들어 100시간)과, 제2 판정 시간 T2의 하한 시간(예를 들어 100시간)이 각각 설정되어 있다. 변경 후의 제1 및 제2 판정 시간 T1, T2가 하한 시간을 하회하는 경우에는, 변경 후의 제1 및 제2 판정 시간 T1, T2는 하한 시간으로 설정된다. 이로 인해, 제1 및 제2 판정 시간 T1, T2가 극단적으로 단시간으로 조절되는 일이 없다.
-실시 형태의 효과-
본 실시 형태에서는, 먼지 저류부(60, 90) 내의 먼지량이 제1 레벨에 도달하였다고 판단한 경우와, 먼지 저류부(60, 90) 내의 먼지량이 제2 레벨에 도달하였다고 판단한 경우와, 먼지 저류부(60, 90) 내의 먼지량이 제3 레벨에 도달하였다고 판단한 경우에, 청소 사인 출력부(33, 48)에 청소 사인을 출력시키는 출력 제어부(35, 71)를 설치함으로써, 먼지량이 서로 다른 3개의 레벨의 각각에서 청소 사인이 출력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먼지 저류부(60, 90) 내의 먼지량이 증가함에 따라 청소 사인이 순차적으로 출력되므로, 사용자는 먼지 저류부(60, 90) 내의 먼지의 저류 레벨을 단계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먼지 저류부(60, 90) 내의 청소의 긴급도를 단계적으로 인식할 수 있고, 먼지 저류부(40, 50) 내의 청소를 유연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레벨에서 공조 운전이 금지될 때까지, 제1 레벨의 청소 사인이 출력된다. 그런데, 1개의 레벨의 먼지량에 대응하는 청소 사인만 출력되는 종래의 실내 유닛에서도, 청소 사인의 출력과 함께, 공조 운전이 금지된다. 이 경우, 공조 운전이 금지될 때까지, 청소 사인은 출력되지 않는다. 이에 대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레벨에서 공조 운전이 금지될 때까지, 제1 레벨의 청소 사인이 출력된다. 이로 인해, 제1 레벨의 청소 사인에 의해 공조 운전이 금지되는 상태가 근접해 있는 것을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레벨에서 청소 운전이 금지될 때까지, 제1 레벨의 청소 사인이 출력된다. 그런데, 1개의 레벨의 먼지량에 대응하는 청소 사인만 출력되는 종래의 실내 유닛에서도, 청소 사인의 출력과 함께, 청소 운전이 금지된다. 이 경우, 청소 운전이 금지될 때까지, 청소 사인은 출력되지 않는다. 이에 대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레벨에서 청소 운전이 금지될 때까지, 제1 레벨의 청소 사인이 출력된다. 이로 인해, 제1 레벨의 청소 사인에 의해 청소 운전이 금지되는 상태가 근접해 있는 것을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3 레벨의 청소 사인의 출력으로부터는, 리셋 버튼(55)에의 입력이 있어도 청소 운전을 금지하고 있는 상태를 해제할 수 없도록 함으로써, 청소 운전에 의해 먼지 저류부(60, 90)에 먼지가 저류하는 일이 없도록 하고 있다. 이로 인해, 먼지 저류부(60, 90) 내의 먼지량이 지나치게 많아지는 것에 기인하는 트러블을 피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먼지 저류부(60, 90) 내의 먼지량이 제1 레벨에 도달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검지 센서(71)의 출력을 이용하고 있으므로, 제1 레벨에 도달하였는지의 여부가 비교적 정확하게 검지된다. 여기서, 천장 설치형의 실내 유닛(1)의 경우에는, 일반 가정에서 사용되는 벽걸이형의 실내 유닛과는 달리, 먼지량이 상이한 여러가지의 실내 환경에 설치된다. 이로 인해, 예를 들어 실내 유닛의 운전 적산 시간을 이용하여 청소 사인의 출력 타이밍을 결정한 것에서는, 정확하게 청소 사인을 출력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에 대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청소 사인 중 하나인 경고 사인의 출력 타이밍을 결정하는 데에, 검지 센서(71)의 출력이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먼지 저류부(60, 90) 내의 먼지량에 대하여 적절한 타이밍에서, 제1 레벨의 청소 사인의 출력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실내 팬(21)의 운전 적산 시간을 이용하여 먼지 저류부(60, 90) 내의 먼지량이 제2 레벨에 도달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제1 레벨의 판단용의 검지 센서(71)와는 별도로, 검지 센서(71)를 설치할 필요가 없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실내 유닛(1)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실내 팬(21)의 운전 적산 시간 대신에, 공조기의 운전 적산 시간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실내 팬(21)의 운전 적산 시간을 이용하여 먼지 저류부(60, 90) 내의 먼지량이 제3 레벨에 도달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제1 레벨의 판단용의 검지 센서(71)와는 별도로, 검지 센서(71)를 설치할 필요가 없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실내 유닛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실내 팬(21)의 운전 적산 시간 대신에, 공조기의 운전 적산 시간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청소 사인을 출력하는 먼지량의 레벨마다 상이한 청소 사인으로 함으로써, 어느 레벨의 청소 사인인지가 식별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어느 레벨의 청소 사인인지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먼지 저류부(60, 90) 내의 청소의 긴급도가 가장 높은 청소 사인시에, 이상 코드가 출력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먼지 저류부(60, 90) 내의 청소의 긴급도가 높은 것을 사용자에게 확실하게 인식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검지 센서(71)의 출력에 의해 먼지 저류부(60, 90) 내의 먼지량이 소정의 레벨에 도달하였다고 판단한 경우뿐만 아니라, 계측 타이머(37)의 계측 시간이 소정의 기준 시간에 도달한 경우에도, 청소 사인이 출력된다. 따라서, 검지 센서(71)가 고장난 경우에도, 사용자는 먼지 저류부(60, 90) 내의 청소가 필요한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실시 형태의 변형예-
이 변형예에서는, 제1 이상 사인의 출력과 동시에, 제어부(35)가, 공조 운전 및 청소 운전 중 청소 운전만을 금지한다. 즉, 먼지 저류부(60, 90) 내의 먼지량이 제2 레벨에 도달하면, 청소 운전만이 금지된 상태가 된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리셋 버튼(55)이 입력되면, 상기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청소 운전이 금지된 청소 금지 상태가 일시적으로 해제된다.
제1 이상 사인의 출력 후의 제어부(35)는, 막힘 검출 수단(37)을 구성하는 계측 타이머(37)의 계측 시간에 기초하여, 에어 필터(30)의 막힘 상태가 소정의 레벨에 도달하였다고 판정하면, 청소 사인 출력부(33, 48)에 제2 이상 사인을 출력시킨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5)는, 제1 이상 사인을 출력한 시점으로부터의 실내 팬(21)의 운전 적산 시간인 제3 적산 시간이 소정의 제4 판정 시간 T4에 도달하면, 청소 사인 출력부(33, 48)에 제2 이상 사인을 출력시킨다. 그리고, 제어부(35)는, 제2 이상 사인의 출력과 동시에, 청소 운전뿐만 아니라 공조 운전도 금지한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리셋 버튼(55)이 입력되면, 청소 금지 상태 및 공조 금지 상태가 일시적으로 해제된다.
제2 이상 사인의 출력 후의 제어부(35)는, 제2 이상 사인을 출력한 시점으로부터의 실내 팬(21)의 운전 적산 시간인 제4 적산 시간이 소정의 제5 판정 시간 T5에 도달하면, 청소 사인 출력부(33, 48)에 제3 이상 사인을 출력시킨다. 제5 판정 시간 T5는, 제3 이상 사인의 출력 시점에서의 먼지 저류부(60, 90) 내의 먼지량이 상기 실시 형태의 제3 레벨과 동등해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제어부(35)는, 제3 이상 사인의 출력과 동시에, 청소 운전 및 공조 운전을 다시 금지한다. 제3 이상 사인의 출력 후에는, 리셋 버튼(55)을 입력하여도, 청소 금지 상태는 해제되지 않고, 공조 금지 상태만이 일시적으로 해제된다.
이 변형예에서는, 먼지 저류부(60, 90) 내의 먼지량이 제2 레벨에 도달하여 청소 운전이 금지된 후에도, 공조 운전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가능한 한 공조 운전을 가능한 상태가 계속되므로, 제2 레벨에 도달한 후에 즉시 실내의 쾌적성이 손상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또한, 막힘 검출 수단(37)으로서, 계측 타이머(37) 대신에, 에어 필터(30)를 통과한 공기의 풍속을 계측하는 풍속 센서를 설치하여도 된다. 또한, 막힘 검출 수단(37)으로서, 계측 타이머(37)와 풍속 센서를 병용하여도 된다. 풍속 센서는, 예를 들어 에어 필터(30)와 벨 마우스(24)의 사이에 설치된다. 이 경우, 제어부(35)는, 풍속 센서의 검출값이 소정의 판정값을 하회하면, 제2 이상 사인을 출력하고, 또한 공조 운전을 금지한다.
《그 밖의 실시 형태》
상기 실시 형태에 대해서는, 이하와 같은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 대해서는, 청소 사인 출력부(33, 48)가, 청소 사인으로서 음성을 발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의 액정 표시부(34)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더스트 박스를 청소해 주십시오」라고 하는 문자에 의해, 청소 사인을 표시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 표시부(34)에 그림을 표시하여, 먼지 저류부(60, 90) 내의 청소가 필요한 것을 사용자 등에게 인식시켜도 된다. 이 예의 액정 표시부(34)에서는, 실내 유닛(1)의 삽입구(18)에 청소기의 먼지 흡입구를 삽입하기 직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도 8의 (A))과, 실내 유닛(1)의 삽입구(18)에 청소기의 먼지 흡입구를 삽입한 상태의 도면(도 8의 (B))이, 예를 들어 교대로 표시된다. 이에 의해, 사용자들은 먼지 저류부(60, 90) 내의 청소의 필요성을 인식할 수 있고, 또한 먼지 저류부(60, 90)의 청소 방법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액정 표시부(34)에 있어서, 도 8에 도시하는 도면과, 「더스트 박스를 청소해 주십시오」라고 하는 문자를 조합하여 청소 사인을 표시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대하여, 출력 판정부(38)는, 계측 타이머(37)의 계측 시간 대신에, 실내 팬(21)의 회전 속도가 클수록 장시간이 되도록 상기 계측 시간을 보정한 제1 보정 시간을 이용하여, 주의 사인을 출력할지의 여부를 판단하여도 된다. 또한, 계측 타이머(37)의 계측 시간을 보정하는 것이 아니라, 실내 팬(21)의 회전 속도가 클수록 단시간이 되도록, 실내 팬(21)의 회전 속도에 의해 기준 시간 Tsd를 보정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대하여, 출력 판정부(38)는, 제1 레벨 또는 제2 레벨에 도달하였다고 판단한 시점으로부터의 실내 팬(21)의 운전 적산 시간 대신에, 상기 운전 적산 시간을 실내 팬(21)의 회전 속도가 클수록 장시간이 되도록 보정한 제2 보정 시간을 이용하여, 제1 이상 사인 및 제2 이상 사인을 출력할지의 여부를 판단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대하여, 경고 사인의 출력을 결정한 시점의 계측 타이머(37)의 시간으로 기준 시간이 변경되도록, 기준 시간의 학습이 행하여져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대하여, 청소 운전을 행하면서 먼지 반송 동작이 행하여져도 된다. 이 경우, 먼지 포집 용기(60)는 먼지의 통로로서 기능하고, 에어 필터(30)로부터 제거된 먼지는 먼지 포집 용기(60)에 일시적으로 저류되지 않고 그대로 먼지 저류 용기(90)로 반송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대하여, 먼지 제거부가 에어 필터(30)의 먼지를 청소기와 같이 흡인하는 흡인 장치로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도, 먼지 포집 용기(60)는 먼지의 통로로서 기능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대하여, 실내 유닛(1)이, 일반 가정에서 자주 사용되는 벽걸이형의 실내 유닛이어도 된다.
또한, 이상의 실시 형태는 본질적으로 바람직한 예시이며, 본 발명, 그 적용물, 혹은 그 용도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실내 공간을 공조하기 위한 공조기의 실내 유닛에 대하여 유용하다.
31: 제어 기판
33: 점등부(청소 사인 출력부)
34: 액정 표시부
35: 제어부(출력 제어부)
37: 계측 타이머
38: 출력 판정부
39: 출력 지시부
48: 리모콘(청소 사인 출력부)
54: 점등 조작 버튼
55: 리셋 버튼(금지 해제 입력부)
56: 리모콘 점등부
71: 검지 센서(출력 제어부)

Claims (1)

  1. 흡입구(13)와 토출구(14)가 형성된 케이싱(20)과,
    상기 흡입구(13)로부터 흡입한 공기를 토출구(14)로 보내는 실내 팬(21)과,
    상기 흡입구(13)로부터 흡입한 공기에 포함되는 먼지를 포착하는 에어 필터(30)를 구비하고,
    상기 흡입구(13)로부터 흡입한 공기를 상기 토출구(14)로부터 실내로 분출하는 공조 운전을 행하는 공조기의 실내 유닛이며,
    상기 에어 필터(30)에 포착된 먼지를 상기 에어 필터(30)로부터 제거하는 먼지 제거부(40, 50)와,
    상기 먼지 제거부(40, 50)에 의해 상기 에어 필터(30)로부터 제거된 먼지가 저류되는 먼지 저류부(60, 90)와,
    상기 먼지 저류부(60, 90) 내의 먼지량이 소정의 레벨에 도달하였다고 판단한 경우에, 상기 먼지 제거부(40, 50)에 의해 상기 에어 필터(30)로부터 먼지를 제거하는 청소 운전을 금지하고, 상기 청소 운전을 금지한 시점으로부터의 상기 실내 팬(21)의 운전 적산 시간이 소정의 판정 시간에 도달한 경우에, 상기 공조 운전을 금지하는 제어부(35)를 구비하는 한편,
    상기 제어부(35)가 상기 청소 운전을 금지하고 있는 청소 금지 상태를 해제하는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금지 해제 입력부(55)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35)는, 상기 청소 금지 상태에서 상기 금지 해제 입력부(55)에의 입력이 있으면, 상기 청소 금지 상태에 추가하여, 상기 공조 운전을 금지하고 있는 공조 금지 상태도 해제하는 한편, 상기 공조 운전을 금지한 시점으로부터의 상기 실내 팬(21)의 운전 적산 시간이 소정의 판정 시간에 도달한 후에는, 상기 청소 금지 상태에서 상기 금지 해제 입력부(55)에의 입력이 있더라도, 상기 청소 금지 상태 및 상기 공조 금지 상태 중 공조 금지 상태만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기의 실내 유닛.
KR1020127021051A 2008-01-25 2009-01-26 공조기의 실내 유닛 KR1011978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015520 2008-01-25
JP2008015520 2008-01-25
PCT/JP2009/000287 WO2009093478A1 (ja) 2008-01-25 2009-01-26 空調機の室内ユニット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8778A Division KR101197899B1 (ko) 2008-01-25 2009-01-26 공조기의 실내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7134A true KR20120107134A (ko) 2012-09-28
KR101197879B1 KR101197879B1 (ko) 2012-11-05

Family

ID=4090098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1051A KR101197879B1 (ko) 2008-01-25 2009-01-26 공조기의 실내 유닛
KR1020107018778A KR101197899B1 (ko) 2008-01-25 2009-01-26 공조기의 실내 유닛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8778A KR101197899B1 (ko) 2008-01-25 2009-01-26 공조기의 실내 유닛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603230B2 (ko)
EP (1) EP2246637B1 (ko)
JP (3) JP4428460B2 (ko)
KR (2) KR101197879B1 (ko)
CN (2) CN101939597B (ko)
AU (1) AU2009207189B2 (ko)
WO (1) WO20090934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03677B2 (en) * 2007-02-09 2012-11-06 Daikin Industries, Ltd.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JP4573000B1 (ja) * 2009-04-30 2010-11-04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FI122961B (fi) * 2009-07-03 2012-09-14 Halton Oy Tuloilmalaite
CN102003776A (zh) * 2010-12-02 2011-04-06 广东美的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器及其操作方法
KR20120083114A (ko) * 2011-01-17 2012-07-25 삼성전자주식회사 천장형 공기조화기
JP2012149855A (ja) * 2011-01-20 2012-08-09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
TW201401993A (zh) * 2012-06-28 2014-01-01 Hon Hai Prec Ind Co Ltd 貨櫃資料中心
JP5980703B2 (ja) 2013-03-12 2016-08-31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サポートシステム
US9696703B2 (en) 2013-05-18 2017-07-04 Fipak Research And Development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ensuring air quality in a building, including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working device using a handheld unit having scanning, networking, display and input capability
US8986427B2 (en) * 2013-05-18 2015-03-24 Fipak Research And Development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and ensuring air quality in a building
USD741463S1 (en) 2014-02-27 2015-10-20 Fipak Research And Development Company Air treatment device
CN106255987A (zh) 2014-05-07 2016-12-21 艾默生环境优化技术有限公司 建筑物围层和内部分级系统和方法
US9551495B2 (en) * 2014-05-07 2017-01-24 Emerson Electric Co. HVAC system grading systems and methods
EP3680580A1 (en) 2014-05-07 2020-07-15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Air conditioning grading system and method
CN104390322B (zh) * 2014-11-24 2017-03-0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过滤网使用寿命的自动判断方法、装置及系统
KR101554722B1 (ko) * 2015-01-23 2015-09-21 황용희 풍량 가변장치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CN104776510A (zh) * 2015-04-03 2015-07-15 成都小蛋科技有限公司 一种滤网自清洁式气体除杂质装置
JP6330775B2 (ja) * 2015-09-30 2018-05-30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調室内機
JP6299715B2 (ja) * 2015-09-30 2018-03-2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調室内機
JP6227610B2 (ja) * 2015-10-02 2017-11-08 ファナック株式会社 放熱フィンの目詰まりを検知する機能を有する冷却装置
KR101875653B1 (ko) 2016-10-10 2018-07-06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연료전지 배출 수소 농도 저감장치
DE102017204786B4 (de) * 2017-03-22 2021-08-19 Ult Ag Vorrichtung zur Absaugung und Separation von Stoffen und Partikeln aus Abgasen
CN106969467A (zh) * 2017-04-01 2017-07-21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一种空调自清洁控制方法及装置
KR101828587B1 (ko) * 2017-06-26 2018-02-13 (주)센도리 먼지제거기능을 구비한 공조장치
WO2020175589A1 (ja) * 2019-02-27 2020-09-03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情報提供システム
USD921176S1 (en) 2019-06-07 2021-06-01 Fipak Research And Development Company Filter
CN111197837A (zh) * 2019-12-23 2020-05-26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过滤网自清洗控制方法、控制装置及空调
CN111365792A (zh) 2020-04-17 2020-07-03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空气处理装置
WO2022219802A1 (ja) * 2021-04-16 2022-10-20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および空気調和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00362A (en) * 1952-11-01 1955-01-25 Int Harvester Co Air conditioner filter indicator
US3201772A (en) * 1961-12-22 1965-08-17 Gen Electric Filter obstruction signal arrangement for air conditioning apparatus
US4240072A (en) * 1979-03-19 1980-12-16 Research Products Corporation Load indicator for an air cleaner
JPH05272789A (ja) * 1992-03-26 1993-10-1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空調機監視制御装置
EP0566479B1 (fr) * 1992-04-14 1995-11-15 Roger Claude Robin Dispositif de détection d'encrassement d'un filtre à air
US5315838A (en) * 1993-08-16 1994-05-31 Whirlpool Corporation Air conditioner filter monitor
JP2976794B2 (ja) 1994-02-14 1999-11-1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ファンモータ駆動装置
JPH07260231A (ja) 1994-03-18 1995-10-13 Toshiba Corp エアフィルタの目詰まり検知装置
US5668535A (en) * 1995-12-07 1997-09-16 Emerson Electric Co. Filter condition sensor and indicator
JP3189715B2 (ja) * 1996-11-29 2001-07-16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
US6129781A (en) * 1997-06-18 2000-10-10 Funai Electric Co., Ltd. Air conditioning apparatus with an air cleaning function and electric dust collector for use in the same
US6734801B2 (en) * 2002-06-26 2004-05-11 Lucent Technologies Inc. Switch frame electronic air filter alarming device
JP4110375B2 (ja) * 2002-06-27 2008-07-02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空気調和機
JP2004239449A (ja) * 2003-02-03 2004-08-26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の制御方法
JP2005009729A (ja) * 2003-06-18 2005-01-13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
JP3700718B2 (ja) * 2003-11-27 2005-09-2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TWI273919B (en) * 2004-02-26 2007-02-21 Benq Corp Method for detecting the cleanliness of a filter
JP4488196B2 (ja) * 2004-08-31 2010-06-23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室内機
KR20060050921A (ko) * 2004-09-02 2006-05-19 가부시키가이샤 후지츠 제네랄 공기조화기
JP4174464B2 (ja) * 2004-09-28 2008-10-29 エヌイーシーコンピュータテクノ株式会社 空気循環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用筐体と防塵フィルタの目詰まり検知方法
CN2903776Y (zh) 2004-10-26 2007-05-23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空调机
JP2006220412A (ja) * 2004-11-08 2006-08-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
WO2006049244A1 (ja) 2004-11-08 2006-05-1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空気調和機
US7713330B2 (en) * 2004-12-22 2010-05-11 Oreck Holdings, Llc Tower ionizer air cleaner
US7253743B2 (en) * 2005-02-07 2007-08-07 Cisco Technology, Inc. Techniques for identifying when to change an air filter
US7914596B2 (en) * 2005-03-22 2011-03-29 Sharp Kabushiki Kaisha Air purifier
JP2006275310A (ja) * 2005-03-28 2006-10-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装置
JP2005300155A (ja) * 2005-06-23 2005-10-27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
JP4418427B2 (ja) * 2005-07-04 2010-02-1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室内機ユニットおよび空気調和機
US7555914B1 (en) * 2005-07-15 2009-07-07 Il Yoo Davis Self-cleaning air conditioner system
US8038517B2 (en) * 2005-09-13 2011-10-18 Fujitsu General Limited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US7686872B2 (en) * 2006-01-12 2010-03-30 Hall Climate Control Corporation Device for and method of informing replacement time of air filter
JP4779771B2 (ja) * 2006-03-31 2011-09-28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天井埋込形空気調和機
JP4918283B2 (ja) * 2006-05-23 2012-04-1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939597A (zh) 2011-01-05
CN103216887A (zh) 2013-07-24
US20100294134A1 (en) 2010-11-25
JP2009293918A (ja) 2009-12-17
KR20100114099A (ko) 2010-10-22
JP4821901B2 (ja) 2011-11-24
EP2246637A4 (en) 2013-06-19
US8603230B2 (en) 2013-12-10
KR101197879B1 (ko) 2012-11-05
JP2009257754A (ja) 2009-11-05
AU2009207189B2 (en) 2012-07-19
CN101939597B (zh) 2013-09-04
JP4428460B2 (ja) 2010-03-10
WO2009093478A1 (ja) 2009-07-30
JP2009198169A (ja) 2009-09-03
JP4730457B2 (ja) 2011-07-20
KR101197899B1 (ko) 2012-11-05
CN103216887B (zh) 2016-03-30
EP2246637A1 (en) 2010-11-03
AU2009207189A1 (en) 2009-07-30
EP2246637B1 (en) 2017-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7879B1 (ko) 공조기의 실내 유닛
KR102379628B1 (ko) 공기조화기 및 이를 이용한 먼지농도 표시방법
JP4661881B2 (ja) 空調機の室内ユニット
KR101662891B1 (ko) 제습기
JP4720929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JP6177734B2 (ja) 空気清浄機
KR20190081511A (ko) 승강식 토출부를 포함하는 공기 청정기
JP4983973B2 (ja) 空調システム
JP2009204303A5 (ko)
JP4656157B2 (ja) 空調システム
KR101947157B1 (ko)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JP4374965B2 (ja) 換気送風装置
JP2000179910A (ja) 空気清浄装置
JP2007333236A (ja) 空気調和機
JP2007155303A (ja) 空気調和機
JP4888406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JP2009174805A (ja) 空調機の室内ユニット
JP2002147820A (ja) 空気調和機
JP4575215B2 (ja) 空気調和機
JP2010240555A (ja) 空気清浄機
JP2007181791A (ja) 空気清浄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