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4920A - 테이프 피더 및 이것을 이용한 캐리어 테이프의 송출 방법 - Google Patents

테이프 피더 및 이것을 이용한 캐리어 테이프의 송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4920A
KR20120104920A KR1020117019951A KR20117019951A KR20120104920A KR 20120104920 A KR20120104920 A KR 20120104920A KR 1020117019951 A KR1020117019951 A KR 1020117019951A KR 20117019951 A KR20117019951 A KR 20117019951A KR 20120104920 A KR20120104920 A KR 201201049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magnet
region
tape feeder
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9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노리 이케다
사토시 후루이치
마사히로 다니구치
요스케 핫사쿠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20104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49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17Feeding with belts or tapes
    • H05K13/0419Feeding with belts or tapes tape feed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2Feeding of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3/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attached to cards, sheets or webs
    • B65D73/02Articles, e.g. small electrical components, attached to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착 어긋남을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한 테이프 피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테이프 피더는, 직사각형의 부품 수납부(141)가 이송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복수 설치된 캐리어 테이프(122a)를 송출하는 피더로서, 부품 취출 영역까지 보내진 부품 수납부(141)의 저면의 하방에 있어서, 부품 수납부(141)의 저면의 폭방향의 편측의 하방에 이송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고, 부품 취출 영역까지 보내진 부품 수납부(141)의 부품(140)을 부품 수납부(141)의 저면의 폭방향의 한쪽으로 끌어당기는 제1 자석(151)을 구비한다.

Description

테이프 피더 및 이것을 이용한 캐리어 테이프의 송출 방법{TAPE FEEDER AND METHOD FOR FEEDING CARRIER TAPE USING SAME}
본 발명은, 테이프 피더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기판에 전자 부품(이하, 간단히 「부품」이라고 함)을 실장하는 장치로서 부품 실장 장치가 있다. 부품 실장 장치에 있어서는, 실장 헤드가 흡착 노즐에 의해 테이프 피더로부터 부품을 취출(取出)하여 기판에 이송 탑재한다. 테이프 피더는, 부품을 수납하는 직사각형의 부품 수납부(캐비티)가 이송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복수 설치된 캐리어 테이프를 송출하여, 부품의 취출이 행해지는 부품 취출 영역까지 부품을 반송한다. 테이프 피더에 관한 기술로는,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및 2에 기재된 것이 있다.
특허 문헌 1 및 2의 테이프 피더에서는, 부품 취출 영역까지 송출된 부품 수납부의 저면 전면의 하방에 자석이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부품 수납부에 있어서의 부품이 서는 것 등이 억제된다.
일본국 특허 공개 2000-228600호 공보 일본국 특허 공개 2009-212194호 공보
그러나, 부품 수납부에 있어서의 부품의 수납 위치는, 같은 캐리어 테이프 내에서도 부품 수납부의 각각에서 상이하다. 따라서, 실장 헤드에 의한 부품의 취출에 있어서, 소정의 부품의 흡착 위치로부터의 위치 어긋남(흡착 어긋남)이 발생하여, 결과적으로 부품 실장의 위치 정밀도가 악화된다. 예를 들면, 상이한 부품 메이커의 캐리어 테이프에서는 부품 수납부의 갭량(소정 방향에서의 부품 수납부의 측면과 부품의 사이의 평면상의 동방향의 간극의 합계)이 상이하나,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품 수납부의 갭량이 커짐에 따라 위치가 어긋나는 양이 커져, 흡착 미스가 발생하기 쉬워진다. 또, 부품 수납부의 갭량이 반대로 너무 작아지면 작아짐에 따라 위치가 어긋나는 양이 커져, 흡착 미스가 발생하기 쉬워진다. 즉, 부품 수납부의 갭량이 소정의 범위 내(도 19의 화살표로 나타낸 범위)에 없는 경우에는, 흡착 미스가 발생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상이한 메이커의 캐리어 테이프를 이용한 부품 실장에 있어서는, 부품 수납부의 갭량을 안정적으로 제어하는 것이 곤란하며, 흡착 미스 및 세워짐 흡착 등이 발생하기 쉽다.
사이즈가 작은 부품에서는 부품 수납부의 갭량이 필연적으로 커진다. 또, 사이즈가 작은 부품을 취출하는 경우에는, 흡착 어긋남의 영향이 크고, 흡착 어긋남이 작아도 부품을 취출하지 못하고, 흡착 미스가 발생하기 쉽다. 따라서, 사이즈가 작은 부품의 실장을 행하는 경우에는, 흡착 어긋남을 작게 하는 것이 특히 강하게 요망된다.
여기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흡착 어긋남을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한 테이프 피더 및 이것을 이용한 캐리어 테이프의 송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테이프 피더는, 직사각형의 부품 수납부가 이송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복수 설치된 캐리어 테이프를 송출하는 피더로서, 부품 취출 영역까지 보내진 상기 부품 수납부의 저면의 하방에 있어서, 상기 저면의 폭방향의 편측의 하방에 상기 이송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고, 상기 부품 취출 영역까지 보내진 부품 수납부의 부품을 상기 폭방향의 한쪽으로 끌어당기는 제1 자력 영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부품 취출 영역에 있어서 부품 수납부의 부품은 제1 자력 영역에 의해 부품 수납부의 편측의 끝까지 끌어 당겨진다. 이 결과, 모든 부품 수납부의 부품은 부품 취출 영역에 있어서 부품 수납부의 편측의 끝으로 당겨져 맞추어지므로, 흡착 어긋남을 작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테이프 피더는, 또한, 상기 부품 취출 영역까지 보내진 상기 부품 수납부의 저면의 하방에 있어서, 상기 제1 자력 영역에 대해 상기 이송 방향의 후방에 설치되고, 상기 부품 취출 영역까지 보내진 부품 수납부의 부품을 상기 이송 방향의 후방으로 끌어당기는 제2 자력 영역을 구비해도 된다. 또한, 상기 제1 자력 영역은, 제1 자석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 자력 영역은, 제2 자석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자석 및 상기 제2 자석은, 일체화되어, L자형상의 자석을 구성하고있어도 된다.
이에 의해, 부품 취출 영역에서 이송 방향으로 이동하는 부품 수납부의 부품은 제2 자력 영역에 의해 테이프를 이송력을 이용하여 부품 수납부의 이송 방향의 후단까지 끌어당길 수 있다. 그 결과, 모든 부품 수납부의 부품은 부품 취출 영역에 있어서 부품 수납부의 구석으로 당겨서 맞출 수 있으므로, 흡착 어긋남을 더욱 작게 할 수 있다.
또, 상기 제1 자석은, 상기 저면의 반분의 하방에 설치되어도 된다.
이에 의해, 제1 자석에 의해 부품 수납부의 부품을 끌어당기는 힘이 너무 강하기 때문에, 부품이 서거나, 흡착 노즐에 의한 부품 흡착을 행할 수 없게 되거나 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상기 제1 자석은, 탄성체로 구성되어도 된다.
이에 의해, 캐리어 테이프의 두께가 변화해도, 부품의 취출에 있어서 부품 및 캐리어 테이프가 흡착 노즐에 의해 받는 힘을 흡수할 수 있다.
또, 상기 테이프 피더는, 또한, 상기 부품 취출 영역까지 보내진 상기 부품 수납부의 저면을 지지하는 판형상의 탄성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자석은, 상기 탄성 부재의 상기 저면이 올려 놓아지는 측과는 반대측의 면에 부착되어도 된다.
이에 의해, 제1 자석의 설치가 용이하게 되어, 간소한 구성으로 흡착 어긋남을 작게 할 수 있다. 또, 자력은 거리의 2승에 반비례 하는데, 제1 자석과 캐리어 테이프의 사이의 거리를 일정하게 할 수 있으므로, 제1 자석에 의해 부품을 끌어당기는 힘을 제어할 수 있다.
또, 상기 제1 자석은, 상기 부품 취출 영역까지 보내진 복수의 상기 부품 수납부의 저면의 하방에 설치되어도 된다.
이에 의해, 모든 부품 수납부의 부품은 부품 취출 영역에 있어서 높은 확률로 부품 수납부의 편측의 끝으로 당겨져 맞추어지므로, 흡착 어긋남을 더 작게 할 수 있다.
또, 상기 제1 자석의 이송 방향의 전단부는, 상기 저면의 면적의 4분의 1의 부분인 하방에 설치되어도 된다.
이에 의해, 제1 자석에 의해 부품 취출 위치의 부품 수납부의 부품을 끌어당기는 힘이 너무 강하기 때문에, 흡착 노즐에 의한 부품 흡착을 행할 수 없게 되는 것이 억제된다.
또,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캐리어 테이프의 송출 방법은, 테이프 피더에 있어서, 직사각형의 부품 수납부가 이송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복수 설치된 캐리어 테이프를 송출하는 방법으로서, 테이프 피더에 있어서의 부품 취출 영역까지 보내진 부품 수납부의 부품을 상기 부품 수납부의 저면의 폭방향의 한쪽 및 상기 이송 방향의 후방으로 끌어당기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흡착 어긋남을 작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흡착 어긋남을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캐비티의 격차를 흡수하고, 부품 취출 위치를 맞추어, 부품 흡착률 및 장착 품질을 안정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부품 실장기의 상면도이다.
도 2는, 동 실시형태의 테이프 피더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동 실시형태의 캐리어 테이프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동 실시형태의 누름 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동 실시형태의 판스프링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동 실시형태의 자석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자석과 캐리어 테이프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자석에 의해 부품 수납부 내의 부품의 위치가 변화하는 양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자석에 의해 부품 수납부 내의 부품의 위치가 변화하는 양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a는, 연속해서 보내지는 각 샘플의 폭방향의 흡착 어긋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b는, 연속해서 보내지는 각 샘플의 이송 방향의 흡착 어긋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c는, 연속해서 보내지는 각 샘플의 폭방향 및 이송 방향의 흡착 어긋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a는, 연속해서 보내지는 각 샘플의 폭방향의 흡착 어긋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b는, 연속해서 보내지는 각 샘플의 이송 방향의 흡착 어긋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c는, 연속해서 보내지는 각 샘플의 폭방향 및 이송 방향의 흡착 어긋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a는, 연속해서 보내지는 각 샘플의 폭방향의 흡착 어긋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b는, 연속해서 보내지는 각 샘플의 이송 방향의 흡착 어긋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c는, 연속해서 보내지는 각 샘플의 폭방향 및 이송 방향의 흡착 어긋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a는, 연속해서 보내지는 각 샘플의 폭방향의 흡착 어긋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b는, 연속해서 보내지는 각 샘플의 이송 방향의 흡착 어긋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c는, 연속해서 보내지는 각 샘플의 폭방향 및 이송 방향의 흡착 어긋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동 실시형태의 비교예 1의 자석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자석에 의해 부품 수납부 내의 부품의 위치가 변화하는 양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16은, 동 실시형태의 비교예 2의 자석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자석에 의해 부품 수납부 내의 부품의 위치가 변화하는 양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18a는, 진동에 의해 부품 수납부 내의 부품의 위치가 변화하는 양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b는, 진동에 의해 부품 수납부 내의 부품의 위치가 변화하는 양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c는, 자중에 의해 부품 수납부 내의 부품의 위치가 변화하는 양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d는, LED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9는, 부품 수납부의 갭량과 흡착 미스의 상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테이프 피더 및 이것을 이용한 캐리어 테이프의 송출 방법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부품 실장기의 상면도이다.
이 부품 실장기는, 기대(100), 반송로(101), 부품 공급부(103), 실장 헤드(105), 인식 카메라(106), XY로봇(107), 폐기 트레이(108), 및 노즐 스테이션(109)을 구비한다.
반송로(101)는, 기대(100)의 중앙부에 설치되고, 기판(104)을 반송하여 위치 결정한다.
부품 공급부(103)에는 테이프 피더(102)가 복수 병설되고, 부품 공급부(103)는 복수 종류의 부품을 공급한다.
실장 헤드(105)는, 부품 공급부(103)로부터 부품을 취출하여 기판(104)에 이송 탑재한다.
인식 카메라(106)는, 실장 헤드(105)의 흡착 노즐에 흡착된 부품을 하방으로부터 인식한다.
XY로봇(107)은, 실장 헤드(105)를 XY방향으로 이동시킨다.
폐기 트레이(108)에는, 부품이 폐기된다.
노즐 스테이션(109)은, 실장 헤드(105)의 흡착 노즐을 유지한다.
도 2는 테이프 피더(102)의 사시도이다.
테이프 피더(102)는, 본체 프레임(120), 릴 측판(121), 공급용 릴(122), 이송 롤러(123), 래칫(124), 이송 레버(126), 인장 스프링(126a), 권취 릴(129), 및 누름 커버(130)를 구비한다.
공급용 릴(122)은, 본체 프레임(120)에 결합된 릴 측판(121)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고, 부품을 유지하는 캐리어 테이프(122a)가 감겨진다.
이송 롤러(123)는, 공급용 릴(122)으로부터 인출된 캐리어 테이프(122a)를 피치 이송한다.
래칫(124)은, 이송 롤러(123)를 회전시킨다.
이송 레버(126)는, 링크(125)를 통해 래칫(124)을 정(定)각도 회전시킨다.
권취 릴(129)은, 캐리어 테이프(122a)로부터 박리된 커버 테이프(122b)를 감는다.
상기 구조를 가지는 테이프 피더(102)에 있어서, 모터 혹은 에어 실린더 등에 의한 이송 레버(126)의 Y1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래칫(124)이 정각도 회전한다. 그리고, 래칫(124)에 연동하여 이송 롤러(123)가 롤러 피치만큼 회전 동작한다. 이에 의해, 캐리어 테이프(122a)는, 이웃하는 2개의 부품(부품 수납부)의 간격인 부품 피치만큼 보내진다. 그 후, 이송 레버(126)에 대한 압출력이 해제되고, 이송 레버(126)는, 인장 스프링(126a)의 탄성 가압력에 의해 Y2방향으로, 즉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온다. 이러한 일련의 동작이 반복됨으로써, 사용이 끝난 캐리어 테이프(122a)는 테이프 피더(102)의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이송 롤러(123)는 이송 레버(126)를 통하지 않고 모터에 의해 캐리어 테이프(122a)의 테이프 이송을 위한 회전 동작이 이루어져도 되고, 권취 릴(129)은 이송 롤러(123)의 회전 이동 작용의 모터와는 별체의 모터로 권취 동작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롤러 피치가 2mm이고, 부품 피치가 2mm인 경우에는, 캐리어 테이프(122a)를 부품 피치만큼 보내기 위해서, 이송 레버(126)를 1회 이동시킨다. 또한, 부품 피치와 롤러 피치는, 동일하지 않아도 된다.
도 3은, 캐리어 테이프(122a)의 사시도이다.
캐리어 테이프(122a)는, 기재 테이프(122c) 및 커버 테이프(122b)로 구성된다. 캐리어 테이프(122a)는, 공급용 릴(122)에 소정의 수량분을 감은 테이핑 형태로 유저에게 공급된다.
기재 테이프(122c)에는, 캐리어 테이프(122a)의 이송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복수개 연속적으로 설치되고, 각종 칩형의 부품(140)을 수납하는 직사각형의 부품 수납부(오목부)(141)가 설치되어 있다.
커버 테이프(122b)는 부품 수납부(141)의 개구를 덮도록 기재 테이프(122c)상면에 붙여져, 부품(140)을 포장한다.
도 4는, 누름 커버(130)의 사시도이다.
누름 커버(130)는, 셔터(127) 및 슬릿(128)을 가지고, 래칫(124) 상방에 셔터(127)가 위치하도록 본체 프레임(120)에 부착된다.
셔터(127)는, 부품(140)의 취출이 행해질 때에는 열리고, 셔터(127) 하방의 부품 수납부(141)의 부품(140)을 상방을 향해 노출시킨다. 실장 헤드(105)의 흡착 노즐은, 노출된 부품(140)을 흡착하여 취출한다.
슬릿(128)은, 커버 테이프 박리부로서 기능하고, 셔터(127)의 앞에서 캐리어 테이프(122a)로부터 커버 테이프(122b)를 벗겨낸다.
테이프 피더(102)는, 도 5의 사시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탄성 부재로서의 판스프링(160)을 누름 커버(130) 하방에 구비한다. 판스프링(160)의 상부에는, 이송되어 온 캐리어 테이프(122a)가 올려 놓아지고, 부품 수납부(141)의 저면을 지지한다. 판스프링(160)에 의해, 부품(140)의 취출에 있어서 부품(140) 및 캐리어 테이프(122a)가 흡착 노즐에 의해 받는 힘을 흡수할 수 있다.
판스프링(160) 상부의 테이프 피더(102)가 올려 놓아지는 상면과는 반대측의 하면에는, 도 6의 사시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L자형상으로 판형상의 자석(150)이 붙여져 있다. 자석(150)은, 캐리어 테이프(122a)의 이송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1 자석(151)과,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폭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2 자석(152)이 일체화되어 구성된다.
제1 자석(151) 및 제2 자석(152)은, 흡착 노즐에 의한 부품(140)의 취출에 있어서 부품(140) 및 캐리어 테이프(122a)가 흡착 노즐에 의해 받는 힘을 흡수하기 위해, 탄성체로 구성된다.
여기서, 자석(150)은 예를 들면 등방성 Ba페라이트 자석이며, 제1 자석(151)의 길이(도 6의 a)는 예를 들면 11.5mm이고, 제1 자석(151)의 폭(도 6의 b)은 예를 들면 1.15mm이며, 제2 자석(152)의 길이(도 6의 c)는 예를 들면 1.15mm이다.
또한, 이하에서는, 누름 커버(130)가 설치되어 누름 커버(130) 하방에 위치하는 부품(140)의 취출을 행하기 위한 영역, 구체적으로는 판스프링(160) 상방의 영역, 더 구체적으로는 셔터(127) 하방의 부품 수납부(141) 및 그 앞(이송 방향의 앞)의 예를 들면 3개의 부품 수납부(141)를 포함하는 영역을 테이프 피더(102)의 부품 취출 영역으로 한다.
도 7은, 자석(150)과 캐리어 테이프(122a)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제1 자석(151)은, 부품 취출 영역까지 보내진 부품 수납부(141)의 저면의 하방에 있어서, 부품 수납부(141)의 저면의 폭방향의 편측의 하방에 이송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어 있으며, 부품 취출 영역까지 보내진 부품 수납부(141)의 부품(140)을 폭방향의 한쪽으로 가까이 끌어당기고, 또한 하방을 향해 끌어당기고 있다.
여기서, 제1 자석(151)은, 부품 취출 영역의 부품 수납부(141)의 저면의 하방에 있어서, 부품 수납부(141)의 저면의 반분의 하방에만, 부품 수납부(141)의 저면 면적의 반분을 덮도록 이송 방향과 평행하게 설치된다. 또, 제1 자석(151)은, 부품 취출 영역에 있어서, 부품 취출 위치의 부품 수납부(141)를 포함하는 3개의 부품 수납부(141)의 저면의 하방에 위치한다. 또한, 제1 자석(151)의 이송 방향의 전단부는, 부품 취출 영역의 부품 수납부(141)의 저면 면적의 4분의 1의 부분인 하방에 설치된다. 이에 의해, 제1 자석(151)에 의해 부품 취출 위치의 부품(140)을 끌어당기는 힘이 너무 강해 부품(140)의 취출에 있어서 흡착 노즐에 의한 부품(140)의 흡착을 행할 수 없게 하는 것이 억제된다.
또, 제1 자석(151)은 부품 취출 영역에 있어서 부품 수납부(141)의 부품(140)을 폭방향의 한쪽 및 아래 방향을 향해 끌어당기기 때문에, 제1 자석(151)의 자속 밀도가 크면 부품(140)이 부품 수납부(141)에서 서버린다. 특히, 부품(140)이 미소 부품인 경우 및 주사위형상의 부품인 경우에는, 이러한 부품(140)이 서는 것이 일어나기 쉽다. 따라서, 제1 자석(151)으로서, 표면 최대 자속 밀도가 50mT 이하, 예를 들면 약 40mT인 것이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자석(152)는, 부품 취출 영역의 부품 수납부(141)의 저면의 하방에 있어서, 제1 자석(151)에 대해 이송 방향의 후방에 설치되고, 부품 취출 영역까지 보내진 부품 수납부(141)의 부품(140)을 이송 방향의 후방으로 가까이 끌어당기고, 또한 하방을 향해 끌어당기고 있다.
여기서, 제2 자석(152)은, 부품 취출 위치의 부품 수납부(141)에 대해 2개의 부품 수납부(141)를 사이에 둔 거리만큼 떨어뜨려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2 자석(152)에 의해 부품 취출 위치의 부품(140)을 끌어당기는 힘이 너무 강해 부품(140)이 서거나, 부품(140)의 취출에 있어서 흡착 노즐에 의한 부품(140)의 흡착을 행할 수 없게 하는 것은 억제된다.
또, 제2 자석(152)은 부품 취출 영역에 있어서 부품 수납부(141)의 부품(140)을 이송 방향 및 아래 방향을 향해 끌어당기기 때문에, 제2 자석(152)의 자속 밀도가 크면 부품(140)이 부품 수납부(141)에서 서 버린다. 따라서, 제2 자석(152)으로서, 표면 최대 자속 밀도가 50mT 이하, 예를 들면 약 40mT인 것이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의 평면도 및 도 9의 단면도는, 자석(150)에 의해 부품 수납부(141) 내의 부품(140)의 위치가 변화하는 양태를 나타내고 있다.
우선, 도 8(a) 및 도 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캐리어 테이프(122a)가 부품 피치분만큼 이송 방향으로 보내지고, 부품 수납부(141)의 하나가 부품 취출 영역으로 보내진다. 부품 취출 영역으로 보내진 부품 수납부(141)의 하방에는 자석(150)이 위치하고, 자석(150) 상방의 부품 수납부(141)의 부품(140)은 부품 수납부(141)의 하방을 향해 끌어당겨진다.
다음에, 도 8(b) 및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캐리어 테이프(122a)가 또한 부품 피치분만큼 이송 방향으로 보내지고, 다른 부품 수납부(141)의 하나가 부품 취출 영역으로 보내진다. 이미 부품 취출 영역으로 보내져 있던 부품 수납부(141)의 부품(140)은, 자석(150)에 의해 이송 방향 및 폭방향을 향해 끌어당겨져, 부품 수납부(141)의 이송 방향 및 폭방향의 끝 즉 부품 수납부(141)의 구석으로 이동한다.
다음에, 도 8(c) 및 도 9(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캐리어 테이프(122a)가 또한 부품 피치분만큼 이송 방향으로 보내지고, 또한 다른 부품 수납부(141)의 하나가 부품 취출 영역으로 보내진다. 부품 수납부(141)의 구석으로 이동한 부품(140)은, 자석(150)에 의해 이송 방향 및 폭방향을 향해 계속 가까이 끌어당겨져, 그 위치를 유지한다.
마지막으로, 도 8(d) 및 도 9(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캐리어 테이프(122a)가 또한 부품 피치분만큼 이송 방향으로 보내지고, 또한 다른 부품 수납부(141)의 하나가 부품 취출 영역으로 보내짐과 더불어 부품 취출 영역의 부품 수납부(141)의 하나가 부품 취출 위치까지 보내진다. 그 후, 부품 취출 위치의 부품(140)은, 흡착 노즐에 의해 취출된다. 부품 취출 위치까지 보내진 모든 부품(140)은 자석(150)에 의해 부품 수납부(141)의 구석에 그 위치가 고정되기 때문에, 부품 취출 위치에서의 부품(140)의 흡착 위치는 일정하게 된다.
도 10a∼도 13c는, 테이프 피더(102)에 의해 흡착 어긋남을 작게 할 수 있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a∼도 10c 및 도 12a∼도 12c는, 부품 수납부(141)의 저면 전체의 하방에 자석을 설치하고, 복수의 부품(140)의 취출을 연속해서 행했을 때의 흡착 어긋남의 추이를 나타내고, 도 11a∼도 11c 및 도 13a∼도 13c는, 도 7의 양태에서 자석(150)을 설치하고, 복수의 부품(140)의 취출을 연속해서 행했을 때의 흡착 어긋남의 추이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0a∼도 11c는, 부품(140)이 콘덴서일 때의 흡착 어긋남을 나타내고, 도 12a∼도 13c는, 부품(140)이 저항일 때의 흡착 어긋남을 나타내고 있다. 또, 도 10a, 도 11a, 도 12a 및 도 13a에서, 횡축은 샘플 No를 나타내고, 종축은 폭방향의 흡착 어긋남(dX)을 나타내고, 도 10b, 도 11b, 도 12b 및 도 13b에서, 횡축은 샘플 No를 나타내고, 종축은 이송 방향의 흡착 어긋남(dY)을 나타내고, 도 10c, 도 11c, 도 12c 및 도 13c에서, 횡축은 폭방향의 흡착 어긋남을 나타내고, 종축은 이송 방향의 흡착 어긋남을 나타내고 있다.
도 10a∼도 10c 및 도 11a∼도 11c와, 도 12a∼도 12c 및 도 13a∼도 13c를 각각 비교함으로써, 도 7의 자석(150)이 폭방향 및 이송 방향의 흡착 어긋남을 작게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도 10b 및 도 12b에서, 테이프 피더(102)의 특성 변화에 의해 특히 샘플 No390의 부근에서 흡착 어긋남이 크게 변화하고 있는데, 도 11b 및 도 13b에서는, 이러한 테이프 피더(102)의 특성 변화에 의한 흡착 어긋남의 변화는 보여지지 않는다. 따라서, 도 7의 자석(150)은 테이프 피더(102)의 특성 변화에 의한 흡착 어긋남을 억제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11a∼도 11c 및 도 13a∼도 13c를 비교해도, 흡착 어긋남에 큰 차이는 보여지지 않는다. 따라서, 도 7의 자석(150)은 콘덴서와 비교해 자력의 영향을 받기 어려운 저항인 부품(140)에 대해서도 흡착 어긋남을 작게 할 수 있어, 다종의 부품(140)에 대해서 흡착 어긋남을 작게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의 테이프 피더(102)는, 부품 취출 영역의 부품 수납부(141)의 저면의 편측의 하방에 제1 자석(151)을 구비하고, 제1 자석(151)에 대해 이송 방향의 후방에 섬형상으로 제2 자석(152)을 구비한다. 따라서, 부품 취출 영역에서 부품 수납부(141)의 부품(140)은, 제1 자석(151)에 의해 부품 수납부(141)의 폭방향의 측단까지 끌어 당겨짐과 동시에 제2 자석(152)에 의해 캐리어 테이프(122a)를 보내는 힘을 이용하여 부품 수납부(141)의 이송 방향의 후단까지 끌어 당겨진다. 그 결과, 모든 부품 수납부(141)의 부품(140)은 부품 취출 영역에서 부품 수납부(141)의 끝으로 당겨져 맞출 수 있으므로, 흡착 어긋남을 작게 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테이프 피더(102)에 의하면, 부품 취출 영역의 부품 수납부(141)의 저면의 하방에 제1 자석(151) 및 제2 자석(152)을 구비한다. 따라서, 부품 취출 영역에 있어서 부품 수납부(141)의 부품(140)은, 제1 자석(151) 및 제2 자석(152)에 의해 부품 수납부(141)의 하방으로 끌어 당겨진다. 그 결과, 부품 수납부(141)의 부품(140)이 부품 취출 영역에 있어서 부품 수납부(141)로부터 튀어나오거나, 서거나 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테이프 피더(102)에 의하면, 제1 자석(151)은 부품 수납부(141)의 저면의 반분의 하방에 설치된다. 그 결과, 제1 자석(151)에 의해 부품 수납부(141)의 부품(140)이 강하게 끌어 당겨져 서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비교예 1)
이하, 본 실시 형태의 비교예 1에 따른 자석(15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4는, 본 비교예에 따른 자석(150)의 사시도이다.
본 비교예에 따른 자석(150)에서는 이송 방향을 향함에 따라 자석(150)의 폭방향의 폭이 좁아져 있으며, 본 비교예에 따른 자석(150)은 L자형상이 아니라 삼각형상을 가진다는 점에서 도 6의 자석(150)과 상이하다.
도 15(a)의 평면도 및 도 15(b)의 단면도는, 본 비교예에 따른 자석(150)에 의해 부품 수납부(141) 내의 부품(140)의 위치가 변화하는 양태를 나타내고 있다.
부품 취출 영역으로 보내진 부품(140)은, 본 비교예에 따른 자석(150)에 의해서도, 부품 취출 영역에 있어서 이송 방향 및 폭방향을 향해 끌어 당겨져, 부품 수납부(141)의 이송 방향 및 폭방향의 끝으로 이동한다. 그러나, 자석(150)의 삼각형상에 의해 자계의 왜(歪)가 발생하기 때문에, 부품 취출 영역의 부품(140)은 회전하여 이송 방향 및 폭방향에 대해 기운다. 이에 대해, 도 6의 L자형상의 자석(150)의 경우에는, 이러한 부품(140)의 회전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흡착 어긋남을 작게 할 수 있다.
(비교예 2)
이하, 본 실시형태의 비교예 2에 따른 자석(15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6은, 본 비교예에 따른 자석(150)의 사시도이다.
본 비교예에 따른 자석(150)에서는 이송 방향의 후단뿐 아니라 전단에도 폭방향으로 넓어지는 부분이 설치되고, 본 비교예에 따른 자석(150)은 L자형상이 아니라 コ자형상을 하고 있다는 점에서 도 6의 자석(150)과 상이하다.
도 17(a)의 평면도 및 도 17(b)의 단면도는, 본 비교예에 따른 자석(150)에 의해 부품 수납부(141) 내의 부품(140)의 위치가 변화하는 양태를 나타내고 있다.
부품 취출 영역으로 보내진 부품(140)은, 본 비교예에 따른 자석(150)에 의해서도, 부품 취출 영역에서 이송 방향 및 폭방향을 향해 끌어 당겨지고, 부품 수납부(141)의 이송 방향 및 폭방향의 끝으로 이동한다. 그러나, 자석(150)의 コ자형상에 의해 부품 취출 위치에 가까워진 부품(140)이 이송 방향의 전방을 향해 끌어 당겨지기 때문에, 부품 취출 위치의 부품(140)의 위치는 이송 방향의 끝에 고정되지 않는다. 이에 반해, 도 6의 L자형상의 자석(150)인 경우에는, 이동 후의 부품(140)의 위치는 고정되기 때문에, 흡착 어긋남을 작게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테이프 피더 및 이것을 이용한 캐리어 테이프의 송출 방법에 대해서, 실시형태에 의거해 설명했는데, 본 발명은, 이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생각해 낸 각종 변형을 실시한 것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또,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복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각 원가요소를 임의로 조합해도 된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자석(150)은 L자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했다. 그러나, 부품 취출 영역의 부품(140)에 대해 부품 수납부(141)의 끝으로 끌어당기는 자력을 발생시키는 자석(150)이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자석(150)은 제1 자석(151) 및 제2 자석(152)이 분리하여 구성되는 것이면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2 자석(152)은, 부품 취출 위치의 부품 수납부(141)에 대해 2개의 부품 수납부(141)를 사이에 둔 거리만큼 떨어뜨려 설치되도록 했다. 그러나, 제2 자석(152)의 자력 및 부품 피치 등을 고려하여 흡착 노즐에 의한 부품 취출의 방해를 하지 않는 거리만큼 떨어뜨려 두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2 자석(152)의 자력이 강한 경우, 제2 자석(152)은 부품 취출 위치의 부품 수납부(141)의 옆의 부품 수납부(141)의 하방에 설치되어도 된다. 또, 제2 자석(152)의 자력이 약한 경우, 제2 자석(152)은 부품 취출 위치의 부품 수납부(141)에 대해 3개 이상의 부품 수납부(141)를 사이에 둔 거리만큼 떨어뜨려 설치되어도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자석(151)은, 부품 취출 영역의 부품 수납부(141)의 저면의 하방에 있어서, 부품 수납부(141)의 저면의 면적의 반분을 덮도록 설치되도록 했다. 그러나, 제1 자석(151)은, 부품 취출 영역의 부품 수납부(141)의 저면의 하방에 있어서, 폭방향으로 부품 수납부(141)의 저면의 전부를 덮지 않고 일부만을 덮도록 설치되면 반분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자석(151)은, 부품 취출 영역까지 보내진 3개의 부품 수납부(141)의 저면의 하방에 설치되는 것으로 했는데, 부품 취출 영역까지 보내진 복수의 부품 수납부(141)의 저면의 하방에 설치되면 3이라는 숫자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자석(151)이 설치되는 것으로 했다. 그러나, 테이프 피더가, 부품 취출 영역까지 보내진 부품 수납부(141)의 저면의 하방에 있어서, 저면의 폭방향의 편측의 하방에 이송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고, 부품 취출 영역까지 보내진 부품 수납부(141)의 부품을 폭방향의 한쪽으로 끌어당기는 제1 자력 영역을 구비하면, 제1 자석(151)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자력 영역은, 하나의 제1 자석(151)에 의해 구성되는 것으로 했는데, 복수의 자석에 의해 구성되어도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2 자석(152)이 설치되는 것으로 했다. 그러나, 테이프 피더가, 부품 취출 영역까지 보내진 부품 수납부(141)의 저면의 하방에 있어서, 제1 자력 영역에 대해 이송 방향의 후방에 설치되고, 부품 취출 영역까지 보내진 부품 수납부(141)의 부품을 이송 방향의 후방으로 끌어당기는 제2 자력 영역을 구비하면, 제2 자석(152)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2 자력 영역은, 하나의 제2 자석(152)에 의해 구성되는 것으로 했는데, 복수의 자석에 의해 구성되어도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자석(150)에 의해 부품(140)을 부품 수납부(141)의 끝으로 끌어 당기기 전에, 테이프 피더에 진동을 가한다, 또는 테이프 피더를 기울임으로써 부품(140)을 부품 수납부(141)의 끝을 향해 이동시켜도 된다.
예를 들면, 도 1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테이프 피더의 폭방향으로 진동하는 진동자 및 스프링 등에 의해 부품(140)을 부품 수납부(141)의 끝으로 이동시켜도 된다. 또, 도 1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테이프 피더의 이송 방향에 대해 45도인 방향으로 진동하는 진동자 및 스프링 등에 의해 부품(140)을 부품 수납부(141)의 끝으로 이동시켜도 된다. 또한, 도 18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테이프 피더를 보내기 위한 규정 롤러(170)를 예를 들면 25도 기울여 부품(140)의 자중에 의해 부품(140)을 부품 수납부(141)의 끝으로 이동시켜도 된다.
도 18a∼도 18c의 구성은, 예를 들면 도 18d의 단면도에 나타낸 LED(Light Emitting Diode)칩과 같은 부품(140)에 유효하다. 왜냐하면, 저항 및 콘덴서에서는, 내부 전극 및 외부 전극에 Ni(니켈) 도금이 이용되고 있으며, 일부 부재가 자성체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반해, LED칩에서는, 예를 들면 리드 프레임은 전류 손실이 적은 금 또는 은을 많이 포함하는 재료로 구성되고, 전극(180)도 니켈 도금이 아니라 금 플래시 도금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부재가 자력의 영향을 받기 어렵거나 혹은 영향이 적은 재료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또, LED의 저면의 동일면에 형성된 전극(180) 및 부품 보디(181)가 예를 들면 금 플래시 도금 및 유리 에폭시 수지 등의 상이한 재료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양자의 표면 미끄럼 계수가 상이하고, 부품 수납부(141) 내에서 미끄러지기 어렵기 때문이다. 또, 부품 보디(181)와 부품 수납부(141)의 접촉 면적이 크고, 부품 수납부(141) 내에서 미끄러지기 어렵기 때문이다. 또한, 저면의 동일면에 형성된 전극(180) 및 부품 보디(181)의 표면에 단차가 형성되기 때문에, 부품 수납부(141) 내에서 미끄러지기 어려운 등의 구성을 가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테이프 피더 및 이것을 이용한 캐리어 테이프의 송출 방법에 이용할 수 있으며, 특히 부품 실장기 등에 이용할 수 있다.
100 : 기대
101 : 반송로
102 : 테이프 피더
103 : 부품 공급부
104 : 기판
105 : 실장 헤드
106 : 인식 카메라
107 : XY로봇
108 : 폐기 트레이
109 : 노즐 스테이션
120 : 본체 프레임
121 : 릴 측판
122 : 공급용 릴
122a : 캐리어 테이프
122b : 커버 테이프
122c : 기재 테이프
123 : 이송 롤러
124 : 래칫
125 : 링크
126 : 이송 레버
126a : 인장 스프링
127 : 셔터
128 : 슬릿
129 : 권취 릴
130 : 누름 커버
140 : 부품
141 : 부품 수납부
150 : 자석
151 : 제1 자석
152 : 제2 자석
160 : 판스프링
170 : 규정 롤러
180 : 전극
181 : 부품 보디

Claims (10)

  1. 직사각형의 부품 수납부가 이송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복수 설치된 캐리어 테이프를 송출하는 피더로서,
    부품 취출(取出) 영역까지 보내진 상기 부품 수납부의 저면의 하방에 있어서, 상기 저면의 폭방향의 편측의 하방에 상기 이송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고, 상기 부품 취출 영역까지 보내진 부품 수납부의 부품을 상기 폭방향의 한쪽으로 끌어당기는 제1 자력 영역을 구비하는, 테이프 피더.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피더는, 또한, 상기 부품 취출 영역까지 보내진 상기 부품 수납부의 저면의 하방에 있어서, 상기 제1 자력 영역에 대해 상기 이송 방향의 후방에 설치되고, 상기 부품 취출 영역까지 보내진 부품 수납부의 부품을 상기 이송 방향의 후방으로 끌어당기는 제2 자력 영역을 구비하는, 테이프 피더.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자력 영역은 제1 자석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 자력 영역은 제2 자석으로 구성되는, 테이프 피더.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석 및 상기 제2 자석은 일체화되고, L자형상의 자석을 구성하고 있는, 테이프 피더.
  5.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석은 상기 저면의 반분의 하방에 설치되는, 테이프 피더.
  6.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석은 탄성체로 구성되는, 테이프 피더.
  7.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피더는, 또한, 상기 부품 취출 영역까지 보내진 상기 부품 수납부의 저면을 지지하는 판형상의 탄성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자석은, 상기 탄성 부재의 상기 저면이 올려 놓아지는 측과는 반대측의 면에 부착되는, 테이프 피더.
  8.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석은, 상기 부품 취출 영역까지 보내진 복수의 상기 부품 수납부의 저면의 하방에 설치되는, 테이프 피더.
  9.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석의 이송 방향의 전단부는, 상기 저면의 면적의 4분의 1인 부분의 하방에 설치되는, 테이프 피더.
  10. 테이프 피더에 있어서, 직사각형의 부품 수납부가 이송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복수 설치된 캐리어 테이프를 송출하는 방법으로서,
    테이프 피더에 있어서의 부품 취출 영역까지 보내진 부품 수납부의 부품을 상기 부품 수납부의 저면의 폭방향의 한쪽 및 상기 이송 방향의 후방으로 끌어당기는, 캐리어 테이프의 송출 방법.
KR1020117019951A 2010-01-19 2011-01-19 테이프 피더 및 이것을 이용한 캐리어 테이프의 송출 방법 KR2012010492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009476 2010-01-19
JPJP-P-2010-009476 2010-01-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4920A true KR20120104920A (ko) 2012-09-24

Family

ID=44306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9951A KR20120104920A (ko) 2010-01-19 2011-01-19 테이프 피더 및 이것을 이용한 캐리어 테이프의 송출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20000958A1 (ko)
JP (1) JP4809506B2 (ko)
KR (1) KR20120104920A (ko)
CN (1) CN102342196B (ko)
DE (1) DE112011100275T5 (ko)
WO (1) WO20110898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35514B2 (ja) * 2012-11-28 2016-11-3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テープフィーダ
JP6437010B2 (ja) * 2014-11-17 2018-12-12 株式会社Fuji テープフィーダ及び部品実装機
WO2017056262A1 (ja) * 2015-09-30 2017-04-06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部品供給装置
CN106793741A (zh) * 2017-03-17 2017-05-31 深圳市朤科自动化设备有限公司 使待拾取元件排列一致的方法、装置以及供料器和贴片机
JP2019041040A (ja) * 2017-08-28 2019-03-14 株式会社村田製作所 板ばね
WO2019130450A1 (ja) * 2017-12-26 2019-07-04 株式会社Fuji テープフィーダ
CN108820549B (zh) * 2018-07-17 2024-02-2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电容编带结构及其制造方法
JP6956893B2 (ja) * 2018-09-26 2021-11-02 株式会社Fuji テープフィーダ
JP1679706S (ko) * 2020-05-26 2021-02-22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36765A (en) * 1977-06-06 1979-01-30 Western Electric Company, Inc. Methods of and apparatus for orienting electrically asymmetrical devices with magnetic handling
JPH09186487A (ja) * 1995-12-28 1997-07-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部品供給装置
JPH11353456A (ja) * 1998-06-05 1999-12-24 Nec Eng Ltd 半導体製品の画像処理機構
JP2000228600A (ja) 1999-02-05 2000-08-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部品供給装置
KR100502223B1 (ko) * 2000-06-30 2005-07-18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부품 공급 장치
JP4479616B2 (ja) * 2005-07-13 2010-06-0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テープフィーダ
JP4595882B2 (ja) * 2006-05-16 2010-12-0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テープフィーダ
JP4893661B2 (ja) * 2008-03-03 2012-03-0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テープフィーダ
JP4849082B2 (ja) * 2008-03-03 2011-12-2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テープフィーダ
JP5085390B2 (ja) * 2008-03-27 2012-11-28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部品供給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表面実装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000958A1 (en) 2012-01-05
JP4809506B2 (ja) 2011-11-09
CN102342196B (zh) 2014-10-22
DE112011100275T5 (de) 2012-11-08
CN102342196A (zh) 2012-02-01
WO2011089896A1 (ja) 2011-07-28
JPWO2011089896A1 (ja) 2013-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04920A (ko) 테이프 피더 및 이것을 이용한 캐리어 테이프의 송출 방법
US7784660B2 (en) Tape feeder
US9414536B2 (en) Tape feeder and tape feeding method for chip mounter
JP3520008B2 (ja) 電子部品供給装置
TWI657027B (zh) 物品供應裝置
JP2010212737A (ja) 部品供給装置及び部品供給方法
CN108200759A (zh) 用于部件的自动存储设备
JP4141004B2 (ja) チップ部品供給装置
KR101823926B1 (ko) 캐리어 테이프의 자동 공급 장치
JP4714256B2 (ja) 部品供給装置
EP1026933B1 (en) Parts feeder using strip carrier
JP4924459B2 (ja) テープフィーダ
JP6482908B2 (ja) 物品供給装置
KR101144620B1 (ko) 트레이 공급장치
JP2803590B2 (ja) 電子部品供給装置
JP4849082B2 (ja) テープフィーダ
JP3260287B2 (ja) 部品供給装置
JP4893661B2 (ja) テープフィーダ
JP2843485B2 (ja) チップ状部品供給装置
JPH104290A (ja) 部品供給装置
KR101229979B1 (ko) 트레이 공급장치
JP2575911Y2 (ja) チップ状回路部品マウント装置
JP3260286B2 (ja) 部品供給装置
JPH0711000U (ja) 部品供給装置
JP2012033821A (ja) 電子部品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