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6564A -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디지털 방송 수신 방법 및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디지털 방송 수신 방법 및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6564A
KR20120096564A KR20127017663A KR20127017663A KR20120096564A KR 20120096564 A KR20120096564 A KR 20120096564A KR 20127017663 A KR20127017663 A KR 20127017663A KR 20127017663 A KR20127017663 A KR 20127017663A KR 20120096564 A KR20120096564 A KR 201200965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selection
selection information
information
stored
digital broadca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7017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1674B1 (ko
Inventor
겐사쿠 사이토
게이이치 시라스카
소이치로 마츠모토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965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65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16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16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73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with two-way working, e.g. subscriber sending a programme selection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6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07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 H04N21/4263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involving specific tuning arrangements, e.g. two tun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3Accessing a communication channel
    • H04N21/4384Accessing a communication channel involving operations to reduce the access time, e.g. fast-tuning for reducing channel switching late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선국 처리의 고속화를 실현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100)를 제공한다. 이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100)는, 선국 정보 테이블(7a)에 기록되어 있는 보관 선국 정보에 기초하여, 선국된 방송 프로그램의 부호화 스트림과, 복수의 최신의 선국 정보를 디지털 방송 스트림으로부터 분리하는 데이터 분리부(3)와, 분리된 부호화 스트림에 복호 처리를 실시하는 디코딩부(4)와, 선국 제어부(6)를 구비한다. 선국 제어부(6)는, 최신의 선국 정보에 포함되는 제 1 선국 정보가 보관 선국 정보와 정합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제 1 수신 확인 처리와, 최신의 선국 정보 중 제 1 선국 정보보다도 부호화 스트림과 높은 관련성을 갖는 제 2 선국 정보가 보관 선국 정보와 정합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제 2 수신 확인 처리를 병행하여 실행한다. 선국 제어부(6)는 또한 제 1 및 제 2 수신 확인 처리를 복호 처리와 병행하여 실행한다.

Description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디지털 방송 수신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DIGITAL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DIGITAL BROADCAST RECEIV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복호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디지털 방송 신호 중에서 특정한 방송 프로그램의 부호화 스트림을 추출하고 복호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방송 기술에서는, 단일의 물리 채널(주파수 대역)에 복수의 방송 프로그램(복수의 논리 채널)을 다중화하여 동시에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방송 프로그램의 부호화 스트림(부호화 영상 스트림 및 부호화 음성 스트림 등)으로부터 방송 프로그램마다 엘리멘터리?스트림(ES : Elementary Stream)이라 칭하는 스트림 데이터가 생성된다. 송신기는, 이 스트림 데이터를 분할하여, 상기 분할된 스트림 데이터를 다중화하고 단일의 물리 채널을 이용하여 송신할 수 있다.
디지털 방송 수신기가 선국 처리를 행하는 때에는, 우선, 선국처 방송 프로그램을 전송하는 특정한 주파수 대역에 튜너를 동기시켜 방송파를 수신한다. 다음에,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방송파를 수신하여 획득된 디지털 방송 스트림으로부터 선국에 필요한 정보(이하, 「선국 정보」라고 부름)를 취득한다. 또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이 선국 정보에 기초하여, 디지털 방송 스트림 중에서 다중화되어 있는 선국처 방송 프로그램의 부호화 스트림(부호화 영상 스트림 및 부호화 음성 스트림)을 분리하여, 이 부호화 스트림을 복호(디코딩)함으로써 영상 및 음성의 재생을 행한다.
예컨대, 일본의 지상 디지털 방송의 경우에는, MPEG-2 시스템(Moving Picture Experts Group phase 2 system)에서 정의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 형식이 사용된다. MPEG-2 시스템에 의하면, 부호화 스트림으로부터 생성된 ES(엘리멘터리?스트림)은, 적당한 크기의 데이터 블록으로 분할되어, PES(Packetized Elementary Stream)라고 불리는 패킷 스트림 형식의 데이터로 변환된다. 또한, 이 PES로부터, 각각 고정 길이를 갖는 TS 패킷(트랜스포트 스트림 패킷)이 생성된다. 송신기는, 이들 TS 패킷을 다중화함으로써 생성된 트랜스포트 스트림(TS : Transport Stream)을 변조하여 송신한다.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방송파를 수신하여 디지털 방송 스트림, 즉, 트랜스포트 스트림(이하, 「TS」라고 부름)을 취득한다.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이 TS를 구성하는 각 TS 패킷의 헤더에 존재하는 패킷 식별자(PID : Packet Identifier)를 참조하여, 상기 TS로부터, 선국처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되는 TS 패킷만을 필터링한다.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또한, 필터링된 TS 패킷으로부터 영상이나 음성의 ES를 구성하여, 각 ES를 복호함으로써 영상 출력과 음성 출력을 행할 수 있다. 일본의 지상 디지털 방송의 규격은, 「ARIB TR-B14 3.9판」(비특허 문헌 1)이나「ARIB STD-B32 2.2판」(비특허 문헌 2) 등의 ARIB 책정에 의한 사양서에 개시되어 있다.
ARIB 규격에서는, 부호화 스트림의 개개와 대응지어지는 방송 프로그램을 서비스라고 부른다. 방송 프로그램, 즉, 서비스는, 편성 채널이라고도 불리고, 방송 사업자가 편성하는, 스케쥴화된 방송 프로그램(이벤트 : event)의 연속을 말한다. 특정한 서비스의 선국을 행하는 때에는, MPEG-2 시스템에서 규격화되어 있는 PSI(Program Specific Information)라고 불리는 프로그램 특정 정보가 선국 정보로서 사용된다. PSI는, PAT(Program Association Table), PMT(Program Map Table), NIT(Network Information Table : 네트워크 정보 테이블) 및 CAT(Conditional Access Table : 한정 수신 테이블)의 4개의 테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PAT는, 서비스에 관련되는 PMT를 전송하는 TS 패킷의 PID를 지정하는 것으로, PAT를 전송하는 TS 패킷의 PID는 제로(zero)의 값으로 설정된다. PAT는, 임의의 TS 내에 포함되는 모든 서비스에 대해서, 각 서비스의 식별 정보인 서비스 ID(service_id)와, PMT를 전송하는 TS 패킷의 PID를 저장하고 있다. PMT는, 개개의 서비스마다 존재하며, 각 서비스를 구성하는 부호화 스트림을 전송하는 TS 패킷의 PID를 지정하는 정보이다.
ARIB 규격에 준거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가 선국 처리를 행하는 때에는, 우선, 선국처 서비스를 전송하는 특정한 주파수 대역에 튜너를 동기시켜 방송파를 수신한다(튜닝(tuning) 처리). 이어서,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각 TS 패킷의 PID를 참조하여 PAT를 수신하며, 상기 PAT로부터 서비스 ID를 취득한다.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취득한 서비스 ID에 따라서 선국처 서비스에 대응하는 PAT를 선택적으로 수신하며, 이 PAT로부터, 선국처 서비스에 대응하는 PMT를 전송하는 TS 패킷의 PID를 취득한다.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또한, 취득한 PID로부터 PMT를 선택적으로 수신하고, 상기 PMT에 기초하여, 영상이나 음성의 부호화 스트림이나 PCR(Program Clock Reference)을 포함하는 TS 패킷을 필터링한다. 이들 필터링된 TS 패킷으로부터 영상이나 음성의 ES를 구성하여, 이들 ES를 복호함으로써 영상 출력과 음성 출력을 행할 수 있다. 또한, PCR는, 영상 데이터나 음성 데이터의 부호화 시의 기준 시간을 복호기에서 재현하기 위한 타임 스탬프(time stamp) 정보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선국 처리에 요하는 시간은, 적어도, 튜닝 처리에 요하는 시간과, PAT의 선택적인 수신에 요하는 시간(PAT 수신 대기 처리)과, PMT의 선택적인 수신에 요하는 시간(PMT 수신 대기 시간)과, ES의 복호 처리에 요하는 시간을 합계한 처리 시간이 필요하게 된다. 그래서, 선국 처리를 고속화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사전에 어떠한 방법에 의해 취득한 PAT나 PMT 등의 선국 정보를 참조하여 선국 처리를 행하는 방법(이하, 「고속 선국 방법」이라고 부름)이 몇 개 제안되어 있다. 고속 선국 방법을 이용하면, 예컨대, 서비스마다의 부호화 스트림이나 PCR의 PID를 미리 보존해 두고, 이들 PID에 기초하여 TS 패킷의 필터링을 행하는 것에 의해, 튜닝 처리 후에 단시간에 복호 처리를 개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고속 선국 방법을 이용하여 선국 처리를 행할 때에, 사전에 취득한 선국 정보의 내용이 변화되어 있는 경우, 잘못된 선국 처리가 행해질 가능성이 있다. 예컨대, PMT에 기술되어 있는 부호화 스트림의 PID는 방송 중에 변화한다. 이 때문에, 이전에 저장했던 부호화 스트림의 PID에 기초하여 TS 패킷의 필터링 처리와 복호 처리를 행한 경우, 영상 재생 또는 음성 재생 중 어느 한쪽에서 실패하거나, 서로 개개의 서비스에 관련지어진 영상과 음성이 동시에 재생되거나 하는 상황을 생각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선국 처리 시에 선국 정보의 변화의 유무를 확인하는 처리를 행하며, 선국 정보의 변화가 있는 것으로 확인한 경우에는 새롭게 수신한 선국 정보를 이용하여 선국 처리를 행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 종류의 고속 선국 방법 중 하나가, 특허 제3549442호 공보(특허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의 고속 선국 방법에서는, PAT과 PMT 이외에, 스크램블 방송 시에 사용되는 ECM(Entitlement Control Message)을 선국 정보로 하여, 서비스마다 PMT의 PID와 ECM의 PID가 미리 기록된다. 그리고, PAT, PMT 및 ECM을 전송하는 TS 패킷을 동시 병행으로 필터링하면서, 수신한 PAT, PMT 및 ECM의 PID가, 기록되어 있는 PAT, PMT 및 ECM의 PID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특허 문헌 1의 고속 선국 방법은, 종래의 선국 처리에서 점차적으로 행해지고 있던 복수의 선국 정보의 수신 처리를 병행하여 행함으로써 선국 처리를 고속화하고 있다.
(선행 기술 문헌)
(특허 문헌)
특허 문헌 1 : 특허 제 3549442호 공보
(비특허 문헌)
비특허 문헌 1 : 지상 디지털 텔레비전 구역 방송 운용 규정 기술 자료 ARIB TR-B14 3.9판(제 4-57 페이지, 표 12-5 등)
비특허 문헌 2 : 디지털 방송에 있어서의 영상 부호화, 음성 부호화 및 다중화 방식 표준 규격 ARIB STD-B32 2.2판(제 55 페이지 내지 제 57 페이지 등)
상기한 바와 같이, 특허 문헌 1의 선국 처리에서는, 복수의 선국 정보의 수신 처리가 완료한 후에 부호화 스트림의 복호 처리가 개시되지만, 이 복호 처리에 요하는 시간이 단축되지 않기 때문에, 서비스가 지정되고 나서 영상 및 음성이 출력되기까지의 대기 시간이 길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를 감안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선국 처리의 고속화를 실현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선국 처리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는,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복조하고, 1 또는 2 이상의 방송 프로그램을 전송하는 복수의 데이터 패킷이 다중화된 디지털 방송 스트림을 생성하는 신호 수신부와, 기억 매체에 저장되어 있고, 1 또는 2 이상의 소정의 방송 프로그램의 각각에 대해서 서로 관련되는 복수의 선국 정보가 복수의 보관 선국 정보로서 기록되어 있는 선국 정보 테이블과, 상기 보관 선국 정보에 기초하여, 선국된 방송 프로그램의 부호화 스트림과, 상기 부호화 스트림에 관련되고 또한 서로 관련되는 복수의 최신의 선국 정보를 상기 디지털 방송 스트림으로부터 분리하는 선행 필터링 처리를 실행하는 데이터 분리부와, 상기 데이터 분리부에 의해 분리된 부호화 스트림에 복호 처리를 실시하여 방송 프로그램 데이터를 생성하는 디코딩부와, 상기 최신의 선국 정보에 포함되는 제 1 선국 정보가 상기 보관 선국 정보와 정합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제 1 수신 확인 처리와, 상기 최신의 선국 정보 중 상기 제 1 선국 정보보다도 상기 부호화 스트림과 높은 관련성을 갖는 제 2 선국 정보가 상기 보관 선국 정보와 정합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제 2 수신 확인 처리를 병행하여 실행하는 선국 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선국 제어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수신 확인 처리를 상기 복호 처리와 병행하여 실행하고, 상기 제 1 수신 확인 처리에서 상기 제 1 선국 정보가 상기 보관 선국 정보와 정합하는 것으로 판정되고, 또한, 상기 제 2 수신 확인 처리에서 상기 제 2 선국 정보가 상기 보관 선국 정보와 정합하는 것으로 판정되었을 때에는 상기 복호 처리를 속행시키며, 상기 제 2 수신 확인 처리에서 상기 제 2 선국 정보가 상기 보관 선국 정보와 정합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되었을 때에는 상기 복호 처리를 중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른 선국 처리 방법은,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복조하고, 1 또는 2 이상의 방송 프로그램을 전송하는 복수의 데이터 패킷이 다중화된 디지털 방송 스트림을 생성하며, 상기 디지털 방송 스트림으로부터 방송 프로그램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생성하는 선국 처리 방법으로서, (a) 1 또는 2 이상의 소정의 방송 프로그램의 각각에 대해서 서로 관련되는 복수의 선국 정보가 복수의 보관 선국 정보로서 기록되어 있는 선국 정보 테이블로부터, 선국된 방송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보관 선국 정보를 취득하는 스텝과, (b) 상기 선국 정보 테이블로부터 취득한 보관 선국 정보에 기초하여, 선국된 방송 프로그램의 부호화 스트림과, 상기 부호화 스트림에 관련되고 또한 서로 관련되는 복수의 최신의 선국 정보를 상기 디지털 방송 스트림으로부터 분리하는 선행 필터링 처리를 실행하는 스텝과, (c) 상기 선행 필터링 처리에서 분리된 부호화 스트림에 복호 처리를 실시하여 상기 방송 프로그램 데이터를 생성하는 스텝과, (d) 상기 복호 처리와 병행하여, 상기 최신의 선국 정보에 포함되는 제 1 선국 정보가 상기 보관 선국 정보와 정합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제 1 수신 확인 처리를 실행하는 스텝과, (e) 상기 복호 처리 및 상기 제 1 수신 확인 처리와 병행하여, 상기 최신의 선국 정보 중 상기 제 1 선국 정보보다도 상기 부호화 스트림과 높은 관련성을 갖는 제 2 선국 정보가 상기 보관 선국 정보와 정합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제 2 수신 확인 처리를 실행하는 스텝과, (f) 상기 제 1 수신 확인 처리에서 상기 제 1 선국 정보가 상기 보관 선국 정보와 정합하는 것으로 판정되고, 또한, 상기 제 2 수신 확인 처리에서 상기 제 2 선국 정보가 상기 보관 선국 정보와 정합하는 것으로 판정되었을 때에는 상기 복호 처리를 속행시키고, 상기 제 2 수신 확인 처리에서 상기 제 2 선국 정보가 상기 보관 선국 정보와 정합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되었을 때에는 상기 복호 처리를 중단시키는 스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3 측면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복조하고, 1 또는 2 이상의 방송 프로그램을 전송하는 복수의 데이터 패킷이 다중화된 디지털 방송 스트림을 생성하고, 상기 디지털 방송 스트림으로부터 방송 프로그램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생성하는 선국 처리를 프로세서로 실행시키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메모리로부터 판독되어 실행되는 것이며, 상기 선국 처리는, (a) 1 또는 2 이상의 소정의 방송 프로그램의 각각에 대해서 서로 관련되는 복수의 선국 정보가 복수의 보관 선국 정보로서 기록되어 있는 선국 정보 테이블로부터, 선국된 방송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보관 선국 정보를 취득하는 처리와, (b) 상기 선국 정보 테이블로부터 취득한 보관 선국 정보에 기초하여, 선국된 방송 프로그램의 부호화 스트림과, 상기 부호화 스트림에 관련되고 또한 서로 관련되는 복수의 최신의 선국 정보를 상기 디지털 방송 스트림으로부터 분리하는 선행 필터링 처리와, (c) 상기 선행 필터링 처리에서 분리된 부호화 스트림에 복호 처리를 실시하여 상기 방송 프로그램 데이터를 생성하는 복호 처리와, (d) 상기 복호 처리와 병행하여, 상기 최신의 선국 정보에 포함되는 제 1 선국 정보가 상기 보관 선국 정보와 정합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제 1 수신 확인 처리와, (e) 상기 복호 처리 및 상기 제 1 수신 확인 처리와 병행하여, 상기 최신의 선국 정보 중 상기 제 1 선국 정보보다도 상기 부호화 스트림과 높은 관련성을 갖는 제 2 선국 정보가 상기 보관 선국 정보와 정합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제 2 수신 확인 처리와, (f) 상기 제 1 수신 확인 처리에서 상기 제 1 선국 정보가 상기 보관 선국 정보와 정합하는 것으로 판정되고, 또한, 상기 제 2 수신 확인 처리에서 상기 제 2 선국 정보가 상기 보관 선국 정보와 정합하는 것으로 판정되었을 때에는 상기 복호 처리를 속행시키고, 상기 제 2 수신 확인 처리에서 상기 제 2 선국 정보가 상기 보관 선국 정보와 정합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되었을 때에는 상기 복호 처리를 중단시키는 처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선국 처리를 고속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형태의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2는 실시 형태에 따른 보관 선국 정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형태 1의 선국 처리의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3의 선국 처리의 소요 시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 형태 2의 선국 정보 스캔 처리의 순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5의 선국 정보 스캔 처리에 의한 서비스의 스캔 순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하, 실시 형태를, ARIB 규격에 의한 일본의 지상 디지털 방송을 예에 들어 설명하지만, 본 실시 형태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ARIB 규격 이외의 방송 규격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이 가능하다.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형태의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100)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이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100)는, 제 1 방송 신호 수신부(1), 제 1 멀티플렉스부(데이터 분리부)(3), 디코딩부(4), 출력 제어부(5), 제 1 선국 제어부(6), 선국 정보 테이블(7a), 주 제어부(12) 및 입력 장치(13)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방송 신호 수신부(1)는, 제 1 튜너부(2A)와 제 1 복조부(2B)로 이루어진다. 선국 정보 테이블(7a)은, HDD(hard disk drive)나 불휘발성 메모리 등 기억 매체(7)에 저장되어 있다. 이들 제 1 튜너부(2A), 제 1 멀티플렉스부(3), 디코딩부(4) 및 출력 제어부(5)의 동작은, 제 1 선국 제어부(6)에 의해서 제어된다.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100)는, 제 2 선국 제어부(선국 정보 수집부)(8), 제 2 방송 신호 수신부(9) 및 제 2 멀티플렉스부(감시용 데이터 분리부)(11)를 더 구비한다. 제 2 방송 신호 수신부(9)는, 제 2 튜너부(10A)와 제 2 복조부(10B)로 이루어진다. 제 2 튜너부(10A), 제 2 복조부(10B) 및 제 2 멀티플렉스부(11)는, 각각, 상기 제 1 튜너부(2A), 제 1 복조부(2B) 및 제 1 멀티플렉스부(3)와 마찬가지로 기능한다. 이와 같이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100)는, 제 1 튜너부(2A), 제 1 복조부(2B) 및 제 1 멀티플렉스부(3)로 이루어지는 방송 수신 계통과, 제 2 튜너부(10A), 제 2 복조부(10B) 및 제 2 멀티플렉스부(11)로 이루어지는 방송 수신 계통이라고 하는 독립된 2개의 방송 수신 계통을 갖고 있다. 제 2 선국 제어부(8)는, 제 2 튜너부(10A)와 제 2 멀티플렉스부(11)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갖고, 또한, 선국 정보 테이블(7a)에 기록된 선국 정보를 갱신하기 위한 선국 정보 스캔 처리를 실행하는 기능을 갖는다. 선국 정보 스캔 처리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주 제어부(12)는, 제 1 선국 제어부(6)와 제 2 선국 제어부(8)의 각 동작을 제어하는 것에 의해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100)의 전체 동작을 제어한다. 입력 장치(13)는, 예컨대, 키보드나 리모트 컨트롤러나 포인팅 디바이스(예컨대, 마우스)이다. 입력 장치(13)는, 사용자에 의한 조작 입력에 따른 정보를 주 제어부(12)에 출력하고, 주 제어부(12)는, 상기 조작 입력에 따른 제어 처리를 실행하게 된다.
제 1 방송 신호 수신부(1)에 있어서는, 제 1 튜너부(2A)는, 방송국(도시하지 않음)이 제공하는 복수의 물리 채널(주파수 대역) 중에서, 제 1 선국 제어부(6)에 의해서 지정된 하나의 물리 채널을 선택하고, 이 물리 채널을 통하여 전송된 디지털 방송 신호(방송파)를 수신한다. 제 1 튜너부(2A)는, 수신한 디지털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대역의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A/D 변환해서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변조 신호를 생성한다. 제 1 복조부(2B)는, 이 OFDM 변조 신호에 복조 처리나 에러 정정을 실시하여 디지털 방송 스트림, 즉,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생성한다.
트랜스포트 스트림은, 일련의 데이터 블록, 즉, TS 패킷으로 이루어지고, 각 TS 패킷은, 고정 길이의 헤더와 가변 길이의 어댑테이션 필드와 페이로드부로 구성되어 있다. 각 TS 패킷의 헤더에는 패킷 식별자(PID : Packet Identifier)가 저장되어 있다. 또한, PCR(Program Clock Reference)이라고 불리는 기준 시각 정보가 어댑테이션 필드를 통하여 주기적으로 전송되고, 프로그램 특정 정보(PSI : Program Specific Information)나 프로그램 배열 정보(SI : Service Information)가 TS 패킷의 페이로드부를 통하여 주기적으로 전송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프로그램 특정 정보(PSI)의 구성요소나 프로그램 배열 정보(SI)의 구성요소가 선국 정보로서 이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PSI는, 프로그램 어소시에이션 테이블(PAT : Program Association Table) 및 프로그램 맵 테이블(PMT : Program Map Table)) 등의 4개의 테이블을 포함한다. PAT(제 1 선국 정보)는, 대상 서비스를 나타내는 서비스 ID가 기술된 프로그램 번호(program_number), 버전 번호(version_number), 및, PMT의 PID(program_map_PID : 대상 서비스에 관련되는 PMT를 전송하는 TS 패킷의 PID)를 포함한다. PAT의 버전 번호는, PAT의 내용의 갱신 상황을 나타내는 값이며, PAT의 내용이 갱신되었을 때, 또는, 방송 시스템에 이상이 발생했을 때에 증분된다.
PMT(제 2 선국 정보)는, 대상 서비스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서비스 ID가 기술된 프로그램 번호(program_number), 버전 번호(version_number), PCR의 PID(대상 서비스에 대한 PCR을 전송하는 TS 패킷의 PID), 및 elementary_PID(서비스를 구성하는 부호화 스트림을 전송하는 TS 패킷의 PID)를 포함한다. PMT의 버전 번호는, PMT의 내용의 갱신 상황을 나타내는 값이며, PMT의 내용이 갱신되었을 때, 또는, 방송 시스템에 이상이 발생했을 때에 증분된다. elementary_PID는, 해당 서비스를 구성하는 영상이나 음성의 ES(엘리멘터리 스트림) 등의 정보를 전송하는 TS 패킷의 PID가 기술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PAT는, 관련되는 PMT가 어떤 TS 패킷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식별 정보(program_ map_PID)을 포함하며, PMT는, 상기 서비스의 영상이나 음성의 부호화 스트림이 어떤 TS 패킷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식별 정보를 포함하기 때문에, PMT는, PAT보다도, 영상이나 음성의 부호화 스트림을 포함하는 TS 패킷과 높은 관련성을 갖는 선국 정보이다.
제 1 멀티플렉스부(3)는, 제 1 선국 제어부(6)에 의한 필터링 지시에 따라, 트랜스포트 스트림에 대해서 상기 선국 정보나 PID를 이용한 필터링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부터 상기 서비스에 관련되는 TS 패킷만을 추출하는 기능을 갖는다. 영상이나 음성의 부호화 스트림(PES : Packetized Elementary Stream)을 포함하는 TS 패킷은, 제 1 멀티플렉스부(3)로부터 디코딩부(4)에 출력된다. 디코딩부(4)는, PCR을 이용하여 생성된 시스템 클록과 동기하여 부호화 스트림에 복호 처리를 실시하는 것에 의해 영상 신호와 음성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 제어부(5)에 출력한다. 출력 제어부(5)는, 제 1 선국 제어부(6)에 의해 지정되는 출력 설정에 따라 영상 신호와 음성 신호의 출력 상태를 제어한다.
선국 정보 테이블(7a)에는, 각 서비스에 관련되고 또한 서로 관련되는 PAT나 PMT 등의 복수의 선국 정보가 보관 선국 정보로서 기록되어 있다. 도 2는, 하나의 서비스에 관한 보관 선국 정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국 정보 테이블(7a)에는, 보관 선국 정보로서, 각 서비스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서비스 ID, 각 서비스가 방송되어 있는 주파수 대역(물리 채널), 보관 선국 정보의 최종 갱신 시각, 및, PAT이나 PMT로부터 획득된 PAT 정보나 PMT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PAT 정보는, 상기한 「버전 번호」와 「PMT의 PID」를 포함하며, PMT 정보는, 상기한 「버전 번호」와 「PCR의 PID」와 「영상 ES의 PID」(영상의 부호화 스트림을 전송하는 TS 패킷의 PID)와 「음성 ES의 PID」(음성의 부호화 스트림을 전송하는 TS 패킷의 PID)를 포함한다. 이들 보관 선국 정보는, 후술하는 선국 정보 스캔 처리에 의해서 취득되는 정보이다.
상기한 기능 블록 2B, 3, 4, 6, 8, 10B, 11, 12의 전부 또는 일부는, 예컨대, 마이크로크로세서,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타이머 회로, 입출력 인터페이스 및 전용 처리 유닛을 포함하는 집적 회로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기능 블록 2B, 3, 4, 6, 8, 10B, 11, 12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은, 하드웨어로 실현되더라도 좋고, 또는, 마이크로크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실현되더라도 좋다. 기능 블록 2B, 3, 4, 6, 8, 10B, 11, 12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이 컴퓨터 프로그램(실행 형식의 파일을 포함함)으로 실현되는 경우, 마이크로크로세서는, 기억 매체(7)로부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로드하여 실행함으로써 상기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을 갖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100)의 동작을 이하에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형태 1의 선국 처리의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 3을 참조하면서 선국 처리의 흐름을 설명한다. 우선, 주 제어부(12)로부터 제 1 선국 제어부(6)에 대해서 서비스 ID의 지정에 의한 선국 지시가 보내어지면, 제 1 선국 제어부(6)는, 출력 제어부(5)에 대해서 뮤트 지시를 출력하여 출력 제어부(5)의 동작 상태를 통상 상태로부터 뮤트 상태로 전환한다(스텝 S101). 여기서, 통상 상태란, 복호 처리를 실행하여, 그 복호 결과인 영상 신호나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상태를 말하며, 뮤트 상태란, 복호 처리를 실행하지만, 그 복호 결과인 영상 신호나 음성 신호를 출력하지 않는 상태를 말한다. 뮤트 상태에 의해, 선국 처리 중에 흐트러진 영상이나 음성이 사용자에 대해서 제시되는 것이 방지된다.
다음에, 제 1 선국 제어부(6)는, 선국 정보 테이블(7a)을 참조하여 상기 서비스 ID에 대응하는 보관 선국 정보 중에서 물리 채널(주파수 대역)의 값을 취득하여, 제 1 튜너부(2A)에 튜닝 요구를 출력한다. 제 1 튜너부(2A)는 튜닝 요구를 수취하면, 지정된 물리 채널(주파수 대역)에 대한 동조 처리, 즉, 튜닝 처리를 행한다(스텝 S102). 상기 물리 채널의 디지털 방송 신호가 수신 가능한 상태로 되면, 제 1 튜너부(2A)는, 제 1 선국 제어부(6)에 대해서 튜닝 응답을 반환한다. 그리고, 제 1 튜너부(2A)가 디지털 방송 신호의 수신을 개시하면, 제 1 복조부(2B)는, 제 1 튜너부(2A)의 출력에 복조 처리나 오류 정정을 실시하여, 그 결과 획득된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제 1 멀티플렉스부(3)에 출력한다.
제 1 선국 제어부(6)는, 제 1 튜너부(2A)로부터 튜닝 응답을 수취하면,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PAT 수신 확인 처리(스텝 S103 내지 S108 : 제 1 수신 확인 처리)와 PMT 수신 확인 처리(스텝 S109 내지 S114 : 제 2 수신 확인 처리)와 영상?음성 재생 처리(스텝 S115 내지 S116)를 병행하여 실행한다.
우선, 제 1 선국 제어부(6)는, 선국 정보 테이블(7a)로부터 상기 서비스의 보관 선국 정보를 취득하고, 이 보관 선국 정보를 이용하여 제 1 멀티플렉스부(3)에 대해서, PAT 필터링 설정(스텝 S103), PMT 필터링 설정(스텝 S109) 및 영상?음성 필터링 설정(스텝 S115)을 병행하여 행한다. PAT 필터링 설정은, PAT의 PID에 적합한(PID의 값이 제로임) TS 패킷을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부터 추출하기 위한 설정이며, PMT 필터링 설정은, PMT 정보(도 2) 내의 PMT의 PID에 적합한 TS 패킷을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부터 추출하기 위한 설정이며, 영상?음성 필터링 설정은, PMT 정보(도 2) 내의 PCR의 PID, 영상 ES의 PID 및 음성 ES의 PID 중 어느 하나에 적합한 TS 패킷을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부터 추출하기 위한 설정이다.
계속해서, 제 1 선국 제어부(6)는 디코딩부(4)에 대해서 디코딩 개시 지시를 행하며, 제 1 멀티플렉스부(3)로부터의 PAT 정보의 통지(PAT 수신 통지)와 PMT 정보의 통지(PMT 수신 통지)를 대기한다.
스텝 S103, S109, S115의 설정이 완료하면, 제 1 멀티플렉스부(3)는, 제 1 복조부(2B)로부터 입력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에 대해서 각 TS 패킷의 PID 값을 체크하여,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부터, 상기 서비스의 영상과 음성의 부호화 스트림을 전송하는 TS 패킷(부호화 데이터 패킷)을 분리함과 아울러, 상기 PAT, 상기 PMT및 상기 PCR을 각각 전송하는 TS 패킷(제어 데이터 패킷)을 분리하는 선행 필터링 처리를 행한다. 제 1 멀티플렉스부(3)는, 또한, 분리한 TS 패킷으로부터 최신의 PAT 정보, PMT 정보 및 부호화 스트림을 추출하고, 최신의 PAT 정보와 PMT 정보를 제 1 선국 제어부(6)에 통지하며, 부호화 스트림과 PCR을 디코딩부(4)에 출력한다.
디코딩부(4)는, 디코딩 개시 지시를 수취하면, 제 1 멀티플렉스부(3)로부터 입력되는 부호화 스트림에 대한 복호 처리를 개시하고(스텝 S116),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방송 프로그램 데이터)를 생성하여 출력 제어부(5)에 출력한다. 출력 제어부(5)는, 뮤트 상태에 있기 때문에, 디코딩부(4)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외부의 디스플레이 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출력하지 않는다.
제 1 멀티플렉스부(3)로부터 PMT 수신 통지를 수취하였을 때, 제 1 선국 제어부(6)는, 수신한 최신의 PMT의 해석을 행하여, 최신의 PMT에 포함되는 버전 번호, PCR의 PID, 영상 ES의 PID 및 음성 ES의 PID를 취득한다(스텝 S110). 그리고, 제 1 선국 제어부(6)는, 취득한 최신의 PMT의 버전 번호가 선국 정보 테이블(7a)에 기록되어 있는 보관 선국 정보의 PMT의 버전 번호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11). 취득한 최신의 PMT의 버전 번호가 보관 선국 정보의 PMT의 버전 번호와 일치하는 것으로 판정한 경우(스텝 S111의 YES), 제 1 선국 제어부(6)는, PMT 정보의 내용이 변경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PMT 수신 확인 처리를 종료시킨다.
한편, 취득한 최신의 PMT의 버전 번호가 보관 선국 정보의 PMT의 버전 번호와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한 경우(스텝 S111의 NO), 제 1 선국 제어부(6)는, 또한, 최신의 PCR의 PID, 영상 ES의 PID 및 음성 ES의 PID가 보관 선국 정보의 PID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12). 이들 최신의 PID가 보관 선국 정보의 PID와 일치하는 것으로 판정한 경우(스텝 S112의 YES), 제 1 선국 제어부(6)는, 선국 정보 테이블(7a)에 기록된 상기 서비스의 PMT 정보를, 수신한 최신의 PMT 정보로 치환함으로써 보관 선국 정보(기록 PMT 정보)를 갱신한다(스텝 S114). 그 후, PMT 수신 확인 처리는 종료한다.
한편, 최신의 PID가 보관 선국 정보의 PID와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한 경우(스텝 S112의 NO), 제 1 선국 제어부(6)는, 최신의 PMT 정보가 보관 선국 정보와 정합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며, PMT 수신 확인 처리와 병행하여 실행되어 있던 복호 처리를 디코딩부(4)가 중단시키고, 영상?음성 재생 처리(스텝 S115 내지 S116)를 처음부터 다시 한다(스텝 S113). 이 때에는, 제 1 선국 제어부(6)는, 영상?음성 재생 처리가 이미 종료하고 있는 경우에도 처음으로 되돌아가 다시 처리가 행해진다. 즉, 제 1 선국 제어부(6)는, 최신의 PMT 정보를 이용하여 제 1 멀티플렉스부(3)에 대해서, 영상?음성 필터링 설정(스텝 S115)을 행한다. 이 영상?음성 필터링 설정이 완료한 후, 제 1 멀티플렉스부(3)는, 제 1 복조부(2B)로부터 입력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에 대해서 각 TS 패킷의 PID 값을 체크하며,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부터, 상기 서비스의 영상과 음성의 부호화 스트림을 전송하는 TS 패킷(부호화 데이터 패킷)을 분리함과 아울러 PCR을 전송하는 TS 패킷을 분리하는 재필터링 처리를 행한다. 제 1 멀티플렉스부(3)는, 또한, 재필터링 처리에 의해 분리된 TS 패킷으로부터 부호화 스트림과 PCR을 추출하고, 이들 부호화 스트림과 PCR을 디코딩부(4)에 출력한다. 디코딩부(4)는, 제 1 멀티플렉스부(3)로부터 입력되는 부호화 스트림에 대한 복호 처리를 개시하고(스텝 S116),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방송 프로그램 데이터)를 생성하여 출력 제어부(5)에 출력한다.
한편, 제 1 선국 제어부(6)는, 제 1 멀티플렉스부(3)에 상기의 영상?음성 필터링 설정(스텝 S115)을 행한 후, 최신의 PID가 보관 선국 정보의 PID와 일치하는 것으로 판정한 경우(스텝 S112의 YES)와 마찬가지로, 보관 선국 정보(기록 PMT 정보)를 갱신한다(스텝 S114). 그 후, PMT 수신 확인 처리는 종료한다.
그런데, PAT 수신 확인 처리에 있어서는, 제 1 멀티플렉스부(3)로부터 PAT 수신 통지를 수취하였을 때, 제 1 선국 제어부(6)는, 수신한 최신의 PAT의 해석을 행하여, 최신의 PAT 정보에 포함되는 버전 번호와 PMT의 PID를 취득한다(스텝 S104). 그리고, 제 1 선국 제어부(6)는, 취득한 PAT의 버전 번호가 선국 정보 테이블(7a)에 기록되어 있는 PAT의 버전 번호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05). 취득한 최신의 PAT의 버전 번호가 보관 선국 정보의 PAT의 버전 번호와 일치하는 것으로 판정한 경우(스텝 S105의 YES), 제 1 선국 제어부(6)는, PAT 정보의 내용이 변경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PAT 수신 확인 처리를 종료시킨다.
한편, 취득한 최신의 PAT의 버전 번호가 보관 선국 정보의 PAT의 버전 번호와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한 경우(스텝 S105의 NO), 제 1 선국 제어부(6)는, 또한, 최신의 PAT 정보에 포함되는 PMT의 PID가 보관 선국 정보의 PMT의 PID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06). 최신의 PID가 보관 선국 정보의 PMT의 PID와 일치하는 것으로 판정한 경우(스텝 S106의 YES), 제 1 선국 제어부(6)는, 선국 정보 테이블(7a)에 기록된 상기 서비스의 PAT 정보를, 수신한 최신의 PAT 정보로 변경함으로써 보관 선국 정보(기록 PAT 정보)를 갱신한다(스텝 S108). 그 후, PAT 수신 확인 처리는 종료한다.
한편, 최신의 PID가 보관 선국 정보의 PMT의 PID와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한 경우(스텝 S106의 NO), 제 1 선국 제어부(6)는, 최신의 PAT 정보가 보관 선국 정보와 정합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며, PMT 수신 확인 처리(제 3 수신 확인 처리)를 처음부터 다시 한다(스텝 S107). 즉, 제 1 선국 제어부(6)는, 최신의 PAT 정보를 이용하여 제 1 멀티플렉스부(3)에 대해서, PMT 필터링 설정(스텝 S109)을 행한다. 이 PMT 필터링 설정이 완료한 후, 제 1 멀티플렉스부(3)는, 제 1 복조부(2B)로부터 입력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에 대해서 각 TS 패킷의 PID 값을 체크하며,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부터 PMT 정보의 최신판을 포함하는 TS 패킷을 분리하는 재필터링 처리를 행한다. 그 후, 제 1 선국 제어부(6)는, 재필터링 처리에 의해 분리된 PMT의 최신판의 해석을 행하여, 이 PMT 정보에 포함되는 버전 번호, PCR의 PID, 영상 ES의 PID 및 음성 ES의 PID를 취득한다(스텝 S110). 그 후에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스텝 S111 내지 S114의 순서가 실행된다. 이 때, 최신의 PID가 보관 선국 정보의 PID와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한 경우에는(스텝 S112의 NO), 제 1 선국 제어부(6)는, PMT 정보가 변화된 것으로 판단하여, 영상?음성 재생 처리(스텝 S115 내지 S116)를 처음부터 다시 한다(스텝 S113).
한편, 제 1 선국 제어부(6)는, 제 1 멀티플렉스부(3)에 상기의 PMT 필터링 설정(스텝 S109)을 행한 후, 최신의 PID가 보관 선국 정보의 PMT의 PID와 일치하는 것으로 판정한 경우(스텝 S106의 YES)와 마찬가지로, 보관 선국 정보(기록 PAT 정보)를 갱신한다(스텝 S108). 그 후, PAT 수신 확인 처리는 종료한다.
상기의 PAT 수신 확인 처리, PMT 수신 확인 처리 및 영상?음성 재생 처리가 모두 종료하면, 제 1 선국 제어부(6)는, 출력 제어부(5)에 대해서 뮤트 상태의 해제 지시를 출력하고, 출력 제어부(5)의 뮤트 상태를 해제하여 뮤트 상태를 통상 상태로 전환한다(스텝 S117). 이에 의해, 선국된 서비스의 영상?음성이 사용자에 대해서 제시되게 된다. 이상으로 선국 처리 전체가 종료한다.
도 4(a), 도 4(b), 도 4(c)는, 도 3의 선국 처리의 소요 시간(선국 시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는, 종래의 선국 처리의 소요 시간을 나타내고, 도 4(b)는, PMT 수신 확인 처리의 재시도(스텝 S107)는 행해지지 않지만, 영상?음성 재생 처리의 재시도(스텝 S113)가 행하여진 경우의 선국 처리의 소요 시간을 나타내며, 도 4(c)는, PMT 수신 확인 처리의 재시도(스텝 S107)도, 영상?음성 재생 처리의 재시도(스텝 S113)도 행해지지 않는 경우의 선국 처리의 소요 시간을 나타낸다. 도 4 중, 선국 처리에 요하는 시간은, 주로, 튜닝 시간 T1, PAT 수신 시간 T2, PMT 수신 시간 T3 및 디코딩 시간 T4의 4개의 시간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튜닝 시간 T1은, 제 1 튜너부(2A)에 있어서의 튜닝 처리의 소요 시간이다. PAT 수신 시간 T2은, 트랜스포트 스트림에 대해서 필터링 처리가 개시되고 나서, PAT의 수신을 대기하며, PAT를 수신하고 해석하여 필요한 정보(버전 번호나 PMT의 PID 등의 PAT 정보)를 취득할 때까지 요하는 시간이며, PMT 수신 시간 T3은, 트랜스포트 스트림에 대해서 필터링 처리가 개시되고 나서, PMT의 수신을 대기하며, PMT를 수신하고 해석하여 필요한 정보(버전 번호나 PCR의 PID나 영상 ES의 PID 등의 PAT 정보)를 취득할 때까지 요하는 시간이다. 디코딩 시간 T4은, PMT 정보에 기초하여 분리된 영상이나 음성의 부호화 스트림의 디코딩부(4)로의 입력이 개시되고 나서, 디코딩 출력이 개시되기까지의 시간이며, 비디오 디코딩에 필요한 시퀀스 헤더의 수신 대기 시간이나 영상 동기를 위해 대기하는 시간이 그 대부분을 차지한다.
종래의 선국 처리에서는,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튜닝 처리, PAT 수신, PMT 수신 및 디코딩 처리가 점차적으로 실행되기 때문에, 단순히 이들 처리 시간을 합계한 만큼(= T1 + T2 + T3 + T4)의 선국 시간(t0?t5)을 요한다. 이에 대해서, 도 4(b), 도 4(c)의 경우에는, PAT 수신과 PMT 수신과 디코딩 처리가 병행하여 행해지고, 이들 처리 시간은, 시간 t1?t2에서 중복한다. 도 4(b)의 경우에는, 시각 t3에서 디코딩 처리의 재시도가 개시되기 때문에, 소요 시간은 t0?t4로 되고, 도 4(c)의 경우의 소요 시간은 t0?t3이다. 여기서, ARIB 규격에 의하면, 이하와 같이 규정된다.
a) PAT의 재송 주기 : 100msec,
b) PMT의 재송 주기: 100msec(부분 수신 계층의 서비스인 경우 200msec),
c) 시퀀스 헤더의 최대 송신 간격 : 500msec.
이 때문에, 평균적으로는, PAT 수신 시간 T2나 PMT 수신 시간 T3보다도, 디코딩 시간 T4 쪽이 긴 시간이라고 생각된다. 도 3의 선국 처리에 있어서 PAT 수신 확인 처리와 PMT 수신 확인 처리가 먼저 종료하고, 영상?음성 재생 처리가 종료한 직후에 영상?음성의 뮤트 상태가 해제되어 출력이 개시된 경우, 도 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국 처리 전체에서는 튜닝 시간 T1과 디코딩 시간 T4을 합계한 만큼의 처리 시간밖에 걸리지 않는다. 따라서, 종래의 선국 처리와 비교하여 단축할 수 있는 시간은, PAT 수신 시간 T2과 PMT 수신 시간 T3을 합계한 만큼(= T2 + T3)으로 되고, 상기 PAT와 PMT의 재송 주기로부터 평균 약 100msec, 최대 약 200msec로 된다.
PAT 정보의 내용이 변화하지 않고, PMT 정보의 내용만이 변화한 경우에는, PAT의 버전 번호가 변화하지 않고, PMT의 버전 번호가 변화한다. 이 경우, 영상?음성 재생 처리의 재시도(스텝 S113)에 의해, 영상?음성 필터링 설정(스텝 S115)을 실행하여 디코딩 처리를 다시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선국 처리 전체에서는 튜닝 시간 T1과 PMT 수신 시간 T3과 디코딩 시간 T4을 합계한 만큼(= T1 + T3 + T4)의 처리 시간이 필요하다. 따라서, 종래의 선국 처리와 비교하여 단축할 수 있는 시간은, PAT 수신 시간만큼(= T2)으로 되고, 상기 PAT의 재송 주기로부터, 평균 약 50msec, 최대 약 100msec로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실시 형태 1에서 단축 가능한 처리 시간은, PAT나 PMT의 재송 주기에 의존하지만, 이 재송 주기의 길이는 방송 규격에 따라서 상이하다. 예로서, 미국 등에서 사용된고 있는 ATSC 규격에서는, PAT의 재송 주기가 최대 100msec, PMT의 재송 주기가 최대 400msec로 규정되어 있다. 따라서, PAT 정보 및 PMT 정보가 기록 시부터 변화하지 않고 있는 경우, 종래의 선국 처리와 비교하여 단축할 수 있는 시간은, 평균 약 250msec, 최대 약 500msec로 되고, ARIB 규격인 경우보다도 선국 시간의 단축 효과가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 형태 1의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100)에서는, PAT 수신 확인 처리(스텝 S103 내지 S108), PMT 수신 확인 처리(스텝 S109 내지 S114) 및 영상?음성 재생 처리(스텝 S115 내지 S116)가 병행하여 실행된다. 보관 선국 정보의 PAT나 PMT의 내용이 상기 보관 선국 정보의 기록 시점으로부터 변화하지 않는 경우에는(스텝 S105의 YES나 스텝 S111의 YES 등), 도 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국 처리는 매우 고속으로 실행된다. 보관 선국 정보의 PMT의 내용만이 상기 보관 선국 정보의 기록 시점에서 변화된 경우에도(스텝 S111의 NO),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선국 처리 방법과 비교하여 고속으로 선국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경우에도, 도 3의 스텝 S112에 있어서 PID가 일치하고 있으면(스텝 S112의 YES), 영상?음성 재생 처리의 재시도는 행해지지 않기 때문에, 선국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 보관 선국 정보의 변화를 확인하는 때에는, PAT의 버전 번호와 PMT의 버전 번호가 이용된다(스텝 S105, S111). 이들 버전 번호는, PAT 정보나 PMT 정보가 갱신된 경우에는 반드시 증분되기 때문에, PID를 참조하여 그 변화를 확인하는 방법보다도 확실하게 보관 선국 정보의 변화의 유무를 판별할 수 있다. 따라서, 잘못된 영상 신호나 음성 신호의 출력이라고 하는 오동작이 생길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실시 형태 2)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실시 형태 2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100)에 있어서의 실시 형태 2의 선국 정보 스캔 처리의 순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선국 정보 스캔 처리는, 도 1의 제 2 선국 제어부(8), 제 2 방송 신호 수신부(9) 및 제 2 멀티플렉스부(11)를 이용하여 실행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 방송 신호 수신부(9) 및 제 2 멀티플렉스부(11)는, 서비스 내용을 시청하기 위한 제 1 방송 신호 수신부(1) 및 제 1 멀티플렉스부(3)로 이루어지는 제 1 방송 수신 계통과는 상이한 제 2 방송 수신 계통에 속한다. 본 실시 형태 2에서는, 이 제 2 방송 수신 계통을 이용하여, 각 물리 채널을 통하여 방송되는 서비스에 대해서 선국 정보를 수집하여 선국 정보 테이블(7a)에 축적하는 것에 의해 선국 정보 테이블(7a)이 갱신된다.
우선, 제 2 선국 제어부(8)는, 선국 정보 테이블(7a)의 축적 정보를 참조하여, 현재의 시청 대상인 물리 채널(주파수 대역)을 제외한 물리 채널(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방송되어 있는 서비스의 보관 선국 정보를 선국 정보 테이블(7a)로부터 추출하여 배경 감시 서비스 리스트를 작성한다(스텝 S201).
다음에, 제 2 선국 제어부(8)는, 현재 시각과, 배경 감시 서비스 리스트에 있어서의 각 서비스의 보관 선국 정보에 포함되는 최종 갱신 시각(도 2)을 취득하고, 또한, 미리 취득된 각 서비스의 프로그램표(프로그램 편성을 나타내는 정보)를 참조하며, 현재 시각과 최종 갱신 시각의 사이에서 프로그램이 변화되고 있는 서비스, 환언하면, 방송 프로그램이 어떤 프로그램으로부터 다른 프로그램으로 전환된 서비스를 검색한다(스텝 S202). 프로그램이 변화되고 있는 서비스의 예로서는, 현재 시각을 Tc, 상기 서비스의 보관 선국 정보의 최종 갱신 시각을 Tr, 상기 서비스에 있어서의 n개(n은 정정수)의 프로그램 P1, P2,…, Pn의 개시 시각을 각각 Tp1, Tp2,…, Tpn으로 했을 때, 이하의 식을 만족시키는 Tpi(i는 1 내지 n 중 어느 하나)가 존재하는 서비스를 들 수 있다.
Tr < Tpi < Tc
또한, ARIB 규격에 의한 방송의 경우, 프로그램표는, 상기 서비스에 포함되는 이벤트 정보 테이블(EIT : Event Information Table)을 수집함으로써 작성할 수 있다. 이벤트 정보 테이블(EIT)은, MPEG-2 시스템에서 정의되어 있는 프로그램 배열 정보(SI)의 일부로서, 프로그램명, 방송 일시 및 프로그램 내용 등의, 서비스에 관한 정보가 기술된 정보이다.
상기 검색 처리(스텝 S202)의 결과, 배경 감시 서비스 리스트에 프로그램이 변화되고 있는 서비스가 하나 이상 존재한 경우(스텝 S202A의 YES), 제 2 선국 제어부(8)는, 그들 서비스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며, 보관 선국 정보 중의 주파수 대역에 기초하여 제 2 튜너부(10A)에 튜닝 요구를 발하여 튜닝 처리를 실행시킨다(스텝 S202B). 프로그램이 변화되고 있는 서비스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방법으로서는, 예컨대, 보관 선국 정보의 기록 시간(최종 갱신 시각)이 오래된 서비스로부터 순차적으로 선택하는 방법이나, 현재 방송 중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개시 시각이 가장 오래된 서비스를 선택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배경 감시 서비스 리스트에 프로그램이 변화되고 있는 서비스가 하나도 존재하지 않는 경우(스텝 S202A의 NO)에는, 제 2 선국 제어부(8)는, 배경 감시 서비스 리스트중의 전체 서비스 중에서 가장 최종 갱신 시각이 오래된 서비스를 선택하고, 보관 선국 정보 중의 주파수 대역에 기초하여 제 2 튜너부(10A)에 튜닝 요구를 출력하여 튜닝 처리를 실행시킨다(스텝 S202C).
그 후, 제 2 튜너부(10A)로부터 튜닝 응답이 되돌아가면, 제 2 선국 제어부(8)는 보관 선국 정보에 기초하여, PAT 수신 확인 처리(스텝 S203 내지 S208)와 PMT 수신 확인 처리(스텝 S209 내지 S214)를 병행하여 실행한다.
우선, 제 2 선국 제어부(8)는, 배경 감시 서비스 리스트로부터 상기 서비스의 보관 선국 정보를 취득하며, 이 보관 선국 정보를 이용하여 제 2 멀티플렉스부(11)에 대해서, PAT 필터링 설정(스텝 S203) 및 PMT 필터링 설정(스텝 S209)을 병행하여 행한다. PAT 필터링 설정은, PAT의 PID에 적합한(PID의 값이 제로임) TS 패킷을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부터 추출하기 위한 설정이며, PMT 필터링 설정은, PMT 정보(도 2) 내의 PMT의 PID에 적합한 TS 패킷을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부터 추출하기 위한 설정이다. 계속해서, 제 2 선국 제어부(8)는, 제 2 멀티플렉스부(11)로부터의 PAT 정보의 통지(PAT 수신 통지)와 PMT 정보의 통지(PMT 수신 통지)를 대기한다.
스텝 S203, S209의 설정이 완료하면, 제 2 멀티플렉스부(11)는, 제 2 복조부(10B)로부터 입력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에 대해서 각 TS 패킷의 PID 값을 체크하며,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부터 상기 PAT 및 상기 PMT를 각각 전송하는 TS 패킷(제어 데이터 패킷)을 분리하는 선행 필터링 처리를 행한다. 제 2 멀티플렉스부(11)는, 또한, 분리한 TS 패킷으로부터 최신의 PAT 정보 및 PMT 정보를 추출하여, 최신의 PAT 정보와 PMT 정보를 제 2 선국 제어부(8)에 통지한다.
제 2 멀티플렉스부(11)로부터 PMT 수신 통지를 수취하였을 때, 제 2 선국 제어부(8)는, 수신한 최신의 PMT의 해석을 행하여, 최신의 PMT에 포함되는 버전 번호를 취득한다(스텝 S210). 그리고, 제 2 선국 제어부(8)는, 취득한 최신의 PMT의 버전 번호가 보관 선국 정보의 PMT의 버전 번호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211). 취득한 최신의 PMT의 버전 번호가 보관 선국 정보의 PMT의 버전 번호와 일치하는 것으로 판정한 경우(스텝 S211의 YES), 제 2 선국 제어부(8)는, PMT 정보의 내용이 변경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PMT 수신 확인 처리를 종료시킨다.
한편, 취득한 최신의 PMT의 버전 번호가 보관 선국 정보의 PMT의 버전 번호와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한 경우(스텝 S211의 NO), 제 2 선국 제어부(8)는, 선국 정보 테이블(7a)에 기록된 상기 서비스의 PMT 정보를, 수신한 최신의 PMT 정보로 변경함으로써 보관 선국 정보(기록 PMT 정보)를 갱신한다(스텝 S214). 이 때에, 제 2 멀티플렉스부(11)에 의한 필터링이 개시되고 나서 최초로 PMT가 수신할 수 있던 시각이 최종 갱신 시각으로서 선국 정보 테이블(7a)에 기록된다. 그 후, PMT 수신 확인 처리는 종료한다.
PAT 수신 확인 처리에 있어서는, 제 2 멀티플렉스부(11)로부터 PAT 수신 통지를 수취하였을 때, 제 2 선국 제어부(8)는, 수신한 최신의 PAT의 해석을 행하여, 최신의 PAT 정보에 포함되는 버전 번호와 PMT의 PID를 취득한다(스텝 S204). 그리고, 제 2 선국 제어부(8)는, 취득한 PAT의 버전 번호가 보관 선국 정보의 PAT의 버전 번호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205). 취득한 최신의 PAT의 버전 번호가 보관 선국 정보의 PAT의 버전 번호와 일치하는 것으로 판정한 경우(스텝 S205의 YES), 제 2 선국 제어부(8)는, PAT 정보의 내용이 변경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PAT 수신 확인 처리를 종료시킨다.
한편, 취득한 최신의 PAT의 버전 번호가 보관 선국 정보의 PAT의 버전 번호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스텝 S205의 NO), 제 2 선국 제어부(8)는, 또한, 최신의 PAT 정보에 포함되는 PMT의 PID가 보관 선국 정보의 PMT의 PID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206). 최신의 PID가 보관 선국 정보의 PMT의 PID와 일치하는 것으로 판정한 경우(스텝 S206의 YES), 제 2 선국 제어부(8)는, 선국 정보 테이블(7a)에 기록된 상기 서비스의 PAT 정보를, 수신한 최신의 PAT 정보로 대체함으로써 보관 선국 정보를 갱신한다(스텝 S208). 이 때에, 제 2 멀티플렉스부(11)에 의한 필터링이 개시되고 나서 최초에 PAT가 수신할 수 있던 시각이 최종 갱신 시각으로서 선국 정보 테이블(7a)에 기록된다. 그 후, PAT 수신 확인 처리는 종료한다.
한편, 최신의 PID가 보관 선국 정보의 PMT의 PID와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한 경우(스텝 S206의 NO), 제 2 선국 제어부(8)는, PAT 정보가 보관 선국 정보와 정합하지 않고, 변화된 것이라고 판단하여, PMT 수신 확인 처리(스텝 S209 내지 S214)를 처음부터 다시 한다(스텝 S207). 즉, 제 2 선국 제어부(8)는, 최신의 PAT 정보를 이용하여 제 2 멀티플렉스부(11)에 대해서, PMT 필터링 설정(스텝 S209)을 행한다. 이 PMT 필터링 설정이 완료한 후, 제 2 멀티플렉스부(11)는, 제 2 복조부(10B)로부터 입력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에 대해서 각 TS 패킷의 PID 값을 체크하며,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부터 PMT 정보의 최신판을 포함하는 TS 패킷을 분리하는 재필터링 처리를 행한다. 그 후, 제 2 선국 제어부(8)는, 제 2 멀티플렉스부(11)로부터 PMT 수신 통지를 수취하였을 때에, 재필터링 처리에 의해 분리된 PMT의 최신판의 해석을 행하여, 이 PMT 정보에 포함되는 버전 번호를 취득한다(스텝 S210). 그 후에는, 제 2 선국 제어부(8)는, 취득한 최신의 PMT의 버전 번호가 보관 선국 정보의 PMT의 버전 번호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211). 취득한 최신의 PMT의 버전 번호가 보관 선국 정보의 PMT의 버전 번호와 일치하는 것으로 판정한 경우(스텝 S211의 YES), 제 2 선국 제어부(8)는, PMT 정보의 내용이 변경되어 있지 않은 것이라고 판단하여, PMT 수신 확인 처리를 종료시킨다. 한편, 취득한 최신의 PMT의 버전 번호가 보관 선국 정보의 PMT의 버전 번호와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한 경우(스텝 S211의 NO), 제 2 선국 제어부(8)는, 선국 정보 테이블(7a)에 기록된 상기 서비스의 PMT 정보를, 수신한 최신의 PMT 정보로 대체함으로써 보관 선국 정보(기록 PMT 정보)를 갱신한다(스텝 S214). 그 후, PMT 수신 확인 처리는 종료한다.
한편, 제 2 선국 제어부(8)는, 제 2 멀티플렉스부(11)에 상기 PMT 필터링 설정(스텝 S209)을 행한 후, 최신의 PID가 보관 선국 정보의 PMT의 PID와 일치하는 것으로 판정한 경우(스텝 S206의 YES)와 마찬가지로, 보관 선국 정보(기록 PAT 정보)를 갱신한다(스텝 S208). 그 후, PAT 수신 확인 처리는 종료한다.
상기 PAT 수신 확인 처리 및 PMT 수신 확인 처리가 모두 종료하면, 제 2 선국 제어부(8)는, 배경 감시 서비스 리스트로부터 다음에 선국 정보를 스캔해야 할 서비스를 다시 선택하기 위해서 처리 순서를 스텝 S202로 되돌린다. 그리고, 제 2 선국 제어부(8)는, 주 제어부(12)로부터 정지 지령을 받을 때까지, 스텝 S202 내지 S214의 처리를 반복하여 각 서비스의 선국 정보를 계속 수집한다. 예컨대, 물리 채널을 변경하는 선국 지시가 있었던 경우, 주 제어부(12)는, 정지 지령을 제 2 선국 제어부(8)에 보낸다.
도 6은, 상기 선국 정보 스캔 처리에 의한 서비스의 스캔 순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있어서, 시간 t는 위로부터 아래로 경과하는 것으로 하여, 부호 SP11 내지 SP14, SP21 내지 SP23, SP31 내지 SP33의 각각은, 각 서비스의 1회분의 선국 정보 스캔 처리(스텝 S202 내지 S214)에 요하는 처리 시간을 나타낸다. TSn은, n회째의 스캔이 개시되는 시각(스캔 개시 시각)을, TRn은, n회째의 스캔에 있어서 기록되는 최종 갱신 시각(선국 정보 갱신 시각)을, TPm(m은 정정수)은, 각 서비스에 있어서의 프로그램 개시 시각을 각각 나타낸다. 여기서는, 배경 감시 서비스 리스트 중의 서비스 수를 3으로 가정하여, 각각을 서비스 Svs1, Svs2, Svs3이라고 부른다. 이하, 도 6을 이용하여 각 서비스의 스캔 순서에 대해서 설명한다.
현재 시각이 TS4이며, 4번째의 스캔이 개시된 것으로 한다. 이 때, 선국 정보 테이블(7a)에 기록된 각 서비스의 최종 갱신 시각은, 서비스 Svs1이 TR1, 서비스 Svs2가 TR2, 서비스 Svs3가 TR3으로 되어 있다. 이 때, 각 서비스에 대해서 TR1 < TPi < TS4, TR2 < TPi < TS4, TR3 < TPi < TS4를 만족시키는 TPi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배경 감시 서비스 리스트에는, 프로그램 변화 후의 서비스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된다(도 5의 스텝 S202A의 NO). 그래서, 최종 갱신 시각이 가장 오래된 서비스가 선택되지만(스텝 S202C), TR1 < TR2 < TR3이므로 4번째로 스캔해야 할 서비스로서 서비스 Svs1이 선택된다. 그 후, 처리 시간 SP12가 필요한 선국 정보 스캔 처리에 의해, 서비스 Svs1의 보관 선국 정보의 최종 갱신 시각은 TR4로 된다.
다음에, 현재 시각이 TS5이며, 5회째의 스캔이 개시된 것으로 한다. 이 때, 선국 정보 테이블(7a)에 기록된 각 서비스의 최종 갱신 시각은, 서비스 Svs1이 TR4, 서비스 Svs2가 TR2, 서비스 Svs3이 TR3로 되어 있다. 여기서, 서비스 Svs1에서는, 시각 TP1으로부터 새로운 프로그램이 개시되어, TR4 < TP1 < TS5를 만족시키기 때문에, 배경 감시 서비스 리스트에 있어서 서비스 Svs1이 프로그램 변화 후의 서비스라고 판정된다(도 5의 스텝 S202A의 YES). 프로그램 변화 후의 서비스는 서비스 Svs1뿐이기 때문에, 서비스 Svs1의 선국 정보가 스캔되어, 최종 갱신 시각이 처리 시간 SP13에 대응하는 TR5로 된다.
마찬가지로 하여, 6회째의 스캔에서는 프로그램 변화 후의 서비스가 없고, 서비스 Svs2의 최종 갱신 시각이 가장 오래된 것이므로 서비스 Svs2의 선국 정보가 스캔되어, 최종 갱신 시각이 TR6로 된다. 7회째의 스캔에서는 프로그램 변화 후의 서비스가 없고, 서비스 Svs3의 최종 갱신 시각이 가장 오래된 것이므로 서비스 Svs3의 선국 정보가 스캔되어, 최종 갱신 시각이 TR7로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4번째 이후의 서비스의 스캔은, 서비스 Svs1, 서비스 Svs1, 서비스 Svs2, 서비스 Svs3의 순서로 실행된다. 한편, 프로그램의 변화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 순서로 서비스를 변경하면서 스캔을 행한 경우를 생각하면, 4번째 이후의 서비스의 스캔은, 도 6 중의 처리 시간 SP12, SP22, SP32, SP14로 표시되는 바와 같이, 서비스 Svs1, 서비스 Svs2, 서비스 Svs3, 서비스 Svs1의 순서로 실행된다. 일정 순서로 스캔을 행하면 프로그램 변화 후에 해당 서비스의 선국 정보를 재취득할 때까지 2회 여분으로 스캔을 행하도록 이루어지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프로그램 변화의 직후의 스캔으로 선국 정보를 재취득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프로그램 변화 시에는 통상 시보다도 선국 정보가 변화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본 실시 형태의 선국 정보 스캔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잘못된 선국 정보를 유지하고 있는 기간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도 6의 예에서는 간단히 설명하기 위해서 배경 감시 서비스 리스트 중의 서비스 수를 3으로 가정했지만, 일반적으로는 하나의 방송 지역에서 보다 많은 서비스를 수신할 수 있다. 일정 순서로 스캔을 행하면 각 서비스에 대한 선국 정보 취득 주기는, (배경 감시 서비스 리스트의 서비스 수) ×(1 서비스 당의 선국 정보 스캔 처리 시간)으로 되기 때문에, 서비스 수가 많아질수록 일정 순서로 스캔을 행한 경우에는 잘못된 정보를 유지하고 있는 기간이 연장되어, 상대적으로 본 실시 형태의 효과는 보다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실시 형태 2에 의하면,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100)는, 시청을 위해 사용하지 않고 있는 방송 수신 계통을 이용하여 다른 서비스의 선국 정보를 수집하기 때문에, 보관 선국 정보와 수신한 최신의 선국 정보가 상이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어, 고속 선국이 성공할 확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국 정보 스캔 처리 시에는, 선국 처리 시와 마찬가지로 PAT 수신 확인 처리와 PMT 수신 확인 처리가 병행하여 실행되기 때문에, 각 서비스의 선국 정보의 취득에 요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선국 정보 스캔 처리 시에는, 각 서비스에 대해서 새로운 프로그램이 개시된 서비스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체크하여(스텝 S202A), 프로그램이 변화된 서비스에 관해서는 선국 정보가 변화된 확률이 높은 것으로 판단하여 우선적으로 스캔이 실행된다(스텝 S202B). 이에 의해, 단순히 각 서비스를 순차적으로 스캔하여 가는 것보다도 선국 정보를 적절한 타이밍으로 갱신할 수 있어, 선국 정보가 최종 갱신 시각으로부터 변화하고 있을 가능성을 더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 1, 2의 선국 처리 방법 및 선국 정보 스캔 처리는, ARIB 규격에 한하지 않고, MPEG-2 규격의 PSI를 사용하고 있는 방송 규격 전반에 적용할 수 있다. MPEG-2 규격의 PSI는, 유럽을 비롯하여 많은 나라에서 채용되고 있는 DVB 규격이나, 미국이나 캐나다 등에서 채용되고 있는 ATSC 규격, 중국에서 채용되고 있는 DTMB 규격 등 세계의 많은 나라의 방송 규격으로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해외에서 사용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에 대해서도 널리 본 발명에 따른 선국 처리 방법이나 선국 정보 스캔 처리를 적용할 수 있다.
100 :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1 : 제 1 방송 신호 수신부
2A : 제 1 튜너부
2B : 제 1 복조부
3 : 제 1 멀티플렉스부
4 : 디코딩부
5 : 출력 제어부
6 : 제 1 선국 제어부
7 : 기억 매체
7A : 선국 정보 테이블
8 : 제 2 선국 제어부
9 : 제 2 방송 신호 수신부
10A : 제 2 튜너부
10B : 제 2 복조부
11 : 제 2 멀티플렉스부
12 : 주 제어부
13 : 입력 장치

Claims (24)

  1.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복조하고, 1 또는 2 이상의 방송 프로그램을 전송하는 복수의 데이터 패킷이 다중화된 디지털 방송 스트림을 생성하는 신호 수신부와,
    기억 매체에 저장되어 있고, 1 또는 2 이상의 소정의 방송 프로그램의 각각에 관련되고 또한 서로 관련되는 복수의 선국 정보가 복수의 보관 선국 정보로서 기록되어 있는 선국 정보 테이블과,
    상기 보관 선국 정보에 기초하여, 선국된 방송 프로그램의 부호화 스트림과, 상기 부호화 스트림에 관련되고 또한 서로 관련되는 복수의 최신의 선국 정보를 상기 디지털 방송 스트림으로부터 분리하는 선행 필터링 처리를 실행하는 데이터 분리부와,
    상기 데이터 분리부에 의해 분리된 부호화 스트림에 복호 처리를 실시하여 방송 프로그램 데이터를 생성하는 디코딩부와,
    상기 최신의 선국 정보에 포함되는 제 1 선국 정보가 상기 보관 선국 정보와 정합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제 1 수신 확인 처리와, 상기 최신의 선국 정보 중 상기 제 1 선국 정보보다도 상기 부호화 스트림과 높은 관련성을 갖는 제 2 선국 정보가 상기 보관 선국 정보와 정합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제 2 수신 확인 처리를 병행하여 실행하는 선국 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선국 제어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수신 확인 처리를 상기 복호 처리와 병행하여 실행하고,
    상기 제 1 수신 확인 처리에서 상기 제 1 선국 정보가 상기 보관 선국 정보와 정합하는 것으로 판정되고, 또한, 상기 제 2 수신 확인 처리에서 상기 제 2 선국 정보가 상기 보관 선국 정보와 정합하는 것으로 판정되었을 때에는 상기 복호 처리를 속행시키고,
    상기 제 2 수신 확인 처리에서 상기 제 2 선국 정보가 상기 보관 선국 정보와 정합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되었을 때에는 상기 복호 처리를 중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분리부는, 상기 제 2 수신 확인 처리에서 상기 제 2 선국 정보가 상기 보관 선국 정보와 정합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되었을 때에는, 또한, 상기 제 2 선국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선국된 방송 프로그램의 부호화 스트림을 상기 디지털 방송 스트림으로부터 분리하는 제 1 재필터링 처리를 실행하며,
    상기 디코딩부는, 상기 제 1 재필터링 처리에 의해 분리된 부호화 스트림에 복호 처리를 실시하여 방송 프로그램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분리부는, 상기 제 1 수신 확인 처리에서 상기 제 1 선국 정보가 상기 보관 선국 정보와 정합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되었을 때, 상기 제 1 선국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선국 정보의 최신판을 상기 디지털 방송 스트림으로부터 분리하는 제 2 재필터링 처리를 실행하며,
    상기 선국 제어부는, 상기 제 2 재필터링 처리에 의해 분리된 상기 최신판의 제 2 선국 정보가 상기 보관 선국 정보와 정합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제 3 수신 확인 처리를 상기 복호 처리와 병행하여 실행하고, 상기 제 3 수신 확인 처리에서 상기 최신판의 제 2 선국 정보가 상기 보관 선국 정보와 정합하는 것으로 판정되었을 때에는 상기 복호 처리를 속행시키며, 상기 제 3 수신 확인 처리에서 상기 최신판의 제 2 선국 정보가 상기 보관 선국 정보와 정합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되었을 때에는 상기 복호 처리를 중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분리부는, 상기 제 3 수신 확인 처리에서 상기 최신판의 제 2 선국 정보가 상기 보관 선국 정보와 정합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되었을 때에는, 또한, 상기 최신판의 제 2 선국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선국된 방송 프로그램의 부호화 스트림을 상기 디지털 방송 스트림으로부터 분리하는 제 3 재필터링 처리를 실행하며,
    상기 디코딩부는, 상기 제 3 재필터링 처리에 의해 분리된 부호화 스트림에 복호 처리를 실시하여 방송 프로그램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선국 정보는,
    상기 제 1 선국 정보에 관련지어진 식별 정보와,
    상기 디지털 방송 스트림 중에서 상기 제 2 선국 정보를 전송하는 데이터 패킷을 식별하는 패킷 식별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수신 확인 처리는,
    상기 식별 정보가 상기 보관 선국 정보와 정합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제 1 판정 처리와,
    상기 식별 정보가 상기 보관 선국 정보와 정합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되었을 때에 상기 패킷 식별자가 상기 보관 선국 정보와 정합하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패킷 식별자가 상기 보관 선국 정보와 정합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되었을 때에 상기 제 1 선국 정보가 상기 보관 선국 정보와 정합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하는 제 2 판정 처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제 1 선국 정보의 내용의 갱신 상황을 나타내는 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 상황을 나타내는 값은, 상기 제 1 선국 정보의 내용이 갱신될 때마다 증분(increment)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8.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국 제어부는, 상기 제 1 판정 처리에서 상기 식별 정보가 상기 보관 선국 정보와 정합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되었을 때, 상기 제 1 선국 정보를 상기 선국 정보 테이블에 기록하여 상기 보관 선국 정보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선국 정보는,
    상기 제 2 선국 정보에 관련지어진 식별 정보와,
    상기 디지털 방송 스트림 중에서 상기 부호화 스트림에 관련되는 데이터 패킷을 식별하는 패킷 식별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수신 확인 처리는,
    상기 식별 정보가 상기 보관 선국 정보와 정합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제 1 판정 처리와,
    상기 식별 정보가 상기 보관 선국 정보와 정합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되었을 때에 상기 패킷 식별자가 상기 보관 선국 정보와 정합하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패킷 식별자가 상기 보관 선국 정보와 정합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되었을 때에 상기 제 2 선국 정보가 상기 보관 선국 정보와 정합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하는 제 2 판정 처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제 2 선국 정보의 내용의 갱신 상황을 나타내는 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 상황을 나타내는 값은, 상기 제 2 선국 정보의 내용이 갱신될 때마다 증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12. 제 9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국 제어부는, 상기 제 1 판정 처리에서 상기 식별 정보가 상기 보관 선국 정보와 정합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되었을 때, 상기 제 2 선국 정보를 상기 선국 정보 테이블에 기록하여 상기 보관 선국 정보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수신부의 방송 수신 계통과는 상이한 방송 수신 계통에 속하고,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복조해서 감시용 디지털 방송 스트림을 생성하는 감시용 신호 수신부와,
    상기 감시용 디지털 방송 스트림으로부터, 서로 관련되는 복수의 선국 정보를 분리하는 감시용 필터링 처리를 실행하는 감시용 데이터 분리부와,
    상기 감시용 필터링 처리에 의해 분리된 복수의 선국 정보를 취득하여, 상기 취득한 복수의 선국 정보를 상기 복수의 보관 선국 정보로서 상기 선국 정보 테이블에 기록하는 선국 정보 수집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용 신호 수신부에 의해 수신되는 디지털 방송 신호는, 현재 시청 대상의 주파수 대역 이외의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전송되는 디지털 방송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15.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선국 정보 수집부는, 프로그램 편성 정보가 기록된 프로그램표를 참조하여 프로그램의 변경이 있었는지 여부를 판정하여, 상기 프로그램의 변경이 있었다고 판정되었을 때에는, 상기 방송 프로그램에 대해서 우선적으로 상기 감시용 필터링 처리를 상기 감시용 데이터 분리부로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선국 정보 수집부는,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변경이 없다고 판정되었을 때에는, 상기 보관 선국 정보의 기록 시간이 오래된 방송 프로그램으로부터 순서대로 선택하고, 상기 선택한 방송 프로그램에 대해서 상기 감시용 필터링 처리를 상기 감시용 데이터 분리부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17.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방송 스트림은, MPEG-2 시스템에서 규정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 이고,
    상기 제 1 선국 정보는, MPEG-2 시스템에서 규정되는 PAT이며,
    상기 제 2 선국 정보는, MPEG-2 시스템에서 규정되는 PM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18.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복조하고, 1 또는 2 이상의 방송 프로그램을 전송하는 복수의 데이터 패킷이 다중화된 디지털 방송 스트림을 생성하며, 상기 디지털 방송 스트림으로부터 방송 프로그램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생성하는 선국 처리 방법으로서,
    (a) 1 또는 2 이상의 소정의 방송 프로그램의 각각에 관련되고 또한 서로 관련되는 복수의 선국 정보가 복수의 보관 선국 정보로서 기록되어 있는 선국 정보 테이블로부터, 선국된 방송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보관 선국 정보를 취득하는 스텝과,
    (b) 상기 선국 정보 테이블로부터 취득하는 보관 선국 정보에 기초하여, 선국된 방송 프로그램의 부호화 스트림과, 상기 부호화 스트림에 관련되고 또한 서로 관련되는 복수의 최신의 선국 정보를 상기 디지털 방송 스트림으로부터 분리하는 선행 필터링 처리를 실행하는 스텝과,
    (c) 상기 선행 필터링 처리에서 분리된 부호화 스트림에 복호 처리를 실시하여 상기 방송 프로그램 데이터를 생성하는 스텝과,
    (d) 상기 복호 처리와 병행하여, 상기 최신의 선국 정보에 포함되는 제 1 선국 정보가 상기 보관 선국 정보와 정합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제 1 수신 확인 처리를 실행하는 스텝과,
    (e) 상기 복호 처리 및 상기 제 1 수신 확인 처리와 병행하여, 상기 최신의 선국 정보 중 상기 제 1 선국 정보보다도 상기 부호화 스트림과 높은 관련성을 갖는 제 2 선국 정보가 상기 보관 선국 정보와 정합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제 2 수신 확인 처리를 실행하는 스텝과,
    (f) 상기 제 1 수신 확인 처리에서 상기 제 1 선국 정보가 상기 보관 선국 정보와 정합하는 것으로 판정되고, 또한, 상기 제 2 수신 확인 처리에서 상기 제 2 선국 정보가 상기 보관 선국 정보와 정합하는 것으로 판정되었을 때에는 상기 복호 처리를 속행시키며, 상기 제 2 수신 확인 처리에서 상기 제 2 선국 정보가 상기 보관 선국 정보와 정합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되었을 때에는 상기 복호 처리를 중단시키는 스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국 처리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g) 상기 제 2 수신 확인 처리에서 상기 제 2 선국 정보가 상기 보관 선국 정보와 정합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되었을 때에는, 또한, 상기 제 2 선국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선국된 방송 프로그램의 부호화 스트림을 상기 디지털 방송 스트림으로부터 분리하는 제 1 재필터링 처리를 실행하는 스텝과,
    (h) 상기 제 1 재필터링 처리에 의해 분리된 부호화 스트림에 복호 처리를 실시하여 방송 프로그램 데이터를 생성하는 스텝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국 처리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i) 상기 제 1 수신 확인 처리에서 상기 제 1 선국 정보가 상기 보관 선국 정보와 정합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되었을 때, 상기 제 1 선국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선국 정보의 최신판을 상기 디지털 방송 스트림으로부터 분리하는 제 2 재필터링 처리를 실행하는 스텝과,
    (j) 상기 제 2 재필터링 처리에 의해 분리된 상기 최신판의 제 2 선국 정보가 상기 보관 선국 정보와 정합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제 3 수신 확인 처리를 상기 복호 처리와 병행하여 실행하는 스텝과,
    (k) 상기 제 3 수신 확인 처리에서 상기 최신판의 제 2 선국 정보가 상기 보관 선국 정보와 정합하는 것으로 판정되었을 때에는 상기 복호 처리를 속행시키고, 상기 제 3 수신 확인 처리에서 상기 최신판의 제 2 선국 정보가 상기 보관 선국 정보와 정합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되었을 때에는 상기 복호 처리를 중단시키는 스텝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국 처리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m) 상기 제 3 수신 확인 처리에서 상기 최신판의 제 2 선국 정보가 상기 보관 선국 정보와 정합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되었을 때에는, 또한, 상기 최신판의 제 2 선국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선국된 방송 프로그램의 부호화 스트림을 상기 디지털 방송 스트림으로부터 분리하는 제 3 재필터링 처리를 실행하며,
    (n) 상기 제 3 재필터링 처리에 의해 분리된 부호화 스트림에 복호 처리를 실시하여 방송 프로그램 데이터를 생성하는 스텝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국 처리 방법.
  22. 제 18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o) 상기 선국된 방송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여 복조하는 방송 수신 계통과는 상이한 방송 수신 계통을 이용하여 생성된 감시용 디지털 방송 스트림을 취득하는 스텝과,
    (p) 상기 감시용 디지털 방송 스트림으로부터, 서로 관련되는 복수의 선국 정보를 분리하는 감시용 필터링 처리를 실행하는 스텝과,
    (q) 상기 감시용 필터링 처리에 의해 분리된 복수의 선국 정보를 상기 복수의 보관 선국 정보로서 상기 선국 정보 테이블에 기록하는 스텝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국 처리 방법.
  23.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복조하고, 1 또는 2 이상의 방송 프로그램을 전송하는 복수의 데이터 패킷이 다중화된 디지털 방송 스트림을 생성하며, 상기 디지털 방송 스트림으로부터 방송 프로그램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생성하는 선국 처리를 프로세서로 실행시키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메모리로부터 판독되어 실행되는 것이며,
    상기 선국 처리는,
    (a) 1 또는 2 이상의 소정의 방송 프로그램의 각각에 관련되고 또한 서로 관련되는 복수의 선국 정보가 복수의 보관 선국 정보로서 기록되어 있는 선국 정보 테이블로부터, 선국된 방송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보관 선국 정보를 취득하는 처리와,
    (b) 상기 선국 정보 테이블로부터 취득한 보관 선국 정보에 기초하여, 선국된 방송 프로그램의 부호화 스트림과, 상기 부호화 스트림에 관련되고 또한 서로 관련되는 복수의 최신의 선국 정보를 상기 디지털 방송 스트림으로부터 분리하는 선행 필터링 처리와,
    (c) 상기 선행 필터링 처리에서 분리된 부호화 스트림에 복호 처리를 실시하여 상기 방송 프로그램 데이터를 생성하는 복호 처리와,
    (d) 상기 복호 처리와 병행하여, 상기 최신의 선국 정보에 포함되는 제 1 선국 정보가 상기 보관 선국 정보와 정합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제 1 수신 확인 처리와,
    (e) 상기 복호 처리 및 상기 제 1 수신 확인 처리와 병행하여, 상기 최신의 선국 정보 중 상기 제 1 선국 정보보다도 상기 부호화 스트림과 높은 관련성을 갖는 제 2 선국 정보가 상기 보관 선국 정보와 정합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제 2 수신 확인 처리와,
    (f) 상기 제 1 수신 확인 처리에서 상기 제 1 선국 정보가 상기 보관 선국 정보와 정합하는 것으로 판정되고, 또한, 상기 제 2 수신 확인 처리에서 상기 제 2 선국 정보가 상기 보관 선국 정보와 정합하는 것으로 판정되었을 때에는 상기 복호 처리를 속행시키며, 상기 제 2 수신 확인 처리에서 상기 제 2 선국 정보가 상기 보관 선국 정보와 정합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되었을 때에는 상기 복호 처리를 중단시키는 처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선국 처리는,
    (g) 상기 선국된 방송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여 복조하는 방송 수신 계통과는 상이한 방송 수신 계통을 이용하여 생성된 감시용 디지털 방송 스트림을 취득하는 처리와,
    (h) 상기 감시용 디지털 방송 스트림으로부터, 서로 관련되는 복수의 선국 정보를 분리하는 감시용 필터링 처리와,
    (i) 상기 감시용 필터링 처리에 의해 분리된 상기 복수의 선국 정보를 상기 복수의 보관 선국 정보로서 상기 선국 정보 테이블에 기록하는 처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27017663A 2009-12-09 2010-10-27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디지털 방송 수신 방법 및 기록 매체 KR1013216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279316 2009-12-09
JP2009279316A JP5025716B2 (ja) 2009-12-09 2009-12-09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デジタル放送受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PCT/JP2010/006340 WO2011070707A1 (ja) 2009-12-09 2010-10-27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デジタル放送受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6564A true KR20120096564A (ko) 2012-08-30
KR101321674B1 KR101321674B1 (ko) 2013-10-23

Family

ID=44145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7663A KR101321674B1 (ko) 2009-12-09 2010-10-27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디지털 방송 수신 방법 및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971404B2 (ko)
EP (1) EP2512129B1 (ko)
JP (1) JP5025716B2 (ko)
KR (1) KR101321674B1 (ko)
CN (1) CN102656881B (ko)
WO (1) WO20110707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60412B2 (en) 2011-08-23 2014-02-25 Echostar Technologies L.L.C.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ally adjusting recording parameters
US8627349B2 (en) 2011-08-23 2014-01-07 Echostar Technologies L.L.C. User interface
US9185331B2 (en) 2011-08-23 2015-11-10 Echostar Technologies L.L.C. Storing multiple instances of content
US9621946B2 (en) 2011-08-23 2017-04-11 Echostar Technologies L.L.C. Frequency content sort
US9357159B2 (en) 2011-08-23 2016-05-31 Echostar Technologies L.L.C. Grouping and presenting content
US8437622B2 (en) 2011-08-23 2013-05-07 Echostar Technologies L.L.C. Altering presentation of received content based on use of closed captioning elements as reference locations
US8447170B2 (en) 2011-08-23 2013-05-21 Echostar Technologies L.L.C. Automatically recording supplemental content
JP2013135415A (ja) * 2011-12-27 2013-07-08 Mitsubishi Electric Corp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US9489981B2 (en) 2012-03-15 2016-11-08 Echostar Technologies L.L.C. Successive initialization of television channel recording
US8819722B2 (en) 2012-03-15 2014-08-26 Echostar Technologies L.L.C. Smartcard encryption cycling
US9432744B2 (en) 2012-07-31 2016-08-30 Sony Corporation Receiving device, receiving method, transmitting device, and transmitting method
US8793724B2 (en) 2012-11-08 2014-07-29 Eldon Technology Limited Image domain compliance
KR20140115863A (ko) * 2013-03-22 2014-10-01 삼성전자주식회사 셋톱박스, 디스플레이장치와 그 제어방법
CN105122658B (zh) * 2013-04-10 2017-02-22 三菱电机株式会社 数字广播接收装置及其信息更新方法
KR20140132507A (ko) * 2013-05-08 2014-11-18 (주)휴맥스 선취득한 psi를 사용하는 채널 변경 방법 및 장치
CA2921750C (en) * 2013-08-22 2021-11-30 Thomson Licensing Low adjacent channel interference mode for a digital television system
WO2015035618A1 (zh) * 2013-09-13 2015-03-19 华为技术有限公司 传输数据的方法和装置
US9628838B2 (en) 2013-10-01 2017-04-18 Echostar Technologies L.L.C. Satellite-based content targeting
DE112014004742B4 (de) * 2013-10-15 2021-09-02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Digitale Rundfunkempfangsvorrichtung und Kanalauswahlverfahren
CN103901257B (zh) * 2014-03-04 2016-08-17 国家电网公司 模块化多电平换流器桥臂电流方向测量装置及判断方法
EP3018623A1 (en) * 2014-11-06 2016-05-11 Nagravision S.A. A system for providing authenticated recommendations on goods or services
WO2016101981A1 (en) * 2014-12-22 2016-06-30 Arcelik Anonim Sirketi System for simultaneous scanning of separate access contents in an image display device
US9756378B2 (en) 2015-01-07 2017-09-05 Echostar Technologies L.L.C. Single file PVR per service ID
CN105245803A (zh) * 2015-09-30 2016-01-13 广西大学 一种广播调谐器
AU2016416416B2 (en) * 2016-07-28 2021-09-23 Razer (Asia-Pacific) Pte. Ltd. Receiver devices, transmitter devices, methods for controlling a receiver device, methods for controlling a transmitter device, and computer-readable media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0764A (ja) * 1995-11-01 1997-05-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ィジタル放送における番組切替方法及び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
US5864358A (en) * 1995-06-26 1999-01-2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ethod for switching programs in digital broadcasting and digital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JP3404611B2 (ja) * 1995-06-26 2003-05-1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ディジタル衛星放送における番組切替方法およびディジタル衛星放送受信装置
US6157673A (en) * 1996-12-26 2000-12-05 Philips Electronics North America Corp. Fast extraction of program specific information from multiple transport streams
JP4078717B2 (ja) * 1998-01-21 2008-04-23 ソニー株式会社 プログラムの選局方法、及び、受信装置
JP2000013696A (ja) 1998-06-19 2000-01-14 Sony Corp デジタル放送受信機およびその選局方法、並びにデータ伝送方法
JP3549442B2 (ja) * 1999-06-28 2004-08-04 シャープ株式会社 デジタル放送受信機
KR100311479B1 (ko) 1999-10-06 2001-10-18 구자홍 디지털 티브이의 채널제어 장치 및 방법
JP3549461B2 (ja) 2000-05-31 2004-08-04 シャープ株式会社 ディジタル放送受信機の選局方法
US6804824B1 (en) * 2000-06-30 2004-10-12 Microsoft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using multiple tuners
JP4576758B2 (ja) * 2001-06-21 2010-11-10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処理装置
JP4099051B2 (ja) * 2001-12-19 2008-06-1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WO2004045207A1 (ja) * 2002-11-12 2006-03-1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記録再生装置および方法
KR100617852B1 (ko) * 2004-01-26 2006-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엠펙-2 디코딩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JP2005260401A (ja) 2004-03-10 2005-09-22 Mitsubishi Electric Corp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KR100770923B1 (ko) * 2005-12-05 2007-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빠른 채널 전환을 위한 디지털 방송 송수신 장치
JP5082323B2 (ja) * 2006-07-31 2012-11-28 ソニー株式会社 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
JP4970968B2 (ja) 2007-01-29 2012-07-11 Nec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株式会社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デジタル放送受信方法およびデジタル放送受信プログラム
JP2009016933A (ja) * 2007-06-29 2009-01-22 Toshiba Corp 放送受信装置及び放送受信方法
JP4040078B2 (ja) * 2007-07-09 2008-01-30 三菱電機株式会社 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
WO2010062091A2 (en) * 2008-11-25 2010-06-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validating service information (si) and program specific information (psi) in broadcast technologies
JP5515389B2 (ja) * 2009-04-22 2014-06-11 ソニー株式会社 オーディオ処理装置及びオーディオ処理方法
JP5274657B2 (ja) * 2009-05-14 2013-08-28 三菱電機株式会社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JP5589383B2 (ja) * 2009-12-28 2014-09-17 ソニー株式会社 機器制御装置、機器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70707A1 (ja) 2011-06-16
EP2512129A1 (en) 2012-10-17
EP2512129A4 (en) 2018-01-24
CN102656881B (zh) 2015-04-08
CN102656881A (zh) 2012-09-05
US8971404B2 (en) 2015-03-03
EP2512129B1 (en) 2019-04-03
US20120236933A1 (en) 2012-09-20
JP5025716B2 (ja) 2012-09-12
JP2011124690A (ja) 2011-06-23
KR101321674B1 (ko) 2013-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1674B1 (ko)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디지털 방송 수신 방법 및 기록 매체
US7512318B2 (en) Apparatus and method which enables fully recording a fragmented program even with an operation after initial few airings
WO2006131754A2 (en) Data carousel delivery
JP2011124690A5 (ko)
JP2003087675A (ja) 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
US20050125825A1 (en) Broadcast system, recording device, recording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KR100975172B1 (ko) 신호 처리 장치 및 신호 처리 방법
JP2004364216A (ja) デジタル/アナログ放送受像機
JP2007006405A (ja) ディジタル放送受信機
US20150071608A1 (en) Receiving device, transmitting device and transmitting/receiving system
JP4324188B2 (ja) 情報受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20150101001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nel changing
JP4487514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CN102308574A (zh) 显示设备及用于提供显示设备的数据广播的方法
KR101473338B1 (ko) 녹화된 ts파일의 epg 인지 방법 및 장치
JP4970968B2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デジタル放送受信方法およびデジタル放送受信プログラム
JPWO2006057386A1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JPWO2007105697A1 (ja) デジタル画像データ処理装置及び処理方法
JP3885690B2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JP4263510B2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JP4006829B2 (ja) 情報送信装置および方法、情報受信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放送システム
JP4100679B2 (ja) 放送サーチ装置
JP4386065B2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及びデジタル放送受信方法
KR101567601B1 (ko) 영상표시장치 및 상기 영상표시장치의 예약녹화 방법
JP4747124B2 (ja) 録画装置及び録画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