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5863A - 셋톱박스, 디스플레이장치와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셋톱박스, 디스플레이장치와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5863A
KR20140115863A KR1020130031117A KR20130031117A KR20140115863A KR 20140115863 A KR20140115863 A KR 20140115863A KR 1020130031117 A KR1020130031117 A KR 1020130031117A KR 20130031117 A KR20130031117 A KR 20130031117A KR 20140115863 A KR20140115863 A KR 201401158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signal
display device
additional information
receiving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1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문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311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15863A/ko
Priority to EP13183776.7A priority patent/EP2782351B1/en
Publication of KR201401158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58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3Processing of entitlement messages, e.g. ECM [Entitlement Control Message] or EMM [Entitlement Management Mess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2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additional display device, e.g. video proj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27Monitoring of local network, e.g. connection or bandwidth variations; Detecting new devices in the local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7Rights management associated to the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5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e.g. extracting service information from an MPEG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decrypting of additional data, reconstructing software from modules extracted from the transport str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셋톱박스, 디스플레이장치와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영상신호의 컨텐츠 이용 권한을 판단하는 셋톱박스의 제어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장치가 상기 영상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지 여부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로 상기 영상신호의 부가정보 처리를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상기 영상신호의 부가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영상신호의 부가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신호의 컨텐츠 사용 권한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로써, 채널 전환 속도가 향상된 셋톱박스, 디스플레이장치와 그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셋톱박스, 디스플레이장치와 그 제어방법 {SETTOP BOX,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셋톱박스, 디스플레이장치와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채널 전환 속도가 향상된 셋톱박스, 디스플레이장치와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다채널 방송의 발달과 함께, 제한 수신시스템(Conditional Access System, CAS)이 이용되고 있다.
제한 수신시스템(CAS)은 방송 컨텐츠의 보호를 위해 암호화된 컨텐츠를 수신료를 지불한 가입자만 복호하여 시청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시스템이다.
이러한 제한 수신시스템(CAS)은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도 1은 제한 수신시스템(CAS)의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한 수신시스템(CAS)은 개략적으로 메인 업무 블록(1)과, 제한 수신시스템(CAS) 라이브러리(2), 스마트카드 또는 내장 스마트카드 라이브러리(3), 필터(4), 그리고 디스크램블러(5)로 이루어진다.
한편, Transport Stream (TS)의 형태로 수신되는 암호화된 디지털 방송 신호는 암호화된 컨텐츠 외에 program association table (PAT), program map table (PMT), conditional access table (CAT)와 같은 부가 정보를 더 포함하고 있다.
우선, 필터(4)가 이러한 TS 신호로부터 PAT, PMT, CAT와 같은 부가 정보를 추출한다 (①). 메인 업무 블록(1)은 이렇게 추출된 부가 정보를 다시 파싱하여 각각의 테이블로부터 패킷 아이디(Packet identification, ID)를 알아낸 후, 제한 수신시스템(CAS) 라이브러리(2)와 스마트카드 또는 내장 스마트카드 라이브러리(3)에 각각 보내어 각 라이브러리(2, 3)의 데이터와 비교하여, 사용자가 시청 권한이 있는 지 확인하고 와 암호화된 컨텐츠를 복호화할 수 있는 제어단어(control word, CW)를 얻는다 (②, ③). 메인 업무 블록(1)은 이렇게 얻은 제어단어(CW)를 셋톱박스에 마련된 디스크램블러(5)에 전송한다 (④).
그러면, 셋톱박스의 디스크램블러(5)는 수신한 제어단어(CW)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컨텐츠를 복호화하여, 권한을 가진 사용자, 즉, 가입자가 방송을 시청할 수 있게 한다.
한편, 디지털 방송을 시청하던 사용자가 채널을 전환하면, 제한 수신시스템(CAS)은 앞에 설명한 바와 같은 동작을 모두 수행해야 하므로, 소정의 시간이 걸린다.
채널 전환의 속도를 높이기 위하여, 종래에는 다양한 방법이 제안되었다.
예를 들어, 외부 장치를 별도로 마련하여 TS 신호로부터 PAT, PMT, CAT와 같은 부가 정보를 추출하여 미리 저장하게 하고, 이를 셋톱박스에 제공하는 방법이 있다.
이와 달리, 복수의 튜너가 마련된 셋톱박스의 경우에는, 하나의 튜너가 암호화된(scrambled) 채널에 할당되어 있는 동안, 나머지 사용하지 않는 튜너를 이용하여 다른 주파수 대역의 채널에 대해 상기 ①, ②, ③의 동작을 미리 수행하도록 하는 방법이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다른 주파수 채널로 전환할 때, 셋톱박스는 상기 ①, ②, ③을 수행하지 않고 디스크램블러(5)가 해당 주파수 채널의 암호화된 컨텐츠를 복호화할 수 있다.
그러나, 외부 장치를 별도로 마련하는 경우는 추가 비용을 필요로하고, 셋톱박스에 마련된 복수의 튜너를 이용하는 경우는 튜너의 개수가 한정적일 뿐만 아니라 하나의 튜너만 지원하는 셋톱박스에는 적용이 불가능하다.
본 발명은 채널 전환 속도가 향상된 셋톱박스, 디스플레이장치와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영상신호의 컨텐츠 이용 권한을 판단하는 셋톱박스의 제어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장치가 상기 영상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지 여부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로 상기 영상신호의 부가정보 처리를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상기 영상신호의 부가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영상신호의 부가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신호의 컨텐츠 사용 권한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셋톱박스의 제어방법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전송된 상기 영상신호의 부가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신호의 부가정보는 program association table (PAT), program map table (PMT), 및 conditional access table (CAT)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셋톱박스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장치와 동일한 주파수대역을 사용하는 네트워크 내에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는 상기 영상신호의 수신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영상신호의 수신이 불가능함을 셋톱박스에 알리고, 상기 셋톱박스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 상기 영상신호의 부가정보 처리 요청을 중단하고 상기 네트워크에 있는 다른 디스플레이장치에 상기 영상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영상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로 상기 영상신호의 부가정보 처리를 요청하는 단계는 방송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서비스에 대한 정보는 주파수이고,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는 상기 영상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튜너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서비스에 대한 정보는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주소이고,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는 상기 영상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IP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영상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영상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지 여부에 관한 정보를 셋톱박스로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셋톱박스로부터 상기 영상신호의 부가정보 처리를 요청 받는 단계와; 상기 영상신호의 부가정보를 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처리한 부가정보를 상기 셋톱박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영상신호의 부가정보는 program association table (PAT), program map table (PMT), 및 conditional access table (CAT)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셋톱박스로부터 상기 영상신호의 부가정보 처리를 요청 받는 단계는 방송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상기 셋톱박스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서비스에 대한 정보는 주파수이고,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는 상기 영상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튜너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서비스에 대한 정보는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주소이고,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는 상기 영상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IP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영상신호의 컨텐츠 이용 권한을 판단하는 셋톱박스는 상기 영상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수신부와;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상기 영상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지 여부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도록 하고,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 상기 영상신호의 부가정보 처리를 요청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영상신호의 부가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신호의 컨텐츠 사용 권한을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전송된 상기 영상신호의 부가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신호의 부가정보는 program association table (PAT), program map table (PMT), 및 conditional access table (CAT)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디스플레이장치는 셋톱박스와 통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셋톱박스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부와; 상기 처리된 영상신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영상신호의 부가정보를 처리하는 수신부와; 상기 영상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지 여부에 관한 정보를 상기 셋톱박스로 송신하고, 상기 셋톱박스로부터 상기 영상신호의 부가정보 처리를 요청 받아, 상기 영상신호의 부가정보를 처리하고, 상기 처리한 부가정보를 상기 셋톱박스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영상신호의 부가정보는 program association table (PAT), program map table (PMT), 및 conditional access table (CAT)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셋톱박스로부터 상기 영상신호의 부가정보 처리를 요청 받을 때, 방송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상기 셋톱박스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장치와, 영상신호의 컨텐츠 이용 권한을 판단하는 셋톱박스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상기 셋톱박스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상기 영상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지 여부에 관한 정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셋톱박스가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 상기 영상신호의 부가정보 처리를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요청을 수신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상기 영상신호의 부가정보를 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상기 영상신호의 부가정보를 상기 셋톱박스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셋톱박스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전송된 영상신호의 부가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신호의 컨텐츠 사용 권한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채널 전환 속도가 향상된 셋톱박스, 디스플레이장치와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제한 수신시스템(CAS)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셋톱박스와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셋톱박스와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장치의 수신부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의 디스플레이장치의 수신부가 튜너인 경우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3의 디스플레이장치의 수신부가 IP 입력부인 경우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셋톱박스와 디스플레이장치의 내부구성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셋톱박스와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셋톱박스와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셋톱박스(100)는 방송 컨텐츠의 보호를 위해 암호화된 컨텐츠를 수신료를 지불한 가입자만 복호하여 시청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한 수신시스템(CAS)을 지원하고,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장치(200)와 연결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셋톱박스(100)와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장치(200)는 동일한 방송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TS 네트워크 내에 마련된다. 예를 들어, 셋톱박스(100)와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장치(200)는 동일 방송권 지역 내에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장치(200)는 텔레비전을 포함할 수 있으나, 셋톱박스(100)와 연결 가능하며 영상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수신부를 가진 장치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여기서, 영상신호는 Transport Stream (TS)의 형태로 수신되는 암호화된 디지털 방송 신호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셋톱박스(100)와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장치(200)의 수신부(150, 250)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셋톱박스(100)와 디스플레이장치(200)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수신부(150, 250)를 포함한다.
수신부(150, 250)는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것으로, 디스플레이장치(200)에 마련된 수신부(250)는 튜너(251)이거나 인터넷 프로토콜(IP) 입력부(252) 일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디스플레이장치의 수신부가 튜너인 경우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디스플레이장치(200)가 수신부(250)로서 튜너(251)를 포함하는 경우, 셋톱박스(100)는 디스플레이장치(200)의 튜너(251)에게 영상신호의 부가정보를 처리하도록 요청하기 위해, 소정의 방송 서비스, 즉, 소정 채널에 대한 정보로서 주파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신호의 부가정보는 영상신호의 컨텐츠 이용 권한을 판단하기 위한 program association table (PAT), program map table (PMT), 및 conditional access table (CAT)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도 3의 디스플레이장치의 수신부가 IP 입력부인 경우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디스플레이장치(200)가 수신부(250)로서 IP 입력부(252)를 포함하는 경우, 셋톱박스(100)는 디스플레이장치(200)의 IP 입력부(252)에게 영상신호의 부가정보를 처리하도록 요청하기 위해, 소정의 방송 서비스, 즉, 소정 채널에 대한 정보로서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주소를 전송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셋톱박스와 디스플레이장치의 내부구성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영상신호의 컨텐츠 이용 권한을 판단하는 셋톱박스(100)는 영상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수신부(150)와;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장치(200)와 통신하는 통신부(130)와;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장치(200)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지 여부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도록 하고, 정보에 기초하여 영상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200)로 영상신호의 부가정보 처리를 요청하도록 통신부(130)를 제어하고, 디스플레이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영상신호의 부가정보에 기초하여 영상신호의 컨텐츠 사용 권한을 판단하는 제어부(170)를 포함한다.
추가로, 셋톱박스(100)는 디스플레이장치(200)로부터 전송된 영상신호의 부가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부가정보는 저장부(190)에 데이터베이스로 저장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200)는 셋톱박스(100)와 통신하는 통신부(230)와; 셋톱박스(10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부(210)와; 처리된 영상신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290)와; 영상신호의 부가정보를 처리하는 수신부(250)와; 영상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지 여부에 관한 정보를 셋톱박스(100)로 송신하고, 셋톱박스(100)로부터 영상신호의 부가정보 처리를 요청 받아, 영상신호의 부가정보를 처리하고, 처리한 부가정보를 셋톱박스(10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230)를 제어하는 제어부(270)를 포함한다.
수신부(150, 250)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것으로, 튜너(251), 인터넷 프로토콜(IP) 입력부(252),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영상신호는 Transport Stream (TS)의 형태로 수신되는 암호화된 디지털 방송 신호일 수 있고, 이러한 방송 신호는 암호화된 컨텐츠 외에 program association table (PAT), program map table (PMT), conditional access table (CAT)와 같은 부가 정보를 더 포함하고 있다.
수신부(150, 250)는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제한 수신시스템(CAS)에서 필터(4)를 이용하여 영상 신호로부터 PAT, PMT, CAT와 같은 부가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부가 정보를 다시 파싱하여 각각의 테이블로부터 패킷 아이디(Packet identification, ID)를 알아낸 후, 제한 수신시스템(CAS) 라이브러리(2)와 스마트카드 또는 내장 스마트카드 라이브러리(3)에 각각 보내어 각 라이브러리의 데이터와 비교하여, 사용자가 시청 권한이 있는 지 확인하고 암호화된 컨텐츠를 복호화할 수 있는 제어단어(control word, CW)를 얻을 수 있다.
통신부(130, 230)는 셋톱박스(100)와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장치(200)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셋톱박스(100)의 제어부(170)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장치(200)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지 여부에 관한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하도록 하고,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영상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200)로 영상신호의 부가정보 처리를 요청하도록 통신부(130)를 제어하고, 디스플레이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영상신호의 부가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신호의 컨텐츠 사용 권한을 판단한다.
디스플레이장치(200)의 제어부(270)는 영상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지 여부에 관한 정보를 셋톱박스(100)가 요청하면 셋톱박스(100)로 송신하고, 수신부(250)이 영상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면 셋톱박스(100)로부터 영상신호의 부가정보 처리를 요청 받아, 영상신호의 부가정보를 처리하고, 처리한 부가정보를 셋톱박스(10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230)를 제어한다.
이와 같이, 셋톱박스(100)는 디스플레이장치(200)의 수신부(250)가 수신하여 처리한 영상신호의 부가정보를 수신하여 미리 저장해 둠으로써, 사용자가 방송 서비스를 전환하였을 때, 부가정보를 새로 처리하지 않고 미리 처리하여 저장한 부가정보에 기초하여 암호화된 영상신호를 빨리 복호화(descramble)할 수 있다.
이처럼 셋톱박스(100)에서 복호화된 영상신호는 디스플레이장치(200)의 신호처리부(210)로 전송되어, 디스플레이장치(200)의 디스플레이부(290)에서 표시될 수 있도록 처리된다.
이렇게 처리된 영상신호는 디스플레이장치(200)의 디스플레이부(290)에 표시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셋톱박스와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우선, 셋톱박스(100)가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장치(200)에 영상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지 질문하여, 각각의 디스플레이장치(200)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지 여부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다 (S10). 여기서, 각각의 디스플레이장치(200)는 사용하지 않고 있는 튜너(251) 또는 IP 입력부(252)와 같은 수신부(250)의 개수에 대한 정보를 셋톱박스(1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 셋톱박스(100)는 각각의 디스플레이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영상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200)로 방송서비스 정보를 전송하여 영상신호의 부가정보 처리를 요청한다 (S20). 여기서, 방송 서비스 정보는 수신부(250)가 튜너(251)인 경우 주파수 정보일 수 있고, 수신부(250)가 IP 입력부(252)인 경우 인터넷프로토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방송 서비스 정보의 개수는 디스플레이장치(200)에서 사용되지 않고 있는 수신부(250)의 개수에 대응한다. 예를 들어, 수신부(250)가 튜너(251)인 경우 하나의 튜너는 하나의 주파수에 대응하는 영상신호의 부가정보를 처리할 수 있으므로, 셋톱박스(100)가 디스플레이장치(200)로 전송하는 주파수 정보의 개수는 사용하지 않는 튜너(251)의 개수에 대응한다.
다음, 요청을 수신한 디스플레이장치(200)는 자신의 수신부(250)를 통하여 영상신호의 부가정보를 처리한다. 여기서, 제한 수신시스템(CAS)에서의 수신부(250)의 동작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다음, 디스플레이장치(200)는 처리한 영상신호의 부가정보를 셋톱박스(100)로 전송한다. 제한 수신시스템(CAS)에서, 부가정보는 program association table (PAT), program map table (PMT), 및 conditional access table (CAT)와 같은 정보일 수 있다.
다음, 셋톱박스(100)는 디스플레이장치(200)로부터 전송된 영상신호의 부가정보에 기초하여 영상신호의 컨텐츠 사용 권한을 판단한다. 이 때, 셋톱박스(100)는 부가정보를 파싱하여 각각의 테이블(PAT, PMT, CAT)로부터 패킷 아이디(Packet identification, ID)를 알아낸 후, 제한 수신시스템(CAS) 라이브러리(2)와 스마트카드 또는 내장 스마트카드 라이브러리(3)에 각각 보내어 각 라이브러리(2, 3)의 데이터와 비교하여, 사용자가 시청 권한이 있는 지 확인하고 와 암호화된 컨텐츠를 복호화할 수 있는 제어단어(control word, CW)를 얻을 수 있다. 제어단어(CW)를 얻은 후, 셋톱박스(100)는 디스크램블러(5)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컨텐츠를 복호화하여, 권한을 가진 사용자, 즉, 가입자가 방송을 시청할 수 있게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셋톱박스(100)는 자신의 수신부(150) 외에도 사용하지 않고 있는 디스플레이장치(200)의 수신부(250)를 이용하여 영상신호의 부가정보를 수신하여 처리하고 미리 저장해 둠으로써, 사용자가 방송 서비스를 전환하였을 때, 부가정보를 새로 처리하지 않고 미리 처리하여 저장한 부가정보에 기초하여 암호화된 영상신호를 빨리 복호화(descramble)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셋톱박스
200: 디스플레이장치
150, 250: 수신부
130, 230: 통신부
170, 270: 제어부
190: 저장부
210: 신호처리부
290: 디스플레이부

Claims (20)

  1. 영상신호의 컨텐츠 이용 권한을 판단하는 셋톱박스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장치가 상기 영상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지 여부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로 상기 영상신호의 부가정보 처리를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상기 영상신호의 부가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영상신호의 부가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신호의 컨텐츠 사용 권한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셋톱박스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전송된 상기 영상신호의 부가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셋톱박스의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신호의 부가정보는 program association table (PAT), program map table (PMT), 및 conditional access table (CAT) 정보를 포함하는 셋톱박스의 제어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셋톱박스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장치와 동일한 주파수대역을 사용하는 네트워크 내에서 서로 연결되는 셋톱박스의 제어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는 상기 영상신호의 수신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영상신호의 수신이 불가능함을 셋톱박스에 알리고,
    상기 셋톱박스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 상기 영상신호의 부가정보 처리 요청을 중단하고 상기 네트워크에 있는 다른 디스플레이장치에 상기 영상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시스템의 제어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로 상기 영상신호의 부가정보 처리를 요청하는 단계는 방송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는 셋톱박스의 제어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서비스에 대한 정보는 주파수이고,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는 상기 영상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튜너를 포함하는 셋톱박스의 제어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서비스에 대한 정보는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주소이고,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는 상기 영상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IP 입력부를 포함하는 셋톱박스의 제어방법.
  9. 영상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영상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지 여부에 관한 정보를 셋톱박스로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셋톱박스로부터 상기 영상신호의 부가정보 처리를 요청 받는 단계와;
    상기 영상신호의 부가정보를 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처리한 부가정보를 상기 셋톱박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신호의 부가정보는 program association table (PAT), program map table (PMT), 및 conditional access table (CAT) 정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셋톱박스로부터 상기 영상신호의 부가정보 처리를 요청 받는 단계는 방송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상기 셋톱박스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서비스에 대한 정보는 주파수이고,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는 상기 영상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튜너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서비스에 대한 정보는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주소이고,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는 상기 영상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IP 입력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4. 영상신호의 컨텐츠 이용 권한을 판단하는 셋톱박스에 있어서,
    상기 영상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수신부와;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상기 영상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지 여부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도록 하고,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 상기 영상신호의 부가정보 처리를 요청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영상신호의 부가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신호의 컨텐츠 사용 권한을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셋톱박스.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전송된 상기 영상신호의 부가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셋톱박스.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신호의 부가정보는 program association table (PAT), program map table (PMT), 및 conditional access table (CAT) 정보를 포함하는 셋톱박스.
  17.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셋톱박스와 통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셋톱박스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부와;
    상기 처리된 영상신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영상신호의 부가정보를 처리하는 수신부와;
    상기 영상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지 여부에 관한 정보를 상기 셋톱박스로 송신하고, 상기 셋톱박스로부터 상기 영상신호의 부가정보 처리를 요청 받아, 상기 영상신호의 부가정보를 처리하고, 상기 처리한 부가정보를 상기 셋톱박스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신호의 부가정보는 program association table (PAT), program map table (PMT), 및 conditional access table (CAT) 정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셋톱박스로부터 상기 영상신호의 부가정보 처리를 요청 받을 때, 방송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상기 셋톱박스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0.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장치와, 영상신호의 컨텐츠 이용 권한을 판단하는 셋톱박스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셋톱박스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상기 영상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지 여부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셋톱박스가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 상기 영상신호의 부가정보 처리를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요청을 수신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상기 영상신호의 부가정보를 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상기 영상신호의 부가정보를 상기 셋톱박스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셋톱박스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전송된 영상신호의 부가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신호의 컨텐츠 사용 권한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20130031117A 2013-03-22 2013-03-22 셋톱박스, 디스플레이장치와 그 제어방법 KR2014011586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1117A KR20140115863A (ko) 2013-03-22 2013-03-22 셋톱박스, 디스플레이장치와 그 제어방법
EP13183776.7A EP2782351B1 (en) 2013-03-22 2013-09-10 Set-top box,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1117A KR20140115863A (ko) 2013-03-22 2013-03-22 셋톱박스, 디스플레이장치와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5863A true KR20140115863A (ko) 2014-10-01

Family

ID=49150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1117A KR20140115863A (ko) 2013-03-22 2013-03-22 셋톱박스, 디스플레이장치와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EP (1) EP2782351B1 (ko)
KR (1) KR20140115863A (ko)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70507B1 (en) * 2000-09-13 2013-02-05 Rockstar Bidco Lp System, device, and method for receiver access control in an internet television
US8634310B2 (en) * 2007-06-26 2014-01-2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improved program acquisition for use with MPEG-2 based systems
JP5461007B2 (ja) * 2008-12-25 2014-04-0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デジタル放送受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00211988A1 (en) * 2009-02-18 2010-08-19 Microsoft Corporation Managing resources to display media content
US9195775B2 (en) * 2009-06-26 2015-11-24 Iii Holdings 2, Llc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nd/or rendering internet multimedia content in a network
EP2503778A4 (en) * 2009-11-17 2013-08-28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IFFUSION SIGNALS, AND DIFFUSION RECEIVING DEVICE USING THE SAME
JP5025716B2 (ja) * 2009-12-09 2012-09-12 三菱電機株式会社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デジタル放送受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8893213B2 (en) * 2010-06-30 2014-11-18 Intel Corporation Content synchronization techniqu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82351B1 (en) 2018-06-20
EP2782351A1 (en) 2014-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12503B1 (en) Method and system for decrypting a transport stream
US8819721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ccess to video events associated with video broadcast services
WO2016030477A1 (en) Television receiver-based network traffic control
CN104902311B (zh) 一种音视频资源共享的方法、共享网关及系统
US20110239296A1 (en) Tracing unauthorized use of secure modules
KR20120025086A (ko) 유료 채널의 방송 수신 장치 및 방법
KR20070079278A (ko) 수신자 제한 시스템을 이용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시스템에서 수신기의 채널 전환 시간 단축 장치 및 방법
CN109379607B (zh) 一种频道播放方法、设备及介质
KR100809757B1 (ko) 디지털 케이블 방송 수신이 가능한 영상표시기기의 채널제어장치 및 방법
CA2969288C (en) Improvements to a television signal reception device and system
CN101365101A (zh) 一种加密频道的播放方法和机顶盒
KR20140115863A (ko) 셋톱박스, 디스플레이장치와 그 제어방법
JP2007266734A (ja)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配信方法および受信機
KR100713558B1 (ko) 다중 콘텐츠 디스크램블 기능이 구비된 디지털방송수신제한 장치 및 방법
CN107040803B (zh) 数字电视系统及同时支持多路不同频点节目的解扰方法
US9124936B2 (en) Mixed mode television receiver
US20130117799A1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facilitating a change between television and/or radio channels
KR20130083948A (ko)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40111740A (ko) 셋톱박스,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EP3563576B1 (en) Selectively delaying control word delivery for piracy identification
KR20120064764A (ko) 원격 자격처리모듈 통합처리 장치
KR20090050331A (ko) 디엠비용 수신제한시스템의 휴대형 클라이언트 장치
KR101720176B1 (ko) 유료 채널 수신 권한 공유 장치 및 방법
KR100874449B1 (ko) 가상모듈 삽입을 통한 시뮬크립트 구현 시스템
JP2017537533A (ja) メディアコンテンツ受信及び切替え管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