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3883A - 재료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재료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3883A
KR20120093883A KR1020127009671A KR20127009671A KR20120093883A KR 20120093883 A KR20120093883 A KR 20120093883A KR 1020127009671 A KR1020127009671 A KR 1020127009671A KR 20127009671 A KR20127009671 A KR 20127009671A KR 20120093883 A KR20120093883 A KR 201200938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shaft
holding
chuck
supplying
pu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9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8019B1 (ko
Inventor
타카이치 나카야
시게오 야나기다이라
코이치 야베
Original Assignee
시티즌 마쉬나리 미야노 가부시키가이샤
시티즌홀딩스 코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티즌 마쉬나리 미야노 가부시키가이샤, 시티즌홀딩스 코리미티드 filed Critical 시티즌 마쉬나리 미야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93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38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80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80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13/0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veying or chucking or guiding stock
    • B23B13/12Accessories, e.g. stops, grippers
    • B23B13/123Grippers, pushers or guiding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13/0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veying or chucking or guiding stock
    • B23B13/02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veying or chucking or guiding stock for turning-machines with a single working-spi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7/00Automatic or semi-automatic turning-machines with a single working-spindle, e.g. controlled by cams; Equipment therefor; Features common to automatic and semi-automatic turning-machines with one or more working-spi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B23Q7/001Lateral transport of long workpie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2/00Turning
    • Y10T82/25Lathe
    • Y10T82/2514Lathe with work feeder or remov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2/00Turning
    • Y10T82/25Lathe
    • Y10T82/2514Lathe with work feeder or remover
    • Y10T82/2516Magazine ty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2/00Turning
    • Y10T82/25Lathe
    • Y10T82/2514Lathe with work feeder or remover
    • Y10T82/2521Bar feeder

Abstract

공작기계나 조립 기계 등의 중공의 주축의 후단으로부터, 여러 가지의 형상이나 치수의 재료를 자동적으로 원활한 공급을 실행하는 재료 공급 장치를 제공한다. 중공의 주축((101)에 후단으로부터 재료(W)를 공급하는 재료 공급 장치(100)에 있어서, 유지 수단에 유지된 재료(W)를 척까지 밀어넣는 재료 압입 수단과, 재료 리시버(receiver, 121)에 공급된 재료(W)를 푸셔(122)에 의해 유지 수단 방향으로 밀어내어 유지시키는 재료 공급 수단(120)을 가지는 것이다.

Description

재료 공급 장치{STOCK FEEDING APPARATUS}
본 발명은 공작기계 등의 작업 기계에 재료를 공급하는 재료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공작기계 등의 작업 기계에 있어서, 전단(前端)에 척(chuck)을 가지는 중공의 주축에 후단으로부터 재료를 압입 공급하는 것은 널리 관용된 기술이며, 그를 위한 재료 공급 장치도 공지이다.
예를 들면, 길이가 긴 재료를 자동선반 등의 공작기계에 순차적으로 공급하여 가공하기 위하여, 선단에 재료를 유지하는 핑거 척을 구비한 푸싱 샤프트(pushing shaft)를 가지는 바 피더에 의해 중공의 주축의 후단으로부터 재료를 압입 공급하는 재료 공급 장치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등 참조.).
또한, 개별적으로 가공되는 짧은 길이의 재료를 중공의 주축의 후단에 공급하고, 재료 압입 수단에 의해 중공의 주축의 후단으로부터 재료를 압입 공급하는 재료 공급 장치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 등 참조.).
특허문헌 1 : 일본국 실개 소59-156705호 공보(제 1 페이지, 도 1) 특허문헌 2 : 일본국 실개 소62-7301호 공보( 제 1 페이지, 도 1)
그러나, 특허문헌 1의 경우 상기 짧은 길이의 재료는 전제가 되지 않기 때문에, 짧은 길이의 재료를 자동선반에 공급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 2의 경우 단지 재료는 밀어넣는 것만이며, 재료의 형상이나 치수 등에 따라서는 원활한 공급이 곤란해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청구항 1과 관련된 발명은, 전단에 척을 가지는 중공의 주축에 후단으로부터 재료를 밀어넣는 재료 압입 수단과 상기 재료 압입 수단에 대해서 재료를 개별적으로 공급하는 재료 공급 수단을 가지고, 상기 재료 공급 수단에 의해 공급된 재료를 상기 재료 압입 수단에 의해 상기 주축에 압입 공급하는 재료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재료 압입 수단의 선단에, 재료를 유지하는 유지 수단을 마련하고, 상기 재료 공급 수단이 상기 유지 수단에 유지시키도록 재료를 이동시키는 재료 이동 수단을 가지고, 재료를 상기 유지 수단에 유지한 상태로 상기 주축에 공급하는 것으로서,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본 청구항 2와 관련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재료 공급 장치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재료 이동 수단이 재료를 상기 유지 수단에 대해서 압압하는 푸셔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본 청구항 3과 관련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재료 공급 장치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재료 공급 수단이 재료의 유지시에 상기 유지 수단을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 수단을 가지는 것으로,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본 청구항 4와 관련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재료 공급 장치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재료 이동 수단을 상기 유지 수단에 대해서 재료를 이동시키는 작업 위치와, 상기 재료 압입 수단에 의한 상기 주축에의 재료 공급을 허용하는 퇴피 위치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것에 의하여,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본 청구항 5와 관련된 발명은, 청구항 4에 기재된 재료 공급 장치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재료 압입 수단이, 긴 길이의 봉재를 공급하는 바 피더의 푸싱 샤프트이며, 상기 재료 공급 수단이 푸싱 샤프트의 돌출 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에 의하여,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본 청구항 6과 관련된 발명은, 청구항 5에 기재된 재료 공급 장치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재료 공급 수단이 상기 주축에의 재료 공급시에 상기 재료 압입 수단을 안내하는 안내 수단을 가지는 것으로,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본 청구항 1과 관련된 발명의 재료 공급 장치는, 재료 압입 수단의 선단에 설치된 유지 수단에 재료를 유지시키고, 주축 후단으로부터 재료를 주축 내에 압입 공급하기 위해, 여러 가지의 재료를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재료 공급 수단이 유지 수단에 유지시키도록 재료를 이동시키는 재료 이동 수단을 가지는 것에 의하여, 유지 수단으로의 재료의 공급을 자동화할 수 있고, 다수의 짧은 길이의 재료를 연속하여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다.
본 청구항 2에 기재의 구성에 의하면, 재료 이동 수단이 재료를 유지 수단에 대해서 압압하는 푸셔로 이루어지는 것에 의하여, 간단한 구성으로 여러 가지의 재료를 유지 수단에 용이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본 청구항 3에 기재의 구성에 의하면, 재료의 유지시에 유지 수단을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 수단을 가지는 것으로, 유지 수단에 의한 재료의 유지를 보다 원활하고, 확실하게 실행할 수 있다.
본 청구항 4에 기재의 구성에 의하면, 재료 이동 수단을 유지 수단에 대해서 재료를 이동시키는 작업 위치와, 재료 압입 수단에 의한 주축에의 재료 공급을 허용하는 퇴피 위치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한 것에 의해, 유지 수단으로의 재료의 이동과 재료 압입 수단에 의한 재료의 공급을 간단하게 전환하여 실행할 수 있다.
본 청구항 5에 기재의 구성에 의하면, 종전의 길이가 긴 봉재의 공급용의 바 피더를 거의 개조하지 않고, 본 발명의 재료 공급 장치를 적용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재료 공급 장치 또는 바 피더로부터 여러 가지 재료를 자동선반 등에 공급할 수 있다.
본 청구항 6에 기재의 구성에 의하면, 안내 수단이 재료 압입 수단의 왕복 운동을 가이드하고, 원활하게 재료를 공급할 수 있는 것과 함께, 장척재를 공급할 때의 가이드로서 기능 시킬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재료 공급 장치를 구비한 자동 가공 시스템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재료 공급 장치를 구비한 자동 가공 시스템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재료 공급 장치의 초기 위치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재료 공급 장치의 핑거 척에의 재료 유지 동작 개시시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재료 공급 장치의 푸셔 작동시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재료 공급 장치의 핑거 척에의 재료 유지 후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재료 공급 장치의 재료 압입 개시시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재료 공급 장치의 재료 압입시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재료 공급 장치의 재료 압입 완료 후의 평면도이다.
(실시 예)
도 1, 도 2에 본 발명의 실시 예인, 재료 공급 장치(100)를 구비한 가공 시스템을 도시한다. 상기 가공 시스템은 자동선반(M)과 바 피더(B)와의 사이에 상기 재료 공급 장치(100)가 배치되어 구성되어 있다.
상기 자동선반(M)은 공지의 자동선반이며, 회전 구동 가능한 중공의 주축(101)을 가지고, 주축(101)의 전단부에 척(H)이 설치되고, 척(H)에 의해 파지된 재료를 가공용 공구에 의해 가공한다.
상기 바 피더(B)는 공지의 바 피더이며, 본체 내에 길이가 긴 봉재가 수용되는 것과 함께 자동선반(M)의 주축(101)의 축선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푸싱 샤프트(112)를 가지고 있고, 바 피더(B)와 자동선반(M)은 푸싱 샤프트(112)와 주축(101)이 동일 축선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푸싱 샤프트(112)의 전단에는 봉재의 후단을 유지하는 핑거 척(111)이 장착되고, 상기 핑거 척(111)에 의해 재료를 유지하는 유지 수단이 구성되어 있고, 푸싱 샤프트(112)는 주축(101)의 후단에서부터 후방의 주축(101)으로부터 이반(離反)된 위치와 주축(101) 내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
바 피더(B)는 봉재를 1개 선택하고, 상기 봉재의 후단을 핑거 척(111)에 의하여 유지한 상태로, 푸싱 샤프트(112)를 주축(101)의 축심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주축(101)의 후단으로부터 주축(101) 내에 봉재를 압입 공급한다.
상기 가공 시스템은 바 피더(B)에 의해 자동선반(M)의 주축(101) 내에 주축(101)의 후방으로부터 상기와 같이 봉재를 삽입하여 공급하고, 상기 봉재를 자동선반(M)에 의해 차례차례 자동적으로 가공할 수 있다.
본 재료 공급 장치(100)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축(101)의 축선과 직교하는 수평 방향으로 진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왕복 테이블(124)을 구비하고, 왕복 테이블(124) 상에는, 재료 리시버(receiver, 121), 푸셔(122), 핑거 누름 기구(125), 가이드 부재(126)가 설치되어 있다.
왕복 테이블(124)은 상기 진퇴 이동에 의해, 주축(101)으로부터 이반된 푸싱 샤프트(112)와 주축(101)의 후단과의 사이에, 가이드 부재(126)가 위치하는 가이드 자세와, 재료 리시버(121)가 위치하는 공급 자세로 자세가 전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가이드 부재(126)는 왕복 테이블(124)의 가이드 자세 시에, 푸싱 샤프트(112)를 핑거 척(111)과 일체적으로 주축(101)의 축선 방향을 따라 안내할 수 있도록, 주축(101)의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재료 리시버(121)에는 짧은 길이의 재료로서, 미리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된 재료인 주조물이 수용되고, 상기 주조물은 재료 리시버(121)에 수용되는 것에 의하여 위치 결정되고, 재료 리시버(121)는 주조물의 위치 결정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재료 리시버(121)에는 종래 공지의 파츠 피더(parts feeder) 등에 의해 상기 주조물이 하나씩 공급된다.
또한, 재료 리시버(121)는 주조물을 고정밀도로 위치 결정하기 위해서 진공 흡착이나 개폐식 척 등을 사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푸셔(122)는 재료 리시버(121)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실린더로 이루어지고, 상기 실린더로부터 피스톤 로드(123)를 돌출시키는 것에 의하여, 재료 리시버(121) 내의 주조물을 압압하여 재료 리시버(121)로부터 밀어내어, 재료를 이동시키는 재료 이동 수단을 구성한다.
푸셔(122)는 핑거 척(111)과 대향하는 왕복 테이블(124)의 공급 자세 시에, 상기와 같이 재료 리시버(121)로부터 주조물을 밀어내는 것에 의하여, 재료를 핑거 척(111)을 향하여 이동시키고, 상기 핑거 척(111)에 주조물을 삽입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재료 이동 수단으로서 재료를 파지하는 척을 사용하여, 재료를 파지한 척과 핑거 척(111)을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핑거 누름 기구(125)는 재료 리시버(121)를 끼워 넣어 푸셔(122)의 반대 측에 배치되고, 왕복 테이블(124)의 공급 자세 시에, 핑거 척(111)을 협지 등에 의하여 위치 결정하고, 상기 주조물의 핑거 척(111)에의 유지시에 핑거 척(111)을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 수단을 구성한다. 다만, 핑거 누름 기구(125)는 핑거 척(111)을, 다른 기구로 고정하는 것이라도 좋다.
핑거 누름 기구(125)로 핑거 척(111)을 위치 결정하는 것에 의하여, 푸싱 샤프트(112)의 흔들림 등에 의한 핑거 척(111)의 흔들림을 방지하고, 푸셔(122)에 의한 핑거 척(111)으로의 주조물의 삽입 공급을 안정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상기 푸셔(122)와 재료 리시버(121), 핑거 누름 기구(125)에 의하여, 핑거 척(111)에 주조물을 개별적으로 공급하는 재료 공급 수단(120)이 구성되어 있다.
핑거 척(111)에 주조물을 공급한 후, 왕복 테이블(124)을 가이드 자세로 하는 것에 의하여, 푸셔(122), 재료 리시버(121), 핑거 누름 기구(125)가 핑거 척(111)의 대향 위치로부터 퇴피하고, 가이드 부재(126)가 핑거 척(111)과 대향하기 때문에, 푸싱 샤프트(112)를 가이드 부재(126)에 의해 핑거 척(111)과 일체적으로 가이드 하면서, 주축(101)의 축선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고, 주조물을 주축(101)의 후단으로부터 주축(101) 내에 압입 공급할 수 있다.
자동선반(M)은 상기와 같이 주축(101)에 압입 공급된 주조물을 척(H)에 의하여 파지하고, 상기 공구에 의하여 가공할 수 있다.
또한, 푸싱 샤프트(112)는 주축(101)의 척(H)에 의한 주조물의 파지 후, 주축(101)으로부터 빠지고, 주축(101)의 후단으로부터 이반한다.
상기와 같이 푸셔(122)는 재료 리시버(121)와 일체적으로 왕복 테이블(124) 상에 설치되고, 왕복 테이블(124)의 진퇴 동작에 의하여 왕복 테이블(124)과 일체적으로 이동하고, 왕복 테이블(124)의 공급 자세 시에, 재료를 압압하여 핑거 척(111)에 대해서 이동시키는 작업 위치에 위치하고, 왕복 테이블(124)의 가이드 자세 시에, 푸싱 샤프트(112)에 의한 주축(101)에의 주조물의 공급을 허용하는 퇴피 위치에 위치한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 예에 있어서는, 바 피더(B)의 푸싱 샤프트(112)와 핑거 척(111)이 주축(101)에 후단으로부터 주조물을 압입 공급하는 재료 공급 장치(100)의 재료 압입 수단과 주조물을 유지하도록 상기 재료 압입 수단의 선단에 설치되는 유지 수단을 겸용하고 있다.
푸셔(122)는 주조물의 핑거 척(111)에의 공급 작업 시 이외는, 왕복 테이블(124)의 가이드 자세에의 자세 변경에 의한 퇴피 위치로의 이동에 의하여, 봉재(棒材) 및 주조물의 양쪽 모두의 주축(101)으로의 압입 삽입 작업을 방해하지 않는다.
또한, 왕복 테이블(124)의 가이드 자세 시에, 가이드 부재(126)는 푸싱 샤프트(112)를 핑거 척(111)과 일체적으로 가이드 하고, 주축(101)에의 봉재의 공급을 방해하지 않고, 주축(101)으로의 봉재의 공급은 가이드 부재(126)에 의하여 푸싱 샤프트(112)(핑거 척(111)을 포함한다)가 안내되는 것에 의하여 안정적으로 실행하여지고, 봉재 및 주조물의 주축(101)에의 압입 삽입 작업은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가이드 부재(126)에 의해 재료를 안내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가공 시스템은 왕복 테이블(124)을 가이드 자세로서 바 피더(B)에 의하여 봉재를 주축(101)에 공급하는 것과, 바 피더(B)를 그대로 이용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왕복 테이블(124)을 자세 변경하면서, 푸싱 샤프트(112)에 의해 주조물을 주축(101)에 공급하는 것을, 구성을 아무런 변경도 없이 실행할 수 있다. 상기 구조에 의하여, 갠트리 로더 등의 다른 로더가 불필요하고, 저비용이며, 또한 공간 절약적인 봉재와 주조물 등의 짧은 길이재의 양쪽 모두를 가공할 수 있는 가공 시스템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주축(101)의 척(H)은 통상의 봉재와 주조물의 양쪽 모두의 파지가 가능한 3개의 조(爪) 척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재료 공급 장치(100)가 자동선반(M)과 바 피더(B)와의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자동선반(M)과 바 피더(B)와의 간격이 넓어지는 경우도 있지만, 재료 공급 장치(100)의 가이드 부재(126)가 축선상에 위치하기 때문에, 길이가 긴 봉재를 주축(101)에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자동선반과 바 피더로 이루어지는 봉재의 가공 시스템에 대해서, 본 발명의 재료 공급 장치(100)를 추가하는 것에 의하여, 간단하게 본 발명의 가공 시스템으로 할 수도 있다.
이것에 의하여 봉재와 주조물의 가공 시스템을 따로따로 준비할 필요가 없고, 재료의 가공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 종래의 바 피더에 대해서 본 재료 공급 장치(100)를 추가하는 것에 의하여, 봉재와 주조물의 양쪽 모두를 공급할 수 있는 재료 공급 시스템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핑거 척(111)은 주조물이 삽입되는 것과, 봉재를 유지하는 것을 교환하여 푸싱 샤프트(112)에 장착하는 것 외, 주조물용과 봉재용을 공통화할 수도 있다.
또한, 재료 리시버(121)는 다른 형상, 치수의 주조물에 따라 교환 가능한 것이라도 좋다.
또한, 푸셔(122)의 피스톤 로드(123)의 돌출, 퇴피의 구동력은 기계식, 전자식, 유체압식 등의 어떠한 기구로 발생시켜도 좋다.
이상의 구성의 본 실시예의 재료 공급 장치(10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왕복 테이블(124)은 주축(101)으로부터 이반한 푸싱 샤프트(112)와 주축(101)의 후단과의 사이에 재료 리시버(121)가 위치하는 공급 자세의 위치(재료 이동 수단의 작업 위치)에 있고, 핑거 척(111)은 재료 리시버(121)에 공급된 재료(W)를 받아들이는 위치까지 퇴피하고 있다.
푸셔(122)의 피스톤 로드(123)도, 재료 리시버(121)로 공급된 상기 주조물 등의 짧은 길이의 재료(W)의 주축 측으로 퇴피하고 있다.
다음에,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왕복 테이블(124)이 주축(101)으로부터 이반한 푸싱 샤프트(112)와 주축(101)의 후단과의 사이에 가이드 부재(126)가 위치하는 가이드 자세의 위치(재료 이동 수단의 퇴피 위치)까지 이동하고, 재료 리시버(121)가 핑거 척(111)에 대치(對峙)한다.
이때, 핑거 누름 기구(125)가 작동하여 핑거 척(111)이 위치 결정 고정된다.
그리고,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푸셔(122)의 피스톤 로드(123)가 돌출하고, 재료(W)가 핑거 척(111) 방향으로 밀어내어져 핑거 척(111)에 유지된다.
본 실시 예에서 핑거 척(111)에는 선단측으로부터 슬릿(113)이 설치되어 있고, 재료(W)가 핑거 척(111)의 선단부에 삽입되는 것으로 탄성에 의해 유지되지만, 에어나 자력에 의한 흡착 기구 등, 다른 구조의 유지 수단으로 유지되어도 좋다.
다음에, 핑거 누름 기구(125)가 핑거 척(111)의 위치 결정 고정을 해제한 후,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재료(W)를 유지한 핑거 척(111)이 후퇴하여 재료(W)를 재료 리시버(121)로부터 완전하게 꺼내지는 위치까지 이동한다.
그리고,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왕복 테이블(124)이 전술한 공급 자세시의 위치(재료 이동 수단의 작업 위치)까지 이동하고, 가이드 부재(126)가 재료(W)를 유지한 핑거 척(111)에 대치한다.
이때, 다음의 재료(W)가 재료 리시버(121)에 공급 가능하도록 푸셔(122)의 피스톤 로드(123)도 퇴피한다.
다음에,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재료(W)는 핑거 척(111)에 유지되어 가이드 부재(126)를 통과하고, 주축(101)의 전단까지 압입된다. 재료(W)가 척(H)에 파지된 후,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핑거 척(111)은 재료(W)의 공급을 완료하고 재료 리시버(121)에 공급된 재료(W)를 받아들이는 위치로 복귀한다.
그리고, 다음의 재료(W)가 재료 리시버(121)에 공급되고, 다시 일련의 동작이 반복되고, 다수의 재료(W)가 연속하여 주축(101)의 전단의 척(H)에 공급된다.
도 3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도 7에 도시하는 상태까지의 동작, 즉, 왕복 테이블(124)이 가이드 자세의 위치로부터 공급 자세 시의 위치(재료 이동 수단의 작업 위치)로 이동하고, 재료(W)가 재료 리시버(121)로부터 밀어내어져 핑거 척(111)에 유지되고, 핑거 척(111)이 후퇴하고, 왕복 테이블(124)이 가이드 자세 시의 위치(재료 이동 수단의 퇴피 위치)까지 이동하여 가이드 부재(126)가 재료(W)를 유지한 핑거 척(111)에 대치할 때까지의 동작은, 직전에 공급된 재료(W)가 주축(101)의 전단의 척(H)에 파지되어 가공되고 있는 동안에 병행하여 행할 수 있기 때문에, 가공에 관여하지 않는 핸들링 시간을 단축하여 전체로서의 재료 1개당의 처리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특히, 재료 리시버(121)로의 재료의 보급은 핑거 척(111)에 재료를 유지시키고, 왕복 테이블(124)을 공급 자세로 전환할 때에 행할 수 있고, 핑거 척(111)으로의 재료(W)의 공급을 원활하고 또한, 단시간에 행할 수 있다.
또한, 주축(101)에서의 재료(W)의 가공중이나, 재료를 주축(101)으로부터 배면 주축에 주고 받을 때 등에, 주축(101) 내에 푸싱 샤프트(112)를 삽입하고, 다음에 가공하는 재료를 주축(101) 내에서 대기시킬 수도 있다. 또한, 다음에 가공하는 재료를 주축(101) 내에서 대기시키는 경우, 재료를 척(H) 직후에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자동선반(M)과 같이, 주축(101)에 대향하는 배면 주축(102)을 마련하는 경우, 푸싱 샤프트(112)를 주축(101) 내를 통과시키고, 재료(W)를 직접 배면 주축(102)의 척에 파지시켜 공급할 수 있다. 특히, 내부 지름 척을 필요로 하는 재료의 경우, 배면 주축(102)에 내부 지름 척을 부착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내부 지름 척에 재료(W)를 파지시켜 배면 주축(102)에 있어서 재료(W)를 가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푸셔(122)의 피스톤 로드(123)의 퇴피 및 다음의 재료(W)의 재료 리시버(121)로의 공급의 타이밍은 상기에 한정되지 않고, 일련의 동작 중에서 적당한 타이밍에서 실행하면 좋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서는 본 발명의 재료 공급 장치(100)를 자동선반(M)에 적용한 예에 의하여 설명하였지만, 전단에 척을 가지는 중공의 주축에 후단으로부터 재료를 압입 공급하는 것이라면, 어떠한 가공 기계, 조립 장치, 처리 장치에 사용되어도 좋다.
100 : 재료 공급 장치 101 : 주축
111 : 핑거 척 112 : 푸싱 샤프트
113 : 슬릿 120 : 재료 공급 수단
121 : 재료 리시버 122 : 푸셔
123 : 피스톤 로드 124 : 왕복 테이블
125 : 핑거 누름 기구 126 : 가이드 부재
W : 재료 M : 자동선반
H : 척   B : 바 피더

Claims (6)

  1. 전단에 척을 가지는 중공의 주축에 후단으로부터 재료를 밀어넣는 재료 압입 수단과 상기 재료 압입 수단에 대해서 재료를 개별적으로 공급하는 재료 공급 수단을 가지고, 상기 재료 공급 수단에 의해 공급된 재료를 상기 재료 압입 수단에 의하여 상기 주축으로 압입 공급하는 재료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재료 압입 수단의 선단에 재료를 유지하는 유지 수단을 마련하고,
    상기 재료 공급 수단은 상기 유지 수단에 유지시키도록 재료를 이동시키는 재료 이동 수단을 가지고,
    재료를 상기 유지 수단에 유지한 상태로 상기 주축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 공급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 이동 수단은 재료를 상기 유지 수단에 대해서 압압하는 푸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 공급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 공급 수단은 재료의 유지 시에 상기 유지 수단을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 공급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 이동 수단을 상기 유지 수단에 대해서 재료를 이동시키는 작업 위치와 상기 재료 압입 수단에 의한 상기 주축으로의 재료 공급을 허용하는 퇴피 위치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 공급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 압입 수단은 길이가 긴 봉재를 공급하는 바 피더의 푸싱 샤프트이며,
    상기 재료 공급 수단은 푸싱 샤프트의 돌출 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 공급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 공급 수단은 상기 주축으로의 재료 공급 시에 상기 재료 압입 수단을 안내하는 안내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 공급 장치.
KR1020127009671A 2009-10-01 2010-09-14 재료 공급 장치 및 가공 시스템 KR1016980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229280A JP5457126B2 (ja) 2009-10-01 2009-10-01 材料供給装置および加工システム
JPJP-P-2009-229280 2009-10-01
PCT/JP2010/065844 WO2011040235A1 (ja) 2009-10-01 2010-09-14 材料供給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3883A true KR20120093883A (ko) 2012-08-23
KR101698019B1 KR101698019B1 (ko) 2017-01-20

Family

ID=43826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9671A KR101698019B1 (ko) 2009-10-01 2010-09-14 재료 공급 장치 및 가공 시스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726770B2 (ko)
EP (1) EP2484466B1 (ko)
JP (1) JP5457126B2 (ko)
KR (1) KR101698019B1 (ko)
CN (1) CN102665974B (ko)
ES (1) ES2832500T3 (ko)
TW (1) TWI508800B (ko)
WO (1) WO201104023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31353B2 (en) 2013-09-18 2017-08-15 Citizen Machinery Co., Ltd. Bar material supplying device and numerical control machine tool having the same
KR20190042610A (ko) * 2016-08-31 2019-04-24 시티즌 도케이 가부시키가이샤 공작기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76496B2 (ja) * 2012-10-26 2017-08-09 育良精機株式会社 棒材供給機及び送り矢セット
ITUB20155834A1 (it) * 2015-11-24 2017-05-24 Cucchi Giovanni & C Srl Dispositivo e metodo per recuperare e scaricare spezzoni di barre da una macchina utensile
CN112238226B (zh) * 2020-10-24 2021-08-20 上海万众实业股份有限公司 一种行星齿轮数控车床出料装置
WO2022230197A1 (ja) 2021-04-30 2022-11-03 Dmg森精機株式会社 バーフィーダ及び工作機械
CN113319304A (zh) * 2021-06-07 2021-08-31 辽阳奥鹏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生产变直径圆棒材料的装置及加工方法
CN113927352A (zh) * 2021-10-18 2022-01-14 安徽信息工程学院 一种棒材生产线送料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7101U (ja) * 1982-07-26 1984-02-02 日本特殊陶業株式会社 円筒物のチヤツク插入時の案内受具
JPS59156705A (ja) 1983-02-25 1984-09-06 松下電工株式会社 軽量厚物硬化体の製法
JPS627301A (ja) 1985-06-29 1987-01-14 Toshiba Corp 浮上式搬送装置
JPH03134196A (ja) * 1989-10-18 1991-06-07 Mitsui High Tec Inc リードフレームのめっき装置
JP2007118163A (ja) * 2005-10-31 2007-05-17 Star Micronics Co Ltd 旋盤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33545A (en) * 1957-03-01 1958-05-06 Balas Collet Mfg Company Pusher device having adjustable tension
GB1288385A (ko) * 1969-02-07 1972-09-06
DE2537852C3 (de) * 1975-08-26 1978-03-16 Hagenuk Vormals Neufeldt & Kuhnke Gmbh, 2300 Kiel Automatische Zuführvorrichtung für Profilstangen an stangenverarbeitenden Drehmaschinen
JPS5376283U (ko) * 1976-11-29 1978-06-26
JPS5376283A (en) 1976-12-18 1978-07-06 Mitsubishi Electric Corp Stopping control of moving body
JPS5917101A (ja) 1982-07-21 1984-01-28 Toshiba Corp 回転角度検出装置
JPS59156705U (ja) * 1983-11-16 1984-10-20 アヅマ産業株式会社 自動加工機の制御装置
US5347896A (en) * 1992-12-21 1994-09-20 Bausch & Lomb Incorporated Automated collet loading for the manufacture of contact lenses
JPH07328803A (ja) * 1994-06-02 1995-12-19 Nakamura Tome Precision Ind Co Ltd 旋盤の材料押込装置
US5505584A (en) * 1994-07-21 1996-04-09 J. F. Berns Company, Inc. Air operated loading and unloading device
JP3641304B2 (ja) * 1995-09-07 2005-04-20 株式会社アルプスツール フィンガーチャック
JP3134196B1 (ja) * 1999-09-22 2001-02-13 工業技術院長 二重整列ペロブスカイト構造磁気抵抗素子とその使用方法
JP3723465B2 (ja) * 2001-04-20 2005-12-07 株式会社育良精機製作所 棒材供給方法および棒材供給機
CN100506442C (zh) * 2003-11-28 2009-07-01 西铁城控股株式会社 数控自动车床的棒材供给装置
EP1637256B1 (en) * 2004-09-15 2014-04-02 PIETRO CUCCHI S.p.A. Automatic bar-loader provided with linear sensors of the position of the bar-pusher and automatic lathe including said loader
JP3134196U (ja) * 2007-05-09 2007-08-09 三重精機株式会社 旋盤加工機、および、ローディング装置
CN201168788Y (zh) * 2008-03-31 2008-12-24 何森权 车床棒料自动送进装置的导料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7101U (ja) * 1982-07-26 1984-02-02 日本特殊陶業株式会社 円筒物のチヤツク插入時の案内受具
JPS59156705A (ja) 1983-02-25 1984-09-06 松下電工株式会社 軽量厚物硬化体の製法
JPS627301A (ja) 1985-06-29 1987-01-14 Toshiba Corp 浮上式搬送装置
JPH03134196A (ja) * 1989-10-18 1991-06-07 Mitsui High Tec Inc リードフレームのめっき装置
JP2007118163A (ja) * 2005-10-31 2007-05-17 Star Micronics Co Ltd 旋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31353B2 (en) 2013-09-18 2017-08-15 Citizen Machinery Co., Ltd. Bar material supplying device and numerical control machine tool having the same
KR20190042610A (ko) * 2016-08-31 2019-04-24 시티즌 도케이 가부시키가이샤 공작기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457126B2 (ja) 2014-04-02
TW201113111A (en) 2011-04-16
TWI508800B (zh) 2015-11-21
EP2484466A4 (en) 2017-01-25
KR101698019B1 (ko) 2017-01-20
US8726770B2 (en) 2014-05-20
EP2484466A1 (en) 2012-08-08
US20120186407A1 (en) 2012-07-26
ES2832500T3 (es) 2021-06-10
JP2011073117A (ja) 2011-04-14
WO2011040235A1 (ja) 2011-04-07
CN102665974B (zh) 2015-03-04
CN102665974A (zh) 2012-09-12
EP2484466B1 (en) 2020-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93883A (ko) 재료 공급 장치
JP2011073117A5 (ko)
JP5575063B2 (ja) ワーク保持装置交換支持装置
CN110636925B (zh) 工件夹持装置
KR200424861Y1 (ko) 공작기계의 소재공급 및 가공물취출을 위한 서보장치
JP6218699B2 (ja) 棒材切断機
KR102004051B1 (ko) 너트 태핑 장치
JP4656980B2 (ja) クロージング加工方法及びクロージング加工機
JP2017104931A (ja) 板材加工システム、及び板材加工方法
CN110666239B (zh) 一种拉孔机及拉孔方法
CN1429687A (zh) 棒料供给、加工系统及其残留料处理方法
CN210702162U (zh) 穿芯定位装置及管件自动冲压设备
CN217193817U (zh) 一种长条形原料加工设备
CN111846924B (zh) 一出多模具上料机械手
JP2005059117A (ja) 棒材供給機
CN211465470U (zh) 一种用于缝纫设备的加工系统
JP4847386B2 (ja) 棒材移送装置及び工作機械
CN112222308A (zh) 穿芯定位装置及管件自动冲压设备
JP2006123450A (ja) インサート部材投入装置
JP4984258B2 (ja) 棒材加工システム
CN203317123U (zh) 一种锁体钻孔设备的输送机构
JP2011104610A (ja) プレス機械のワーク搬送装置
CN202621931U (zh) 一种背面主轴自动排料装置
JPS61182704A (ja) 両端加工機の棒材ロ−デイング方法
JPS6111741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