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4051B1 - 너트 태핑 장치 - Google Patents

너트 태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4051B1
KR102004051B1 KR1020170145289A KR20170145289A KR102004051B1 KR 102004051 B1 KR102004051 B1 KR 102004051B1 KR 1020170145289 A KR1020170145289 A KR 1020170145289A KR 20170145289 A KR20170145289 A KR 20170145289A KR 102004051 B1 KR102004051 B1 KR 1020040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
tab
rod
pusher
eng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5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0103A (ko
Inventor
진삼하
Original Assignee
진삼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삼하 filed Critical 진삼하
Priority to KR1020170145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4051B1/ko
Publication of KR201900501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01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40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40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GTHREAD CUTTING; WORKING OF SCREWS, BOLT HEADS, OR NUTS, IN CONJUNCTION THEREWITH
    • B23G1/00Thread cutting; Automatic machines specially designed therefor
    • B23G1/16Thread cutting; Automatic machines specially designed therefor in holes of workpieces by taps
    • B23G1/18Machines with one working spindle
    • B23G1/185Machines with one working spindle specially adapted for making n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GTHREAD CUTTING; WORKING OF SCREWS, BOLT HEADS, OR NUTS, IN CONJUNCTION THEREWITH
    • B23G1/00Thread cutting; Automatic machines specially designed therefor
    • B23G1/44Equipment or accessories specially designed for machines or devices for thread cutting
    • B23G1/48Equipment or accessories specially designed for machines or devices for thread cutting for guiding the thread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GTHREAD CUTTING; WORKING OF SCREWS, BOLT HEADS, OR NUTS, IN CONJUNCTION THEREWITH
    • B23G11/00Feeding or discharging mechanism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thread-cutting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너트 태핑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너트 태핑 장치는 선단부에는 가공 탭이 형성되고, 후단부에는 상기 제1결합부가 형성된 탭봉;과, 상기 탭봉의 축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슬리브;와, 상기 제1결합부에 축방향으로 맞물릴 수 있는 제2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탭봉의 후단 측에 배치되어 상기 탭봉에 회전구동력을 인가하는 회전구동부;와, 상기 탭봉의 선단 측에 배치되어 탭봉의 가공 탭에 가공되지 않은 너트를 공급하는 공급부;와, 상기 공급부 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가 맞물리도록 상기 탭봉을 후진 이동시키는 제1푸셔; 및 상기 회전구동부 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가 이격되도록 상기 탭봉을 전진 이동시키는 제2푸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너트 태핑 장치{NUT TAPPING APPARATUS}
본 발명은 너트 태핑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축방향 길이가 긴 너트의 암나사를 용이하게 가공할 수 있는 너트 태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너트의 내주면에 암나사를 가공하기 위한 너트의 암나사 가공장치는, 탭이 형성된 탭봉을 회전시키고, 그 탭봉에 너트를 연속적으로 끼워지도록 밀어주는 것에 의해 너트의 내주면에 암나사를 가공한다.
이와 같이 너트의 암나사를 가공하기 위한 종래 구성에 따른 너트의 암나사 가공장치를 도 1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 구성에 따른 너트의 암나사 가공장치(10)는 탭봉(11), 클램프(12), 회전수단(13) 및 푸셔(14)로 이루어진다. 상기 탭봉(11)은 선단에 암나사를 가공하기 위한 탭(11a)이 형성되고 후단에 절곡부(11b)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수단(13)에는 탭봉(11)이 일정간격 떨어지도록 끼워지는 가이드(13a)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종래 구성에 따른 너트의 암나사 가공장치(10)에서, 너트의 탭핑 작업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클램프(12)에는 암나사가 가공되지 않은 너트(16)가 놓여진다. 이 클램프(12)는 상기 푸셔(14)에 의해 상기 탭봉(11)의 선단쪽으로 슬라이드 이송된다.
또한, 상기 탭봉(11)은 상기 회전수단(13)에 의해 고속 회전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너트(16)가 상기 탭봉(11)의 탭(11a)을 통과하면서 그 너트(16)의 내경에는 암나사가 가공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탭봉(11)의 탭(11a)을 통과한 가공된 너트(16)들은 상기 탭봉(11)을 따라 이송되어 상기 탭봉(11)의 끝단에 형성된 절곡부(11b)를 통해 빠져나오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구성에 따른 너트의 암나사 가공장치는, 회전수단의 회전력이 탭봉의 절곡부를 통해 전달되고, 가공이 완료된 너트는 탭봉을 통과하여 절곡부를 통해 빠져나가기 때문에, 축방향 길이가 긴 롱너트의 가공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한편, 종래의 롱 너트(파이프너트)를 가공하는 방식으로는, 특허문헌 1(등록특허 10-0937828)과 같이, 선단에 탭이 형성된 공구를 정회전시켜 너트에 암나사를 가공하고, 다시 공구를 역회전시켜 공구와 너트가 분리되도록 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에는 탭봉이 역회전하면서 너트홀을 재통과하는 과정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므로, 가공이 완료된 암나사가 탭봉의 재통과 과정에서 손상되거나, 탭봉이 쉽게 마모되어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37828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축방향 길이가 긴 너트의 암나사를 용이하게 가공할 수 있는 너트 태핑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선단부에는 가공 탭이 형성되고, 후단부에는 제1결합부가 형성된 탭봉;과, 상기 탭봉의 축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슬리브;와, 상기 제1결합부에 축방향으로 맞물릴 수 있는 제2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탭봉의 후단 측에 배치되어 상기 탭봉에 회전구동력을 인가하는 회전구동부;와, 상기 탭봉의 선단 측에 배치되어 탭봉의 가공 탭에 가공되지 않은 너트를 공급하는 공급부;와, 상기 공급부 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가 맞물리도록 상기 탭봉을 후진 이동시키는 제1푸셔; 및 상기 회전구동부 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가 이격되도록 상기 탭봉을 전진 이동시키는 제2푸셔;를 포함하는 너트 태핑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슬리브에는 상기 탭봉에 삽입된 너트를 축방향 슬라이딩이 가능한 상태로 파지하는 파지홈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파지홈에는 너트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가압부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푸셔는 전,후진 구동하며, 전진 구동시에는 탭봉과 회전구동부 사이의 이격 간격이 너트의 축방향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넓게 되도록 탭봉을 회전구동부로부터 이격시키고, 후진 구동시에는 제2푸셔에 삽입되어 있던 너트를 상기 탭봉과 회전구동부 사이의 이격 간격을 통해 낙하시켜 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푸셔는 전,후진 구동하며, 전진 구동시에는 가공되지 않은 너트를 관통하여 선단부가 너트로부터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공급부는, 가공되지 않은 너트를 연속 공급하는 공급 슈트와, 상기 공급 슈트로부터 공급되는 너트를 하나씩 파지하는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를 상기 탭봉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송부는, 파지부가 공급 슈트로부터 너트를 공급받는 제1위치로부터 상기 탭봉의 제1결합부가 회전구동부의 제2결합부와 맞물리는 제2위치로 전진 구동하고, 상기 파지부에 고정된 너트가 탭봉의 가공 탭을 통과하는 제3위치로 전진 구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송부는, 상기 제2위치로부터 제3위치로 이송하는 압력이 상기 제1위치로부터 제2위치로 이송하는 압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송부가 제3위치로부터 제1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푸셔는 탭봉의 선단부를 축방향으로 가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탭봉의 후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삽입축과, 상기 삽입축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삽입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삽입축이 삽입되는 삽입공과, 상기 삽입공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과 맞물리는 복수의 삽입돌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삽입홈은 상기 삽입돌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구동부의 상기 탭봉과 마주하는 면에는 상기 제2결합부의 주변에 배치되어 상기 탭봉의 결합위치를 안내하는 가이드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축방향 길이가 긴 너트의 암나사를 용이하게 가공할 수 있는 너트 태핑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선단에 가공 탭이 형성된 탭봉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너트에 암나사를 가공함과 동시에 탭봉의 후단으로 가공이 완료된 너트를 배출할 수 있으므로, 탭봉의 역회전은 물론 가공 탭이 너트홀을 재통과하지 않으면서도 너트를 연속적으로 가공할 수 있는 너트 태핑 장치가 제공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구성에 따른 너트의 암나사 가공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 너트 태핑 장치의 개략구성도,
도 4는 본 발명 너트 태핑 장치에 따른 탭봉의 발췌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너트 태핑 장치에 따른 슬리브의 발췌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너트 태핑 장치에 따른 회전구동부의 회전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너트 태핑 장치에 따른 공급부의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 너트 태핑 장치에 따른 공급부의 평면도이고,
도 9 내지 도 15는 본 발명 너트 태핑 장치의 작용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너트 태핑 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도면 중, 도 3은 본 발명 너트 태핑 장치의 개략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너트 태핑 장치에 따른 탭봉의 발췌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 너트 태핑 장치에 따른 슬리브의 발췌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 너트 태핑 장치에 따른 회전구동부의 회전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 너트 태핑 장치에 따른 공급부의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 너트 태핑 장치에 따른 공급부의 평면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은 본 발명 너트 태핑 장치는, 탭봉(110), 슬리브(120), 회전구동부(130), 공급부(140), 제1푸셔(150) 및 제2푸셔(160)를 포함한다.
상기 탭봉(11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직선의 막대형으로 이루어지며, 선단부에는 암나사 가공용 가공 탭(111)이 형성되고, 후단부에는 제1결합부(112)가 형성된다. 상기 제1결합부(112)는 상기 탭봉(110)의 후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삽입축(112a)과, 상기 삽입축(112a)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삽입홈(112b)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슬리브(1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탭봉(110)의 축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것으로서, 상기 슬리브(120)에는 상기 탭봉(110)에 삽입된 너트(N)를 축방향 슬라이딩이 가능한 상태로 파지할 수 있는 파지홈(121)이 마련된다. 상기 슬리브(120)의 파지홈(121)과 접하는 내주면에는 너트(N)의 외주면을 지지할 수 있는 가압부(122)가 다수 배치된다. 즉, 상기 탭봉(110)은, 다수의 너트(N)가 끼워진 상태로 상기 슬리브(120)의 파지홈(121)에 안착됨에 따라, 너트(N)의 너트홀 내에서 축회전이 가능하고, 너트(N)의 너트홀을 따라 축방향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가압부(122)는, 상기 파지홈에 삽입된 너트의 외주면에 접촉하는 볼과, 상기 볼을 너트의 외주면을 향해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체로 구성된 볼플런저(Ball Plunger)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압부(122)가 볼플런저로 구성되어 너트의 외주면을 탄력적으로 가압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슬리브(120)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가압축이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전후진하면서 너트의 외주면을 선택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에어실린더의 형태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가압부(122)는 상기 볼플런저나 에어실린더 이외에도, 탭봉(110)의 축방향 이동과정에서 슬리브(120)의 파지홈(121)에 삽입된 너트(N)가 탭봉(110)과 함께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너트의 외주면을 가압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파지홈(121)에 안착되어 가압부(122)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는 너트(N)는 공급부(140)로부터 너트(N)가 공급됨에 따라 파지홈(121) 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파지홈(121)이 상측이 개방된 반원형의 단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원형의 단면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회전구동부(1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탭봉(110)의 후단 측에 배치되어 상기 탭봉(110)에 회전구동력을 인가하는 것으로서, 회전체(131)와, 상기 회전체(131)에 회전구동력을 인가하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구동부는 중공모터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전체(131)의 상기 탭봉(110)과 마주하는 면에는 상기 탭봉(110)의 제1결합부(112)가 축방향으로 삽입되어 맞물릴 수 있는 제2결합부(132)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결합부(13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결합부(112)의 삽입축(112a)이 삽입되는 삽입공(132a)과, 상기 삽입공(132a)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결합부(112)의 삽입홈(112b)과 맞물리는 복수의 삽입돌기(132b)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삽입홈(112b)의 원주방향 길이는 상기 삽입돌기(132b)의 원주방향 길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회전구동부(130)의 회전체(131)가 회전하는 상태에서도 상기 탭봉(110)의 제1결합부(112)가 회전구동부(130)의 제2결합부(132)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회전구동부(130)의 상기 탭봉(110)과 마주하는 면에는 상기 제2결합부(132)의 주변에 배치되어 상기 탭봉(110)의 제1결합부(112)가 제2결합부(132)에 삽입되는 위치를 안내하는 가이드(133)가 마련된다. 이러한 가이드(133)는, 경사 배치되는 판스프링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다수 마련되어 상기 탭봉(110)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대칭되는 형태로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탭봉(110)의 제1결합부(112)가 축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회전구동부(130)의 제2결합부(132)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가이드(133)에 의해 제2결합부(132)와의 결합위치가 안내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공급부(14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탭봉(110)의 선단 측에 배치되어 탭봉(110)의 가공 탭(111)에 가공되지 않은 너트(N)를 공급하는 것으로서, 가공되지 않은 너트(N)를 공급하는 공급 슈트(chute, 141)와, 상기 공급 슈트(141)로부터 공급되는 너트(N)를 고정 또는 고정해제하는 파지부(142)와, 상기 파지부(142)를 상기 탭봉(110)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부(143)를 포함한다.
상기 공급 슈트(141)의 상단부에는 호퍼에 연결되며, 가공되지 않은 너트(N)를 정렬하여 파지부(142)로 전달한다.
상기 파지부(142)는 너트(N)의 일측 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블록과, 너트(N)의 타측 측면을 선택적으로 지지하는 구동블록과, 상기 구동블록을 왕복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부(143)는 상기 파지부(142)를 상기 탭봉(110)과 나란한 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구동모터와 볼스크류 및 볼너트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송부(143)는, 파지부(142)가 공급 슈트(141)로부터 너트(N)를 공급받는 제1위치로부터 상기 탭봉(110)의 제1결합부(112)가 회전구동부(130)의 제2결합부(132)와 맞물리는 제2위치로 전진 구동하고, 상기 파지부(142)에 고정된 너트(N)가 탭봉(110)의 가공 탭(111)을 통과하는 제3위치로 전진 구동하고, 제3위치에서 제1위치로 후진 구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송부(143)는, 상기 파지부(142)를 제2위치로부터 제3위치로 이송하는 압력을 상기 파지부(142)를 제1위치로부터 제2위치로 이송하는 압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파지부(142)를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는 탭봉(110)의 제1결합부(112)가 회전구동부(130)의 제2결합부(132)에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충분한 압력(6bar)을 제공하고, 상기 파지부(142)를 제2위치에서 제3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는 너트(N)의 암나사 가공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상대적으로 작은 압력(2bar)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푸셔(1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부(143)의 구동에 의해 파지부(142)와 함께 이동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탭봉(110)과 동일 축선상에서 전,후진 구동하는 제1가압축(151)을 포함한다. 상기 제1푸셔(150)의 전진 구동시에는 상기 제1가압축(151)의 선단부가 파지부(142)에 위치한 너트(N)를 관통하여 너트(N)로부터 탭봉(110)을 향해 돌출된 상태가 된다.
상기 제2푸셔(16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구동부(130) 측에 배치되어 상기 탭봉(110)과 동일 축선상에서 전,후진 구동하는 제2가압축(161)을 포함한다. 상기 제2푸셔(160)의 전진 구동시에는 도 11과 같이 제2가압축(161)이 신장하면서 탭봉(110)과 회전구동부(130) 사이의 이격 간격이 너트(N)의 축방향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넓게 되도록 탭봉(110)을 회전구동부(130)로부터 이격시키고, 후진 구동시에는 도 12와 같이 제2가압축(161)이 수축하면서 제2가압축(161)에 삽입되어 있던 너트(N)를 상기 탭봉(110)과 회전구동부(130) 사이의 이격 간격을 통해 낙하시켜 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푸셔(150)와 제2푸셔(160)의 전진구동은 제1가압축(151)과 제2가압축(161)이 신장된 상태를 의미하며, 후진구동은 제1가압축(151)과 제2가압축(161)이 수축된 상태를 의미하며, 상기 제1푸셔(150)와 제2푸셔(60)는 에어실린더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금부터는 상술한 너트 태핑 장치의 제1실시예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첨부도면 중, 도 9 내지 도 15는 본 발명 너트 태핑 장치의 작용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먼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는 공급부(140)와 제1푸셔(150)가 배치되고, 타측에는 회전구동부(130)와 제2푸셔(160)가 배치되고, 상기 공급부(140)와 회전구동부(130) 사이에는 슬리브(120) 및 상기 슬리브(120)에 의해 축방향 이동이 안내되는 탭봉(110)이 배치된다.
도 9와 같이 탭봉(110)이 회전구동부(130)를 향해 이동한 상태에서는, 상기 탭봉(110)의 후단부에 마련된 제1결합부(112)가 회전구동부(130)의 제2결합부(132)와 맞물리므로, 회전구동부(130)의 회전력이 탭봉(110)으로 전달되어 탭봉(110)이 회전한다.
이때, 상기 탭봉(110) 상에는 암나사 가공이 완료된 다수의 너트(N)가 삽입되고, 다수의 너트(N)들은 슬리브(120)의 파지홈(121)에 지지되므로, 상기 탭봉(110)은 너트(N)의 너트홀 내에서 축회전 및 축방향 이동이 안내된다.
한편, 상기 파지홈(121)의 내주면에는 다수의 가압부(122)가 배치되어 너트(N)의 외주면을 탄력적으로 지지한다. 따라서, 파지홈(121)에 안착된 너트(N)는 외력에 의해 파지홈(121) 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부(140)의 파지부(142)는 공급 슈트(141, 도 7 참조)의 하부에서 너트(N)를 하나씩 이송하기 위해 너트(N)의 양측면을 가압하여 고정한다.
또한, 상기 공급부(140)에 설치된 제1푸셔(150)는 파지부(142)에 너트(N)가 고정된 상태에서, 전진구동하여 제1가압축(151)이 너트(N)의 너트홀을 관통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1가압축(151)의 선단부는 너트(N)를 관통하여 탭봉(110)을 향해 돌출된 상태가 된다.
이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구동부(130) 측에 설치된 제2푸셔(160)가 전진구동하면, 제2가압축(161)이 신장하는 것과 함께 탭봉(110)이 공급부(140)측으로 이동하면서, 탭봉(110)의 제1결합부(112)가 회전구동부(130)의 제2결합부(132)로부터 분리된다.
상기와 같이, 공급부(140)를 향해 이동한 탭봉(110)의 선단부가 제1가압축(151)의 선단에 접촉함에 따라, 탭봉(110)의 전진 이동위치가 안내되는 동시에, 탭봉(110)의 가공 탭(111)이 너트(N)에 직접 접촉하여 너트(N)나 가공 탭(111)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탭봉(110)에 삽입되어 있던 암나사 가공이 완료된 너트(N)들은, 슬리브(120)의 파지홈(121)에 삽입된 상태에서, 가압부(122)에 의해 탄력적으로 가압지지된 상태이므로, 탭봉(110)이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탭봉(110)과 함께 이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제2푸셔(160)가 전진구동하여 제2가압축(161)과 탭봉(110)을 전진 이동시키면, 회전구동부(130)와 슬리브(120) 사이에 위치하는 너트(N)는 제2가압축(161)에 삽입된 상태가 된다.
이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푸셔(160)가 후진구동하면, 제2가압축(161)이 수축하면서 상기 제2가압축(161)에 삽입되어 있던 너트(N)가 회전구동부(130)와 슬리브(120)의 사이공간을 통해 낙하하여 배출된다.
이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압축(151)의 선단부가 탭봉(110)의 선단부에 접촉된 상태에서, 공급부(140)의 이송부(143)가 제1위치로부터 제2위치로 전진 구동하면, 탭봉(110)이 회전구동부(130)를 향해 이동하면서 탭봉(110) 후단부의 제1결합부(112)가 회전구동부(130)의 제2결합부(132)에 결합된다. 상기 탭봉(110)이 회전구동부(130)에 결합되면, 회전구동부(130)로부터 회전력을 인가받아 축회전한다.
여기서, 상기 이송부(143)가 제2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는, 제1가압축(151)의 선단부가 탭봉(110)의 선단부에 접촉되어 탭봉(110)만을 축방향으로 가압하게 되므로, 슬리브(120)의 파지홈(121)에 안착되어 있는 너트(N)들은 이동하지 않게 된다.
이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푸셔(150)가 후진구동한 다음, 공급부(140)의 이송부(143)가 제2위치로부터 제3위치로 이동하면, 회전구동하는 탭봉(110)의 가공 탭(111)이 파지부(142)에 고정된 너트(N)의 너트홀을 관통하게 되면서 너트(N)의 너트홀에 암나사를 가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이송부(143)가 제3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이송부(143)의 선단부가 탭봉(110)에 삽입되어 있던 암나사 가공이 완료된 너트(N)들을 축방향으로 가압하므로, 다수의 너트(N)들이 슬리브(120)의 파지홈(121) 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공급부(140)의 선단부가 너트(N)를 가압하는 과정에서 암나사 가공이 이루어진 너트(N)와 가공 탭(111)을 통과하는 너트(N)의 사이가 이격되므로, 절삭유가 탭봉(110)의 가공 탭(111)으로 원활하게 공급되고, 이에 따라 너트(N)에 암나사를 가공하는 과정에서 너트(N)와 가공 탭(111)의 파손 또는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이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너트(N)의 암나사 가공이 완료된 이후에는, 제1푸셔(150)가 전진구동하여 제1가압축(151)이 탭봉(110)의 선단부를 지지한 상태에서, 너트(N)를 고정하고 있던 파지부(142)가 너트(N)를 고정해제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공급부(140)의 이송부(143)가 제3위치로부터 제1위치로 후진 구동하면, 도 9에 도시된 상태로 복귀되며, 이러한 공정을 반복하면서 너트(N)를 연속적으로 가공할 수 있다.
한편, 이송부(143)가 제3위치로부터 제1위치로 후진구동하는 과정에서는, 제1가압축(151)이 탭봉(110)의 선단을 가압하여 탭봉(110)의 위치를 고정한 상태에서 이송부(143)가 후진 구동하므로, 이송부(143)가 제1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탭봉(110)이 이송부(143)와 함께 이동하는 것이 방지되며, 이로 인해 상기 탭봉(110)이 회전구동부(130)로부터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어, 공급부(140)가 제1위치로 완전히 이동하여 파지부(142)가 공급 슈트(141)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면, 제1푸셔(150)가 후진구동하여 제1가압축(151)이 파지부(142)의 상부영역으로부터 이탈함으로써, 파지부(142)가 공급 슈트(141)로부터 너트(N)를 공급받을 수 있는 상태가 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막대 형태의 탭봉(110)이 축방향으로 왕복이동하는 과정에서, 회전구동부(130)와 용이하게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막대 형태의 탭봉(110)이 축방향으로 왕복이동하면서 너트(N)를 가공하거나 배출하므로, 축방향 길이가 긴 너트(N)에 암나사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롱너트(파이프너트)를 가공하는 방식은, 업라이트 방식으로 선단에 가공 탭이 형성된 공구를 정회전시켜 너트에 암나사를 가공하고, 다시 공구를 역회전시켜 공구와 너트가 분리되도록 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너트 태핑 장치에서는 선단에 가공 탭(111)이 형성된 탭봉(110)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너트(N)에 암나사를 가공함과 동시에 탭봉(110)의 후단으로 가공이 완료된 너트(N)를 배출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탭봉(110)이 역회전하면서 너트홀을 재통과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너트 가공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것은 물론, 가공 탭이 불필요하게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10:탭봉, 111:가공 탭, 112:제1결합부,
112a:삽입축, 112b:삽입홈, 120:슬리브,
121:파지홈, 122:가압부, 130:회전구동부,
131:회전체, 132:제2결합부, 132a:삽입공,
132b:삽입돌기, 133:가이드, 140:공급부,
141:공급 슈트, 142:파지부, 143:이송부,
150:제1푸셔, 151:제1가압축, 160:제2푸셔,
161:제2가압축, N:너트

Claims (12)

  1. 선단부에는 가공 탭이 형성되고, 후단부에는 제1결합부가 형성된 탭봉;
    상기 탭봉의 축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슬리브;
    상기 제1결합부에 축방향으로 맞물릴 수 있는 제2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탭봉의 후단 측에 배치되어 상기 탭봉에 회전구동력을 인가하는 회전구동부;
    상기 탭봉의 선단 측에 배치되어 탭봉의 가공 탭에 가공되지 않은 너트를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공급부 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가 맞물리도록 상기 탭봉을 후진 이동시키는 제1푸셔; 및
    상기 회전구동부 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가 이격되도록 상기 탭봉을 전진 이동시키는 제2푸셔;를 포함하며,
    상기 공급부는, 가공되지 않은 너트를 연속 공급하는 공급 슈트와, 상기 공급 슈트로부터 공급되는 너트를 하나씩 파지하는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를 상기 탭봉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태핑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에는 상기 탭봉에 삽입된 너트를 축방향 슬라이딩이 가능한 상태로 파지하는 파지홈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태핑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홈에는 너트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가압부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태핑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푸셔는 전,후진 구동하며, 전진 구동시에는 탭봉과 회전구동부 사이의 이격 간격이 너트의 축방향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넓게 되도록 탭봉을 회전구동부로부터 이격시키고, 후진 구동시에는 제2푸셔에 삽입되어 있던 너트를 상기 탭봉과 회전구동부 사이의 이격 간격을 통해 낙하시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태핑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푸셔는 전,후진 구동하며,
    전진 구동시에는 가공되지 않은 너트를 관통하여 선단부가 너트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태핑 장치.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파지부가 공급 슈트로부터 너트를 공급받는 제1위치로부터 상기 탭봉의 제1결합부가 회전구동부의 제2결합부와 맞물리는 제2위치로 전진 구동하고, 상기 파지부에 고정된 너트가 탭봉의 가공 탭을 통과하는 제3위치로 전진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태핑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제2위치로부터 제3위치로 이송하는 압력이 상기 제1위치로부터 제2위치로 이송하는 압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태핑 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가 제3위치로부터 제1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푸셔는 탭봉의 선단부를 축방향으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태핑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탭봉의 후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삽입축과, 상기 삽입축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삽입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삽입축이 삽입되는 삽입공과, 상기 삽입공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과 맞물리는 복수의 삽입돌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태핑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은 상기 삽입돌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태핑 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동부의 상기 탭봉과 마주하는 면에는 상기 제2결합부의 주변에 배치되어 상기 제1결합부의 결합위치를 안내하는 가이드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태핑 장치.
KR1020170145289A 2017-11-02 2017-11-02 너트 태핑 장치 KR1020040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5289A KR102004051B1 (ko) 2017-11-02 2017-11-02 너트 태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5289A KR102004051B1 (ko) 2017-11-02 2017-11-02 너트 태핑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0103A KR20190050103A (ko) 2019-05-10
KR102004051B1 true KR102004051B1 (ko) 2019-07-25

Family

ID=66580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5289A KR102004051B1 (ko) 2017-11-02 2017-11-02 너트 태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405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9427B1 (ko) * 2020-04-09 2020-08-31 임영근 피가공물 자동 투입 및 태핑 장치
KR20230058816A (ko) 2021-10-25 2023-05-03 디케이국풍주식회사 피팅 너트 교정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3931B2 (ja) * 1981-11-14 1985-06-10 株式会社浅野製作所 ねじ立機におけるタツプ装置
KR100937828B1 (ko) 2003-01-13 2010-01-22 장관순 자동태핑머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9427B1 (ko) * 2020-04-09 2020-08-31 임영근 피가공물 자동 투입 및 태핑 장치
KR20230058816A (ko) 2021-10-25 2023-05-03 디케이국풍주식회사 피팅 너트 교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0103A (ko) 2019-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08800B (zh) Material supply device and processing system
KR102004051B1 (ko) 너트 태핑 장치
JP3861092B2 (ja) 切断機構付曲げ加工装置
JP2010094736A (ja) 曲げ加工機におけるロッド形状及び管状ワークの摺動横方向支持用支持ジョー構造
KR101546492B1 (ko) 인발기용 파이프 내면 클램핑 장치
CN105234267B (zh) U型无屑下料自动弯管机
JP2011073117A5 (ko)
JP2005305520A (ja) 曲げ加工装置
CN103659391B (zh) 锥柄自动夹持装置
CN214900590U (zh) 一种绕线机
JP6219106B2 (ja) 引き込みチャック
JP3848569B2 (ja) 棒材供給・加工システムおよびその残材処理方法
CN214236093U (zh) 一种钉子加工设备送料机构
US7775077B2 (en) Closing method and closing machine
US2228863A (en) Feeding device
JP2002518187A (ja) リベット打機
JP2011255460A (ja) 工作機械
KR20160141658A (ko) 봉재 공급기 및 봉재 공급 방법
KR100367507B1 (ko) 경사지관 가공장치의 가압홀딩장치
KR101273105B1 (ko) 소재 피딩 장치
US2155634A (en) Stock feeding means for automatic machine tools
JP4847386B2 (ja) 棒材移送装置及び工作機械
JP3390486B2 (ja) 曲げ機構用パイプ送給装置
JPH0833925A (ja) 自動成形曲げ加工方法及び加工機
JP4859510B2 (ja) コレットチャ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